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6615B1 -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6615B1
KR101206615B1 KR1020117010739A KR20117010739A KR101206615B1 KR 101206615 B1 KR101206615 B1 KR 101206615B1 KR 1020117010739 A KR1020117010739 A KR 1020117010739A KR 20117010739 A KR20117010739 A KR 20117010739A KR 101206615 B1 KR101206615 B1 KR 101206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slider
box
reverse
inse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0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0901A (ko
Inventor
다까아끼 후지이
Original Assignee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70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0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6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6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36Means for permanently uniting the stringers at the end; Means for stopping movement of slider at the end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38Means at the end of stringer by which the slider can be freed from one stringer, e.g. stringers can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each other
    • A44B19/382"Two-way" or "double-acting" separable slid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26Sli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5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2561Slider having specific configuration, construction, adaptation, or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5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2593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including complementary, aligning means attached to ends of interlocking surfaces

Landscapes

  • Slide Fastener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1)는, 박스 핀(20, 20')이, 박스 핀 본체(21, 21')와, 역방향용 슬라이더(30)의 정지 갈고리(36)의 선단부를 수용하는 제1 절결부(23, 23')와, 인서트 핀 대향면(26)으로부터 인서트 핀(10)측을 향해 테이프 폭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편(24, 24')을 갖고, 상기 제1 절결부(23, 23')의 측벽면(23b)과 상기 돌출편(24, 24')의 박스 핀 선단측에 배치된 단부면(24a)이 동일 높이의 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정지 갈고리(36)의 선단부를 접촉시켜 상기 역방향용 슬라이더(30)를 정지시키는 정지면(27)을 구성하고, 상기 박스 핀 본체(21, 21') 및 상기 돌출편(24, 24')이, 상기 정지면(27)의 위치로부터 상기 엘리먼트 열(5)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28, 28')을 갖고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역방향용 슬라이더(30)의 조작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역방향용 슬라이더(30)가, 인위적인 미끄럼 이동 조작에 따르지 않고 박스 핀 측단부로부터 자유롭게 미끄럼 이동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SEPARABLE FITTING FOR SLIDE FASTENER}
본 발명은 역방향용 슬라이더, 박스 핀 및 인서트 핀을 갖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역방향용 슬라이더로서 정지 갈고리를 구비하고 있는 슬라이더를 사용하는 역방향 분리 끼움 삽입구에 관한 것이다.
슬라이드 파스너는, 의복이나 가방의 개구 부분을 개폐하는 개폐구로서 사용되는 것은 물론, 단위 사이즈로 분할된 카페트나 인공 잔디의 연결구로서도 사용되고 있다. 슬라이드 파스너는, 엘리먼트 열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측으로부터 타단부측을 향해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타입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그 밖에, 예를 들어 엘리먼트 열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측으로부터 개방할 수 있는 양방향 타입의 슬라이드 파스너나, 엘리먼트 열의 양단부측으로부터 폐쇄할 수 있는 타입의 슬라이드 파스너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양방향 타입의 슬라이드 파스너의 경우, 파스너 체인의 엘리먼트 열에 2개의 슬라이더, 즉 정방향용 슬라이더와 역방향용 슬라이더가 배치되는 동시에, 좌우의 엘리먼트 열의 각각의 일단부에 박스 핀과 인서트 핀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엘리먼트 열에 삽입 관통된 역방향용 슬라이더와, 박스 핀과, 인서트 핀에 의해, 슬라이드 파스너의 역방향 개방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가 구성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역방향 개방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를, 역방향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라 약기한다.
이러한 역방향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역방향용 슬라이더의 연결 기둥을 연직 하향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동 역방향용 슬라이더를 정면측에서 보았을 때에, 박스 핀이 역방향용 슬라이더의 우측의 엘리먼트 안내로에 삽입되고, 인서트 핀이 역방향용 슬라이더의 좌측의 엘리먼트 안내로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또한, 예를 들어 슬라이드 파스너를 어느 특수한 방법으로 사용하는 경우나 외국의 어느 특정 지역에서 사용하는 경우 등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역방향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와는, 역방향용 슬라이더에 있어서의 박스 핀과 인서트 핀의 삽입 위치 관계가 좌우 반대로 되어, 박스 핀이 역방향용 슬라이더의 좌측의 엘리먼트 안내로에 삽입되고, 인서트 핀이 역방향용 슬라이더의 우측의 엘리먼트 안내로에 삽입되는 역방향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가 구성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이 장황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역방향용 슬라이더의 연결 기둥을 연직 하향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동 역방향용 슬라이더를 정면측에서 보았을 때에, 인서트 핀이 역방향용 슬라이더의 좌측의 엘리먼트 안내로에 삽입되는 역방향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환언하면, 예를 들어 의복의 앞길에 슬라이드 파스너를 장착한 경우에, 그 의복을 착용한 사용자로부터 보아, 인서트 핀을 역방향용 슬라이더의 우측으로부터 삽입하는 역방향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를 우측 삽입 타입의 역방향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로서 규정한다. 또한, 인서트 핀이 역방향용 슬라이더의 우측의 엘리먼트 안내로에 삽입되는 역방향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로부터 보아, 인서트 핀을 역방향용 슬라이더의 좌측으로부터 삽입하는 역방향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를 좌측 삽입 타입의 역방향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로서 규정한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8-99975호 공보(특허 문헌 1)에는, 좌측 삽입 타입의 역방향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가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역방향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61)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의 파스너 스트링거(62)에 있어서의 엘리먼트 열(63)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 장착된 박스 핀(70)과, 좌측의 파스너 스트링거(62)에 있어서의 엘리먼트 열(63)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 장착된 인서트 핀(80)과, 박스 핀(70) 및 인서트 핀(80)을 삽입 가능한 역방향용 슬라이더(90)를 갖고 있다.
역방향용 슬라이더(90)에는, 제조 비용의 증대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부터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통상의 슬라이더가 사용되고 있고, 그 내부의 엘리먼트 안내로(91)에 좌우의 엘리먼트 열(63)이 삽입 관통되고, 또한 우측의 엘리먼트 열(63)과 결합 가능한 정지 갈고리(92)가 배치되어 있다.
이 역방향용 슬라이더(90)가 좌우의 엘리먼트 열(63)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해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즉, 역방향용 슬라이더(90)가 박스 핀(70) 및 인서트 핀(80)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맞물림 상태에 있는 좌우의 엘리먼트 열(63)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박스 핀(70)은, 박스 핀 본체(71)와, 동 박스 핀 본체(71)의 선단부에 파스너 테이프 내측으로 넓어지도록 형성되고, 역방향용 슬라이더(90)가 엘리먼트 열(6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갈고리 정지부(72)와, 박스 핀 본체(71)의 인서트 핀 대향면으로부터 인서트 핀(80)측을 향해 돌출되는 제1 삽입편(73)과, 이 제1 삽입편(73)보다도 박스 핀 선단측에 배치되고, 인서트 핀 대향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삽입편(74)과, 갈고리 정지부(72)보다도 엘리먼트 열(63)측의 위치에, 인서트 핀 대향면으로부터 박스 핀 본체(71) 내부에 절결된 절결부(75)를 갖고 있다.
