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911Y1 - 조립식 매트 - Google Patents

조립식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911Y1
KR200467911Y1 KR2020120006916U KR20120006916U KR200467911Y1 KR 200467911 Y1 KR200467911 Y1 KR 200467911Y1 KR 2020120006916 U KR2020120006916 U KR 2020120006916U KR 20120006916 U KR20120006916 U KR 20120006916U KR 200467911 Y1 KR200467911 Y1 KR 2004679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block
mat block
lower mat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69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석현
Original Assignee
이랜드체육산업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랜드체육산업 (주) filed Critical 이랜드체육산업 (주)
Priority to KR20201200069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9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9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9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9/00Design or layout of playing courts, rinks, bowling greens or areas for water-skiing; Covers therefor
    • A63C19/04Mats or carpets for cou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야외에 설치할 수 있는 스포츠 경기용 조립시 매트에 관한 것으로, 설치면과 접촉하는 부분에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설치된 이후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매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소재의 열팽창 정도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을 해소시킬 수 있는 구성요소를 구비함으로써 열팽창 차이에 따른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매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매트는 매트 자체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열팽창 차이에 따른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소정의 탄성을 제공할 수 있어, 매트 자체의 내구성을 증진시키고, 매트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신체를 보호할 수 있으며, 실제 스포츠 코트와 같은 사용감을 제공해 줄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매트 {Assembly type mat}
본 고안은 농구, 테니스, 풋살 등과 같은 야외 스포츠용 경기장 바닥면 위에 설치되는 조립식 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되는 바닥면에 대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조립식 매트에 관한 것이다.
여가 활동 시간의 증가와 함께 야외 스포츠 활동을 위한 바닥재로 여러 가지 다양한 바닥재들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 개발되어 오던 바닥재들로는 천연 목재나 합성 목재 등의 나무 소재의 바닥재로부터 플라스틱 계열의 재질로 형성된 바닥재 등 여러 가지 재질의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재료들 중 천연 목재 또는 합성 목재의 경우 시각적으로 안락함을 제공하고, 어느 정도의 탄성력을 가지고 있어 스포츠용 경기장의 바닥재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부분이 있기는 하나, 재료 자체의 가격이 높다는 점과, 유지 보수에 많은 비용과 노력이 소요된다는 점에서 대중적으로 활용되기에는 어려운 점이 많았다. 특히, 야외에 노출되어 있는 상태로 사용될 경우, 우천 등으로 인한 습기 유입에 따른 변형 등의 문제가 있으며, 사용자들의 부주의한 사용에 의한 손상 발생이 쉽다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야외 스포츠용 경기장의 바닥재로 아래 선행 기술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합성 수지인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매트 블럭의 형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플라스틱의 경우 재료의 가격이 높지 않다는 점에서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으며, 습기에 강하다는 점에서 야외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재질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외부 충격에도 상당한 내구성을 가지고 있다는 장점도 있다.
그러나 이들 플라스틱 재질의 매트 블럭들을 연결하여 스포츠용 경기장을 만들 경우, 최종적으로 완성된 상태에서 이들 플라스틱 매트 블럭들이 설치면에 대해 쉽게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사용자들이 스포츠 경기를 하기에 적당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종래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진 매트 블럭들의 경우 설치되는 바닥면에 그대로 얹혀 있는 상태로 설치됨에 따라 격렬한 운동 경기를 할 경우 설치된 위치에서 각 매트 블럭들이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 수지 계열의 재료들의 경우, 태양광, 특히 자외선에 많이 노출되거나 대기 온도 일교차가 큰 계절이 되면, 상당한 크기의 열팽창 수축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각 매트 블록들의 설치 위치에 따라 열팽창 수축 되는 정도에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스포츠 경기용 바닥재의 경우 여러 매트 블록들을 연결한 형태로 만들어지는데, 조립 완료 후에는 전체 매트의 테두리 부분을 고정설치 하여 전체 경기장 바닥의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테두리 부분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각 매트 블록들 사이의 열팽창 수축에 차이가 있을 경우 이러한 차이를 수용해 줄 수 있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시간의 경과에 따라 열팽창률 차이에 따른 응력으로 일부 매트 블록에서 변형이 발생하게 되고, 결합된 전체 바닥면의 편평도가 악화된다. 즉, 서로 이웃하는 매트 블록들 사이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열팽창 수축의 차이가 발생하고, 이러한 차이들이 누적이 될 경우, 다른 매트 블록과 연결되는 결합부 근처에서 매트 블록에 변형이 발생하거나 , 특정 매트 블록의 일부분이 위로 볼록하게 휘어지는 등의 변형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개별 매트 블록들의 변형들은 전체 조립된 상태의 스포츠 경기용 바닥면의 편평도를 저하시켜, 스포츠 경기장으로서의 적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075841호 (1994.07.28)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합성 수지 계열로 제조되는 스포츠 경기장용 바닥 매트 블록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설치되는 바닥면에 대해 소정의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재질로 매트 블록을 형성함으로써 설치면에 설치가 완료된 후 사용 중에도 미끄러짐이 방지되는 조립식 매트 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다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테두리 부분을 고정하더라도 조립된 각 매트 블록들 사이의 열팽창 수축 정도 차이에 따른 응력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립식 매트 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설치면 위에 형성되며, 표면에 복수개의 배수용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하부 매트 블록 및 상기 하부 매트 블록과 체결되며, 표면에 복수개의 배수용 관통 구멍이 상기 하부 매트 블록의 배수용 관통 구멍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상부 매트 블록을 포함하는 조립식 매트로, 상기 상부 및 하부 매트 블록은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매트 블록은 상기 설치면에 대해 마찰력을 제공하여 미끄러짐이 방지되도록 하는 합성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매트는 설치면에 직접 접촉하는 하부 매트 블록을 설치면과 접촉시 일정 이상의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합성 고무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사용 과정에서 바닥 전체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연결된 블록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열팽창 정도의 차이에 따른 응력을 하부 매트 블록의 탄성에 의해 해소시킴으로서 조립된 상태에서 전체 매트 표면의 편평도를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매트를 구성하는 상부 및 하부 매트 블록 각각은, 단일 블록의 경계를 형성하는 외곽 프레임 및 복수의 연결용 다리부를 포함하며, 상부 매트 블록의 연결용 다리부와 하부 매트 블록의 연결용 다리부가 서로 결합함으로써 상하부 매트 블록이 서로 체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매트의 일 실시예에서는, 하부 매트 블록에, 상부 매트 블록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부 매트 블록의 배수용 관통 구멍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미끄럼 방지 돌출부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미끄럼 