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3601B1 - 휴대단말장치의 사고 방지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장치의 사고 방지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3601B1
KR102023601B1 KR1020130036653A KR20130036653A KR102023601B1 KR 102023601 B1 KR102023601 B1 KR 102023601B1 KR 1020130036653 A KR1020130036653 A KR 1020130036653A KR 20130036653 A KR20130036653 A KR 20130036653A KR 102023601 B1 KR102023601 B1 KR 102023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sensor
portable terminal
dangerous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6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0618A (ko
Inventor
박정민
천재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6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3601B1/ko
Priority to US14/208,641 priority patent/US9355543B2/en
Publication of KR20140120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0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9/00Alarms responsive to two or more different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e.g. burglary and fire, abnormal temperature and abnormal rate of flow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장치의 사고 방지 방법은, 사용자의 휴대단말장치 이용 중, 사고를 방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센서를 통해 주변상황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주변상황정보를 분석하여 위험 대상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위험 대상에 매핑된 알림 서비스 또는 제어 서비스를 추출하는 과정 및 상기 추출된 알림 서비스 또는 제어 서비스를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장치의 사고 방지 방법 및 장치{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ACCIDENT}
본 개시는 휴대단말장치의 사고 방지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장치의 이용 중 센서를 통해 주변상황을 분석하여 위험대상을 파악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알림으로써,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단말장치의 사고 방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이동통신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전자수첩, 스마트 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등과 같이 이동하면서 통신 및 개인정보 처리가 가능한 휴대단말들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단말은 음성 통화, SMS(Short Message Service)/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등과 같은 메시지 전송, 영상통화, 전자수첩, 촬영, 이메일 송수신, 방송재생, 동영상재생, 인터넷, 전자상거래, 음악재생, 일정관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ing Service), 메신저, 사전, 게임 및 e-book과 같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기능들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휴대단말장치를 운전중이나 보행시에도 이용하는 사용자가 늘어남에 따라 최근 크게 불거지고 있는 문제가 있다.
최근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때와 장소를 불문하고, 길거리에서나 운전 중 휴대폰을 사용하는 사람들을 쉽게 볼 수 있다. 그러나 보행이나 운전 시 주변상황을 파악하지 못하고 휴대폰에만 집중하다가 교통사고 및 범죄의 표적이 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즉, 보행이나 운전 중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이용한 문자전송을 하거나 음악을 듣고, 인터넷 검색을 하는 등의 행동에 대해서 주변에 도사리고 있는 위험성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스마트폰에 심취되어 무단횡단을 일삼거나, 횡단보도에서 신호 대기 중 무의식적으로 앞으로 걸어 나가거나, 신호등이 녹색으로 바뀌어도 좌, 우에서 진행하는 차량을 반드시 확인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이를 게을리 하는 경우가 실제로 많다고 한다.
또한, 성 추행범은 지하철에서 스마트폰에 열중한 여성을 대상으로 성추행 범행을 저지르거나, 길거리에서 스마트폰 이용에 심취해 있는 여성을 대상으로 성폭력범죄 등 날치기 범죄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라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편 종래기술은 실행중인 SMS와 같은 애플리케이션과 카메라에 의해 촬영 중인 동영상 화면을 합성(merge)하여 동시에 두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동 시에 전방을 인지하도록 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즉, 종래 기술은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배경으로 카메라 영상이 오버랩되도록 하는데, 이는 사용자가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만 집중하게 되면 배경으로 주변 상황이 보이더라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위험을 경각시켜주는데 그다지 효과적인 방법이라 할 수 없다. 이는 부주의적 맹시(Inattentional blindness)로 인해 눈은 전방을 향하고 있지만 집중하지 못해 인지를 못하는 현상을 초래한다.
예컨대, 운전 중의 사고 통계를 기초로, 운전 중의 DMB 시청 시 전방 주시율이 50%로 떨어진다고 한다. 이는 면허 취소 기준인 혈중 알콜 농도 0.1%일 때의 전방 주시율인 72%보다 현저히 낮은 수치이다. 즉, 사용자가 사물에 초점을 두고 보지 않고, 주변상황을 배경으로 보거나 힐끗 보게 될 경우 주시율이 크게 떨어질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단말장치는 배경으로 주변 상황의 이미지나 영상을 제공하더라도 이것이 접근 대상과의 근본적인 사고 방지의 방법이 될 수 없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목적은 휴대단말장치의 이용 중 센서를 통해 주변상황을 분석하여 위험대상 및 위험상태를 파악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알림으로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휴대단말장치의 사고 방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장치의 사고 방지 방법은, 사용자의 휴대단말장치 이용 중, 사고를 방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센서를 통해 주변상황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주변상황정보를 분석하여 위험 대상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위험 대상에 매핑된 알림 서비스 또는 제어 서비스를 추출하는 과정 및 상기 추출된 알림 서비스 또는 제어 서비스를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장치의 사고 방지 장치는, 휴대단말장치의 주변상황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를 통해 획득한 주변상황정보를 분석하여 위험대상을 검출하고, 상기 위험대상에 매핑된 알림 서비스 또는 제어 서비스를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알림 서비스 또는 제어 서비스를 실행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위험대상에 매핑된 알림 서비스 또는 제어 서비스와 상기 주변상황정보의 비교 분석 대상인 미리 설정된 주변상황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는 휴대단말장치의 이용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주변상황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분석하여 위험대상 및 위험상태를 파악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알림으로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장치 이용 시 사고를 방지하는 휴대단말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장치 이용 시 사고를 방지하는 개략적인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3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장치 이용 시 사고를 방지하는 개략적인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4 내지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휴대단말장치 이용 중,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휴대단말장치는, 태블릿 PC, 이동 통신 단말기, 이동 전화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단말기,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단말기, EDGE(Enhanced Data GSM Envisonment)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및 디지털 방송(Digital Broadcasting) 단말기 및 ATM(Automated Teller Machine)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장치 이용 시 사고를 방지하는 휴대단말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장치 이용 시 사고를 방지하는 휴대단말장치는 센서부(100), 제어부(120), 저장부(130), 표시부(140), 오디오 처리부(150), 입력부(160) 및 무선 통신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개시의 센서부(100)는 휴대단말장치의 설계자에 의해 어느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자동으로 구동되거나, 사용자의 입력을 통한 선택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센서부(100)는 휴대단말장치에 내장되어, 상기 휴대단말장치의 주변상황정보를 획득하는 역할을 한다.
