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5150B1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5150B1
KR101905150B1 KR1020120077595A KR20120077595A KR101905150B1 KR 101905150 B1 KR101905150 B1 KR 101905150B1 KR 1020120077595 A KR1020120077595 A KR 1020120077595A KR 20120077595 A KR20120077595 A KR 20120077595A KR 101905150 B1 KR101905150 B1 KR 101905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sk
mobile terminal
user
image
det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7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1053A (ko
Inventor
권현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7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5150B1/ko
Priority to US13/944,533 priority patent/US9378635B2/en
Publication of KR20140011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1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1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이동 단말기가 개시된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촬영된 전방 영상과 함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촬영된 전방 영상을 분석하여 전방 위험 요소가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 화면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경고 메시지(warning message)를 전달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상기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면서 보행하는 경우에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촬영된 전방 영상을 분석하여 전방 위험 요소의 감지 및 경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스마트폰 등과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 이동 단말기를 포함한 다양한 단말기들은 복합적이고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함에 따라 메뉴 구조 또한 복잡해지고 있다.
최근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들은 보행 중에도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안전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보행 중에 전방 영상을 촬영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해 줌으로써,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보면서 보행하는 사용자의 안전 사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보행 중 촬영된 전방 영상을 분석하여 전방 위험 요소를 감지할 수 있고, 전방 위험 요소에 대한 알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보행 중임을 감지하는 센싱 수단; 보행 중 전방 영상을 촬영하는 후면 카메라;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과 함께 상기 촬영된 전방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출력부; 및 상기 촬영된 전방 영상을 분석하여 전방 위험 요소가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 화면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경고 메시지(warning message)를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보행 중임을 감지하는 센싱 수단; 보행 중 전방 영상을 촬영하는 후면 카메라를 포함하는 입력부;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디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출력부; 및 상기 촬영된 전방 영상을 분석하여 전방 위험 요소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전방 위험 요소의 위험도를 결정하며, 상기 감지된 전방 위험 요소의 위험도가 미리 정해진 레벨보다 높으면 상기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 상기 입력부의 활성화 상태, 상기 출력부의 활성화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보행 중에 전방 영상을 촬영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해 줌으로써,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보면서 보행하는 사용자의 안전 사고 가능성을 일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보행 중 촬영된 전방 영상을 분석하여 전방 위험 요소를 감지하여 알람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보면서 보행하는 사용자의 안전 사고 가능성을 이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블락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일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위험 감지 및 알람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과 촬영된 전방 영상이 함께 표시된 예들을 나타낸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여 전방 위험 요소가 감지되었다는 경고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예들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위험 감지 및 알람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기립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기립 각도와 전방 위험 요소 감지 범위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기립 각도가 임계각보다 작은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가이딩 메시지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위험 감지 및 알람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위험 감지 및 알람 방법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화면이 기울어져 보이도록 표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은 도 13에 도시된 위험 감지 및 알람 방법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기립 각도가 임계각보다 작은 경우에 화면이 전방으로 기울어져 보이는 예들을 나타낸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위험 감지 및 알람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전방 위험 요소가 감지된 경우에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전방 영상 중 전방 위험 요소가 확대되어 표시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위험 감지 및 알람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위험 감지 및 알람 방법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상태가 전방 위험 요소의 위험도에 기초하여 변경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위험 감지 및 알람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위험 감지 및 알람 방법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전면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사용자 영상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시선의 위치를 결정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위험 감지 및 알람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위험 감지 및 알람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위험 감지 및 알람 방법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가 제어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26은 도 23에 도시된 위험 감지 및 알람 방법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입력부의 입력 기능이 비활성화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27은 도 23에 도시된 위험 감지 및 알람 방법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출력부의 출력 기능이 제어되는 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림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 또는 전달'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 또는 전달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전용 단말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블락도(block diagram)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이동 단말기(100)는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 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콜(call) 신호, 화상 통화 콜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115)은 범지구적 위성항법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를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범지구적 위성 항법 시스템(GNSS)은 지구를 공전하여 무선 항법 수신기들의 소정의 타입들이 지표면 또는 지표면 근처의 그들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기준 신호들을 보내는 무선 항법위성 시스템들을 설명하기 위해 이용되는 용어이다. 상기 범지구적 위성 항법 시스템(GNSS)에는 미국에서 운영하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유럽에서 운영하는 갈릴레오(Galileo), 러시아에서 운영하는 GLONASS(Global Orbiting Navigational Satelite System), 중국에서 운영하는 COMPASS 및 일본에서 운영하는 QZSS(Quasi-Zenith Satellite System)등이 있다.
