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1709B1 - 위치 제어 특징부를 가지는 토너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위치 제어 특징부를 가지는 토너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1709B1
KR101701709B1 KR1020147018253A KR20147018253A KR101701709B1 KR 101701709 B1 KR101701709 B1 KR 101701709B1 KR 1020147018253 A KR1020147018253 A KR 1020147018253A KR 20147018253 A KR20147018253 A KR 20147018253A KR 101701709 B1 KR101701709 B1 KR 101701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cartridge
housing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t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8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9008A (ko
Inventor
벤저 알바란 아코스타
제임스 리차드 림후이스
매튜 리 로저스
브라이언 크리스토퍼 샤프
제임스 앤서니 카터
개리 닐 해크니
카트리나 로시트 락투안
키스 시먼
크리스토퍼 진 보웰스
제이슨 헤일
Original Assignee
렉스마크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렉스마크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렉스마크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119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9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6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mechanical means, e.g. shutter, plu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using doors or cov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4Details of parts of process cartridge, e.g. for charging, transfer, cleaning,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03G21/185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the process cartridge being mounted parallel to the axis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54Locks and means for positioning or align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Ink Jet (AREA)

Abstract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용 토너 카트리지는 토너를 내포하는 리저버를 가지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리저버와 유체 연통되는 출구 포트를 가져서 토너가 리저버로부터 하우징을 통과하는 것을 허용한다. 제 1 레그 및 제 2 레그는 각각 화상 형성 장치 내로 삽입 동안 하우징의 하부 부위로부터 돌출하여 토너 카트리지의 좌우 주행을 제한한다. 윙 가이드들은 하우징의 마주하는 측면들 상에 위치된다. 정지부는 각각의 윙 가이드로부터 연장되어 화상 형성 장치의 토너 카트리지의 전방 이동을 제한한다. 윙 가이드들의 하면들로부터 연장하는 둥근 돌기들은 화상 형성 장치에서 토너 카트리지의 수직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접점들을 규정한다.

Description

위치 제어 특징부를 가지는 토너 카트리지 {TONER CARTRIDGE HAVING POSITIONAL CONTROL FEATURES}
본 개시물은 일반적으로 전자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되는 토너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위치 제어 특징부를 가지는 토너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화상 형성 장치용 토너 카트리지 내부에 기존에 수용되어 있던 부품들의 조기 교체를 줄이기 위해, 토너 카트리지 제조자들은 수명이 짧은 부품들로부터 수명이 긴 부품들을 별도의 교체 가능 유닛들 내로 분리하기 시작했다. 현상기 롤(developer roll), 토너 애더 롤(toner adder roll), 닥터 블레이드(doctor blade) 및 광전도 드럼(photoconductive drum)과 같은 상대적으로 수명이 긴 부품들이 하나의 교체 가능 유닛("이미징 유닛") 내에 위치된다. 이미징 유닛에 수용된 부품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르게 소모되는 화상 형성 장치의 토너 공급부는, 이미징 유닛과 결합하는 토너 카트리지 형태의 별도의 교체 가능 유닛 내의 리저버(reservoir)에 제공된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토너 카트리지에 수용된 부품 점수가 기존의 토너 카트리지에 비해 감소된다. 결과적으로, 별도의 토너 카트리지 및 이미징 유닛을 이용하는 시스템들에서는, 토너를 유지하는 단순한 용기보다는 토너 카트리지가 더욱 복잡함에도 불구하고, 토너 카트리지를 종종 "토너 용기(toner bottle)"라고 한다.
토너 카트리지로부터 이미징 유닛에 토너를 전달하기 위해, 토너 카트리지 내의 오거(auger)는 토너 카트리지 상의 출구 포트로부터 이미징 유닛 상의 입구 포트 내로 및 이미징 유닛 내부에서 토너를 확산시키는 제 2 오거 내로 토너를 이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토너가 토너 카트리지로부터 취출되면, 토너 카트리지가 프린터에 삽입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그 출구 포트를 밀봉하는데 사용된 셔터를 통해 토너가 오거된다.
별도의 토너 카트리지 및 이미징 유닛을 이용하는 장치에 있어서는, 토너 카트리지 및 이미징 유닛이 화상 형성 장치 내부에서 서로에 대하여 정확하게 정렬되는 것이 중요하다. 예컨대, 토너 카트리지 상의 출구 포트가 이미징 유닛 상의 입구 포트와 오정렬되는 경우에는, 심각한 토너 누설이 발생할 수 있어, 기계적 및 프린트 품질 결함을 초래한다. 또한, 토너 카트리지 및 이미징 유닛은, 작동 중에 그들의 위치 정렬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화상 형성 장치에 설치된 후에는 제자리에 견고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엄격한 위치 제어를 위한 요건은, 유저가 이미징 유닛 및 토너 카트리지를 화상 형성 장치 내외로 쉽게 로딩 및 언로딩할 수 있게 할 필요성과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그래서, 화상 형성 장치 내로의 카트리지의 다양한 삽입 각도를 허용하면서 카트리지의 정확한 정렬을 허용하는 위치 제어 특징부를 갖는 토너 카트리지가 요망된다는 점을 인식할 것이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용 토너 카트리지는 토너를 내포하는 리저버를 가지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리저버와 유체 연통하는 출구 포트를 가져서 토너가 리저버로부터 하우징을 통과하는 것을 허용한다. 제 1 레그 및 제 2 레그 각각은 하우징의 하부 부위으로부터 돌출하고 화상 형성 장치 내로 삽입 동안 토너 카트리지의 좌우 주행(side-to-side travel)을 제한하기 위하여 하우징의 전방 부위과 후방 부위 사이로 연장한다. 제 1 윙 가이드는 하우징의 제 1 측면 상에 위치되고 제 2 윙 가이드는 제 1 윙 가이드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하우징의 제 2 측면 상에 위치된다. 각각의 윙 가이드는 하우징의 후방 부위과 전방 부위 사이로 연장하는 일반적인 세장형의 몸체를 갖는다. 제 1 정지부(stop)는 제 1 윙 가이드로부터 연장하고 제 2 정지부는 제 2 윙 가이드로부터 연장하여 화상 형성 장치에서의 토너 카트리지의 전방 이동을 제한한다. 제 1 윙 가이드의 하면으로부터 연장하는 한 쌍의 둥근 돌기들 및 제 2 윙 가이드의 하면으로부터 연장하는 둥근 돌기는 접점을 규정하여 화상 형성 장치에서의 토너 카트리지의 수직 위치를 제어한다.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용 토너 카트리지는 토너를 내포하는 리저버를 가지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리저버와 유체 연통되는 출구 포트를 가져서 토너가 리저버로부터 하우징을 통과하는 것을 허용한다. 제 1 레그 및 제 2 레그 각각은 하우징의 하부 부위으로부터 돌출하고 화상 형성 장치 내로의 토너 카트리지의 삽입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하우징의 후방 부위과 전방 부위 사이로 연장한다. 제 1 및 제 2 레그들은 하우징의 마주하는 측면들 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화상 형성 장치 내로 삽입 동안 토너 카트리지의 좌우 주행을 제한한다. 제 1 윙 가이드는 하우징의 제 1 측면 상에 위치되고 제 2 윙 가이드는 제 1 윙 가이드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하우징의 제 2 측면 상에 위치된다. 각각의 윙 가이드는 일반적으로 하우징의 전방 부위과 후방 부위 사이로 연장하는 세장형의 몸체를 갖는다. 제 1 정지부는 제 1 윙 가이드로부터 연장하고 제 2 정지부는 제 2 윙 가이드로부터 연장하여 화상 형성 장치에서 토너 카트리지의 전방 이동을 제한한다. 제 1 윙 가이드의 하면으로부터 연장하는 한 쌍의 둥근 돌기들 및 제 2 윙 가이드의 하면으로부터 연장하는 둥근 돌기는 총괄하여 화상 형성 장치에서 토너 카트리지의 수직 위치를 제어하는 평면을 규정하는 기준점을 형성한다.
