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5613B1 - 벨트 버클을 구비한 차량 시트 - Google Patents

벨트 버클을 구비한 차량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5613B1
KR101695613B1 KR1020157002437A KR20157002437A KR101695613B1 KR 101695613 B1 KR101695613 B1 KR 101695613B1 KR 1020157002437 A KR1020157002437 A KR 1020157002437A KR 20157002437 A KR20157002437 A KR 20157002437A KR 101695613 B1 KR101695613 B1 KR 101695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ridge
vehicle seat
belt
belt buc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2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6264A (ko
Inventor
브하그예쉬 애쉬테카
리차드 지. 르위스
렌나트 스벤슨
Original Assignee
존슨 컨트롤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컨트롤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존슨 컨트롤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50036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6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5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5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6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eat
    • B60N2/4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60Removable protective coverings
    • B60N2/6009Removable protective coverings covering more than only the seat
    • B60N2002/4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06Anchoring devices for buck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시트(1)에 관한 것으로, 등받이(10), 및 시트 쿠션(11)을 가지는 시트 부분(2)을 포함하며, 상기 시트 쿠션(11)은 하나 이상의 벨트 버클(21, 22, 23)을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오목부(31, 32)를 갖는다. 하나 이상의 오목부(31, 32)는 브리지(35)에 의해 수직 상 방향이 부분적으로 한정된다.

Description

벨트 버클을 구비한 차량 시트 {VEHICLE SEAT WITH A BELT BUCKLE}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의 특징들을 가지는 벨트 버클을 구비한 차량 시트에 관한 것이다.
DE 10 2005 047 272 B3호는 해당 유형의 차량 시트, 특히 자동차용 후방 시트(rear seat)를 개시한다. 여기서 차량 시트는 등받이 및 시트 부분을 갖는다. 어댑터에 의해 횡 방향으로 연장하는 차량 시트의 지지 구조체의 크로스피스(crosspiece)에 체결되는 벨트 버클이 운행 방향으로 시트 부분의 후방 구역에 제공된다.
나중의 설치 단계에서, 등받이의 구조체 및 시트 부분의 구조체는 덮개로 씌워진다. 공정 중, 폼 부분(foam part)은 각각의 경우 등받이의 구조체에 그리고 시트 부분의 구조체에 적용되어 커버에 의해 덮인다.
시트 부분에 할당된 폼 부분은 벨트 버클용 오목부를 갖는다. 상기 오목부는 폼 부분을 통하여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고 그리고 운행 방향 및 횡 방향으로 대략 벨트 버클의 크기를 갖는다. 오목부는 운행 방향으로 폼 부분의 후방 구역에 위치되고 운행 방향으로 폼 부분의 후방 단부로부터 이격된다.
이에 따라 벨트 버클은 시트 부분에 할당된 폼 부분을 통하여 수직 방향으로 돌출하여 가시적이며 조작 가능하다. 동시에, 벨트 버클은 폼 부분에 맞닿아 주위 모두(all the way)를 대략 동일 높이에서 지탱될 수 있으며, 이의 결과로써 오목부 내에서 벨트 버클과 폼 부분 사이의 갭(gap)들 또는 균열들이 회피된다.
설치 동안, 폼 부분은 시트 부분의 구조체 상에서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며, 여기서 벨트 버클은 오목부를 통하여 안내되고 시트 부분의 구조체에 체결된다. 등받이에 할당된 폼 부분은 후속적으로 등받이의 구조체 상에 위치 설정되어 등받이의 구조체에 체결된다.
일부 경우들에서, 예를 들면 등받이의 폼 부분이 먼저 장착되고 시트 부분의 폼 부분이 후속적으로 장착되는 경우,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시트 부분의 폼 부분의 위치 설정이 가능하지 않는 대신 상기 폼 부분은 운행 방향에 대해 반대로 대략 수평 방향으로 시트 부분의 구조체 상에 위치 설정되어야 한다. 폼 부분의 이러한 움직임의 방향에 의해, 벨트 버클은 설명된 오목부를 통하여 안내될 수 없다.
