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7931B1 -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7931B1
KR101717931B1 KR1020100096072A KR20100096072A KR101717931B1 KR 101717931 B1 KR101717931 B1 KR 101717931B1 KR 1020100096072 A KR1020100096072 A KR 1020100096072A KR 20100096072 A KR20100096072 A KR 20100096072A KR 101717931 B1 KR101717931 B1 KR 101717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ubstrate
source unit
light sourc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6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4478A (ko
Inventor
조주완
최성식
이용우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6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7931B1/ko
Priority to US13/192,370 priority patent/US8602627B2/en
Priority to EP11177847.8A priority patent/EP2437105B1/en
Priority to CN201110295846.9A priority patent/CN102444841B/zh
Priority to JP2011219023A priority patent/JP5888923B2/ja
Publication of KR20120034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4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7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7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Front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2Mechanical guidance or alignment of LCD panel support compon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4Light-guides, e.g. fibre-optic bundles, louvered or jalousie light-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8Direct backlight including particular frames or suppor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28Illuminating devices with cool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6Fix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6Fixing elements
    • G02F2201/465Snap -f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광원 유닛, 지지부, 도광판, 및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광원 유닛은 기판과, 기판의 전면에 제공되며 광을 출사하는 복수의 광원을 갖는다. 지지부는 광원 유닛을 지지한다. 도광판은 전면에 대향하여 구비되며 광이 입사되는 입광면과 입광면에 연결되며 광이 출사되는 출광면을 갖는다. 표시 패널은 도광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제공받아 영상을 표시한다.

Description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BACK LIGHT ASSEMBLY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나 전기 영동 표시 장치와 같은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로서 액정 표시 패널이나 전기영동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표시 패널들은 자체적으로 발광하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표시 패널들에 광을 공급하기 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필요로 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다수의 광원을 포함한다. 일반적인 표시 장치에서는 상기 광원으로서 CCFL(cold cathode fluorescence lamp)를 사용한다. 그러나 최근 CCFL에 비해 저전력, 경량화, 및 슬림화를 구현할 수 있는 LED(light emitting diode)를 광원으로서 사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암점 등의 불량을 감소시키고 방열 효과를 증가시킨 체결 구조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가지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표시 장치는 광원 유닛, 지지부, 도광판, 및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광원 유닛은 기판과, 상기 기판의 전면에 제공되며 광을 출사하는 복수의 광원을 갖는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광원 유닛을 지지한다. 상기 도광판은 상기 전면에 대향하여 구비되며 상기 광이 입사되는 입광면과 상기 입광면에 연결되며 상기 광이 출사되는 출광면을 갖는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도광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제공받아 영상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광원 유닛의 배면과 접촉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측 일단로부터 상기 출광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 상에 제공되며 일 면이 상기 기판과 접촉하는 돌출부, 및 상기 본체에 체결되며 상기 기판의 상부를 커버하고 상기 기판을 상기 기저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덮개부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의 상기 일 면은 상기 기판의 전면에 대해 경사진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기판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또는 복수로 제공되어 상기 기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는 판상으로 제공되며 상기 본체의 상부와 접촉하는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며 일 면이 상기 기판과 접촉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을 상기 본체에 결합시키는 결합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 부재는 나사, 후크, 또는 탄성 클립일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지지부의 적어도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표시 패널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몰드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몰드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광원 유닛,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도광판을 그 내부에 수납하는 보텀 샤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 상기 기저부, 및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보텀 샤시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는 암점 등의 불량을 감소되고 방열 효과가 증대되어 표시 품질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에 있어서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는 도 5의 II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는 도 7의 IV-IV'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에 있어서 I-I'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도 1의 표시 장치가 조립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20), 몰드 프레임(140), 백라이트 어셈블리(BA), 보텀 샤시(180), 및 탑 샤시(110)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120)은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표시 패널(120)은 수광형 표시 패널로서, 액정 표시 패널 (liquid crystal display panel)이나 전기영동 표시 패널(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등의 다양한 표시 패널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액정 표시 패널을 예로서 설명한다.
상기 표시 패널(120)은 장변과 단변을 가지는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마련된다. 상기 표시 패널(120)은 제1 기판(124)과, 상기 제1 기판(124)에 대향되는 제2 기판(122), 및 상기 제1 기판(124)과 상기 제2 기판(122)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기판(124)은 다수의 화소 전극들(미도시) 및 상기 화소 전극들과 일대일 대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미도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박막 트랜지스터는 대응하는 화소 전극 측으로 제공되는 구동신호를 스위칭한다. 또한, 상기 제2 기판(122)은 상기 화소 전극들과 함께 상기 액정의 배열을 제어하는 전계를 형성하는 공통전극(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20)은 상기 액정층을 구동하여 전방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몰드 프레임(140)은 상기 표시 패널(120)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공되어 상기 표시 패널(120)의 하부에서 상기 표시 패널(120)을 지지한다. 상기 몰드 프레임(140)은 대략적으로 사각의 고리 형상을 갖는다. 상기 몰드 프레임(140)은 도면에서와 같이 단일 개수로 형성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복수로 형성되어 조립될 수 있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BA)는 상기 표시 패널(120)에 광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표시 패널(120)의 하부에 제공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BA)는 광원부(160, 170), 도광판(150), 광학 시트(130), 반사 시트(155)를 포함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BA)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탑 샤시(110)는 상기 표시 패널(120)의 상부에 제공된다. 상기 탑 샤시(110)는 상기 표시 패널(120)의 전면 가장자리를 지지하며, 상기 몰드 프레임(140)의 측면 또는 상기 보텀 샤시(180)의 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탑 샤시(110)에는 상기 표시 패널(120)의 표시 영역을 노출시키는 표시창(1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텀 샤시(180)는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BA) 하부에 제공되어,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BA)의 구성 요소들을 수납한다. 상기 보텀 샤시(180)는 상기 반사 시트(155)의 하부에 상기 반사 시트(155)의 배면에 평행한 바닥부(181)와, 상기 바닥부(181)로부터 상방 절곡되어 연장된 측벽부(18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181)와 상기 측벽부(183)로 이루어진 공간에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BA)가 수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백라이트 어셈블리(BA)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BA)는 광을 출사하는 광원부(160, 170), 상기 광을 상기 표시 패널(120) 방향으로 인도하는 도광판(150), 상기 광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광학 시트(130), 상기 광의 진행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반사 시트(155)를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 광이 광원부로부터 출사되어 진행하는 방향을 제1 방향(D1), 상기 보텀 샤시(180)의 상면에 평행하고 상기 제1 방향(D1)에 수직한 어느 한 방향을 제2 방향(D2), 상기 제1 방향(D1) 및 상기 제2 방향(D2)에 수직한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제3 방향(D3)이라고 한다. 여기서 상기 제3 방향(D3)은 상기 반사 시트(155)으로부터 상기 표시 패널(120) 쪽으로 향하는 방향이다.