다양한 실시예의 전술한 및 그 밖의 특징들 및 장점들과, 이들을 이루는 방식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로 더욱 분명해지며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징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2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 및 이미징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토너 카트리지의 추가의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내부에 토너를 유지하는 리저버를 도시하는 도 2에 도시된 토너 카트리지의 분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토너 카트리지 및 이미징 유닛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8은 토너 카트리지가 이미징 유닛에 더 가깝게 전진되어 있는 도 7의 8-8 선을 따라 취한 토너 카트리지 및 이미징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9는 화상 형성 장치에 로딩되어 있는, 도 2에 도시된 토너 카트리지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화상 형성 장치의 이의 최종 위치에 도 2에 도시된 토너 카트리지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다양한 인터페이스 특징부들의 맞물림을 도시하는 화상 형성 장치 내에서 그 최종 위치에 있는 도 2에 도시된 토너 카트리지의 측면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 내의 해당 삽입 경로를 전진하는 토너 카트리지 상의 제 1 윙 가이드(wing guide)의 순차적인 도면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 내의 해당 삽입 경로를 전진하는 토너 카트리지 상의 제 2 윙 가이드의 순차적인 도면이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 내로 토너 카트리지가 삽입될 때의 도 2의 14-14 선을 따라 취한 토너 카트리지의 레그(leg)의 순차적인 단면도이다.
도 15는 예시적인 제 2 실시예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 및 이미징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토너 카트리지 및 이미징 유닛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7은 토너 카트리지가 이미징 유닛에 더 가깝게 전진해 있는, 도 16의 17-17 선을 따라 취한 토너 카트리지 및 이미징 유닛의 단면도이다.
하기의 설명 및 도면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충분히 실시할 수 있게 하는 실시예들을 예시한다. 본 개시물이 하기의 설명에 기술되거나 또는 도면들에 예시된 부품들의 구성 및 배치구조의 상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일 수 있으며, 다양하게 실행 또는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다른 실시예들은 구조적인, 발생순의, 전기적인, 절차적인 및 다른 변화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들은 단지 가능한 변경들의 전형이다. 개개의 부품들 및 기능들은 명확히 요구되지 않는 한 선택적인 것이며, 작동 순서도 바뀔 수 있다. 몇몇 실시예의 부위들 및 특징부들은 다른 것들에 포함되거나 대체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 및 모든 가용 등가물을 포함한다. 따라서, 하기의 설명은 제한된 의미로 취해지지 않아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규정된다.
또한, 본원에 사용된 어법 및 용어는 설명을 위한 것이지 제한을 고려한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본원의 "포함하는(including)", "구성하는(comprising)", 또는 "갖는(having)"의 용도 및 그 변경들은 그 아래에 열거된 항목들 및 그 등가물들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항목들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달리 제한하지 않는 한, 본원의 "연결된(connected)", "결합된(coupled)", 및 "장착된(mounted)"이라는 용어들 및 그 변경들은 폭넓게 사용되고, 직간접적인 연결, 결합, 및 장착을 포함한다. 또한, "연결된" 및 "결합된"이라는 용어들과 그 변경들은 물리적이거나 기계적인 연결 또는 결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top)", "하(bottom)", "전(front)", "후(back)", "뒤(rear)" 및 "측(side)", "밑(under)", "아래(below)", "아래쪽(lower)", "위(over)", "위쪽(upper)" 등의 공간과 관련된 용어들은 용이한 기재를 위해 일 요소의 제 2 요소에 대한 위치관계를 설명하는데 사용된다. 이들 용어는 화상 형성 장치 내부의 그 의도한 작업 위치에서의 요소의 위치를 참조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 등의 용어는 다양한 요소들, 구역들, 구간들 등을 기술하는데 사용되며,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본원에 사용된 "화상(image)"이라는 용어는 문자, 도식, 또는 그 조합의 임의의 인쇄된 형태 또는 디지털 형태를 포함한다. 유사한 용어들은 상세한 설명 전반에서 유사한 요소들을 의미한다.
이제, 도면들, 특히 도 1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징 시스템(20)의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미징 시스템(20)은 화상 형성 장치(22) 및 컴퓨터(24)를 포함한다. 화상 형성 장치(22)는 통신 회선(26)을 통해 컴퓨터(24)와 통신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통신 회선(communications link)"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다수의 구성요소들간의 전자 통신을 가능하게 하며 유선 또는 무선 기술을 이용해서 작동할 수 있는 임의의 구조를 의미하고, 인터넷을 통한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22)는 컨트롤러(28), 인쇄 엔진(30), 레이저 스캔 유닛(LSU)(31), 이미징 유닛(32), 토너 카트리지(35), 유저 인터페이스(36), 매체 이송 시스템(38), 매체 입력 트레이(39) 및 스캐너 시스템(40)을 포함하는 다기능 기기(때때로, 일체형(AIO) 장치라고도 함)이다. 화상 형성 장치(22)는, 예컨대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SB), 이더넷(Ethernet) 또는 IEEE 802.xx 등의 표준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컴퓨터(24)와 통신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22)는, 예컨대 통합형 스캐너 시스템(40) 또는 독립형 전자사진 프린터를 포함하는 전자사진 프린터/복사기일 수 있다.
컨트롤러(28)는 프로세서 유닛 및 연관 메모리(29)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 회로(ASICs)로서 형성될 수 있다. 메모리(29)는, 예컨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리드 온리 메모리(ROM), 플래시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RAM(NVRAM)과 같은 임의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대안으로서, 메모리(29)는 별도의 전자 메모리(예컨대, RAM, ROM, 및/또는 NVRAM), 하드 드라이브, CD 또는 DVD 드라이브, 또는 컨트롤러(28)용으로 편리한 임의의 메모리 디바이스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컨트롤러(28)는, 예컨대 프린터 및 스캐너 병용 컨트롤러일 수 있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컨트롤러(28)는 통신 회선(50)을 통해 인쇄 엔진(30)과 통신한다. 컨트롤러(28)는 통신 회선(51)을 통해 이미징 유닛(32) 및 그 처리 회로(44)와 통신한다. 컨트롤러(28)는 통신 회선(52)을 통해 토너 카트리지(35) 및 그 처리 회로(45)와 통신한다. 컨트롤러(28)는 통신 회선(53)을 통해 매체 이송 시스템(38)과 통신한다. 컨트롤러(28)는 통신 회선(54)을 통해 스캐너 시스템(40)과 통신한다. 유저 인터페이스(36)는 통신 회선(55)을 통해 컨트롤러(28)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다. 처리 회로(44, 45)는, 제각기 이미징 유닛(32) 및 토너 카트리지(35)와 관련된 인증 기능, 안전 및 가동 인터로크, 작동 파라미터 및 사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컨트롤러(28)는 인쇄 및 스캔 데이터를 처리하고, 인쇄 동안 인쇄 엔진(30)을, 그리고 스캐닝 동안 스캐너 시스템(40)을 작동시킨다.
옵션으로서의 컴퓨터(24)는, 예컨대 RAM, ROM, 및/또는 NVRAM과 같은 메모리(60), 키보드 및/또는 마우스와 같은 입력 장치(62), 및 디스플레이 모니터(64)를 포함하는 퍼스널 컴퓨터일 수 있다. 컴퓨터(24)는 프로세서, 입력/출력(I/O) 인터페이스를 또한 포함하고, 하드 드라이브, CD-ROM 및/또는 DVD 유닛(도시되지 않음)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대량 데이터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24)는 퍼스널 컴퓨터 외에, 예컨대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폰, 또는 그 밖의 전자 기기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22)와 통신 가능한 장치일 수도 있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터(24)는 화상 형성 장치(22)를 위한 이미징 드라이버(66), 예컨대 프린터/스캐너 드라이버 소프트웨어로서 기능하는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그 메모리에 포함한다. 이미징 드라이버(66)는 통신 회선(26)을 통해 화상 형성 장치(22)의 컨트롤러(28)와 통신하게 된다. 이미징 드라이버(66)는 화상 형성 장치(22)와 컴퓨터(24)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이미징 드라이버(66)의 일 양태는, 예컨대 형식화된 인쇄 데이터를 화상 형성 장치(22)에, 특히 인쇄 엔진(30)에 제공해서 화상을 인쇄하는 것일 수 있다. 이미징 드라이버(66)의 다른 양태는, 예컨대 스캐너 시스템(40)으로부터의 스캐닝된 데이터의 수집을 가능하게 하는 것일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화상 형성 장치(22)를 독립형 모드로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독립형 모드에 있어서는, 화상 형성 장치(22)가 컴퓨터(24) 없이 기능할 수 있다. 그래서, 독립형 모드에서의 작동시에 인쇄 및/또는 스캔 기능을 수용하기 위해 화상 형성 장치(22)의 컨트롤러(28)에 이미징 드라이버(66)의 전부 또는 일부, 또는 유사한 드라이버가 위치될 수 있다.