상기 인서트 핀(80)은, 인서트 핀 본체(81)와, 동 인서트 핀 본체(81)의 박스 핀 대향면으로부터 오목 형상으로 설치되고, 인서트 핀(80)을 역방향용 슬라이더(90)에 삽입하였을 때에 박스 핀(70)의 제1 삽입편(73)을 수용하는 것이 가능한 제1 수용부(82)와, 동 제1 수용부(82)보다도 인서트 핀 선단부측에서 박스 핀 대향면으로부터 오목 형상으로 설치되고, 박스 핀(70)의 제2 삽입편(74)을 수용하는 것이 가능한 제2 수용부(83)와, 인서트 핀 본체(81)의 엘리먼트 열 측단부에, 박스 핀(70)측의 엘리먼트(64)와 결합되는 결합 돌기(84)를 갖고 있다.
특허 문헌 1의 역방향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61)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박스 핀(70)에 절결부(75)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역방향용 슬라이더(90)가 엘리먼트 열(63)의 박스 핀 측단부에 미끄럼 이동하였을 때에, 동 역방향용 슬라이더(90)의 정지 갈고리(92)를 절결부(75) 내에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90)의 정지 갈고리(92)를 절결부(75) 내에 수용한 경우, 동 절결부(75)의 엘리먼트 열(63)측에 배치된 측벽면이 정지 갈고리(92)의 선단부를 접촉시키는 접촉면(76)을 형성한다. 이로 인해, 이 접촉면(76)에 정지 갈고리(92)의 선단부가 접촉함으로써, 역방향용 슬라이더(90)가 인위적인 미끄럼 이동 조작에 따르지 않고 박스 핀 측단부로부터 자유롭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좌우의 엘리먼트 열(63)이 저절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역방향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61)를 갖는 슬라이드 파스너가 피착된 제품의 사용 형태에 있어서, 역방향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61)가 제품의 상방측에 배치되는 경우(예를 들어, 스키 선수가 착용하는 오버 팬츠 등), 그때까지의 역방향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61)이면, 제품의 사용 중에 역방향용 슬라이더(90)가 그 자중 등에 의해 저절로 엘리먼트 열(63)의 분리 방향으로 하강하여, 좌우의 엘리먼트 열(63)을 분리시킨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지만, 특허 문헌 1의 역방향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61)이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8-99975호 공보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좌측 삽입 타입의 역방향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6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역방향용 슬라이더(90)가 박스 핀 측단부에 위치할 때에 정지 갈고리(92)의 선단부를 접촉면(76)에 접촉시킴으로써, 동 역방향용 슬라이더(90)가 엘리먼트 열(63) 상을 자유롭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역방향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61)가 제품의 상방측에 배치되는 경우에 있어서, 제품의 사용시에 역방향용 슬라이더(90)가 요동하면, 동 역방향용 슬라이더(90)의 정지 갈고리(92)의 위치가 접촉면(76)에 대해 상대적으로 변위하여, 접촉면(76) 상으로부터 박스 핀(70)과 인서트 핀(80) 사이의 간극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 결과, 역방향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61)는, 역방향용 슬라이더(90)의 이동을 접촉면(76)에 의해 정지시킬 수 없게 되므로, 역방향용 슬라이더(90)는 자중 등에 의해 엘리먼트 열(63) 상을 용이하게 이동하여, 좌우의 엘리먼트 열(63)이 자동적으로 분리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일반적인 슬라이드 파스너에 있어서, 슬라이더의 손잡이를 잡고 동 슬라이더를 미끄럼 이동 조작하는 경우, 슬라이더의 손잡이의 작용에 의해 정지 갈고리의 선단부가, 엘리먼트 안내로(91)로부터 퇴피하도록 들어 올려지지만, 엘리먼트 안내로(91)로부터 완전히 퇴피되는 일은 없어, 짧지만 엘리먼트 안내로(91) 내로 돌출된 상태로 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의 좌측 삽입 타입의 역방향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61)에 있어서, 예를 들어 손잡이를 잡고 역방향용 슬라이더(90)를 박스 핀(70)측의 단부를 향해 미끄럼 이동 조작하는 경우, 정지 갈고리(92)의 선단부는, 짧지만 엘리먼트 안내로(91) 내에 돌출된 상태로 되므로, 박스 핀 본체(71)와 간섭하여 걸리기 쉬워진다.
이와 같이 정지 갈고리(92)의 선단부가 박스 핀 본체(71)에 걸려 버리면, 역방향용 슬라이더(90)는 그 걸린 위치에서 정지해 버린다. 이 경우, 역방향용 슬라이더(90)의 위치를 약간 복귀시킨 후, 다시 박스 핀(70)측의 단부를 향해 미끄럼 이동시키지 않으면, 역방향용 슬라이더(90)를 박스 핀 측단부까지 이동시킬 수 없게 된다. 이로 인해, 역방향용 슬라이더(90)의 조작이 번거로워진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정지 갈고리(92)의 선단부가 박스 핀 본체(71)에 걸려 역방향용 슬라이더(90)가 도중에 정지한 것을 인식하지 못 하고, 역방향용 슬라이더(90)를 박스 핀(70)측의 단부 위치까지 완전히 이동시키는 일 없이, 도시하지 않은 정방향용 슬라이더에 의해 좌우의 엘리먼트 열(63)을 맞물리게 해 버리면, 동 엘리먼트 열(63)이 부정하게 맞물려 맞물림 벌어짐이 발생하기 쉬워진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할 우려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그 구체적인 목적은, 역방향용 슬라이더를 조작하여 박스 핀 측단부를 향해 미끄럼 이동시킬 때의 역방향용 슬라이더의 조작성이나, 나아가서는 인서트 핀을 슬라이더에 삽입할 때의 인서트 핀의 조작성이 향상되고, 또한 역방향용 슬라이더가 인위적인 미끄럼 이동 조작에 따르지 않고 박스 핀 측단부로부터 자유롭게 미끄럼 이동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좌우의 엘리먼트 열이 저절로 분리되는 일이 없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는, 기본적인 구성으로서, 좌우의 파스너 테이프의 대향하는 테이프 측부 모서리부에 엘리먼트 열이 형성된 좌우 한 쌍의 파스너 스트링거 중 한쪽 파스너 스트링거의 상기 엘리먼트 열의 일단부에 성형 일체화된 인서트 핀과, 다른 쪽 상기 파스너 스트링거의 상기 엘리먼트 열의 일단부에 성형 일체화된 박스 핀과, 상기 엘리먼트 열에 삽입 관통된 역방향용 슬라이더를 갖고, 상기 역방향용 슬라이더는, 상기 엘리먼트 열에 대해 동 역방향용 슬라이더를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한 정지 갈고리를, 상기 박스 핀이 삽입되는 엘리먼트 안내로측에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이며, 상기 박스 핀은, 박스 핀 본체와, 동 박스 핀 본체의 제1 표면에 인서트 핀 대향면측으로부터 박스 핀 본체 내부를 향해 절결되고, 상기 정지 갈고리의 선단부를 수용하는 제1 절결부와, 상기 박스 핀 본체의 인서트 핀 대향면으로부터 상기 인서트 핀측을 향해 테이프 폭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편을 갖고, 상기 제1 절결부의 상기 엘리먼트 열측에 배치된 측벽면과, 상기 돌출편의 박스 핀 선단측에 배치된 단부면이 동일 높이의 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절결부에 수용된 상기 정지 갈고리의 선단부를 접촉시켜 상기 역방향용 슬라이더를 정지시키는 정지면을 구성하고, 상기 박스 핀 본체 및 상기 돌출편은, 상기 박스 핀을 상기 역방향용 슬라이더에 삽입할 때에 상기 정지 갈고리를 상기 제1 절결부를 향해 안내하도록, 상기 정지면의 위치로부터 상기 엘리먼트 열측을 향해, 상기 파스너 테이프의 테이프면측에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을 갖고 이루어지는 것을 가장 주요한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은, 상기 인서트 핀 대향면의 상기 제1 표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인서트 핀의 박스 핀 대향면에는, 동 인서트 핀의 내부를 향해 제2 절결부가 절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박스 핀은, 상기 인서트 핀 대향면의 상기 돌출편보다도 상기 엘리먼트 열측에, 동 인서트 핀 대향면으로부터 상기 인서트 핀측을 향해 돌출된 삽입편을 갖고, 상기 인서트 핀은, 상기 박스 핀 대향면에, 동 인서트 핀을 상기 역방향용 슬라이더에 삽입하였을 때에 상기 삽입편을 수용하는 수용 오목부를 갖고, 상기 삽입편의 제1 표면과 상기 경사면이 연속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는, 인서트 핀과, 박스 핀과, 역방향용 슬라이더를 갖고, 그 역방향용 슬라이더는, 박스 핀이 삽입되는 엘리먼트 안내로측에 정지 갈고리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의 박스 핀은, 박스 핀 본체와, 동 박스 핀 본체의 제1 표면에 인서트 핀 대향면측으로부터 박스 핀 본체 내부를 향해 절결되고, 상기 정지 갈고리의 선단부를 수용하는 제1 절결부와, 박스 핀 본체의 인서트 핀 대향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편을 갖는다.
