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9809B1 - 스포츠 코트용 조립식 바닥재 - Google Patents

스포츠 코트용 조립식 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9809B1
KR101689809B1 KR1020160051653A KR20160051653A KR101689809B1 KR 101689809 B1 KR101689809 B1 KR 101689809B1 KR 1020160051653 A KR1020160051653 A KR 1020160051653A KR 20160051653 A KR20160051653 A KR 20160051653A KR 101689809 B1 KR101689809 B1 KR 101689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frame
base frame
frame
finishing material
ann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1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컴퍼니
Priority to KR1020160051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98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9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9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4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4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13/045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the prefabricated single units consisting of or including bitumen, rubber or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2Paving elements having fixed spacing fe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바닥재의 내부프레임을 그 표면이 격자무늬만을 가지도록 간단하게 구성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한편, 내부프레임의 꼭짓점에 돌기부를 형성하여 표면 마찰계수를 향상시키고, 내부프레임의 상부에 곡률을 주어 이슬이 표면에 맺히지 않도록 해주며, 내부프레임의 일부를 링형의 완충부재로 구성하여 충분한 충격 흡수성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한 새로운 형태의 스포츠 코트용 조립식 바닥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포츠 코트용 조립식 바닥재는, 사각 형상의 외부틀을 이루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 및 수직하게 교차 배열되어 표면에 격자무늬를 형성하는 수평 내부프레임 및 수직 내부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부에 상기 수평 내부프레임 또는 수직 내부프레임이 복수 개가 배열된 후에 하나씩 형성되고, 그 내부에 완충공간이 형성된 충격 완충용 내부프레임; 상기 수평 내부프레임 및 수직 내부프레임이 교차하는 꼭짓점에서 그 하부로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되는 지지레그; 상기 사각 형상의 베이스 프레임의 인접한 두 측면에 형성되어 이웃하는 조립식 바닥재의 베이스 프레임과 결합되는 고리형 결합부; 및 상기 사각 형상의 베이스 프레임의 인접한 두 측면 중에서 상기 고리형 결합부가 형성되지 않는 두 측면에 형성되어 이웃하는 조립식 바닥재의 베이스 프레임에 형성된 상기 고리형 결합부와 결합되는 후크형 결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포츠 코트용 조립식 바닥재{ASSEMBLY TYPE FLOOR TILE FOR SPORTS COURT}
본 발명은 스포츠 코트용 조립식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종류와 크기의 스포츠 코트의 바닥에 손쉽게 설치될 수 있도록 개발된 스포츠 코트용 조립식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여러 가지 스포츠, 레저 활동이 활성화되면서 농구장, 족구장, 풋살 경기장, 테니스 코트, 다목적 경기장 등 다양한 종류의 체육시설 및 운동장(이하 "스포츠 코트"라 함)의 수요도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현재 대부분의 실외 스포츠 코트는 흙, 콘크리트 바닥 또는 인조잔디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스포츠 코트의 재료 중 흙은 강우시 유실되어 수시로 보수를 해야 하고 배수 문제로 인해 며칠 동안 사용이 제한되기도 하며, 콘크리트는 시공이 어렵고 재질의 특성상 이용자들의 부상을 유발할 위험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조잔디는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싸고 혹서기에는 화상을 당할 위험도 있다.
이에 따라 스포츠 코트에 충격 흡수성, 유지 보수의 편리성, 시공성 등의 향상을 목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스포츠 코트용 조립식 바닥재가 보급되고 있다. 특히, 플라스틱 사출에 의한 조립식 바닥재는 콘크리트 바닥과 같은 하드 코트의 대용품으로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플라스틱 재질의 스포츠 코트용 조립식 바닥재의 대표적인 예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5-0124189호(발명의 명칭: 모듈 형태의 조립식 타일)(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이 조립식 타일은 적어도 두 개의 곡선이 교차하는 물결무늬가 내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격자무늬 패턴들로 구성된 사각형상의 베이스 프레임; 상기 격자무늬 패턴의 꼭짓점 및 상기 격자무늬 패턴 내부의 곡선들의 교차점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부면을 향하여 바닥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레그;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인접한 두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측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인접한 타일과 연결시 대향되는 베이스 프레임의 측면 내부로 삽입 결합되는 연결부;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인접한 두 측면에 대응되는 측면 내부에는 상기 연결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연결부가 결합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표면의 상기 격자무늬 패턴의 꼭짓점에는 음각의 원형 또는 십자형 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중앙부에는 상기 조립식 타일이 동일한 면적으로 4등분 될 수 있는 절개면이 형성되며, 이 절개면은 상기 조립식 타일 표면의 수평방향으로 발생하는 응력을 흡수할 수 있는 소정의 유격(W)을 가지며, 그 내부에 완충부재가 포함된다.