상기 광원부는 상기 제1 방향(D1)으로 진행하는 광을 상기 도광판(150)에 제공한다. 상기 광원부는 상기 도광판(150)에 광을 제공하는 광원 유닛(160)과, 상기 광원 유닛(160)을 지지하고 고정하는 지지부(170)를 포함한다.
상기 도광판(150)은 직육면체 형상의 판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표시 패널(120)의 하부에 위치한다. 상기 도광판(150)의 면들 중 서로 대향하며 가장 넓은 두 면이 상기 표시 패널(120)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도광판(150)은 상기 광을 상기 표시 패널(120) 방향으로 가이드한다. 상기 도광판(150)은 상기 광이 입사하는 입광면(151A)과 상기 광이 출사하는 출광면(151B)을 갖는다. 상기 입광면(151A)은 상기 광원 유닛(160)의 전면에 대향하는 면이다. 상기 광원 유닛(160)이 상기 도광판(150)의 가장 넓은 두 면을 잇는 측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향하여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면이 입광면(151A)이 된다. 상기 광원 유닛(160)에서 출사된 광이 상기 입광면(151A)을 통해 상기 도광판(150)의 내부로 입사한다. 상기 출광면(151B)은 상기 표시 패널(120)에 대향하는 면이다. 상기 도광판(150)의 내부로 입사된 광은 상기 출광면(151B)을 통해 상기 표시 패널(120) 방향으로 출사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는 상기 입광면(151A)과 상기 출광면(151B)이 서로 연결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입광면(151A)과 출광면(151B)의 배치는 광원 유닛(160)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만약, 광원 유닛(160)이 상기 도광판(150) 및 상기 표시 패널(120)의 하부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입광면(151A)과 출광면(151B)이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는 입광면(151A)이 1개인 경우만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도광판(150)의 측면을 따라 복수 개의 광원 유닛(160)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복수 개의 입광면(151A)이 존재한다. 상기 도광판(150)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등의 투명한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질 있다.
상기 광학 시트(130)는 상기 도광판(150)과 상기 표시 패널(120) 사이에 제공된다. 상기 광학 시트(130)는 상기 광원 유닛(160)으로부터 나온 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광학 시트(130)는 상기 도광판(150)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확산 시트(136), 프리즘 시트(134) 및 보호 시트(132)를 포함한다. 상기 확산 시트(136)는 상기 광을 확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프리즘 시트(134)는 상기 확산 시트(136)에서 확산된 빛을 상부의 표시 패널(120)의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집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프리즘 시트(134)를 통과한 빛은 거의 대부분 상기 표시 패널(120)에 수직하게 입사된다. 상기 보호 시트(132)는 상기 프리즘 시트(134) 상에 위치한다. 상기 보호 시트(132)는 상기 프리즘 시트(134)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광학 시트(130)가 상기 확산 시트(136), 상기 프리즘 시트(134), 및 상기 보호 시트(132)가 한 매씩 구비된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광학 시트(130)는 상기 확산시트(136), 상기 프리즘 시트(134), 및 상기 보호 시트(1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복수 매 겹쳐서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어느 하나의 시트를 생략할 수도 있다.
상기 반사 시트(155)는 상기 표시 패널(120) 방향으로 제공되지 않고 누설되는 광을 반사시켜 상기 표시 패널(120) 방향으로 광의 경로를 변경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도광판(150)의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반사 시트(155)는 광을 반사하는 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반사 시트(155)는 상기 보텀 샤시(180) 상에 구비되어 상기 광을 반사시킨다. 그 결과, 상기 반사 시트(155)는 상기 표시 패널(120) 측으로 제공되는 광의 양을 증가시킨다.
상기 광원부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광원 유닛(160)은 기판(161)과 복수의 광원(163)을 포함한다. 상기 기판(161)은 제2 방향(D2)으로 길게 연장된 직사각 형상의 판상을 가진다. 상기 기판(161)의 전면은 상기 도광판(150)의 입광면(151A)에 대향하며 소정 간격 이격된다. 상기 도광판(150)으로부터 이격된 상기 기판(161)의 전면에는 광원들(163)이 실장된다. 상기 광원들(163)은 점광원, 선광원, 또는 면광원 등이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일 예로서 LED(light emitting diode)를 점광원으로서 사용한 것을 도시하였다. 상기 LED는 복수 개로 제공되며 상기 기판(161) 상에 상기 제2 방향(D2)을 따라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70)는 상기 광원 유닛(160)을 지지하고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광원 유닛(160)에 인접하여 제공된다.
