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7423B1 - 교체형 상부판을 이용한 다목적 바닥재 - Google Patents
교체형 상부판을 이용한 다목적 바닥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97423B1 KR102497423B1 KR1020220098615A KR20220098615A KR102497423B1 KR 102497423 B1 KR102497423 B1 KR 102497423B1 KR 1020220098615 A KR1020220098615 A KR 1020220098615A KR 20220098615 A KR20220098615 A KR 20220098615A KR 102497423 B1 KR102497423 B1 KR 1024974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lower plate
- upper plate
- coupling part
- centra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408 floor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5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20005992 thermoplas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abstract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725 thermoplastic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4000025254 Cannabis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02 plastic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7—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체형 상부판을 이용한 다목적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바닥재의 설치 목적에 알맞게 하부판에 결합되는 상부판만을 용이하게 교체하여 용이하게 용도 변경이 가능할 뿐 아니라 하부판의 지속적인 활용 및 재활용이 가능함에 따라 경제성 증대 및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교체형 상부판을 이용한 다목적 바닥재에 관한 기술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하부판, 상기 하부판의 상부에 결합되되, 상기 하부판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판을 포함하는 다목적 바닥재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은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기능 및 형태를 갖는 상부판으로의 교체가 가능하고, 상기 하부판의 내면 중앙부분과 상기 상부판의 하부면 중앙부분중앙부분 중앙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판의 내면 둘레 부분과 상기 상부판의 하부면 둘레 부분 각각에는 둘레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 결합부는 상기 하부판의 내면 중앙부분 및 상부판의 하부면 중앙부분 각각에 형성되는 한 쌍의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 상기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와 대칭되도록 일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중앙 결합부 체결통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와 중앙 결합부 체결통은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하부판, 상기 하부판의 상부에 결합되되, 상기 하부판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판을 포함하는 다목적 바닥재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은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기능 및 형태를 갖는 상부판으로의 교체가 가능하고, 상기 하부판의 내면 중앙부분과 상기 상부판의 하부면 중앙부분중앙부분 중앙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판의 내면 둘레 부분과 상기 상부판의 하부면 둘레 부분 각각에는 둘레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 결합부는 상기 하부판의 내면 중앙부분 및 상부판의 하부면 중앙부분 각각에 형성되는 한 쌍의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 상기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와 대칭되도록 일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중앙 결합부 체결통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와 중앙 결합부 체결통은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교체형 상부판을 이용한 다목적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바닥재의 설치 목적에 알맞게 하부판에 결합되는 상부판만을 용이하게 교체하여 용이하게 용도 변경이 가능할 뿐 아니라 하부판의 지속적인 활용 및 재활용이 가능함에 따라 경제성 증대 및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교체형 상부판을 이용한 다목적 바닥재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바닥재는 건축, 스포츠, 조경 등의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사용되어 왔다.
건축에 사용되는 바닥재의 경우 콘크리트 슬래브와 마루 바닥의 사이에 바닥재가 설치되어 콘크리트 슬래브로부터 마루 바닥이 이격되게 하여 소음 감쇄, 충격 감소 등에 의해 층간 소음을 예방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스포츠 시설에서 사용되는 바닥재의 경우 콘크리트 바닥 및 흙에서 운동경기를 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마찰에 통해 발생되는 화상 및 찰과상 등의 부상을 방지하고, 우수한 충격흡수성을 갖도록 설계되어 사용자가 점핑, 달리기 및 갑작스러운 방향전환에도 충격흡수가 충분하게 이루어져 사용자가 안전하게 운동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조경환경의 조성에 사용되는 바닥재의 경우 흙 또는 콘크리트 바닥에 고정되는 하부판을 설치한 후 하부판에 결합되는 상부판에 잔디 및 식재를 심어 멋스러운 미관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한 것과 같이 바닥재는 사용목적과 설치환경에 따라 다양한 구조 및 형상으로 바닥재를 제작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사용목적과 설치환경에 따라 바닥재를 구성하게 되면 기 설치된 바닥재의 용도 변경이 필요한 경우 설치된 바닥재들을 모두 철거한 이후 또 다른 사용목적을 갖는 새로운 바닥재를 기초공사부터 다시 실시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지속적인 