이 조립식 타일은 표면에 상기 물결무늬와 격자무늬 패턴이 동시에 형성되어 마찰계수를 높임으로써 미끄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였고, 격자무늬 패턴의 꼭짓점에 음각의 홈이 형성되어 이슬 또는 우수가 바닥재 표면에 맺히지 않도록 하였으며, 베이스 프레임을 구획하는 절개면에 완충부재를 형성하여 충격 흡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 조립식 타일에서 물결무늬와 격자무늬를 동시에 형성하는 것은 필요 이상의 표면 마찰계수를 가지는 반면에 복잡한 표면 형상으로 인해 금형 설계비용이 증가하고 제품의 불량율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격자무늬의 꼭짓점에 음각의 홈을 형성하는 것만으로는 표면 전체에 물방울이 맺히는 것을 완전히 예방할 수가 없어 미끄럼 방지에 효과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을 구획하는 절개면이 일정한 유격(W)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 절개면 주위로 이중 지지레그를 형성하였고, 이 이중 지지레그 사이에 "}"와 같은 괄호 형상의 완충부재를 추가하는 등, 충격 흡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매우 복잡한 형상 및 구성을 만들어야 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5-0124189호(공개일: 2015. 11. 05)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조립식 바닥재의 내부프레임을 그 표면이 격자무늬만을 가지도록 간단하게 구성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한편, 내부프레임의 꼭짓점에 돌기부를 형성하여 표면 마찰계수를 향상시키고, 내부프레임의 상부에 곡률을 주어 이슬이 표면에 맺히지 않도록 해주며, 내부프레임의 일부를 링형의 완충부재로 구성하여 충분한 충격 흡수성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한 새로운 형태의 스포츠 코트용 조립식 바닥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포츠 코트용 조립식 바닥재는, 사각 형상의 외부틀을 이루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 및 수직하게 교차 배열되어 표면에 격자무늬를 형성하는 수평 내부프레임 및 수직 내부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부에 상기 수평 내부프레임 또는 수직 내부프레임이 복수 개가 배열된 후에 하나씩 형성되고, 그 내부에 완충공간이 형성된 충격 완충용 내부프레임; 상기 수평 내부프레임 및 수직 내부프레임이 교차하는 꼭짓점에서 그 하부로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되는 지지레그; 상기 사각 형상의 베이스 프레임의 인접한 두 측면에 형성되어 이웃하는 조립식 바닥재의 베이스 프레임과 결합되는 고리형 결합부; 및 상기 사각 형상의 베이스 프레임의 인접한 두 측면 중에서 상기 고리형 결합부가 형성되지 않는 두 측면에 형성되어 이웃하는 조립식 바닥재의 베이스 프레임에 형성된 상기 고리형 결합부와 결합되는 후크형 결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평 내부프레임 및 수직 내부프레임이 교차하는 꼭짓점에서 표면에 돌출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용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 내부프레임 및 수직 내부프레임의 상부면은 일정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 완충용 내부프레임은 내부에 타원형 공간부가 형성되고 하부로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된 링형 단위부재가 복수개로 나열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형 단위부재는 인접한 것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레그에는 열십자 형태로 보강용 리브가 형성되고, 이 보강용 리브는 상기 수평 내부프레임 및 수직 내부프레임 쪽이 넓고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레그는 인접한 지지레그와의 사이에 상기 보강용 리브에 의해 삼각형의 내부 배수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측면마감재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마감재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후크형 결합부에 결합되는 고리형 측면마감재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고리형 결합부에 결합되는 후크형 측면마감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마감재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결합되는 부분으로부터 반대편으로 갈수록 아래로 경사지는 형태로 구성된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마감재는 그 몸체가 둘 이상으로 분할되고, 분할된 부분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리형 측면마감재와 후크형 측면마감재가 만나는 코너에는 상기 고리형 측면마감재와 후크형 측면마감재를 상호 연결하는 코너마감재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너마감재에는 상기 고리형 측면마감재의 경사면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진 제1 경사면과 상기 후크형 측면마감재의 경사면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진 제2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스포츠 코트용 조립식 바닥재는 수평 내부프레임 및 수직 내부프레임을 통해 가장 간단한 격자무늬 표면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금형 설계를 용이하게 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격자무늬 표면의 꼭짓점마다 미끄럼 방지용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충분한 표면 마찰계수를 확보하여 미끄럼에 의한 부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해준다.
또한, 상기 수평 내부프레임 및 수직 내부프레임의 상부면이 일정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실외 스포츠 코트에 설치되더라도 이슬 또는 우수가 바닥재 표면이 아닌 아래쪽에 맺히도록 해주어 미끄럼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해준다.
또한, 상기 수평 내부프레임 또는 수직 내부프레임이 복수 개가 배열된 후에는 내부에 완충공간이 마련된 충격 완충용 내부프레임이 하나씩 형성된다. 이에 의해, 외부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함으로써 조립식 바닥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인체에 미치는 충격을 최소화하여 부상을 미연에 방지해 준다.
