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7315B1 - 두 개의 연속되는 컨택 라인 레일들을 연결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두 개의 연속되는 컨택 라인 레일들을 연결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7315B1
KR101717315B1 KR1020127001183A KR20127001183A KR101717315B1 KR 101717315 B1 KR101717315 B1 KR 101717315B1 KR 1020127001183 A KR1020127001183 A KR 1020127001183A KR 20127001183 A KR20127001183 A KR 20127001183A KR 101717315 B1 KR101717315 B1 KR 101717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rail
rails
elements
contact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1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5537A (ko
Inventor
토마스 린데나우
울프강 크렙스
클라우스 다이어터 오에무스
Original Assignee
테렉스 엠하페에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렉스 엠하페에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테렉스 엠하페에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20055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5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7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7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H01R25/145Details, e.g. end pieces or joi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02Joints between bus-bars for compensating thermal expansion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Installation Of Bus-Bars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각각 종방향 플라스틱 프로파일 및 그것을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택 레일로 구성되고, 두 개의 연속적인 컨택 라인 레일들의 컨택 레일들의 반대쪽 컨택 레일 끝들을 연결하고 컨택 레일들의 컨택 레일 끝들을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컨택 레일 커넥터를 가지며, 두 개의 연속적인 컨택 라인 레일들의 컨택 라인 레일들의 반대쪽 레일 끝들에 부착되고 컨택 레일 커넥터들을 덮고 종방향에서 중간 요소에 대해 변위 가능한 추가 요소들을 가지는 두 개의 연속적인 컨택 라인 레일들을 연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중간요소들(8a, 8b)은 연결되는 컨택 라인 레일들(1a, 1b)의 반대쪽 레일 끝들(7a, 7b)의 각각에 부착되고, 추가 요소들(11a, 11b)이 중간 요소들(8a, 8b)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Description

두 개의 연속되는 컨택 라인 레일들을 연결하기 위한 장치{Arrangement for connecting two successive contact line rails}
본 발명은 두 개의 연속되는 컨택 라인 레일(contact line rail)들의 컨택 레일(contact rail)들의 반대쪽 컨택 레일 끝들을 연결하는 컨택 레일 커넥터(connector)를 가지고, 두 개의 연속되는 컨택 라인 레일들의 컨택 레일들의 반대쪽 컨택 레일 끝들에 부착되고, 컨택 레일 커넥터를 덮고, 종방향에서 중간 요소에 변위 가능한 추가 요소들을 가지는 각각 종방향의 플라스틱 프로파일 및 적어도 하나의 컨택레일로 구성된 컨택 라인 레일들을 연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것은 일반적으로 만약 이동가능한 전기 장치들(즉, 전기 트레블링 드라이브(travelling drive)와 전기 리프트 드라이브(lift drive)를 가지는 크레인 트레블링 트롤리와 같은)이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야 한다면 소위 트레일링 케이블(railing cable)과 함께 컨택 라인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른 적용 분야들은 현재 크레인(crain), 모노레일 시스템(monorail system), 그리고 피딩(feeding) 및 프로세싱(processing) 기계들에 공급된다.
독일 특허 DE 198 07 792 C2는 이미 두 개의 연속되는 컨택 라인(contact line)을 위한 커넥터에 대해 개시했다. 이 타입의 컨택 라인은 대체로 C자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할로우 프로파일(hollow profile) 및 거기에 내부 공간을 만드는 것으로 형성되는 종 방향의 플라스틱 프로파일로 구성된다. C자형태의 단면 때문에, 상기 종방향 플라스틱 프로파일은 종방향 플라스틱 프로파일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방향 틈(gap)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종방향 플라스틱 프로파일은 종방향 틈(longitudinal gap)이 하방을 향하는 방법으로 매달리게 되면 따라서 종방향 플라스틱 프로파일은 바닥에 열리게 된다. 상기 종방향 플라스틱 프로파일의 내부 공간에 배열된 것들은 종방향 플라스틱 프로파일의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구리고 구성된 컨택 라인들이 공급되는 요소들을 고정한다. 상기 이동가능한 전자 장치들은 컨택 레일들을 통해 전류 또는 제어 신호(current or control signal)들이 공급된다. 이런 목적으로, 종방향 플라스틱 프로파일의 내부 공간의 집전 트롤리(current collector trolley)는 그 안에서 움직일 수 있고, 종방향 플라스틱 프로파일의 내부 공간의 트랙에서 롤러들을 통해 종방향 플라스틱 프로파일의 종방향의 반대편에 있게 된다. 상기 집전 트롤리(current collector trolley)에 배치된 것들은 한편 컨택 라인 컨택츠(contact line contacts)이며 다른 한편 종방향 틈을 통해 전기 장치를 향해 유도되는 전기적 라인(electric line)이다. 상기 컨택 라인 컨택들(contact line contacts)은 각각의 경우에 탄력적인 방법으로 컨택 라인들 중 하나로 된다.