상기 지지부(170)는 본체(171), 기저부(173), 돌출부(175), 및 덮개부(177)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71)는 상기 입광면(151A)과 평행한 전면 및 상기 전면에 대향하는 배면을 가진다. 상기 본체(171)는 상기 기판(161)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며, 상기 본체(171)의 전면은 상기 기판(161)의 배면에 접촉한다. 도 3 및 도 4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본체(171)의 배면은 상기 보텀 샤시(180)에 접촉한다. 상기 본체(171)의 상부에는 후술할 덮개부(177)와 체결되기 위한 제1 결합홈(171S)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결합홈(171S)이 상기 본체(171)의 상부에 제공된 것을 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결합홈은 상기 본체의 측부에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기저부(173)는 그 일부가 상기 도광판(15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171)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된다. 상기 기저부(173)의 상기 제1 방향(D1) 단부는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도광판(150)의 가장자리 일부와 중첩된다. 상기 기저부(173)의 상면은 상기 출광면(151B)과 평행한 방향으로 제공되어 상기 도광판(150), 상기 광학 시트(130), 및 상기 반사 시트(155)를 하부에서 지지한다.
상기 돌출부(175)는 상기 본체(171)와 상기 제1 방향(D1) 단부 사이의 상기 기저부(173) 상에 제공된다. 상기 돌출부(175)는 쐐기(wedge) 형상을 가지며, 상기 기저부(173)로부터 상기 제3 방향(D3), 즉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어 제공된다. 상기 쐐기 형상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자른 단면 상에서 볼 때, 하부의 너비가 넓고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삼각형 형상을 갖는다. 이때, 상기 삼각형 형상은 상기 광원 유닛(160)의 기판(161)을 마주보는 빗변을 가지는 직각 삼각형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삼각형의 상기 빗변에 대응하는 면은 상기 출광면(151B)에 대해 비스듬하게 제공된 경사면이 된다.
상기 돌출부(175)는 상기 제2 방향(D2)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돌출부(175)는 단일 개수로 제공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돌출부(175)는 상기 기판(161)의 하부의 일부에만 접촉하도록 짧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2 방향(D2)을 따라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177)는 상기 광원 유닛(160)을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가압함과 동시에 상기 광원 유닛(160)이 상부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정부(177C)와 제1 결합 부재(177B)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177C)는 판상으로 제공된다. 상기 고정부(177C)는 상기 출광면(151B)과 평행하며 상기 본체(171)의 상면을 커버하는 제1 부분(177C1)과, 상기 기판(161)의 상단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기판(161)의 상단부와 접촉하도록 상기 기판(161) 방향으로 절곡되어 제공된 제2 부분(177C2)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부분(177C2)은 상기 출광면(151B)에 비스듬한 각도, 즉, 상기 일 면과 상기 기판(161) 면이 예각을 이루도록 제공된다. 상기 고정부(177C)의 상기 제2 부분(177C2)은 상기 광원 유닛(160), 특히 상기 기판(161)의 상단부를 커버함과 동시에 상기 광원 유닛(160)을 하부 방향으로 가압한다.
상기 고정부(177C)에는 제1 결합홈(171S)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제1 결합홈(171S)과 동일한 직경의 제2 관통홀(177S)이 제공된다.
상기 고정부(177C)는 상기 기판(161)의 상부를 전부 커버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방향(D2)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177C)가 상기 기판(161)의 상부 일부만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하나의 고정부(177C)가 제공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복수로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1 결합 부재(177B)는 상기 고정부(177C)를 상기 본체(171)에 체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 결합 부재(177B)는 상기 제1 결합홈(171S) 및 상기 제2 관통홀(177S)에 체결되는 나사에 해당한다. 상기 결합 부재(177B)는 상기 제2 관통홀(177S)을 관통하여 상기 제1 결합홈(171S)에 체결된다. 상기 제1 결합 부재(177B)는 상기 덮개부(177)를 상기 본체(171)에 체결하는 기능 이외에도 상기 덮개부(177)에 의해 상기 기판(161)이 상기 하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부(170)는 스테인레스, 인청동 등 탄성력이 좋은 금속 재료로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상기 고정부(177C)는 상기한 스테인레스, 인청동 등의 금속 재료뿐만 아니라, 탄성력이 좋은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BA)는 상기 광원 유닛(160)이 상기 지지부(170)에 단단하게 밀착하여 조립된다.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광원 유닛(160)은 상기 본체(171)와 상기 돌출부(175) 사이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광원 유닛(160)과 상기 본체(171) 상에 상기 덮개부(177)를 배치시키고 상기 제1 결합 부재(177B)를 이용하여 상기 덮개부(177)를 체결한다. 이때, 상기 나사의 체결 과정에서 상기 고정부(177C)는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상기 기판(161)에는 상부에서 하부 방향(제3 방향(D3)의 역방향)으로 제1 힘(F1)이 인가된다. 상기 제1 힘(F1)에 의해 상기 기판(161)은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데, 상기 기판(161)이 상기 돌출부(175)의 빗변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 힘(F1)은 상기 제1 방향(D1)의 역방향으로 작용하는 제2 힘(F2)으로 변환된다. 상기 기판(161)은 상기 제2 힘(F2)에 의해 상기 지지부(170)의 본체(171)에 단단하게 밀착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방향(D1)으로 자른 단면 상에서 볼 때 상기 빗변과 상기 출광면(151B) 사이의 각도를 θ라고 할 때, 상기 θ는 예각이며, 45°±30°의 값을 갖는다. 