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1218B1 - 경고알림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경고알림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1218B1
KR102221218B1 KR1020190156423A KR20190156423A KR102221218B1 KR 102221218 B1 KR102221218 B1 KR 102221218B1 KR 1020190156423 A KR1020190156423 A KR 1020190156423A KR 20190156423 A KR20190156423 A KR 20190156423A KR 102221218 B1 KR102221218 B1 KR 102221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rning
abnormal sound
sound
us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6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문식
Original Assignee
강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문식 filed Critical 강문식
Priority to KR1020190156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12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1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1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변의 이상음을 감지할 경우 사용자에게 경고 알림을 제공하여 사고를 예방하는 경고알림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주변의 이상음 또는 사물을 감지하는 감지모듈, 상기 이상음 또는 사물 감지정보를 이용하여 경고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모듈, 및 상기 경고 여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에게 경고 알림을 제공하는 알림모듈을 포함하는, 경고알림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경고알림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LAMING TO PREVENT DANGER}
본 발명은 경고알림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변의 이상음을 감지할 경우 사용자에게 경고 알림을 제공하여 사고를 예방하는 경고알림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기술과 제반 인프라가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스마트폰, 노트북, PDA 등의 단말기가 급속도로 보급되고 있다. 사람들은 이러한 단말기에 이어폰을 연결하여 노래를 듣거나 다른 사람들과 전화 통화를 하고 있다.
이에, 최신 이어폰들은 노이즈 캔슬링 기능을 추가하여, 주변의 소음을 제거하여 사용자가 원활하게 노래를 듣거나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이즈 캔슬링 기능은 길거리를 걸을 때나 도로를 횡단할 때 자동차 소리나 경적 소리까지 제거하여 보행자가 주변의 소리를 제대로 듣지 못하기 때문에 사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18018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길거리를 걸을 때나 도로를 횡단할 경우 자동차 소리 및 경적소리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진동 또는 알람을 통해 경고 알림을 제공하는 경고알림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자 주변의 이상음 또는 사물을 감지하는 감지모듈, 상기 이상음 또는 사물 감지정보를 이용하여 경고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모듈, 및 상기 경고 여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에게 경고 알림을 제공하는 알림모듈을 포함하는, 경고알림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감지모듈은, 사용자가 착용하는 이어폰 또는 스마트기기에 소리감지 센서로 설치되어 상기 이상음을 감지하거나, 상기 이어폰 또는 상기 스마트기기에 탑재된 제어유닛에 감지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는 구동장치로 설치되어 상기 이상음을 감지거나, 레이저 센서, 초음파 센서, 영상 센서, 열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거나 연동하여 사물을 분석하여 감지 및/또는 판단하거나, 상기 사물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감지모듈은, 지도정보를 반영하여 횡단보도, 도로를 포함하는 주의지역에서 상기 이상음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판단모듈은, 상기 이상음을 기 설정된 경고 기준음과 비교하여 경고 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사물 감지정보를 이용하여 이상음 감지방향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이상음 감지방향 정보와 지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상음의 노이즈 필터링 후 상기 이상음과 상기 경고 기준음을 비교하거나, 주파수, 진폭, 음역, 진동시간, 파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이상음의 물리적 요소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상기 경고 기준음과 비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경고알림장치는, 사용자의 이동 경로상 도로의 실시간 교통정보 및/또는 시간대별 교통정보를 수집하여 공사, 사고구간을 포함하는 위험지역을 저장하는 저장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알림모듈은, 사용자가 상기 위험지역을 지나갈 때 진동 및/또는 알람으로 사용자에게 경고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자 주변의 이상음 또는 사물을 감지하는 감지단계, 상기 이상음 또는 사물 감지정보를 이용하여 경고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및 상기 경고 여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에게 경고 알림을 제공하는 알림단계를 포함하는, 경고알림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감지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이어폰 또는 스마트기기에 소리감지 센서를 설치하여 상기 이상음을 감지하거나, 상기 이어폰 또는 상기 스마트기기에 탑재된 제어유닛에 인스톨된 감지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상기 이상음을 감지하거나, 레이저 센서, 초음파 센서, 영상 센서, 열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물을 분석하여 감지 및/또는 판단하거나, 상기 사물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감지단계에서는, 지도정보를 반영하여 횡단보도, 도로를 포함하는 주의지역에서 상기 이상음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에서는, 상기 이상음을 기 설정된 경고 기준음과 비교하여 경고 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사물 감지정보를 이용하여 이상음 감지방향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이상음 감지방향 정보와 지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상음의 노이즈 필터링 후 상기 이상음과 상기 경고 기준음을 비교하거나, 주파수, 진폭, 음역, 진동시간, 파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이상음의 물리적 요소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상기 경고 기준음과 비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감지단계는, 사용자의 이동 경로상 도로의 실시간 교통정보 및/또는 시간대별 교통정보를 수집하여 공사, 사고구간을 포함하는 위험지역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알림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위험지역을 