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0442B1 - 스펀본드 부직포 - Google Patents

스펀본드 부직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0442B1
KR101720442B1 KR1020157008202A KR20157008202A KR101720442B1 KR 101720442 B1 KR101720442 B1 KR 101720442B1 KR 1020157008202 A KR1020157008202 A KR 1020157008202A KR 20157008202 A KR20157008202 A KR 20157008202A KR 101720442 B1 KR101720442 B1 KR 101720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ylene
nonwoven fabric
melting point
weight
based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8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6334A (ko
Inventor
나오스케 구니모토
겐이치 스즈키
요시히사 가와카미
고스케 오타
Original Assignee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038836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72044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46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6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4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05Synthetic yarns or filaments
    • D04H3/007Addition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261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0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1F6/04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from polyolefins
    • D01F6/06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from polyolefins from polypropylene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44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D01F6/46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of polyolefi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filaments produced in association with filament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37Including strand or fiber material which is a monofilament composed of two or more polymeric materials in physically distinct relationship [e.g., sheath-core, side-by-side, islands-in-sea, fibrils-in-matrix, etc.] or composed of physical blend of chemically different polymeric materials or a physical blend of a polymeric material and a filler material
    • Y10T442/642Strand or fiber material is a blend of polymeric material and a fille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Woven Fabr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연성, 강연도, 촉감, 강도가 우수한 폴리프로필렌계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스펀본드 부직포는, 융점이 120℃ 이상인 프로필렌계 중합체(A)와, 탄소수 15 이상 21 이하의 지방산 아마이드를 포함하는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스펀본드 부직포이다. 탄소수 15 이상 21 이하의 지방산 아마이드로서, 올레산 아마이드가 바람직하다.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이, 융점이 120℃ 미만인 프로필렌계 중합체(B)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스펀본드 부직포{SPUN-BONDED NON-WOVEN FABRIC}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유연성, 강연도(剛軟度), 촉감, 강도가 우수한 스펀본드 부직포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각종 용도, 특히 일회용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용 재료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는 폴리프로필렌계 스펀본드 부직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부직포는 통기성, 유연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각종 용도에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그 때문에, 부직포에는 그 용도에 따른 각종 특성이 요구됨과 더불어, 그 특성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예컨대, 배출 내지 배설된 월경혈이나 소변 등의 액체를 재빠르게 흡수체에 이행시키는 흡수 성능이나, 착용자의 피부에 맞닿는 것이 유연하여 피부에 주는 자극이 적다고 하는 표면 특성이 요구되는 종이 기저귀, 생리대 등의 흡수성 물품용의 표면 시트로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한편, 내부의 흡수체에 흡수된 액체를 외부로 새게 하지 않는 내수성과 함께, 내측에 생기는 습기에 의한 답답함을 방지하고, 흡수성 물품의 내부의 습기를 투과시켜 외부로 산일(散逸)시키기 위한 투습 성능이 요구되는 이면 시트로서도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더욱이, 이 이면 시트는 흡수성 물품의 해당 표면을 구성하기 때문에, 감촉이 우수하고, 양호한 촉감을 가질 것이 요구된다.
스펀본드 부직포 등의 열가소성 수지 장섬유 부직포는 인장 강도 등의 기계적 성질, 강연도, 통기성 등의 특성과 함께, 연속 방사, 생산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많은 분야에서 이용되어 왔다. 이들 장섬유 부직포에 이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용융 방사성, 섬유 특성 등으로부터 폴리아마이드계 수지, 폴리에스터계 수지나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이용되고 있고, 특히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저렴하고 가공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 수지가 다용되고 있으며, 나아가 촉감을 개량하기 위해서 폴리올레핀 수지에 다른 수지나 활제를 첨가한 수지 조성물이 다용되어 왔다.
폴리올레핀 수지와 활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사용한 스펀본드 부직포로서는, 일본 특허공개 2001-226865호 공보(특허문헌 1)나 일본 특허공개 2002-69820호 공보(특허문헌 2) 등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는, 폴리올레핀 수지, 특히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 이루어지고, 정마찰 계수가 0.1∼0.4의 범위에 있는 스펀본드 부직포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특허문헌 1에는, 부직포가 활제로서 지방산 아마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도, 활제로서 지방산 아마이드 화합물, 특히 에루크산 아마이드를 함유시킨 폴리올레핀 부직포가 개시되어 있다.
폴리올레핀 수지와 다른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중, 다른 수지로서 α-올레핀계 중합체가 선정된 수지 조성물을 사용한 스펀본드 부직포로서는, 일본 특허공개 평5-194802호 공보(특허문헌 3), 일본 특허공개 2002-146631호 공보(특허문헌 4), 일본 특허공개 2005-126858호 공보(특허문헌 5)나 일본 특허공표 2008-524387호 공보(특허문헌 6)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 중, 다른 수지로서 저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이 선정된 수지 조성물을 사용한 스펀본드 부직포로서, 본 출원인도 국제공개번호 WO 2012/07518호(특허문헌 7)를 개시하고 있다.
최근, 종이 기저귀, 생리대 등의 위생 재료 등의 용도에서는, 보풀이 일어나기 어렵고, 피부에 닿는 촉감이나 폭신폭신한 감과 매끈매끈한 감을 양립시키는 등, 유연성을 높일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유연성과 함께, 촉감, 강도가 우수한 스펀본드 부직포의 출현이 요망되고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1-226865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2-69820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5-194802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2-146631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5-126858호 공보 일본 특허공표 2008-524387호 공보 국제공개번호 WO 2012/07518호
특허문헌 1 및 2에는, 활제로서 에루크산 아마이드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에루크산 아마이드를 활제로서 이용하는 경우, 유연성이 불충분하며, 또한 미끄러짐성이 과도하게 향상되어 부직포를 가공할 수 없다고 하는 생산성의 과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3, 4, 5 및 6에는,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프로필렌계 중합체에 α-올레핀 공중합체 또는 저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이 첨가된 수지 조성물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첨가된 α-올레핀 공중합체 또는 저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이 스펀본드 부직포를 형성하는 섬유의 표면에 석출되어, 부직포의 촉감을 손상시킨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들 문헌에는, 활제의 첨가에 관한 기재는 있지만, 구체적인 활제의 기재 및 그의 구체적인 효과는 시사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고, 유연성, 촉감, 강도가 밸런스 좋게 우수한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 하에, 본 발명자들은, 특정한 융점을 갖는 프로필렌계 중합체와 특정한 활제를 사용하여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작함으로써, 원하는 특성을 갖는 스펀본드 부직포가 얻어진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1] 융점이 120℃ 이상인 프로필렌계 중합체(A)와, 탄소수 15 이상 21 이하의 지방산 아마이드를 포함하는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스펀본드 부직포.
[2] 탄소수 15 이상 21 이하의 지방산 아마이드가 올레산 아마이드인, [1]의 스펀본드 부직포.
[3]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이, 융점이 120℃ 미만인 프로필렌계 중합체(B)를 추가로 포함하는, [1] 또는 [2]의 스펀본드 부직포.
[4]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이, 융점이 120℃ 이상인 프로필렌계 중합체(A)와 융점이 120℃ 미만인 프로필렌계 중합체(B)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하여,
융점이 120℃ 이상인 프로필렌계 중합체(A): 70∼99.9중량부,
융점이 120℃ 미만인 프로필렌계 중합체(B): 30∼0.1중량부이며,
탄소수 15 이상 21 이하의 지방산 아마이드: 0.01∼1중량부의 범위에 있는, [3]의 스펀본드 부직포.
