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9646B1 - 실내외 조립식 바닥재 - Google Patents

실내외 조립식 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9646B1
KR101979646B1 KR1020170061326A KR20170061326A KR101979646B1 KR 101979646 B1 KR101979646 B1 KR 101979646B1 KR 1020170061326 A KR1020170061326 A KR 1020170061326A KR 20170061326 A KR20170061326 A KR 20170061326A KR 101979646 B1 KR101979646 B1 KR 101979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elastic
body portion
drainag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1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6665A (ko
Inventor
김태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도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도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도플러스
Priority to KR1020170061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9646B1/ko
Publication of KR20180126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6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22Resiliently-mounted floors, e.g. sprung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5Underlayers in the form of studded or ribbed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또는 실외의 바닥에 조립 설치되어, 스포츠를 즐기는 이용자들에게 안전한 스포츠 활동을 기여할 수 있는 실내외 조립식 바닥재가 개시된다. 본 실내외 조립식 바닥재는, 외부 틀을 이루는 베이스 프레임의 내부에 일정 간격을 두는 수평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이 수평 및 수직하게 교차 배열되어 표면이 격자무늬로 형성되는 제1 본체부; 및 상기 제1 본체부의 하측에 마련되되, 상기 제1 본체부에 가해지는 하중으로부터 상기 제1 본체부를 지지하도록, 허니컴(Honeycomb)구조의 지지 프레임이 구비되는 제2 본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실내외 조립식 바닥재{Prefabricated flooring for indoor and outdoor}
본 발명은 실내외 조립식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 또는 실외의 바닥에 조립 설치되어, 스포츠를 즐기는 이용자들에게 안전한 스포츠 활동을 기여할 수 있는 실내외 조립식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스포츠, 레저 활동이 사회적으로 활성화되어 농구장, 족구장, 풋살 경기장, 테니스 코트, 다목적 경기장 등 다양한 종류의 스포츠 코트의 수요도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현재 대부분의 스포츠 코트는 흙, 콘크리트 바닥 또는 인조잔디 등의 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스포츠 코트의 재료 중 흙은 강우 시 빗물에 의해 유실되어 수시로 보수를 하여야 하고, 배수 문제로 인해 바로 사용이 제한되며, 콘크리트는 시공이 어렵고 재질의 특성상 이용자들의 부상을 유발할 위험이 크고, 인조잔디는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싸며 혹서기에는 이용자들이 화상을 당할 위험이 있다.
이에 따라, 스포츠 코트에 충격 흡수성, 유지 보수의 편리성, 시공성 등의 향상을 목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스포츠 코트용 조립식 바닥재가 보급되고 있으며, 특히, 플라스틱 사출에 의한 조립식 바닥재가 스포츠 코트의 대용품으로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 재질의 조립식 바닥재에 대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15-0124189호, 스포츠 코트용 조립식 바닥재'에 개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 타일은 적어도 두 개의 곡선이 교차하는 물결무늬가 내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격자무늬 패턴들로 구성된 사각형상의 프레임, 격자무늬 패턴의 꼭짓점 및 격자무늬 패턴 내부의 곡선들의 교차점으로부터 베이스 프레임의 하부면을 향하여 바닥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레그, 베이스 프레임의 인접한 두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측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인접한 타일과 연결시 대향되는 베이스 프레임의 측면 내부로 삽입 결합되는 연결부 및 베이스 프레임의 인접한 두 측면에 대응된 측면 내부에는 연결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부가 결합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결합부가 포함된다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상기의 선행문헌은 하나의 프레임으로만 스포츠를 즐기는 이용자의 하중을 지지하게 됨으로써, 스포츠를 즐기는 이용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력이 견고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의 선행문헌은 스포츠를 즐기는 이용자의 하중에 의한 충격력을 완화시키는 구성이 프레임에 구비되지 않아, 이용자의 동작 등에 따라 이용자의 충격 부상을 방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15-0124189호' : 스포츠 코트용 조립식 바닥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용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를 가지는 제1 본체부와 제2 본체부를 통해 이용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력이 강화된 실내외 조립식 바닥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탄성력을 가지는 제1 탄성부와 제2 탄성부를 통해 이용자의 하중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력을 완화시키는 실내외 조립식 바닥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실내외 조립식 바닥재는, 외부 틀을 이루는 베이스 프레임의 내부에 일정 간격을 두는 수평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이 수평 및 수직하게 교차 배열되어 표면이 격자무늬로 형성되는 제1 본체부; 및 상기 제1 본체부의 하측에 마련되되, 상기 제1 본체부에 가해지는 하중으로부터 