사용으로 인해 상부판이 마모되거나 햇빛이나 습도 등의 기후적인 영향으로 인해 상부판이 손상된 경우 해당 부분만 따로 교체하지 못하고 전체 제품을 교체해야 함으로써 유지 관리가 매우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용도 변경에 의해 철거되거나 노후화된 바닥재의 교체를 실시하는 경우 상태가 비교적 양호한 바닥재이더라도 재활용이 어려워 불필요한 플라스틱 폐기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바닥재의 시공이 용이할 뿐 아니라 바닥재의 용도 변경에도 재활용이 용이하여 경제적으로 유지보수를 실시할 수 있는 다목적 바닥재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판을 하부판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가 가능함에 따라 바닥재가 설치될 장소 및 목적에 알맞게 상부판을 교체하여 건축, 조경, 스포츠 등의 다양한 기능 및 품질을 구현할 수 있는 교체형 상부판을 이용한 다목적 바닥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지속적인 사용에 의해 상부판에 마모 및 손상이 발생하여 유지 보수를 실시할 경우 하부판으로부터 상부판만을 분리하여 교체함으로써 하부판의 지속적인 활용 및 재활용이 가능함에 따라 유지관리의 용이성 및 경제성이 증대되는 교체형 상부판을 이용한 다목적 바닥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중앙 결합부와 둘레 결합부에 의해 이중체결구조가 형성되어 하부판과 상부판의 결합력이 보다 증대됨으로써 바닥재가 휘어지는 돔컬 현상을 방지하여 치수안정성이 증대된 바닥재의 설치가 가능한 교체형 상부판을 이용한 다목적 바닥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바닥재가 하중에 의해 지면에 접촉되었을 때 하부판의 하측에 형성되는 하중분산레그에 의해 하중을 분산시켜줌으로써 충격흡수 효과가 증대될 수 있는 교체형 상부판을 이용한 다목적 바닥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교체형 상부판을 이용한 다목적 바닥재는, 하부판(100), 상기 하부판(100)의 상부에 결합되되, 상기 하부판(100)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판(200)을 포함하는 다목적 바닥재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200)은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기능 및 형태를 갖는 상부판(200)으로의 교체가 가능하고, 상기 하부판(100)의 상부면 중앙부분과 상기 상부판(200)의 하부면 중앙부분 각각에는 중앙 결합부(130, 230)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판(100)의 상부면 둘레부분과 상기 상부판(200)의 하부면 둘레부분 각각에는 둘레 결합부(140, 240)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 결합부(130, 230)는, 상기 하부판(100)의 내면 중앙부분 및 상부판(200)의 하부면 중앙부분 각각에 형성되는 한 쌍의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131, 231), 상기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131, 231)와 대칭되도록 일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중앙 결합부 체결통(132, 232)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131, 231)와 중앙 결합부 체결통(132, 232)은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며,
상기 하부판(100)은 상부면에 복수의 격자 패턴이 형성되고,
하부면에 복수의 지지레그(110)와 복수의 하중분산레그(120)가 격자패턴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판(100)의 상부면 중앙부분에 형성되는 중앙 결합부(130)와 상기 하부판(100)의 상부면 둘레부분에 형성되는 둘레 결합부(140)는 상기 하부판(100) 상부면의 내면에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판(200)이 하부판(100)의 상부면에 이격됨이 없이 밀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판(100)은 상부면에 복수의 격자 패턴이 형성되고,
하부면에 복수의 지지레그(110)와 복수의 하중분산레그(120)가 격자패턴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판(100)의 상부면 중앙부분에 형성되는 중앙 결합부(130)와 상기 하부판(100)의 상부면 둘레부분에 형성되는 둘레 결합부(140)는 상기 하부판(100) 상부면의 내면에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판(200)이 하부판(100)의 상부면에 이격됨이 없이 밀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하중분산레그(120)는, 상기 지지레그(110)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지면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공극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복수의 지지레그(110)는, 상기 복수의 하중분산레그(120)의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고, 그 두께가 2mm 내지 5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부판(200)은,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탄성체가 구비되는 탄성체 상부판(210), 상부면에 패턴이 형성되는 패턴형 상부판(211), 상부면에 식재홈이 형성되는 식재용 상부판(212)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판(100) 및 상부판(200)은, 열가소성 수지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중앙 결합부(130, 230)는, 상기 하부판(100)의 내면 중앙부분과 상부판(200)의 하부면 중앙부분 각각에 형성되는 한 쌍의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131, 231), 상기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131, 231)와 대칭되도록 일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중앙 결합부 체결통(132, 232)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131, 231)와 중앙 결합부 체결통(132, 232)이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둘레 결합부(140, 240)는, 상기 하부판(100) 상부면 가장자리 2방향의 내면과 상기 상부판(200) 둘레의 2방향 하부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둘레 결합부 체결통(141, 242), 상기 둘레부 결합부 체결통(141, 242)과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둘레 결합부 체결후크(142, 241)를 포함하고,
