KR101726849B1 - 휴대 단말, 휴대 단말을 이용한 위험 감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 휴대 단말을 이용한 위험 감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6849B1
KR101726849B1 KR1020100076111A KR20100076111A KR101726849B1 KR 101726849 B1 KR101726849 B1 KR 101726849B1 KR 1020100076111 A KR1020100076111 A KR 1020100076111A KR 20100076111 A KR20100076111 A KR 20100076111A KR 101726849 B1 KR101726849 B1 KR 101726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walking
risk
danger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6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1550A (ko
Inventor
이호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6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6849B1/ko
Priority to US13/104,901 priority patent/US9761118B2/en
Publication of KR20120021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1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6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6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3/00Alarms responsive to un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사용자가 휴대 단말에 대해 집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부, 사용자가 휴대 단말에 집중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의 보행에 관한 위험성 존재 여부 또는 사용자의 환경에 관한 위험성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부, 및 보행에 관한 위험성 또는 환경에 관한 위험성이 존재하는 경우 위험을 알리기 위한 경보를 실행하는 경보 실행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을 이용한 위험 감지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 휴대 단말을 이용한 위험 감지 장치 및 방법{Mobile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on of danger}
휴대 단말을 통해 위험을 감지하고 사용자에게 경보 신호를 제공하는 기술과 관련된다.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 단말(mobile terminal)을 통해 DMB 방송, 전자책, 게임, 영화 등의 다양한 컨텐츠를 즐기는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다. 이동 단말의 특성상 사용자들은 이동하면서 컨텐츠를 감상하게 되는데, 대부분 시각과 청각 모두를 사용해서 해당 컨텐츠에 몰입하게 되므로 사용자 주변의 위험을 제대로 감지하지 못하고 이에 반응하지 못할 위험이 있다.
최근에는 보행 중 휴대전화 사용에 따른 주의 산만으로 인해 뼈가 부러지거나 다쳐서 병원 응급실을 찾은 사람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처럼, 휴대폰만으로도 사용자로 하여금 거리를 걷는 것보다 더 중요한 어떤 일(예컨대, 문자메시지 전송)을 추구하도록 만들 수 있으며, 심지어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이 거리를 걷고 있는 중이라는 사실조차 잊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더 큰 문제는, 기술의 발달로 이동 단말의 소프트웨어/하드웨어적 성능은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컨텐츠 또한 양·질적으로 다양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이동 단말에 더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동 단말은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지능적인 기능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사용자의 집중도, 보행 위험도, 및 환경 위험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위험 요소를 감지하고 사용자에게 주의를 줄 수 있는 휴대 단말, 휴대 단말을 이용한 위험 감지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휴대 단말을 이용한 위험 감지 장치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에 대해 집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사용자가 휴대 단말에 집중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위험을 알리기 위한 경보를 실행하는 경보 실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휴대 단말을 이용한 위험 감지 장치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에 대해 집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부, 사용자가 휴대 단말에 집중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의 보행에 관한 위험성 존재 여부 또는 사용자의 환경에 관한 위험성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부, 및 보행에 관한 위험성 또는 환경에 관한 위험성이 존재하는 경우 위험을 알리기 위한 경보를 실행하는 경보 실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휴대 단말을 이용한 위험 감지 방법은 사용자가 휴대 단말에 대해 집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휴대 단말에 집중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위험을 알리기 위한 경보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휴대 단말을 이용한 위험 감지 방법은 사용자가 휴대 단말에 대해 집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사용자가 휴대 단말에 집중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의 보행에 관한 위험성 존재 여부 또는 사용자의 환경에 관한 위험성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보행에 관한 위험성 또는 환경에 관한 위험성이 존재하는 경우 위험을 알리기 위한 경보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휴대 단말은 사용자의 보행 속도를 측정하는 GPS 모듈, 사용자의 보행 상태 및 안정도를 측정하는 가속도계 모듈, 사용자에게 접근하는 물체를 검출하는 근접 센서 모듈, 통신망을 통해 위험 지역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모듈, 사용자의 눈 또는 사용자의 주변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및 사용자의 주변의 소음을 측정하는 마이크로폰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 수집부, 데이터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휴대 단말에 대한 집중 여부, 사용자의 보행 여부, 사용자의 보행에 따른 위험성 존재 여부, 또는 사용자의 주변 환경에 대한 위험성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위험성 판단부, 및 위험성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가 휴대 단말에 집중하는 경우, 보행에 따른 위험성이 존재하는 경우, 또는 주변 환경에 대한 위험성이 존재하는 경우에 위험을 알리는 경보를 실행하는 경보 실행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에 의하면, 사용자가 휴대 단말에 집중하고 있는 경우 경보 발생이 가능하므로 사전에 위험 요소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1차적으로 집중도를 판단하고 2차적으로 보행 또는 환경에 대한 위험도를 판단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경고가 가능하다. 