상기 제1 본체부를 지지하도록, 허니컴(Honeycomb)구조의 지지 프레임이 구비되는 제2 본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실내외 조립식 바닥재는, 상기 제1 본체부의 하측에 복수로 형성되는 지지축에 끼움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의 사이에 마련되고, 탄성력을 가지는 복수의 산과 복수의 골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본체부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에 의한 충격력이 완화되도록 하는 제1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내외 조립식 바닥재는, 상기 복수의 골에 복수로 형성되는 홈을 관통하며, 상기 제2 본체부에 복수로 형성되는 홈에 인입되어, 상기 제1 탄성부와 상기 제2 본체부가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제1 본체부를 통과하여, 상기 복수의 산을 따라 상기 복수의 골로 유동되는 빗물이 하측으로 배수되도록 하는 배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수부는, 일부가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하중에 의해 축 길이가 축소됨으로써, 상기 제1 탄성부가 하측으로 유격되도록 하고, 상기 탄성 재질의 일부를 통해 상기 제1 탄성부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에 의한 충격력이 완화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부는, 상기 제2 본체부의 복수의 홈의 내경(內徑)에 맞닿는 외주연에 형성되는 돌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본체부는, 상기 복수의 홈의 내경에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재가 체결되도록 하되, 상기 돌출부재에 체결된 배수부가 상기 제1 본체부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에 의한 충격력에 의해 하측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하여, 상기 슬라이딩된 배수부의 하측의 끝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본체부는, 상기 배수부가 하측으로 슬라이딩 되기 전에 폐쇄되어, 상기 배수부에 빗물이 임시 저장되도록 하고, 상기 배수부가 하측으로 슬라이딩되면, 상기 하측으로 슬라이딩된 배수부의 하측의 끝단에 의해 개방되어, 상기 배수부에 임시 저장된 빗물이 하측으로 배수되도록 하는 덮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내외 조립식 바닥재는, 상기 제2 본체부의 하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본체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축이 탄성력을 가지게 됨으로써,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가 바닥을 기준으로 하여 수평 방향으로 평행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제2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본체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인접한 두 측면에 형성되어, 이웃하는 베이스 프레임과 결합되는 고리형 연결부; 및 상기 고리형 연결부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인접한 두 측면에 형성되어, 이웃한 베이스 프레임의 고리형 연결부와 연결되는 후크형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본체부는, 상기 수평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이 교차하는 지점에 인입되되, 상측에 노출되고, 고체 또는 액체 상태로 저장되는 염화 나트륨을 통해 미세 먼지가 흡착되도록 하는 흡착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본체부 및 상기 제2 본체부는, 바닥에 설치 및 상기 바닥으로부터 회수가 용이하도록, 서로 결합된 상태로 모듈화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실내외 조립식 바닥재에 따르면, 제1 본체부와 제2 본체부를 통해 스포츠를 즐기는 이용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력이 강화되도록 함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제1 탄성부와 제2 탄성부를 통해 하중에 의한 충격력이 완화되도록 함으로써, 스포츠를 즐기는 이용자가 점프 동작 등에 의한 충격에 의해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하고, 충격력에 의한 피로감이 상기의 이용자의 인체 내에 누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본체부와 제2 본체부가 구성된 실내외 조립식 바닥재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본체부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본체부에 형성된 지지축과 후크형 연결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탄성부, 배수부 및 제2 탄성부가 추가 구성된 실내외 조립식 바닥재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외 조립식 바닥재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부가 제1 탄성부와 제2 본체부에 인입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탄성부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부가 제1 탄성부와 제2 본체부에 인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부가 제1 본체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력에 의해 축 길이가 축소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부가 제1 탄성부에 인입 및 제2 본체부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부가 제1 본체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력에 의해 슬라이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흡착 필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본체부와 제2 본체부가 구성된 실내외 조립식 바닥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본체부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본체부에 형성된 지지축과 후크형 연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에 따른 실내외 조립식 바닥재는 이용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를 가지는 제1 본체부(100)와 제2 본체부(200)를 통해 이용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력이 강화된 조립식 바닥재이다.