또한, 제1 절결부의 엘리먼트 열측에 배치된 측벽면과, 돌출편의 박스 핀 선단측에 배치된 단부면이 동일 높이의 면으로 형성되고, 정지 갈고리의 선단부를 접촉시켜 역방향용 슬라이더를 정지시키는 정지면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박스 핀 본체 및 돌출편은, 정지면의 위치로부터 엘리먼트 열측을 향해, 상기 파스너 테이프의 테이프면측에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을 갖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에 따르면, 역방향용 슬라이더를 조작하여 박스 핀 측단부를 향해 미끄럼 이동시킬 때에, 동 역방향용 슬라이더의 정지 갈고리가, 박스 핀 본체 및 돌출편에 형성된 경사면을 통해 제1 절결부에 안내되므로, 정지 갈고리의 선단부가 박스 핀 본체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역방향용 슬라이더를 원활하게 안정적으로 미끄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역방향용 슬라이더의 조작을 번거롭게 느끼는 것을 방지하여, 동 슬라이더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역방향용 슬라이더를 박스 핀 측단부에 미끄럼 이동시켜, 그 정지 갈고리가 제1 절결부에 수용된 후에는, 정지 갈고리의 선단부가 박스 핀의 정지면에 접촉하여, 역방향용 슬라이더가 박스 핀 측단부로부터 자유롭게 미끄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에 있어서, 정지 갈고리가 접촉하는 정지면은, 제1 절결부의 측벽면뿐만 아니라, 돌출편의 박스 핀 선단측에 배치된 단부면에도 형성되어 있고, 종래보다도 테이프 폭 방향으로 넓게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정지 갈고리가 제1 절결부에 수용된 후에 역방향용 슬라이더가 좌우로 요동해도, 정지 갈고리 선단부의 위치가 접촉면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역방향용 슬라이더가 인위적인 미끄럼 이동 조작에 따르지 않고 자유롭게 미끄럼 이동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좌우의 엘리먼트 열이 저절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에 있어서, 돌출편이 인서트 핀 대향면의 제1 표면측에 배치되고, 또한 인서트 핀의 박스 핀 대향면에는, 동 인서트 핀의 내부를 향해 제2 절결부가 절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박스 핀 본체의 인서트 핀 대향면에 인서트 핀측을 향해 테이프 폭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편이 설치되어 있어도, 인서트 핀을 역방향용 슬라이더 내에 삽입할 때에, 박스 핀의 돌출편과 간섭하는 일 없이 인서트 핀의 삽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인서트 핀의 조작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에 있어서, 박스 핀은, 인서트 핀 대향면의 돌출편보다도 엘리먼트 열측에, 동 인서트 핀 대향면으로부터 인서트 핀측을 향해 돌출된 삽입편을 갖고, 인서트 핀은, 박스 핀 대향면에 상기 삽입편을 수용하는 수용 오목부를 갖고, 상기 삽입편의 제1 표면과 경사면이 연속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역방향용 슬라이더를 조작하여 박스 핀 측단부를 향해 미끄럼 이동시킬 때에, 동 역방향용 슬라이더의 정지 갈고리를 삽입편이 형성되어 있는 부위로부터 제1 절결부를 향해 안내할 수 있으므로, 역방향용 슬라이더를 더욱 원활하게 미끄럼 이동시킬 수 있어, 슬라이더의 조작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좌측 삽입 타입의 역방향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를 갖는 슬라이드 파스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동 역방향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의 박스 핀을 도시하는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동 역방향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의 인서트 핀을 도시하는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4는 역방향용 슬라이더를 박스 핀 측단부에 미끄럼 이동시킬 때의 상태를 설명하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역방향용 슬라이더를 박스 핀 측단부에 미끄럼 이동시킬 때의 정지 갈고리 선단부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6은 정방향용 슬라이더의 견구(shoulder mouth)로부터 인서트 핀을 삽입할 때의 상태를 설명하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7은 인서트 핀을 역방향용 슬라이더의 우측 엘리먼트 안내로에 삽입할 때의 상태를 설명하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VIII-VIII선의 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한 IX-IX선의 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정방향용 슬라이더를 미끄럼 이동시켜 좌우의 엘리먼트 열이 맞물린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관한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의 변형예로 되는 박스 핀을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슬라이드 파스너에 사용되는 좌측 삽입 타입의 역방향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를 도시하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각 실시예에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또한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하기만 하면,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좌우의 파스너 테이프의 각 엘리먼트 장착부에 코일 형상의 엘리먼트가 재봉되어 엘리먼트 열을 형성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파스너 테이프의 각 엘리먼트 장착부에, 합성 수지의 사출 성형에 의해 복수의 단독 엘리먼트가 장착되어 엘리먼트 열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좌측 삽입 타입의 역방향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를 갖는 슬라이드 파스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동 역방향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의 박스 핀을 도시하는 주요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동 역방향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의 인서트 핀을 도시하는 주요부 사시도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파스너 스트링거의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엘리먼트 열에서 상지(top stop)가 형성되어 있는 측을 전방, 그 반대 방향을 후방]으로 규정하고, 테이프 폭 방향을 좌우 방향(도면을 정면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좌측을 좌측, 우측을 우측)으로 규정하고, 테이프 표리면 방향을 상하 방향(파스너 테이프로부터 보아 슬라이더의 손잡이가 배치되는 측을 상방, 그 반대 방향을 하방)으로 규정하여 설명을 행한다.
