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8968B1 - 모터 - Google Patents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8968B1
KR101708968B1 KR1020130150142A KR20130150142A KR101708968B1 KR 101708968 B1 KR101708968 B1 KR 101708968B1 KR 1020130150142 A KR1020130150142 A KR 1020130150142A KR 20130150142 A KR20130150142 A KR 20130150142A KR 101708968 B1 KR101708968 B1 KR 101708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disposed
terminal
bearing bracket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0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4835A (ko
Inventor
마사유키 이시카와
준이치 사토
마사타카 미야모토
Original Assignee
니혼 덴산 테크노 모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211382A external-priority patent/JP6042302B2/ja
Application filed by 니혼 덴산 테크노 모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덴산 테크노 모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74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4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8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8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 H02K5/161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both ends of the r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606Canned motor pumps
    • F04D13/0633Details of the bea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7Ro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02K1/2706Inner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38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rotating flux distributors, and armatures and magnets both stationary
    • H02K21/44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rotating flux distributors, and armatures and magnets both stationary with armature windings wound upon the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Abstract

이러한 모터는 샤프트, 돌출부를 갖는 수지제의 모터 케이싱, 제 1 베어링, 제 2 베어링, 제 1 베어링 브래킷, 제 2 베어링 브래킷, 및 리드선을 갖는다. 제 1 베어링 및 제 2 베어링은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외주면과 내주면 사이가 도전성이다. 제 1 베어링 브래킷과 제 1 베어링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2 베어링 브래킷과 제 2 베어링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 1 베어링 브래킷과 제 2 베어링 브래킷은 리드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리드선은 제 1 베어링 브래킷에 접속되는 제 1 단자를 갖는다. 제 1 단자는 적어도 그 일부가 돌출부와 제 1 베어링 브래킷과 개재되는 것에 의해서 보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복잡한 고정 구조나 여분의 부품 없이, 제 1 단자의 고정과 전식 현상의 억제가 동시에 실현된다.

Description

모터{MOTOR}
본 발명은 모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모터의 스테이터는 수지에 의해서 몰드 성형하여 하우징이 형성되며, 이러한 내부에 베어링을 거쳐서 로터를 내장하는 몰드 모터가 있다. 이와 같은 모터는, 스테이터의 방수성이나, 모터 구동시의 스테이터의 진동에 대한 방진성·방음성이 뛰어나다.
종래의 모터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일본 공개 공보 제 2009-112065 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 공보 제 2009-112065 호 공보의 모터는, 스테이터를 몰드 수지에서 몰드 일체 성형한 모터 프레임과, 회전축을 갖는 로터와, 회전축의 양단에 장착된 2개의 베어링과, 베어링을 각각 보지하는 2개의 브래킷을 갖는다(제 1 항, 단락 0039).
스테이터를 몰드 일체 성형한 모터 프레임은, 수지 재료에 의해서 성형되어 있다. 즉, 모터 프레임이 정전 용량을 갖는다. 따라서, 모터의 구동에 의해 모터 프레임 내에 전하가 모여, 2개의 브래킷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한다. 그러면, 회전축과 베어링 사이에 전류가 흐른다. 즉, 해당 전류에 의해, 전식(電食)이라 불리는 베어링의 손상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전식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이하와 같은 모터가 있다.
일본 공개 공보 제 2010-001947 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모터는, 그리스 봉입 심홈 볼베어링의 복수의 볼이 세라믹으로 이루어져 있다(제 1 항, 단락 0008, 0044). 즉, 볼베어링의 볼이 비도전성의 세라믹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베어링에 전류가 흐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베어링의 전식이 억제된다. 그러나, 세라믹제의 볼베어링은, 일반적인 금속제 볼베어링에 비해 고가이다.
일본 공개 공보 제 2004-229429 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모터는, 스테이터의 철심과, 베어링의 브래킷에, 나사 형상의 어스 단자를 갖는 어스 선을 장착하여 외부에 단락시키고 있다(제 1 항, 단락 0022 내지 0025). 이것에 의해, 정전 용량 성분의 분포나 전압 변화에 의한 전류가, 어스 선을 통하여 외부로 흐르기 때문에, 베어링 전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단락 0011). 그러나, 일본 공개 공보 제 2004-229429 호 공보의 구조에서는 나사 부품이 필요하다. 또한, 브래킷에 나사 구멍을 마련할 필요도 있다. 그리고, 나사를 돌리는 공정이 필요하다. 또한, 모터의 진동에 의한 나사의 느슨함을 방지하기 위해서 나사 로킹이나 접착 등의 필요가 발생한다. 따라서, 재료는 고가가 아니지만, 부품 수나 공정 수가 증가한다.
또한, 일본 공개 공보 제 2010-158152 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모터는, 2개의 브래킷 사이가 도전 핀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전 핀은, 2개의 브래킷 중 한쪽의 브래킷과, 스테이터와 함께 몰드 일체 성형되어 있다. 도전 핀은, 다른쪽의 브래킷과 전도시키기 위한 선단부를 갖고 있다. 선단부는, 일체 성형된 몰드 수지로부터 노출하고 있다(단락 0050). 이와 같이, 도전 핀의 선단부를 수지로부터 노출시키기 위해서는, 금형 성형 상, 시일 부재 또는 연결기 부재가 필요하다. 따라서, 부품 수가 증가하고 있다.
일본 공개 공보 제 2009-112065 호 공보 일본 공개 공보 제 2010-001947 호 공보 일본 공개 공보 제 2004-229429 호 공보 일본 공개 공보 제 2010-158152 호 공보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모터에 있어서, 전식 현상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비용 증가, 부품 수나 공정 수의 증가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식 현상을 억제하고, 또한, 간이한 조립과 비용 삭감을 실현할 수 있는 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의 예시적인 제 1 발명은 샤프트와, 로터와, 스테이터와, 모터 케이싱과, 제 1 베어링과, 제 2 베어링과, 제 1 베어링 브래킷과, 제 2 베어링 브래킷과, 리드선을 갖는 모터이다. 샤프트는, 상하 방향으로 중심축을 따라서 배치된다. 로터는, 샤프트의 주위에 있어서 샤프트와 함께 회전한다. 스테이터는, 로터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모터 케이싱은 수지제이며, 스테이터 중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한다. 제 1 베어링은, 로터보다 상방에 있어서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외주면과 내주면의 사이가 도전성이다. 제 2 베어링은, 로터보다 하방에 있어서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외주면과 내주면 사이가 도전성이다. 제 1 베어링 브래킷은 도전성을 갖고, 제 1 베어링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또한 제 1 베어링을 직접 또는 다른 도전성의 부재를 거쳐서 보지한다. 제 2 베어링은 도전성을 갖고, 제 2 베어링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또한 제 2 베어링을 직접 또는 다른 도전성의 부재를 거쳐서 보지한다. 리드선은 제 1 베어링 브래킷과 제 2 베어링 브래킷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모터 케이싱은 상방을 향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갖는다. 리드선은 제 1 베어링 브래킷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단자를 갖는다. 제 1 단자는 적어도 그 일부가 돌출부와 제 1 베어링 브래킷에 개재되는 것에 의해서 보지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예시적인 제 1 발명에 의하면, 제 1 단자가 돌출부와 제 1 베어링 브래킷에 개재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단자의 고정과 제 1 베어링 브래킷과 제 1 단자의 전도를 동시에 할 수 있다. 즉, 복잡한 고정 구조나 여분의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전식 현상을 억제하고, 또한 간이한 조립과 비용 삭감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의 종단면도,
도 2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의 종단면도,
도 3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의 외관도,
도 4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의 부분 단면도,
도 5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 케이싱 및 리드선의 부분 확대도,
도 6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 케이싱 및 리드선의 부분 사시도,
도 7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의 부분 하면도,
도 8은 변형예에 따른 모터의 부분 종단면도,
도 9는 변형예에 따른 모터의 부분 종단면도,
도 10은 변형예에 따른 모터의 부분 분해 종단면도,
도 11은 변형예에 따른 모터 케이싱 및 리드선의 부분 사시도,
도 12는 변형예에 따른 모터 케이싱 및 리드선의 부분 확대도,
도 13은 변형예에 따른 모터 케이싱 및 리드선의 부분 사시도,
도 14는 변형예에 따른 모터의 부분 종단면도,
도 15는 변형예에 따른 모터 케이싱 및 리드선의 부분 사시도,
도 16은 변형예에 따른 모터 케이싱 및 리드선의 부분 사시도,
도 17은 변형예에 따른 모터의 부분 종단면도,
도 18은 변형예에 따른 모터의 부분 단면도,
도 19는 변형예에 따른 모터의 부분 종단면도,
도 20은 변형예에 따른 모터 케이싱 및 리드선의 부분 사시도,
도 21은 변형예에 따른 모터 케이싱 및 리드선의 부분 사시도,
도 22는 변형예에 따른 모터 케이싱 및 리드선의 부분 사시도,
도 23은 변형예에 따른 모터의 부분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모터의 중심축과 평행인 방향을 「축방향」, 모터의 중심축에 직교하는 방향을 「반경 방향」, 모터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를 따르는 방향을 「원주 방향」으로 각각 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축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하고, 로터에 대하여 제 1 베어링 측을 상부, 제 2 베어링 측을 하부로 하여, 각 부의 형상이나 위치 관계를 설명한다. 단, 이러한 상하 방향의 정의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사용시의 방향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없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평행 방향」이란, 대략 평행 방향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직교 방향」이란, 대략 직교 방향도 포함한다.
