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2395B1 - 산업현장 보행 안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산업현장 보행 안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2395B1
KR102202395B1 KR1020200131159A KR20200131159A KR102202395B1 KR 102202395 B1 KR102202395 B1 KR 102202395B1 KR 1020200131159 A KR1020200131159 A KR 1020200131159A KR 20200131159 A KR20200131159 A KR 20200131159A KR 102202395 B1 KR102202395 B1 KR 102202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unit
worker
walking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1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진
심정은
Original Assignee
심정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정은 filed Critical 심정은
Priority to KR1020200131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23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2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2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산업현장에서 보행 중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산업현장 보행 안전 시스템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작업자의 단말기; 복수의 작업자가 구비하는 상기 단말기를 제어하는 서버; 상기 단말기에 형성되며, 상기 단말기의 진동 및 가속도를 측정함에 따라 상기 작업자의 보행을 감지하는 동작센서와, 상기 작업자를 인지함에 따라 상기 단말기 사용 여부를 감지하는 인지센서와, 상기 작업자의 위치를 식별하는 식별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한 정보 및 상기 서버의 정보를 송수신하는 제 1통신부; 상기 서버에 의하여 작업자의 상기 단말기를 관리하는 관리부; 상기 서버에 형성되며, 상기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제 2통신부; 상기 제 2통신부에 의하여 수신된 정보를 연산하는 연산부; 상기 연산부에 연산된 정보로 상기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서버에 형성되며, 상기 작업자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서버에 형성되며, 산업현장을 구획하는 구획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산업현장 보행 안전 시스템{Walking Safety System of Industries Site}
본 발명은 산업현장 보행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설현장 및 공장 등의 산업현장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단말기를 사용함에 따라 보행 중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산업현장 보행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허발명 001은 스마트폰에 가해지는 진동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보행 중인 것으로 판단하면 디스플레이의 동작을 차단하도록 하는 스마트폰 디스플레이의 제어방법으로서,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폰에 안전모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하는 제1단계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제2단계와; 상기 동작센서가 상기 스마트폰에 가해지는 진동을 감시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상기 동작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측정값을 분석하여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폰을 가지고 보행 중인지를 판단하는 제4단계와; 사용자가 보행 중인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한 영상의 출력을 차단시키는 제5단계와; 상기 제어부의 판단 결과, 사용자가 보행을 멈춘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영상 출력 기능을 회복시키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발명 002는 보행 중 휴대폰 단말기 사용 시 스크린 오프 기능을 갖는 휴대폰 안전 시스템은, 휴대폰 단말기 사용자가 보행 중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휴대폰 단말기 사용자가 휴대폰 단말기를 사용하는지 [0009] 여부를 감지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보행 중으로 판단되고,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감지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휴대폰 단말기를 사용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휴대폰 단말기의 스크린을 오프 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발명 003은 사용자가 단말기를 사용하는 상태에서 보행하는 경우, 보행 안전을 위해 경고를 실시하는 보행 사고 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가 보행 중임을 감지하여 보행신호를 생성하는 제1센서부; 상기 단말기에 설치되며, 상기 단말기의 화면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작동되는 