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3254B1 - 글로브박스용 대칭형 스토퍼 - Google Patents

글로브박스용 대칭형 스토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3254B1
KR101693254B1 KR1020150146792A KR20150146792A KR101693254B1 KR 101693254 B1 KR101693254 B1 KR 101693254B1 KR 1020150146792 A KR1020150146792 A KR 1020150146792A KR 20150146792 A KR20150146792 A KR 20150146792A KR 101693254 B1 KR101693254 B1 KR 101693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ve box
stopper
extension
engaging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6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희
Original Assignee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양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6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32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3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3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0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glov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05Y2201/212Buff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글로브박스용 대칭형 스토퍼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글로브박스용 대칭형 스토퍼는, 측면에 관통공 및 관통공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걸림부가 형성된 글로브박스에 설치되고, 글로브박스의 안쪽에서 회전조작되는 손잡이부; 삽입홀을 통과하도록 손잡이부에서 연장되고, 손잡이부의 회전시 걸림부에 걸리는 돌출부가 형성된 연장부; 및 연장부에서 돌출된 결합부에 결합되는 충격범퍼를 포함하고, 돌출부는, 걸림부의 방향이 역전되더라도 걸림부에 걸리도록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앞쪽과 뒤쪽이 서로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걸림부의 방향이 역전되더라도 글로브박스에 조립할 수 있으며,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유격 발생이 방지되고,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글로브박스에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글로브박스용 대칭형 스토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글로브박스용 대칭형 스토퍼{SYMMETRIC STOPPER FOR GLOVE BOX}
본 발명은 글로브박스용 대칭형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걸림부의 방향이 역전되더라도 글로브박스에 조립할 수 있으며,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유격 발생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는 글로브박스용 대칭형 스토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에는 간단한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글로브박스(glove box)가 형성된다. 이러한 글로브박스는 통상적으로 조수석의 전방에 배치된다. 글로브박스에는 글로브박스 도어가 회전하여 열리는 과정에서 글로브박스 하우징에 걸림으로써 글로브박스 도어의 열리는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설치된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589274호에는 글로브박스의 스토퍼가 개시되어 있으며, 등록특허공보 제589274호는 양측면에 일정한 직경을 갖는 삽입홀을 각각 형성한 글로브박스와, 삽입홀에 대응되며, 타원 형상인 고정홀을 형성한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삽입홀에 일부 설치되고, 고정홀에 삽입되어 선택적으로 회전되며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글로브박스를 분리 또는 결합하도록 형성된 스토퍼부재와, 고정홀과 접하는 스토퍼부재에 삽입되어 상호 부딪힘에 따른 이음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패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등록특허공보 제589274호는 글로브박스와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연통된 각각의 구멍에 삽입된 채로 회전되며 선택적으로 구멍에 걸려 고정되거나 구멍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함으로써 필요시 글로브박스를 인스트루먼트 패널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등록특허공보 제589274호와 같은 종래의 글로브박스용 스토퍼는 회전제한부의 단턱을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앞쪽과 뒤쪽을 서로 비대칭 형태로 형성함에 따라, 걸림블럭이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글로브박스에는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운전 중에 차량에 전달되는 진동이나 글로브박스의 개폐시 스토퍼에 전달되는 충격에 의해 스토퍼와 글로브박스 사이에 일단 유격이 발생하면 스토퍼와 글로브박스 사이에서 지속적인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스토퍼의 단턱과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은 글로브박스의 두께에 의해 정해지므로, 글로브박스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차량에는 동일한 스토퍼를 적용하지 못하고 글로브박스의 두께에 따라 스토퍼를 각각 제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589274호 (등록일: 2006.06.05)
본 발명의 목적은, 걸림부의 방향이 역전되더라도 글로브박스에 조립할 수 있으며,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유격 발생이 방지되고,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글로브박스에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글로브박스용 대칭형 스토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측면에 관통공 및 상기 관통공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걸림부가 형성된 글로브박스에 설치되고, 상기 글로브박스의 안쪽에서 회전조작되는 손잡이부; 상기 삽입홀을 통과하도록 상기 손잡이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회전시 상기 걸림부에 걸리는 돌출부가 형성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에서 돌출된 결합부에 결합되는 충격범퍼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걸림부의 방향이 역전되더라도 상기 걸림부에 걸리도록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앞쪽과 뒤쪽이 서로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박스용 대칭형 스토퍼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충격범퍼에는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충격범퍼의 외주면은 상기 삽입홀을 중심으로 대칭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측면과의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압축되는 탄성부재가 