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143Y1 - 경기장용 바닥재 - Google Patents

경기장용 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143Y1
KR200487143Y1 KR2020170000137U KR20170000137U KR200487143Y1 KR 200487143 Y1 KR200487143 Y1 KR 200487143Y1 KR 2020170000137 U KR2020170000137 U KR 2020170000137U KR 20170000137 U KR20170000137 U KR 20170000137U KR 200487143 Y1 KR200487143 Y1 KR 2004871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main body
cut
bar
fin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01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2184U (ko
Inventor
김권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엔에스아이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엔에스아이엔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엔에스아이엔티
Priority to KR20201700001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143Y1/ko
Publication of KR201800021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1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1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14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경기장용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경기장 바닥의 시공성을 높이면서도 친환경적으로 시공함과 아울러 조립식 바닥재를 이용하여 바닥에 탄력을 줌으로써 사용자 보호 및 경기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기존의 미끄럼 방지 구조와는 전혀 다른 신개념의 미끄럼 방지를 구현토록 하면서도 사출시 및 시공후 계절마다의 온도변화에 따른 평탄도의 불완전성을 최소화하면서 조립 및 해체를 용이하게 한 경기장용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해결적 수단은,
"정사각 형상으로 최외각에는 구획벽(10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획벽(100) 상면 내측으로는 구획리브(110)가 격자형상으로 이루어져 다수개의 정사각 형상의 셀(120)을 형성하며 상기 셀(120) 중앙에는 허니콤 프레임(121)이 구비되고 상기 허니콤 프레임(121)의 외주면에서 상기 구획리브(110) 내측까지 8방향으로 연결되는 연결리브(122)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리브(122) 사이 및 허니콤 프레임 중앙에는 배수용 관통홀(123)이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구획벽(100) 하면 내측으로는 상기 셀(120)의 모서리 마다 탄성력을 갖는 완충봉(13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구획벽(100) 4변중 연결된 'ㄴ' 2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중앙에는 양측에 형성된 체결브라켓(140)보다 상대적으로 큰 체결브라켓(140)이 형성되어 있고, 반면에 상기 구획벽(100) 4변중 또 다른 'ㄴ' 2변에는 상기 체결브라켓(140)이 체결토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절개된 절개면(150)이 형성되어 있는 바닥재 본체부(10)와 직사각 형상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길이방향 즉, 가로방향 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중앙에는 양측에 형성된 체결브라켓(140)보다 상대적으로 큰 체결브라켓(140)이 형성되어 있고 반면에 세로방향 일면에는 돌출부(200)가 타면에는 삽입부(210)가 형성되어 있는 제1 마감 본체부(20)와 직사각 형상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길이방향 즉, 가로방향 면에는 상기 체결브라켓(140)이 체결토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절개된 절개면(150)이 형성되어 있으며 세로방향 외측 일면에는 돌출부(200)가 타면에는 삽입부(210)가 형성되어 있는 제2 마감 본체부(30)와 상기 제1 마감본체부(20)와 제2 마감본체부(30)의 모서리 부위를 커버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측에는 상기 돌출부(200)를 감싸는 마감삽입부(400)가 타측에는 상기 삽입부(210)에 삽입되는 마감돌출부(410)로 이루어진 모서리 본체부(40)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바닥재 본체부(10)은 상기 각각의 절개면(150) 내측에는 절개면(150)의 폭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간격을 두고 있는 체결바(160)가 상기 구획리브(110)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바(160)가 형성되어 있는 구획리브(110) 가로방향으로는 받침바(17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받침바(170) 내측에는 상기 완충봉(130)에 밀림방지판(180)이 복수개 이상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 마감 본체부(30)는 상기 각각의 절개면(150) 내측에는 절개면(150)의 폭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간격을 두고 있는 체결바(16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바(160) 내측으로는 가로방향으로 받침바(17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받침바(170) 내측에는 밀림방지판(180)이 복수개 이상 구비되어 있고,
상기 체결브라켓(140)은 간격을 유지한 세로바(141) 사이에는 상기 세로바(141)와 단턱(142)을 이루는 판재(143)가 구비되어 있되 상기 세로바(141) 끝단에 일체로 구비된 가로판재(144)와 상기 판재(143)간에는 천공부(14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바(160)의 상단 일측은 경사면(162)을 이룸과 동시에 절곡되어 상측으로 경사진 걸림부(16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장용 바닥재"를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경기장용 바닥재{Flooring for stadiums}
본 고안은 경기장용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경기장 바닥의 시공성을 높이면서도 친환경적으로 시공함과 아울러 조립식 바닥재를 이용하여 바닥에 탄력을 줌으로써 사용자 보호 및 경기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기존의 미끄럼 방지 구조와는 전혀 다른 신개념의 미끄럼 방지를 구현토록 하면서도 사출시 및 시공후 계절마다의 온도변화에 따른 평탄도의 불완전성을 최소화하면서 조립 및 해체를 용이하게 한 경기장용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근래 생활 체육이 활성화되면서 공원 또는 아파트 단지 내에 크고 작은 여려 형태의 스포츠 시설들이 많이 만들어지고 있다.