경우, 화면작동신호를 생성하는 제2센서부; 상기 단말기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단말기의 전방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전면카메라; 상기 영상정보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전면카메라를 응시하는 각도를 연산함으로써 각도정보를 생성하는 연산부; 및 상기 보행신호와 상기 화면작동신호를 전달받은 상태에서 상기 각도정보에 따라 상기 각도가 기설정된 각도 범위 이내의 각도인 경우, 상기 단말기의 화면에 경고 메시지를 형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발명 004는 사용자가 횡단 보도나 위험 발생 지역을 보행하는 경우 스마트폰의 영상 재생 기능을 일시 중지시키는 스마트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스마트폰의 영상 재생상태를 감지하는 제1 감지부; 스마트폰 사용자의 보행 여부를 감지하는 제2 감지부 및 제3 감지부;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는 GPS 수신기;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초로 하여 주변 지도정보를 DB로부터 액세스하는 정보 리드부; 그리고 상기 제1 감지부의 감지 결과 상기 스마트폰에서 영상이 재생되는 도중 상기 사용자가 보행중이면, 상기 정보 리드부가 제공하는 주변 지도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의 영상 재생을 일시 중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KR 10-2018-0108091 A (2018년10월04일) KR 10-1682195 B1 (2016년11월28일) KR 10-2018-0058301 A (2018년06월01일) KR 10-1748557 B1 (2017년06월13일)
본 발명은 건설현장 및 공장 등의 산업현장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단말기를 사용함에 따라 보행 중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산업현장 보행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산업현장(10)에서 보행 중 작업자(20)의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산업현장 보행 안전 시스템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작업자(20)의 단말기(100); 복수의 작업자(20)가 구비하는 상기 단말기(100)를 제어하는 서버(600); 상기 단말기(100)에 형성되며, 상기 단말기(100)의 진동 및 가속도를 측정함에 따라 상기 작업자(20)의 보행을 감지하는 동작센서(210)와, 상기 작업자(20)를 인지함에 따라 상기 단말기(100) 사용 여부를 감지하는 인지센서(220)와, 상기 작업자(20)의 위치를 식별하는 식별센서(230)를 구비하는 센서부(200); 상기 센서부(200)에서 감지한 정보 및 상기 서버(600)의 정보를 송수신하는 제 1통신부(300); 상기 서버(600)에 의하여 작업자(20)의 상기 단말기(100)를 관리하는 관리부(400); 상기 서버(600)에 형성되며, 상기 단말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제 2통신부(610); 상기 제 2통신부(610)에 의하여 수신된 정보를 연산하는 연산부(620); 상기 연산부(620)에 연산된 정보로 상기 단말기(100)를 제어하는 제어부(630); 상기 서버(600)에 형성되며, 상기 작업자(20)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640); 상기 서버(600)에 형성되며, 산업현장(10)을 구획하는 구획부(650);를 포함할 수 있다.
산업현장(10)에 복수로 설치되며, 산업현장(10)의 위치, 형상, 통로,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측정장치(500); 상기 측정장치(500)는 산업현장(10)을 적외선, 3D스캔, 촬영 중 적어도 하나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동작센서(210)는 작업자(20)의 보행에 따른 진동을 측정하는 가속도센서(211); 상기 작업자(20)의 방향을 감지하는 자이로센서(2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인지센서(220)는 상기 단말기(100)의 전방카메라에 의하여 작업자(20)의 얼굴 및 홍채를 인식하는 안면인지센서(221); 상기 단말기(100)의 화면에 접촉되는 작업자(20)의 터치 압력을 인지하는 터치인지센서(22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식별센서(230)는 상기 단말기(100)의 후방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의 흔들림을 판별하는 판별센서(231); 상기 단말기(100)에 형성되며, 작업자(20)의 위치 및 속도를 측정하는 GPS(23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관리부(400)는 작업자(20)의 보행 중 상기 단말기(100)의 화면을 차단하는 차단부(410); 작업자(20)의 보행 중 상기 단말기(100)의 화면에 경고창(421)을 표출하는 표출부(420); 상기 단말기(100)의 어플리케이션 삭제를 방지하는 앱차단방지부(4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관리부(400)는 작업자(20)의 작업 과정 중 상기 단말기(100) 사용을 위하여 상기 단말기(100)를 활성화하는 활성화부; 상기 활성화부는 상기 단말기(100)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비밀번호, 패턴, 서버(600)에 의한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제 2통신부(610)는 상기 제어부(630)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100)를 제어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611); 상기 단말기(100)로 고주파를 송신하여 데이터 및 어플리케이션을 강제 차단하는 차단송신부(6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640)는 상기 서버(600)로 수신되는 작업자(20)의 동선 및 상기 단말기(100) 사용패턴을 수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산업현장에서 작업자의 이동 동선 및 작업 과정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작업자의 얼굴 및 홍채를 인식하여 작업자가 단말기를 사용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말기의 진동 및 충격을 감지하여 작업자의 보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산업현장 및 위험지역을 설정하여 작업자의 보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산업현장 보행 안전 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
