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3474B1 - 슬라이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지퍼 - Google Patents

슬라이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지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3474B1
KR101723474B1 KR1020157017048A KR20157017048A KR101723474B1 KR 101723474 B1 KR101723474 B1 KR 101723474B1 KR 1020157017048 A KR1020157017048 A KR 1020157017048A KR 20157017048 A KR20157017048 A KR 20157017048A KR 101723474 B1 KR101723474 B1 KR 101723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locking unit
coupling
uni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7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6682A (ko
Inventor
이옥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엠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엠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엠케이
Publication of KR20150096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6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36Means for permanently uniting the stringers at the end; Means for stopping movement of slider at the end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38Means at the end of stringer by which the slider can be freed from one stringer, e.g. stringers can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26Sliders
    • A44B19/30Sliders with means for locking in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02Slide fasteners with a series of separate interlocking members secured to each stringer ta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5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2511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with distinct, stationary means for anchoring slider
    • Y10T24/2513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with distinct, stationary means for anchoring slider and for aligning surfaces or obstructing slider movement

Abstract

새로운 개념의 슬라이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지퍼가 개시된다. 상기 슬라이더 어셈블리는 티스 가이드를 구비한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기둥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테이프의 측면에 각각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티스들을 따라 전진 이동하면서 상기 티스들을 상호 결합하고 후진 이동하면서 상기 티스들을 상호 분리하는 슬라이더(slider); 상기 제1 테이프의 길이 방향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후진 이동을 제한하는 로킹유닛(locking unit); 및 상기 제2 테이프의 길이 방향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로킹유닛과 상하로(테이프 두께 방향으로) 겹쳐 누르는 힘에 의해 탄성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더를 후진 이동하는 힘에 의해 상기 로킹유닛과 분리되는 보텀유닛(bottom unit)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슬라이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지퍼{SLIDER ASSEMBLY AND ZIPPER COMPRISING SAME}
본 발명은 슬라이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지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퍼는 가방이나 의류 등에 설치되어 입구를 개폐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개폐방법이 매우 간편하여 사용범위가 광범위하다.
종래 지퍼의 구조를 간단하게 살펴보면, 직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테이프(tape)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티스(teeth)가 각각 배치되어 있고, 전면과 후면이 관통하는 구조를 갖는 슬라이더(slider)가 한쪽 테이프에 결합되어 있다.
슬라이더를 전진시키면 양쪽 티스가 슬라이더의 전면을 통하여 들어와 슬라이더 내에서 서로 맞물려 결합된 후 후면으로 배출되고, 반대로 슬라이더가 후진하면 서로 맞물린 티스가 슬라이더의 후면을 통하여 들어와 슬라이더 내에서 분리된 후 전면으로 각각 배출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지퍼는 잠금 동작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지퍼를 잠그기 위해서는 슬라이더가 결합되어 있지 않은 테이프의 단부의 보텀스톱(bottom stop) 삽입 핀을 슬라이더를 관통하여 보텀스톱 박스에 끼워야 하는데, 사용자가 가령 장갑 등을 착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섬세한 끼움 동작을 수행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개념의 슬라이더 어셈블리가 본 출원인의 한국특허출원 2012-0014943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슬라이더 어셈블리는 보텀스톱과 로킹유닛을 상하로 겹쳐 누르는 동작에 의해 양 테이프를 신속하게 결합하도록 하여 티스의 결합과 분리를 신뢰성 있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이러한 형상의 슬라이더 어셈블리는 하부가 개방된 통 형상을 가지고 티스와 결합하는 양측 에지가 내측으로 구부러진 새로운 형상의 슬라이더를 필요로 하며, 나아가, 이러한 형상의 슬라이더를 수용하기 위한 새로운 형상의 티스, 즉, 부착부가 ‘ㄷ’자 형상을 가지고 그 사이에 슬라이더의 에지가 수용되며 하부에 테이프 고정을 위한 결합돌기를 구비한 특수한 형상의 티스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기존의 슬라이더와 티스를 이용할 수 없어 슬라이더 제조 설비와 티스 제조 설비를 새로 구축해야 하며, 이로 인해 초기 설비 투자 부담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형상의 티스는 테이프에 결합하는 공정이 복잡하고 제한적이어서 전체 생산 단가가 높고, 각 부품의 표준화와 최적화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간단한 동작으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티스를 결합하고 분리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슬라이더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초기 설비 투자 부담이 적고 생산 단가가 낮으며 부품의 표준화와 최적화에 유리한 슬라이더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 어셈블리는 티스 가이드를 구비한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기둥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테이프의 측면에 각각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티스들을 따라 전진 이동하면서 상기 티스들을 상호 결합하고 후진 이동하면서 상기 티스들을 상호 분리하는 슬라이더(slider); 상기 제1 테이프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후진 이동을 제한하는 로킹유닛(locking unit); 및 상기 제2 테이프에 배치되고, 상기 로킹유닛과 상하로(테이프 두께 방향으로) 겹쳐 누르는 힘에 의해 탄성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더를 후진 이동하는 힘에 의해 상기 로킹유닛과 분리되는 보텀유닛(bottom unit)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로킹유닛 및 상기 보텀유닛 중 하나는 서로 대향하는 면에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부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로킹유닛과 상기 보텀유닛을 상하로 겹쳐 누르는 힘에 의해 상기 결합돌기부가 탄성적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돌기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돌기부 및 상기 돌기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결합돌기부의 삽입에 의해 탄성 변형이 이루어지며 그 탄성 복원력으로 상기 결합돌기부를 상기 돌기수용부 내에 구속하여 상기 결합돌기부가 상기 돌기수용부로부터 상향 또는 하향 이탈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체는 후진 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더의 압박에 의해 탄성 변형하여 상기 결합돌기부의 구속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결합돌기부가 상기 돌기수용부로부터 상향 또는 하향 이탈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기수용부는 그 내부로 상기 결합돌기부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홀; 탄성체; 및 상기 탄성체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체의 탄성 변형 시 상기 