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3816B1 - 슬라이드 파스너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파스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3816B1
KR101703816B1 KR1020150179731A KR20150179731A KR101703816B1 KR 101703816 B1 KR101703816 B1 KR 101703816B1 KR 1020150179731 A KR1020150179731 A KR 1020150179731A KR 20150179731 A KR20150179731 A KR 20150179731A KR 101703816 B1 KR101703816 B1 KR 101703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slider
stringer
inser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9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6742A (ko
Inventor
진정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엠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엠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엠케이
Priority to JP2017536849A priority Critical patent/JP6505850B2/ja
Priority to US15/543,067 priority patent/US10292461B2/en
Priority to PCT/KR2015/013810 priority patent/WO2016114502A1/ko
Publication of KR20160086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6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3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3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02Slide fasteners with a series of separate interlocking members secured to each stringer tape
    • A44B19/04Stringers arranged edge-to-edge when fastened, e.g. abutting string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02Slide fasteners with a series of separate interlocking members secured to each stringer tap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26Sliders
    • A44B19/28Sliders constructed to be removable from at least one stringer ; Sliders with movable parts to permit releasing of the slider in the event of jamming or ob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36Means for permanently uniting the stringers at the end; Means for stopping movement of slider at the end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38Means at the end of stringer by which the slider can be freed from one stringer, e.g. stringers can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each other
    • A44B19/384Separable slide fasteners with quick opening devices
    • A44B19/388Bottom end stop means for quick opening slid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26Sliders
    • A44B19/262Pull members; Ornamental attachments for slid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26Sliders
    • A44B19/30Sliders with means for locking in position
    • A44B19/306Sliders with means for locking in position in the form of a locking spring member actuated by the pull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3/00Fastening by use of magnets

Landscapes

  • Slide Faste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슬라이드 파스너는, 제1파스너 스트링거와, 제2파스너 스트링거 및 상기 제1,2파스너 스트링거를 결합 또는 분리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파스너에 있어서, 상기 제1파스너 스트링거와 상기 제2파스너 스트링거의 수직방향 결합시에 상기 슬라이더와 분리된 상기 제2파스너 스트링거는 상기 슬라이더의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제1,2체결구에 의해 고정핀과 인서트핀의 수직방향 결합시에 슬라이더와 분리된 제2파스너 스트링거의 파스너 엘리먼트 열이 슬라이더의 내부로 진입하여 결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슬라이드 파스너{SLIDE FASTENER}
본 발명은 슬라이드 파스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쌍의 파스너 스트링거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슬라이드 파스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드 파스너는 가방이나 의류 등에 설치되어 입구를 개폐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개폐방법이 매우 간편하여 사용범위가 광범위하다.
종래 슬라이드 파스너의 구조를 간단하게 살펴보면, 예를 들어 코일 형상 또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연속된 파스너 엘리먼트열이 파스너 테이프에 설치된 좌우의 파스너 스트링거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파스너 엘리먼트열은 복수의 파스너 엘리먼트로 구성되어 있고, 이 파스너 엘리먼트는,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폴리아세탈,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합성 수지를 사용하여, 파스너 테이프의 테두리에 사출 성형된다.
또한, 좌우 파스너 스티링거를 분리 또는 결합시키는 슬라이더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슬라이더가 전진하면 슬라이더의 전면을 통하여 파스너 엘리먼트열이 들어와 슬라이더 내에서 서로 맞물려 일면으로 배출되고, 반대로 슬라이더가 후진하면 서로 맞물린 파스너 엘리먼트열이 분리되어 반대면으로 배출된다.
그러나, 공지의 슬라이드 파스너는 좌우 한 쌍의 파스너 스트링거를 결합시키기 위한 사전 예비동작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드 파스너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슬라이더가 결합되어 있지 않은 좌측 파스너 스트링거의 인서트핀을 슬라이더의 전면을 통해 진입시켜 슬라이더를 가로지르며 박스체에 결합하는 동작을 수행해야 하는데, 사용자가 가령 장갑 등을 착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인서트핀을 슬라이더에 끼우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어린이가 슬라이드 파스너를 직접 결합하기는 더욱 어려운데, 그 이유는 인서트핀을 슬라이더에 끼우는 섬세한 동작을 수행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더욱이, 보호자가 어린이의 옷에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를 결합할 때에도 어린이는 움직임이 많으므로 쉽지 않게 된다.
