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2195B1 - 보행 중 휴대폰 단말기 사용 시 스크린 오프 기능을 갖는 휴대폰 안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보행 중 휴대폰 단말기 사용 시 스크린 오프 기능을 갖는 휴대폰 안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2195B1
KR101682195B1 KR1020160007474A KR20160007474A KR101682195B1 KR 101682195 B1 KR101682195 B1 KR 101682195B1 KR 1020160007474 A KR1020160007474 A KR 1020160007474A KR 20160007474 A KR20160007474 A KR 20160007474A KR 101682195 B1 KR101682195 B1 KR 101682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phone terminal
screen
walkin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7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원영
Original Assignee
조원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원영 filed Critical 조원영
Priority to KR1020160007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21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2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2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M1/72519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GPS signal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 중 휴대폰 단말기 사용 시 스크린 오프 기능을 갖는 휴대폰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휴대폰 단말기(100) 사용자가 보행 중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110), 상기 휴대폰 단말기 사용자가 휴대폰 단말기(100)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카메라부(120), 및 상기 센서부(110)를 통해 감지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보행 중으로 판단되고, 상기 카메라부(120)를 통해 감지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휴대폰 단말기(100)를 사용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휴대폰 단말기(100)의 스크린을 오프 시키는 제어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보행 중 휴대폰 단말기 사용 시 스크린 오프 기능을 갖는 휴대폰 안전 시스템에 따르면, 보행 중 사용자가 휴대폰 단말기를 사용할 시, 휴대폰 단말기의 스크린을 오프시킴으로써, 보행 중 휴대폰 단말기를 사용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GPS 센서를 통해 측정된 휴대폰 단말기의 속도가 미리 지정된 사용자의 평균 보행 속도 값보다 큰 경우, 휴대폰 단말기의 스크린을 오프 시키지 않음으로써, 휴대폰 단말기를 자동차 또는 자전거에서 내비게이션으로 사용할 시, 휴대폰 단말기의 스크린이 오프되지 않고 내비게이션 기능을 잘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행 중 휴대폰 단말기 사용 시 스크린 오프 기능을 갖는 휴대폰 안전 시스템{MOBILE PHONE SAFE SYSTEM HAVING SCREEN OFF FUNCTION WHEN USER USE MOBILE PHONE WHILE WALKING}
본 발명은 스크린 오프 기능을 갖는 휴대폰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행 중 휴대폰 단말기 사용 시 스크린 오프 기능을 갖는 휴대폰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의 발달과 스마트폰의 기능이 향상됨에 따라, 스마트폰으로 뉴스보기, 이메일 확인, 게임, TV 시청, 영화 감상, SNS(Social Network Service) 및 모바일 앱 메신저 등을 포함한 다양한 기능들이 수행될 수 있게 되었다.