방지 돌출부는 대응하는 상부 매트 블록의 배수용 관통 구멍 내부로 삽입되어 표면이 상부 매트 블록 상부 표면 위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한편, 미끄럼 방지 돌출부의 수는 상부 매트 블록의 배수용 관통 구멍의 수보다 적게 형성되는데, 구체적으로는 미끄럼 방지 돌출부의 수와 하부 매트 블록의 배수용 관통 구멍의 수의 합이 상부 매트 블록의 배수용 관통 구멍의 수와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미끄럼 방지 기능을 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 돌출부가 상부 매트 블록의 관통 구멍 위로 노출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사용자들이 스포츠 경기장에서 운동 경기를 할 때 어느 정도의 마찰력을 제공하여 사용자들이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미끄럼 방지 돌출부는 합부 매트 블록과 동일한 재질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부 매트 블록과 미끄럼 방지 돌출부를 형성하는 합성 고무는 폐타이어 고무칩을 포함한 조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매트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및 하부 매트 블록 각각에는, 외각 프레임을 구성하는 4개의 측면 중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측면에 연결용 고리 부재가 형성되고, 나머지 2개의 측면에 이러한 연결용 고리 부재와 체결되는 연결용 걸림 부재가 형성되어, 인접하는 매트 블록들을 결합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매트를 구성하는 다수의 매트 블록들 사이의 체결 방식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매트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 매트 블록과 하부 매트 블록 각각의 외각 프레임을 구성하는 측면 중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측면이 적층 방향에서 겹쳐지지 않도록 상부 및 하부 매트 블록이 결합하여, 일부 겹쳐지지 않는 부분을 통해 인접하는 다른 상부 매트 블록과 하부 매트 블록이 결합함으로써 여러 매트 블록들이 상호 결합되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매트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설치면 위에 형성되며 상기 설치면에 대해 마찰력을 제공하는 기반층; 상기 기반층 위에 형성되며, 표면에 복수개의 배수용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하부 매트 블록; 및 상기 하부 매트 블록과 체결되며, 표면에 복수개의 배수용 관통 구멍이 상기 하부 매트 블록의 배수용 관통 구멍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상부 매트 블록;을 포함하는 조립식 매트로, 상기 하부 매트 블록은 하부 표면으로부터 상기 기반층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받침 다리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하부 매트 블록의 하부 표면과 상기 기반층 표면은 상기 받침 다리부에 의해 서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에서는, 이러한 하부 매트 블록의 받침 다리부가 기반층에 형성되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기반층이 설치면에 대해 발생시키는 마찰력으로 미끄럼을 방지하면서, 하부 매트 블록이 받침 다리부에 의해 기반층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반층을 사용하더라도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상부 및 하부 매트 블록 각각은, 단일 블록의 경계를 형성하는 외곽 프레임 및 복수의 연결용 다리부를 포함하며, 상부 매트 블록의 연결용 다리부와 상기 하부 매트 블록의 연결용 다리부의 결합에 의해 상기 상부 매트 블록과 하부 매트 블록은 체결될 수 있으며, 상부 매트 블록과 하부 매트 블록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 매트 블록과 결합되며, 상부 및 하부 매트 블록의 배수용 관통 구멍과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탄성 블록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탄성 블록은 상부 매트 블록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부 매트 블록의 배수용 관통 구멍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상부 미끄럼 방지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부 미끄럼 방지 돌출부는 대응하는 상기 상부 매트 블록의 배수용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 상부면이 상부 매트 블록 상부 표면 위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되, 상부 미끄럼 방지 돌출부의 수와 상기 탄성 블록의 관통 구멍의 수의 합은 상기 상부 매트 블록의 배수용 관통 구멍의 수와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는, 설치면 위에 형성되며, 표면에 복수개의 배수용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하부 매트 블록; 상기 하부 매트 블록 위에 형성되며, 표면에 복수개의 배수용 관통 구멍이 상기 하부 매트 블록의 배수용 관통 구멍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상부 매트 블록; 및 상기 상부 매트 블록과 하부 매트 블록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 매트 블록과 결합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매트 블록의 배수용 관통 구멍과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탄성 블록;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하부 매트 블록은 하부 표면으로부터 상기 설치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받침 다리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하부 매트 블록의 하부 표면과 상기 설치면은 상기 받침 다리부에 의해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 블록은, 상기 하부 매트 블록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하부 매트 블록의 배수용 관통 구멍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하부 미끄럼 방지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 미끄럼 방지 돌출부는 대응하는 상기 하부 매트 블록의 배수용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 표면이 상기 설치면과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탄성 블록은, 상부 매트 블록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부 매트 블록의 배수용 관통 구멍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상부 미끄럼 방지 돌출부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부 미끄럼 방지 돌출부는 대응하는 상기 상부 매트 블록의 배수용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 표면이 상기 상부 매트 블록 상부 표면 위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는, 하부 매트 블록으로 결합용 하부 매트 블록과 지지용 하부 매트 블록을 구별하여 구비할 수 있는데, 여기서 결합용 하부 매트 블록은 2개의 이웃하는 상부 매트 블록의 경계선이 중심에 위치하도록 2개의 이웃하는 상부 매트 블록의 경계 부분에 형성되는 것으로, 2개의 이웃하는 상부 매트 블록은 상기 결합용 하부 매트 블록을 사이에 두고 서로 결합되며, 지지용 하부 매트 블록은 2개의 결합용 하부 매트 블록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2개의 이웃하는 상부 매트 블록 중 하나의 상부 매트 블록의 중심 부분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매트는, 설치되는 바닥면에 대해 마찰력을 제공함으로써 설치 후 매트 블록의 미끄러짐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테두리 부분을 고정하더라도 조립되는 각 매트 블록들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열팽창률 차이에 따른 응력에 의해 매트 블록들에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매트는, 기반층을 사용하더라도 배수나 오염물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실제 사용자의 운동화와 접촉하는 부분인 상부 표면에 미끄러짐 방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매트는, 탄성 블록을 개재함으로써 충분한 탄성력을 제공하여 사용자들의 사용감 증진 및 성장기 어린이들의 보호 등의 효과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에 따른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B-B'에 따른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를 구성하는 단위 상부 매트 블록의 상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에 있어서 단위 상하부 매트 블록들 간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은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의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은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는 도 12의 C-C'에 따른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4은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6는 도 15의 D-D'에 따른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E-E'에 따른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의 테두리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매트를 구체적인 실시예를 가지고 설명한다.