현재 실외 스포츠 시설들 바닥의 대부분은 흙이나 콘크리트 바닥, 또는 일부 인조잔디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바닥 형태들 중 흙은 강우시 유실되어 수시로 보수를 해야 하는 문제가 있고, 콘크리트는 재질의 특성상 이용자들의 부상을 유발할 가능성이 크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인조잔디는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싸고 혹서기에 화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하부에 배치되는 폐 고무로부터 중금속이나 발암물질 등이 유출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에 시공되는 경기장 바닥의 바닥재 또는 주변 조립재 등이 친환경 제품이 아니기 때문에 경기장 바닥의 철거시 토양을 오염시키거나 폐기물로 인해 환경을 오염시키게 되고, 종래의 경기장 바닥 시공구조는 시공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그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많은 비용과 노력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최근 플라스틱 재료를 이용한 바닥재가 개발 및 설치되고 있지만, 그러한 플라스틱 바닥재 역시 부상의 위험성이 높고, 설치 및 보수가 어려우며, 공해물질이나 발암물질 발생 등의 문제들이 여전히 존재하며, 또한 종래에 시공되는 경기장 바닥의 경우 시공된 테두리를 안정되게 잡아주지 못하기 때문에 바닥이 들뜨거나 쉽게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고, 종래에 시공되는 경기장 바닥 또는 놀이시설 바닥에 쿠션재를 덮는 경우 이러한 쿠션재는 비위생적이고 수명이 짧아 관리에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로서는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374096호 고안의 명칭' 스포츠 시설용 탄성바닥재'의 기술적 요지는,
인체에 유해한 중금속 물질을 함유하지 않으며, 성형 완료된 매트 타입의 탄성 바닥재를 사용하여 우수한 내구성 및 균일한 탄성 등의 품질 관리가 용이해지고, 인체 공학적인 그물 모양 구조(Reticular structure)로 탁월한 반발 탄성력과 우수한 충격 흡수력을 가지며, 경기자들의 인체 공학적 특성에 맞는 구조로 스프링 효과를 제공하여 경기자에게 최상의 경기력을 제공할 수 있는 스포츠 시설용 탄성 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인 구성은, 상단부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주름진 형태를 가지며 평면상에서 연장되어 구비되는 트레드 층; 및 상기의 트레드 층과 탄성 바닥재가 설치될 기초사이에 놓여져 탄성 부재의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의 트레드 층의 하단부로부터 돌출되어 구비되는 지지 구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시설용 탄성 바닥재를 제공한다.