[5] 융점이 120℃ 미만인 프로필렌계 중합체(B)가,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프로필렌과 탄소수 4∼20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랜덤 공중합체인, [3]의 스펀본드 부직포.
[6] 융점이 120℃ 미만인 프로필렌계 중합체(B)가, 프로필렌과 탄소수 4∼20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인, [5]의 스펀본드 부직포.
[7] 상기 공중합체 중의 α-올레핀 함량이 0.1몰% 이상 90몰% 미만인, [6]의 스펀본드 부직포.
[8] 융점이 120℃ 미만인 프로필렌계 중합체(B)가,
이하의 (A)∼(f)를 만족시키는 저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인, [3]∼[7]의 스펀본드 부직포;
(A) [mmmm] = 20∼60몰%
(B) [rrrr]/(1-[mmmm]) ≤ 0.1
(c) [rmrm] > 2.5몰%
(d) [mm]×[rr]/[mr]2 ≤ 2.0
(e) 질량 평균 분자량(Mw) = 10,000∼200,000
(f) 분자량 분포(Mw/Mn) < 4
[9] 융점이 120℃ 이상인 프로필렌계 중합체(A)가,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프로필렌과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랜덤 공중합체인, [1]∼[4]의 스펀본드 부직포.
[10] 융점이 120℃ 이상인 프로필렌계 중합체(A)로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와, 프로필렌과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랜덤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1]∼[4]의 스펀본드 부직포.
[11] 상기 [1]∼[10]의 스펀본드 부직포를 포함하는 부직포 적층체.
[12] 상기 [1]∼[10]의 스펀본드 부직포를 이용한 흡수 물품.
본 발명의 스펀본드 부직포는, 융점이 120℃ 이상인 프로필렌계 중합체(A)와 함께, 탄소수 15 이상 21 이하의 지방산 아마이드를 포함하기 때문에, 피부에 닿는 촉감이나 폭신폭신한 감과 매끈매끈한 감을 양립시키고, 높은 유연성을 갖는다. 추가로, 융점이 120℃ 미만인 프로필렌계 중합체(B)를 포함하면, 얻어지는 부직포의 유연성, 강연도, 촉감이 우수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스펀본드 부직포는, 이와 같은 유연성과 함께, 보풀이 일어나기 어렵고, 강도나 가공성도 우수하기 때문에, 생리 용품이나 종이 기저귀 등의 용도에 적합하다.
<융점이 120℃ 이상인 프로필렌계 중합체(A)>
본 발명의 스펀본드 부직포를 형성하는 프로필렌계 중합체(A)는 시차 주사 열량계로 측정되는 융점이 120℃ 이상, 바람직하게는 120∼170℃를 갖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필렌계 중합체(A)는 결정성을 갖고, 아이소택틱 인덱스 I.I.(비등 n-헵테인 불용 성분)가 바람직하게는 75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5∼99중량%인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프로필렌계 중합체(A)의 용융 유량(ASTM D1238, 온도 230℃, 하중 2160g)은 1∼300g/10분, 바람직하게는 2∼200g/10분이다. 용융 유량이 이 범위에 있으면 용융 방사가 가능해진다.
프로필렌계 중합체(A)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프로필렌과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랜덤 공중합체 중 어느 것이어도 되고, 또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와, 프로필렌과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랜덤 공중합체를 병용한 것이어도 된다. 얻어지는 부직포에 있어서의 강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이다. 또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와 함께, 프로필렌과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랜덤 공중합체를 병용하면 촉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랜덤 공중합체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와의 합계 100중량%로 했을 때 0.1∼30중량%의 범위로 포함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상기 중합체(A)로서는, 블록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해도 된다. 이와 같은 프로필렌계 중합체(A)로서는, 종래 공지된 것을 이용할 수 있고, 시장으로부터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필렌 단독중합체로서는, 「프라임 폴리프로 S119」(상품명; 프라임폴리머(주)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공중합체로서는, Exxon Mobil사제: 상품명 Vistamaxx VM2125 등을 들 수 있다.
프로필렌계 중합체(A)는, 종래 공지된 고체상 타이타늄 촉매(지글러 촉매) 성분 또는 메탈로센 화합물 촉매 성분을 이용하여,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프로필렌계 중합체(A)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지만, 프로필렌계 중합체(A)와 함께 이하에 나타내는 프로필렌계 중합체(B)를 사용한 경우에는, 얻어지는 부직포의 유연성, 강연도, 촉감이 특히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융점이 120℃ 미만인 프로필렌계 중합체(B)>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프로필렌계 중합체(B)는 융점이 120℃ 미만인 프로필렌계 중합체이며,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여도, 프로필렌과 탄소 원자수 2 또는 4∼20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여도 된다. 이 중, 본 발명에서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프로필렌과 탄소 원자수 4∼20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시차 주사 열량계로 측정되는 융점(Tm)은 120℃ 미만이며, 바람직하게는 11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100℃, 더 바람직하게는 55∼85℃, 가장 바람직하게는 60∼80℃이다.
또한, 프로필렌계 중합체(B)의 용융 유량(ASTM D1238, 온도 230℃, 하중 2160g)은 1∼1000g/10분, 바람직하게는 2∼500g/10분, 더 바람직하게는 2∼250g/10분, 가장 바람직하게는 2∼150g/10분이다. 용융 유량이 이 범위에 있으면 프로필렌계 중합체(A)와 조합했을 때에 얻어지는 부직포의 유연성, 강연도, 촉감이 우수하다.
프로필렌계 중합체(B)로서, 프로필렌과 탄소 원자수 4∼20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를 이용하는 경우의 α-올레핀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1-뷰텐, 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1-데센, 1-도데센, 1-헥사데센, 4-메틸-1-펜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1-뷰텐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체 중의 α-올레핀의 함량은, 얻어지는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융점(Tm)이 상기 범위에 있는 한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통상 0.1몰% 이상 90몰% 미만, 바람직하게는 1∼80몰%, 더 바람직하게는 5∼80몰%, 가장 바람직하게는 15∼75몰%의 범위에 있다. 이와 같은 프로필렌계 중합체로서, 미쓰이화학주식회사제: 상품명 타프머 XM-7070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프로필렌계 중합체(B)로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하의 (A)∼(f)를 만족시키는 저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인 것이 바람직하다.
(A) [mmmm] = 20∼60몰%:
저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의 메소 펜타드 분율[mmmm]이 20몰% 이상이면, 끈적임의 발생이 억제되고, 60몰% 이하이면, 결정화도가 지나치게 높아지는 일이 없기 때문에 탄성 회복성이 양호해진다. 이 메소 펜타드 분율[mmmm]은, 바람직하게는 30∼50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40∼50몰%이다.
메소 펜타드 분율[mmmm], 후술하는 라세미 펜타드 분율[rrrr] 및 라세미 메소 라세미 메소 펜타드 분율[rmrm]은, 에이 잠벨리(A. Zambelli) 등에 의해 「Macromolecules, 6, 925(1973)」에서 제안된 방법에 준거하여, 13C-NMR 스펙트럼의 메틸기의 시그널에 의해 측정되는 폴리프로필렌 분자쇄 중의 펜타드 단위에서의 메소 분율, 라세미 분율 및 라세미 메소 라세미 메소 분율이다. 메소 펜타드 분율[mmmm]이 커지면, 입체 규칙성이 높아진다. 또한, 후술하는 트라이아드 분율[mm], [rr] 및 [mr]도 상기 방법에 의해 산출했다.
