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1430B1 - 잔압 배기 밸브가 부착된 5포트 스위칭 밸브 - Google Patents

잔압 배기 밸브가 부착된 5포트 스위칭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1430B1
KR101691430B1 KR1020140107655A KR20140107655A KR101691430B1 KR 101691430 B1 KR101691430 B1 KR 101691430B1 KR 1020140107655 A KR1020140107655 A KR 1020140107655A KR 20140107655 A KR20140107655 A KR 20140107655A KR 101691430 B1 KR101691430 B1 KR 101691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valve
hole
residual pressure
exhaust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7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6845A (ko
Inventor
타츠야 니시야마
타카시 무라카미
신지 미야조에
Original Assignee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26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6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1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6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 F16K11/07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with cylindrical sl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6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15B13/08Assemblies of units, each for the control of a single servomotor only
    • F15B13/0803Modular units
    • F15B13/0878Assembly of modular units
    • F15B13/0885Assembly of modular units using valves combined with other components
    • F15B13/0892Valves combined with fluid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0/00Safety arrangements for fluid actuator systems; Applications of safety devices in fluid actuator systems; Emergency measures for fluid actuat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8Check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Combined check valves and actua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7169Supply and exhaust
    • Y10T137/87233Biased exhaust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 Self-Closing Valves And Venting Or Aerating Valves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클로즈드 센터형의 5포트식 전자 스위칭 밸브로 이루어지는 주밸브와, 잔압 배기 밸브를 갖고, 상기 잔압 배기 밸브는 주밸브의 공급 포트 및 2개의 배기 포트에 연통하는 배기 밸브 구멍과, 상기 2개의 배기 포트에 개별로 연통하는 2개의 잔압 배출 유로와, 상기 배기 밸브 구멍 내에 상기 잔압 배출 유로를 개폐하도록 수용되고, 상기 공급 포트로부터의 압력 에어로 구동되는 2개의 배기 밸브체와, 상기 배기 밸브체를 상기 잔압 배출 유로의 개방 방향으로 바이어싱하는 개방 스프링을 갖고, 상기 공급 포트로부터 압력 에어가 배기 밸브 구멍 내로 공급되지 않을 때는 상기 배기 밸브체가 상기 잔압 배출 유로를 개방해서 상기 배기 포트로부터 잔압이 배출되고, 상기 공급 포트로부터 압력 에어가 배기 밸브 구멍 내로 공급되었을 때는 상기 배기 밸브체가 상기 잔압 배출 유로를 폐쇄해서 상기 배기 포트로부터 잔압은 배출되지 않는다.

Description

잔압 배기 밸브가 부착된 5포트 스위칭 밸브{FIVE-PORT SWITCHING VALVE WITH RESIDUAL PRESSURE EXHAUST VALVE}
본 발명은 5포트 전자 스위칭 밸브에 상기 스위칭 밸브를 개재하여 압력 에어가 급배되는 유체압 회로에 남는 잔압을 자동 배출하는 잔압 배기 밸브를 부설하고, 상기 잔압에 의한 유체압 기기의 오작동이나 예기하지 않는 작동 등을 방지하는 안전 회로를 구성시키도록 한 잔압 배기 밸브가 부착된 5포트 스위칭 밸브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범용의 클로즈드 센터형의 5포트 전자 스위칭 밸브에 있어서는 주밸브 보디를 관통하는 밸브 구멍에 중앙의 공급 유로, 그 양측의 한 쌍의 출력 유로, 및 그들 출력 유로의 양측의 밸브 구멍단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배출 유로를 각각 개구시키고, 상기 공급 유로를 주밸브 보디의 외면에 개구하는 공급 포트에 연통시킴과 아울러 상기 공급 유로의 양측의 한 쌍의 출력 유로를 주밸브 보디의 한 쌍의 출력 포트에, 또한 그들 출력 유로의 양측의 배출 유로를 주밸브 보디의 한 쌍의 배출 포트에 각각 연통시키고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 구멍 내에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환상의 실링 부재를 주위에 설치한 주밸브체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감삽하고, 상기 주밸브체를 그 양단부에 접촉하는 피스톤 중 어느 하나에 작용하는 유체압 조작력에 의해 구동해서 밸브 구멍 내의 2개의 스위칭 위치, 즉 공급 포트를 한 쌍의 출력 포트 중 어느 한쪽에 연통시킴과 아울러 다른 쪽의 출력 포트를 배출 포트에 연통시키는 제 1 스위칭 위치와, 그것과는 반대로 상기 공급 포트를 다른 쪽의 출력 포트에 연통시킴과 아울러 다른 한쪽의 출력 포트를 배출 포트에 연통시키는 제 2 스위칭 위치에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고, 또한 상기 피스톤 중 어느 것에도 유체압 조작력이 작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주밸브체에 작용하는 스프링의 바이어싱력에 의해 밸브 구멍에 형성한 각 유로 중 어느 것도 서로 연통하지 않는 중립 위치로 스위칭 가능한 것으로서 구성된다.
