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1059B1 - 보행 보조 스마트 폰 - Google Patents

보행 보조 스마트 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1059B1
KR102081059B1 KR1020170157162A KR20170157162A KR102081059B1 KR 102081059 B1 KR102081059 B1 KR 102081059B1 KR 1020170157162 A KR1020170157162 A KR 1020170157162A KR 20170157162 A KR20170157162 A KR 20170157162A KR 102081059 B1 KR102081059 B1 KR 102081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king
controller
smartphone
display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7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9497A (ko
Inventor
최용준
Original Assignee
최용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준 filed Critical 최용준
Priority to KR1020170157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1059B1/ko
Publication of KR20190059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9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04M1/7257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04M1/725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80)는, 제어부(180)의 후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어부(180)의 주변을 촬영하는 후면 카메라; 상기 후면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제어하는 촬영방향 전환부; 상기 제어부(180)의 기울기 및 이동방향을 감지하는 센서부; 보조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어부(180) 기울기 및 이동방향을 기초로 사용자의 보행방향에 감지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촬영방향 전환부를 통해 상기 후면 카메라가 상기 감지 영역을 촬영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감지 영역을 촬영한 영상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보행을 보조하는 그래픽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표시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보행 보조모드를 제공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보행 보조 스마트 폰 {SMARTPHONE FOR SUPPORTING WALKING}
본 발명은 스마트 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보행을 보조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폰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이미지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스마트 폰은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콘텐트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스마트 폰의 기능이 다양화 됨에 따라서 이동 중에도 스마트 폰을 사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보행 중에 영상이나 지도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주시하며 보행을 지속할 경우, 주변 다른 보행자와 충돌하거나 기타 위험 물체들과 부닥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는 스마트폰의 화면을 주시하다가 한 번씩 고개를 들어 주변을 확인해야하는 불편을 감수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최근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사용자 보행시 전방을 촬영하고, 전방 영상을 스마트 폰 화면에 표시하여, 보행을 보조하는 보행 보조모드 등이 개발되고 있으나, 보행 보조모드가 실행될 경우, 전방영상을 지속적으로 스마트 폰 화면의 전체 또는 일부에 표시하여야 하므로, 스마트 폰을 통해 다른 기능을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최적의 시점에 적절한 형태의 보행을 보조하는 그래픽 이미지를 표시하여 사용자의 안전과 편의를 향상시키는 스마트 폰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변에서 보행하는 타인의 스마트 폰과 통신하여 상호 간 안전한 보행을 유도하는 스마트 폰을 제안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스마트 폰은, 제어부의 후면에 배치된 후면 카메라; 타 보행자의 스마트 폰과 통신하는 통신모듈; 보행 보조모드 관련 그래픽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보행 보조모드를 실행되면,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타 보행자의 스마트 폰와 통신하여 상호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상호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보행 보조 그래픽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보행 보조 그래픽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은, 보행 중 사용자가 위험한 상황에 필요한 보행 보조정보를 효과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보행안전을 향상시키고, 사용자가 스마트 폰을 이용함과 동시에 보행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은, 사용자가 스마트 폰에 집중하여 주변을 감시하지 못하는 상황이며, 충돌 위험이 있을 때, 효과적으로 주위를 환기시키는 보행 보조 그래픽 이미지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기존 기능을 사용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보행 보조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은, 보행 보조 그래픽 이미지를 표시한 후 사용자가 주위를 확인하면 보행 보조 그래픽 이미지를 해제하여, 사용자의 스마트 폰 사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은, 스마트 폰의 기울어짐 상태와 관계없이 보행방향 측을 효과적으로 촬영하여, 보행 보조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은, 스마트 폰을 주시하며 이동 중에도 보행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보조하는 그래픽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은, 교차로와 같이 위험한 환경에서 주위를 환기 시키는 그래픽 이미지를 표시하여, 좀더 안전한 보행환경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은, 타 보행자와의 충돌 위험시, 서로 회피 가능한 회피 보행방향 그래픽 이미지를 서로의 스마트 폰에서 표시하도록 하여, 타 보행자와 불화없이 안전하게 교차시킬 수 있다.
특히,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은, 타 보행자와의 통신을 통해 서로 원활하게 이동하는 방향을 조율하여, 원활한 도로 통행을 보조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은, 그룹 보행 기능을 제공하여, 그룹원들이 함께 동행하며 보행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스마트 폰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모드가 실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보행하며 스마트 폰을 사용하고 있는 모습의 일례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그래픽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 화면의 일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그래픽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 화면의 다른 일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모드가 실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 화면의 일례들이다.