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돌출부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돌출부의 회전방향 단부가 회전방향으로 걸리는 걸림벽; 상기 돌출부를 걸림벽 쪽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벽; 및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결합부와 일체로 형성된 제1 연장부; 및 상기 손잡이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제1 연장부와 나사결합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돌출부는, 상기 측벽의 두께가 변하더라도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의 나사결합에 의해 양쪽에서 상기 측벽에 밀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연장부 또는 상기 제2 연장부의 나사산에는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연장부 또는 상기 제2 연장부의 나사홈에는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홈이 상기 나사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삽입돌기를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이탈시키는 회전력은 상기 결합돌기를 상기 결합홈으로 삽입시키는 회전력보다 크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돌출부가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앞쪽과 뒤쪽이 서로 대칭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걸림부의 방향이 역전되더라도 글로브박스에 조립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글로브박스용 대칭형 스토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손잡이부에 측면과의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압축되는 탄성부재가 결합됨으로써,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유격 발생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는 글로브박스용 대칭형 스토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손잡이부와 돌출부가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의 나사결합에 의해 양쪽에서 측벽에 밀착됨으로써,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글로브박스에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글로브박스용 대칭형 스토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박스용 대칭형 스토퍼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글로브박스용 대칭형 스토퍼가 삽입되는 관통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글로브박스용 대칭형 스토퍼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글로브박스용 대칭형 스토퍼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1의 글로브박스용 대칭형 스토퍼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
도 6(a)는 도 1의 글로브박스용 대칭형 스토퍼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박스용 대칭형 스토퍼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글로브박스용 대칭형 스토퍼는, 걸림부의 방향이 역전되더라도 글로브박스에 조립할 수 있으며,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유격 발생이 방지되고,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글로브박스에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박스용 대칭형 스토퍼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글로브박스용 대칭형 스토퍼가 삽입되는 관통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글로브박스용 대칭형 스토퍼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글로브박스용 대칭형 스토퍼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1의 글로브박스용 대칭형 스토퍼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 도 6(a)는 도 1의 글로브박스용 대칭형 스토퍼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박스용 대칭형 스토퍼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의 글로브박스용 대칭형 스토퍼(1)는 글로브박스(100)의 도어에 설치되어 회전하여 열리는 과정에서 글로브박스(100)의 하우징에 걸림으로써 글로브박스(100) 도어의 열리는 각도를 제한한다.
아래에서 '측면(F)'은 글로브박스(100) 도어의 측면(F)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글로브박스용 스토퍼(1)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589274호, 공개특허공보 제2014-0140777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공지된 기술이므로 스토퍼(1)가 글로브박스(100)의 하우징에 걸리는 구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로브 박스(100)의 측면(F)에는 관통공(H) 및 걸림부(110)가 형성된다. 관통공(H)은 스토퍼(1)를 글로브 박스(100)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게 설치하기 위해 구비되고, 걸림부(110)는 스토퍼(1)를 회전시켜 돌출부(21)가 걸려 유동 없이 측면(F)에 고정되도록 관통공(H)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로 형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H)은 손잡이부(10)를 제외한 연장부(20) 및 충격범퍼(30)가 통과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되, 관통공(H) 상에서 손잡이의 흔들림이 억제되도록 연장부(20)와 충격범퍼(30)의 단면의 형태보다 조금 더 큰 크기로 형성된다.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110)는 돌출부(21)가 걸려 돌출부(21)의 유동을 구속하기 위한 부분으로, 측면(F)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걸림부(110)와 돌출부(21)는 개수 및 위치가 서로 대응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1)는 보통 2개로 구비되어 연장부(20)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쪽에 형성되고, 걸림부(110)도 관통공(H)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쪽에 2개가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110)는 걸림벽(111), 가이드벽(112) 및 결합돌기(1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걸림벽(111)은 돌출부(21)의 회전방향 단부가 회전방향으로 걸리는 부분으로, 관통공(H)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돌출부(21)의 회전방향 단부의 형태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걸림벽(111)은 돌출부(21)의 결합홈(21h)이 결합돌기(113)에 삽입된 상태에서 스토퍼(1)의 과도한 회전을 막는 경계를 형성한다. 상술한 '회전방향'은 돌출부(21)를 걸림부(110)에 결합시키는 스토퍼(1)의 회전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가이드벽(112)은 돌출부(21)를 걸림벽(111) 쪽으로 안내하는 부분으로, 걸림벽(111)의 단부에서 돌출부(21)의 회전방향과 반대쪽을 향하는 형태로 구비된다. 스토퍼(1)의 조립시 돌출부(21)는 가이드벽(112)에 의해 안내되어 걸림벽(111) 쪽으로 회전된다.