관통홀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움직여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결합돌기부가 삽입 및 이탈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탄성체의 탄성 복원 시 상기 관통홀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하는 방향으로 움직여 상기 관통홀 내에 상기 결합돌기부를 구속하도록 구성되는 셔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기수용부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는 그 내부로 관통하여 삽입되는 상기 결합돌기부의 압박에 의해 탄성 변형이 이루어지며 그 탄성 복원력으로 상기 결합돌기부를 그 내부에 구속하여 상기 결합돌기부의 상향 또는 하향 이탈을 방지하는 탄성 결합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 결합홀은 타원 형상을 가지며, 탄성 변형 시 단축의 길이가 확장되어 그 내부로 상기 결합돌기부가 삽입 및 이탈될 수 있고, 탄성 복원 시 상기 단축의 길이가 축소되어 삽입된 상기 결합돌기부를 그 내부에 구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 결합홀은 일 방향의 폭이 짧고 타 방향의 폭이 길게 연신된 다각형 형상을 가지며, 탄성 변형 시 상기 일 방향의 폭이 확장되어 그 내부로 상기 결합돌기부가 삽입 및 이탈될 수 있고, 탄성 복원 시 상기 일 방향의 폭이 축소되어 삽입된 상기 결합돌기부를 그 내부에 구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기수용부는 상기 결합돌기부와 대향하는 면을 적어도 일부 개방하여 상기 결합돌기부가 상기 돌기수용부 내로 삽입되도록 하는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은 테이프 길이 방향의 단부까지 연장 형성되어, 상기 돌기수용부 내에 삽입 및 결합된 상기 결합돌기부가 후진 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더의 압박에 의해 테이프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단부를 통해 외부로 이탈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로킹유닛 및 상기 보텀유닛은 맞닿는 면이 서로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로킹유닛 및 상기 보텀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간의 결합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돌기부는 상기 돌기수용부를 향해 돌출된 헤드; 및 상기 헤드를 지지하며 상기 헤드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서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와 상기 서포트의 사이에는 폭 크기의 차이로 인해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헤드는 상기 돌기수용부를 향해 폭이 축소되는 반구 또는 뿔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퍼는 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티스들이 배열된 제1 및 제2 테이프; 상기 제1 및 제2 테이프의 티스들을 따라 전진 이동하면서 상기 티스들을 상호 결합하고 후진 이동하면서 상기 티스들을 상호 분리하는 슬라이더; 상기 제1 테이프의 길이 방향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후진 이동을 제한하는 로킹유닛; 및 상기 제2 테이프의 길이 방향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로킹유닛과 결합되는 보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로킹유닛과 상기 보텀유닛은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 평면과 사실상 수직 방향으로 상호 탄성 결합되고, 후진 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더의 압박에 의해 상호 분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더 어셈블리는 보텀스톱과 로킹유닛을 상하로 겹쳐 누르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양 테이프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를 내리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양 테이프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기존 슬라이더 및 티스와 동일한 형상의 슬라이더 및 티스를 사용함으로써 초기 설비 투자를 최소화하고, 생산 단가를 낮추며, 각 부품의 표준화와 최적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하에 설명된 도면들은 단지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지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슬라이더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로킹유닛과 보텀유닛의 탄성결합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로킹유닛과 보텀유닛의 탄성결합이 슬라이더에 의해 해제되는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지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슬라이더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로킹유닛과 보텀유닛의 탄성결합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5의 로킹유닛과 보텀유닛의 탄성결합이 슬라이더에 의해 해제되는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지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슬라이더 어셈블리를 양측 테이프와 함께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로킹유닛을 상세히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9의 보텀유닛의 일부를 상세히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9의 보텀유닛의 일부를 상세히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9의 로킹유닛과 보텀유닛의 탄성결합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9의 로킹유닛과 보텀유닛의 탄성결합 동작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9의 로킹유닛과 보텀유닛의 탄성결합이 슬라이더에 의해 해제되는 동작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로킹유닛 및 보텀유닛의 다양한 형상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것이기 때문에, 설명의 순서에 따라 제시되는 참조 부호는 그 순서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및/또는 단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각 부재 및 영역들의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둥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부재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부재들의 모양은 슬라이더 어셈블리 내지 지퍼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우선,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 어셈블리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지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슬라이더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슬라이더 어셈블리(10)는 슬라이더(200), 로킹유닛(300), 및 보텀유닛(400)을 포함한다.
슬라이더(200)는 하향 형성된 한 쌍의 티스 가이드(211)를 구비한 상부 플레이트(210), 상향 형성된 한 쌍의 티스 가이드(231)를 구비한 하부 플레이트(230), 상기 상부 플레이트(210)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230)를 연결하는 기둥(250),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면에 고정된 탭홀더(270), 및 상기 탭홀더에 끼워져 슬라이더의 견인을 가능하게 하는 풀탭(290)을 포함한다.
슬라이더(200)는 제1 테이프(110) 및 제2 테이프(120)의 폭 방향 측면에 각각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티스들(111, 121)을 따라 전진 이동하면서 상기 티스들(111, 121)을 상호 결합하고, 후진 이동하면서 상기 티스들(111, 121)을 상호 분리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로킹유닛(300)과 보텀유닛(4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슬라이더(200)를 로킹유닛(3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견인하여 전진시키면 티스들(111, 121)은 슬라이더(200) 전면의 상부 플레이트(210), 하부 플레이트(230), 및 기둥(250)에 의해 정의된 영역을 통해 슬라이더(200) 내로 진입한다. 슬라이더(200) 내로 진입한 티스들(111, 121)은 슬라이더(200) 내에서 서로 맞물려 결합된다. 그 후, 결합된 티스들(111, 121)은 슬라이더(200) 후면의 상부 플레이트(210)와 하부 플레이트(230)에 의해 정의된 영역을 통해 슬라이더(200) 바깥으로 배출된다. 반대로, 슬라이더(200)를 로킹유닛(300)을 향해 견인하여 후진시키면 티스들(111, 121)은 슬라이더(200)의 후면으로 진입하여 상호 분리된 후, 슬라이더(200)의 전면으로 배출된다. 여기서, 슬라이더가 전진한다는 표현은 티스들(111, 121)을 서로 결합하기 위해 슬라이더(200)가 로킹유닛(3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나타내고, '슬라이더가 후진한다'는 표현은 티스들(111, 121)을 서로 분리하기 위해 슬라이더(200)가 로킹유닛(300)을 향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다.
슬라이더(200)의 상세한 형상 및 구조는 당 업계에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로킹유닛(300)은 제1 테이프(110)의 길이 방향 단부에 배치되며, 슬라이더(200)의 후진 이동을 제한한다. 로킹유닛(300)은 돌기수용부(310) 및 로킹유닛바디(330)를 포함한다.