오목부를 후방으로 폼 부분의 후방 단부 까지 증가시키는 것이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이어서 설명된 움직임의 방향으로 폼 부분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폼 부분은 구동 방향에 대해 반대로 삽입될 수 있고, 이 경우 오목부는 벨트 버클을 수용할 것이다. 이어서 벨트 버클은 횡 방향으로 우측 및 좌측 상에 그리고 운행 방향으로 전방에 폼 부분에 맞닿아 지탱할 것이다. 그러나, 운행 방향으로 후방에서, 갭의 형태의 바람직하지 않은 개구는 폼 부분의 후방 단부와 벨트 버클 사이에 남아 있을 것이다.
DE 103 34 977 A1호는 또한 벨트 버클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를 가지는 시트 쿠션을 구비한 시트 부분을 갖는 해당 타입의 차량 시트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도입부에서 언급된 유형의 차량 시트를 개선하는 목적, 특히 시트 부분의 폼 부분이 대략 움직임의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폼 부분과 벨트 버클 사이에 갭들 또는 다른 개구들을 회피하는 목적을 기초로 한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1에서 언급된 특징들을 구비한 차량 시트에 의해 달성된다. 개별적으로 또는 서로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유리한 개선예들은 종속항들의 요지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는 등받이, 및 시트 쿠션을 가지는 시트 부분을 포함하며, 여기서 시트 쿠션은 하나 이상의 벨트 버클을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오목부를 갖는다. 여기서 하나 이상의 오목부는 브리지(bridge)에 의해 수직 상 방향이 부분적으로 한정된다(bounded).
하나 이상의 오목부가 브리지에 의해 수직 상 방향이 부분적으로 한정된다는 사실에 의해, 운행 방향으로 벨트 버클 뒤에 남아 있는 오목부 개구는 상방이 덮여지고 이에 따라 가시적이지 않다.
브리지는 바람직하게는 커버에 의해 덮여지는 코어 재료(core material)를 갖는다. 이는 브리지의 광학적 느낌이 시트 쿠션의 광학적 느낌에 대응하면서, 특히 인열 강도에 대해, 소망된 특성들을 구비한 코어 재료를 선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브리지의 코어 재료는 유리하게는 탄성 재료, 바람직하게는 고무 밴드이다. 결과적으로, 시트 쿠션의 설치 동안, 브리지는 약산 상승될 수 있어 벨트 버클이 미끄러져 통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어서 코어 재료는 후속적으로 다시 접촉하고 브리지는 이의 원래 위치로 대략 평평하게 놓인다.
브리지의 코어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여기서 횡 방향으로 오목부의 우측 및 좌측 상의 시트 쿠션의 재료상으로 꿰매진다.
브리지의 커버는 바람직하게는 여기서 적어도 대부분 가죽으로 이루어진다. 대안적으로, 커버는 또한 직물 또는 상이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간단한 실시예에서, 횡 방향으로의 크기가 제 1 벨트 버클의 폭에 대응하는 제 1 오목부가 제공된다.
특히 3개의 시트들을 가지는 차량 시트의 경우, 유리하게는 횡 방향으로의 크기가 제 2 벨트 버클과 제 3 벨트 버클의 폭의 합에 대응하는 제 2 오목부가 제공된다.
벨트 버클 뒤에 남아 있는 갭을 덮기 위하여, 유리하게는 브리지의 운행 방향으로의 전방 단부가 하나 이상의 벨트 버클의 운행 방향으로의 후방 단부에 맞닿아 지탱되는 방식으로, 브리지가 배열된다.
수직 상 방향에 놓이는 브리지의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수직 상 방향에 놓이는 시트 쿠션의 상기 표면과 대략 동일한 높이로 끝난다. 균일한 시트 표면의 느낌은 유리하게는 이러한 수단에 의해 생성된다.
설치 동안 하나 이상의 벨트 버클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는 유리하게는 브리지 아래 수직 방향으로 제공된다. 결과적으로, 차량 시트 상의 시트 쿠션의 설치는 유리하게는 간단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시트 쿠션은 여기에서 바람직하게는 폼 부분으로서 설계된다.
