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7439B1 - 카고 스크린 장치 - Google Patents

카고 스크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7439B1
KR101707439B1 KR1020150164728A KR20150164728A KR101707439B1 KR 101707439 B1 KR101707439 B1 KR 101707439B1 KR 1020150164728 A KR1020150164728 A KR 1020150164728A KR 20150164728 A KR20150164728 A KR 20150164728A KR 101707439 B1 KR101707439 B1 KR 101707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stopper
hanger pin
screen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4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50164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74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7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7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2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slidable;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7Luggage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고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러기지 적재공간의 양측벽면을 이루는 러기지 사이드 트림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러기지 적재공간을 가리는 스크린이 내장되는 스크린 하우징; 상기 스크린의 전단에 설치되는 행거; 상기 행거의 양측 단부에 탄성지지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내에 삽입되는 행거핀; 및 상기 행거핀을 소정위치에서 락킹시키도록 상기 행거에 설치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카고 스크린 장치를 보다 손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보다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카고 스크린 장치{CARGO SCREEN APPARATUS }
본 발명은 카고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SUV, CUV, 웨건 차량에서 차량의 러기지 적재공간을 커버하는 카고 스크린 장치를 손쉽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카고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 승용차량은 짐을 적재할 수 있는 트렁크 룸이 독립적인 공간으로 되어 있지만, 왜건, SUV, MPV 등과 같은 차량의 트렁크 룸 즉, 러기지 적재공간은 리어시트의 바로 뒷 공간이 되면서 실내와 연통된 상태로 구획되어 있다.
실내에서 보았을 때, 러기지 적재공간에 적재된 짐들이 그대로 보이기 때문에 외관미를 떨어뜨리고, 도난 방지 등의 우려가 있는 점을 감안하여, 화물의 노출을 막아 외관미를 높이는 동시에 도난방지 역할을 하는 카고 스크린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있다.
종래 카고 스크린의 사용 방법을 보면, 사용자가 카고 스크린의 양끝단을 러기지 트림에 형성된 장착홈내에 끼우는 카고 스크린 장착 단계와, 카고 스크린의 전방으로 노출된 그립 핸들을 직접 잡아 당겨서 차량의 후방쪽으로 스크린을 인출시키는 단계와, 인출된 스크린의 행거 부분을 러기지 트림 또는 리어 필러드림에 마련된 걸이홈내에 끼워서 고정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카고 스크린 장치는 사용자가 카고 스크린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스크린 전단에 부착된 행거에 조립된 행거핀을 러기지 사이드 트림에 형성된 러기지 가이드 레일에 장착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행거핀을 손으로 눌러서 러기지 가이드 레일에 삽입 장착한다.
그러나, 종래 카고 스크린 장치를 러기지 사이드 트림에 장착할 때 행거의 좌우측에 조립된 행거핀을 눌러서 장착하게 되는데, 스크린의 폭방향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사용자가 러기지 가이드 레일에 행거핀을 양쪽 행거핀을 동시에 누르면서 장착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101195호(2013.09.1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카고 스크린 장치를 러기지 사이드 트림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카고 스크린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고 스크린 장치는, 러기지 적재공간의 양측벽면을 이루는 러기지 사이드 트림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러기지 적재공간을 가리는 스크린이 내장되는 스크린 하우징; 상기 스크린의 전단에 설치되는 행거; 상기 행거의 양측 단부에 탄성지지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내에 삽입되는 행거핀; 및 상기 행거핀을 소정위치에서 락킹시키도록 상기 행거에 설치되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여기서, 행거핀의 일측면에는 고정 홈부가 구비되고, 스토퍼는 고정 홈부에 삽입되는 끼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행거에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탄성지지되도록 하측부에 탄성부재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스토퍼는, 끼움부의 하측 일부가 절개되어 행거핀이 이동할 수 있는 이동 요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일정거리 하강후에 정지하도록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고, 그 상단에는 누름부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후크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행거핀에는 스토퍼와 결합되는 락킹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표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는, 처음 눌렀을 때는 하강하여 락킹 상태가 되고, 두번째 눌렀을 때는 복귀하여 언락 상태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스토퍼의 끼움부와 상기 행거핀의 고정홈부는 락킹 상태에서 서로 맞닿는 면에는 강화부재를 코팅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행거핀을 소정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는 스토퍼를 구비함으로써 스크린의 폭방향 길이와 상관없이 사용자가 손쉽게 카고 스크린 장치를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카고 스크린의 하우징이 장착된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행거핀에 의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카고 