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3470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3470B1
KR101723470B1 KR1020140169495A KR20140169495A KR101723470B1 KR 101723470 B1 KR101723470 B1 KR 101723470B1 KR 1020140169495 A KR1020140169495 A KR 1020140169495A KR 20140169495 A KR20140169495 A KR 20140169495A KR 101723470 B1 KR101723470 B1 KR 101723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water
metal plate
absorption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9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0272A (ko
Inventor
히로토시 와타나베
미키오 야마다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20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0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4Preventing the formation of frost or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3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2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characterised by droplet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내(內)의 식품의 선도를 유지하면서, 습도를 양호하게 제어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분 흡수 방출 장치(112)와, 수분 흡수 방출 장치(112)에 의해 습도가 조절되는 후방측 공간(101A)을 구비하고, 수분 흡수 방출 장치(112)는, 후방측 공간(101A) 내의 수증기를 자신의 표면에 결로시켜 결로수로 하는 금속판(113)과, 후방측 공간(101A)을 냉각시키는 냉기에 접촉함으로써, 유지하는 수분을 상기 냉기에 대해서 방출시키는 방출부(116a)와, 금속판(113)에서 발생한 결로수를 방출부(116a)에 공급 가능하게 금속판(113)과 방출부(116a)를 접속하는 흡수부(116b)를 구비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 안의 야채에서 발생되는 에틸렌 가스는, 고내(內)의 다른 야채의 숙성을 촉진시키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고내의 에틸렌 가스를 분해하여, 식물의 숙성을 억제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로 변환하는 시도가 행해지고 있다. 또한, 고내의 밀폐도를 높여, 변환된 이산화탄소로 고내를 가득차게 함으로써, 고내의 다른 야채의 숙성을 늦추는 시도도 행해지고 있다.
이들 시도에 관한 기술로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저장 용기와 저장 용기 덮개의 맞춤부 전역에, 대기의 유입과 유출을 저지하는 탄성과 항균성을 갖는 배리어 부재를 구비해서 저장 용기 내의 온도를 5℃에서 빙결점 근방 온도로 관리함과 함께, 고흡습성과 고방습성을 겸비한 항균성을 갖는 흡방습 부재에 의해 저장 식품으로부터 증산(蒸散)되는 수분과 저장 용기의 덮개 개폐시에 유입되는 습기를 포함한 온기로 저장실 내의 습도를 95%RH(상대 습도) 이상으로 관리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는, 아울러 저장 식품의 호흡 작용을 이용한 산소 투과막의 산소 분압 작용에 의해 분위기 가스 조성을 저산소 농도화하고, 촉매 부재에 의해 저장 식품으로부터 발산되는 에틸렌 가스를 분해하는 구성으로 하고, 또한 저장 용기의 상면측의 냉각 온도를 하면측보다 낮게 설정함으로써, 저장 용기 내에 적당한 대류를 발생시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평8-136113호 공보
고내의 밀폐도가 높아지면, 에틸렌 가스를 분해해서 발생시킨 이산화탄소는 고내에 머물기 쉬워진다. 그러나, 고내의 밀폐도가 높아짐으로써, 식물에서 발생한 수분(수증기)도 고내에 머물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고내의 측벽 등에 결로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그리고, 고내의 측벽 등에 결로가 발생하면, 사용자가 고내의 청소를 빈번하게 행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결로에 의해 발생한 액체인 물(결로수)은 야채 등의 식품에 부착되면, 그 식품이 열화되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다.
고내의 결로를 방지하기 위해서, 고내의 수분(수증기)을 흡습하고, 흡습 부재를 고내에 설치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흡습 부재에 의해 회수된 물은, 그대로 계속해서 고이게 된다. 그 때문에, 고인 물을 사용자 등이 정기적으로 배출해야 하는 경우가 있어 수고스럽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고내의 식품의 선도(鮮度)를 유지하면서, 습도를 양호하게 제어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이하의 지견을 발견했다. 즉, 본 발명은, 수분 흡수 방출 장치와, 상기 수분 흡수 방출 장치에 의해 습도가 조절되는 저장실을 구비하고, 상기 수분 흡수 방출 장치는, 상기 저장실 내의 수분을 자신의 표면에 결로시켜 결로수로 하는 고열전도 부재와, 상기 저장실을 냉각시키는 냉기에 접촉함으로써, 유지하는 수분을 상기 냉기에 대해서 방출하는 수분 흡수 방출 부재와, 상기 고열전도 부재에서 발생한 결로수를 상기 수분 흡수 방출 부재에 공급 가능하게 상기 고열전도 부재와 상기 수분 흡수 방출 부재를 접속하는 결로수 유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내의 식품의 선도를 유지하면서, 습도를 양호하게 제어 가능한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의 정면도.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에 있어서의 야채실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3의 B부 확대도.
도 5는 도 3의 C부 확대도.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에 구비되는 하단 용기의 정면측에서의 상면 사시도.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에 구비되는 하단 용기의 배면측에서의 상면 사시도.
도 8은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에 구비되는 증산 카세트의 정면측에서의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수분 흡수 방출 장치의 배면측에서의 사시도.
도 10은 도 8에 나타내는 수분 흡수 방출 장치를 개방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수분 흡수 방출 부재의 확대도.
도 12는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에 있어서의 후방측 공간 내에서의, 수분 흡수 방출 장치 근방에서의 바람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에 있어서의 하단 용기 내에 구비되는 칸막이의 사시도.
도 14는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에서 칸막이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도 14의 D-D선 단면도.
도 16은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의 후방측 공간 내의 에틸렌 가스를 분해하는 광촉매를 포함하는 부분을 분해해서 나타내는 사시도.
도 17은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의 후방측 공간 내의 에틸렌 가스를 분해하는 광촉매를 포함하는 부분의 근방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8은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에서 하단 용기가 수용되는 야채실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9는 하단 용기가 야채실에 수용되었을 때의 LED 기판과 유리판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의 야채실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의 측부에 우레탄폼을 주입할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에 부착되는 수분 흡수 방출 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측에서의 사시도.