나아가 별도의 서버 등 외부의 도움 없이도 휴대 단말 자체적으로 사용자 위험에 대한 판단 및 조치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을 이용한 위험 감지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을 이용한 위험 감지 장치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을 이용한 위험 감지 방법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을 이용한 위험 감지 방법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을 이용한 위험 감지 장치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위험 감지 장치(100)는 사용자가 이동 중 사용할 수 있는 휴대 단말에 적용될 수 있다. 휴대 단말의 예로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 PMP 등이 대표적이다. 휴대 단말에 적용된 위험 감지 장치(100)는 휴대 단말의 각종 센싱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휴대 단말을 사용할 때의 위험 요소들을 감지하고 사용자에게 위험 요소의 존재 여부를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을 통해 걸어가면서 이메일(e-mail)을 확인하는 사용자가 그 이메일 내용에 집중한 나머지 다가오는 차량을 인지하지 못한 경우, 스마트폰에 적용된 위험 감지 장치(100)가 경보음을 내는 것이 가능하다. 위험 감지 장치(100)는 판단부(101) 및 경보 실행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판단부(101)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에 집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사람이 어떤 대상에 몰입하거나 집중을 하면 특정 위치에 시선이 오래 머무르게 되며, 눈을 깜박이는 횟수가 줄어드는 경향이 있다. 판단부(101)는 휴대 단말의 카메라가 촬영한 사용자의 눈의 움직임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가 휴대 단말에 집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단부(101)는 사용자의 눈이 특정 위치에 고정된 시간이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또는 사용자의 눈이 깜박이는 횟수가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 사용자가 휴대 단말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눈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판단부(101)가 시선 추적(eye tracking) 기법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에 장착된 카메라의 촬영 방향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경보 실행부(102)는, 판단부(101)의 판단 결과, 사용자가 휴대 단말에 집중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위험을 알리기 위한 경보를 실행한다. 경보를 실행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사용목적, 응용예, 또는 위험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보 실행부(102)는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경고 문구 또는 경고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경보 실행부(102)는 휴대 단말의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경보 실행부(102)는 휴대 단말이 진동을 하게 만들거나, 휴대 단말의 전원을 차단하거나, 또는 다른 휴대 단말로 긴급 통신을 시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위험 감지 장치(100)는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휴대 단말에 몰입하는 경우 경보 신호를 발생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만약에 있을 위험에 미리 대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을 이용한 위험 감지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위험 감지 장치(200)는 제 1 판단부(201), 제 2 판단부(202), 및 경보 실행부(20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판단부(201)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에 집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 1 판단부(201)는 휴대 단말의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사용자의 눈의 움직임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눈이 특정 위치에 고정된 시간을 산출하고 그 시간이 이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또는 사용자의 눈이 깜박이는 횟수를 산출하고 그 횟수가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 사용자가 휴대 단말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눈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제 1 판단부(201)가 시선 추적(eye tracking) 기법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에 장착된 카메라의 촬영 방향을 제어할 수도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제 2 판단부(202)는 제 1 판단부(201)의 판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가 휴대 단말에 집중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의 보행에 관한 위험성 존재 여부 또는 사용자의 환경에 관한 위험성 존재 여부를 판단한다. "보행에 관한 위험성"이란 사용자가 이동할 때의 위험성을 말하고, "환경에 관한 위험성"이란 사용자가 이동하지 아니할 때 또는 사용자가 이동할 때의 주변에 대한 위험성을 말한다. 예를 들어, 제 2 판단부(202)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에 집중하는 경우에 활성화된 후, 사용자가 움직이고 있다면 그 움직임에 따른 위험 요소는 없는지 또는 사용자가 정지하고 있다면 주변 환경에 위험 요소는 없는지 등을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행에 관한 위험성(이하, 보행 위험성) 및 환경에 관한 위험성(이하, 환경 위험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제 2 판단부(202)는 보행 판단부(204), 보행 위험성 판단부(205), 및 환경 위험성 판단부(206)를 포함할 수 있다.
보행 판단부(204)는 제 1 판단부(201)의 판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가 휴대 단말에 집중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의 보행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보행 판단부(204)는 휴대 단말에 탑재된 센서(예를 들어, GPS 센서 또는 가속계 센서 등)의 센싱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움직이는지 또는 정지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보행 위험성 판단부(205)는 보행 판단부(204)의 판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가 이동 중인 경우, 보행 위험성을 판단한다. 보행 위험성 판단부(205)는 보행 상태, 보행 속도, 및 보행 안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보행 위험성을 나타내는 보행 위험도를 산출한다. 보행 중 위험의 정도를 나타내는 보행 위험도는 다음과 같이 구해질 수 있다.