도 9은 감지 영역을 촬영한 영상의 일례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고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 화면의 일례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간에 이동방향을 조율하는 보행 보조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 보행자와 통신을 통해 보행을 보조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스마트 폰(1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100)은, 터치 센서(110), 통신모듈(130), 저장부(140), 거리 측정 센서(140), 카메라(150), 센서 제어부(160), 디스플레이(121) 및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스마트 폰(100)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1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110)는, 스마트 폰(100)의 전원을 온(on)/오프(off)시키는 실행 입력이나, 스마트 폰(100)의 각종 기능에 대한 설정, 실행 입력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폰(100)은, 외부 서버 등의 무선 통신 시스템과 무선 통신하는 통신모듈(1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통신모듈(130)는, 타 보행자의 스마트 폰과 통신하며, 보행을 보조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자세히, 통신모듈(130)은, 마주오는 방향의 타 보행자의 스마트 폰과 통신할 수 있고, 동행하는 보행자의 스마트 폰과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모듈(130)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 무선 통신방식,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방식으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모듈(13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통신모듈(130)는, 스마트 폰(100)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할 수 있으며,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방식을 활용하여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폰(100)은, 스마트 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저장부(140)는 스마트 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스마트 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응용 프로그램은, 저장부(140)에 저장되고, 스마트 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스마트 폰(1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오브젝트 확인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장부(140)는,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에서, 소정 오브젝트가 검출되는 경우, 소정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오브젝트가 무엇에 해당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40)는 오브젝트 확인을 위한 데이터로 이미지 종류 확인 관련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에서, 사람, 차량, 동물, 보행로를 나타내는 지표(예컨대, 연석), 교통 신호, 교통 표지판, 장애물, 싱크 홀과 같은 보행에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소정 알고리즘을 통해 저장부(140)에 저장된 이미지 종류 확인 데이터와 비교하여, 영상에서 해당 객체가 무엇에 해당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4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고, 저장부(14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저장부(14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일 수도 있다.
또한, 스마트 폰(100)은, 내부 센서를 포함하며, 내부 센서는, 스마트 폰 상태정보를 센싱 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센서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마이크로폰(microphone),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내부 센서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여 스마트 폰(100)의 이동여부, 이동시 이동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내부 센서는, 자이로스코프 센서를 포함하여 스마트 폰(100)가 지면에 대해 기울어진 정도를 나타내는 스마트 폰 기울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부 센서는, 스마트 폰의 이동방향, 스마트 폰의 기울기 정보 등을 포함하는 스마트 폰 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된 스마트 폰 상태정보는, 보행 보조모드를 실행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폰(100)은, 스마트 폰(100)의 주변을 촬영하는 카메라(15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카메라(150)는, 스마트 폰(100)의 전면에 배치되어 전방 영상을 촬영하는 전면 카메라와, 스마트 폰(100)의 후면에 배치되어 후방 영상을 촬영하는 후면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카메라는 이미지 센서와 영상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는 이미지 센서(예를 들면, CMOS 또는 CCD)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영상 처리 모듈은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가공하여,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제어부(180)에 전달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전면 카메라는, 스마트 폰(100) 전방을 촬영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촬영된 전방 영상에서 사용자의 시선방향을 검출하여, 사용자의 시선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전방 영상에서 사용자의 시선이 보행방향을 향한 경우와, 디스플레이(121)를 향한 경우를 구분하여 사용자의 시선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된 사용자의 시선정보는 보행 보조모드를 실행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실시에에서, 후면 카메라는 스마트 폰(100)의 후방을 촬영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촬영된 후방 영상을 디스플레이(121)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21)를 통해 보행방향의 상황을 확인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촬영된 후방 영상을 분석하여 보행에 장애를 주거나 보행에 도움을 주는 정보를 나타내는 객체들을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된 객체에서 보행 보조정보를 획득하고, 보행 보조정보를 그래픽 이미지로 디스플레이(121)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스마트 폰(100)를 지면으로 기울여 이동할 경우, 후면 카메라가 사용자의 보행방향 측을 촬영하지 못하여, 촬영된 후방 영상이 보행을 보조하는 정보를 획득하지 못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스마트 폰(100)은, 후면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변경하는 센서 제어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센서 제어부(160)는, 후면 카메라에 장착되어, 후면 카메라의 렌즈가 향하는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후면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제어부(160)는, 스마트 폰 상단의 바디에 분리되어 후면 카메라를 포함하도록 배치되고, 바디로부터 회전하는 기계식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센서 제어부(160)는, 바디로부터 수평방향(전면에서 후면방향)으로 회전하여, 후면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다만, 센서 제어부(160)가 바디로부터 일방향으로만 회전할 경우, 후면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보행방향으로 정확하게 일치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 제어부(160)는, 스마트 폰(100)의 후면 카메라 앞에 장착된 구면 렌즈일 수 있다.