스마트폰 기기 하나로 이와 같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사람들의 스마트폰 의존도가 높아졌고, 생활 속에서 스마트폰을 활용하는 시간이 크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스마트폰의 사용은 생활 속에 편리함을 가져다 준 반면, 스마트폰 과다 의존으로 인한 디지털 치매, 스마트폰 중독 등의 사회 문제를 새롭게 대두시켰다. 특히, 최근에는 보행 중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한 부딪힘, 넘어짐, 추락, 교통사고 등 각종 안전사고가 급증하였고,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한 사망사고 등이 빈번하게 발생됨에 따라, 보행 중 스마트폰 사용이 큰 사회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보행 중 휴대폰 사용을 막을 수 있는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휴대폰의 스크린 오프 기술과 관련하여, 공개특허 특2002-0050774호(발명의 명칭: 이동 통신 단말기의 표시화면 오프 전환방법, 공개일자: 2002년 06월 27일) 등이 개시된 바 있지만, 보행 중 휴대폰 스크린 오프 기능을 제공하고 있지 않아 보행 중 휴대폰 사용으로 인해 발생 가능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보행 중 사용자가 휴대폰 단말기를 사용할 시, 휴대폰 단말기의 스크린을 오프시킴으로써, 보행 중 휴대폰 단말기를 사용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보행 중 휴대폰 단말기 사용 시 스크린 오프 기능을 갖는 휴대폰 안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GPS 센서를 통해 측정된 휴대폰 단말기의 속도가 미리 지정된 사용자의 평균 보행 속도 값보다 큰 경우, 휴대폰 단말기의 스크린을 오프 시키지 않음으로써, 휴대폰 단말기를 자동차 또는 자전거에서 내비게이션으로 사용할 시, 휴대폰 단말기의 스크린이 오프되지 않고 내비게이션 기능을 잘 수행할 수 있는, 보행 중 휴대폰 단말기 사용 시 스크린 오프 기능을 갖는 휴대폰 안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보행 중 휴대폰 단말기 사용 시 스크린 오프 기능을 갖는 휴대폰 안전 시스템은,
휴대폰 단말기 사용자가 보행 중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휴대폰 단말기 사용자가 휴대폰 단말기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보행 중으로 판단되고,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감지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휴대폰 단말기를 사용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휴대폰 단말기의 스크린을 오프 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부는,
상기 휴대폰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 및
상기 휴대폰 단말기의 방향을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부는,
상기 휴대폰 단말기의 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GPS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GPS 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휴대폰 단말기의 속도가 미리 지정된 속도 값보다 큰 경우, 상기 휴대폰 단말기의 스크린을 오프 시키지 않을 수 있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리 지정된 속도는,
평균 보행 속도인 4㎞/h 내지 5㎞/h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폰 단말기의 사용자가 보행 중에 상기 휴대폰 단말기를 사용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휴대폰 단말기의 스크린을 오프 시키기 전에, 상기 휴대폰 단말기의 스크린에 경고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고 메시지는 미리 지정된 시간동안 상기 휴대폰 단말기의 스크린에 표시되고, 상기 지정된 시간 이후에 상기 휴대폰 단말기의 스크린이 오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보행 중 휴대폰 단말기 사용 시 스크린 오프 기능을 갖는 휴대폰 안전 시스템에 따르면, 보행 중 사용자가 휴대폰 단말기를 사용할 시, 휴대폰 단말기의 스크린을 오프시킴으로써, 보행 중 휴대폰 단말기를 사용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GPS 센서를 통해 측정된 휴대폰 단말기의 속도가 미리 지정된 사용자의 평균 보행 속도 값보다 큰 경우, 휴대폰 단말기의 스크린을 오프 시키지 않음으로써, 휴대폰 단말기를 자동차 또는 자전거에서 내비게이션으로 사용할 시, 휴대폰 단말기의 스크린이 오프되지 않고 내비게이션 기능을 잘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중 휴대폰 단말기 사용 시 스크린 오프 기능을 갖는 휴대폰 안전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중 휴대폰 단말기 사용 시 스크린 오프 기능을 갖는 휴대폰 안전 시스템에서, 센서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중 휴대폰 단말기 사용 시 스크린 오프 기능을 갖는 휴대폰 안전 시스템에서, 휴대폰 단말기의 전면 카메라가 뉴스를 읽고 있는 사용자의 안구의 움직임을 체크하여 사용자가 휴대폰 단말기를 사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장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중 휴대폰 단말기 사용 시 스크린 오프 기능을 갖는 휴대폰 안전 시스템에서, 휴대폰 단말기를 미리 지정된 평균 보행 속도 이상의 속도로 주행 중인 차량에서 내비게이션으로 