이러한 클로즈드 센터 위치(중립 위치)를 구비한 5포트 스위칭 밸브에 있어서는 상기 공급 포트로부터 출력 포트 중 어느 것에 유체압을 공급해서 그 출력 포트에 접속되어 있는 유체압 기기를 동작시키고, 그 동작을 종료시키기 위해서 주밸브체를 중립 위치로 리턴했을 경우에 상기 5포트 스위칭 밸브에 의해 유체압 기기를 동작시키고 있던 압력 에어가 유체압 회로측에 잔압으로서 밀봉되어 그 잔압이 어떠한 불측의 원인에 의해 배출되었을 때 상기 잔압이 밀봉되어 있었던 유체압 기기가 오동작이나 예기하지 않는 작동을 해서 위험한 상태가 되는 경우가 있어 이 상태를 해소하고 싶을 경우에는 상기 잔압을 배출해 둘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주밸브가 클로즈드 센터 위치를 구비한 5포트 스위칭 밸브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주밸브에 있어서의 주밸브체가 상기 클로즈드 센터 위치에 있어서 상기 주밸브에 있어서의 한 쌍의 출력 포트에 연통되어 있는 유체압 회로의 상기 잔압을 배출해 두고 싶을 경우에 주밸브의 공급 포트로의 압력의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그 잔압을 배출 가능하게 하고, 상기 잔압에 의한 유체압 기기의 오작동이나 예기하지 않는 작동 등을 방지하는 안전 회로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한 간단한 구성의 잔압 배기 밸브가 부착된 5포트 스위칭 밸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하면 클로즈드 센터형의 5포트식 전자 스위칭 밸브에 의해 구성된 주밸브와, 상기 주밸브에 부착된 잔압 배기 밸브를 갖고, 상기 잔압 배기 밸브는 배기 밸브 보디에 형성한 배기 밸브 구멍 내에 상기 주밸브의 2개의 출력 포트에 개별로 연통해서 상기 출력 포트를 대기에 개방하는 2개의 잔압 배출 유로와, 상기 잔압 배출 유로에 형성된 잔압 배기 밸브 시트에 접리해서 상기 잔압 배출 유로를 개별로 개폐하는 한 쌍의 배기 밸브체를 설치하고, 상기 배기 밸브체를 상기 잔압 배기 밸브 시트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개방 스프링으로 바이어싱함과 아울러 상기 배기 밸브 구멍 내에 상기 한 쌍의 배기 밸브체의 사이에 개재하도록 형성한 구동 압력실을 상기 주밸브의 공급 포트에 연통시키고, 상기 구동 압력실 내에 상기 공급 포트로부터 에어가 공급되면 상기 배기 밸브체가 상기 개방 스프링의 바이어싱력에 저항하여 상기 잔압 배기 밸브 시트에 접촉해서 상기 잔압 배출 유로를 폐쇄하고, 상기 구동 압력실 내에 상기 공급 포트로부터 에어가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배기 밸브체가 상기 개방 스프링의 바이어싱력에 의해 상기 잔압 배기 밸브 시트로부터 멀어져서 상기 잔압 배출 유로를 개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압 배기 밸브가 부착된 5포트 스위칭 밸브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밸브는 주밸브 보디에 형성된 주밸브 구멍에 연통하는 중앙의 상기 공급 포트와, 상기 공급 포트의 양측에서 상기 주밸브 구멍에 연통하는 상기 2개의 출력 포트와, 상기 출력 포트로부터 밸브 구멍단측의 위치에서 상기 주밸브 구멍에 연통하는 2개의 배기 포트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주밸브 구멍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 주밸브체와, 상기 주밸브체를 제 1 스위칭 위치와 제 2 스위칭 위치에 구동하는 구동 기구와, 상기 주밸브체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용 스프링을 갖고, 상기 제 1 스위칭 위치는 상기 공급 포트가 한쪽의 출력 포트에 연통해서 다른 쪽의 출력 포트가 한쪽의 배기 포트에 연통하는 스위칭 위치이며, 상기 제 2 스위칭 위치는 상기 공급 포트가 상기 다른 쪽의 출력 포트에 연통해서 상기 한쪽의 출력 포트가 다른 쪽의 배기 포트에 연통하는 위치이며, 상기 중립 위치는 모든 상기 포트가 폐쇄되는 위치이다.
또한,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주밸브체의 일단과 타단에 접촉하는 한 쌍의 피스톤과, 각각의 피스톤의 한 측에 형성된 압력실에 파일럿 에어를 도입하기 위한 파일럿 전자 밸브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밸브 보디의 외면에 상기 배기 밸브 보디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 시트가 형성되고, 상기 부착 시트에 상기 공급 포트에 연통하는 공급용 연통구와, 상기 2개의 출력 포트에 개별로 연통하는 2개의 배출용 연통구가 개구하고, 상기 배기 밸브 보디에는 상기 부착 시트에 접촉하는 부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부착면에 상기 공급용 연통구에 연통하는 공급 연통 구멍과 상기 2개의 배출용 연통구에 개별로 연통하는 2개의 잔압 배출 연통 구멍이 개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잔압 배기 밸브의 상기 배기 밸브 구멍과 상기 주밸브의 상기 주밸브 구멍은 서로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다른 잔압 배기 밸브가 부착된 5포트 스위칭 밸브에 의하면 상기 주밸브가 1개의 공급 포트, 2개의 출력 포트, 및 2개의 배기 포트를 갖는 주밸브 보디와, 상기 주밸브 보디의 내부에 모든 상기 포트가 연통하도록 형성된 주밸브 구멍과, 상기 주밸브 구멍 내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서 인접하는 상기 포트를 잇는 유로를 개폐하는 주밸브체와, 상기 주밸브체를 구동하는 파일럿 전자 밸브를 갖고, 상기 잔압 배기 밸브는 상기 주밸브 보디에 부착된 배기 밸브 보디와, 상기 배기 밸브 보디의 내부에 형성된 배기 밸브 구멍과, 상기 배기 밸브 구멍 내에 마주보도록 수용된 2개의 배기 밸브체와, 상기 2개의 배기 밸브체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배기 밸브 구멍을 상기 공급 포트에 연통시키는 공급 연통 구멍과, 상기 공급 연통 구멍의 양측 위치에서 상기 배기 밸브 구멍을 상기 2개의 배기 포트에 개별로 연통시키는 2개의 잔압 배출 연통 구멍과, 상기 2개의 배기 밸브체에 상기 공급 연통 구멍과, 상기 두개의 잔압 배출 연통 구멍을 차단하도록 부착된 차단용 실링 부재와, 상기 2개의 잔압 배출 연통 구멍을 각각 대기에 개방하는 2개의 잔압 배출 유로와, 각각의 잔압 배출 유로에 형성되어서 상기 배기 밸브체가 접·리하는 잔압 배기 밸브 시트와, 상기 배기 밸브체를 상기 잔압 배기 밸브 시트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바이어싱하는 개방 스프링을 갖는다.
상기 배기 밸브체는 서로 마주 보는 단측에 오목부를 갖고, 상기 오목부에 의해 상기 2개의 배기 밸브체 사이에 상기 공급 포트로부터의 에어를 도입하기 위한 구동 압력실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잔압 배기 밸브의 배기 밸브 구멍은 축선 방향 중앙의 대경 구멍부와, 축선 방향 양단의 소경 구멍부를 갖고, 상기 대경 구멍부는 상기 소경 구멍부보다 대경이며, 상기 대경 구멍부에 상기 공급 연통 구멍과 상기 2개의 잔압 배출 연통 구멍이 연통하여 상기 소경 구멍부에 상기 잔압 배출 유로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소경 구멍부의 내측단에 상기 잔압 배기 밸브 시트가 형성되고, 상기 배기 밸브체는 상기 대경 구멍부 내에 수용된 대경 밸브부와, 상기 소경 구멍부 내에 수용된 소경 밸브부를 갖고, 상기 대경 밸브부는 상기 소경 밸브부보다 대경이며, 상기 대경 밸브부의 외주에 상기 차단용 실링 부재가 부착되고, 상기 소경 밸브부의 내측단에 상기 잔압 배기 밸브 시트에 접리하는 개폐용 실링 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밸브 보디의 외면에는 상기 배기 밸브 보디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 시트가 형성되고, 상기 부착 시트에 상기 공급 포트에 연통하는 공급용 연통구와, 상기 2개의 출력 포트에 개별로 연통하는 2개의 배출용 연통구가 개구하고, 상기 배기 밸브 보디에는 상기 부착 시트에 접촉하는 부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부착면에 상기 공급용 연통구에 연통하는 상기 공급 연통 구멍과, 상기 2개의 배출용 연통구에 개별로 연통하는 상기 2개의 잔압 배출 연통 구멍이 개구하고 있어도 좋다.
