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6014B1 - 잠금 장치 - Google Patents

잠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6014B1
KR101726014B1 KR1020127020885A KR20127020885A KR101726014B1 KR 101726014 B1 KR101726014 B1 KR 101726014B1 KR 1020127020885 A KR1020127020885 A KR 1020127020885A KR 20127020885 A KR20127020885 A KR 20127020885A KR 101726014 B1 KR101726014 B1 KR 101726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oding
key
lock
strips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0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7353A (ko
Inventor
맛티아스 하벡케
Original Assignee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120137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7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6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6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0017Key prof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29/00Cylinder locks and other locks with plate tumblers which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70Operating mechanism
    • Y10T70/7441Key
    • Y10T70/7486Single key
    • Y10T70/7508Tumbler type
    • Y10T70/7559Cylinder type
    • Y10T70/7565Plural tumbler s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70Operating mechanism
    • Y10T70/7441Key
    • Y10T70/7486Single key
    • Y10T70/7508Tumbler type
    • Y10T70/7559Cylinder type
    • Y10T70/7588Rotary plug
    • Y10T70/7593Sliding tumblers
    • Y10T70/7599Transverse of plu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70Operating mechanism
    • Y10T70/7441Key
    • Y10T70/778Operating elements
    • Y10T70/7791Keys
    • Y10T70/7881Bit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10) 및 록 실린더와, 채널과, 스프링 하중식 잠금 유지 부재와, 키(10)에 제공되어 있는 복수의 외면(11a, 11b, 12a, 12b)을 구비한 자동차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며, 이때 록 실린더는 실린더 코어를 가지며, 실린더 코어는 록 실린더의 실린더 하우징 안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채널은 실린더 코어에 포함되고, 채널 내에는 키(10)가 삽입될 수 있으며, 스프링 하중식 잠금 유지 부재는 키(10)를 채널 안으로 삽입할 때 록 실린더의 실린더 축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고, 복수의 외면은 또한 키(10)를 삽입할 때 잠금 유지 부재에 작용하는 2개 이상의 인코딩 스트립(51a, 51b)을 가진다.

Description

잠금 장치{LOCKING DEVICE}
본 발명은 키 및 록 실린더와, 채널과, 스프링 하중식 잠금 유지 부재를 구비한 자동차 잠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때 록 실린더는 실린더 코어를 가지며, 실린더 코어는 록 실린더의 실린더 하우징 안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채널은 실린더 코어에 포함되고, 채널 내에는 키가 삽입될 수 있으며, 스프링 하중식 잠금 유지 부재는 키를 채널 안으로 삽입할 때 록 실린더의 실린더 축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다.
자동차 절도를 위해 권한 없는 사람이 절도 공구를 이용해, 예를 들어 소위 "자물쇠 따기"를 통해 키 채널 내 잠금 유지 부재를 실린더 코어의 횡단면에 정렬하려고 시도하므로, 잠금 유지 부재가 실린더 코어를 회전가능하게 릴리즈하는 것은 단점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몇몇 적용예에서 상기 잠금 장치를 위해 더 작은 설치 공간이 요구되고 있으며, 동시에 잠금 장치에서 차량 절도에 대한 높은 보안성이 보장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1항의 모든 기술적 특징이 있는 잠금 장치가 제안되었다. 종속항들에 가능성 있는 실시예들이 제안되었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 자동차 잠금 장치는 키 및 록 실린더와, 채널과, 스프링 하중식 잠금 유지 부재와, 키에 제공되어 있는 복수의 외면을 구비하고 이때, 록 실린더는 실린더 코어를 가지며, 실린더 코어는 록 실린더의 실린더 하우징 안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채널은 실린더 코어에 포함되고, 채널 내에는 키가 삽입될 수 있으며, 스프링 하중식 잠금 유지 부재는 키를 채널 안으로 삽입할 때 록 실린더의 실린더 축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며, 복수의 외면은 키를 삽입할 때 잠금 유지 부재에 작용하는 2개 이상의 인코딩 스트립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잠금 장치의 실질적인 장점 중 하나는 키의 외면 각각에 제공되는 2개 이상의 인코딩 스트립에 있으므로, 록 실린더가 콤팩트해질 수 있으며, 동시에 복수의 잠금 조합이 보장될 수 있다.
외면이 2개의 협측, 특히 제1 협측 및 제2 협측과, 2개의 광측, 특히 제1 광측 및 제2 광측을 가지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다. 또한, 이런 경우 키는 사각의 플랫 단면이며, 사각의 플랫 단면은 서로 반대편에 짝을 이뤄 한 편으로는 협측을 그리고 다른 한 편으로는 광측을 가지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사각형 단면도 생각해 볼 수 있다. 단면을 정사각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으므로, 그 결과 협측과 광측이 동일 크기의 표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생각해 볼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키가 가역 키로서 형성될 수 있으므로, 키는 2개 이상의 위치를 취할 수 있고, 그러한 위치에서 키가 채널 안으로 효과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는, 인코딩 스트립이라는 점에서 키가 이용자에게 키를 상이한 방향으로 정렬하고 그 결과 상이한 위치에서 효과적으로 키 채널 안에 삽입하는 것을 허용하는 형상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키가 서로에 대해 180° 회전하여 정렬되는 상이한 2개의 위치를 가질 수 있으므로, 키를 효과적으로 록 실린더 안으로 밀어 넣을 수 있다. 잠금 조합의 수는 가역 키의 경우에 감소하지만, 동시에 이용자를 위한 편리성은 개선되는 것은 분명해 보인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인코딩 스트립은 인코딩에 이용되며, 인코딩 스트립은 록 실린더의 잠금 유지 부재에 적절하게 상응하는 윤곽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상응하게 "정당한" 코드 스트립 또는 인코딩 스트립을 가지는 키만이 키 채널로부터 잠금 유지 부재의 상응하는 이동을 야기함을 의미하므로, 키를 꽂으면 실린더 하우징 내에서 실린더 코어의 운동을 야기할 수 있다.