특허문헌 1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로킹 엘리먼트가 형성된 제1터미널, 제1터미널이 끼워져 회전하여 결합하는 제2터미널을 포함하는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제2터미널이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터미널이 수납된 상태에서 회전함으로써 결합하는 구조이므로, 결합을 위해 두 가지의 동작이 연속하여 수행되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더욱이,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을 분리하는 구조 또한 두가지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문제가 동반된다.
또한, 슬라이더 파스너의 스트링거가 플렉시블(flexible)하므로, 슬라이더를 내릴 때 제2터미널과 슬라이더가 간섭되기 쉬워 슬라이더를 제2터미널 내에 정확히 수납하기가 어렵다는 문제도 있다.
나아가, 가이드 세그먼트와 스트링거의 결합력이 취약하여 사용 중 제2터미널이 스트링거로부터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로킹 엘리먼트가 회전하여 노치로부터 벗어나기 쉬워 파스너 엘리먼트열의 체결이 풀려버리는 문제도 발생한다.
그리고, 용기 형상이 개방되어 있어 이물질 유입이 쉽고, 거치적거림에 의해 로킹 엘리먼트가 노치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특허문헌 2는 제1체결구와 제2체결구를 수직결합시킨 후 수평방향으로 회동시켜 인서트 핀을 슬라이더의 채널 내로 삽입하는 새로운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는 한 쌍의 파스너 스트링거를 체결 시에 사용자가 수직결합, 수평회동, 슬라이더의 동작을 차례로 수행해야 하고, 체결해제 시에는 슬라이더 내림, 수평회동, 수직해제 동작을 차례로 수행해야 해서 기존의 슬라이드 파스너 보다 체결 및 체결 해제 동작이 훨씬 더 복잡하게 된다.
나아가, 한 쌍의 파스너 스트링거를 체결 시에 인서트 핀을 회동시켜 슬라이더의 좁은 채널 내로 정확히 삽입하는 동작은 기존의 슬라이드 파스너 삽입 동작에 못지 않게 어렵게 된다.
또한, 특허문헌 3은 특허문헌 2의 한 쌍의 파스너 스트링거를 체결해제 시에 수평회동 동작을 제거하기 위해, 슬라이더가 후진 시의 경사각에 의해 자동으로 회동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3도 한 쌍의 파스너 스트링거를 체결 시에 수직결합, 수평회동, 슬라이더 올림의 동작을 차례로 수행해야 하는 점, 한 쌍의 파스너 스트링거를 체결 해제 시에 슬라이더 내림, 수직해제 동작을 차례로 수행해야 하는 점에서 특허문헌 2의 단점을 크게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좌우 한 쌍의 파스너 스트링거를 간단한 동작으로 분리 및 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트링거와의 결합력이 개선된 형태의 슬라이드 파스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미국 특허공보 US4326319 (1982.04.27) 미국 특허공보 US4139927 (1979.02.20) 등록특허공보 제10-0281301호 (2000.11.16)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쌍의 파스너 스트링거의 결합 또는 분리가 용이한 슬라이드 파스너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슬라이드 파스너는, 제1파스너 스트링거와, 제2파스너 스트링거 및 상기 제1,2파스너 스트링거를 결합 또는 분리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파스너에 있어서, 상기 제1파스너 스트링거와 상기 제2파스너 스트링거의 수직방향 결합시에 상기 슬라이더와 분리된 상기 제2파스너 스트링거는 상기 슬라이더의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파스너 스트링거에는 고정핀이 형성되며, 상기 제2파스너 스트링거에는 인서트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과 상기 인서트핀의 수직방향 결합시에 상기 슬라이더의 내부로 상기 제2파스너 스트링거에 형성된 파스너 엘리먼트 열이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핀에 구비된 제1체결구와, 상기 인서트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체결구와 방향성을 가지도록 결합하는 제2체결구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체결구와 상기 제2체결구 중 하나에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구와 상기 제2체결구 중 상기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다른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에 대응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홈은 제1구간과, 제1구간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제2구간 및 상기 제1구간과 제2구간 사이의 경사면으로 구분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구간의 입구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의 삽입을 안내하는 안내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파스너 스트링거에는 인서트 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인서트 부재가 삽입되는 채널과, 상기 인서트 부재를 상기 채널로 안내하도록 절개된 진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서트 부재와 상기 제2체결구 사이의 거리는 상기 채널의 길이보다 동일하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체결구에서 상기 제2체결구를 자동으로 분리시키는 탄성수단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제2체결구에 