이상으로 상세하게 설명한 본 발명의 잔압 배기 밸브가 부착된 5포트 스위칭 밸브에 의하면 클로즈드 센터 위치를 구비한 5포트 스위칭 밸브에 의해 구성되는 주밸브에 있어서의 주밸브체가 상기 클로즈드 센터 위치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밸브에 있어서의 한 쌍의 출력 포트에 연통하고 있는 유체압 회로의 상기 잔압을 배출해 두고 싶을 경우에 주밸브의 공급 포트로의 압력 에어의 공급을 차단하는 조작에 의해 그 잔압을 배출하고, 상기 5포트 스위칭 밸브를 구비한 유체압 회로를 상기 잔압에 의한 유체압 기기의 오작동이나 예기하지 않는 작동 등을 방지하는 안전 회로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잔압 배기 밸브가 부착된 5포트 스위칭 밸브의 실시예의 전체적 구성을 나타내는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2는 파일럿 전자 밸브를 노출시킨 상태로 나타내는 상기 실시예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공급 포트에 에어 공급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잔압 배기 밸브의 장착 방법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5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5포트 스위칭 밸브의 주밸브 보디 상의 잔압 배기 밸브 대신에 보디 덮개를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잔압 배기 밸브가 부착된 5포트 스위칭 밸브(10)의 실시의 일례를 나타내고, 도 2는 그 내부 구조, 특히 주밸브(20)에 탑재된 잔압 배기 밸브(40)의 내부 구조를 명확히 나타내고 있다. 상기 주밸브(20)는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클로즈드 센터 위치를 구비하는 기지의 5포트식 전자 스위칭 밸브에 의해 구성된 것이다.
이 잔압 배기 밸브가 부착된 5포트 스위칭 밸브(10)는 상기 주밸브(20) 상에 상기 잔압 배기 밸브(40)를 탑재한 것이다. 상기 주밸브(20)는 주밸브 보디(21)와, 상기 주밸브 보디(21)에 형성된 공급 포트(P), 제 1 및 제 2 출력 포트(A, B), 제 1 및 제 2 배기 포트(EA, EB)와, 상기 주밸브 보디(21)를 관통하는 주밸브 구멍(22)을 갖고, 상기 주밸브 구멍(22)에 공급 유로(23)와, 제 1 및 제 2 출력 유로(24A, 24B)와, 제 1 및 제 2 배기 유로(25A, 25B)가 연통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주밸브 구멍(22)의 축선(L) 방향의 중앙부에 상기 공급 포트(P)로 이어지는 상기 공급 유로(23)가 연통하고, 상기 주밸브 구멍(22)에 있어서의 상기 공급 유로(23)의 양측의 위치에 제 1 출력 포트(A)로 이어지는 제 1 출력 유로(24A) 및 제 2 출력 포트(B)로 이어지는 제 2 출력 유로(24B)가 연통하고, 또한 상기 주밸브 구멍(22)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및 제 2 출력 유로(24A, 24B)로부터 각 밸브 구멍단측의 위치에 제 1 배기 포트(EA)로 이어지는 제 1 배기 유로(25A) 및 제 2 배기 포트(EB)로 이어지는 제 2 배기 유로(25B)가 연통하고, 상기 주밸브 구멍(22) 내에 상기 유로를 스위칭하는 주밸브체(27)가 상기 축선(L)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있다.
상기 주밸브 보디(21)의 축선(L) 방향의 일단측에는 제 1 피스톤 상자(30a)가 연결되고, 상기 제 1 피스톤 상자(30a) 내에 형성된 제 1 피스톤실(31A) 내에 상기 주밸브체(27)의 일단에 접촉해서 그것을 구동하는 제 1 피스톤(28a)이 수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주밸브 보디(21)의 타단측에는 어댑터 블록(35)을 개재하여 제 2 피스톤 상자(30b)가 연결되고, 상기 제 2 피스톤 상자(30b) 내에 형성된 제 2 피스톤실(31B) 내에 상기 주밸브체(27)의 타단에 접촉해서 그것을 구동하는 제 2 피스톤(28b)이 수용되어 있다. 상기 제 1 피스톤(28a)과 제 2 피스톤(28b)은 지름이 같다.
또한, 상기 제 1 피스톤실(31A) 및 제 2 피스톤실(31B)의 내부에는 상기 제 1 피스톤(28a) 및 제 2 피스톤(28b)에 의해 제 1 압력실(31a) 및 제 2 압력실(31b)이 구획되고, 상기 제 1 압력실(31a) 및 제 2 압력실(31b)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피스톤 상자(30a)에 고정된 제 1 파일럿 전자 밸브(32a) 및 제 2 파일럿 전자 밸브(32b)의 각 파일럿 출력 포트(도시 생략)에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파일럿 전자밸브(32b)가 비통전(非通電) 상태로 상기 제 1 파일럿 전자 밸브(32a)에 통전(通電)하면 상기 제 1 파일럿 전자 밸브(32a)의 파일럿 출력 포트로부터 파일럿 에어가 상기 제 1 피스톤(28a)을 수용한 제 1 피스톤 상자(30a) 내의 통로(도시 생략)를 거쳐서 상기 제 1 압력실(31a)에 도입됨과 아울러 상기 제 2 압력실(31b)이 제 2 파일럿 전자 밸브(32b)를 통해서 대기로 개방되기 때문에 상기 파일럿 에어가 상기 제 1 피스톤(28a)을 개재하여 상기 주밸브체(27)를 억압하고, 상기 주밸브체(27)는 도 1에 있어서 우측단에 도달하는 제 1 스위칭 위치까지 이동한다. 그 결과, 공급 포트(P)가 공급 유로(23), 주밸브 구멍(22), 및 제 1 출력 유로(24A)를 통해서 제 1 출력 포트(A)에 연통하여 상기 제 1 출력 포트(A)에 접속되어 있는 유체압 회로에 압력 에어가 공급되고, 한편 제 2 출력 포트(B)는 제 2 출력 유로(24B), 주밸브 구멍(22), 및 제 2 배기 유로(25B)를 통해서 제 2 배기 포트(EB)에 연통하여 상기 제 2 출력 포트(B)에 접속되어 있는 유체압 회로의 압력 에어가 배기된다.
반대로, 상기 제 1 파일럿 전자 밸브(32a)로의 통전을 끊고, 상기 제 2 파일럿 전자 밸브(32b)에 통전하면 상기 제 1 압력실(31a) 내의 파일럿 에어가 상기 제 1 파일럿 전자 밸브(32a)를 통해서 대기로 배출됨과 아울러 상기 제 2 파일럿 전자밸브(32b)의 파일럿 출력 포트로부터의 파일럿 에어가 제 1 피스톤 상자(30a), 주밸브 보디(21), 복귀 기구용의 어댑터 블록(35), 및 제 2 피스톤 상자(30b) 내의 통로(도시 생략)를 거쳐서 상기 제 2 압력실(31b)로 도입되고, 상기 파일럿 에어가 제 2 피스톤(28b)을 개재하여 주밸브체(27)를 억압하므로 상기 주밸브체(27)는 도 1에 있어서 좌측단에 도달하는 제 2 스위칭 위치까지 이동한다. 그 결과, 공급 포트(P)가 공급 유로(23), 주밸브 구멍(22), 및 제 2 출력 유로(24B)를 통해서 제 2 출력 포트(B)에 연통하여 상기 제 2 출력 포트(B)에 접속되어 있는 유체압 회로에 압력 에어가 공급되고, 한편 제 1 출력 포트(A)는 제 1 출력 유로(24A), 주밸브 구멍(22), 및 제 1 배기 유로(25A)를 통해서 제 1 배기 포트(EA)에 연통하여 상기 제 1 출력 포트(A)에 접속되어 있는 유체압 회로의 압력 에어가 배기된다.