도 3 내지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산업현장 보행 안전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산업현장(10)에 측정장치(500)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부(200)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부(400)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설명을 좀더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두께, 넓이 등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하였는바, 본 발명의 두께, 넓이 등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떠한 부분이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고 할 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부분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다른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업현장 보행 안전 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산업현장 보행 안전 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산업현장 보행 안전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산업현장 보행 안전 시스템은 산업현장(10)에서 작업하는 작업자(20)가 보행 중 단말기(100)를 사용하여 위험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건설현장, 공장 등과 같이 산업현장(10)은 장비, 위험물등 다양한 위험요소에 의하여 작업자(20)가 위험에 노출된다. 이때, 작업자(20)는 위험요소를 확인하며 이동하여야 하는데 최근에는 스마트폰, 테블릿 등의 단말기(100)가 보급되어 작업자(20)가 보행 중 단말기(100) 사용으로 위험에 노출된다. 이러한 보행 중 단말기(100)를 사용하는 작업자(20)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위험지역에서 보행 중 작업자(20)의 단말기(100)를 차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산업현장 보행 안전 시스템은 산업현장(10)에서 작업하는 작업자(20)의 단말기(100)와 복수의 작업자(20)가 보유한 단말기(100)를 각각 제어하는 서버(600)가 형성된다. 서버(600)는 위험지역 내부 또는 외부에 형성되는 관제센터에 형성되며, 통신 등으로 복수의 단말기(100)를 제어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의 산업현장(10)은 건설현장, 공장 등이나 건설현장 및 공장에서 위험요소가 빈번히 발생할 수 있는 위험지역으로 한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산업현장(10) 전체를 위험지역으로 한정하여 작업자(20)의 단말기(100)를 제어하거나 산업현장(10) 내부의 위험지역을 설정하여 위험지역 내에서 작업하는 작업자(20)의 단말기(100)를 제어한다.
이때, 산업현장(10)은 지적도, 지도를 활용하여 설정하거나 도 5에 도시된 측정장치(500)를 활용하여 위험지역이 설정된다. 측정장치(500)는 산업현장(10) 전체에 복수로 설치되거나 위험지역에 복수로 설치된다. 이러한 측정장치(500)는 위험지역을 스캔하는 측정부와 측정부에서 측정한 영상 및 데이터를 서버(600)로 송부하는 통신장치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측정장치(500)는 적외선, 3D스캔, 카메라 촬영 등으로 위험지역이 설정되는 것으로 복수의 측정장치(500)가 설치된 사이로 통신이 진행됨에 따라 위험지역의 장치 등과 같은 위험요소와 작업자(20) 동선, 위험지역의 평면, 위치 등이 설정된다. 그리고 측정장치(500)에 의하여 측정된 위험지역은 공장 중 위험요소가 발생할 수 있는 위치나 작업장소 또는 복수의 층 중 위험요소가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을 위험요소로 설정하여 작업자(20)의 단말기(100)를 제어하나 화장실, 휴게실, 식당, 이동통로는 작업자(20)의 단말기(100)를 제어하지 않는다. 이때, 측정장치(500)에서 측정된 위험지역은 3D로 서버(600)에 저장되거나 표출된다. 이에 따라 산업현장(10)에 설정된 위험지역에서 보행 중 작업자(20)의 단말기(100) 사용을 차단함과 동시에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작업자(20)가 산업현장(10)에서 작업을 진행할 때 보행 안전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해야 하며, 보행 안전 어플리케이션은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구성에 의하여 작업자(20)의 보행을 판단한다. 보행 안전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단말기(100)는 작업자(20)의 보행을 감지하는 센서부(200)가 형성되며, 센서부(200)는 보행을 감지하는 동작센서(210)와, 상기 작업자(20)를 인지함에 따라 상기 단말기(100) 사용 여부를 감지하는 인지센서(220)와, 상기 작업자(20)의 위치를 식별하는 식별센서(230)를 구비한다.