상기 둘레 결합부 체결통(141, 242)과 둘레 결합부 체결후크(142, 241)는 직사각형 형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부판(100)의 둘레중 2면의 측면에는 복수의 연장 연결 수용부(160)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판(100)의 둘레중 나머지 2면의 측면에는 복수의 연장 연결 끼움부(17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연장 연결 수용부(160)는, 사각 박스(161)와 상기 사각 박스(161)의 중앙부분에 중공으로 형성되는 끼움홈(163)과 사각 박스(161)의 양측 하단부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걸림홈(165)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 연결 끼움부(170)는, 상기 끼움홈(163)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끼움돌기(171)와 상기 끼움돌기(171)의 양측에 형성되는 갈고리형상의 한 쌍의 걸림후크(1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다목적 바닥재는 상부판을 하부판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가 가능함에 따라 바닥재가 설치될 장소 및 목적에 알맞게 상부판을 교체하여 건축, 조경, 스포츠 등의 다양한 기능 및 품질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속적인 사용에 의해 상부판에 마모 및 손상이 발생하여 유지 보수를 실시할 경우 하부판으로부터 상부판만을 분리하여 교체함으로써 하부판의 지속적인 활용 및 재활용이 가능함에 따라 유지관리의 용이성 및 경제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중앙 결합부와 둘레 결합부에 의해 이중체결구조가 형성되어 하부판과 상부판의 결합력이 보다 증대됨으로써 다목적 바닥재가 휘어지는 돔컬 현상을 방지하여 치수안정성이 증대된 바닥재의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바닥재가 하중에 의해 지면에 접촉되었을 때 하부판의 하측에 형성되는 하중분산레그에 의해 하중을 분산시켜줌으로써 충격흡수 효과가 증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바닥재의 하부판과 상부판이 상호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판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하부판 하부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하부판의 측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하부판 상부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상부판의 일 실시예인 다양한 형태의 탄성체 상부판들을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7은 상부판의 또 다른 실시예인 패턴형 상부판을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8은 상부판의 또 다른 실시예인 식재용 상부판을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9는 상부판의 하부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느 하나의 다목적 바닥재의 측면에 또 다른 다목적 바닥재가 결합하여 연장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장 연결 수용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장 연결 끼움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판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하부판 하부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하부판의 측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하부판 상부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상부판의 일 실시예인 다양한 형태의 탄성체 상부판들을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7은 상부판의 또 다른 실시예인 패턴형 상부판을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8은 상부판의 또 다른 실시예인 식재용 상부판을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9는 상부판의 하부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느 하나의 다목적 바닥재의 측면에 또 다른 다목적 바닥재가 결합하여 연장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장 연결 수용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장 연결 끼움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을 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교체형 상부판을 이용한 다목적 바닥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형 상부판을 이용한 다목적 바닥재의 하부판(100)과 상부판(200)이 상호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형 상부판을 이용한 다목적 바닥재(1)는 건축, 조경, 스포츠 등과 같이 바닥재가 사용되는 곳이라면 어떠한 곳이라도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목적 바닥재(1)는 상부판(200)을 하부판(10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가 가능함에 따라 바닥재(1)가 설치될 장소 및 목적에 알맞게 상부판(200)을 교체하여 건축, 조경, 스포츠 등의 다양한 기능 및 품질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속적인 사용에 의해 상부판(200)에 마모 및 손상이 발생하여 유지 보수가 필요한 경우 하부판(100)으로부터 상부판(200)만을 분리하여 교체함으로써 하부판(100)의 지속적인 활용 및 재활용이 가능함에 따라 유지관리의 용이성 및 경제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중앙 결합부(130, 230)와 둘레 결합부(140, 240)에 의해 이중체결구조가 형성되어 하부판(100)과 상부판(200)의 결합력이 보다 증대됨으로써 다목적 바닥재(1)가 휘어지는 돔컬 현상을 방지하여 치수안정성이 증대된 바닥재의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러한, 교체형 상부판을 이용한 다목적 바닥재(1)는 하부판(100)과 상부판(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도면 1 내지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바닥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바닥재(1)는 하부판(100)과 상부판(200)의 결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부판(100)과 및 상부판(200)은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판(100)과 