자세히, 센서 제어부(160)는, 후면 카메라 상에 배치된 어안 렌즈와 상기 어안 렌즈를 스마트 폰(100) 바디에 장착시키는 렌즈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안 렌즈는, 반구형 렌즈로, 사방에서 진입하는 입사각을 모아 후면 카메라로 반사시킴으로써, 후면 카메라가 향하는 방향에 의존하지 않고, 전방위를 촬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센서 제어부(160)를 거쳐 촬영된 영상은, 스마트 폰(100)의 전방위를 촬영한 광각 영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각 영상은, 원형으로 촬영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광각 영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스마트 폰의 이동방향과 매칭되는 영역을 판단하고, 판단된 영역의 영상만을 분석하여 보행 보조모드를 실행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광각 영상의 일부만을 디스플레이(121)에 표시하거나, 광각 영상의 일부 영역에서 추출된 보행 보조정보를 디스플레이(121)에 표시하여, 보행 보조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 제어부(160)는, 촬영방향을 물리적으로 변경하는 과정을 필요로하지 않으므로, 스마트 폰의 기울기 변화에 관계없이 보행을 보조하는 정보를 딜레이 없이 바로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광각 영상의 일부 영역만을 분석하여 보행 보조정보를 획득함으로써, 데이터 처리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후면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은, 제어부(180)에서 분석되어 보행 보조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자세히, 제어부(180)는, 후면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미지 처리하여, 영상에 포함된 객체들을 추출하고, 객체들의 이동정보, 객체들의 종류 등을 판단하여 보행 보조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좀더 자세히, 제어부(180)는, 영상 전처리(preprocessing)를 수행한 후 세그먼트(segment) 및 클러스터링(clustering)을 수행하여, 배경(background)과 전경(foreground)을 분리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80)는, 이미지 세그먼트에 의해 분리된 전경으로부터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80)는, 분리된 오브젝트를 분류하고(classify), 확인할 수 있다(verify). 예를 들어, 제어부(180), 뉴럴 네트워크(neural network)를 이용한 식별법, SVM(Support Vector Machine) 기법, Haar-like 특징을 이용한 AdaBoost에 의해 식별하는 기법, 또는 HOG(Histograms of Oriented Gradients) 기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폰(100)은, 스마트 폰(100) 주변 객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 센서(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거리 측정 센서(140)는, 보행방향 측 객체와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 정보들은 보행 보조정보에 포함되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자세히, 거리 측정 센서(140)는, 오브젝트의 위치, 오브젝트가 이격된 방향, 이격거리 또는 오브젝트의 이동 방향 등을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거리 측정 센서(140)는, 라이다(lidar) 센서, 레이저(laser) 센서, 초음파(ultrasonic waves) 센서 및 스테레오 카메라(stereo camera) 등 다양한 거리 측정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폰(100)은, 출력부(1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출력부(12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121), 오디오 출력부(122), 햅팁 모듈 및 광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디스플레이(121)는 터치 센서(110)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스마트 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터치 센서(110)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스마트 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12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21)는, 보행 보조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21)는, 보행자의 보행방향 측 영상을 표시하여, 보행 보조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보행자의 보행방향 측 영상에서 추출된 보행 보조정보를 그래픽 이미지로 표시하여 보행 보조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부(122)와 햅틱 모듈은, 충돌 위험 물체 검출시, 경고 알람을 출력하여, 보행 보조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8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부(180)(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제어부(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스마트 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저장부(14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스마트 폰(100)가 보행 보조모드를 제공하는 과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스마트 폰(100)은, 사용자가 스마트 폰(100)를 사용하며 이동시 보행 보조모드를 실행하여, 사용자의 보행을 보조할 수 있다. (S101)
스마트 폰(100)은, 사용자의 실행 입력 또는 보행 보조모드 실행 조건이 만족될 때 보행 보조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자세히, 제어부(180)는, 보행 보조모드 필요한 시점에 별도의 사용자 입력 없이 보행 보조모드를 자동으로 실행하고 사용자에게 보행 보조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 보행 안전 및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스마트 폰의 디스플레이(121)가 활성화 되며, 스마트 폰의 이동을 감지하면, 보행 보조모드를 자동 실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보행을 하며 스마트 폰(100)를 사용하고 있는 시점을 검출하면, 사용자 입력 없이 보행 보조모드를 자동실행하여 보행 보조정보를 획득을 시작할 수 있다. 자세히, 제어부(180)는, 가속도 센서 또는/및 자이로스코프 센서를 통해 스마트 폰의 이동여부, 이동방향, 스마트 폰 기울기 등을 포함하는 스마트 폰 상태정보를 지속적으로 획득할 수 있고, 이러한 스마트 폰 상태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보행을 하며 스마트 폰(100)를 사용하고 있는 시점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보행 보조모드가 실행되면, 추가적으로 스마트 폰(100)은,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시선방향 검출할 수 있다. (S102)