가능성 있는 실시예에서, 키는 2개의 인코딩 스트립만을 가질 수 있으며, 제1 협측은 제1 인코딩 스트립을 갖도록 그리고 제2 협측은 제2 인코딩 스트립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광측이 제1 인코딩 스트립을 갖도록 그리고 제2 광측이 제2 인코딩 스트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다. 대안으로서, 제1 협측은 제1 인코딩 스트립을 갖도록 그리고 광측은 제2 인코딩 스트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생각해 볼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인코딩 스트립들이 기하학적으로 상이한 형상을 가지면, 키가 가역 키는 아니다. 그러므로 복수의 잠금 조합이 얻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동시에 키 횡단면이 작아지고 실린더 코어의 키 채널에 대한 개구가 작아질 수 있다. 키를 위한 삽입 개구가 작기 때문에, 조작을 위해 악의적으로 실린더 코어 안으로 큰 힘이 들어올 수 없는 것이 장점으로 보인다. 또한, 키를 위한 채널 개구가 작기 때문에, 록 실린더의 밀봉 효과가 개선될 수 있다. 게다가 동일한 설치 길이의 록 실린더일지라도 잠금 유지 부재의 수가 많아질 수 있는 것이 장점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8개 내지 20개의 잠금 유지부가 이용될 수 있다. 많은 수의 잠금 유지부는 특히 더 큰 잠금 모멘트를 허용한다. 그 외 장점은 권한 없는 "자물쇠 따기"에 대한 저항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2개의 인코딩 스트립을 가지는 키의 가능성 있는 실시예의 관점에서 언제나 2개의 외면은 인코딩 스트립을 갖지 않는다. 이는, 인코딩 스트립이 측면에 배치되지 않으면서 하나의 광측과 하나의 협측이 중실형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대안으로서 양 광측 또는 양 협측이 인코딩 스트립을 가지지 않을 수 있다. 키가 중실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며, 밀링에 의해 인코딩 스트립이 가공된다. 협측에 인코딩 스트립이 없으면 키의 높이가 더 줄어들 수 있다. 그 결과 키 채널의 소형화가 가능해져 키 실린더의 차량 절도에 대한 보안 기능이 더 좋아지는데, 소형화 때마다 잠재적인 절도 공구 역시 작아져야 키 채널 안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가해지는 최대 힘 역시 줄어들기 때문이다.
키의 외면이 3개의 인코딩 스트립을 가지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양 광측은 각각의 경우 인코딩 스트립을 갖도록 형성되고 하나의 협측만이 상응하는 인코딩 스트립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대안으로서 양 협측은 각각의 경우에 인코딩 스트립을 갖도록 형성되고, 한 협측이 단지 하나의 인코딩 스트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와 동시에 반대편 협측은 인코딩 스트립을 갖지 않는다. 인코딩 스트립이 3개이기 때문에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잠금 장치의 잠금 조합의 수는 훨씬 많아질 수 있다. 동시에 키 횡단면, 키의 기능 길이 및 록 실린더의 설치 길이는 작아질 수 있다. 그러므로 제조 비용의 감소 외에도 록 실린더에서 어떤 조작에 대하여도 보안성 향상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 외 가능한 조치에서 키의 외면은 4개의 인코딩 스트립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키의 외면은 각각 하나의 인코딩 스트립을 갖는다. 4개의 인코딩 스트립은 가능한 잠금 조합의 수의 추가적인 증가를 야기하므로, 록 실린더의 설치 길이, 키 횡단면 및 키의 기능 길이가 현저히 줄어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능한 실시예로서, 인코딩 스트립은 홈으로서 및/또는 리브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홈 또는 리브는 특히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되는 스트립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때 홈은 키의 외면에서 그루브로서 형성되어 있고, 해당 잠금 유지 부재가 키를 삽입할 때 그루브와 결합한다. 그에 반해 리브는 키의 외면에서 돌출형으로 형성되었으며, 각 잠금 유지 부재는 키를 삽입할 때 리브와 결합한다. 2개 인코딩 스트립, 3개 인코딩 스트립 또는 4개 인코딩 스트립을 갖는 키는, 단지 홈으로서 인코딩 스트립, 리브로서 인코딩 스트립 또는 홈 및 리브로서 인코딩 스트립이 이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장점으로서 인코딩 스트립이 하나 이상의 안내 표면을 가지고, 이러한 안내 표면은 해당 잠금 유지 부재에 작용하고, 특히 제1 인코딩 스트립은 제1 잠금 유지 부재에 작용하고 제2 인코딩 스트립은 제2 잠금 유지 부재에 작용하며, 특히 제1 잠금 유지 부재는 실린더 축에 대해 제1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 잠금 유지 부재는 실린더 축에 대해 제2 반경 방향으로, 즉 제1 반경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 외 실시예에서, 실린더 코어 내에서 제1 잠금 유지 부재와 제2 잠금 유지 부재가 교대로 배치되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외부로부터의 어떤 조작에 대하여도 보안성 향상이 달성되는데, 이는 부정하게 잠금 유지 부재를 정렬하기 위해 제1 잠금 유지 부재는 조작 공구를 통해 제1 방향으로 그리고 제2 잠금 유지 부재는 제2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실린더 코어의 회전이 릴리즈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그 외 장점은 제1 잠금 유지 부재가 각각의 경우 상이한 방향으로 스프링 하중을 받는 복수의 개별 잠금 유지 부재를 가지는 것이 될 수 있다. 