한편, 13C-NMR 스펙트럼의 측정은, 에이 잠벨리(A. Zambelli) 등에 의해 「Macromolecules, 8, 687(1975)」에서 제안된 피크의 귀속에 따라, 하기의 장치 및 조건으로 행할 수 있다.
장치: 니혼덴시(주)제 JNM-EX400형 13C-NMR 장치,
방법: 프로톤 완전 디커플링법,
농도: 220mg/ml,
용매: 1,2,4-트라이클로로벤젠과 중벤젠의 90:10(용량비) 혼합 용매,
온도: 130℃,
펄스 폭: 45°,
펄스 반복 시간: 4초,
적산: 10000회.
<계산식>
M = m/S×100,
R = γ/S×100,
S = Pββ+ Pαβ+ Pαγ,
S: 전체 프로필렌 단위의 측쇄 메틸 탄소 원자의 시그널 강도,
Pββ: 19.8∼22.5ppm,
Pαβ: 18.0∼17.5ppm,
Pαγ: 17.5∼17.1ppm,
γ: 라세미 펜타드 연쇄: 20.7∼20.3ppm,
m: 메소 펜타드 연쇄: 21.7∼22.5ppm.
(B) [rrrr]/(1-[mmmm]) ≤ 0.1:
[rrrr]/[1-mmmm]의 값은 상기의 펜타드 단위의 분율로부터 구해지고, 본 발명에 따른 저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의 규칙성 분포의 균일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 값이 커지면, 기존 촉매계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종래의 폴리프로필렌과 같이 고규칙성 폴리프로필렌과 어택틱 폴리프로필렌의 혼합물이 되어, 끈적임의 원인이 된다.
저결정성 폴리프로필렌에 있어서, [rrrr]/(1-[mmmm])이 0.1 이하이면, 얻어지는 탄성 부직포에 있어서의 끈적임이 억제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rrrr]/(1-[mmmm])은, 바람직하게는 0.0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4 이하이다.
(c) [rmrm] > 2.5몰%:
저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의 라세미 메소 라세미 메소 분율[rmrm]이 2.5몰%를 초과하는 값이면, 해당 저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의 랜덤성이 증가하고, 탄성 부직포의 탄성 회복성이 더욱 향상된다. [rmrm]은, 바람직하게는 2.6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7몰% 이상이다. 그의 상한은 통상 10몰% 정도이다.
(d) [mm]×[rr]/[mr]2 ≤ 2.0:
[mm]×[rr]/[mr]2는 저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의 랜덤성의 지표를 나타내고, 이 값이 2.0 이하이면, 탄성 부직포는 충분한 탄성 회복성이 얻어지며, 또한 끈적임도 억제된다. [mm]×[rr]/[mr]2는 0.25에 가까울수록 랜덤성이 높아진다. 상기 충분한 탄성 회복성을 얻는 관점에서, [mm]×[rr]/[mr]2는, 바람직하게는 0.25를 초과하고 1.8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5∼1.5이다.
(e) 질량 평균 분자량(Mw) = 10,000∼200,000:
저결정성 폴리프로필렌에 있어서 질량 평균 분자량이 10,000 이상이면, 해당 저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의 점도가 지나치게 낮지 않고 알맞은 것이 되기 때문에, 탄성 부직포 제조 시의 사(絲) 절단이 억제된다. 또한, 질량 평균 분자량이 200,000 이하이면, 상기 저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의 점도가 지나치게 높지 않아, 방사성이 향상된다. 이 질량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30,000∼150,00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0∼150,000이다. 이 질량 평균 분자량의 측정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f) 분자량 분포(Mw/Mn) < 4:
저결정성 폴리프로필렌에 있어서, 분자량 분포(Mw/Mn)가 4 미만이면, 탄성 부직포의 끈적임의 발생이 억제된다. 이 분자량 분포는,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이다. 상기 질량 평균 분자량(Mw)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법에 의해, 하기의 장치 및 조건으로 측정한 폴리스타이렌 환산의 질량 평균 분자량이며, 상기 분자량 분포(Mw/Mn)는, 마찬가지로 해서 측정한 수 평균 분자량(Mn) 및 상기 질량 평균 분자량(Mw)으로부터 산출한 값이다.
<GPC 측정 장치>
컬럼: TOSO GMHHR-H(S)HT,
검출기: 액체 크로마토그램용 RI 검출기 WATERS 150C,
<측정 조건>
용매: 1,2,4-트라이클로로벤젠,
측정 온도: 145℃,
유속: 1.0ml/분,
시료 농도: 2.2mg/ml,
주입량: 160μl,
검량선: Universal Calibration,
해석 프로그램: HT-GPC(Ver. 1.0).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저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은 추가로 이하의 (g)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g) 시차 주사형 열량계(DSC)를 이용하여, 질소 분위기 하 -10℃에서 5분간 유지한 후 10℃/분으로 승온시키는 것에 의해 얻어진 융해 흡열 곡선의 가장 고온측에서 관측되는 피크의 피크 톱(top)으로서 정의되는 융점(Tm-D)이 0∼120℃이다.
저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의 융점(Tm-D)이 0℃ 이상이면, 탄성 부직포의 끈적임의 발생이 억제되고, 120℃ 이하이면, 충분한 탄성 회복성이 얻어진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융점(Tm-D)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0∼100℃이다.
한편, 상기 융점(Tm-D)은 시차 주사형 열량계(퍼킨엘머사제, DSC-7)를 이용하여, 시료 10mg을 질소 분위기 하 -10℃에서 5분간 유지한 후, 10℃/분으로 승온시키는 것에 의해 얻어진 융해 흡열 곡선의 가장 고온측에서 관측되는 피크의 피크 톱으로서 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저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은, 예컨대 WO 2003/087172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이른바 메탈로센 촉매라고 불리는 균일계의 촉매를 이용하여 합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저결정성 폴리프로필렌으로서는, 예컨대 이데미쓰코산주식회사제: 상품명 L-MODU S901 또는 이데미쓰코산주식회사제: 상품명 L-MODU S600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15 이상 21 이하의 지방산 아마이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탄소수 15 이상 21 이하의 지방산 아마이드로서는, 지방산 모노아마이드 화합물, 지방산 다이아마이드 화합물, 포화 지방산 모노아마이드 화합물, 불포화 지방산 다이아마이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의 탄소수란, 분자 중에 포함되는 탄소수를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팔미트산 아마이드(탄소수 16), 스테아르산 아마이드(탄소수 18), 올레산 아마이드(탄소수 18)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복수 조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아마이드를 구성하는 -CONH도 탄소수에 포함시킨다. 지방산 아마이드의 탄소수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19 이하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들 지방산 아마이드 화합물 중에서도, 특히 올레산 아마이드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올레산 아마이드를 사용함으로써, 유연성, 촉감, 강도가 우수한 부직포를 얻을 수 있다.
활제로서는, 상기 지방산 아마이드를 포함하는 것 이외에, 공지된 것을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지방산 화합물, 파라핀 및 탄화수소 수지, 실리콘계 화합물, 실리콘계 중합체, 불소계 화합물,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프로필렌의 공중합체, 바이닐리덴 플루오라이드와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의 공중합체 등의 불소계 중합체 등,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조성물 조성>
본 발명에 따른 스펀본드 부직포의 원료가 되는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은, 융점이 120℃ 이상인 프로필렌계 중합체(A)와 탄소수 15 이상 21 이하의 지방산 아마이드를 필수 성분으로서 포함한다.