자세히, 제어부(180)는, 보행 보조모드가 실행되면 전면 카메라를 동작시켜 전면 영상을 획득하고, 사용자의 전면 영상에서 사용자의 시선을 추출하여 사용자의 시선을 추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시선이 디스플레이(121) 화면을 향했는지와, 화면에서 이탈하여 보행방향 측을 향했는지를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시선이 디스플레이(121) 화면을 향한 상태와, 디스플레이(121) 화면에서 이탈한 상태를 구분하여 보행 보조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자세히, 제어부(180)는, 보행 보조모드가 실행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시선이 디스플레이(121) 화면에서 이탈하면, 사용자가 주변 감시가 가능한 상태이므로 보행 보조모드에 따른 알람, 경고, 그래픽 이미지 등에 대한 출력을 중단할 수 있다. (S103)
즉, 스마트 폰(100)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21) 화면을 주시하고 있는 상태에만 보행 보조모드에 따른 알람을 주어, 불필요한 경고 출력을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사용자의 시선이 디스플레이(121) 화면에 머무르면, 제어부(180)는, 보행 보조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먼저, 스마트 폰 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104)
자세히, 제어부(180)는, 내부 센서를 통해 스마트 폰의 기울기 및 이동방향을 포함하는 스마트 폰 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내부 센서를 통해 스마트 폰이 이동여부, 이동방향(D), 스마트 폰이 지면으로부터 기울어진 정도(Θ)를 나타내는 기울기 정보, 사용자의 시선 정보(S)를 지속적으로 스마트 폰 상태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스마트 폰 상태정보를 기초로 보행 보조정보를 획득할 감지영역을 지정할 수 있다. (S105)
자세히, 제어부(180)는, 스마트 폰 기울기 및 이동방향을 기초로 사용자의 보행방향에 감지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가속도 센서 정보를 기초로 스마트 폰이 이동하는 방향을 확인하고, 스마트 폰이 이동하는 방향 측을 사용자의 보행방향으로 판단하고, 상기 보행방향 측 전방 영역을 감지영역으로 지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설정된 감지영역을 촬영하도록 센서 제어부(160)와 카메라(150)를 제어할 수 있다. (S105)
자세히, 제어부(180)는, 후면 카메라의 촬영방향이 보행방향을 향하도록 촬영방향을 변경하도록 센서 제어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스마트 폰이 현재 기울어진 상태에서 후면 카메라가 보행방향을 촬영할 수 있도록 스마트 폰의 기울기 정보와 스마트 폰 이동방향 정보를 동시에 조합하여, 후면 카메라 촬영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제어부(160)는 기계식 타입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스마트 폰(100) 바디로부터 회전하여 후면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보행방향을 향하도록 변경할 수 있다.
또는, 센서 제어부(160)는 광학식 타입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전방위를 모두 촬영하고, 제어부(180)는, 360도 전방위 영상에서 보행방향 측 영상만을 추출하여 보행 보조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 폰(100)은, 감지영역 측(보행방향 측) 영상이 촬영되면, 해당 영상을 디스플레이(121)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S107)
자세히, 도 4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21) 화면을 분할하고, 분할된 영역에 감지영역 영상(10i)을 출력하고 나머지 영역에 사용자가 실행하던 기능에 관련된 기존 기능 관련 이미지(10i)를 표시하여, 보행 보조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지속적으로 디스플레이(121)의 일부 영역에 감지영역 영상(10i)을 출력할 경우, 기존 기능 관련 이미지(10i) 크기가 줄어들어 사용자에게 불편을 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어부(180)는, 감지영역 영상(10i)을 이미지 처리하여 감지영역 내 객체를 분석할 수 있다. (S108, S109)
자세히, 제어부(180)는, 감지영역 영상(10i)에서 객체를 추출하고, 객체를 저장부(140)에 저장된 객체 정보와 비교하여, 객체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객체의 크기변화, 거리 측정 센서(140) 정보 등을 통해 객체와의 거리, 객체의 이동방향, 객체의 속도 등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획득된 객체 정보에서 사용자와 충돌 위험이 있는 객체를 감지할 수 있다. (S110)
자세히, 제어부(180)는, 사용자와 객체의 거리, 객체의 크기, 객체의 이동방향, 사용자의 보행방향, 객체의 종류 등에 기초하여 충돌 위험 객체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이동하는 방향 측의 소정의 거리 내에 일정 크기 이상의 객체가 있다면 해당 객체를 충돌 위험 객체로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충돌 위험 객체가 검출된 시점에 충돌 위험 알람을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S111)
즉, 실시예에서, 스마트 폰(100)은, 보행 보조모드가 실행되어도 보행 보조정보를 디스플레이(121)에 표시하지 않고, 보행 보조정보에서 충돌 위험 객체가 검출되며, 사용자의 시선이 스마트 폰(100) 화면에 향할 때에만 스마트 폰(100)에 충돌 위험 알람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제어부(180)는, 감지영역을 촬영한 영상에서 충돌 위험물체를 검출하면, 디스플레이(121)의 화면을 분할하고, 분할된 디스플레이(121) 화면에 감지 영역을 촬영한 영상을 팝업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21)의 상단 화면에는, 보행방향 측 영상(10i)이 표시되고, 충돌 위험 물체를 하이라이트하는 충돌 물체 하이라이트 이미지(11i)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121) 하단 화면에는, 기존 기능 관련 이미지(10i)가 표시될 수 있으며, 이때, 하단 화면에 투명도를 갖는 경고 그래픽 이미지(21i)를 추가로 더 표시할 수 있다.