상기 θ값이 75°보다 크면 상기 기저부(173) 상에 상기 기판(161)을 고정할 공간을 충분히 제공하지 못하며, 15°보다 작으면 변환된 상기 제2 힘이 작아 상기 기판(161)이 충분히 단단하게 고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실시예와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이하 실시예에서 특별히 설명하지 않은 부분은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다. 동일한 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유사한 번호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덮개부(177)를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바, 도 5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백라이트 어셈블리(BA)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는 도 5의 II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덮개부(177)는 상기 광원 유닛(160)과 상기 도광판(150)을 하부 방향으로 가압하여 지지한다. 즉, 상기 덮개부(177)는 상기 광원 유닛(160)을 지지하고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도광판(150)을 하부 방향을 가압함으로서 상기 도광판(150)을 고정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177)는 고정부(177C), 연장부(177E), 및 제1 결합 부재(177B)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177C)는 판상으로 제공된다. 상기 고정부(177C)는 상기 출광면(151B)과 평행하며 상기 본체(171)의 상면을 커버하는 제1 부분(177C1)과, 상기 기판(161)의 상단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기판(161)의 상단부와 접촉하도록 상기 기판(161) 방향으로 절곡되어 제공된 제2 부분(177C2)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부분(177C2)은 상기 출광면(151B)에 비스듬한 각도, 즉, 상기 일 면과 상기 기판(161) 면이 예각을 이루도록 제공된다. 상기 고정부(177C)의 상기 제2 부분(177C2)은 상기 광원 유닛(160), 특히 상기 기판(161)의 상단부를 커버함과 동시에 상기 광원 유닛(160)을 하부 방향으로 가압한다.
상기 연장부(177E)는 판상으로 제공된다. 상기 연장부(177E)는 상기 출광면(151B)과 평행하며 상기 본체(171)의 상면을 커버하는 제1 부분(177E1)과, 상기 도광판(150) 및 상기 광학 시트(130)의 상단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광학시트의 상단부와 접촉하도록 하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제공된 제2 부분(177E2)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부분(177E2)은 평면 상에서 볼 때 상기 도광판(150)의 일 단부와 중첩한다. 상기 연장부(177E)의 제2 부분(177E2)은 상기 도광판(150)의 상부, 특히 광학 시트(130)의 상단부를 하부 방향으로 가압한다.
상기 고정부(177C)의 제1 부분(177C1)과 상기 연장부(177E)의 제1 부분(177E1)은 동일 평면상에서 연결된다. 상기 고정부(177C)와 상기 연장부(177E)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 바, 상기 고정부(177C)와 상기 연장부(177E)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기판(161)의 상부를 전부 커버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방향(D2)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부(177C) 및 연장부(177E)는 단일 개수로 제공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고정부(177C) 및 연장부(177E)는 상기 기판(161)의 상부를 일부만 커버하도록 상기 제1 방향(D1)으로 짧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77C)의 제1 부분(177C1)과 상기 연장부(177E)의 제1 부분(177E1) 중 적어도 어느 한 부분에는 상기 본체(171)의 제1 결합홈(171S)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제1 결합홈(171S)과 동일한 직경의 제2 관통홀(177S)이 제공된다.
상기 제1 결합 부재(177B)는 상기 고정부(177C)와 상기 연장부(177E)를 상기 본체(171)에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본체(171) 및 상기 고정부(177C)의 제1 부분(177C1)과 상기 연장부(177E)의 제1 부분(177E1) 중 적어도 한 부분에 제공된 제2 관통홀(177S)에 체결되는 나사일 수 있다. 상기 결합 부재(177B)는 상기 제2 관통홀(177S)을 관통하여 상기 제1 결합홈(171S)에 체결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광원 유닛(160)과 상기 지지부(170)를 서로 단단하게 밀착시킴과 동시에 상기 광학 시트(130) 및 상기 도광판(150)을 단단하게 지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실시예에서의 효과에 더해, 상기 광학 시트(130) 및 상기 도광판(150)이 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와 달리 상기 덮개부(177)를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바,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백라이트 어셈블리(BA)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는 도 7의 IV-IV'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177)는 탄성력을 가지는 소재로 제공되어 상기 본체(171)와 상기 기판(161)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탄성력을 가지는 소재로는 고무 소재나 실리콘 소재 등의 고분자 수지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덮개부(177)는 상기 본체(171) 및 상기 기판(161)의 상부에 제공되는 제1 부분(177P1)과, 상기 제1 부분(177P1)의 상기 제1 방향(D1)의 양단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돌출된 제2 부분(177P2), 및 제1 결합 부재(177B)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부분(177P2)은 상기 제1 부분(177P1)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된 제1 돌기와, 상기 제1 부분(177P1)의 타단으로부터 돌출된 제2 돌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부분(177P1)과 상기 제2 부분(177P2)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덮개부(177)가 상기 지지부(170) 및 상기 기판(161)과 체결되기 전의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 사이의 거리는 상기 지지부(170)의 두께 및 상기 기판(161)의 두께의 합보다 작다.