상부판(200)은 상호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판(100)에 결합된 상부판(200)을 바닥재(1)의 사용목적에 알맞게 다양한 종류의 상부판(200)으로 교체가 가능한 교체형으로 구성함으로써 바닥재(1)가 설치될 장소 및 목적에 알맞게 상부판(200)을 교체하여 건축, 조경, 스포츠 등의 다양한 기능 및 품질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하부판(100)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부판(100)은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여 성형 사출하여 형성되되 상부면에는 격자패턴이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복수의 지지레그(110)와 복수의 하중분산레그(120)가 격자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판(10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격자패턴은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십자형의 격자틀과 십자형 격자틀의 사이사이에 형성되는 X자형 격자틀이 교대로 구비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격자패턴은 하부판(100)의 상부면으로 스며드는 물이 통과되도록 하여 배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부판(100)의 하부면에는 복수의 지지레그(110)와 복수의 하중분산레그(120)가 격자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레그(110)는 하부판(100)의 하부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하부판(100)이 지면에 지지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복수의 지지레그(110)는 하부판(100)의 하부면상에서 작은 정사각형 패턴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지지레그(110)가 하부판(100)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하부판(100)을 지면으로부터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레그(110)가 형성하는 정사각형 패턴의 내부이면서 하부판(100)의 하부면에는 복수의 하중분산레그(120)가 형성될 수 있다.
하중분산레그(120)는 전술한 지지레그(110)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하부판(100)이 지면에 지지되었을 때 하중분산레그(120)와 지면 사이가 이격되어 공극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공극은 하부판(100)에 상측으로부터 하중이 작용하였을 때 하부판(100)이 탄성 변형할 수 있는 여유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하부판(100)이 충격흡수성을 갖도록 할 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하부판(100)이 하중에 의해 하측으로 탄성변형될 때 복수의 하중분산레그(120)가 지면과 접촉되어 하부판(100) 및 바닥재(1)에 작용하는 충격을 분산시켜 흡수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복수의 지지레그(110)는 복수의 하중분산레그(120)의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레그(110)가 하중분산레그(120)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됨으로써 복수의 지지레그(110)가 하부판(100)을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여 바닥재(1)의 구조적 안정성을 갖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지지레그(110)의 두께는 2mm 내지 5mm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판(100)의 상부면의 중앙부분에는 내면으로 홈형상의 중앙 결합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판(100)에 형성되는 중앙 결합부(130)는 하부판(100)의 상부면의 내면 즉, 하부판(100)의 상하 높이 내부에 존재하도록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중앙 결합부(130)가 하부판(100)의 상부면의 내면에 형성됨으로써 후술하는 상부판(200)이 하부판(100)에 결합되었을 때 이격됨이 없이 밀착되도록 형성되어 구조적 안정성이 증대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중앙 결합부(130)는 한 쌍의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131)와 한 쌍의 중앙 결합부 체결통(13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131)는 하부판(100)의 내면 중앙부분의 일측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131)는 하부판(100)의 내면에 형성되는 원기둥과 원기둥의 일단부 양측에 형성되는 갈고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131)는 후술하는 상부판(200)에 형성되는 중앙 결합부 체결통(232)의 내부에 삽입되어 갈고리부가 상부판(200)의 중앙 결합부 체결통(232)의 걸림부에 걸려짐으로써 중앙 결합부 체결통(132)에 체결될 수 있다.
한 쌍의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131)의 일측에는 한 쌍의 중앙 결합부 체결통(13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131)와 대칭되도록 일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부분에 한 쌍의 중앙 결합부 체결통(132)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중앙 결합부 체결통(132)은 하부판(100)의 상부면 내면에 형성되는 원통과 원통의 내부에서 일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 결합부 체결통(132)에는 후술하는 상부판(200)에 형성되는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231)가 삽입되고 걸림부에 갈고리부가 걸려짐으로써 하부판(100)의 중앙 결합부 체결통(132)에 상부판(200)의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231)가 체결될 수 있다.
즉, 하부판(100)의 중앙 결합부(130)는 한 쌍의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131)와 한 쌍의 중앙 결합부 체결통(132)이 한 조로 형성됨으로써 후술하는 상부판(200)에 형성되는 중앙 결합부(230)와 상호 결합됨으로써 하부판(100)과 상부판(200)이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하부판(100)의 둘레 부분의 내면에는 둘레 결합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판(100)의 내면은 전술한 것과 같이 하부판(100)의 상하 높이 내부에 존재하는 공간을 의미한다.