두 개의 컨택 라인들의 끝들을 연결하기 위해, 종방향 플라스틱 프로파일의 양끝들에 돌출된 컨택 레일들의 끝들은 컨택 레일 커넥터들을 통해 처음에 같이 연결된다. 이 경우, 컨택 레일들의 상호 다른 열의 확장과 종방향 플라스틱 프로파일이 같아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횡방향 틈(transverse gap)은 종방향 플라스틱 프로파일의 끝들 사이에 남게 된다. 그 다음에, 가로로 두 개의 절반 하우징(two housing halves)으로 나누어지고, 본질적으로 상기 컨택 레일 커넥터들에서의 컨택에 대해 보호를 제공하는 목적을 가지고, 컨택 레일들과 종방향 플라스틱 프로파일 사이의 다른 열 확장을 가능하게 하고, 집전 트롤리를 위한 트랙의 영역에서 종방향의 플라스틱 프로파일의 끝들 사이의 틈을 연결하는 커넥터가 사용된다. 상기 커넥터의 절반 하우징들(housing halves)은 연결되는 플라스틱 프로파일의 끝들의 반대쪽에 들어가게 되며, 그 다음 상기 컨택 레일들은 컨택 레일 커넥터들을 통해 연결되고 래칭 커넥션(latching connection)들을 통해 서로 연결될 때까지 연속적으로 상기 두 개의 절반 하우징들이 서로를 향해 눌러지고, 확실하게 상기 컨택 레일 커넥터들을 연결한다. 상기 상호 연결된 절반 하우징들은 상기 플라스틱 프로파일들의 열에 의한 길이 변화(thermal changes in length)를 동일하게 하기 위해 명시된 범위 내에서 상기 두 개의 연결된 플라스틱 프로파일들에 대해 변위 가능하게 남게 된다. 위에서 언급한 목적들을 수행하는 것을 확실히 하기 위해, 슬롯(slot)들, 긴 홀(long hole)들, 리세스(recess)들 및 돌출부(protrusion)들이 상기 플라스틱 레일의 끝들에 제공된다. 상기 긴 홀들은 커넥터의 절반 하우징을 플라스틱 프로파일에 제한된 범위 내에서 연결된 두 개의 플라스틱 프로파일에 대해 변위 가능하게 되는 방법으로 부착시키는데 사용된다. 상기 리세스들과 돌출부들은 두 개의 플라스틱 프로파일들 사이의 트랙의 부분에 있는 가로방향 틈을 덮는다. 상기 슬롯들은 상호 인접한 컨택 레일 커넥터들의 홀딩 파트(holding part)들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역할을 한다.
게다가, 미국 특허 명세서 2 961 499는 이미 커넥팅 컨택 라인 레일을 위한 추가적인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컨택 라일 레일들은 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바닥에 열려 있는 시트 메탈 커버 레일(sheet metal cover rail) 에 배치되는 몇몇의 컨택 레일들로 구성된다. 컨택 레일들의 끝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클램핑(clamping) 방법으로 컨택 레일들의 끝들에 부착되고 중심에 유연한 와이어(flexible wire)로서 형성되는 유연한 부분에 배치되는 컨택 레일 커넥터들이 제공된다. 종방향으로 보이는 상기 커버 레일(cover rail)은 U자 형태의 연결 요소(connection element)들을 통해 함께 나사로 고정된 개별적인 부분들로 구성된다. 이 목적을 위해, 각 연결 요소들은 거의 상기 커버 레일의 윤곽을 가지고, 상기 커버 레일의 부분이 커넥션 레일에 나사로 고정될 수 있을 때까지 및 상기 연결 요소들의 충분한 길이가 커버 레일 밖으로 돌출될 때까지 커버 레일의 연속되는 부분에 부착시키고 거기에 나사로 고정시키기 위해 한 끝의 부분에서 커버 레일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커버레일의 짧은 부분은 또한 컨택 레일 커넥터의 부분에 배치되고 컨택 레일 커넥터의 부분에서 커버의 기능을 추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생산하기 쉽고 복잡하지 않은 조립체를 만드는 두 개의 연속적인 컨택 라인 레일들을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에 언급된 특징을 가지는 두 개의 연속적인 컨택 라인 레일들을 연결하는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장치의 유리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 2에서 8에 상술된다.
