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6477B1 -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6477B1
KR102116477B1 KR1020140041184A KR20140041184A KR102116477B1 KR 102116477 B1 KR102116477 B1 KR 102116477B1 KR 1020140041184 A KR1020140041184 A KR 1020140041184A KR 20140041184 A KR20140041184 A KR 20140041184A KR 102116477 B1 KR102116477 B1 KR 102116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dangerous area
location information
danger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1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6226A (ko
Inventor
주성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1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6477B1/ko
Publication of KR20150116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6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6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6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보행 중인 사용자의 보행 중 안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위험지역에 진입하는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여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 장치의 사용에 집중한 상태의 보행자의 위치를 기초로 위험지점에 진입하는 경우 푸시메시지를 전송하여 보행사고를 방지하는 동시에 목적지를 설정한 보행자에 대하여 환승역을 지나치지 않도록 보장할 수 있으며, 보행자의 이동상황을 기초로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의 사용자 위치를 예측하여, 예측된 사용자 위치에서 혼잡도가 높거나 치안 수준이 낮은 위험지역이 존재하는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주지시켜 사용자 장치의 사용을 자제시키고 보행에 집중하도록 유도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pedestrian,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본 발명은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보행 중인 사용자의 보행 중 안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위험지역에 진입하는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여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목적지를 안내하는 내비게이션 서비스는 주변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와 접목하여, 단순 길안내를 넘어 사용자의 이동 중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내비게이션 서비스는 주로 차량의 이동 상황에 대한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도보로 이동하는 보행자에 대한 서비스의 제공이 취약한 편이다.
특히, 차량의 경우 내비게이션 조작을 법적으로 용이하게 제한 가능하여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나, 최근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를 보행 중에 사용하는 사용자가 급증하면서, 단말기의 사용에 집중한 상태에서 보행 중에 경유하게 되는 횡단보도나 혼잡지역과 같은 위험지역에서 보행 중 전방 주시 태만으로 인한 사고 발생 확률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보행 중에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위험지역을 통지하여 보행자의 사고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서비스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115042호 [발명의 명칭: 시각 장애인을 위한 보행 장애물 경고 시스템 및 경고방법]
본 발명은 보행자의 보행 패턴을 고려하여 추후 예측되는 이동 위치와 사용자의 이동 위치 주변에 위치하는 위험지역을 고려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통지함으로써 보행 중인 사용자가 위험지역을 인지하여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사용자를 보호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혼잡지역이나 치안정보가 발생한 위험 지역에 대한 정보를 보행 중인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위험 지역을 안전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제공하여 사고 발생률을 현저히 낮출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 장치로부터 사용자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 수집부와,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위험지점 진입시 위험지점에 대한 지점정보를 포함하는 위험지점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위험지점 경고부와, 위치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되는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이동상황을 판단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 예측되는 위치에 대한 예측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이동상황 판단부 및 예측 위치정보의 위치를 포함하는 위험지역에 대한 위험지역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 위치정보를 기초로 위험지역 정보에 대응되는 위험지역 진입시 위험지역의 진입에 대한 알림 신호 및 위험지역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는 위험지역 알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알림신호는 사용자 장치에 대하여 화면 블라인드 처리, 위험지역에 대한 스크린 표출, 볼륨 제어, 진동 제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기지국 기반으로 트래픽 정보를 수집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의 트래픽이 검출되는 혼잡 지역이나 미리 설정된 보행자 보호 관련 검색어를 포함하는 컨텐츠 정보에 기록된 지역에 대응되는 위험지역 정보를 생성하는 위험지역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위험지역 관리부는 트래픽 또는 검색어에 대응되어 복수의 단계로 구분된 경고 수준에 따라 위험지역 정보를 생성하며, 위험지역 알림부는 위험지역 정보에 포함된 경고 수준을 사용자 장치에 표시하기 위한 경고신호를 생성하여 알림정보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위험지역 알림부는 사용자 장치로 경로정보를 제공하는 경로 서비스 제공 장치와 연동하여 사용자 장치에 대응되는 경로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위험지역 정보에 대응되는 위험지역을 우회하는 경로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위험지점 경고부는 지도정보에서 사용자 위치정보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위험지점에 진입시 지점정보 및 