스크린 장치가 보다 견고하게 차량에 장착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고 스크린 장치가 러기지 사이드 트림에 장착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고 스크린 장치에 구비된 행거핀의 언락(unlock)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고 스크린 장치에 구비된 행거핀의 락킹(locking)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3a은 도 2a의 A-A방향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2b의 B-B방향 단면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고 스크린 장치에 구비된 행거핀 및 스토퍼의 언락(unlock)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고 스크린 장치에 구비된 행거핀 및 스토퍼의 락킹(locking)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고 스크린 장치가 러기지 사이드 트림에 장착된 것을 도시한 것으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고 스크린 장치(120)는, 러기지 적재공간을 형성하는 러기지 사이드 트림(110)에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러기지 사이트 트림(110)은 러기지 적재공간의 양측벽면을 이루며, 카고 스크린 장치의 스크린 하우징(121)이 지지되는 지지홈(110a)과 카고 스크린 장치의 행거핀(127)이 삽입되는 가이드 레일(110b)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고 스크린 장치(120)는, 러기지 적재공간을 가리는 스크린(125)이 내장되는 스크린 하우징(121)과, 스크린(125) 전단부의 양측에 형성되는 행거(126)와, 행거(126)의 양측 단부에서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는 행거핀(127)을 포함한다.
스크린(125)는 스크린 하우징(121)에 감겨져 있다가 사용자가 손잡이부(125a)를 잡아 당기면 풀리면서 전개되도록 구성되어, 러기지 적재공간을 가릴 수 있게 된다.
행거(126)는 스크린(125)의 전단부의 좌우 양측에 설치되며, 행거(126)의 양끝단에는 행거핀(127)이 탄성지지되며 내장된다.
또한, 행거(126)에는 행거핀(127)을 소정위치에서 락킹(locking)상태로 유지하는 스토퍼(128)가 설치된다.
행거핀(127)은 행거(126)의 양측 단부에 설치되어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고 스크린 장치에 구비된 행거핀의 언락(unlock)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고 스크린 장치에 구비된 행거핀의 락킹(locking)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행거핀(127)의 일측에는 고정 홈부(127a)가 형성된다.
언락 상태(a)에서는 행거핀(127)이 내장된 스프링에 의해 외측으로 인출되고, 락킹 상태(b)에서는 행거핀(127)이 내측으로 삽입되고 스토퍼(128)가 눌러져서 스토퍼(128)와 행거핀(127)의 고정 홈부(127a)가 체결된 상태로 락킹이 유지되게 된다.
도 3a은 도 2a의 A-A방향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2b의 B-B방향 단면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고 스크린 장치에 구비된 행거핀 및 스토퍼의 언락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고 스크린 장치에 구비된 행거핀 및 스토퍼의 락킹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고 스크린 장치에 구비된 행거핀(127)은 그 일측면에는 고정 홈부(127a)가 구비되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고 스크린 장치에 구비된 스토퍼(128)는 상기 고정 홈부(127a)에 삽입되도록 돌출되는 끼움부(128a)가 구비된다.
스토퍼(128)는, 행거(126)의 일측에 마련된 장착공간에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하측부에는 탄성지지되도록 하측부에 스프링(129)가 설치된다.
또한, 스토퍼(128)는, 그 측면부 즉, 끼움부(128a)의 하측 일부가 절개되어 행거핀(127)이 이동할 수 있는 이동 요홈부(128b)가 형성되며, 측면부의 상부에는 일정거리 하강후에 정지하도록 걸림턱(128d)이 둘레방향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스토퍼(128)는, 상단부에 누름부(128e)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후크부(128c)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후크부(128c)를 공지된 위치 복귀 푸시버튼의 구성을 적용하여, 처음 눌렀을 때는 스토퍼(128)가 하강하여 락킹 상태가 되고, 두번째 눌렀을때는 복귀하여 언락 상태가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행거핀(127)에는 스토퍼(128)의 끼움부(128a)와 행거핀(127)의 고정 홈부(127a)와 결합될 때의 위치, 즉 락킹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표시부(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위치표시부(미도시)는 점선 형태의 표식 등 다양한 형태의 표시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스토퍼(128)의 누름동작을 적절한 시기에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스토퍼(128)의 끼움부(128a)와 행거핀(127)의 고정 홈부(127a)는 락킹 상태에서 서로 맞닿게 되는 면, 즉 끼움부(128a) 및 고정 홈부(127a)의 내측면부에는 접촉이 다수 발생하고 슬라이딩 동작을 통한 마찰을 통해 파손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그 부분을 강화소재로 코팅하거나, 강화 소재를 인서트 사출 방식 등의 가공방법을 통해 삽입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고 스크린 장치의 동작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언락 상태의 행거핀(127)을 행거(128)쪽으로 소정 위치까지 밀어 넣는 동작을 수행한다.
행거핀(127)의 고정 홈부(127a)가 스토퍼(128)의 끼움부(128a)와 맞닿는 위치가 되면 사용자는 스토퍼(128)을 누르고, 그 결과, 스토퍼(128)과 행거핀(127)이 서로 결합되며 락킹 상태가 된다.
락킹 상태로 유지된 행거핀(127)은 카고 스크린 장치(120)가 러기지 사이드 트림(110)에 장착된 후, 사용자가 스토퍼(128)를 다시 누르면 스토퍼(128)가 상승하면서 스토퍼(128)의 끼움부(128a)가 행거핀(127)의 고정 홈부(127a)에서 이탈하게 된다.
이후, 행거핀(127)은 스토퍼(128)의 이동 요홈부(128b)를 통해 이동가능하게 되며, 탄성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외측으로 인출되어 언락 상태가 된다.
외측으로 인출된 행거핀(127)은 러기지 사이드 트림(110)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110b)에 안착하여 카고 스크린 장치(12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러기지 사이드 트림 110a: 지지홈
110b: 가이드 레일 120: 카고 스크린 장치
121: 스크린 하우징 125: 스크린
126 : 행거 127: 행거핀
127a: 고정 홈부 128 : 스토퍼
128a: 끼움부 128b: 이동 요홈부
128c: 후크부 128d: 걸림턱
128e: 누름부 129: 스프링