먼저 휴대 단말에 탑재된 가속도계 센서의 센싱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보행 상태를 측정한다. 보행 상태에는 Walk, Run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때, 보행 상태의 측정을 위해 행동 인식(activity recognition) 등의 기술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가속도계 센서의 센싱 정보가 규칙적인지 또는 비규칙적인지 여부에 따라 보행 안정도를 측정한다. 이를 위해, 푸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을 통한 Regularity Analysis가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에 탑재된 GPS 센서의 센싱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보행 속도를 측정한다. 보행 속도의 단위는 meter/sec로 주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보행 상태, 보행 속도, 및 보행 안정도가 구해지면, 보행 상태 별 및 보행 속도 별 위험도 값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209)를 참조하여 예비 위험도 값을 획득하고 여기에 보행 안정도에 따른 가중치를 반영해서 최종 위험도 값을 획득한다.
보행 위험도가 구해지면, 보행 위험성 판단부(205)는, 구해진 보행 위험도와 정해진 임계값을 비교한다. 비교 결과 구해진 보행 위험도가 임계값을 넘으면 보행 위험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환경 위험성 판단부(206)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에 집중하고 있는 상태에서 움직이지 않을 때에 활성화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환경 위험성 판단부(206)가 언제 활성화되는지를 예시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사용자가 움직일 때도 위험 가능성에 따라 활성화되는 것이 가능하다.
활성화된 환경 위험성 판단부(206)는 주변 환경에 대한 위험 요소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경 위험성 판단부(206)는 휴대 단말에 탑재된 근접 센서의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로 접근하는 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환경 위험성 판단부(206)는 휴대 단말의 마이크로폰을 통해 수집된 사운드 신호를 분석하여 위험 징후가 있는 소음(예컨대, 차량의 경적)을 검출할 수도 있다. 어떤 소리가 위험 징후가 있는 소음인지는 소리의 특징 벡터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209)를 참조하여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환경 위험성 판단부(206)는 휴대 단말의 GPS 센서를 통해 얻어진 사용자의 위치와 데이터베이스(209)에 저장된 사고 다발 지역 또는 위험 지역의 위치를 비교해서 환경 위험성을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경보 실행부(203)는 보행에 관한 위험성 또는 환경에 관한 위험성이 존재하는 경우 위험을 알리기 위한 경보를 실행한다. 경보를 실행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사용목적, 응용예, 또는 위험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보 실행부(203)는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경고 문구 또는 경고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경보 실행부(203)는 휴대 단말의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경보 실행부(203)는 휴대 단말이 진동을 하게 만들거나, 휴대 단말의 전원을 차단하거나, 또는 다른 휴대 단말로 긴급 통신을 시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위험 감지 장치(200)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에 집중하는지 여부에 따라 1차적 위험성을 감지하고,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보행 중의 위험성 또는 주변 환경의 위험성을 2차적으로 감지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처할 수 있는 잠재적 위험 요소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위험 감지 장치(200)는 데이터 수집부(207), 사용자 설정부(208), 및 데이터베이스(209)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데이터 수집부(207)는 제 1 판단부(201) 및 제 2 판단부(202)가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기초 자료를 수집하고 제공하는 부분이다. 데이터 수집부(207)는 휴대 단말의 각종 센서 데이터를 수집한다. 수집되는 데이터에는 GPS 데이터, 가속도 데이터, 각속도 데이터, 영상 데이터, 소리 데이터, 근접 센서의 센싱 데이터, 네트워크 데이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설정부(208)는 제 1 판단부(201) 및 제 2 판단부(202)가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임계값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제 1 판단부(201)가 사용자의 눈의 움직임 정보를 통해 집중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 사용자 설정부(208)는 비교 대상이 되는 기준 시선 고정 시간 또는 기준 눈 깜박임 횟수 등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2 판단부(202)가 소정의 보행 위험도를 이용하여 보행 위험성을 판단하는 경우, 사용자 설정부(208)는 비교 대상이 되는 기준 위험도 값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 설정부(208)는 경보 실행부(203)의 경보 실행 방법을 조절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209)에는 보행 상태 별 및 보행 속도 별 위험도 값, 사고 다발 지역 또는 위험 지역의 위치 정보, 및 위험 징후가 있는 소음의 특징 벡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위험도를 도시한다. 이것은 전술한 데이터베이스(209)에 존재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보행 위험도는 보행 속도(301) 및 보행 상태(302)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보행 속도가 5m/s이고 그 보행 상태가 Walk이면 보행 위험도는 4로 결정된다. 보행 속도(301)와 보행 상태(302)는 휴대 단말의 GPS 센서 값 및 가속도 센서 값을 분석하면 알 수 있다.