도 23은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에 부착되는 수분 흡수 방출 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배면도.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10)의 정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냉장고(10)는, 냉장고 본체(1)의 정면에, 냉장실 왼쪽문(2)과, 냉장실 오른쪽문(3)과, 제빙실문(4a)과, 급속 냉동실문(4b)과, 냉동실문(5)과, 야채실문(6)을 구비하고 있다. 냉장실 왼쪽문(2)은, 상부 힌지(7a) 및 하부 힌지(8a)에 의해, 지면(紙面) 앞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냉장실 오른쪽문(3)은, 상부 힌지(7b) 및 하부 힌지(8b)에 의해, 지면 앞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냉장실 왼쪽문(2) 및 냉장실 오른쪽문(3)은 좌우 여닫이가 가능하게 구비되며, 이것들과 냉장고 본체(1)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냉장실(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빙실문(4a), 급속 냉동실문(4b) 및 냉동실문(5)은, 지면 앞 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것들과 냉장고 본체(1)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제빙실, 급속 냉동실 및 냉동실(모두 도시 생략)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야채실문(6)도 마찬가지로, 지면 앞 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것과 냉장고 본체(1)에 의해 구성되는 공간에, 야채실(100)(도 2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10)에 있어서의 야채실(100)(저장실의 일례)의 상면 사시도이다. 야채실(100)에서는, 냉장고 본체(1)(도 1 참조)의 내부 상자(124)가 야채실(100)의 벽면(좌벽, 우벽 및 바닥벽)을 구성하고, 야채실(100)과 냉동실 사이에 위치하는 단열 칸막이벽이, 야채실(100)의 상부벽을 구성하고 있다. 이 야채실(100)에서는, 하단 용기(101) 및 상단 용기(102)가, 전후 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야채실(100)의 배면측에는, 압축기(도시 생략) 등을 고외에 배치하기 위한 기계실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바닥벽이 정면측보다 배면측에서 높게 되어 있다. 또한, 하단 용기(101)에는, 유리제의 칸막이(103)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하단 용기(101)가 2개의 구획(정면측과 배면측)으로 분할되어 있다. 그리고, 상단 용기(102)는, 하단 용기(101)의 2개의 구획 중 배면측의 구획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이, 하단 용기(101)의 내부는, 칸막이(103)에 의해, 2개의 구획, 즉 후방측 공간(101A)과 전방측 공간(101B)으로 구획되어 있다. 칸막이(103)는, 하단 용기(101)의 내벽에서 대향해서 설치된 1세트의 칸막이 걸림부(104) 사이에 끼워져 있다.
하단 용기(101)는, 상기와 같이, 야채실(100) 내에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하단 용기(101)의 측면에 설치된 롤러(도시 생략)가, 야채실(100)의 좌벽 및 우벽을 구성하는 내부 상자(124)의 내벽에 형성된 인출 레일(127) 내에서 구름으로써, 야채실(100) 내에 수용되며, 또한 야채실(100)로부터 인출된다. 또, 야채실(100) 내로부터 인출된 상태의 상단 용기(102)가 야채실(100)측으로 밀리면, 내부 상자(124)의 내벽에 형성된 인출 레일(134)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야채실문(6)을 닫은 상태에서는, 상단 용기(102)가 하단 용기(101)의 상단 가장자리에 의해 지지된다. 또, 상단 용기(102)의 정면측에 설치된 핸들(106)을 조작함으로써, 상단 용기(101)의 밀어넣음, 또한 인출이 용이해진다.
하단 용기(101)의 내부의 측벽에는, 후방측 공간(101A) 내의 에틸렌 가스를 분해해서 이산화탄소로 하기 위한 광촉매를 덮는, 광을 투과하지 않거나 또는 투과율을 저감하는 수지제의 차폐 부재(120)가 구비되어 있다. 이 광촉매는, 도 16~도 19 등을 참조하면서 나중에 기재한다. 또한, 하단 용기(101)의 내부의 배면측 측벽에는, 후방측 공간(101A) 내의 수분(수증기)을 소정량 이하로 저감하기 위한 수분 흡수 방출 장치(112) 및 그 앞면을 덮는 커버(110)가 구비되어 있다. 증산 카세트(112)의 상세도, 도 8~도 12 등을 참조하면서 나중에 기재한다.
도 4는, 도 3의 B부 확대도이다. 상기와 같이, 상단 용기(102)는, 후방측 공간(101A)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때, 상단 용기(102)의 정면측에서는, 상단 용기(102)의 정면측 바닥면에 설치된 칸막이 걸어 맞춤부(102a)가, 칸막이(103)의 상단면(上端面; 103a)에 접촉하거나 또는 근접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또, 칸막이 걸어 맞춤부(102a)와 칸막이(103)의 상단면(103a) 사이에는, 극간이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단 용기(102)의 정면측 하면에 패킹 등의 시일 부재는 설치하고 있지 않지만, 시일 부재가 부분적으로 설치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도 5는, 도 3의 C부 확대도이다. 상단 용기(102)의 배면측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단 용기(102)의 후방 하면에 부착된 시일 부재(107)와, 하단 용기(101)의 후방 상부가 접촉하고 있다. 그 때문에, 상단 용기(102)의 배면측에서는, 정면측에 비해서, 공기의 통류(通流)가 행해지기 어렵게 되어 있다.
상단 용기(102)의 배면측 하면에 부착된 시일 부재(107)는, 상단 용기(102)의 좌우 방향(도 2 참조)의 전역에 걸쳐 부착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상단 용기(102)의 좌단부 및 우단부에 약간 극간을 가지고 부착되어 있다(도 20도 아울러 참조).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단 용기(102)의 배면측의 하면에 시일 부재(107)가 구비됨으로써, 후방측 공간(101A) 내의 밀폐도가 높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정면측에는 시일 부재는 설치되어 있지 않고, 또한 배면측의 좌우 쌍방에서 시일 부재(107)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있기 때문에, 후방측 공간(101A)은, 완전한 밀폐 상태가 아니라, 거의 밀폐 상태로 되어 있다.
또, 상단 용기(102)와 하단 용기(101)의 극간으로부터 공기가 유통되기 어려운 구성이면, 반드시 시일 부재(107)는 설치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상단 용기(102)의 하부에 하방으로 연장되는 리브를 설치하고, 이 리브에 의해, 상단 용기(102)와 하단 용기(101) 상단의 극간이 작아지도록 해도 된다. 또한, 하단 용기(101)의 상부에 상방으로 연장되는 리브를 설치하고, 이 리브에 의해, 상단 용기(102)의 하단과 하단 용기(101)의 극간이 작아지도록 해도 된다.
또한, 야채실(100)의 벽면 또는 야채실(100)과 냉동실 사이에 위치하는 단열 칸막이벽에는, 냉기의 분출구(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분출구에는, 야채실(100)을 냉각시키는 냉기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는 냉기 공급 조정 수단(개폐 댐퍼)(141)(도 2 참조)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야채실(100)에 분출된 냉기가, 약간 후방측 공간(101A)으로 들어가고, 또한 정면측으로부터 빠져나가도록 되어 있다. 또한, 후방측 공간(101A) 내의 습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의도하지 않은 부위에서의 결로가 방지된다. 또, 이 점은, 도 20을 참조하면서 더욱 상세하게 기술한다. 또, 냉기 공급 조정 수단(141)은, 반드시 분출구에 설치되지 않아도 된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10)에 구비되는 하단 용기(101)의 정면측에서의 상면 사시도이다. 하단 용기(101)의 좌측 내벽에는, 상기 차폐 부재(120)와, 칸막이 걸림부(10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단 용기(101)의 우측 내벽에도, 상기 좌측 내벽에 설치된 칸막이 걸림부(104)와 함께 칸막이(103)를 사이에 끼우는, 칸막이 걸림부(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배면측 내벽에는, 도 6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수분 흡수 방출 장치(112)를 덮도록,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는 통기부(110a, 110b)(도 12 참조)를 갖는 커버(110)가 설치되어 있다.