센서부(100)는 이미지 센서부(102), 모션 센서부(104), 소리 감지부(106), 온도 센서부(108), 근접 센서부(109), 환경 센서(Environmental sensor)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외에도 휴대단말장치의 주변상황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센서라면 모두 수용할 수 있다. 이중에서 상기 모션 센서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관성 센서, 틸트 센서, 적외선 센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중 또는 대기상태에서 센서부(100)를 자동으로 구동시키거나, 사용자의 입력을 통한 선택에 따라 구동시킨다. 그리고, 센서부(100)를 통해 주변상황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위험 대상 또는 위험 상태를 검출한다. 제어부(120)는 검출된 상기 위험 대상 또는 위험 상태가 사용자에게 상해를 입힐 정도이거나 또는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판단하면, 상기 위험 대상 또는 위험 상태에 매핑된 제어 서비스 또는 알림 서비스를 추출하고, 추출된 제어 서비스 또는 알림 서비스를 실행한다.
여기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내재화 애플리케이션(embedded application) 및 서드파티 애플리케이션(3rd party 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내재화 애플리케이션은 휴대단말장치에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예컨대, 브라우저(browser), 이메일(email), 인스턴트 메신저(instant messenger) 등이 될 수 있다. 서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은 주지된 바와 같이 온라인 마켓으로부터 휴대단말장치에 다운로드되어 설치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으로서, 매우 다종다양하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 음성 감지 센서를 통해 획득한 소리, 모션센서를 통해 획득한 움직임, 온도 센서를 통해 획득한 온도값, 근접센서를 통해 획득한 감지한 근접 대상, 환경 센서를 통해 획득한 오염물질 수치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주변상황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람 및 사물을 감지하고, 사람이나 사물의 원근을 통해 접근성을 판단하여, 이를 통해 위험 대상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소리 감지 센서를 통해 획득한 소리를 분석하여 이를 통해 위험 대상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리 감지 센서를 통해 차량, 자전거, 기차, 전동차, 지하철, 응급차 등과 같은 운송수단의 경적, 소방 비상벨, 방범 비상벨, 고함 소리, 동물 울음 소리 등의 소리를 감지하고 분석하여, 이를 통해 위험 대상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모션 센서를 통해 획득한 휴대단말장치에 발생된 움직임을 분석하여 이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장치에의 충격, 충돌 발생, 낙하 발생 등의 위험 상태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온도 센서를 통해 획득한 온도 값을 분석하여 이를 통해 휴대단말장치 주변의 위험 상태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근접 센서를 통해 근접 대상이 감지되면, 이를 통해 휴대단말장치 주변에 근접한 사람이나 사물 등의 발생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환경 센서를 통해 유해 환경 물질이 일정 이상 검출이되면, 이를 통해 주변의 인체에 유해한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상기 위험 대상 또는 위험 상태 정도를 판단하여, 상기 위험 대상 또는 위험 상태의 정도에 따라 사용자에게 알림 및 주의를 주는 정도를 차별화한다.
즉, 위험의 정도가 높이 판단될수록 사용자에게 위험에 대한 주의를 강하게 알리거나, 아예 수행하던 휴대단말장치의 동작을 완전히 멈추거나 화면을 끄고, 반대로 위험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판단되면(사용자가 위험을 충분히 인지할 수 있는 수준), 화면 상에 동영상이나 그래픽과 같은 알림표시나 특정 경고음과 같은 알림 소리 또는 진동 실행, 라이트 턴온 실행 등을 제공한다.
예컨대, 이미지 센서에 의해 획득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검출된 사람이나 사물의 원근을 통한 접근성이 미리 설정된 기준보다 높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와 충돌의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상해를 입힐 정도의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모션 센서를 통해 획득한 상기 휴대단말장치에 발생된 움직임, 충돌, 충격 중 적어도 하나의 정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사용자에게 상해를 입힐 정도의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온도 센서를 통해 획득한 온도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보다 높다고 판단되면, 이를 통해 화재나 폭발 가능성이 있는 위험 대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상해를 입힐 정도의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근접 센서를 통해 감지된 근접 대상이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보다 더 가까운 것으로 판단되면, 이를 통해 사용자와 충돌 가능성이 높은 위험 대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환경 센서를 통해 측정한 유해 환경 물질이 일정 수치 이상으로 측정되면, 사용자가 접근하지 말아야 할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서비스는 휴대단말장치에서 동작중인 애플리케이션을 정지시키는 실행, 화면을 오프(off)시키는 실행, 알림 경고음을 제공하는 실행 등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이외에도 휴대단말장치의 이전 상태를 정지하거나 종료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켜 위험을 자각시킬 수 있는 방법이면 채용될 수 있다.
상기 알림 서비스는 휴대단말장치에서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중에 동시에 화면에 위험 상태를 알리는 문구, 기호, 아이콘이나, 위험 대상의 이미지, 위험 대상의 실루엣, 위험 대상에 따라 미리 지정된 이미지 등으로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는 메타포(metaphor)를 출력하는 실행, 동작 중인 화면의 명암을 어둡게 변경하는 실행, 위험을 알리는 동영상 콘텐츠 실행 등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이외에도 휴대단말장치의 원래 상태에서 위험 상태를 동시에 알릴 수 있는 방법이면 채용될 수 있다. 상기 구성된 메타포는 애플리케이션 실행화면, 대기화면 등 상에 출력하고, 그 크기나 투명도 설정을 통해 제어 가능하다.
저장부(130)는 제어부(120)의 보조기억장치로써, 디스크, 램(RAM), 롬(ROM) 및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제어부(120)의 제어 하에 휴대단말장치에서 생성되거나 무선 통신부(170) 또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통해 외부장치(예컨대, 서버,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등)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부팅 프로그램 및 휴대단말장치의 운용을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을 저장한다.
저장부(115)는 내재화 애플리케이션(embedded application) 및 서드파티 애플리케이션(3rd party application)을 포함한다. 서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은 설치 및 제어가 자유롭다. 휴대단말장치가 켜지면 먼저 부팅 프로그램이 제어부(120)의 주기억장치(예, RAM)로 로딩(loading)된다. 이러한 부팅 프로그램은 휴대단말장치가 동작할 수 있게 운영체제를 주기억장치로 로딩한다. 또한 운영체제는 애플리케이션들을 주기억 장치로 로딩하여 실행한다. 이러한 부팅 및 로딩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널리 공지되어 있는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특히,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30)는 주변상황정보 데이터베이스, 알림 서비스 데이터베이스, 제어 서비스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주변상황정보 데이터베이스는 휴대단말장치의 제조시 설계자에 의해 미리 저장된 예측되는 주변상황정보와, 위험 상태, 위험 대상 등을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표시부(120)는 터치패널 및 표시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터치패널은 표시패널에 안착될 수 있다. 터치패널은 터치패널에 대한 사용자의 제스처에 응답하여 아날로그 신호(예, 터치 이벤트)를 발생하고, 아날로그 신호를 A/D 변환하여 제어부(120)로 전달한다.