또 다른 종래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127635호 고안의 명칭 '스포츠전용 실내외 바닥재'의 기술적 요지는,
인라인 롤러 스케이트를 이용하여 하키 게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경기장의 바닥재를 구성함에 있어서, 합성수지로 제조된 바닥판의 하단 가장자리에 소정 간격으로 하향 돌출된 결속구 및 하단 전체 면에 수 개의 자석을 설치하고, 상기 바닥판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연결바에 결속구가 삽탈 가능한 결속체를 구비하되, 상기 연결바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되고 상기 바닥판은 열십자로 절개되어서 각 절개부에 지그재그 형태로 되고 부분 접점을 이룬 지지스프링 및 리브스프링을 각각 설치함으로써, 조립성이 양호하고 부분적인 개/보수가 용이함은 물론, 자외선에 의한 열 변형 요인에 의해서 바닥판이 휘거나 뒤틀리지 않고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스포츠 전용 실내외 바닥재를 지공하며, 또한 스포츠 전용 실내외 바닥재를 인라인 하키 바닥재로 사용하는 경우 바닥판 상단에 촘촘한 간격의 배수홈을 설치하여 빗물의 신속한 배수가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인라인 휠(WHEEL)의 미끄럼을 방지하고, 퍽(PUCK) 내부에 상기 바닥판 하단에 설치된 자석과 동일한 극성의 자석을 장착하여 자석간의 척력으로 바닥판과 퍽의 마찰력을 감소시켜서 아이스 하키 이상의 퍽 이동 속도를 가질 수 있게 한 스포츠 전용 실내외 바닥재를 제공한다.
상기 종래기술은 모두 경기장용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 동일, 유사한 기술 분야에 속하지만,
상기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374096호의 경우는 트레이층에 배수공이 구비되지 아니하고, 조립구조가 불명확하며 조립체로서 다수개가 조립되어 형성된 점을 확인할 수 없으며 특히, 마감부재의 부재로 인해 최외곽이 바닥면과 단턱이 지도록 형성됨으로서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존재하는 것으로서 미끄럼 방지를 위한 방안은 마련되어 있고 탄성력이라는 측면에는 우수성을 인정할 수 있으나 배수나 설치의 간편성 및 조립 해체의 편리성 기타 안전성등에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며,
상기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127635호의 경우는 분절된 4개의 판재 하부에 리브스프링이 구비되어 일체로 된 바닥재를 형성하고 이와 같이 형성된 분절된 4개의 판재와 또 다른 분절된 4개의 판재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연결바를 구비하여야 하는 조립 및 해체의 번거로움과 구성의 복잡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실용문헌 0001) 한국실용신안등록 제 20-0374096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06-127635호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경기장 바닥 또는 놀이시설 바닥을 탄성수단을 갖는 바닥재를 간편하게 조립하거나 해체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과 시공후 유지 및 보수가 편리하게 하는 바닥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으며,
또한, 조립식 바닥재를 이용하여 경기장 바닥을 친환경적으로 시공함으로써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경기장 바닥의 외곽을 견고하게 시공함으로써 바닥재 또는 모래의 유실을 막아줄 수 있고 시공시 수평, 균일하게 시공함으로써 사용자 보호 및 경기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바닥재를 제공하는 또 다른 목적이 있으며,
다음, 미끄럼 방지수단을 기존 기술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개념으로 구성함으로서 이에 따른 경제성 및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는 바닥재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으며,
다음, 사출시 및 시공후 계절에 따라 온도차에 의해 바닥재의 변형으로 인한 불균형한 수평면 즉, 평탄도의 불완전성을 최소화 함으로서 내구성이 향상되고 안전성이 향상토록 한 바닥재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정사각 형상으로 최외각에는 구획벽(10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획벽(100) 상면 내측으로는 구획리브(110)가 격자형상으로 이루어져 다수개의 정사각 형상의 셀(120)을 형성하며 상기 셀(120) 중앙에는 허니콤 프레임(121)이 구비되고 상기 허니콤 프레임(121)의 외주면에서 상기 구획리브(110) 내측까지 8방향으로 연결되는 연결리브(122)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리브(122) 사이 및 허니콤 프레임 중앙에는 배수용 관통홀(123)이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구획벽(100) 하면 내측으로는 상기 셀(120)의 모서리 마다 탄성력을 갖는 완충봉(13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구획벽(100) 4변중 연결된 'ㄴ' 2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중앙에는 양측에 형성된 체결브라켓(140)보다 상대적으로 큰 체결브라켓(140)이 형성되어 있고, 반면에 상기 구획벽(100) 4변중 또 다른 'ㄴ' 2변에는 상기 체결브라켓(140)이 체결토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절개된 절개면(150)이 형성되어 있는 바닥재 본체부(10)와 직사각 형상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길이방향 즉, 가로방향 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중앙에는 양측에 형성된 체결브라켓(140)보다 상대적으로 큰 체결브라켓(140)이 형성되어 있고 반면에 세로방향 일면에는 돌출부(200)가 타면에는 삽입부(210)가 형성되어 있는 제1 마감 본체부(20)와 직사각 형상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길이방향 즉, 가로방향 면에는 상기 체결브라켓(140)이 체결토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절개된 