상기 동작센서(210)와 상기 인지센서(2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20)의 보행 시 단말기(100)에서 진동 및 방향을 감지한다. 작업자(20)의 보행에 따른 진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동작센서(210)는 가속도센서(211)가 형성되며, 가속도센서(211)는 단말기(100)에 형성된다. 가속도센서(211)는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으로 단말기(100)의 가속도, 진동 및 충격 등의 동적 힘을 측정하여,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속도센서(211)는 압전소자에 진동 및 충격이 발생할 때 생성되는 전하를 검출하여 가속도를 측정하며, 측정된 가속도는 그 크기에 비례하는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정보로 가공된다. 이로 인해,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감지된다. 이러한 가속도센서(211)는 압전형, 동전형, 서모형, 저항선 변형 게이지, 변형 게이지형가 사용될 수 있다. 이처럼, 가속도센서(211)를 통해 단말기(100)의 가속도를 측정하여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동작센서(210)에 형성되는 자이로센서(212)는 작업자(20)의 방향을 감지하는 것으로 자이로센서(212)는 단말기(100)가 움직이는 방향을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자이로센서(212)는 단말기(100)의 회전상태를 3축으로 감지하여 회전하는 휴대폰 단말기(100)의 각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각속도는 그 크기에 비례하는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단말기(100)의 방향을 나타내는 정보로 가공됨으로써, 단말기(100)의 움직이는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인지센서(220)는 단말기(100)를 사용하는 작업자(20)를 인지하기 위하여 작업자(20)의 얼굴 및 홍채와 터치 압력을 인지하는 것이다. 인지센서(220)는 작업자(20)의 얼굴 및 홍채를 인식하는 안면인지센서(221)와 단말기(100)를 사용하는 작업자(20)를 판단하기 위하여 작업자(20)의 화면을 터치하는 것을 인지하는 터치인지센서(222)가 형성된다. 안면인지센서(221)는 단말기(100)의 전면에 형성되는 전방카메라를 활성화시켜 전방카메라에 의하여 작업자(20)의 얼굴 및 홍채를 인식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작업자(20)가 단말기(100)의 화면을 응시하는지 판단한다. 이때, 전방카메라는 작업자(20)의 얼굴 및 홍채를 촬영하는 것이며, 단말기(100)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얼굴 및 홍채 인식을 기능에 의하여 작업자(20)를 인지한다. 그리고 터치인지센서(222)는 단말기(100)의 화면을 터치함에 따라 발생되는 압력을 측정하여 작업자(20)가 단말기(100)를 사용하는지 인지할 수 있다.
그리고 식별센서(230)는 단말기(100)의 후방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및 작업자(20)의 위치를 측정하여 작업자(20)가 보행하는지 판단한다. 식별센서(230)는 판별센서(231)가 형성되며, 판별센서(231)는 단말기(100)의 후방카메라를 활성화시켜 작업자(20)가 이동하는지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후방카메라에서 촬영하는 영상이 흔들리는지 단말기(100)의 흔들림보정 기능을 활용한다. 이때, 후방카메라에서 촬영하는 영상이 일정 시간 변화될 경우 작업자(20)가 보행 중이라 판단한다. 그리고 식별센서(230)는 GPS(232)가 형성되며, 작업자(20)가 위험지역 내에서 보행 중인지 동선에서 이탈하지 않는지 식별할 수 있으며, 작업자(20)의 속도를 식별한다.
단말기(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200)에서 측정한 작업자(20)의 보행 여부를 제 1통신부(300)에 의하여 서버(600)로 송신할 수 있다. 제 1통신부(300)는 서버(600)로 작업자(20)의 정보를 송신함과 동시에 서버(600)에서 단말기(100)를 차단하기 위한 명령 등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통신부(300)는 서버(600)에서 수신된 정보에 의하여 단말기(100)를 차단하는 관리부(400)가 형성된다. 관리부(400)는 작업자(20)의 보행 중 상기 단말기(100)의 화면을 차단하는 차단부(410)와 작업자(20)의 보행 중 상기 단말기(100)의 화면에 경고창(421)을 표출하는 표출부(420)와 상기 단말기(100)의 어플리케이션 삭제를 방지하는 앱차단방지부(430)를 구비한다.
차단부(410)는 센서부(200)에서 측정한 정보에 의하여 작업자(20)가 보행 중이라 판단하면 단말기(100)의 전원을 차단하여 작업자(20)의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것이다. 차단부(410)는 단말기(100)의 전원 버튼을 조작할 때 발생되는 신호를 제어하는 것으로 작업자(20)가 보행 중이라 판단될 때 단말기(100)의 화면을 차단한다. 그리고 표출부(420)는 서버(600)에서 작업자(20)가 보행 중이라 판단할 경우 단말기(100)의 화면에 경고창(421)을 표출한다. 경고창(421)은 단말기(100)를 사용하며 보행함에 따라 발생하는 위험을 작업자(20)에게 인지시키는 것으로 차단부(410)에서 화면을 차단하기 전에 사전 경고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관리부(400)는 작업자(20)가 보행 중 단말기(100)의 화면을 차단하는 보행 안전 어플리케이션을 삭제하지 못하도록 앱차단방지부(430)가 형성된다. 앱차단방지부(430)는 서버(600)에서 정보를 수신받거나 비밀번호 및 패턴을 입력하여 보행 안전 어플리케이션을 차단하도록 관리자모드가 실행하는 것으로 관리자의 허락 없이 작업자(20)가 임의로 삭제하지 못하도록 한다. 그리고 관리부(400)는 작업자(20)가 단말기(100)에 의하여 정보를 받거나 보행 중 단말기(100)를 활용하여 작업을 진행하여야 할 때는 관리자모드로 전환하여 단말기(100)의 차단을 일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리부(400)는 서버(600)에서 각각의 작업자(20) 단말기(100)를 관리하는 것으로 작업자(20) 단말기(100)에서 보행 안전 어플리케이션이 차단되면 서버(600)로 전달되고, 단말기(100)의 화면이 차단되거나 경고창(421)이 발생하는 횟수 및 과정이 전달된다.
