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9294Y1 - 배수판 - Google Patents

배수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9294Y1
KR200359294Y1 KR20-2004-0015176U KR20040015176U KR200359294Y1 KR 200359294 Y1 KR200359294 Y1 KR 200359294Y1 KR 20040015176 U KR20040015176 U KR 20040015176U KR 200359294 Y1 KR200359294 Y1 KR 2003592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rainage plate
side portion
ground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51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준영
Original Assignee
허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준영 filed Critical 허준영
Priority to KR20-2004-00151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92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92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92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2Foundations, e.g. with drainage or heat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04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allowing veget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404Drainage on the roof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의 옥상, 지하주차장, 인공지반 상부조경공사, 운동장 지반공사, 각종 지반 안전공사와 같은 슬래브 위에 각종 식물을 조성할 때 기층에 깔아서 배수가 용이하도록 하고 건물의 지하에 위치되는 최하층 바닥에서 침투되는 용출수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 배수판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판체의 상판 하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받침부가 형성되고 측면부에 다수의 연결돌기와 연결홈이 형성된 배수판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의 연결돌기를 내측이 빈 공간부가 형성되게 구성하고, 측면부에 상기 받침부의 반쪽 형상의 받침턱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으로, 측면에 받침턱을 배수판 저면에 형성되는 받침부와 같은 길이로 형성하므로 배수판의 가장자리를 받침턱이 지지해주므로 설치 작업시 작업자가 배수판의 가장자리를 밟더라도 배수판이 기울거나 뒤집힐 염려가 없으며, 그로 인해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으며, 또한 연결돌기의 내측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연결돌기의 탄성으로 연결홈에 끼우기가 용이하고 끼운 후 분리가 잘되지 않고 견고하게 연결되는 등 여러 효과가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배수판{Draining plate}
본 고안은 표면 배수를 원활히 하기 위한 배수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건물의 옥상, 지하주차장, 인공지반 상부조경공사, 골프장, 테니스 코트 등의 운동장 지반공사, 해안 매립지 조경 지반공사 등 각종 지반 안전공사와 같은 슬래브 위에 잔디나 각종 식물을 조성할 때 기층에 깔아서 배수가 용이하도록 하고 건물의 지하에 위치되는 벽체와 최하층 바닥에서 침투되는 용출수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 배수판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도시의 과밀화, 토지 가격의 상승에 편승하여 건물의 토지 이용도가 한계에 다하고 있으며, 녹색 지대가 점점 사라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도시 환경 문제나 쾌적한 설비를 배경으로 하여 옥상에 수목 등의 식물을 재배하는 옥상 원예가 주목받고 있으며, 또한 그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기층에 깔아 배수를 원활하게 하고 지하의 용출수를 처리하기 위한 여러 종류의 배수판이 개발되어 상용되고 있다. 이러한 배수판들의 대부분이 하부의 받침부에 의해 일정 높이를 갖는 판넬식으로 구성되어 전후좌우로 연결하여 사용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 받침부가 가장자리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아 배수판 설치 작업중 작업자가 배수판의 가장자리를 밟을 경우 배수판이 뒤집히거나 기울게되어 작업자가 다치게 되는 등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배수판의 가장자리 하부에도 받침부를 형성하여 작업자가 배수판의 가장자리를 밟더라도 배수판이 뒤집히거나 기우는 일이 발생하지 않아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되고, 연결부위가 견고하게 연결되게 한 배수판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단면설명도.
도 3 은 본 고안의 연결부위 단면설명도.
도 4a 는 도 3의 A부분 평면설명도.
도 4b 는 도 3의 A부분 단면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판체,
11: 상판,
12: 받침부,
13: 연결돌기,
14: 연결홈,
15: 받침턱,
16: 요입부,
17: 공간부
본 고안은 판체의 상판 하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받침부가 형성되고 측면부에 다수의 연결돌기와 연결홈이 형성된 배수판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의 연결돌기를 내측이 빈 공간부가 형성되게 구성하고, 측면부에 상기 받침부의 반쪽 형상의 받침턱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배수판의 요지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판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판의 단면설명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판의 연결부위 단면설명도이고, 도 4a 는 도 3의 A부분 평면설명도이고, 도 4b 는 도 3의 A부분 단면설명도이다.
본 고안은 판체(1)의 상판(11) 하부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받침부(12)가 형성되고, 측면부에는 각 측면부의 연결돌기(13)와 연결홈(14) 및 받침턱(15)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돌기(13)는 일측 측면부에만 형성되고 나머지 측면부에는 연결홈(14)이 형성되고 4모서리에 요입부(16)를 형성한다.
상기 연결돌기(13)는 내측에 빈 공간부(17)가 형성되게 구성되며, 상기 받침턱(15)은 상기 받침부(12)의 반쪽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판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배수판은 각각의 판체(1)의 연결돌기(13)를 연결홈(14)에 끼워 연결하는 것으로 도 4의 도시와 같이 연결되는 것이다.
여기서 연결돌기(13)를 연결홈(14)에 연결할 때 연결돌기(13)의 내측이 빈 공간부(15)가 형성되어 있어 연결돌기(13)에 탄성이 형성되므로 연결홈(14)에 연결돌기(13)를 끼울 때 용이하게 끼울 수 있으며, 끼워진 후 연결돌기(13)의 탄성으로 연결홈(14)에서 이탈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견고하게 연결되는 것이다.한편 하절기에 배수판을 시공할 때는 배수판이 팽창되어 배수판의 연결부위가 융기하여 꺾이는 일이 발생하여 재시공을 해야 했으나 본 고안의 배수판은 연결돌기(13)의 내측에 빈공간부(15)가 형성되어 있어 배수판이 팽창되어도 빈공간부(15)가 배수판이 팽창되는 정도를 흡수하므로 연결부위가 융기되어 꺾이는 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절기에는 수축되는 배수판의 수축정도를 빈공간부(15)가 흡수하여 조립작업이 용이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연결하면서 바닥면에 설치하는 것으로 받침부(12)에 의해 바닥으로부터 일정 간격이 떨어지게 설치되고 받침턱(15)이 측면부에 받침부(12)와 같은 길이로 구성된 것으로 설치 작업시 작업자가 판체(1)의 가장자리를 밟더라도 받침턱(15)이 바닥에 지지되어 있어 뒤집히거나 기울지 안아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태양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판은 배수판의 측면에 받침턱을 배수판 저면에 형성되는 받침부와 같은 길이로 형성하므로 배수판의 가장자리를 받침턱이 지지해주므로 설치 작업시 작업자가 배수판의 가장자리를 밟더라도 배수판이 기울거나 뒤집힐 염려가 없으며, 그로 인해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으며, 또한 연결돌기의 내측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연결돌기의 탄성으로 연결홈에 끼우기가 용이하고 끼운 후 분리가 잘되지 않고 견고하게 연결되는 등 여러 효과가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판체의 상판 하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받침부가 형성되고 측면부에 다수의 연결돌기와 연결홈이 형성된 배수판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의 연결돌기를 내측이 빈 공간부가 형성되게 구성하고, 측면부에 상기 받침부의 반쪽 형상의 받침턱을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판.
KR20-2004-0015176U 2004-05-31 2004-05-31 배수판 KR2003592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5176U KR200359294Y1 (ko) 2004-05-31 2004-05-31 배수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5176U KR200359294Y1 (ko) 2004-05-31 2004-05-31 배수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9294Y1 true KR200359294Y1 (ko) 2004-08-16