절개면(150)이 형성되어 있으며 세로방향 외측 일면에는 돌출부(200)가 타면에는 삽입부(210)가 형성되어 있는 제2 마감 본체부(30)와 상기 제1 마감본체부(20)와 제2 마감본체부(30)의 모서리 부위를 커버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측에는 상기 돌출부(200)를 감싸는 마감삽입부(400)가 타측에는 상기 삽입부(210)에 삽입되는 마감돌출부(410)로 이루어진 모서리 본체부(40)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바닥재 본체부(10)은 상기 각각의 절개면(150) 내측에는 절개면(150)의 폭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간격을 두고 있는 체결바(160)가 상기 구획리브(110)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바(160)가 형성되어 있는 구획리브(110) 가로방향으로는 받침바(17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받침바(170) 내측에는 상기 완충봉(130)에 밀림방지판(180)이 복수개 이상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 마감 본체부(30)는 상기 각각의 절개면(150) 내측에는 절개면(150)의 폭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간격을 두고 있는 체결바(16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바(160) 내측으로는 가로방향으로 받침바(17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받침바(170) 내측에는 밀림방지판(180)이 복수개 이상 구비되어 있고,
상기 체결브라켓(140)은 간격을 유지한 세로바(141) 사이에는 상기 세로바(141)와 단턱(142)을 이루는 판재(143)가 구비되어 있되 상기 세로바(141) 끝단에 일체로 구비된 가로판재(144)와 상기 판재(143)간에는 천공부(14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바(160)의 상단 일측은 경사면(162)을 이룸과 동시에 절곡되어 상측으로 경사진 걸림부(16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장용 바닥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경기장용 바닥재는, 경기장 바닥 또는 놀이시설 바닥을 수평되게 균일하게 시공함으로써 바닥의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탄성수단을 갖는 바닥재로 시공하여 바닥에 탄력을 줌으로써 사용자 보호 및 경기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경기장 바닥 시공시 바닥재를 간편하게 조립하거나 해체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인 시공과 시공후 유지 및 보수가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고, 조립식 바닥재를 이용하여 경기장 바닥을 친환경적으로 시공함으로써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경기장 바닥의 외곽을 견고하게 시공함으로써 바닥재 또는 모래의 유실을 막아줄 수 있고 특히, 계절에 따라 온도차에 의해 바닥재의 변형으로 인한 불균형한 수평면을 최소화하며 또한, 기존의 미끄럼 방지수단과 그 개념적 측면에서 전혀 다른 형태인 표면 단차를 차별화함으로서 미끄럼 방지를 가능하도록 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인 경기장용 바닥재의 일면을 표현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경기장용 바닥재의 타면을 표현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경기장용 바닥재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경기장용 바닥재의 저면도,
도 5는 본 고안인 경기장용 바닥재의 일부 결합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인 경기장용 바닥재의 저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인 경기장용 바닥재에 있어서 일부 결합을 나타내는 저면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인 경기장용 바닥재에 있어서 도 7에서 요부 결합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인 경기장용 바닥재에 있어서 제2 마감본체부의 평면 및 저면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인 경기장용 바닥재에 있어서 제1 마감본체부의 평면 및 저면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인 경기장용 바닥재에 있어서 바닥재 본체부와 제1, 제2 마감본체부 및 모서리 본체부가 전체적으로 결합된 상태의 일요부를 나타낸 일요부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고안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 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경기장용 바닥재의 일면을 표현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인 경기장용 바닥재의 타면을 표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인 경기장용 바닥재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인 경기장용 바닥재의 저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인 경기장용 바닥재의 일부 결합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인 경기장용 바닥재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인 경기장용 바닥재에 있어서 일부 결합을 나타내는 저면 분리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인 경기장용 바닥재에 있어서 도 7에서 요부 결합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인 경기장용 바닥재에 있어서 제2 마감본체부의 평면 및 저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인 경기장용 바닥재에 있어서 제1 마감본체부의 평면 및 저면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고안인 경기장용 바닥재에 있어서 바닥재 본체부와 제1, 제2 마감본체부 및 모서리 본체부가 전체적으로 결합된 상태의 일요부를 나타낸 일요부 사시도이다.
