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1472A - 휴대기기 및 휴대기기를 활용한 충돌방지 및 위험사운드 음향인지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휴대기기 및 휴대기기를 활용한 충돌방지 및 위험사운드 음향인지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81472A KR20170081472A KR1020160000559A KR20160000559A KR20170081472A KR 20170081472 A KR20170081472 A KR 20170081472A KR 1020160000559 A KR1020160000559 A KR 1020160000559A KR 20160000559 A KR20160000559 A KR 20160000559A KR 20170081472 A KR20170081472 A KR 2017008147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rtable device
- display
- image
- obstacle
- us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04M1/72522—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3/00—Direction-finder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from which infrasonic, sonic, ultrasonic, or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emission, not having a directional significance, are being received
-
- G06K9/00362—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222—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5/223—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5/224—Paging receivers with visible signalling details
- G08B5/225—Display detai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기기 사용자가 이동중 휴대기기를 사용하더라도 전방 물체와의 충돌 방지 및 위험사운드 경고 기능을 가진 휴대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충돌방지 제어방법은, 이동중 휴대기기 사용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이동중 휴대기기를 사용시, 휴대기기 후면 일측에 부착된 카메라를 통해 전방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전방 물체의 움직임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와, 움직임 있는 전방 물체를 감지시, 휴대기기 디스플레이 일측에, 상기 획득된 전방 물체의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사용자가 이동중 휴대기기를 사용하더라도 전방 움직임 있는 물체와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방 움직임 없는 장애물체를 인지하여 장애물체와의 충돌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기기 및 이동중 휴대기기 사용시의 위험을 방지하는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통신 기술의 발달로, 소형의 휴대기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테블렛 등)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휴대기기 사용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10)가 휴대기기(11)내 화면(11a)을 응시한 채 보행하거나, 또는 유선 또는 무선 이어셋(12)을 착용한 채 보행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 경우 사용자(10)는 전방을 주의 깊게 응시할 수 없게 되어, 전방 출현 물체에 충돌하거나 또는 위험한 전방 물체가 다가오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여 사고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기기 사용자가 이동중 휴대기기를 사용하더라도 전방 물체와의 충돌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 휴대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기기 사용자가 이동중 휴대기기를 사용하더라도 주변 위험사운드를 경고하는 기능을 가진 휴대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충돌방지 제어방법은, 이동중 휴대기기 사용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이동중 휴대기기를 사용시, 휴대기기 후면 일측에 부착된 카메라를 통해 전방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전방 물체의 움직임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와, 움직임 있는 전방 물체를 감지시, 휴대기기 디스플레이 일측에, 상기 획득된 전방 물체의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획득된 전방 물체의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단에 기존 디스플레이 화면과 오버랩(overlap)없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획득된 전방 물체의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내 사용자 시선을 벗어난 위치에 기존 디스플레이 화면과 오버랩(overlap)되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획득된 전방 물체의 움직임이 없는 경우, 해당 물체가 사용자 보행에 위협되는 장애물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장애물체로 판단시, 휴대기기 전면 디스플레이 일측에 상기 획득된 전방 물체의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애물체 여부 판단 단계는, 휴대기기내 초음파 센서를 활용하여 전방 물체를 인식하고, 인식된 전방 물체가 휴대기기 메모리내에 저장된 장애물체 리스트와 일치하는 경우 해당 전방 물체를 장애물체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기기 후면 일측에 부착된 카메라는, 일정 크기의 전방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자동으로 틸트(tilt)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위험사운드 음향인지 제어방법은, 유선 또는 무선 이어셋이 연결된 상태로 이동중 휴대기기 사용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이어셋이 연결된 상태로 이동중 휴대기기를 사용시, 휴대기기 주변의 위험사운드 감지 및 위험사운드의 방향을 인지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기기 디스플레이 일측에, 상기 인지된 위험사운드 방향을 경고하는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고화면내에는, 위험사운드 방향을 인지할 수 있는 기설정된 아이콘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는, 카메라 모듈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휴대기기에 있어서, 이동중 휴대기기 사용으로 판단시, 상기 카메라 모듈를 통해 움직임 있는 전방 물체를 감지시, 상기 디스플레이 일측에 상기 획득된 전방 물체의 영상을 제공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전방 물체의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단에 기존 디스플레이 화면과 오버랩(overlap)없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전방 