둘레 결합부(140)는 하부판(100)의 하부판(100)의 상부면 가장자리 4방향이면서 내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둘레 결합부 체결통(141)과 한 쌍의 둘레 결합부 체결후크(142)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둘레 결합부 체결통(141)은 하부판(100)의 상부면 가장자리 2방향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둘레 결합부 체결통(141)은 하부판(100)의 내면에 형성되는 원통과 원통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둘레 결합부 체결통(141)에는 후술하는 상부판(200)에 형성되는 한 쌍의 둘레 결합부 체결후크(241)가 내부에 삽입되어 갈고리부가 하부판(100)의 둘레 결합부 체결통(141)의 걸림부에 걸려짐으로써 둘레 결합부 체결통(141)에 체결될 수 있다.
한 쌍의 둘레 결합부 체결후크(142)는 한 쌍의 둘레 결합부 체결통(141)이 형성된 하부판(100)의 상부면 가장자리 2방향의 내면과 대칭되는 또 다른 2방향의 가장자리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둘레 결합부 체결통(141)과 한 쌍의 둘레 결합부 체결후크(142)는 상호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한 조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둘레 결합부 체결후크(142)는 하부판(100)의 내면에 형성되는 원기둥과 원기둥의 일단부 양측에 형성되는 갈고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둘레 결합부 체결후크(142)는 후술하는 상부판(200)에 형성되는 둘레 결합부 체결통(232)의 내부에 삽입되어 갈고리부가 상부판(200)의 둘레 결합부 체결통(242)의 걸림부에 걸려짐으로써 둘레 결합부 체결통(242)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판(100)의 둘레 결합부(140)는 하부판(100)의 상부면 가장자리 4방향의 내면 각각에 형성되는 한 쌍의 둘레 결합부 체결통(141)과 한 쌍의 둘레 결합부 체결후크(142)가 한 조로 형성됨으로써 후술하는 상부판(200)에 형성되는 상부판(200)의 둘레 결합부(240)와 상호 결합됨으로써 하부판(100)과 상부판(200)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중앙 결합부(130)는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131)와 중앙 결합부 체결통(132)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고, 둘레 결합부(140)는 복수의 둘레 결합부 체결통(141)과 둘레 결합부 체결후크(142)가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중앙 결합부(130)가 이루는 직사각형은 작은 반경의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둘레 결합부(140)가 이루는 직사각형은 상대적으로 큰 반경의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중앙 결합부(130)와 둘레 결합부(140)에 의해 이중체결구조가 형성되어 하부판(100)과 상부판(200)의 결합력이 보다 증대됨으로써 바닥재(1)가 휘어지는 돔컬 현상을 방지하여 치수안정성이 증대된 다목적 바닥재(1)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상부판(200)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상부판(200)은 전술한 하부판(100)의 상측에 결합되어 바닥재(1)의 사용 목적을 달성하는 구성이다. 즉, 스포츠 바닥재, 건축용 바닥재, 조경용 바닥재 등의 다양한 사용 목적을 달성하도록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구성이다.
상부판(200)은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여 성형 사출하여 형성되되 상부면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판(200)은 탄성체 상부판(210), 패턴형 상부판(211), 식재용 상부판(212)으로 구분되어 형성될 수 있다,
탄성체 상부판(210)의 상부면에는 격자패턴이 형성되고 격자패턴의 상측 탄성체가 결합될 수 있다.
탄성체 상부판(210)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탄성체는 이중사출방식으로 탄성체 상부판(210)의 상부면에 결합될 수 있다.