융점이 120℃ 미만인 프로필렌계 중합체(B)를 포함하는 경우,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이, 융점이 120℃ 이상인 프로필렌계 중합체(A)와 융점이 120℃ 미만인 프로필렌계 중합체(B)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하여,
융점이 120℃ 이상인 프로필렌계 중합체(A): 70∼99.9중량부,
융점이 120℃ 미만인 프로필렌계 중합체(B): 30∼0.1중량부이며, 나아가서는
융점이 120℃ 이상인 프로필렌계 중합체(A): 75∼99중량부,
융점이 120℃ 미만인 프로필렌계 중합체(B): 25∼1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융점이 120℃ 이상인 프로필렌계 중합체(A): 80∼97중량부,
융점이 120℃ 미만인 프로필렌계 중합체(B): 20∼3중량부이다.
이와 같은 혼합비로 프로필렌계 중합체(A)와 프로필렌계 중합체(B)를 포함하는 것은, 특정한 지방산 아마이드와 조합함으로써, 유연성, 촉감, 강도가 우수한 부직포가 얻어진다.
또한, 프로필렌계 중합체(A)와 프로필렌계 중합체(B)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하여, 탄소수 15 이상 21 이하의 지방산 아마이드: 0.01∼1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5∼0.60중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0.10∼0.40중량부의 범위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과잉으로 지방산 아마이드를 포함하고 있어도, 강도 저하나, 정마찰 계수의 과잉된 저하 등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또한, 지방산 아마이드가 적으면, 유연성이 부족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해서 조제된 조성물의 용융 유량(MFR: ASTM D-1238, 230℃, 하중 2160g)은 통상 1∼150g/10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00g/10분, 더 바람직하게는 30∼90g/10분의 범위에 있다.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의 부직포를 제조함에 있어서는, 미리 프로필렌계 중합체(A) 및 탄소수 15 이상 21 이하의 지방산 아마이드, 및 필요에 따라, 융점이 120℃ 미만인 프로필렌계 중합체(B)를 혼련하여 프로필렌계 중합체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 후에, 이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을 이용하여 방사해서 부직포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은, 각 성분을 상기와 같은 범위에서 여러 가지 공지된 방법, 예컨대 다단 중합법, 헨셸 믹서, V-블렌더, 리본 블렌더, 텀블러 블렌더 등으로 혼합하는 방법, 또는 혼합 후, 일축 압출기, 이축 압출기, 니더, 밴버리 믹서 등으로 용융 혼련 후, 조립(造粒) 또는 분쇄하는 방법을 채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부직포 제법에 따라 성형성을 확보할 목적으로 필요에 따라 분해 촉진제(데그라제(degrading agent))로서 유기 과산화물 등을 첨가해도 된다. 또한 혼합 시에 첨가한 분해 촉진제(데그라제)가 반응하여, 선택되는 부직포 제조법에 따른 유동성이 얻어지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내후성 안정제, 내열 안정제, 슬립 방지제, 블로킹 방지제, 방담제(防曇劑), 안료, 염료, 가소제, 노화 방지제, 염산 흡수제, 산화 방지제, 친수화제 등의 첨가제가 필요에 따라 배합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그 밖의 중합체 등을,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할 수도 있다.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부직포의 제법
상기와 같이 하여 조제된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로부터 스펀본드법으로 부직포를 제조한다. 스펀본드법에 대해서는, 본원 출원인에 의한, 일본 특허공개 2007-46224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2-317372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3-302862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1-355172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직경을 0.1∼100㎛ 정도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부직포에서는, 비교적 가는 섬유(예컨대 10㎛ 이하)와 비교적 굵은 섬유(예컨대 10㎛보다 굵은 것)를 혼합하거나 또는 겹쳐 쌓아 이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부직포를 형성하는 섬유의 길이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스펀본드법에서는 통상 연속 섬유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하여 형성된 섬유에 교락(交絡)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부직포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교락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니들 펀칭, 워터 젯, 초음파 시일 등의 수단에 의한 교락 처리, 또는 열 엠보싱 롤에 의한 열 융착 처리를 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열 엠보싱 롤에 의한 열 융착 처리에 의해 교락을 형성하는 방법이 유리하다. 열 엠보싱 롤에 의한 열 융착 처리의 경우, 엠보싱 롤의 엠보싱 면적률은 적절히 결정되지만, 통상 5∼30%이다.
부직포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부직포는 특정한 조성물로 구성되기 때문에, 정마찰 계수가 0.41∼0.8의 범위에 있다.
한편, 정마찰 계수가 0.41 미만이면, 미끄러짐성이 과도하게 향상되어 생산성이 뒤떨어진다. 또한, 정마찰 계수가 0.8을 초과하면, 얻어지는 부직포의 유연성이 뒤떨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는 매끈매끈한 감과 함께, 폭신폭신한 감도 높고, 보풀이 일어나기 어려우며, 매우 유연성이 우수하다.
부직포의 강연도는 통상 37 이하, 바람직하게는 35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31 이하이다.
본 발명의 부직포는 통상 평량(부직포의 단위 면적당 질량)이 3∼100g/m2, 바람직하게는 7∼60g/m2의 범위에 있다.
본 발명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는, 예컨대 모노컴포넌트형이나, 심초(core-sheath)형, 분할형, 해도(海島)형,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by-side)형의 복합 섬유로 해도 되고, 복합 섬유인 경우에는, 섬유의 일부를 형성하는 수지가 본 발명의 조성물이어도 된다. 또한, 섬유의 단면 형상으로서는, 환형, 각형 등의 여러 가지 공지된 단면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부직포는 2종류 이상의 섬유가 혼합된 것이어도 되고, 이 경우에는, 적어도 1종류의 섬유가 본 발명의 조성물이면 된다.
부직포 적층체
본 발명의 부직포(이하, 통상의 부직포와 구별하기 위해서, 「유연 부직포」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는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의 층과 적층하여 얻는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편포(編布), 직포, 부직포,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유연 부직포와 다른 층을 적층하는(접합하는) 경우에는, 열 엠보싱 가공, 초음파 융착 등의 열 융착법, 니들 펀칭, 워터 젯 등의 기계적 교락법, 핫 멜트 접착제, 우레탄계 접착제 등의 접착제에 의한 방법, 압출 라미네이트 등을 비롯해 여러 가지 공지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유연 부직포와 적층되는 부직포로서는, 스펀본드 부직포, 멜트블로운 부직포, 습식 부직포, 건식 부직포, 건식 펄프 부직포, 플래시 방사 부직포, 개섬(開纖) 부직포 등, 여러 가지 공지된 부직포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부직포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여러 가지 공지된 열가소성 수지, 예컨대, 에틸렌, 프로필렌, 1-뷰텐, 1-헥센, 4-메틸-1-펜텐 및 1-옥텐 등의 α-올레핀의 단독 또는 공중합체인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소위 L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폴리1-뷰텐, 폴리4-메틸-1-펜텐,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에틸렌·1-뷰텐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1-뷰텐 랜덤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터(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뷰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등), 폴리아마이드(나일론-6, 나일론-66, 폴리메타자일렌 아디프아마이드 등), 폴리염화바이닐, 폴리이미드, 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 공중합체,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타이렌, 아이오노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소위 L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마이드 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연 부직포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적층체의 바람직한 태양으로서는, 스펀본드 부직포 및/또는 멜트블로운 부직포의 적층체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펀본드 부직포/유연 부직포, 멜트블로운 부직포/유연 부직포 등의 2층, 유연 부직포/스펀본드 부직포/유연 부직포, 유연 부직포/스펀본드 부직포/멜트블로운 부직포, 스펀본드 부직포/멜트블로운 부직포/유연 부직포, 유연 부직포/멜트블로운 부직포/유연 부직포 등의 3층, 또는 유연 부직포/스펀본드 부직포/멜트블로운 부직포/스펀본드 부직포, 유연 부직포/스펀본드 부직포/멜트블로운 부직포/유연 부직포 등의 4층 이상의 적층체를 들 수 있다. 적층되는 각 층의 부직포의 평량은 2∼25g/m2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극세 섬유로 이루어지는 스펀본드 부직포는 스펀본드법의 제조 조건을 제어(선택)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이러한 부직포 적층체는 본 발명의 유연 부직포의 유연성을 살림과 더불어, 표면의 매끈함이 우수하고, 내수성이나 가공성이 향상된 적층체가 된다.