<1. 제 1 실시형태>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1A)의 종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1A)는 샤프트(10A)와, 로터(2A)와, 스테이터(3A)와, 모터 케이싱(4A)과, 제 1 베어링(51A)과, 제 2 베어링(52A)과, 제 1 베어링 브래킷(61A)과, 제 2 베어링 브래킷(62A)과, 리드선(7A)을 갖는다.
샤프트(10A)는 상하 방향으로 중심축(9A)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로터(2A)는 샤프트(10A)의 주위에 대해 샤프트(10A)와 함께 회전한다. 스테이터(3A)는 로터(2A)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모터 케이싱(4A)은 수지제이며, 스테이터(3A)를 수용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모터 케이싱(4A)이 스테이터(3A)의 전체를 수용하고 있지만, 모터 케이싱(4A)은 스테이터(3A) 중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고 있으면 좋다. 또한, 모터 케이싱(4A)은 상방을 향하여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42A)를 갖고 있다.
제 1 베어링(51A)은 로터(2A)보다 상방에 대해서 샤프트(10A)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 1 베어링(51A)은 외주면과 내주면 사이가 도전성이다. 제 2 베어링(52A)은 로터(2A)보다 하방에 있어서 샤프트(10A)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 2 베어링(52A)은 외주면과 내주면 사이가 도전성이다.
제 1 베어링 브래킷(61A)은 제 1 베어링(51A)을 보지하고 있다. 또한, 제 1 베어링 브래킷(61A)은 도전성이며, 제 1 베어링(51A)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2 베어링 브래킷(62A)은 제 2 베어링(52A)을 보지하고 있다. 또한, 제 2 베어링 브래킷(62A)은 도전성이며, 제 2 베어링(52A)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베어링 브래킷(61A) 및 제 2 베어링 브래킷(62A)은, 제 1 베어링(51A) 및 제 2 베어링(52A)을 각각 직접 보지하고 있다. 그러나, 제 1 베어링 브래킷(61A) 및 제 2 베어링 브래킷(62A)은, 제 1 베어링(51A) 및 제 2 베어링(52A)을 각각 다른 도전성의 부재를 거쳐서 보지하고 있어도 좋다.
리드선(7A)은 제 1 베어링 브래킷(61A)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단자(71A)를 갖고 있다. 제 1 단자(71A)는, 그 일부가 돌출부(42A)와 제 1 베어링 브래킷(61A)에 개재되는 것에 의해서 보지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단자(71A)의 일부분이 돌출부(42A)와 제 1 베어링 브래킷(61A)에 개재되어 있지만, 제 1 단자(71A)의 전체가 돌출부(42A)와 제 1 베어링 브래킷(61A)에 개재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리드선(7A)은, 제 1 베어링 브래킷(61A)과 제 2 베어링 브래킷(62A)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모터(1A)에 있어서는, 제 1 단자(71A)가 모터 케이싱(4A)의 돌출부(42A)와 제 1 베어링 브래킷(61A)에 개재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단자(71A)의 고정과, 제 1 베어링 브래킷(61A) 및 제 1 단자(71A)의 전도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다. 즉, 복잡한 고정 구조나 여분의 부품은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전식 현상이 억제되며, 또한 간단하고 쉬운 조립과 비용 삭감이 실현된다.
<2. 제 2 실시형태>
<2-1. 모터의 전체 구성>
이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1)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모터(1)의 외관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모터(1)는, 예를 들면, 공조기 등의 가전 제품에 사용된다. 단, 본 발명의 모터는 가전 제품 이외에 사용되는 것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모터는, 자동차나 철도 등의 수송 기기, OA 기기, 의료 기기, 공구, 산업용의 대형 설비 등에 탑재되며, 여러 가지의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1)는, 고주파의 펄스 폭 변조 방식 제어에 의해, 인버터의 스위칭 소자를 구동시키고 있다. 펄스 폭 변조 방식 제어를 실행하고 있는 모터에서는 전식 현상이 생기기 쉽다. 따라서, 펄스 폭 변조 방식 제어를 실행하는 모터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술이 특히 유용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모터(1)는 펄스 폭 변조 방식 제어를 실행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식 현상이 생길 수 있는 모터이면, 그 이외의 제어 방식에 의해서 구동하는 모터라도 좋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1)는 샤프트(10)와, 로터(2)와, 스테이터(3)와, 회로 기판(30)과, 모터 케이싱(4)과, 제 1 베어링(51)과, 제 2 베어링(52)과, 제 1 베어링 브래킷(61)과, 제 2 베어링 브래킷(62)과, 리드선(7)을 갖는다. 스테이터(3), 회로 기판(30), 모터 케이싱(4), 제 1 베어링 브래킷(61), 제 2 베어링 브래킷(62), 및 리드선(7)은 모터(1)의 정지부에 속하고 있다. 샤프트(10) 및 로터(2)는 모터(1)의 회전부에 속하고 있다. 정지부와 회전부는 제 1 베어링(51) 및 제 2 베어링(52)을 거쳐서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샤프트(10)는 중심축(9)을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 형상의 부재이다. 샤프트(10)는 제 1 베어링(51) 및 제 2 베어링(52)에 지지되면서, 중심축(9)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샤프트(10)의 하단부는 모터 케이싱(4)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샤프트(10)의 하단부에는 예를 들면, 공조기용의 팬이 장착된다. 또한, 샤프트(10)의 하단부는 기어 등의 동력 전달 기구를 거쳐서, 팬 이외의 구동부에 연결되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샤프트(10)가 하방으로 돌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샤프트(10)는 제 1 베어링 브래킷(61)보다 상방으로 돌출하며, 그 상단부가 구동부와 연결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샤프트(10)는 모터 케이싱(4)의 하방 및 제 1 베어링 브래킷(61)의 상방의 쌍방으로 돌출하며, 그 하단부 및 상단부의 양측이 각각 구동부에 연결되어 있어도 좋다.
로터(2)는 스테이터(3)의 반경 방향 내측, 또한 샤프트(10)의 주위에 배치되며, 샤프트(10)와 함께 회전한다. 로터(2)는 로터 코어(21) 및 복수의 마그넷(22)을 갖는다. 로터 코어(21)는 전자 강판이 축방향으로 적층된 적층 강판으로 이루어진다. 복수의 마그넷(22)은 로터 코어(21)의 주위에 배치된다. 각 마그넷(22)의 반경 방향 외측의 면은, 후술하는 티스(311)의 반경 방향 내측의 단면에 대향하는 자극면으로 되어 있다. 복수의 마그넷(22)은, N극의 자극면과 S극의 자극면이 교대로 나열되도록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마그넷(22)을 대신하여, 환상의 마그넷이 사용되어 있어도 좋다. 환상의 마그넷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마그넷의 외주면에 N극과 S극이 원주 방향으로 교대로 착자(着磁)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마그넷(22)은 본 실시형태와 같이 로터 코어(21)의 주위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으며, 또는 로터 코어(21)의 내부에 매립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스테이터(3)는 로터(2)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된 전기자이다. 스테이터(3)는 스테이터 코어(31), 인슐레이터(32), 및 복수의 코일(33)을 갖는다. 스테이터 코어(31)는 전자 강판이 축방향으로 적층된 적층 강판으로 이루어진다. 스테이터 코어(31)는 모터 케이싱(4)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스테이터 코어(31)는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돌출된 복수의 티스(311)를 갖는다. 복수의 티스(311)는 원주 방향으로 대략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인슐레이터(32)는 절연체인 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각 티스(311)의 상면, 하면, 및 원주 방향의 양측면은, 인슐레이터(32)에 의해 덮여 있다. 코일(33)은 인슐레이터(32)의 주위에 감겨진 도선에 의해 구성된다.
회로 기판(30)은 로터(2) 및 스테이터(3)의 상측, 또한 제 1 베어링 브래킷(61)의 하측에 있어서,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회로 기판(30)의 표면에는, 코일(33)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자 회로가 실장되어 있다. 코일(33)을 구성하는 도선의 단부는 회로 기판(30) 상의 전자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는 회로 기판(30)을 거쳐서 코일(33)에 흐른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회로 기판(30)에는, 펄스 폭 변조 방식 제어를 실행하는 전자 회로가 탑재되어 있다.