지시부호 10은 바닥재 본체부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사각 형상으로 최외각에는 구획벽(10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획벽(100) 상면 내측으로는 구획리브(110)가 격자형상으로 이루어져 다수개의 정사각 형상의 셀(120)을 형성하며 상기 셀(120) 중앙에는 허니콤 프레임(121)이 구비되고 상기 허니콤 프레임(121)의 외주면에서 상기 구획리브(110) 내측까지 8방향으로 연결되는 연결리브(122)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리브(122) 사이 및 허니콤 프레임 중앙에는 배수용 관통홀(123)이 천공되어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획벽(100) 하면 내측으로는 상기 셀(120)의 모서리 마다 탄성력을 갖는 완충봉(13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구획벽(100) 4변중 연결된 'ㄴ' 2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중앙에는 양측에 형성된 체결브라켓(140)보다 상대적으로 큰 체결브라켓(140)이 형성되어 있고, 반면에 상기 구획벽(100) 4변중 또 다른 'ㄴ' 2변에는 상기 체결브라켓(140)이 체결토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절개된 절개면(15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절개면(150) 내측에는 절개면(150)의 폭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간격을 두고 있는 체결바(160)가 상기 구획리브(110)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바(160)가 형성되어 있는 구획리브(110) 가로방향으로는 받침바(17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받침바(170) 내측에는 상기 완충봉(130)에 밀림방지판(180)이 복수개 이상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브라켓(140)은 간격을 유지한 세로바(141) 사이에는 상기 세로바(141)와 단턱(142)을 이루는 판재(143)가 구비되어 있되 상기 세로바(141) 끝단에 일체로 구비된 가로판재(144)와 상기 판재(143)간에는 천공부(14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바(160)의 상단 일측은 경사면(162)을 이룸과 동시에 절곡되어 상측으로 경사진 걸림부(16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획리브(110)에 의해 이루어진 셀(120)의 구성부분인 상기 허니콤 프레임(121)이 높이와 상기 구획리브(110)의 높이가 동일하고 상대적으로 상기 연결리브(122)의 높이를 낮게 형성하여 표면단차를 형성하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표면단차를 형성토록 한 것은 기존의 미끄럼 방지수단으로서 요철돌기 등등을 다수개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이에 대한 안전사고 즉, 사용자 특히 유소년 등에서 자주 발생되는 찰과상 등의 위험을 해소하고 구조적인 미끄럼 방지수단을 도모하여 부상위험을 현격히 감소토록 한 것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획벽(100) 하면에는 대각선 모서리간을 연결하는 지지보강대(101)를 'X'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지지보강대(101)와 직각을 이루는 보조 지지보강대(102)를 각각 모서리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하는 것으로서, 제품의 사출시 평탄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옥외현장에 설치시, 바닥면(콘크리트, 아스콘)의 평탄도가 정밀하지 못하여 상기 지지대보강대(101) 및 보조 지지보강대(102)등으로 보강한 것이며, 또한 사계절의 온도변화에 따른 수평도 유지의 불완전성을 해소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지시부호 20은 제1 마감 본체부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마감 본체부(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 형상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길이방향 즉, 가로방향 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중앙에는 양측에 형성된 체결브라켓(140)보다 상대적으로 큰 체결브라켓(140)이 형성되어 있고 반면에 세로방향 일면에는 돌출부(200)가 타면에는 삽입부(21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지시부호 30은 제2 마감 본체부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2 마감 본체부(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 