충돌 위험 알람이 표시된 후, 제어부(180)는, 알람 해제 조건을 검출하고, 알람 해제 조건이 검출되면, 출력되던 알람에 대한 출력을 중단할 수있다. (S112, S113)
자세히, 제어부(180)는, 감지 영역의 영상을 팝업 표시한 후 사용자의 시선이 사용자의 보행방향을 향하거나, 사용자의 보행방향이 변경됨을 감지하면, 감지 영역의 영상의 팝업 표시를 제거하도록 디스플레이(121)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위험상황을 인지하였음을 감지하면, 자동으로 알람 출력을 정지하여, 사용자가 알람 해제를 위한 별도의 입력을 필요로 하지 않게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정리하면,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100)은, 보행 중에 보행 보조모드를 미리 자동으로 실행하고, 보행 중 알람이 필요한 시점에만 보행 보조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기존 기능을 이용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안전하게 보행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이하, 보행 보조정보를 사용자 친화적이며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보행 보조모드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스마트 폰(100)은, 사용자가 스마트 폰(100)를 사용하며 이동시 보행 보조모드를 실행하여, 사용자의 보행을 보조할 수 있다. (S201)
스마트 폰(100)은, 사용자의 실행 입력 또는 보행 보조모드 실행 조건이 만족될 때 보행 보조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자세히, 제어부(180)는, 보행 보조모드 필요한 시점에 별도의 사용자 입력 없이 보행 보조모드를 자동으로 실행하고 사용자에게 보행 보조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 보행 안전 및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스마트 폰의 디스플레이(121)가 활성화 되며, 스마트 폰의 이동을 감지하면, 보행 보조모드를 자동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보행 보조모드가 실행되면, 추가적으로 스마트 폰(100)은,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시선방향 검출할 수 있고, 사용자의 시선정보에 기초하여 보행 보조정보 출력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보행 보조모드가 실행되면, 내부 센서를 통해 스마트 폰이 이동여부, 이동방향, 스마트 폰이 지면으로부터 기울어진 정도를 나타내는 기울기 정보, 사용자의 시선 정보를 지속적으로 스마트 폰 상태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S202)
자세히, 제어부(180)는, 스마트 폰 기울기 및 이동방향을 기초로 사용자의 보행방향에 감지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가속도 센서 정보를 기초로 스마트 폰이 이동하는 방향을 확인하고, 스마트 폰이 이동하는 방향 측을 사용자의 보행방향으로 판단하고, 상기 보행방향 측 전방 영역을 감지영역으로 지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80)는, 스마트 폰 상태정보에 따라서 감지영역을 지정하고, 카메라(150) 및 센서 제어부(160)를 제어하여, 감지영역의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감지영역 영상(10i)을 분석할 수 있다. (S203)
자세히, 제어부(180)는, 후면 카메라의 촬영방향이 보행방향을 향하도록 촬영방향을 변경하도록 센서 제어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스마트 폰이 현재 기울어진 상태에서 후면 카메라가 보행방향을 촬영할 수 있도록 스마트 폰의 기울기 정보와 스마트 폰 이동방향 정보를 동시에 조합하여, 후면 카메라 촬영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획득된 감지영역 영상(10i)에서 객체를 추출하고, 객체를 저장부(140)에 저장된 객체 정보와 비교하여, 객체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객체의 크기변화, 거리 측정 센서(140) 정보 등을 통해 객체와의 거리, 객체의 이동방향, 객체의 속도 등을 판단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80)는, 감지 영역 영상에서 보행로의 경계를 나타내는 보행로 지표를 검출하고, 보행로 지표의 연장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S204)
자세히, 제어부(180)는, 감지영역 영상(10i)에서, 보행로 방향을 나타내는 연석, 화단, 벽, 분리대 등을 포함하는 보행로 지표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추출된 보행로 지표를 분석하여, 보행로의 연장방향, 보행로 폭 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80)는, 보행로 지표를 통해 얻은 정보를 기초로 보행 보조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S205)
자세히, 제어부(180)는, 보행로 지표를 통해 보행로의 연장방향을 획득하고, 보행로 지표의 연장방향 및 스마트 폰의 기울기를 기초로 추천 보행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80)는, 추천 보행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이미지를 생성하고, 화살표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21)를 제어할 수 있다.