물체의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내 사용자 시선을 벗어난 위치에 기존 디스플레이 화면과 오버랩(overlap)되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획득된 전방 물체의 특징을 감지하는 초음파 센서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음파 센서 모듈로 부터 획득된 전방 물체 특징이 사용자 보행에 위협되는 장애물체로 판단시, 상기 디스플레이 일측에 상기 획득된 전방 물체 영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애물체 여부 판단을 위한 장애물체 리스트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일정 크기의 전방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자동으로 틸트(tilt)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는, 유선 또는 무선 이어셋을 연결하는 연결수단 및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는 휴대기기에 있어서, 상기 이어셋이 연결된 상태로 이동중 휴대기기를 사용시, 휴대기기 주변의 위험사운드 및 상기 위험사운드의 방향을 인지하고, 상기 휴대기기 디스플레이 일측에, 상기 인지된 위험사운드 방향을 경고하는 화면을 제공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고화면내에는, 위험사운드 방향을 인지할 수 있는 기설정된 아이콘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및 휴대기기를 활용한 충돌방지 제어방법을 통해, 사용자가 이동중 휴대기기를 사용하더라도 전방 움직임 있는 물체와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방 움직임 없는 장애물체를 인지하여 장애물체와의 충돌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및 휴대기기를 활용한 위험사운드 음향인지 제어방법을 통해, 사용자가 이어셋을 착용하여 휴대기기를 사용중이더라도, 주변 위험사운드의 음향(소리 방향)을 인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휴대기기 사용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구성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충돌방지 프로세스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충돌방지용 영상을 제공하는 휴대기기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구성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충돌방지 프로세스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충돌방지용 영상을 제공하는 휴대기기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장애물체 종류를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조절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구성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음향인지 프로세스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음향인지 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음향인지용 영상을 제공하는 휴대기기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음향인지용 영상을 제공하는 휴대기기의 또 다른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구성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충돌방지 프로세스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충돌방지용 영상을 제공하는 휴대기기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구성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충돌방지 프로세스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충돌방지용 영상을 제공하는 휴대기기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장애물체 종류를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조절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구성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음향인지 프로세스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음향인지 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음향인지용 영상을 제공하는 휴대기기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음향인지용 영상을 제공하는 휴대기기의 또 다른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부" 및 "수단"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휴대기기(Mobile set)는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사용하는 모든 전자기기를 통용하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현재 널리 활용중인 스마트폰(smart phone), 테블렛(tablet PC) 등이 해당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이어셋(earset)은,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사용자 웨어러블 기기의 일종으로, 헤드셋(headset) 또는 이어폰(earphone) 으로도 명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통일적으로 '휴대기기' 또는 '이어셋'으로 명명하였을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명칭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구성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기기(20)는, 통신수단(21), 카메라 모듈(22), 오디오 출력수단(23), 오디오 인터페이스(24), 메모리(25), 디스플레이(26) 및 제어부(27)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통신수단(21)은 외부 기기와의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는 근거리 무선통신(예,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등) 및 원거리 음성 무선통신 (예, LTE)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후술할 이어셋과의 무선 연결시에는 근거리 무선통신(예, 블루투스)을 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카메라 모듈(22)은 휴대기기(20) 후면에 설치되어 전방 물체의 영상을 획득하는 데 활용된다. 또한, 카메라 모듈(22)은 휴대기기(20) 후면 뿐만 아니라 전면에도 동시에 설치될 수 있다. 전면에 설치된 카메라 모듈은 휴대기기 사용자를 촬영하거나 인식하는 도구로 활용될 수도 있다.
상기 오디오 출력수단(23)은 휴대기기 오디오를 출력하는 수단이다. 오디오 출력수단(23)으로는 휴대기기내 내장 스피커가 일반적이다. 사용자는 사용자 명령(user input)으로 오디오 출력수단(23)의 출력 종류 및 불륨(volume)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오디오 인터페이스(24)는 유선으로 외부 이어셋과 연결되는 연결수단으로 활용된다. 상기 오디오 인터페이스(24)를 통해 외부 이어셋이 유선으로 연결되면 상기 오디오 출력수단(23)을 통한 오디오 출력 대신 연결된 이어셋을 통해 오디오가 출력되어 진다.