결합돌기(113)는 돌출부(21)의 결합홈(21h)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돌출부(21)가 걸림벽(111)과 접촉하기 직전에 결합홈(21h)에 삽입된다. 결합돌기(113)를 결합홈(21h)에 삽입시키기 위한 회전력보다 분리시키기 위한 회전력이 더 크게 형성되도록 걸림벽(111)에 가까운 부분의 경사가 더 가파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도 4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박스용 대칭형 스토퍼(1)는, 걸림부(110)의 방향이 역전되더라도 글로브박스(100)에 조립할 수 있으며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유격 발생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며, 손잡이부(10), 연장부(20) 및 충격범퍼(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손잡이부(10)는 스토퍼(1)의 결합 및 분리시 글로브박스(100)의 안쪽에서 작업자에 의해 회전조작되는 구성으로서, 원반형태로 형성된다.
손잡이부(10)에는 측면(F)을 향하는 쪽 면이 측면(F)에 밀착되는 평면(이하 '조립평면(PF)')을 형성하며, 측면(F)과 반대쪽에는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는 핸들(D)이 형성된다.
연장부(20)는 삽입홀(30h) 상에서 회전축으로 기능하는 구성으로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연장부(20)는 삽입홀(30h)을 통과하도록 손잡이부(10)에서 연장되며, 연장부(20)의 외주면에는 손잡이부(10)의 회전시 걸림부(110)에 걸리는 돌출부(21)가 형성된다. 돌출부(21)는 2개로 구비되며, 상술한 회전축의 직각방향으로 서로 반대쪽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된다.
종래의 글로브박스용 스토퍼는 본 발명의 돌출부(21)에 해당하는 구성을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앞쪽과 뒤쪽을 서로 비대칭 형태로 형성함에 따라, 걸림부가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글로브박스에는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즉, 글로브박스(100)에 형성된 걸림부(11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1)를 걸림부(110)에 걸기 위해 핸들(D)을 반시계방향(글로브박스(100) 내부에서 작업자가 돌리는 방향을 기준)으로 돌리는 타입과,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D)을 시계방향으로 돌리는 타입이 있는데, 종래의 글로브박스용 스토퍼는 돌출부(21)에 해당하는 구성을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앞쪽과 뒤쪽을 서로 비대칭 형태로 형성함에 따라, 글로브박스에 형성된 걸림부의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타입의 스토퍼를 구비해야만 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글로브박스용 대칭형 스토퍼(1)는 돌출부(21)를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앞쪽과 뒤쪽이 서로 대칭을 이루는 형태로서 형성함으로써, 핸들(D)을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는 타입의 걸림부(110, 도 5(a) 참조)와 시계방향으로 돌리는 타입의 걸림부(110, 도 5(b) 참조)에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3, 도 4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범퍼(30)는 글로브박스(100)가 회전되어 열릴 때 하우징과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고무나 실리콘 등 탄력적으로 변형하는 재질로 형성된다.
충격범퍼(30)에는 삽입홀(30h)이 형성되고, 연장부(20)에는 삽입홀(30h)에 삽입되는 결합부(22)가 형성된다. 결합부(22)는 연장부(20)에서 회전축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된다.