본 고안은 이하에 기재되는 실시예들의 설명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한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거나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도 있는데, 이는 본 고안의 요지와 관련이 없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고안의 요지를 명확히 설명하기 위함이다.
제1 실시예
도 1 내지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10)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10)는 하나의 상부 매트 블록(100)과 하부 매트 블록(200)이 결합한 상태의 단위 매트 블록들이 복수개 연결되어 있는 형태로 구성된다. 도 1 내지 3에는 하나의 단위 매트 블록의 결합 상태만을 도시하는데, 각 단위 매트 블록들 간의 체결은 이후에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부 매트 블록(100)과 하부 매트 블록(200)은 각각 테두리를 형성하는 외곽 프레임(120, 220), 외곽 프레임(120, 220) 내부에 복수개 형성되는 연결용 다리부(130, 230), 표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배수용 관통 구멍(110, 210)을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도 1 및 2에 도시되는 상부 및 하부 매트 블록(100, 200)들은 모두 평면의 형태가 정사각형인 것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직사각형 형태를 가져도 된다. 상부 및 하부 매트 블록(100, 200)을 구성하는 외곽 프레임(120, 220)과 연결용 다리부(130, 230)의 높이는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도 1 및 2에 도시되는 크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하부 매트 블록(100, 200) 내부에 형성되는 연결용 다리부(130, 230)의 개수 역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 및 2에 도시되는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외곽 프레임(120, 220)은 도 1 및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돌출부가 형성되는 모양을 가질 수도 있고, 돌출부가 없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외곽 프레임(120, 220)에는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연결용 고리 부재(140)와 연결용 걸림 부재(150)가 형성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부 매트 블록(200)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매트(10)가 설치될 설치면 위에 설치되는 것으로, 합성 고무 재질로 형성된다. 하부 매트 블록(200)은 설치면과 접촉하는 구성요소로, 설치면에 대해 소정의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형태의 합성 고무 재질이어도 무관한다. 합성 고무 재질로는, 에틸렌프로필렌고무(EPDM)이 사용될 수 있으며, 폐타이어 고무 칩을 포함한 EPDM 재질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매트(10)는 설치면에 직접 접촉하게 되는 하부 매트 블록(200)이 소정의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합성 고무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조립 완료 후 사용자들이 운동 경기 등에 사용하는 경우에도 설치면에 대해 미끄러지지 않고 최초 설치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합성 고무 재질의 경우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농구나 배구 등과 같이 사용자들이 점프를 많이 하게 되는 스포츠 게임의 경기장으로 사용될 경우 사용자들의 사용감이 증진될 수 있으며, 각 스포츠 경기에서 사용되는 볼(ball)들이 적절한 탄성으로 바운싱될 수 있도록 하여 스포츠 경기의 바닥재로서의 요구되는 효과를 충실히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부 매트 블록(100)은 종래부터 사용되던 합성 수지 계열의 재질로 형성된다. 상부 매트 블록(100)은 하부 매트 블록(200) 위에 설치되는 것으로, 표면에는 오염물의 배출이나 물의 배수가 용이하도록 하는 배수용 관통 구멍(110)이 그리드(grid)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2에 도시되는 상부 매트 블록(100)의 배수용 관통 구멍(110)은 정사각형 형태로 nㅧ n 형태의 매트릭스 배열로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배수용 관통 구멍(110)은 직각삼각형 형태를 가질 수도 있으며, 직사각형 형태나 원, 타원 등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매트(10)는 야외에 설치되는 것을 주된 용도로 하고 있는데, 이에 따라 오염물의 제거나 빗물 등의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는 바, 이를 위해 상부 매트 블록(100)의 표면에는 배수용 관통 구멍(110)이 복수개 형성된다.
상부 매트 블록(100)과 체결되는 하부 매트 블록(200) 역시 표면에 배수용 관통 구멍(210)이 형성되어, 상부 매트 블록(100)의 배수용 관통 구멍(110)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 등을 바닥인 설치면 쪽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하부 매트 블록(200)에 형성되는 배수용 관통 구멍(210)은 체결된 상태에서 상부 매트 블록(100)의 배수용 관통 구멍(110)에 대응될 수 있는 위치에 있도록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부 배수용 관통 구멍(110)과 하부 배수용 관통 구멍(210)은, 상부 및 하부 매트 블록(100, 200)의 체결 방향에 있어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10)는 도 1 및 2에 도시되는 상부 및 하부 매트 블록(100, 200)들이 각각의 연결용 다리부(130, 230)를 통해 체결된 단위 매트 블록들을 상하 좌우 방향으로 계속 연결 조립하여 형성되는데, 상부 및 하부 매트 블록(100, 200)들 사이의 결합 형태는 도 3에 도시되는 단면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 매트 블록(100, 200)의 연결용 다리부(130, 230)는 각각 결합 구멍(131, 231)과 결합 핀(132, 232)을 구비하는데, 이들 결합 구멍(131, 231)과 결합 핀(132, 232)의 끼움 결합에 의해 상부 및 하부 매트 블록(100, 200)은 상호 체결된다. 결합 구멍(131, 231)과 결합 핀(132, 232)의 배열은 상부 및 하부 매트 블록(100, 200)의 체결을 견고하게 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설계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부 매트 블록(100)의 연결 다리부(130)에 결합 핀(132)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는 하부 매트 블록(200)의 연결 다리부(230)에는 결합 구멍(231)이 형성되고, 상부 매트 블록(100)의 연결 다리부(130)에 결합 구멍(131)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는 하부 매트 블록(200)의 연결 다리부(230)에는 결합 핀(232)이 형성되어 상호 결합된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되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서는 상부 및 하부 매트 블록(100, 200)의 연결용 다리부(130, 230)들이 각각의 배수용 관통 구멍(110, 210) 주위를 둘러싸는 위치에 모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부 및 하부 매트 블록(100, 200)간에 체결을 견고하게 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연결용 다리부(130, 230)의 수나 형성 위치에는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연결용 다리부(130, 230)들 간의 결합 형태 역시 도 3에 도시되는 결합 구멍(131, 231)과 결합 핀(132, 232)의 끼움 결합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가지 다양한 방식의 다른 결합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다.