형성된 수용홈,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는 푸시로드 및 상기 수용홈과 상기 푸시로드의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서트핀에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에는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체결구 및 제2체결구 중 적어도 하나는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체결구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제1체결구에 삽입되며, 상기 제1체결구에는 상기 걸림턱에 대응하는 오메가 형상의 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오메가 형상의 스프링의 일부는 상기 슬라이더를 향하여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서트핀에는 상기 제2파스너 스트링거에 형성된 코어사를 감싸도록 체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 파스너에 따르면, 제1,2체결구에 의해 고정핀과 인서트핀의 수직방향 결합시에 슬라이더와 분리된 제2파스너 스트링거의 파스너 엘리먼트 열이 슬라이더의 내부로 진입하여 결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즉, 한 쌍의 제1,2파스너 스트링거를 수직방향으로 결합한 후 슬라이더에 의해 신속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가령 장갑 등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인서트핀을 슬라이더에 쉽게 접속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더해, 어린이도 섬세한 동작 없이 쉽게 슬라이드 파스너를 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호자도 움직이는 어린이의 슬라이드 파스너를 쉽게 결합할 수 있게 되어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돌기에 의해 인서트부재를 슬라이더의 내부로 안내하게 된다.
또한, 가이드홈의 제2구간 내에서만 인서트핀(제2체결구)의 회동이 가능하므로 특허문헌 1과 같이 파스너 엘리먼트열의 체결이 풀리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탄성수단에 의해 제1,2파스너 스트링거가 자동으로 분리된다. 즉, 탄성수단에 포함된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이 푸시로드를 통해 가압부재로 전달됨으로써 분리가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가 슬라이더를 제1,2파스너 스트링거의 하단으로 내리면 제1,2파스너 스트링거는 자동으로 분리된다. 종래에는 슬라이더를 파스너 스트링거의 하단으로 이동한 후 인서트핀을 슬라이더에서 분리하는 동작을 별도로 수행하였으나, 본 발명은 슬라이드 파스너를 분리하기 위해 슬라이더를 내리는 동작만 수행하면 된다.
또한, 슬라이더에 형성된 진입부에 의해 제2파스너 스트링거의 수직방향 이동에 대한 간섭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쌍의 파스너 스트링거의 체결 시 수직결합, 슬라이더 올림 동작만으로도 체결이 이루어지고, 한 쌍의 파스너 스트링거의 체결해제 시에 슬라이더 내림 동작만으로 체결해제가 이루어지면서도, 기존 지퍼의 상하 결합 방식보다 훨씬 간편한 수직 결합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체결홈이 제2파스너 스트링거에 형성된 코어사를 감쌈에 따라 인서트핀이 제2파스너 스트링거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제1,2파스너 스트링거의 체결 또는 분리시에 상대적으로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인서트핀과 제2파스너 스트링거의 체결부위의 결합력이 향상된다.
도 1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파스너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파스너를 분해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2체결구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파스너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파스너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의 제1,2체결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파스너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1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파스너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파스너를 분해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4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제1,2체결구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며,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파스너(A)는, 제1,2파스너 스트링거(100,200) 및 상기 제1,2파스너 스트링거(100,200)를 결합 또는 분리하는 슬라이더(300)로 구성된다.
제1,2파스너 스트링거(100,200)는 파스너 테이프와 복수의 파스너 엘리먼트(101,201)를 가지는 파스너 엘리먼트열로 구성된다.
상기 파스너 엘리먼트(101,201)는 파스너 테이프에 형성된 코어사(102,202)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어 파스너 테이프와 파스너 엘리먼트(101,201)의 분리를 방지하게 된다.
제1파스너 스트링거(100)에는 고정핀(110)이 구비되고, 제2파스너 스트링거(200)에는 슬라이더(300)에 삽입되는 인서트핀(210)이 구비된다.