본 실시 형태의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1)는, 좌우 한 쌍의 파스너 스트링거(2)의 엘리먼트 열(5)의 일단부에 성형 일체화된 인서트 핀(10) 및 박스 핀(20)과, 이들 인서트 핀(10) 및 박스 핀(20)을 내부에 삽입 가능한 역방향용 슬라이더(30)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좌우 한 쌍의 상기 파스너 스트링거(2)는, 테이프 주체부 및 테이프 측부 모서리부를 갖는 좌우의 파스너 테이프(3)와, 동 파스너 테이프(3)의 대향하는 테이프 측부 모서리부에 재봉된 코일 형상의 엘리먼트(4)로 이루어지는 엘리먼트 열(5)과, 동 파스너 테이프(3)의 일단부에 형성된 보강부(6)와, 좌측 파스너 스트링거(2)의 엘리먼트 열(5) 하단부에 연속되어 장착된 박스 핀(20)과, 우측 파스너 스트링거(2)의 엘리먼트 열(5) 하단부에 연속되어 장착된 인서트 핀(10)과, 각 엘리먼트 열(5)의 상단부에 장착된 상지(7)를 갖고 있다. 또한, 인서트 핀(10), 박스 핀(20) 및 상지(7)는, 폴리아세탈, 폴리아미드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여 사출 성형 수단에 의해, 각각 파스너 테이프(3)의 테이프 측부 모서리부에 성형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동 파스너 스트링거(2)에는, 엘리먼트 열(5)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고, 좌우의 엘리먼트 열(5)을 맞물림ㆍ분리시키는 역방향용 슬라이더(30)와 정방향용 슬라이더(40)가 삽입 관통되어 있다. 이들 역방향용 슬라이더(30) 및 정방향용 슬라이더(40)에는, 제조 비용 삭감을 위해, 정지 갈고리(36, 46)를 구비한 종래부터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슬라이더가 사용되고 있다.
즉, 역방향용 슬라이더(30) 및 정방향용 슬라이더(40)는, 각각 상하 날개판(31, 32, 41, 42)과, 동 상하 날개판(31, 32, 41, 42)을 슬라이더 전단부에서 연결하는 연결 기둥(33, 43)과, 상부 날개판(upper blade)(31, 41) 및 하부 날개판(lower blade)(32, 42)의 좌우 측부 모서리에 형성된 좌우의 플랜지(34, 35, 44, 45)와, 상부 날개판(31, 41)에 구비되고, 그 선단부가 엘리먼트 열(5)에 결합됨으로써 슬라이더(30, 40)를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한 정지 갈고리(36, 46)와, 상부 날개판(31, 41)의 표면에 기립 설치된 손잡이 장착 기둥(37, 47)과, 손잡이 장착 기둥(37, 47)에 장착되는 손잡이(38, 48)를 갖고 있다.
또한, 동 슬라이더(30, 40)의 연결 기둥(33, 43)이 배치되어 있는 측의 단부에는 견구가 연결 기둥(33, 43)의 좌우에 형성되는 동시에, 그 반대측의 단부에는 후방구(rear mouth)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동 슬라이더(30, 40) 내에는, 좌우의 견구와 후방구를 연통한 정면에서 볼 때 대략 Y자 형상인 엘리먼트 안내로(39, 4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엘리먼트 안내로(39, 49)에서는, 슬라이더(30, 40)의 폭 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의 좌측을, 좌측의 엘리먼트 안내로(39, 49)로 하고, 우측을, 우측의 엘리먼트 안내로(39, 49)로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역방향용 슬라이더(30)와 정방향용 슬라이더(40)에는, 동일한 타입의 슬라이더가 사용되고 있고, 이들 정방향용 슬라이더(40)와 역방향용 슬라이더(30)는, 서로의 후방구를 맞대도록 반대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엘리먼트 열(5)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정방향용 슬라이더(40)에서는, 그 정지 갈고리(46)를 엘리먼트 열(5)에 결합하기 쉽게 하기 위해, 동 정지 갈고리(46)는 인서트 핀(10)이 삽입되는 우측의 엘리먼트 안내로(49)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역방향용 슬라이더(30)에서는, 박스 핀(20)이 삽입되는 좌측의 엘리먼트 안내로(39) 부근에 정지 갈고리(36)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 예를 들어 정방향용 슬라이더(40)를, 인서트 핀(10) 및 박스 핀(20)이 배치되어 있는 측의 엘리먼트 열 단부로부터, 상지(7)가 배치되어 있는 측의 다른 쪽의 엘리먼트 열 단부를 향해 미끄럼 이동시킴으로써, 분리 상태에 있는 좌우의 엘리먼트 열(5)을 맞물리게 할 수 있다. 또한, 좌우의 엘리먼트 열(5)의 일부가 맞물림 상태에 있을 때에, 역방향용 슬라이더(30)를, 인서트 핀(10) 및 박스 핀(20)이 배치되어 있는 측의 단부로부터 상지(7)가 배치되어 있는 측의 단부를 향해 미끄럼 이동시킴으로써, 그 엘리먼트 열(5)을 좌우로 분리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1)에 있어서, 상기 박스 핀(2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파스너 테이프(3)의 테이프 측부 모서리부에 고착된 각기둥 형상의 박스 핀 본체(21)와, 박스 핀 본체(21)의 엘리먼트 열(5)측과는 반대의 단부(선단부)에 파스너 테이프(3)의 테이프 주체부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 갈고리 정지부(22)와, 박스 핀 본체(21)의 상면(제1 표면)에 인서트 핀 대향면(26)측으로부터 박스 핀 본체(21)의 내부를 향해 절결된 제1 절결부(23)와, 박스 핀 본체(21)의 인서트 핀 대향면(26)으로부터 인서트 핀(10)측을 향해 테이프 폭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편(24)과, 인서트 핀 대향면(26)의 돌출편(24)보다도 엘리먼트 열(5)측의 위치에서, 인서트 핀 대향면(26)으로부터 인서트 핀(10)측을 향해 돌출된 삽입편(25)을 갖고 있다.