형상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길이방향 즉, 가로방향 면에는 상기 체결브라켓(140)이 체결토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절개된 절개면(15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절개면(150) 내측에는 절개면(150)의 폭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간격을 두고 있는 체결바(16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바(160) 내측으로는 가로방향으로 받침바(17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받침바(170) 내측에는 밀림방지판(180)이 복수개 이상 구비되어 있고 반면에 세로방향 외측 일면에는 돌출부(200)가 타면에는 삽입부(21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지시부호 40은 모서리 본체부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모서리 본체부(4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마감본체부(20)와 제2 마감본체부(30)의 모서리 부위를 커버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측에는 상기 돌출부(200)를 감싸는 마감삽입부(400)가 타측에는 상기 삽입부(210)에 삽입되는 마감돌출부(410)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닥재 본체부(10) 다수개를 서로 결합하되 경기장 바닥의 크기에 적합하도록 결합하여야 하며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복수개의 바닥재 본체부(10)에서 어느 하나의 'ㄴ' 자 2변에 구비된 체결브라켓(140)을 나머지 바닥재 본체부(10)의 'ㄴ'자 2변에 구비된 즉 도 2에 도시된 절개면(150)에 결합하되 적합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체결브라켓(140)을 도 2에 도시된 절개면(150)에 결합하여 전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바닥재 본체부(10)를 연결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연결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즉, 도 7은 바닥재 본체부(10)를 저면에서 볼 수 있도록 도시한 것으로서 체결브라켓(140)을 절개면(150)에 상측에서 압압하여 체결하면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바(160)의 경사면(162)를 따라 부드럽게 세로바(141)이 슬라이딩되면서 동시에 상기 가로판재(144)는 상기 체결바(160)와 밀림방지판(180)사이에 끼워지되 유동공간을 유지한 상태에서 체결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체결되는 방식은 제1 및 제2 마감 본체부(20, 30)도 대동소이한 것이다.
이와 같이 체결 조립함으로서 사용자가 점프이후의 착지 및 옆동작시 미끄러짐 등으로 부상의 위험이 노출될 경우 상기 유동공간을 유지함으로서 발목 충격을 바닥재가 흡수하며 상쇄시켜주는 기능이 있고 특히 계절 변화에 따른 온도 변화에 의해 수출 팽창시 유동공간 및 천공부(145)의 공간에 따른 바닥재 본체부(10)의 평탄도의 불완전성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반면에, 해체시에는 결합된 바닥재 본체부(10)중 어느 하나를 상측으로 회동시키면 체결바(160)의 걸림부(161)가 상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서 부드럽게 세로바(141)가 상기 걸림부(161)로 부터 이탈되며 이로서 손쉽게 각각의 바닥재 본체부(10)를 해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함으로서, 경기장 바닥 또는 놀이시설 바닥을 수평되게 균일하게 시공함으로써 바닥의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탄성수단을 갖는 바닥재로 시공하여 바닥에 탄력을 줌으로써 사용자 보호 및 경기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경기장 바닥 시공시 바닥재를 간편하게 조립하거나 해체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인 시공과 시공후 유지 및 보수가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고, 조립식 바닥재를 이용하여 경기장 바닥을 친환경적으로 시공함으로써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경기장 바닥의 외곽을 견고하게 시공함으로써 바닥재 또는 모래의 유실을 막아줄 수 있고 특히, 계절에 따라 온도차에 의해 바닥재의 변형으로 인한 불균형한 수평면을 최소화하며 또한 기존의 미끄럼 방지수단과 그 개념적 측면에서 전혀 다른 형태인 표면 단차를 차별화함으로서 미끄럼 방지를 가능하도록 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바닥재 본체부 20 : 제1 마감 본체부
30 : 제2 마감 본체부 40 : 모서리 본체부
100 : 구획벽 101 : 지지보강대