돌기수용부(310)는 관통홀(311), 탄성체(313), 셔터(315), 돌기(318), 중간홀(316), 및 커버(317)를 포함한다. 관통홀(311)은 돌기수용부(310)의 바닥면에 하나 이상 형성되며, 후술하는 결합돌기부(410)가 그 내부로 관통하여 삽입된다. 탄성체(313)는 로킹유닛(300)의 벽면에서 돌출된 돌기(318)에 그 일 단부가 결합되고, 셔터(315)에 타 단부가 결합된다. 셔터(315)는 관통홀(311)의 상부에 위치하며, 탄성체(313)가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 관통홀(311)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셔터(315)가 외력에 의해 밀려 탄성체(313) 방향으로 후진하면 탄성체(313)가 탄성 수축변형하면서 관통홀(311)이 개방된다.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체(313)가 탄성 복원하면서 셔터(315)를 중간홀(316) 방향으로 전진시켜 관통홀(311)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한다. 이 때, 결합돌기부(410)가 관통홀(311)에 삽입된 상태라면 셔터(315)는 탄성체(31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결합돌기부(410)를 전진 방향으로 압박함으로써 결합돌기부(410)를 관통홀(311) 내에 끼움 구속한다. 셔터(315)의 선단부는 중간홀(316)을 관통하여 로킹유닛(300) 외부로 연장된다. 따라서, 슬라이더(200)가 후진하면서 셔터(315)의 선단부를 압박하면 셔터(315)는 탄성체(313)를 수축변형시키면서 후진하여 관통홀(311)을 개방하고, 그 결과 끼움 구속되어 있던 결합돌기부(410)가 관통홀(311) 아래로 이탈할 수 있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돌기수용부(310)는 로킹유닛(300)의 측부에 위치하고, 슬라이더(200)의 상부 플레이트(210)의 측면에는 경사진 측면채널(213)이 형성된다. 따라서, 슬라이더(200)가 후진함에 따라 측면채널(213)이 셔터(315)의 선단부를 압박하여 셔터(315)를 탄성체(313) 방향으로 후진시킨다. 슬라이더(200)의 압박 방법에 따라 돌기수용부(310), 셔터(315), 및 슬라이더(200)의 위치 및 형상 등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돌기수용부(310)가 로킹유닛(300)의 측면이 아니라 후단부, 즉, 슬라이더(200)의 후진 방향 단부에 위치하는 경우, 셔터(315)는 슬라이더(200)의 전진 방향을 향해 연장될 수 있고, 이 때 슬라이더(200)의 후면 또는 기둥(250)이 셔터(315)의 선단부를 압박하여 관통홀(311)을 개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로킹유닛바디(330)는 전술한 돌기수용부(310)와 일체로 구성되거나, 또는 별도의 부재로서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제1 테이프 수용부(331), 한 쌍의 상부 레일(333), 및 한 쌍의 하부 레일(335)을 포함한다. 제1 테이프 수용부(331)는 제1 테이프(110)를 수용하여 결합함으로써 로킹유닛(300)이 제1 테이프(110)의 길이 방향 단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부 레일(333) 및 하부 레일(335)은 슬라이더(200)의 티스 가이드(211) 및 티스 가이드(231)를 각각 수용하여 슬라이더(200)의 후진을 제한한다.
보텀유닛(400)은 제2 테이프(120)의 길이 방향 단부에 배치되며, 로킹유닛(300)과 상하로, 즉, 제1 및 제2 테이프(110, 120)의 면에 수직 방향으로 탄성 결합된다. 보텀유닛(400)은 결합돌기부(410) 및 보텀유닛바디(430)를 포함한다.
결합돌기부(410)는 보텀유닛바디(430)의 상면으로부터 수직 돌출하는 서포트(413), 및 서포트(413)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가지며 서포트(413)의 상부에서 수직 돌출하는 헤드(411)를 포함하고, 서포트(413)와 헤드(411)의 경계에는 폭 크기의 차이로 인해 걸림턱(415)이 형성된다. 결합돌기부(410)는 로킹유닛(300)의 관통홀(311)을 통해 돌기수용부(310) 내에 삽입되고, 탄성체(31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셔터(315)로부터 압박을 받아 관통홀(311) 내에 끼움 고정됨으로써 보텀유닛(400)과 로킹유닛(300)을 상호 결합시킨다.
헤드(411)는 아래로 갈수록 폭이 커지는 반구 또는 뿔 형상을 가지며 그 아래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폭이 급격히 축소되는 걸림턱(415)이 형성된다. 반구 또는 뿔 형상의 헤드(411)는 관통홀(311)을 통한 삽입 시 셔터(315)를 서서히 압박하여 원활한 후진이 가능하도록 하고, 걸림턱(415)은 탄성체(313)의 탄성 복원 시 셔터(315)의 상면이나 관통홀(311)의 상면에 걸려 결합돌기부(410)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에서는 반구 또는 뿔 형상을 가지는 헤드(411)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압박 시 셔터(315)의 원활한 후진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셔터(315) 및 헤드(411)의 형상이 가능하다. 예컨대, 막대 형상의 헤드(411)와 경사면을 가지는 셔터(315)의 조합에 의해서도 셔터(315)의 원활한 후진이 가능하다.
보텀유닛바디(430)는 결합돌기부(410)의 지지대 역할을 함과 동시에, 제2 테이프 수용부(431)를 구비하여, 제2 테이프(120)를 수용하여 결합함으로써 보텀유닛(400)이 제2 테이프(120)의 길이 방향 단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보텀유닛(400)과 로킹유닛(300)의 서로 맞닿는 부분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보텀유닛(400)과 로킹유닛(300)을 결합하기 위해 서로 근접시킬 때 결합돌기부(410)가 관통홀(311)의 정확한 위치에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또한, 결합돌기부(410)가 관통홀(311)의 정확한 위치에 삽입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가 로킹유닛(300) 또는 보텀유닛(400)에 추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조의 슬라이더 어셈블리(10)의 결합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로킹유닛(300)과 보텀유닛(400)의 탄성결합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하측 도면은 상측 도면에 도시된 절단선 A-A’을 따라 절단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보텀유닛(400)을 로킹유닛(300)의 하부에 겹쳐 근접시킴에 따라 결합돌기부(410)가 관통홀(311)의 아래에 위치하여 상승한다. 이 때, 보텀유닛(400)과 로킹유닛(300)의 맞닿는 면이 서로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므로 결합돌기부(410)는 관통홀(311)의 아래에 정확히 위치하도록 가이드된다. 또한, 결합돌기부(410)의 헤드(411)는 관통홀(311) 보다 작은 폭을 가지므로 관통홀(311)을 원활하게 통과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헤드(411)가 더욱 상승함에 따라, 관통홀(311)의 적어도 일부를 폐쇄하고 있는 셔터(315)와 접하게 된다. 헤드(411)는 아래로 갈수록 폭이 커지는 반구 또는 뿔 형상을 가지므로, 헤드(411)가 상승함에 따라 셔터(315)는 헤드(411)의 선단면 경사를 따라 미끄러져 탄성체(313) 방향으로 밀리게 되고, 이에 따라 탄성체(313)는 탄성 수축 변형을 하게 된다.
도 3(c)를 참조하면, 헤드(411)가 더욱 상승하여 걸림턱(415)이 셔터(315)의 상면을 지나면 결합돌기부(410)의 폭이 급격히 축소된다. 따라서, 수축 변형된 탄성체(31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셔터(315)가 급격히 전진함에 따라, 걸림턱(415)이 셔터(315)의 상면에 걸리고, 그 결과, 결합돌기부(410)가 돌기수용부(310) 내에 끼임 고정되어 보텀유닛(400)과 로킹유닛(300)의 결합이 체결된다.
이 상태에서 슬라이더(200)가 로킹유닛(3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전진하면 제1 및 제2 테이프(110, 120)의 측면에 배열된 제1 및 제2 티스들(111, 121)이 슬라이더(200) 내로 진입하여 서로 맞물려 결합된 후 슬라이더(200)의 후면으로 배출됨으로써 지퍼의 체결이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조의 슬라이더 어셈블리(10)의 분리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로킹유닛(300)과 보텀유닛(400)의 탄성결합이 슬라이더(200)에 의해 해제되는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하측 도면은 상측 도면에 도시된 절단선 B-B’을 따라 절단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결합돌기부(410)가 돌기수용부(310) 내에 끼임 고정된 상태에서 슬라이더(200)가 로킹유닛(300)을 향한 방향으로 후진하면, 서로 맞물려 결합된 제1 및 제2 티스들(111, 121)이 슬라이더(200)의 후면으로 진입하여 슬라이더(200) 내에서 기둥(250)에 의해 서로 분리된 후 슬라이더(200)의 전면으로 각각 배출된다.