인쇄 엔진(30)은 레이저 스캔 유닛(LSU)(31), 토너 카트리지(35), 이미징 유닛(32), 및 정착기구(fuser)(37)를 포함하고, 모두 화상 형성 장치(22) 내부에 장착된다. 이미징 유닛(32)은 화상 형성 장치(22)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토너 섬프(sump) 및 토너 전달 시스템을 수용하는 현상기 유닛(34)을 포함한다. 토너 전달 시스템은 토너를 토너 섬프로부터 현상기 롤에 제공하는 토너 애더 롤을 포함한다. 닥터 블레이드는 현상기 롤의 표면 상에 계량된 균일한 토너층을 제공한다. 이미징 유닛(32)은 광전도 드럼 및 폐토너 제거 시스템을 수용하는 클리너 유닛(33)을 또한 포함한다. 또한, 토너 카트리지(35)는 이미징 유닛(32)의 현상기 유닛(34)과의 결합 관계로 이미징 유닛(32)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토너 카트리지(35) 상의 출구 포트는 토너를 토너 카트리지(35)로부터 주기적으로 전달될 수 있게 하는 현상기 유닛(34) 상의 입구 포트와 연통해서 현상기 유닛(34) 내의 토너 섬프에 재공급한다.
전자사진 인쇄 프로세스는 본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간략히 기술한다. 인쇄 작업 동안, 레이저 스캔 유닛(31)은 클리너 유닛(33) 내의 광전도 드럼 상에 잠상을 생성한다. 토너는 현상기 유닛(34) 내의 토너 섬프로부터 현상기 롤에 의해 광전도 드럼 상의 잠상에 전달되어 계조 화상(toned image)을 생성한다. 이후, 계조 화상은 인쇄를 위해 매체 입력 트레이(39)로부터 이미징 유닛(32)에 수용된 매체 시트에 전달된다. 토너 잔류물은 폐토너 제거 시스템에 의해 광전도 드럼으로부터 제거된다. 토너 화상은 정착기구(37) 내의 매체 시트에 본딩되고 나서, 출력 장소로 또는 듀플렉서(duplexer), 스테이플러(stapler) 또는 천공 펀치(hole-punch)와 같은 하나 이상의 마감 옵션들로 보내진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100) 및 이미징 유닛(200)이 도시된다. 이미징 유닛(200)은 공통 프레임(206) 상에 장착된 현상기 유닛(202) 및 클리너 유닛(204)을 포함한다. 이미징 유닛(200) 및 토너 카트리지(100)는 각각 공통 입구 경로를 따라 화상 형성 장치(22)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미징 유닛(200)이 먼저 슬라이드식으로 화상 형성 장치(22)에 삽입된다. 이후, 토너 카트리지(100)가, 도 2에 도시된 화살표로 지시된 바와 같이 이미징 유닛(200)의 현상기 유닛(202)과의 결합 관계로, 화상 형성 장치(22) 내로 및 프레임(206) 상으로 삽입된다. 이 배치구조로 인해, 비어 있는 토너 카트리지 교체시에 이미징 유닛(200)을 분리할 필요 없이 토너 카트리지(100)를 용이하게 분리 및 재삽입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징 유닛(200)은 현상기 유닛(202), 클리닝 유닛(204) 또는 프레임(206)과 연관된 부품들을 유지, 보수 또는 교체하기 위해, 또는 매체 잼(jam)을 해소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토너 카트리지(100)는 다량의 토너를 내부에 유지하는 밀폐형 리저버(104)(도 5 참조)를 갖는 하우징(102)을 포함한다. 하우징(102)은 베이스(108) 상에 장착된 상부 또는 덮개(106)를 갖는 것으로 보일 수 있다. 베이스(108)는 인접해 있는 전방 및 후방 벽(114, 116)에 연결된 제 1 및 제 2 측벽(110, 112)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106)는 베이스(108)에 초음파 용접되어서, 밀폐형 리저버(104)를 형성한다. 하우징(102)은 또한 제각기 측벽(110, 112)에 장착되는 제 1 및 제 2 단부 캡(118, 120)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단부 캡(118, 120)은 제위치에 스냅식으로 끼워맞춰지거나 또는 스크루 또는 다른 체결장치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핸들(122)은 토너 카트리지(100)의 상부(106) 또는 베이스(108) 상에 제공되어서, 이미징 유닛(200) 및 화상 형성 장치(22)에 대한 토너 카트리지(100)의 삽입 및 분리를 도울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100)에 토너를 충전하는데 사용되는 충전 포트(124)가 측벽(112)에 제공된다. 충전 후에는, 충전 포트(124)가 플러그(126) 및/또는 캡(128)에 의해 폐쇄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부 캡(118)과 측벽(110)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에 다양한 드라이브 기어들이 수용된다. 메인 인터페이스 기어(130)는 메인 인터페이스 기어(130)에 토크를 제공하는 화상 형성 장치(22) 내의 드라이브 시스템에 맞물린다. 다양한 연결장치들이 전방 벽(114)(도 3)에 제공된 출구 포트(132)로부터의 토너의 흐름을 조절하는 셔터를 작동시키기 위해 단부 캡(120)과 측벽(112)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에 수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패들(paddle)(134)은, 토너 리저버(104) 내부에서, 패들(들)(134)의 드라이브 샤프트(136)의 제 1 및 제 2 단부가 제각기 측벽(110, 112) 내의 정렬 개구들을 통해 연장되는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드라이브 기어(138)는 직접 또는 하나 이상의 중간 기어를 통해 메인 인터페이스 기어(130)와 맞물리는 드라이브 샤프트(136)의 제 1 단부 상에 제공된다. 측벽(110, 112)을 관통하는, 드라이브 샤프트(136)의 각 단부에 부싱들이 제공될 수 있다. 그래서, 측벽(110)을 토너 카트리지(100)의 "구동(drive)" 또는 "종동(driven)" 측부라고도 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 1 및 제 2 단부(140a, 140b)와 나선형 스크루 플라이트(140c)를 갖는 오거(140)는 측벽들(110, 112) 사이에서 전방 벽(114)의 폭을 따라 연장되는 채널(142) 내에 위치된다. 채널(142)은 전방 벽(114)의 일부로서 일체로 성형되거나, 또는 전방 벽(114)에 부착되는 별도의 부품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100)가 화상 형성 장치(22)에 설치될 때, 채널(142)은 토너 카트리지(100)와 함께 방위가 수평으로 되는 것이 보통이다. 오거(140)의 제 1 단부(140a)는 측벽(110)을 통해 연장되고, 드라이브 기어(144)는 직접 또는 하나 이상의 중간 기어를 통해 메인 인터페이스 기어(130)와 맞물리는 제 1 단부(140a) 상에 제공된다. 채널(142)은 개방부(142a) 및 밀폐부(142b)를 포함한다. 개방부(142a)는 토너 리저버(104)에 대하여 개방되고, 측벽(110)으로부터 오거(140)의 제 2 단부(140b)를 향해 연장된다. 채널(142)의 밀폐부(142b)는 측벽(112)으로부터 연장되고, 오거(140)의 제 2 단부(140b) 및 토너가 출구 포트(132)를 통하여 토너 카트리지(100)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허용하는지를 조절하는 셔터를 에워싼다. 패들(들)(134)이 회전하면, 토너가 토너 리저버(104)로부터 채널(142)의 개방부(142a)로 전달된다. 오거(140)는 드라이브 기어(144)에 의해 회전되어, 채널(142)에 수용된 토너를 채널(142)의 밀폐형 부위(142b) 내에 수용되는 셔터에 전달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출구 포트(132)는, 출구 포트(132)(도 3)를 통한 중력에 의한 토너 유출을 돕도록, 채널(142)의 하부에 배치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토너 카트리지(100)가 화상 형성 장치(22)에 설치될 때, 그 다양한 인터페이스 특징부들은 이미징 유닛(200) 및 화상 형성 장치(22) 상의 상응하는 인터페이스 특징부들과 정렬되어야 한다. 