모터 케이싱(4)은 스테이터(3)를 보지하는 수지제의 부재이다. 본 실시형태의 모터 케이싱(4)은 스테이터(3) 및 제 2 베어링 브래킷(62)이 삽입된 금형의 내부에, 수지를 유입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 인서트(insert) 성형품이다.
모터 케이싱(4)은 스테이터 보지부(41), 돌출부(42) 및, 제 2 베어링 브래킷 보지부(43)를 갖는다. 스테이터 보지부(41)는 스테이터(3)의 일부를 덮으며, 또한 스테이터(3)를 보지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테이터(3)의 표면 중, 티스(311)의 반경 방향 내측의 단면 이외의 면이 스테이터 보지부(41)에 덮여 있다. 스테이터 보지부(41) 및 스테이터(3)의 반경 방향 내측에는 로터(2)가 수용되어 있다. 돌출부(42)는 대략 원통 형상의 부위이며, 스테이터 보지부(41)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돌출부(42)의 상세한 형상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 2 베어링 브래킷 보지부(43)는 스테이터 보지부(41)의 하방에 위치하며, 스테이터 보지부(41)의 하단면의 반경 방향 내측 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제 2 베어링 브래킷 보지부(43)는 제 2 베어링 브래킷(62)의 외주면 및 하면의 일부를 덮고, 또한 제 2 베어링 브래킷(62)을 보지하고 있다.
제 1 베어링(51)은 로터(2)보다 상방에 있어서, 샤프트(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제 2 베어링(52)은 로터(2)보다 하방에 있어서, 샤프트(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제 1 베어링(51) 및 제 2 베어링(52)은 모두 구체(501), 외륜(502), 및 내륜(503)을 갖는 볼베어링이다. 볼베어링에 있어서는, 외륜(502)과 내륜(503)이 구체(501)를 거쳐서 상대 회전한다. 구체(501), 외륜(502), 및 내륜(503)의 재료에는 철이나 알루미늄 등의 도전성의 금속이 사용된다. 즉, 제 1 베어링(51) 및 제 2 베어링(52)은 모두 외주면과 내주면 사이가 도전성의 부재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체(501), 외륜(502), 및 내륜(503)의 전체가 도전성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베어링(51) 및 제 2 베어링(52)의 일부에 절연 재료가 사용되어 있어도, 제 1 베어링(51) 및 제 2 베어링(52)의 외주면과 내주면 사이가 도전성의 부재로 연결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베어링으로서 볼베어링을 사용하고 있지만, 베어링의 외주면과 내주면 사이가 도전성이면 슬리브 베어링 등의 다른 방식의 베어링을 사용하여도 좋다.
제 1 베어링 브래킷(61)은, 모터 케이싱(4)의 상방에 배치되며, 또한 반경 방향으로 넓어지는 대략 판 형상의 부재이다. 제 1 베어링 브래킷(61)과 모터 케이싱(4)은 압입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다.
제 1 베어링 브래킷(61)은, 제 1 베어링(51)을 보지하는 제 1 베어링 보지부(611)와, 모터 케이싱(4)과 압입에 의해 고정되는 압입부(612)를 갖는다. 제 1 베어링 보지부(611)는 상측이 폐쇄된 대략 원통 형상의 부위이다. 제 1 베어링(51) 및 샤프트(10)의 상단부는 제 1 베어링 보지부(611)의 반경 방향 내측에 수용되어 있다. 압입부(612)의 상세한 형상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 1 베어링 브래킷(61)은 철이나 알루미늄 등의 도전성의 금속제이며, 제 1 베어링(51)의 외주면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2 베어링 브래킷(62)은 제 2 베어링(52)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된 환상의 부재이다. 제 2 베어링(52)은 제 2 베어링 브래킷(62)에 보지되어 있다. 또한, 제 2 베어링 브래킷(62)은 철이나 알루미늄 등의 도전성의 금속제이며, 제 2 베어링(52)의 외주면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터 케이싱(4)은 스테이터(3) 및 제 2 베어링 브래킷(62)이 삽입된 금형의 내부에 수지를 유입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 인서트 성형품이다. 즉, 제 2 베어링 브래킷(62)은 몰드 수지의 성형에 의해, 모터 케이싱(4)에 고정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드선(7)은 모터 케이싱(4)의 외주면을 따라서 대략 축방향으로 배치된다. 리드선(7)은 제 1 단자(71), 제 2 단자(72), 및 도선부(73)를 갖는다. 도선부(73)의 상단은 제 1 베어링 브래킷(6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단자(71)와 접속되어 있다. 도선부(73)의 하단은 제 2 베어링 브래킷(62)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2 단자(72)와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베어링 브래킷(61) 및 제 2 베어링 브래킷(62)은, 리드선(7)을 거쳐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1 단자(71)는, 그 일부가 돌출부(42)와 제 1 베어링 브래킷(61)에 개재되는 것에 의해서 보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단자(71)의 돌출부(42)로의 고정과, 제 1 베어링 브래킷(61) 및 제 1 단자(71)의 전도가 동시에 실현할 수 있다. 즉, 복잡한 고정 구조나, 여분의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전식 현상을 억제하고, 또한, 간이한 조립과 비용 삭감을 실현할 수 있다. 제 1 단자의 상세한 형상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2-2. 리드선 및 각 베어링 브래킷의 접속 부분의 구성>
이어서, 리드선(7)과, 제 1 베어링 브래킷(61)의 접속 부분에 대하여, 보다 상세한 구성을 설명한다. 도 4는 모터(1)의 부분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모터 케이싱(4) 및 리드선(7)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본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모터 케이싱(4) 및 리드선(7)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모터(1)의 부분 하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단자(71)는 기단부(711), 굴곡부(712) 및 연장부(713)를 갖는다. 기단부(711)는 도선부(73)의 상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하며 대략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굴곡부(712)는 기단부(711)의 상단부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연장부(713)는, 제 1 단자(71)의 선단에 있으며, 굴곡부(712)의 반경 방향 내측의 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대략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기단부(711)는 돌출부(42)의 외주면에 배치된다. 굴곡부(712)는 돌출부(42)의 상단면에 배치된다. 그리고, 연장부(713)는 돌출부(42)의 내주면에 배치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 케이싱(4)의 돌출부(42)의 표면에는 주위보다 오목한 홈부(421)가 마련되어 있다. 홈부(421)는 외면 홈(81), 상면 홈(82), 및 내면 홈(83)을 갖고 있다. 외면 홈(81)은 돌출부(42)의 반경 방향 외측의 면에 배치되며, 돌출부(42)의 상단면으로부터 축방향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면 홈(82)은 돌출부(42)의 상단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내면 홈(83)은 돌출부(42)의 반경 방향 내측의 면에 배치되며, 돌출부(42)의 상단면으로부터 축방향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외면 홈(81), 상면 홈(82), 및 내면 홈(83)에는 각각 제 1 단자(71)의 기단부(711), 굴곡부(712), 및 연장부(13)가 배치되어 있다. 즉, 외면 홈(81), 상면 홈(82), 및 내면 홈(83)을 포함한 연속한 홈부(421)에 제 1 단자(71)가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단자(71)의 두께에 기인하는 제 1 베어링 브래킷(61)의 압입 불량이나, 제 1 베어링 브래킷(61)의 축 어긋남이 억제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단자(71)의 기단부(711), 굴곡부(712), 및 연장부(713)의 각각 전체가 홈부(421)에 배치되어 있지만, 제 1 단자(71) 중 적어도 일부가 홈부(421)에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돌출부(42)는 반드시 외면 홈(81), 상면 홈(82), 및 내면 홈(83)의 전체를 갖고 있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외면 홈(81), 상면 홈(82), 및 내면 홈(83)의 일부 또는 전체가 생략되어 있어도 좋다. 어느 경우에도, 제 1 단자(71)와 후술하는 압입부(612)가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있으면 좋다.