보행 속도(301) 및 보행 상태(302)에 따라 보행 위험도가 결정되면, 보행 위험성 판단부(205)는 결정된 보행 위험도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한 후, 결정된 보행 위험도가 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면 보행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3과 같은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결정된 보행 위험도는 예비적 값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행 위험도가 4로 결정된 경우, 보행 안정도에 따라 결정된 보행 위험도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켜서 최종 보행 위험도를 얻을 수도 있다. 보행 안정도는 보행 속도(301) 및 보행 상태(302)를 구하기 위해 필요한 신호(예컨대, GPS 센서 값 또는 가속도 센서 값)의 변화량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을 이용한 위험 감지 방법을 도시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위험 감지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휴대 단말에 집중하고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401). 예컨대, 판단부(101)가 사용자의 시선이 정해진 시간 이상으로 한 곳에 고정되어 있는지 또는 사용자의 눈 깜박임 횟수가 정해진 횟수 이하로 떨어지는지를 측정하고 그 집중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만약 사용자가 휴대 단말에 집중하고 있다면, 위험을 알리는 경보가 실행된다(402). 예컨대, 경보 실행부(102)가 경고 문구 표시, 경고 이미지 표시, 경고음 출력, 진동 발생, 전원 차단, 다른 휴대 기기로 긴급 메시지 전송 등의 방법으로 경보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을 이용한 위험 감지 방법을 도시한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위험 감지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휴대 단말에 집중하고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501). 예컨대, 제 1 판단부(201)가 사용자의 시선이 정해진 시간 이상으로 한 곳에 고정되어 있는지 또는 사용자의 눈 깜박임 횟수가 정해진 횟수 이하로 떨어지는지를 측정하고 그 집중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만약 사용자가 휴대 단말에 집중하는 경우, 사용자가 이동 중인지 여부가 판단된다(502). 예컨대, 보행 판단부(204)가 GPS 데이터 혹은 가속도계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움직이고 있는지 또는 한 곳에 정지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이동 중인 경우, 보행 위험성의 존재 여부가 판단된다(503). 예컨대, 보행 위험성 판단부(205)가 보행 위험성을 나타내는 위험도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해서 보행 위험성을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보행 위험성 판단부(205)가 GPS 데이터 및 가속도/각속도 데이터를 바탕으로 보행 상태, 보행 속도, 및 보행 안정도 등을 구한다. 그리고 구해진 보행 상태 및 보행 속도와 도 3과 같은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제 1 위험도를 구하고, 구해진 제 1 위험도에 보행 안정도에 따른 가중치를 반영하여 제 2 위험도를 산출한다. 이때, 산출된 제 2 위험도가 임계값 이상이면 보행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그러하지 아니하면 보행 위험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만약 보행 위험성이 존재하는 경우, 위험을 알리기 위한 경보가 실행된다(504). 예컨대, 경보 실행부(203)가 경고 문구 표시, 경고 이미지 표시, 경고음 출력, 진동 발생, 전원 차단, 다른 휴대 기기로 긴급 메시지 전송 등의 방법으로 경보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이동 중이 아닌 경우 또는 사용자가 이동하더라도 보행 위험성이 존재하지 아니한 경우, 환경 위험성의 존재 여부가 판단된다(505). 예컨대, 환경 위험성 판단부(206)가 근접 센서의 센싱 데이터, 마이크로폰의 소리 데이터, 네트워크 데이터 및 데이터베이스(209)를 이용하여 물체의 접근 여부, 위험 징후 소음의 발생 여부, 및 사고 다발 지역 또는 위험 지역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만약 환경 위험성이 존재하는 경우, 위험을 알리기 위한 경보가 실행된다(504). 구체적인 경보 실행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을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600)은 사용자가 휴대한 채로 이동 중 사용 가능한 휴대폰, 스마트폰, PDA, PMP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600)은 데이터 수집부(601), 위험성 판단부(602), 및 경보 실행부(603)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부(601)는 휴대 단말(600) 자체 또는 휴대 단말(600)을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에 관한 각종 정보를 수집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수집부(601)는 사용자의 보행 속도를 측정하는 GPS 모듈(604), 사용자의 보행 상태 및 안정도를 측정하는 가속도계 모듈(605), 사용자에게 접근하는 물체를 검출하는 근접 센서 모듈(606), 통신망을 통해 위험 지역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모듈(607), 사용자의 눈 또는 상기 사용자의 주변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608), 및 사용자의 주변의 소음을 측정하는 마이크로폰 모듈(609)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위험성 판단부(602)는 데이터 수집부(601)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휴대 단말에 대한 집중 여부, 사용자의 보행 여부, 사용자의 보행에 따른 위험성 존재 여부, 또는 사용자의 주변 환경에 대한 위험성 존재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위험성 판단부(602)는 카메라 모듈(608)로부터 얻어진 사용자의 눈에 관한 정보로부터 사용자가 휴대 단말(600)에 집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휴대 단말(600)에 집중하고 있다면 1차적인 위험 요소가 있는 상태이다. 1차적인 위험 요소가 있는 상태에서 위험성 판단부(602)는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2차적인 위험 요소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그리고 위험성 판단부(602)는 GPS 모듈(604)로부터 얻어진 GPS 데이터 혹은 가속도계 모듈(605)로부터 얻어진 가속도계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움직이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 사용자가 움직이는 경우 보행에 관한 위험성을 판단하고, 사용자가 움직이지 아니하거나 보행 위험성이 존재하지 아니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환경에 관한 위험성을 판단할 수 있다.