또한, 복수개의 조립식 바닥재가 상호 결합되어 일정한 넓이의 스포츠 코트가 완성된 후에는 그 둘레를 따라 경사면을 가진 측면마감재 및 코너마감재가 결합되어 스포츠 코트를 마감 처리한다. 이에 의하면, 조립식 바닥재의 턱에 의한 걸림을 방지하여 부상을 예방할 수 있고, 차량이나 자전거가 조립식 바닥재에 진입할 때 충격을 완화하여 모서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포츠 코트용 조립식 바닥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 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내부프레임의 단면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포츠 코트용 조립식 바닥재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포츠 코트용 조립식 바닥재의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포츠 코트용 조립식 바닥재의 저면을 일부 확대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포츠 코트용 조립식 바닥재와 마감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리형 측면마감재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고리형 측면마감재의 저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후크형 측면마감재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코너마감재의 사시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스포츠 코트용 조립식 바닥재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포츠 코트용 조립식 바닥재(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내부프레임의 단면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포츠 코트용 조립식 바닥재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포츠 코트용 조립식 바닥재의 저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포츠 코트용 조립식 바닥재의 저면을 일부 확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스포츠 코트용 조립식 바닥재(100)는 기본적으로 사각 형상의 외부틀을 이루는 베이스 프레임(10)과 이 베이스 프레임(10)의 내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 및 수직하게 교차 배열되어 표면에 격자무늬를 형성하는 수평 내부프레임(20) 및 수직 내부프레임(30)으로 구성된다.
이에 의해 조립식 바닥재(100)의 표면에 형성되는 격자무늬는 사용자가 운동 과정에서 조립식 바닥재(100)를 밟을 때에 표면에 마찰력을 부가하여 미끄럼을 방지해준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조립식 바닥재(100)가 정사각형의 격자무늬를 가지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직사각형, 마름모 등의 격자무늬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조립식 바닥재(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 내부프레임(20) 및 수직 내부프레임(30)이 교차하는 꼭짓점에서 표면에 돌출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용 돌기(40)를 더 포함한다. 이 미끄럼 방지용 돌기(40)는 조립식 바닥재(100)의 표면 마찰계수를 증가시켜 조립식 바닥재(100)가 농구, 족구, 테니스 등과 같이 마찰력이 요구되는 스포츠의 코트 바닥재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해준다.
즉, 본 발명은 기본 구조를 상기 수평 내부프레임(20) 및 수직 내부프레임(30)만으로 단순하게 구성하여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물결무늬 등의 복잡한 표면을 가질 필요가 없도록 함으로써 금형 설계를 용이하게 해주는 한편, 상기 수평 내부프레임(20) 및 수직 내부프레임(30)이 교차되는 꼭짓점마다 미끄럼 방지용 돌기(40)를 형성하여 충분한 표면 마찰계수를 확보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립식 바닥재(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 내부프레임(20) 및 수직 내부프레임(30)의 상부면은 일정한 곡률(R)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종래 스포츠 코트용 조립식 바닥재가 이슬이나 강우 등이 표면에 맺혀 매우 미끄러웠고, 새벽 운동을 하러 온 사람들이 바닥재가 미끄러워 운동을 하지 못하거나 무리하게 운동을 하다가 미끄러져 부상을 당하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방지해준다.
즉,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내부프레임(20)의 상부면이 일정한 곡률(R)을 가지도록 구형으로 형성되면, 수평 내부프레임(20)의 사이에 이슬이나 강우가 맺히는 경우에 구형으로 인해 표면 접촉각이 낮아져 이슬이나 강우가 상대적으로 아래쪽에 맺히는 결과를 나타낸다. 이에 반해,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조립식 바닥재는 수평 내부프레임(20)의 상부면이 직각으로 형성되어있어 수평 내부프레임(20)의 사이에 이슬이나 강우가 맺히는 경우에 수평 내부프레임(20)의 상부면 상에 형성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위쪽에 맺히는 결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슬이나 강우가 조립식 바닥재의 표면에 맺혀 있는 경우에도 도 3의 (b)에 따르면 사용자가 물을 먼저 밟아서 미끄러질 확률이 높은 반면에, 도 3의 (a)에 따르면, 조립식 바닥재를, 보다 상세하게는 수평 내부프레임(20)의 상부면을 먼저 밟을 확률이 높아 미끄럼을 효과적으로 방지해준다.
한편, 본 발명의 조립식 바닥재(100)의 베이스 프레임(10)의 측면에는 복수개의 외부 배수구(15)가 형성되어, 강우시에 베이스 프레임(10)의 내부로 떨어지는 빗방울 등이 베이스 프레임(10)의 외부로 쉽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해준다. 원활한 배수를 위하여 상기 외부 배수구(15)는 사각 외부틀을 이루는 베이스 프레임(10)의 모든 모서리에 균일한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조립식 바닥재(10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내부에 상기 수평 내부프레임(20) 또는 수직 내부프레임(30)이 복수 개가 배열된 후에 하나씩 형성되고, 내부에 완충공간이 형성된 충격 완충용 내부프레임(50)을 더 포함한다. 이 충격 완충용 내부프레임(50)은 점프와 같은 사용자의 급격한 동작이나 농구공과 같은 중량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조립식 바닥재(100)의 파손을 방지해준다.