본 발명의 유연 부직포와 적층되는 필름으로서는, 본 발명의 유연 부직포의 특징인 통기성을 살린 통기성(투습성) 필름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통기성 필름으로서는, 여러 가지 공지된 통기성 필름, 예컨대, 투습성을 갖는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터계 엘라스토머, 폴리아마이드계 엘라스토머 등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필름, 무기 또는 유기 미립자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연신하여 다공화시켜 이루어지는 다공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다공 필름에 이용하는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소위 L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또는 그들의 조성물 등의 폴리올레핀이 바람직하다.
통기성 필름과의 적층체는 본 발명의 유연 부직포의 벌키성(bulkiness), 유연성을 살림과 더불어, 극히 높은 내수성을 갖는, 천과 유사한(cloth-like) 복합 소재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직포는 유연성이 풍부하며, 각종 위생 재료, 일회용 기저귀, 생리 용품, 흡수성 물품, 일회용 마스크, 반창고, 첩포제(貼布劑), 일회용 수술복, 구조 가운 등, 각 의료(醫療)용 필름 또는 시트, 의료 가운, 수술용 캡, 일회용 캡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부직포의 구체적인 용도에 대하여 예를 들어 상세히 기술한다.
흡수성 물품
일회용 기저귀 또는 생리 용품 등의 흡수성 물품은 감촉이나 양호한 촉감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부직포는 우수한 유연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 유연성을 이용하여, 구체적으로는 전개형 일회용 기저귀 또는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에는, 톱시트, 백시트, 허리 밴드(연장 테이프, 사이드 플랩), 고정 테이프, 입체 개더(gather), 다리 커프(cuff), 또한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의 사이드 패널 등의 부위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들 부위에 본 발명품을 사용함으로써, 양호한 촉감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일회용 마스크
일회용 마스크는 일반적으로, 입가 주변 피복부와 상기 피복부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는 귀걸이부로 구성되어 있다. 마스크 착용 중에는, 특히 귀걸이부가 착용자의 안면에 접촉하기 때문에 양호한 촉감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부직포는 양호한 촉감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일회용 마스크의 귀걸이부에 사용함으로써 이들 요구를 만족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반창고, 첩포제
반창고 등에 이용되는 기재에는, 피부에 염증을 일으키지 않기 위한 충분한 통기성, 뻣뻣한 감을 느끼게 하지 않는 유연성이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의 부직포는 유연성을 가짐과 더불어, 통기성을 갖기 때문에, 이들 반창고 등에 이용되는 기재로서 적합하게 사용된다.
일회용 수술복, 구조 가운
일회용 수술복, 구조 가운 등의 팔, 팔꿈치, 어깨, 소매 등 가동 간접부에는 통기성, 유연성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부직포는 통상의 부직포와 마찬가지로 부직포이기 때문에 통기성을 갖고, 게다가 우수한 유연성을 갖기 때문에, 이들 일회용 수술복, 구조 가운 등에 이용되는 소재로서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부직포는 유연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계의 부직포이며, 위생 재료를 비롯하여 부직포로서 여러 가지의 용도에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촉감도 좋고, 매끄러운 감, 폭신폭신한 감도 높으며, 유연성 등이 밸런스 좋게 우수하기 때문에, 기저귀나 생리대에 있어서는 신체의 움직임에 추종한 유지성이 얻어지고, 더욱이 부직포이므로 통기성이 좋기 때문에 특히 우수한 성능을 부여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의 물성값 등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했다.
(1) 평량〔g/m2
부직포로부터 100mm(MD)×100mm(CD)의 시험편을 5점 채취했다. 한편, 채취 장소는 임의의 5개소로 했다. 이어서, 채취한 각 시험편에 대하여 윗접시 전자 천칭(겐세이공업사제)을 이용하여, 각각 질량(g)을 측정했다. 각 시험편의 질량의 평균값을 구했다. 구한 평균값으로부터 1m2당 질량(g)으로 환산하고, 소수점 둘째자리수를 반올림하여 각 부직포 샘플의 평량〔g/m2〕으로 했다.
(2) 두께〔㎛〕
부직포로부터 100mm(MD)×100mm(CD)의 시험편을 5점 채취했다. 한편, 채취 장소는 임의의 3개소로 했다. 이어서, 채취한 각 시험편에 대하여 하중형 두께계(오자키제작소사제)를 이용하여, JIS L 1096에 기재된 방법으로 두께〔㎛〕를 측정했다. 각 시험편의 두께의 평균값을 구하고, 소수점 첫째자리수를 반올림하여 각 부직포 샘플의 두께〔㎛〕로 했다.
(3) 섬유 직경〔㎛〕
부직포로부터 10mm(MD)×10mm(CD)의 시험편을 5점 채취했다. 한편, 채취 장소는 임의의 1개소로 했다. 이어서, 시험편을 광학 현미경을 이용해 배율 200배로 촬영하여, 그 화상을 화상 치수 계측 소프트웨어(이노테크사제: Pixs2000 Version 2.0)에 의해 해석했다. 각 시험편에 대하여 10개의 섬유 직경을 측정하여, 각 시험편의 섬유 직경의 평균값을 구하고, 소수점 둘째자리수를 반올림하여 각 부직포 샘플의 섬유 직경〔㎛〕으로 했다.
(4) LC값〔-〕<유연성의 평가>
부직포로부터 150mm(MD)×150mm(CD)의 시험편을 2점 채취했다. 한편, 채취 장소는 임의의 2개소로 했다. 이어서, 시험편을 가토테크(주)제의 KES-FB 시스템에 의해, 측정 조건으로서 니트 고감도 조건에서 압축 시험을 행하여, LC값〔-〕을 측정했다. 각 시험편의 LC값의 평균값을 구하고, 소수점 셋째자리수를 반올림하여 각 부직포 샘플의 LC값〔-〕으로 했다. LC값은 그 수치가 작을수록, 두께당 초기 압축 일(work)이 작고, 유연성이 우수한 것을 나타낸다.
(5) 정마찰 계수〔-〕<표면 특성의 평가>
부직포로부터 300mm(MD)×100mm(CD)의 시험편과 100mm(MD)×100mm(CD)의 시험편을 각 3점 채취했다. 한편, 채취 장소는 임의의 각 3개소(계 6개소)로 했다. 이어서, JIS K 7125에 준거하여 100mm(MD)×100mm(CD)의 시험편을 엠보싱면이 외측이 되도록 미끄럼편에 부착하고, 300mm(MD)×100mm(CD)의 시험편을 엠보싱면이 마찰되도록 시험 테이블에 부착하여, 양 시험편의 엠보싱면끼리의 정마찰 계수〔-〕를 측정했다. 각 시험편의 정마찰 계수의 평균값을 구하고, 소수점 셋째자리수를 반올림하여 각 부직포 샘플의 정마찰 계수〔-〕로 했다.