경보 실행부(603)는 위험성 판단부(602)의 판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가 휴대 단말(600)에 집중하는 경우, 보행에 따른 위험성이 존재하는 경우, 또는 주변 환경에 대한 위험성이 존재하는 경우, 위험을 알리는 경보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경보 실행부(603)는 휴대 단말(600)이 진동하도록 진동부(6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경보 실행부(603)는 휴대 단말(600)의 전원이 꺼지도록 전원부(611)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경보 실행부(603)는 경고 문구 또는 경고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휴대 단말(600)의 디스플레이(612)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경보 실행부(603)는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휴대 단말(600)의 스피커(613)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개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집중 여부, 사용자의 보행 여부, 보행에 따른 위험성 존재 여부, 및 보행하지 아니할 때의 환경의 위험성 존재 여부가 종합적으로 판단된 후 경보가 실행되기 때문에 휴대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닥칠 수 있는 위험을 지능적으로 차단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나아가 전술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할 것이다.

Claims (14)

  1. 사용자가 휴대 단말에 대해 집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 판단부;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휴대 단말에 집중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움직이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움직이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보행에 관한 위험성을 판단하는 제2 판단부; 및
    상기 보행에 관한 위험성이 존재하는 경우, 위험을 알리기 위한 경보를 실행하는 경보 실행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판단부는,
    보행 상태, 보행 속도 및 보행 안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보행에 관한 위험성을 나타내는 보행 위험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보행 위험도와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보행에 관한 위험성을 판단하는 휴대 단말을 이용한 위험 감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단부는
    상기 사용자의 눈에 대한 시선 고정 시간 또는 깜박임 횟수를 이용하여 상기 집중 여부를 판단하는 휴대 단말을 이용한 위험 감지 장치.
  3. 사용자가 휴대 단말에 대해 집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부;
    상기 사용자가 상기 휴대 단말에 집중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움직이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움직이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보행에 관한 위험성을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움직이지 아니하는 경우 또는 상기 보행에 관한 위험성이 존재하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환경에 관한 위험성을 판단하는 제 2 판단부; 및
    상기 보행에 관한 위험성 또는 상기 환경에 관한 위험성이 존재하는 경우 위험을 알리기 위한 경보를 실행하는 경보 실행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판단부는,
    보행 상태, 보행 속도 및 보행 안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보행에 관한 위험성을 나타내는 보행 위험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보행 위험도와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보행에 관한 위험성을 판단하는 휴대 단말을 이용한 위험 감지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단부는
    상기 사용자에게로 근접하는 물체가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 주변의 소음이 위험 징후 소음이라고 판단되거나 설정된 임계값을 넘어가는 경우, 또는 상기 사용자가 설정된 위험 지역으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환경에 관한 위험성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휴대 단말을 이용한 위험 감지 장치.
  7. 사용자가 휴대 단말에 대해 집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휴대 단말에 집중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움직이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움직이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보행에 관한 위험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보행에 관한 위험성이 존재하는 경우, 위험을 알리기 위한 경보를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보행에 관한 위험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보행 상태, 보행 속도 및 보행 안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보행에 관한 위험성을 나타내는 보행 위험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보행 위험도와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보행에 관한 위험성을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을 이용한 위험 감지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집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눈에 대한 시선 고정 시간 또는 깜박임 횟수를 이용하여 상기 집중 여부를 판단하는 휴대 단말을 이용한 위험 감지 방법.
  9. 사용자가 휴대 단말에 대해 집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휴대 단말에 집중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움직이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움직이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보행에 관한 위험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움직이지 아니하는 경우 또는 상기 보행에 관한 위험성이 존재하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환경에 관한 위험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보행에 관한 위험성 또는 상기 환경에 관한 위험성이 존재하는 경우 위험을 알리기 위한 경보를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보행에 관한 위험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보행 상태, 보행 속도 및 보행 안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보행에 관한 위험성을 나타내는 보행 위험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보행 위험도와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보행에 관한 위험성을 판단하는 휴대 단말을 이용한 위험 감지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에 관한 위험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게로 근접하는 물체가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 주변의 소음이 위험 징후 소음이라고 판단되거나 설정된 임계값을 넘어가는 경우, 또는 상기 사용자가 설정된 위험 지역으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환경에 관한 위험성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휴대 단말을 이용한 위험 감지 방법.