상기 서버(600)는 산업현장(10)의 외부 및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복수의 단말기(100)를 제어한다. 이때, 서버(600)는 상기 단말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제 2통신부(610)와 상기 제 2통신부(610)에 의하여 수신된 정보를 연산하는 연산부(620)와 상기 연산부(620)에 연산된 정보로 상기 단말기(100)를 제어하는 제어부(630)와 상기 작업자(20)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640)와 산업현장(10)을 구획하는 구획부(650)가 형성된다.
제 2통신부(610)는 서버(600)에 형성되는 것으로 복수의 단말기(100)에서 송신된 작업자(20)의 보행 여부를 수신받으며, 제어부(630)에서 전달된 정보를 단말기(100)로 전달한다. 제 2통신부(610)는 제어부(630)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100)를 제어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611)와 단말기(100)의 데이터를 강제 차단하는 차단송신부(612)를 구비한다. 이때, 제 2통신부(610)는 작업자(20)의 단말기(100)를 활성화하지 못하도록 데이터를 강제 차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말기(100)는 데이터에 의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것으로 제 2통신부(610)에 의하여 위험지역 내의 데이터를 차단할 수 있다.
연산부(620)는 센서부(200)에서 감지한 단말기(100)의 진동 및 충격, 방향, 위치 등을 연산하여 작업자(20)의 보행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연산부(620)는 단말기(100)를 보유한 작업자(20)의 이동 시간, 위치 등을 감지하여 보행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작업자(20)가 일정 시간 이동하고 멈추면 작업 중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와 같이 연산부(620)는 기준시간 및 기준거리를 설정하여 작업자(20)가 기준시간 및 기준거리를 초과할 경우 보행 중이라 판단한다.
제어부(630)는 연산부(620)에서 연산된 정보가 작업자(20)의 보행 중으로 연산될 경우 작업자(20)의 단말기(100)를 제어한다. 제어부(630)는 제 2통신부(610)에 의하여 단말기(100)의 관리부(400)로 명령을 전달하는 것으로 작업자(20)의 보행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연산부(620)와 제어부(630)에서 연산하거나 단말기(100)로 전달된 정보와 단말기(100)의 센서부(200)에서 감지된 정보는 저장부(640)로 저장될 수 있으며, 저장부(640)에 저장된 작업자(20)의 동선 및 단말기(100) 사용패턴을 수집하여 보행 안전 어플리케이션의 에러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저장부(640)는 과거의 정보와 현재의 정보를 비교하여 작업자(20)가 작업 공간을 이탈함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구획부(650)는 측정장치(500)와 함께 산업현장(10)을 외부 지역과 구분할 수 있으며, 인터넷 등의 지도와 지적도에 의하여 산업현장(10)을 구획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산업현장 보행 안전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산업현장 20: 작업자
100: 단말기 200: 센서부
210: 동작센서 211: 가속도센서
212: 자이로센서 220: 인지센서
221: 안면인지센서 222: 터치인지센서
230: 식별센서 231: 판별센서
232: GPS 300: 제 1통신부
400: 관리부 410: 차단부
420: 표출부 421: 경고창
430: 앱차단방지부 500: 측정장치
600: 서버 610: 제 2통신부
611: 송신부 612: 차단송신부
620: 연산부 630: 제어부
640: 저장부 650: 구획부

Claims (9)

  1. 산업현장(10)에서 보행 중 작업자(20)의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산업현장 보행안전 시스템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작업자(20)의 단말기(100);
    복수의 작업자(20)가 구비하는 상기 단말기(100)를 제어하는 서버(600);
    상기 단말기(100)에 형성되며, 상기 단말기(100)의 진동 및 가속도를 측정함에 따라 상기 작업자(20)의 보행을 감지하는 동작센서(210)와, 상기 작업자(20)를 인지함에 따라 상기 단말기(100) 사용 여부를 감지하는 인지센서(220)와, 상기 작업자(20)의 위치를 식별하는 식별센서(230)를 구비하는 센서부(200);
    상기 센서부(200)에서 감지한 정보 및 상기 서버(600)의 정보를 송수신하는 제 1통신부(300);
    상기 서버(600)에 의하여 작업자(20)의 상기 단말기(100)를 관리하는 관리부(400);
    상기 서버(600)에 형성되며, 상기 단말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제 2통신부(610);