본 발명에 따라, 두 개의 연속적인 컨택 라인 레일들을 연결하는 장치의 경우에, 각각 종방향 플라스틱 프로파일 및 그것을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택 레일로 구성되고, 두 개의 연속적인 컨택 라인 레일들의 컨택 레일의 반대쪽 끝을 연결하고 컨택 레일들의 컨택 레일 끝들을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컨택 레일 커넥터를 가지고, 두 개의 연속적인 컨택 라인 레일들의 반대쪽 레일 끝들에 부착되는 추가 요소들을 가지고, 컨택 레일 커텍터들을 덮으며 컨택 레일의 종방향에서 중간 요소에 대해 변위 가능하고, 컨택 라인 레일들의 쉬운 생산과 단순한 조립이 중간 요소가 컨택 라인 레일들의 반대쪽 레일 끝들의 각각에 부착된다는 사실 때문에 달성되고, 추가 요소들은 중간 요소들에 부착된다. 결과로서, 상기 컨택 라인 레일들이 현장에서 편리한 방법으로 길이가 잘려 질 수 있다. 즉, 상기 컨택 라인 레일들 및 부착가능한 중간 요소들의 종방향 연장에 대해 가로로, 그리고 추가 요소들을 받는데 필요한 구성을 제공한다. 상기 컨택 라인 레일들은 따라서 모듈형 시스템(modular system)의 방법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종방향 플라스틱 프로파일, 중간 요소 및 추가 요소로 구성된다. 따라서 밀링머신(milling machine)의 습득 및 작동이 불필요하며, 상기 밀링머신은 종방향 플라스틱 프로파일의 끝들을 가공하기 위해 컴퓨터로 제어된다. 상기 가공된 부분들은 공장에서 생산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종방향 플라스틱 프로파일은 측면에 특정한 길이로 쉽게 잘린다. 상기 중간 요소는 컨택 라인 레일과 추가 요소 사이들의 어뎁터(adapter)의 기능을 가진다. 단지 상기 컨택 레일 커넥터가 컨택 레일들의 반대쪽 컨택 레일 끝들을 전기적으로 및 기계적으로 연결한다는 사실 때문에 주로 구리로 구성되는 컨택 레일들과 주로 PVC로 구성되는 종방향 플라스틱 프로파일의 서로 다른 열 팽창지수를 같게 하며, 9에서 12의 요소에 의해 서로 이탈된다.
상기 중간 요소들은 각 중간요소가 슬리브(sleeve) 방식으로 형성되고, 컨택 라인 레일의 레일 끝으로 미끄러지며 체결 요소들(fastening elements)에 의해 컨택 라인 레일의 레일 끝에 부착된다는 사실 때문에 쉬운 방법으로 조립될 수 있다.
각 중간 요소가 부착부분과 그에 인접하는 레일 부분으로 이루어졌다는 사실 때문에, 상기 레일 부분은 컨택 라인 레일들의 종방향 플라스틱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단면(cross-section)을 가지고, 상기 레일 부분에 배치된 것들은 중간 요소의 종방향 및 돌출부들에 대해 나란한 긴 홀들이며, 상기 추가 요소의 내부면에 배치되고, 추가 요소가 중간요소에 고정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관여하며, 컨택 레일 끝들의 비싼 가공의 방지가 가능하다.
레일 부분에 배치된 것들이 중간 요소의 종방향에 나란한 슬롯(slot)들이고 부착 부분의 반대쪽 레일 부분의 시작에 대해 열려있으며, 추가 요소들에 배치된 파티션 벽(partition wall)들이 서로로부터 컨택 레일 커넥터들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기 위한 슬롯들에 삽입된다는 사실 때문에 컨택 레일 끝들의 비싼 가공이 더 최소화 될 수 있다.
구조적 관점에서, 플라스틱 프로파일 레일들, 추가 요소들 및 내부 공간과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방향 틈을 가지는 C자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중간 요소들 및 종방향 틈에 인접하는 양면들에 연장되는 집전 트롤리를 위한 트랙들과 같은 특별히 유리한 방법이 제공된다.
종방향 플라스틱 프로파일, 중간 요소와 추가 요소의 생산들은 사출 성형(injection-moulded) 플라스틱 부품이라는 사실 때문에 용이하다. 슬롯들, 긴 홀들 및 트랙 슬롯들의 비싼 가공들은 따라서 생략된다.
본 발명은 다음의 도면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두 개의 연속되는 컨택 라인 레일들을 연결하는 장치의 투시도를 보여준다
도 2는 컨택 라인 레일의 한 끝과 거기에 부착되는 중간 요소의 투시도를 보여준다.
도 3은 도 2에 중간 요소에 부착된 추가 요소가 있는 것의 투시도를 보여준다.
도 4는 도 3의 정면도를 보여준다.
도 5는 도 3에 인접하는 컨택 라인 레일의 컨택 레일들이 있는 것의 투시도를 보여준다.