고정핀(110)이 설치된 제1파스너 스트링거(100)가 슬라이더(300)와 분리 불가능한 고정측 파스너 스트링거이며, 인서트핀(210)이 설치된 제2파스너 스트링거(200)가 슬라이더(300)로부터 분리 가능한 분리측 파스너 스트링거이다.
슬라이더(300)는 제1,2파스너 스트링거(100,200)를 따라 미끄럼 이동이 가능한 본체(310) 및 상기 본체(310)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32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주요 특징을 살펴보면, 상기 제1파스너 스트링거(100)와 상기 제2파스너 스트링거(200)의 수직방향 결합시에 상기 슬라이더(300)와 분리된 상기 제2파스너 스트링거(200)는 슬라이더(300)의 내부로 진입하게 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슬라이더(300)의 내부로 상기 제2파스너 스트링거(200)에 형성된 파스너 엘리먼트 열(201)이 진입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핀(110)에는 제1체결구(120)가 구비되며, 상기 인서트핀(210)에는 제1체결구(120)와 방향성을 가지도록 결합하는 제2체결구(220)가 구비된다. 상기 제1체결구(120)는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그 내측으로 제2체결구(220)가 수용된다.
상기 제1체결구(120)는 원형 실린더, 상부가 개방된 원형 실린더, 중공형 다각 기둥 등과 같이 상기 제2체결구(220)를 수용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이 적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2체결구(220)가 제1체결구(120)를 수용하도록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상기 제2체결구(220)의 형상은 제1체결구(120)를 수용할 수 있다면 그 형상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체결구(120)에는 제2체결구(220)와 인서트핀(210)의 연결부위가 가로질러 삽입되도록 개구부(129)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체결구(120)의 내주면에는 가이드 돌기(121)가 형성되며, 상기 제2체결구(220)의 외주면에는 가이드 돌기(121)에 대응되는 가이드 홈(221)이 형성된다. 도 8의 도시와 같이 제1체결구(120)에 가이드 홈(121')이 형성되고 제2체결구(220)에 가이드 돌기(221')가 형성될 수도 있다.
즉, 가이드 돌기(121)와 가이드 홈(221)에 의해 제2체결구(220)는 제1체결구(120)에 방향성을 가지며 체결된다. 여기서 방향성은 슬라이더(300)와 분리된 제2파스너 스트링거(200)의 파스너 엘리먼트열(201)이 슬라이더(300)의 내부로 진입하는 위치를 말한다.
이때, 가이드 돌기(121)와 가이드 홈(221)은 한 쌍 이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홈(221)은 제1구간(221a)과, 제1구간(221a)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제2구간(221b)으로 구분 형성된다. 상기 제1구간(221a)과 제2구간(221b)의 사이에는 경사면(221c)이 형성되어 가이드 돌기(121)의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즉, 상기 가이드 돌기(121)가 제1구간(221a)에 위치하면 제1,2파스너 스트링거(100,200)는 일정 각도로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지만 상기 제2파스너 스트링거(200)의 파스너 엘리먼트열(201)은 슬라이더(300)의 내부로 진입하게 된다.
이에 더해, 상기 가이드 돌기(121)가 제2구간(221b)에 위치하면 고정핀(110)과 인서트핀(210)이 서로 대면하도록 제1,2파스너 스트링거(100,200)의 사이 각도를 좁혀주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슬라이더(300)가 전진하면 채널(302)의 벽이 후술하는 인서트부재(230)의 측면을 압박하고, 상기 인서트핀(210)이 고정핀(110) 방향으로 회전이 발생하여 상기 고정핀(110)과 인서트핀(210)이 서로 대면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상기 슬라이더(300)의 전진에 의해 인서트핀(210)이 고정핀 방향으로 자동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 홈(221)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돌기(121)에 의해 상기 제2파스너 스트링거(200)의 파스너 엘리먼트열(201), 즉 후술하는 인서트부재(230)가 슬라이더(300)의 내부를 관통하여 제1파스너 스트링거(100)의 파스너 엘리먼트열(101)과 제2파스너 스트링거(200)의 파스너 엘리먼트열(201)이 서로 맞물리게 된다.