이 박스 핀(20)에 있어서, 상기 갈고리 정지부(22)는 역방향용 슬라이더(30)를 박스 핀 측단부를 향해 미끄럼 이동시켰을 때에, 동 역방향용 슬라이더(30)의 플랜지(34, 35)가 갈고리 정지부(22)에 접촉함으로써, 동 슬라이더(30)의 미끄럼 이동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동 슬라이더(30)가 엘리먼트 열(5)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동 박스 핀(20)의 상기 제1 절결부(23)는, 역방향용 슬라이더(30)를 박스 핀 측단부에 미끄럼 이동시켰을 때에, 동 슬라이더(30)의 정지 갈고리(36)의 선단부를 수용하는 것이 가능한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절결부(23)는, 저면(23a)과, 엘리먼트 열(5)측에 배치된 제1 측벽면(23b)과, 파스너 테이프(3)측에 배치된 제2 측벽면(23c)을 갖고 있다. 상기 저면(23a)은, 박스 핀 본체(21)의 제1 표면으로부터 제1 측벽면(23b) 및 제2 측벽면(23c)을 통해 단차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고, 또한 동 저면(23a)은 제1 측벽면(23b)측으로부터 박스 핀(20)의 선단을 향해 테이프 폭 방향의 치수가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측벽면(23b)은 박스 핀 본체(21)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직교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제2 측벽면(23c)은 박스 핀 선단측에서 박스 핀 본체(21)의 인서트 핀 대향면(26)에 연속되도록 곡면부를 갖고 있다. 또한, 이 제1 절결부(23)의 형상이나 치수 등은, 박스 핀(20)의 형상 등에 따라서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돌출편(24)은, 박스 핀(20)을 인서트 핀 대향면(26)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인서트 핀 대향면(26)의 상면측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박스 핀(20)을 정면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박스 핀 본체(21)로부터 인서트 핀(10)측을 향해 대략 삼각 형상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고 있다.
이 돌출편(24)의 박스 핀 선단측에 배치된 단부면(24a)은, 제1 절결부(23)의 상기 제1 측벽면(23b)과 동일 높이의 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단부면(24a)과 제1 절결부(23)의 제1 측벽면(23b)에 의해, 제1 절결부(23)에 정지 갈고리(36)의 선단부를 수용하였을 때에 그 정지 갈고리 선단부를 접촉시켜 역방향용 슬라이더(30)의 미끄럼 이동을 정지시키는 정지면(27)이 구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돌출편(24)의 단부면(24a)과 제1 절결부(23)의 제1 측벽면(23b)에 의해 박스 핀(20)의 정지면(27)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종래의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에 비해 정지면의 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어, 당해 정지면(27)에 역방향용 슬라이더(30)의 정지 갈고리(36)의 선단부를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동 박스 핀(20)의 상기 삽입편(25)은, 박스 핀 본체(21)의 상하 방향(높이 방향)의 대략 중앙 위치에서, 인서트 핀 대향면(26)으로부터 인서트 핀(10)측을 향해 판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고, 동 박스 핀(20)을 정면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사다리꼴 형상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삽입편(25)의 상하 방향의 치수(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삽입편(25)의 강도나 박스 핀(20) 및 인서트 핀(10)을 조작할 때의 조작성을 고려하여, 박스 핀 본체(21)의 두께의 1/4 이상 1/2 이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돌출편(24)과 박스 핀 본체(21)의 돌출편(24)이 설치되어 있는 측의 일부에는, 정지면(27)이 배치되어 있는 위치로부터 엘리먼트 열(5)측을 향해, 박스 핀 본체(21)의 상면(제1 표면)의 높이 위치로부터 파스너 테이프(3)의 테이프면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28)이 상면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면(28)은, 엘리먼트 열(5)에 근접함에 따라 경사가 완만해져, 삽입편(25)의 상면과 연속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절결부(23)의 저면(23a)으로부터 제1 측벽면(23b)의 상단부 모서리까지의 높이와, 동 저면(23a)으로부터 돌출편(24)의 단부면(24a)의 상단부 모서리까지의 높이는, 동일한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경사면(28)이 형성되는 돌출편(24)의 하면측은, 파스너 엘리먼트(3)의 표면에 평행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상기 인서트 핀(1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파스너 테이프(3)의 테이프 측부 모서리부에 고착된 인서트 핀 본체(11)와, 인서트 핀 본체(11)의 선단부의 박스 핀 대향면(18)에 형성된 제2 절결부(12)와, 박스 핀 대향면(18)의 제2 절결부(12)보다도 엘리먼트 열(5)측에 형성된 수용 오목부(13)와, 수용 오목부(13)의 상면측 및 하면측에 배치된 상부 판부(14) 및 하부 판부(15)와, 인서트 핀 본체(11)의 엘리먼트 열(5)측의 단부에 형성된 단차부(16)와, 동 단차부(16)에 있어서의 파스너 스트링거(2)의 길이 방향의 전방 방향에 면하는 단부면으로부터 엘리먼트(4)를 향해 돌출되는 돌기부(17)를 갖고 있다.
이 인서트 핀(10)에 있어서, 상기 제2 절결부(12)는, 인서트 핀 선단부측의 일부 영역에 인서트 핀 대향면(26)측으로부터 인서트 핀 본체(11) 내부를 향해 형성되어 있고, 인서트 핀(10)을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역방향용 슬라이더(30) 내에 삽입할 때에, 동 인서트 핀(10)이 박스 핀(20)에 설치한 돌출편(24)과 충돌하여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릴리프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 제2 절결부(12)는, 인서트 핀 본체(11)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인서트 핀 본체(11)의 상면측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동 제2 절결부(12)는 저면(12a)과 측벽면(12b)을 갖고 있다. 이 경우, 상기 저면(12a)은 인서트 핀 본체(11)의 제1 표면보다 오목하게 형성되고, 제1 표면의 높이 위치로부터 저면(12a)의 높이 위치까지 측벽면(12b)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제2 절결부(12)는 박스 핀(20)의 제1 절결부(23)와 동일한 상면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인서트 핀 본체(11)에 있어서, 제2 절결부(12)의 저면(12a)보다도 하면측에 배치되어 있는 부분은, 인서트 핀(10)을 역방향용 슬라이더(30) 내에 삽입할 때에, 박스 핀(20)의 돌출편(24)의 하면측에 설치되어 있는 공간 부분을 통과하므로(도 7을 참조), 인서트 핀 본체(11)의 당해 하면측 부분이 박스 핀(20)의 돌출편(24)과 간섭하는 일은 없다. 이때, 제2 절결부(12)의 측벽면(12b)은, 돌출편(24)의 우측을 통과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인서트 핀 본체(11)의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경우는, 제2 절결부(12)를 인서트 핀 본체(11)의 상면측뿐만 아니라, 인서트 핀 본체(11)의 상하 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2 절결부(12)는 인서트 핀(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예를 들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인서트 핀(10)을 역방향용 슬라이더(30)의 우측 엘리먼트 안내로 내에 완전히 삽입한 상태에 있어서(도 10을 참조), 돌출편(24)의 단부면(24a)보다도 엘리먼트 열(5)측의 위치로부터, 인서트 핀(10)의 선단에 걸친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 오목부(13)는, 인서트 핀(10)을 역방향용 슬라이더(30)에 삽입하였을 때에 박스 핀(20)의 삽입편(25)을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수용 오목부(13)의 상면측 및 하면측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판부(14) 및 하부 판부(15)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동 수용 오목부(13)에 박스 핀(20)의 삽입편(25)이 수용되었을 때에, 삽입편(25)과 상부 판부(14) 및 하부 판부(15)가 상하 방향에서 겹쳐지므로, 상하 판부(14, 15)에 의해 삽입편(25)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좌우의 엘리먼트 열(5)이 맞물림 상태에 있을 때에 박스 핀(20) 및 인서트 핀(10)에 테이프 표리 방향(상하 방향)의 밀어 올림력이 가해져도, 박스 핀(20)과 인서트 핀(10)의 위치가 상하 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을 방지하여, 박스 핀(20)과 인서트 핀(10)의 위치 관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동 인서트 핀(10)에 있어서, 수용 오목부(13)의 상면측에 배치된 상부 판부(14)는, 수용 오목부(13)에 박스 핀(20)의 삽입편(25)을 삽입하기 쉽게 하기 위해, 상부 판부(14)의 인서트 핀 선단부측의 부분이 제거되어 있다.