시트 쿠션은 바람직하게는 차량 시트의 전체 폭을 가로질러 횡 방향으로 연장한다.
오목부는 유리하게는 수직 방향에 대해 수직한 횡단면에서 대략 직사각형 설계이다.
본 발명은 도면들에 예시되는 유용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도 1은 차량 시트의 개략적인 예시를 측면도로 도시하며,
도 2는 운행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본, 도 1로부터의 차량 시트의 개략적인 예시를 도시하며,
도 3은 운행 방향으로 본, 시트 쿠션의 부분을 도시하며,
도 4는 운행 방향으로 본, 설치 동안 도 3으로부터의 시트 쿠션의 부분을 도시하며,
도 5는 운행 방향으로 본, 설치 후 도 3으로부터의 시트 쿠션의 부분을 도시하며,
도 6은 위로부터 본, 설치 후 도 3으로부터의 시트 쿠션의 부분을 도시한다.
자동차용 차량 시트(1)는 시트 부분(2) 및 등받이(10)를 갖는다. 차량 내의 차량 시트(1)의 배열 및 차량의 통상적인 운행 방향은 아래에서 사용된 방향의 세부 사항들을 규정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배향된 방향은 수직 방향으로서 아래에서 지칭되고 그 수직 방향에 대해 수직하고 운행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은 횡 방향으로서 아래에서 지칭된다.
본 경우에서 차량 시트(1)는 자동차의 내부의 전체 폭을 가로질러 대략 횡 방향으로 연장하고 횡 방향으로 서로 옆에 배열되는 3개의 시트들, 즉 운행 방향으로 우측 시트(41), 중앙 시트(42) 및 운행 방향으로 좌측 시트(43)를 구비한 후방 시트이다.
시트 부분(2)은 폼 부분으로서 설계되고 차량 시트(1)의 전체 폭을 가로질러 횡 방향으로 연장하는 시트 쿠션(11)을 포함한다. 시트 쿠션(11)은 이에 따라 3개의 시트(41, 42, 43)들 각각에 할당된다. 시트 쿠션(11)은 운행 방향에 대해 반대로 등받이(10)의 아래로 연장한다.
등받이(10)는 횡 방향으로 서로 옆에 배열되는 3개의 부분 구역들을 가지며, 여기서 각각의 시트(41, 42, 43)는 상기 부분 구역들 중 하나에 할당된다. 등받이(10)의 각각의 부분 구역은 수직 방향으로 시트 쿠션(11) 위에 위치된다. 등받이(10)의 각각의 부분 구역은 폼 부분으로서 설계된 등받이 패드(13)를 포함한다.
더욱이, 높이 조정가능하고 기울기 조정가능한 머리받이(18)는 수직 방향으로 등받이(10)의 부분 구역들의 각각의 상단부 상에 피팅(fitting)되는데, 상기 부분 구역들은 상기 시트 부분(2)으로부터 이격된다. 머리받이(18)들은 각각 폼 부분을 또한 포함한다.
시트 쿠션(11), 등받이 패드(13) 및 머리받이(18)들의 폼 부분들은 바람직한 경우 가죽으로 제조된 커버에 의해 덮여진다. 시트 쿠션(11), 등받이 패드(13) 및 머리받이(18)들의 폼 부분들은 차량 시트(1)의 시트(41, 42, 43)들 중 하나의 점유자에 대해 시트 안락감을 확실히 증가시킨다.
더욱이, 차량 시트(1)의 각각의 시트(41, 42, 43)는 3지점 벨트로서 설계되는 시트벨트(예시안됨)를 포함한다. 각각의 시트벨트의 하나의 단부는 시트벨트가 사용중이지 않을 때 시트 벨트를 말아올리는 자동 벨트 롤-업 기구(roll-up belt mechanism)(예시안됨)를 수용한다. 중앙 시트(42)에 할당되는 자동 벨트 롤-업 기구는 중앙 시트(42)의 머리받이(18)의 근처에서 시트 부분(2)으로부터 먼 쪽으로 향하는 단부 근처의 등받이(10)의 중앙 부분 영역에 위치된다. 두 개의 외측 시트(41, 43)들에 할당된 자동 벨트 롤-업 기구는 두 개의 외측 시트(41, 43)들의 머리받이(18)들의 측면 옆의 차량 구조체 상에 위치된다.