또한, 도 4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면 홈(81)의 반경 방향의 깊이 치수가 기단부(711)의 반경 방향의 두께 치수보다 크다. 이것에 의해, 돌출부(42)의 외주면으로부터의 기단부(711)의 돌출이 억제되어 있다. 또한, 내면 홈(83)의 반경 방향의 깊이 치수가 연장부(713)의 반경 방향의 두께 치수보다 크다. 이것에 의해, 돌출부(42)의 내주면으로부터의 연장부(713)의 돌출이 억제되어 있다. 그 결과, 제 1 베어링 브래킷(61)과 돌출부(42)의 고정에 따르는 제 1 베어링 브래킷(61)의 축 어긋남이 더욱 억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홈부(421)의 깊이 치수가 홈부(421)에 배치되는 제 1 단자(71)의 두께 치수보다 크다. 그렇지만, 홈부(421)의 깊이 치수는 제 1 단자(71)의 두께 치수보다 작아도 좋다. 홈부(421)의 깊이 치수를 제 1 단자(71)의 두께 치수보다 작게 하면 제 1 베어링 브래킷(61)과 제 1 단자(71)를 보다 확실히 접촉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베어링 브래킷(61)의 압입부(612)는 환상부(601), 외측 고정부(602), 및 내측 고정부(603)를 갖는다. 환상부(601)는 돌출부(42)의 상방에 위치하며, 돌출부(42)의 상단면을 따라 대략 환상으로 넓어져 있다. 외측 고정부(602)는 환상부(601)의 반경 방향 외측의 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하며, 대략 원통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내측 고정부(603)는 환상부(601)의 반경 방향 내측의 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하며, 대략 원통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1 단자(71)의 기단부(711)의 일부분은 돌출부(42)의 외주면과 외측 고정부(60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굴곡부(712)는 돌출부(42)의 상단면과 환상부(601)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연장부(713)는 돌출부(42)의 내주면과 내측 고정부(603)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출부(42)의 상단부에 후크 형상의 제 1 단자(71)가 걸려있다. 그리고, 해당 제 1 단자(71)를 제 1 베어링 브래킷(61)의 압입부(612)가 덮는 것에 의해서 보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단자(71)가 제 1 베어링 브래킷(61)에 의해서 보다 확실히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 1 단자(71)와 제 1 베어링 브래킷(61)이 보다 확실히 접촉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단부(711)의 일부분이 돌출부(42)의 외주면과 외측 고정부(60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렇지만, 기단부(711)의 전체가 돌출부(42)의 외주면과 외측 고정부(602)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장부(713)의 전체가 돌출부(42)의 내주면과 내측 고정부(603) 사이에 배치되어 있지만, 연장부(713)의 일부분만 돌출부(42)의 내주면과 내측 고정부(603)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압입부(612)와 돌출부(42)는 압입으로 고정되어 있다. 돌출부(42)의 내주면 및 외주면 중, 압입부(612)와의 압입에 관계되는 면은 어느 쪽의 면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내측 고정부(603)가 돌출부(42)의 내주면에 압입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돌출부(42)의 외주면이 외측 고정부(602)에 압입되어 있어도 좋다.
도 3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드선(7)의 도선부(73)는 제 1 단자(71)로부터 모터 케이싱(4)의 외주면을 따라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모터 케이싱(4)은 그 외주면에 2개의 벽부(44)를 갖고 있다. 2개의 벽부(44)는 외면 홈(81)의 하단부로부터 스테이터 보지부(41)의 외주면의 하단부까지 대략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선부(73)는 모터 케이싱(4)의 외주면에 있어서 2개의 벽부(4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리드선(7)의 손상이나 걸림이 억제되어 있다. 또한, 모터 케이싱(4)은 3개 이상의 벽부(44)를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벽부(44)는 외면 홈(81)의 하단부로부터 스테이터 보지부(41)의 하단부까지 단속적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 1 단자(71)는 도선부(73) 중 벽부(44)의 사이에 배치된 부분에 대하여, 원주 방향의 한쪽편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도선부(73) 중, 벽부(44)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부분은, 벽부(44)의 상단부로부터 경사져 연장되어 있다. 그 결과, 도선부(73) 중, 벽부(44)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장력이 가해지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벽부(44)의 상단부가 리드선(7)의 도선부(73)에 장력을 가하는 지점(45)으로 되어 있다. 즉, 모터 케이싱(4)은 그 외주면에 리드선(7)에 장력을 가하는 지점(45)을 갖고 있다. 또한, 제 1 단자(71)의 원주 방향의 중심은, 지점(45)보다 원주 방향의 한쪽편에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리드선(7)의 휨 및 느슨함이 억제되어 있다.
또한, 도 3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선부(73)는 스테이터 보지부(41)의 외주면의 하단부로부터, 스테이터 보지부(41)의 하면을 따라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선부(73)의 제 1 단자(71)측과 반대측의 단부는, 제 2 단자(72)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단자(72)와 제 2 베어링 브래킷(62)은, 나사(900)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2 단자(72)와 제 2 베어링 브래킷(62)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1 베어링 브래킷(61) 및 제 2 베어링 브래킷(62)은, 리드선(7)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 결과, 제 1 베어링(51) 및 제 2 베어링(52)의 전식 현상이 억제된다.
<3.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은 일 변형예에 따른 모터(1B)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8의 예에서는, 제 1 단자(71B)가 기단부(711B), 굴곡부(712B), 및 연장부(713B)를 갖고 있다. 기단부(711B)는 도선부(73B)의 상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대략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굴곡부(712B)는, 기단부(711B)의 상단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연장부(713B)는, 굴곡부(712)의 반경 방향 내측의 단부로부터 하방 또한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경사져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기단부(711B)와 연장부(713B)의 반경 방향의 간격이 하방을 향함에 따라 확대하고 있다. 또한, 연장부(713B)는 반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8의 예에서는, 기단부(711B)의 반경 방향 외측의 단부와, 연장부(713B)의 반경 방향 내측의 단부가 제 1 베어링 브래킷(61B)에 탄성 접촉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제 1 단자(71B)와 제 1 베어링 브래킷(61B)이 보다 확실히 전도한다. 이 때문에, 제 1 베어링 브래킷(61B)과 제 1 단자(71B)가 보다 확실히 전도한다. 특히, 내면 홈(83B)의 반경 방향의 깊이 치수가 연장부(713B)의 반경 방향의 두께 치수보다 큰 경우라도, 제 1 베어링 브래킷(61B)과 제 1 단자(71B)를 보다 확실히 전도시킬 수 있다.
또한, 도 8의 예에서는, 기단부(711B)의 반경 방향 외측의 단부와 연장부(713B)의 반경 방향 내측의 단부와의 쌍방이 제 1 베어링 브래킷(61B)과 접촉하고 있다. 그러나, 기단부(711B)의 반경 방향 외측의 단부, 및 연장부(713B)의 반경 방향 내측의 단부 중 어느 한쪽만이 제 1 베어링 브래킷(61B)과 접촉하고 있어도 좋다.
도 9는 다른 변형예에 따른 모터(1C)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9의 예에서는, 제 1 단자(71C)가 기단부(711C)와, 탄성 변형 가능한 스프링부(714C)를 갖고 있다. 기단부(711C)는 돌출부(42C)의 외주면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스프링부(714C)는 기단부(711C)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 또는 하방으로 향하여 돌출하고 있다. 또한, 스프링부(714C)는 반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스프링부(714C)와, 제 1 베어링 브래킷(61C)의 외측 고정부(602C)를 보다 확실히 접촉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제 1 베어링 브래킷(61C)과 제 1 단자(71C)를 보다 확실히 전도시킬 수 있다. 특히, 홈부(421C)의 외면 홈(81C)의 반경 방향의 깊이 치수가 기단부(711C)의 반경 방향의 두께 치수보다 큰 경우라도, 제 1 베어링 브래킷(61C)과 제 1 단자(71C)를 보다 확실히 전도시킬 수 있다.
또한, 도 9의 예에서는, 제 1 단자(71C)의 기단부(711C)에 스프링부(714C)가 마련되어 있지만, 제 1 단자의 다른 부위에 스프링부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제 1 단자가 기단부, 굴곡부, 및 연장부를 갖고, 굴곡부 또는 연장부에 스프링부가 마련되며, 해당 스프링부가 제 1 베어링 브래킷에 접촉하고 있어도 좋다.
도 10은 다른 변형예에 따른 모터(1D)의 부분 분해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모터(1D)에 있어서의 모터 케이싱(4D) 및 리드선(7D)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의 예에서는, 제 1 단자(71D)가 기단부(711D), 굴곡부(712D), 연장부(713D), 및 스프링부(714D)를 갖는다. 기단부(711D)는 도선부(73D)의 상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대략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굴곡부(712D)는 기단부(711D)의 상단부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연장부(713D)는 굴곡부(712D)의 반경 방향 내측의 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부(714D)는 굴곡부(712D)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한편, 모터 케이싱(4D)의 돌출부(42D)는 구멍(422D), 외측 돌출부(423D), 및 내측 돌출부(424D)를 갖는다. 구멍(422D)은 돌출부(42D)의 상단면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움푹하게 패여 있다. 외측 돌출부(423D)는 구멍(422D)의 반경 방향 외측에 있어서, 구멍(422D)의 저면보다 상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내측 돌출부(424D)는 구멍(422D)의 반경 방향 내측에 있어서, 구멍(422D)의 저면보다 상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제 1 단자(71D)의 기단부(711D) 및 굴곡부(712D)는 각각 외측 돌출부(423D)의 외주면 및 상단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연장부(713D)는 구멍(422D) 내에 배치되어 있다. 즉, 구멍(422D)은 제 1 단자(71D)의 연장부(713D)의 위치에 맞추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돌출부(42D)의 두께가 다른 복수의 모터에 있어서, 공통의 제 1 단자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의 예에서는, 제 1 베어링 브래킷(61D)의 압입부(612D)가 환상부(601D) 및 고정부(603D)를 갖는다. 환상부(601D)는 돌출부(42D)의 상단면을 따라서 대략 환상으로 넓어져 있다. 고정부(603D)는 환상부(601D)의 반경 방향 내측의 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하며, 대략 원통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예에서는, 고정부(604D)가 내측 돌출부(424D)의 내주면에 압입되는 것에 의해, 모터 케이싱(4D)과 제 1 베어링 브래킷(61D)이 고정된다.