Claims (10)

  1. 러기지 적재공간의 양측벽면을 이루는 러기지 사이드 트림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러기지 적재공간을 가리는 스크린이 내장되는 스크린 하우징;
    상기 스크린의 전단에 설치되는 행거;
    상기 행거의 양측 단부에 탄성지지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내에 삽입되는 행거핀; 및
    상기 행거핀을 소정위치에서 락킹시키도록 상기 행거에 설치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되,
    상기 행거핀의 일측면에는 고정 홈부가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고정 홈부에 삽입되는 끼움부가 구비되고,
    상기 행거에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탄성지지되도록 하측부에 탄성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끼움부의 하측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행거핀이 이동할 수 있는 이동 요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행거핀에는 상기 스토퍼와 결합되는 락킹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표시부를 구비하는, 카고 스크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일정거리 하강후에 정지하도록 걸림턱이 형성되는, 카고 스크린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단에는 누름부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후크부가 형성되는, 카고 스크린 장치.
  8. 삭제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처음 눌렀을 때는 하강하여 락킹 상태가 되고, 두번째 눌렀을 때는 복귀하여 언락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는, 카고 스크린 장치.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끼움부와 상기 행거핀의 고정홈부는 락킹 상태에서 서로 맞닿는 면에는 강화소재를 코팅하는, 카고 스크린 장치.
KR1020150164728A 2015-11-24 2015-11-24 카고 스크린 장치 KR101707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728A KR101707439B1 (ko) 2015-11-24 2015-11-24 카고 스크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728A KR101707439B1 (ko) 2015-11-24 2015-11-24 카고 스크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7439B1 true KR101707439B1 (ko) 2017-02-17

Family

ID=58265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4728A KR101707439B1 (ko) 2015-11-24 2015-11-24 카고 스크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74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46352A (zh) * 2017-12-26 2018-06-12 重庆程顺汽车配件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后备箱固定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54087B2 (en) * 2005-07-08 2008-04-08 Bos Gmbh & Co. Kg Loading-space protection device for a motor vehicle
KR20090024335A (ko) * 2007-09-04 2009-03-09 한일이화주식회사 자동차용 카고스크린 조립체
KR100930951B1 (ko) * 2008-09-10 2009-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카고 스크린 및 그 설치구조
KR20130101195A (ko) 2012-03-05 2013-09-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전동식 카고스크린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54087B2 (en) * 2005-07-08 2008-04-08 Bos Gmbh & Co. Kg Loading-space protection device for a motor vehicle
KR20090024335A (ko) * 2007-09-04 2009-03-09 한일이화주식회사 자동차용 카고스크린 조립체
KR100930951B1 (ko) * 2008-09-10 2009-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카고 스크린 및 그 설치구조
KR20130101195A (ko) 2012-03-05 2013-09-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전동식 카고스크린 이송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46352A (zh) * 2017-12-26 2018-06-12 重庆程顺汽车配件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后备箱固定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127878A1 (en) Article attachment system
TWI628095B (zh) 固定裝置及應用該固定裝置的汽車座椅
CN105691316B (zh) 用于电子设备夹持装置的电连接器
CN109155379B (zh) 电池紧固系统和方法
CN107031516B (zh) 伸缩式可调挂钩总成
KR101286469B1 (ko) 차량용 트랜스버스 트림
US20160016491A1 (en) Motor vehicle seat comprising a seatback part with a detachable part provided with storage means
KR101707439B1 (ko) 카고 스크린 장치
US20200181952A1 (en) Motor vehicle handle assembly
KR101776513B1 (ko) 차량용 캐리어 장치
WO2015001836A1 (ja) シートベルトアジャスタ構造
BR102013013433A2 (pt) Cargo management system for a vehicle and vehicle
JP2017093016A (ja) ワイヤーハーネス配索装置
JP6040461B2 (ja) シートベルト保持用ベゼル、シートベルト用ガイドユニット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JPH0712114B2 (ja) 電子機器筐体
KR20110080924A (ko) 전자기기
JP2017093015A (ja) ワイヤーハーネス配索装置
JP2007090990A (ja) 車両の物品保持構造及び物品保持可能な車両のシートベルトカバー
KR101372802B1 (ko) 차량용 카고 스크린
JP7131094B2 (ja) 収容ユニットの取付け構造
JP4247384B2 (ja) 車両用ポケット構造
JP6840622B2 (ja) 乗物用機能部品の取付け構造
KR102201949B1 (ko) 차량용 테일게이트 트림 일체형 안전 삼각대 보관구조
KR101673809B1 (ko)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장치
JP6434247B2 (ja) 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