또, 커버(110)에 형성되어 있는 통기부(110a, 110b)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슬릿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슬릿으로 구성해도 된다. 또한, 통기부의 구성으로서는, 슬릿에 한정되지 않고 공기가 통할 수 있는 극간 형상이나 구멍 형상 등, 공지의 구성을 채용 할 수 있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10)에 구비되는 하단 용기(101)의 배면측에서의 상면 사시도이다. 하단 용기(101)의 배면측의 외부에는, 상하 방향에 대해서 경사져 있으며, 수분 흡수 방출 장치(112)가 부착되어 있다. 하단 용기(101)의 배면측의 측벽에는, 도 7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개구가 형성되며, 이 개구에 끼워지도록, 수분 흡수 방출 장치(112)가 부착되어 있다. 수분 흡수 방출 장치(112)는, 후방측 공간(101A) 내의 수증기를 결로시켜 액체인 물(결로수)로 함과 함께, 당해 액체인 물을 증산시켜서 수증기로 하여, 후방측 공간(101A)의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다. 수분 흡수 방출 장치(112)의 구성에 대해서, 도 8~도 12 등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10)에 구비되는 수분 흡수 방출 장치(112)의 정면측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분 흡수 방출 장치(112)는, 하단 용기(101)에 부착했을 때에, 정면측에 평판 형상의 금속판(113)이 배치되도록 해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수분 흡수 방출 장치(112)를 하단 용기(101)의 개구에 부착하면, 금속판(113)은, 후방측 공간(101A) 내를 향하게 된다. 금속판(113)에 의해, 후방측 공간(101A) 내의 수증기가 결로되어 액체인 물(결로수)이 얻어진다. 프레임(114)은, 수분 흡수 방출 장치(112)의 각 구성 부품을 지지 고정가능한 직사각형 형상의 부재이다. 프레임(114) 각각의 변의 부분은, 독립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수분 흡수 방출 장치(112)의 배면측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분 흡수 방출 장치(112)는, 배면측에 제 2 프레임(115)이 배치되도록 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 제 2 프레임(115)은, 개구(통기구)(115a)를 구비하고 있다. 개구(115a)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원형의 구멍을 배열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구멍의 형상이나 크기, 수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기가 통과하는 구성이면 된다. 이에 따라, 수분 흡수 방출 장치(112)의 내부의 수분 흡수 방출 부재(116)(도 10 및 도 11 등을 참조하면서 나중에 기재함)가 공기와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사용자가 개구(115a)로부터 수분 흡수 방출 장치(112) 내부에 직접 접촉되지 않게 하는 것과, 외관 의장성을 양호하게 하는 것을 고려해서, 개구(115a)의 크기나 형상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도 8에 나타내는 수분 흡수 방출 장치(112)를 개방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판(113)의 주위는, 제 1 프레임(151)에 지지되어 있다. 제 1 프레임(151)과 제 2 프레임(115)의 경계부는, 서로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도 10 중의 화살표(d) 참조). 따라서, 이 경계를 기점으로, 제 1 프레임(151)을 제 2 프레임(115)측으로 겹쳐지는 위치까지 회동시키면, 제 1 프레임(151)의 좌우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 설치한 걸어 맞춤 오목부(152)가, 걸어 맞춤 오목부(152)와 대응하는 제 2 프레임(115)의 좌우에 위치하는 걸어 맞춤 편(片)(153)에 걸어 맞춰진다. 이에 따라, 제 1 프레임(151)과 제 2 프레임(115)이 겹쳐진 상태에서, 이들이 고정된다. 또, 이 제 1 프레임(151)과 제 2 프레임(115)을 겹쳐서 고정한 상태의 어셈블리는, 상기와 같이 프레임(114)에 의해, 주위가 더욱 지지 고정된다.
수분 흡수 방출 장치(112)에는, 금속판(113)과 제 2 프레임(115) 사이에 끼워지며, 평판 형상의 수분 흡수 방출 부재(116)가 내장되어 있다. 이 수분 흡수 방출 부재(116)는, 하단 용기(101)의 배면측 외부를 통류하는 냉기와 접촉하여, 수분 흡수 방출 부재(116)가 유지하는 수분(액체)을 냉기 중으로 방출시키는 것이다. 수분 흡수 방출 부재(116)는, 금속판(113)에 대해서 극간을 가지고 대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수분 흡수 방출 부재(116)의 하방에는, 흡수편부(154)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흡수편부(154)의 상세는, 도 12 등을 참조하면서 나중에 기재한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수분 흡수 방출 부재(116)의 확대도이다. 수분 흡수 방출 부재(116)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지 섬유로 구성되어 있다. 수지 섬유의 일례로서는, PE 섬유나 PET 섬유가 넣어져 짜여 구성된다. 또한, 일례의 구성으로서, 상하 방향을 향해 PE 섬유가 넣어져 짜여 있다. 즉, PE 섬유의 섬유 방향이 상하 방향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의 물의 이동이 보다 촉진된다.
수분 흡수 방출 부재(116)는, 금속판(113)과 대향하는(금속판(113)과 나란히배치됨) 방출부(116a)와, 수분 흡수 방출 장치(112)를 조립했을 때에 금속판(113)의 하단면이 접촉하는 흡수부(116b)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중, 방출부(116a)는, 하단 용기(101)의 외부를 통류하는 냉기가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흡수부(116b)는, 금속판(113)에서 발생한 결로수를 받는 것과 함께, 받은 결로수를 방출부(116a)에 공급하는 것이다.
방출부(116a)와 흡수부(116b)는, 일체로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방출부(116a)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음과 함께, 방출부(116a)에 접속된 흡수부(116b)는, 정면-배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특히, 흡수부(116b)는, 방출부(116a)의 하단으로부터, 정면측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수분 흡수 방출 부재(116)를 사용해서 수분 흡수 방출 장치(112)를 조립할 때에, 수분 흡수 방출 부재(116)의 배치 방향이 일의적으로 결정되어, 잘못된 어셈블리가 방지된다.