GNSS의 대표적인 예를 들면, 상기 위치정보 모듈(115)은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일 수 있다. 상기 GPS 모듈은, 일 지점(개체)이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관한 정보와, 상기 거리 정보가 측정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거리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일 시간에 일 지점(개체)에 대한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 또한 사용되고 있다. 상기 GPS 모듈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하고 그를 이용하여 속도 정보를 산출하기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 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자세감지센서(141) 및/또는 근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투명 LC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커서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커서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 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콜 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콜 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향 출력부(152)는 이어폰잭(116)을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이어폰잭(116)에 이어폰을 연결하여 출력되는 음향을 들을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콜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 출력부(152)를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 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상기 카드 형식의 사용자 식별 모듈이 장착될 수 있는 카드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사용자 식별 모듈은 상기 카드 슬롯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터페이스부(170)에는 복수의 사용자 식별 모듈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2)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 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이하에서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121')를 전면 카메라라고 칭하며,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121)를 후면 카메라라 칭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24)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24)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터치 패드(135)에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패드(135)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 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현되는 전방 위험 감지 및 알람 기능을 보다 상세히 살펴 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위험 감지 및 알람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위험 감지 및 알람 기능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보면서 보행 중임을 인식한다(S100). 상기 제어부(180)는 센싱부(140)에 의하여 센싱된 속도 또는 가속도, 진동 정보, 조도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보행 중임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위치 정보 모듈(115)에 의하여 측정되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보행 중임을 감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전면 카메라(121)를 통하여 촬영된 사용자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보행 중인 것을 감지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사용자가 보행 중임을 인식하는 방법이 상술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전면 카메라(121)를 통하여 촬영된 사용자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상기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보고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센싱부(140)에 의하여 센싱되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지면에 대한 기립 각도(起立 角度)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보고 있음을 인식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사용자가 상기 실행화면을 보고 있음을 인식하는 방법이 상술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사용자가 보행 중에 상기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보는 것으로 인식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전방 영상을 촬영하도록 후면 카메라(121')를 제어하고(S110), 상기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및 상기 촬영된 전방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함께 표시한다(S120).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과 촬영된 전방 영상이 함께 표시된 예들을 나타낸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보통 상태에서는 실행 중인 특정 SNS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만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도 5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보행 중인 경우에는 실행 중인 특정 SNS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촬영된 전방 영상을 오버랩하여 표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보통 상태에서는 실행 중인 SMS 작성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만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도 6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보행 중인 경우에는 실행 중인 SMS 작성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51A)과 촬영된 전방 영상(151B)을 별도 영역에 분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보행 중에 촬영된 전방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하는 방법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본 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촬영된 전방 영상을 분석하고(S130), 상기 분석 결과 전방 위험 요소가 감지되는지를 판단한다(S140). 만약, 전방 위험 요소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여 사용자에게 경고 메시지(warning message)를 전달할 수 있다(S150). 그러나 전방 위험 요소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술한 S120 내지 S140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경고 메시지는 전방에 위험 요소가 있음을 알리기 위한 음성 메시지나 경고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고 메시지는 전방에 위험 요소가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모든 전달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가 디스플레이부(151)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여 전방 위험 요소가 감지되었다는 경고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예들을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보행 중 실행 중인 SNS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화면에 전방 영상이 오버랩되어 표시된 상태에서, 전방 위험 요소가 감지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SNS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투명도를 증가시키고 상기 촬영된 전방 영상의 투명도는 감소시킴으로써 전방 영상을 보다 진하게 표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전방 위험 요소를 보다 빠르고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전방 위험 요소가 감지되면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하여 출력되는 촬영된 전방 영상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여 사용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전달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보행 중 실행 중인 SMS 작성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화면(151A)과 촬영된 전방 영상(151B)이 분리되어 표시된 상태에서, 전방 위험 요소가 감지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촬영된 전방 영상 위에 별도의 경고 이미지 및 경고 메시지를 표시함을 알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전방 위험 요소를 보다 빠르고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촬영된 전방 영상을 분석한 결과 전방 위험 요소가 감지되면, 경고음이나 경고 메시지를 음향 출력부(152)를 통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전방 위험 요소의 존재를 알릴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위험 감지 및 알람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위험 감지 및 알람 기능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보면서 보행 중임을 인식한다(S200). 그러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지면에 대한 기립 각도를 획득한다(S210). 상기 기립 각도는 센싱부(14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하여 획득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기립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10)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를 들고 보행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지면이 이루는 각도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기립 각도임을 알 수 있다.
다시 도 9를 참조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기립 각도가 센싱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센싱된 기립 각도가 미리 정해진 임계각보다 작은지를 판단한다(S220). 만약, 센싱된 기립 각도가 임계각보다 작으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기립 각도를 증가시키라는 메시지를 출력부(150)를 통하여 출력한다(S230). 상기 메시지는 음성 메시지일 수도 있고, 영상 메시지일 수도 있다. 상기 출력된 메시지를 확인한 사용자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기립 각도를 증가시키면, 상기 제어부(180)는 S210 및 S220 단계를 다시 수행한다.