화상 형성 장치(22) 내의 그 최종 위치에서는, 출구 포트(132)(도 3 참조)가 현상기 유닛(202) 상의 입구 포트(208)와 정렬 및 결합되는 상태로, 토너 카트리지(100)가 이미징 유닛(200)의 프레임(206) 위에 위치된다. 그 최종 위치에 있어서는, 토너 카트리지(100)가 현상기 유닛(202)에 로딩력을 가하지 않는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출구 포트(132) 및 입구 포트(208)는 토너 카트리지(100)와 현상기 유닛(202) 사이에서의 토너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정밀하게 정렬되어야 한다. 또한, 측벽(110)과 단부 캡(118) 사이에서 전방 벽(114) 상에 노출되는 메인 인터페이스 기어(130)는 메인 인터페이스 기어(130)에 토크를 제공하는 화상 형성 장치(22) 내의 상응하는 드라이브 기어와 정렬 및 결합되어야 한다. 메인 인터페이스 기어(130)가 오정렬되는 경우에는, 적절한 기어 맞물림이 달성되지 않아서 기어 코깅(gear cogging)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단부 캡(118) 상의 커넥터(145) 내부에 위치된 토너 카트리지(100)의 처리 회로(45)용 전기 접점들은 토너 카트리지(100)와 화상 형성 장치(22) 사이의 통신을 허용하기 위해 화상 형성 장치(22) 내의 상응하는 전기 접점들과 정렬 및 결합되어야 한다. 토너 카트리지(100)의 적절한 작동을 보장하기 위해 이들 다양한 인터페이스 지점들의 위치들은 엄격히 제어되어야 한다. 결과적으로, 토너 카트리지(100)는 전후로(도 2의 "x" 방향), 수직으로("y" 방향) 및 좌우 또는 축방향으로("z" 방향) 적절히 위치되어야 한다. 요(yaw)라고도 하는, 토너 카트리지의 삽입 각도("Θ")도 역시 적절한 위치결정을 보장하기 위해 허용 가능한 범위 내로 제어되어야 한다.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토너 카트리지(100) 및 이미징 유닛(200)은 거친 축방향 위치결정 특징부 및 미세한 축방향 위치결정 특징부를 모두 포함한다. 토너 카트리지(100)는 베이스(108)로부터 하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레그(146, 148)를 포함한다. 레그들(146, 148)은 단부 캡들(118, 120) 사이에서 서로 축방향 "z"를 따라 이격된다. 레그들(146, 148)은 토너 카트리지의 후방 부위로부터 삽입 방향 "x"에 평행한 전방 벽(114)을 향해 베이스(108)를 따라 연장된다. 레그(148)의 전방 부위는 내부에 슬롯(150)을 포함하여 핀(210)과 같은, 프레임(206) 상의 맞물림 특징부가 단부 캡(118)과 측벽(110) 사이에 위치된 연결장치들과 맞물리는 것을 허용하여 토너 카트리지(100)가 화상 형성 장치(22) 내로 삽입될 때 셔터를 개방한다. 이미징 유닛(200)의 프레임(206)은 레그들(146, 148)에 대응하는 한 쌍의 수직 벽(212, 214)을 포함한다. 각각의 수직 벽(212, 214)은, 토너 카트리지(100)가 이미징 유닛(200)을 향해 전진할 때 삽입 방향 "x"에 대하여 바깥쪽으로 각져서 토너 카트리지(100)에 대면하는 베벨형 정면(212a, 214a)을 포함한다. 각각의 수직 벽(212, 214)은 토너 카트리지(100)의 삽입 방향 "x"에 거의 평행한 내면(212b, 214b)을 또한 포함한다. 내면들(212b, 214b)은 제각기 현상기 유닛(202)을 향해 "x" 방향을 따라 정면들(212a, 214a)로부터 안쪽으로 이격된다. 토너 카트리지(100)가 화상 형성 장치(22)에 삽입되면, 정면들(212a, 214a)이 토너 카트리지(100)를 현상기 유닛(202)을 향해 안내하고 축방향 "z"로의 토너 카트리지(100)의 주행을 제한한다. 토너 카트리지(100)가 삽입 동안 축방향 "z"에 있어서 오정렬되면, 그 레그들(146, 148) 중 하나의 외면(146a, 148a)은 수직 벽들(212, 214)의 상응하는 정면(212a 또는 214a)에 접촉하게 된다. 이후, 정면(212a 또는 214a)의 각도는 토너 카트리지(100)를 그 축방향으로 적절히 정렬되도록 가압하게 되고, 이로써 토너 카트리지(100)가 현상기 유닛(202)을 향해 전진할 때 거친 위치 제어가 제공된다.
토너 카트리지(100)가 더 전진하면, 레그들(146, 148)의 외면들(146a, 148a)은 수직 벽들(212, 214)의 내면들(212b, 214b) 사이에 구속되어, 축방향에 있어서의 토너 카트리지(100)의 주행이 더 제한된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레그(146)의 외면(146a)과 레그(148)의 외면(148a) 사이의 거리는 약 266 mm 내지 약 269 mm 이다. 이들 거친 축방향 제어 특징부들은 도 8에 도시된 엄격하게 제어된 슬롯 및 탭 인터페이스 형태의 미세한 축방향 제어 특징부들로 이어진다. 도 8은 토너 카트리지(100)가 이미징 유닛(200)에 더 가깝게 전진해 있는, 도 7의 8-8 선을 따라 취한 토너 카트리지(100) 및 이미징 유닛(20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벽(216)은 축방향 "z"를 따라 수직 벽(212)으로부터 안쪽으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 슬롯(218)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슬롯(218)은 수직 벽(212)의 내면(212b)과 수직 벽(216)의 외면(216a) 사이에 형성된다. 토너 카트리지(100)가 현상기 유닛(202)에 더 가깝게 전진되면, 레그(146)의 전방 부위는 프레임(206) 내의 슬롯(218)에 수용되어, 아래에서 더 상세히 기술하는 바와 같이, 슬롯(218)이 토너 카트리지(100)의 축방향 위치를 엄격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각각의 단부 캡(118, 120)의 측면은 윙 가이드(160, 170)(또는 '정렬 가이드'라고도 함)를 포함한다(단부 캡(120) 및 윙 가이드(170)에 대해 도 3 및 도 4를 참조). 각각의 윙 가이드(160, 170)는 그 단부 캡(118, 120)의 후방 부위로부터 그 전방 부위를 향해 연장되는 일반적으로 세장형의 몸체(161, 171)를 포함한다. 윙 가이드들(160, 170)은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다. 토너 카트리지(100)가 화상 형성 장치(22)에 삽입될 때, 윙 가이드(160, 170)는 각각 화상 형성 장치(22)의 내면을 따라 뻗는 상부 및 하부 가이드(302, 304)에 의해 규정된 소정의 삽입 경로(300)를 주행한다. 각각의 윙 가이드(160, 170)의 상면(162, 172)은 그 단부 캡(118, 120)의 후방 부위로부터 그 전방 부위를 향해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후방 부위(162a, 172a)를 포함한다. 또한, 각각의 상면(162, 172)은 제각기 후방 부위(162a, 172a)에 대하여 하향으로 각지는 전방 부위(162b, 172b)도 포함한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22)에 삽입될 때, 제각기 토너 카트리지(100)의 전방 주행을 제한하는 정지부(163, 173)는 각각의 상면(162, 172)으로부터 수직 상향으로 연장된다. 각각의 윙 가이드(160, 170)는 제각기 그 전방 선단부를 형성하는 테이퍼진 노즈(nose)(164, 174)를 또한 포함한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개별 윙 가이드(160, 170)의 하면(165, 175)은 화상 형성 장치(22)의 하부 가이드(304)와의 접점들을 규정하는 3개의 둥근 돌기들(166a, 166b, 166c 및 176a, 176b, 176c)을 포함한다. 윙 가이드들(160, 170)은, 둥근 돌기(166b, 166c 및 176b, 176c)와 결합된 몸체(161, 171)에 의해 형성된 형상 때문에, "도그 본(dog bone)"이라고 인용되기도 한다. 각각의 개별 윙 가이드(160, 170)의 상면(162, 172)은 둥근 돌기들(167a, 167b, 177a 및 177b)의 쌍을 포함한다.