그 위에 벨트 단부 피팅(예시 안됨)이 각각 배열되는 각각의 시트벨트의 타 단부는 각각의 경우 차량 시트의 구조체에, 본 실시예의 경우 시트 부분(2)에, 체결되고 시트 부분에 본 실시예의 경우 나사 조립된다. 여기서 각각의 벨트 단부 피팅은 관련된 자동 벨트 롤-업 기구 아래에 수직 방향으로 대략 수직하게 위치된다.
벨트 래치(또한 예시 안됨)는 각각의 시트벨트를 따라 가동되게 배열된다. 여기서 각각의 벨트 래치는 시트벨트가 관통하여 도달하는 개구를 포함한다.
더욱이 차량 시트(1)는 3개의 벨트 버클(21, 22, 23)들을 포함하는데, 상기 3개의 벨트 버클들 내로 시트벨트들의 벨트 래치(belt latch)들이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벨트 버클(21)은 운행 방향으로 우측 시트(41)에 할당되고, 제 2 벨트 버클(22)은 중앙 시트(42)에 할당되고 제 3 벨트 버클(23)은 운행 방향으로 좌측 시트(43)에 할당된다. 제 2 벨트 버클(22) 및 제 3 벨트 버클(23)은 횡 방향으로 서로 바로 옆에 배열된다.
차량 시트(1)의 시트(41, 42, 43)의 탑승자가 대응하는 벨트 래치를 관련된 벨트 버클(21, 22, 23) 내로 삽입함으로써 관련된 시트벨트를 덮으면(close), 시트벨트는 차량 시트의 구조체에 체결되는 벨트 단부 피팅으로부터 벨트 버클(21, 22, 23) 내의 벨트 래치까지 대략 횡 방향으로 그리고 벨트 래치로부터 수직 상 방향으로 경사지게 거기에 배열된 자동 벨트 롤-업 기구까지 연장한다.
운행 방향으로 후방 구역에서, 시트 쿠션(11)은 벨트 버클(21, 22, 23)들을 수용하기 위한 두 개의 오목부(31, 32)들을 갖는다. 제 1 오목부(31)는 운행 방향으로 우측 상의 시트(41)와 중앙 시트(42) 사이에서 횡 방향으로 위치되어 제 1 벨트 버클(21)을 수용한다. 제 2 오목부(32)는 운행 방향으로 좌측 시트(43)와 중앙 시트(42) 사이에서 횡 방향으로 위치되어 제 2 벨트 버클(22) 및 제 3 벨트 버클(23)을 수용한다.
제 1 오목부(31) 및 제 2 오목부(32)는 유사한 설계이며 이에 따라 단지 제 2 오목부(32)만이 아래에서 논의된다. 제 1 오목부(31)는 본질적으로 횡 방향 크기에서만 제 2 오목부(32)와 상이하다. 횡 방향으로의 제 1 오목부(31)의 크기는 제 1 벨트 버클(21)의 폭에 대응하고 본 실시예의 경우 대략 4 cm이다. 횡 방향으로의 제 2 오목부(32)의 크기는 제 2 벨트 버클(22)과 제 3 벨트 버클(23)의 폭의 합에 대응하고 본 실시예의 경우 대략 8 cm이다.
제 2 오목부(32)는 시트 쿠션(11)을 통하여 수직 방향으로 완전히 연장하고 수직 방향에 대해 수직한 횡단면에서, 즉 운행 방향 및 횡 방향에 의해 형성된 평면에서 대략 직사각형 설계이다. 횡 방향으로, 제 2 오목부(32)는 각각의 경우 시트 쿠션(11)의 재료에 의해 우측 및 좌측이 둘러싸여서 한정된다.