결합부(22)의 단부에는 회전축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걸림턱(22j)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된다. 결합부(22)가 삽입홀(30h)에 삽입되면, 충격범퍼(30)는 연장부(20)에 밀착된 상태에서 걸림턱(22j)에 의해 회전축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충격범퍼(30)의 외주면은 삽입홀(30h)을 중심으로 대칭형태를 형성한다. 충격범퍼(30)의 외주면이 대칭형으로 이루어지면, 충격범퍼(30)의 조립방향을 고려하지 않아도 글로브박스(100) 하우징과의 충돌부위가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신속한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종래의 글로브박스용 스토퍼는 운전 중에 차량에 전달되는 진동이나 글로브박스의 개폐시 스토퍼에 전달되는 충격에 의해 스토퍼와 글로브박스 사이에 일단 유격이 발생하면 스토퍼와 글로브박스 사이에서 지속적인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도 3, 도 4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글로브박스용 대칭형 스토퍼(1)는, 손잡이부(10)에 스토퍼(1)의 결합시 측면(F)과의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압축되는 탄성부재(E)가 결합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탄성부재(E)는 얇은 두께의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조립평면(PF)에 부착되며, 핸들(D)을 돌려 돌출부(21)를 걸림부(110)에 거는 과정에서 조립평면(PF)과 측면(F)과의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압축된다.
탄성부재(E)는 고무나 실리콘과 같이 탄력적으로 변형하는 재질로 이루어져 손잡이부(10)와 측면(F)과의 유격을 제거하며, 이와 동시에 탄성부재(E)의 탄성회복력에 의해 측면(F)에 형성된 결합돌기(113)도 결합홈(21h)의 내부에 가압밀착된다.
또한, 탄성부재(E)는 글로브박스(100)를 통해 스토퍼(1)로 전달되는 차량의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스토퍼(1)의 피로변형(Fatigue Deformation)을 억제하게 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박스용 대칭형 스토퍼(2)는, 측벽의 두께가 변하더라도 글로브박스(100)의 측벽에 밀착된 상태로 조립될 수 있다.
연장부(20)는 서로 나사결합되는 제1 연장부(20A)와 제2 연장부(2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연장부(20A)는 결합부(22)와 일체로 형성되고, 제2 연장부(20B)는 손잡이부(10)와 일체로 형성된다.
제1 연장부(20A)와 제2 연장부(20B)에는 서로 마주하는 면에 암나사부(FS)와 수나사부(MS)가 형성된다. 도 6(b)에는 제1 연장부(20A)에 암나사부(FS)가 형성되고, 제2 연장부(20B)에 수나사부(MS)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제1 연장부(20A)에 수나사부(MS)가 형성되고, 제2 연장부(20B)에 암나사부(FS)가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수나사부(MS)는 손잡이부(1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암나사부(FS)에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박스용 대칭형 스토퍼(2)는, 제1 연장부(20A)와 제2 연장부(20B)가 시계방향의 회전에 의해 서로 나사결합되는 타입(이하 'A타입')과 반시계방향의 회전에 의해 서로 나사결합되는 타입(이하 'B타입')으로 나뉠 수 있다.
즉, 핸들(D)을 반시계방향으로 돌려야 돌출부(21)가 걸리는 걸림부(110, 도 5(a) 참조)에는 B타입의 나사결합방향을 갖는 스토퍼(2)가 사용되어야 하고, 핸들(D)을 시계방향으로 돌려야 돌출부(21)가 걸리는 걸림부(110, 도 5(b) 참조)에는 A타입의 나사결합방향을 갖는 스토퍼(2)가 사용되어야 한다.
스토퍼(1)는 조립평면(PF)에 부착된 탄성부재(E)와 연장부(20)의 돌출부(21)가 측면(F)의 양쪽면에 밀착된 상태로 조립된다.