위험지점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경고 메시지를 포함하는 위험지점 알림 메시지를 푸시 메시지 형태로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사용자 장치는 사용자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정보 생성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위젯을 활성화시키는 위젯 활성화부, 위젯 활성화시 위젯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 장치로 사용자 위치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위치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에 예측되는 사용자의 예측 위치를 포함하는 위험지역에 대한 위험지역 정보를 수집하는 위험지역 수집부 및 사용자 위치정보를 기초로 위험지역 정보에 대응되는 위험지역 진입시 위젯을 통해 위험지역 정보 및 위험지역의 진입에 대한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경고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근접센서 및 지자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경고 제공부는 센서부의 센싱신호를 기초로 기설정된 수준 이상의 센싱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위젯을 통해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서비스 제공 장치가 사용자 장치로부터 사용자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서비스 제공 장치가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위험지점 진입시 위험지점에 대한 지점정보를 포함하는 위험지점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서비스 제공 장치가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이동상황을 판단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 예측되는 위치에 대한 예측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서비스 제공 장치가 예측 위치정보의 위치를 포함하는 위험지역에 대한 위험지역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 위치정보를 기초로 위험지역 정보에 대응되는 위험지역 진입시 위험지역의 진입에 대한 알림 신호 및 위험지역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에는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선택에 따른 위젯 활성화시 사용자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사용자 장치 및 사용자 장치로부터 사용자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위험지점 진입시 위험지점 정보를 포함하는 위험지점 메시지를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며,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이동상황을 판단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 예측되는 위치에 대한 예측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예측 위치정보의 위치를 포함하는 위험지역에 대한 위험지역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 위치정보를 기초로 위험지역 정보에 대응되는 위험지역 진입시 위험지역의 진입에 대한 알림 신호 및 위험지역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는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 장치의 사용에 집중한 상태의 보행자의 위치를 기초로 위험지점에 진입하는 경우 푸시메시지를 전송하여 보행사고를 방지하는 동시에 목적지를 설정한 보행자에 대하여 환승역을 지나치지 않도록 보장할 수 있으며, 보행자의 이동상황을 기초로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의 사용자 위치를 예측하여, 예측된 사용자 위치에서 혼잡도가 높거나 치안 수준이 낮은 위험지역이 존재하는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주지시켜 사용자 장치의 사용을 자제시키고 보행에 집중하도록 유도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이동에 따른 예측 위치를 산출하고, 해당 예측 위치를 포함하는 위험지역에 대한 정보를 미리 수집하여, 위험지역 진입시 보행자 보호를 위한 메시지 및 위험지역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의 주의를 유도할 수 있으며, 더불어 센서를 이용한 물체와의 접근 상황을 감지하여 경고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보행 중인 상태에서 사용자 장치의 사용에 집중하는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 장치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 장치의 위험지점 알림에 대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 장치의 위험지역 알림에 대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 장치의 위험지역 정보 생성에 대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에서 출력되는 알림정보에 대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 장치의 우회 경로 제공에 대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상세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보행자 보호를 위한 경고 신호 출력에 대한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순서도.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상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치(100)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 장치(210) 및 경로 서비스 제공 장치(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장치(100)는 이때, 통신망은 널리 알려진 다양한 통신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각 사용자 장치(100)는 내비게이션 단말기,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 장치(210) 및 경로 서비스 제공 장치(220)는 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 장치(210)는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위치정보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위험지점에 대한 진입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 장치(100)로 위험지점에 대한 지점정보를 포함하는 푸시 메시지 형태의 위험지점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여 사용자 장치(100)에서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장치(100)의 사용에 집중한 상태로 보행 중인 사용자에게 위험지점을 통지하여 보행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때,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 장치(210)는 위험지점마다 위험반경이 미리 설정되거나 미리 설정된 위험반경을 각 위험지점에 적용할 수 있으며, 위험반경에 진입시 사용자 장치(100)로 위험지점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여 보행 중인 사용자에게 위험을 통지할 수 있다.