또한, 돌출부(42D)의 상단부에 환상부(601D)를 접근시키면, 환상부(601D)의 하면과 스프링부(714D)가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제 1 베어링 브래킷(61D)과 제 1 단자(71D)가 전도한다. 특히, 도 10 및 도 11의 예에서는, 외측 돌출부(423D)의 상단부의 축방향의 높이는, 내측 돌출부(424D)의 상단부의 축방향의 높이보다 낮다. 그리고, 이들 높이의 차이는 제 1 단자(71D)의 굴곡부(712D)의 축방향의 두께 치수보다 크다. 이것에 의해, 제 1 베어링 브래킷(61D)이 모터 케이싱(4D)에 압입될 때, 제 1 단자(71D)가 압입의 방해가 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즉, 제 1 베어링 브래킷(61D)의 환상부(601D)의 하면과 제 1 단자(71D)의 굴곡부(712D)의 상면 사이에는 압입 후에 있어서도 축방향의 간극이 남는다.
또한, 도 10 및 도 11의 예에서는, 굴곡부(712D)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스프링부(714D)가 돌출하고 있다. 그리고, 스프링부(714D)의 상단부는 제 1 베어링 브래킷(61D)의 압입 전에는, 내측 돌출부(424D)의 상단부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스프링부(714D)는 축방향으로 탄성 변형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베어링 브래킷(61D)의 압입에 의해, 환상부(601D)의 하면에 스프링부(714D)가 접촉하는 동시에, 환상부(601D)에 의해 스프링부(714D)가 하방으로 압입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단자(71D)와 제 1 베어링 브래킷(61D)이 보다 확실히 전도된다. 또한, 도 10 및 도 11의 스프링부(714D)의 구조가 상기 실시형태의 제 1 단자(71)에 적용되어도 좋다.
도 12는 다른 변형예에 따른 모터의 모터 케이싱(4E) 및 리드선(7E)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예의 모터 케이싱(4E) 및 리드선(7E)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예의 모터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12의 예에서는, 리드선(7E)은 모터 케이싱(4E)의 외주면을 따라서 대략 축방향으로 배치된다. 모터 케이싱(4E)은 그 외주면에 리드선(7E)에 장력을 가하는 지점(45E)을 갖는다. 또한, 제 1 단자(71E)의 원주 방향의 중심은 지점(45E)보다 원주 방향의 한쪽편에 배치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단자(71E)는 기단부(711E), 굴곡부(712E), 및 연장부(713E)를 갖는다. 기단부(711E)는 도선부(73E)의 상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대략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굴곡부(712E)는 기단부(711E)의 상단부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연장부(713E)는 제 1 단자(71E)의 선단부이다. 그리고, 연장부(713E)는 굴곡부(712E)의 반경 방향 내측의 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대략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기단부(711E)는 돌출부(42E)의 외주면에 배치된다. 굴곡부(712E)는 돌출부(42E)의 상단면에 배치된다. 그리고, 연장부(713E)는 돌출부(42E)의 내주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 1 단자(71E)가 후크 형상을 하고 있는 것에 의해, 제 1 단자(71E)는 돌출부(42E)의 상단부에 걸어져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를 조립할 때의 작업성이 향상한다.
또한, 모터 케이싱(4E)의 돌출부(42E)의 표면에 주위보다 오목한 홈부(421E)가 마련되어 있다. 홈부(421E)는 지점(45E)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홈부(421E)는 외면 홈(81E), 상면 홈(82E), 및 내면 홈(83E)을 갖고 있다. 외면 홈(81E)은 돌출부(42E)의 반경 방향 외측의 면에 배치되며, 돌출부(42E)의 상단면으로부터 축방향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면 홈(82E)은 돌출부(42E)의 상단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내면 홈(83E)에는 돌출부(42E)의 반경 방향 내측의 면에 배치되며, 돌출부(42E)의 상단면으로부터 축방향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외면 홈(81E), 상면 홈(82E), 및 내면 홈(83E)에는 각각 제 1 단자(71E)의 기단부(711E), 굴곡부(712E), 및 연장부(713E)가 배치되어 있다. 즉, 외면 홈(81E), 상면 홈(82E), 및 내면 홈(83E)을 포함하는 연속한 홈부(421E)에 제 1 단자(71E)가 배치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홈부(421E)의 원주 방향 한쪽편의 단부와 지점(45E)의 원주 방향의 거리(D1)는, 홈부(421E)의 원주 방향 다른쪽편의 단부와 지점(45E)의 원주 방향의 거리(D2)보다 길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단자(71E)의 원주 방향의 중심은 지점(45E)보다 원주 방향의 한쪽편에 배치된다. 그 때문에, 제 1 단자(71E)를 배치하기 위한 홈부(421E)가 한쪽편에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단자(71E)를 배치하는 영역을 넓게 취하면서, 홈부(421E) 전체의 원주 방향의 폭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2 내지 도 14의 예에서는, 모터 케이싱(4E)은 볼록부(425E)를 복수 갖는다. 볼록부(425E)는 제 1 단자(71E)의 굴곡부(712E)가 배치되는 배치면(820E)으로부터 돌출한다. 볼록부(425E) 중 1개에 있어서, 제 1 단면(84E)과 단자 단면(715E)이 대향한다. 제 1 단면(84E)은 볼록부(425E)의 원주 방향 한쪽편의 단면이다. 단자 단면(715E)은 제 1 단자(71E)의 원주 방향 다른쪽편의 단면이다. 즉, 제 1 대향면인 제 1 단면(84E)과, 제 2 대향면인 단자 단면(715E)이 대향한다.
그 때문에, 리드선(7E)에 가해지고 있는 장력에 의해 제 1 단자(71E)가 다른쪽편으로 이동하면, 제 1 단면(84E)과 단자 단면(715E)이 접촉한다. 따라서, 제 1 단자(71E)가 한쪽편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리드선(7E)에 가해지고 있는 장력이 약해져, 리드선(7E)이 휘거나 느슨해지는 것이 억제된다.
제 1 단면(84E)은 원주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다. 이것에 의해, 제 1 단자(71E)가 제 1 단면(84E)과 접촉하는 경우에, 제 1 단자(71E)가 다른쪽편으로 미끄러지기 어렵다. 따라서, 제 1 단자(71E)의 다른쪽편으로의 이동이 보다 억제된다. 그 때문에, 볼록부(425E)의 제 1 단면(84E)과 제 1 단자(71E)의 단자 단면(715E)이 접촉하면, 제 1 단자(71E)는 그 이상 다른쪽편으로 거의 이동하지 않는다.
도 12 내지 도 14의 예에서는, 볼록부(425E)의 각각의 제 1 단면(84E)은, 지점(45E)보다 원주 방향 한쪽편에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리드선(7E)에 장력을 가할 수 있어서, 리드선(7E)이 휘거나 느슨해지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모터 케이싱(4E)이 볼록부(425E)를 복수 갖는다. 이것에 의해, 제 1 단자(71E)의 위치를 복수 개소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리드선(7E)의 길이나 휨 상태에 따라서, 제 1 단자(71E)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단자(71E)의 굴곡부(712E)는 배치면(820E)과 제 1 베어링 브래킷(61E)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볼록부(425E)의 원주 방향 다른쪽편의 단면인 제 2 단면(85E)은, 제 1 단면(84E)과 마찬가지로 원주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다. 그리고, 선단부(86E)는 볼록부(425E)의 상단면이다. 볼록부(425E)는, 제 1 단면(84E)과 제 2 단면(85E)을 연결한다. 선단부(86E)는 볼록부(425E) 중 배치면(820E)과의 거리가 가장 크다.
볼록부(425E)의 선단부(86E)와 제 1 베어링 브래킷(61E) 사이에는, 간극이 개재한다. 이것에 의해, 볼록부(425E)와 제 1 베어링 브래킷(61E)이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볼록부(425E)가 제 1 베어링 브래킷(61E)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서, 제 1 베어링 브래킷(61E)의 축 어긋남이 생기는 것이 억제된다.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볼록부(425E) 사이의 거리(D3)는, 제 1 단자(71E)의 원주 방향의 폭(D4)보다 크다. 이것에 의해, 볼록부(425E)에 제 1 단자(71E)가 탑재되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제 1 단자(71E)가 제 1 베어링 브래킷(61E)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서, 제 1 베어링 브래킷(61E)의 축 어긋남이 생기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볼록부(425E)의 선단부(86E)와 제 1 베어링 브래킷(61E)의 거리는 제 1 단자(71E)의 굴곡부(712E)의 두께 치수보다 작다. 이것에 의해, 제 1 단자(71E)가 볼록부(425E)를 지나 원주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도 12의 예에서는, 볼록부(425E)는 굴곡부(712E)가 배치되는 돌출부(42E)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볼록부는 기단부(711E)가 배치되는 돌출부(42E)의 외주면에 배치되어도 좋다. 혹은, 볼록부는 연장부(713E)가 배치되는 돌출부(42E)의 내주면에 배치되어도 좋다.
