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1273B1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1273B1
KR101321273B1 KR1020120029369A KR20120029369A KR101321273B1 KR 101321273 B1 KR101321273 B1 KR 101321273B1 KR 1020120029369 A KR1020120029369 A KR 1020120029369A KR 20120029369 A KR20120029369 A KR 20120029369A KR 101321273 B1 KR101321273 B1 KR 101321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king
user
camera
content
fron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9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7517A (ko
Inventor
안강일
윤경수
정성윤
권재균
임해용
장자순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29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1273B1/ko
Publication of KR20130107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7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1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1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76Cameras to detect unsafe condition, e.g. video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단말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이미지 또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카메라와 기능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보행 모드로 진입함을 감지하는 경우, 전방 영상을 촬영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온(ON)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 종류에 따라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전방 영상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기 콘텐츠 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보행 모드는, 사용자가 보행 중에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위험 물체를 피하도록 또는 사용자의 보행에 도움이 되는 보행 관련 정보를 표시하도록 하기 위한 동작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명세서는 보행자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 또는 보행자에게 보행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스마트폰 등의 보급으로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보다는 text 메시지 등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고정된 자리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하기도 하지만 스마트폰의 화면을 주시하면서 걸어다니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사용자들은 충돌 가능성이 있는 위험 물체 또는 장애물들을 피하기 위해 스마트폰의 화면을 주시하다가 한 번씩 고개를 들어 확인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명세서는 상기와 같은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사용자의 안전과 편의를 위해서, 이동 단말기에 구비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컨텐츠의 배경화면에 사용자 정면의 영상 및 보행 관련 정보를 표시해주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는 단말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이미지 또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카메라와 기능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보행 모드로 진입함을 감지하는 경우, 전방 영상을 촬영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온(ON)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 종류에 따라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전방 영상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기 콘텐츠 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보행 모드는, 사용자가 보행 중에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위험 물체를 피하도록 또는 사용자의 보행에 도움이 되는 보행 관련 정보를 표시하도록 하기 위한 동작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험 물체는 차량, 오토바이, 자전거, 전봇대, 건물, 사람 또는 배수구이며, 상기 보행 관련 정보는 사용자의 보행 방향을 알려주는 지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가속도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보행 중임이 확인되는 경우, 주변 통신 장치들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신호등 주변을 보행 중임이 확인되는 경우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보행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행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를 온(ON) 또는 활성화하며, 상기 전방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의 위치 또는 방향을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의 위치 또는 방향의 조절은, 지자계 센서, 자이로 센서(GYRO) 및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가 텍스트(text) 서비스인 경우, 상기 촬영되는 전방 영상의 전부를 상기 콘텐츠 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촬영되는 전방 영상의 전부 중 사용자가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위험 물체를 나머지 부분과 구별되어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가 영상 서비스인 경우, 상기 촬영되는 전방 영상의 일부를 상기 콘텐츠 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되, 상기 촬영되는 전방 영상의 일부는 사용자가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위험 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험 물체가 상기 단말기에 기 저장되어 있는 위험 물체와 동일한 경우, 상기 단말기에서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를 중단하고 사용자에게 위험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험 물체가 상기 단말기에 기 저장되어 있는 위험 물체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보행 관련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외부와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행 모드로의 진입이 주변 통신 장치들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신호등 주변을 보행 중임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등으로부터 현재 신호등의 신호 상태 및 주변 주행 차량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단말기에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보행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보행 모드에서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의 전방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에서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에 따라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전방 영상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기 콘텐츠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보행 모드는, 사용자가 보행 중에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위험 물체를 피하도록 또는 사용자의 보행에 도움이 되는 보행 관련 정보를 표시하도록 하기 위한 동작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행 모드로의 진입은, 가속도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보행 중임이 확인되는 경우, 주변 통신 장치들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신호등 주변을 보행 중임이 확인되는 경우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상기 단말기의 전방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는, 상기 보행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를 온(ON)하는 단계; 및 상기 전방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의 위치 또는 방향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콘텐츠가 텍스트(text) 중심의 서비스인 경우, 상기 촬영되는 전방 영상의 전부를 상기 콘텐츠 상에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촬영되는 전방 영상의 전부 중 사용자가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위험 물체를 나머지 부분과 구별되도록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콘텐츠가 영상 중심의 서비스인 경우, 상기 촬영되는 전방 영상의 일부를 상기 콘텐츠 상에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촬영되는 전방 영상의 일부는 사용자가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위험 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험 물체가 상기 단말기에 기 저장되어 있는 위험 물체와 동일한 경우, 상기 단말기에서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를 중단하고 사용자에게 위험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험 물체가 상기 단말기에 기 저장되어 있는 위험 물체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보행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는 이동 단말기에 구비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컨텐츠의 배경화면에 사용자 정면의 영상 및 보행 관련 정보를 표시해줌으로써, 사용자가 장애물 또는 위험 물체를 피하기 위해 한 번씩 고개를 드는 불편함을 해소해주고, 사용자가 장애물 또는 위험 물체를 미리 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들에서 개시되는 보행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 (a) 내지 (c)는 본 명세서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을 나타낸 도이다.