도 1은 제1 컨택 라인 레일(1a)을 제2 컨택 라인 레일(1b)에 연결하는 장치의 투시도를 명확히 보여준다. 상기 컨택 라인 레일들(1a, 1b)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기적 트레블링 드라이브(electric travelling drive) 및 전기적 리프트 드라이브(electric lift drive)를 포함하는 크레인 트레블링 트롤리와 같은, 이동가능한 전기 장치들이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야 하는 경우에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제1 및 제2 컨택 라인 레일들(1a, 1b)은 각 경우에 대체로 제1 종방향 플라스틱 프로파일(2a) 및 제2 종방향 플라스틱 프로파일(2b)로 구성된다. 상기 종방향 플라스틱 프로파일들(2a, 2b)은 속이 빈 압출 프로파일(hollow extruded profile) 및 상기 종방향 플라스틱 프로파일들(2a, 2b)의 종방향(L)으로 연장되는 종방향 틈(3)을 가지는 C자형태 단면 및 내부 공간(4)을 포함하는 것으로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종방향 플라스틱 프로파일들(2a, 2b)은 하방을 향하는 종방향 틈(3) 및 종방향 틈(3)에 인접한 트랙(5)들이 내부 공간(4)의 오른쪽 및 왼쪽에 실질적으로 수평배열되는 것과 같은 작용을 위해 매달린다. 트랙들(5)에서의 롤링(rolling)들은 한편으로 전기 라인을 통해 이동가능한 전기 장치에 연결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컨택 라일 레일들(1a, 1b)의 종방향(L)에 내부 공간(4)으로 연장되는 컨택 레일(6)(도 5)을 따라 컨택 라인 컨택츠(contact line contacts)를 통한 슬라이드(slide)인 소위 컨택 라인 캐리지(contact line carriage)이다.
상기 종방향(L)에 동일한 평면에 배열되는 두 개의 제1 및 제2 컨택 라인 레일들을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1 컨택 라인 레일(1a)의 제1 레일 끝(7a)은 제1 중간요소(8a)에 연결되고, 제2 컨택 라인 레일(1b)의 제2 레일 끝(7b)는 제2 중간요소(8b)에 연결된다. 제1 및 제2중간 요소들(8a, 8b)은 종방향(L)에서 보이는 것처럼, 부착부분(8a) 및 그에 인접하는 레일 부분(8b)으로 구성된다. 상기 부착 부분(8a)은 컨택 라인 레일(1a,1b)의 외부 윤곽에 상응하는 방법으로 형성된 내부 윤곽을 포함하며 컨택 라인 레일(1a, 1b)의 종방향(L)에 포지티브-락킹(positive-locking) 방법으로 미끄러져 들어갈 수 있게 된다. 부착 부분에 대조적으로, 상기 레일 부분(8b)은 컨택 라인 레일(1a, 1b)의 레일의 끝(7a, 7b)에 상응하는 외부 윤곽, 내부 윤곽 및 단면 형상을 포함한다. 상기 컨택 라인 레일(1a, 1b)들을 서로 연결하는 동안, 종방향(L)에 바람직한 숫자로, 상기 컨택 레일들(6)은 홀더들(9)에 삽입되고, 내부 공간(4)에 제공되며, 중간 요소들(8a, 8b)의 레일 부분(8d)으로부터 약간 돌출되고 요구되는 길이로 잘려진다. 제1 및 제2 컨택 라인 레일(1a, 1b)의 제1 컨택 레일의 끝(6a) 및 제2 컨택 레일의 끝(6b)들은 컨택 레일 커넥터(10)를 통해 함께 연결된다. 이 경우, 틈(S)은 상기 부착부분(8c)의 반대쪽 시작들(6e) 사이에서 남아있게 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컨택 라인 레일들(1a, 1b)은 컨택 레일 커넥터(10) 및 연합된 컨택 레일들(6)을 통해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 결과, 9에서 12까지의 요소들에 의해 서로로부터 이탈되는 주로 구리고 구성되는 컨택 레일들(6) 및 주로 PVC로 구성되는 종방향 플라스틱 프로파일들(2a, 2b)의 다른 열 팽창 지수를 통일하게 할 수 있게 한다.
컨택에 대한 보호의 관점에서 상기 컨택 레일 커넥터(10)를 덮기 위해, 상기 컨택 레일 커넥터(10)의 조립에 앞서 조립 위치에서 제1 추가 요소(11a)는 제1 중간 요소(8a)의 레일 부분(8d)에 미끄러져 들어가고 제2 추가 요소(11b)는 제2 중간 요소(8b)의 레일 부분(8d)에 미끄러져 들어간다. 이런 추가 요소들(11a, 11b)은 상기 중간 요소(8a, 8b)의 레일 부분들(8d)에 종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 하는 방법으로 중간 요소(8a, 8b)의 레일 부분들(8d)의 외부 윤곽에 적용되는 내부 윤곽을 포함한다. 상기 컨택 라인 레일들(1a, 1b)이 컨택 레일 커넥터(10)를 통해 서로 연결된 후에, 제1 추가 요소(11a) 및 제1 추가 요소(11b)들은 그 반대쪽의 제1 추가요소 끝(11c) 및 제2 추가 요소 끝(11d)과 동일한 평면에 놓일 때까지 종방향(L)에서 작동 위치로 서로를 향해 밀어진다. 상기 추가 요소 끝들(11c, 11d)은 종방향(L)에 대해 가로로 배열되는 제1 베어링 표면들(11e) 및 제2 베어링 표면들(11f)을 포함한다. 작동 위치(operation position)에서, 제1 베어링 표면들(11e) 및 제2 베어링 표면들(11f)이 서로에 대해 놓이며, 제1 추가 요소(11a) 및 제1 추가 요소(11b)들은 래칭 커넥션(latching connection)들(12)을 통해 작동위치에 있게 된다.