지나갈 때 진동 및/또는 알람으로 사용자에게 경고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길거리를 걸을 때나 도로를 횡단할 경우 자동차 소리 및 경적소리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진동 또는 알람을 통해 경고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고알림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고알림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고알림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고알림장치(10)는 사용자 주변의 이상음을 감지하는 감지모듈(100), 상기 이상음을 기 설정된 경고 기준음과 비교하여 경고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모듈(200), 및 상기 경고 여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에게 경고 알림을 제공하는 알림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감지모듈(100)은 사용자가 착용하는 이어폰 또는 스마트기기에 소리감지 센서로 설치되어 상기 이상음을 감지하거나, 상기 이어폰 또는 상기 스마트기기에 탑재된 제어유닛에 감지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는 구동장치로 설치되어 상기 이상음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 어플리케이션은 영상으로 물체를 인식하는 방법이 추가되어 소리 및/또는 영상을 댜앙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모듈(100)은 레이저 센서, 초음파 센서, 영상 센서, 열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거나 연동하여 자동차, 자전거, 사람, 위험물 등의 사물을 분석하여 감지 및/또는 판단하거나, 상기 사물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지모듈(100)은 상기 레이저 센서, 상기 초음파 센서, 상기 영상 센서, 상기 열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단독 작동으로 사물 감지정보를 수집하거나, 복수의 센서들의 병행 작동으로 사물 감지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모듈(100)은 지도정보를 반영하여 횡단보도, 도로를 포함하는 주의지역에서 상기 이상음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경고알림장치는 외부 장치로부터 지도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하거나, 자체적으로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지도정보를 저장하는 위치탐지모듈(미도시) 및 지도저장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단모듈(200)은 사용자가 자동차의 소리나 경적 소리를 제대로 듣지 못하는 위험상황을 판단하기 위하여 자동차 소리나 경적 소리를 모델링하여 상기 경고 기준음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모듈(200)은 상기 이상음을 기 설정된 데이터 단위로 분할 및/또는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상기 경고 기준음과 비교하여 경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판단모듈(100)은 상기 이상음의 데이터 단위로부터 주파수, 진폭, 음역, 진동시간, 파형 등의 물리적 요소들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상기 경고 기준음과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판단모듈(200)은 비교 결과로 사용자가 횡단보도나 도로를 포함하는 주의지역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주의지역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에게 경고 알림을 제공해야 할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판단모듈(200)은 이상음 감지방향 정보와 상기 지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상음에 섞여있는 노이즈를 필터링한 후 상기 이상음과 상기 경고 기준음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 통행량이 많고 복잡한 도로의 경우 여러가지 소리들이 병합되므로, 상기 판단모듈(200)은 사용자가 착용한 이어폰 양쪽에 설치된 센서에서 동시에 얻은 정보로 상기 이상음이 감지된 방향을 알 수 있는 상기 이상음 감지방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모듈(200)은 상기 레이저 센서, 상기 초음파 센서, 상기 영상 센서, 상기 열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단독 작동 또는 병행 작동으로 수집된 사물 감지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상음 감지방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상기 알림모듈(300)은 사용자에게 진동이나 알람 등의 경고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알림모듈(300)은 이어폰이나 스마트기기에 진동을 발생시키거나, 이어폰이나 스마트기기에서 경고음이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경고알림장치는 빅데이터 연계 제1 방안으로 사용자의 이동 경로상 도로의 실시간 교통정보 및/또는 시간대별 교통정보를 수집하여 공사, 사고구간을 포함하는 위험지역을 저장하는 저장모듈(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알림모듈(300)은 사용자가 상기 위험지역을 지나갈 때 진동 및/또는 알람으로 사용자에게 경고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경고알림장치는 빅데이터 연계 제2 방안으로 공사, 사고구간을 포함하는 위험지역정보를 외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하여 사용자가 위험지역정보의 구간을 지나갈 때 진동 및/또는 알람으로 사용자에게 경고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고알림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고알림방법은 사용자 주변의 이상음을 감지하는 감지단계(S100), 상기 이상음을 기 설정된 경고 기준음과 비교하여 경고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S200), 및 상기 경고 여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에게 경고 알림을 제공하는 알림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단계(S100)에서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이어폰 또는 스마트기기에 소리감지 센서를 설치하여 상기 이상음을 감지하거나, 상기 이어폰 또는 상기 스마트기기에 탑재된 제어유닛에 인스톨된 소리 감지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상기 이상음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 어플리케이션은 영상으로 물체를 인식하는 방법이 추가되어 소리 및/또는 영상을 다양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단계(S100)에서는 레이저 센서, 초음파 센서, 영상 센서, 열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거나 연동하여 자동차, 자전거, 사람, 위험물 등의 사물을 분석하여 감지 및/또는 판단하거나, 상기 사물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지단계(S100)에서는 상기 레이저 센서, 상기 초음파 센서, 상기 영상 센서, 상기 열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단독 작동으로 사물 감지정보를 수집하거나, 복수의 센서들의 병행 작동으로 사물 감지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단계(S100)에서는 지도정보를 반영하여 횡단보도, 도로를 포함하는 주의지역에서 상기 이상음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경고알림장치는 외부 장치로부터 지도정보를 수신하거나, 자체적으로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지도정보를 저장하여 활용할 수 있다.