특히,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120)는 애플리케이션 실행화면, 대기화면, 부팅화면 등을 출력함과 동시에 제어부(120)에 의해 추출된 알림 서비스 표시하거나, 상기 실행화면, 홈 화면, 대기화면, 잠금 화면, 환경 설정 화면 등이 종료되거나 중단되거나, 알림 서비스에 의해 커버된(가려진)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휴대단말장치 이용 중, 알림 서비스 또는 제어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구동시키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50)는 스피커(SPK) 및 마이크(MIC)와 결합하여 음성 인식, 음성 녹음, 디지털 레코딩(recording) 및 통화기능을 위한 오디오 신호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150)는 제어부(120)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로 D/A 변환하고 증폭한 후 스피커(SPK)로 출력한다. 오디오 처리부(150)는 마이크(MIC)로부터 수신한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로 A/D 변환한 후 제어부(120)로 제공한다.
특히 본 개시의 오디오 처리부(150)는 제어부(120)에 의해 알림 서비스 또는 제어 서비스의 일환으로 스피커, 이어폰 또는 헤드셋으로 출력되던 콘텐츠 음향의 출력을 중단할 수 있다. 더불어, 별도의 경고음이나 상기 소리 감지 센서를 통해 검출된 특정 소리를 저장했다가, 상기 스피커, 이어폰 또는 헤드셋으로 출력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70)는 기지국 또는 다른 장치와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통신부(170)는 송신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frequency up converter) 및 전력 증폭하는 송신부와, 수신신호를 저잡음 증폭 및 주파수를 하강변환(frequency down converter)하는 수신부 등으로 구성된 RF통신부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변조부 및 복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변조부는 송신신호를 변조하여 송신부에 전달하며, 복조부는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한다. 이런 경우, 상기 변복조부는 LTE, WCDMA, GSM 등이 될 수 있으며, 또한 WIFI, WIBRO 등이 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70)는 공중 무선통신망 및/또는 인터넷 망에 접속되어 단말장치와 해당 망간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170)는 LTE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는 LTE 통신부 및 WIFI 통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
특히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부(170)는 제어부(120)에 의해 판단된 위험상태 또는 위험대상에 관한 정보를 미리 설정된 연락처로 자동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연락처는 설계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정해진 가족, 친구 등의 전화번호 또는 소방서, 경찰서, 파출소 등의 연락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장치 이용 시 사고를 방지하는 개략적인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휴대단말장치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구동시킨다.(동작 100)
여기서, 휴대단말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상태, 대기상태, 부팅상태 등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센서를 동시에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내재화 애플리케이션(embedded application) 및 서드파티 애플리케이션(3rd party 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내재화 애플리케이션은 휴대단말장치에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예컨대, 브라우저(browser), 이메일(email), 인스턴트 메신저(instant messenger) 등이 될 수 있다. 서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은 주지된 바와 같이 온라인 마켓으로부터 휴대단말장치에 다운로드되어 설치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으로서, 매우 다종다양하다.
또한, 상기 센서의 구동은 휴대단말장치의 설계자에 의해 어느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자동으로 구동되거나, 사용자의 입력을 통한 선택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휴대단말장치에 내장되어, 상기 휴대단말장치의 주변상황정보를 획득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상기 센서는 이미지 센서, 모션센서, 음성 감지 센서, 온도 센서, 근접 센서, 속도 감지 센서, 환경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고, 휴대단말장치의 주변상황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센서라면 모두 수용할 수 있다. 이중 상기 모션 센서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관성 센서, 틸트 센서, 적외선 센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20)는 주변상황정보를 획득 및 분석한다.(110 동작)
즉, 제어부(12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주변상황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 음성 감지 센서를 통해 획득한 소리, 모션센서를 통해 획득한 움직임, 온도 센서를 통해 획득한 온도값, 근접센서를 통해 획득한 감지한 근접 대상, 환경 센서를 통해 획득한 유해 환경 물질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주변상황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20)는 상기 110 동작에서 획득한 주변상황정보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위험 대상 또는 위험상태를 검출한다.(120 동작)
예컨대,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람 및 사물을 감지하고, 사람이나 사물의 원근을 통해 접근성을 판단하여, 이를 통해 위험 대상 또는 위험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또는, 음성 감지 센서를 통해 획득한 소리를 분석하여 이를 통해 위험 대상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감지 센서를 통해 차량, 자전거, 기차, 전동차, 지하철, 응급차 등과 같은 운송수단의 경적, 소방 비상벨, 방범 비상벨, 사람 목소리, 동물 음성 등의 소리를 감지하고 분석하여, 이를 통해 위험 대상 또는 위험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또는, 모션 센서를 통해 획득한 휴대단말장치에 발생된 움직임을 분석하여 이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장치에의 충격, 충돌 발생, 낙하 발생 등의 위험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또는, 온도 센서를 통해 획득한 온도 값을 분석하여 이를 통해 휴대단말장치 주변의 위험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또는, 근접 센서를 통해 근접 대상이 감지되면, 이를 통해 휴대단말장치 주변에 근접한 사람이나 사물 등의 발생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또는, 환경 센서를 통해 유해 물질을 감지하고, 상기 유해 물질의 정도를 측정하여 이를 통해 휴대단말장치 주변의 위험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20)는 상기 검출된 위험 대상 또는 위험 상태에 매핑된 제어 서비스 또는 알림 서비스를 추출한다.(130 동작)
상기 제어 서비스는 휴대단말장치에서 동작중인 애플리케이션을 정지시키는 실행, 화면을 오프(off)시키는 실행, 알림 경고음을 제공하는 실행 등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이외에도 휴대단말장치의 이전 상태를 정지하거나 종료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켜 위험을 자각시킬 수 있는 방법이면 채용될 수 있다.