종래의 스토퍼는 손잡이부와 돌출부 사이의 간격(이하 '조립간격')이 글로브박스의 두께에 의해 정해지므로, 글로브박스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차량에는 동일한 스토퍼를 적용하지 못하고 글로브박스의 두께에 따라 서로 다른 조립간격을 갖는 스토퍼를 각각 제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박스용 대칭형 스토퍼(2)는, 제1 연장부(20A)와 제2 연장부(20B)의 나사결합구조에 의해 조립평면(PF)과 돌출부(21)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으며, 손잡이부(10)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2 연장부(20B)가 손잡이부(10)의 회전방향으로 제1 연장부(20A)와 나사결합됨에 따라,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박스용 대칭형 스토퍼(2)는, 조립간격이 측면(F)의 두께보다 큰 상태로 수나사부(MS)와 암나사부(FS)를 나사결합시킨 상태에서 스토퍼(2)를 관통홀에 삽입한 후 손잡이부(10)를 회전방향으로 돌리면, 돌출부(21)가 걸림부(110)에 걸린 상태에서 제2 연장부(20B)가 (탄성부재(E)와 돌출부(21)가 측면(F)의 양쪽에 밀착될 때까지) 손잡이부(10)와 함께 더 회전되며,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박스용 대칭형 스토퍼(2)는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진 측벽에도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나사부(MS)의 나사산(NP)에는 삽입돌기(IP)를 형성하고, 암나사부(FS)의 나사홈(NH)에는 삽입돌기(IP)가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홈(IH)을 나사홈(NH)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할 수 있다.
수나사부(MS)의 나사산(NP)에는 삽입돌기(IP)를 형성하고, 암나사부(FS)의 나사홈(NH)에는 삽입돌기(IP)가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홈(IH)을 나사홈(NH)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하면, 수나사부(MS)와 암나사부(FS)가 나사결합되면서 삽입돌기(IP)가 나사홈(NH)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삽입홈(IH)에 순차적으로 삽입되고 빠짐으로써 일정한 회전력이 더 요구된다.
삽입돌기(IP)는 1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돌기(IP)가 복수로 형성되면, 복수의 삽입돌기(IP)가 복수의 삽입홈(IH)에 동시에 삽입되고 빠짐으로써 수나사부(MS)와 암나사부(FS)를 나사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회전력의 크기가 삽입돌기(IP)의 개수만큼 증가하게 된다.
삽입돌기(IP)를 삽입홈(IH)으로부터 이탈시키는 회전력을 결합돌기(113)가 결합홈(21h)으로 삽입되는 회전력보다 크게 형성하면, 결합돌기(113)가 결합홈(21h)에 삽입된 후에라야 수나사부(MS)와 암나사부(FS) 간 나사결합이 이루어짐으로써, 결합돌기(113)가 결합홈(21h)에 미삽입된 상태에서 탄성부재(E)가 측면(F)에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삽입돌기(IP)를 삽입홈(IH)으로부터 이탈시키는 회전력은 삽입돌기(IP)의 개수나, 삽입돌기(IP)와 삽입홈(IH)의 크기 및 형태를 조정함으로써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돌출부(21)가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앞쪽과 뒤쪽이 서로 대칭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걸림부(110)의 방향이 역전되더라도 글로브박스(100)에 조립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글로브박스용 대칭형 스토퍼(1)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손잡이부(10)에 측면(F)과의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압축되는 탄성부재(E)가 결합됨으로써,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유격 발생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는 글로브박스용 대칭형 스토퍼(1)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손잡이부(10)와 돌출부(21)가 제1 연장부(20A)와 제2 연장부(20B)의 나사결합에 의해 양쪽에서 측벽에 밀착됨으로써,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글로브박스(100)에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글로브박스용 대칭형 스토퍼(2)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2 : 스토퍼 10 : 손잡이부
20 : 연장부 E : 탄성부재
21 : 돌출부 30 : 충격범퍼
21h : 결합홈 30h : 삽입홀
22 : 결합부 100 : 글로브박스
20A : 제1 연장부 H : 관통공
20B : 제2 연장부 110 : 걸림부
NH : 나사홈 101 : 걸림벽
NP : 나사산 102 : 가이드벽
IH : 삽입홈 103 : 결합돌기
IP : 삽입돌기

Claims (6)

  1. 측면에 관통공 및 상기 관통공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걸림부가 형성된 글로브박스에 설치되고,
    상기 글로브박스의 안쪽에서 회전조작되는 손잡이부;
    충격범퍼에 형성된 삽입홀을 통과하도록 상기 손잡이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회전시 상기 걸림부에 걸리는 돌출부가 형성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에서 돌출된 결합부에 결합되는 상기 충격범퍼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걸림부의 방향이 역전되더라도 상기 걸림부에 걸리도록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앞쪽과 뒤쪽이 서로 대칭이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결합부와 일체로 형성된 제1 연장부; 및
    상기 손잡이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제1 연장부와 나사결합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돌출부는, 상기 글로브박스의 두께가 변하더라도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의 나사결합에 의해 양쪽에서 상기 글로브박스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박스용 대칭형 스토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고,
    상기 충격범퍼의 외주면은 상기 삽입홀을 중심으로 대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박스용 대칭형 스토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측면과의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압축되는 탄성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박스용 대칭형 스토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돌출부의 회전방향 단부가 회전방향으로 걸리는 걸림벽;
    상기 돌출부를 걸림벽 쪽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벽; 및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박스용 대칭형 스토퍼.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 또는 상기 제2 연장부의 나사산에는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연장부 또는 상기 제2 연장부의 나사홈에는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홈이 상기 나사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삽입돌기를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이탈시키는 회전력은 상기 결합돌기를 상기 결합홈으로 삽입시키는 회전력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박스용 대칭형 스토퍼.