도 4(b)를 참조하면, 슬라이더(200)가 더욱 후진함에 따라, 슬라이더(200)에 셔터(315)의 선단부가 접하게 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슬라이더(200)의 상부 플레이트(210) 측면에 경사지게 형성된 측면채널(213)에 셔터(315)의 선단부가 접하게 된다. 슬라이더(200)가 더욱 후진하면 셔터(315)가 점점 뒤로 밀리면서 탄성체(313)의 수축 변형과 함께 관통홀(311)이 개방된다. 관통홀(311)이 개방됨에 따라 결합돌기부(410)는 끼임 고정이 해제되어 관통홀(311) 아래로 이탈한다.
도 4(c)를 참조하면, 결합돌기부(410)가 관통홀(311) 아래로 완전히 이탈한 상태에서 슬라이더(200)를 후진하는 힘을 제거하면 탄성체(313)가 탄성 복원하고, 그 결과 셔터(315)는 다시 전진하여 관통홀(311)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하게 된다. 이를 통해 로킹유닛(300)과 보텀유닛(400)의 분리에 의한 지퍼의 분리가 완료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 어셈블리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지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슬라이더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슬라이더 어셈블리(20)는 슬라이더(600), 로킹유닛(700), 및 보텀유닛(800)을 포함한다.
슬라이더(1200)는 상부 플레이트(610), 하부 플레이트(630), 기둥(650), 탭홀더(670), 및 풀탭(690)을 포함한다. 하부 플레이트(630)는 일부가 개방된 판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로킹유닛(700)과의 결합 형태에 따라 하나의 판 형태일 수도 있다. 슬라이더(600)의 형상 및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슬라이더(100)와 유사하며, 당 업계에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로킹유닛(700)은 제1 테이프(510)의 길이 방향 단부에 배치되며, 슬라이더(600)의 후진 이동을 제한한다. 로킹유닛(700)은 로킹유닛바디(730), 로킹유닛커버(750), 및 돌기수용부(710)를 포함한다.
로킹유닛바디(730)는 관통홀(711, 도 7 참조) 및 제1 테이프수용부(731)를 포함한다. 관통홀(711)은 돌기수용부(710)의 아래에 하나 이상 형성되며, 후술하는 결합돌기부(810)가 그 내부로 관통하여 삽입된다. 제1 테이프 수용부(731)는 제1 테이프(510)를 수용하여 결합함으로써 로킹유닛(700)이 제1 테이프(510)의 길이 방향 단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로킹유닛바디(730)와 보텀유닛(800)의 사이에는 하부 플레이트(630)로부터 상향 형성된 한 쌍의 티스 가이드(631)를 수용하여 슬라이더(600)의 후진을 제한하는 하부레일(733)이 구비되고, 로킹유닛바디(730)와 로킹유닛커버(750)의 사이에는 돌기수용부(710)를 수용하는 수용박스(717)가 구비된다.
로킹유닛커버(750)는 상부 플레이트(610)로부터 하향 형성된 한 쌍의 티스 가이드(611)를 수용하여 슬라이더(600)의 후진을 제한하는 상부레일(753)을 포함한다.
돌기수용부(710)는 수용박스(717) 내에 위치하고, 일 단부가 로킹유닛(700)의 외부로 돌출되는 탄성체(713)를 포함한다. 탄성체(713)는 탄성 변형 시 그 내부로 결합돌기부(810)가 삽입 및 이탈될 수 있고, 삽입된 결합돌기부(810)를 탄성 복원력으로 구속할 수 있는 탄성 결합홀(715)을 포함한다. 탄성 결합홀(715)은 관통홀(711)의 상부에 위치하며, 탄성체(713)가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 관통홀(711)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탄성 결합홀(715)은 도시된 것처럼 타원 형상을 가지며, 타원의 장축 길이는 관통홀(711)의 지름보다 크고, 타원의 단축 길이는 관통홀(711)의 지름보다 작도록 구성된다. 탄성 결합홀(715)의 단축 길이가 관통홀(711)의 지름보다 작으므로, 탄성체(713)는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 관통홀(711)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한다. 타원 형상의 탄성 결합홀(715)을 예시로서 설명하였지만, 탄성 결합홀(715)은 한 쪽의 길이가 긴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로킹유닛(700)의 외부로 돌출된 탄성체(713)의 단부가 슬라이더(600)의 후진과 같은 외력에 의해 압박을 받으면 탄성 결합홀(715)의 단축 길이가 확장되고 장축 길이가 축소되도록 탄성체(713)의 변형이 이루어진다. 이처럼 탄성체(713)가 탄성 변형된 상태에서는 관통홀(711)이 개방된다.
보텀유닛(800)은 제2 테이프(520)의 길이 방향 단부에 배치되며, 로킹유닛(700)과 상하로, 즉, 제1 및 제2 테이프(510, 520)의 면에 수직 방향으로 탄성 결합된다. 보텀유닛(800)은 결합돌기부(810) 및 보텀유닛바디(830)를 포함한다.
결합돌기부(810)는 보텀유닛바디(830)의 상면으로부터 수직 돌출하는 서포트(813), 및 서포트(813)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가지며 서포트(813)의 상부에서 수직 돌출하는 헤드(811)를 포함하고, 서포트(813)와 헤드(811)의 경계에는 폭 크기의 차이로 인해 걸림턱(815)이 형성된다. 결합돌기부(810)는 로킹유닛(700)의 관통홀(711) 및 탄성결합홀(715)을 통해 수용박스(717) 내로 삽입되고, 탄성체(713)의 탄성 변형이 복원되어 탄성결합홀(715)의 단축이 수축되면, 그 복원력에 의해 탄성결합홀(715) 내에 끼움 고정됨으로써 보텀유닛(800)과 로킹유닛(700)을 상호 결합시킨다.
헤드(811)는 아래로 갈수록 폭이 커지는 반구 또는 뿔 형상을 가지며 그 아래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폭이 급격히 축소되는 걸림턱(815)이 형성된다. 반구 또는 뿔 형상의 헤드(811)는 탄성결합홀(711)에 삽입 시 탄성결합홀(711)의 단축을 서서히 압박하여 탄성체(713)를 탄성 변형시켜 단축을 확장시키고, 걸림턱(815)은 탄성체(713)의 탄성 복원 시 탄성체(713)의 상면에 걸림으로써 결합돌기부(810)의 하향 이탈을 방지한다.