한편,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 장치(210)는 사용자 위치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장치(100)로 경로정보를 제공하는 경로 서비스 제공 장치(220)로부터 경로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경로정보 상에 위치하는 미리 설정된 위험지점을 미리 수집하여 효율적으로 사용자 장치(100)로 각 위험지점 진입시마다 위험지점 알림 메시지를 푸시메시지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더하여,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 장치(210)는 사용자 위치정보를 누적 저장하여, 누적된 사용자 위치정보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에 예측되는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예측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예측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위치를 포함하며 충돌 가능성이 높거나 치안 수준이 낮은 위험지역에 대한 정보를 미리 수집하여 위험지역에서 주기적으로 푸시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위험지역을 보행중인 보행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구성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 장치의 상세 구성을 도 2 내지 도 6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 장치(210)의 상세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정보 수집부(211), 위험지점 경고부(212), 이동상황 판단부(213), 위험지역 알림부(214), 위험지역 관리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정보 수집부(211)는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사용자 위치정보를 수신하며, 위험지점 경고부(212)는 지도 DB(217)에 저장된 지도정보에서 위험지점 DB(218)에 설정된 위험지점에 대한 POI(Point Of Interest)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반경 내에 사용자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위치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의 위치가 위험지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반경 내로 진입하는 경우 위험지점에 대한 지점정보(POI 정보)를 포함하는 위험지점 알림 메시지(1)를 사용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위험지점은 횡단보도, 교차로 등과 같이 사고 발생 확률이 높은 지점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위험지점 경고부(212)는 목적지까지 도보로 이동하는 사용자의 위치정보와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장치(100)로 경로정보를 제공하는 경로 서비스 제공 장치(220)로부터 사용자 장치(100)로 전송한 경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험지점 경고부(212)는 경로정보를 기초로 대중 교통의 환승지점을 판단할 수 있으며, 각 환승지점을 위험지점으로 설정하여 위험지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반경 내에 진입시 사용자 장치(100)로 환승지점에 대한 지점정보를 포함하는 위험지점 알림 메시지(1)를 전송하여, 보행중인 사용자가 환승역을 지나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위험지점 경고부(212)는 위험지점 알림 메시지(1)를 푸시 메시지 형태로 전송할 수 있으며, 위험지점 DB(218)에 위험지점 각각에 대한 경고 메시지가 설정되어, 위험지점에 대한 지점정보와 함께 경고메시지를 위험지점 알림 메시지(1)에 포함시켜 전송함으로써, 현재 진입한 위험지점의 종류를 사용자가 판단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위험지점 알림 메시지는 사용자 위치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위험지점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 장치(100)는 사용자 위치정보 및 POI 정보가 표시된 지도정보와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 장치(210)는 보행 중인 사용자가 사용자 장치(100)의 사용에 집중한 상태에서 위험지점에 진입할 때, 교통사고 발생률이 높은 지점이나 환승이 필요한 지점을 알려 사고를 방지하고 환승역을 놓치지 않고 환승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 장치(210)는 보행자의 이동상황을 기초로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의 사용자 위치를 예측하여, 예측된 사용자 위치에서 혼잡도가 높거나 치안 수준이 낮은 위험지역이 존재하는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주지시켜 사용자 장치(100)의 사용을 자제시키고 보행에 집중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를 상술한 구성을 기초로 도 4에 도시된 구성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정보 수집부(211)는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 DB(216)에 누적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이동상황 판단부(213)는 누적 위치정보를 기초로 이동상황을 판단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에 예측되는 위치에 대한 예측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이동상황 판단부(213)는 사용자의 누적 위치정보에 따른 이동 패턴과 유사 또는 동일한 이동 패턴을 가진 타사용자 장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에 수신된 타사용자 위치정보를 사용자 DB(216)로부터 추출하여 사용자에 대한 예측 위치정보로 설정하거나, 누적 위치정보를 기초로 이동방향, 이동속도에 따른 이동벡터를 산출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에 이동벡터에 따라 산출된 위치를 예측 위치정보로 산출할 수도 있다.