(6) CD 강도〔N/25mm〕
부직포로부터 25mm(MD)×200mm(CD)의 CD 시험편을 각 5점 채취했다. 한편, 채취 장소는 임의의 5개소로 했다. 이어서, 채취한 각 시험편을 만능 인장 시험기(인테스코사제, IM-201형)를 이용하여, 척간 100mm, 인장 속도 100mm/min의 조건에서 잡아당겨, 최대 하중〔N〕을 측정했다. 각 시험편의 CD 강도의 평균값을 구하고, 소수점 둘째자리수를 반올림하여 각 부직포 샘플의 CD 강도〔N/25mm〕로 했다.
(7) 보풀 발생〔점〕
부직포로부터 150mm(MD)×150mm(CD)의 CD 시험편을 각 2점 채취했다. 한편, 채취 장소는 임의의 2개소로 했다. 이어서, 채취한 각 시험편을 학진(學振)형 마찰 견뢰도 시험기(다이에이과학정기제작소사제, 신형 NR-100)를 이용하여, JIS L 0849의 마찰 견뢰도 시험법에 준거해서 마찰 시험을 행했다. 한편, 마찰자측에는 천 테이프(데라오카제작소사제, No. 1532)를 부착하고, 하중 300g을 건 상태에서, 비엠보싱면을 MD 방향으로 50회 왕복시켜 문지르고, 각 시험편에 있어서의 피마찰면의 보풀 발생 상태를 이하의 기준으로 등급 매겨, 등급이 나쁜 쪽을 각 부직포 샘플의 보풀 발생〔점〕으로 했다.
1급: 시험편이 파손될 정도로 섬유가 벗겨진다.
2급: 시험편이 얇아질 정도로 심하게 섬유가 벗겨진다.
2.5급: 보풀 뭉치가 크고 분명하게 보이며, 복수 개소에서 섬유가 들뜨기 시작한다.
3급: 뚜렷한 보풀 뭉치가 생기기 시작하거나, 또는 작은 보풀 뭉치가 복수 보인다.
3.5급: 1개소에 작은 보풀 뭉치가 생기기 시작할 정도로 보풀이 일어나 있다.
4급: 보풀 발생이 없다.
(8) 촉감
패널리스트 20명이 부직포의 손에 닿는 촉감을 확인하여, 하기 기준으로 평가했다.
A: 20명 중 20명이 부드럽다고 느낀 경우.
B: 20명 중 19∼15명이 부드럽다고 느낀 경우.
C: 20명 중 14∼10명이 부드럽다고 느낀 경우.
D: 20명 중 9∼5명이 부드럽다고 느낀 경우.
E: 20명 중 4∼0인이 부드럽다고 느낀 경우.
(9) 강연도(캔틸레버법)
JIS 1096의 8.19.1[A법(45° 캔틸레버법)]에 준거했다.
시료로부터, 2cm×15cm의 시험편을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각각 5장 채취했다. 한쪽 끝이 45도의 사면을 가지는 표면이 매끄러운 수평대 상에 시험편의 짧은 변을 스케일 기준선에 맞춰 두었다. 다음으로, 적당한 방법에 의해서 시험편을 사면의 방향으로 완만하게 미끄러뜨리고, 시험편의 한쪽 끝의 중앙점이 사면과 접했을 때 다른 쪽 끝의 위치를 스케일에 의해서 읽었다. 강연도는 시험편이 이동한 길이(mm)로 나타내며, 각각 5장을 측정하여, 세로 방향(MD) 및 가로 방향(CD) 각각의 평균값을 구하고, 이하의 식을 이용해서 얻어지는 수치를, 소수점 둘째자리수를 반올림하여 산출했다.
강연도 = {(MD의 평균값^2 + CD의 평균값^2)/2}^(1/2)
[실시예 1]
결정성 PP(주식회사프라임폴리머사제: 상품명 프라임 폴리프로 S119; 융점: 156℃, MFR(ASTM D1238에 준거하여, 온도 230℃, 하중 2.16kg에서 측정): 62g/10분. 이하, 「A1」이라고 약기한다): 100중량부에 대하여 올레산 아마이드(이하, 「C1」이라고 약기한다)를 0.15중량부 첨가해 이루어지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스펀본드법에 의해 용융 방사를 행했다.
압출기에는 단축 스크류 압출기를 이용하고, 수지 온도와 다이 온도를 모두 220℃, 냉풍 온도를 20℃로 했다. 그때, 방사 속도는 2750m/분이었다.
용융 방사에 의해 얻어진 장섬유를 포집면 상에 퇴적하여 부직포로 한 후, 포집면으로부터 박리시키고, 엠보싱 패턴은 면적률 6.7%, 엠보싱 면적 0.19mm2이며, 가열 온도 130℃, 선압 60kg/cm 조건의 가열 엠보싱으로 열 접착하여, 스펀본드 부직포를 얻었다. 얻어진 스펀본드 부직포의 평량은 13.8g/m2였다. 얻어진 스펀본드 부직포를 상기 기재의 방법으로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C1을 0.30중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스펀본드 부직포를 채취하여, 상기 기재의 방법으로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A1: 90중량부와, 프로필렌 중합체(이데미쓰코산주식회사제: 상품명 L-MODU S901; 융점: 75℃, MFR(ASTM D1238에 준거하여, 온도 230℃, 하중 2.16kg에서 측정): 80g/10분. 이하, 「B1」이라고 약기한다): 10중량부를 혼합한 후, A1/B1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C1을 0.30중량부 첨가해 이루어지는 조성물을 이용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스펀본드 부직포를 채취하여, 상기 기재의 방법으로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4]
A1과 B1의 혼합비를 80중량부:20중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스펀본드 부직포를 채취하여, 상기 기재의 방법으로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5]
A1: 90중량부와, 프로필렌 중합체(이데미쓰코산주식회사제: 상품명 L-MODU S600; 융점: 70℃, MFR(ASTM D1238에 준거하여, 온도 230℃, 하중 2.16kg에서 측정): 300g/10분. 이하, 「B2」라고 약기한다): 10중량부를 혼합한 후, A1/B2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C1을 0.30중량부 첨가해 이루어지는 조성물을 이용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스펀본드 부직포를 채취하여, 상기 기재의 방법으로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6]
A1: 90중량부와, 프로필렌계 중합체(미쓰이화학주식회사제: 상품명 타프머 XM-7070; 융점: 75℃, MFR(ASTM D1238에 준거하여, 온도 230℃, 하중 2.16kg에서 측정): 7g/10분. 이하, 「B3」이라고 약기한다): 10중량부를 혼합한 후, A1/B3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C1을 0.30중량부 첨가해 이루어지는 조성물을 이용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스펀본드 부직포를 채취하여, 상기 기재의 방법으로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7]
A1과 B3의 혼합비를 80중량부:20중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스펀본드 부직포를 채취하여, 상기 기재의 방법으로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8]
A1: 80중량부와, 프로필렌 중합체(Exxon Mobil사제: 상품명 Vistamaxx VM2125; 융점: 160℃, MFR(ASTM D1238에 준거하여, 온도 230℃, 하중 2.16kg에서 측정): 60g/10분. 이하, 「A2」라고 약기한다): 20중량부를 혼합한 후, A1/A2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C1을 0.30중량부 첨가해 이루어지는 조성물을 이용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스펀본드 부직포를 채취하여, 상기 기재의 방법으로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1]
A1 100중량부에 대하여 에루크산 아마이드(이하, 「C2」라고 약기한다)를 0.15중량부 첨가해 이루어지는 조성물을 이용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스펀본드 부직포를 채취하여, 상기 기재의 방법으로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2]
C2를 0.30중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스펀본드 부직포를 채취하여, 상기 기재의 방법으로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3]
C2를 0.45중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스펀본드 부직포를 채취하여, 상기 기재의 방법으로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4]
A1: 90중량부와 B1: 10중량부를 혼합한 후, A1/B1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C2를 0.30중량부 첨가해 이루어지는 조성물을 이용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스펀본드 부직포를 채취하여, 상기 기재의 방법으로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5]
비교예 4에서 이용한 B1을 B2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4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스펀본드 부직포를 채취하여, 상기 기재의 방법으로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6]
비교예 4에서 이용한 B1을 B3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4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스펀본드 부직포를 채취하여, 상기 기재의 방법으로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112015031436445-pct00004
Figure 112015031436445-pct00005
Figure 112015031436445-pct00006
이상의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는 촉감이 우수하고, 보풀이 일어나기 어려우며, 정마찰 계수와 강도가 밸런스 좋게 우수하고, 유연성, 강연도도 우수하다는 결과가 얻어졌다.