한편, 상기 제1구간(221a)의 입구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121)의 삽입을 안내하는 안내면(221d)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면(221d)은 제1구간(221a)의 입구를 넓혀주도록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가이드 돌기(121)의 진입방향이 제1구간(221a)과 일부 틀어지더라도 상기 가이드 돌기(121)를 제1구간(221a), 즉 가이드 홈(221)으로 안내하게 된다.
또한, 제2파스너 스트링거(200)에는 인서트 부재(230)가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더(300)에는 인서트 부재(230)를 채널(302)로 안내하도록 절개된 진입부(30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인서트 부재(230)와 제2체결구(220) 사이의 거리는 채널(302)의 길이보다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된다. 즉, 인서트 부재(230)가 채널(3021)로 진입할 수 있는 최소한의 거리와 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2체결구(120,220), 인서트 부재(230) 및 진입부(301)에 의해 고정핀(110)과 인서트핀(210)의 수직방향 결합시에 슬라이더(300)와 분리된 제2파스너 스트링거(200)의 인서트 부재(230)는 슬라이더(300)의 내부, 즉 채널(302)로 진입하도록 위치하여 결합이 용이하게 된다.
즉, 한 쌍의 제1,2파스너 스트링거(100,200)를 수직방향으로 결합한 후 슬라이더(300)에 의해 신속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사용자가 가령 장갑 등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인서트핀(210)을 슬라이더(300)에 쉽게 접속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더해, 어린이도 섬세한 동작 없이 쉽게 슬라이드 파스너를 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호자도 움직이는 어린이의 슬라이드 파스너를 쉽게 결합할 수 있게 되어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300)가 제1,2파스너 스트링거(100,200)를 분리하는 위치(즉 인서트핀(210)이 슬라이더(300)와 분리되는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제1체결구(120)에서 제2체결구(220)를 자동으로 분리시키는 탄성수단(400)이 더 구비된다.
상기 탄성수단(400)은 상기 제2체결구(220)에 형성된 수용홈(410)과, 상기 수용홈(410)에 삽입되는 푸시로드(420)와, 상기 수용홈(410)과 푸시로드(420)의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430) 및 상기 푸시로드(420)에 대응되도록 제1체결구(120)에 형성된 가압부재(440)로 구성된다.
즉, 제1,2파스너 스트링거(100,200)의 치합으로 슬라이드 파스너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면 가압부재(440)는 푸시로드(420)를 눌러주며 스프링(430)은 압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제1,2파스너 스트링거(100,200)의 치합이 해제되면 압축된 스프링(430)은 푸시로드(420)에 탄성력을 인가하며 푸시로드(420)는 가압부재(440)를 밀어냄에 따라 제1체결구(120)에서 제2체결구(220)를 배출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라이더(300)가 후진하여 인서트부재(230)가 채널(302)로부터 벗어나면, 상기 스프링(4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푸시로드(420)가 가압부재(440)를 밀어낸다. 그 탄성복원력에 의해 가이드홈(221)의 제2구간(221b)에 위치하던 가이드돌기(121)가 제1구간(221a)과 제2구간(221b) 사이의 경사면(221c)을 미끄러짐에 따라, 제1, 2파스너 스트링거(100,200) 간의 각도가 벌어지게 된다.
이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121)가 제1구간(221a)에 진입하면 제1, 2 파스너 스트링거(100,200)가 서로 벌어진 상태에서 자동으로 분리된다.
이에 따라, 탄성수단(400)에 의해 제1,2파스너 스트링거(100,200)가 자동으로 분리된다.
종래에는 슬라이더를 파스너 스트링거의 하단으로 이동한 후 인서트핀을 슬라이더에서 분리하는 동작을 별도로 수행하였으나, 본 발명은 슬라이드 파스너를 분리하기 위해 슬라이더(300)를 내리는 동작만 수행하면 되므로 분리 동작의 편리성이 크게 향상된다.
이때, 슬라이더(300)에 형성된 진입부(301)에 의해 제2파스너 스트링거(200)의 수직방향 이동에 대한 간섭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인서트핀(210)에는 끼움홈(21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110)에는 끼움홈(211)에 삽입되는 끼움돌기(111)가 형성된다. 상기 끼움홈(211)과 끼움돌기(111)의 각 모서리는 라운딩 형상으로 가공되어 상호 결합을 원활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인서트핀(210)에는 진입부(301)가 형성된 부위의 채널(302)로 삽입되도록 상기 인서트핀(210)의 다른 부위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가이드 플레이트(212)가 형성된다.