사용할 시, 휴대폰 단말기의 스크린이 오프되지 않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중 휴대폰 단말기 사용 시 스크린 오프 기능을 갖는 휴대폰 안전 시스템에서, 평균 보행 속도가 지정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중 휴대폰 단말기 사용 시 스크린 오프 기능을 갖는 휴대폰 안전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보행 중 휴대폰 단말기를 사용하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 휴대폰 단말기의 스크린을 오프 시키기 전, 스크린에 경고 메시지가 표시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중 휴대폰 단말기 사용 시 스크린 오프 기능을 갖는 휴대폰 안전 시스템에서, 스크린에 경고 메시지가 표시되는 시간을 지정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중 휴대폰 단말기 사용 시 스크린 오프 기능을 갖는 휴대폰 안전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 중 휴대폰 단말기 사용 시 스크린 오프 기능을 갖는 휴대폰 안전 시스템(10)은, 센서부(110), 카메라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중 휴대폰 단말기 사용 시 스크린 오프 기능을 갖는 휴대폰 안전 시스템(10)의 각각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센서부(110)는 휴대폰 단말기 사용자가 보행 중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센서부(11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중 휴대폰 단말기 사용 시 스크린 오프 기능을 갖는 휴대폰 안전 시스템에서, 센서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110)는 가속도 센서(112), 자이로 센서(114) 및 GPS 센서(11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센서부(110)를 구성하는 각 센서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가속도 센서(112)는 휴대폰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가속도 센서(112)는 휴대폰 단말기(100)의 가속도, 진동 및 충격 등의 동적 힘을 측정하여, 휴대폰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전형 가속도 센서는 압전 소자에 힘이 가해졌을 때 발생하는 전하를 검출하여 가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가속도는 그 크기에 비례하는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휴대폰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정보로 가공됨으로써, 휴대폰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고, 동전형 가속도 센서는 도체가 자계 속을 이동하면 그 속도에 비례하여 기전력이 발생하는데, 이때 발생하는 기전력의 세기를 검출하여 가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가속도는 그 크기에 비례하는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휴대폰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정보로 가공됨으로써, 휴대폰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으며, 서모형 가속도 센서는 전자의 변화를 정전용량을 통해 전류로 검출하여 가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가속도는 그 크기에 비례하는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휴대폰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정보로 가공됨으로써, 휴대폰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압전형 가속도 센서, 동전형 가속도 센서 및 서모형 가속도 센서 외에도 저항선 변형 게이지 가속도 센서 또는 반도체 변형 게이지 가속도 센서 등의 변형 게이지형 가속도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이처럼, 가속도 센서(112)를 통해 휴대폰 단말기(100)의 가속도를 측정하여 휴대폰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114)는 휴대폰 단말기(100)가 움직이는 방향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자이로 센서(114)는 휴대폰 단말기(100)의 회전상태를 3축으로 감지하여 회전하는 휴대폰 단말기(100)의 각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각속도는 그 크기에 비례하는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휴대폰 단말기(100)의 방향을 나타내는 정보로 가공됨으로써, 휴대폰 단말기(100)의 움직이는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휴대폰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112) 및 휴대폰 단말기(100)의 방향을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114)를 통해 검출된 두개의 정보를 조합하여 휴대폰 단말기 사용자가 보행 중인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GPS 센서(116)는 휴대폰 단말기(100)의 속도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휴대폰 단말기(100)에 탑재되어 있는 GPS 센서(116)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이동되는 휴대폰 단말기(100)의 속도가 측정될 수 있다.