보텀유닛바디(830)는 결합돌기부(810)의 지지대 역할을 함과 동시에, 제2 테이프 수용부(831)를 구비하여, 제2 테이프(520)를 수용하여 결합함으로써 보텀유닛(800)이 제2 테이프(520)의 길이 방향 단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보텀유닛(800)과 로킹유닛(700)의 서로 맞닿는 부분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보텀유닛(800)과 로킹유닛(700)을 결합시키기 위해 서로 근접시킬 때 결합돌기부(810)가 탄성결합홀(715)의 정확한 위치에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또한, 결합돌기부(810)가 탄성결합홀(715)의 정확한 위치에 삽입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가 로킹유닛(700) 또는 보텀유닛(800)에 추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조의 슬라이더 어셈블리(20)의 결합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도 5의 로킹유닛(700)과 보텀유닛(800)의 탄성결합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하측 도면은 상측 도면에 도시된 절단선 C-C’을 따라 절단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보텀유닛(800)을 로킹유닛(700)의 하부에 겹쳐 근접시킴에 따라 결합돌기부(810)가 관통홀(711)의 아래에 위치하여 상승한다. 이 때, 보텀유닛(800)과 로킹유닛(700)의 맞닿는 면이 서로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므로 결합돌기부(810)는 관통홀(711)의 아래에 정확히 위치하도록 가이드된다. 또한, 결합돌기부(810)의 헤드(811)는 관통홀(711) 보다 작은 폭을 가지므로 관통홀(711)을 원활하게 통과한다.
도 7(b)를 참조하면, 헤드(811)는 더욱 상승함에 따라, 관통홀(711)의 적어도 일부를 폐쇄하고 있는 탄성결합홀(715)에 접하게 된다. 헤드(811)는 아래로 갈수록 폭이 커지는 반구 또는 뿔 형상을 가지므로, 헤드(811)가 상승함에 따라 탄성결합홀(715)의 단축은 헤드(811)의 선단면 경사를 따라 미끄러져 확장되고, 이에 따라 탄성체(713)는 탄성 변형을 하게 된다.
도 7(c)를 참조하면, 헤드(811)가 더욱 상승하여 걸림턱(815)이 탄성결합홀(715)을 완전히 관통하면 결합돌기부(810)의 폭이 급격히 축소된다. 따라서, 탄성체(71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탄성결합홀(715)의 단축이 급격히 축소됨에 따라, 걸림턱(815)이 탄성체(713)의 상면에 걸리고, 그 결과, 결합돌기부(810)가 돌기수용부(710) 내에 끼임 고정되어 보텀유닛(800)과 로킹유닛(700)의 결합이 체결된다.
이 상태에서 슬라이더(600)가 로킹유닛(7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전진하면 제1 및 제2 테이프(510, 520)의 측면에 배열된 제1 및 제2 티스들(511, 521)이 슬라이더(600) 내로 진입하여 서로 맞물려 결합된 후 슬라이더(600)의 후면으로 배출됨으로써 지퍼의 체결이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조의 슬라이더 어셈블리(20)의 분리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도 5의 로킹유닛(700)과 보텀유닛(800)의 탄성결합이 슬라이더(600)에 의해 해제되는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하측 도면은 상측 도면에 도시된 절단선 D-D’을 따라 절단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결합돌기부(810)가 돌기수용부(710) 내에 끼임 고정된 상태에서 슬라이더(600)가 로킹유닛(700)을 향한 방향으로 후진하면, 서로 맞물려 결합된 제1 및 제2 티스들(511, 521)이 슬라이더(600)의 후면으로 진입하여 슬라이더(600) 내에서 기둥(650)에 의해 서로 분리된 후 슬라이더(600)의 전면으로 각각 배출된다.
도 8(b)를 참조하면, 슬라이더(600)가 더욱 후진함에 따라, 슬라이더(600)에 탄성체(713)의 선단부가 접하게 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슬라이더(600)의 기둥(650)에 탄성체(713)의 선단부가 접하게 된다. 슬라이더(600)를 더욱 후진하면 슬라이더(600)의 기둥(650)에 의해 압박되어 탄성체(713)가 변형되면서 탄성결합홀(715)의 단축 길이가 확장됨에 따라 관통홀(711)이 개방된다. 따라서, 결합돌기부(810)는 끼임 고정이 해제되어 관통홀(711) 아래로 이탈할 수 있게 된다.
도 8(c)를 참조하면, 결합돌기부(810)가 탄성결합홀(715) 아래로 완전히 이탈한 상태에서 슬라이더(600)를 후진하는 힘을 제거하면 탄성체(713)가 탄성 복원하고, 그 결과 탄성결합홀(715)의 단축은 다시 축소되어 관통홀(711)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하게 된다. 이를 통해 로킹유닛(700)과 보텀유닛(800)의 분리에 의한 지퍼의 분리가 완료된다.
상기에서는 관통홀(711)과 탄성결합홀(715)이 연동되어 결합돌기부(810)를 고정하거나 고정해제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관통홀(711)이 없이, 또는 관통홀(711)과 관계없이 탄성결합홀(715) 단독으로 결합돌기부(810)를 고정하거나 고정해제하는 경우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 어셈블리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지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슬라이더 어셈블리를 양측 테이프와 함께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11은 로킹유닛을 상세히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보텀유닛의 일부를 상세히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13은 보텀유닛의 일부를 상세히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슬라이더 어셈블리(30)는 슬라이더(1200), 로킹유닛(1300), 및 보텀유닛(1400)을 포함한다.
슬라이더(1200)는 상부 플레이트(1210), 하부 플레이트(1230), 기둥(1250), 탭홀더(1270), 및 풀탭(1290)을 포함한다. 슬라이더(1200)의 형상 및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슬라이더(100)와 유사하며, 당 업계에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로킹유닛(1300)은 제1 테이프(1110)의 길이 방향 단부에 배치되며, 슬라이더(1200)의 후진 이동을 제한한다. 로킹유닛(1300)은 결합돌기부(1310), 로킹유닛바디(1330), 및 제1 테이프 결합부(1350)를 포함한다.
결합돌기부(1310)는 로킹유닛바디(1330)의 하면으로부터 수직 돌출하는 서포트(1313), 및 서포트(1313)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가지며 서포트(1313)의 하부에서 수직 돌출하는 헤드(1311)를 포함하고, 서포트(1313)와 헤드(1311)의 경계에는 폭 크기의 차이로 인해 걸림턱(1315)이 형성된다. 결합돌기부(1310)는 후술하는 보텀유닛(1400)의 관통홀(1411)의 상부개구(1411a)를 통해 셔터(1414)와 셔터(1415)의 사이에 삽입되고, 셔터(1414, 1415)에 연결된 탄성체(141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셔터(1414, 1415)로부터 압박을 받아 셔터(1414)와 셔터(1415) 사이에 끼움 고정됨으로써 로킹유닛(1300)과 보텀유닛(1400)을 상호 결합시킨다.