  13. 사용자의 보행 속도를 측정하는 GPS 모듈, 상기 사용자의 보행 상태 및 안정도를 측정하는 가속도계 모듈, 상기 사용자에게 접근하는 물체를 검출하는 근접 센서 모듈, 통신망을 통해 위험 지역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모듈, 상기 사용자의 눈 또는 상기 사용자의 주변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사용자의 주변의 소음을 측정하는 마이크로폰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의 휴대 단말에 대한 집중 여부, 상기 사용자의 보행 여부, 상기 사용자의 보행에 따른 위험성 존재 여부, 또는 상기 사용자의 주변 환경에 대한 위험성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위험성 판단부; 및
    상기 위험성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상기 휴대 단말에 집중하는 경우, 상기 보행에 따른 위험성이 존재하는 경우, 또는 상기 주변 환경에 대한 위험성이 존재하는 경우, 위험을 알리는 경보를 실행하는 경보 실행부; 를 포함하고,
    상기 위험성 판단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휴대 단말에 집중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움직이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움직이는 경우, 보행 상태, 보행 속도 및 보행 안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보행에 관한 위험성을 나타내는 보행 위험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보행 위험도와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보행에 관한 위험성을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움직이지 아니하는 경우 또는 상기 보행에 관한 위험성이 존재하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 환경에 관한 위험성을 판단하는 휴대 단말.
  14. 삭제
KR1020100076111A 2010-08-06 2010-08-06 휴대 단말, 휴대 단말을 이용한 위험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1726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111A KR101726849B1 (ko) 2010-08-06 2010-08-06 휴대 단말, 휴대 단말을 이용한 위험 감지 장치 및 방법
US13/104,901 US9761118B2 (en) 2010-08-06 2011-05-10 Detecting apparatus and method, and mobile terminal apparatus having detec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111A KR101726849B1 (ko) 2010-08-06 2010-08-06 휴대 단말, 휴대 단말을 이용한 위험 감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1550A KR20120021550A (ko) 2012-03-09
KR101726849B1 true KR101726849B1 (ko) 2017-04-13

Family

ID=45555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6111A KR101726849B1 (ko) 2010-08-06 2010-08-06 휴대 단말, 휴대 단말을 이용한 위험 감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761118B2 (ko)
KR (1) KR1017268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45372A1 (ko) * 2017-08-29 2019-03-07 (의) 삼성의료재단 사용자 단말 제어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55655A (ja) * 2011-01-28 2012-08-16 Sony Corp 情報処理装置、報知方法及びプログラム
CA2769924C (en) 2011-11-07 2020-04-07 James Roy Bradle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abl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101321273B1 (ko) * 2012-03-22 2013-10-28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US8473975B1 (en) 2012-04-16 2013-06-25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detect user attentiveness to handheld computing devices
KR101971715B1 (ko) 2012-06-21 2019-04-23 삼성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단말 사용자의 몰입 위험 판단 장치 및 방법
KR101905150B1 (ko) * 2012-07-17 2018-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2011495B1 (ko) * 2012-11-09 2019-08-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용자의 심리 상태 판단 장치 및 방법
KR102029410B1 (ko) * 2012-11-23 2019-10-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말의 문자 입력 방지 방법 및 그 장치
KR101395980B1 (ko) * 2012-12-28 2014-05-16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택시 어플리케이션 제어 장치
US9332411B2 (en) * 2013-02-20 2016-05-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er interruptibility aware notifications
KR102023601B1 (ko) * 2013-04-04 2019-09-23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장치의 사고 방지 방법 및 장치
US9176582B1 (en) * 2013-04-10 2015-11-03 Google Inc. Input system
KR101368982B1 (ko) * 2013-04-26 2014-03-03 (주) 와이즈스톤 눈 깜빡임과 눈동자의 방향성 인식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구동 장치 및 그 방법
US9286794B2 (en) 2013-10-18 2016-03-15 Elwha Llc Pedestrian warning system
CN104571841A (zh) * 2013-10-28 2015-04-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便携终端及其实现屏幕控制的方法
CN104904189A (zh) * 2013-11-18 2015-09-09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终端和终端管理方法
JP6290606B2 (ja) * 2013-11-19 2018-03-07 日本電気通信システム株式会社 携帯端末、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US20150169047A1 (en) * 2013-12-16 2015-06-18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ausation of capture of visual information indicative of a part of an environment