자세히,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동방향(예컨대, 스마트 폰 이동방향)과 추천 보행방향을 비교할 수 있다. (S206)
도 7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추천 보행방향과 보행방향이 일치한다면, 화살표 이미지(31i)를 디스플레이(121) 화면의 상단 바(30i)에 표시하여, 기존 기능 관련 이미지(10i)를 축소시키지 않고 보행 보조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S207)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보행방향과 추천 보행방향이 불일치하면 투명한 화살표 이미지(32i)를 디스플레이(121) 화면의 중앙에 팝업 표시하여, 사용자가 바른 보행방향으로 가도록 유도할 수 있다. (S208)
그리고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보행방향을 변경하여 추천 보행방향과 일치하면, 팝업 표시를 자동으로 해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감지영역 영상(10i)에서 교차로 표지를 검출할 수 있다. (S209)
자세히, 도 9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감지영역 영상(10i)에서 보행로 표지의 연장방향(d1, d2)이 급격하게 변하는 상태를 감지하면, 보행방향 측에 교차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 경고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S210)
또한, 제어부(180)는, 감지영역 영상(10i)에서, 소정의 거리 이상에 기존 보행로의 연장방향과 다른 별도의 보행로 표지(43)를 검출하면, 보행방향 측에 교차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 경고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감지영역의 영상에서 직접 교차로(44)를 검출할 수도 있으며,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 경고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0를 참조하면, 교차로 감지시 디스플레이(121)는, 화면의 중앙 주변에 소정의 투명도를 갖는 경고 이미지(21i)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교차로에서 주위를 살펴보고 이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감지영역 영상(10i)에서 충돌 위험이 있는 타 보행자를 검출할 수 있다. (S211)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감지영역 영상(10i)에서 사용자의 보행방향과 타 보행자의 이동방향이 오버랩되며, 타 보행자가 스마트 폰을 사용중인 경우, 충돌 위험이 있는 타 보행자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충돌 위험물체가 타 보행자임을 검출하면, 제어부(180)는, 타 보행자의 스마트 폰과 무선 통신 연결을 하도록 통신모듈(1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사용자와 타 보행자의 현재 보행방향 및 위치에 따라서 사용자의 회피 보행방향 및 타 보행자의 회피 보행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S212)
다음으로,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회피 보행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이미지를 생성하고 화살표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21)를 제어할 수 있다. (S213)
나아가, 제어부(180)는, 통신모듈(130)를 통해 타 보행자의 회피 보행방향 정보를 타 보행자의 스마트 폰으로 송신하도록 통신모듈(130)를 제어하여, 타 보행자의 스마트 폰이 회피 보행방향을 표시시킬 수 있다.
즉, 스마트 폰(100)은, 타 보행자와의 충돌 위험이 있는 경우, 미리 타 보행자와의 스마트 폰과 서로 교차하여 이동할 방향을 결정하고, 무선 통신을 통해 결정된 회피 이동방향을 협의하여, 보행자 간 충돌 없이 안전하게 서로 교차 이동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자세히,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이동 중 보행방향 측에 타 보행자를 검출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보행방향과 타 보행자의 보행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보행방향이 상대적으로 좌측에 치우친 경우, 보행방향에서 좌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제 1 회피 보행방향(P1)을 결정할 수 있고, 타 보행자의 보행방향이 상대적으로 우측에 치우쳐있을 것이므로 보행방향에서 우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제 2 회피 보행방향(P2)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결정된 제 1 회피 보행방향(P1)을 나타내는 화살표 이미지(32i)를 디스플레이(121) 화면의 중앙에 팝업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통신모듈(130)를 통해 결정된 제 2 회피 보행방향(P2)을 타 보행자 스마트 폰에 전송하여, 타 보행자의 스마트 폰의 화면에서도 제 2 회피 보행방향(P2)을 나타내는 화살표 이미지를 팝업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스마트 폰(100)은, 보행자 간에 충돌 없이 원활하게 교차하여 이동시켜, 사용자들의 편의 및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 보행자와 통신을 통해 보행을 보조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제어부(180)는, 제어부(180) 주변의 타 보행자를 검출할 수 있다. (S301)
자세히, 제어부(180)는, 통신모듈(130)을 통해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한 타 제어부(180)를 검출하여, 타 보행자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후면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타 보행자를 검출할 수 있다.
