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10134A - 탈장착이 용이한 글러브 박스 가이드 구조 - Google Patents

탈장착이 용이한 글러브 박스 가이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10134A
KR20040110134A KR1020030039315A KR20030039315A KR20040110134A KR 20040110134 A KR20040110134 A KR 20040110134A KR 1020030039315 A KR1020030039315 A KR 1020030039315A KR 20030039315 A KR20030039315 A KR 20030039315A KR 20040110134 A KR20040110134 A KR 200401101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glove box
groove
guide groov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9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4621B1 (ko
Inventor
황영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9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4621B1/ko
Publication of KR20040110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10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4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46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5/00Generating random numbers; Lottery apparatus
    • G07C15/005Generating random numbers; Lottery apparatus with dispensing of lottery ticke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5/00Generating random numbers; Lottery apparatus
    • G07C15/001Generating random numbers; Lottery apparatus with balls or the like
    • G07C15/003Generating random numbers; Lottery apparatus with balls or the like hand-hel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자동차의 글러브 박스와 크러쉬 패드에 개재하는 가이드 구조는 글러브 박스의 측면에 형성되며 개구를 가진 체결홈과, 체결홈에서 연장된 개구로 형성되는 안내홈과, 안내홈과 소정 간격을 두고 글러브 박스의 측면상에 형성되는 제2의 안내홈을 포함하는 걸림부; 및 체결홈을 통하여 삽입되며 크러쉬 패드에 걸어 맞춤하는 단부를 구비한 삽입바와, 개방 상태에서는 안내홈과 정렬되고 폐쇄 상태에서는 제2의 안내홈에 수용되는 가이드바와, 가이드바를 개방 상태 및 폐쇄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가이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다이얼형 걸림 구조를 채택하여 가이드의 장착과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탈장착이 용이한 글러브 박스 가이드 구조{Glove box guide structure for efficient mount and dismount}
본 발명은 자동차의 글러브 박스 가이드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는, 글러브 박스로의 장착과 해제가 용이하며, 글러브 박스의 탈거를 편리하게 한 새로운 구조의 가이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운행중 필요한 물품을 보관하기 위해 운전석 시트와 조수석 시트 사이에 마련된 콘솔박스외에 통상 조수석 시트 전방에 설치된 글러브 박스가 있다. 글러브 박스의 측벽에는 차체의 크러쉬패드에 연결되기 위한 가이드가 설치되는데, 탑승자가 글러브 박스의 전방 커버를 잡아당기면, 상기 가이드가 크러쉬 패드에 형성된 소정 형상의 가이드홈을 통하여 그 형상대로 궤적 운동함으로써 글러브 박스가 초기의 폐쇄 상태에서 전방의 개방 위치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는 가이드홈의 끝단과 맞닿아 글러브 박스가 더 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하여 글러브 박스의 스트로크를 유지한다. 이러한 가이드의 구조는 여러 유형의 것이 공지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이드(100')를 포함하는 글러브 박스(10)의 전방 사시도로서, 도시한 것과 같이, 가이드(100')가 글러브박스(10)의 양 측면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서 가이드(100')가 글러브 박스(10)에 설치된 경우 G-G선을 따른 상부 단면도를 크러쉬패드(20)와 같이 도시한 도면이다. 가이드(100')는 도시한 화살표의 윗방향, 즉 글러브 박스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억지 끼움되며, 아랫방향으로 탈거된다. 가이드(100')의 댐퍼(110')는 크러쉬패드(20)의 가이드홈내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가이드 구조는 가이드가 글러브 박스에 강제 끼워 넣기식으로 조립되므로 글러브 박스의 설치 상태에서 탈 장착이 힘들고 완전 장착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우며, 원호(a')부분의 갭이 좁아 가이드 탈거시 갭 사이로 손가락을 밀어 넣어 해제력을 가하기 어렵고, 원호(b')에서와 같이 가이드의 부착면이 글러브 박스와 긴밀히 밀착되어 손가락으로 가이드를 잡을 여유가 없어 탈거가 매우 힘든 단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글러브 박스로의 장착이 용이하며, 더욱 글러브 박스로부터의 탈거를 편리하게 한 신규한 가이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가이드를 포함하는 글러브 박스의 전방 사시도;
도 2는 도 1의 G-G선을 따라 절단한 상부 단면도로서 크러쉬 패드를 포함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글러브 박스에 설치된 걸림부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부분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가이드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가이드부를 글러브 박스에 체결하는 태양을 글러브 박스의 내부에서 바라 본 사시도;