탄성체 상부판(210)의 격자패턴은 전술한 하부판(10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격자패턴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탄성체 상부판(21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탄성체는 탄성체 상부판(210)의 상부면에만 존재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선택적으로 탄성체가 상부판(200)의 격자패턴을 관통하여 상부판(200)의 하부면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부판(200)의 하부면에까지도 탄성체가 존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탄성체 상부판(210)의 결합되는 탄성체가 탄성체 상부판(210)의 상부면과 하부면 모두에 형성됨으로써 바닥재(1)에 가해지는 수직항력을 탄성체가 보다 용이하게 흡수하게 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탄성체는 TPE 소재 등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체 상부판(210)은 충격흡수성이 절대적으로 중요한 실내외 스포츠 바닥재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패턴형 상부판(211)의 상부면에는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패턴형 상부판(211)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패턴은 나무무늬 패턴, 물결무늬 패턴 주름무늬 패턴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외 어떠한 패턴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패턴의 상부판(200)의 상부면을 일정 깊이로 부식시켜 나무무늬 패턴, 물결무늬 패턴, 주름무늬 패턴을 형성하거나 다양한 형상의 요철을 형성하여 요철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패턴형 상부판(211)은 미관이 중요한 요소인 건축용 바닥재의 용도로 사용되거나 미끄럼 저항성을 증대시켜 스포츠 바닥재의 용도로도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식재용 상부판(212)은 상부면에 인조잔디 또는 다양한 식물들이 식재될 수 있는 복수의 식재홈이 형성될 수 있고, 배수가 용이하도록 탄성체 상부판(210)과 동일한 격자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식재용 상부판(212)의 상부면에 인조잔디 파일사를 식재하여 인조잔디 구장을 조성할 수도 있고, 식재되는 식물에 종류에 따라 조경용 바닥재로도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탄성체 상부판(210), 패턴형 상부판(211), 식재용 상부판(212)의 하부면 즉, 상부판(200)의 하부면에는 중앙 결합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중앙 결합부(230)는 상부판(200)의 하부면 중앙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중앙 결합부(230)는 한 쌍의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231)와 한 쌍의 중앙 결합부 체결통(23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231)는 상부판(200)의 하부면 중앙부분의 일측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231)는 상부판(200)의 하부로 연장되는 원기둥과 원기둥의 일단부 양측에 형성되는 갈고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231)는 전술한 하부판(100)에 형성된 중앙 결합부 체결통(132)의 내부에 삽입되어 갈고리부가 하부판(100)의 중앙 결합부 체결통(132)의 걸림부에 걸려짐으로써 중앙 결합부 체결통(132)에 체결될 수 있다.
한 쌍의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231)의 일측에는 한 쌍의 중앙 결합부 체결통(23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231)와 대칭되도록 일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부분에 한 쌍의 중앙 결합부 체결통(232)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중앙 결합부 체결통(232)은 상부판(200)의 하부로 연장되는 원통과 원통의 내부에서 일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 결합부 체결통(232)에는 전술한 하부판(100)에 형성된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131)가 삽입되고 걸림부에 갈고리부가 걸려짐으로써 상부판(200)의 중앙 결합부 체결통(232)에 하부판(100)의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131)가 체결될 수 있다.
즉, 상부판(200)의 중앙 결합부(230)는 한 쌍의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231)와 한 쌍의 중앙 결합부 체결통(232)이 한 조로 형성됨으로써 하부판(100)에 형성되는 중앙 결합부(130)와 상호 결합되어 하부판(100)과 상부판(200)이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부판(200)의 둘레 부분의 하부면에는 둘레 결합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둘레 결합부(240)는 상부판(200)의 둘레에 4방향에 설치되는 한 쌍의 둘레 결합부 체결후크(241)와 한 쌍의 둘레 결합부 체결통(242)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둘레 결합부 체결후크(241)는 상부판(200)의 둘레의 2방향의 단부 부분의 하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둘레 결합부 체결후크(241)는 상부판(200)의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원기둥과 원기둥의 일단부 양측에 형성되는 갈고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둘레 결합부 체결후크(241)는 전술한 하부판(100)에 형성된 둘레 결합부 체결통(141)의 내부에 삽입되어 갈고리부가 하부판(100)의 둘레 결합부 체결통(141)의 걸림부에 걸려짐으로써 둘레 결합부 체결통(141)에 체결될 수 있다.