이와 같이 어느 하나의 파일럿 전자 밸브(32a, 32b)로의 통전에 의해 그 출력 포트로부터 파일럿 에어가 한쪽의 압력실(31a, 31b)로 도입되고, 다른 쪽의 파일럿 전자 밸브의 통전을 끊음으로써 다른 쪽의 압력실의 파일럿 에어가 파일럿 출력 포트를 통해서 배출되고, 그에 따라 상기 주밸브체(27)가 주밸브 구멍(22) 내를 제 1 및 제 2의 2개의 스위칭 위치로 이동한다. 이 동작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2위치 5포트 전자 스위칭 밸브의 동작과 조금도 바뀌는 일은 없다.
또한, 상기 주밸브체(27)의 중심에는 관통 구멍(27b)이 형성되어 있지만 이 관통 구멍(27b)은 상기 제 1 및 제 2 피스톤(28a, 28b)과 주밸브 보디(21)의 단면의 사이에 형성된 배압실(33a, 33b)끼리를 서로 연통하여 상기 피스톤(28a, 28b)의 이동 시에 한쪽의 배압실 내의 에어를 다른 쪽의 배압실 내에 풀어놓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급 포트(P)에 압력 에어가 공급되어 있을 경우 이 압력 에어의 작용에 의해서 잔압 배기 밸브(40)는 도 3의 동작 위치를 차지하지만 이 잔압 배기 밸브(40)의 동작에 대해서는 후에 설명한다.
상기 어댑터 블록(35)에는 2개의 파일럿 전자밸브(32a, 32b)를 비통전으로 했을 때에 상기 주밸브체(27)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어댑터 블록(35)은 상기 주밸브 보디(21)와 제 2 피스톤 상자(30b) 사이에 실링 부재를 개재하여 기밀하게 부착되어 있고, 상기 어댑터 블록(35)의 내부에는 상기 주밸브 보디(21)의 주밸브 구멍(22)에 연통하는 단차부(36a)가 부착된 연통 구멍(3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통 구멍(36) 내에 상기 주밸브체(27)가 삽입 통과되어 상기 주밸브체(27)의 선단이 상기 제 2 피스톤 상자(30b) 내에 있어서 상기 제 2 피스톤(28b)에 접촉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주밸브체(27)의 상기 연통 구멍(36) 내에 위치하는 부분에 상기 주밸브 구멍(22) 내를 슬라이딩하는 부분보다 소경인 세경부(細俓部)(27a)가 형성되고, 상기 세경부(27a)에 환상을 한 제 1 및 제 2 스프링 받이(37, 38)가 부착되어 있고, 양쪽 스프링 받이(37, 38)에 형성된 플랜지부(37b, 38b) 사이에 복귀용 스프링(39)이 압축 상태로 개재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기 주밸브 보디(21)측에 위치하는 제 1 스프링 받이(37)는 상기 플랜지부(37b)의 외면에 형성된 접촉면(37a)의 외경측 부분이 상기 주밸브 보디(21)의 단면에 대향하고, 상기 접촉면(37a)의 내경측 부분은 상기 주밸브체(27)의 상기 세경부(27a)의 일단의 단차부에 대향하고 있다. 한편, 제 2 피스톤 상자(30b) 측에 위치하는 제 2 스프링 받이(38)는 상기 플랜지부(38b)의 외면의 접촉면(38a)의 외경측 부분이 상기 어댑터 블록(35)의 연통 구멍(36)의 단부의 단차부(36a)에 대향하고, 상기 접촉면(38a)의 내경측 부분은 상기 세경부(27a)의 단부의 단차부에 대향하고 있다.
상기 주밸브체(27)의 복귀 기구는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 1 파일럿 전자 밸브(32a)에 통전함으로써 제 1 압력실(31a)에 파일럿 에어가 도입되어 제 1 피스톤(28a)에서 주밸브체(27)가 상기 제 1 스위칭 위치로 스위칭되었을 때에는 상기 주밸브체(27)가 제 1 스프링 받이(37)를 억압해서 이동시키기 때문에 상기 복귀용 스프링(39)이 압축되어서 복귀용 에너지가 축적된 상태가 되고, 상기 제 1 파일럿 전자 밸브(32a)의 통전을 해제하면 상기 주밸브체(27)는 상기 복귀용 스프링(39)의 탄성력에 의해 압박되는 상기 제 1 스프링 받이(37)를 개재해서 도 1의 중립 위치로 복귀한다.
반대로, 제 2 파일럿 전자 밸브(32b)에 통전함으로써 제 2 압력실(31b)에 파일럿 에어가 도입되어 제 2 피스톤(28b)으로 주밸브체(27)가 상기 제 2 스위칭 위치로 스위칭되었을 때에는 상기 주밸브체(27)가 제 2 스프링 받이(38)를 압박해서 이동시키기 때문에 상기 복귀용 스프링(39)이 압축되어서 복귀용의 에너지가 축적된 상태가 되고, 상기 제 2 파일럿 전자 밸브(32b)의 통전을 해제하면 상기 주밸브체(27)는 상기 복귀용 스프링(39)의 탄성력에 의해 압박되는 상기 제 2 스프링 받이(38)를 개재해서 도 1의 중립 위치로 복귀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파일럿 전자 밸브(32a, 32b)가 비통전 상태에서 제 1 및 제 2 압력실(31a, 31b)에 파일럿 에어가 도입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복귀용 스프링(39)이 양쪽 스프링 받이(37, 38)의 간격을 확장시켜서 도 1의 위치에 유지하기 때문에 주밸브체(27)는 중립 위치, 즉 클로즈드 센터 위치에 유지된다.