또, 방출부(116a) 및 흡수부(116b)는, 일체로 구성해도 되고, 별개로 구성한 것을 서로 접촉하거나 근접시켜 배치한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방출부(116a)의 재료와 흡수부(116b)의 재료는, 동종이어도 이종(異種)이어도 된다. 또한, 방출부(116a) 및 흡수부(116b)의 연장 방향은, 반드시 상기 방향에 한정되지 않고, 방출부(116a) 및 흡수부(116b)를 동일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연장시키는 구성이어도 되며, 각각 평면이나 곡면의 조합으로 구성해도 된다.
또한, 방출부(116a)에는, 슬릿(116c)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수분 흡수 방출 장치(112)를 하단 용기(101)에 부착했을 때, 수분 흡수 방출 장치(112)의 개구(115)로부터 수분 흡수 방출 장치(112) 내에 들어간 냉기는, 수분 흡수 방출 부재(116)에 추가해서, 금속판(113)에도 접촉하게 된다. 이에 따라, 후방측 공간(101A)을 향하는 측과는 반대측으로부터도 냉기가 접촉되어, 후방측 공간(101A) 내에서의 금속판(113)에의 결로가 촉진된다. 또한, 수분 흡수 방출 부재(116)의 양면에 냉기가 접촉하게 되므로, 수분 흡수 방출 부재(116)로부터의 결로수의 방출이 촉진된다.
또한, 방출부(116a)에 형성되어 있는 슬릿(116c)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슬릿의 수가 많이 확보되어, 방출부(116a)의 양측에 보다 확실하게 냉기가 접촉된다. 또, 상하 방향의 슬릿(116c)에 한정되지 않고, 좌우 방향의 슬릿 형상이나, 슬릿 형상 이외에도 구멍 형상 등이어도 된다.
도 12를 참조하면서, 수분 흡수 방출 장치(112)에 의한, 후방측 공간(101A) 내의 수분 방출 방법을 설명한다.
도 12는,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10)에 있어서의 후방측 공간(101A) 내에서의, 수분 흡수 방출 장치(112) 근방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와 같이, 수분 흡수 방출 장치(112)가 하단 용기(101)에 부착되면, 금속판(113)은 후방측 공간(101A)을 향하게 된다. 따라서, 후방측 공간(101A) 내의 공기는, 도 12에서 실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110)에 형성된 상부 슬릿(110a) 또는 하부 슬릿(110b)을 통해, 금속판(113)에 접촉하게 된다.
여기에서, 하단 용기(101)의 배면측의 외부에는, 야채실(100)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기가 흐르고 있다. 따라서, 이 냉기는, 금속판(113)의 배면측에도, 도 12에서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흐르게 된다. 그 때문에, 이 냉기에 의해 금속판(113)도 냉각된다. 이에 따라, 금속판(113)에 결로되기 쉬워지고, 금속판(113) 이외의 부위에서의 결로가 억제된다. 그리고, 금속판(113)에 결로된 물은, 물방울(117)로서 자체 중량에 의해 흘러내려, 수분 흡수 방출 부재(116)의 흡수부(116b)에 도달하게 된다.
흡수부(116b)에 도달한 물방울(117)은, 수분 흡수 방출 부재(116)의 내부에서 모세관 현상에 의해 확산된다. 즉, 흡수부(116b)에 흘러내린 물방울(117)은, 흡수부(116b) 전역으로 확산된다. 그리고, 확산된 물은, 금속판(113)에 대향해서 배치된 방출부(116a)를 상승하여, 방출부(116a)에 확산되게 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지 섬유가 상하 방향을 향해 넣어져 짜여 있기 때문에, 상방으로의 수분의 확산이 발생되기 쉽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금속판(113)과 수분 흡수 방출 부재(116)의 방출부(116a)는 극간을 가지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수분 흡수 방출 부재(116)에는, 슬릿(116c)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금속판(113)의 배면측을 흐르는 냉기는, 방출부(116a)를 뒤덮도록 해서, 흐르고 있게 된다. 따라서, 방출부(116a)에 확산되는 수분은, 냉기와의 접촉에 의해 방출이 촉진된다. 이렇게 해서, 후방측 공간(101A) 내의 수분은, 수분 흡수 방출 부재(116)를 통해 야채실(100)로부터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열교환기(도시 생략)로 이송되게 되어 있다. 즉, 후방측 공간(101A) 내의 수분이 소정량 이상인 경우에 수분의 방출이 촉진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커버(110)에는, 상부 슬릿(110a) 및 하부 슬릿(110b)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슬릿(110a)은, 공기의 흐름이 상방이 되는 경사를 갖는 것이다. 커버(110)의 상측에 상방을 향하는 상부 슬릿(110a)이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사용자가 후방측 공간(101A) 내를 개방해서 사용할 때에, 금속판(113)을 시인(視認)하기 어려워진다. 이에 따라, 의장성이 높아진다.
또한, 하부 슬릿(110b)은, 공기의 흐름이 하방이 되는 경사를 갖는 것이다. 커버(110)의 하측에 하방을 향하는 하부 슬릿(110b)이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커버(110)의 벽면(후방측 공간(101A)을 향하는 면)에 물방울이 부착되어 흘러내렸을 때에, 후방측 공간(101A)의 바닥면까지 흘러내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커버(110)의 벽면을 흘러내린 물방울은, 하부 슬릿(110b)을 통해, 수분 흡수 방출 부재(116)의 흡수부(116b)에 도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커버(110)에 부착된 물방울도, 수분 흡수 방출 부재(116)에 의해 흡수되어 방출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분 흡수 방출 장치(116)는, 상측이 배면측으로, 하측이 정면측으로 경사져 있다. 그 때문에, 커버(110)의 표면을 흘러내리는 수분은, 직접 바닥면으로 낙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하부 슬릿(110b)에 들어가기 쉬워진다. 이에 따라, 후방측 공간(101A) 내의 야채 등에 수분이 부착되는 것이 보다 억제된다.
또한, 프레임(114)의 내측 바닥부에는, 도시와 같은 수분 수용부(114a)가 설치되어 있다. 수분 수용부(114a)의 상방에는, 수분 흡수 방출 부재(116)의 흡수부(116b)가 위치한다. 그리고, 수분 수용부(114a)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지지부(155)가 구비되어 있다. 지지부(155)가 흡수부(116b)의 전후 방향의 중간 부근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함으로써, 수분을 저류(貯留)하는 수분 수용부(114a)가 흡수부(116b)의 하방에 형성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금속판(113)에 적하된 수분은 흡수부(116b)에 직접 흡수되지만, 만약 흡수부(116b)에 흡수되지 않은 경우라도, 흡수되지 않은 수분은, 수분 수용부(114a)에 저류되게 된다.