더욱이, 상기 인서트핀(210)의 꺾임 등에 대한 내구성 및 강도를 확보하도록 상기 인서트핀(210)의 다른 부위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보강부재(21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인서트핀(210)에는 상기 제2파스너 스트링거(200)에 형성된 코어사(202)를 감싸도록 체결홈(214)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체결홈(214)이 제2파스너 스트링거(200)에 형성된 코어사(202)를 감쌈에 따라 상기 인서트핀(210)이 제2파스너 스트링거(200)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제1,2파스너 스트링거(100,200)의 체결 또는 분리시에 상대적으로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 인서트핀(210)과 제2파스너 스트링거(200)의 체결부위의 결합력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체결홈(214)은 코어사(202) 위에 사출성형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체결홈(214)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파스너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제1실시예와 차이점만 기술하며,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구성부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파스너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파스너는, 고정핀(110)에는 제1체결구(120)가 구비되며, 인서트핀(210)에는 제1체결구(120)와 방향성을 가지도록 결합하는 제2체결구(220)가 구비된다. 제1체결구(120)는 원통 형상으로 내측으로 제2체결구(220)가 수용된다.
이때, 상기 제1체결구(120)와 제2체결구(220)에는 각각 자석(400')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자석(400')에 의해 제1체결구(120)와 제2체결구(220)의 정확한 결합위치가 안내된다.
제3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파스너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파스너는, 고정핀(110)에는 제1체결구(120)가 구비되며, 인서트핀(210)에는 제1체결구(120)와 방향성을 가지도록 결합하는 제2체결구(220)가 구비된다. 제1체결구(120)는 원통 형상으로 내측으로 제2체결구(220)가 수용된다.
이때, 상기 제2체결구(220)에는 걸림턱(221")이 형성되어 제1체결구(120)에 삽입되며, 상기 제1체결구(120)에는 걸림턱(221")에 대응하는 오메가 형상의 스프링(400")이 설치되며, 상기 오메가 형상의 스프링(400")의 일부는 슬라이더(300)의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1체결구(120)의 외부로 돌출된 스프링을 슬라이더(300)가 눌러주면 스프링(400")에 의한 걸림턱(121")의 걸림이 해제되어 제1,2체결구(120,220)가 서로 분리된다.
상기 제1체결구(120)와 스프링(400")은 스프링(400")의 돌출부분을 눌러주면 걸림턱(221")과 대응되는 부분이 벌어지도록 구성된다.
제4실시예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파스너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파스너는, 고정핀(110)과 인서트핀(210) 중 하나에는 제1지지돌기(215)가 형성되며, 고정핀(110)과 인서트핀(210) 중 제1지지돌기(215)가 형성되지 않은 다른 하나에는 제1지지돌기(215)와 결합하는 제1지지홈(115)이 형성된다.
즉, 제1지지홈(115)과 제1지지돌기(215)의 결합에 의해 고정핀(110)과 인서트핀(210)의 수평방향 결합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고정핀(110)과 인서트핀(210) 중 하나에는 제2지지돌기(116)가 형성되며, 고정핀(110)과 인서트핀(210) 중 제2지지돌기(116)가 형성되지 않은 다른 하나에는 제2지지돌기(116)와 결합하는 제2지지홈(216)이 형성된다.
즉, 제2지지돌기(116)와 제2지지홈(216)의 결합에 의해 고정핀(110)과 인서트핀(210)의 수평방향 결합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한편, 제2지지홈(216)은 제2지지돌기(116)를 상하로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어 고정핀(110)과 인서트핀(210)의 수직방향 결합력 또한 향상시키게 된다.