이러한 예측 위치정보의 산출 실시예 이외에도, 이동상황 판단부(213)에 객체의 움직임 추적을 위한 다양한 추적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용이하게 예측 위치정보를 산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이동상황 판단부(213)는 예측 위치정보를 위험지역 알림부(214)로 제공하며, 위험지역 알림부(214)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험지역 DB(219)에 저장된 위험지역에 대한 위험지역 정보 중 예측 위치정보에 따른 위치를 포함하는 위험지역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위험지역은 위험지역 관리부(215)가 관리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험지역 관리부(215)는 기지국(10)으로부터 수신되는 트래픽 정보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트래픽이 검출되는 기지국(10)을 추출하고, 해당 기지국(10)에 대응되는 지역을 위험지역으로 설정하여 위험지역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해당 위험지역 정보를 위험지역 DB(219)에 지속적으로 갱신 및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위험지역 관리부(215)는 보행자 보호와 관련되어 미리 설정된 검색어를 기초로 방송국 서버나, 공공기관 서버 등과 같은 외부 서버(20)에 접속하여 해당 검색어를 포함하는 뉴스정보와 같은 컨텐츠 정보를 검색할 수 있으며, 해당 컨텐츠 정보에 기록된 지역정보를 지도 DB(217)에서 검색하여 검색된 POI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반경을 위험지역으로 설정하여 위험지역 정보를 생성하고, 해당 위험지역 정보를 위험지역 DB(219)에 갱신 및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위험지역 관리부(215)는 미리 설정된 검색어로, 사건, 사고, 치안, 위험 등과 같은 다양한 검색어가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위험지역 관리부(215)는 고정된 기지국을 기준으로 생성된 위험지역 정보와 같은 고정 형태의 위험지역 설정 뿐만 아니라, 실시간으로 다양한 지역에서 발생되는 사건 및 사고와 관련되어 위험지역을 설정하는 이동 형태의 위험지역 설정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사람이 밀집한 지역이나 치안수준이 낮아 주의가 요망되는 지역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위험지역을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위험지역 관리부(215)는 위험지역 정보 생성시 위험지역에 대응되는 지역범위에 대한 지역정보를 포함하는 위험지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위험지역 관리부(215)는 트래픽 정보를 기초로 생성되는 위험지역 정보를 밀집지역으로 설정하고, 밀집지역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충돌 방지를 위한 알림 메시지를 해당 위험지역 정보에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위험지역 관리부(215)는 검색어를 기초로 생성된 위험지역 정보를 치안 수준이 낮은 지역으로 설정하고, 치안 수준이 낮은 지역과 관련되어 미리 설정된 알림 메시지를 위험지역 정보에 추가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4의 구성을 바탕으로 설명하면, 위험지역 알림부(214)는 예측 위치정보에 따른 위치를 포함하는 위험지역 정보가 위험지역 DB(219)에서 존재하는 경우 위험지역 DB(219)로부터 위험지역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후, 위험지역 알림부(214)는 위치정보 수집부(211)로부터 사용자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위험지역 진입시 보행에 집중할 수 있도록 위험지역에 대한 진입을 알리기 위한 알림신호를 위험지역 정보와 함께 알림정보로 생성할 수 있으며, 알림정보를 사용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위험지역 알림부(214)는 사용자 위치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위험지역 정보에 따른 위험지역을 이탈하기 전까지 주기적으로 알림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장치(100)는 알림정보를 수신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치(100)에서 위험지역 정보에 포함된 지역정보(30)와 더불어 알림 메시지(30)를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장치(10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집 지역에 대한 위험지역 정보가 포함된 알림정보인 경우 위험지역 정보에 포함된 충돌 방지를 위한 알림 메시지(30)와 더불어 위험지역 정보에 포함된 지역정보(30)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10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어 기반으로 생성된 위험지역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정보를 수신한 경우 위험지역 정보에 포함된 치안 수준이 낮은 지역과 관련되어 설정된 알림 메시지(30)와 더불어 위험지역 정보에 포함된 