도 2는 부착된 제1 중간 요소들(8a)과 함께 제2 컨택 라일 레일(1a)의 제1 레일 끝(7a)의 도면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이 도면에서 제1 중간 요소(11a)는 아직 탑재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 도면은 제1 중간요소(8a)의 부착 부분(8c)의 끝의 상세한 구조를 보여줄 수 있다. 제2 중간요소(8b)의 부착부분(8c)은 상응하는 방법으로 형성된다. 상기 레일 부분(8c)은 상기 컨택 라인 레일들(1a, 1b)의 내부 공간(4)에 대응하는 내부공간(4)을 포함한다. 특히, 내부 공간(4) 방향으로 열려있고 돌출되어 있는 C자형태 홀더들(9)은 측면 벽들 및 상단 벽들에서 볼 수 있다. 세 개의 홀더들(9)은 내부 공간(4)의 반대쪽 측면 벽들에 배치되고 추가적인 홀더는 내부 공간의 상단 벽에 배치된다. 상기 홀더들(9)은 실직적으로 C자형태 및 직사각형의 단면을 포함하고 도 2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종방향(L)에서 홀더들(9)에 삽입되고 C자형태의 배치로 인한 포지티브-락킹(positive loching) 방법으로 고정되는 평평한 프로파일 형상의 컨택 레일들(6)을 받아들이는 역할을 한다. 세 개의 홀더들(9)은 내부 공간(4)의 측면 벽들에 다른 홀더들의 맨 위에 배치된다. 제1 및 제2 홀더들과 제2및 제3 홀더들 사이에 배치된 것들은 각 경우에 종방향(L)으로 배치되고 레일 부분(8d)의 시작점으로부터의 출발점이 레일 부분(8d)의 약 1/3길이의 레일 부분(8d)에 돌출되는 슬롯들(13)이다. 이런 슬롯들(13)은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배열되고 서로로부터 컨택 레일 커넥터(10)들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추가 요소들(11a, 11b)의 파티션 벽(11g)을 받아들이는 역할을 한다. 마찬가지로 레일 부분(8d)의 종방향(L)으로 연장되는 더 긴 홀(14)은 슬롯들(13)사이의 레일 부분(8d)의 측면벽에 제공된다. 추가요소들의 살짝 돌출되는 돌출부는 포지티브-락킹 방법으로 상기 긴 홀(14)에 맞물리고 - 또한 레일 부분(8d)의 반대쪽 면에 제공된다.- 따라서 추가 요소들(11a, 11b)을 레일 부분(8d)에 캡티브(captive) 방법으로 부착할 수 있게 하고, 동시에 종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 하는 방법으로 고정할 수 있게하며, 이는 컨택 라인 레일들(1a, 1b)의 연속적인 연결 동안 다른 것들을 향해 밀을 수 있고 추가 요소들(11a, 11b)의 수단으로 컨택 레일 커넥터들(10)을 덮기 위함이다.
게다가, 도 2는 종방향 틈(3)에 인접한 트랙(5)의 영역에서 트랙(5)의 영역에서 중앙에 작용하고 마찬가지로 종방향(L)으로 연장되는 트랙 슬롯들(15)을 보여준다. 앞서 기술된 것처럼, 컨택 라인 레일들(1a, 1b)의 상호 연결된 작동 상태로 부터 중간 요소들(8a, 8b)의 반대쪽 끝들 사이에서 틈(S)은 컨택 라인 커넥터(10)의 길이와 거의 동일한 틈의 폭으로 남게 되고, 상기 트랙들 사이의 틈(S)은 추가 요소들(11)에 의해 연결된다. 이 목적을 위해, 추가 요소(11)는 추가 요소들(11a, 11b)의 작동 상태에서 반대쪽 레일 부분들(8d)의 트랙 슬롯들(15)로 돌출되는 트랙 웹(16) 방식으로 형성되는 트랙 부분을 포함한다.
도 2로부터 부착부분(8c)과 함께 종방향 플라스틱 프로파일(2a)로 미끄러져 들어가는 중간 요소(8a)가 나사의 형태로 체결 요소들(fastening elements)(17)을 통해 종방향 플라스틱 프로파일(2a)에 부착된다. 상기 체결 요소들(17)은 추가 요소들(11a, 11b)를 부착 부분(8c)에 죔쇠로 고정시킨다.