상기 덮개부(177)가 상기 지지부(170) 및 상기 기판(161)과 체결되면, 결합시, 상기 제1 부분(177P1)의 하면은 상기 본체(171)의 상면과 상기 기판(161)의 상단부와 접촉하며, 상기 제2 부분(177P2)은 상기 본체(171)의 배면과 상기 기판(161)의 전면에 접촉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는 각각 상기 본체(171)의 배면과 상기 기판(161)의 전면과 접촉하는 데, 상기 제2 돌기 및 상기 제2 돌기 사이의 거리가 상기 본체(171)와 상기 기판(161)의 두께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가 마주보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한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가 상기 본체(171) 및 상기 기판(161)에 밀착되며, 상기 기판(161)이 상기 지지부(170)에 단단하게 고정된다.
상기 제1 부분(177P1)에는 상기 제1 결합홈(171S)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제1 결합홈(171S)과 동일한 직경의 제2 관통홀(177S)이 제공된다.
상기 제1 결합 부재(177B)는 상기 덮개부(177)의 제1 부분(177P1)을 상기 본체(171)에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 결합홈(171S) 및 상기 제2 관통홀(177S)에 체결되는 나사이다. 상기 결합 부재(177B)는 상기 제2 관통홀(177S)을 관통하여 상기 제1 결합홈(171S)에 체결된다. 상기 제1 결합 부재(177B)는 상기 덮개부(177)의 제1 부분(177P1)을 상기 본체(171)에 체결하는 기능 이외에도 상기 덮개부(177)의 제1 부분(177P1) 및 덮개부(177)의 제2 부분(177P2)에 의해 상기 기판(161)을 상기 하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이 있는 소재로 상기 덮개부(177)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지지부(170)와 상기 기판(161)의 조립성이 향상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상기 덮개부(177)의 제1 부분(177P1)을 체결하기 위한 제1 결합 부재(177B)를 구비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서, 상기 덮개부(177)가 상기 지지부(170)와 상기 기판(161)을 탄성력에 의해 충분하게 지지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결합 부재(177B)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내지 제3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1 결합 부재(177B)를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백라이트 어셈블리(BA)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기 본체(171)와 상기 덮개부(177)가 후크 결합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백라이트 어셈블리(BA)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기 본체(171)와 상기 덮개부(177)가 클립 결합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9 및 도 10는 설명의 편의상, 도 3의 II-II'를 기초로 하여 제1 결합 부재(177B)가 달리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들의 제1 결합 부재(177B)는 후크(177HK)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결합홈(171S) 및 제2 관통홀(177S) 대신에는 상기 후크(177HK)가 삽입되는 제1 후크홀(171H) 및 제2 후크홀(177H)이 제공된다.
상기 제1 후크홀(171H)은 상기 지지부(170) 본체(171)의 상면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함몰된다. 상기 제2 후크홀(177H)는 상기 덮개부(177)를 상하로 관통한다. 상기 제1 후크홀(171H)에는 상기 후크(177HK)가 한번 삽입되면 상기 후크(177HK)가 다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턱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후크는 상기 제2 후크홀(177H)을 관통하여 상기 제1 후크홀(171H)로 삽입되며, 이에 따라 상기 본체(171)와 상기 고정부(177C)가 체결된다.
도 9에서는 일 형상의 후크가 개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의 후크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결합 부재(177B)는 탄성을 가지는 클립(177SP)일 수 있다. 클립(177SP)은 상기 본체(171)의 배면과 상기 기판(161)의 전면 사이에서 상기 배면과 상기 전면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 및 하부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결합 부재(177B)는 판 형태나 선 형태의 클립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170) 또는 상기 덮개부(177)는 상기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다른 구성 요소의 일부로서, 또는 다른 구성 요소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는 설명의 편의상, 도 1의 I-I'를 기초로 하여 제1 실시예와 다른 점을 위주로 나타내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170)의 일부가 상기 보텀 샤시(180)가 별개로 형성되어 조립되는 대신, 상기 지지부(170)의 일부가 상기 보텀 샤시(180)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170)는 본체(171), 기저부(173), 돌출부(175), 및 덮개부(177)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71), 상기 기저부(173), 및 상기 돌출부(175)는 상기 보텀 샤시(180)와 일체로 형성된다는 것 이외에는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상기 덮개부(177)는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상기 지지부(170)의 일부와 상기 보텀 샤시(180)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지지부(170)와 상기 보텀 샤시(180)가 단일 공정으로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170)가 상기 보텀 샤시(180) 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여지가 없기 때문에 상기 발광 유닛이 안정적으로 상기 지지부(170) 내에 고정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설명의 편의상 도 1의 I-I'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1 실시예와 다른 점을 위주로 나타내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텀 샤시(180)와 상기 지지부(170)가 상기 제1 실시예와 달리 형성될 수 있는 바, 상기 보텀 샤시(180)는 상기 반사 시트(155)의 하부에 상기 반사 시트(155)의 배면에 평행한 바닥부(181)와, 상기 바닥부(181)로부터 상방 절곡되어 연장된 측벽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170)가 형성된 부분에 대응하는 바닥부(181)의 단부에는 상기 측벽부가 제공되지 않으며, 상기 지지부(170)가 상기 측벽부를 대신한다. 상기 지지부(170)에 마주보는 상기 바닥부(181)의 단부에는 상기 지지부(170)와 체결되기 위한 제3 결합홈(180H)이 제공된다.
상기 바닥부(181), 측벽부, 및 상기 지지부(170)로 이루어진 공간에는 상기 광원 유닛(160), 상기 도광판(150), 상기 광학 시트(130), 및 상기 반사 시트(155)가 수납된다.