게다가 제2 잠금 유지 부재는 역시 각각의 경우 상이한 방향으로 스프링 하중을 받는 복수의 개별 잠금 유지 부재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개별 잠금 유지 부재에 하나의 스프링이 작용한다. 이때 양 광측 중 어느 한 광측의 하나 이상의 인코딩 스트립을 가지는 제1 잠금 유지 부재가 작용한다. 제2 잠금 유지 부재는 협측들 중 어느 한 협측의 하나 이상의 인코딩 스트립과 함께 작용할 수 있다. 차량 절도에 대한 보안성을 추가로 높이기 위해, 제1 잠금 유지 부재의 개별 잠금 유지 부재들에 가해지는 스프링 하중의 방향은 서로 상이하게 정렬될 수 있음을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조작자는 제1 잠금 유지 부재의 제1 개별 잠금 유지 부재들을, 예를 들어 조작 공구를 통해 규정 방향으로 운동시킬 수밖에 없고, 제1 잠금 유지 부재의 다음 제2 개별 잠금 유지 부재가 예를 들어 조작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정렬되어 운동될 수밖에 없다. 상이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스프링 하중이 제2 잠금 유지 부재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조작 공구의 이용에 대한 저항성이 증가하고 그 와 동시에 키 채널에 대한 개구가 작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능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협측은 인코딩 스트립으로서 리브를 가지며 하나 이상의 광측은 인코딩 스트립으로서 홈을 갖는다.
본 발명을 개선하려는 조치에서, 키가 하나 이상의 보조 인코딩 스트립을 가지며, 보조 인코딩 스트립이 협측에 및/또는 광측에 제공되고, 보조 인코딩 스트립은 특히 키의 가역 기능을 배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인코딩 스트립은 키의 외면들 중 어느 하나에서 방향 변경 없는 연장부를 가질 수 있다. 이는, 보조 인코딩 스트립이 예를 들어 실린더 축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해 있음을 의미한다. 보조 인코딩 스트립의 횡단면은 상이한 기하학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인코딩 스트립은 원형, 각형 또는 타원형의 기하학적 형상을 취할 수 있는 홈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그 외에도 키에서 보조 인코딩 스트립의 의미는 예를 들어, 이용되는 키 시스템이 상기 보조 인코딩 스트립을 갖도록 형성되는 메인 키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추가 보조 키는 키의 외면에서 동일한 인코딩 스트립을 가질 수 있지만, 상기 보조 인코딩 스트립 없이 형성되므로, 이용자를 위해 단지 제한적으로 보조 키가 고정적으로 제공된 록 실린더 안으로 효과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 외 특징과 장점 및 기술적 특징들은 청구항,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얻어진다. 하기 도면들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잠금 장치는 복수의 실시예들에서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잠금 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키에 관한 도로서, 키가 2개의 인코딩 스트립을 갖는다.
도 2는 2개의 인코딩 스트립 및 하나의 보조 인코딩 스트립을 가지는 추가 키에 관한 도이다.
도 3a, b는 2개의 인코딩 스트립을 가지는 키의 추가 실시예에 관한 도이다.
도 4는 3개의 인코딩 스트립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키에 관한 도이다.
도 5는 3개의 인코딩 스트립을 가지는 키의 추가 실시예에 관한 도이다.
도 6은 3개의 인코딩 스트립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추가 키에 관한 도이다.
도 7은 4개의 인코딩 스트립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추가 키에 관한 도이다.
도 8은 3개의 인코딩 스트립 및 하나의 보조 인코딩 스트립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키에 관한 도이다.
도 9는 3개의 인코딩 스트립 및 하나의 보조 인코딩 스트립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추가 키에 관한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록 실린더의 스프링 하중식 잠금 유지 부재에 관한 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따른 잠금 유지 부재에 관한 추가의 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록 실린더에 관한 개략도이다.