또한, 수분 흡수 방출 부재(116)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부(116b)보다 부분적으로 하방으로 연장 돌출된 흡수편부(154)를 복수 갖는다. 이 흡수편부(154)는, 도 12에 나타내는 조립 상태에서, 프레임(114)의 내측 바닥부의 수분 수용부(114a)의 공간 내에 위치한다(도 12에서는 도시 생략). 이 때문에, 흡수부(116b)에서 흡수되지 않고 수분 수용부(114a)에 저류된 수분은, 흡수편부(154)를 통해 흡수되고, 방출부(116a)로의 이동이 촉진된다. 즉, 이 구성에 의해, 금속판(113)에 적하된 수분이 수분 흡수 방출 장치(112)로부터 하단 용기(101)나 야채실(100) 내에 새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3은,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10)에 있어서의 하단 용기(101) 내에 구비되는 칸막이(103)의 사시도이다. 칸막이(103)는, 직사각형 형상의 수지제의 프레임 부재(103a)와, 프레임 부재(103a)로 둘러싸인 직사각형 형상의 유리판(103b)을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 부재(103b)가 도 3등에 나타내는 칸막이 걸림부(104)에 삽입됨으로써, 칸막이(103)가 하단 용기(101) 내에 지지 고정된다.
또한, 프레임재(103b)의 좌우 양측의 하단에는, 배면 방향을 향해 오목부(103c)가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칸막이(103)가 칸막이 걸림부(104)에 삽입될 때에, 칸막이(103)의 방향(정면측과 배면측의 방향 및 상하 방향의 방향)이 결정되게 된다. 이에 따라, 칸막이(103)의 잘못된 어셈블리가 방지된다. 이 점을,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4는,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10)에서 칸막이(103)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칸막이(103)는, 하단 용기(101)의 좌우 양측면에 각각 설치된, 1세트의 칸막이 걸림부(104) 사이에 끼워지도록 해서 부착된다. 즉, 이 1세트의 칸막이 걸림부(114) 사이에, 상방으로부터 칸막이판(104)이 삽입됨으로써, 칸막이판(104)이 하단 용기(101) 내에 부착된다.
도 15는, 도 14의 D-D선 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이, 칸막이(103)의 프레임 부재(103b)에는, 배면 방향을 향해 오목부(103c)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칸막이(103)가 부착되었을 때에, 오목부(103c)에 대향하도록, 1세트의 칸막이 걸림부(104)의 내부에, 볼록면(104a)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칸막이(103)가 부착될 때에, 정면측과 배면측을 반대로 해서 칸막이(103)가 부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칸막이 걸림부(104)에 대해서, 칸막이(103)가 상하 방향 및 정면-배면 방향이 반대로 되어 삽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 칸막이(103)의 구성은, 오목부(103c)를 갖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면, 프레임 부재(103a)의 좌우 또는 전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비대칭 또는 이형(異形)의 형상으로 함으로써, 칸막이(103)의 잘못된 어셈블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부재(103a)의 측면(1세트의 칸막이 걸림부(104)에 의해 끼워진 하단 용기(101)의 내벽과 대향하는 면)에는, 하방을 향함에 따라 칸막이(103)의 좌우 방향의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1세트의 칸막이 걸림부(104)에 의해 끼워진 하단 용기(101)의 내벽에는, 삽입되는 프레임 부재(103a)의 폭에 대응해서, 하방을 향함에 따라 하단 용기(101)의 좌우 방향의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구성에 의해, 칸막이(103)를 상하 반대로 한 상태에서 하단 용기(101)에 도입하고자 한 경우에, 칸막이(103)의 폭이 상측일수록 넓기 때문에, 하단 용기(101)의 소정 높이 위치보다 아래쪽에 칸막이(103)를 도입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칸막이(103)의 상하의 잘못된 어셈블리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6은,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10)의 후방측 공간(101A) 내의 에틸렌 가스를 분해하는 광촉매를 포함하는 부분을 분해해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와 같이, 하단 용기(101)의 내벽에는, 광을 불투과로 하거나 또는 투과율을 저감시킨 차폐 부재(120)가 부착되어 있다. 이 차폐 부재(120)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단 용기(101)의 벽면에 형성된 슬릿(101a)을 덮도록 부착되어 있다. 또, 하단 용기(101)의 강도를 보다 확실하게 확보하는 관점에서는, 슬릿(101a)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슬릿(101a)을 설치하지 않고 개구를 형성하는 것이어도 된다.
한편, 슬릿(101a)의 외측(좌측)의 외부 프레임(156)에 끼워지도록, 유리판(122)이 배치되어 있다. 이 유리판(122)에는, 후방측 공간(101A)을 향하는 측(우측)에, 산화티탄 등의 광촉매 재료가 도포되어 있다. 그리고, 유리판(122)을 덮도록, 광 투과성의 수지 부재(121)가 배치되어 있다. 이 수지 부재(121)는, 나사나 걸림 클로(claw) 등의 체결 부재(123)에 의해, 하단 용기(101)의 외벽에 고정되어 있다.
도 17은,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10)의 후방측 공간(101A) 내의 에틸렌 가스를 분해하는 광촉매를 포함하는 부분의 근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차폐 부재(120)는, 하단 용기(101)의 내벽에 대해서, 그 길이 방향이 상하 방향을 향하도록 부착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길이 방향이 좌우 방향을 향하도록 부착되어도 된다.
또한, 차폐 부재(120)의 정면측의 단부(端部)와 배면측의 단부에는, 기체 유통부(120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차폐 커버(120)와 슬릿(101a) 사이에는 극간이 형성되어 있다. 즉, 차폐 커버(120)와, 슬릿(101a)의 외측(좌측)에 배치되는 유리판(122)(도 17에서는 도시 생략, 도 16 참조) 사이에는, 극간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후방측 공간(101A) 내의 공기가, 이 극간을 통해, 광촉매가 도포된 유리판(122)에 도달 가능하게 된다.
또, 기체 유통부(120a)는, 도 17에서, 정면측의 단부와 배면측의 단부 각각에 상하 2개소씩 설치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정면측의 단부와 배면측의 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1개소 설치한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정면측의 단부와 배면측의 단부 이외에도, 차폐 부재(120)의 후방부 공간(101A)에 대향하는 면에 기체 유통부(120a)가 설치되어도 된다.