각각의 단부 캡(118, 120)은 개개의 단부 캡(118, 120)의 상부 부위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하는 맞물림 표면(152, 154)을 또한 포함한다. 각각의 맞물림 표면(152, 154)은 삽입 동안 이미징 유닛(200)에 대면하는 각진 정면(152a, 154a) 및 삽입 동안 이미징 유닛(200)에 대향하는 각진 후면(152b, 154b)을 포함한다.
도 9를 참조하면, 토너 카트리지(100)가 화상 형성 장치(22)에 처음 삽입되면, 토너 카트리지(100)의 삽입 경로 내로 편향되는 화상 형성 장치(22) 내의 롤러(306)가 맞물림 표면들(152, 154)의 정면들(152a, 154a)에 접촉한다. 롤러(306)에 의해 토너 카트리지(100)에 가해진 힘은 토너 카트리지(100)의 진입을 제어해서, 화상 형성 장치(22) 내로 너무 빠르게 전진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토너 카트리지(100)가 화상 형성 장치(22)에 처음 삽입되면, 윙 가이드들(160, 170)의 하향으로 각진 전방 부위들(162b, 172b) 및 테이퍼진 노즈(164, 174)는 상대적으로 넓은 범위의 허용 삽입 각도(Θ)(또는 요)를 유저에게 제공한다. 토너 카트리지(100)가 전진함에 따라, 삽입 각도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들(162, 172) 상의 돌기들(167a, 167b, 177a, 177b) 및 하면들(165, 175) 상의 전방 돌기들(166a, 176a)에 의해 제한된다.
도 10를 참조하면, 토너 카트리지(100)가 그 최종 위치로 전진되면, 롤러(306)는 후면(152b, 154b)에 접촉할 때까지 각각의 맞물림 표면(152, 154)의 정점(152c, 154c) 위를 지난다. 롤러(306)에 의해 토너 카트리지(100)의 후면들(152b, 154b)에 가해진 힘은 토너 카트리지(100)를 화상 형성 장치(22) 내의 그 최종 위치까지 가압한다. 토너 카트리지(100)가 전진하면, 정지부들(163, 173)이 화상 형성 장치(22) 내의 상부 가이드(302)에 접촉해서, 토너 카트리지(100)가 더 전진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써 "x" 방향을 따르는 토너 카트리지(100)의 전후 수평방향 위치결정이 제어된다. "y" 방향을 따르는 토너 카트리지(100)의 수직 위치는 화상 형성 장치(22) 내의 둥근 돌기들(166b, 166c, 176b, 176c)과 하부 가이드(304)들간의 접촉에 의해 제어된다. 구체적으로, 4개의 둥근 돌기(166b, 166c, 176b, 176c) 중 3개는 토너 카트리지(100)의 수직 위치를 결정하는 평면을 규정하는 기준점을 형성한다. 예컨대,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둥근 돌기들(166b, 166c 및 176b)의 반경들은 동일한 반면, 둥근 돌기(176c)의 반경은 약간 작다. 결과적으로, 이 실시예에 있어서, 둥근 돌기들(166b, 166c 및 176b)은 토너 카트리지(100)의 수직 위치를 제어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토너 카트리지(100)의 정확한 위치결정은 토너 카트리지(100)의 다양한 인터페이스 특징부들과 이미징 유닛(200) 및 화상 형성 장치(22) 상의 상응하는 인터페이스 특징부들간의 적절한 정렬을 허용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최종 위치에 있어서, 토너 카트리지(100)의 출구 포트(132)는 현상기 유닛(202) 상의 입구 포트(208)와 정렬 및 결합된다. 메인 인터페이스 기어(130)는 화상 형성 장치(22) 내의 상응하는 드라이브 기어(308)와 정렬 및 결합된다. 커넥터(145) 내의 처리 회로용 전기 접점들은 화상 형성 장치(22) 내의 커넥터(310) 상의 상응하는 전기 접접들과 정렬 및 결합된다. 토너 카트리지(100)의 위치 제어 특징부들은, 토너 카트리지(100)의 적절한 작동을 보장하기 위해, 이들 인터페이스 지점들이 엄격하게 제어되게 한다. 작동 중에, 맞물림 표면들(152, 154)의 후면들(152b, 154b) 상에 롤러(306)에 의해 가해진 힘은 토너 카트리지(100)를 제위치에 유지해서, 토너 카트리지가 입구 포트(208), 드라이브 기어(308) 또는 전기 접점(310)들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2a 내지 도 12c, 도 13a 내지 도 13c, 및 도 14a 내지 도 14c는 화상 형성 장치(22) 내로의 토너 카트리지(100)의 삽입을 예시하는 순차적인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c 및 도 13a 내지 도 13c는, 토너 카트리지(100)가 화상 형성 장치(22) 내로 삽입될 때, 제각기 삽입 경로(300)에 대한 윙 가이드들(160, 170)의 위치를 도시한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도 2의 14-14 선을 따라 취한 토너 카트리지(100)의 레그(146)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2a, 도 13a 및 도 14a는 토너 카트리지(100)가 화상 형성 장치(22)에 처음에 삽입될 때의 제 1 순차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12a 및 도 13a는 제각기, 그들 각각의 삽입 경로(300)에 진입하는 윙 가이드(160, 170)를 도시한다. 도 14a는 프레임(206) 내의 슬롯(218)에 진입하는 레그(146)의 전방 부위(180)를 도시한다. 예시된 바와 같이, 레그(146)의 전방 부위(180)는 폭방향으로 테이퍼져서 그 전방 선단에서 탭 또는 노즈(182)를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노즈(182)의 폭은 약 5 mm 내지 약 9 mm이다. 슬롯(218)은 레그(146)의 전방 부위(180)를 슬롯(218) 내로 수용 및 안내하는 상응하는 테이퍼진 도입부(220)를 포함한다. 슬롯(218)은 노즈(182)를 단단히 수용하는 사이즈의 내측 슬롯부(222)를 또한 포함한다. 도 12b, 도 13b 및 도 14b는 토너 카트리지(100)가 화상 형성 장치(22) 내로 더 전진될 때의 제 2 순차도를 도시한다. 도 12b 및 도 13b는 제각기, 그들 각각의 삽입 경로(300)를 따라 더 전진된 윙 가이드들(160, 170)을 도시한다. 도 14b는 슬롯(218) 내에서 더 전진된 레그(146)의 전방 부위(180)를 도시한다. 도 12c, 도 13c 및 도 14c는 토너 카트리지(100)가 화상 형성 장치(22)에 완전히 삽입되어 현상기 유닛(202)과 결합되어 있는 최종 순차도를 도시한다. 도 12c 및 도 13c는 화상 형성 장치(22) 내의 상응하는 립(lip) 또는 둥근 정지부(312)와 맞물린 정지부들(163, 173)을 도시한다. 정지부(312)들은 삽입 방향에 있어서의 토너 카트리지(100)의 위치를 제어하고, 토너 카트리지(100)가 화상 형성 장치(22)에 지나치게 삽입되지 않게 한다. 또한, 도 12c 및 도 13c는 하부 가이드(304) 상에 위치된 둥근 돌기들(166b, 166c 및 176b) 및 하부 가이드(304)로부터 이격된 둥근 돌기들(166a, 176a 및 176c)을 도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있어서, 둥근 돌기들(166b, 166c 및 176b)은 토너 카트리지(100)의 수직 위치를 제어하는 평면을 규정한다. 도 14c는 토너 카트리지(100)의 축방향 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내측 슬롯부(222)에 단단히 위치된 노즈(182)를 도시한다.