또한, 상술한 주밸브체(27)의 복귀 기구는 반드시 상기 주밸브 보디(21)와 제 2 피스톤 상자(30b) 사이의 어댑터 블록(35)에 설치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주밸브 보디(21) 등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어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해서 상기 잔압 배기 밸브(40)의 구체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잔압 배기 밸브(40)는 그 배기 밸브 보디(41)의 기대부(基台部)(41a)를 상기 주밸브 보디(21)의 상부 외면에 설치한 평탄한 부착 시트(21a)에 연결한 것이며, 상기 부착 시트(21a)에는 그 중앙 위치에 상기 공급 유로(23)로 통하는 공급용 연통구(42)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공급용 연통구(42)의 양측의 위치에 상기 제 1 및 제 2 출력 유로(24A, 24B)에 개별로 연통하는 제 1 및 제 2 배출용 연통구(43a, 43b)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잔압 배기 밸브(40)의 배기 밸브 보디(41)의 기대부(41a)에 형성된 부착면(41b)에는 그 중앙 위치에 상기 부착 시트(21a)의 공급용 연통구(42)로 통하는 공급 연통 구멍(44)이 개구함과 아울러 상기 공급 연통 구멍(44)의 양측의 위치에 상기 제 1 및 제 2 배출용 연통구(43a, 43b)에 개별로 연통하는 제 1 및 제 2 잔압 배출 연통 구멍(45a, 45b)이 개구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부착 시트(21a)와 부착면(41b) 사이에 개스킷(46)을 개재시킨 상태로 상기 배기 밸브 보디(41)가 상기 주밸브 보디(21)에 부착되어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주밸브 보디(21) 상에 잔압 배기 밸브(40)의 배기 밸브 보디(41)의 기대부(41a)를 고정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확실하게 양자의 에어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주밸브 보디(21)의 부착 시트(21a)에 대한 상기 잔압 배기 밸브(40)의 배기 밸브 보디(41)의 부착은 도 2 및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잔압 배기 밸브(40)의 배기 밸브 보디(41)에 상기 제 1 피스톤 상자(30a)측의 단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한 돌출자(47)를 상기 제 1 피스톤 상자(30a)에 설치한 오목부(48)에 맞물리게하고, 한편 상기 배기 밸브 보디(41)의 상기 어댑터 블록(35)측의 단부에는 도 4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배기 밸브 보디(41)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출몰하는 출몰 돌출자(49)를 설치하고, 상기 배기 밸브 보디(41)의 상기 돌출자(47)를 상기 제 1 피스톤 상자(30a)에 설치한 오목부(48)에 맞물리게 한 상태로 도 4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배기 밸브 보디(41)를 눌러 내려서 상기 출몰 돌출자(49)를 상기 어댑터 블록(35)에 형성한 볼록부(50)에 탄성적으로 맞물리게 함으로써 행한다. 그러나, 주밸브 보디(21)의 부착 시트(21a)에 대한 잔압 배기 밸브(40)의 고정은 반드시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임의의 고정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잔압 배기 밸브(4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배기 밸브 보디(41) 내에 상기 주밸브(20)의 주밸브 구멍(22)의 축선(L)과 평행하는 축선(L1)을갖는 배기 밸브 구멍(51)을 형성하고, 상기 배기 밸브 구멍(51) 내에 서로 같은 형태이며, 또한 같은 크기를 이루는 제 1 및 제 2의 2개의 배기 밸브체(53A, 53B)를 각각의 단면(선단부)에 형성한 오목부(54a)를 서로 대향시킨 자세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고, 상기 오목부(54a)에 의해 구동 압력실(54)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도 1에서 보듯이, 배기 밸브 구멍(51)의 단부는 외부로 개방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배기 밸브체(53A, 53B)의 각각의 후단부는 상기 배기 밸브 구멍(51)의 개방하는 단부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상기 배기 밸브 구멍(51)은 축선(L1) 방향 중앙의 대경 구멍부(51a)와 축선(L1) 방향 양단의 소경 구멍부(51b)를 갖고 있고, 상기 대경 구멍부(51a)는 상기 소경 구멍부(51b)보다 대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대경 구멍부(51a)에는 상기 구동 압력실(54)에 압력 에어를 공급하는 상기 공급 연통 구멍(44)과, 상기 공급 연통 구멍(44)의 양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및 제 2 잔압 배출 연통 구멍(45a, 45b)이 연통하고, 상기 소경 구멍부(51b)에는 상기 대경 구멍부(51a)를 개재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잔압 배출 연통 구멍(45a, 45b)에 개별로 통하는 제 1 및 제 2 잔압 배출 유로(56a, 56b)와, 상기 잔압 배출 유로(56a, 56b)를 각각 대기로 개방하는 잔압 배출구(56c)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소경 구멍부(51b)의 내측 단부에 상기 제 1 및 제 2 잔압 배출 유로(56a, 56b)를 개별로 둘러싸는 제 1 및 제 2 잔압 배기 밸브 시트(58a, 58b)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배기 밸브체(53A, 53B)는 상기 대경 구멍부(51a) 내에 수용된 대경 밸브부(53a)와 상기 소경 구멍부(51b) 내에 수용된 소경 밸브부(53b)를 갖고 있고, 상기 대경 밸브부(53a)는 상기 소경 밸브부(53b)보다 대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대경 밸브부(53a)의 외주에는 상기 공급 연통 구멍(44)과 상기 제 1 및 제 2의 2개의 잔압 배출 연통 구멍(45a, 45b)을 서로 차단하는 립형의 차단용 실링 부재(55)가 립을 상기 공급 연통 구멍(44)측을 향한 자세로 부착되어 있고, 상기 소경 밸브부(53b)의 내측단에는 상기 잔압 배기 밸브 시트(58a, 58b)에 접촉 및 이간하는 O링형의 개폐용 실링 부재(57)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기 밸브체(53A, 53B)는 상기 배기 밸브체(53A, 53B)의 외주에 형성된 플랜지형상의 스프링 받이(65)와, 상기 대경 구멍부(51a)와 소경 구멍부(51b)의 경계에 형성된 단차부(66)의 사이에 코일상의 개방 스프링(59)을 압축 상태로 개재하여 설치함으로써 상기 배기 밸브체(53A, 53B)를 상기 개폐용 실링 부재(57)가 상기 잔압 배기 밸브 시트(58a, 58b)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상시 바이어싱시키고 있고, 상기 공급 포트(P)로부터 압력 에어가 상기 구동 압력실(54)에 공급되지 않을 때에는 2개의 상기 배기 밸브체(53A, 53B)가 상기 잔압 배기 밸브 시트(58a, 58b)로부터 이간되어서 배기 밸브 구멍(51)의 중앙부에 있어서 서로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잔압 배기 밸브 시트(58a, 58b) 중 한쪽의 제 1 잔압 배기 밸브 시트(58a)는 배기 밸브 보디(41)의 배기 밸브 구멍(51)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지만, 다른 쪽의 제 2 잔압 배기 밸브 시트(58b)는 배기 밸브 구멍(51)의 단부에 잔압 배출구(56c)를 형성하는 엔드 부재(61)의 내단에 설치하고, 상기 엔드 부재(61)는 도 2에 명료하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 밸브 보디(41) 및 엔드 부재(61)에 형성한 고정 구멍(63)에 관통시켜서 삽입하는 U자상의 클립(62)에 의해 상기 배기 밸브 보디(41)에 부착되어 있다. 도면 중 64는 상기 엔드 부재(61)의 외주면과 상기 배기 밸브 구멍(51)의 내주면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 부재이다.
상기 구성을 갖는 잔압 배기 밸브(4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도 1과 같이 주밸브(20)의 공급 포트(P)에 압력 에어가 공급되어 있지 않는 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및 제 2 배기 밸브체(53A, 53B)는 상기 개방 스프링(59)의 탄성력에 의해 개폐용 실링 부재(57)가 상기 잔압 배기 밸브 시트(58a, 58b)로부터 이간하는 개방 위치에 있어 상기 제 1 및 제 2 잔압 배출 유로(56a, 56b)를 개방하고 있다.