제 2 오목부(32)는 운행 방향으로 후방에 있는 시트 쿠션(11)의 단부에서 시작하여 운행 방향으로 시트 쿠션(11)으로 연장하며 본 실시예의 경우 대략 20 cm의 폭을 구비한다. 따라서 운행 방향으로, 제 2 오목부(32)는 시트 쿠션(11)의 재료에 의해 유사하게 한정된다. 따라서, 운행 방향에 대해 반대로는, 제 2 오목부(32)는 한정되지 않고, 오히려 개방된다.
브리지(35)는 제 2 오목부(32) 위로 횡 방향으로 연장하고 제 2 오목부에 걸쳐진다. 브리지(35)는 수직 방향에 대해 수직한 횡단면에서, 즉 운행 방향 및 횡 방향에 의해 형성된 평면에서 대략 직사각형 설계이다. 따라서 횡 방향으로 브리지(35)의 크기는 횡 방향으로 제 2 오목부(32)의 크기에 대응한다. 브리지(35)는 여기서 횡 방향으로 좌측 및 우측 상에서 시트 쿠션(11)의 재료에 연결된다.
브리지(35)의 운행 방향으로의 전방 단부가 벨트 버클(22, 23)들의 운행 방향으로의 후방 단부들에 맞닿아 지탱되는 방식으로, 운행 방향으로, 브리지(35)가 배열된다. 브리지(35)는 브리지의 전방 단부로부터 운행 방향에 대해 반대인 후방으로 연장하고, 여기서 본 실시예의 경우 브리지(35)의 운행 방향으로의 후방 단부는 등받이(10)의 등받이 패드(13)들 중 하나 이상과 접촉한다. 대안적으로, 브리지(35)는 또한 운행 방향에 대해 반대로 시트 쿠션(11)의 후방 단부까지 연장할 수 있다.
수직 방향으로, 브리지(35)는 시트 쿠션(11)에 비해 비교적 작은 크기, 본 실시예의 경우 대략 1 cm를 갖는다. 수직 상 방향에 놓이는 브리지(35)의 상기 표면은 수직 상 방향에 놓이는 시트 쿠션(11)의 상기 표면과 대략 동일한 높이에서 끝맺는다. 따라서 설치 동안 벨트 버클(22, 23)들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37)는 브리지(35) 아래에 수직 방향으로 제공된다.
브리지(35)는 코어 재료로서 고무 밴드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브리지(35)의 코어 재료는 또한 상이한 탄성 재료 그렇지 아니면 비탄성 재료, 예를 들면 직물(cloth)일 수 있다. 복수의 상이한 재료들의 조합물 또는 합성물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
브리지(35)의 코어 재료,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고무 밴드는 운행 방향으로 오목부(32)의 우측 및 좌측 상의 시트 쿠션(11)의 재료에 꿰매진다. 본 실시예의 경우, 코어 재료가 고무 밴드로서 설계되는 브리지(35)의 코어 재료는 가죽으로 제조된 커버에 의해 덮여진다. 따라서 브리지(35)의 광학적 느낌은 시트 쿠션(11)의 광학적 느낌에 대응한다. 물론, 상이한 재료로 제조된 커버도 또한 고려될 수 있거나 커버는 또한 필요 없을 수도 있다.
추가 브리지(상세하게 예시안됨)가 동일한 방식으로 제 1 오목부(31)에 걸쳐진다. 상기 브리지는 단지 횡 방향으로 이의 크기가 제 2 오목부(32)에 걸쳐지는 브리지(35)와 상이하다.
자동차에서 차량 시트(1)의 설치 동안, 우선 등받이 패드(13)들은 등받이((10)의 구조체에 체결되며 벨트 버클(21, 22, 23)들은 차량 시트(1)의 구조체에, 본 실시예의 경우 시트 부분(2)의 구조체에 체결된다. 시트 쿠션(11)은 후속적으로 장착된다.