    상기 제 2통신부(610)에 의하여 수신된 정보를 연산하는 연산부(620);
    상기 연산부(620)에 연산된 정보로 상기 단말기(100)를 제어하는 제어부(630);
    상기 서버(600)에 형성되며, 상기 작업자(20)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640);
    상기 서버(600)에 형성되며, 산업현장(10)을 구획하는 구획부(650);
    산업현장(10)에 복수로 설치되며, 산업현장(10)의 위치, 형상, 통로,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측정장치(500);
    측정장치(500)는 산업현장(10) 전체에 복수로 설치되거나 위험지역에 복수로 설치되는 것;
    상기 산업현장의 위치는 지적도 또는 지도를 활용하는 것;
    상기 측정장치는 적외선, 3D스캔, 카메라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의해 촬영되는 것;
    상기 측정장치(500)는 위험지역을 스캔하는 측정부 및 측정부에서 측정한 영상 및 데이터를 서버(600)로 송부하는 통신장치;
    복수의 측정장치(500) 사이로 통신 진행에 의한 위험요소, 작업자(20) 동선, 위험지역 평면위치를 설정하는 것;
    위험장소, 위험요소는 측정장치(500)에 의해 설정되어 작업자 단말기를 제어하는 것;
    측정장치(500)에서 측정된 위험지역은 3D로 서버(600)에 저장되거나 표출되는 것;
    위험지역에서 보행 중인 작업자(20)의 단말기(100)는 차단되는 것;
    설정된 기준시간 및 기준거리에 의해 상기 연산부가 보행여부를 판단하는 것;
    연산부(620)와 제어부(630)에서 연산된 정보가 상기 저장부로 저장되는 것;
    단말기(100)로 전달된 정보 및 단말기(100) 센서부(200)에서 감지된 정보가 상기 저장부(640)로 저장되는 것;
    저장부(640)에 저장된 작업자(20)의 동선 및 단말기(100) 사용패턴을 수집에 의해 보행 안전 어플리케이션의 에러율을 감소시키는 것;
    산업현장의 외부지역은 인터넷 지도 및 지적도에 의해 구획하는 것;
    를 포함하는 산업현장 보행 안전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센서(210)는 작업자(20)의 보행에 따른 진동을 측정하는 가속도센서(211);
    상기 작업자(20)의 방향을 감지하는 자이로센서(21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현장 보행 안전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센서(220)는 상기 단말기(100)의 전방카메라에 의하여 작업자(20)의 얼굴 및 홍채를 인식하는 안면인지센서(221);
    상기 단말기(100)의 화면에 접촉되는 작업자(20)의 터치 압력을 인지하는 터치인지센서(22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현장 보행 안전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센서(230)는 상기 단말기(100)의 후방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의 흔들림을 판별하는 판별센서(231);
    상기 단말기(100)에 형성되며, 작업자(20)의 위치 및 속도를 측정하는 GPS(23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현장 보행 안전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400)는 작업자(20)의 보행 중 상기 단말기(100)의 화면을 차단하는 차단부(410);
    작업자(20)의 보행 중 상기 단말기(100)의 화면에 경고창(421)을 표출하는 표출부(420);
    상기 단말기(100)의 어플리케이션 삭제를 방지하는 앱차단방지부(4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현장 보행 안전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앱차단방지부(430)는 작업자(20)의 작업 과정 중 상기 단말기(100)를 사용하기 위하여 비밀번호, 패턴, 서버(600)에 의한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하여 상기 단말기(100)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현장 보행 안전 시스템.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통신부(610)는 상기 제어부(630)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100)를 제어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611);
    상기 단말기(100)의 데이터를 강제 차단하는 차단송신부(61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현장 보행 안전 시스템.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640)는 상기 서버(600)로 수신되는 작업자(20)의 동선 및 상기 단말기(100) 사용 패턴을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현장 보행 안전 시스템.