또한, 실내외 조립식 바닥재는 탄성력을 가지는 제1 탄성부와 제2 탄성부를 통해 이용자의 하중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력을 완화시키는 조립식 바닥재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내외 조립식 바닥재는 제1 본체부(100) 및 제2 본체부(200)로 구성된다.
제1 본체부(100)는 스포츠를 즐기는 이용자의 하중이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바닥재로써, 표면이 격자무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본체부(100)의 표면이 격자무늬로 형성되는 것은, 제1 본체부(100)가 실외에 설치된 경우, 강우 시에 빗물이 제1 본체부(100)의 표면에 잔존되는 것을 방지하며, 빗물이 하측으로 유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제1 본체부(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10), 수평 프레임(120) 및 수직 프레임(130)이 마련된다.
베이스 프레임(110)은 제1 본체부(100)를 사각 형상으로 사출하기 위해, 외부 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수평 프레임(120)과 수직 프레임(130)은 베이스 프레임(110)의 내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 및 수직하게 교차 배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평 프레임(120)과 수직 프레임(130)이 베이스 프레임(110)에 교차 배열됨으로써, 제1 본체부(100)는 표면이 격자무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본체부(100)는 표면이 격자무늬로 형성됨에 따라, 스포츠를 즐기는 이용자가 운동 과정에서 제1 본체부(100)를 발로 가압하였을 때, 표면에 마찰력이 부가되어 운동 과정 중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미도시되었지만, 수평 프레임(120)과 수직 프레임(130)의 상측에는 실리콘 재질 등의 마찰계수가 높은 미끄럼 방지 돌기(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미끄럼 방지 돌기(미도시)가 마련되는 실내외 조립식 바닥재는 미끄럼 방지 돌기(미도시)가 마련되기 전의 실내외 조립식 바닥재보다 표면 마찰계수가 증가됨으로써, 실내외 조립식 바닥재가 농구, 족구, 테니스, 풋살 등과 같은 운동 과정 중에 마찰력이 요구되는 스포츠용 조립식 바닥재로 사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 본체부(100)는 지지축(140), 고리형 연결부(150) 및 후크형 연결부(160)가 더 마련된다.