도 18은,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10)에서 하단 용기(101)가 수용되는 야채실(1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야채실(100)의 벽면을 구성하는 내부 상자(124)의 좌측의 내벽에는, LED 기판(126)(도 18에서는 도시 생략, 도 19 참조)을 덮는 LED 커버(125)가 배치되어 있다. 이 LED 커버(125)는 광 투과성의 재료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차폐 커버(120)와 마찬가지로, 그 길이 방향이 상하 방향을 향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LED 기판(126)에는 LED(도시 생략)가 실장되고, 전압이 LED에 인가됨으로써, LED가 발광하도록 되어 있다. 또, 도 18에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LED 기판(126)은, 내부 상자(124)의 외측으로부터 수납 부재(128)가 부착됨으로써, 나중에 기재하는 우레탄폼과의 접촉이 방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내부 상자(124)의 내부에는, 상기와 같이, 하단 용기(101)의 단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인출 레일(127)과, 상단 용기(102)의 단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인출 레일(13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인출 레일(127)의 하방에 LED 기판(126) 등이 배치됨으로써, 인출 레일(127)의 하방에 존재하는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가 유효하게 이용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출 레일(127)이 내부 상자(124)면의 상하 방향에서 상방 근처에 위치하는 경우에, 인출 레일(127)의 하방에 LED 기판(126) 등을 배치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인출 레일(127)이 내부 상자(124)면의 상하 방향에서 하방 근처에 위치되는 경우, 인출 레일(127)의 상방에 LED 기판(126) 등이 배치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 인출 레일의 하방 또는 상방의 데드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9는, 하단 용기(101)가 야채실(100)에 수용되었을 때의 LED 기판(126)과 유리판(122)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단 용기(101)가 내부 상자(124) 내에 수용되면, 하단 용기(101)에 부착된 광촉매 등과, 내부 상자(124)에 부착된 LED 기판(126)이 대향한다. 즉, 하단 용기(101)는, LED 커버(125)와 수지 부재(121)가 대향하도록, 내부 상자(124)에 수용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LED 커버(125) 및 수지 부재(121)는 모두 광 투과성의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LED 기판(126) 위의 LED로부터 발생된 광은, LED 커버(125) 및 수지 부재(121)를 투과해서, 광촉매가 도포된 유리판(122)에 도달하도록 되어 있다. 유리판(122)에 도달된 광은, 유리판(122)을 투과해서, 후방측 공간(101A)측에 도포되어 있는 광촉매에 조사(照射)된다. 이에 따라, 광촉매가 활성화되고, 후방측 공간(101A) 내의 공기에 함유되는 에틸렌 가스가 이산화탄소로 분해되어, 야채 등의 선도가 유지되고, 또는 선도 저하가 억제된다.
또한, LED에 대향하는 위치에 광투과를 억제한 차폐 부재(120)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슬릿(101a)을 투과한 광이 후방측 공간(101A) 내의 야채 등에 조사되는 것이 억제된다. 이에 따라, 야채 등에의 광조사에 의한 야채 등의 성장이 억제된다.
도 20은,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10)의 야채실(100)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에서, 공기는, 일례로서 굵은 실선으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흐른다. 구체적으로는, 공기는, 우측 상방 배면측에 설치된 분출구(냉기 공급 조정 수단(141))를 통해, 야채실(100) 내에 유입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유입된 공기는, 좌측 하방 정면측에 설치된 흡입구(도시 생략)를 통해, 야채실(100)로부터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열교환기(도시 생략)로 이송되게 되어 있다.
또, 분출구, 흡입구 및 수분 흡수 방출 장치(116)의 상대적인 배치는 도시의 예에 한정되지 않지만, 수분 흡수 방출 장치(116)는 분출구 부근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수분 흡수 방출 장치(116)는, 하단 용기(101)의 후방측 공간(101A)을 구성하는 좌측벽, 우측벽, 바닥벽 중 어느 하나 또는 칸막이(103)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전방측 공간(101B) 상방을 상단 용기(102)로 덮어 비교적 기밀의 공간으로 하는 경우, 하단 용기(101)의 전방벽에 수분 흡수 방출 장치(116)가 배치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여기에서, 분출구로부터 야채실(100)에 유입되는 냉기는 저온이다. 따라서, 이 영향에 의해, 분출구 부근에서 비교적 기밀로 한 후방측 공간(101A)(또는 전방측 공간(101B))을 구성하는 하단 용기(101) 또는 상단 용기(102)의 벽면은, 결로되기 쉬운 조건이 된다. 그래서, 분출구 부근에 수분 흡수 방출 장치(116)를 배치하면, 과냉각됨으로써 결로되기 쉬운 후방측 공간(101A)(또는 전방측 공간(101B))의 위치의 수분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수분의 흡수 방출의 효율이 향상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단 용기(102)의 배면측 하면에는, 시일 부재(107)가 고정되어 있다(도 5 등 참조). 따라서, 상단 용기(102)와, 하단 용기(101)와, 칸막이(103)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즉, 후방측 공간(101A))에서는, 비교적 기밀성이 높게 되어 있다. 그러나, 기밀성이 높아지면, 실내의 야채 등에서 발생한 수증기 등에 의해, 실내의 습도가 올라가기 쉽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단 용기(102)의 배면측 하면에 고정된 시일 부재(107)는, 상단 용기(102)의 하면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전역에 걸쳐서 연장시키지 않고, 좌우 양단에 설치하지 않은 부위를 설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분출구로부터의 냉기는, 냉기의 분출구 근방의 시일 부재(107)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으로부터, 후방측 공간(101A)에 들어가게 된다. 여기에서, 후방측 공간(101A)의 정면측에서, 칸막이(103)와, 그 위의 상단 용기(102) 사이에는, 시일 부재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정면측에서는, 배면측보다 냉기가 비교적 통하기 쉬운 구성이다. 또한, 상단 용기(102)의 우측벽 및 좌측벽과 하단 용기(101) 사이 및 상단 용기(102)의 바닥면 모서리부 부근과 하단 용기(101) 사이에는, 각각 극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구성에서, 야채실(100)의 배면 상측으로부터 분출된 냉기는, 냉기가 분출되는 위치의 전방인 상단 용기(102)의 우측 바닥면 모서리부 부근으로부터, 후방측 공간(101A) 내에 유입된다. 후방측 공간(101A)에 유입된 냉기는, 하단 용기(101)의 우측벽 상단 부근으로부터 후방측 공간(101A)의 외측으로 빠져나가, 상단 용기(102) 또는 하단 용기(101)의 우측벽과 내부 상자(124)의 우측벽 사이를 후방에서 전방으로 흘러, 전방의 흡입구로부터 열교환기(도시 생략)를 향하게 된다.
또한, 야채실(100)의 배면 상측으로부터 분출된 냉기의 일부는, 상단 용기(102)의 배벽(背壁)을 따라 우측에서 좌측으로 흐르고, 상단 용기(102)의 좌측의 바닥면 모서리부 부근으로부터 후방측 공간(101A) 내에 유입된다. 이 냉기도, 하단 용기(101)의 좌벽 상단 부근으로부터 후방측 공간(101A)의 외측으로 빠져나가, 상단 용기(102) 또는 하단 용기(101)의 좌측벽과 내부 상자(124)의 좌측벽 사이를 후방에서 전방으로 흘러, 전방의 흡입구로부터 열교환기(도시 생략)를 향하게 된다.