102 : 보조 지지보강대 110 : 구획리브
120 : 셀 121 : 허니콤 프레임
122 : 연결리브 123 : 배수용 관통홀
130 : 완충봉 140 : 체결브라켓
141 : 세로바 142 : 단턱
143 : 판재 144 : 가로판재
145 : 천공부 150 : 절개면
160 : 체결바 161 : 걸림부
162 : 경사면 170 : 받침바
180 : 밀림방지판 200 : 돌출부
210 : 삽입부 400 : 마감삽입부
410 : 마감돌출부

Claims (4)

  1. 정사각 형상으로 최외각에는 구획벽(10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획벽(100) 상면 내측으로는 구획리브(110)가 격자형상으로 이루어져 다수개의 정사각 형상의 셀(120)을 형성하며 상기 셀(120) 중앙에는 허니콤 프레임(121)이 구비되고 상기 허니콤 프레임(121)의 외주면에서 상기 구획리브(110) 내측까지 8방향으로 연결되는 연결리브(122)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리브(122) 사이 및 허니콤 프레임 중앙에는 배수용 관통홀(123)이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구획벽(100) 하면 내측으로는 상기 셀(120)의 모서리 마다 탄성력을 갖는 완충봉(13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구획벽(100) 4변중 연결된 'ㄴ' 2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중앙에는 양측에 형성된 체결브라켓(140)보다 상대적으로 큰 체결브라켓(140)이 형성되어 있고, 반면에 상기 구획벽(100) 4변중 또 다른 'ㄴ' 2변에는 상기 체결브라켓(140)이 체결토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절개된 절개면(150)이 형성되어 있는 바닥재 본체부(10)와 직사각 형상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길이방향 즉, 가로방향 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중앙에는 양측에 형성된 체결브라켓(140)보다 상대적으로 큰 체결브라켓(140)이 형성되어 있고 반면에 세로방향 일면에는 돌출부(200)가 타면에는 삽입부(210)가 형성되어 있는 제1 마감 본체부(20)와 직사각 형상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길이방향 즉, 가로방향 면에는 상기 체결브라켓(140)이 체결토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절개된 절개면(150)이 형성되어 있으며 세로방향 외측 일면에는 돌출부(200)가 타면에는 삽입부(210)가 형성되어 있는 제2 마감 본체부(30)와 상기 제1 마감본체부(20)와 제2 마감본체부(30)의 모서리 부위를 커버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측에는 상기 돌출부(200)를 감싸는 마감삽입부(400)가 타측에는 상기 삽입부(210)에 삽입되는 마감돌출부(410)로 이루어진 모서리 본체부(40)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바닥재 본체부(10)은 상기 각각의 절개면(150) 내측에는 절개면(150)의 폭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간격을 두고 있는 체결바(160)가 상기 구획리브(110)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바(160)가 형성되어 있는 구획리브(110) 가로방향으로는 받침바(17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받침바(170) 내측에는 상기 완충봉(130)에 밀림방지판(180)이 복수개 이상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 마감 본체부(30)는 상기 각각의 절개면(150) 내측에는 절개면(150)의 폭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간격을 두고 있는 체결바(16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바(160) 내측으로는 가로방향으로 받침바(17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받침바(170) 내측에는 밀림방지판(180)이 복수개 이상 구비되어 있고,
    상기 체결브라켓(140)은 간격을 유지한 세로바(141) 사이에는 상기 세로바(141)와 단턱(142)을 이루는 판재(143)가 구비되어 있되 상기 세로바(141) 끝단에 일체로 구비된 가로판재(144)와 상기 판재(143)간에는 천공부(14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바(160)의 상단 일측은 경사면(162)을 이룸과 동시에 절곡되어 상측으로 경사진 걸림부(16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장용 바닥재.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70000137U 2017-01-06 2017-01-06 경기장용 바닥재 KR2004871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137U KR200487143Y1 (ko) 2017-01-06 2017-01-06 경기장용 바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137U KR200487143Y1 (ko) 2017-01-06 2017-01-06 경기장용 바닥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184U KR20180002184U (ko) 2018-07-16