이 초기 상태로부터 상기 공급 포트(P)에 압력 에어가 공급되고, 상기 압력 에어가 상기 공급 유로(23)로부터 주밸브 보디(21)의 부착 시트(21a)의 공급용 연통구(42) 및 연통 구멍(44)을 통과해서 2개의 배기 밸브체(53A, 53B)의 대향단의 오목부(54a)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구동 압력실(54)에 공급되면 상기 압력에 의해 상기 2개의 배기 밸브체(53A, 53B)는 도 1의 개방 위치로부터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개방 스프링(59)의 탄성력에 저항해서 개폐용 실링 부재(57)가 상기 잔압 배기 밸브 시트(58a, 58b)에 접촉하는 폐쇄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잔압 배출 유로(56a, 56b)를 폐쇄한다. 이때, 배기 밸브체(53A, 53B)의 후단부가 상기 배기 밸브 구멍(51)의 개방하는 단부와 동등한 위치 즉, 단부와 대응되는 위치를 차지한다. 이 상태에서는 2개의 출력 유로(24A, 24B)로 통하는 연통구(43a, 43b)로부터 잔압 배출 연통 구멍(45a, 45b)을 통해서 상기 배기 밸브 구멍(51) 내에 유입한 압력 에어는 상기 배기 밸브 구멍(51)의 양단의 잔압 배출구(56c)로부터 배출되는 일은 없다.
즉, 상기 주밸브(20)의 제 1 및 제 2 출력 포트(A, B)에 접속한 유체압 회로에 에어 공급하기 위해 상기 주밸브(20)의 공급 포트(P)에 압력 에어를 공급하면 상기 주밸브(20)의 공급 유로(23)로부터 상기 잔압 배기 밸브(40)의 구동 압력실(54)로 상기 압력 에어가 공급되기 때문에 상기 배기 밸브체(53A, 53B)가 상기 개방 스프링(59)의 바이어싱력에 저항해서 상기 잔압 배기 밸브 시트(58a, 58b)에 압접되어 상기 잔압 배출 유로(56a, 56b)를 폐쇄한다. 그 때문에, 상기 잔압 배기 밸브(40)의 존재가 주밸브(20)의 출력 포트(A, B)에 접속한 유체압 회로의 동작에 영향을 주는 일은 없다.
이것에 대하여 상기 공급 유로(23)로의 에어 공급을 끊으면 상기 잔압 배기 밸브(40)의 상기 배기 밸브체(53A, 53B)가 상기 개방 스프링(59)의 바이어싱력에 의해 상기 잔압 배기 밸브 시트(58a, 58b)로부터 이간되어 상기 잔압 배출 유로(56a, 56b)를 개방하므로 주밸브(20)의 출력 포트(A, B)에 접속한 유체압 회로의 잔압은 상기 잔압 배기 밸브(40)를 통해서 모두 배출되게 된다. 이때, 배기 밸브체(53A, 53B)의 후단부는 상기 배기 밸브 구(51)멍의 개방하는 단부보다 내측에 함입된 위치를 차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잔압 배기 밸브(40)의 주밸브 보디(21)에 대한 고정은 잔압 배기 밸브(40)의 배기 밸브 보디(41)에 설치한 돌출자(47)를 제 1 피스톤 상자(30a)에 형성한 오목부(48)에 맞물리게 함과 아울러 상기 배기 밸브 보디(41)의 타단부에 설치한 출몰 돌출자(49)를 어댑터 블록(35)에 형성한 오목부(50)에 탄성적으로 맞물리게 해서 착탈 가능하게 하고 있으므로 상기 부착 시트(21a)에 부착한 잔압 배기 밸브(40)를 분리시키고, 그 대신에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부착 시트(21a)의 각 연통구를 개별적으로 기밀하게 닫히는 보디 덮개(67)를 교환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디 덮개(67)에 잔압 배기 밸브(40)의 경우와 마찬가지인 돌출자(47) 및 출몰 돌출자(49)를 설치하면 좋지만, 요컨데 잔압 배기 밸브(40)의 배기 밸브 보디(41)와 상기 보디 덮개(67)의 착탈 구조를 동일하게 하면 좋고, 그에 따라서 상기 5포트 스위칭 밸브(10)를 잔압 배기 밸브(40)를 부설한 경우와 그것을 구비하지 않은 경우에 전용할 수 있다.

Claims (9)

  1. 클로즈드 센터형의 5포트식 전자 스위칭 밸브에 의해 구성된 주밸브와, 상기 주밸브에 부착된 잔압 배기 밸브를 갖고,
    상기 잔압 배기 밸브는 배기 밸브 보디에 형성한 배기 밸브 구멍 내에 상기 주밸브의 2개의 출력 포트에 개별로 연통해서 그 출력 포트를 대기로 개방하는 2개의 잔압 배출 유로와, 그 잔압 배출 유로에 형성된 잔압 배기 밸브 시트에 접리해서 그 잔압 배출 유로를 개별로 개폐하는 한 쌍의 배기 밸브체를 설치하고, 그 배기 밸브체를 상기 잔압 배기 밸브 시트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개방 스프링으로 바이어싱함과 아울러 상기 배기 밸브 구멍 내에 상기 한 쌍의 배기 밸브체의 선단부 사이에 개재하도록 형성한 구동 압력실을 상기 주밸브의 공급 포트에 연통시키고,
    상기 배기 밸브 구멍의 단부는 외부로 개방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배기 밸브체의 각각의 후단부는 상기 배기 밸브 구멍의 개방하는 단부에서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구동 압력실 내에 상기 공급 포트로부터 에어가 공급되면 상기 배기 밸브체가 상기 개방 스프링의 바이어싱력에 저항해서 상기 잔압 배기 밸브 시트에 접촉하여 상기 잔압 배출 유로를 폐쇄함과 아울러, 상기 배기 밸브체의 후단부가 상기 배기 밸브 구멍의 개방하는 단부와 동등한 위치를 차지하고, 상기 구동 압력실 내에 상기 공급 포트로부터 에어가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배기 밸브체가 상기 개방 스프링의 바이어싱력에 의해 상기 잔압 배기 밸브 시트로부터 이간되어서 상기 잔압 배출 유로를 개방함과 아울러, 상기 배기 밸브체의 후단부가 상기 배기 밸브 구멍의 개방하는 단부보다 내측에 함입된 위치를 차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압 배기 밸브가 부착된 5포트 스위칭 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밸브는 주밸브 보디에 형성된 주밸브 구멍에 연통하는 중앙의 상기 공급 포트와, 그 공급 포트의 양측에서 상기 주밸브 구멍에 연통하는 상기 2개의 출력 포트와, 그 출력 포트로부터 밸브 구멍단측의 위치에서 상기 주밸브 구멍에 연통하는 2개의 배기 포트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주밸브 구멍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 주밸브체와, 그 주밸브체를 제 1 스위칭 위치와 제 2 스위칭 위치로 구동하는 구동 기구와, 상기 주밸브체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용 스프링을 갖고,
    상기 제 1 스위칭 위치는 상기 공급 포트가 한쪽 출력 포트에 연통해서 다른 쪽 출력 포트가 한쪽 배기 포트에 연통하는 스위칭 위치이며, 상기 제 2 스위칭 위치는 상기 공급 포트가 상기 다른 쪽의 출력 포트에 연통해서 상기 한쪽의 출력 포트가 다른 쪽의 배기 포트에 연통하는 위치이며, 상기 중립 위치는 모든 상기 포트가 폐쇄되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압 배기 밸브가 부착된 5포트 스위칭 밸브.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주밸브체의 일단과 타단에 접촉하는 한 쌍의 피스톤과, 각각의 피스톤의 한 측에 형성된 압력실에 파일럿 에어를 도입하기 위한 파일럿 전자 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압 배기 밸브가 부착된 5포트 스위칭 밸브.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밸브 보디의 외면에는 상기 배기 밸브 보디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 시트가 형성되고, 상기 부착 시트에 상기 공급 포트에 연통하는 공급용 연통구와, 상기 2개의 출력 포트에 개별로 연통하는 2개의 배출용 연통구가 개구하고,
    상기 배기 밸브 보디에는 상기 부착 시트에 접촉하는 부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부착면에 상기 공급용 연통구에 연통하는 공급 연통 구멍과, 상기 2개의 배출용 연통구에 개별로 연통하는 2개의 잔압 배출 연통 구멍이 개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압 배기 밸브가 부착된 5포트 스위칭 밸브.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잔압 배기 밸브의 상기 배기 밸브 구멍과, 상기 주밸브의 상기 주밸브 구멍은 서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압 배기 밸브가 부착된 5포트 스위칭 밸브.