상기 알림 서비스는 휴대단말장치에서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중에 동시에 화면에 위험 상태를 알리는 문구, 기호, 아이콘 등과 같은 메타포(metaphor)를 출력하거나, 위험 대상의 이미지를 출력하거나, 위험 대상의 실루엣을 출력하거나, 위험 대상에 따라 미리 지정된 이미지 등을 출력하는 실행, 동작 중인 화면의 명암을 어둡게 변경하는 실행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이외에도 휴대단말장치의 원래 상태에서 위험 상태를 동시에 알릴 수 있는 방법이면 채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20)는 상기 추출된 제어 서비스 또는 알림 서비스를 실행한다.(140 동작)
즉, 제어부(120)는 휴대단말장치에서 동작중인 애플리케이션을 정지시키거나, 화면을 오프(off)시키거나, 알림 경고음을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위험 상황을 알릴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휴대단말장치에서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중에 동시에 화면에 위험 상태를 알리는 문구, 기호, 아이콘이나, 위험 대상의 이미지, 위험 대상의 실루엣, 위험 대상에 따라 미리 지정된 이미지 등으로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는 메타포(metaphor)를 출력하는 실행, 동작 중인 화면의 명암을 어둡게 변경하는 실행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위험 상황을 알릴 수 있다. 상기 구성된 메타포는 애플리케이션 실행화면, 대기화면 등 상에 출력하고, 그 크기나 투명도 설정을 통해 제어 가능하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장치 이용 시 사고를 방지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휴대단말장치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구동시킨다.(동작 200)
여기서, 휴대단말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상태, 대기상태 등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센서를 동시에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내재화 애플리케이션(embedded application) 및 서드파티 애플리케이션(3rd party 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내재화 애플리케이션은 휴대단말장치에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예컨대, 브라우저(browser), 이메일(email), 인스턴트 메신저(instant messenger) 등이 도리 수 있다. 서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은 주지된 바와 같이 온라인 마켓으로부터 휴대단말장치에 다운로드되어 설치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으로서, 매우 다종다양하다.
또한, 상기 센서의 구동은 휴대단말장치의 설계자에 의해 어느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자동으로 구동되거나, 사용자의 입력을 통한 선택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휴대단말장치에 내장되어, 상기 휴대단말장치의 주변상황정보를 획득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상기 센서는 이미지 센서, 모션센서, 음성 감지 센서, 온도 센서, 근접 센서, 속도 감지 센서, 환경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고, 휴대단말장치의 주변상황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센서라면 모두 수용할 수 있다. 이중 상기 모션 센서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관성 센서, 틸트 센서, 적외선 센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20)는 주변상황정보를 획득 및 분석한다.(210 동작)
즉, 제어부(12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주변상황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분석할 수 있다. 예컨대,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 음성 감지 센서를 통해 획득한 소리, 모션센서를 통해 획득한 움직임, 온도 센서를 통해 획득한 온도값, 근접센서를 통해 획득한 감지한 근접 대상, 환경 센서를 통해 측정된 주변 유해 물질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주변상황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20)는 상기 210 동작에서 획득한 주변상황정보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위험 대상을 검출한다.(220 동작)
예컨대,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람 및 사물을 감지하고, 사람이나 사물의 원근을 통해 접근성을 판단하여, 이를 통해 위험 대상을 검출할 수 있다.
또는, 소리 감지 센서를 통해 획득한 소리를 분석하여 이를 통해 위험 대상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리 감지 센서를 통해 차량, 자전거, 기차, 전동차, 지하철, 응급차 등과 같은 운송수단의 경적, 소방 비상벨, 방범 비상벨, 고함 소리, 동물 울음 소리 등의 소리를 감지하고 분석하여, 이를 통해 위험 대상을 검출할 수 있다.
또는, 모션 센서를 통해 획득한 휴대단말장치에 발생된 움직임을 분석하여 이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장치에의 충격, 충돌 발생, 낙하 발생 등의 위험 상태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또는, 온도 센서를 통해 획득한 온도 값을 분석하여 이를 통해 휴대단말장치 주변의 위험 상태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또는, 근접 센서를 통해 근접 대상이 감지되면, 이를 통해 휴대단말장치 주변에 근접한 사람이나 사물 등의 발생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또는, 환경 센서를 통해 감지된 유해 물질을 통해 휴대단말장치 주변의 위험 상태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20)는 상기 검출된 위험 대상 또는 위험 상태가 사용자에게 상해를 입힐 정도인지 또는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수준인지 판단한다.(230 동작)
여기서, 230 동작의 위험 대상 또는 위험 상태 정도를 판단하는 이유는, 상기 위험 대상 또는 위험 상태의 정도에 따라 사용자에게 알림 및 주의를 주는 정도를 차별화하기 위함이다.
즉, 위험의 정도가 높이 판단될수록 사용자에게 위험에 대한 주의를 강하게 알리거나, 아예 수행하던 휴대단말장치의 동작을 완전히 멈추거나 화면을 끄고, 반대로 위험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판단되면(사용자가 위험을 충분히 인지할 수 있는 수준), 화면 상에 알림이나 알림 소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예컨대, 이미지 센서에 의해 획득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검출된 사람이나 사물의 원근을 통한 접근성이 미리 설정된 기준보다 높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와 충돌의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상해를 입힐 정도의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모션 센서를 통해 획득한 상기 휴대단말장치에 발생된 움직임, 충돌, 충격 중 적어도 하나의 정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사용자에게 상해를 입힐 정도의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온도 센서를 통해 획득한 온도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보다 높다고 판단되면, 이를 통해 화재나 폭발 가능성이 있는 위험 대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상해를 입힐 정도의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근접 센서를 통해 감지된 근접 대상이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보다 더 가까운 것으로 판단되면, 이를 통해 사용자와 충돌 가능성이 높은 위험 대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환경 센서를 통해 감지된 유해 물질의 유해 정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검출되면 사람에게 유해한 환경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230 동작의 판단에 따라, 상기 위험 대상 또는 위험 상태가 사용자에게 상해를 입힐 정도이거나 또는 사용자가 인지할 수 없는 수준이라고 판단되면, 제어부(120)는 상기 위험 대상 또는 위험 상태에 매핑된 제어 서비스를 추출한다.(240 동작)
상기 제어 서비스는 휴대단말장치에서 동작중인 애플리케이션을 정지시키는 실행, 화면을 오프(off)시키는 실행, 알림 경고음을 제공하는 실행 등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이외에도 휴대단말장치의 이전 상태를 정지하거나 종료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켜 위험을 자각시킬 수 있는 방법이면 채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20)는 상기 추출된 제어 서비스를 실행한다.(250 동작)
즉, 휴대단말장치에서 동작중인 애플리케이션을 정지시키거나, 화면을 오프(off)시키거나, 알림 경고음을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위험 상황을 알릴 수 있다.