도 15는 다른 변형예에 따른 모터 케이싱 및 리드선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단자(71F)는 기단부(711F) 및 굴곡부(712F)를 갖는다. 기단부(711F)는 도선부의 상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대략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굴곡부(712F)는, 기단부(711F)의 상단부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기단부(711F)는 돌출부(42F)의 외주면에 배치된다. 굴곡부(712F)는 돌출부(42F)의 상단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 1 단자(71F)가 L자 형상을 하고 있는 것에 의해, 제 1 단자(71F)를 돌출부(42F)의 상단부에 걸어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를 조립할 때의 작업성이 향상한다.
도 15의 예에서는, 모터 케이싱은 볼록부(425F)를 복수 갖는다. 볼록부(425F)는, 제 1 단자(71F)의 굴곡부(712F)가 배치되는 배치면(820F)으로부터 돌출한다. 그리고, 볼록부(425F) 중 하나에 있어서, 볼록부(425F)의 원주 방향 한쪽편의 단면과 제 1 단자(71F)의 원주 방향 다른쪽편의 단자 단면이 대향한다. 이것에 의해, 제 1 단자(71F)가 원주 방향 다른쪽편으로 이동하는 것이 억제된다. 그 결과, 리드선에 가해지고 있는 장력이 약해져, 리드선이 휘거나 느슨해지는 것이 억제된다.
도 16은 다른 변형예에 따른 모터이며, 그 모터 케이싱 및 리드선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예의 모터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예의 모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18의 예에서도, 모터 케이싱은 볼록부(425G)를 복수 갖는다. 볼록부(425G)는 돌출부(42G)에 제 1 단자(71G)가 배치되는 배치면(820G)으로부터 돌출한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록부(425G)의 원주 방향 한쪽편의 단면인 제 1 단면(84G)은 원주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다. 제 1 단면(84G)은 제 1 대향면이다. 제 1 단자(71G)의 단자 단면(715G)은 제 2 대향면이다. 제 1 대향면과 제 2 대향면은 대향한다. 또한, 제 2 단면(85G)은 볼록부(425G)의 원주 방향 다른쪽편의 단면이다. 제 2 단면(85G)은 볼록부(425G)의 원주 방향 다른쪽편의 단부와 제 1 단면(84G)의 선단부(86G)를 연결하고 있다. 제 2 단면(85G)은 원주 방향 다른쪽편으로부터 한쪽편을 향함에 따라 배치면(820G)으로부터 멀어지는 언덕 형상이다.
해당 형상에 의해, 제 1 단자(71G)가 다른쪽편으로 이동하려고 하면, 단자 단면(715G)이 원주 방향 다른쪽편에 서로 이웃하는 볼록부(425G)의 제 1 단면(84G)과 접촉한다. 그리고, 다른쪽편으로의 이동이 억제된다. 따라서, 리드선에 가해지고 있는 장력이 약해져, 리드선이 휘거나 느슨해지는 것이 억제된다. 한편, 제 1 단자(71G)가 한쪽편으로 이동하려고 하면, 제 1 단자(71G)는 원주 방향 한쪽편에 서로 이웃하는 볼록부(425G)의 제 2 단면(85G)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단면(85G)은 제 1 단자(71G)와 접촉하여도 좋다. 이러한 경우, 제 1 단자(71G)는 제 2 단면(85G)에 탑재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1 단자(71G)가 볼록부(425G)에 탑재되면, 예를 들면, 볼록부(425G)의 다른쪽편의 단면이 원주 방향으로 수직인 경우 등의 언덕 형상이 아닌 경우에 비하여, 제 1 단자(71G)의 원주 방향으로 배치 가능한 영역이 넓다. 이것에 의해, 제 1 단자(71G)의 원주 방향의 위치를 미 조절할 수 있다. 그 결과, 리드선의 휨 상태의 조절을 하기 쉽다.
또한,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베어링 브래킷(61G)의 압입부(612G)는 환상부(601G), 외측 고정부(602G), 및 내측 고정부(603G)를 갖는다. 환상부(601G)는 돌출부(42G)의 상방에 위치하며, 돌출부(42G)의 상단면을 따라서 대략 환상으로 넓어져 있다. 외측 고정부(602G)는 환상부(601G)의 반경 방향 외측의 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대략 원통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내측 고정부(603G)는 환상부(601G)의 반경 방향 내측의 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대략 원통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1 단자(71G)의 기단부(711G)의 일부분은 돌출부(42G)의 외주면과 외측 고정부(602G)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굴곡부(712G)는 돌출부(42G)의 상단면과 환상부(601G)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연장부(713G)는 돌출부(42G)의 내주면과 내측 고정부(603G)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압입부(612G)와 돌출부(42G)는 압입으로 고정되어 있다. 돌출부(42G)의 내주면 및 외주면 중, 압입부(612G)와의 압입에 따른 면은 어느 쪽의 면이어도 좋다. 도 18의 예에서는, 돌출부(42G)의 외주면이 외측 고정부(602G)에 압입되어 있다. 한편, 볼록부(425G)는 돌출부(42G)의 상단면에 배치된다. 즉, 돌출부(42G) 중, 볼록부(425G)를 갖는 상단면은 압입에 의해 고정되는 면은 아니다. 그 때문에, 제 1 단자(71G)가 볼록부(425G)의 제 2 단면(85G)에 탑재되어 있어도, 돌출부(42G)와 제 1 베어링 브래킷(61G)의 압입 불량이나 제 1 베어링 브래킷(61G)의 축 어긋남이 생기기 어렵다.
또한, 후크 형상의 제 1 단자(71G)를 사용하고, 또한 언덕 형상을 갖는 볼록부(425G)가 돌출부(42G)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다. 그러한 경우, 해당 볼록부(425G)에 제 1 단자(71G)가 탑재되려면, 제 1 단자(71G)의 기단부(711G)와 연장부(713G) 사이의 거리에 여유를 가지게 할 필요가 있다. 즉, 굴곡부(712G)가 길어질 필요가 있다. 도 16의 예와 같이, 볼록부(425G)가 돌출부(42G)의 상단면에 배치되는 것에 의해, 굴곡부(712G)를 길게 하지 않아도 된다.
도 19는 다른 변형예에 따른 모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9의 예에서는, 돌출부(42H)는 제 1 단자(71H)의 굴곡부(712H)가 배치되는 배치면(820H)으로부터 돌출하는 볼록부(425H)를 갖는다. 볼록부(425H)의 원주 방향 한쪽편의 단면인 제 1 단면(84H)은, 볼록부(425H)의 원주 방향 한쪽편의 단부와 원주 방향 한쪽편의 단면인 제 2 단면(85H)의 선단부(86H)를 연결하고 있다. 제 1 단면(84H)은 원주 방향의 한쪽편으로부터 다른쪽편으로 향함에 따라, 배치면(820H)으로부터 멀어지는 언덕 형상이다.
도 19의 예에서는, 1개의 볼록부(425H)의 제 1 단면(84H)에, 제 1 단자(71H)의 배치면(820H)측의 면인 하면이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제 1 단자가 한쪽편으로 이동하는 것이 억제된다.
도 20은 다른 변형예에 따른 모터 케이싱 및 리드선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0의 예에서는, 모터 케이싱의 돌출부(42J)는, 리드선의 제 1 단자(71J)를 배치하기 위한 홈(421J)을 갖는다. 또한, 모터 케이싱은 돌출부(42J)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볼록부(425J)를 갖는다.
돌출부(42J)는 홈(421J)의 내면 홈(83J)의 하단부에 상면부(426J)를 갖는다. 상면부(426J)는 반경 방향으로 넓어지는 면이다. 도 20의 예에서는, 볼록부(425J)의 하단부는 상면부(426J)와 연결된다. 즉, 볼록부(425J)는 상면부(426J)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형상이다. 이와 같이, 볼록부(425J)가 원주 방향으로 넓어지는 상면부(426J)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한다. 그것에 의해, 볼록부(425J)가 모터 케이싱의 일부로서 성형될 때에, 볼록부(425J)가 금형을 상하로 인발하는 방해를 하지 않는다. 그 결과, 모터 케이싱에 볼록부(425J)를 마련하여도, 복잡하고 고가인 금형을 사용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볼록부가 연결되는 상면부는 돌출부가 갖는 면이 아니어도 좋다. 볼록부가 연결되는 상면부는, 예를 들면 모터 케이싱의 일부에 있어서, 돌출부의 주위에서 반경 방향으로 넓어지는 면이어도 좋다.