타 보행자를 검출하면, 제어부(180)는, 통신모듈(130)을 통해 타 보행자의 스마트 폰(200)와 통신하여, 타 보행자와의 이격거리, 이동방향, 이동속도 등을 포함하는 상호 간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상호 위치 정보를 획득하면, 제어부(180)는, 위치정보를 기초로 타 보행자와의 교차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S302)
제어부(180)는, 교차 가능성이 없다면, 주위를 환기시키는 그래픽 이미지를 표시하여, 사용자의 주위를 환기시킬 수 있다. (S303)
자세히, 제어부(180)는, 교차 가능성이 있다면, 상호 위치 정보를 기초로, 서로 마주보며 교차하는 경우, 상대방을 추월할 경우, 상대방 보행자에게 추월당할 경우 등의 교차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서로 마주보며 교차하는 경우, 앞서 위치한 타 보행자를 추월할 경우, 타 보행자에게 추월당할 경우 등에 충돌 가능성이 있는 교차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만약, 교차 가능성이 있으면, 제어부(18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보행하여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 타 보행자의 스마트 폰(200)과 통신하여 서로 충돌 없이 지나칠 교차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S304)
자세히, 제어부(180)는, 상대방 보행자의 이동방향과, 사용자의 보행방향을 기초로 좌측 대각선 방향과 우측 대각선 방향 중 최소로 이동하면 되는 방향을 사용자가 이동할 교차방향으로 결정하면, 상대방 보행자는 사용자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교차방향을 결정하고 타 보행자의 스마트 폰(2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결정된 교차방향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S305)
즉, 스마트 폰은, 마주보는 상대방의 스마트 폰과 통신하여 서로 협의된 방향을 교차방향으로 설정하여 표시함으로써, 스마트 폰을 사용하는 보행자 간의 원활한 보행을 보조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동속도가 앞에 위치한 타 보행자의 이동속도보다 빨라 추월하며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 타 보행자의 스마트 폰(200)과 통신하여 서로 충돌 없이 지나칠 추월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S306)
자세히, 제어부(180)는, 통신모듈(130)을 통해 타 스마트 폰과 통신하여 앞선 타 보행자의 이동방향과,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기초로 좌측 방향과 우측 방향 하나를 추월방향으로 결정하고, 나머지 하나를 타 보행자의 양보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포 제어부(180)는, 결정된 추월방향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S307)
즉, 스마트 폰은, 앞서 보행하는 상대방의 스마트 폰과 통신하여 서로 협의된 방향으로 추월, 양보하도록 설정하여 표시함으로써, 스마트 폰을 사용하는 보행자 간의 원활한 보행을 보조할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동속도가 뒤에 타 보행자의 이동속도보다 느려 추월당해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 타 보행자의 스마트 폰(200)과 통신하여 서로 충돌 없이 양보할 양보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S308)
자세히, 제어부(180)는, 통신모듈(130)을 통해 타 스마트 폰과 통신하여 뒤에 위치한 타 보행자의 이동방향과,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기초로 좌측 방향과 우측 방향 하나를 추월방향으로 결정하고, 나머지 하나를 타 보행자의 양보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포 제어부(180)는, 결정된 양보방향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S309)
이와 같이 보행 보조 스마트 폰은, 상대방의 스마트 폰과 통신하여 서로 협의된 방향으로 추월, 양보하도록 설정하여 표시함으로써, 스마트 폰을 사용하는 보행자 간의 원활한 보행을 보조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주변에 동행하는 동행자의 스마트 폰과 그룹으로 보행하는 그룹 보행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그룹 보행모드가 실행되면, 제어부(180)는, 그룹원들의 스마트 폰과 통신하여 그룹의 리더 스마트 폰을 결정할 수 있다. (S310) 예를 들어, 그룹 리더 스마트 폰은, 그룹원들의 사용자 입력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후, 리더 스마트 폰과 그룹원들의 스마트 폰은 페어링되어 서로 간의 위치정보를 지속적으로 통신하면서 그룹 보행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리더 스마트 폰은, 그룹원들의 안전한 보행을 위해 스마트 폰의 타 기능이 제한되고, 그룹원들의 위치, 앞으로 이동할 네비게이션 기능만을 제공할 수 있다.
나머지 그룹원 스마트 폰에는, 리더 스마트 폰이 이동하는 방향이 그룹원 스마트 폰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 표시될 수 있다. (S311)
즉, 그룹원 스마트 폰은, 리더 스마트 폰의 위치를 목표로 이동할 방향과, 리더 스마트 폰에서 앞으로 이동할 방향으로 전송된 목표방향이 표시될 수 있다.