센싱된 기립 각도가 임계각보다 작은 경우, 상기 메시지가 출력되는 이유는, 센싱된 각도가 임계각보다 작은 경우에는 전방 위험 요소 감지 가능 범위가 너무 제한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서는 향후 도 11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 본다.
그러나, 센싱된 기립 각도가 임계각보다 크면, 상기 제어부(180)는 도 4에 되시된 S110 내지 S150 단계를 수행하여 촬영된 전방 영상의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한 제공, 전방 위험 요소 감지, 사용자에 대한 경고 메시지 전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240).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180)는 S210 및 S220 단계를 다시 수행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기립 각도와 전방 위험 요소 감지 범위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촬영된 전방 영상에 기초하여 전방 위험 요소를 감지할 수 있는 범위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기립 각도에 기초하여 가변됨을 알 수 있다. 즉, 전방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후면 카메라(121')의 화각은 일반적으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를 얼마나 세우느냐에 따라서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전방 위험 요소 감지 범위가 결정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기립 각도가 임계각보다 작아 전방 위험 요소 감지 범위가 너무 좁은 경우에는, 전방 위험 요소 감지 범위의 증가를 위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기립 각도를 증가시켜 달라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기립 각도가 임계각보다 작은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가이딩 메시지(guiding message)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기립 각도가 임계각보다 작아서 촬영 가능한 전방 영역의 범위가 일정 범위보다 좁은 경우, 전방 영상 확보를 위하여 스마트폰을 세워 달라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위험 감지 및 알람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위험 감지 및 알람 기능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보면서 보행 중임을 인식한다(S300). 그러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지면에 대한 기립 각도를 획득한다(S310).
이동 단말기(100)의 기립 각도가 센싱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센싱된 기립 각도가 미리 정해진 임계각보다 작은지를 판단한다(S320). 만약, 센싱된 기립 각도가 임계각보다 작으면 상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 전방으로 기울어져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S330).
즉, 상기 제어부(180)는 센싱된 기립 각도가 임계각보다 작으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이 상기 화면의 하단부의 가로 방향의 가상의 일축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회전되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그러면,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표시되는 화면을 보기 위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기립 각도를 증가시키면, 상기 제어부(180)는 S310 및 S320 단계를 다시 수행한다.
그러나, 센싱된 기립 각도가 임계각보다 크면, 상기 제어부(180)는 도 4에 되시된 S110 내지 S150 단계를 수행하여 촬영된 전방 영상의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한 제공, 전방 영상 분석에 기초한 전방 위험 요소 감지, 전방 위험 요소 감지시 사용자에 대한 경고 메시지 전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340).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180)는 S310 및 S320 단계를 다시 수행한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위험 감지 및 알람 방법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화면이 기울어져 보이도록 표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센싱된 기립 각도가 임계각보다 작으면,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하는 화면이 전방으로 기울어져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4의 (b)는 사용자가 실제 화면에 비하여 전방으로 회전된 화면을 인지하는 것을 측면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다. 한편, 화면이 전방으로 회전되는 가상의 회전 각도는 센싱된 기립 각도와 임계각 사이의 각도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도 13에 도시된 위험 감지 및 알람 방법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기립 각도가 임계각보다 작은 경우에 화면이 전방으로 기울어져 보이는 예들을 나타낸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기립 각도가 임계각보다 작은 경우, 화면의 상단에 위치한 문자일수록 작게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기립 각도가 임계각보다 작은 경우, 화면 상단으로 갈수록 원기둥의 폭이 점점 더 좁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위험 감지 및 알람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위험 감지 및 알람 기능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보면서 보행 중임을 인식한다(S400). 그러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지면에 대한 기립 각도를 획득한다(S410).
이동 단말기(100)의 기립 각도가 센싱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센싱된 기립 각도가 미리 정해진 임계각보다 작은지를 판단한다(S420). 만약, 센싱된 기립 각도가 임계각보다 작으면 상기 제어부(180)는 메모리(16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맵 데이터를 참조하여 전방 위험 요소를 감지하고(S430),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여 경고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S440).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전방 위험 요소를 감지하는데 위치 정보 모듈(115)에 의하여 획득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상기 제어부(180)는 후면 카메라(121')를 통하여 전방을 촬영하고 촬영된 전방 영상을 전방 위험 요소 감지에 이용할 수도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180)는 S410 및 S420 단계를 다시 수행한다.