상기 지지부(170)는 본체(171), 기저부(173), 돌출부(175), 덮개부(177), 및 체결부(179)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71)는 상기 입광면(151A)과 평행한 전면 및 상기 전면에 대향하는 배면을 가진다. 상기 본체(171)는 상기 기판(161)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며, 상기 전면은 상기 기판(161)의 배면에 접촉한다. 상기 본체(171)의 배면은 상기 몰드 프레임(140)에 접촉한다. 상기 본체(171)의 상부에는 후술할 덮개부(177)와 체결되기 위한 제1 결합홈(171S)이 제공된다.
상기 기저부(173)는 그 일부가 상기 도광판(15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171)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며, 상기 기저부(173)는 상기 출광면(151B)과 평행한 방향으로 제공된다. 상기 기저부(173)의 상기 제1 방향(D1) 단부는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도광판(150)의 가장자리 일부와 중첩된다.
상기 체결부(179)는 상기 기저부(173)의 상기 제1 방향(D1) 단부에 제공된다. 상기 체결부(179)는 상기 보텀 샤시(180)의 바닥부(181)의 단부와 중첩한다. 상기 체결부(179)에는 상기 보텀 샤시(180)의 바닥부(181)의 제3 결합홈(180S)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제3 결합홈(180S)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제4 관통홀(179S)이 제공된다. 상기 보텀 샤시(180)와 상기 기저부(173)는 상기 보텀 샤시(180)의 나사홀과 상기 기저부(173)의 나사홀을 관통하는 제2 나사(179B)에 의해 상기 체결된다.
상기 돌출부(175)는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설명이 생략된다.
상기 보텀 샤시(180) 및 상기 지지부(170)는 스테인레스, 인청동 등 탄성력이 좋은 금속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3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는 설명의 편의상 도 1의 I-I'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1 실시예와 다른 점을 위주로 나타내었다.
도 1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170)와 상기 몰드 프레임(140)이 상기 제1 실시예와 달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몰드 프레임(140)은 상기 표시 패널(120)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공되어 상기 표시 패널(120)의 하부에서 상기 표시 패널(120)을 지지한다. 상기 몰드 프레임(140)은 대략적으로 사각의 고리 형상을 갖는다. 상기 지지부(170)는 상기 광원 유닛(160)을 지지하고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광원 유닛(160)에 인접하여 제공된다.
상기 지지부(170)는 본체(171), 기저부(173), 돌출부(175), 및 덮개부(177)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71), 상기 기저부(173), 및 상기 돌출부(175)는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덮개부(177)는 상기 광원 유닛(160)을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가압함과 동시에 상기 광원 유닛(160)이 상부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정부(177C)와 제1 결합 부재(177B)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177C)는 상기 몰드 프레임(140)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제공되며, 상기 몰드 프레임(140)과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177C)는 상기 출광면(151B)과 평행하며 상기 본체(171)의 상면을 커버하는 제1 하부면(177F1)과, 상기 기판(161)의 상단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기판(161)의 상단부와 접촉하도록 상기 기판(161) 방향으로 절곡되어 제공된 제2 하부면(177F2)을 포함한다. 상기 제2 하부면 제2 하부면(177F2)은 상기 출광면(151B)에 비스듬한 각도, 즉, 상기 일 면과 상기 기판(161) 면이 예각을 이루도록 제공된다. 상기 제2 하부면 제2 하부면(177F2)은 상기 광원 유닛(160), 특히 상기 기판(161)의 상단부를 커버함과 동시에 상기 광원 유닛(160)을 하부 방향으로 가압한다.
상기 몰드 프레임(140)에는 상기 본체(171)의 제1 결합홈(171S)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본체(171)의 제1 결합홈(171S)과 동일한 직경의 제2 관통홀(177S)이 제공된다.
상기 제1 결합 부재(177B)는 상기 몰드 프레임(140)을 상기 본체(171)에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 결합홈(171S) 및 제2 관통홀(177S)에 제공된 나사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광원 유닛(160)과 상기 지지부(170) 사이가 이격되어 발생할 수 있는 결함, 예를 들어, LED의 열화 등이 방지된다.
일반적인 구조의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있어서는 광원 유닛을 고정하기 위해서 광원 유닛과 고정장치 사이를 나사 결합시키거나, 소위 도브 테일(dove tail) 방식을 사용하여 결합시킨다. 상기 도브 테일 방식은 광원 기판에 입구가 좁고 안이 넓은 쐐기 형상의 구멍을 가공하고 보텀 샤시(180)와 같은 구성 요소에 상기 쐐기 형상의 구멍에 대응하는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구멍과 상기 돌기의 상호 형합을 통해 체결되는 구조이다. 상기 도브 테일 방식과 같은 상기 일반적인 결합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돌기 등의 형상을 가공하기 위한 별도의 장비가 필요하다는 것 이외에도, 상기 돌기를 동시에 상기 구멍에 조립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이뿐만 아니라, 상기 광원 유닛과 상기 광원 유닛을 고정하는 장치 사이가 이격되는 경우가 많다. 문제는 일반적인 구조의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상기 이격에 의해 방열이 난이하다는 것인데, 일반적인 구조의 백라이트 어셈블리에서는 방열을 위해 열 전도성이 높은 별도의 방열 테이프나 방열 그리스(thermal grease) 등을 형성해야 열로 인한 결함을 방지할 수 있었다. 상기 방열 테이프나 방열 그리스는 조립이 용이하지 않으며, 상기 방열 테이프나 상기 방열 그리스는 열 전도율이 금속에 비해 낮아 방열 효과가 크지 않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구조를 갖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원 유닛과 상기 지지부는 서로 단단하게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이격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므로 별도의 방열 테이프나 방열 그리스 없이도 접촉에 의한 열전도 효과로 인해 방열 효과가 증대된다.