도 4 (a) 및 (b)는 본 명세서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을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카메라(120), 메모리(130), 제어부(140) 및 출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입력부, 센싱부, 인터페이스부 및 전원 공급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는 위치정보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위치정보 모듈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카메라(120)는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0)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3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 음향 출력 모듈, 알람부 및 햅틱 모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알람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메모리(130)는 제어부(14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제어부(controller, 14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는 가속도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보행 중임이 확인되는 경우, 주변 통신 장치들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신호등 주변을 보행 중임이 확인되는 경우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보행 모드로 진입하도록 상기 이동 단말기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보행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카메라를 온(ON)하며, 전방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의 위치 또는 방향을 조절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가 텍스트(text) 중심의 서비스인 경우, 촬영되는 전방 영상의 전부를 콘텐츠 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되, 촬영되는 전방 영상의 전부 중 사용자가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위험 물체를 나머지 부분과 구별되어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가 영상 중심의 서비스인 경우, 촬영되는 전방 영상의 일부를 콘텐츠 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위험 물체가 상기 이동 단말기에 기 저장되어 있는 위험 물체와 동일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를 중단하고, 사용자에게 위험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위험 물체가 상기 이동 단말기에 기 저장되어 있는 위험 물체와 동일하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 보행 관련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에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후술하는 실시 예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실시 예들이 상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조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들에서 개시되는 보행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이동 단말기(100)는 보행 모드로 진입한다(S210). 상기 보행 모드는 보행 중인 사용자가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위험 물체를 피하도록 또는 사용자의 보행에 도움이 되는 보행 관련 정보를 표시하도록 하기 위한 동작 모드를 말한다.
상기 위험 물체는 차량, 오토바이, 자전거, 전봇대, 건물, 사람, 배수구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모든 장애물들을 말한다. 또한, 상기 보행 관련 정보는 보행 중인 사용자의 보행 편의를 위해 제공되는 지시 정보로서 일 예로, 상기 보행 관련 정보는 사용자가 보행해야 할 방향을 지시하는 화살표 등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1) 사용자가 보행 중임을 감지하는 경우, 2) 사용자가 신호등 주변을 보행하고 있다고 감지하는 경우 또는 3) 사용자로부터 입력 등을 통해 보행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상기 1)의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가속도 센서(상기 이동 단말기에 구비)를 이용하여(또는 통해) 사용자가 보행 중인지를 알 수 있게 된다.(또는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의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통신부(상기 단말기에 구비)를 통해 수신되는 즉, 상기 이동 단말기 주변에 위치하는 통신 장치들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신호등 주변을 보행 중임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 단말기 주변에 위치하는 통신 장치들은 신호등, 주변 차량, 오토바이, 가로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3)의 경우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사용자 입력부(상기 이동 단말기에 구비)를 통해 보행 모드로의 진입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에 의한 보행 모드로의 진입 명령은 버튼 입력, 터치 입력 등과 같은 동작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보행 모드에서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방 영상을 촬영한다(S220).
여기서,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1) 내지 3)의 조건을 통해 사용자의 보행 모드로 진입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를 온(ON) 또는 활성화(activation)시킨다(S221).