  6. 클로즈드 센터형의 5포트식 전자 스위칭 밸브에 의해 구성된 주밸브와, 그 주밸브에 부착된 잔압 배기 밸브를 갖고,
    상기 주밸브는 1개의 공급 포트, 2개의 출력 포트, 및 2개의 배기 포트를 갖는 주밸브 보디와, 그 주밸브 보디의 내부에 모든 상기 포트가 연통하도록 형성된 주밸브 구멍과, 그 주밸브 구멍 내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서 인접하는 상기 포트를 잇는 유로를 개폐하는 주밸브체와, 그 주밸브체를 구동하는 파일럿 전자 밸브를 갖고,
    상기 잔압 배기 밸브는 상기 주밸브 보디에 부착된 배기 밸브 보디와, 그 배기 밸브 보디의 내부에 형성된 배기 밸브 구멍과, 그 배기 밸브 구멍 내에 마주 보게 수용된 2개의 배기 밸브체와, 그 2개의 배기 밸브체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배기 밸브 구멍을 상기 공급 포트에 연통시키는 공급 연통 구멍과, 그 공급 연통 구멍의 양측의 위치에서 상기 배기 밸브 구멍을 상기 2개의 배기 포트에 개별로 연통시키는 2개의 잔압 배출 연통 구멍과, 상기 2개의 배기 밸브체에 상기 공급 연통 구멍과 상기 2개의 잔압 배출 연통 구멍을 차단하도록 부착된 차단용 실링 부재와, 상기 2개의 잔압 배출 연통 구멍을 각각 대기로 개방하는 2개의 잔압 배출 유로와, 각각의 잔압 배출 유로에 형성되어서 상기 배기 밸브체가 접리하는 잔압 배기 밸브 시트와, 상기 배기 밸브체를 상기 잔압 배기 밸브 시트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바이어싱하는 개방 스프링을 갖고,
    상기 배기 밸브 구멍의 단부는 외부로 개방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배기 밸브체의 각각의 후단부는 상기 배기 밸브 구멍의 개방하는 단부에서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배기 밸브체가 상기 잔압 배기 밸브 시트에 접촉해서 상기 잔압 배출 유로를 폐쇄할 때, 상기 배기 밸브체의 후단부가 상기 배기 밸브 구멍의 개방하는 단부와 동등한 위치를 차지하고, 상기 배기 밸브체가 상기 잔압 배기 밸브 시트로부터 이간되어서 상기 잔압 배출 유로를 개방할 때, 상기 배기 밸브체의 후단부가 상기 배기 밸브 구멍의 개방하는 단부보다 내측에 함입된 위치를 차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압 배기 밸브가 부착된 5포트 스위칭 밸브.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밸브체는 서로 마주 보는 단면에 오목부를 갖고, 그 오목부에 의해 상기 2개의 배기 밸브체 사이에 상기 공급 포트로부터의 에어를 도입하기 위한 구동 압력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압 배기 밸브가 부착된 5포트 스위칭 밸브.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잔압 배기 밸브의 배기 밸브 구멍은 축선 방향 중앙의 대경 구멍부와, 축선 방향 양단의 소경 구멍부를 갖고, 상기 대경 구멍부는 상기 소경 구멍부보다 대경이며, 상기 대경 구멍부에 상기 공급 연통 구멍과 상기 2개의 잔압 배출 연통 구멍이 연통하고, 상기 소경 구멍부에 상기 잔압 배출 유로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소경 구멍부의 내측단에 상기 잔압 배기 밸브 시트가 형성되고,
    상기 배기 밸브체는 상기 대경 구멍부 내에 수용된 대경 밸브부와, 상기 소경 구멍부 내에 수용된 소경 밸브부를 갖고, 상기 대경 밸브부는 상기 소경 밸브부보다 대경이며, 상기 대경 밸브부의 외주에 상기 차단용 실링 부재가 부착되고, 상기 소경 밸브부의 내측단에 상기 잔압 배기 밸브 시트에 접리하는 개폐용 실링 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압 배기 밸브가 부착된 5포트 스위칭 밸브.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밸브 보디의 외면에는 상기 배기 밸브 보디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 시트가 형성되고, 그 부착 시트에 상기 공급 포트에 연통하는 공급용 연통구와, 상기 2개의 출력 포트에 개별로 연통하는 2개의 배출용 연통구가 개구하고,
    상기 배기 밸브 보디에는 상기 부착 시트에 접촉하는 부착면이 형성되고, 그 부착면에 상기 공급용 연통구에 연통하는 상기 공급 연통 구멍과, 상기 2개의 배출용 연통구에 개별로 연통하는 상기 2개의 잔압 배출 연통 구멍이 개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압 배기 밸브가 부착된 5포트 스위칭 밸브.
KR1020140107655A 2013-08-28 2014-08-19 잔압 배기 밸브가 부착된 5포트 스위칭 밸브 KR1016914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77183A JP5991288B2 (ja) 2013-08-28 2013-08-28 残圧排出弁付き5ポート切換弁
JPJP-P-2013-177183 2013-08-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845A KR20150026845A (ko) 2015-03-11
KR101691430B1 true KR101691430B1 (ko) 2017-01-09

Family

ID=52470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7655A KR101691430B1 (ko) 2013-08-28 2014-08-19 잔압 배기 밸브가 부착된 5포트 스위칭 밸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28616B2 (ko)
JP (1) JP5991288B2 (ko)
KR (1) KR101691430B1 (ko)
CN (1) CN104421463B (ko)
DE (1) DE102014112110B4 (ko)
TW (1) TWI54146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78317B2 (ja) * 2015-05-08 2018-02-14 Smc株式会社 流路切換ユニット
JP6467711B2 (ja) * 2015-06-24 2019-02-13 Smc株式会社 多連一体型マニホールドバルブ
ITUB20152644A1 (it) * 2015-07-30 2017-01-30 Metal Work Spa Sistema di elettrovalvole a portata maggiorata.