카메라부(120)는 휴대폰 단말기 사용자가 휴대폰 단말기(100)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카메라부(120)는 휴대폰 단말기(100) 전면부에 탑재되어 있는 전면 카메라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부(120)는 휴대폰 단말기 사용자의 안구의 움직임을 체크하여 사용자가 휴대폰 단말기(100)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중 휴대폰 단말기 사용 시 스크린 오프 기능을 갖는 휴대폰 안전 시스템에서, 휴대폰 단말기의 전면 카메라가 뉴스를 읽고 있는 사용자의 안구의 움직임을 체크하여 사용자가 휴대폰 단말기를 사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장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폰 단말기(100)로 뉴스를 읽고 있는 경우, 휴대폰 단말기(100)에 탑재되어 있는 전면 카메라는 사용자의 안구의 움직임을 체크하고, 사용자의 안구가 움직이고 있다면, 사용자가 휴대폰 단말기(100)를 사용하고 있다고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부(120)는 사용자의 눈썹과 눈 및 얼굴 형태를 인식하여 사용자가 휴대폰 단말기(100)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고, 사용자의 안구에서 반사되는 빛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휴대폰 단말기(100)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센서부(110)를 통해 감지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보행 중으로 판단되고, 카메라부(120)를 통해 감지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휴대폰 단말기(100)를 사용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휴대폰 단말기(100)의 스크린을 오프 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보행 중에 휴대폰 단말기(100)를 사용할 때만 휴대폰 단말기(100)의 스크린을 오프 시키고, 사용자가 휴대폰 단말기(100)를 사용 중이나 보행 중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휴대폰 단말기(100)의 스크린을 오프 시키지 않는다.
또한, 제어부(130)는 GPS 센서(116)를 통해 측정된 휴대폰 단말기(100)의 이동 속도가 미리 지정된 속도 값보다 큰 경우, 휴대폰 단말기의 스크린을 오프 시키지 않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중 휴대폰 단말기 사용 시 스크린 오프 기능을 갖는 휴대폰 안전 시스템에서, 휴대폰 단말기를 미리 지정된 평균 보행 속도 이상의 속도로 주행 중인 차량에서 내비게이션으로 사용할 시, 휴대폰 단말기의 스크린이 오프되지 않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예에 따라, 휴대폰 단말기(100)를 차량에서 내비게이션으로 사용하는 경우, 보행 중 휴대폰 단말기(100)를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되어 휴대폰 단말기(100)의 스크린이 오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어부(130)는 GPS 센서(116)를 통해 측정된 휴대폰 단말기(100)의 이동 속도가 미리 지정된 속도 값 보다 큰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 단말기(100)의 스크린을 오프 시키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지정된 속도 값은, 일반 사람들의 평균 보행 속도인 4㎞/h 내지 5㎞/h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평균 보행 속도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중 휴대폰 단말기 사용 시 스크린 오프 기능을 갖는 휴대폰 안전 시스템에서, 평균 보행 속도가 지정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예에 따라, 휴대폰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평균 보행 속도보다 빠를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본인에게 맞는 평균 보행 속도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접 입력하여 지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30)는 센서부(110) 및 카메라부(120)를 통해 감지된 정보를 바탕으로 휴대폰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보행 중에 휴대폰 단말기(100)를 사용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휴대폰 단말기(100)의 스크린을 오프 시키기 전, 휴대폰 단말기(100)의 스크린에 경고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중 휴대폰 단말기 사용 시 스크린 오프 기능을 갖는 휴대폰 안전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보행 중 휴대폰 단말기를 사용하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 휴대폰 