도 15는 예시적인 제 2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제어 특징부들을 가지는 토너 카트리지(400) 및 상응하는 이미징 유닛(500)을 도시한다. 이미징 유닛(500)은 공통 프레임(506) 상에 장착된 현상기 유닛(502) 및 클리너 유닛(504)을 포함한다. 현상기 유닛(502)은 토너 카트리지(400)로부터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입구 포트(508)를 포함한다. 프레임(506)은 토너 카트리지(400)에서 토너의 유출을 조절하는 셔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상술한 핀(210)과 유사한 돌기(510)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미징 유닛(500) 및 토너 카트리지(400)는 각각 화상 형성 장치(22)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 최종 위치에서, 토너 카트리지(400)는 이미징 유닛(500)의 현상기 유닛(502)과 결합 관계에 있다. 토너 카트리지(400)는 베이스(408) 상에 장착된 상부 또는 덮개(406)를 갖는 하우징(402)을 포함한다. 베이스(408)는 인접하는 전방 및 후방 벽(414, 416)에 연결된 제 1 및 제 2 측벽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단부 캡(418, 420)은 제각기 측벽들에 장착된다. 메인 인터페이스 기어(430)는 단부 캡(418)과 그 각각의 측벽 사이에서 전방 벽(414) 상에 노출된다. 메인 인터페이스 기어는 메인 인터페이스 기어(430)에 토크를 제공하는 화상 형성 장치(22) 내의 드라이브 시스템과 맞물린다. 출구 포트(432)는, 출구 포트(432)를 통한 중력에 의한 토너 유출을 돕도록, 하향을 향하는 배향으로 전방 벽(414) 상에 배치된다. 토너 카트리지(400)는 또한 단부 캡(420)(도 16) 상의 커넥터(445) 내에 위치되는 회로를 처리하기 위한 전기 접점들을 포함한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토너 카트리지(400) 및 이미징 유닛(500)은 거친 축방향 위치결정 특징부 및 미세한 축방향 위치결정 특징부를 모두 포함한다. 거친 축방향 위치결정 특징부들은 토너 카트리지(100) 및 이미징 유닛(200)에 대하여 상술한 것들과 유사하다. 토너 카트리지(400)는 베이스(408)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레그(446, 448)를 포함한다. 이미징 유닛(500)의 프레임(506)은, 토너 카트리지(400)가 화상 형성 장치(22)에 삽입될 때, 사이에 레그(446)를 수용하는 가이드(516)를 형성하는 한 쌍의 수직 벽(512, 514), 및 사이에 레그(448)를 수용하는 가이드(522)를 형성하는 한 쌍의 수직 벽(518, 520)을 포함한다. 각각의 수직 벽(512, 514, 518, 520)은, 토너 카트리지(400)가 이미징 유닛(500)을 향해 전진할 때 삽입 방향에 대하여 바깥쪽으로 각져서 토너 카트리지(400)에 대면하는 베벨형 정면(512a, 514a, 518a, 520a)을 포함한다. 정면들(512a, 514a, 518a, 520a)은, 토너 카트리지(400)가 화상 형성 장치(22)에 삽입될 때, 토너 카트리지(400)를 현상기 유닛(502)을 향해 안내한다. 또한, 각각의 수직 벽(512, 514, 518, 520)은 토너 카트리지(400)의 삽입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내면(512b, 514b, 518b, 520b)을 포함한다. 내면들(512b, 514b, 518b, 520b)은 레그들(446, 448)의 외면들(446a, 448a)을 구속해서, 토너 카트리지(400)의 축방향 주행을 제한한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는, 레그(446)의 외면(446a)과 레그(448)의 외면(448a) 사이의 거리는 약 255 mm 내지 약 258 mm이다.
도 17은 도 16의 17-17 선을 따라 취한 토너 카트리지(400) 및 이미징 유닛(50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524)는 가이드(516)로부터 축방향 안쪽으로 이격되고 이미징 유닛(500)의 프레임(506)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된다. 토너 카트리지(400)는 베이스(408)로부터 전방으로 및 하향으로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한 쌍의 벽(492, 494) 사이에 형성된 슬롯(490)을 포함한다. 슬롯(490)은 레그(446)로부터 축방향 안쪽으로 이격된다. 도 17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는, 슬롯(490)의 폭은 약 6.3 mm 내지 약 8.3 mm이다. 토너 카트리지(400)가 현상기 유닛(502)을 향해 전진함에 따라, 이미징 유닛(500) 상의 포스트(524)는 토너 카트리지(400) 상의 슬롯(490) 내에 단단히 수용되어, 슬롯(490)이 토너 카트리지(400)의 축방향 위치를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필요에 따라, 포스트(524) 및/또는 슬롯(490)은 둘 사이의 용이한 맞물림을 위해 테이퍼진 도입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각각의 단부 캡(418, 420)의 측면은 윙 가이드(460, 470)를 포함한다. 각각의 윙 가이드(460, 470)는 토너 카트리지(100)의 윙 가이드들(160, 170)에 대하여 상술한 "도그 본" 구조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윙 가이드들(460, 470)은 토너 카트리지(400)의 전후 수평방향 위치결정 및 수직방향 위치결정을 제어한다. 각각의 단부 캡(418, 420)은 개개의 단부 캡(418, 420)의 상부 부위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하는 맞물림 표면(452, 454)을 또한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맞물림 표면(452, 454)은 삽입 동안 이미징 유닛(500)에 대면하는 각진 정면(452a, 454a) 및 삽입 동안 이미징 유닛(500)에 대향하는 각진 후면(452b, 454b)을 포함한다. 작업 동안, 맞물림 표면들(452, 454)의 후면들(452b, 454b)은, 출구 포트(432), 메인 인터페이스 기어(430), 및 커넥터(445) 상의 회로를 처리하기 위한 전기 접점들이 이미징 유닛(500) 또는 화상 형성 장치(22)와의 그들의 맞물림을 유지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화상 형성 장치(22) 내의 부품으로부터의 억제력을 수용한다.
몇몇 실시예의 전술한 기재는 예시를 위해 나타나 있다. 이는 포괄적이거나 또는 본원을 개시된 형태들에만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며, 상기 교시에 비추어 다수의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분명하다.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일탈함이 없이, 여기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된 것 이외의 방식들로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원의 범위는 여기에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규정되는 것이다.