상기 판단단계(S200)에서는 사용자가 자동차의 소리나 경적 소리를 제대로 듣지 못하는 위험상황을 판단하기 위하여 자동차 소리나 경적 소리를 모델링하여 상기 경고 기준음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단계(S200)에서는 상기 이상음을 기 설정된 데이터 단위로 분할 및/또는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상기 경고 기준음과 비교하여 경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판단단계(S200)에서는 상기 이상음의 데이터 단위로부터 주파수, 진폭, 음역, 진동시간, 파형 등의 물리적 요소들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상기 경고 기준음과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판단단계(S200)에서는 비교 결과로 사용자가 횡단보도나 도로를 포함하는 주의지역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주의지역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에게 경고 알림을 제공해야 할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판단단계(S200)에서는 이상음 감지방향 정보와 상기 지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상음에 섞여있는 노이즈를 필터링한 후 상기 이상음과 상기 경고 기준음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 통행량이 많고 복잡한 도로의 경우 여러가지 소리들이 병합되므로, 상기 판단단계(S200)에서는 사용자가 착용한 이어폰 양쪽에 설치된 센서에서 동시에 얻은 정보로 상기 이상음이 감지된 방향을 알 수 있는 상기 이상음 감지방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단계(S200)에서는 상기 레이저 센서, 상기 초음파 센서, 상기 영상 센서, 상기 열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단독 작동 또는 병행 작동으로 수집된 사물 감지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상음 감지방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알림단계(S300)에서는 사용자에게 진동이나 알람 등의 경고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알림단계(S300)에서는 이어폰이나 스마트기기에 진동을 발생시키거나, 이어폰이나 스마트기기에서 경고음이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알림단계(S300)에서는 빅데이터 연계 제1 방안으로 사용자의 이동 경로상 도로의 실시간 교통정보 및/또는 시간대별 교통정보를 수집하여 공사, 사고구간을 포함하는 위험지역을 저장하고, 사용자가 상기 위험지역을 지나갈 때 진동 및/또는 알람으로 사용자에게 경고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단계(S300)에서는 빅데이터 연계 제2 방안으로 공사, 사고구간을 포함하는 위험지역정보를 외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하여 사용자가 위험지역정보의 구간을 지나갈 때 진동 및/또는 알람으로 사용자에게 경고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길거리를 걸을 때나 도로를 횡단할 경우 자동차 소리 및 경적소리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진동 또는 알람을 통해 경고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감지모듈
200: 판단모듈
300: 알림모듈
400: 저장모듈

Claims (12)

  1. 사용자 주변의 이상음 또는 사물을 감지하는 감지모듈(100);
    상기 이상음 또는 사물 감지정보를 이용하여 경고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모듈(200); 및
    상기 경고 여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에게 경고 알림을 제공하는 알림모듈(300);을 포함하는 경고알림장치(10)에 있어서,
    상기 경고알림장치(10)는,
    사용자의 이동 경로상 도로의 실시간 교통정보 및 시간대별 교통정보를 수집하여 공사, 사고구간을 포함하는 위험지역을 포함하는 지도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모듈(4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모듈(100)은,
    레이저 센서, 초음파 센서, 영상 센서, 열감지 센서, 소리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거나 연동하여 상기 위험지역에서 상기 이상음을 감지하여 상기 사물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판단모듈(200)은,
    상기 사물 감지정보를 이용하여 이상음 감지방향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이상음 감지방향 정보와 상기 위험지역을 반영하여 주파수, 진폭, 음역, 진동시간, 파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이상음의 물리적 요소에 대한 정보 분석 결과로 상기 이상음의 노이즈 필터링 후 상기 이상음을 기 설정된 경고 기준음과 비교하여 경고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고알림장치(10).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모듈(300)은,
    사용자가 상기 위험지역을 지나갈 때 진동 및 알람 중 적어도 하나로 사용자에게 경고 알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고알림장치(10).