KR1020150146792A 2015-10-21 2015-10-21 글로브박스용 대칭형 스토퍼 KR101693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792A KR101693254B1 (ko) 2015-10-21 2015-10-21 글로브박스용 대칭형 스토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792A KR101693254B1 (ko) 2015-10-21 2015-10-21 글로브박스용 대칭형 스토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3254B1 true KR101693254B1 (ko) 2017-01-09

Family

ID=57811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6792A KR101693254B1 (ko) 2015-10-21 2015-10-21 글로브박스용 대칭형 스토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32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4304B1 (ko) * 2017-08-29 2019-02-01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스톱퍼장치
CN109808607A (zh) * 2019-01-17 2019-05-28 上海思致汽车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方便拆卸的手套箱止位堵盖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10134A (ko) * 2003-06-18 2004-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탈장착이 용이한 글러브 박스 가이드 구조
KR100589274B1 (ko) 2004-09-15 2006-06-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글로브박스의 스토퍼
KR20130007086A (ko) * 2011-06-29 2013-01-18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글로브박스
CN104827974A (zh) * 2014-11-18 2015-08-12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手套箱限位器及具有其的手套箱总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10134A (ko) * 2003-06-18 2004-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탈장착이 용이한 글러브 박스 가이드 구조
KR100589274B1 (ko) 2004-09-15 2006-06-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글로브박스의 스토퍼
KR20130007086A (ko) * 2011-06-29 2013-01-18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글로브박스
CN104827974A (zh) * 2014-11-18 2015-08-12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手套箱限位器及具有其的手套箱总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4304B1 (ko) * 2017-08-29 2019-02-01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스톱퍼장치
CN109808607A (zh) * 2019-01-17 2019-05-28 上海思致汽车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方便拆卸的手套箱止位堵盖
CN109808607B (zh) * 2019-01-17 2024-01-30 上海思致汽车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方便拆卸的手套箱止位堵盖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1128B2 (en) Torque hinge
TWI625480B (zh) Ball screw
TWI553207B (zh) 鎖具及其套盤結構
KR101693254B1 (ko) 글로브박스용 대칭형 스토퍼
WO2015064525A1 (ja) 止め具
WO2016052286A1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WO2016121583A1 (ja) ストッパ装置
TWM536292U (zh) 固定裝置
US20180274274A1 (en) Hinge
JP2020040697A (ja) 包装用容器及び包装容器用蓋体
JP7069474B2 (ja) 部材取付構造
JP2007303480A (ja) 自在継手のヨークとシャフトの結合構造
JP7154825B2 (ja) カバーユニット
KR102382546B1 (ko) 차량용 드라이브 샤프트 체결 장치
CA2641553A1 (en) Mechanism for securing the handle of a door or window
JP5022409B2 (ja) ネジの脱落防止具
US11841064B2 (en) Air damper
TW201405015A (zh) 鎖固組件
KR100589274B1 (ko) 글로브박스의 스토퍼
JP4511313B2 (ja) 自動車のキーシリンダ取付構造
TWI638078B (zh) 鎖閂之拆裝方法及其結構
TWI603304B (zh) 顯示裝置
JP2021083169A (ja) ケーブル用締結部材の取付構造
JP6234148B2 (ja) パネル装置
JP2011063157A (ja) クッションクリ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