헤드(1311)는 위로 갈수록 폭이 커지고 테이프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신된 반구 또는 뿔 형상을 가지며, 그 위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폭이 급격히 축소되는 걸림턱(1315)이 형성된다. 연신된 반구 또는 뿔 형상의 헤드(1311)는 관통홀(1411)의 상부개구(1411a)를 통한 삽입 시 셔터(1414, 1415)를 서서히 압박하여 원활한 후진이 가능하도록 하고, 걸림턱(1315)은 탄성체(1413)의 탄성 복원 시 셔터(1414, 1415)의 하면, 또는 셔터(1414, 1415)의 돌출부의 하면에 걸려 결합돌기부(1310)가 위쪽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로킹유닛바디(1330)는 슬라이더(1200)를 수용하는 플랫폼(1331), 슬라이더(1200)의 일 측면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제1 테이프(1110)를 사이에 개재하여 제1 테이프 결합부(1350)와 결합됨으로써 로킹유닛(1300)이 제1 테이프(1110)의 길이 방향 단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제1 가이드(1333), 및 슬라이더(1200)의 타 측면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결합돌기부(1310)의 지지대 역할을 하는 제2 가이드(1335)를 포함한다.
보텀유닛(1400)은 제2 테이프(1120)의 길이 방향 단부에 배치되며, 로킹유닛(1300)과 상하로, 즉, 제1 및 제2 테이프(1110, 1120)의 면에 수직 방향으로 탄성 결합된다. 보텀유닛(1400)은 돌기수용부(1410) 및 제2 테이프 결합부(1450)를 포함한다.
돌기수용부(1410)는 탄성체(1413), 셔터(1414, 1415), 및 개구부바디(1430)를 포함한다. 개구부바디(1430)는 개구부커버(1430a) 및 개구부베이스(1430b)가 서로 결합된 박스 형상을 가지며, 상부면을 적어도 일부 개방하여 테이프 길이 방향(슬라이더의 후진 방향)의 단부면까지 연장 형성된 관통홀(1411)을 포함한다. 즉, 관통홀(1411)은 개구부바디(1430)의 상부면을 적어도 일부 개방하는 상부개구(1411a)와 개구부바디(1430)의 테이프 길이 방향 단부면을 적어도 일부 개방하는 하부개구(1411b)를 포함하는 슬롯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결합돌기부(1310)는 상부개구(1411a)를 통해 돌기수용부(1410) 내로 하향 삽입된 후, 돌기수용부(1410) 내에 구속된 상태에서 슬라이더(1200)를 후진시키는 힘에 의해 슬라이더(1200)의 후진 방향으로 돌기수용부(1410) 내를 슬라이딩하여 단부개구(1411b)를 통해 돌기수용부(1410) 밖으로 이탈된다.
개구부바디(1430)는 가이드바(1431), 및 돌기(1433)를 포함한다. 탄성체(1413)는 개구부바디(1430)의 내부면에서 돌출된 돌기(1433)에 그 일 단부가 결합되고, 셔터(1414, 1415)에 타 단부가 결합된다. 한 쌍의 셔터(1414, 1415)는 상부개구(1411a)의 아래에 위치하며, 탄성체(1413)가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부개구(1411a)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한 쌍의 셔터(1414, 1415)는 예컨대 가이드바(1431)에 결합되어 가이드되면서 탄성체(1413)의 탄성변형 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진하고, 탄성체(1413)의 탄성변형이 복원되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전진한다.
외력에 의해 밀려 셔터(1414, 1415)가 탄성체(1413) 방향으로 후진하면 탄성체(1413)가 탄성 수축변형하면서 상부개구(1411a)가 개방된다.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체(1413)가 탄성 복원하면서 셔터(1414, 1415)를 전진시켜 상부개구(1411a)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한다. 이 때, 결합돌기부(1310)가 셔터(1414, 1415) 사이에 삽입된 상태라면 셔터(1414, 1415)는 탄성체(141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결합돌기부(1310)를 전진 방향으로 압박하여 결합돌기부(1310)를 돌기수용부(1410) 내에 끼움 구속함으로써, 결합돌기부(1310)가 상부개구(1411a)를 통해 상향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테이프 결합부(1450)는 제2 테이프 커버(1451)와 제2 테이프 베이스(1453)를 포함하며, 제2 테이프 커버(1451)와 제2 테이프 베이스(1453)는 그 사이에 제2 테이프(1120)를 개재하여 서로 결합함으로써, 보텀유닛(1400)이 제2 테이프(1120)의 길이 방향 단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제2 테이프 결합부(1450)는 돌기수용부(1410)와 일체로 구성되거나, 또는 별도의 부재로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텀유닛(1400)과 로킹유닛바디(1330)의 제2 가이드(1335)는 서로 맞닿는 부분이 서로 대응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보텀유닛(1400)과 로킹유닛(1300)을 결합하기 위해 서로 근접시킬 때 결합돌기부(1310)가 관통홀(1411)의 상부개구(1411a)의 정확한 위치에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조의 슬라이더 어셈블리(30)의 결합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 및 도 15는 로킹유닛(1300)과 보텀유닛(1400)의 탄성결합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a) 및 도 15(a)를 참조하면, 로킹유닛(1300)을 보텀유닛(1400)의 상부에 겹쳐 수직으로(D1 방향으로) 근접시킴에 따라 결합돌기부(1310)가 관통홀(1411)의 상부개구(1411a)의 위에 위치하여 하강한다. 이 때, 보텀유닛(1400)과 로킹유닛(1300)의 맞닿는 면이 서로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므로 결합돌기부(1310)는 상부개구(1411a)의 위에 정확히 위치하도록 가이드된다. 또한, 결합돌기부(1310)의 헤드(1311)는 상부개구(1411a) 보다 작은 폭을 가지므로 상부개구(1411a)를 원활하게 통과한다.
도 14(b)를 참조하면, 헤드(1311)가 더욱 하강함에 따라, 상부개구(1411a)의 적어도 일부를 폐쇄하고 있는 셔터(1414, 1415)에 접하게 된다. 헤드(1311)는 위로 갈수록 폭이 커지는 반구 또는 뿔 형상을 가지므로, 헤드(1311)가 하강함에 따라 셔터(1414, 1415)는 헤드(1311)의 선단면 경사를 따라 미끄러져 서로 멀어지는 방향, 즉, 탄성체(1413) 방향으로 밀리게 되고, 이에 따라 탄성체(1413)는 탄성 수축 변형을 하게 된다.
도 14(c)를 참조하면, 헤드(1311)가 더욱 하강하여 걸림턱(1315)이 셔터(1414, 1415)의 하면 또는 셔터(1414, 1415)의 돌출부의 하면을 지나면 결합돌기부(1310)의 폭이 급격히 축소된다. 따라서, 수축 변형된 탄성체(141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셔터(1414, 1415)가 급격히 서로 가까워짐에 따라, 걸림턱(1315)이 셔터(1414, 1415)의 하면 또는 셔터(1414, 1415)의 돌출부의 하면에 걸리고, 그 결과, 결합돌기부(1310)가 돌기수용부(1410) 내에 끼임 고정되어 상부개구(1411a)를 통해 상향 이탈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보텀유닛(1400)과 로킹유닛(1300)의 결합이 체결된다.
