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8493B1 - 전자유도 가열용 조리 용기 - Google Patents

전자유도 가열용 조리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8493B1
KR101708493B1 KR1020160006708A KR20160006708A KR101708493B1 KR 101708493 B1 KR101708493 B1 KR 101708493B1 KR 1020160006708 A KR1020160006708 A KR 1020160006708A KR 20160006708 A KR20160006708 A KR 20160006708A KR 101708493 B1 KR101708493 B1 KR 101708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magnetic induction
induction heating
pedestal
heating memb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6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우
Original Assignee
이승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우 filed Critical 이승우
Priority to KR1020160006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84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8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8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27Cooking- or baking-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oven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전자유도 가열용 조리 용기는 액체를 수용할 수 있는 오목 형상의 비 전자유도 용기, 비 전자유도 용기의 내부에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결합하고 다수의 통공을 갖는 비 전자유도 받침대, 그리고 비 전자유도 받침대 상에 배치되는 전자유도 가열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전자유도 가열용 조리 용기{Induction Heating Cooker}
본 발명은 전자유도 가열용 조리 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연기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자유도 가열용 조리 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유도 가열기술을 이용한 조리기, 일명 인덕션 렌지에 대한 기술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시장 관심도 커지고 있다.
전자 유도는 대상과 직접 접촉하지 않고 대상물에 유도 전류를 흐르게 하여 가열하는 방식을 말한다. 전기가 코일(구리선 등을 감은 것)에 흐르면 코일 주변에 자력선이 발생하고, 자력선 공간 내에 자장 반응 물질이 있으면 자장 반응 물질에서 열이 발생한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는 인덕션 렌지는 불꽃, 연기 등이 발생하지 않고, 자장 반응 물질의 용기만을 가열하므로, 화재나 화상의 위험이 적다.
등록특허 제1480272호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 용기를 개시하고 있다. 종래기술은 비철 금속제 용기, 걸림단, 금속제 내부판 등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다. 비철 금속제 용기는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오목 형상으로 구성하고 있다. 걸림단은 비철 금속제 용기의 내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금속제 내부판은 비철 금속제 용기의 내부 걸림단에 거치되면서 비철 금속제 용기의 내부에 삽입 결합하고 있다.
고기를 구울 때 연기가 발생하는 것은 높은 온도의 불판에서 기름이 순간적으로 인화되기 때문에 발생한다. 따라서, 고기를 구울 때 연기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기름이 타지 않도록 고기에서 나오는 기름을 불판에서 효과적으로 배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종래기술의 금속제 내부판을 보면, 가장자리에 기름이 흘러내리는 통수구를 관통 형성하거나 중앙부에 하방으로 오목한 오목부를 형성하는 등, 기름을 배출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기는 하지만, 기름을 오래 머물게 하는 구조여서, 연기 발생을 줄이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첫째, 고기를 구울 때 고기에서 나오는 기름을 신속하게 배출함으로써 연기 발생을 최소화하고,
둘째, 전자유도 방식을 이용하면서도 최적의 고기맛을 위해 사용하는 다양한 소재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셋째, 설치 및 보관이 용이하고, 세척이 용이하여 위생적인, 전자유도 가열용 조리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자유도 가열용 조리 용기는 비 전자유도 용기, 비 전자유도 받침대, 전자유도 가열부재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비 전자유도 용기는 액체를 수용할 수 있는 오목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비 전자유도 받침대는 비 전자유도 용기의 내부에서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결합할 수 있다. 비 전자유도 받침대는 다수의 통공을 가질 수 있다.