한편, 상기 230 동작의 판단에 따라, 상기 위험 대상 또는 위험 상태가 사용자에게 상해를 입힐 정도는 아니거나 또는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판단되면, 제어부(120)는 상기 위험 대상 또는 위험 상태에 매핑된 알림 서비스를 추출한다.(260 동작)
상기 알림 서비스는 휴대단말장치에서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중에 동시에 화면에 위험 상태를 알리는 문구, 기호, 아이콘이나, 위험 대상의 이미지, 위험 대상의 실루엣, 위험 대상에 따라 미리 지정된 이미지 등으로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는 메타포(metaphor)를 출력하는 실행, 동작 중인 화면의 명암을 어둡게 변경하는 실행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이외에도 휴대단말장치의 원래 상태에서 위험 상태를 동시에 알릴 수 있는 방법이면 채용될 수 있다. 상기 구성된 메타포는 애플리케이션 실행화면, 대기화면 등 상에 출력하고, 그 크기나 투명도 설정을 통해 제어 가능하다.
다음으로, 제어부(120)는 상기 추출된 알림 서비스를 실행한다.(270 동작)
즉, 제어부(120)는 휴대단말장치에서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중에 동시에 화면에 위험 상태를 알리는 문구, 기호, 아이콘이나, 위험 대상의 이미지, 위험 대상의 실루엣, 위험 대상에 따라 미리 지정된 이미지 등으로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는 메타포(metaphor)를 출력하는 실행, 동작 중인 화면의 명암을 어둡게 변경하는 실행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위험 상황을 알릴 수 있다.
도 4 내지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휴대단말장치 이용 중,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보행 시 사용자가 휴대단말장치를 통해 웹사이트를 검색하는 경우에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의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보행하면서 스마트폰을 손으로 파지하고 웹 서핑을 하고 있을 때, 제어부(120)는 휴대단말장치에 구비된 카메라와 같은 이미지 센서를 통해 휴대단말장치의 주변 상황의 이미지를 획득한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인식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기존에 미리 저장된 사람 얼굴 이미지와의 매칭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분석된 이미지가 미리 저장된 사람 얼굴 이미지와 매칭하면, 상기 사람 얼굴 이미지에 매핑된 메타포로서, 스마일 이모티콘을 상기 브라우저가 출력된 화면에 동시에 출력한다.(430, 440 실행화면) 즉, 상기 브라우저 실행화면 상위에 겹치도록 스마일 이모티콘을 표시한다.
이때, 이미지 센서를 통해 감지된 사람의 거리가 사용자와 가까워지면 얼굴 인식 범주가 커지고(410 카메라 인식 화면→ 420 카메라 인식 화면), 이에 따라 휴대단말장치 화면 상의 메타포의 크기가 커진다.(430 브라우저 실행화면→ 440 브라우저 실행화면) 더불어 상기 메타포의 불투명도가 높아져서 주변 사람의 접근 거리에 따라 사용자는 기존의 브라우징 화면을 보는 것에 제약을 받는다.(430 브라우저 실행화면→ 440 브라우저 실행화면) 이에 따라 사용자는 주변 상황에 충돌 가능성이 있는 사람이 접근하고 있는 사실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사용자가 보행하면서 휴대단말장치를 통한 웹 브라우징 시, 전방에 여러 사람이 있는 경우에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의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보행하면서 스마트폰을 손으로 파지하고 웹 브라우징 시, 제어부(120)는 휴대단말장치에 구비된 카메라와 같은 이미지 센서를 통해 휴대단말장치의 주변 상황의 이미지를 획득한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인식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기존에 미리 저장된 사람 얼굴 이미지와의 매칭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미리 저장된 사람 얼굴 이미지와 이미지 내의 복수의 사람 얼굴 이미지가 매칭하면, 상기 복수의 사람 얼굴 이미지에 각각 매핑된 메타포로서, 복수의 스마일 이모티콘을 상기 브라우저가 출력된 화면에 동시에 출력한다.
즉, 520 실행화면과 같이 휴대단말장치 전면에 파악되는 사람 얼굴 이미지에 대응하여 복수의 스마일 이모티콘을 브라우저 출력 화면 상에 겹치게 표시한다. 이때, 휴대단말장치에 더 가까이 근접하는 사람 얼굴 이미지 일수록 스마일 이모티콘의 크기를 크게 표시한다.
전방에 여러 사람이 있을 경우가 한명이 있는 경우보다 충돌 위험이 커진다. 그래서 인식된 얼굴 이미지의 메타포 표시가 많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화면을 가리는 범주도 커지게 되어 사용자가 기존 웹 브라우징 화면을 보는데 제한을 받게 된다. 그리고 접근된 얼굴의 거리에 따라 메타포의 불투명도 증가로 더욱 화면 시청에 제약을 받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주변 상황에 충돌 가능성이 있는 복수의 사람이 있다는 사실을 직관적으로 알게 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20)는 상기 메타포를 감지된 사람에 대응하여 화면 상에 상기 감지된 사람의 실루엣을 그대로 출력함으로써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감지된 사람의 접근 거리 정도에 따라 상기 실루엣의 명암과 실루엣의 크기가 차별화되게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20)는 사람 이외에도 사물이나 동물을 감지 시에 영상 인식 기술을 통해 대상의 경계를 감지하고, 이 부분을 채워서 실루엣 형태로 휴대단말장치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대상의 종류에 상관없이 사용자에게 실루엣만을 보여주는 것으로도 전방의 사물의 존재 여부를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게 한다.
도 7을 참조하여, 사용자가 휴대단말장치를 사용하면서 보행 시 시선을 아래로 향하는 경우에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의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을 사용하면서 보행 시에 시선을 아래에 두는 경향이 많다. 이러한 경우 휴대단말장치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전면의 사람 얼굴을 인식하기 쉽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제어부(120)는 영상 인식을 통해 사람 얼굴 외의 신체의 일부나, 사물의 접근을 감지한다. 도 7의 카메라 인식 화면 710과 같이 사람의 다리가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20)는 실행화면, 대기화면 등의 화면을 가려서 안보이게 하여, 사용자의 주위를 환기시켜, 위험 상황을 일깨울 수 있도록 한다.