이 상태에서 슬라이더(1200)가 로킹유닛(13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전진하면 제1 및 제2 테이프(1110, 1120)의 측면에 배열된 제1 및 제2 티스들(1111, 1121)이 슬라이더(1200) 내로 진입하여 서로 맞물려 결합된 후 슬라이더(1200)의 후면으로 배출됨으로써 지퍼의 체결이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조의 슬라이더 어셈블리(30)의 분리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6은 도 9의 로킹유닛과 보텀유닛의 탄성결합이 슬라이더에 의해 해제되는 동작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6(a)를 참조하면, 결합돌기부(1310)가 돌기수용부(1410) 내에 끼임 고정된 상태에서 슬라이더(1200)가 로킹유닛(1300)을 향한 방향으로 후진하면, 서로 맞물려 결합된 제1 및 제2 티스들(1111, 1121)이 슬라이더(1200)의 후면으로 진입하여 슬라이더(1200) 내에서 기둥(1250)에 의해 서로 분리된 후 슬라이더(1200)의 전면으로 각각 배출된다.
도 16(b)를 참조하면, 슬라이더(1200)가 더욱 후진함에 따라, 슬라이더(1200)가 로킹유닛(1300)의 제1 가이드(1333) 및 제2 가이드(1335)에 의해 측면이 가이드되면서 플랫폼(1331)에 안착한다.
도 16(c)를 참조하면, 슬라이더(1200)를 더욱 후진함에 따라, 로킹유닛(1300)이 슬라이더(1200)의 후진 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이에 따라 결합돌기부(1310)는 셔터(1414, 1415)의 압박과 걸림턱(1315)에 의해 상부개구(1411a)를 통한 상향 이탈은 방지된 상태에서 셔터(1414, 1415) 사이를 미끄러져 테이프 길이 방향(D2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최종적으로 보텀유닛(1400)의 테이프 길이 방향 단부면에 형성된 단부개구(1411b)를 통해 돌기수용부(1410)의 외부로 이탈한다. 이를 통해 로킹유닛(1300)과 보텀유닛(1400)의 분리에 의한 지퍼의 분리가 완료된다.
이상에서는 탄성체(1413)에 의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셔터(1414, 1415) 사이에 끼움결합되는 결합돌기부(1310)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로킹유닛(1300)과 보텀유닛(1400)의 끼움 결합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구현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된 것처럼, 탄성체 없이 자체적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이나 구조를 가지는 돌기수용부(도 17(a), 및 도 17(b)), 또는 폭의 크기가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이나 구조를 가지는 결합돌기부(도 17(c)) 등 다양한 로킹유닛 및 보텀유닛 유형에 의해 본 발명의 목적이 실현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해석될 수 없으며, 이하에 기재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더 어셈블리는 보텀스톱과 로킹유닛을 상하로 겹쳐 누르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양 테이프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를 내리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양 테이프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나아가, 기존 슬라이더 및 티스와 동일한 형상의 슬라이더 및 티스를 사용함으로써 초기 설비 투자를 최소화하고, 생산 단가를 낮추며, 각 부품의 표준화와 최적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Claims (14)

  1. 티스 가이드를 구비한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기둥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테이프의 측면에 각각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티스들을 따라 전진 이동하면서 상기 티스들을 상호 결합하고 후진 이동하면서 상기 티스들을 상호 분리하는 슬라이더(slider);
    상기 제1 테이프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후진 이동을 제한하는 로킹유닛(locking unit); 및
    상기 제2 테이프에 배치되고, 상기 로킹유닛과 상하로(테이프 두께 방향으로) 겹쳐 누르는 힘에 의해 탄성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더를 후진 이동하는 힘에 의해 상기 로킹유닛과 분리되는 보텀유닛(bottom unit)을 포함하며,
    상기 로킹유닛 및 상기 보텀유닛 중 하나는 서로 대향하는 면에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부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로킹유닛과 상기 보텀유닛을 상하로 겹쳐 누르는 힘에 의해 상기 결합돌기부가 탄성적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돌기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수용부는
    그 내부로 상기 결합돌기부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홀; 탄성체; 및 상기 탄성체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체의 탄성 변형 시 상기 관통홀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움직여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결합돌기부가 삽입 및 이탈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탄성체의 탄성 복원 시 상기 관통홀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하는 방향으로 움직여 상기 관통홀 내에 상기 결합돌기부를 구속하도록 구성되는 셔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더 어셈블리.
  2. 티스 가이드를 구비한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기둥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테이프의 측면에 각각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티스들을 따라 전진 이동하면서 상기 티스들을 상호 결합하고 후진 이동하면서 상기 티스들을 상호 분리하는 슬라이더(slider);
    상기 제1 테이프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후진 이동을 제한하는 로킹유닛(locking unit); 및
    상기 제2 테이프에 배치되고, 상기 로킹유닛과 상하로(테이프 두께 방향으로) 겹쳐 누르는 힘에 의해 탄성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더를 후진 이동하는 힘에 의해 상기 로킹유닛과 분리되는 보텀유닛(bottom unit)을 포함하며,
    상기 로킹유닛 및 상기 보텀유닛 중 하나는 서로 대향하는 면에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부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로킹유닛과 상기 보텀유닛을 상하로 겹쳐 누르는 힘에 의해 상기 결합돌기부가 탄성적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돌기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수용부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는 그 내부로 관통하여 삽입되는 상기 결합돌기부의 압박에 의해 탄성 변형이 이루어지며 그 탄성 복원력으로 상기 결합돌기부를 그 내부에 구속하여 상기 결합돌기부의 상향 또는 하향 이탈을 방지하는 탄성 결합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더 어셈블리.
  3. 티스 가이드를 구비한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기둥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테이프의 측면에 각각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티스들을 따라 전진 이동하면서 상기 티스들을 상호 결합하고 후진 이동하면서 상기 티스들을 상호 분리하는 슬라이더(slider);
    상기 제1 테이프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후진 이동을 제한하는 로킹유닛(locking unit); 및
    상기 제2 테이프에 배치되고, 상기 로킹유닛과 상하로(테이프 두께 방향으로) 겹쳐 누르는 힘에 의해 탄성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더를 후진 이동하는 힘에 의해 상기 로킹유닛과 분리되는 보텀유닛(bottom unit)을 포함하며,
    상기 로킹유닛 및 상기 보텀유닛 중 하나는 서로 대향하는 면에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부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로킹유닛과 상기 보텀유닛을 상하로 겹쳐 누르는 힘에 의해 상기 결합돌기부가 탄성적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돌기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수용부는 상기 결합돌기부와 대향하는 면을 적어도 일부 개방하여 상기 결합돌기부가 상기 돌기수용부 내로 삽입되도록 하는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은 테이프 길이 방향의 단부까지 연장 형성되어, 상기 돌기수용부 내에 삽입 및 결합된 상기 결합돌기부가 후진 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더의 압박에 의해 테이프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단부를 통해 외부로 이탈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더 어셈블리.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부 및 상기 돌기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결합돌기부의 삽입에 의해 탄성 변형이 이루어지며 그 탄성 복원력으로 상기 결합돌기부를 상기 돌기수용부 내에 구속하여 상기 결합돌기부가 상기 돌기수용부로부터 상향 또는 하향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더 어셈블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후진 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더의 압박에 의해 탄성 변형하여 상기 결합돌기부의 구속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결합돌기부가 상기 돌기수용부로부터 상향 또는 하향 이탈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더 어셈블리.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 결합홀은 타원 형상을 가지며, 탄성 변형 시 단축의 길이가 확장되어 그 내부로 상기 결합돌기부가 삽입 및 이탈될 수 있고, 탄성 복원 시 상기 단축의 길이가 축소되어 삽입된 상기 결합돌기부를 그 내부에 구속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더 어셈블리.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 결합홀은 일 방향의 폭이 짧고 타 방향의 폭이 길게 연신된 다각형 형상을 가지며, 탄성 변형 시 상기 일 방향의 폭이 확장되어 그 내부로 상기 결합돌기부가 삽입 및 이탈될 수 있고, 탄성 복원 시 상기 일 방향의 폭이 축소되어 삽입된 상기 결합돌기부를 그 내부에 구속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더 어셈블리.