전자유도 가열부재는 비 전자유도 받침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유도 가열용 조리 용기에서, 전자유도 가열부재는 중앙에서 측방으로 갈수록 하방 경사를 갖는, 예를들어 타원형, 반원형의 외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유도 가열용 조리 용기에서, 전자유도 가열부재는 비철 부재와 철제 부재를 포함하고, 철제 부재는 비철 부재의 내부에 삽입 또는 비철 부재의 하부에 결합하는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유도 가열용 조리 용기에서, 전자유도 가열부재는 다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유도 가열용 조리 용기는 다수의 전자유도 가열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유도 가열용 조리 용기에서, 가열부재는 상방으로 개방되는 오목 용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유도 가열용 조리 용기에서, 비 전자유도 받침대는 그물망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그물망은 통공의 크기를 전자유도 가열부재가 하방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범위에서 최대 크기로 구성한다. 그물망의 통공은 전자유도 가열부재의 최소폭의 85~95%의 크기로 구성할 수 있다. 그물망의 단위체는 수평 폭보다 수직 폭을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전자유도 가열용 조리 용기에 의하면, 전자유도 가열부재의 단면을 타원형, 반원형 등의 형태로 구성하여 고기 기름을 하방으로 신속하게 빠지게 할 수 있고, 전자유도 가열부재의 받침대를 전자유도 조리기에 가열되지 않는 비 전자유도 재질로 구성하고 나아가 그 통공을 떨어지는 기름이 받침대에 묻지 않도록 최대화하고 그 단면 크기를 최소화함으로써 비 전자유도 받침대로 인해 연기가 발생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고기를 구울 때 발생할 수 있는 연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유도 가열용 조리 용기에 의하면, 전자유도 가열부재를 비철 부재와 철제 부재로 구성하고 철제 부재를 비철 부재의 내부에 삽입 또는 비철 부재의 하부에 결합하고 나아가 비철 부재를 맥반석, 곱돌, 황토, 수정 등으로 구성함으로써, 전자유도 방식을 이용하면서도 고기맛을 최대로 끌어올리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유도 가열용 조리 용기에 의하면, 전자유도 가열부재를 다수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이들을 연결 부재로 연결하고, 또한 이러한 방법으로 기존의 불판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어, 설치나 보관이 용이하고 사용하기도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전자유도 가열용 조리 용기를 인덕션 렌지 위에 배치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전자유도 가열용 조리 용기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4,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전자유도 가열용 조리 용기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6,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유도 가열부재의 변형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전자유도 가열용 조리 용기를 인덕션 렌지 위에 배치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전자유도 가열용 조리 용기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덕션 렌지(100)는 자장 발생부(110), 버튼(120)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자장 발생부(110)는 버튼(120)이 가압되면 내부에 설치된 코일에 고주파 전류를 공급하여 교류 자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교류 자장은 이격된 자장 반응 물질, 즉 전자유도 가열부재(230)에 전류를 유도하고, 그 결과 전자유도 가열부재(230)에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유도 가열용 조리 용기(200)은 비 전자유도 용기(210), 비 전자유도 받침대(220), 전자유도 가열부재(230)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비 전자유도 용기(210)는 하부에 배치되는 인덕션 렌지(100)의 전자유도에 반응하지 않는 물질, 예를들어 돌, 유리, 도자기 등의 비금속이나 알루미늄, 스테인레스스틸 등의 비철 금속으로 구성할 수 있다. 비 전자유도 용기(210)는 액체 등을 수용할 수 있는 오목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비 전자유도 용기(210)는 고기를 굽는 불판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높이가 낮고 폭이 넓은 접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비 전자유도 용기(210)는 내부 바닥면에 떨어진 기름이 틔어서 전자유도 가열부재(230)나 비 전자유도 받침대(220)에 닿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서, 또한 비 전자유도 받침대(220)의 설치 높이 등을 고려하여, 일정 높이 예를들어 150mm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비 전자유도 용기(210)에는 소정 높이로 물(300)을 채울 수 있다. 물(300)은 고기를 구울 때 배출되는 기름, 기타 물질을 바로 냉각시켜 연기가 나지 않게 하고, 또한 기름을 바로 응고시켜 용기를 세척할 때도 도움이 될 수도 있다.
비 전자유도 받침대(220)는 인덕션 렌지(100)의 전자유도에 반응하지 않는 물질이면서 얇게 만들어도 소정의 강도가 나타내는, 예를들어 알루미늄, 스테인레스스틸 등의 비철 금속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물론, 비 전자유도 받침대(220)는 돌, 유리, 도자기 등의 비금속으로 구성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비 전자유도 받침대(220)는 상부의 전자유도 가열부재(230)를 지지하면서 상부로부터 떨어지는 기름을 하부로 통과시키는 것으로, 다수의 통공을 갖는 그물망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비 전자유도 받침대(220)도 상부의 전자유도 가열부재(230)의 열로 인해 가열될 수 있으므로, 가능한 기름을 빨리 하방으로 통과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때 기름이 비 전자유도 받침대(220)에 묻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비 전자유도 받침대(220)에서 통공의 크기는 가능한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공의 크기는 전자유도 가열부재(230)의 크기에 종속되며, 예를들어 전자유도 가열부재(230)의 최소폭의 85~95%로 구성할 수 있다. 5%의 마진을 두는 것은 전자유도 가열부재(230)의 하방 압력에 의해 또는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전자유도 가열부재(230)가 하방으로 가압될 수 있고, 이 경우 소정 마진을 두지 않으면 전자유도 가열부재(230)가 비 전자유도 받침대(220)의 통공을 통과하여 하방으로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비 전자유도 받침대(220)는 단위체의 형상을 수평 폭이 최소로 되게 구성하고 대신에 강도를 높이기 위해 수직 폭을 수평 폭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평 폭, 즉 수평 굵기를 최소로 하면 비 전자유도 받침대(220)에 고기 기름이 묻더라도 묻는 면적이나 머무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비 전자유도 받침대(220)는 비 전자유도 용기(210)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할 수 있다. 이격 높이는 비 전자유도 용기(210)의 바닥면에 떨어진 기름이 틔어서 전자유도 가열부재(230)나 비 전자유도 받침대(220)에 닿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정도, 예를들어 70mm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비 전자유도 용기(210)에 물(300)을 채우는 경우에는 이격 높이를 예를들어 50mm까지 낮출 수도 있다.