도 6은 도 3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가이드바의 이동 경로를 도시한 단면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가이드부를 글러브 박스에 체결한 상태에서, 삽입바 단부를 크러쉬패드에 삽입한 태양을 도시한 도 2와 같은 단면도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차의 글러브 박스와 크러쉬 패드에 개재하는 가이드 구조는, 글러브 박스의 측면에 형성되며 개구를 가진 체결홈과, 상기 체결홈에서 연장된 개구로 형성되는 안내홈과, 상기 안내홈과 소정 간격을 두고 상기 글러브 박스의 측면상에 형성되는 제2의 안내홈을 포함하는 걸림부; 및 체결홈을 통하여 삽입되며 크러쉬 패드에 걸어 맞춤하는 단부를 구비한 삽입바와, 개방 상태에서는 상기 안내홈과 정렬되고 폐쇄 상태에서는 상기 제2의 안내홈에 수용되는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를 개방 상태 및 폐쇄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가이드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더욱 본 발명은, 상기 안내홈은 체결홈의 중앙 개구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는 두 개의 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의 안내홈은 체결홈의 중앙 개구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는 두 개의 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림부는 가이드바가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공간사이에 상기 가이드바의 이동을 안내하는 활주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더욱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삽입바의 단부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가이드 구조는 크게 글러브 박스에 설치된 걸림부(30)와 이 걸림부(30)에 체결되는 가이드부(50)로 이루어진다.
도 3은 글러브 박스(10)의 측벽에 설치된 걸림부(3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걸림부(30)의 중앙에는 열쇠홈 형상의 체결홈(40)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의 걸림부(30)를 분리 도시한 확대 사시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걸림부(30)는 각각 4분원 형상으로 형성된 활주부(36,36')와 고정부(38,38')로 이루어져 있다. 활주부(36,36') 및 고정부(38,38')각각은 상호 180도 대칭되도록 형성된다. 활주부(36)의 상면은 고정부(38')를 향하여 점점 위로 경사지고, 활주부(36')의 상면은 고정부(38)를 향하여 점점 위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6 참조). 또, 활주부(36)와 고정부(38)사이 및 활주부(36')와 고정부(38')사이에는 수직 방향으로 대향하는 두 안내홈(32,32')이 형성되고, 활주부(36)와 고정부(38')사이 및 활주부(36')와 고정부(38)사이에는 수평 방향으로 대향하는 두 안내홈(34,34')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홈(32,32')은 개구(opening)구조이며, 글러브 박스(10)와의 관계에서, 체결홈(40)의 일부를 이루는 구성이기도 함을 유의해야한다. 안내홈(34,34')은 도시한 것과 같이 밑면이 오목한 오목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네 개의 안내홈은 체결홈(40)중앙의 원 형상 개구를 사이에 두고 열십자 형으로 배열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또, 본 발명의 고정부(38,38')는 활주부(36,36')에 비하여 높이가 더 크도록 4분면의 돌출부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후술하는 것과 같이 가이드부의 추가 회전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가이드 구조를 이루는 가이드부(5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가이드부(50)는 원판(52)의 중심부를 수직으로 가로 질러 반원형으로 세워 형성된 손잡이부(54), 원판(52)의 중앙부근에서 상기 손잡이부와 반대 방향으로 원통상으로 돌출 형성된 삽입바(58) 및 상기 삽입바(58)의 원판(52)부근에서 로드상으로 돌출 형성된 두 개의 가이드바(56,56')로 이루어진다. 손잡이부(54)는 손으로 파지하여 가압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며, 가이드바(56,56')는 상기 안내홈들의 길이에 대응하는 적절한 크기를 가진다. 또, 삽입바(58)의 단부는 하면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컷팅된 경사면(60)으로 형성하여 테이프 모양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가이드부(50)가 글러브 박스(10)의 측면에 결합되는 태양을 글러브 박스(10)의 내부에서 바라 본 사시도이다. 가이드부(50)의 삽입바(58)가 체결홈(40)의 중앙 원호를 통과하여 글러브 박스의 걸림부(30)와 체결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가이드 구조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5의 상태에서, 가이드부(50)의 가이드바(56,56')는 걸림부(30)의 각 안내홈(32,32')의 공간에 정렬되어 수용되어 있다. 여기서, 손으로 손잡이부(54)를 잡고 가이드부(50)를 도 3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각도로 돌리면, 가이드바(56)는 안내홈(32)을 벗어나 활주부(36)의 경사면을 타고 슬라이드 이동되고, 가이드바(56')는 안내홈(32')을 벗어나 활주부(36')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어 각각 안내홈(34',34)의 오목부에 긴밀히 안착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가이드부(50)는 걸림부(30)에 견고히 체결된 상태를 이루게 되며, 손잡이부를 돌려도 가이드바(56,56')는 고정부(38',38)에 막혀 더 이상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작업자는 가이드바(56,56')가 안내홈(34',34)에 수용됨과 동시에 고정부(38,38')에 걸리는 것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으므로, 가이드부가 완전히 장착된 것을 한결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가이드부 구조는 간편한 다이얼형 체결 구조를 채택한 점에 특징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B-B선을 따라 가이드바(56)의 이동 경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가이드바(56)의 초기위치(I)는 안내홈(32)에 위치한 상태를, 그리고 고정장착위치(F)는 안내홈(34')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가이드부를 글러브 박스에서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위와 반대로 가이드부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안내홈(34',34)에 수용된 가이드바(56,56')를 각각 안내홈(32,32')이 제공하는 공간 위치까지 회전시켜 정렬시킨 후 체결홈(40)을 통하여 가이드부를 자연스럽게 빼내면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가이드부를 먼저 글러브 박스에 체결한 상태에서, 댐퍼 기능을 하는 삽입바(58) 단부를 크러쉬패드(20)의 가이드홈(22)에 삽입한 태양을 도시한 도 2와 같은 단면도이다. 삽입바(58)에는 경사면(60)이 형성되는 결과, 글러브 박스의 위치를 조정하여 가이드부를 크러쉬 패드의 홈에 밀어 넣을 때, 크러쉬 패드의 주위면과 부딪히지 않고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기술한 본 발명은 가이드부를 간편하고 조작이 쉬우며 체결감을 쉽게 감지할 수 있는 다이얼형으로 채택하고, 글러브 박스에는 상기 가이드부를 수용하는 걸림부를 제공함으로써, 가이드부의 장착과 분리가 간편하며, 장착 여부를 쉽게 감지할 수 있어 가이드 및 글러브 박스의 장착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불량율을 감소시킨다는 우월한 효과를 발휘한다.