본 발명의 스펀본드 부직포는, 예컨대 일회용 기저귀, 생리 용품, 위생 제품, 의료(衣料) 소재, 붕대, 포장재 등의 각종 섬유 제품에 적합하게 이용된다.

Claims (12)

  1. 융점이 120℃ 이상인 프로필렌계 중합체(A)와, 융점이 120℃ 미만인 프로필렌계 중합체(B)와, 탄소수 15 이상 21 이하의 지방산 아마이드를 포함하는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스펀본드 부직포로서,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은, 융점이 120℃ 이상인 프로필렌계 중합체(A)와 융점이 120℃ 미만인 프로필렌계 중합체(B)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하여,
    융점이 120℃ 이상인 프로필렌계 중합체(A): 70∼99.9중량부,
    융점이 120℃ 미만인 프로필렌계 중합체(B): 30∼0.1중량부이며,
    탄소수 15 이상 21 이하의 지방산 아마이드: 0.01∼1중량부의 범위에 있는,
    스펀본드 부직포.
  2. 제 1 항에 있어서,
    탄소수 15 이상 21 이하의 지방산 아마이드가 올레산 아마이드인 스펀본드 부직포.
  3. 제 1 항에 있어서,
    융점이 120℃ 미만인 프로필렌계 중합체(B)가,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프로필렌과 탄소수 4∼20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랜덤 공중합체인 스펀본드 부직포.
  4. 제 3 항에 있어서,
    융점이 120℃ 미만인 프로필렌계 중합체(B)가, 프로필렌과 탄소수 4∼20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랜덤 공중합체인 스펀본드 부직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 중의 α-올레핀 함량이 0.1몰% 이상 90몰% 미만인 스펀본드 부직포.
  6. 제 3 항에 있어서,
    융점이 120℃ 미만인 프로필렌계 중합체(B)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 단독중합체가, 이하의 (A)∼(f)를 만족시키는 저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인 스펀본드 부직포;
    (A) [mmmm] = 20∼60몰%
    (B) [rrrr]/(1-[mmmm]) ≤ 0.1
    (c) [rmrm] > 2.5몰%
    (d) [mm]×[rr]/[mr]2 ≤ 2.0
    (e) 질량 평균 분자량(Mw) = 10,000∼200,000
    (f) 분자량 분포(Mw/Mn) < 4
  7. 제 1 항에 있어서,
    융점이 120℃ 미만인 프로필렌계 중합체(B)가, 이하의 (A)∼(f)를 만족시키는 저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인 스펀본드 부직포;
    (A) [mmmm] = 20∼60몰%
    (B) [rrrr]/(1-[mmmm]) ≤ 0.1
    (c) [rmrm] > 2.5몰%
    (d) [mm]×[rr]/[mr]2 ≤ 2.0
    (e) 질량 평균 분자량(Mw) = 10,000∼200,000
    (f) 분자량 분포(Mw/Mn) < 4
  8. 제 1 항에 있어서,
    융점이 120℃ 이상인 프로필렌계 중합체(A)가,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프로필렌과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랜덤 공중합체인 스펀본드 부직포.
  9. 제 1 항에 있어서,
    융점이 120℃ 이상인 프로필렌계 중합체(A)로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와, 프로필렌과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랜덤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스펀본드 부직포.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펀본드 부직포를 포함하는 부직포 적층체.
  11.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펀본드 부직포를 이용한 흡수 물품.
  12. 삭제
KR1020157008202A 2012-09-27 2013-09-26 스펀본드 부직포 KR1017204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13925 2012-09-27
JP2012213925 2012-09-27
PCT/JP2013/076061 WO2014050965A1 (ja) 2012-09-27 2013-09-26 スパンボンド不織布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6334A KR20150046334A (ko) 2015-04-29
KR101720442B1 true KR101720442B1 (ko) 2017-03-27

Family

ID=50388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8202A KR101720442B1 (ko) 2012-09-27 2013-09-26 스펀본드 부직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50233031A1 (ko)
EP (1) EP2902538B1 (ko)
JP (1) JP5931207B2 (ko)
KR (1) KR101720442B1 (ko)
CN (1) CN104662218B (ko)
DK (1) DK2902538T3 (ko)
MY (1) MY180806A (ko)
TW (1) TWI601858B (ko)
WO (1) WO20140509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40061A1 (en) * 2015-01-02 2016-07-06 Fitesa Germany GmbH Nonwoven fabric and process for forming the same
WO2017006972A1 (ja) * 2015-07-06 2017-01-12 三井化学株式会社 スパンボンド不織布及び衛生材料
EP3393286A1 (en) * 2015-12-23 2018-10-31 O&M Halyard International Unlimited Company Facemasks with material layers for enhanced bonding process
JP6715056B2 (ja) * 2016-03-30 2020-07-01 三井化学株式会社 スパンボンド不織布および衛生材料
BR112018000199B1 (pt) 2016-05-04 2022-11-01 O&M Halyard International Unlimited Company Avental cirúrgico descartável
MX2019000612A (es) 2016-07-29 2019-07-04 O&M Halyard Int Unlimited Co Collar para batas quirurgicas desechables.