상기 메모리(25)는 휴대기기 동작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상기 메모리(25)는 외부로부터 다운받은 앱(Application)을 저장하고 실행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휴대기기 충돌방지 제어 프로세스 및 위험사운드 음향인지 제어 프로세스는 외부 앱(Application)을 다운 받아 실행하는 것으로도 구현 가능하다.
상기 디스플레이(26)는 휴대기기의 시각적 화면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상기 디스플레이(26)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을 포함하여 사용자 명령(user input)을 직접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디스플레이(26)는 LCD, OLED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 가능하며, 본 발명은 특정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어부(27) 전술한 휴대기기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활을 수행하며, 일반적으로 휴대기기 운영체계(OS)로도 명명된다. 특히,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와 관련된 충돌방지 프로세서(271, processor)가 제어부(27)내에 포함되어 진다. 상기 충돌방지 프로세서(271)는 전술한 휴대기기 운영체계(OS)내에 포함되어 있거나, 또는 외부로터 다운 받은 후 상기 제어부(27)내의 하나의 프로세서로 동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충돌방지 제어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충돌방지 프로세스(300, process)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관련하여, 휴대기기 충돌방지 프로세스(300)는 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동작 설정('ON' 설정)된 경우에만 동작하도록 설정이 가능하다.
우선, 휴대기기 자체의 움직임 및 사용자 이동여부를 감지한다(301). 휴대기기 자체 움직임 및 사용자 이동여부는, 휴대기기내 내장된 가속센서 및/또는 위치센서(미도시)를 활용하여 자동으로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휴대기기 움직임 및 사용자 이동이 감지되면, 사용자가 이동중 휴대기기를 사용중인지를 판단한다(302).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26) 화면이 동작중으로 판단되면, 사용자가 이동중 휴대기기 사용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302단계 판단 결과 휴대기기 사용중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다시 이전 301단계로 돌아간다. 즉, 휴대기기 자체의 움직임은 있으나, 디스플레이(26) 화면이 동작중이 아닌 경우(예를 들어, 휴대기기를 가방에 두고 무선 전화 통화중이거나 또는 음악 청취중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위험을 스스로 인지할 수 있다고 판단되므로, 다음 단계의 충돌 방지 프로세스가 진행되지 않는다.
만약, 상기 302단계 판단 결과, 휴대기기 사용중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카메라 모듈(22)을 실행하여 카메라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게 된다(303). 이후 획득된 영상중 특정 전방 물체의 움직임을 감시한다(304). 예를 들어 획득된 영상내에 '마주오는 사람' 또는 '다가오는 자동차'와 같은 전방 물체를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만약 움직이는 전방 물체가 감지되지 않으면(305, 'NO' 가지). 304단계로 돌아가 계속 카메라 전방 물체를 감시하게 된다. 단, 다른 대안으로, 움직이는 물체가 없으면 후술할 도 7의 장애물체 판단 단계(705)로 진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만약 움직이는 전방 물체가 감지되면(305, 'YES' 가지) 이후 충돌방지 경고 수단이 발생하게 된다(306). 이하 도 4 ~ 도 5를 참조하여 충돌방지 경고 수단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충돌방지 경고수단으로 충돌방지용 영상을 제공하는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의 휴대기기(40)는 디스플레이(26)를 통해 사용자 화면(42)를 제공한다. 전술한 도 3의 305 단계에 의해, 움직이는 전방 물체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27)는 상기 사용자 화면(42)과 오버랩(overlap) 되지 않는 별도의 충돌방지용 화면(41)를 생성하게 된다. 즉, 기존 사용자 화면(42)과 충돌방지용 화면(41)이 별도 화면으로 오버랩(overlap) 없이 제공되어 진다.