도 8을 참조하여, 사용자가 휴대단말장치를 사용하면서 보행 시 주변의 사물이나 사람의 이동 속도나 이동 방향이 다른 경우에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의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길거리 보행 중, 사용자가 걸어가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걷는 사람보다 사용자에게 다가오는 방향으로 걷는 사람과의 충돌 위험성이 더 크다. 그러나, 사용자와 동일한 방향으로 걷는 사람도 걸음을 갑자기 멈춘다거나, 사용자가 이 보다 더 빠른 걸음으로 걸을 경우, 충돌할 위험이 커진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주변의 사물이나 사람의 이동속도와 이동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사용자와의 충돌 가능성의 정도를 달리 판단하여 위험 표시 또한 다르게 표시한다. 즉, 사용자 쪽으로 다가오는 사람, 멀어지는 사람, 다가오는 속도, 멀어지는 속도 등에 따라 구분해서 위험표시를 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휴대단말장치를 통해 야구 동영상을 시청하면서 거리를 활보할 때, 사용자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걸어오는 사람들과 사용자와 같은 방향으로 걷더라도 사용자의 걷는 속도보다 늦은 속도로 걷는 사람들에 대응해서는 야구 동영상 실행 화면 상에 더 붉고 큰 이모티콘으로 표시한다. 사용자와 동일한 방향으로 걸으면서도, 사용자보다 빠른 속도로 걷는 사람들에 대응해서는 야구 동영상 실행 화면 상에 더 옅고 작은 이모티콘으로 표시한다. (실행화면 820)
따라서, 사용자는 보행 시 야구 동영상에 심취해있더라도, 전면에 충돌 가능성이 있는 사람을 자각하고, 이들과의 충돌에 미리 대비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휴대단말장치를 사용하면서 자전거 라이딩 또는 보행 시, 주변의 차량, 자전거 등과의 충돌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의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라이딩하면서 스마트폰을 손으로 파지하고 야구 동영상 시청 시, 제어부(120)는 휴대단말장치에 구비된 리시버와 같은 소리 감지 센서를 통해 휴대단말장치의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획득한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인식된 소리를 분석하여 기존에 미리 저장된 소리와의 매칭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미리 저장된 소리와 인식된 소리가 매칭하면, 상기 소리에 매핑된 메타포로서, 위험 알림 동영상 콘텐츠를 상기 야구 동영상 실행 화면에 동시에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소리는 차량, 자전거, 기차, 전동차, 지하철, 응급차 등과 같은 운송수단의 경적 소리일 수 있다. 상기 위험 알림 표시는 STOP과 같은 문구와 현재 사용자가 자전거를 탄 모습에 대응하는 이미지와 상기 감지된 소리에 대응하는 사물의 이미지로 구성되는 동영상 콘텐츠가 될 수 있다.
실행화면 920과 같이 사용자의 자전거가 전방의 자동차와 충돌하는 동영상 콘텐츠가 야구 동영상 상에 오버랩되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동영상 콘텐츠가 야구 동영상 실행화면의 일부 또는 전체를 덮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 표시의 출력과 동시에 스피커, 이어폰 또는 헤드셋으로 출력되던 상기 야구 동영상에 관련된 소리의 출력을 중단할 수 있다. 더불어, 별도의 경고음이나 상기 소리 감지 센서를 통해 검출된 특정 소리를 저장했다가, 상기 스피커, 이어폰 또는 헤드셋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사용자에게 위험 알림 서비스로서, 부가 악세사리를 진동하게 하거나, 상기 부가 악세사리를 통해 특정 소리를 출력하거나, 휴대단말장치의 라이트를 턴온시키거나, 상기 휴대단말장치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시계, 안경, 의복과 같은 착용할 수 있는 장치(Wearable device)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모션센서를 통해 사용자가 휴대단말장치를 파지하고 있는 위치와 방향을 감지하고, 전방에 어느 정보를 이미지 센서가 감지하는지를 판단하여, 카메라 렌즈의 각도를 조정하여 최적의 전방 탐지 영역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휴대단말장치 파지 자세에 따라 전방의 위험 대상을 놓치는 허점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휴대단말장치의 위치나 상태에 따라 렌즈 배율 등을 조정하여 광각으로 설정함으로써, 어느 상황에서도 보다 넓은 주변 상황을 탐지할 수 있게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부(120)가 휴대단말장치에서 충돌 가능한 대상이 전방에 있음을 감지 시, 충돌 가능 대상의 위치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알려주는 이미지를 표시하거나, 애니메이션을 동작시킬 수 있다.
예컨대, 충돌 가능한 대상이 휴대단말장치의 상방에 있는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120)는 실행화면 1010과 같이 화살표 이미지를 화면의 상방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충돌 가능한 대상이 휴대단말장치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향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120)는 실행화면 1020과 같이 화살표 이미지를 화면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20)는 상기 화살표 이미지를 충돌 가능한 대상의 이동에 따라 슬라이드 방식으로 점점 화면을 덮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센서부 120: 제어부
130: 저장부 140: 표시부
150: 오디오 처리부 160: 입력부
170: 무선 통신부

Claims (15)

  1. 사용자의 휴대단말장치 이용 중, 사고를 방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센서를 통해 주변상황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상기 주변상황정보를 분석하여 위험 대상을 검출하는 과정;
    상기 검출된 위험 대상의 위험 정도를 판단하는 과정;
    상기 위험 정도가 기설정된 정도 이상이면, 상기 위험 대상에 매핑된 제어 서비스를 추출하고, 상기 제어 서비스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장치의 화면을 오프(off)시키는 과정; 및
    상기 위험 정도가 기설정된 정도 이하이면, 상기 위험 대상에 매핑된 알림 서비스를 추출하고, 상기 알림 서비스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중에 동시에 화면에 위험 상태를 알리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장치의 사고 방지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를 통해 주변상황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은,
    이미지 센서를 통해 주변상황 이미지를 획득하는 과정, 음성 입력 장치를 통해 주변상황의 소리를 감지하는 과정, 모션센서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장치에 발생되는 모션을 감지하는 과정, 온도센서를 통해 상기 주변상황의 온도를 감지하는 과정, 근접센서를 통해 근접 대상을 감지하는 과정, 환경 센서를 통해 상기 주변의 유해물질을 검출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장치의 사고 방지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대상을 검출하는 과정은,