그러나, 센싱된 기립 각도가 임계각보다 크면, 상기 제어부(180)는 도 4에 되시된 S110 내지 S150 단계를 수행하여 촬영된 전방 영상의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한 제공, 전방 영상 분석에 기초한 전방 위험 요소 감지, 전방 위험 요소 감지시 사용자에 대한 경고 메시지 전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450).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어부(180)는 S410 및 S420 단계를 다시 수행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유사하게,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센싱된 기립 각도가 임계각보다 작은 경우,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전방 촬영 영상을 활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전방 촬영 영상이라 함은 사용자가 과거에 동일 경로를 보행하는 도중에 촬영된 전방 영상일 수도 있고, 현 보행 중에 이동 단말기(100)의 기립 각도가 임계각보다 큰 상태에서 촬영된 전방 영상일 수도 있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전방 위험 요소가 감지된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전방 영상 중 전방 위험 요소가 확대되어 표시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8의 (a)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가 전방 영상 분석 결과 전방 위험 요소인 개방된 맨홀을 감지한 것을 나타낸다. 그러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도 1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위험 요소인 맨홀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방 영상 분석 결과 전방 위험 요소가 감지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전방 영상을 촬영하는 초점을 상기 감지된 전방 위험 요소에 맞추도록 후면 카메라(121')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러면, 전방 영상 중 상기 감지된 전방 위험 요소가 보다 선명하게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게 전방 위험 감지 요소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위험 감지 및 알람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위험 감지 및 알람 기능을 설명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가 보행 중에 촬영된 전방 영상을 분석하여 전방 위험 요소를 감지한다(S500).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전방 위험 요소의 위험도를 결정한다(S510). 여기서, 전방 위험 요소의 위험도는 감지된 전방 위험 요소의 종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180)는 전방 위험 요소 중 전봇대와 개방된 맨홀 중 개방된 맨홀의 위험도를 더 높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전방 위험 요소까지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전방 위험 요소의 위험도를 점점 증가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감지된 전방 위험 요소에 대한 접근 속도에 기초하여 전방 위험 요소의 위험도를 결정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가 전방 위험 요소의 위험도를 결정하는 방법이 상술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180)는 결정된 전방 위험 요소의 위험도를 고려하여 디스플레이부(151) 화면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여 사용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전달한다(S520). 예컨대,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전방 위험 요소의 위험도에 따라서, 상기 촬영된 전방 영상의 투명도를 변경하거나, 상기 별도의 경고 음향 및 상기 별도의 경고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종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위험 감지 및 알람 방법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 상태가 전방 위험 요소의 위험도에 기초하여 변경되는 예를 나타낸다. 참고로, 도 20에서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전방 영상은 전방 위험 요소인 맨홀이 확대되어 표시된 것으로 고정되어 있다.
도 20의 (a)는 전방 위험 요소인 맨홀까지의 거리가 20 미터인 경우에는 실행 중인 화면에 전방 영상이 오버랩되어 표시된 것을 나타낸다. 도 20의 (b)는 맨홀까지의 거리가 10 미터로 가까워진 경우, 전방 영상의 투명도가 감소하여 전방 영상이 보다 선명하게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것을 나타낸다. 도 20의 (c)는 맨홀까지의 거리가 5 미터로 더 가까워진 경우, 전방 영상의 투명도가 감소된 상태에서 위험을 경고하기 위한 영상이 더 표시된 것을 나타낸다.
이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전방 영상 분석 결과 감지된 전방 위험 요소의 위험도가 높아질수록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메시지의 강도를 점점 더 높이는 것을 의미한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위험 감지 및 알람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위험 감지 및 알람 기능을 설명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보행 중 촬영된 전방 영상을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과 함께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S600).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전면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사용자 영상을 촬영한다(S610).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 영상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시선의 위치를 판단한다(S620).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시선의 위치에 기초하여 전방 위험요소 감지 민감도를 제어한다(S630).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180)는 제어된 전방 위험 요소 감지 민감도에 기초하여, 촬영된 전방 영상을 분석하여 전방 위험 요소 감지 및 경고 메시지 전달 기능을 수행한다(S640).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위험 감지 및 알람 방법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가 전면 카메라(121)를 통하여 촬영된 사용자 영상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시선의 위치를 결정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2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시선의 위치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아닌 전방을 향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180)는 전방 위험 요소 감지 민감도를 완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도 2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시선의 위치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180)는 전방 위험 요소 감지 민감도를 강화시킬 수 있다.