실제로, 상기 광원 유닛과 상기 지지부 사이의 이격 거리를 살펴보면, 상기 도브 테일 방식으로 광원 유닛을 고정 장치에 고정하는 경우, 상기 광원 유닛과 상기 고정 장치 사이의 간격은 평균 0.12mm이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상기 광원 유닛과 상기 지지부에 고정하는 경우, 상기 광원 유닛과 상기 고정 장치 사이의 간격은 평균 0.03mm 이하의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일반적인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광원 유닛을 고정 장치에 나사결합으로 고정시키기 때문에, 상기 기판에 나사홀이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나사홀이 형성된 부분에는 LED가 실장되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LED는 상기 기판 상에 불규칙하게 배열된다. 그 결과,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영상에 암부나 얼룩이 발생한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판에 LED들을 규칙적으로 배열하여 실장할 수 있기 때문에 암부나 얼룩 등의 결함을 방지한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판 상에 나사홀을 가공할 필요가 없으며, 별도의 방열 테이프나 방열 그리스를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조립 단계가 단순화되고 제조 단가가 낮아짐과 동시에 소요 시간이 감소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10 : 탑 샤시 120 : 표시 패널
130 : 광학 시트 140 : 몰드 프레임
150 : 도광판 151A : 입광면
151B : 출광면 155 : 반사 시트
160 : 광원 유닛 161 : 기판
163 : 광원 170 : 지지부
171 : 본체 173 : 기저부
175 : 돌출부 177 : 덮개부
180 : 보텀 샤시

Claims (20)

  1. 기판과, 상기 기판의 전면에 제공되며 광을 출사하는 복수의 광원을 갖는 광원 유닛;
    상기 광원 유닛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전면에 대향하여 구비되며 상기 광이 입사되는 입광면과 상기 입광면에 연결되며 상기 광이 출사되는 출광면을 갖는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으로부터 상기 광을 제공받아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광원 유닛의 배면과 직접 접촉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로부터 상기 출광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기저부;
    상기 기저부 상에 제공되고, 상기 기판의 전면에 대해 경사하는 일면이 상기 기판의 하부와 접촉해서 상기 기판을 지지하는 돌출부; 및
    상기 본체에 체결되며 상기 기판의 상부를 커버하고 상기 기판을 상기 기저부를 향하는 기저부 방향 및 상기 본체를 향하는 본체 방향으로 가압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기판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복수로 제공되며 상기 기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본체의 상부와 접촉하는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며 일 면이 상기 기판과 접촉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을 상기 본체에 결합시키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출광면의 일부를 커버하여 상기 도광판을 상기 기저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관통홀을 가지고 상기 본체는 결합홈을 가지며,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홈에 체결되는 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관통홀을 가지고 상기 본체는 결합홈을 가지며,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덮개부를 관통하여 상기 결합홈에 체결되는 후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광원 유닛의 전면과 상기 본체의 배면과 접촉하며 상기 광원 유닛과 상기 본체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상기 광원 유닛과 상기 본체를 가압하는 클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본체 상에 제공된 중심부,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광원 유닛의 전면과 접촉하는 제1 돌기, 및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기 본체의 배면과 접촉하는 제2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는 상기 광원 유닛과 상기 본체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상기 광원 유닛과 상기 본체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적어도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표시 패널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몰드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몰드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 프레임은 관통홀을 갖고 상기 본체는 결합홈을 가지며,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홈에 체결되는 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복수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유닛,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도광판을 그 내부에 수납하는 보텀 샤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상기 기저부, 및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보텀 샤시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는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보텀 샤시와 일부 영역에서 중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와 상기 보텀 샤시는 상기 중첩 영역에서 나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보텀 샤시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0. 기판과, 상기 기판의 전면에 제공되며 광을 출사하는 복수의 광원을 갖는 광원 유닛;
    상기 광원 유닛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전면에 대향하여 구비되며 상기 광이 입사되는 입광면과 상기 입광면에 연결되며 상기 광이 출사되는 출광면을 갖는 도광판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광원 유닛의 배면과 직접 접촉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로부터 상기 출광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기저부;
    상기 기저부 상에 제공되고, 상기 기판의 전면에 대해 경사하는 일면이 상기 기판의 하부와 접촉해서 상기 기판을 지지하는 돌출부; 및
    상기 본체에 체결되며 상기 기판의 상부를 덮어 상기 기판을 상기 기저부를 향하는 기저부 방향 및 상기 본체를 향하는 본체 방향으로 가압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KR1020100096072A 2010-10-01 2010-10-01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KR101717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072A KR101717931B1 (ko) 2010-10-01 2010-10-01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US13/192,370 US8602627B2 (en) 2010-10-01 2011-07-27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EP11177847.8A EP2437105B1 (en) 2010-10-01 2011-08-17 Display apparatus
CN201110295846.9A CN102444841B (zh) 2010-10-01 2011-09-27 背光组件及具有该背光组件的显示装置
JP2011219023A JP5888923B2 (ja) 2010-10-01 2011-10-03 表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072A KR101717931B1 (ko) 2010-10-01 2010-10-01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4478A KR20120034478A (ko) 2012-04-12
KR101717931B1 true KR101717931B1 (ko) 2017-03-21

Family

ID=44674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6072A KR101717931B1 (ko) 2010-10-01 2010-10-01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602627B2 (ko)
EP (1) EP2437105B1 (ko)
JP (1) JP5888923B2 (ko)
KR (1) KR101717931B1 (ko)
CN (1) CN10244484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09920B2 (ja) * 2011-08-17 2016-04-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照明装置、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5983031B2 (ja) * 2011-08-17 2016-08-3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9234996B2 (en) * 2012-02-13 2016-01-12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device having holding member