도 13은 도 5의 키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3의 키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7의 키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모든 실시예들에는 사용하려는 키(10) 및 차량 도어에 설치되어 있는 록 실린더(1)를 가지는 자동차 잠금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록 실린더(1)는 도면에 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은 록 실린더 하우징 안에 삽입되어 있으며, 실린더 코어(2)가 회전가능하게 록 실린더 내에 설치되어 있다. 실린더 코어(2)는 많은 스프링 하중식 잠금 유지 부재(30, 40)를 갖는다. 그 외에도 실린더 코어(2)는 키 채널(3)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키(10)가 키 채널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도 12의 본 발명에 따른 록 실린더(1)는 복수의 잠금 유지 부재(30, 40)를 가지고 있다. 이때 잠금 유지 부재(30, 40)는 제1 잠금 유지 부재(30)와 제2 잠금 유지 부재(40)로 나뉜다. 제1 잠금 유지 부재(30)는 복수의 개별 잠금 유지 부재(31)를 갖는다. 제2 잠금 유지 부재(40) 역시 복수의 개별 잠금 유지 부재(41)를 갖는다. 실린더 축(4)의 방향으로 개별 잠금 유지 부재(31)와 개별 잠금 유지 부재(41)가 서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그 외에도 개별 잠금 유지 부재(31)는 각각의 경우 그루브 또는 리세스(31a)를 갖는다. 그에 반해 개별 잠금 유지 부재(41)는 각각의 경우 돌출부(41a)를 갖는다. 키(10)가 채널(3) 내에 꽂혀 있지 않으면, 잠금 유지 부재(30, 40)의 각각의 리세스(31a) 및 돌출부(41a)는 채널(3) 안으로 튀어나와 있으며 동시에 실린더 하우징 내 도 12에 도시된 실린더 코어(2)의 회전을 차단한다. 이러한 경우에 잠금 유지 부재(30, 40)는 플레이트 잠금 유지부이다. 적절한 "정당한" 키(10)를 삽입하면, 개별 잠금 유지 부재(31, 41)는 개구(5)로부터 실린더 코어(2)의 재킷부 위로 더 이상 돌출하지 않으므로 실린더 코어(2)가 실린더 하우징 안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잠금 유지 부재(30, 40)가 조정된다. 꽂혀 있는 키(10)를 회전시키면, 이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 장치를 이용해 자동차의 작동 장치를 키(10)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해제 및/또는 잠금을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키(10)의 회전 운동을 통해 스위치가 작동될 수 있으며, 스위치는 점화, 자동차의 전자 부품을 위한 전압 등을 활성화 및/또는 비활성화시킨다.
전술한 모든 실시예에 있어서 키(10)는 외면(11a, 11b, 12a, 12b)을 가지며, 외면이 2개 이상의 인코딩 스트립(50)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키(10)를 채널(3) 안에 삽입할 때 인코딩 스트립은 잠금 유지 부재(30, 40)에, 특히 개별 잠금 유지 부재(31, 41)의 리세스(31a) 및 돌출부(41a)에 작용한다. "정당한" 키(10)가 채널(3) 안으로 삽입되면, 잠금 유지 부재(30, 40)는 상응하게 실린더 코어(2)에서 인코딩 스트립(50)에 의해 정렬될 수 있으므로, 실린더 코어(2)의 회전 운동이 가능해진다.
가능성 있는 변형예에서 키(10)는 2개의 인코딩 스트립(51a, 51b)을 가질 수 있다. 인코딩 스트립(51a, 51b)은 키(10)의 협측(11a, 11b)에 각각 제공되어 있다. 그에 반해 광측(12a, 12b)은 인코딩부를 가지지 않는다.
키(10)의 추가 실시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1에서처럼 키 역시 협측(11a, 11b)에서 2개의 인코딩 스트립(51a, 51b)을 갖는다. 또한, 제1 광측(12a)은 보조 인코딩 스트립(60)을 갖는다. 보조 인코딩 스트립(60)은 어떤 방향 변경도 없는 선형 연장부를 갖는다. 그에 반해 도 1 및 도 2에 따른 인코딩 스트립(51a, 51b)은 상이한 인코딩 포인트를 갖는다. 인코딩 스트립(51a, 51b)은 개별적인 토포그래피를 통해 결정된다. 인코딩 스트립(51a)이 인코딩 스트립(51b)과 기하학적으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런 경우에 키(10)는 가역 키가 아닐 것이다. 그러나 인코딩 스트립(51a)이 인코딩 스트립(51b)에 대하여 180° 회전하여 정렬되는 위치로 정렬되면, 도 1에 따른 키(10)는 가역 키가 된다.
제1 광측(12a)에만 배치된 보조 인코딩 스트립(60) 때문에 키(10) 역시 가역 키는 아니다.
도 3a 및 도 3b에 2개의 인코딩 스트립(51a, 52a)을 가지는 키(10)의 추가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키(10)의 제1 협측(11a)은 인코딩 스트립(51a)을 가지며, 제1 광측(12a)은 추가 인코딩 스트립(52a)을 갖는다. 돌출 리브로서 형성된, 협측(11a)에서의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인코딩 스트립(51a)과 반대로, 제1 광측(12a)의 인코딩 스트립(52a)이 홈 형상 리세스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따른 키(10)는 가역 키가 아니다.
3개의 인코딩 스트립(51a, 51b, 52a)을 가지는 키(10)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2개의 인코딩 스트립(51a, 51b)은 각각의 경우 협측(11a, 11b)에 제공되어 있다. 하나의 인코딩 스트립(52a)이 광측(12a)에 제공되어 있다. 반대편 광측(12b)은 인코딩 스트립을 가지지 않는다. 광측(12a)에 있는 리세스(60)는 추가 변형예에서 제공될 수 있으며, 리세스(60)는 보조 인코딩 부재로서 이용될 수 있다.
3개의 인코딩 스트립(51a, 52a, 52b)을 가지는 키(10)가 도 5에도 도시되어 있다. 도 4의 키(10)와 실질적인 차이점은 도 5의 키(10)는 양 광측(12a, 12b)에서 각각의 경우 인코딩 스트립(52a, 52b)을 가지며 상부 제1 협측(11a)만이 인코딩 스트립(51a)을 포함하는 것이다. 하부 협측(11b)은 인코딩 스트립을 가지지 않는다. 도 4와 도 5에 따른 양 키(10)는 가역 키로서 이용될 수 없는 차량 키이다.