전방 위험 요소 민감도가 강화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위험도가 동일한 전방 위험 요소에 대해서도 경고 메시지의 강도를 보다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전방 위험 요소 감지 민감도가 강화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전방 위험 요소 감지 민감도가 강화되기 전에는 전방 위험 요소로 감지되지 않는 전방 위험 요소를 전방 위험 요소로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전방 위험 요소 감지 민감도가 완화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위험도가 동일한 전방 위험 요소에 대해서도 경고 메시지의 강도를 보다 약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전방 위험 요소 감지 민감도가 완화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전방 위험 요소 감지 민감도가 강화되기 전에는 전방 위험 요소로 감지되는 전방 위험 요소를 전방 위험 요소로 감지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사용자의 시선의 위치에 기초하여 전방 위험 요소 감지 민감도가 결정되는 예를 살펴 보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사용자의 키보드 조작 여부 등에 기초하여 전방 위험 요소 감지 민감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위험 감지 및 알람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위험 감지 및 알람 기능을 설명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센싱부(140)에 포함된 각종 센서에 의하여 센싱된 데이터, 카메라(121 및 121')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보행 중임을 인지한다(S700). 그러면, 상기 제어부(180)는 후면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전방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촬영된 전방 영상을 분석한다(S710).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180)는 전방 영상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전방 위험 요소가 감지되는지를 판단한다(S720). 만약, 전방 위험 요소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80)는 S700 내지 S720 단계를 다시 수행한다.
그러나 전방 위험 요소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감지된 전방 위험 요소의 위험도를 결정한다(S730). 전방 위험 요소의 위험도는 감지된 위험 요소가 무엇이냐에 따라 결정될 수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전방에서 감지된 차량의 위험도는 상기 사용자의 전방에서 감지된 사람의 위험도보다 높을 수 있다. 또한, 전방 위험 요소의 위험도는 위험 요소까지의 거리, 위험 요소의 움직임 여부, 사용자의 위험 요소에 대한 접근 속도, 보행 속도, 보행 방향 등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전방 위험 요소의 위험도가 결정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전방 위험 요소의 위험도를 고려하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 입력부(120)의 활성화 상태, 출력부(150)의 활성화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S740). 예컨대, 상기 제어부(180)는 전방 위험 요소가 미리 정해진 레벨보다 높으면,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전방 위험 요소의 위험도가 미리 정해진 레벨보다 높으면, 상기 입력부(120)를 통한 입력 기능을 비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전방 위험 요소의 위험도가 미리 정해진 레벨보다 높으면, 상기 출력부(150)의 출력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비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위험 감지 및 알람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위험 감지 및 알람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후면 카메라(121')를 제어하여 사용자 보행 중 전방 영상을 촬영한다(S800).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180)는 전방 영상을 분석하여 전방 위험 요소를 감지하고(S810), 감지된 전방 위험 요소의 위험도를 결정한다(S820).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180)는 전방 위험 요소의 위험도가 미리 정해진 임계 레벨보다 높은지를 판단한다(S830). 만약, 전방 위험 요소의 위험도가 미리 정해진 임계 레벨보다 높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80)는 S800 내지 S830 단계를 다시 수행한다.
그러나, 전방 위험 요소의 위험도가 미리 정해진 임계 레벨보다 높으면, 상기 제어부(180)는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일시적으로 중단한다(S840).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전방 위험 요소의 위험도가 미리 정해진 임계 레벨보다 높은지를 다시 판단한다(S850). 만약, 상기 전방 위험 요소의 위험도가 미리 정해진 임계 레벨보다 높으면, 상기 제어부(180)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중단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S860).
그러나, 상기 전방 위험 요소의 위험도가 미리 정해진 임계 레벨보다 낮으면, 상기 제어부(180)는 중단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재개한다(S870).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180)는 S800 단계를 다시 수행한다.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위험 감지 및 알람 방법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가 제어되는 예를 나타낸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사용자가 보행 중인 상태에서 촬영된 전방 영상을 분석하여 전방에 위험 요소인 개방된 맨홀을 감지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맨홀 전 10미터에서 맨홀을 지난 5미터 범위에서, 상기 맨홀 가장 높은 위험도인 '위험도 1'을 갖는 전방 위험 요소로 판단하고, 상기 맨홀로부터 5미터 이상 멀어지면 상기 맨홀의 위험도를 위험도 1보다 낮은 '위험도 2'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맨홀에 대한 위험도 1 구간에서는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일시적으로 중단한 다음, 사용자가 상기 맨홀에 대한 위험도 2 구간에 도달하면 다시 중단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재개할 수 있다.