도 1에는 상기 충격 완충용 내부프레임(50)이 베이스 프레임(10)의 내부를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각각 3등분 하도록 구성되어 조립식 바닥재(100)의 표면이 9개의 정사각형 유니트로 구획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조립식 바닥재(100)의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2등분, 3등분, 4등분 등 여러 가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할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충격 완충용 내부프레임(50)은 내부에 타원형 공간부(51)가 형성되고 하부로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된 링형 단위부재(52)가 복수개로 나열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형 단위부재(52)는 인접한 것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충격 완충용 내부프레임(50)은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유사한 충격 완화 구성인 절개면 및 완충부재와는 완전히 상이한 구성일뿐만 아니라 이로부터 예견되는 기술효과 또한 상이하다. 특허문헌 1의 절개면은 기본적으로 타일의 일부를 절개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별도의 절단기를 사용함이 없이 손쉽게 4등분으로 절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라는 점에서 절개면이 아니라 충격 완화만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의 충격 완충용 내부프레임(50)과는 기본 기능이 상이하다.
절개면이 일정한 유격(W)을 가짐으로써 수평방향으로 발생하는 응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고, 유격(W)이 형성된 공간 내부에 완충부재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일부 외부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절개면은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 1열의 지지레그를 2개로 절단하는 형태로 구성되고, 그 내부에 "{"와 같은 괄호 형상의 완충부재를 추가로 설치하여야 했기 때문에 형상이 매우 복잡하였다. 이로써, 설계 금형의 제작이 어려웠을뿐만 아니라, 복잡한 형상으로 인해 원하는 충격 완화 효과를 얻기도 어려웠다.
본 발명의 충격 완충용 내부프레임(50)은 복수개의 링형 단위부재(52)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형태로 간단하게 구성됨으로써, 설계 금형 제작의 용이성 및 충격 완화 효과를 한꺼번에 달성할 수 있도록 해준다. 특허문헌 1의 절개면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충격 완충용 내부프레임(50)이 가지는 기술적 특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충격 완충용 내부프레임(50)은 내부에 타원형 공간부(51)를 가지고 일정 길이로 연장된 링형 단위부재(52)를 가진다. 이 링형 단위부재(52)의 상부면은 상기 수평 내부프레임(20) 및 수직 내부프레임(30)에 의해 형성되는 조립식 바닥재의 표면을 함께 구성한다. 따라서, 외부의 충격이 조립식 바닥재(100)의 표면으로 전달되면 내부의 타원형 공간부(51)가 자유롭게 수축되면서 외부 충격을 상당히 흡수하게 된다. 충격 완화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충격 완충용 내부프레임(50)은 상기 수평 내부프레임(20) 또는 수직 내부프레임(30)보다 연성의 재질을 이용하여 이중사출 방식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둘째, 상기 링형 단위부재(52)는 타원형 공간부(51)가 형성됨과 동시에 하부로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되는 형태를 가진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형 몸체가 일정한 길이를 가질 경우에 표면에서 가까운 위쪽은 수평방향으로의 외부 충격에 수축되거나 팽창하여 변형이 자유로운 반면에, 표면에서 먼 아래쪽은 상대적으로 외부 충격에 대한 변형이 작다. 그 결과, 조립식 바닥재(100)의 표면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링형 단위부재(52)의 상부에 크랙 등의 결함이 발생하더라도 일정한 길이를 가진 몸체를 따라서 하부로 전파되는 것이 어려워지므로, 외부 충격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된다.
세째, 상기 링형 단위부재(52)의 타원형 공간부(51)는 장축방향보다는 단축 방향으로 변형이 더 잘 일어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링형 단위부재(52)의 장축방향으로의 배열이 수평방향으로 이루어지면 수직방향으로의 외력에 더 잘 변형된다. 반대로 복수개의 링형 단위부재(52)의 장축방향으로의 배열이 수직방향으로 이루어지면 수평방향으로의 외력에 더 잘 변형된다. 따라서, 링형 단위부재(52)의 장축방향으로의 배열이 수평/수직 방향으로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하게 되면 어느 방향으로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링형 단위부재(52)가 균일하게 변형되므로, 모든 방향에 대해 균일한 내구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해준다.
네째, 충격 완충용 내부프레임(50)은 단순한 형태의 링형 단위부재(52)가 상기 수평 내부프레임(20) 또는 수직 내부프레임(30)을 대신하여 반복 형성되는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수평 내부프레임(20) 또는 수직 내부프레임(30)을 별도로 절단하거나 변형시키지 아니하고, 단순히 링형 단위부재(52)로 대체하면 되므로 구성이 매우 단순해진다. 그 결과, 설계 금형의 제작이 용이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조립식 바닥재(100)는 상기 사각 형상의 베이스 프레임(10)의 인접한 두 측면(Ⅰ,Ⅱ)에 형성되어 이웃하는 조립식 바닥재의 베이스 프레임(10)과 결합되는 고리형 결합부(60)와, 상기 사각 형상의 베이스 프레임(10)의 인접한 두 측면 중에서 상기 고리형 결합부(60)가 형성되지 않는 두 측면(Ⅲ,Ⅳ)에 형성되어 이웃하는 조립식 바닥재의 베이스 프레임(10)에 형성된 상기 고리형 결합부(60)와 결합되는 후크형 결합부(70)를 더 포함한다.