    상기 획득된 주변상황정보와 매칭하는 미리 저장된 주변상황정보의 존재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장치의 사고 방지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상황정보를 분석하여 위험 대상을 검출하는 과정은,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람 및 사물을 감지하고, 사람이나 사물의 원근을 통해 접근성을 판단하여, 이를 통해 위험 대상을 검출하는 과정, 소리 감지 센서를 통해 획득한 소리를 분석하여 이를 통해 위험 대상을 검출하는 과정, 모션 센서를 통해 획득한 휴대단말장치에 발생된 움직임을 분석하여 이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장치에의 충격, 충돌 발생, 낙하 발생의 위험 상태 여부를 검출하는 과정, 온도 센서를 통해 획득한 온도 값을 분석하여 이를 통해 휴대단말장치 주변의 위험 상태 여부를 검출하는 과정, 근접 센서를 통해 근접 대상이 감지되면, 이를 통해 휴대단말장치 주변에 근접한 사람이나 사물의 발생 여부를 검출하는 과정, 환경 센서를 통해 유해성이 감지되면, 이를 통해 휴대단말장치 주변에 유해 물질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장치의 사고 방지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위험 대상의 위험 정도를 판단하는 과정은,
    이미지 센서에 의해 획득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검출된 사람이나 사물의 원근을 통한 접근성이 미리 설정된 기준보다 높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에게 상해를 입힐 정도의 것으로 판단하고, 모션 센서를 통해 획득한 상기 휴대단말장치에 발생된 움직임, 충돌, 충격 중 적어도 하나의 정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사용자에게 상해를 입힐 정도의 것으로 판단하며, 온도 센서를 통해 획득한 온도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보다 높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에게 상해를 입힐 정도의 것으로 판단하고, 근접 센서를 통해 감지된 근접 대상이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보다 더 가까운 것으로 판단되면, 이를 통해 사용자와 충돌 가능성이 높은 위험 대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환경 센서를 통해 획득한 유해성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보다 높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에게 해를 입힐 정도의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장치의 사고 방지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서비스는,
    상기 휴대단말장치에서 동작중인 애플리케이션을 정지시키는 실행,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는 실행, 상기 휴대단말장치의 화면을 오프(off)시키는 실행, 화면의 일부 또는 전체를 커버하는 실행, 알림 경고음을 제공하는 실행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장치의 사고 방지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서비스는,
    상기 휴대단말장치에서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중에 동시에 화면에 위험 상태를 알리는 문구, 기호, 아이콘이나, 상기 위험 대상에 대응하는 이미지 콘텐츠, 상기 위험 대상에 대응하는 실루엣, 상기 위험 대상에 따라 미리 지정된 이미지나 동영상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인 메타포(metaphor)를 출력하는 실행, 화면의 명암을 어둡게 변경하는 실행, 스피커, 이어폰 또는 헤드셋을 통해 별도의 경고음을 출력하는 실행, 부가 악세사리를 진동시키는 실행, 상기 휴대단말장치에 구비된 라이트를 턴온시키는 실행, 상기 휴대단말장치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착용 가능 장치(wearable device)에 위험 신호를 전달하는 실행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장치의 사고 방지 방법.
  9. 휴대단말장치의 주변상황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를 통해 획득한 주변상황정보를 분석하여 위험 대상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위험 대상의 위험 정도를 판단하고, 상기 위험 정도가 기설정된 정도 이상이면, 상기 위험 대상에 매핑된 제어 서비스를 추출하고, 상기 제어 서비스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장치의 화면을 오프(off)시키고, 상기 위험 정도가 기설정된 정도 이하이면, 상기 위험 대상에 매핑된 알림 서비스를 추출하고, 상기 알림 서비스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중에 동시에 화면에 위험 상태를 알리는 제어부; 및
    상기 위험 대상에 매핑된 알림 서비스 또는 제어 서비스와 상기 주변상황정보의 비교 분석 대상인 미리 설정된 주변상황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장치의 사고 방지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서비스 또는 상기 제어 서비스에 의해 경고 알림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헤드셋, 이어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장치의 사고 방지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장치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알림 서비스 또는 상기 제어 서비스에 의해 진동하거나, 특정 소음을 출력하는 부가 악세사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장치의 사고 방지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장치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알림 서비스 또는 상기 제어 서비스에 의한 위험 신호를 수신하며, 안경, 시계, 의복 중 적어도 하나로 구비되는 착용 가능 장치(wearable device)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장치의 사고 방지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판단된 위험 대상에 관한 정보를 미리 설정된 연락처로 자동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연락처는 설계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정해진 가족, 친구의 전화번호 또는 소방서, 경찰서, 파출소의 연락처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장치의 사고 방지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서비스는,
    상기 휴대단말장치에서 동작중인 애플리케이션을 정지시키는 실행,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는 실행, 상기 휴대단말장치의 화면을 오프(off)시키는 실행, 화면의 일부 또는 전체를 커버하는 실행, 알림 경고음을 제공하는 실행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장치의 사고 방지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서비스는,
    상기 휴대단말장치에서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중에 동시에 화면에 위험 상태를 알리는 문구, 기호, 아이콘이나, 상기 위험 대상에 대응하는 이미지 콘텐츠, 상기 위험 대상에 대응하는 실루엣, 상기 위험 대상에 따라 미리 지정된 이미지나 동영상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인 메타포(metaphor)를 출력하는 실행, 화면의 명암을 어둡게 변경하는 실행, 스피커, 이어폰 또는 헤드셋을 통해 별도의 경고음을 출력하는 실행, 부가 악세사리를 진동시키는 실행, 상기 휴대단말장치에 구비된 라이트를 턴온시키는 실행, 상기 휴대단말장치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착용 가능 장치(wearable device)에 위험 신호를 전달하는 실행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장치의 사고 방지 장치.