특히, 상기 충돌방지용 화면(41)내에는 카메라 모듈(22)로부터 획득된 움직이는 전방 물체(41a) 영상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충돌방지용 화면(41)과 함께 또는 독립적으로, 상기 휴대기기(40)의 상기 오디오 출력수단(23)을 통해 경고음 (예, "삐이익") 또는 경고 메세지 (예, "전방에 위험 물체가 있습니다")를 연속적으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충돌방지용 영상을 제공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의 휴대기기(50)는, 전술한 도 4의 예와는 달리, 충돌방지용 화면(51)을 기존 사용자 화면(53)과 오버랩(overlap)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관련하여, 상기 충돌방지용 화면(51)이 오버랩되는 위치는 사용자(10) 시선을 고려하여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10) 시선으로 판단되는 영역(10a)에 상기 충돌방지용 화면(51)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사용자 시선 영역(10a)에 충돌방지용 화면(51)을 생성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더욱 주의를 주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반면, 다른 대안으로, 사용자(10) 시선으로 판단되는 영역(10a)을 벗어난 위치에 상기 충돌방지용 화면(51)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사용자 시선 아래 영역에 충돌방지용 화면(51)을 생성함으로서, 사용자의 휴대기기 사용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돌방지용 화면(51)이 생성되는 위치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지정되거나 또는 시스템에 의해 자동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현재 사용자의 휴대기기 사용 형태를 상기 제어부(27)가 판단하여 자동으로 충돌방지용 화면(51)이 생성되는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실시간 문자 통신중인 경우에는 사용자 시선을 벗어난 위치에 충돌방지용 화면(51)을 생성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인터넷 접속을 통한 정보검색중인 경우에는 사용자 시선이 위치한 영역에 충돌방지용 화면(51)을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관련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22)를 구성하는 전면 카메라(52)를 통해 사용자 형상 및 사용자 시선 위치를 유추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충돌방지 제어방법을 도 6 ~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구성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의 휴대기기(30)는 통신수단(21), 카메라 모듈(22), 오디오 출력수단(23), 오디오 인터페이스(24) 및 디스플레이(26) 포함하며, 상기 구성요소들은 적어도 전술한 도 2의 휴대기기(20)와 동일한 기능을 가진다.
관련하여, 도 6의 휴대기기(30)는 도 2의 휴대기기(20)와 비교하여, 초음파 센서 모듈(61)을 더 구비한다. 상기 초음파 센서 모듈(61)은 휴대기기 전방 물체의 존재 유무 및 물체의 형태를 인식하는 데 활용된다. 상기 초음파 센서 모듈(61)은 초음파 센서 송신부 및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센서 송신부는 세라믹(ceramic) 소자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세라믹 소자는 고유 진동에 상당하는 교류 전압을 가하면 압전효과에 의해 진동하게 되고 이로부터 초음파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초음파 센서 수신부는, 상기 초음파 센서 송신부에 의해 발생된 초음파가 전방 물체로부터 반사된 음파를 다시 수신하게 된다. 따라서, 초음파 발생이후 반사되어 수신되는 시간(t)을 확인하면 해당 물체까지의 거리측정 계산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에 의해 초음파 센서 모듈(61)을 활용하여 대략적인 전방 물체의 거리 및 형상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6의 휴대기기(30)는 메모리(62)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62)는 전술한 도 2의 메모리(25)에 비해 장애물체 리스트(list)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더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 6의 휴대기기(30)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충돌방지 프로세서(272)를 포함하는 제어부(63)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63)는 초음파 센서 모듈(61)을 통해 확인된 전방 물체의 형상을 메모리(62)내 장애물체 리스트(list) 데이터베이스(database)와 비교하여, 전방 물체가 장애물체에 해당되는 지를 판단한다. 또한, 제어부(63)는 상기 장애물체로 판단되면 충돌방지 경고 수단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충돌방지 프로세스(700)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휴대기기 충돌방지 프로세스(700)는 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동작 설정('ON' 설정)된 경우에만 동작하도록 설정이 가능하다.
우선, 휴대기기 자체의 움직임 및 사용자 이동여부를 감지한다(701). 휴대기기 자체 움직임 및 사용자 이동여부는, 휴대기기내 내장된 가속센서 및/또는 위치센서(미도시)를 활용하여 자동으로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휴대기기 움직임 및 사용자 이동이 감지되면, 사용자가 이동중 휴대기기를 사용중인지를 판단한다(702).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26) 화면이 동작중으로 판단되면, 사용자가 이동중 휴대기기 사용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702단계 판단 결과 휴대기기 사용중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다시 이전 701단계로 돌아간다. 즉, 휴대기기 자체의 움직임은 있으나, 디스플레이(26) 화면이 동작중이 아닌 경우(예를 들어 휴대기기를 가방에 두고 무선 전화 통화중이거나 또는 음악 청취중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위험을 스스로 인지할 수 있다고 판단되므로, 다음 단계의 충돌 방지 프로세스가 진행되지 않는다.