지지축(140)은 수평 프레임(120)과 수직 프레임(130)의 교차 지점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형성되고, 후술될 제1 탄성부(300)이 관통되도록 함으로써, 후술될 제1 탄성부(300)가 제1 본체부(100)의 하측에 마련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후술될 제1 탄성부(300)는 지지축(140)이 관통되어, 단순히 제1 본체부(100)의 하측에 마련되는 것이 아니라, 제1 본체부(100)의 하측에 고정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는 미도시되었지만, 후술될 제1 탄성부(300)가 제1 본체부(100)의 하측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제1 본체부(100)와 후술될 제1 탄성부(300)는 나사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지지축(140)은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다르게, 모든 수평 프레임(120)과 수직 프레임(130)의 교차 지점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후술될 제1 탄성부(300)을 관통하는 위치와 대응되는 교차 지점으로부터 연장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본체부(100)는 지지축(140)을 통해 제2 본체부(200)가 구성되지 않아도, 실내 또는 실외의 바닥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축(140)은 바닥으로부터 제1 본체부(100)가 지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고리형 연결부(150)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인접한 두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프레임(110)의 측면 중 고리형 연결부(150)가 형성되지 않은 인접한 두 측면에는 후크형 연결부(16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10)의 측면에 고리형 연결부(150)와 후크형 연결부(160)가 형성되는 것은, 실내외 조립식 바닥재와 이웃하는 실내외 조립식 바닥재가 연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실내외 조립식 바닥재의 고리형 연결부(150)는 이웃하는 실내외 조립식 바닥재의 후크형 연결부(160)와 연결될 수 있고. 이웃하는 실내외 조립식 바닥재의 고리형 연결부(150)는 실내외 조립식 바닥재의 후크형 연결부(16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내외 조립식 바닥재를 실내 또는 실외에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확장시킬 수 있고, 이러한 방식으로 원하는 면적만큼 실내외 조립식 바닥재를 설치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제2 본체부(200)는 제1 본체부(100)의 하측에 마련되는 바닥재로써, 제1 본체부(100)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력이 보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본체부(200)는 상측에 지지 프레임(210)이 구비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210)은 제1 본체부(100)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력이 보강되도록 하는 허니컴(honeycomb)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첨언하여, 제1 본체부(100)와 제2 본체부(200)로 구성된 실내외 조립식 바닥재는 바닥에 설치 및 바닥으로부터 회수가 용이하도록 서로 결합된 상태로 모듈화될 수 있다.
그리고 모듈화된 실내외 조립식 바닥재는 후술될 제1 탄성부(300)이 구성에서 제외되기 때문에, 후술될 제1 탄성부(300)가 고정되도록 하는 지지축(140)은 구성에서 제외되거나, 제1 본체부(100)와 제2 본체부(200)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탄성부, 배수부 및 제2 탄성부가 추가 구성된 실내외 조립식 바닥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외 조립식 바닥재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부가 제1 탄성부와 제2 본체부에 인입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탄성부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내외 조립식 바닥재는 상술한 모듈화된 조립식 바닥재와 달리, 제1 탄성부(300), 배수부(400) 및 제2 탄성부(500)가 더 구성된다.
제1 탄성부(300)는 제1 본체부(100)의 하측과 맞닿게 되어 제1 본체부(100)를 지지하게 되되, 탄성력을 가지게 됨으로써, 탄성력을 통해 제1 본체부(100)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에 의한 충격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탄성부(300)는 제1 본체부(100)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에 의한 충격력을 완화시키기 위해, 탄성력을 가지는 복수의 산(301)과 복수의 골(302)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산(301)은 제1 탄성부(300) 중 상측으로 돌출된 부분으로, 제1 본체부(100)의 하측과 맞닿게 되어, 제1 본체부(10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산(301)은 제1 본체부(100)와 맞닿게 됨으로써, 제1 본체부(100)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에 의한 충격력이 우선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도면에는 미도시되었지만, 복수의 산(301)은 지지축(140)이 관통되도록 하기 위해, 지지축(140)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미세하게 작은 내경을 가지는 인입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축(140)이 복수의 산(301)을 관통하게 되면, 제1 탄성부(300)는 제1 본체부(100)의 하측에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골(302)은 제1 탄성부(300) 중 하측으로 돌출된 부분으로, 배수부(400)가 관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수의 골(302)에는 배수부(400)가 관통되도록 하기 위해, 배수부(400)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미세하게 작은 내경을 가지는 인입홈(303)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복수의 골(302)을 관통한 배수부(400)는 제2 본체부(200)에 형성되는 인입홀(201)에 인입될 수 있다.