제2 실시예
도 4 내지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10)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6에 도시되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되는 조립식 매트(10)의 구성과 비교해 하부 매트 블록(200)에 복수의 미끄럼 방지 돌출부(250)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되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는, 하부 매트 블록(200)에 복수의 미끄럼 방지 돌출부(250)가 형성된다. 미끄럼 방지 돌출부(250)는 하부 매트 블록(200)으로부터 상부 매트 블록(100)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 매트 블록(100)의 배수용 관통 구멍(110)들 중 일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미끄럼 방지 돌출부(250)는 상부 매트 블록(100)의 배수용 관통 구멍(110) 중 일부 내로 삽입되어 상부 매트 블록(100)의 상부 표면(101) 위로 표면이 노출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미끄럼 방지 돌출부(250)는 복수개 형성되는데, 반드시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패턴으로 형성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매트가 사용될 장소나 스포츠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개수와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미끄럼 방지 돌출부(250)는 하부 매트 블록(200)과 동일한 재질인 합성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하부 매트 블록(200)과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미끄럼 방지 돌출부(250)는 하부 매트 블록(200)과 일체로 동시에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형성한 후 하부 매트 블록(200)에 설치할 수도 있다.
도 4 내지 6에 도시되는 미끄럼 방지 돌출부(250)는 직육면체 형태의 기둥 모양을 가지고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부 매트 블록(100)의 배수용 관통 구멍(11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한 어떤 형태를 가져도 무관하다. 예를 들면, 원기둥이나 육각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미끄럼 방지 돌출부(250)는 상부 매트 블록(100)의 배수용 관통 구멍(110)에 끼움 결합된 상태로 삽입될 수도 있고, 일정 부분 빈 공간을 남긴 상태로 삽입될 수도 있다.
미끄럼 방지 돌출부(250)는 도 5 및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부 매트 블록(100)이 하부 매트 블록(200)과 체결된 상태에서 상부 매트 블록(100)의 상부 표면(101) 위로 표면(251)이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미끄럼 방지 돌출부(250)의 표면(251)은, 최종 조립된 상태에서 상부 매트 블록(100)의 상부 표면(101) 위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데, 이에 따라 사용자들이 스포츠 경기를 함에 있어 사용자들의 운동화와 접촉 시 소정의 마찰력을 발생시켜 사용자들이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미끄럼 방지 돌출부(250)의 개수와 하부 매트 블록(200)의 배수용 관통 구멍(210)의 개수를 합한 값은 상부 매트 블록(100)의 배수용 관통 구멍(110)의 개수와 같을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위 매트 블록들의 결합
도 7 및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10)에 있어서 단위 매트 블록들 간의 결합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10)의 상부 매트 블록(100)의 상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되는 형태의 단위 매트 블록의 경우, 하부 매트 블록(200)도 동일한 형태의 결합 부재를 구비하므로, 도 7에서는 상부 매트 블록(100)의 상면도만을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10)를 구성하는 상부 매트 블록(100)은 외곽 프레임(120)의 4개 측면(121, 122, 123, 124)들에 각각 연결용 고리 부재(140)와 연결용 걸림 부재(150)가 형성되는 구성을 갖는다. 외곽 프레임(120)의 측면들 중 임의의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측면(123, 124)에는 복수개의 연결용 고리 부재(140)가 형성되며, 나머지 서로 이웃하는 다른 2개의 측면(121, 122)에는 연결용 걸림 부재(150)가 형성된다. 연결용 고리 부재(140) 및 연결용 걸림 부재(150)의 구체적인 형태 등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형태들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바, 이하에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에 도시되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및 하부 매트 블록(100, 200)은 각각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연결용 고리 부재(140)와 연결용 걸림 부재(150)를 외곽 프레임(120, 220)의 측면부에 구비하는데, 이에 따라 인접하는 다른 상부 또는 하부 매트 블록들과 이들 연결용 고리 부재(140) 및 연결용 걸림 부재(150)의 기계적 걸림 작용에 의해 상호 체결된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매트(10)는 이와 같은 상부 및 하부 매트 블록(100, 200)들이 상하 좌우로 조립 체결되어 전체 조립식 매트(10)를 구성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의 단위 매트 블록 간의 결합 방식을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되는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매트 블록(100)은 자신의 외곽 프레임(120) 중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측면(121, 122)가 대응되는 하부 매트 블록(200)의 외곽 프레임(220)의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측면(221, 222)에 대해 결합되는 방향에서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서 결합하는 방식으로 체결된다. 즉, 도 8 및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부 매트 블록(100)과 하부 매트 블록(200)은, 각각의 배수용 관통 구멍(110, 210)들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정확하게 있도록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한 행과 한 열만큼 어긋난 상태로 결합되는 방식을 가진다. 이에 따라, 상부 매트 블록(100)과 하부 매트 블록(2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 및 하부 매트 블록(100, 200)은 다른 이웃하는 상부 및 하부 매트 블록과 결합할 수 있는 연결용 다리부(130, 230)들이 최소한 하나의 열이나 행만큼 남게 되는 구성을 가지게 된다.