CN105156713A (zh) * 2015-08-25 2015-12-16 芜湖市汽车产业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快速排气阀
CN106051217A (zh) * 2016-07-11 2016-10-26 润琛液压机械南通有限公司 一种船用克令吊旋回换向阀
JP3207208U (ja) * 2016-08-19 2016-10-27 Smc株式会社 切換弁
JP6478958B2 (ja) * 2016-09-02 2019-03-06 株式会社不二工機 制御弁
DE102016224525B4 (de) * 2016-12-08 2019-07-11 Festo Ag & Co. Kg Mehrwegeventil und Verfahren zu seinem Betreiben
CN107917261B (zh) * 2017-12-06 2024-04-19 曾祥虎 带有自动排气装置的阀装置
CN108506267B (zh) * 2018-05-02 2019-11-26 宁波真格液压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泄压功能的回路选择阀
JP7308642B2 (ja) * 2019-03-29 2023-07-14 日立Astemo株式会社 流路切替弁
JP6975749B2 (ja) * 2019-05-15 2021-12-01 Ckd株式会社 パイロット形電磁弁
CN111288183A (zh) * 2019-12-25 2020-06-16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金城南京机电液压工程研究中心 一种可实现三位多通液压逻辑滑阀
WO2022013327A1 (en) * 2020-07-17 2022-01-20 Cnh Industrial Italia S.P.A. Method and system for releasing the residual pressure of a hydraulic circuit of a work machine and work machine including the system
DE102020133997B4 (de) 2020-12-17 2023-06-22 Festo Se & Co. Kg Mehrwegeventil
JP7478715B2 (ja) * 2021-09-28 2024-05-07 Ckd株式会社 電磁弁マニホールド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3565A (en) 1982-02-24 1984-06-12 Mac Valves, Inc. Four-way valve with cover mounted pressure regulating and flow control valve
KR100261985B1 (ko) 1996-10-29 2000-10-02 다까다 요시유끼 베이스부착형전환밸브에부착하기위한압력조절밸브
JP2004100948A (ja) * 2002-07-15 2004-04-02 Ckd Corp オールポートクローズ形バルブ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45665B (de) * 1963-01-23 1967-07-27 Erich Herion Steuerventil
US3532119A (en) * 1968-04-01 1970-10-06 Kershaw Mfg Co Inc Pressure compensated control valve
CH545422A (de) 1973-02-14 1973-12-15 Technomatic Ag Einrichtung zur Steuerung druckmittelbetriebener Vorrichtungen
US4411189A (en) * 1977-07-18 1983-10-25 The Scott And Fetzer Company Fluid flow controlling device
US4293001A (en) * 1978-10-06 1981-10-06 Tadeusz Budzich Load responsive fluid control valve
US4488474A (en) * 1983-01-17 1984-12-18 Caterpillar Tractor Co. Fully compensated fluid control valve
US4688470A (en) * 1986-07-21 1987-08-25 Caterpillar Inc. Compensated fluid flow control valve
DE3841507C1 (ko) * 1988-01-22 1989-06-29 Danfoss A/S, Nordborg, Dk
JP3132585B2 (ja) 1991-08-30 2001-02-05 株式会社エヌビーエス バルブ駆動装置
CN2197500Y (zh) 1994-07-13 1995-05-17 中外合资绍兴春晖冷冻器材有限公司 四通电磁换向阀
JP3260279B2 (ja) * 1996-04-03 2002-02-25 株式会社荏原製作所 水圧電磁比例制御弁
JPH10169805A (ja) * 1996-12-05 1998-06-26 Smc Corp パイロット式切換弁
JP4072738B2 (ja) * 1997-08-21 2008-04-09 Smc株式会社 5ポート電磁弁ボディを利用した3ポート電磁弁
CN100441886C (zh) 2004-11-12 2008-12-10 宁波华液机器制造有限公司 三通比例减压控制阀
JP4284687B2 (ja) * 2005-04-26 2009-06-24 Smc株式会社 真空及び真空破壊用複合弁
JP4783917B2 (ja) 2009-04-13 2011-09-28 Smc株式会社 4・5ポート切換弁
JP5256545B2 (ja) * 2010-02-10 2013-08-07 Smc株式会社 減圧切換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3565A (en) 1982-02-24 1984-06-12 Mac Valves, Inc. Four-way valve with cover mounted pressure regulating and flow control valve
KR100261985B1 (ko) 1996-10-29 2000-10-02 다까다 요시유끼 베이스부착형전환밸브에부착하기위한압력조절밸브
JP2004100948A (ja) * 2002-07-15 2004-04-02 Ckd Corp オールポートクローズ形バル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991288B2 (ja) 2016-09-14
CN104421463A (zh) 2015-03-18
DE102014112110B4 (de) 2021-10-21
US20150059893A1 (en) 2015-03-05
TW201522825A (zh) 2015-06-16
TWI541463B (zh) 2016-07-11
US9528616B2 (en) 2016-12-27
DE102014112110A1 (de) 2015-03-05
JP2015045376A (ja) 2015-03-12
KR20150026845A (ko) 2015-03-11
CN104421463B (zh) 201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1430B1 (ko) 잔압 배기 밸브가 부착된 5포트 스위칭 밸브
US8925587B2 (en) Pilot-operated three-position switching valve
KR20150094511A (ko) 전자 파일롯식 스풀 밸브
JPH08145230A (ja) パイロット形方向切換弁
US8333218B2 (en) Proportional pressure controller
JP4392615B2 (ja) パイロット式2ポート弁
JP3207208U (ja) 切換弁
CA2957232C (en) Proportional pressure controller with isolation valve assembly
WO2012026075A1 (ja) 方向切換弁装置
TW201833468A (zh) 電磁閥
TWI678488B (zh) 流路單元及切換閥
JP3959563B2 (ja) パイロット式切換弁
US9637104B2 (en) Valve apparatus
TW202020318A (zh) 流體壓力缸
KR20220169409A (ko) 이젝터 및 이것을 구비하는 진공 발생 장치
JP2010133491A (ja) 外部パイロット式オペレートバルブ
KR200384513Y1 (ko) 스풀의 작동성을 향상시킨 쓰리-포지션 에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구조
JP4205499B2 (ja) オールポートクローズ形バルブ
US11680650B2 (en) Four-position switching valve
JP3021360B2 (ja) 制御バルブ
JP3201575U (ja) 電磁弁
JP2019086011A (ja) パイロット形電磁弁
NZ728806A (en) Proportional pressure controller with isolation valve assembly
JP2006057768A (ja) ガスば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