여기에서, 후방측 공간(101A) 내의 에틸렌 가스를 이산화탄소로 분해하는 광촉매는, 분출구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분출구가 야채실(100)의 우측 후방에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광촉매가 야채실(100)의 좌측 벽면에 배치되어 있다. 분출구로부터 떨어진 위치의 온도는, 분출구 근방의 위치의 온도보다 비교적 높다. 따라서, 후방측 구간(101A)에서, 온도가 높은 장소에 놓여진 야채는, 온도가 낮은 장소에 놓여진 야채와 비교해서, 에틸렌 가스를 비교적 방출하기 쉽다. 그래서, 이러한 온도의 비교적 온도가 높은 장소에 광촉매를 부착함으로써 에틸렌 가스가 보다 효율적으로 분해된다.
도 21은,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10)의 측부에 우레탄폼을 주입할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냉장고(10)의 측면도이지만, 설명의 편의상, 냉장고 본체(1)의 외벽(외부 상자)을 생략해서 나타내고 있다. 냉장고(10)의 측면에는, 우레탄에 의해 구성되는 단열재(130)가 설치되어 있다.
단열재(130)를 구성하는 우레탄은, 우레탄폼이 고화(固化)되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냉장고(10)의 정면측을 연직 하향으로 쓰러뜨린 상태에서, 냉장고(10)의 배면측에 형성되고, 경질 우레탄폼이 충전 발포되는 공간과 외부로 연통되는 주입 구(131)로부터, 우레탄폼이 당해 공간 내에 주입된다. 이 때, 우레탄폼은, 도 21에 나타내는 파선 화살표 방향을 향해 주입된다. 따라서, 주입구(131)로부터 주입된 우레탄폼은, 연직 하방(냉장고(10)의 정면측을 향해)으로 유입되다. 그렇게 하면, 상기 공간 내부에서, 우레탄폼이 서서히 축적된다.
우레탄폼이 주입되고 있는 동안, 상기 공간 내의 우레탄폼의 계면(액면)은 서서히 상승한다. 여기에서, LED 기판(126)을 수용하는 수납 부재(128)는, 상기 공간을 향하도록 해서, 내부 상자(124)에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LED 기판(126)을 수용하는 수납 부재(128)는, 우레탄폼의 주입구(131)의 전후 방향의 투영 위치를 피해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우레탄폼의 주입시에, LED 기판(126)을 수용하는 수납 부재(128)가 우레탄폼의 유동을 저해하는 것이 억제된다. 그 때문에, 수납 부재(128)의 상측(배면측)에까지 일정하게 충분히, 우레탄폼의 충전 발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우레탄폼(경질 우레탄폼)이 충전 발포되는 공간에는, 단열재(130)로서, 진공 단열재가 배치되어 있다. 일반적인 진공 단열재는, 글라스울(glass wool)이나 수지 등의 섬유 적층체를 외포재(外包材)로 덮고, 외포재 내부를 감압 상태에서 밀봉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그 때문에, 단열 성능은, 우레탄폼에 비해서 높은 경향이 있다. 또한, 진공 단열재는 고단열 성능이기 때문에, 진공 단열재와 우레탄폼을 병용함으로써, 우레탄폼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단열 재의 두께 및 충전량을 저감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LED 기판(126)을 수용하는 수납 부재(128)에 대향하는 위치에, 진공 단열재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수납 부재(128)의 근방에서는, 우레탄폼의 두께는 다른 부분에 비해서 얇아지지만(즉, 우레탄폼의 유동 공간이 다른 부분에 비해서 좁아지지만), 진공 단열재에 의해 단열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도 22는,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10)에 부착되는 수분 흡수 방출 장치(112)에 대한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측에서의 사시도이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수분 흡수 방출 장치(112)는, 금속판(113)과 수분 흡수 방출 부재(116)가 대향해서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수분 흡수 방출 장치(112)에 대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좌우에 금속판(113)과 수분 흡수 방출 부재(116)가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판(113)은, 후방측 공간(101A)를 향하여, 하단 용기(101)의 내측 배면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23은,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10)에 부착되는 수분 흡수 방출 장치(112)에 대한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분 흡수 방출 부재(116)는, 하단 용기(101)의 외측을 향하여, 하단 용기(101)의 외측 배면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정면에서 보았을 때 좌우에 배치된 금속판(113)과 수분 흡수 방출 부재(116)는, 후방측 공간(101A)의 안밖을 연통하는 하는 결로수 유로(도시 생략)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금속판(113)의 표면에 발생한 물방울(117)(도 12 참조)은, 당해 결로수 유로를 통해, 후방측 공간(101A)의 외벽에 부착된 수분 흡수 방출 부재(116)에 도달한다. 그리고, 수분 흡수 방출 부재(116)에 도달한 결로수는 수분 흡수 방출 부재(116) 내에서 확산되고, 외부를 통류하는 냉기로 방출되게 된다. 이렇게 해도, 상기 후방측 공간(101A) 내의 습도가 양호하게 조절된다.
이상, 본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했지만, 본 실시형태는 상기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전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에는, 다양한 변형예가 포함된다. 즉, 상기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해서 상세하게 설명한 것이며, 반드시 설명한 모든 구성을 구비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후방측 공간(101A) 내의 수분을 결로시켜서 결로수로 하는 고열전도 부재로서, 상기 예에서는 금속판(예를 들면, 알루미늄, 철, 스테인리스 등)을 사용했지만, 금속판 이외의 재료여도 된다. 예를 들면, 수지 재료 등을 들 수 있다. 고열전도 부재의 형상도 평판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유지하는 수분(결로수)을 냉기로 방출시키는 수분 흡수 방출 부재로서, 상기 예에서는 수지 섬유를 사용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다공질의 재료, 스펀지 등을 원하는 형상으로 해서 적용할 수 있다. 단, 통상은, 수분 흡수 방출 부재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보수량(保水量)이 증가하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으로 수분을 흡수해서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금속판(113)과, 수분 흡수 방출 부재(116)를 구성하는 흡수부(116b)가 접촉해서 배치되어 있지만, 이들은 접촉하지 않아도 된다. 즉, 금속판(113)의 표면의 결로수가 흡수부(116b)에 공급되면, 어떠한 형태여도 된다.