Family

ID=49435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5176U KR200359294Y1 (ko) 2004-05-31 2004-05-31 배수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929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119B1 (ko) 2007-03-13 2008-03-17 강기원 실내·외 정원용 배수판
KR102180813B1 (ko) * 2020-05-20 2020-11-20 주식회사 필드테크 일체형 배수판과 이를 사용한 모듈형 배수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119B1 (ko) 2007-03-13 2008-03-17 강기원 실내·외 정원용 배수판
KR102180813B1 (ko) * 2020-05-20 2020-11-20 주식회사 필드테크 일체형 배수판과 이를 사용한 모듈형 배수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29544T3 (es) Dispositivo de reglaje de inclinacion superficial de construccion sobre pies de apoyo.
ES2271035T3 (es) Conducto de desague con una cubierta.
KR101938795B1 (ko) 인조잔디의 탄성패드를 이용한 배수판
KR101132405B1 (ko) 녹지조성용 저배수 조립체
KR200359294Y1 (ko) 배수판
EP2245243B1 (en) Slip-stop
KR200358886Y1 (ko) 배수판
KR101993519B1 (ko) 인접구역간의 경계가이드 구조체
KR20130015926A (ko) 평판형 원형 수로관
KR101404124B1 (ko) 완충 및 잔디 식생이 가능한 식생블록
KR100523965B1 (ko) 건축용 조경블럭
CN207619762U (zh) 一种海绵城市路面
KR20190077822A (ko) 비점 오염 유출 저감과 빗물을 침투 저장하는 천연잔디 식생 보호매트
KR200461229Y1 (ko) 식생 옹벽블록
CN201109895Y (zh) 人行步道砖固定装置
CN212505705U (zh) 一种扁盒式人造草坪块
JP3984423B2 (ja) 花壇外周縁部区画用エッジ材及びその連結部材
JP3283453B2 (ja) 屋上緑化用仕切構造
KR200369540Y1 (ko) 벌집형 조립식 저류 식생매트
KR200231218Y1 (ko) 녹지조성용 배수판
KR101064535B1 (ko) 잔디보호블록
KR102036903B1 (ko) 지지력이 좋은 토사유출 방지구
KR200392392Y1 (ko) 화단 조경용 경계블록
CN218374467U (zh) 一种预埋不锈钢的卫生间反坎结构
CN217000071U (zh) 一种隐形溢流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