도 21은 다른 변형예에 따른 모터 케이싱 및 리드선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1의 우측 상단에는, 돌출부(42K) 및 제 1 단자(71K)의 부분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1의 예에서는, 모터 케이싱의 돌출부(42K)의 내주면이 리드선의 제 1 단자(71K)의 연장부(713K)가 배치되는 배치면(830K)이다. 돌출부(42K)는, 배치면(830K)으로부터 돌출하는 돌기(427K)를 복수 갖는다. 한편, 제 1 단자(71K)의 연장부(713K)는, 배치면(830K)에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움푹하게 패이는 오목부(716K)를 갖는다.
제 1 단자(71K)에 마련된 오목부(716K)에, 돌출부(42K)에 마련된 돌기(427K) 중 하나가 끼워진다. 즉, 오목부(716K)의 내부에 1개의 돌기(427K)가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단자(71K)의 원주 방향의 위치 편차가 억제된다. 그 결과, 리드선에 가해지고 있는 장력이 약해져, 리드선이 휘거나 느슨해지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도 21의 예에서는, 돌출부(42K)가 복수의 돌기(427K)를 갖는다. 이와 같이, 제 1 단자(71K)가 오목부(716K)를 갖는 구성에서는, 돌출부(42K)에 마련하는 돌기(427K)의 간격을 제 1 단자(71K)의 원주 방향의 폭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도 12 내지 도 14의 예와 같이 돌출부가 볼록부를 갖는 구성과 비교하여, 단자를 고정하는 피치를 작게 할 수 있어서, 제 1 단자(71K)는 원주 방향의 위치로 미세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21의 예에서는, 오목부(716K)는 연장부(713K)에 마련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오목부(716K)가 제 1 단자(71K)의 기단부(711K) 또는 굴곡부(712K)에 마련되며, 돌기(427K)가 돌출부(42K)의 외주면 또는 상단면에 마련되어도 좋다.
도 22는 다른 변형예에 따른 모터 케이싱 및 리드선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2의 우측 상단에는, 돌출부(42L) 및 제 1 단자(71L)의 부분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2의 예에서는, 모터 케이싱의 돌출부(42L)의 내주면이 리드선의 제 1 단자(71L)의 연장부(713L)가 배치되는 배치면(830L)이다. 돌출부(42L)는, 배치면(830L)으로부터 오목한 오목부(428L)를 복수 갖는다. 한편, 제 1 단자(71L)의 연장부(713L)는, 배치면(830L)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기(717L)를 갖는다.
배치면(830L)에 마련된 오목부(428L) 중 하나에, 제 1 단자(71L)에 마련된 돌기(717L)가 끼워진다. 즉, 1개의 오목부(428L)의 내부에 돌기(717L)가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단자(71L)의 원주 방향의 위치 편차가 억제된다. 그 결과, 리드선에 가해지고 있는 장력이 약해져, 리드선이 휘거나 느슨해지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도 22의 예에서는, 돌출부(42L)가 복수의 오목부(428L)를 갖는다. 이와 같이, 돌출부(42L)가 복수의 오목부(428L)를 갖는 구성에서는, 돌출부(42L)에 마련하는 오목부(428L)의 간격을 제 1 단자(71L)의 원주 방향의 폭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도 12 내지 도 14의 예와 같이 돌출부가 볼록부를 갖는 구성과 비교하여, 제 1 단자를 고정하는 피치를 작게 할 수 있어서, 제 1 단자(71L)의 원주 방향의 위치를 미세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22의 예에서는, 돌기(717L)는 연장부(713L)에 마련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돌기(717L)가 제 1 단자(71L)의 기단부(711L) 또는 굴곡부(712L)에 마련되며, 오목부(428L)가 돌출부(42L)의 외주면 또는 상단면에 마련되어도 좋다.
도 23은 다른 변형예에 따른 모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3의 예에서는, 모터 케이싱은 볼록부(425M)를 복수 갖는다. 볼록부(425M)는 제 1 단자(71M)의 굴곡부(712M)가 배치되는 배치면(820M)으로부터 돌출한다. 굴곡부(712M)는, 배치면(820M)에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오목한 슬릿(718M)을 갖는다.
제 1 단자(71M)가 슬릿(718M) 내에 볼록부(425M)가 배치되는 제 1 위치(P1)에 배치된다. 그 경우, 슬릿 내(718M)에 있어서 다른쪽편을 향하고 있는 단자 내측면에 적합한 단자 내측면(719M)과, 볼록부(425M)의 원주 방향 한쪽편의 단면인 제 1 단면(84M)이 대향한다. 즉, 단자 내측면(719M)이, 제 1 대향면인 제 1 단면(84M)과 대향하는 제 2 대향면이다. 이것에 의해, 제 1 단자(71M)가 다른쪽편으로 어긋나는 것이 억제된다.
한편, 제 1 단자(71M)가 도 23 내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부(425M) 사이의 제 2 위치(P2)에 배치된다. 그 경우, 제 1 단자(71M)의 한편 다른쪽편 단면인 단자 단면(715M)이 볼록부(425M)의 제 1 단면(84M)이 대향한다. 즉, 단자 단면(715M)이, 제 1 대향면인 제 1 단면(84M)과 대향하는 제 2 대향면이다. 이것에 의해, 제 1 단자(71M)가 다른쪽편으로 어긋나는 것이 억제된다.
이와 같이, 도 23의 예에서도, 제 1 단자(71M)가 다른쪽편에 어긋나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리드선에 가해지고 있는 장력이 약해져, 리드선이 휘거나 느슨해지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도 23의 예에서는, 도 12 내지 도 14의 예와 같이, 제 1 단자가 슬릿을 갖지 않는 구성과 비교하여, 제 1 단자를 고정하는 피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각 부재의 세부의 형상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 나타난 형상과 상이해도 좋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나 변형예에 등장한 각 요소를 모순이 생기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조합하여도 좋다.

Claims (37)

  1. 모터에 있어서,
    상하 방향에 중심축을 따라서 배치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주위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로터와,
    상기 로터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된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 중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는 수지제의 모터 케이싱과,
    상기 로터보다 상방에 있어서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외주면과 내주면 사이가 도전성인 제 1 베어링과,
    상기 로터보다 하방에 있어서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외주면과 내주면 사이가 도전성인 제 2 베어링과,
    상기 제 1 베어링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또한 제 1 베어링을 직접 또는 다른 도전성의 부재를 거쳐서 보지하는 도전성의 제 1 베어링 브래킷과,
    상기 제 2 베어링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또한 제 2 베어링을 직접 또는 다른 도전성의 부재를 거쳐서 보지하는 도전성의 제 2 베어링 브래킷과,
    상기 제 1 베어링 브래킷과 상기 제 2 베어링 브래킷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리드선을 구비하고,
    상기 모터 케이싱은 상방을 향하여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통형상의 돌출부를 갖고,
    상기 리드선은 상기 제 1 베어링 브래킷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단자를 갖고,
    상기 제 1 단자는,
    상기 리드선의 도선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단부와,
    상기 기단부의 상단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굴곡부를 갖고,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에 상기 기단부가 배치되며,
    상기 돌출부의 상단면에 상기 굴곡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단자는, 탄성 변형 가능한 스프링부를 추가로 갖고,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굴곡부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제 1 베어링 브래킷의 하면과 접촉하며,
    상기 제 1 단자는 적어도 그 일부가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제 1 베어링 브래킷 사이에 개재되는 것에 의해서 보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는 상기 굴곡부의 반경 방향 내측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추가로 갖고,
    상기 돌출부의 내주면에 상기 연장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어링 브래킷은,
    상기 돌출부의 상단면을 따라서 넓어지는 환상부와,
    상기 환상부의 반경 방향 외측의 단부 또는 반경 방향 내측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단부 또는 상기 연장부 중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돌출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굴곡부는 상기 돌출부의 상단면과 상기 환상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홈부를 갖고,
    상기 제 1 단자 중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홈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깊이 치수는 상기 홈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 1 단자의 상기 제 1 베어링 브래킷과 접촉하는 부위의 두께 치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깊이 치수는 상기 홈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 1 단자의 두께 치수보다 크며, 또한 상기 제 1 단자가 상기 제 1 베어링 브래킷과 상기 돌출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돌출부의 상단면에 상면 홈을 갖고,
    상기 굴곡부는 상기 상면 홈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9.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돌출부의 반경 방향 외측의 면에 상기 돌출부의 상단면으로부터 축방향 하방으로 연장되는 외면 홈을 갖고,
    상기 기단부는 상기 외면 홈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0.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돌출부의 반경 방향 내측의 면에 상기 돌출부의 상단면으로부터 축방향 하방으로 연장되는 내면 홈을 갖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내면 홈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1. 삭제
  12.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환상부의 하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3. 제 3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케이싱은 상기 돌출부의 상단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오목한 구멍을 갖고,
    상기 연장부가 상기 구멍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4.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단부와 상기 연장부의 반경 방향의 간격이 하방으로 향함에 따라 확대되고,
    상기 기단부의 반경 방향 외측의 단부 또는 상기 연장부의 반경 방향 내측의 단부가 상기 제 1 베어링 브래킷에 접촉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어링 브래킷은,
    상기 환상부의 반경 방향 외측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외측 고정부와,
    상기 환상부의 반경 방향 내측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내측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단부 중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과 상기 외측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연장부 중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돌출부의 내주면과 상기 내측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선은 상기 모터 케이싱의 외주면을 따라서 축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모터 케이싱은 상기 외주면에, 상기 리드선에 장력을 가하는 지점을 갖고,