배수부(400)는 복수의 골(302)에 형성된 인입홈(303)을 관통하며, 제2 본체부(200)의 인입홈(201)에 인입되고, 강우 시에 발생되는 빗물이 바닥으로 배수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수부(400)는 폭우 시 발생되는 빗물이 제1 본체부(100)를 통과하여 복수의 산(301)과 복수의 골(302)을 따라 유동되어, 내부 공간에 유입되도록 하고, 하측이 개방되어 있어 빗물이 바닥으로 배수되도록 할 수 있다.
도면에는 미도시되었지만, 배수부(400)는 단순히 인입홈(303)을 관통하는 것이 아니라, 인입홈(303)을 관통한 후에 제1 탄성부(3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탄성부(300)와 나사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배수부(400)는 빗물이 바닥으로 배수되도록 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제1 탄성부(300)를 관통하되, 제2 본체부(400)에 인입됨으로써, 제1 본체부(100)로부터 전달하는 하중에 의한 충격력으로부터 제1 본체부(100) 및 제1 탄성부(300)를 지지할 수 있다.
제2 탄성부(500)는 제1 본체부(100)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에 의한 충격력이 완화되도록 하기 위해, 제2 본체부(200)의 하측에 마련된다.
그리고 제2 탄성부(500)는 실내외 조립식 바닥재가 바닥을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평행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탄성부(500)는 제2 본체부(200)의 하측에 복수로 마련됨으로써, 불균일한 높낮이를 가지는 바닥에서도 실내외 조립식 바닥재가 수평 방향으로 평행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2 탄성부(500)는 상부 브라켓(510), 하부 브라켓(520) 및 스프링(530)이 마련된다.
상부 브라켓(510)은 제2 본체부(200)의 하측과 맞닿게 되어, 제1 본체부(100)로부터 하중에 의한 충격력이 전달될 수 있다.
하부 브라켓(520)은 바닥에 직접적으로 맞닿게 되고, 제1 본체부(100)로부터 하중에 의한 충격력이 전달될 수 있다.
스프링(530)은 상부 브라켓(510)과 하부 브라켓(520)에 각각 인입되되, 제1 본체부(100)로부터 하중에 의한 충격력이 전달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부 브라켓(510)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유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본체부(100), 제2 본체부(200), 제1 탄성부(300) 및 배수부(400)가 결합된 실내외 조립식 바닥재는 상측 또는 하측으로 유격될 수 있다.
도면에는 미도시되었지만, 상부 브라켓(510)의 하측과 하부 브라켓(520)의 상측에 각각 완화부재(미도시)가 마련됨으로써, 상부 브라켓(510)과 하부 브라켓(520)이 제1 본체부(100)로부터 절단되는 하중에 의한 충격력에 의해 밀착되게 유격되는 경우, 상부 브라켓(510)과 하부 브라켓(520)이 충돌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첨언하여, 제1 본체부(100), 제2 본체부(200), 제1 탄성부(300), 배수부(400) 및 제2 탄성부(500)로 구성된 실내외 조립식 바닥재는 바닥에 설치 및 바닥으로부터 회수가 용이하도록 서로 결합된 상태로 모듈화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부가 제1 탄성부와 제2 본체부에 인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부가 제1 본체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력에 의해 축 길이가 축소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배수부(400)는 도 4 내지 도 7에서 상술한 바와 달리, 배수부의 일부(400a)가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탄성부(300)과 제2 탄성부(500) 뿐만 아니라, 배수부(400)도 제1 본체부(100)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에 의한 충격력이 완화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수부(4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본체부(100)로부터 하중에 의한 충격력이 전달되는 경우, 탄성력을 가지는 배수부의 일부(400a)의 축소를 통해 축 길이가 축소됨으로써, 하중에 의한 충격력이 전달되는 면적이 감소되어, 제1 본체부(100)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에 의한 충격력이 완화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제1 본체부(100)에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제1 탄성부(300)가 하측으로 유격되되, 제2 본체부(200)와 이격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탄성 재질의 배수부의 일부(400a)를 통해 복수의 골(302)이 제2 본체부(200)의 상측과 맞닿게 될 수 있다.