  7. 사용자 주변의 이상음 또는 사물을 감지하는 감지단계;
    상기 이상음 또는 사물 감지정보를 이용하여 경고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및
    상기 경고 여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에게 경고 알림을 제공하는 알림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감지단계에서는,
    사용자의 이동 경로상 도로의 실시간 교통정보 및 시간대별 교통정보를 수집하여 공사, 사고구간을 포함하는 위험지역을 포함하는 지도정보를 저장하고,
    레이저 센서, 초음파 센서, 영상 센서, 열감지 센서, 소리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위험지역에서 상기 이상음을 감지하여 상기 사물까지의 거리를 포함하는 상기 사물 감지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판단단계에서는,
    상기 사물 감지정보를 이용하여 이상음 감지방향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이상음 감지방향 정보와 상기 위험지역을 반영하여 주파수, 진폭, 음역, 진동시간, 파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이상음의 물리적 요소에 대한 정보 분석 결과로 상기 이상음의 노이즈 필터링 후 상기 이상음을 기 설정된 경고 기준음과 비교하여 경고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고알림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위험지역을 지나갈 때 진동 및 알람 중 적어도 하나로 사용자에게 경고 알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고알림방법.
KR1020190156423A 2019-11-29 2019-11-29 경고알림장치 및 방법 KR102221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423A KR102221218B1 (ko) 2019-11-29 2019-11-29 경고알림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423A KR102221218B1 (ko) 2019-11-29 2019-11-29 경고알림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1218B1 true KR102221218B1 (ko) 2021-03-02

Family

ID=75169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6423A KR102221218B1 (ko) 2019-11-29 2019-11-29 경고알림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12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1300A (ko) 2022-02-11 2023-08-18 충청대학교 산학협력단 보행안전을 위한 교통안전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1550A (ko) * 2010-08-06 2012-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 휴대 단말을 이용한 위험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140120618A (ko) * 2013-04-04 2014-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장치의 사고 방지 방법 및 장치
KR20150118018A (ko) 2014-04-11 2015-10-21 제트복스 어쿠스틱 코포레이션 온이어형 노이즈 캔슬링 이어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1550A (ko) * 2010-08-06 2012-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 휴대 단말을 이용한 위험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140120618A (ko) * 2013-04-04 2014-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장치의 사고 방지 방법 및 장치
KR20150118018A (ko) 2014-04-11 2015-10-21 제트복스 어쿠스틱 코포레이션 온이어형 노이즈 캔슬링 이어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1300A (ko) 2022-02-11 2023-08-18 충청대학교 산학협력단 보행안전을 위한 교통안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louch et al. Roadsense: Smartphone application to estimate road conditions using accelerometer and gyroscope
JP6688286B2 (ja) 歩行者情報システム
US9761118B2 (en) Detecting apparatus and method, and mobile terminal apparatus having detecting apparatus
JP6163017B2 (ja) 携帯端末、及び、危険報知システム
CA2848995C (en) A computing platform for development and deployment of sensor-driven vehicle telemetry applications and services
US8605948B2 (en) Driver assistance system for monitoring driving safety and corresponding method for detecting and evaluating a vehicle movement
EP2893488B1 (en) Vehicle safety system using audio/visual cues
KR102419007B1 (ko) 위험상황 알림 장치 및 방법
JP4935589B2 (ja) 状態判定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04794936B (zh) 用于车辆防撞的方法和系统
CN102057411A (zh) 具有警告系统的便携式装置和方法
US10699546B2 (en) Headphone and headphone safety device for alerting user from impending hazard, and method thereof
US20110254703A1 (en) Pedestrian safety system
CN110244306A (zh) 被动声源分类和定位
US9171447B2 (en) Method,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system for analyzing an audible alert
US11562570B2 (en) Vehicle damage identification and incident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KR102221218B1 (ko) 경고알림장치 및 방법
CN109451385A (zh) 一种基于使用耳机时的提醒方法以及装置
JP2015001776A (ja) 運転支援装置
JP6169747B2 (ja) 携帯端末
JP2020201753A (ja) 運転支援装置、方法、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
JP7424394B2 (ja) 車両監視システム、車両監視方法、及び車両監視装置
KR20140068312A (ko) 차량 블랙박스와 연동한 교통사고 정보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545240B1 (ko) 긴급차량 이동경로 제공 및 긴급차량 접근 알림 시스템
JP2007034348A (ja) 音声感知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