KR200487143Y1 true KR200487143Y1 (ko) 2018-08-10

Family

ID=63047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137U KR200487143Y1 (ko) 2017-01-06 2017-01-06 경기장용 바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14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7423B1 (ko) * 2022-08-08 2023-02-08 주식회사 필드원종합건설 교체형 상부판을 이용한 다목적 바닥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3467B2 (ja) * 1991-09-26 2000-03-21 株式会社日本抗体研究所 ヒトベイシジンi遺伝子
KR200381321Y1 (ko) * 2005-01-15 2005-04-14 이중성 녹지 조성용 잔디블록
KR200472466Y1 (ko) * 2013-10-30 2014-04-29 (주) 에스지아이스 스포츠용 바닥재
KR101657999B1 (ko) * 2015-08-03 2016-09-30 주식회사 신한엔터프라이즈 스포츠 코트용 조립식 성형 바닥재
KR101689809B1 (ko) * 2016-04-27 2016-12-27 주식회사 에이컴퍼니 스포츠 코트용 조립식 바닥재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3467Y2 (ko) * 1984-12-24 1991-05-22
JPH0323467U (ko) * 1989-07-17 1991-03-12
JP3023467U (ja) * 1995-10-04 1996-04-16 英一 松澤 敷設用タイル
KR200142591Y1 (ko) * 1996-10-31 1999-06-01 이종용 다용도 깔판
KR200374096Y1 (ko) 2004-10-27 2005-01-27 임주혁 스포츠 시설용 탄성 바닥재
KR20060127635A (ko) 2005-06-08 2006-12-13 김형민 스포츠 전용 실내외 바닥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3467B2 (ja) * 1991-09-26 2000-03-21 株式会社日本抗体研究所 ヒトベイシジンi遺伝子
KR200381321Y1 (ko) * 2005-01-15 2005-04-14 이중성 녹지 조성용 잔디블록
KR200472466Y1 (ko) * 2013-10-30 2014-04-29 (주) 에스지아이스 스포츠용 바닥재
KR101657999B1 (ko) * 2015-08-03 2016-09-30 주식회사 신한엔터프라이즈 스포츠 코트용 조립식 성형 바닥재
KR101689809B1 (ko) * 2016-04-27 2016-12-27 주식회사 에이컴퍼니 스포츠 코트용 조립식 바닥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184U (ko) 2018-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49645C2 (ru) Синтетическая напольная плитка, имеющая частично податливую опорную конструкцию
US8683769B2 (en) Modular sub-flooring system
RU2322544C2 (ru) Модуль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искусственного травяного покрова
EP1466061A1 (en) Modular plastic flooring
CA2757797C (en) Portable assembly type flat bench
KR200472466Y1 (ko) 스포츠용 바닥재
JP5211127B2 (ja) 緑化駐車場、植栽ユニット保護材および緑化駐車場構成材ユニット
CA2924162A1 (en) Tile for use in a modular flooring system
CA3011263C (en) Modular barrier system
KR200487143Y1 (ko) 경기장용 바닥재
KR100807329B1 (ko) 잔디 보호 매트
KR101271269B1 (ko) 인조잔디용 배수판
KR102249169B1 (ko) 인조잔디용 충격흡수 배수판
KR20060127635A (ko) 스포츠 전용 실내외 바닥재
CN102166413B (zh) 户外用多功能路径轨道棋棋盘
KR101969973B1 (ko) 조립식 스포츠 코트 블럭
KR101109576B1 (ko) 경기장 바닥 시공구조
WO2009122171A2 (en) A portable ground cover
KR101979646B1 (ko) 실내외 조립식 바닥재
KR102134909B1 (ko) 자석모듈을 이용한 완충매트
WO2011119594A2 (en) Accessible enclosed playground system
KR200437619Y1 (ko) 조립식 평상
KR20200116288A (ko) 미끄럼 방지 쿠션 매트
KR101998596B1 (ko) 조립식 스포츠 코트 블럭
KR102497423B1 (ko) 교체형 상부판을 이용한 다목적 바닥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