동 인서트 핀(10)의 상기 단차부(16)는, 좌우의 엘리먼트 열(5)이 맞물렸을 때에, 좌측 파스너 스트링거(2)의 박스 핀(20)에 인접하는 엘리먼트(4)의 맞물림 헤드부를 도입하는 것이 가능한 크기의 단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돌기부(17)는, 박스 핀(20)에 인접하는 엘리먼트(4)와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단차부(16)의 박스 핀(20)측의 단부면으로부터 테이프 길이 방향(전후 방향)을 따라 엘리먼트 열(5)을 향해 돌출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 형태의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1)에 의해, 분리되어 있는 좌우의 엘리먼트 열(5)을 맞물리게 할 때의 조작에 대해,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좌우의 엘리먼트 열(5)을 맞물리게 하는 경우, 우선 박스 핀(20)이 장착되어 있는 측의 파스너 스트링거(2)의 엘리먼트 열(5)을 따라, 역방향용 슬라이더(30)와 정방향용 슬라이더(40)를 박스 핀(20)측의 단부까지 미끄럼 이동시킨다.
우선, 역방향용 슬라이더(30)를 박스 핀 측단부까지 미끄럼 이동시킴으로써,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박스 핀(20)이 역방향용 슬라이더(30)의 좌측 엘리먼트 안내로(39)에 상대적으로 삽입된다. 이때, 역방향용 슬라이더(30)의 정지 갈고리(36)는, 좌측의 엘리먼트 안내로(39) 부근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동 엘리먼트 안내로(39)에 박스 핀(20)이 삽입되면, 삽입편(25)의 상면으로부터 박스 핀 본체(21) 및 돌출편(24)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28)을 통과하여, 박스 핀(20)의 제1 절결부(23)로 안내된다.
이에 의해, 정지 갈고리(36)의 선단부는, 박스 핀 본체(21)의 상면보다도 낮은 높이 위치에 배치된 삽입편(25)의 상면 상을 원활하게 통과하고, 그 후, 삽입편(25)의 상면과 연속적으로 형성된 경사면(28) 상을 진행하여, 경사면(28)의 경사를 이용하여 서서히 들어 올려지면서 제1 절결부(23)로 이동한다(도 5를 참조). 이로 인해, 역방향용 슬라이더(30) 내에 박스 핀(20)을 삽입할 때에, 정지 갈고리(36)의 선단부가 박스 핀 본체(21)와 간섭하여 걸린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정지 갈고리(36)를 제1 절결부(23) 내에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역방향용 슬라이더(30)에서는, 엘리먼트 안내로(39)가 대략 Y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역방향용 슬라이더(30)를 박스 핀 측단부까지 미끄럼 이동시킬 때에, 박스 핀(20)이 Y자 형상 엘리먼트 안내로(39) 내에 삽입되므로, 역방향용 슬라이더(3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스 핀(20)을 통과하는 도중에 동 슬라이더(30)의 자세를 한차례 반시계 방향으로 약간 기울인 후에, 그 슬라이더(30)가 기울어진 자세를 시계 방향으로 복귀시키면서 박스 핀 측단부까지 이동한다.
이와 같이 역방향용 슬라이더(30)가 박스 핀 측단부까지 이동하는 동안에 슬라이더(30)의 자세가 기울어지는 경우, 역방향용 슬라이더(30)의 정지 갈고리(36)의 박스 핀(20)에 대한 위치가 상대적으로 좌측으로 이동하므로, 박스 핀 본체(21)의 경사면(28)에 의해 형성되는 벽면에 정지 갈고리(36)의 선단부가 충돌하기 쉬워, 역방향용 슬라이더(30)의 미끄럼 이동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박스 핀(20)이 갖는 경사면(28)이, 그 테이프 폭 방향의 치수를 정지면(27)을 향해 점증시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경사면(28)의 테이프 폭 방향의 치수를 정지면(27)을 향해 점증시킴으로써, 역방향용 슬라이더(30)가 박스 핀 측단부까지 이동하는 동안에 동 슬라이더(30)의 자세가 기울어도, 정지 갈고리(36)의 선단부가 박스 핀 본체(21)의 상기 벽면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여, 역방향용 슬라이더(30)의 미끄럼 이동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계속해서, 역방향용 슬라이더(30)를 박스 핀 측단부까지 미끄럼 이동시킨 후, 정방향용 슬라이더(40)를, 박스 핀 측단부를 향해, 동 정방향용 슬라이더(40)의 후방구와 역방향용 슬라이더(30)의 후방구가 충돌하는 위치까지 미끄럼 이동시킨다.
다음에, 정방향용 슬라이더(40)를 소정의 위치까지 미끄럼 이동시킨 후,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의 파스너 스트링거(2)에 장착되어 있는 인서트 핀(10)을, 정방향용 슬라이더(40)의 우측의 견구로부터, 역방향용 슬라이더(30)의 우측 엘리먼트 안내로(39)를 향해 삽입한다. 이에 의해, 인서트 핀(10)의 선단부는, 정지 갈고리(46)와 간섭하는 일 없이, 박스 핀(20)의 삽입편(25)과 정방향용 슬라이더(40) 내의 우측 플랜지(45)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여, 역방향용 슬라이더(30)의 우측 엘리먼트 안내로(39) 내에 도입된다(도 6을 참조).
또한, 우측 엘리먼트 안내로(39) 내에 도입된 인서트 핀(10)의 선단부는, 박스 핀(20)과 역방향용 슬라이더(30) 내의 우측 플랜지(35) 사이를 통과한다. 이때, 박스 핀(20)의 인서트 핀 대향면(26)에는 테이프 폭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편(24)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박스 핀(20)과 역방향용 슬라이더(30) 내의 우측 플랜지(35)의 간격은 종래보다도 좁게 되어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돌출편(24)은 인서트 핀 대향면(26)의 상면측에만 배치되고, 하면측에는 배치되어 있지 않고, 또한 인서트 핀(10)의 선단부측 상면의 일부 영역에는 제2 절결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인서트 핀(10)은, 제2 절결부(12)에 의해 돌출편(24)과의 충돌을 피할 수 있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편(24)과 간섭하는 일 없이, 또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지 갈고리(36)의 선단부와도 간섭하는 일 없이, 역방향용 슬라이더(30)의 우측 엘리먼트 안내로(39) 내에 원활하게 삽입된다.