비 전자유도 받침대(220)는 비 전자유도 용기(2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형태 또는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비 전자유도 받침대(220)는 가장자리가 비 전자유도 용기(210)의 내부 측면에 접촉하는 형태로 비 전자유도 용기(210)에 결합할 수 있다. 비 전자유도 받침대(220)를 비 전자유도 용기(210)에 원활하고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해서, 비 전자유도 용기(210)의 내부 측면에 결합턱을 형성할 수 있다. 결합턱은 비 전자유도 용기(210)의 내부 측면에 중앙으로 돌출되는 띠 형상일 수 있다. 결합턱은 비 전자유도 용기(210)의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로 다수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비 전자유도 용기(210) 내에서 비 전자유도 받침대(220)의 높이를 조절하기가 용이할 수 있다.
전자유도 가열부재(230)는 비 전자유도 받침대(2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자유도 가열부재(230)는 인덕션 렌지(100)의 전자유도에 반응하는 물질, 예를들어 무쇠(철), 또는 철을 포함하는 합성물로 구성할 수 있다. 철을 포함하는 합성물로는 STS 400계열의 철이 많이 함유된 스테인리스강을 이용할 수 있다. 전자유도 가열부재(230)는 인덕션 렌지(100)의 전자유도 영역에 위치하면, 철 또는 철을 포함하는 물질에 맴돌이 전류가 발생하고, 그 결과 줄(Joule) 열에 의해서 전자유도 가열부재(230)에서 열이 발생한다.
전자유도 가열부재(230)는 발생한 기름을 가능한 신속하게 하방으로 떨어뜨려야 하므로, 외면이 중심부에서 측방으로 갈수록 경사를 갖는 타원형, 반원형, 삼각뿔, 삼각대 등의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전자유도 가열부재(230)를 타원형, 반원형 등으로 구성하면, 세척하기도 용이하다.
전자유도 가열부재(230)는 외면을 코팅할 수도 있다. 코팅제는 고기가 달라붙는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고, 기름을 달라붙지 않고 잘 흘러내리게 하는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전자유도 가열용 조리 용기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4,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전자유도 가열부재(230)를 포함하는 경우, 전자유도 가열용 조리 용기는 전자유도 가열부재(230)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24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연결 부재(230)는 가열될 경우 기름을 순간적으로 인화시켜 연기를 발생시킬 수도 있으므로, 가능하면 비철 물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능한 가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연결 부재(240)는 다수의 전자유도 가열부재(230)를 단순히 사슬 형태로 연결할 수도 있으나, 불판의 일반적인 형상인 원형, 타원형으로 다수의 전자유도 가열부재(230)를 연결할 수 있다.