만약, 상기 702단계 판단 결과, 휴대기기 사용중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카메라 모듈(22)을 실행하여 카메라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게 된다(703). 이후 초음파 센서 모듈(61)을 활용하여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전방 물체의 형상을 인식한다(704).
상기 제어부(63)는, 인식된 전방 물체가 장애물체에 해당하는 지를 판단한다(705). 상기 장애물체 판단은, 메모리(62) 장애물체 리스트(list) 데이터베이스(database)와 비교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장애물체로 판단되면(705, 'YES' 가지) 이후 충돌방지 경고 수단이 발생하게 된다(706).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충돌방지용 영상을 제공하는 휴대기기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의 휴대기기(80)는 디스플레이(26)를 통해 사용자 화면(82)을 제공한다. 전술한 도 7의 705 단계에 의해, 장애물체가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 화면(82)과 오버랩(overlap) 되는 별도의 충돌방지용 화면(81)를 생성하게 된다. 상기 충돌방지용 화면(81)은 카메라 모듈(22)에 의해 획득된 전방 뷰(view)영상을 포함하고, 해당 뷰(view)내에는 인식된 장애물체(81a)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상기 충돌방지용 화면(81)이 제공되는 위치는 사용자 시선이 위치한 곳에 두거나 또는 사용자 시선을 벗어난 위치에 두는 것이 선택적으로 가능하다. 이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반면, 상기 충돌방지용 화면(81)을 기존 사용자 화면(82)과 오버랩(overlap)되지 않고 별도 화면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장애물체 종류를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상기 장애물체 리스트(list) 데이터베이스(database)는 장애물체로 인식되어지는 대표적인 물체를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9의 91a 및 94a는 보행로 상에 정차된 차량을 장애물체로 도시한 것이고, 91b는 보행로 상에 위험 홀(hall)을 장애물체로 도시한 것이고, 92a, 93a 및 93b는 보행로 상에 존재하는 돌출 물체를 장애물체로 각각 도시한 것이다. 상기 장애물체들은 모두 메모리(62)내 장애물체 리스트(list) 데이터베이스(database)로 관리되어 진다. 다른 대안으로, 상기 장애물체 리스트(list)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메모리(62)내에 저장하지 않고, 통신 가능한 외부 서버(server)에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조절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휴대기기(100)는 전방 시야를 일정 크기 (예를 들어, 3m) 만큼 확보하기 위해, 카메라 모듈의 틸트(tilt) 조절이 자동으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도 10(a)는 사용자가 보행중 휴대기기(100)를 보는 각도에 따라 기설정된 전방 시야(예, 3m)를 확보하기 위해, 카메라 모듈의 틸트(tilt)가 'T1'으로 자동 설정(101)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도 10(a)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 10(b)의 상태로 휴대기기(100)를 보는 각도를 변경하면, 카메라 모듈 틸트(tilt)는 전방 시야(예, 3m)를 확보하기 위해 자동으로 'T1'에서 'T2'로 변경되어 진다(102). 따라서, 사용자와 휴대기기(100)간의 사용 각도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 크기의 전방 시야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로부터, 휴대기기(100)는 항상 일정하게 확보된 전방 시야내에 존재하는 움직이는 물체 또는 장애물체를 전술한 도 2 및 도 7 충돌방지 프로세스(300, 700)를 활용하여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위험사운드 음향인지 제어방법을 도 11 ~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구성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의 휴대기기(110)는 통신수단(21), 카메라 모듈(22), 오디오 출력수단(23), 오디오 인터페이스(24), 메모리(25) 및 디스플레이(26) 포함하며, 상기 구성요소들은 적어도 전술한 도 2의 휴대기기(20)와 동일한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관련하여, 도 11의 휴대기기(110)는 오디오 인터페이스(24)를 통해 유선 이어폰(120)에 연결된 상태이거나, 또는 통신수단(21)을 통해 근거리 통신망(131)을 활용한 무선 이어셋(130)이 연결된 상태로 가정한다. 즉, 사용자가 휴대기기(110)를 사용중임과 동시에 상기 유/무선 이어셋(120 or 130)을 사용하는 상태이다. 전술한 도 1은 사용자가 유선 이어셋 및 휴대기기를 동시에 사용하는 일 사용 형태를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제어부(111)내에 음향인지 프로세서(273)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음향인지 프로세스(1200)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휴대기기 음향인지 프로세스(1200)는 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동작 설정('ON' 설정)된 경우에만 동작하도록 설정이 가능하다.