키(10)의 추가 변형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키는 마찬가지로 외면에 3개의 인코딩 스트립(51a, 52a, 52b)을 갖는다. 도 6에 따른 키(10)는 도 5에 따른 키(10)에 실질적으로 상응하며, 단지 인코딩 스트립(52b)이 다르게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있어서 제2 광측(12b)의 인코딩 스트립(52b)은 돌출형이고, 제1 협측(11a)의 인코딩 스트립(51a)처럼, 제2 광측으로부터 돌출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따른 키(10) 역시 가역 키는 아니다.
4개의 인코딩 스트립(51, 51b, 52a, 52b)을 가지는 키(10)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협측(11a, 11b)의 인코딩 스트립(51a, 51b)은 홈 형상 돌출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에 반해 광측(12a, 12b)의 인코딩 스트립(52a, 52b)은 홈 형상 리세스 또는 그루브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키(10)는 가역 키인데, 인코딩 스트립들(51a, 51b)이 서로 180° 회전하여 정렬되는 위치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 외에도 인코딩 스트립들(52a, 52b)이 역시 서로 180° 회전하여 정렬되는 위치로 배치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도 7에 도시된 키를 기하학적 정렬과 형상에 있어 완전히 다른 인코딩 스트립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므로, 키에 4개의 인코딩 스트립(51a, 51b, 52a, 52b)이 제공되면, 상기 키 역시 가역 키는 아니다.
3개의 인코딩 스트립(51a, 51b, 52a)을 가지는 키(10)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제2 광측(12b)은 보조 인코딩 스트립(60)을 가지며, 키(10)의 정렬 방향을 따라서 선형으로 보조 인코딩 스트립이 연장해 있다. 보조 인코딩 스트립(60)의 추가에 의해 가능한 조합의 수가 증가될 수 있다.
3개의 인코딩 스트립(51a, 52a, 52b)을 가지는 키(10)의 추가의 대안적 실시예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에 따른 실시예와 반대로 도 9에 따른 키(10)는 제2 협측(11b)에서 보조 인코딩 스트립(60)을 갖는다. 보조 인코딩 스트립(60) 역시 키(10)의 연장부를 따라서 선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잠금 유지 부재(30, 40)의 배치가 도 10 및 도 11에 있어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개별 잠금 유지 부재(31)는 각각의 경우 개별 잠금 유지 부재(41)와 교대로 실린더 축(4)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스프링 힘(33)이 제1 잠금 유지 부재(30)에 작용하고 개별 잠금 유지 부재(31)의 숄더(34)에 작용한다. 제2 잠금 유지 부재(41)에는 제2 스프링 힘(44)이 작용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스프링 힘이 스프링 힘(33)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다. 각각의 경우에 동일 스프링 힘(33)이 도 10a에 따른 동일한 방향으로 모든 개별 잠금 유지 부재(31)에 작용하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절도에 대한 보안성을 높이기 위해, 제1 개별 잠금 유지 부재(31)의 스프링 힘(33)이 도 10a에 따른 제1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도 10a에 도시된 것처럼 스프링 힘(33)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정렬된 스프링 힘(33)이 그 다음 개별 잠금 유지 부재(31)에 작용할 수 있다. 스프링 힘들(44)이 각각의 경우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잠금 유지 부재(40)의 개별 잠금 유지 부재(41)로 정렬되어 있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으며, 이는 특히 도 11에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다.
실린더 축(4)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 실린더 코어(2)의 예가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개구 또는 채널(3) 안에 키(10)가 삽입될 수 있다. 키(10)가 삽입되지 않으면, 잠금 유지 부재(30, 40)는 슬롯 형상 개구(5)로부터 돌출한다. "정당한" 키(10)가 실린더 코어(2) 안에 삽입되어 있으면, 잠금 유지 부재(30, 40)는 상응하게 정렬되고 실린더 코어(2)의 재킷부에 있는 슬롯 형상 개구(5)로부터 돌출하지 않으므로, 실린더 축(4)을 중심으로 실린더 코어(2)의 회전이 가능해진다. 그 외에도 도 12에서 실린더 코어(2)의 리세스(6)가 도시되어 있으며, 리세스 안에 스프링 부재들이 삽입되어 있고, 스프링 부재는 방향(33, 44)으로 도 10 내지 도 11에 따른 각각의 개별 잠금 유지 부재(31, 41)에 상응하는 스프링 힘을 가한다.
도 5에 따른 키(10)의 횡단면적이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그에 반해 도 3의 키(10)의 횡단면적이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의 키(10)의 횡단면적이 도 15에 도시되어 있다. 이런 경우 각각의 측면(11a, 11b, 12a, 12b)에 있는 각각의 인코딩 스트립(51a, 51b, 52a, 52b)이 특히 명확하게 도 13 내지 도 15 모두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15에 따른 실시예들은 자동차의 양방향 보안 시스템의 ID-장치에 관한 것일 수 있으며, 키(10)가 ID-장치 유닛에 배치되어 있다. 이런 경우 ID-장치와 자동차측 유닛 사이에 양방향 통신이 이루어진다.