도 26은 도 23에 도시된 위험 감지 및 알람 방법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입력부(120)의 입력 기능이 비활성화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26의 (a)는 전방 위험 요소의 위험도가 '위험도 2'인 경우에 입력부(120)에 포함된 터치스크린(151)은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51)을 통하여 텍스트를 입력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 26의 (b)는 전방 위험 요소의 위험도가 '위험도 1'로 높아진 경우, 터치스크린(151)이 비활성화되므로,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51)을 터치하더라도 텍스트 입력 기능이 수행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즉, 사용자는 '하이'라는 단어를 입력하기 위하여 가상 키보드의 'ㅇ' 키를 터치하나, 제어부(180)는 'ㅇ'에 대한 입력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터치스크린(151)을 통한 입력이 차단되었음을 인지하고 전방에 위험 요소가 있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도 26의 (c)는 전방 위험 요소의 위험도가 다시 '위험도 2'로 낮아진 경우, 터치스크린(151)이 다시 활성화되고, 사용자는 터치스크린(151)을 통한 텍스트 입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즉, 사용자가 '하이'라는 단어를 완성하기 위하여 'ㅇ'키를 터치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ㅇ'에 대한 입력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전방 위험 요소의 위험도가 미리 정해진 레벨보다 높으면 입력부(120)를 통한 입력 기능을 비활성화시키고, 전방 위험 요소의 위험도가 미리 정해진 레벨보다 낮아지면 다시 상기 입력부(120)의 입력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어부(180)는 전방 위험 요소의 위험도를 고려하여, 입력부(120)에 포함된 마이크(122), 키 패드 등의 활성화 상태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27은 도 23에 도시된 위험 감지 및 알람 방법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출력부(150)의 출력 기능이 제어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27의 (a)는 전방 위험 요소의 위험도가 '위험도 2'인 경우에 출력부(15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향 출력부(152) 모두가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즉, 동영상이 재생되고 있는 경우 영상은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하여 출력되고 음향은 음향 출력부(152)를 통하여 출력된다.
도 27의 (b)는 전방 위험 요소의 위험도가 '위험도 1'로 높아진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의 영상 출력 기능은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나 음향 출력부(152)의 음향 출력 기능을 비활성화시킨 것을 나타낸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재생되는 동영상의 영상은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하여 출력하나, 음향은 출력하지 않고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음향이 갑자기 출력되지 않음을 인지하고, 전방에 위험 요소가 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도 27의 (c)는 전방 위험 요소의 위험도가 다시 '위험도 2'로 낮아진 경우, 음향 출력부(152)가 다시 활성화되고, 동영상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가 상기 음향 출력부(152)를 통하여 출력되는 것을 나타낸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는 전방 위험 요소의 위험도를 반영하여 출력부(150)의 출력 기능을 제한하는 경우에도 실행 중이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중단하지 않을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영상이 변경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위험도가 높아지더라도 동영상 재생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중단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도 27을 참조하여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전방 위험 요소의 위험도가 미리 정해진 레벨보다 높으면 출력부(150)의 영상 출력 기능 및 음향 출력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고, 전방 위험 요소의 위험도가 미리 정해진 레벨보다 낮아지면 비활성화된 출력 기능을 다시 활성화시킬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어부(180)는 전방 위험 요소의 위험도가 미리 정해진 레벨보다 높아지는 경우에, 출력부(150)의 특정 출력 기능을 완전히 비활성화시키지 않고 특정 출력 기능을 일시적으로 저하시키거나 출력 상태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전달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180)는 전방 위험 요소의 위험도가 미리 정해진 레벨보다 높은 경우에는 음향 출력부(152)를 통하여 출력되는 음량을 소정의 레벨로 감소시키거나, 미리 정해진 음향 신호(예컨대, 경고음)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전방 위험 요소의 위험도가 미리 정해진 레벨보다 높아지면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하여 출력되는 영상을 흐리게 하거나, 화면을 어둡게 할 수도 있고, 미리 정해진 영상 신호(예컨대, 경고 문구)를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도 23에 도시된 위험 감지 및 알람 방법에 부가하여,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전방 위험 요소의 위험도가 미리 정해진 레벨보다 높은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 표시 상태를 변경하여 사용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전달할 수도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 상태의 변경 내용은 위험 요소의 위험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도 23에 도시된 위험 감지 및 알람 방법에 부가하여,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기립 각도에 따른 가이딩 메시지 출력 동작, 자연스러운 기립 각도 증가 유도 동작, 기립 각도에 따른 메모리(160)에 저장된 데이터 활용 동작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전방 영상 표시, 위험 감지, 및 알람 방법들 각각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이동 단말기 110: 무선 통신부
120: A/V 입력부 130: 사용자 입력부
140: 센싱부 150: 출력부
151: 디스플레이부 152: 음향 출력부
160: 메모리 170: 인터페이스부
180: 제어부 190: 전원부

Claims (21)

  1. 사용자가 보행 중임을 감지하고, 이동 단말기의 지면에 대한 기립 각도(起立 角度)를 센싱하는 센싱 수단;
    보행 중 전방 영상을 촬영하는 후면 카메라;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과 함께 상기 촬영된 전방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출력부; 및