리더 스마트 폰은, 그룹원들의 위치가 표시되고, 그룹원의 스마트 폰이 일정거리 이상 멀어질 경우 이탈 알람 등을 제공하여, 보행 리더가 전체 그룹원들이 효율적으로 그룹 보행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S312)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4)

  1. 제어부의 후면에 배치된 후면 카메라;
    타 보행자의 스마트 폰과 통신하는 통신모듈;
    보행 보조모드 관련 그래픽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보행 보조모드를 실행되면,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타 보행자의 스마트 폰와 통신하여 상호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상호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보행 보조 그래픽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보행 보조 그래픽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호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타 보행자와의 교차 가능성을 판단하고,
    상기 교차 가능성이 있는 경우, 상기 타 보행자와의 교차방식을 결정하고,
    상기 교차방식에 따라 상기 보행 보조 그래픽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면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변경하는 센서 제어부 및 내부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 제어부 및 상기 내부 센서를 통해 상기 스마트 폰의 이동여부, 이동방향, 기울기 정보 및 사용자의 시선 정보를 상기 스마트 폰 상태정보로 획득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을 주시하고 있는 상태에만 보행 보조모드에 따른 알람을 발생시켜 경고 출력을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 보행자와 서로 반대방향으로 보행하여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 상기 타 보행자의 스마트 폰과 통신하여 서로 충돌 없이 지나칠 교차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교차방향을 나타내는 그래픽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이동속도가 앞에 위치한 상기 타 보행자의 이동속도보다 빠르며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 상기 타 보행자의 스마트 폰과 통신하여 추월방향과 양보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추월방향을 나타내는 그래픽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추월방향과 상기 양보방향의 결정을 위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타 보행자의 스마트 폰과 통신하여 타 보행자와의 이격거리, 이동방향, 이동속도 등을 포함하는 상호 간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보행 보조 스마트 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70157162A 2017-11-23 2017-11-23 보행 보조 스마트 폰 KR102081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162A KR102081059B1 (ko) 2017-11-23 2017-11-23 보행 보조 스마트 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162A KR102081059B1 (ko) 2017-11-23 2017-11-23 보행 보조 스마트 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9497A KR20190059497A (ko) 2019-05-31
KR102081059B1 true KR102081059B1 (ko) 2020-02-25

Family

ID=66657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7162A KR102081059B1 (ko) 2017-11-23 2017-11-23 보행 보조 스마트 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10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790B1 (ko) * 2019-10-14 2021-09-27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장애인용 보행 보조 장치
KR20220102175A (ko) * 2021-01-11 2022-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안전한 보행을 위한 피드백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23053265A1 (ja) * 2021-09-29 2023-04-0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衝突回避システム、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824B1 (ko) * 2006-02-10 2008-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보행자 안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321273B1 (ko) * 2012-03-22 2013-10-28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KR101905150B1 (ko) * 2012-07-17 2018-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70081472A (ko) * 2016-01-04 2017-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기기 및 휴대기기를 활용한 충돌방지 및 위험사운드 음향인지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9497A (ko) 2019-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5348B2 (en) Drive assist device
US11282389B2 (en) Pedestrian detection for vehicle driving assistance
US1136647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US8953841B1 (en) User transportable device with hazard monitoring
US9975483B1 (en) Driver assist using smart mobile devices
CN110979318B (zh) 车道信息获取方法、装置、自动驾驶车辆及存储介质
KR102081059B1 (ko) 보행 보조 스마트 폰
US10380914B2 (en) Imaging gloves including wrist cameras and finger cameras
EP3157233A1 (en) Handheld device, method for operating the handhel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KR101563542B1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정보 제공 시스템
WO2021114608A1 (en) Data labeling method and apparatus
US10636167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distance
US9996730B2 (en) Vision-assist systems adapted for inter-device communication session
KR101957597B1 (ko) 전방 감지 이동 단말기
KR20130031423A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움직임센서 및 근접센서를 이용하여 촉각신호로 변환되는 시스템
KR20120088320A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사물인식 및 보행안내 장치
CN110775056A (zh) 基于雷达探测的车辆行驶方法、装置、终端及介质
TW201510961A (zh) 盲人用影像識別偵測器
CN114467124A (zh) 在移动设备使用期间增加行人意识的系统和方法
KR102299501B1 (ko) 전자 장치,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2022163242A (ja) 操作者特定システム
WO2024087456A1 (zh) 确定朝向信息以及自动驾驶车辆
JP2020135804A (ja) 信号機制御装置、第1路側機、情報処理装置及び信号機制御方法
CN115428470B (zh) 机器人控制方法、机器人、程序以及记录介质
CN114506383B (zh) 方向盘回正的控制方法、装置、终端、存储介质及产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