Claims (15)

  1. 화상 형성 장치용 토너 카트리지로서,
    토너를 내포하는 리저버(reservoir)를 가지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하우징은 전부(front), 후부(rear), 제 1 측부, 제 2 측부, 상부(top) 및 하부(bottom)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의 전부 상에 상기 리저버와 유체 연통하는 배출 포트를 가져서 토너가 상기 리저버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밖으로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는, 하우징;
    제 1 레그 및 제 2 레그로서, 각각 상기 하우징의 하부로부터 돌출하고 전체적으로 상기 하우징의 전부와 후부를 잇는 치수(front-to-rear dimension)를 따라 연장하여,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내로의 삽입 동안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좌우 주행(side-to-side travel)을 제한하는, 제 1 레그 및 제 2 레그;
    상기 하우징의 제 1 측부 상에 위치된 제 1 정렬 가이드 및 상기 제 1 정렬 가이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로 상기 하우징의 제 2 측부 상에 위치된 제 2 정렬 가이드로서, 상기 제 1 정렬 가이드는 제 1 둥근 접촉 지점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정렬 가이드는 제 2 둥근 접촉 지점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둥근 접촉 지점들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내의 토너 카트리지의 수직 위치를 제어하도록 상기 하부로부터 가로막는 것이 없고(unobstructed) 상기 하부를 향해 볼록한, 제 1 정렬 가이드 및 제 2 정렬 가이드; 및
    상기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억제력(hold down force)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상부로부터 가로막는 것이 없는 상기 하우징의 제 2 측부에 가까운 상기 하우징의 최상부 지점까지 돌출하는 제 2 맞물림 표면 및 상기 하우징의 제 1 측부에 가까운 상기 하우징의 최상부 지점까지 돌출하는 제 1 맞물림 표면으로서, 상기 제 1 맞물림 표면 및 제 2 맞물림 표면 각각은 상기 하우징의 전부를 향해 대면하는 각진 전면 및 상기 하우징의 후부를 향해 대면하는 각진 후면을 포함하는, 제 1 맞물림 표면 및 제 2 맞물림 표면을 포함하는,
    토너 카트리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그 및 제 2 레그들 중 하나 이상의 전방 부위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내에서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좌우 주행을 더 미세하게 제어하기 위해,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내의 상응하는 슬롯에 맞물리는 사이즈의 노즈(nose)를 그 전방 선단에서 형성하도록 테이퍼진,
    토너 카트리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렬 가이드 및 상기 제 2 정렬 가이드는 각각 전체적으로 상기 하우징의 전부와 후부를 잇는 치수를 따라 연장하는 대체적으로 세장형의 몸체를 포함하는,
    토너 카트리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렬 가이드 및 상기 제 2 정렬 가이드 각각의 상면은 각각의 정렬 가이드의 후방 부위에 대해 하향으로 각도지는 전방 부위를 포함하여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내로의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토너 카트리지.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내에서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전방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제 1 정렬 가이드의 상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제 1 정지부 및 상기 제 2 정렬 가이드의 상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제 2 정지부를 더 포함하는,
    토너 카트리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지부는 상기 제 1 정렬 가이드의 한 쌍의 둥근 접촉 지점들보다 상기 하우징의 후부에 더 근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제 2 정지부는 상기 제 2 정렬 가이드의 상기 둥근 접촉 지점보다 상기 하우징의 후부에 더 근접하게 위치되는,
    토너 카트리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그와 상기 제 2 레그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의 전부 상에 형성된 슬롯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롯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내에서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좌우 주행을 더 미세하게 제어하기 위해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내의 상응하는 돌기를 수용하도록 하는 사이즈를 갖는,
    토너 카트리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기 하우징의 전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벽들 사이의 갭(gap)에 의해 형성되는,
    토너 카트리지.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47018253A 2011-12-30 2012-11-15 위치 제어 특징부를 가지는 토너 카트리지 KR1017017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340,911 US8867970B2 (en) 2011-12-30 2011-12-30 Toner cartridges having positional control features
US13/340,911 2011-12-30
PCT/US2012/065148 WO2013101349A2 (en) 2011-12-30 2012-11-15 Toner cartridge having positional control featur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9008A KR20140119008A (ko) 2014-10-08
KR101701709B1 true KR101701709B1 (ko) 2017-02-02

Family

ID=48694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8253A KR101701709B1 (ko) 2011-12-30 2012-11-15 위치 제어 특징부를 가지는 토너 카트리지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2) US8867970B2 (ko)
EP (1) EP2798408B1 (ko)
KR (1) KR101701709B1 (ko)
CN (1) CN104412169B (ko)
AR (1) AR089369A1 (ko)
AU (1) AU2012363068B2 (ko)
BR (1) BR112014012686B1 (ko)
CA (1) CA2854015C (ko)
CL (1) CL2014001370A1 (ko)
CO (1) CO6960522A2 (ko)
ES (1) ES2649411T3 (ko)
HK (1) HK1204098A1 (ko)
IL (1) IL232578A (ko)
MX (1) MX2014007808A (ko)
PL (1) PL2798408T3 (ko)
RU (1) RU2606929C2 (ko)
SG (1) SG11201402378QA (ko)
TW (1) TWI570526B (ko)
WO (1) WO201310134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38179B2 (en) * 2012-06-25 2015-01-20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for an image forming device having a retainer assembly having positioning features for processing circuitry
US9152083B2 (en) 2013-10-09 2015-10-06 Lexmark International, Inc. Carriage assembly for toner cartridge loading and latching
US9261851B2 (en) 2013-11-20 2016-02-16 Lexmark International, Inc. Positional control features of a replaceable unit for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US9280087B2 (en) 2013-11-20 2016-03-08 Lexmark International, Inc.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latching system for retaining a replaceable unit
CN112650038B (zh) 2014-08-01 2024-05-10 佳能株式会社 调色剂盒、调色剂供给机构和闸板
US9964891B2 (en) 2014-12-17 2018-05-08 Lexmark International, Inc. Systems for optical communication between an image forming device and a replaceable unit of the image forming device
US9285758B1 (en) 2014-12-19 2016-03-15 Lexmark International, Inc. Positional control features between replaceable units of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US9291992B1 (en) * 2014-12-19 2016-03-22 Lexmark International, Inc. Positional control features for an imaging unit in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US9291989B1 (en) 2015-02-25 2016-03-22 Lexmark International, Inc. Replaceable unit for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having an engagement member for positioning a magnetic sensor
CA3028569A1 (en) 2015-02-27 2016-09-01 Canon Kabushiki Kaisha Drum unit, cartridge and coupling member
US9317004B1 (en) 2015-04-10 2016-04-19 Lexmark International, Inc. Handle and positioning stop assembly for a replaceable unit of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US9477178B1 (en) * 2015-08-13 2016-10-25 Lexmark International, Inc. System for determining the open or closed state of a toner cartridge shutter
US9360797B1 (en) * 2015-08-13 2016-06-07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having a movable projection for providing installation feedback to an image forming device
US9551974B1 (en) 2015-09-15 2017-01-24 Lexmark International, Inc. Positioning features for electrical connectors of replaceable units of an image forming device
US9360834B1 (en) 2015-09-15 2016-06-07 Lexmark International, Inc. Replaceable unit for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having positioning features for electrical contacts
JP6602126B2 (ja) * 2015-09-16 2019-11-06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カートリッジに用いられる部材
US9563169B1 (en) 2015-12-14 2017-02-07 Lexmark International, Inc. Replaceable unit for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having a retractable electrical connector
US9910403B2 (en) 2016-01-18 2018-03-06 Lexmark International, Inc. Positioning features for electrical contacts of a replaceable unit of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JP6773886B2 (ja) 2016-04-13 2020-10-21 ナインスター コーポレーション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GB2567779B (en) 2016-08-26 2021-08-18 Canon Kk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N114153130A (zh) 2016-09-30 2022-03-08 佳能株式会社 调色剂盒和调色剂供应机构
US10126702B1 (en) 2017-05-11 2018-11-13 Lexmark International, Inc. Drive coupler actuation via replaceable unit insertion in an image forming device
US10139776B1 (en) 2017-05-11 2018-11-27 Lexmark International, In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use in an image forming device
US9989917B1 (en) 2017-05-17 2018-06-05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with positional control features
US10175643B1 (en) 2017-06-15 2019-01-08 Lexmark International, Inc. Imaging unit having positional control features for use in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USD854078S1 (en) * 2017-06-30 2019-07-16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USD841730S1 (en) * 2017-06-30 2019-02-26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JP7039226B2 (ja) * 2017-09-21 2022-03-2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KR102390147B1 (ko) 2018-08-30 2022-04-25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현상 카트리지와 본체 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본체에 연결되는 토너 리필 카트리지
US10782643B2 (en) 2018-11-05 2020-09-22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having positioning features
US10656592B1 (en) * 2019-01-09 2020-05-19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having positioning features
US10474093B1 (en) 2019-02-05 2019-11-12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having a positioning boss