    상기 촬영된 전방 영상을 분석하여 전방 위험 요소가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경고 메시지(warning message)를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된 기립 각도가 임계각보다 작으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지면에 대한 기립 각도를 증가시키라는 가이딩 메시지(guiding message)를,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수단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지면에 대한 기립 각도를 더 센싱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된 기립 각도가 임계각보다 작으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이 상기 화면의 하단부의 가로 방향의 일축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회전되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수단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지면에 대한 기립 각도를 더 센싱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된 기립 각도가 임계각보다 작으면, 전방 위험 요소를 감지하는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전방 촬영 영상 또는 맵 데이터(map data)를 참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방 위험 요소가 감지되면, 상기 촬영된 전방 영상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된 전방 영상을 상기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오버랩하여 표시하며, 전방 위험 요소가 감지되면 상기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의 투명도는 증가시키고 상기 촬영된 전방 영상의 투명도는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전방 위험 요소의 위험도를 더 결정하며, 상기 감지된 전방 위험 요소의 위험도에 따라서, 상기 촬영된 전방 영상의 투명도를 변경하거나, 별도의 경고 음향 및 별도의 경고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종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삭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방 위험 요소가 감지되면, 상기 촬영된 전방 영상에서 전방 위험 요소를 확대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후면 카메라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방 위험 요소가 감지되면, 초점을 상기 감지된 전방 위험 요소에 맞추도록 상기 후면 카메라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보행 중 상기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는 전면 카메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된 사용자의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시선의 위치에 기초하여 전방 위험 요소 감지 민감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사용자가 보행 중임을 감지하는 센싱 수단;
    보행 중 전방 영상을 촬영하는 후면 카메라를 포함하는 입력부;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출력부; 및
    상기 촬영된 전방 영상을 분석하여 전방 위험 요소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전방 위험 요소의 위험도를 결정하며, 상기 감지된 전방 위험 요소의 위험도가 미리 정해진 레벨보다 높으면 상기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일시적으로 중단하며, 상기 감지된 전방 위험 요소의 위험도가 상기 미리 정해진 레벨보다 낮아지면 상기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재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5. 삭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전방 위험 요소의 위험도가 상기 미리 정해진 레벨보다 높으면 상기 입력부를 통한 입력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며, 상기 감지된 전방 위험 요소의 위험도가 상기 미리 정해진 레벨보다 낮아지면 상기 입력부를 통한 데이터 입력 기능을 다시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전방 위험 요소의 위험도가 상기 미리 정해진 레벨보다 높으면 상기 출력부의 영상 출력 기능 및 음향 출력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비활성화시키며, 상기 감지된 전방 위험 요소의 위험도가 상기 미리 정해진 레벨보다 낮아지면 상기 비활성화된 적어도 하나의 출력 기능을 다시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120077595A 2012-07-17 2012-07-17 이동 단말기 KR101905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595A KR101905150B1 (ko) 2012-07-17 2012-07-17 이동 단말기
US13/944,533 US9378635B2 (en) 2012-07-17 2013-07-17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595A KR101905150B1 (ko) 2012-07-17 2012-07-17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1053A KR20140011053A (ko) 2014-01-28
KR101905150B1 true KR101905150B1 (ko) 2018-10-08

Family

ID=49946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7595A KR101905150B1 (ko) 2012-07-17 2012-07-17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378635B2 (ko)
KR (1) KR1019051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06362A1 (ko) * 2019-07-05 2021-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운전자 시선 감지를 통한 차량의 주행 상황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14836A (ja) * 2013-12-11 2015-06-2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触感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186841B1 (ko) * 2014-02-12 2020-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 동작 방법
KR20160026532A (ko) * 2014-09-01 2016-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5117144A (zh) * 2015-07-31 2015-12-02 上海海漾软件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移动终端的提醒方法及装置
US20180049575A1 (en) * 2016-08-21 2018-02-22 Frank YAMRICK Parcel box for drone delivery
CN107959744A (zh) * 2016-10-14 2018-04-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通话过程中的提醒方法、装置及移动终端
WO2018125778A1 (en) * 2016-12-29 2018-07-05 Posture Solutions, LLC Progressive display alteration in real-time to effect desirable behavior
KR101906902B1 (ko) * 2016-12-30 2018-10-11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보행자를 위한 휴대용 충돌방지장치
US20180204437A1 (en) * 2017-01-18 2018-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lerts to a computing device