도 3은 도 2에 대응하는, 부착된 제1 중간 요소(8a)와 함께 제1 컨택 라인 레일(1a)의 제1 레일 끝(7a)의 도면에 대해 보여주며, 컨택 라인 커넥터들(10)을 덮기 위한 목적으로 제1 추가요소(11a)가 부가적으로 부착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상기 컨택 레일들(6)은 홀더들(9) 중 몇몇에 이미 삽입되어 있고 제1 컨택 레일 끝들(6a)은 제1 중간 요소(8a)의 부착부분의 홀더들(9)로 부터 돌출되어 있다. 상기 컨택 레일 커넥터들(10)은 이미 제1 컨택 레일 끝들(6a)에 미끄러져 들어가 있고 거기에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컨택 레일 커넥터들(10)과 부착 부분(8c)의 시작점(8e)사이의 간격이 일정해진다는 것은 명백하다.
또한 제1 추가 요소 끝(11c)의 영역에서, 제1 추가 요소(11a)가 특히 클램핑 스크류(10a)로 컨택 레일 커넥터들(10)을 덮기 위해 외부적으로 유도된 볼록한 부분(convex portion)(11h)을 포함한다는 것이 명백하다. 상기 제2 추가 요소(11b)는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된다.
도 3은 역시 트랙(5)의 영역에서, 종방향(L)에 상기 트랙 슬롯들(15)로 돌출된 트랙 웹(16)을 보여준다. 도 3은 또한 내부로 돌출된 제1 추가 요소(11a)의 파티션 벽들(11e)이 수평으로 배열되고 제 추가 요소(11a)의 작동 상태에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다른 것 맨 위에 하나가 놓이는 컨택 레일(6)의 컨택 레일 커넥터들(10)을 서로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경우에, 상기 파티션 벽들(11g)은 제1 중간요소(8a)의 레일 부분(8d)의 슬롯들 (13)에 돌출된다.
도 4는 도 3 즉, 제1 중간 요소(8)의 레일 부분(8d)에 제1 추가요소(11a)의 끝의 정면도를 보여준다. 상기 도 4의 오른쪽 반은 특히 선명한 방법으로 수평으로 배열된 제1 추가 요소(11a)의 파티션 벽들(11g)이 다른 것의 맨 위에 하나가 배치되는 컨택 레일 커넥터들(10)을 서로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분리하는 것을 보여준다.
도 5는 도 3에 대응하는 투시도를 보여준다. 그러나 좀 더 나은 이해를 위해 단지 제2 컨택 라인 레일(11b)의 컨택 레일들(6)의 부분들만이 보여 진다. 상기 컨택 레일들(6)은 상기 컨택 레일 커넥터들(10)에 삽입된다. 상기 도면은 제1 및 제2 중간요소들(8a, 8b)의 시작점들(8e) 사이에 단지 컨택 레일들(6)과 컨택 레일 커넥터들(10)에 의해 및 제1 및 제2 추가 요소들(11a, 11b)에 의해 연결되는 틈(S)이 남아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1a 제1 컨택 라인 레일
1b 제2 컨택 라인 레일
2a 제1 종방향 플라스틱 프로파일
2b 제2 종방향 플라스틱 프로파일
3 종방향 틈
4 내부공간
5 트랙
6 컨택 레일들
6a 제1 컨택 레일 끝
6b 제2 컨택 레일 끝
7a 제1 레일 끝
7b 제2 레일 끝
8a 제1 중간요소
8b 제2 중간요소
8c 부착 부분
8d 레일 부분
8e 시작점
9 홀더
10 컨택 레일 커넥터
10a 클램핑 스크류
11a 제1 추가요소
11b 제2 추가요소
11c 제1 추가요소 끝
11d 제2 추가요소 끝
11e 제1 베어링 표면
11f 제2 베어링 표면
11h 볼록한 부분
12 래칭 커넥션
13 슬롯
14 긴 홀
15 트랙 슬롯
16 트랙 웹
17 체결 요소
a 일정한 간격
L 종방향
S 틈

Claims (8)

  1. 각각 종방향 플라스틱 프로파일 및 그것을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택 레일로 구성되고, 두 개의 연속적인 컨택 라인 레일들의 컨택 레일들의 반대쪽 컨택 레일 끝들을 연결하고 컨택 레일들의 컨택 레일 끝들을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택 레일 커넥터를 가지며, 두 개의 연속적인 컨택 라인 레일들의 컨택 라인 레일들의 반대쪽 레일 끝들에 부착되고 컨택 레일 커넥터들을 덮는 두 개의 연속적인 컨택 라인 레일들을 연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중간요소들(8a, 8b)은 연결되는 컨택 라인 레일들(1a, 1b)의 반대쪽 레일 끝들(7a, 7b)의 각각에 부착되고, 추가 요소들(11a, 11b)이 중간 요소들(8a, 8b)에 부착되며 종방향에서 중간 요소에 대해 변위 가능하고,
    각각의 중간 요소(8a, 8b)는 슬리브(sleeve) 방식으로 형성되고, 컨택 라인 레일(1a, 1b)의 레일 끝(7a, 7b)로 미끄러져 들어가며, 체결 요소들(17)을 통해 컨택 라인 레일(1a, 1b)의 레일 끝(7a, 7b)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각 중간요소(8a, 8b)는 인접하는 부착 부분(8c) 및 레일 부분(8d)으로 구성되고 상기 레일 부분(8d)은 컨택 라인 레일(1a, 1b)의 종방향 플라스틱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단면을 가지며, 레일 부분(8d)에 배치된 것들이 중간 요소(8a, 8b)의 종방향(L)에 배열된 긴 홀들(14)이며, 추가 요소들(11a, 11b)의 내부 면에 배치된 돌출된 것들로 추가 요소(11a, 11b)가 중간 요소(8a, 8b)에 고정되는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레일 부분(8d)에 배치된 것들이 중간 요소(8a, 8b)의 종방향(L)에 배열되는 슬롯들(13)이며 부착 부분(8c) 반대쪽 레일 부분(8a, 8b)의 시작점(8e)에 대해 열려 있으며, 추가 요소(11a, 11b)에 배치된 파티션 벽들(11g)이 컨택 레일 커넥터들 (10)을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기 위해 슬롯들(13)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프로파일 레일들(2a, 2b), 추가 요소들(11a, 11b) 및 중간 요소들(8a, 8b)은 각각 내부 공간(4)을 가지는 C자형태의 단면 및 종방향(L)으로 연장되는 종방향 틈(3) 및 종방향 틈(3)에 인접하는 양쪽 면들에 연장되는 집전 트롤리를 위한 트랙들(5)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트랙들(5)의 영역에서 중간 요소(11a, 11b)의 종방향(L)에 배열되는 트랙 슬롯들(15)이 레일 부분(8d)에 배치되고, 틈(S)이 중간 요소들(8a, 8b)의 시작점들(8e) 사이에 존재하며 컨택 레일 커넥터들(10)에 의해 같이 연결되고, 상기 틈이 추가 요소들(8a, 8b)의 내부 공간(4)에 배치되는 트랙 웹들(16)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트랙 