지역정보(30)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위험지역 알림부(214)는 지도 DB(217)에서 위험지역 정보에 따른 위험지역에 대응되는 지도정보를 추출하고, 위치정보 수집부(211)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위치정보를 지도정보에 표시하여 지역정보로 생성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장치(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험지역 정보에 포함된 지역정보(30)의 출력시 사용자 위치가 표시된 위험지역에 대한 지도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위험지역 알림부(214)는 사용자 장치(100)에 대하여 화면 블라인드 처리, 위험지역에 대한 스크린 표출, 볼륨 제어, 진동 제어 등과 같은 알림 신호를 생성하여 알림정보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장치(100)는 위험지역 진입시 알림 정보에 포함된 알림 신호를 기초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사용 등과 같이 작업 중 상태를 제한하기 위한 블라인드 처리를 수행하거나 볼륨을 조절하거나 진동을 발생시키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여 알림 정보의 수신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동시에, 알림정보에 포함된 위험지역 정보를 스크린에 표출시켜 위험지역에 진입한 상태임을 보행 중인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성에서 위험지역 관리부(215)는 트래픽 또는 검색어를 기준으로 복수의 단계로 구분된 경고 수준에 따라 위험지역 정보에 대한 경고 수준을 설정하며, 위험지역 알림부(214)는 위험지역 정보에 설정된 경고 수준을 사용자 장치(100)에 표시하기 위한 경고신호를 생성하여 알림정보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한편, 위험지역 알림부(21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 서비스 제공 장치(220)와 연동하여 목적지를 설정하여 이동중인 사용자에 대응되어 생성된 예측 위치정보에 따른 위치가 위험지역에 포함되는 경우 해당 위험지역을 우회하는 경로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행중인 사용자의 충돌이나 사건 및 사고에 노출되지 않도록 위험지역을 우회하여 이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위험지역 알림부(214)는 사용자 위치정보를 기초로 위험지역을 진입한 사용자가 위험지역을 이탈하거나, 경로정보에 따른 목적지에 도착한 사용자 장치(100)에 대하여 위험지점 알림 메시지 및 알림정보의 전송을 중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100)의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정보 생성부(110), 위험지역 수집부(120), 경고 제공부(130), 센서부(140), 활성화부(150), 통신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활성화부(150)는 위젯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위젯을 활성화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사용자 입력에 따른 위젯 활성화시 위험지역 수집부(12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활성화된 위험지역 수집부(120)는 위치정보 생성부(110)를 통해 생성되는 사용자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통신부(160)를 통해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 장치(210)로 전송할 수 있으며,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 장치(210)는 사용자 위치정보 수신시 보행자 보호를 위한 사용자 장치(100)의 위젯에 대한 활성화를 인식하고, 위험지점 알림 메시지 및 알림정보를 사용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위험지역 수집부(120)는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 장치(210)로부터 수신된 위험지점 알림 메시지 수신시 활성화부(150)를 통해 활성화된 위젯을 통해 위험지점 알림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위험지역 수집부(120)는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 장치(210)로부터 사용자의 예측 위치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위험지역에 대한 알림정보를 사용자가 알림정보에 대응되는 위험지역에 진입하기 이전에 미리 수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고 제공부(130)는 사용자 위치정보를 기초로 이동상황을 판단하고, 알림정보에 포함된 위험지역 정보에 대응되는 위험지역에 진입시 활성화부(150)를 통해 활성화된 위젯을 통해 알림정보에 포함된 위험지역 정보와 더불어 알림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위험지역 수집부(120)는 사용자 위치정보 제공 없이도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 장치(210)로부터 통신부(160)를 통해 지상파를 이용한 단방향으로 알림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도 있다.