그리고,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카메라의 위치 또는 방향이 지평선과 수평이 되어 있는지를 즉, 전방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상태인지를 확인한다(S222). 여기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카메라와 지평선과의 수평 유무는 지자계 센서,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GYRO)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파악할 수 있다.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카메라의 위치 또는 방향이 지평선(사용자가 서 있는 곳)과 수평이 되지 않은 경우(즉, 전방 영상을 촬영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는 지평선과 카메라가 수평이 되도록 상기 카메라의 위치 또는 방향을 조절한다(S223).
또한,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카메라의 위치 또는 방향이 상기 지평선과 수평이 되어 있는 경우, 상기 S223단계는 수행하지 않고 S230 단계를 수행한다.
이후,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의 종류(또는 타입, 형태, 속성)에 따라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전방 영상의 전부 또는 일부를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 상에 디스플레이한다(S230).
또한, 상기 S230 단계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전방 영상과 함께 보행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보행 관련 정보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행 관련 정보는 사용자(또는 보행자)의 충돌 가능성이 있는 위험 물체 또는 장애물이거나 이를 알리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이하 각 실시 예들을 통해, 이동 단말기가 전방 영상의 전부 또는 일부 또는 보행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제 1 실시 예
제 1 실시 예는 이동 단말기에서 현재 디스플레이되고(또는 실행되고) 있는 콘텐츠(content(s))가 텍스트(text) (중심) 서비스일 경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상기 콘텐츠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3 (a) 내지 (c)는 본 명세서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을 나타낸 도이다.
먼저, 도 3 (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S210~S220 단계를 수행한다.
이후,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전방 영상의 전부를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텍스트 서비스 관련(또는 중심) 콘텐츠(일 예로, SNS, SMS, ...)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또는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전방 영상의 전보를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텍스트 관련 콘텐츠의 배경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 상의 텍스트(text)가 없는 빈 영역에 상기 촬영되는 전방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3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텐츠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전방 영상에 위험 물체가 존재함을 알리는 위험 경고 메시지(일 예로, STOP(310))를 중첩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단말기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전방 영상 중 위험 물체에 해당하는 부분을 나머지 부분과 구별되도록 즉, 위험 물체 부분을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 단말기는 위험 물체에 해당하는 부분을 붉은색 테두리로 강조하거나, 다른 부분보다 크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 (c)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전방 영상 중 충돌 가능성이 있는 위험 물체(사람,320)에 대해 붉은색 테두리로 표시한 것을 볼 수 있다.
제 2 실시 예
제 2 실시 예는 이동 단말기에서 현재 디스플레이되고(또는 실행되고) 있는 콘텐츠가 영상 (중심) 서비스일 경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의 일부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4 (a) 및 (b)는 본 명세서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을 나타낸 도이다.
마찬가지로, 도 4 (a) 및 (b)에서도 먼저 이동 단말기(100)는 S210~S220 단계를 수행한다.
도 4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가 영상 중심의 서비스인 경우, 상기 촬영되는 전방 영상의 일부(410,420)를 상기 콘텐츠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촬영되는 전방 영상의 일부는 보행 중인 사용자의 충돌 가능성이 있는 위험 물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콘텐츠 상에 위험 물체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상기 위험 물체의 거리를 고려하여 즉, 원근감을 가지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 단말기는 위험 물체가 가까이 있는 경우, 상기 위험 물체를 크게 디스플레이하고(410), 위험 물체가 멀리 있는 경우, 상기 위험 물체를 작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420).
도 4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 내의 위험 물체가 메모리(130)에 기 저장되어 있는 위험 물체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 즉, 보행자에게 매우 위험한 상황임을 알릴 수도 있다. 즉, 상기 이동 단말기는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영상 중심의 콘텐츠를 중단시킴으로써, 매우 위험한 상황임을 알릴 수 있다.