한 쌍의 둘레 결합부 체결통(242)은 한 쌍의 둘레 결합부 체결후크(241)가 형성된 2방향의 단부 부분과 대칭되는 또 다른 2방향의 단부 부분의 하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둘레 결합부 체결후크(241)와 한 쌍의 둘레 결합부 체결통(242)은 상호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한 조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한 쌍의 둘레 결합부 체결통(242)은 상부판(200)의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원통과 원통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둘레 결합부 체결통(242)에는 전술한 하부판(100)에 형성된 한 쌍의 둘레 결합부 체결후크(142)가 내부에 삽입되어 둘레 결합부 체결후크(142)의 갈고리부가 상부판(200)의 둘레 결합부 체결통(242)의 걸림부에 걸려짐으로써 둘레 결합부 체결통(242)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판(200)의 둘레 결합부(240)는 상부판(200)의 둘레의 네방향 각각에 형성되는 한 쌍의 둘레 결합부 체결후크(241)와 한 쌍의 둘레 결합부 체결통(242)이 한 조로 형성됨으로써 전술한 하부판(100)에 형성된 상부판(200)의 둘레 결합부(140)와 상호 결합됨으로써 하부판(100)과 상부판(200)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중앙 결합부(230)는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231)와 중앙 결합부 체결통(232)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고, 둘레 결합부(240)는 복수의 둘레 결합부 체결후크(241)와 둘레 결합부 체결통(242)이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중앙 결합부(230)가 이루는 직사각형은 작은 반경의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둘레 결합부(240)가 이루는 직사각형은 상대적으로 큰 반경의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중앙 결합부(230)와 둘레 결합부(240)에 의해 이중체결구조가 형성되어 하부판(100)과 상부판(200)의 결합력이 보다 증대됨으로써 바닥재(1)가 휘어지는 돔컬 현상을 방지하여 치수안정성이 증대된 다목적 바닥재(1)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하부판(100)의 둘레 중 인근하는 2개면의 측면에는 복수의 연장 연결 수용부(160)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연장 연결 수용부(160)는 사각 박스(161)와 끼움홈(163)과 걸림홈(165)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사각 박스(161)는 하부판(100)의 둘레 중 2개면의 측면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끼움홈(163)은 사각 박스(161)의 중앙부분에 중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끼움홈(163)에는 후술하는 연장 연결 끼움부(170)의 끼움돌기(171)가 끼움결합될 수 있다.
걸림홈(165)은 사각 박스(161)의 양측 하단부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165)에는 후술하는 연장 연결 끼움부(170)의 걸림후크(173)가 걸려져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연장 연결 수용부(160)의 끼움홈(163)과 걸림홈(165)에 후술하는 연장 연결 끼움부(170)의 끼움돌기(171)와 걸림후크(173)가 결합되어 연장 연결 수용부(160)와 연장 연결 끼움부(170)가 결합되도록 하여 어느 하나의 바닥재(1)와 인접한 또 다른 바닥재(1)가 연장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하부판(100)의 둘레 중 전술한 복수의 연장 연결 수용부(160)가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2개면의 측면의 내측 하부면에는 복수의 연장 연결 끼움부(170)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연장 연결 끼움부(170)는 끼움돌기(171)와 걸림후크(173)로 형성될 수 있다.
끼움돌기(171)는 전술한 연장 연결 수용부(160)의 끼움홈(163)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끼움돌기(171)는 전술한 것과 같이 연장 연결 수용부(160)의 끼움홈(163)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걸림후크(173)는 끼움돌기(171)의 양측에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후크(173)는 갈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전술한 연장 연결 수용부(160)의 걸림홈(165)에 걸려짐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즉, 끼움돌기(171)와 걸림후크(173)가 각각 끼움홈(163)과 걸림홈(165)에 결합됨으로써 연장 연결 수용부(160)와 연장 연결 끼움부(170)가 연결되어 어느 하나의 바닥재(1)와 인접한 또 다른 바닥재(1)가 연장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연장 연결 수용부(160)와 연장 연결 끼움부(170)에 의해 연속적으로 바닥재(1)를 결합함으로써 넓은 영역에 바닥재(1)를 용이하게 연장하여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 : 바닥재
100 : 하부판
110 : 지지레그
120 : 하중분산레그
130 : 중앙 결합부 131 :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
132 : 중앙 결합부 체결통
140 : 둘레 결합부 141 : 둘레 결합부 체결통
142 : 둘레 결합부 체결후크
160 : 연장 연결 수용부 161: 사각 박스
163 : 끼움홈 165 : 걸림홈
170 : 연장 연결 끼움부
171 : 끼움돌기 173 : 걸림후크
200 : 상부판
210 : 탄성체 상부판 211 : 패턴형 상부판
212 : 식재용 상부판
230 : 중앙 결합부 231 :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
232 : 중앙 결합부 체결통
240 : 둘레 결합부 241 : 둘레 결합부 체결후크
242 : 둘레 결합부 체결통
100 : 하부판
110 : 지지레그
120 : 하중분산레그
130 : 중앙 결합부 131 :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
132 : 중앙 결합부 체결통
140 : 둘레 결합부 141 : 둘레 결합부 체결통
142 : 둘레 결합부 체결후크
160 : 연장 연결 수용부 161: 사각 박스
163 : 끼움홈 165 : 걸림홈
170 : 연장 연결 끼움부
171 : 끼움돌기 173 : 걸림후크
200 : 상부판
210 : 탄성체 상부판 211 : 패턴형 상부판
212 : 식재용 상부판
230 : 중앙 결합부 231 :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
232 : 중앙 결합부 체결통
240 : 둘레 결합부 241 : 둘레 결합부 체결후크
242 : 둘레 결합부 체결통
Claims (9)
- 하부판(100);