US10424199B2 (en) * 2014-02-13 2019-09-2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operation assistance apparatus, and operation assistance system
KR102116477B1 (ko) * 2014-04-07 2020-05-2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JP6377950B2 (ja) * 2014-05-08 2018-08-22 株式会社Nttドコモ 携帯機器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CN105117144A (zh) * 2015-07-31 2015-12-02 上海海漾软件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移动终端的提醒方法及装置
CN106558186B (zh) * 2015-09-25 2020-02-28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子装置及其安全警示系统及方法
KR101682195B1 (ko) * 2016-01-21 2016-12-02 조원영 보행 중 휴대폰 단말기 사용 시 스크린 오프 기능을 갖는 휴대폰 안전 시스템
US20170344106A1 (en) * 2016-05-24 2017-11-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ducing Hazards During Mobile Device Use
CA3028089A1 (en) 2016-06-17 2017-12-21 Predictive Safety Srp, Inc. Area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US9846999B1 (en) * 2016-08-24 2017-12-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martphone safety system for pedestrians
JP6631959B2 (ja) * 2016-08-25 2020-01-15 中松 義郎 スマホgo
KR101951565B1 (ko) * 2016-10-18 2019-02-2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자세 및 작업 감지를 통한 안구 건조증 경고 시스템
CN106550150A (zh) * 2016-11-09 2017-03-2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危险环境提示方法、装置及终端
US10885676B2 (en) * 2016-12-27 2021-0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odifying display settings in virtual/augmented reality
US10567642B2 (en) 2017-02-24 2020-02-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naging camera usage with warnings and/or disablement
US10055192B1 (en) * 2017-03-31 2018-08-21 David Shau Mobile phones with warnings of approaching vehicles
CN107719347B (zh) * 2017-09-30 2020-06-0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移动照明方法、装置和存储介质
CN108650414B (zh) * 2018-04-27 2021-03-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触控信息的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US10425525B1 (en) * 2018-07-24 2019-09-24 James J. Bitetto Pedestrian collision avoidance systems and methods
CN109326096B (zh) * 2018-09-14 2020-12-15 住友富士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安全语音提示系统及其控制方法
US10699122B2 (en) * 2018-09-27 2020-06-30 International Busines Machines Corporation Alerting a hyper focused device user to engage audience
CN109598895A (zh) * 2019-01-28 2019-04-09 深圳金康特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保护手机低头族过马路行走安全的方法
CN110740211B (zh) * 2019-09-10 2020-08-21 浙江大学 基于行进状态感知和专注度感知的非干扰式危险预警方法
DE102019214004A1 (de) * 2019-09-13 2021-03-18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Steuern einer Vorrichtung in einer Umgebung eines ungeschützten Verkehrsteilnehmers auf Basis eines ermittelten Aufmerksamkeitsgrads des ungeschützten Verkehrsteilnehmers
KR102221218B1 (ko) * 2019-11-29 2021-03-02 강문식 경고알림장치 및 방법
JP7409184B2 (ja) * 2020-03-19 2024-01-09 マツダ株式会社 状態推定装置
US11632587B2 (en) * 2020-06-24 2023-04-18 The Nielsen Company (Us), Llc Mobile device attention detection
US11393315B1 (en) 2020-12-31 2022-07-19 Micron Technology, Inc. Hazard indicat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5020A (ja) 2001-05-11 2002-11-29 Kyocera Corp 携帯端末
JP2007334609A (ja) 2006-06-14 2007-12-27 Canon Inc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において危険の接近を警告方法
JP2008085510A (ja) 2006-09-26 2008-04-10 Sky Kk 携帯端末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28514A (en) * 1998-10-30 2000-02-22 Lemelson Jerome H. Personal emergency, safety warning system and method
GB0203035D0 (en) * 2002-02-08 2002-03-27 Univ Bristol A method of and an apparatus for measuring a person's ability to perform a motor control task
US20050068171A1 (en) * 2003-09-30 2005-03-31 General Electric Company Wearable security system and method
US7142231B2 (en) * 2003-12-29 2006-11-28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handset multi-tasking, including pattern recognition and augmentation of camera images
KR100609977B1 (ko) 2004-07-23 2006-08-0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시각 장애인을 위한 보행 안내 장치 및 그 방법, 시각장애인을 위한 보행 안내 기능을 갖는 휴대폰 및개인휴대정보단말기
JP2006174288A (ja) * 2004-12-17 2006-06-29 Sharp Corp 携帯端末装置、衝突防止方法、衝突防止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0653315B1 (ko) 2005-01-04 2006-12-01 주식회사 헬스피아 중력방향의 자동인식이 가능한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한운동량 측정방법