US10567642B2 (en) 2017-02-24 2020-02-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naging camera usage with warnings and/or disablement
CN107719347B (zh) * 2017-09-30 2020-06-0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移动照明方法、装置和存储介质
KR101957597B1 (ko) * 2017-10-17 2019-03-12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전방 감지 이동 단말기
KR102081059B1 (ko) * 2017-11-23 2020-02-25 최용준 보행 보조 스마트 폰
CN108156321B (zh) * 2017-12-26 2021-12-03 上海展扬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分屏显示方法及终端
CN109062755A (zh) * 2018-06-29 2018-12-21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使用行为监测提醒方法、装置、介质和设备
CN109088981A (zh) * 2018-07-10 2018-12-25 奇酷互联网络科技(深圳)有限公司 低头提醒方法、装置、可读存储介质及移动终端
CN110858859A (zh) * 2018-08-24 2020-03-03 北京优酷科技有限公司 多媒体内容的处理方法及装置
KR20200033394A (ko) 2018-09-20 2020-03-30 윤성은 전방 위험 감지 단말기
KR102240946B1 (ko) * 2019-04-12 2021-04-16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보행보조 감시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2380730B1 (ko) * 2021-02-22 2022-03-29 박현상 움직임에 반응하는 지능형 cctv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62729A1 (en) * 2010-09-10 2012-03-15 Amazon Technologies, Inc. Relative position-inclusive device interface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07653B2 (en) * 2001-10-19 2007-12-11 Nokia Corporation Image stabilizer for a microcamera module of a handheld device, and method for stabilizing a microcamera module of a handheld device
US20050083642A1 (en) * 2002-03-08 2005-04-21 Tsuyoshi Senpuku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and display-control method and program for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KR100753397B1 (ko) * 2006-04-04 2007-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에서 화면 자동 온/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
US7747293B2 (en) * 2006-10-17 2010-06-29 Marvell Worl Trade Ltd. Display control for cellular phone
CN101688783A (zh) * 2007-07-04 2010-03-31 三菱电机株式会社 导航系统
DE102008004785B4 (de) * 2008-01-17 2012-06-21 Dräger Safety AG & Co. KGaA System zum Schutz und/oder zur Führung von Personen in Gefahrensituationen
US20090278932A1 (en) * 2008-05-09 2009-11-12 Steven Yi System and Method of Optical Sensing in an Aerial Vehicle
WO2010001970A1 (ja) * 2008-07-02 2010-01-07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移動体の姿勢角処理装置
US9126525B2 (en) * 2009-02-27 2015-09-08 Magna Electronics Inc. Alert system for vehicle
KR101608761B1 (ko) * 2009-05-28 2016-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8744522B2 (en) * 2009-10-21 2014-06-03 Xerox Corporation Portable security system built into cell phones
US8330305B2 (en) * 2010-02-11 2012-12-11 Amazon Technologies, Inc. Protecting devices from impact damage
US8447070B1 (en) * 2010-04-19 2013-05-21 Amazon Technologies, Inc. Approaches for device location and communication
US20120026088A1 (en) * 2010-08-01 2012-02-02 T-Mobile Usa, Inc. Handheld device with projected user interface and interactive image
KR101726849B1 (ko) * 2010-08-06 2017-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 휴대 단말을 이용한 위험 감지 장치 및 방법
US8682388B2 (en) * 2010-12-31 2014-03-25 Motorola Mobility Llc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proximity detection verific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62729A1 (en) * 2010-09-10 2012-03-15 Amazon Technologies, Inc. Relative position-inclusive device interfa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06362A1 (ko) * 2019-07-05 2021-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운전자 시선 감지를 통한 차량의 주행 상황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78635B2 (en) 2016-06-28
US20140022369A1 (en) 2014-01-23
KR20140011053A (ko) 2014-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5150B1 (ko) 이동 단말기
KR102049977B1 (ko) 이동 단말기
KR101602363B1 (ko)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어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US9392186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apturing first and second images with first and second flashes
KR101749612B1 (ko) 이동 단말기
KR101951473B1 (ko) 이동 단말기
KR101881936B1 (ko) 무선 충전 장치 및 이동 단말기
KR20150006237A (ko) 전자 기기 및 그 구동 방법
KR20160022881A (ko) 이동 단말기
KR101781072B1 (ko)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134017A (ko) 이동 단말기
KR101909146B1 (ko) 이동 단말기
KR20140100051A (ko) 이동 단말기
KR10206359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구동 방법
KR20150027613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20140062211A (ko) 이동 단말기
KR101689170B1 (ko) 이동 단말기, 이동 단말기의 정보 송신 방법 및 이동 단말기의 정보 제공 방법
KR101979260B1 (ko) 이동 단말기
KR101735518B1 (ko) 이동 단말기
KR20120042404A (ko) 이동 단말기
KR20140062328A (ko) 이동 단말기
KR20140094930A (ko) 이동 단말기
KR10172678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구동 방법
KR20140125174A (ko) 이동 단말기
KR10178196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