이를 위해, 시트 쿠션(11)이 우선 시트 부분(2)의 구조체에 위치되고 이어서 운행 방향에 대해 반대로 후방으로 푸쉬된다(push). 횡 방향으로, 제 1 벨트 버클(21)이 제 1 오목부(31)와 운행 방향으로 정렬되고 제 2 벨트 버클(22) 및 제 3 벨트 버클(23)이 제 2 오목부(32)와 운행 방향으로 정렬되는 방식으로, 시트 쿠션(11)이 위치 설정된다.
시트 쿠션(11)이 운행 방향에 대해 반대인 후방으로 변위될 때, 제 1 벨트 버클(21)은 제 1 오목부(31)에 의해 수용되고 제 2 벨트 버클(22) 및 제 3 벨트 버클(23)은 제 2 오목부(32)에 의해 수용된다.
수직 상 방향으로 제 2 오목부(32)를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브리지(32)가 약간 상승되고, 두 개의 벨트 버클(22, 23)들은 브리지(35) 아래를 통하여 수직 상 방향으로 막혀 있지 않은(free) 제 2 오목부(32)의 상기 구역으로 통과한다. 유사하게, 수직 상 방향으로 제 1 오목부(31)를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브리지가 약간 상승되고, 제 1 벨트 버클(21)은 브리지(35) 아래를 통하여 수직 상 방향으로 막혀 있지 않은 제 1 오목부(31)의 상기 구역으로 통과한다.
이어서 운행 방향으로 시트 쿠션(11)의 후방 구역이 등받이(10)의 등받이 쿠션(13) 아래에 위치될 때까지, 시트 쿠션(11)이 운행 방향에 대해 반대로 더 가압된다. 제 1 오목부(31)에 할당되는 브리지, 및 제 2 오목부(32)에 할당되는 브리지(35)는 이어서 운행 방향으로 벨트 버클(21, 22, 23)들 뒤에 위치되어 거기에서 수직 상 방향으로 오목부(31, 32)들을 가린다.
상기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들에 개시된 특징들은 이의 다양한 개선예들로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그리고 조합적으로 모두가 중요할 수 있다.
1 차량 시트
2 시트 부분
10 등받이
11 시트 쿠션
13 등받이 쿠션
18 머리받이
21 제 1 벨트 버클
22 제 2 벨트 버클
23 제 3 벨트 버클
31 제 1 오목부
32 제 2 오목부
35 브리지
37 통로
41 우측 시트
42 중앙 시트
43 좌측 시트

Claims (15)

  1. 등받이(10), 및 시트 쿠션(11)을 가지는 시트 부분(2)을 포함하며, 상기 시트 쿠션(11)은 하나 이상의 벨트 버클(21, 22, 23)을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오목부(31, 32)를 가지는, 차량 시트(1)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오목부(31, 32)는 브리지(bridge; 35)에 의해 수직 방향에서 위쪽이 부분적으로 한정되며(bound),
    상기 브리지는 커버에 의해 덮여지는 코어 재료를 가지며,
    상기 브리지(35)의 코어 재료는 탄성 재료이고,
    상기 브리지(35)의 코어 재료는 횡 방향으로 오목부(31, 32)의 좌측 및 우측 상에서 상기 시트 쿠션(11)의 재료상에 꿰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35)의 커버의 재료(material)가 가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4. 제 1 항에 있어서,
    횡 방향으로의 크기가 제 1 벨트 버클(21)의 폭에 대응하는 제 1 오목부(31)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5. 제 1 항에 있어서,
    횡 방향으로의 크기가 제 2 벨트 버클(22)과 제 3 벨트 버클(23)의 폭의 합에 대응하는 제 2 오목부(32)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35)의 이동 방향으로의 전방 단부가 상기 하나 이상의 벨트 버클(21, 22, 23)의 이동 방향으로의 후방 단부에 맞닿아 지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7.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직 방향에서 상부(top)에 놓이는 상기 브리지(35)의 표면은 수직 방향에서 상부에 놓이는 상기 시트 쿠션(11)의 표면과 적어도 동일 높이에서(flush with) 끝맺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8.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설치 동안 상기 하나 이상의 벨트 버클(21, 22, 23)이 통과될 수 있는 통로(37)가 상기 브리지(35) 아래에 수직 방향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35)의 코어 재료는 고무 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35)의 커버의 재료가 직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11.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쿠션(11)은 폼 부분(foam part)으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12.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쿠션(11)은 상기 차량 시트(1)의 전체 폭을 가로질러 횡 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13.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31, 32)는 수직 방향에 대해 수직한 횡단면에서 직사각형 설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14. 삭제
  15. 삭제