WO2014034633A1 (ja) * 2012-09-03 2014-03-06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CN102798059B (zh) * 2012-09-11 2014-08-13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侧入式背光模组
JP2014085653A (ja) * 2012-10-26 2014-05-12 Funai Electric Co Ltd 表示装置
CN102901054A (zh) * 2012-10-31 2013-01-3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背光模组耦光设计
CN103032766A (zh) * 2012-12-12 2013-04-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背光模组以及显示装置
CN203115716U (zh) * 2013-03-05 2013-08-07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背光模组及液晶显示器
JP2014228776A (ja) * 2013-05-24 2014-12-08 船井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2040184B1 (ko) * 2013-05-31 2019-11-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조명장치 및 기판 하우징
JP6153026B2 (ja) * 2013-08-02 2017-06-28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CN105700238B (zh) * 2013-08-05 2019-03-15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侧光式液晶模组、直下式液晶模组及电视机
TWI507794B (zh) * 2013-10-25 2015-11-11 Radiant Opto Electronics Corp 背光模組及液晶顯示器
JP6495179B2 (ja) * 2013-11-26 2019-04-03 堺ディスプレイプロダクト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表示装置
TWI561898B (en) * 2014-01-28 2016-12-11 Radiant Opto Electronics Corp Light source module and lamp
KR102205419B1 (ko) * 2014-02-04 2021-01-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브드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커브드 표시장치
KR102243856B1 (ko) * 2014-04-07 2021-04-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67068B1 (ko) 2015-03-31 2022-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4896385A (zh) 2015-06-30 2015-09-09 京东方光科技有限公司 背光源背板及背光源胶铁一体结构、背光源、显示面板
CN105824150A (zh) * 2016-05-06 2016-08-03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背光单元及其安装支架
KR20180065734A (ko) 2016-12-08 2018-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포장재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포장 방법
KR102618433B1 (ko) 2016-12-27 2023-12-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액정 표시 장치
KR102616775B1 (ko) * 2016-12-30 2023-12-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90034368A (ko) * 2017-09-22 2019-04-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7403377B2 (ja) 2020-04-14 2023-12-22 三菱電機株式会社 照明器具
CN215523219U (zh) * 2021-06-25 2022-01-14 广东英维克技术有限公司 一种电视led灯带的散热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65425A1 (en) 2006-01-19 2007-07-1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Light source device and liquid display device
WO2009118942A1 (ja) 2008-03-28 2009-10-01 シャープ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6141A (en) 1990-05-09 1991-05-14 Hughes Aircraft Company Printed circuit board edge-locking device
JPH11298177A (ja) 1998-04-15 1999-10-2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発熱部品の放熱構造及びそれを用いた無電極放電灯点灯装置
JP3678083B2 (ja) 1999-11-17 2005-08-03 松下電工株式会社 発熱部品の放熱構造及びそれを用いた無電極放電灯点灯装置
JP2007163620A (ja) * 2005-12-12 2007-06-28 Hitachi Displays Ltd 液晶表示装置及びバックライト装置
KR100797438B1 (ko) 2006-11-13 2008-01-23 주식회사 비에스이 커링공정이 필요없는 마이크로폰 및 그 조립방법
ES2328996B1 (es) 2007-10-02 2010-08-30 Diseño De Sistemas En Silicio, S.A. Dispositivo de multiinyeccion inductiva sobre multiples conductores.
WO2009107275A1 (ja) * 2008-02-28 2009-09-03 シャープ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9245884A (ja) * 2008-03-31 2009-10-22 Sanken Electric Co Ltd 面光源装置
US8384846B2 (en) 2008-09-26 2013-0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KR20100077677A (ko) * 2008-12-29 2010-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101670715B1 (ko) 2010-01-08 2016-11-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65425A1 (en) 2006-01-19 2007-07-1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Light source device and liquid display device
WO2009118942A1 (ja) 2008-03-28 2009-10-01 シャープ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81925A1 (en) 2012-04-05
JP2012078832A (ja) 2012-04-19
EP2437105B1 (en) 2014-03-05
JP5888923B2 (ja) 2016-03-22
EP2437105A1 (en) 2012-04-04
US8602627B2 (en) 2013-12-10
KR20120034478A (ko) 2012-04-12
CN102444841B (zh) 2016-01-20
CN102444841A (zh) 201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7931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US8885119B2 (en) Display device comprising a light-sourcing unit fixing frame with a lateral extension portion and a fixing protrusion which interlocks the light-sourcing unit fixing frame to a housing
JP5980868B2 (ja) 液晶表示装置
US8368843B2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7441938B2 (en) Planar light source device
US7604389B2 (en) Surface light source device
KR101288600B1 (ko)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JP5844107B2 (ja) 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を有する表示装置
EP1975653A1 (en) Backlight assembly,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8355096B2 (en) Illumination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EP2202456A2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US20080123336A1 (en) Planer light source device
WO2012133312A1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US8672530B2 (en) Display device
WO2009118941A1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6313239B2 (ja) 面状照明装置
KR20040065167A (ko) 면광원 장치
US20130321741A1 (en)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same
KR20070101946A (ko) 액정표시장치모듈
KR101737054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110132801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20100053369A (ko) 액정표시장치
KR20060016117A (ko) 면광원 장치
KR101814816B1 (ko) 조명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JP2004253367A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