JP4646697B2 (ja) * 2005-05-18 2011-03-09 富士通株式会社 携帯装置
US7505784B2 (en) 2005-09-26 2009-03-17 Barbera Melvin A Safety feature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70058720A (ko) * 2005-12-05 2007-06-11 정진수 전방 충돌방지 감지 기능이 있는 핸드폰
JP4897314B2 (ja) 2006-03-10 2012-03-1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センサ搭載型携帯端末による歩行状態検出システム、センサ搭載型携帯端末による歩行状態検出方法
KR20070101672A (ko) 2006-04-12 2007-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시각 장애우를 위한 보행 안내 장치 및방법
JP5122763B2 (ja) 2006-05-23 2013-01-16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8053988A (ja) 2006-08-24 2008-03-06 Funai Electric Co Ltd 携帯電話端末装置
JP2008071211A (ja) * 2006-09-15 2008-03-27 Hitachi Ltd 音声による危険感知通報装置
US20080094230A1 (en) * 2006-10-23 2008-04-24 Motorola, Inc. Using location capabilities of a mobile device to permit users to avoid potentially harmful interactions
JP4138834B2 (ja) 2006-12-12 2008-08-27 Sky株式会社 携帯端末
JP4913683B2 (ja) 2007-07-03 2012-04-1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危険度管理システム、サーバ装置及び危険度管理方法
KR100912096B1 (ko) 2007-09-06 2009-08-13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횡단보도에서 보행 중인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알리는이동통신 단말과 이동통신 서버의 제어방법
US20090137933A1 (en) * 2007-11-28 2009-05-28 Ishoe Methods and systems for sensing equilibrium
US8559914B2 (en) * 2008-01-16 2013-10-15 M. Kelly Jones Interactive personal surveillance and security (IPSS) system
CA2765782C (en) * 2009-06-24 2018-11-27 The Medical Research, Infrastructure, And Health Services Fund Of The Tel Aviv Medical Center Automated near-fall detector
BR112012000267A8 (pt) * 2009-07-10 2017-12-0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étodo de determinação de um risco de cair de um usuário, dispositivo de prevenção a quedas e produto de programa de computador
US9507418B2 (en) * 2010-01-21 2016-11-29 Tobii Ab Eye tracker based contextual ac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5020A (ja) 2001-05-11 2002-11-29 Kyocera Corp 携帯端末
JP2007334609A (ja) 2006-06-14 2007-12-27 Canon Inc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において危険の接近を警告方法
JP2008085510A (ja) 2006-09-26 2008-04-10 Sky Kk 携帯端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45372A1 (ko) * 2017-08-29 2019-03-07 (의) 삼성의료재단 사용자 단말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32806A1 (en) 2012-02-09
US9761118B2 (en) 2017-09-12
KR20120021550A (ko) 2012-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6849B1 (ko) 휴대 단말, 휴대 단말을 이용한 위험 감지 장치 및 방법
Sharma et al. IoT based car accident detection and notification algorithm for general road accidents.
KR102408257B1 (ko) 조기에 위험을 경고하는 방법 및 장치
US10043375B2 (en) Mobile terminal alarm method and apparatus
US1090975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to notify potential source of interest to user
JP6163017B2 (ja) 携帯端末、及び、危険報知システム
CN110310618B (zh) 车辆行驶环境声音的处理方法、处理装置和车辆
US2012019455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larm method, and program
US8723691B2 (en) Pedestrian safety system
KR20220125716A (ko) 이벤트 검출 방법, 장치, 전자 기기, 저장 매체 및 프로그램 제품
JP2011526432A (ja) 警告システムを備えたポータブル装置および方法
KR101609914B1 (ko) 물리적충격 및 심리적충격에 대응한 긴급상황감지방법과 이를 이용한 긴급상황감지장치
Tung et al. Use of phone sensors to enhance distracted pedestrians’ safety
CN107645703B (zh) 行走安全监控方法和装置
CN109451385A (zh) 一种基于使用耳机时的提醒方法以及装置
Mahdi Safaa et al. Using ultrasonic sensor for blind and deaf persons combines voice alert and vibration properties
Smirnov et al. Smartphone-based identification of dangerous driving situations: Algorithms and implementation
Smirnov et al. Human-smartphone interaction for dangerous situation detection and recommendation generation while driving
CN106303041A (zh) 一种预警信息的生成方法和一种移动终端
CN110164181A (zh) 一种车辆事故检测、预警方法、设备和系统
KR101564347B1 (ko) 긴급 구조 요청 단말 및 긴급 구조 요청 방법
Engelbrecht et al. Recognition of driving manoeuvres using smartphone-based inertial and GPS measurement
Park et al. Poster: Are you driving? non-intrusive driver detection using built-in smartphone sensors
Kashevnik et al. Context-based driver support system development: Methodology and case study
KR20160018900A (ko) 회원 단말기를 이용한 미아 찾기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