우선, 제어부(111)는 휴대기기(110)에 유/무선 이어셋(120 or 130)이 연결되었는 지를 확인한다(1210). 예를 들어, 통신수단(21)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24)를 통해 오디오 출력이 실행중이라면, 적어도 유선 이어셋(120) 또는 무선 이어셋(130)중 어느 하나가 연결된 상태로 판단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111)는 사용자가 이동중인지 여부를 감지한다(1220). 이는 휴대기기(110)내 가속센서 및/또는 위치센서(미도시)로부터 확인 가능하다.
다음으로, 제어부(111)는 주변의 위험사운드 감지(1230) 및 위험사운드의 방향(음향)을 감지한다(1240). 예를 들어, 위험사운드라 함은, 차량 싸이렌/경적소리 또는 주변 사람의 이상 고음(예, 'shrill cry', 'scream')등과 같은 비정상적인 고음의 사운드를 의미한다. 이러한 위험사운드는 이어셋(120 or 130)을 착용중인 사용자 주변에 특정 위험이 존재하는 것임을 의미한다.
관련하여, 도 13은 상기 음향인지 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 양쪽 귀에 각각 착용중인 이어셋(1301, 1302)내에는 소리를 수신하는 마이크(미도시)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주변 차량(135)에서 경적소리(135a)가 발생하면, 이를 위험사운드로 인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각 마이크에 도달하는 위험사운드 신호의 타임딜레이(time delay)를 계산하여, 위험사운드의 방향(음향)을 인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마이크를 통해 각 마이크로 도달하는 위험사운드의 크기를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위험사운드 및 음향인지가 완료되면, 이후 제어부(111)는 사용자에게 경고 수단을 발생하여 제공한다(1250). 도 14 ~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음향인지용 경고 영상 및/또는 음성을 제공하는 휴대기기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의 휴대기기(140)는 디스플레이(26)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화면(142)과 별도로 음향인지용 화면(141)을 제공한다. 상기 음향인지용 화면(141)내에는 경고 메세지(141a, 예를 들어 '오른쪽 뒤편 차량에서 경적소리 감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고 메세지는 사용자가 착용중인 이어셋(120 or 130)을 통해 경공음으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관련하여, 상기 음향인지용 화면(141)이 제공되는 위치는 사용자 시선이 위치한 곳에 두거나 또는 사용자 시선을 벗어난 위치에 두는 것이 선택적으로 가능하다. 이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반면, 상기 음향인지용 화면(141)을 기존 사용자 화면(142)과 오버랩(overlap)되지 않고 별도 화면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음향인지용 화면을 제공하는 휴대기기의 다른 예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휴대기기(150)는 음향인지용 화면(151)를 제공하되, 상기 음향인지용 화면(151)내에는, 사용자 표시 아이콘(151b) 및 인지된 위험사운드 크기 및 방향을 표시하는 음향아이콘(151a, 161a)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도 15의 경우 사용자 후방 우측 차량(155)에서 위험사운드(155a)가 발생하면, 상기 음향아이콘(151a)을 사용자 아이콘(151b)의 후방 우측에 위치하도록 표시한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6의 경우 사용자 전방 좌측 차량(165)에서 위험사운드(165a)가 발생하면, 상기 음향아이콘(161a)을 사용자 아이콘(151b)의 전방 좌측에 위치하도록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내 음향인지용 화면(151)의 발생위치를 위험사운드 방향에 따라 달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5의 경우 음향인지용 화면(151)을 디스플레이내 우측상단에 생성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도 16의 경우 음향인지용 화면(151)을 디스플레이내 좌측상단에 생성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관련하여, 상기 음향아이콘(151a, 161a)은 위험사운드(155a, 165a)의 크기에 따라 크기가 조절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다른 대안으로 상기 음향아이콘(151a, 161a)은 위험사운드(155a, 165a)의 크기에 따라 색깔이 변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위험사운드 크기가 일정 레벨 이상이면 붉은색 음향아이콘(151a, 161a)으로, 위험사운드 크기가 일정 레벨 이하이면 노란색 음향아이콘(151a, 161a)으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음향아이콘(151a, 161a)의 크기 조절 및 색깔 변화를 함께 고려하여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된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상기 전술한 제 1, 2, 3 실시예들은 독립적으로 동작가능함은 물론, 서로 통합되어 함께 구성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제1 실시예에 의한 도 3의 충돌방지 프로세스(300)는 제2 실시예에 의한 도 7의 충돌방지 프로세스(700)와 함께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움직임 있는 전방 물체는 도 3의 충돌방지 프로세스(300)로, 움직임 없는 전방 물체는 도 7의 충돌방지 프로세스(700)로 구현함이 가능하다.