단말기의 스크린을 오프 시키기 전, 스크린에 경고 메시지가 표시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에서 사용자가 보행 중 휴대폰 단말기(100)를 사용하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 휴대폰 단말기(100)의 스크린에 경고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휴대폰 단말기(100)에 표시되는 경고 메시지는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 휴대폰 단말기(100)의 스크린에 표시되고, 지정된 시간이 지나면 휴대폰 단말기(100)의 스크린은 오프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폰 단말기(100)의 스크린에 경고 메시지가 표시되는 시간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미리 지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중 휴대폰 단말기 사용 시 스크린 오프 기능을 갖는 휴대폰 안전 시스템에서, 스크린에 경고 메시지가 표시되는 시간을 지정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에 경고 메시지가 표시되는 시간을 5초로 지정한 경우, 경고 메시지가 5초 동안 스크린에 표시된 후, 스크린이 오프될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 10초로 지정한 경우, 경고 메시지가 10초 동안 스크린에 표시된 후, 스크린이 오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보행 중 휴대폰 단말기 사용 시 스크린 오프 기능을 갖는 휴대폰 안전 시스템(10)에 따르면, 보행 중 사용자가 휴대폰 단말기를 사용할 시, 휴대폰 단말기의 스크린을 오프시킴으로써, 보행 중 휴대폰 단말기를 사용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GPS 센서를 통해 측정된 휴대폰 단말기의 속도가 미리 지정된 사용자의 평균 보행 속도 값보다 큰 경우, 휴대폰 단말기의 스크린을 오프 시키지 않음으로써, 휴대폰 단말기를 자동차 또는 자전거에서 내비게이션으로 사용할 시, 휴대폰 단말기의 스크린이 오프되지 않고 내비게이션 기능을 잘 수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중 휴대폰 단말기 사용 시 스크린 오프 기능을 갖는 휴대폰 안전 시스템
100: 휴대폰 단말기 110: 센서부
112: 가속도 센서 114: 자이로 센서
116: GPS 센서 120: 카메라부
130: 제어부

Claims (7)

  1. 보행 중 휴대폰 단말기 사용 시 스크린 오프 기능을 갖는 휴대폰 안전 시스템(10)으로서,
    휴대폰 단말기(100) 사용자가 보행 중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110);
    상기 휴대폰 단말기 사용자가 휴대폰 단말기(100)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카메라부(120); 및
    상기 센서부(110)를 통해 감지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보행 중으로 판단되고, 상기 카메라부(120)를 통해 감지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휴대폰 단말기(100)를 사용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휴대폰 단말기(100)의 스크린을 오프시키는 제어부(130)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부(110)는,
    상기 휴대폰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112);
    상기 휴대폰 단말기(100)의 방향을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114); 및
    상기 휴대폰 단말기(100)의 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GPS 센서(116)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GPS 센서(116)를 통해 측정된 상기 휴대폰 단말기(100)의 속도가 미리 지정된 속도 값보다 큰 경우, 상기 휴대폰 단말기(100)의 스크린을 오프 시키지 않고,
    상기 미리 지정된 속도 값은 상기 휴대폰 단말기(100)를 통해 지정될 수 있으며,
    상기 휴대폰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보행 중에 상기 휴대폰 단말기(100)를 사용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휴대폰 단말기(100)의 스크린을 오프 시키기 전에, 상기 휴대폰 단말기(100)의 스크린에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며,
    상기 경고 메시지는 미리 지정된 시간동안 상기 휴대폰 단말기(100)의 스크린에 표시되고, 상기 지정된 시간 이후에 상기 휴대폰 단말기(100)의 스크린이 오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중 휴대폰 단말기 사용 시 스크린 오프 기능을 갖는 휴대폰 안전 시스템(10).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지정된 속도는,
    평균 보행 속도인 4㎞/h 내지 5㎞/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중 휴대폰 단말기 사용 시 스크린 오프 기능을 갖는 휴대폰 안전 시스템(10).