웹들(16)이 트랙 슬롯들(15)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프로파일 레일(2a, 2b)의 종방향(L)에 보이는 추가 요소들(11a, 11b)이 가로질러 연장되고 반대쪽에놓이는 래칭 커넥션을 통해 함께 연결되는 베어링 표면들(11e, 11f)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종방향 플라스틱 프로파일들(2a, 2b), 중간 요소들(8a, 8b) 및 추가 요소들(11a, 11b)이 사출 성형(injection-moulded) 플라스틱 부품으로 생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27001183A 2009-07-25 2010-07-16 두 개의 연속되는 컨택 라인 레일들을 연결하기 위한 장치 KR1017173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9034792A DE102009034792A1 (de) 2009-07-25 2009-07-25 Anordnung zum Verbinden von zwei aufeinander folgenden Schleifleitungsschienen
DE102009034792.5 2009-07-25
PCT/EP2010/060309 WO2011012466A1 (de) 2009-07-25 2010-07-16 Anordnung zum verbinden von zwei aufeinander folgenden schleifleitungsschien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5537A KR20120055537A (ko) 2012-05-31
KR101717315B1 true KR101717315B1 (ko) 2017-03-16

Family

ID=42671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1183A KR101717315B1 (ko) 2009-07-25 2010-07-16 두 개의 연속되는 컨택 라인 레일들을 연결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8469727B2 (ko)
EP (1) EP2460237B1 (ko)
JP (1) JP5564110B2 (ko)
KR (1) KR101717315B1 (ko)
CN (1) CN102549854B (ko)
AU (1) AU2010277756B2 (ko)
BR (1) BR112012001591B1 (ko)
CA (1) CA2769027C (ko)
DE (1) DE102009034792A1 (ko)
ES (1) ES2608811T3 (ko)
MX (1) MX2012001087A (ko)
RU (1) RU2496196C2 (ko)
WO (1) WO20110124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34792A1 (de) * 2009-07-25 2011-01-27 Demag Cranes & Components Gmbh Anordnung zum Verbinden von zwei aufeinander folgenden Schleifleitungsschienen
US10103506B2 (en) 2015-04-16 2018-10-16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Busway systems and related assemblies and methods
US9407079B1 (en) * 2015-04-16 2016-08-02 Eaton Corporation Busway systems and related assemblies and methods
CN107401093A (zh) * 2016-05-20 2017-11-28 深圳市朗驰欣创科技股份有限公司 新型配电轨道
US10211581B2 (en) 2017-05-05 2019-02-19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Busway stab assemblie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10135209B1 (en) 2017-05-05 2018-11-20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Busway stab assemblie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DE102017125267A1 (de) * 2017-10-27 2019-05-02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Stromführungsprofil und Stromführungsanordnung
EP3503312B1 (de) * 2017-12-19 2021-05-05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Stromführungsprofil
CN117262077B (zh) * 2023-11-21 2024-03-08 常州市武进大成工贸有限公司 一种汽车装配线电动工具控制系统及其工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35752A (en) * 1954-08-18 1958-05-20 Cleveland Crane Eng Insulated coupled trolley conduit
US2961499A (en) * 1956-08-01 1960-11-22 Porter Co Inc H K Enclosed conductor system
JPS551957Y2 (ko) * 1975-02-28 1980-01-19
JPS5812391Y2 (ja) * 1979-01-31 1983-03-09 松下電工株式会社 ライテイングダクトの接続具
JPH0549462U (ja) * 1991-12-12 1993-06-29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トロリー線の絶縁ピース
DE19807792C2 (de) * 1998-02-19 2000-01-27 Mannesmann Ag Verbinder für zwei aufeinanderfolgende Schleifleitungsteilstücke
DE19817934C1 (de) * 1998-04-17 1999-11-25 Mannesmann Ag Stromeinspeisung für längsgeschlitzte Schleifleitungen
CN2364603Y (zh) * 1999-01-27 2000-02-16 周荣林 复合型滑触导管
DE19948108C2 (de) * 1999-09-27 2003-11-20 Demag Cranes & Components Gmbh Vorrichtung zum Ein- und Ausfahren eines Stromabnehmerwagens in ein bzw. aus einem Kunststofflängsprofil einer Schleifleitung
NL1018319C2 (nl) * 2001-06-18 2002-12-19 Akapp Electro Ind B V Stroomrailsysteem.