계속해서, 인서트 핀(10)은, 박스 핀(20)의 삽입편(25)이 인서트 핀(10)의 수용 오목부(13)에 수용되는 위치까지, 역방향용 슬라이더(30)의 우측 엘리먼트 안내로(39) 내에 삽입된다. 이에 의해, 인서트 핀(10)의 삽입 조작이 완료된다.
그리고 인서트 핀(10)을 우측 엘리먼트 안내로(39) 내에 충분히 삽입한 후, 정방향용 슬라이더(40)를 엘리먼트 열(5)을 따라 상지(7)측을 향해 미끄럼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서트 핀(10)의 돌기부(17)를 좌측 파스너 스트링거(2)의 박스 핀(20)에 인접하는 엘리먼트(4)에 결합시키는 동시에, 좌우의 엘리먼트 열(5)을 맞물리게 하여 슬라이드 파스너(1)를 폐쇄할 수 있다.
이때, 역방향용 슬라이더(30)의 정지 갈고리(36)는, 박스 핀(20)의 제1 절결부(23) 내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역방향용 슬라이더(30)에는, 제1 절결부(23)의 제1 측벽면(23b)과, 돌출편(24)에 있어서의 박스 핀 선단측의 단부면(24a)에 의해, 종래의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1)보다도 테이프 폭 방향으로 넓은 정지면(27)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당해 정지면(27)에 정지 갈고리(36)의 선단부가 접촉함으로써, 역방향용 슬라이더(30)가 인위적인 미끄럼 이동 조작에 따르지 않고 박스 핀 측단부로부터 자유롭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역방향용 슬라이더(30)가 요동하여 정지 갈고리(36)의 선단부의 위치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였다고 해도, 정지면(27)은 테이프 폭 방향으로 넓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정지 갈고리(36)의 선단부가 정지면(27)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역방향용 슬라이더(30)가 요동하였을 때에, 종래의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에 있어서의 문제, 즉, 정지 갈고리(36)의 선단부의 위치가 박스 핀(20)과 인서트 핀(10) 사이의 간극에 상대적으로 이동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좌우의 엘리먼트 열(5)이 저절로 분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의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1)에서는, 박스 핀(20)에 있어서, 박스 핀 본체(21)와 돌출편(24)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28)이 삽입편(25)의 상면에 연속되어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변형예를 도시한 바와 같이, 박스 핀(20')의 박스 핀 본체(21') 및 돌출편(24')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28')과 삽입편(25')의 상면이 연속되어 있지 않고,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경사면(28')과 삽입편(25')의 상면이 연속되어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예를 들어 경사면(28')의 엘리먼트 열 측단부의 높이 위치가 삽입편(25')의 상면과 대략 동일한 높이 위치에 설정되어 있으면, 상술한 실시 형태의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1)와 마찬가지로, 역방향용 슬라이더(30)를 엘리먼트 열의 박스 핀 측단부에 미끄럼 이동시킬 때에, 정지 갈고리(36)의 선단부가 박스 핀 본체(21')에 걸린다고 하는 문제를 발생시키는 일 없이, 동 정지 갈고리(36)를 제1 절결부(23') 내에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1)에서는, 박스 핀 본체(21)의 하면으로부터 제1 절결부(23)의 저면(23a)까지의 높이와, 박스 핀 본체(21)의 하면으로부터 경사면(28)의 엘리먼트 열(5)측의 단부 모서리부까지의 높이가 동일한 것, 또는 박스 핀 본체(21)의 하면으로부터 제1 절결부(23)의 저면(23a)까지의 높이보다도, 박스 핀 본체(21)의 하면으로부터 경사면(28)의 엘리먼트 열(5)측의 단부 모서리부까지의 높이가 낮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역방향용 슬라이더(30)의 정지 갈고리(36)의 선단은, 박스 핀(20)과의 관계에 있어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절결부(23)의 저면(23a)보다도 상방에 위치한다. 이로 인해, 상술한 바와 같이, 경사면(28)의 엘리먼트 열(5)측의 단부 모서리부에 있어서의 높이 위치가, 제1 절결부(23)의 저면(23a)과 동일한 높이 위치 또는 동 저면(23a)보다도 낮은 높이 위치로 설정됨으로써, 박스 핀(20)이 역방향용 슬라이더(30)의 엘리먼트 안내로(39) 내에 삽입될 때에, 정지 갈고리(36)의 선단을 경사면(28)에 올라타기 쉽게 할 수 있다.
1 :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
2 : 파스너 스트링거
3 : 파스너 테이프
4 : 엘리먼트
5 : 엘리먼트 열
6 : 보강부
7 : 상지
10 : 인서트 핀
11 : 인서트 핀 본체
12 : 제2 절결부
12a : 저면
12b : 측벽면
13 : 수용 오목부
14 : 상부 판부
15 : 하부 판부
16 : 단차부
17 : 돌기부
18 : 박스 핀 대향면
20, 20' : 박스 핀
21, 21' : 박스 핀 본체
22 : 갈고리 정지부
23, 23' : 제1 절결부
23a : 저면
23b : 제1 측벽면
23c : 제2 측벽면
24, 24' : 돌출편
24a : 단부면
25, 25' : 삽입편
26 : 인서트 핀 대향면
27 : 정지면
28, 28' : 경사면
30 : 역방향용 슬라이더
31 : 상부 날개판
32 : 하부 날개판
33 : 연결 기둥
34, 35 : 플랜지
36 : 정지 갈고리
37 : 손잡이 장착 기둥
38 : 손잡이
39 : 엘리먼트 안내로
40 : 정방향용 슬라이더
41 : 상부 날개판
42 : 하부 날개판
43 : 연결 기둥
44, 45 : 플랜지
46 : 정지 갈고리
47 : 손잡이 장착 기둥
48 : 손잡이
49 : 엘리먼트 안내로

Claims (3)

  1. 좌우의 파스너 테이프(3)의 대향하는 테이프 측부 모서리부에 엘리먼트 열(5)이 형성된 좌우 한 쌍의 파스너 스트링거(2) 중 한쪽 파스너 스트링거(2)의 상기 엘리먼트 열(5)의 일단부에 성형 일체화된 인서트 핀(10)과, 다른 쪽 상기 파스너 스트링거(2)의 상기 엘리먼트 열(5)의 일단부에 성형 일체화된 박스 핀(20, 20')과, 상기 엘리먼트 열(5)에 삽입 관통된 역방향용 슬라이더(30)를 갖고, 상기 역방향용 슬라이더(30)는, 상기 엘리먼트 열(5)에 대해 동 역방향용 슬라이더(30)를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한 정지 갈고리(36)를, 상기 박스 핀(20, 20')이 삽입되는 엘리먼트 안내로(39)측에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1)이며,
    상기 박스 핀(20, 20')은, 박스 핀 본체(21, 21')와, 동 박스 핀 본체(21, 21')의 제1 표면에 인서트 핀 대향면(26)측으로부터 박스 핀 본체(21, 21') 내부를 향해 절결되고, 상기 정지 갈고리(36)의 선단부를 수용하는 제1 절결부(23, 23')와, 상기 박스 핀 본체(21, 21')의 인서트 핀 대향면(26)으로부터 상기 인서트 핀(10)측을 향해 테이프 폭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편(24, 24')을 갖고,
    상기 제1 절결부(23, 23')의 상기 엘리먼트 열(5)측에 배치된 측벽면(23b)과, 상기 돌출편(24, 24')의 박스 핀 선단측에 배치된 단부면(24a)이 동일 높이의 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절결부(23, 23')에 수용된 상기 정지 갈고리(36)의 선단부를 접촉시켜 상기 역방향용 슬라이더(30)를 정지시키는 정지면(27)을 구성하고,
    상기 박스 핀 본체(21, 21') 및 상기 돌출편(24, 24')은, 상기 박스 핀(20, 20')을 상기 역방향용 슬라이더(30)에 삽입할 때에 상기 정지 갈고리(36)를 상기 제1 절결부(23, 23')를 향해 안내하도록, 상기 정지면(27)의 위치로부터 상기 엘리먼트 열(5)측을 향해, 상기 파스너 테이프(3)의 테이프면측에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28, 28')을 갖고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24, 24')은, 상기 인서트 핀 대향면(26)의 상기 제1 표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인서트 핀(10)의 박스 핀 대향면(18)에는, 동 인서트 핀(10)의 내부를 향해 제2 절결부(12)가 절결되어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핀(20)은, 상기 인서트 핀 대향면(26)의 상기 돌출편(24)보다도 상기 엘리먼트 열(5)측에, 동 인서트 핀 대향면(26)으로부터 상기 인서트 핀(10)측을 향해 돌출된 삽입편(25)을 갖고,