1 록 실린더
2 실린더 코어
3 채널
4 실린더 축
5 개구
6 리세스
10 키
11a 외면, 제1 협측
11b 외면, 제2 협측
12a 외면, 제1 광측
12b 외면, 제2 광측
30 잠금 유지 부재
31 개별 잠금 유지 부재
31a 리세스
32 개별 잠금 유지 부재
33 스프링 힘
34 숄더
40 잠금 유지 부재
41 개별 잠금 유지 부재
41a 돌출부
42 개별 잠금 유지 부재
43 스프링 힘
50 인코딩 스트립
51a 인코딩 스트립
51b 인코딩 스트립
52a 인코딩 스트립
52b 인코딩 스트립
60 보조 인코딩 스트립

Claims (16)

  1. 키(10) 및 록 실린더(1)와, 채널(3)과, 스프링 하중식 잠금 유지 부재(30, 40)와, 키(10)에 제공되어 있는 복수의 외면(11a, 11b, 12a, 12b)을 구비한 자동차 잠금 장치로서, 이때 록 실린더(1)는 실린더 코어(2)를 가지며, 실린더 코어는 록 실린더(1)의 실린더 하우징 안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채널은 실린더 코어(2)에 포함되고, 채널 내에는 키(10)가 삽입될 수 있으며, 스프링 하중식 잠금 유지 부재는 키(10)를 채널(3) 안으로 삽입할 때 록 실린더(1)의 실린더 축(4)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고,
    복수의 외면(11a, 11b, 12a, 12b)은 키(10)를 삽입할 때 잠금 유지 부재(30, 40)에 작용하는 2개 이상의 평평한 인코딩 스트립(50)을 갖고,
    하나 이상의 인코딩 스트립(50)은 홈으로서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인코딩 스트립(50)은 리브로서 형성되며,
    상기 리브는, 하나 이상의 파상형의 수직 측면을 갖는, 평평한 상면을 포함하는, 자동차 잠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외면(11a, 11b, 12a, 12b)은 제1 협측(11a) 및 제2 협측(11b)과, 제1 광측(12a) 및 제2 광측(12b)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잠금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키(10)는 가역 키로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키(10)는 효과적으로 채널(3) 안으로 삽입될 수 있는 2개 이상의 위치를 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잠금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2개 이상의 협측(11a, 11b) 또는 2개 이상의 광측(12a, 12b)은 각각의 경우 하나의 인코딩 스트립(50)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제1 협측(11a)은 제1 협측 인코딩 스트립(51a)을 갖도록 그리고 제2 협측(11b)은 제2 협측 인코딩 스트립(51b)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거나, 제1 광측(12a)은 제1 광측 인코딩 스트립(52a)을 갖도록 그리고 제2 광측(12b)은 제2 광측 인코딩 스트립(52b)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 적어도 제1 협측(11a)의 제1 협측 인코딩 스트립(51a)은 제2 협측(11b)의 제2 협측 인코딩 스트립(51b)에 대해 180° 회전하여 정렬되도록 형성되어 있거나, 적어도 제1 광측(12a)의 제1 광측 인코딩 스트립(52a)은 제2 광측(12b)의 제2 광측 인코딩 스트립(52b)에 대해 180° 회전하여 정렬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잠금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키(10)의 외면(11a, 11b, 12a, 12b)은 3개의 인코딩 스트립(50)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잠금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키(10)의 외면(11a, 11b, 12a, 12b)은 4개의 인코딩 스트립(51a, 51b, 52a, 52b)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잠금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키(10)는 2개의 인코딩 스트립(50)을 가지며, 제1 광측(11a)과 제2 광측(11b)은 각각의 경우 하나의 인코딩 스트립(51a, 51b)을 가지거나, 제1 협측(12a)과 제2 협측(12b)은 각각의 경우 하나의 인코딩 스트립(52a, 52b)을 가지거나, 제1 광측(12a)과 제1 협측(11a)은 각각의 경우 하나의 인코딩 스트립(52a, 51a)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잠금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키(10)는 3개의 인코딩 스트립(50)을 가지며, 제1 광측(12a)과 제2 광측(12b)은 각각의 경우 하나의 인코딩 스트립(52a, 52b)을 가지며 제1 협측(11a)은 하나의 인코딩 스트립(51a)을 가지거나, 제1 협측(11a)과 제2 협측(11b)은 각각의 경우 하나의 인코딩 스트립(51a, 51b)을 가지며 제1 광측(12a)은 하나의 인코딩 스트립(52a)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잠금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키(10)는 4개의 인코딩 스트립(51a, 51b, 52a, 52b)을 가지며, 제1 광측(12a)과 제2 광측(12b)은 각각의 경우 하나의 인코딩 스트립(52a, 52b)을 가지며, 제1 협측(11a)과 제2 협측(11b)은 각각의 경우 하나의 인코딩 스트립(51a, 51b)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잠금 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키(10)는 사각의 플랫 단면이며, 사각의 플랫 단면은 각각의 경우 서로 반대편에 짝을 이뤄 한 편으로는 협측(11a, 11b)을 그리고 다른 한 편으로는 광측(12a, 12b)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잠금 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인코딩 스트립(51a, 51b, 52a, 52b)은 홈으로서 또는 리브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잠금 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인코딩 스트립(51a, 51b, 52a, 52b)은 하나 이상의 안내 표면을 가지고, 안내 표면은 해당 잠금 유지 부재(30, 40)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잠금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실린더 코어(2) 내에서 제1 잠금 유지 부재(30)와 제2 잠금 유지 부재(40)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잠금 장치.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잠금 유지 부재(30)는 각각의 경우 상이한 방향으로 스프링 하중을 받는 복수의 개별 잠금 유지 부재(31, 32)를 가지거나, 제2 잠금 유지 부재(40)는 각각의 경우 상이한 방향으로 스프링 하중을 받는 복수의 개별 잠금 유지 부재(41, 42)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잠금 장치.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협측(11a, 11b)은 인코딩 스트립(51a, 51b, 52a, 52b)으로서 리브를 가지며, 하나 이상의 광측(12a, 12b)은 인코딩 스트립(51a, 51b, 52a, 52b)으로서 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잠금 장치.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키(10)는 하나 이상의 보조 인코딩 스트립(60)을 가지며, 보조 인코딩 스트립은 협측(11a, 11b) 또는 광측(12a, 12b)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잠금 장치.