  6. 삭제
  7. 삭제
KR1020160007474A 2016-01-21 2016-01-21 보행 중 휴대폰 단말기 사용 시 스크린 오프 기능을 갖는 휴대폰 안전 시스템 KR101682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474A KR101682195B1 (ko) 2016-01-21 2016-01-21 보행 중 휴대폰 단말기 사용 시 스크린 오프 기능을 갖는 휴대폰 안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474A KR101682195B1 (ko) 2016-01-21 2016-01-21 보행 중 휴대폰 단말기 사용 시 스크린 오프 기능을 갖는 휴대폰 안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2195B1 true KR101682195B1 (ko) 2016-12-02

Family

ID=57571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7474A KR101682195B1 (ko) 2016-01-21 2016-01-21 보행 중 휴대폰 단말기 사용 시 스크린 오프 기능을 갖는 휴대폰 안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219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6851B1 (ko) * 2017-03-02 2017-08-24 (주)지란지교소프트 모바일 기기에서의 시선전환을 위한 화면 제어 방법
CN108881643A (zh) * 2018-08-17 2018-11-23 安徽星宇生产力促进中心有限公司 一种行走使用手机危险提醒装置及其使用方法
CN109327601A (zh) * 2017-08-01 2019-02-12 尧守财 一种基于手机屏幕状态的控制方法及手机
CN109587341A (zh) * 2018-12-24 2019-04-05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语音通话控制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148361B1 (ko) 2019-03-18 2020-08-26 노대훈 휴대 단말기용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KR102202395B1 (ko) 2020-10-12 2021-01-12 심정은 산업현장 보행 안전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84255A (ja) * 2008-05-22 2009-12-03 Casio Hitachi Mobile Communications Co Ltd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20021550A (ko) * 2010-08-06 2012-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 휴대 단말을 이용한 위험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140120618A (ko) * 2013-04-04 2014-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장치의 사고 방지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84255A (ja) * 2008-05-22 2009-12-03 Casio Hitachi Mobile Communications Co Ltd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20021550A (ko) * 2010-08-06 2012-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 휴대 단말을 이용한 위험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140120618A (ko) * 2013-04-04 2014-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장치의 사고 방지 방법 및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6851B1 (ko) * 2017-03-02 2017-08-24 (주)지란지교소프트 모바일 기기에서의 시선전환을 위한 화면 제어 방법
CN109327601A (zh) * 2017-08-01 2019-02-12 尧守财 一种基于手机屏幕状态的控制方法及手机
CN108881643A (zh) * 2018-08-17 2018-11-23 安徽星宇生产力促进中心有限公司 一种行走使用手机危险提醒装置及其使用方法
CN109587341A (zh) * 2018-12-24 2019-04-05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语音通话控制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148361B1 (ko) 2019-03-18 2020-08-26 노대훈 휴대 단말기용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KR102202395B1 (ko) 2020-10-12 2021-01-12 심정은 산업현장 보행 안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2195B1 (ko) 보행 중 휴대폰 단말기 사용 시 스크린 오프 기능을 갖는 휴대폰 안전 시스템
US10647252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US1081295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driver phone operation using vehicle dynamics data
US10298741B2 (en) Method and device for assisting in safe driving of a vehicle
US8717198B2 (en) Communication connec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mobile units in a vehicle
TWI493511B (zh) 駕駛狀態偵測系統、駕駛狀態偵測方法與電子裝置
JP6163017B2 (ja) 携帯端末、及び、危険報知システム
KR20190011488A (ko)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통신 회로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6912026B (zh) 一种乘车状态确定方法及装置
CN106339083B (zh) 基于智能穿戴设备自动切换至驾驶模式的方法及系统
CN104102007A (zh) 头戴式显示器及其控制方法
US20230027771A1 (en) Mobile terminal device with function limitation, function limitation method thereof, and processing program used in same
KR20130107517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CN105046886A (zh) 实现驾驶行为监管与提醒的方法、车辆及移动终端
Smirnov et al. Smartphone-based identification of dangerous driving situations: Algorithms and implementation
CN111243314A (zh) 信息提供系统、服务器、移动终端、非暂时性存储介质和信息提供方法
CN104309529B (zh) 一种预警提示方法、系统以及相关设备
CN107548466B (zh) 一种检测道路障碍物的方法及装置
JP2018077294A (ja) 使用者の注視点および移動速度を利用した電子機器の機能制限装置
CN108639056B (zh) 驾驶状态检测方法、装置以及移动终端
US9747871B2 (en) Portable terminal device, program, device shake compensation method, and condition detection method
CN114419609A (zh) 安全提示方法、提示装置、车辆及存储介质
KR101613022B1 (ko) 착용형 햅틱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보행 안내 정보 제공 방법
JP2014175688A (ja) 携帯端末、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2954002A (zh) 监控车辆的方法和车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