더하여, 경고 제공부(130)는 위험지역 진입시 지자기 센서, 근접센서 등을 포함하는 센서부(140)의 센싱신호를 기초로, 충돌방지를 위해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의 센싱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센싱신호를 기초로 근접하는 물체와의 이격 거리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경고신호를 활성화된 위젯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때, 경고 제공부(13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신호의 기준치를 복수 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별로 경고 신호가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검출되는 센싱신호에 해당하는 단계에 설정된 경고신호를 활성화된 위젯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경고 제공부(130)는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 장치(210)로부터 수신된 알림정보에 포함되는 위험지역 정보에 설정된 경고신호를 센싱신호에 따른 경고신호와 동일한 형태로 출력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해, 사용자 장치(100)는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 장치(210)로부터 위험지역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위험지역 진입시 보행자 보호를 위한 메시지 및 위험지역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의 주의를 유도할 수 있으며, 더불어 센서를 이용한 물체와의 접근 상황을 감지하여 보행 중인 상태에서 사용자 장치(100)의 사용에 집중하는 사용자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순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 장치(210)는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사용자 위치정보를 수신하며(S1),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위험지점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여(S2) 위험지점 진입시(S3) 위험지점에 대한 지점정보를 포함하는 위험지점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4).
한편,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 장치(210)는 사용자 위치정보를 누적 저장하고, 누적된 사용자 위치정보를 기초로 이동상황을 판단하여(S5)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 예측되는 위치에 대한 예측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6).
이후,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 장치(210)는 예측 위치정보의 위치를 포함하는 위험지역에 대한 위험지역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S7) 사용자 위치정보를 기초로 위험지역 정보에 대응되는 위험지역 진입시(S8) 위험지역의 진입에 대한 알림신호와 위험지역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S9).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 장치 등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및 캐리어 웨이브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사용자 장치,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 장치의 내장 메모리에 저장 및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 및 설치한 스마트 카드 등의 외장 메모리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장치,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 장치의 사용에 집중한 상태의 보행자의 위치를 기초로 위험지점에 진입하는 경우 푸시메시지를 전송하여 보행사고를 방지하는 동시에 목적지를 설정한 보행자에 대하여 환승역을 지나치지 않도록 보장할 수 있으며, 보행자의 이동상황을 기초로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의 사용자 위치를 예측하여, 예측된 사용자 위치에서 혼잡도가 높거나 치안 수준이 낮은 위험지역이 존재하는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주지시켜 사용자 장치의 사용을 자제시키고 보행에 집중하도록 유도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으로서, 내비게이션 시스템, 장애인 보행 안내 시스템, 대중교통 안내 시스템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
100: 사용자 장치 110: 위치정보 생성부
120: 위험지역 수집부 130: 경고 제공부
140: 센서부 150: 활성화부
160: 통신부 210: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 장치
211: 위치정보 수집부 212: 위험지점 경고부
213: 이동상황 판단부 214: 위험지역 알림부
215: 위험지역 관리부 216: 사용자 DB
217: 지도 DB 218: 위험지점 DB
218: 위험지역 DB 220: 경로 서비스 제공 장치

Claims (11)

  1. 사용자 장치로부터 사용자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 수집부;
    상기 위치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되는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판단되는 이동상황을 기초로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 예측되는 위치에 대한 예측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이동상황 판단부; 및
    상기 예측 위치정보의 위치를 포함하는 위험지역에 대한 위험지역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위치정보를 기초로 위험지역 정보에 대응되는 위험지역 진입시 상기 위험지역의 진입에 대한 알림 신호 및 상기 위험지역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는 위험지역 알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상황 판단부는,
    상기 사용자의 누적 위치정보에 따른 이동 패턴과 동일한 이동 패턴을 가진 타사용자 장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에 수신되는 타사용자 위치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예측 위치정보로 설정하는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신호는 상기 사용자 장치에 대하여 화면 블라인드 처리, 상기 위험지역에 대한 스크린 표출, 볼륨 제어, 진동 제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기지국 기반으로 트래픽 정보를 수집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의 트래픽이 검출되는 혼잡 지역이나 미리 설정된 보행자 보호 관련 검색어를 포함하는 컨텐츠 정보에 기록된 지역에 대응되는 위험지역 정보를 생성하는 위험지역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지역 관리부는 트래픽 또는 상기 검색어에 대응되어 복수의 단계로 구분된 경고 수준에 따라 상기 위험지역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위험지역 알림부는 상기 위험지역 정보에 포함된 경고 수준을 사용자 장치에 표시하기 위한 경고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알림정보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지역 알림부는 사용자 장치로 경로정보를 제공하는 경로 서비스 제공 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에 대응되는 경로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위험지역 정보에 대응되는 위험지역을 우회하는 경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지도정보에서 사용자 위치정보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위험지점에 진입시 상기 위험지점에 대한 지점정보 및 상기 위험지점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경고 메시지를 포함하는 위험지점 알림 메시지를 푸시 메시지 형태로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는 위험지점 경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 장치.