KR1020127020885A 2010-02-10 2011-02-04 잠금 장치 KR1017260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01790.6 2010-02-10
DE102010001790A DE102010001790A1 (de) 2010-02-10 2010-02-10 Schließvorrichtung
PCT/EP2011/051637 WO2011098405A1 (de) 2010-02-10 2011-02-04 Schliessvor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7353A KR20120137353A (ko) 2012-12-20
KR101726014B1 true KR101726014B1 (ko) 2017-04-11

Family

ID=44035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0885A KR101726014B1 (ko) 2010-02-10 2011-02-04 잠금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966949B2 (ko)
EP (1) EP2534321B1 (ko)
JP (1) JP6009359B2 (ko)
KR (1) KR101726014B1 (ko)
CN (2) CN104265074A (ko)
DE (1) DE102010001790A1 (ko)
WO (1) WO20110984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24571A1 (de) * 2008-04-10 2009-10-15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Schliessvorrichtung mit einem schlüssel und einem schliesszylinder
DE102009033487A1 (de) * 2009-07-15 2011-01-20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Schließvorrichtung
ES2436450T3 (es) * 2009-11-28 2014-01-02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Sistema de cierre
US10419989B2 (en) * 2013-10-16 2019-09-17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Direct link mode for small cells of cellula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R3023763B1 (fr) * 2014-07-16 2017-10-06 U-Shin France Sas Ensemble de verrouillage pour vehicule automobile
AT516237B1 (de) * 2014-09-11 2017-11-15 Evva Sicherheitstechnologie Schlüssel sowie zugehöriges Schloss
AT516819B1 (de) * 2014-11-18 2018-09-15 Evva Sicherheitstechnologie Flachschlüssel und Zylinderschloss
US20170081879A1 (en) * 2015-09-21 2017-03-23 Raphael Moshe Inbar Blank key, a lock set with a security mechanism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10044710B2 (en) 2016-02-22 2018-08-07 Bpip Limited Liability Company Device and method for validating a user using an intelligent voice print
AT523800B1 (de) 2020-05-12 2022-06-15 Evva Sicherheitstechnologie Querschnittprofil für einen Flachschlüssel oder den Schlüsselkanal eines Zylinderschlosses
CN112814479B (zh) * 2021-03-17 2022-04-29 珠海优特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机械锁芯及锁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4433A (ja) * 2006-12-08 2008-06-26 Gomi Seisakusho:Kk ピンタンブラー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90025442A1 (en) * 2005-09-07 2009-01-29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Locking Device with a Locking Cylinder and a Key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132591B (de) * 1931-07-30 1933-03-25 Kirchbach & Co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Herstellung von Reibbelägen.
DE1297922B (de) * 1965-03-22 1969-06-19 Licentia Gmbh Sicherheits-Zylinderschloss mit Kennzeichengeber
JPS5711094Y2 (ko) * 1976-09-20 1982-03-04
JPS5723644Y2 (ko) * 1977-03-01 1982-05-22
DE2947402A1 (de) * 1979-11-24 1981-05-27 DOM-Sicherheitstechnik GmbH & Co KG, 5040 Brühl Flachschluessel fuer zylinderschloss
US4516416A (en) * 1980-02-08 1985-05-14 Evva-Werk Spezialerzeugung Von Zylinder- Und Sicherheitsschlossern Gesellschaft 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Locking device and key
DE3375037D1 (en) * 1983-02-04 1988-02-04 Evva Werke Cylinder lock with a cylinder housing and a cylinder core, as well as a key
CH662610A5 (de) * 1983-07-26 1987-10-15 Uniswitch Ag Sicherheitsschloss.