이에, 제1 탄성부(300)는 제2 본체부(200)와 맞닿게 됨으로써, 제1 본체부(100)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력이 보강될 수 있다.
첨언하여, 도 8 및 도 9에서 상술한 탄성 재질의 배수부(400a)가 형성되는 조립식 바닥재는 실내 또는 실외의 장소와 상관없이 설치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부가 제1 탄성부에 인입 및 제2 본체부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부가 제1 본체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력에 의해 슬라이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배수부(400)는 도 4 내지 도 7 및 도 8 내지 도 9에서 상술한 바와 달리, 제1 본체부(100)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에 의한 충격력에 의해 제2 본체부(200)로부터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배수부(400)는 외주연에 돌출부재(41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재(410)는 배수부(400)가 슬라이딩 되도록 하기 위해, 제2 본체부(200)에 형성된 인입홈(201)의 내경과 맞닿게 될 수 있다.
한편, 제2 본체부(200)는 인입홈(201)의 내경에 돌출부재(410)가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부재(220)가 구비될 수 있다.
체결부재(220)가 돌출부재(410)와 체결되면, 배수부(400)는 제1 본체부(100)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에 의한 충격력에 의해 슬라이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본체부(200)는 제1 본체부(100)로부터 하중에 의한 충격력이 배수부(400)에 전달되는지 여부에 따라 배수부(400)에 유입되는 빗물이 임시 저장 또는 바닥으로 배수되도록 하기 위해, 하측에 덮개부재(230)가 마련될 수 있다.
덮개부재(230)는 배수부(400)에 유입되는 빗물이 임시 저장 또는 바닥으로 배수되도록 하기 위해, 배수부(400)가 인입된 인입홈(201)가 폐쇄 또는 개방되도록 하는 제2 본체부(200)의 하측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덮개부재(230)는 제1 본체부(100)로부터 하중에 의한 충격력이 배수부(400)에 전달되기 전까지, 배수부(400)에 빗물이 임시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덮개부재(230)는 배수부(400)가 제1 본체부(100)로부터 하중에 의한 충격력에 의해 슬라이딩 되기 전까지, 배수부(400)의 하측이 폐쇄되도록 함으로써, 배수부(400)에 유입되는 빗물이 임시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덮개부재(230)는 제1 본체부(100)로부터 하중에 의한 충격력이 배수부(400)에 전달되면, 배수부(400)에 임시 저장된 빗물이 바닥으로 배수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덮개부재(230)는 배수부(400)가 제1 본체부(100)로부터 하중에 의한 충격력에 의해 하측으로 슬라이딩되면, 배수부(400)의 하측이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배수부(400)에 임시 저장된 빗물이 바닥으로 배수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0 및 도 11에서 상술한 배수부(400)는 빗물이 임시 저장 또는 바닥으로 배수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됨으로써, 실내보다는 실외에 설치되는 조립식 바닥재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첨언하여, 도면에는 제1 본체부(100)에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제1 탄성부(300)가 하측으로 유격되되, 제2 본체부(200)와 이격된 상태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배수부(400)의 슬라이딩을 통해 복수의 골(302)이 제2 본체부(200)의 상측과 맞닿게 될 수 있다.