KR1020130036653A 2013-04-04 2013-04-04 휴대단말장치의 사고 방지 방법 및 장치 KR102023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653A KR102023601B1 (ko) 2013-04-04 2013-04-04 휴대단말장치의 사고 방지 방법 및 장치
US14/208,641 US9355543B2 (en) 2013-04-04 2014-03-13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accident in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653A KR102023601B1 (ko) 2013-04-04 2013-04-04 휴대단말장치의 사고 방지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618A KR20140120618A (ko) 2014-10-14
KR102023601B1 true KR102023601B1 (ko) 2019-09-23

Family

ID=51654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6653A KR102023601B1 (ko) 2013-04-04 2013-04-04 휴대단말장치의 사고 방지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355543B2 (ko)
KR (1) KR1020236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09849A (zh) * 2014-01-25 2015-07-29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自动侦测色狼求救的装置、方法及系统
US9654675B2 (en) * 2014-03-25 2017-05-16 Kessler Optics & Photonics Solutions Ltd. Optical attachment for deviating field of view
US20170189785A1 (en) * 2014-11-24 2017-07-06 Bion Inc. Personal excercise measuring safety system
US9513866B2 (en) * 2014-12-26 2016-12-06 Intel Corporation Noise cancellation with enhancement of danger sounds
WO2016179784A1 (zh) * 2015-05-11 2016-11-1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警告方法、装置和移动终端
WO2017007643A1 (en) * 2015-07-06 2017-01-12 Pcms Holding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non-intrusive indications of obstacles
KR102341107B1 (ko) * 2015-08-13 2021-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전자 장치를 보호하는 보호 장치 및 그 보호 방법
US9913089B2 (en) * 2015-08-25 2018-03-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sponding to a status for a user based on nearby electronic devices
JP2017060033A (ja) * 2015-09-17 2017-03-2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携帯情報機器、携帯情報システム、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886236B2 (ja) * 2015-09-30 2021-06-16 富士通株式会社 視野誘導方法、視野誘導プログラム、及び視野誘導装置
US9769307B2 (en) * 2015-12-26 2017-09-19 Intel Corporation User detection and recognition for electronic devices
KR101682195B1 (ko) * 2016-01-21 2016-12-02 조원영 보행 중 휴대폰 단말기 사용 시 스크린 오프 기능을 갖는 휴대폰 안전 시스템
US10200581B2 (en) * 2016-03-31 2019-02-05 Peter G. Hartwell Heads down intelligent display and processing
CN106056836A (zh) * 2016-08-16 2016-10-26 哈尔滨理工大学 一种家庭安防系统
CN106251571A (zh) * 2016-08-26 2016-12-21 芜湖创易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楼宇的安防系统
CN106652317A (zh) * 2016-11-20 2017-05-10 广西大学 一种电子信息智能家居系统
KR20180078706A (ko) * 2016-12-30 2018-07-10 이연식 장애물탐지가 가능한 시각장애인용 휴대단말기커버
JP6642457B2 (ja) * 2017-01-11 2020-02-0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及び安全管理システム
CN110383826B (zh) * 2017-03-08 2022-06-07 索尼半导体解决方案公司 图像传感器和传输系统
US10045143B1 (en) * 2017-06-27 2018-08-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ound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US10366291B2 (en) * 2017-09-09 2019-07-30 Google Llc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mage shortcuts for an assistant application
DE102017217876B4 (de) * 2017-10-09 2019-05-16 Zf Friedrichshafen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Verbesserung des Raumgefühls eines Nutzers
US20190129038A1 (en) * 2017-10-27 2019-05-02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Monitoring System for a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Surroundings of a Mobile Device
KR101972701B1 (ko) * 2018-07-17 2019-04-25 박영진 스마트폰 화재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27607A (ko) * 2018-09-04 2020-03-13 액세스 비지니스 그룹 인터내셔날 엘엘씨 단말기의 스마트 디퓨저 운용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CN111862557B (zh) * 2019-04-24 2022-08-16 广州煜煊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监测方式的家庭事故处理方法
CN110215698A (zh) * 2019-04-29 2019-09-10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游戏中危险提示方法、可穿戴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468604B2 (en) * 2019-06-25 2022-10-11 Google Llc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a notification in association with an augmented-reality view
US11275551B2 (en) * 2019-09-03 2022-03-15 Dell Products L.P. System for voice-based alerting of person wearing an obstructive listening device
CN113196729B (zh) * 2019-09-20 2022-06-03 Jvc建伍株式会社 便携终端
KR102221218B1 (ko) * 2019-11-29 2021-03-02 강문식 경고알림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182B1 (ko) * 2011-08-22 2013-01-21 (주)티엘씨테크놀로지 스마트 안전관리 운용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7436A (ja) * 2001-09-12 2003-03-20 Nec Corp 緊急通報システム及び緊急通報装置
KR100685986B1 (ko) 2004-12-31 2007-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용 단말기에서의 전방 시야 확보 방법 및 그이동통신용 단말기
JP5028751B2 (ja) * 2005-06-09 2012-09-19 ソニー株式会社 行動認識装置
US8624727B2 (en) * 2008-01-28 2014-01-07 Saigh And Son, Llc Personal safety mobile notification system
KR20100006700A (ko) * 2008-07-10 2010-01-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나이트비젼 시스템
KR101726849B1 (ko) * 2010-08-06 2017-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 휴대 단말을 이용한 위험 감지 장치 및 방법
US9363361B2 (en) * 2011-04-12 2016-06-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duct and context relationships in mobile devices
KR20120140486A (ko) * 2011-06-21 2012-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보행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8976244B2 (en) * 2011-09-02 2015-03-10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Personal mobile surveillance systems and methods
US8610559B2 (en) * 2011-12-17 2013-12-17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Environmental hazard warning system and method
CN104584091A (zh) * 2012-05-25 2015-04-29 Abb研究有限公司 从工业工厂的厂房将用户引导到安全地点
US9208676B2 (en) * 2013-03-14 2015-12-08 Google Inc. Devices, methods, and associated information processing for security in a smart-sensored ho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182B1 (ko) * 2011-08-22 2013-01-21 (주)티엘씨테크놀로지 스마트 안전관리 운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618A (ko) 2014-10-14
US9355543B2 (en) 2016-05-31
US20140300466A1 (en) 2014-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3601B1 (ko) 휴대단말장치의 사고 방지 방법 및 장치
CN107316436B (zh) 危险驾驶状态处理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10417496B2 (en) Visibility enhancement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8953841B1 (en) User transportable device with hazard monitoring
US9451062B2 (en) Mobile device edge view display insert
US20170187566A1 (en) Alert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CN109151719B (zh) 安全引导方法、装置和存储介质
CN104808209A (zh) 一种障碍物检测方法及装置
CN103873689A (zh) 一种安全提醒的方法及装置
US20150158426A1 (en)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A2978077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user distraction
CN105049589A (zh) 一种用于提高人身安全的手机装置及预警方法
CN104335260A (zh) 一种红外测距防撞方法及终端
JP2023545158A (ja) 警告閾値調整方法及び装置、電子機器、並びに記憶媒体
KR20150112152A (ko) 전자 장치의 이동 상태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60037326A (ko) 위험 상황을 알려주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JP2021530789A (ja) 動作認識方法、電子機器及び記憶媒体
CN106550150A (zh) 危险环境提示方法、装置及终端
CN111243224A (zh) 一种实现报警的方法及装置
CN107682542B (zh) 一种障碍物告警方法、移动终端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7730830B (zh) 一种路障告警方法、移动终端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20136721A (ko) 운전중 휴대폰 사용 경보 장치 및 그 방법
CN112767647A (zh) 危险预警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147738A (zh) 警用车载全景慧眼系统、装置、电子设备及介质
CN108063869B (zh) 一种安全预警方法、移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