Claims (3)

  1. 자동차의 글러브 박스와 크러쉬 패드에 개재하는 가이드 구조로서,
    상기 가이드 구조는,
    글러브 박스의 측면에 형성되며 개구를 가진 체결홈과, 상기 체결홈에서 연장된 개구로 형성되는 안내홈과, 상기 안내홈과 소정 간격을 두고 상기 글러브 박스의 측면상에 형성되는 제2의 안내홈을 포함하는 걸림부; 및
    상기 체결홈을 통하여 삽입되며 크러쉬 패드에 걸어 맞춤하는 단부를 구비한 삽입바와, 개방 상태에서는 상기 안내홈과 정렬되고 폐쇄 상태에서는 상기 제2의 안내홈에 수용되는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를 개방 상태 및 폐쇄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가이드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은 체결홈의 중앙 개구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는 두 개의 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의 안내홈은 체결홈의 중앙 개구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는 두 개의 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림부는 가이드바가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공간사이에 상기 가이드바의 이동을 안내하는 활주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삽입바의 단부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구조.
KR10-2003-0039315A 2003-06-18 2003-06-18 탈장착이 용이한 글러브 박스 가이드 구조 KR100494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9315A KR100494621B1 (ko) 2003-06-18 2003-06-18 탈장착이 용이한 글러브 박스 가이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9315A KR100494621B1 (ko) 2003-06-18 2003-06-18 탈장착이 용이한 글러브 박스 가이드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0134A true KR20040110134A (ko) 2004-12-31
KR100494621B1 KR100494621B1 (ko) 2005-06-13

Family

ID=37382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9315A KR100494621B1 (ko) 2003-06-18 2003-06-18 탈장착이 용이한 글러브 박스 가이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46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270B1 (ko) * 2005-11-29 2007-01-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콘솔박스
KR101693254B1 (ko) * 2015-10-21 2017-01-09 덕양산업 주식회사 글로브박스용 대칭형 스토퍼
KR20230060350A (ko) * 2021-10-27 2023-05-04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코트후크의 조립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061B1 (ko) 2015-10-21 2016-01-27 이명근 차량용 글러브박스 하우징 조립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270B1 (ko) * 2005-11-29 2007-01-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콘솔박스
KR101693254B1 (ko) * 2015-10-21 2017-01-09 덕양산업 주식회사 글로브박스용 대칭형 스토퍼
KR20230060350A (ko) * 2021-10-27 2023-05-04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코트후크의 조립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4621B1 (ko) 2005-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94623B2 (ja) 車両用収納装置
US7559782B2 (en) Storage device box
WO2010058752A1 (ja) 移動体のロック機構
JP2006022482A (ja) プッシュボタン式ボックス開放構造
US7219943B2 (en) Remote control unit storage device
EP1033283B1 (en) Cup holder installed in vehicle
KR100494621B1 (ko) 탈장착이 용이한 글러브 박스 가이드 구조
US6471263B1 (en) Glass release button assembly of automotive tailgate
US20050082864A1 (en) Stopper structure in a glove box
EP4001015A1 (en) Sliding type glove box
JP4125424B2 (ja) アウターハンドル装置
KR100868420B1 (ko) 도어아웃사이드핸들의 열림방지장치
JP3650833B2 (ja) 乗物用の容器保持装置
JP2007022241A (ja) バンパ取付構造
JPH06156105A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レバー装置
KR102610778B1 (ko) 분리개선형 프로텍터 록킹장치
JP2008127757A (ja) オートバイの盗難防止具
JP4222002B2 (ja) 乗物用カップホルダー
KR100428385B1 (ko) 자동차 러기지 룸의 트레이 커버 결합구조
JP3652876B2 (ja) 容器保持装置
JP3668756B2 (ja) 格納式グリップ
US7320487B2 (en) Cancel lever device for a door handle of a motor vehicle
KR100379009B1 (ko) 내용물 유동 방지를 위한 트레이 구조
KR100756953B1 (ko) 차량용 선글라스 케이스
KR19980046835U (ko) 자동차의 콘솔 박스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