이 고리형 결합부(60)와 후크형 결합부(70)를 반복 결합시키면 인접한 2개의 조립식 바닥재(100)를 수평/수직의 어느 방향으로도 확장시킬 수 있다. 조립식 바닥재(100)는 이러한 방식으로 원하는 스포츠 경기장의 면적만큼 넓게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조립식 바닥재(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내부프레임(20) 및 수직 내부프레임(30)의 교차로 인해 형성되는 단위 격자무늬 중 일부에 핀 고정부(8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는 상기 핀 고정부(80)가 일 측단부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필요에 따라 조립식 바닥재(100)의 중앙 부위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 핀 고정부(80)는 필요한 경우 조립식 바닥재(100)를 핀 등의 결합부재를 이용해 코트의 바닥면에 고정시켜 조립식 바닥재(100)가 움직이지 않도록 해준다.
한편, 본 발명의 조립식 바닥재(100)는 상기 수평 내부프레임(20) 및 수직 내부프레임(30)이 교차하는 꼭짓점에서 그 하부로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지지레그(90)를 포함한다. 이 지지레그(90)는 조립식 바닥재(100)가 스포츠 코트의 바닥면에 밀착되어 견고히 지지될 수 있도록 해준다.
만약 조립식 바닥재(100)의 지지레그(90)가 바닥면에 밀착되지 않으면, 농구공 등이 바운스될 때와 같이 조립식 바닥재(100)에 수직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질 때 큰 변형이 발생하여 파손될 위험이 높아진다. 더욱이, 농구공 등이 바운스될 때에 조립식 바닥재(100)의 상하 유동으로 인해 소음이 발생하고 바운스가 불규칙하게 이루어질 우려도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레그(90)는 모든 부위에서 코트의 바닥면에 균일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가능한 한 촘촘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링형 단위부재(52)는 상대적으로 링형 단위부재(52)의 상부가 하부에 비해 변형이 더 잘 일어난다. 따라서, 조립식 바닥재(100)가 평탄치 않은 바닥면에 설치된 경우에는 링형 단위부재(52)의 상부면이 위치하는 조립식 바닥재(100)의 표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외부 충격이 가해지면 링형 단위부재(52)를 중심으로 쉽게 휘어지거나 변형되기 때문에 상기 지지레그(90)가 코트의 바닥면의 굴곡에 맞게 밀착되어 더욱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레그(90)는 열십자 형태로 보강용 리브(92)가 형성되고, 이 보강용 리브(92)는 상기 수평 내부프레임(20) 및 수직 내부프레임(30) 쪽이 넓고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조립식 바닥재(100)의 표면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지지레그(90)의 상부, 다시 말해 지지레그(90)가 상기 수평 내부프레임(20) 또는 수직 내부프레임(30)와 맞닿는 부분에 충격이 가장 크게 가해지므로 이 부분에 상기 보강용 리브(92)를 넓게 형성하여 상대적으로 더 많이 보강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상기 보강용 리브(92)에 의해 지지레그(90)의 강성이 높아져 더욱 우수한 내구성을 가질 수 있고, 지지레그(90)는 열십자 단면부(91)가 코트의 바닥면에 밀착되므로 더욱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레그(90)는 인접한 지지레그(90)와의 사이에 상기 보강용 리브(92)에 의해 삼각형의 내부 배수구(93)가 형성된다. 따라서, 내부 배수구(93)는 아래쪽이 더 넓게 형성되어 코트의 바닥면을 따라 흐르는 물이 더욱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해준다. 코트 바닥면은 중앙에서 바깥쪽으로 갈수록 약간 경사지게 형성되어 강우 시에 조립식 바닥재(100)의 내부로 떨어진 빗방울이 상기 내부 배수구(93)를 통해 코트 바깥쪽으로 흐른 다음 맨 바깥쪽 테두리에 설치된 조립식 바닥재(100)의 외부 배수구(15)를 통해 완전히 외부로 배수된다.