마지막으로, 고정핀(110)에는 슬라이더(300)의 스토퍼가 삽입되는 스토퍼 삽입홈(117)이 형성되어 있어 슬라이더(300)가 고정핀(110) 상에서 움직이지 않으며 고정시키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때,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A - 슬라이드 파스너 100 - 제1파스너 스트링거
200 - 제2파스너 스트링거 300 - 슬라이더
400 - 탄성수단

Claims (14)

  1. 고정핀이 형성된 제1파스너 스트링거와, 인서트핀이 형성된 제2파스너 스트링거 및 상기 제1,2파스너 스트링거를 결합 또는 분리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파스너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에는 제1체결구가 구비되며, 상기 인서트핀에는 상기 제1체결구와 결합되는 제2체결구가 구비되고,
    상기 제1체결구와 상기 제2체결구 중 하나에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구와 상기 제2체결구 중 상기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다른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에 대응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구와 제2체결구가 수직방향 결합시에 상기 가이드 돌기가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슬라이더와 분리된 상기 제2파스너 스트링거는 상기 슬라이더의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은 제1구간과, 제1구간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제2구간 및 상기 제1구간과 제2구간 사이의 경사면으로 구분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간의 입구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의 삽입을 안내하는 안내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파스너 스트링거에는 인서트 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인서트 부재가 삽입되는 채널과, 상기 인서트 부재를 상기 채널로 안내하도록 절개된 진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부재와 상기 제2체결구 사이의 거리는 상기 채널의 길이보다 동일하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구에서 상기 제2체결구를 자동으로 분리시키는 탄성수단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제2체결구에 형성된 수용홈,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는 푸시로드 및 상기 수용홈과 상기 푸시로드의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핀에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에는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구 및 제2체결구 중 적어도 하나는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체결구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제1체결구에 삽입되며, 상기 제1체결구에는 상기 걸림턱에 대응하는 오메가 형상의 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오메가 형상의 스프링의 일부는 상기 슬라이더를 향하여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핀에는 상기 제2파스너 스트링거에 형성된 코어사를 감싸도록 체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
KR1020150179731A 2015-01-12 2015-12-16 슬라이드 파스너 KR101703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536849A JP6505850B2 (ja) 2015-01-12 2015-12-16 スライドファスナー
US15/543,067 US10292461B2 (en) 2015-01-12 2015-12-16 Slide fastener
PCT/KR2015/013810 WO2016114502A1 (ko) 2015-01-12 2015-12-16 슬라이드 파스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04049 2015-01-12
KR1020150004049 2015-01-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6742A KR20160086742A (ko) 2016-07-20
KR101703816B1 true KR101703816B1 (ko) 2017-02-08

Family

ID=56405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9731A KR101703816B1 (ko) 2015-01-12 2015-12-16 슬라이드 파스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292461B2 (ko)
EP (1) EP3245891B1 (ko)
JP (1) JP6505850B2 (ko)
KR (1) KR101703816B1 (ko)
CN (1) CN107404979B (ko)
WO (1) WO20161144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51258B1 (en) * 2016-07-18 2019-07-16 Lumen International, Inc. System for protecting aircraft against bird strikes
WO2018055760A1 (ja) * 2016-09-26 2018-03-29 Ykk株式会社 スライダー及びスライドファスナー
JP6719571B2 (ja) * 2016-09-30 2020-07-08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の分離可能な止め具の回転機構及びこれを含むスライドファスナー
US20190110560A1 (en) * 2017-10-12 2019-04-18 Pvh Corp. Easy releasing zipper
US11083254B2 (en) 2017-11-08 2021-08-10 Ykk Corporation Slider for slide fastener
KR102460171B1 (ko) * 2018-03-12 2022-10-31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고정구 및 이것을 포함하는 슬라이드 파스너
CN112804908B (zh) * 2018-11-06 2022-08-16 Ykk株式会社 拉链用的止码
US11627784B2 (en) * 2019-09-10 2023-04-18 Ykk Corporation Fastener stringer,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slide fastener