FR2551794B3 (fr) * 1983-09-13 1985-12-27 Stremler Dispositif de serrure et cle du type dans lequel la serrure comprend un rotor cylindrique et comporte plusieurs rangees de goupilles d'arret
SE459432B (sv) * 1986-01-31 1989-07-03 Widen Innovation Ab Cylinderlaas samt tillhaallare och nyckelblad foer anvaendning i kombination med detta
JPH0227073A (ja) * 1988-07-15 1990-01-29 Shiroki Corp 自動車のロックシステム
JPH0479164U (ko) * 1990-11-22 1992-07-09
AT396501B (de) * 1991-07-02 1993-10-25 Evva Werke Zylinderschloss mit sperrleisten, sowie flachschlüssel für das zylinderschloss
JP2595636Y2 (ja) * 1992-10-30 1999-05-31 株式会社アルファ 多重タンブラ錠
DE4440740A1 (de) * 1994-11-15 1996-05-30 Bremicker Soehne Kg A Schließvorrichtung
HU220985B1 (hu) 1995-12-11 2002-07-29 R. Berchtold Ag Zárszerkezet hengerzárral és laposkulccsal
FI108308B (fi) * 1998-09-25 2001-12-31 Abloy Oy Sylinterilukko-avain-yhdistelmä
JP2000230357A (ja) 1999-02-12 2000-08-22 Miwa Lock Co Ltd カップ錠
AT409019B (de) * 1999-05-26 2002-05-27 Evva Werke Flachschlüssel und zylinderschloss
DE19944070C2 (de) * 1999-09-15 2001-08-16 Huf Huelsbeck & Fuerst Gmbh Schließ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JP3709146B2 (ja) 2000-03-09 2005-10-19 株式会社アルファ シリンダ錠
CN2428543Y (zh) * 2000-06-20 2001-05-02 姜方冰 销式锁头及钥匙
JP3396209B2 (ja) * 2000-10-18 2003-04-14 株式会社クローバー ディスク錠装置
SE524645C2 (sv) * 2002-01-23 2004-09-14 Winloc Ag Kombination av högsäkerhetslås och nyckelblad
AT411779B (de) * 2002-03-29 2004-05-25 Evva Werke Schlüssel für zylinderschlösser und zylinderschloss
CA2481917C (en) * 2002-04-09 2009-03-03 Master Lock Company A discriminating mechanism for a pin tumbler lock
DE10324205B3 (de) * 2003-05-28 2004-10-21 Dom-Sicherheitstechnik Gmbh & Co. Kg Schließzylinder mit Schlüssel
GB2412689B (en) * 2004-03-30 2006-10-04 Mul T Lock Technologies Ltd Key combination element in key blank and key
JP2006144422A (ja) 2004-11-22 2006-06-08 Nikko:Kk 自転車用錠
DE102005042618A1 (de) * 2005-09-07 2007-03-08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Schließvorrichtung mit einem Schließzylinder und mit einem Schlüssel
JP2007239265A (ja) 2006-03-07 2007-09-20 Sankyo Kinzoku Kk シリンダ錠
CN201092768Y (zh) * 2007-07-11 2008-07-30 东隆五金工业股份有限公司 钥匙定位的控制装置
WO2009124571A1 (de) * 2008-04-10 2009-10-15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Schliessvorrichtung mit einem schlüssel und einem schliesszylinder
CZ304492B6 (cs) * 2009-03-09 2014-05-28 Fab, S.R.O. Kombinace válcového zámku a klíče
CN101550777A (zh) * 2009-04-21 2009-10-07 钟坚波 空转锁
DE102009026117B4 (de) * 2009-07-07 2015-01-22 C.Ed. Schulte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Zylinderschlossfabrik Schließzylinder mit passendem Schlüssel
DE102009033487A1 (de) * 2009-07-15 2011-01-20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Schließvorrichtung
AU2009354815B2 (en) * 2009-10-30 2014-11-20 Schlage Lock Company Lock cylinder and key combination
ES2436450T3 (es) * 2009-11-28 2014-01-02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Sistema de cierre
JP5535780B2 (ja) * 2010-06-10 2014-07-0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キー及び施錠装置
US8156777B1 (en) * 2010-09-23 2012-04-17 Winloc Ag Lock and key with double code patter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25442A1 (en) * 2005-09-07 2009-01-29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Locking Device with a Locking Cylinder and a Key
JP2008144433A (ja) * 2006-12-08 2008-06-26 Gomi Seisakusho:Kk ピンタンブラー錠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009359B2 (ja) 2016-10-19
US8966949B2 (en) 2015-03-03
WO2011098405A1 (de) 2011-08-18
CN102753775A (zh) 2012-10-24
KR20120137353A (ko) 2012-12-20
JP2013519808A (ja) 2013-05-30
EP2534321B1 (de) 2017-08-30
CN104265074A (zh) 2015-01-07
DE102010001790A1 (de) 2011-08-11
US20130000368A1 (en) 2013-01-03
EP2534321A1 (de) 2012-12-19
CN102753775B (zh) 2017-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6014B1 (ko) 잠금 장치
US8826707B2 (en) Locking device comprising a key and a locking cylinder
US7484392B2 (en) Cylinder lock and key
KR101412358B1 (ko) 잠금 시스템
AU2021269400B2 (en) Rekeyable lock cylinder with enhanced torque resistance
KR101473123B1 (ko) 잠금 장치
US4398404A (en) Key disengagement preventive device for magnetic tumbler cylinder locks
US8726706B2 (en) Locking device
WO2012024451A2 (en) High security moving mass lock system
US20090019904A1 (en) Key and lock
US20200002976A1 (en) Linear lock
AU2013248267B1 (en) Lock system
KR101254827B1 (ko) 다중 홈 키로 작동 가능한 회전식 실린더 록
EP3103944B1 (en) Key with a pivoting element and a lock
CA2928792C (en) Combination lock
US20030164012A1 (en) Lock-key system
CN111577011B (zh) 锁芯和钥匙系统
CN109184335B (zh) 一种锁及其钥匙
KR101735867B1 (ko) 잠금 장치
US7793528B2 (en) Key-operated mechanical lock
JP2006519945A (ja) シリンダ錠
JP2008247129A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CN111593956A (zh) 锁芯、锁具及锁具系统
EP1035279A2 (en) Lock assembly
EP1607554A1 (en) Bardachenko cylindrical 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