전자유도 가열부재(230)를 다수로 구성할 경우, 그 중 적어도 하나는 상방으로 개방되는 오목 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전자유도 가열부재(230)를 고기 구이용 불판으로 사용할 경우 오목 용기에 마늘, 계란 등을 담아 익힐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나머지 구성요소는 제1 실시예의 대응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제1 실시예의 관련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6,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유도 가열부재의 변형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유도 가열부재(230)는 철제 부재(231)와 비철 부재(233)로 구성할 수 있고, 비철 부재(233)가 철제 부재(231)를 에워싸서 폐쇄시키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철제 부재(231)는 인덕션 렌지(100)의 전자유도에 반응하는 무쇠(철), 또는 철을 포함하는 물질로 구성할 수 있고, 비철 부재(233)는 구리, 황동, 맥반석, 곱돌, 황토, 수정, 도자기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비철 부재(233)를 돌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고기맛을 좋게 하는 재질, 예를들어 맥반석, 곱돌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전자유도 가열부재(230)는 인덕션 렌지(100)의 전자유도에 의해 내부의 철제 부재(231)가 먼저 가열되고, 이후 외부의 비철 부재(233)가 순차 가열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유도 가열부재(230)는 철제 부재(231)와 비철 부재(233)로 구성하되, 비철 부재(233)의 하부에 철제 부재(231)를 결합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유도 가열부재(230)는 중앙의 일정 부분을 평면 형태로 구성하여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는 전자유도 가열부재(230)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여러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이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위 실시예에 기초하여 형태를 변형하거나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변형이나 수정은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100 : 인덕션 렌지 110 : 자장 발생부
120 : 버튼 200 : 전자유도 가열용 조리 용기
210 : 비 전자유도 용기 220 : 비 전자유도 받침대
230 : 전자유도 가열부재 231 : 철제 부재
233 : 비철 부재 240 : 연결 부재

Claims (6)

  1. 전자유도 가열용 조리 용기에 있어서,
    액체를 수용할 수 있는 오목 형상의 비 전자유도 용기;
    상기 비 전자유도 용기의 내부에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결합하고, 다수의 통공을 갖는 비 전자유도 받침대;
    상기 비 전자유도 받침대 상에 배치되는 전자유도 가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유도 가열부재는 비철 부재와 상기 비철 부재의 내부에 삽입 또는 하부에 결합하는 철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 가열용 조리 용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유도 가열부재는
    중앙에서 측방으로 갈수록 하방 경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 가열용 조리 용기.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유도 가열부재는 다수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유도 가열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 가열용 조리 용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자유도 가열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방으로 개방되는 오목 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 가열용 조리 용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비 전자유도 받침대는
    그물망의 형태를 구성하고,
    상기 그물망의 단위체는 수평 폭보다 수직 폭을 크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 가열용 조리 용기.
KR1020160006708A 2016-01-19 2016-01-19 전자유도 가열용 조리 용기 KR101708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708A KR101708493B1 (ko) 2016-01-19 2016-01-19 전자유도 가열용 조리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708A KR101708493B1 (ko) 2016-01-19 2016-01-19 전자유도 가열용 조리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8493B1 true KR101708493B1 (ko) 2017-02-21

Family

ID=58313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6708A KR101708493B1 (ko) 2016-01-19 2016-01-19 전자유도 가열용 조리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849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0511A (ko) * 2010-04-29 2011-11-04 오영록 진공엑스분사식 이중구조의 조리기구
KR101526946B1 (ko) * 2014-12-18 2015-06-10 이갑성 전자레인지용 조리용기
JP5737360B2 (ja) * 2013-10-23 2015-06-17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誘導加熱発熱体、及び誘導加熱容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0511A (ko) * 2010-04-29 2011-11-04 오영록 진공엑스분사식 이중구조의 조리기구
JP5737360B2 (ja) * 2013-10-23 2015-06-17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誘導加熱発熱体、及び誘導加熱容器
KR101526946B1 (ko) * 2014-12-18 2015-06-10 이갑성 전자레인지용 조리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25103A1 (en) Induction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US9596722B2 (en) Induction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KR101641461B1 (ko) 전기 및 숯불 구이판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가열 조리기
KR101667013B1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KR101708493B1 (ko) 전자유도 가열용 조리 용기
KR101480272B1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 용기
KR20150007485A (ko) 구이용 보조불판 및 이를 이용한 2단 불판유닛
JP2004065553A (ja) 加熱調理器
KR101297203B1 (ko) 직화구이기
US20170027381A1 (en) Cooking appliance with direct contact cooking grate
JP2017118937A (ja) 加熱調理装置
KR101598457B1 (ko) 요리시 기름이 튀지 않고 배출되며 연기가 나지 않는 양면을 활용하는 그릴팬
KR101900924B1 (ko) 구이 불판 결합형 가스 조리기
JP3111795U (ja) フライヤー用プレート
JPH09171890A (ja) 誘導加熱調理用の調理容器
JP6214123B1 (ja) 火起こし器具及びバーベキューグリル
KR20160145418A (ko) 상 방향 가열 조리기
KR20110029540A (ko) 탄소섬유발열체를 이용한 다목적 가열기
US20190306930A1 (en) Induction heating and cooking
KR20140131757A (ko) 조리용기 가열부가 별도로 구성된 전기그릴
KR101314084B1 (ko) 전열기용 조리기
CN109077626B (zh) 煎烤机
KR200464310Y1 (ko) 조리 용기
JP3186375U (ja) 電磁調理器用調理器具
JPH10234588A (ja) 電磁誘導加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