도 8에 도시되는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하부 매트 블록 위에 최대 4개의 상부 매트 블록이 일부라도 체결될 수 있고, 이웃하는 상부 또는 하부 매트 블록들은 각각 자신의 하부 또는 상부에 위치하는 다른 하부 또는 상부 매트 블록들과의 결합에 의해 체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
한편, 도 7 및 8에 도시되는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연결 방식에 사용되는 상부 및 하부 매트 블록(100, 200)들은 도 1 내지 3에 도시된 상부 및 하부 매트 블록(100, 200) 뿐 아니라, 도 4 내지 6에 도시된 상부 및 하부 매트 블록(100, 200)들에도 적용되는 것이며, 이후에 설명되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상부 및 하부 매트 블록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9 및 10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10)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9 및 10에 도시되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10)의 구성은, 하부 매트 블록(200)이 각각 결합용 하부 매트 블록(260)과 지지용 하부 매트 블록(270)으로 구분되는 구성을 가진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되는 구성과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이에 도 1 내지 3에 도시되는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 및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10)는 2개의 이웃하는 상부 매트 블록(100a, 100b)에 모두 체결되는 결합용 하부 매트 블록(260)과, 하나의 상부 매트 블록(100a)에만 체결되는 지지용 하부 매트 블록(270) 두 가지 형태의 하부 매트 블록을 구비한다. 결합용 하부 매트 블록(260) 및 지지용 하부 매트 블록(270)의 재질 등의 구성은 앞서 언급한 도 1 내지 3에 개시되는 하부 매트 블록(200)의 구성과 동일하다.
결합용 하부 매트 블록(260)은 2개의 상부 매트 블록(100a, 100b) 모두와 체결되는데, 2개의 상부 매트 블록(100a, 100b)의 경계선이 자신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체결된다. 결합용 하부 매트 블록(260)의 크기는 2개의 상부 매트 블록의 경계선이 중심에 위치하는 한도 내에서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도 9 및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크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용 하부 매트 블록(270)은 2개의 결합용 하부 매트 블록(260) 사이에 위치하면서, 하나의 상부 매트 블록(100a)의 중심 부분 아래에서 상부 매트 블록(100a)과 체결된다. 도 9 및 10에서는 2개의 결합용 하부 매트 블록(260)과 지지용 하부 매트 블록(270)은 서로 공간을 남기지 않고 연속되는 형태로 체결되어 있지만,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매트의 구성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정 간격을 두고 지지용 하부 매트 블록(270)과 결합용 하부 매트 블록(260)이 이격되어 있을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 전체 조립식 매트에 있어서 탄성의 차이가 크게 발생하지 않도록 한도에서 이격될 수 있다.
도 9 및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부 매트 블록이 결합용 하부 매트 블록(260)과 지지용 하부 매트 블록(270)으로 구분되어 구비됨에 따라, 복수의 상부 매트 블록들은 결합용 하부 매트 블록(260)에 의해 상호 결합 관계를 유지할 수 있고, 결합용 하부 매트 블록(260)과 이웃하는 지지용 하부 매트 블록(270)은 같이 체결되는 하나의 상부 매트 블록에 의해 상호 결합 관계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바, 특별한 연결 부재를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된다. 즉, 도 10 및 11에 도시되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에 있어서는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연결용 고리 부재나 연결용 걸림 부재가 형성될 필요가 없다.
한편, 도 9 및 10에서는 결합용 하부 매트 블록(260)과 지지용 하부 매트 블록(270)이 모두 도 1 내지 3에 도시되는 하부 매트 블록(20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4 내지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미끄럼 방지 돌출부(250)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구성(미도시)을 가질 수도 있다.
제4 실시예
도 11 내지 13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10)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1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10)는, 설치 장소의 바닥면 위에 설치되는 기반층(500), 기반층(500) 위에 설치되는 하부 매트 블록(400), 하부 매트 블록(400)과 체결되는 상부 매트 블록(100)으로 구성된다.
기반층(500)은 조립식 매트(10)가 설치되는 장소의 바닥면 위에 바로 설치되는 것으로, 설치면에 대해 소정의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부직포와 같은 섬유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치면에 대해 미끄럼 방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기반층(500)은 조립식 매트(10)가 조립이 완성된 상태에서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면, 테두리 부분을 설치면에 대해 고정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매트 블록(100)은 앞서 언급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구비되는 상부 매트 블록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하부 매트 블록(400)은 기반층(500) 위에 설치되는 것으로, 배수용 관통구멍(410), 외곽 프레임(420), 및 연결용 다리부(430)를 구비하는 구성은 앞서 언급한 실시예들의 하부 매트 블록(200)과 동일하나, 추가적으로 기반층(500)과 직접 접촉하는 받침 다리부(440)를 더 구비하는 구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하부 매트 블록(400)은 앞서 언급한 실시예들의 하부 매트 블록(200)과 달리 합성 고무 재질이 아니라 상부 매트 블록(10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10)에서는 설치면과의 마찰력을 기반층(500)에 의해 보장받을 수 있기 때문에, 하부 매트 블록(200)을 합성 고무 재질이 아니라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 수지 계열로 형성하더라도 미끄럼 방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받침 다리부(440)는 하부 매트 블록(400)의 하부 표면을 기반층(500)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시키는 크기로 형성되는데, 특정한 크기로 형성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전체적으로 최종 조립된 매트에 가해지는 하중값을 충분히 견딜 수 있을 강도를 가지는 정도의 높이로 형성되면 충분하다. 다만, 외부의 오염물의 배출이나 빗물 등의 유입수의 배출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이로 형성되어야 한다.