즉,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촬영되는 영상 내의 위험 물체가 상기 이동 단말기에 기 저장되어 있는 위험 물체와 동일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를 중단하고 사용자에게 위험을 알리는 알림 정보(430)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알림 정보는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촬영되는 위험 물체가 메모리(130)에 기 저장되어 있는 위험 물체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 보행 중인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보행 관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또는 보행자가 신호등 근처(또는 주변)에 있음을 감지한 경우, 신호등 또는 주변 차량과 무선 통신(일 예로, 가시광 통신, RF 통신...)을 통해 주변 주행 차량 유무에 대한 정보, 신호등의 현재 신호 상태에 대한 정보, 현재 보행을 해도 안전한지 유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변 차량은 상기 이동 단말기로 상기의 정보들을 직접 알려줄 수도 있으며, 신호등을 통해(ITS 시스템) 알려줄 수도 있다.
100: 이동 단말기 130: 메모리
110: 무선통신부 140: 제어부
120: 카메라 150: 출력부

Claims (17)

  1. 단말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이미지 또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카메라와 기능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보행 모드로 진입함을 감지하는 경우, 전방 영상을 촬영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온(ON)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 종류에 따라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전방 영상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기 콘텐츠 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콘텐츠가 영상 서비스인 경우, 상기 촬영되는 전방 영상의 일부를 상기 콘텐츠 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촬영되는 전방 영상의 일부는 사용자가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위험 물체이고, 상기 위험 물체가 상기 단말기에 기 저장되어 있는 위험 물체와 동일한 경우, 상기 단말기에서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를 중단하고 사용자에게 위험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보행 모드는,
    사용자가 보행 중에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상기 위험 물체를 피하도록 또는 사용자의 보행에 도움이 되는 보행 관련 정보를 표시하도록 하기 위한 동작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물체는 차량, 오토바이, 자전거, 전봇대, 건물, 사람 또는 배수구이며, 상기 보행 관련 정보는 사용자의 보행 방향을 알려주는 지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가속도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보행 중임이 확인되는 경우, 주변 통신 장치들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신호등 주변을 보행 중임이 확인되는 경우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보행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행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를 온(ON) 또는 활성화하며,
    상기 전방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의 위치 또는 방향을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위치 또는 방향의 조절은,
    지자계 센서, 자이로 센서(GYRO) 및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가 텍스트(text) 서비스인 경우, 상기 촬영되는 전방 영상의 전부를 상기 콘텐츠 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촬영되는 전방 영상의 전부 중 사용자가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위험 물체를 나머지 부분과 구별되어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험 물체가 상기 단말기에 기 저장되어 있는 위험 물체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보행 관련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0. 제 3항에 있어서,
    외부와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행 모드로의 진입이 주변 통신 장치들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신호등 주변을 보행 중임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등으로부터 현재 신호등의 신호 상태 및 주변 주행 차량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1. 단말기에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보행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보행 모드에서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의 전방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에서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에 따라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전방 영상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기 콘텐츠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보행 모드는 사용자가 보행 중에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위험 물체를 피하도록 또는 사용자의 보행에 도움이 되는 보행 관련 정보를 표시하도록 하기 위한 동작 모드이고,
    상기 촬영되는 전방 영상의 일부는 사용자가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위험 물체이고,
    상기 콘텐츠가 영상 중심의 서비스인 경우, 상기 촬영되는 전방 영상의 일부를 상기 콘텐츠 상에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위험 물체가 상기 단말기에 기 저장되어 있는 위험 물체와 동일한 경우, 상기 단말기에서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를 중단하고 사용자에게 위험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 모드로의 진입은,
    가속도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보행 중임이 확인되는 경우, 주변 통신 장치들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신호등 주변을 보행 중임이 확인되는 경우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전방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는,
    상기 보행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를 온(ON)하는 단계; 및
    상기 전방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의 위치 또는 방향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가 텍스트(text) 중심의 서비스인 경우,
    상기 촬영되는 전방 영상의 전부를 상기 콘텐츠 상에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촬영되는 전방 영상의 전부 중 사용자가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위험 물체를 나머지 부분과 구별되도록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물체가 상기 단말기에 기 저장되어 있는 위험 물체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보행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20029369A 2012-03-22 2012-03-22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KR101321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369A KR101321273B1 (ko) 2012-03-22 2012-03-22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369A KR101321273B1 (ko) 2012-03-22 2012-03-22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7517A KR20130107517A (ko) 2013-10-02