US6517363B2 (en) * 2001-06-29 2003-02-11 Universal Electric Corporation Connection assembly for electrical busways
CN1643749A (zh) * 2002-04-04 2005-07-20 金庆泰 低电压分配电路
GB0525473D0 (en) * 2005-12-15 2006-01-25 Insul 8 Ltd Connecting assembly
DE102009034792A1 (de) * 2009-07-25 2011-01-27 Demag Cranes & Components Gmbh Anordnung zum Verbinden von zwei aufeinander folgenden Schleifleitungsschienen
US7744386B1 (en) * 2009-11-02 2010-06-29 Lighting Services Inc. High amperage buswa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12466A1 (de) 2011-02-03
AU2010277756A1 (en) 2012-02-02
BR112012001591B1 (pt) 2020-07-21
RU2496196C2 (ru) 2013-10-20
AU2010277756B2 (en) 2014-02-13
US20120115341A1 (en) 2012-05-10
DE102009034792A1 (de) 2011-01-27
CN102549854A (zh) 2012-07-04
MX2012001087A (es) 2013-01-29
EP2460237B1 (de) 2016-09-28
EP2460237A1 (de) 2012-06-06
ES2608811T3 (es) 2017-04-17
CN102549854B (zh) 2014-08-27
CA2769027C (en) 2018-10-16
US8469727B2 (en) 2013-06-25
CA2769027A1 (en) 2011-02-03
JP2013500190A (ja) 2013-01-07
KR20120055537A (ko) 2012-05-31
RU2012101847A (ru) 2013-09-10
JP5564110B2 (ja) 2014-07-30
BR112012001591A2 (pt) 2017-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7315B1 (ko) 두 개의 연속되는 컨택 라인 레일들을 연결하기 위한 장치
FI59511C (fi) Kaopa foer elektriskt kopplingsdon
RU2497698C2 (ru) Контактный провод, токосъемник и контактно-проводная система
EP2964481B1 (de) Schleifleitung, stromabnehmer und schleifleitungssystem
US3892299A (en) Mobile electrification conductor system
JP2008534346A (ja) 送電軌条担持体
JPH11278110A (ja) 2つの連続するトロリ線セクション用の接続器
JP2014517789A (ja) データ導体用取付具、エネルギー伝送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伝送システム
US9233626B2 (en) Bus bar
EP2969637A1 (de) Schleifleitung, stromabnehmer und schleifleitungssystem mit schlitzhohlleiter zur aufnahme einer antenne
US8286768B2 (en) Insulating profile for a conductor line
KR101494996B1 (ko) 전기 기관차용 가공 전선로 시스템의 서로 이어지는 급전 레일의 팽창 연결 장치
US8618897B2 (en) Switching device and terminal-side accessories
CN107851873B (zh) 数据传输装置、滑接导线和滑接导线系统
CN203589648U (zh) 导电轨盒以及具有导电轨盒的导电轨配电系统
US8302750B2 (en) Multi-pole conductor line
EP2722220A1 (de) Oberleitungsanlage
JP4915912B2 (ja) 絶縁トロリー用回路分割部材
CN104078803A (zh) 绝缘架空用连接装置、及绝缘架空系统
US3624318A (en) 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mobile load devices
US20230019852A1 (en) Flexible multi-wire power supply cable with linear current reception
GB1341777A (en) Linearly extending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having conductor rails
KR20240033895A (ko) 전기 모노레일 시스템의 부스바 연결구조
JPH0237625Y2 (ko)
IT202000006409A1 (it) Sistema elettrico di gestione dei servizi di bordo di un mezzo di trasporto pubblico mediante piste condutti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