또한, 제3 실시예에 의한 도 12의 음향인지 프로세스(1200)는, 제1 실시예에 의한 도 3의 충돌방지 프로세스(300) 및/또는 제2 실시예에 의한 도 7의 충돌방지 프로세스(700)와 함께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도 11의 제어부(111)는 음향인지 프로세서(273)외에 충돌방지 프로세서(271, 2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술한 제 1, 2, 3 실시예들은 독립적으로 구현할 지 또는 서로 통합하여 함께 구현할 지 여부는, 본 발명 휴대기기 제품을 디자인하는 설계자의 디자인 선택사항에 해당됨은 자명하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휴대기기의 제어부(27, 63, 111)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21 : 통신수단
22 : 카메라 모듈
23 : 오디오 출력수단
24 : 오디오 인터페이스
25, 62 : 메모리
26 : 디스플레이
27, 63, 111 : 제어부
61 : 초음파 센서 모듈
120 : 유선 이어셋
130 : 무선 이어셋
22 : 카메라 모듈
23 : 오디오 출력수단
24 : 오디오 인터페이스
25, 62 : 메모리
26 : 디스플레이
27, 63, 111 : 제어부
61 : 초음파 센서 모듈
120 : 유선 이어셋
130 : 무선 이어셋
Claims (16)
- 이동중 휴대기기 사용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이동중 휴대기기를 사용시, 휴대기기 후면 일측에 부착된 카메라를 통해 전방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전방 물체의 움직임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와,
움직임 있는 전방 물체를 감지시, 휴대기기 디스플레이 일측에 상기 획득된 전방 물체의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충돌방지 제어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전방 물체의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단에 기존 디스플레이 화면과 오버랩(overlap)없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충돌방지 제어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전방 물체의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내 사용자 시선을 벗어난 위치에 기존 디스플레이 화면과 오버랩(overlap)되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충돌방지 제어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전방 물체의 움직임이 없는 경우, 해당 물체가 사용자 보행에 위협되는 장애물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장애물체로 판단시, 휴대기기 디스플레이 일측에 상기 획득된 전방 물체의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충돌방지 제어방법.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물체 여부 판단 단계는,
휴대기기내 초음파 센서를 활용하여 전방 물체를 인식하고, 인식된 전방 물체가 휴대기기 메모리내에 저장된 장애물체 리스트와 일치하는 경우 해당 전방 물체를 장애물체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충돌방지 제어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기 후면 일측에 부착된 카메라는, 일정 크기의 전방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자동으로 틸트(tilt)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충돌방지 제어방법. - 유선 또는 무선 이어셋이 연결된 상태로 이동중 휴대기기 사용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이어셋이 연결된 상태로 이동중 휴대기기를 사용시, 휴대기기 주변의 위험사운드 감지 및 위험사운드의 방향을 인지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기기 디스플레이 일측에 상기 인지된 위험사운드 방향을 경고하는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위험사운드 음향인지 제어방법.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화면내에는, 위험사운드 방향을 인지할 수 있는 기설정된 아이콘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위험사운드 음향인지 제어방법. - 카메라 모듈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휴대기기에 있어서,
이동중 휴대기기 사용으로 판단시, 상기 카메라 모듈를 통해 움직임 있는 전방 물체를 감지시, 상기 디스플레이 일측에 상기 획득된 전방 물체의 영상을 제공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전방 물체의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단에 기존 디스플레이 화면과의 오버랩(overlap)없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전방 물체의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내 사용자 시선을 벗어난 위치에 기존 디스플레이 화면과 오버랩(overlap)되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전방 물체의 특징을 감지하는 초음파 센서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음파 센서 모듈로 부터 획득된 전방 물체 특징이 사용자 보행에 위협되는 장애물체로 판단시, 상기 디스플레이 일측에 상기 획득된 전방 물체 영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물체 여부 판단을 위한 장애물체 리스트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일정 크기의 전방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자동으로 틸트(tilt)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 유선 또는 무선 이어셋을 연결하는 연결수단 및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는 휴대기기에 있어서,