또한, 금속판(113)의 표면에 발생한 결로수가 자체 중량에 의해 흘러내리도록, 금속판(113)은 수평 방향에 대해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지만, 이 경사의 정도는 어떠한 정도여도 된다. 즉, 부착 장소와 경사를 종합적으로 감안하면 도시(圖示)와 같이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예를 들면 연직 방향(수평 방향에 대해서 90°의 경사)으로 부착되어도 된다. 또한, 금속판(113)의 부착 위치도 도시의 장소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금속판(113)과 수분 흡수 방출 부재(116) 사이에는, 상기와 같이 소정의 극간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극간의 정도는 어떠한 것이어도 된다. 통상은, 극간이 커지면, 보다 충분히 수분을 방출시킬 수 있다. 또한, 금속판(113)에 대해서 보다 충분한 양의 냉기를 접촉시킴으로써, 금속판(113)을 보다 충분히 냉각시켜, 후방측 공간(101A) 내의 금속판(113)의 표면에의 결로를 촉진할 수 있다. 또한, 극간이 없어도, 수분 흡수 방출 부재(116)에는 냉기가 접촉한다는 점에서, 수분 흡수 방출 부재(116)와 나란히 배치되는 금속판(113)이 냉각되어, 금속판(113)의 표면에 결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금속판(113) 및 수분 흡수 방출 부재(116)는 모두 평판 형상으로 했지만, 이들 형상은 평판 형상이 바람직하나, 평판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들은 대향해서 또는 좌우에 배치되도록 했지만, 배치의 형태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칸막이(103)로서, 상기 예에서는 유리를 사용했지만, 유리 이외의 재료여도 된다. 예를 들면, 수지 재료나 금속 재료를 들 수 있다. 즉, 칸막이(103)는, 소정의 강성을 갖는 재료에 의해 구성하면 된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습도가 조절되는 저장실로서 야채실(100)을 예로 들었지만, 다른 저장실이어도 된다.
이들 외에도, 어느 실시형태의 구성의 일부를 다른 실시형태의 구성으로 치환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어느 실시형태의 구성에 다른 실시형태의 구성을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는, 각 실시형태의 구성의 일부에 대해서, 다른 구성을 추가, 삭제, 치환 등을 행할 수도 있다.
1: 냉장고 본체
10: 냉장고
100: 야채실(저장실)
101: 하단 용기(저장실)
101a: 통기부
101A: 후방측 공간(저장실)
101B: 전방측 공간
102: 상단 용기
103: 칸막이
112: 수분 흡수 방출 장치
113: 금속판(수분 흡수 방출 장치, 고열전도 부재)
116: 수분 흡수 방출 부재(수분 흡수 방출 장치)
116a: 방출부(수분 흡수 방출 장치, 수분 흡수 방출 부재)
116b: 흡수부(수분 흡수 방출 장치, 결로수 유로)
116c: 통기부(수분 흡수 방출 장치, 수분 흡수 방출 부재)

Claims (5)

  1.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에 대하여 전후로 이동가능한 용기와, 상기 용기 내의 에틸렌 가스를 분해하여 탄산가스를 발생시키는 촉매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외부를 흐르는 냉기에 의해 냉각되어 상기 용기 내의 수분을 자신의 표면에 결로시키는 금속판 또는 수지재와,
    상기 금속판 또는 수지재에서 결로된 결로수를 상기 용기의 외부로 확산시키는 수분 흡수 방출 부재와,
    상기 용기의 내외를 연통하고, 상기 금속판 또는 수지재에서 결로된 결로수를 상기 수분 흡수 방출 부재에 도달시키는 결로수 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수분 흡수 방출 부재는,
    상기 용기의 외부를 흐르는 냉기가 접촉하는 방출부와,
    상기 금속판 또는 수지재에서 결로된 결로수를 받는 것과 함께, 받은 상기 결로수를 상기 방출부에 공급하는 흡수부를 구비하고,
    상기 방출부와 상기 흡수부는, 수지 섬유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결로수가 모세관 현상에 의해 확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부와 상기 흡수부는,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흡수부는 정면-배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부의 배면측에 프레임이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은 복수의 통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40169495A 2014-04-17 2014-12-01 냉장고 KR1017234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85098 2014-04-17
JP2014085098A JP6100198B2 (ja) 2014-04-17 2014-04-17 冷蔵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0272A KR20150120272A (ko) 2015-10-27
KR101723470B1 true KR101723470B1 (ko) 2017-04-05

Family

ID=54376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9495A KR101723470B1 (ko) 2014-04-17 2014-12-01 냉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100198B2 (ko)
KR (1) KR101723470B1 (ko)
CN (1) CN105004129B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82636B2 (ja) * 1998-11-09 2004-10-27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JP2007278569A (ja) * 2006-04-05 2007-10-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冷蔵庫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67758B2 (ja) * 1992-04-01 1997-10-27 シャープ株式会社 鮮度保持用の恒湿装置
JPH07174455A (ja) * 1993-12-20 1995-07-14 Hitachi Ltd 冷凍冷蔵庫
JPH08136113A (ja) * 1994-11-07 1996-05-31 Hitachi Ltd 冷蔵庫
JPH09126631A (ja) * 1995-10-30 1997-05-16 Hitachi Ltd 冷凍冷蔵庫
JPH10332259A (ja) * 1997-05-29 1998-12-15 Toshiba Corp 冷蔵庫
JPH11164650A (ja) * 1997-12-05 1999-06-22 Sharp Corp 青果物の代謝ガス除去装置および該装置を備えた冷蔵庫
JP5315603B2 (ja) * 2006-09-29 2013-10-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冷蔵庫
JP2010139183A (ja) * 2008-12-12 2010-06-24 Toshiba Corp 冷蔵庫
JP2011017472A (ja) * 2009-07-08 2011-01-27 Hitachi Appliances Inc 冷蔵庫
JP5490614B2 (ja) * 2010-06-04 2014-05-14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82636B2 (ja) * 1998-11-09 2004-10-27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JP2007278569A (ja) * 2006-04-05 2007-10-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004129B (zh) 2018-01-19
JP2015206465A (ja) 2015-11-19
KR20150120272A (ko) 2015-10-27
JP6100198B2 (ja) 2017-03-22
CN105004129A (zh) 2015-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21068B1 (ja) 冷蔵庫
JP2017072306A (ja) 冷蔵庫
JP5813979B2 (ja) 冷蔵庫
KR101660924B1 (ko) 냉장고
JP6557711B2 (ja) 冷蔵庫
JP6826823B2 (ja) 冷蔵庫
KR101723470B1 (ko) 냉장고
JP6227472B2 (ja) 冷蔵庫
JP2019100654A (ja) 冷蔵庫
JP5936758B1 (ja) 冷蔵庫
JP2017194186A (ja) 冷蔵庫
JP2015206467A (ja) 冷蔵庫
JP2016035334A (ja) 冷蔵庫
CN106066111B (zh) 冰箱
JP6591361B2 (ja) 冷蔵庫
CN106322903B (zh) 冰箱
JP2017015374A (ja) 冷蔵庫
JP6742081B2 (ja) 冷蔵庫
JP6854596B2 (ja) 冷蔵庫
JP2017194171A (ja) 冷蔵庫
JP2012132600A (ja) 冷蔵庫
KR930003109Y1 (ko) 냉장고
JP2021014985A (ja) 冷蔵庫
JP2017015375A (ja) 冷蔵庫
JP6571441B2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