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적 기술구성인 조립식 바닥재(100)의 마감재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 마감재는 일정 넓이로 배치된 조립식 바닥재(100)의 테두리부를 마감 처리함으로써 스포츠 코트의 전체적인 미감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경사면 구조를 가짐으로써 걸림 방지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포츠 코트용 조립식 바닥재(100)와 마감재가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7에는 도시의 편의성을 위하여 하나의 조립식 바닥재(100)의 모서리에 각각 하나의 고리형 측면마감재(210) 및 후크형 측면마감재(220)가 결합되고, 4 코너마다 하나의 코너마감재(23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그러나, 실제로는 일정 면적의 코트 바닥면을 커버할 수 있도록 여러 장의 조립식 바닥재(100)가 상술한 고리형 결합부(60) 및 후크형 결합부(70)를 통해 연결되어 넓게 배치된 다음, 그 테두리를 따라서 복수개의 고리형 측면마감재(210), 후크형 측면마감재(220) 및 코너마감재(230)가 결합되는 형태로 사용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리형 측면마감재(210)는 몸체(211)의 일면에 형성된 고리형 결합부(214)가 조립식 바닥재(100)의 베이스 프레임(10)의 후크형 결합부(70)와 결합된다. 또한, 몸체(211)의 양 측면에는 각각 고리형 결합부(215)와 후크형 결합부(216)가 형성되어 인접하는 고리형 측면마감재(210)끼리 연결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상기 고리형 측면마감재(210)는 그 몸체(211)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과 결합되는 부분으로부터 반대편으로 갈수록 아래로 경사지는 형태로 구성된 경사면(21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사면(212)은 사용자가 조립식 바닥재(100)의 모서리부에 걸려서 넘어지는 것을 예방해줄 뿐만 아니라, 차량이나 자전거 등이 조립식 바닥재(100)로 진입할 때에 충격을 완화하여 조립식 바닥재(100)의 모서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보강력을 높이기 위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형 측면마감재(210)이 저면에는 십자 형태의 보강 리브(217)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리형 측면마감재(210)는 그 몸체(211)가 둘 이상으로 분할되고, 분할된 부위(213)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연결된다. 도 8에는 3개로 분할된 상태가 예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2개, 3개, 4개 등 여러 가지 형태로 분할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몸체(211)를 분할하여 구성하면 여름철에 높은 지열로 인해 고리형 측면마감재(210)의 몸체(211)가 열팽창하는 경우에도 이격된 공간 사이로 열팽창된 부분이 수용되어 몸체(211)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후크형 측면마감재(220)는 몸체(221)의 일면에 형성된 후크형 결합부(224)가 조립식 바닥재(100)의 베이스 프레임(10)의 고리형 결합부(60)와 결합된다. 또한, 몸체(221)의 양 측면에는 각각 고리형 결합부(225)와 후크형 결합부(226)가 형성되어 인접하는 후크형 측면마감재(220)끼리 연결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상기 후크형 측면마감재(220)는 그 몸체(221)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과 결합되는 부분으로부터 반대편으로 갈수록 아래로 경사지는 형태로 구성된 경사면(22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사면(222)은 사용자가 조립식 바닥재(100)의 모서리부에 걸려서 넘어지는 것을 예방해줄 뿐만 아니라, 차량이나 자전거 등이 조립식 바닥재(100)로 진입할 때에 충격을 완화하여 조립식 바닥재(100)의 모서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해준다는 것은 이미 상술한 바와 같다. 보강력을 높이기 위하여 도 9와 같이 후크형 측면마감재(220)이 저면에도 십자 형태의 보강 리브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형 측면마감재(220)는 그 몸체(221)가 둘 이상으로 분할되고, 분할된 부위(223)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연결된다. 도 10에는 3개로 분할된 상태가 예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2개, 3개, 4개 등 여러 가지 형태로 분할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몸체(221)를 분할하여 구성하면 여름철에 높은 지열로 인해 후크형 측면마감재(220)의 몸체(221)가 열팽창하는 경우에도 이격된 공간 사이로 열팽창된 부분이 수용되어 몸체(221)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너마감재(230)는 상기 고리형 측면마감재(210)와 후크형 측면마감재(220)가 만나는 코너에 설치되어, 고리형 측면마감재(210)와 후크형 측면마감재(220)를 상호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코너마감재(230)의 인접한 두 측면에는 각각 고리형 결합부(234)와 후크형 결합부(235)가 형성된다.