받침 다리부(440)는 전체 조립식 매트의 하중을 최종적으로 지지해야 하는 구성요소로, 이를 위해 최소한 하부 매트 블록(400)의 연결용 다리부(43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거나, 이보다 많은 개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 다리부(440) 각각의 두께 역시 연결용 다리부(430)의 두께보다는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 부직포와 같은 기반층을 형성한 후 플라스틱 재질의 매트 블록을 그 위에 설치하는 구성의 조립식 매트가 개발된 바 있으나, 기반층 바로 위에 플라스틱 매트 블록이 설치됨에 따라 빗물 등의 배수와 오염물질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했던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 따른 제4 실시예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 것으로, 기반층을 이용하는 구성이라도, 받침 다리부(440)를 통해 하부 매트 블록(400)을 기반층(500)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시킴으로써 오염물의 배출이나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 매트 블록(100)의 배수용 관통 구멍(110)과 하부 매트 블록(400)의 배수용 관통 구멍(410)은 앞서 언급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결합 방향에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연결 다리부(130, 430)에 의한 상부 및 하부 매트 블록(100, 400)의 결합 방식도 앞서 언급한 실시예들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5 실시예
도 14 내지 16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10)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4 내지 16에 도시되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10)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10)의 구성과 비교해 탄성 블록(300)을 추가로 더 포함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앞서 언급한 제4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4 내지 1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10)는 상부 매트 블록(100)과 하부 매트 블록(400) 사이에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탄성 블록(300)이 개재되어 있는 구성을 가진다.
탄성 블록(300)은 합성 고무나 스펀지 계열의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며, 상부 및 하부 매트 블록(100, 400)의 표면에 형성되는 배수용 관통 구멍(110, 410)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 구멍(310)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가진다. 탄성 블록(300)은 앞서 언급한 제1 실시예의 하부 매트 블록(200)과 같은 재질, 즉 에틸렌프로필렌고무(EPDM) 재질이나 폐타이어 고무 칩을 포함한 EPDM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처럼, 상부 및 하부 매트 블록(100, 400)의 배수용 관통 구멍(110, 410)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 구멍(31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오염물의 배출이나 빗물 등의 유수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탄성 블록(300)에는 상부 및 하부 매트 블록(100, 400)의 연결용 다리부(130, 430)와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구(320)가 구비된다. 상부 및 하부 매트 블록(100, 400)의 연결용 다리부(130, 430)의 결합 핀과 결합 구멍들은 각각 탄성 블록(300)의 연결구(320) 내에서 상호 체결된다. 결합 핀과 결합 구멍의 체결 방식은 앞서 언급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인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10)는 상부 및 하부 매트 블록(100, 400) 사이에 탄성을 제공할 수 있는 탄성 블록(300)이 추가적으로 삽입되는 구성을 가지는데, 이에 따라 조립식 매트(10)에서 스포츠 경기를 하는 과정에서 보다 우수한 바운싱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점프 후 착지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들에게 주어지는 충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6 실시예
도 17 내지 19는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10)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7 내지 19에 도시되는 본 고안의 제6 실시예는, 탄성 블록(300)에 상부 미끄럼 방지 돌출부(330)와 하부 미끄럼 방지 돌출부(340)가 구비되어 있는 구성을 갖는다는 점과 기반층(500)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구성을 제외하고는 앞서 언급한 제4 실시예나 제5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이에 따라 앞서 언급한 제4 실시예나 제5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7 내지 1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10)에는 탄성 블록(300)에 각각 상부 미끄럼 방지 돌출부(330)와 하부 미끄럼 방지 돌출부(340)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미끄럼 방지 돌출부(330)는 탄성 블록(300)으로부터 상부 매트 블록(10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특히 상부 매트 블록(100)의 배수용 관통 구멍(110) 내부로 삽입되어 표면이 상부 매트 블록(100)의 상부 표면 위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도 17 내지 19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미끄럼 방지 돌출부(330)는 상부 매트 블록(100)의 상부 표면 위로 일정 부분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 미끄럼 방지 돌출부(330)는 앞서 언급한 제2 실시예의 미끄럼 방지 돌출부(250)와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상부 미끄럼 방지 돌출부(330)는 탄성 블록(300)과 동일한 재질로 탄성 블록(3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탄성을 갖는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형성한 후 탄성 블록(300)에 부착할 수도 있다.
상부 미끄럼 방지 돌출부(330)는 상부 매트 블록(100)의 배수용 관통 구멍(110) 모두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은 아니며, 배수용 관통 구멍(110) 일부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부 미끄럼 방지 돌출부(330)의 수와 탄성 블록(300)의 관통 구멍(310)의 수의 합은 상부 매트 블록(100)의 배수용 관통 구멍(110)의 수와 동일한 값을 가진다. 상부 미끄럼 방지 돌출부(330)는 상부 매트 블록(100)의 상부 표면 위로 일정 높이로 돌출되므로, 사용자가 스포츠 경기 중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비록 도면으로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이와 같이 상부 미끄럼 방지 돌출부(330)가 형성된 탄성 블록(300)은 앞서 언급한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도 사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한편, 도 17 내지 19에 도시되는 탄성 블록(300)은 하부 미끄럼 방지 돌출부(340)를 구비하는데, 이와 같은 하부 미끄럼 방지 돌출부(340)를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기반층(500)을 구비하지 않고도 설치면(20)에 대해 미끄럼 방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하부 미끄럼 방지 돌출부(340)는 탄성 블록(300)으로부터 하부 매트 블록(400)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하부 매트 블록(400)의 배수용 관통 구멍(410)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이러한 배수용 관통 구멍(410) 내부로 삽입되어 표면(341)이 설치면(20)과 직접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하부 미끄럼 방지 돌출부(340)의 표면(341)이 설치면(20)과 접촉하게 됨에 따라 별도의 기반층(500)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설치면(20)과 하부 미끄럼 방지 돌출부(340)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전체 조립식 매트(10)는 설치면(20)에 대해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
하부 미끄럼 방지 돌출부(340)는 상부 미끄럼 방지 돌출부(330)와 마찬가지로 탄성 블록(300)과 동일한 재질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탄성 블록(300)과 다른 재질로 형성한 후 탄성 블록(300)에 결합시키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부 및 하부 미끄럼 방지 돌출부(330, 340)는 앞서 언급한 제2 실시예의 미끄럼 방지 돌출부(250)와 마찬가지로 육면체 기둥 형태를 가질 수도 있고, 원기둥 형태와 같은 다른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상부 및 하부 미끄럼 방지 돌출부(330, 430)의 형태는 상부 및 하부 매트 블록(100, 400)에 형성되는 배수용 관통 구멍(110, 41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형태이기만 하면 되고,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탄성 블록(300)이 하부 미끄럼 방지 돌출부(340)를 구비하지 않고, 상부 미끄럼 방지 돌출부(330)만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도 17 내지 19에 도시되는 제6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10)에 사용될 수 없고, 앞서 언급한 도 14 내지 16에 따른 제5 실시예의 구성에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20에는 최종적으로 조립 완료된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매트(10)에 있어서 테두리 부분의 마무리 형태가 도시되는데, 도 2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매트(10)의 테두리 부분에는 소정 각도로 경사진 형태를 갖는 테두리 매트 블록(600)이 형성된다.