KR1020157002437A 2012-06-28 2013-06-20 벨트 버클을 구비한 차량 시트 KR1016956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013081.3 2012-06-28
DE201210013081 DE102012013081B4 (de) 2012-06-28 2012-06-28 Fahrzeugsitz mit einem Gurtschloss
PCT/EP2013/062911 WO2014001197A1 (de) 2012-06-28 2013-06-20 Fahrzeugsitz mit einem gurtschlos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6264A KR20150036264A (ko) 2015-04-07
KR101695613B1 true KR101695613B1 (ko) 2017-01-13

Family

ID=48741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2437A KR101695613B1 (ko) 2012-06-28 2013-06-20 벨트 버클을 구비한 차량 시트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457765B2 (ko)
EP (1) EP2867072B1 (ko)
JP (1) JP5957602B2 (ko)
KR (1) KR101695613B1 (ko)
CN (1) CN104379412B (ko)
DE (1) DE102012013081B4 (ko)
IN (1) IN2014DN08242A (ko)
PL (1) PL2867072T3 (ko)
WO (1) WO20140011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37878B1 (fr) * 2015-06-29 2019-04-19 Faurecia Sieges D'automobile Realisation d'un element d'habillage pour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FR3071202B1 (fr) * 2017-09-20 2020-11-06 Faurecia Sieges Dautomobile Siege pour vehicule comprenant un organe formant un logement d'accueil d'un element fonctionnel et procede de fabrication du siege
CN110481486B (zh) 2018-05-15 2022-10-14 李尔公司 用于座椅安全带锁扣孔的装饰覆盖物
US10780804B1 (en) * 2019-05-24 2020-09-22 Honda Motor Co., Ltd. Vehicle seat, seating assembly for a vehicl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reof
JP7162043B2 (ja) * 2020-12-15 2022-10-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ベルト装置
CN115195541B (zh) * 2022-07-11 2023-10-13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基于智能座舱的安全行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89686A (ja) * 2008-10-09 2010-04-22 Honda Motor Co Ltd シートベルト装置の連結具保持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87061A (en) * 1964-10-02 1966-11-22 Arthur S Nicholas Holder for seat belts
DE3439077A1 (de) * 1984-10-25 1986-05-07 Bayerische Motoren Werke AG, 8000 München Gurtschlossanordnung an einer fuer wenigstens zwei personen vorgesehenen sitzbank, insbesondere im fondraum eines kraftfahrzeugs
US4948195A (en) * 1989-08-11 1990-08-14 Saunders William W Gap closer for automobile seats
JPH0754045Y2 (ja) 1989-11-28 1995-12-13 池田物産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格納構造
JP2509666Y2 (ja) 1990-10-23 1996-09-04 株式会社タチエス 自動車用シ―トにおけるシ―トベルトバックル取出部の構造
US5248356A (en) 1992-09-17 1993-09-28 Tachi-S Co. Ltd. Method of covering an automotive seat having a seat belt through-bore
JP2585909Y2 (ja) 1993-03-24 1998-11-25 日野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ベンチシート
KR0114529Y1 (ko) * 1994-07-25 1998-04-21 전성원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설치구조
JP2000272473A (ja) 1999-03-24 2000-10-03 Ikeda Bussan Co Ltd 車両用シートにおけるシートベルト用連結具の収納構造
JP3457598B2 (ja) * 1999-12-01 2003-10-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の収納構造
JP2002096713A (ja) * 2000-09-21 2002-04-02 Honda Motor Co Ltd 車両用折り畳みシートにおける乗員保護構造
JP3890518B2 (ja) 2002-01-15 2007-03-07 関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自動車シートのインナバックル