    상기 제 1 단자의 원주 방향의 중심은 상기 지점보다 원주 방향의 한쪽편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 1 단자 중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는 홈부를 갖고,
    상기 홈부는 상기 지점 중 적어도 상방에 배치되며,
    상기 홈부의 원주 방향 한쪽편의 단부와 상기 지점의 원주 방향의 거리는 상기 홈부의 원주 방향 다른쪽편의 단부와 상기 지점의 원주 방향의 거리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8. 삭제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는 상기 굴곡부의 반경 방향 내측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추가로 갖고,
    상기 돌출부의 내주면에 상기 연장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 1 단자 중 적어도 일부분이 배치되는 배치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볼록부를 갖고,
    상기 볼록부의 원주 방향의 상기 한쪽편을 향하고 있는 제 1 대향면과, 상기 제 1 단자의 원주 방향 다른쪽편을 향하고 있는 제 2 대향면이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 중 적어도 1개에 있어서, 상기 제 1 대향면이 상기 지점보다 원주 방향의 상기 한쪽편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볼록부를 복수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볼록부의 거리는 상기 제 1 단자의 원주 방향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케이싱은 상기 돌출부 또는 상기 돌출부의 주위에 있어서, 반경 방향으로 넓어지는 상면부를 갖고,
    상기 볼록부의 하단부는 상기 상면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상기 제 1 대향면은 원주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상기 제 1 대향면과, 상기 제 1 단자의 상기 제 2 대향면이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27.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원주 방향의 상기 다른쪽편의 단면은 상기 다른쪽편으로부터 상기 한쪽편을 향함에 따라, 상기 배치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언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2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 1 단자 중 적어도 일부분이 배치되는 배치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볼록부를 갖고,
    상기 볼록부의 원주 방향의 상기 한쪽편의 단면은 원주 방향의 상기 한쪽편으로부터 다른쪽편을 향함에 따라, 상기 배치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언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29. 제 27 항 또는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돌출부의 상단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30. 제 20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의 상기 일부분은 상기 배치면과 상기 제 1 베어링 브래킷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볼록부의 선단부와 상기 제 1 베어링 브래킷 사이에 간극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선단부와 상기 제 1 베어링 브래킷의 거리는 상기 제 1 단자의 상기 일부분의 두께 치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32. 제 17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 1 단자 중 적어도 일부분이 배치되는 배치면으로부터 오목한 오목부를 갖고,
    상기 제 1 단자의 상기 일부분은 상기 배치면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기를 갖고,
    상기 돌기는 상기 오목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오목부를 복수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34. 제 17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 1 단자 중 적어도 일부분이 배치되는 배치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기를 갖고,
    상기 제 1 단자의 상기 일부분은 상기 배치면에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오목한 오목부를 갖고,
    상기 돌기는 상기 오목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돌기를 복수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36.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케이싱은 그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2개의 벽부를 갖고,
    상기 리드선은 상기 2개의 벽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37.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는 회로 기판을 추가로 갖고,
    상기 회로 기판에 펄스 폭 변조 방식 제어를 실행하는 전자 회로가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KR1020130150142A 2012-12-07 2013-12-04 모터 KR1017089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68873 2012-12-07
JP2012268873 2012-12-07
JP2013211382A JP6042302B2 (ja) 2012-12-07 2013-10-08 モータ
JPJP-P-2013-211382 2013-10-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4835A KR20140074835A (ko) 2014-06-18
KR101708968B1 true KR101708968B1 (ko) 2017-02-21

Family

ID=50818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0142A KR101708968B1 (ko) 2012-12-07 2013-12-04 모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08968B1 (ko)
CN (3) CN10387283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72833B (zh) * 2012-12-07 2017-07-14 日本电产高科电机株式会社 马达以及空调机
DE102014222241B3 (de) * 2014-10-30 2016-03-31 Continental Automotive Gmbh Elektrisch angetriebene Pumpe
CN104821691B (zh) * 2015-04-23 2017-06-30 广东威灵电机制造有限公司 防电机轴承电蚀结构及塑封无刷直流电机
KR102442949B1 (ko) * 2015-11-23 2022-09-14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모터용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모터
DE202016102995U1 (de) 2016-06-06 2017-09-07 Max Baermann Gmbh Magnetrotationsbauteil
KR102030089B1 (ko) * 2018-05-02 2019-11-08 뉴모텍(주) 접지 보호용 몰드 커버를 갖는 bldc 모터
WO2020195400A1 (ja) * 2019-03-28 2020-10-01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
JP7474932B2 (ja) * 2019-07-17 2024-04-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モールドモータ
CN113452187B (zh) * 2019-07-26 2022-05-31 广东威灵电机制造有限公司 无刷电机及电器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0348A (ja) * 2005-07-08 2007-01-25 Nidec Shibaura Corp モールドモータ
JP2007159302A (ja) * 2005-12-07 2007-06-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ブラシレスモータ
WO2012105193A1 (ja) * 2011-02-01 2012-08-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モールドモータ
JP2012210065A (ja) * 2011-03-30 2012-10-25 Fujitsu General Ltd モールドモーター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9429A (ja) 2003-01-23 2004-08-12 Nidec Shibaura Corp モールドモータ
JP2009112065A (ja) 2007-10-26 2009-05-21 Panasonic Corp モールドモータ
JP5093811B2 (ja) 2008-06-19 2012-12-12 Ntn株式会社 モータ用転がり軸受
JP5338641B2 (ja) 2008-12-03 2013-11-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動機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気機器
JP5408423B2 (ja) * 2009-09-18 2014-02-05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モールドモータ
WO2011043075A1 (ja) * 2009-10-09 2011-04-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5741126B2 (ja) * 2011-03-30 2015-07-01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モールドモーター
CN202488283U (zh) * 2012-02-27 2012-10-10 广东威灵电机制造有限公司 具有防电蚀结构的直流电机
CN103872833B (zh) * 2012-12-07 2017-07-14 日本电产高科电机株式会社 马达以及空调机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0348A (ja) * 2005-07-08 2007-01-25 Nidec Shibaura Corp モールドモータ
JP2007159302A (ja) * 2005-12-07 2007-06-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ブラシレスモータ
WO2012105193A1 (ja) * 2011-02-01 2012-08-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モールドモータ
JP2012210065A (ja) * 2011-03-30 2012-10-25 Fujitsu General Ltd モールドモータ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872833A (zh) 2014-06-18
CN107302278A (zh) 2017-10-27
CN103872833B (zh) 2017-07-14
CN107302278B (zh) 2021-02-23
CN203632430U (zh) 2014-06-04
KR20140074835A (ko) 2014-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8968B1 (ko) 모터
JP6042302B2 (ja) モータ
US9929614B2 (en) Motor with integrated slot liner and bobbin with guides for conductor coils
KR101707142B1 (ko) 하우징 고정 구조와 접지 구조가 개선된 모터
EP2357719B1 (en) Brushless motor and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same
CN109417317B (zh) 定子单元、定子和包括其的电机
JP6248433B2 (ja) モータ
JP2015122854A (ja) インナーロータ型モータ
JP2002136056A (ja) ブラシレスモータ
KR101562736B1 (ko) 브러쉬리스 dc 모터의 접지 구조
JP2021058000A (ja) モータおよびトランスミッション装置
KR100520548B1 (ko) 슬롯레스 무브러시 직류 전동기의 전기자 코일 조립구조
JP6229331B2 (ja) モータ
KR101655112B1 (ko) 브러쉬리스 dc 모터
JP6225513B2 (ja) モールドモータ
JP7119648B2 (ja) モータ
JP2017208945A (ja) 直流モータ
US20170302131A1 (en) Motor
WO2017170296A1 (ja) モータ及びモータの製造方法
JP2014033605A (ja) 回転電機
JP6330333B2 (ja) モータ
KR20180047042A (ko) Bldc 모터
US10958140B2 (en) Motor
JP2021058010A (ja) モータ
JP2007189874A (ja) モータ及びモータ用ヨー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