상기 코너마감재(230)의 몸체(231)에는 상기 고리형 측면마감재(210)의 경사면(212)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진 제1 경사면(232)과 상기 후크형 측면마감재(220)의 경사면(222)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진 제2 경사면(23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제1 경사면(232)과 제2 경사면(233)이 앞서 설명한 측면마감재(210)의 경사면(212)과 후크형 측면마감재(220)의 경사면(222)과 마찬가지로 걸림 방지 및 모서리 파손 방지 기능을 수행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들이 변경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조립식 바닥재 10: 베이스 프레임
15: 외부 배수구 20: 수평 내부프레임
30: 수직 내부프레임 40: 미끄럼 방지용 돌기
50: 충격 완충용 내부프레임 51: 타원형 공간부
52: 링형 단위부재 60: 고리형 결합부
70: 후크형 결합부 80: 핀 고정부
90: 지지레그 91: 열십자 단면부
92: 보강용 리브 93: 내부 배수구
210: 고리형 측면마감재 220: 후크형 측면마감재
230: 코너마감재

Claims (13)

  1. 사각 형상의 외부틀을 이루는 베이스 프레임(10);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내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 및 수직하게 교차 배열되어 표면에 격자무늬를 형성하는 수평 내부프레임(20) 및 수직 내부프레임(30);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내부에 상기 수평 내부프레임(20) 또는 수직 내부프레임(30)이 복수 개가 배열된 후에 하나씩 형성되고, 그 내부에 완충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타원형 공간부(51)가 형성되고 하부로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된 링형 단위부재(52)가 복수개로 나열된 충격 완충용 내부프레임(50);
    상기 수평 내부프레임(20) 및 수직 내부프레임(30)이 교차하는 꼭짓점에서 그 하부로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되는 지지레그(90);
    상기 사각 형상의 베이스 프레임(10)의 인접한 두 측면에 형성되어 이웃하는 조립식 바닥재의 베이스 프레임(10)과 결합되는 고리형 결합부(60); 및
    상기 사각 형상의 베이스 프레임(10)의 인접한 두 측면 중에서 상기 고리형 결합부(60)가 형성되지 않는 두 측면에 형성되어 이웃하는 조립식 바닥재의 베이스 프레임(10)에 형성된 상기 고리형 결합부(60)와 결합되는 후크형 결합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코트용 조립식 바닥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 내부프레임(20) 및 수직 내부프레임(30)이 교차하는 꼭짓점에서 표면에 돌출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용 돌기(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코트용 조립식 바닥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 내부프레임(20) 및 수직 내부프레임(30)의 상부면은 일정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코트용 조립식 바닥재.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형 단위부재(52)는 인접한 것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코트용 조립식 바닥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레그(90)에는 열십자 형태로 보강용 리브(92)가 형성되고, 이 보강용 리브(92)는 상기 수평 내부프레임(20) 및 수직 내부프레임(30) 쪽이 넓고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코트용 조립식 바닥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지레그(90)는 인접한 지지레그(90)와의 사이에 상기 보강용 리브(92)에 의해 삼각형의 내부 배수구(9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코트용 조립식 바닥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는 측면마감재(210,22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코트용 조립식 바닥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측면마감재(210,22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후크형 결합부(70)에 결합되는 고리형 측면마감재(210)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고리형 결합부(60)에 결합되는 후크형 측면마감재(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코트용 조립식 바닥재.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측면마감재(210,22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과 결합되는 부분으로부터 반대편으로 갈수록 아래로 경사지는 형태로 구성된 경사면(212,2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코트용 조립식 바닥재.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측면마감재(210,220)는 그 몸체(211,221)가 둘 이상으로 분할되고, 분할된 부분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코트용 조립식 바닥재.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 측면마감재(210)와 후크형 측면마감재(220)가 만나는 코너에는 상기 고리형 측면마감재(210)와 후크형 측면마감재(220)를 상호 연결하는 코너마감재(23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코트용 조립식 바닥재.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코너마감재(230)에는 상기 고리형 측면마감재(210)의 경사면(212)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진 제1 경사면(232)과 상기 후크형 측면마감재(220)의 경사면(222)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진 제2 경사면(23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코트용 조립식 바닥재.
KR1020160051653A 2016-04-27 2016-04-27 스포츠 코트용 조립식 바닥재 KR101689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653A KR101689809B1 (ko) 2016-04-27 2016-04-27 스포츠 코트용 조립식 바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653A KR101689809B1 (ko) 2016-04-27 2016-04-27 스포츠 코트용 조립식 바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9809B1 true KR101689809B1 (ko) 2016-12-27

Family

ID=57737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1653A KR101689809B1 (ko) 2016-04-27 2016-04-27 스포츠 코트용 조립식 바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9809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184U (ko) * 2017-01-06 2018-07-16 김권수 경기장용 바닥재