이에, 제1 탄성부(300)는 제2 본체부(200)와 맞닿게 됨으로써, 제1 본체부(100)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력이 보강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흡착 필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본체부(100)는 스포츠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운동 과정에서 발생되는 미세 먼지가 흡착되도록 하기 위해, 흡착 필터(17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흡착 필터(170)는 미세 먼지가 용이하게 흡착되도록 하기 위해, 수평 프레임(120)과 수직 프레임(130)이 교차하는 지점에 인입되되, 상측에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흡착 필터(170)는 스포츠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운동 과정에서 발생되는 미세 먼지가 흡착되도록 하기 위해, 고체 상태 또는 액체 상태의 염화 나트륨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미도시되었지만, 폭우 시 발생되는 빗물이 흡착 필터(170)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플레이트(미도시)가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흡착 필터(170)에 저장된 염화 나트륨이 빗물과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여, 흡착 필터(170)의 수명이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실내외 조립식 바닥재에 따르면, 제1 본체부와 제2 본체부를 통해 스포츠를 즐기는 이용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력이 강화되도록 함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제1 탄성부와 제2 탄성부를 통해 하중에 의한 충격력이 완화되도록 함으로써, 스포츠를 즐기는 이용자가 점프 동작 등에 의한 충격에 의해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하고, 충격력에 의한 피로감이 상기의 이용자의 인체 내에 누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제1 본체부 110: 베이스 프레임
120: 수평 프레임 130: 수직 프레임
140: 지지축 150: 고리형 연결부
160: 후크형 연결부 170: 흡착 필터
200: 제2 본체부 201: 인입홀
210: 지지 프레임 220: 체결부재
230: 덮개부재 300: 제1 탄성부
301: 산 302: 골
303: 인입홀 400: 배수부
410: 돌출부재 500: 제2 탄성부
510: 상부 브라켓 520: 하부 브라켓
530: 스프링

Claims (10)

  1. 외부 틀을 이루는 베이스 프레임의 내부에 일정 간격을 두는 수평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이 수평 및 수직하게 교차 배열되어 표면이 격자무늬로 형성되는 제1 본체부;
    상기 제1 본체부의 하측에 마련되되, 상기 제1 본체부에 가해지는 하중으로부터 상기 제1 본체부를 지지하도록, 허니컴(Honeycomb)구조의 지지 프레임이 구비되는 제2 본체부;
    상기 제1 본체부의 하측에 복수로 형성되는 지지축에 끼움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의 사이에 마련되고, 탄성력을 가지는 복수의 산과 복수의 골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본체부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에 의한 충격력이 완화되도록 하는 제1 탄성부; 및
    상기 복수의 골에 복수로 형성되는 홈을 관통하며, 상기 제2 본체부에 복수로 형성되는 홈에 인입되어, 상기 제1 탄성부와 상기 제2 본체부가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제1 본체부를 통과하여, 상기 복수의 산을 따라 상기 복수의 골로 유동되는 빗물이 하측으로 배수되도록 하는 배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조립식 바닥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는,
    일부가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하중에 의해 축 길이가 축소됨으로써, 상기 제1 탄성부가 하측으로 유격되도록 하고,
    상기 탄성 재질의 일부를 통해 상기 제1 탄성부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에 의한 충격력이 완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조립식 바닥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는,
    상기 제2 본체부의 복수의 홈의 내경(內徑)에 맞닿는 외주연에 형성되는 돌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본체부는,
    상기 복수의 홈의 내경에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재가 체결되도록 하되, 상기 돌출부재에 체결된 배수부가 상기 제1 본체부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에 의한 충격력에 의해 하측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하여, 상기 슬라이딩된 배수부의 하측의 끝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조립식 바닥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본체부는,
    상기 배수부가 하측으로 슬라이딩 되기 전에 폐쇄되어, 상기 배수부에 빗물이 임시 저장되도록 하고,
    상기 배수부가 하측으로 슬라이딩되면, 상기 하측으로 슬라이딩된 배수부의 하측의 끝단에 의해 개방되어, 상기 배수부에 임시 저장된 빗물이 하측으로 배수되도록 하는 덮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조립식 바닥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본체부의 하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본체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축이 탄성력을 가지게 됨으로써,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가 바닥을 기준으로 하여 수평 방향으로 평행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제2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조립식 바닥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인접한 두 측면에 형성되어, 이웃하는 베이스 프레임과 결합되는 고리형 연결부; 및
    상기 고리형 연결부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인접한 두 측면에 형성되어, 이웃한 베이스 프레임의 고리형 연결부와 연결되는 후크형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조립식 바닥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부는,
    상기 수평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이 교차하는 지점에 인입되되, 상측에 노출되고, 고체 또는 액체 상태로 저장되는 염화 나트륨을 통해 미세 먼지가 흡착되도록 하는 흡착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조립식 바닥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부 및 상기 제2 본체부는,
    바닥에 설치 및 상기 바닥으로부터 회수가 용이하도록, 서로 결합된 상태로 모듈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조립식 바닥재.