상기 이어셋이 연결된 상태로 이동중 휴대기기를 사용시, 휴대기기 주변의 위험사운드 및 상기 위험사운드의 방향을 인지하고, 상기 휴대기기 디스플레이 일측에, 상기 인지된 위험사운드 방향을 경고하는 화면을 제공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화면내에는, 위험사운드 방향을 인지할 수 있는 기설정된 아이콘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00559A KR20170081472A (ko) | 2016-01-04 | 2016-01-04 | 휴대기기 및 휴대기기를 활용한 충돌방지 및 위험사운드 음향인지 제어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00559A KR20170081472A (ko) | 2016-01-04 | 2016-01-04 | 휴대기기 및 휴대기기를 활용한 충돌방지 및 위험사운드 음향인지 제어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81472A true KR20170081472A (ko) | 2017-07-12 |
Family
ID=59353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00559A KR20170081472A (ko) | 2016-01-04 | 2016-01-04 | 휴대기기 및 휴대기기를 활용한 충돌방지 및 위험사운드 음향인지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81472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59497A (ko) * | 2017-11-23 | 2019-05-31 | 최용준 | 보행 보조 스마트 폰 |
CN112489363A (zh) * | 2020-12-04 | 2021-03-12 | 广东美她实业投资有限公司 | 基于智能无线耳机的后方来车预警方法、设备及存储介质 |
KR20230009054A (ko) * | 2021-07-08 | 2023-01-17 | (주)에리 |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휴대 전자기기 사용자의 보행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알림방법 및 이러한 방법이 적용된 휴대 전자기기 |
-
2016
- 2016-01-04 KR KR1020160000559A patent/KR2017008147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59497A (ko) * | 2017-11-23 | 2019-05-31 | 최용준 | 보행 보조 스마트 폰 |
CN112489363A (zh) * | 2020-12-04 | 2021-03-12 | 广东美她实业投资有限公司 | 基于智能无线耳机的后方来车预警方法、设备及存储介质 |
KR20230009054A (ko) * | 2021-07-08 | 2023-01-17 | (주)에리 |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휴대 전자기기 사용자의 보행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알림방법 및 이러한 방법이 적용된 휴대 전자기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412478B2 (en) | Reproduction of ambient environmental sound for acoustic transparency of ear canal device system and method | |
CN105679302B (zh) | 定向声音修改 | |
US10891953B2 (en) | Multi-mode guard for voice commands | |
EP3048805B1 (en) | Ear set device | |
US20200128322A1 (en) | Conversation assistance audio device control | |
CN108683761B (zh) | 发声控制方法、装置、电子装置及计算机可读介质 | |
CN108881568B (zh) | 显示屏发声的方法、装置、电子装置及存储介质 | |
CN105721983A (zh) | 具有图像捕获能力的听力设备 | |
KR20140091552A (ko) | 웨어러블 컴퓨팅 시스템상에 사운드 표시들을 디스플레이 | |
CN109429132A (zh) | 耳机系统 | |
KR101478951B1 (ko) | 비가청 근접 경고 신호 발생을 통한 보행자 안전 알림 방법 및 시스템 | |
US11599189B2 (en) | Head orientation tracking | |
US10523859B2 (en) | Portable camera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JP2015114726A (ja) | 情報伝達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情報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
US10397690B2 (en) | Earpiece with modified ambient environment over-ride function | |
KR20170081472A (ko) | 휴대기기 및 휴대기기를 활용한 충돌방지 및 위험사운드 음향인지 제어방법 | |
KR20150012972A (ko) |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및 그 제어 방법 | |
CN108958697A (zh) | 屏幕发声控制方法、装置以及电子装置 | |
CN108810198A (zh) | 发声控制方法、装置、电子装置及计算机可读介质 | |
US20190333361A1 (en) | Environment-aware monitoring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immersive environments | |
KR101750871B1 (ko) | 이어셋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 방법 | |
US11039265B1 (en) | Spatialized audio assignment | |
TWI471826B (zh) | 聲音偵測通報系統及方法 | |
CN109032008B (zh) | 发声控制方法、装置以及电子装置 | |
KR102606286B1 (ko)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를 이용한 소음 제어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WITB |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