KR1020200131159A 2020-10-12 2020-10-12 산업현장 보행 안전 시스템 KR102202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159A KR102202395B1 (ko) 2020-10-12 2020-10-12 산업현장 보행 안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159A KR102202395B1 (ko) 2020-10-12 2020-10-12 산업현장 보행 안전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2359 Division 2020-03-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2395B1 true KR102202395B1 (ko) 2021-01-12

Family

ID=74129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1159A KR102202395B1 (ko) 2020-10-12 2020-10-12 산업현장 보행 안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239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7662A (ko) * 2014-05-30 2015-12-09 이계정 근거리통신을 이용한 시설 보안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82195B1 (ko) 2016-01-21 2016-12-02 조원영 보행 중 휴대폰 단말기 사용 시 스크린 오프 기능을 갖는 휴대폰 안전 시스템
KR20170060973A (ko) * 2015-11-25 2017-06-02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산업재해 대응을 위한 드론 운용 방법 및 시스템
KR101748557B1 (ko) 2015-10-13 2017-06-20 천지민 도보 이동시 사고 발생 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폰
KR20180058301A (ko) 2016-11-24 2018-06-0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보행 사고 방지 시스템
KR20180108091A (ko) 2017-03-24 2018-10-04 주식회사 유텍 보행 중에 스마트폰 디스플레이를 차단하는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7662A (ko) * 2014-05-30 2015-12-09 이계정 근거리통신을 이용한 시설 보안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48557B1 (ko) 2015-10-13 2017-06-20 천지민 도보 이동시 사고 발생 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폰
KR20170060973A (ko) * 2015-11-25 2017-06-02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산업재해 대응을 위한 드론 운용 방법 및 시스템
KR101682195B1 (ko) 2016-01-21 2016-12-02 조원영 보행 중 휴대폰 단말기 사용 시 스크린 오프 기능을 갖는 휴대폰 안전 시스템
KR20180058301A (ko) 2016-11-24 2018-06-0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보행 사고 방지 시스템
KR20180108091A (ko) 2017-03-24 2018-10-04 주식회사 유텍 보행 중에 스마트폰 디스플레이를 차단하는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1062B2 (en) Mobile device edge view display insert
KR102295308B1 (ko) 신체 착용형 안전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사고 방지 제어방법
CN107438766B (zh) 基于图像的监视系统
EP2708982B1 (en) Method for guiding the user of a controller of a multimedia apparatus to move within recognizable range of the multimedia apparatus, the multimedia apparatus, and target tracking apparatus thereof
KR101485022B1 (ko) 행동 패턴 분석이 가능한 객체 추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US20230041612A1 (en) Monitoring device, monitoring method,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US20170264827A1 (en) Motion-sensor based remote control
NO20180028A1 (en) Integration of heads up display with data processing
CN113393652A (zh) 一种报警方法、系统、装置及存储介质
KR102202395B1 (ko) 산업현장 보행 안전 시스템
CN110781706B (zh) 安全带佩戴检测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622610B1 (ko) Uwb 센서를 이용한 홈 무선 네트워크 카메라 스마트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증 방법
CN110874947B (zh) 交通控制方法、装置及系统
JP2017010385A (ja) 携帯端末、警告出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4092889B (zh) 违规行为检测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JP7251407B2 (ja) センサ設置支援装置、センサ設置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272118B2 (ja) 侵入検知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侵入検知システム
KR102607788B1 (ko) 외부 충격의 영향을 표시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230004136A (ko) 안전 관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63833B1 (ko) 스마트폰을 활용한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102395234B1 (ko) 음주상태 예측시스템 및 예측방법
KR101445361B1 (ko) 현장 모니터링 장치
KR101844588B1 (ko) 실내 측위를 이용한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10101621A (ko) 카메라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70047436A (ko) 이동 단말을 이용한 위험 감지 및 통보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