KR101321273B1 true KR101321273B1 (ko) 2013-10-28

Family

ID=49630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9369A KR101321273B1 (ko) 2012-03-22 2012-03-22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127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17144A (zh) * 2015-07-31 2015-12-02 上海海漾软件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移动终端的提醒方法及装置
KR101827557B1 (ko) * 2017-03-06 2018-02-08 김찬용 보행 안전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28042B1 (ko) * 2016-08-19 2018-03-22 주식회사 하오문 데이터 저장 기능을 구비한 위험 상황 알림 시스템
KR20180078798A (ko) * 2016-12-30 2018-07-10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보행자를 위한 휴대용 충돌방지장치
KR20200033394A (ko) 2018-09-20 2020-03-30 윤성은 전방 위험 감지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3591B1 (ko) * 2014-09-29 2021-07-06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네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는 웨어러블 단말기 및 네비게이션 장치 및 그 표시 방법
KR101957597B1 (ko) 2017-10-17 2019-03-12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전방 감지 이동 단말기
CN107703648A (zh) * 2017-10-24 2018-02-16 福建太尔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定位和存储功能的智能眼镜
KR102081059B1 (ko) * 2017-11-23 2020-02-25 최용준 보행 보조 스마트 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6695A (ja) 2003-10-30 2005-05-26 Nec Corp 携帯情報装置、携帯電話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KR100684447B1 (ko) 2005-11-28 2007-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외부 상황 주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JP2008187700A (ja) 2007-04-24 2008-08-14 Kyocera Corp 携帯端末
KR20120021550A (ko) * 2010-08-06 2012-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 휴대 단말을 이용한 위험 감지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6695A (ja) 2003-10-30 2005-05-26 Nec Corp 携帯情報装置、携帯電話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KR100684447B1 (ko) 2005-11-28 2007-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외부 상황 주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JP2008187700A (ja) 2007-04-24 2008-08-14 Kyocera Corp 携帯端末
KR20120021550A (ko) * 2010-08-06 2012-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 휴대 단말을 이용한 위험 감지 장치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17144A (zh) * 2015-07-31 2015-12-02 上海海漾软件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移动终端的提醒方法及装置
KR101828042B1 (ko) * 2016-08-19 2018-03-22 주식회사 하오문 데이터 저장 기능을 구비한 위험 상황 알림 시스템
KR20180078798A (ko) * 2016-12-30 2018-07-10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보행자를 위한 휴대용 충돌방지장치
KR101827557B1 (ko) * 2017-03-06 2018-02-08 김찬용 보행 안전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033394A (ko) 2018-09-20 2020-03-30 윤성은 전방 위험 감지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7517A (ko) 2013-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1273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US935554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accident in portable terminal
US9975483B1 (en) Driver assist using smart mobile devices
US20150016001A1 (en) Preventing moisture damage to a device
US10610152B2 (en) Sleep state detec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EP380606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utomated guided vehicles, and storage medium
KR20140011053A (ko) 이동 단말기
CN111899545B (zh) 一种行车提醒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KR101910121B1 (ko) 보행자신호등의 신호정보 안내시스템
US201502814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based on movement of an electronic device
EP329363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updating operating system of electric vehicle
CA2978077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user distraction
US10609510B2 (en) Mobile electronic apparatus, mobile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a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warnings to a user of the apparatus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electronic apparatus
KR20170074217A (ko) 스크린 보호 방법 및 장치
WO201904445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VEHICLE, AND ROAD EDGE UNIT
CN106774902B (zh) 应用锁定方法及装置
EP3442204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ntrol system,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US11328154B2 (en) Systems and methods of increasing pedestrian awareness during mobile device usage
US9980093B1 (en) Mobile terminal device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CN112954265A (zh) 预警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JP2011205317A (ja) 携帯端末
JP2012169824A (ja) 携帯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178477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위치 정보 전송 방법, 이를 이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기록 매체
KR20210041178A (ko) 졸음 방지 앱의 구동 방법
KR101395980B1 (ko) 택시 어플리케이션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