KR102003726B1 (ko) 2018-10-22 2019-10-01 주식회사 필드원종합건설 수축 및 팽창에 대한 보상 기능을 갖는 바닥재 시공방법 및 그에 따른 바닥재
KR20190138211A (ko) 2018-06-04 2019-12-12 위피크 주식회사 스포츠 시설용 바닥재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074662B1 (ko) 2019-01-21 2020-02-10 주식회사 신한엔터프라이즈 탄성 바닥 표층 마감재 조성물
KR20200030940A (ko) * 2018-09-13 2020-03-23 주식회사 국가대표 매트 어셈블리
KR20200057218A (ko) 2018-11-16 2020-05-26 주식회사 케이그린 플라스틱 바닥재
KR20200067693A (ko) * 2018-12-04 2020-06-12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
KR20210106391A (ko) 2020-02-20 2021-08-30 주식회사 케이그린 미끄럼 방지 기능이 향상된 조립식 운동장 바닥재
KR20220028571A (ko) 2020-08-28 2022-03-08 주식회사 케이그린 미끄럼 방지 기능이 향상된 도로용 바닥재
KR102515569B1 (ko) * 2022-07-15 2023-03-29 오세록 스포츠 매트 조립체
KR20230084962A (ko) 2021-12-06 2023-06-13 주식회사 케이그린 미끄럼 저항이 향상된 조립식 운동장 바닥재
KR102605091B1 (ko) * 2023-05-02 2023-11-24 주식회사 폴리원 충격흡수성과 미끄럼저항이 향상된 세라믹복합소재 적용 친환경 조립식 스포츠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3525A (ja) * 1998-08-28 2000-03-07 Sekisui Chem Co Ltd 床化粧材
JP2008057286A (ja) * 2006-09-04 2008-03-13 Toto Ltd 端縁材
KR100924449B1 (ko) * 2009-06-08 2009-10-30 이갑준 플라스틱 그레이팅
KR20150124189A (ko) 2014-04-28 2015-11-05 코스코디에스 주식회사 모듈 형태의 조립식 타일
KR20150142912A (ko) * 2014-06-12 2015-12-23 코스코디에스 주식회사 조립성능이 향상된 모듈 형태의 조립식 타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3525A (ja) * 1998-08-28 2000-03-07 Sekisui Chem Co Ltd 床化粧材
JP2008057286A (ja) * 2006-09-04 2008-03-13 Toto Ltd 端縁材
KR100924449B1 (ko) * 2009-06-08 2009-10-30 이갑준 플라스틱 그레이팅
KR20150124189A (ko) 2014-04-28 2015-11-05 코스코디에스 주식회사 모듈 형태의 조립식 타일
KR20150142912A (ko) * 2014-06-12 2015-12-23 코스코디에스 주식회사 조립성능이 향상된 모듈 형태의 조립식 타일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184U (ko) * 2017-01-06 2018-07-16 김권수 경기장용 바닥재
KR200487143Y1 (ko) * 2017-01-06 2018-08-10 주식회사 케이엔에스아이엔티 경기장용 바닥재
KR20190138211A (ko) 2018-06-04 2019-12-12 위피크 주식회사 스포츠 시설용 바닥재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153358B1 (ko) * 2018-09-13 2020-09-08 주식회사 국가대표 매트 어셈블리
KR20200030940A (ko) * 2018-09-13 2020-03-23 주식회사 국가대표 매트 어셈블리
KR102003726B1 (ko) 2018-10-22 2019-10-01 주식회사 필드원종합건설 수축 및 팽창에 대한 보상 기능을 갖는 바닥재 시공방법 및 그에 따른 바닥재
KR20200057218A (ko) 2018-11-16 2020-05-26 주식회사 케이그린 플라스틱 바닥재
KR20200067693A (ko) * 2018-12-04 2020-06-12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
KR102229672B1 (ko) * 2018-12-04 2021-03-17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의 제어 장치와 시스템 및 스포츠 경기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KR102074662B1 (ko) 2019-01-21 2020-02-10 주식회사 신한엔터프라이즈 탄성 바닥 표층 마감재 조성물
KR20210106391A (ko) 2020-02-20 2021-08-30 주식회사 케이그린 미끄럼 방지 기능이 향상된 조립식 운동장 바닥재
KR20220028571A (ko) 2020-08-28 2022-03-08 주식회사 케이그린 미끄럼 방지 기능이 향상된 도로용 바닥재
KR20230084962A (ko) 2021-12-06 2023-06-13 주식회사 케이그린 미끄럼 저항이 향상된 조립식 운동장 바닥재
KR102515569B1 (ko) * 2022-07-15 2023-03-29 오세록 스포츠 매트 조립체
KR102605091B1 (ko) * 2023-05-02 2023-11-24 주식회사 폴리원 충격흡수성과 미끄럼저항이 향상된 세라믹복합소재 적용 친환경 조립식 스포츠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9809B1 (ko) 스포츠 코트용 조립식 바닥재
EP0382119B1 (en) Modular sports tile with lateral absorption
US9739053B2 (en) Multi-tiered recoiling energy absorbing system with lateral stabilizer
RU2549645C2 (ru) Синтетическая напольная плитка, имеющая частично податливую опорную конструкцию
KR200472466Y1 (ko) 스포츠용 바닥재
US20140311074A1 (en) Recoiling energy absorbing system
US20050193669A1 (en) Modular tile with controlled deflection
KR101907111B1 (ko) 레벨 조절 및 충격 흡수가 가능한 우드블럭 모듈
WO2000008273A2 (en) Hexagon tile with equilateral reinforcement
WO2000008273A9 (en) Hexagon tile with equilateral reinforcement
KR101695216B1 (ko)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
KR100901434B1 (ko) 조립식 스포츠코트
KR200467911Y1 (ko) 조립식 매트
DE202010005276U1 (de) Verlegeplatte
US20050108968A1 (en) Arch-ribbed tile system
KR20170068108A (ko) 넥스트코트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
KR20190011490A (ko)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한 조립식 바닥재
KR20170068110A (ko) 넥스트코트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의 제조방법
DE102010016570A1 (de) Verlegeplatte
KR101109576B1 (ko) 경기장 바닥 시공구조
KR102003726B1 (ko) 수축 및 팽창에 대한 보상 기능을 갖는 바닥재 시공방법 및 그에 따른 바닥재
KR101979646B1 (ko) 실내외 조립식 바닥재
KR20230084962A (ko) 미끄럼 저항이 향상된 조립식 운동장 바닥재
KR20210106391A (ko) 미끄럼 방지 기능이 향상된 조립식 운동장 바닥재
KR102637007B1 (ko) 투수형 친환경 놀이시설 탄성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