EP4059373B1 (en) * 2019-11-12 2024-01-10 Ykk Corporation Slide fastener
US11432622B2 (en) * 2020-03-17 2022-09-06 Nike, Inc. Releasable coupling device
US11877629B1 (en) * 2023-02-04 2024-01-23 Kcc Zipper Co., Ltd. Bottom stop device of double-open end zipper and assembly structure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8809A (ja) * 2003-02-19 2004-09-09 Ykk Corp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開離嵌挿具
JP5509382B1 (ja) * 2013-10-10 2014-06-04 哲男 佐久間 オープンファスナーの連結用具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605438C3 (de) * 1976-02-12 1980-06-04 Optilon W. Erich Heilmann Gmbh, Cham (Schweiz) Reißverschluß mit teilbarer Endkupplung
US4326319A (en) * 1979-03-15 1982-04-27 Friedberg Martin F Slide fastener with improved end connections
US4232430A (en) * 1979-03-15 1980-11-11 Friedberg Martin F Device for connecting the ends of a separable zipper
US4232429A (en) * 1978-09-07 1980-11-11 Friedberg Martin F Sliding fastener
US5396685A (en) * 1994-01-14 1995-03-14 Wilk; Peter J. Zipper-type closure method
US5608952A (en) * 1995-06-29 1997-03-11 Wilder; Andrew End connector for a slide fastener
US6026547A (en) * 1997-05-15 2000-02-22 O'donnell Kiely; Alice Mary Immobilized alignment closure system
JPH11221105A (ja) * 1997-11-20 1999-08-17 Ykk Corp スライドファスナーの開離嵌挿具
JP2000232908A (ja) * 1999-02-15 2000-08-29 Ykk Corp スライドファスナーの開離嵌挿具
KR20000017742A (ko) 1999-10-19 2000-04-06 조성호 실용성이 개선된 캔뚜껑의 구조
JP2001340112A (ja) * 2000-05-31 2001-12-11 Ykk Corp 係脱具付咬合スライドファスナー
DE10146151B4 (de) * 2001-07-13 2008-05-08 Shih-Chang Wang Reißverschluss
JP3733343B2 (ja) * 2002-05-20 2006-01-11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開離嵌挿具
EP2380454B1 (en) * 2008-12-26 2017-01-25 YKK Corporation Slide zipper with slider insert
JP5143285B2 (ja) * 2009-07-29 2013-02-13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
US9027210B2 (en) * 2011-09-12 2015-05-12 Dns Designs, Llc Self-aligning zipp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8809A (ja) * 2003-02-19 2004-09-09 Ykk Corp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開離嵌挿具
JP5509382B1 (ja) * 2013-10-10 2014-06-04 哲男 佐久間 オープンファスナーの連結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507719A (ja) 2018-03-22
EP3245891B1 (en) 2020-07-01
CN107404979A (zh) 2017-11-28
EP3245891A4 (en) 2018-07-18
US10292461B2 (en) 2019-05-21
EP3245891A1 (en) 2017-11-22
US20180000203A1 (en) 2018-01-04
KR20160086742A (ko) 2016-07-20
WO2016114456A1 (ko) 2016-07-21
JP6505850B2 (ja) 2019-04-24
CN107404979B (zh) 2019-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3816B1 (ko) 슬라이드 파스너
KR100592487B1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역전분리 장치
US8844101B2 (en) Reverse opening slide fastener
KR101286820B1 (ko)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가 구비된 슬라이드 파스너
TWI617257B (zh) 拉鏈用之可分離式止擋之旋轉機構及包含其之拉鏈
KR101206615B1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
US9060574B2 (en) Cap structure having an inner surface concave feature and zipper head assembly structure using the same
US9173457B2 (en) Zipper assembly
US20160157566A1 (en) Cap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breach hole features and zipper head assembly structure using the same
TWI526171B (zh) A zipper with a separable insert and a mold for injection molding
EP1745713A1 (en) Slide fastener
JPH01313001A (ja) 開離嵌挿具付防水スライドファスナー
KR20200007764A (ko) 체결 구조체
KR101723474B1 (ko) 슬라이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지퍼
KR20180001226U (ko) 지퍼헤드 어셈블리 구조 및 그의 탄성 부재
US3004318A (en) Slide fastener assembly
CN109219365B (zh) 绳扣
TWI630882B (zh) Zipper slider
KR101790446B1 (ko) 지퍼용 파스너
US11019895B2 (en) Luggage case and case body structure thereof
KR101800138B1 (ko) 지퍼용 파스너
US20160183640A1 (en) Snap button zipper
KR200422253Y1 (ko) 슬라이드 파스너
CN116685233A (zh) 拉链
KR20120006037U (ko) 슬라이드 지퍼용 슬라이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