    상기 인서트 핀(10)은, 상기 박스 핀 대향면(18)에, 동 인서트 핀(10)을 상기 역방향용 슬라이더(30)에 삽입하였을 때에 상기 삽입편(25)을 수용하는 수용 오목부(13)를 갖고,
    상기 삽입편(25)의 제1 표면과 상기 경사면(28)이 연속되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
KR1020117010739A 2008-12-12 2008-12-12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 KR1012066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8/072694 WO2010067459A1 (ja) 2008-12-12 2008-12-12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開離嵌挿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0901A KR20110070901A (ko) 2011-06-24
KR101206615B1 true KR101206615B1 (ko) 2012-11-30

Family

ID=42242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0739A KR101206615B1 (ko) 2008-12-12 2008-12-12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402614B2 (ko)
EP (1) EP2359709B1 (ko)
JP (1) JP5220127B2 (ko)
KR (1) KR101206615B1 (ko)
CN (1) CN102245046B (ko)
ES (1) ES2450366T3 (ko)
HK (1) HK1162883A1 (ko)
TW (1) TW201021739A (ko)
WO (1) WO20100674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929B1 (ko) * 2008-12-26 2013-04-23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
US20120167354A1 (en) * 2009-09-11 2012-07-05 Ykk Corporation Reverse Opening Slide Fastener
WO2011077544A1 (ja) * 2009-12-25 2011-06-30 Ykk株式会社 逆開きスライドファスナー
KR100995740B1 (ko) * 2010-04-30 2010-11-19 정태영 지퍼용 핀박스 기능을 포함하는 분리형 슬라이더 조립구조
EP2692262B1 (en) * 2011-03-30 2016-10-19 YKK Corporation Slide fastener with openable/meshable strips
CN104736011B (zh) * 2013-12-27 2017-05-31 Ykk株式会社 增强膜粘着装置及具有可分离式嵌插件的拉链
TWI631916B (zh) 2017-05-24 2018-08-11 中傳企業股份有限公司 拉鍊頭組合結構及其梢狀組件
US10765179B2 (en) * 2017-06-22 2020-09-08 Ykk Corporation Slide fastener
CN108433257A (zh) * 2018-05-15 2018-08-24 江苏驰马拉链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双面使用的双头拉链装置
CN112293874A (zh) * 2019-07-29 2021-02-02 台湾华可贵股份有限公司 拉链
CN116348010A (zh) * 2020-10-28 2023-06-27 Ykk株式会社 双开尾拉链用分离嵌插件
CN112690549B (zh) * 2020-12-22 2023-01-31 上海宝塑阿罗伊高分子材料有限公司 一种四边开合的箱包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6917A (ja) 1998-09-30 2000-04-18 Ykk Corp スライドファスナーの逆開き兼用開離嵌挿具
JP2002136309A (ja) 2000-10-31 2002-05-14 Ykk Corp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開離嵌挿具
JP2005245859A (ja) 2004-03-05 2005-09-15 Ykk Corp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逆開き具
JP2008099975A (ja) 2006-10-20 2008-05-01 Ykk Corp スライドファスナーの逆開き開離嵌挿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22885B2 (ja) * 1997-12-18 2005-02-23 Ykk株式会社 停止装置付スライダー用の開離嵌挿具
JP4307413B2 (ja) * 2005-06-20 2009-08-05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開離嵌挿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6917A (ja) 1998-09-30 2000-04-18 Ykk Corp スライドファスナーの逆開き兼用開離嵌挿具
JP2002136309A (ja) 2000-10-31 2002-05-14 Ykk Corp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開離嵌挿具
JP2005245859A (ja) 2004-03-05 2005-09-15 Ykk Corp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逆開き具
JP2008099975A (ja) 2006-10-20 2008-05-01 Ykk Corp スライドファスナーの逆開き開離嵌挿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59709B1 (en) 2014-02-12
EP2359709A4 (en) 2012-10-03
US20110191989A1 (en) 2011-08-11
WO2010067459A1 (ja) 2010-06-17
TWI374713B (ko) 2012-10-21
ES2450366T3 (es) 2014-03-24
JP5220127B2 (ja) 2013-06-26
CN102245046B (zh) 2014-04-02
HK1162883A1 (en) 2012-09-07
KR20110070901A (ko) 2011-06-24
US8402614B2 (en) 2013-03-26
TW201021739A (en) 2010-06-16
CN102245046A (zh) 2011-11-16
EP2359709A1 (en) 2011-08-24
JPWO2010067459A1 (ja) 201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6615B1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
CN1883329B (zh) 拉链
CA2785375C (en) Reverse opening slide fastener
KR100870595B1 (ko) 슬라이드 파스너의 역개방 개방 격리용 끼움 부재
US7882602B2 (en) Slide fastener with separable bottom end stop
KR100592487B1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역전분리 장치
KR101286820B1 (ko)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가 구비된 슬라이드 파스너
US20130232736A1 (en) Slide Fastener
KR20130124580A (ko)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가 구비된 슬라이드 파스너
TWI526171B (zh) A zipper with a separable insert and a mold for injection molding
TWI583322B (zh) Zipper with slider
WO2012086077A1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
JP7394237B2 (ja) 逆開き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開離嵌挿具
CN107404980B (zh) 拉头及拉链
TWI655916B (zh) zipper
CN220140965U (zh) 拉链
CN114641219B (zh) 拉链
CN110710764A (zh) 拉链
WO2021090494A1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
TWI514974B (zh) zipper
CN114052336A (zh) 用于带、条或其它固定构件的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