DE10253176A1 (de) * 2002-11-14 2004-06-03 Bayerische Motoren Werke Ag Abdeckung für eine Öffnung, die an einem Fahrzeugsitz vorgesehen ist
US20040207245A1 (en) * 2003-04-16 2004-10-21 Baylis David M. Seatbelt buckle stabilizing device
DE10334977B4 (de) 2003-07-31 2007-12-06 Recaro Gmbh & Co. Kg Sportsitz für ein Fahrzeu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4043132B3 (de) 2004-09-07 2005-10-13 Daimlerchrysler Ag Kraftfahrzeugsitz mit einer Rückenlehne und einem Sitzteil
US7229135B2 (en) * 2005-05-02 2007-06-12 Autoliv Asp, Inc. Buckle assembly
FR2885851B1 (fr) 2005-05-19 2007-08-17 Cera Ensemble de siege comprenant une couche d'occultation du bloc de ceinture
DE102005047272B3 (de) * 2005-10-01 2007-04-26 Keiper Gmbh & Co.Kg Fahrzeugsitz, insbesondere Kraftfahrzeug-Fondsitz
US7281763B1 (en) * 2006-06-29 2007-10-16 Honda Motor Co., Ltd. Automotive seat for mounting child seat thereon
JP2009001211A (ja) * 2007-06-25 2009-01-08 Suzuki Motor Corp シートベルト設置構造
JP4783844B2 (ja) * 2009-06-11 2011-09-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US7931335B1 (en) * 2009-06-23 2011-04-26 Bergan, Llc Car seat protector with chassis lock system
US8439448B2 (en) * 2010-08-17 2013-05-14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Buckle for center occupant for bench seat with extended travel
JP5799744B2 (ja) 2011-10-18 2015-10-28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シートの隙隠し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89686A (ja) * 2008-10-09 2010-04-22 Honda Motor Co Ltd シートベルト装置の連結具保持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519251A (ja) 2015-07-09
PL2867072T3 (pl) 2016-03-31
CN104379412B (zh) 2017-05-17
DE102012013081A1 (de) 2014-01-02
DE102012013081B4 (de) 2014-11-20
US9457765B2 (en) 2016-10-04
WO2014001197A1 (de) 2014-01-03
KR20150036264A (ko) 2015-04-07
CN104379412A (zh) 2015-02-25
EP2867072B1 (de) 2015-11-04
IN2014DN08242A (ko) 2015-05-15
JP5957602B2 (ja) 2016-07-27
EP2867072A1 (de) 2015-05-06
US20150123448A1 (en) 2015-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5613B1 (ko) 벨트 버클을 구비한 차량 시트
US8764108B2 (en) Adjustable headrest for juvenile vehicle seat
US8585138B2 (en) Rigidifying system for single shell juvenile vehicle seat
KR101796186B1 (ko) 위치 조절형 자동차 시트 받침대
JP5200438B2 (ja) 車両のシート装置
US8308235B2 (en) Vehicle seat assembly
US8579369B2 (en) Truss system for juvenile vehicle seat
CN103373258B (zh) 头枕装置
KR101353959B1 (ko) 자동차용 시트쿠션의 전방 이송장치
EP2261075B1 (en) Cushion mat assembly for use in a vehicle seat
KR20110101409A (ko) 시트 높이 조절장치와 연동하는 차량의 쉴드 커버 어셈블리
EP2463145A1 (en) Seat structure
GB2287645A (en) Dual vehicle seat with belt attachment beam
CN113474214A (zh) 用于车辆座椅的软垫部分的覆盖物、车辆座椅的软垫部分以及车辆座椅
JP6213955B2 (ja) 車両用シート構造
JP4936836B2 (ja) 自動車用シート
JP7277698B2 (ja) 乗物用シート
US20080203792A1 (en) Seat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US20090014619A1 (en) Multi adjustment for motor vehicle restriant positioning device
JP6439407B2 (ja) 車両用シート
JP4412032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7040413B2 (ja) 車両用シート
JP4653409B2 (ja) 車両用シート
JP2023002055A (ja) 車両用シート
JP2022170077A (ja) 車両用シートのシートクッショ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