테두리 매트 블록(600)은 상부 및 하부 매트 블록(100, 200)과 같이 배수용 관통 구멍(610)이 표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 및 하부 매트 블록(100, 200)의 연결용 고리 부재(140, 240)와 연결되는 걸림 부재(630)와 테두리 매트 블록(600)간의 연결에 사용되는 고리 부재(620)가 형성되어 있다.
도 20에 도시되는 테두리 매트 블록(600)과 상부 및 하부 매트 블록(100, 200)간의 연결 방식은 하나의 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매트(10)의 구성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형태의 연결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테두리 매트 블록(600)의 배수용 관통 구멍(610) 내로 고정 부재(640)를 삽입하여 조립식 매트(10)를 설치면에 고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술한 구체적인 서술 내용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매트 구성의 일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으로, 이는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 및 주요 구성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한 하나의 실례를 제시한 것에 불과한 것이며,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여러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조립식 매트 10 상부 매트 블록 100
하부 매트 블록 200, 400 배수용 관통 구멍 110, 210, 410
외곽 프레임 120, 220, 420 연결용 다리부 130, 230, 430
결합 구멍 131, 231 결합 핀 132, 232
미끄럼 방지 돌출부 250 연결용 고리 부재 140, 240
연결용 걸림 부재 150 기반층 500
설치면 20 받침 다리부 440
탄성 블록 300 관통 구멍 310
상부 미끄럼 방지 돌출부 330 하부 미끄럼 방지 돌출부 340
결합용 하부 매트 블록 260 지지용 하부 매트 블록 270

Claims (14)

  1. 설치면 위에 형성되며, 표면에 복수개의 배수용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하부 매트 블록; 및
    상기 하부 매트 블록과 체결되며, 표면에 복수개의 배수용 관통 구멍이 상기 하부 매트 블록의 배수용 관통 구멍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상부 매트 블록;을 포함하는 조립식 매트로,
    상기 상부 및 하부 매트 블록은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매트 블록은 상기 설치면에 대해 마찰력을 제공하여 미끄러짐이 방지되도록 하는 합성 고무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매트 블록은, 상기 상부 매트 블록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상부 매트 블록의 배수용 관통 구멍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미끄럼 방지 돌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미끄럼 방지 돌출부는 대응하는 상기 상부 매트 블록의 배수용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 표면이 상기 상부 매트 블록 상부 표면 위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미끄럼 방지 돌출부의 수와 상기 하부 매트 블록의 배수용 관통 구멍의 수의 합은 상기 상부 매트 블록의 배수용 관통 구멍의 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매트 블록 각각은, 단일 블록의 경계를 형성하는 외곽 프레임 및 복수의 연결용 다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매트 블록의 연결용 다리부와 상기 하부 매트 블록의 연결용 다리부의 결합에 의해 상기 상부 매트 블록과 하부 매트 블록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매트.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 돌출부는 상기 하부 매트 블록과 동일한 재질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매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고무는 폐타이어 고무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매트.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매트 블록 각각은, 외각 프레임을 구성하는 4개의 측면 중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측면에 형성되는 연결용 고리 부재와, 나머지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측면에 형성되는 연결용 걸림 부재를 포함하며,
    서로 이웃하는 상부 매트 블록, 및 서로 이웃하는 하부 매트 블록은 각각,
    상기 연결용 고리 부재에 상기 연결용 걸림 부재가 결합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매트.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매트 블록과 하부 매트 블록은,
    각각의 외각 프레임을 구성하는 측면 중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측면이 적층 방향에서 겹쳐지지 않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매트.
  8. 설치면 위에 형성되며 상기 설치면에 대해 마찰력을 제공하는 기반층;
    상기 기반층 위에 형성되며, 표면에 복수개의 배수용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하부 매트 블록;
    상기 하부 매트 블록과 체결되며, 표면에 복수개의 배수용 관통 구멍이 상기 하부 매트 블록의 배수용 관통 구멍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상부 매트 블록; 및
    상기 상부 매트 블록과 하부 매트 블록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 매트 블록과 결합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매트 블록의 배수용 관통 구멍과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탄성 블록을 포함하는 조립식 매트로,
    상기 하부 매트 블록은 하부 표면으로부터 상기 기반층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받침 다리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하부 매트 블록의 하부 표면과 상기 기반층 표면은 상기 받침 다리부에 의해 서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매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매트 블록 각각은, 단일 블록의 경계를 형성하는 외곽 프레임 및 복수의 연결용 다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매트 블록의 연결용 다리부와 상기 하부 매트 블록의 연결용 다리부의 결합에 의해 상기 상부 매트 블록과 하부 매트 블록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매트.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블록은, 상기 상부 매트 블록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상부 매트 블록의 배수용 관통 구멍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상부 미끄럼 방지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 미끄럼 방지 돌출부는 대응하는 상기 상부 매트 블록의 배수용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 표면이 상기 상부 매트 블록 상부 표면 위로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 미끄럼 방지 돌출부의 수와 상기 탄성 블록의 관통 구멍의 수의 합은 상기 상부 매트 블록의 배수용 관통 구멍의 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매트.