KR1020170061326A 2017-05-18 2017-05-18 실내외 조립식 바닥재 KR101979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326A KR101979646B1 (ko) 2017-05-18 2017-05-18 실내외 조립식 바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326A KR101979646B1 (ko) 2017-05-18 2017-05-18 실내외 조립식 바닥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6665A KR20180126665A (ko) 2018-11-28
KR101979646B1 true KR101979646B1 (ko) 2019-05-17

Family

ID=64561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1326A KR101979646B1 (ko) 2017-05-18 2017-05-18 실내외 조립식 바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96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949B1 (ko) 2020-06-08 2020-11-19 비아이랜드주식회사 롤스크린형 인조잔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942B1 (ko) * 2010-02-01 2010-07-29 주식회사 지앤지스포츠 인조잔디 운동장 시공용 배수시트
KR200467911Y1 (ko) * 2012-08-01 2013-07-10 이랜드체육산업 (주) 조립식 매트
KR101312049B1 (ko) 2010-11-02 2013-09-25 이화형 실내공기질을위한미장천연목재숯보드목질재료복합체의흡착흡음구조와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457B1 (ko) * 2007-11-21 2010-02-11 허영숙 보도 블록
KR101572964B1 (ko) 2014-04-28 2015-11-30 코스코디에스 주식회사 모듈 형태의 조립식 타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942B1 (ko) * 2010-02-01 2010-07-29 주식회사 지앤지스포츠 인조잔디 운동장 시공용 배수시트
KR101312049B1 (ko) 2010-11-02 2013-09-25 이화형 실내공기질을위한미장천연목재숯보드목질재료복합체의흡착흡음구조와제조방법
KR200467911Y1 (ko) * 2012-08-01 2013-07-10 이랜드체육산업 (주) 조립식 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949B1 (ko) 2020-06-08 2020-11-19 비아이랜드주식회사 롤스크린형 인조잔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6665A (ko) 2018-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49645C2 (ru) Синтетическая напольная плитка, имеющая частично податливую опорную конструкцию
KR200472466Y1 (ko) 스포츠용 바닥재
US20180010345A1 (en) Shock absorbing interlocking floor system
KR101689809B1 (ko) 스포츠 코트용 조립식 바닥재
US20100107522A1 (en) Synthetic support base for modular flooring
KR101979646B1 (ko) 실내외 조립식 바닥재
WO2011131182A2 (de) Verlegeplatte
KR100901434B1 (ko) 조립식 스포츠코트
CN201525996U (zh) 一种悬浮式拼装地板
DK2189189T3 (en) Trampoline
KR100621678B1 (ko) 인조잔디 운동장용 배수블록 설치 방법
CN102166413B (zh) 户外用多功能路径轨道棋棋盘
KR200449138Y1 (ko) 목재 결속용 고정구
KR102249169B1 (ko) 인조잔디용 충격흡수 배수판
KR20170068108A (ko) 넥스트코트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
DE102010016570A1 (de) Verlegeplatte
CN206071122U (zh) 一种带通风玻璃屋顶的风雨操场建筑
KR101109576B1 (ko) 경기장 바닥 시공구조
KR20220051452A (ko) 충격 완충패드를 구비한 인조잔디 시스템
KR200487143Y1 (ko) 경기장용 바닥재
KR20060036693A (ko) 조립식 마루 구조물의 결합구조
KR101246028B1 (ko) 모래놀이터
KR200359294Y1 (ko) 배수판
CN202044753U (zh) 一种户外用多功能路径轨道棋棋盘
KR20230119987A (ko) 투수형 친환경 놀이시설 탄성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