CN109983167A (zh) * 2016-12-09 2019-07-05 博里利斯股份公司 多层非织造结构
CN107904686A (zh) * 2017-11-13 2018-04-13 肇庆市高要区精彩塑胶原料有限公司 蓬松的无纺布或纤维专用的添加剂及其制备方法和无纺布
KR102398859B1 (ko) 2018-01-24 2022-05-17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스펀본드 부직포, 위생 재료, 및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 방법
KR102036763B1 (ko) * 2018-04-17 2019-11-26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권축형 복합섬유의 부직포와 그의 적층체, 및 물품
CA3110016A1 (en) 2018-08-24 2020-02-27 O&M Halyard, Inc. Personal protection and ventilation system
EP3840602B1 (en) 2018-08-24 2023-10-11 O&M Halyard, Inc. Personal protection and ventilation system
JP2020076178A (ja) * 2018-11-09 2020-05-21 出光興産株式会社 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JP6557440B1 (ja) * 2019-01-25 2019-08-07 三井化学株式会社 スパンボンド不織布、スパンボンド不織布の製造方法、エンボスロール
EP3901346B1 (en) 2019-01-30 2023-05-10 Mitsui Chemicals, Inc. Spunbonded non-woven fabric, sanitary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punbonded non-woven fabric
US20220243372A1 (en) * 2019-06-04 2022-08-04 Mitsui Chemicals, Inc. Melt-blown nonwoven fabric, filt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elt-blown nonwoven fabric
CN111204084B (zh) * 2019-12-05 2022-02-15 苏州羽燕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tpu/非织造布弹性层压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US20240115432A1 (en) * 2021-06-30 2024-04-11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Nonwoven Fabric, Use of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Nonwoven Fabric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5828A (ja) * 2000-10-04 2002-04-10 Grand Polymer Co Ltd 柔軟性不織布用ポリプロピレン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88949A (en) * 1973-06-21 1975-06-10 Du Pont Blends of propylene-alpha-olefin copolymers and polypropylene
JP3398976B2 (ja) 1991-08-08 2003-04-21 宇部興産株式会社 樹脂組成物
JPH08246232A (ja) * 1995-03-13 1996-09-24 Showa Denko Kk ポリプロピレン系熱融着繊維および不織布
JP2001226865A (ja) 2000-02-10 2001-08-21 Idemitsu Unitech Co Ltd 不織布、その製造方法および衛生材料
JP2001355172A (ja) 2000-06-09 2001-12-26 Mitsui Chemicals Inc スパンボンド不織布
JP2002069820A (ja) 2000-06-13 2002-03-08 Idemitsu Unitech Co Ltd スパンボンド不織布および吸収性物品
AU2001264259A1 (en) * 2000-06-13 2001-12-24 Idemitsu Unitech Co., Ltd. Spunbonded nonwoven fabric and absorbent article
US6740609B1 (en) * 2000-08-15 2004-05-25 Polymer Group, Inc. Soft polypropylene melt spun nonwoven fabric
JP4507389B2 (ja) 2000-11-10 2010-07-21 チッソ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系繊維とこれを用いた不織布及び吸収性物品
KR100701553B1 (ko) * 2001-01-29 2007-03-30 미쯔이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권축 섬유 부직포 및 그의 적층체
JP3883818B2 (ja) 2001-04-20 2007-02-21 三井化学株式会社 不織布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3773462B2 (ja) 2002-04-09 2006-05-10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WO2003087172A1 (en) 2002-04-12 2003-10-23 Idemitsu Petrochemical Co., Ltd. Process for production of modified propylene polymers and modified propylene polymers produced by the process
JP2005126858A (ja) 2003-10-24 2005-05-19 Sumitomo Chemical Co Ltd ポリプロピレン系繊維
WO2006051708A1 (ja) * 2004-11-11 2006-05-18 Idemitsu Kosan Co., Ltd. ポリプロピレン樹脂、繊維及び不織布
EP2518194B1 (en) * 2004-11-26 2020-01-01 Mitsui Chemicals, Inc. Mixed fibre nonwoven fabric and use thereof
ATE467658T1 (de) * 2004-12-17 2010-05-15 Exxonmobil Chem Patents Inc Homogenes polymerblend und artikel daraus
JP2009538394A (ja) * 2006-05-25 2009-11-05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柔軟性及び伸張性ポリプロピレンベースのスパンボンド不織布
JP4271226B2 (ja) 2006-10-20 2009-06-03 三井化学株式会社 不織布の製造方法及び装置
US8501646B2 (en) * 2007-03-02 2013-08-06 Mitsui Chemicals, Inc. Non-woven fabric laminate
JP5406021B2 (ja) * 2007-05-08 2014-02-05 三井化学株式会社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の架橋体および該架橋体の製造方法、ならびに該架橋体からなる架橋成形体
US9523161B2 (en) * 2007-06-26 2016-12-20 Idemitsu Kosan Co., Ltd. Elastic nonwoven fabric,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textile product comprising the elastic nonwoven fabric
BRPI0812613A2 (pt) * 2007-07-09 2019-02-19 Dow Global Technologies Inc fibra adequada para artigos têxteis, composição adequada para fibras e pano
CN102131973B (zh) * 2008-08-25 2014-06-11 三井化学株式会社 纤维、非织造布及其用途
JP2010168713A (ja) * 2008-12-24 2010-08-05 Idemitsu Kosan Co Ltd 弾性不織布、その製造方法及び繊維製品
DE202010010275U1 (de) 2010-07-15 2011-12-20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Elektrisches Kontaktteil
US20130239283A1 (en) * 2010-11-25 2013-09-19 Mitsui Chemicals, Inc. Spunbonded nonwoven fabric-laminated multilayer structure
MY165729A (en) * 2011-05-11 2018-04-20 Mitsui Chemicals Inc Crimped Conjugated Fiber and Non-Woven Fabric Comprising the Fib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5828A (ja) * 2000-10-04 2002-04-10 Grand Polymer Co Ltd 柔軟性不織布用ポリプロピレン
JP4212764B2 (ja) 2000-10-04 2009-01-21 株式会社プライムポリマー ポリプロピレン製不織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01858B (zh) 2017-10-11
WO2014050965A1 (ja) 2014-04-03
DK2902538T3 (en) 2018-04-30
EP2902538A1 (en) 2015-08-05
EP2902538A4 (en) 2016-06-29
MY180806A (en) 2020-12-09
JP5931207B2 (ja) 2016-06-08
US20150233031A1 (en) 2015-08-20
EP2902538B1 (en) 2018-03-07
CN104662218A (zh) 2015-05-27
JPWO2014050965A1 (ja) 2016-08-22
KR20150046334A (ko) 2015-04-29
TW201416504A (zh) 2014-05-01
CN104662218B (zh) 2017-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0442B1 (ko) 스펀본드 부직포
KR101581518B1 (ko) 권축 복합 섬유, 및 당해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
EP2916792B1 (en) Article(s) with soft nonwoven web
KR101551554B1 (ko) 부직포 적층체
US7902093B2 (en) Elastomeric nonwovens
KR100372575B1 (ko) 폴리에틸렌 부직포 및 그로부터 된 부직포 적층체
KR20080099303A (ko) 부직포 적층체, 부직포 적층체를 이용한 투습성 부직포 적층 시트 및 그들을 이용한 위생 용품
JP2009504933A (ja) プロピレンをベースとしたメルトブローン不織層および複合構造
CN109640909B (zh) 纺粘无纺布、片材和吸收性物品
EP2732963A1 (en) Extrusion coated textile laminate with improved peel strength
JP2019501304A (ja) 二成分フィラメント
JP7308223B2 (ja) 不織布積層体、並びに、伸縮性不織布積層体、繊維製品、吸収性物品及び衛生マスク
KR101629626B1 (ko) 부직포 적층체 및 위생 재료
KR102500062B1 (ko) 스펀본드 부직포, 위생 재료, 및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 방법
WO2024128229A1 (ja) 不織布積層体、伸縮性不織布積層体、繊維製品、吸収性物品、マスク及びハップ材
US20040028878A1 (en) Melt-blown nonwoven fabr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Z031 Request for patent cancellation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introduced on 1 march 2017]

Free format text: CASE NUMBER: 2017106000033

Z072 Maintenance of patent after cancellation proceedings: certified copy of decision transmitted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
Z131 Decision taken on request for patent cancellation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