  12. 설치면 위에 형성되며, 표면에 복수개의 배수용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하부 매트 블록;
    상기 하부 매트 블록 위에 형성되며, 표면에 복수개의 배수용 관통 구멍이 상기 하부 매트 블록의 배수용 관통 구멍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상부 매트 블록; 및
    상기 상부 매트 블록과 하부 매트 블록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 매트 블록과 결합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매트 블록의 배수용 관통 구멍과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탄성 블록;을 포함하는 조립식 매트로,
    상기 하부 매트 블록은 하부 표면으로부터 상기 설치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받침 다리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하부 매트 블록의 하부 표면과 상기 설치면은 상기 받침 다리부에 의해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 블록은, 상기 하부 매트 블록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하부 매트 블록의 배수용 관통 구멍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하부 미끄럼 방지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 미끄럼 방지 돌출부는 대응하는 상기 하부 매트 블록의 배수용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 표면이 상기 설치면과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매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블록은, 상기 상부 매트 블록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상부 매트 블록의 배수용 관통 구멍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상부 미끄럼 방지 돌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상부 미끄럼 방지 돌출부는 대응하는 상기 상부 매트 블록의 배수용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 표면이 상기 상부 매트 블록 상부 표면 위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매트.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매트 블록은 결합용 하부 매트 블록과 지지용 하부 매트 블록으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용 하부 매트 블록은 2개의 이웃하는 상부 매트 블록의 경계선이 중심에 위치하도록 2개의 이웃하는 상부 매트 블록의 경계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2개의 이웃하는 상부 매트 블록은 상기 결합용 하부 매트 블록을 사이에 두고 서로 결합되며,
    상기 지지용 하부 매트 블록은 2개의 결합용 하부 매트 블록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2개의 이웃하는 상부 매트 블록 중 하나의 상부 매트 블록의 중심 부분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매트.
KR2020120006916U 2012-08-01 2012-08-01 조립식 매트 KR2004679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916U KR200467911Y1 (ko) 2012-08-01 2012-08-01 조립식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916U KR200467911Y1 (ko) 2012-08-01 2012-08-01 조립식 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7911Y1 true KR200467911Y1 (ko) 2013-07-10

Family

ID=51392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6916U KR200467911Y1 (ko) 2012-08-01 2012-08-01 조립식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911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468B1 (ko) * 2015-09-23 2016-07-20 조길순 다층 구조를 갖는 매트리스
KR101695220B1 (ko) * 2016-04-28 2017-01-11 주식회사 필드원종합건설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의 제조 방법
KR101695216B1 (ko) * 2016-04-28 2017-01-12 주식회사 필드원종합건설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
JP2017128967A (ja) * 2016-01-22 2017-07-27 丸五ゴム工業株式会社 連結型マット及び連結型マットセット
KR20180027760A (ko) * 2016-09-07 2018-03-15 주식회사 발디디고 히팅 케이블이 내장된 따뜻한 탄성의자
KR20180043000A (ko) * 2016-10-19 2018-04-27 배주열 부스러기 수집 작업판
KR20180126665A (ko) * 2017-05-18 2018-11-28 주식회사 미도플러스 실내외 조립식 바닥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1589A (ja) * 1995-04-20 1996-11-05 Goto Concrete Kk 重ね合わせ型構築用基礎部材
KR200290346Y1 (ko) 2002-06-21 2002-09-27 주식회사 바이오인비텍 조립식 매트
JP3123213U (ja) * 2006-04-26 2006-07-06 ミヅシマ工業株式会社 床敷用マット
JP2007224670A (ja) 2006-02-26 2007-09-06 Mirai Ind Co Ltd 床材及び床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1589A (ja) * 1995-04-20 1996-11-05 Goto Concrete Kk 重ね合わせ型構築用基礎部材
KR200290346Y1 (ko) 2002-06-21 2002-09-27 주식회사 바이오인비텍 조립식 매트
JP2007224670A (ja) 2006-02-26 2007-09-06 Mirai Ind Co Ltd 床材及び床材装置
JP3123213U (ja) * 2006-04-26 2006-07-06 ミヅシマ工業株式会社 床敷用マット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468B1 (ko) * 2015-09-23 2016-07-20 조길순 다층 구조를 갖는 매트리스
JP2017128967A (ja) * 2016-01-22 2017-07-27 丸五ゴム工業株式会社 連結型マット及び連結型マットセット
KR101695220B1 (ko) * 2016-04-28 2017-01-11 주식회사 필드원종합건설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의 제조 방법
KR101695216B1 (ko) * 2016-04-28 2017-01-12 주식회사 필드원종합건설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
KR20180027760A (ko) * 2016-09-07 2018-03-15 주식회사 발디디고 히팅 케이블이 내장된 따뜻한 탄성의자
KR20180043000A (ko) * 2016-10-19 2018-04-27 배주열 부스러기 수집 작업판
KR20180126665A (ko) * 2017-05-18 2018-11-28 주식회사 미도플러스 실내외 조립식 바닥재
KR101979646B1 (ko) * 2017-05-18 2019-05-17 주식회사 미도플러스 실내외 조립식 바닥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7911Y1 (ko) 조립식 매트
US8683769B2 (en) Modular sub-flooring system
US6173548B1 (en) Portable multi-section activity floor and method of manufacture and installation
US9194136B2 (en) Recoiling energy absorbing system
JP2539276B2 (ja) 運動場床用モジュ―ルタイルの配列及びそれによる床表面
KR100975984B1 (ko) 조립식 운동장 바닥재 및 그 제조 방법
US9962878B2 (en) Multi-level unitary safety surface tiles
US10584498B2 (en) Floor panels
KR200472466Y1 (ko) 스포츠용 바닥재
EP2245243B1 (en) Slip-stop
KR100901434B1 (ko) 조립식 스포츠코트
KR20060127635A (ko) 스포츠 전용 실내외 바닥재
CN201526138U (zh) 一种悬浮式拼装地板
CN201695627U (zh) 运动地板
KR20130063956A (ko) 조립식 탄성바닥재
KR101109576B1 (ko) 경기장 바닥 시공구조
CN212271495U (zh) 双层地板
CN207314732U (zh) 防变形双层拼装地板
KR20170068110A (ko) 넥스트코트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의 제조방법
KR102152380B1 (ko) 인조잔디식재 및 조립이 용이한 잔디보호매트
FR2621056A1 (fr) Revetement de sol a structure composite destine notamment a la realisation de pistes ou surfaces de sport
KR100760539B1 (ko) 조립식 인공 암벽 구조물
CN221143405U (zh) 一种冰球专用悬浮拼装地板
KR101853415B1 (ko) 복합 암거패드
CN217419205U (zh) 一种新型拼装地板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