EP3942370B1 (en) * 2019-03-22 2024-04-24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ontainer having an encoded member and an alignment guide for locating a sensor relative to the encoded member
US10761476B1 (en) 2019-04-12 2020-09-01 Lexmark International, Inc. Replaceable unit for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having a movable electrical connector
US10649399B1 (en) 2019-04-12 2020-05-12 Lexmark Internatioanl, Inc. Replaceable unit for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having a magnetic sensor
US10698363B1 (en) 2019-04-12 2020-06-30 Lexmark International, Inc. Electrical connection for an imaging unit of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US10649389B1 (en) 2019-04-12 2020-05-12 Lexmark International, Inc. Electrical connectors of a replaceable unit of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US10884353B2 (en) * 2019-05-07 2021-01-05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electrical contacts
US10725424B1 (en) 2019-06-03 2020-07-28 Lexmark International, Inc. Imaging unit assembly for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US10809661B1 (en) 2019-06-03 2020-10-20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having positioning features including guides extending outward from sides of the toner cartridge and an engagement member on a rear of the toner cartridge
US11347180B2 (en) 2019-12-27 2022-05-31 Lexmark International, Inc. Shipping or storage separator for replaceable units of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KR20230024746A (ko) * 2021-08-12 2023-02-21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하나의 구동 모터로 토너 운반 부재와 토너 리필 카트리지를 구동하는 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9117A (ja) * 2008-01-17 2009-07-30 Kyocera Mita Corp 現像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31324B1 (en) 1988-03-02 1993-09-0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usable with process cartridge detachably mountable thereto
JPH0833704B2 (ja) 1988-03-18 1996-03-29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3134674A (ja) 1989-10-20 1991-06-07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DE69210534T2 (de) * 1991-04-10 1996-10-02 Canon Kk Prozesskartusche und verfahren zur montage der prozesskartusche
JP2774731B2 (ja) * 1991-04-19 1998-07-09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のプロセスキット
US6070029A (en) * 1995-07-31 2000-05-30 Canon Kabushiki Kaisha Coupling member, process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ssembling method
JP3471992B2 (ja) 1995-10-26 2003-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補給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US5758233A (en) 1996-12-20 1998-05-26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with locating on photoconductor shaft
US5768661A (en) 1996-12-20 1998-06-16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with external planar installation guides
JPH11153904A (ja) * 1997-09-17 1999-06-08 Mitsubishi Electric Corp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4250294B2 (ja) 2000-02-16 2009-04-08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046933B2 (ja) * 2000-08-02 2008-02-13 キヤノン株式会社 駆動伝達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US6697578B2 (en) 2000-08-25 2004-02-24 Canon Kabushiki Kaisha Memory member, unit,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2196647A (ja) 2000-12-22 2002-07-12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774691B2 (ja) 2001-10-01 2006-05-17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684209B2 (ja) * 2002-05-31 2005-08-17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678489B1 (en) 2002-07-15 2004-01-13 Lexmark International, Inc. Two part cartridges with force biasing by printer
JP3809412B2 (ja) * 2002-09-30 2006-08-1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4125954A (ja) 2002-09-30 2004-04-22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装着システム
US6771922B2 (en) 2002-12-31 2004-08-03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JP2005134725A (ja) 2003-10-31 2005-05-26 Kyocera Mita Corp トナー供給装置およびトナー検出方法
US7447464B2 (en) 2003-12-19 2008-11-04 Cartridge Corporation Of America, Inc. Toner cartridge having a collapsible actuating structure
US7136608B2 (en) * 2003-12-19 2006-11-14 Steven Miller Removable toner cartridge universal adapter
JP4250555B2 (ja) 2004-03-09 2009-04-08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離間部材
ATE475911T1 (de) 2004-08-06 2010-08-15 Brother Ind Ltd Elektrische und mechanische verbindungen an behälter für ein lichtempfindliches element, entwicklungseinheit und arbeitseinheit
JP4110144B2 (ja) 2004-09-17 2008-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886182B2 (ja) 2004-09-27 2012-02-29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750403B2 (ja) 2004-11-12 2011-08-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304619B2 (ja) 2004-12-24 2009-07-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像担持体カートリッジ、現像剤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CN100541346C (zh) 2005-03-30 2009-09-16 京瓷美达株式会社 色调剂容器及其闸门结构
JP2006309147A (ja) 2005-03-30 2006-11-09 Kyocera Mita Corp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そのシャッタ構造
JP4794892B2 (ja) 2005-04-11 2011-10-19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622774B2 (ja) 2005-09-21 2011-02-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現像装置、及び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2007093753A (ja) 2005-09-27 2007-04-12 Brother Ind Ltd 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043337B2 (ja) * 2006-01-12 2012-10-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7639968B2 (en) 2006-03-27 2009-12-29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Process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681489B2 (ja) * 2006-03-31 2011-05-11 株式会社沖データ トナー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548710B2 (en) 2006-10-25 2009-06-16 Lexmark International, Inc. Dual sliding shutter system
US7606520B2 (en) 2006-11-06 2009-10-20 Lexmark International Inc. Shutter for a toner cartridge for use with an image forming device
JP5000278B2 (ja) 2006-11-29 2012-08-1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トナーコンテナ
US7929881B2 (en) * 2006-12-11 2011-04-19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7672624B2 (en) 2006-12-19 2010-03-02 Lexmark International, Inc. Bearing and locating member for a toner cartridge for use with an image forming device
EP1939695B1 (en) 2006-12-28 2015-07-29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device capable of positioning developing unit and developer cartridge precisely
JP4411554B2 (ja) 2007-03-01 2010-02-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8200126B2 (en) 2007-11-30 2012-06-12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s for an image forming device
JP4315463B1 (ja) 2008-08-28 2009-08-19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592113B2 (ja) 2009-03-02 2010-12-01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KR101608062B1 (ko) * 2009-08-28 2016-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착탈가능한 토너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JP4849169B2 (ja) * 2009-12-25 2012-01-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剤カートリッジ
JP4985819B2 (ja) 2010-05-17 2012-07-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9117A (ja) * 2008-01-17 2009-07-30 Kyocera Mita Corp 現像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4118417A (ru) 2016-02-20
EP2798408B1 (en) 2017-09-27
KR20140119008A (ko) 2014-10-08
US20130170867A1 (en) 2013-07-04
IL232578A0 (en) 2014-06-30
CA2854015C (en) 2017-05-09
SG11201402378QA (en) 2014-08-28
WO2013101349A2 (en) 2013-07-04
TW201336695A (zh) 2013-09-16
US20150003878A1 (en) 2015-01-01
CN104412169A (zh) 2015-03-11
IL232578A (en) 2017-03-30
CA2854015A1 (en) 2013-07-04
TWI570526B (zh) 2017-02-11
AU2012363068A1 (en) 2014-05-22
PL2798408T3 (pl) 2018-03-30
BR112014012686A8 (pt) 2017-06-20
AR089369A1 (es) 2014-08-20
WO2013101349A3 (en) 2015-01-15
RU2606929C2 (ru) 2017-01-10
EP2798408A2 (en) 2014-11-05
EP2798408A4 (en) 2016-01-06
CO6960522A2 (es) 2014-05-30
ES2649411T3 (es) 2018-01-11
MX2014007808A (es) 2014-09-25
NZ624385A (en) 2016-07-29
US8867970B2 (en) 2014-10-21
BR112014012686A2 (pt) 2017-06-13
US9417603B2 (en) 2016-08-16
CL2014001370A1 (es) 2014-10-10
HK1204098A1 (en) 2015-11-06
BR112014012686B1 (pt) 2020-12-22
AU2012363068B2 (en) 2016-03-03
CN104412169B (zh) 2018-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1709B1 (ko) 위치 제어 특징부를 가지는 토너 카트리지
US9104135B2 (en) Toner cartridge having positional control features
KR101554462B1 (ko) 화상 형성 장치용 토너 카트리지
CN110603493B (zh) 具有位置控制特征的墨粉盒
US7738817B2 (en) Developer supply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0139776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use in an image forming device
US10401785B2 (en) Image unit having positional control features for use in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US11520282B2 (en) Replaceable units of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having a shipping or storage separator
NZ624385B2 (en) Toner cartridge having positional control fea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