  7. 삭제
  8. 삭제
  9. 서비스 제공 장치가 사용자 장치로부터 사용자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가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판단되는 이동상황을 기초로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 예측되는 위치에 대한 예측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예측 위치정보의 위치를 포함하는 위험지역에 대한 위험지역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위치정보를 기초로 위험지역 정보에 대응되는 위험지역 진입시 상기 위험지역의 진입에 대한 알림 신호 및 상기 위험지역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예측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누적 위치정보에 따른 이동 패턴과 동일한 이동 패턴을 가진 타사용자 장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에 수신되는 타사용자 위치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예측 위치정보로 설정하는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11. 삭제
KR1020140041184A 2014-04-07 2014-04-07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116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184A KR102116477B1 (ko) 2014-04-07 2014-04-07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184A KR102116477B1 (ko) 2014-04-07 2014-04-07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226A KR20150116226A (ko) 2015-10-15
KR102116477B1 true KR102116477B1 (ko) 2020-05-28

Family

ID=54356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1184A KR102116477B1 (ko) 2014-04-07 2014-04-07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64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31468A (zh) * 2017-04-18 2017-10-03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移动终端的安全状况提醒方法及装置
KR102327478B1 (ko) * 2020-07-08 2021-11-17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전한 등굣길을 위한 지리적 위험 지점 기반 위험 평가 추론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2944A (ko) * 2010-02-11 2011-08-18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경로 안내 서비스 장치 및 방법, 이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KR101726849B1 (ko) * 2010-08-06 2017-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 휴대 단말을 이용한 위험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130115042A (ko) 2012-04-10 2013-10-21 주식회사 온비트 시각 장애인을 위한 보행 장애물 경고 시스템 및 경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226A (ko) 2015-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75289A1 (en) Moving Target of Interest Predictive Locating, Reporting, and Alerting
KR102478156B1 (ko) 관심 포인트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JP4088333B2 (ja) 通知システム、通知装置および通知方法
KR101566184B1 (ko) 안전경로를 생성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KR101768132B1 (ko) 안전 운전 유도 방법과 프로그램 및 이를 실행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 서버와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11052195B (zh) 路侧装置、行人装置、通信系统、异常探测方法以及异常通知方法
JP4569383B2 (ja) 車載装置
US20120143493A1 (en) Navigation system with abrupt maneuver monitoring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JP6301719B2 (ja) 歩行者通知システム
Sumi et al. An IoT-VANET-based traffic management system for emergency vehicles in a smart city
US9622048B2 (en) SNS based incident management
US20180322755A1 (en) Localized hazard alert system and method of use
US11475768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p-based geofencing for emergency vehicle
JP2018139033A (ja) 危険レベル決定装置、情報提供装置、危険レベル決定方法、情報提供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116477B1 (ko) 보행자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Ibrahim et al. A system for vehicle collision and rollover detection
KR101166075B1 (ko) 위치기반 사용자 보호 시스템 및 방법
KR101790267B1 (ko) 위험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0916315B1 (ko) 보호 시스템, 보호 장치 및 이의 운용 방법
KR101335924B1 (ko) 자연재해 위험지구 정보를 이용한 위험구간 예측정보 안내 시스템
KR101498582B1 (ko) 교통사고 데이터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18165695A (ja) 情報出力システム及び情報出力方法。
JP2019101803A (ja) 危険判定通知システムおよびその端末装置
KR101603906B1 (ko)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을 이용한 피보호자 관리시스템
KR101382205B1 (ko) 차량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교통정보 제공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