  8.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유닛 및 상기 보텀유닛은 맞닿는 면이 서로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더 어셈블리.
  9.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유닛 및 상기 보텀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간의 결합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더 어셈블리.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57017048A 2012-12-31 2013-12-31 슬라이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지퍼 KR1017234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8548 2012-12-31
KR20120158548 2012-12-31
PCT/KR2013/012439 WO2014104865A1 (ko) 2012-12-31 2013-12-31 슬라이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지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6682A KR20150096682A (ko) 2015-08-25
KR101723474B1 true KR101723474B1 (ko) 2017-04-10

Family

ID=51021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7048A KR101723474B1 (ko) 2012-12-31 2013-12-31 슬라이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지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693606B2 (ko)
EP (1) EP2939559B1 (ko)
JP (1) JP6158347B2 (ko)
KR (1) KR101723474B1 (ko)
CN (1) CN105228481B (ko)
WO (1) WO20141048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37168A (zh) * 2016-08-08 2016-10-26 晋江福兴拉链有限公司 一种不易忘记拉上的拉链
CN110037396B (zh) * 2019-05-20 2023-12-05 开易(广东)服装配件有限公司 包含活动尾止的拉链
CN110200357A (zh) * 2019-06-28 2019-09-06 浙江伟星实业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拉链及其拉头防错位快速咬合结构
KR102116641B1 (ko) * 2019-12-02 2020-05-28 김민규 마감 처리된 하지를 가지는 잠긴 지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382B1 (ko) * 2012-02-14 2012-11-02 이옥경 슬라이더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04579A (en) * 1929-03-05 Fasteneb fob gabments and otheb abticles
US2573058A (en) * 1945-08-31 1951-10-30 Conmar Prod Corp Releasing end stop nonseparable slide fastener
US3775812A (en) * 1972-01-03 1973-12-04 Sears Roebuck & Co Zipper
DE2605438C3 (de) * 1976-02-12 1980-06-04 Optilon W. Erich Heilmann Gmbh, Cham (Schweiz) Reißverschluß mit teilbarer Endkupplung
US4326319A (en) * 1979-03-15 1982-04-27 Friedberg Martin F Slide fastener with improved end connections
US4232430A (en) * 1979-03-15 1980-11-11 Friedberg Martin F Device for connecting the ends of a separable zipper
DE2965836D1 (en) * 1978-04-13 1983-08-18 Martin F Friedberg Device for connecting the ends of a separable zipper
ES2090624T3 (es) * 1991-04-30 1996-10-16 Marc Gillioz Dispositivo de introduccion para cierre de cremalleras.
US5272793A (en) * 1992-06-23 1993-12-28 Wilk Peter J Zipper-type closure device
US5396685A (en) * 1994-01-14 1995-03-14 Wilk; Peter J. Zipper-type closure method
JPH08313A (ja) 1994-06-27 1996-01-09 Ykk Kk スライドファスナー
JPH11221105A (ja) * 1997-11-20 1999-08-17 Ykk Corp スライドファスナーの開離嵌挿具
JP2000232908A (ja) * 1999-02-15 2000-08-29 Ykk Corp スライドファスナーの開離嵌挿具
DE10146151B4 (de) * 2001-07-13 2008-05-08 Shih-Chang Wang Reißverschluss
JP3733343B2 (ja) * 2002-05-20 2006-01-11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開離嵌挿具
JP4152216B2 (ja) * 2003-02-19 2008-09-17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開離嵌挿具
WO2007016803A1 (de) * 2005-08-09 2007-02-15 Alex Spiekerman Druckverschluss für einen teilbaren reissverschluss
JP4628329B2 (ja) 2006-08-17 2011-02-09 Ykk株式会社 開離嵌挿具付きスライドファスナー
US8146214B2 (en) * 2009-06-15 2012-04-03 Dns Designs, Llc Zipper
WO2011007572A1 (ja) 2009-07-16 2011-01-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手乾燥装置
US9027210B2 (en) * 2011-09-12 2015-05-12 Dns Designs, Llc Self-aligning zipp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382B1 (ko) * 2012-02-14 2012-11-02 이옥경 슬라이더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04865A1 (ko) 2014-07-03
US9693606B2 (en) 2017-07-04
JP6158347B2 (ja) 2017-07-05
US20150351502A1 (en) 2015-12-10
CN105228481A (zh) 2016-01-06
EP2939559B1 (en) 2018-02-21
EP2939559A4 (en) 2016-11-02
CN105228481B (zh) 2018-04-27
KR20150096682A (ko) 2015-08-25
JP2016506279A (ja) 2016-03-03
EP2939559A1 (en) 2015-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3474B1 (ko) 슬라이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지퍼
KR101703816B1 (ko) 슬라이드 파스너
KR100993644B1 (ko) 역개방 슬라이드 파스너
KR101558070B1 (ko) 간이 로크 기구를 갖는 슬라이드 파스너 및 슬라이더
KR100592487B1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역전분리 장치
EP1961325B1 (en) Slider for slide fastener
EP1886592A2 (en) Slide fastener slider
JP3621040B2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の逆開き開離嵌挿具
EP0581319B1 (en) Separable bottom end stop assembly and its assembling and separating method for concealed slide fasteners
CN102469860B (zh) 拉链
EP2604139A1 (en) Slide fastener
TW200847958A (en) Slide fastener top end stop
US6421887B1 (en) Bottom end stop for slide fastener
EP2604138A1 (en) Slide fastener
EP2517596B1 (en) Stop member for slide fastener
US20170295891A1 (en) Slider for Slide Fastener
EP1745713A1 (en) Slide fastener
JP7394237B2 (ja) 逆開き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開離嵌挿具
KR101237837B1 (ko) 방수지퍼
US6513207B2 (en) Belt connecting device
EP0493787B1 (en) Separable bottom end assembly for slide fastener
WO2022118404A1 (ja) スライダー
JP3306001B2 (ja) 足場建枠用連結ピン
JPH08173215A (ja) 開離嵌挿具付きのスライドファスナー
JPH0753121B2 (ja) バツク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