상기 하부판(100)의 상부에 결합되되, 상기 하부판(100)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판(200);을 포함하는 다목적 바닥재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200)은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기능 및 형태를 갖는 상부판(200)으로의 교체가 가능하고,
상기 하부판(100)의 상부면 중앙부분과 상기 상부판(200)의 하부면 중앙부분 각각에는 중앙 결합부(130, 230)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판(100)의 상부면 둘레부분과 상기 상부판(200)의 하부면 둘레부분 각각에는 둘레 결합부(140, 240)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 결합부(130, 230)는,
상기 하부판(100)의 상부면 중앙부분 및 상부판(200)의 하부면 중앙부분 각각에 형성되는 한 쌍의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131, 231);
상기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131, 231)와 대칭되도록 일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중앙 결합부 체결통(132, 232);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결합부 체결후크(131, 231)와 중앙 결합부 체결통(132, 232)은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며,
상기 하부판(100)은 상부면에 복수의 격자 패턴이 형성되고,
하부면에 복수의 지지레그(110)와 복수의 하중분산레그(120)가 격자패턴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판(100)의 상부면 중앙부분에 형성되는 중앙 결합부(130)와 상기 하부판(100)의 상부면 둘레부분에 형성되는 둘레 결합부(140)는 상기 하부판(100) 상부면의 내면에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판(200)이 하부판(100)의 상부면에 이격됨이 없이 밀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형 상부판을 이용한 다목적 바닥재.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중분산레그(120)는,
상기 지지레그(110)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지면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공극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형 상부판을 이용한 다목적 바닥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레그(110)는,
상기 복수의 하중분산레그(120)의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고, 그 두께가 2mm 내지 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형 상부판을 이용한 다목적 바닥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200)은,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탄성체가 구비되는 탄성체 상부판(210), 상부면에 패턴이 형성되는 패턴형 상부판(211), 상부면에 식재홈이 형성되는 식재용 상부판(212)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형 상부판을 이용한 다목적 바닥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100) 및 상부판(200)은,
열가소성 수지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형 상부판을 이용한 다목적 바닥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둘레 결합부(140, 240)는,
상기 하부판(100)의 상부면 가장자리 2방향의 내면과 상기 상부판(200) 둘레의 2방향 하부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둘레 결합부 체결통(141, 242);
상기 둘레 결합부 체결통(141, 242)과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둘레 결합부 체결후크(142, 241);를 포함하고,
상기 둘레 결합부 체결통(141, 242)과 둘레 결합부 체결후크(142, 241)는 직사각형 형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형 상부판을 이용한 다목적 바닥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100)의 둘레 중 인근하는 2개면의 측면에는 복수의 연장 연결 수용부(16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부판(100)의 둘레 중 복수의 연장 연결 수용부(160)가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2개면의 측면의 내측 하부면에는 복수의 연장 연결 끼움부(17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형 상부판을 이용한 다목적 바닥재.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연장 연결 수용부(160)는,
사각 박스(161)와 상기 사각 박스(161)의 중앙부분에 중공으로 형성되는 끼움홈(163)과 사각 박스(161)의 양측 하단부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걸림홈(165)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 연결 끼움부(170)는,
상기 끼움홈(163)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끼움돌기(171)와 상기 끼움돌기(171)의 양측에 형성되는 갈고리형상의 한 쌍의 걸림후크(1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형 상부판을 이용한 다목적 바닥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98615A KR102497423B1 (ko) | 2022-08-08 | 2022-08-08 | 교체형 상부판을 이용한 다목적 바닥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98615A KR102497423B1 (ko) | 2022-08-08 | 2022-08-08 | 교체형 상부판을 이용한 다목적 바닥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97423B1 true KR102497423B1 (ko) | 2023-02-08 |
Family
ID=85225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98615A KR102497423B1 (ko) | 2022-08-08 | 2022-08-08 | 교체형 상부판을 이용한 다목적 바닥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97423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95216B1 (ko) * | 2016-04-28 | 2017-01-12 | 주식회사 필드원종합건설 |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 |
KR20170068108A (ko) * | 2015-12-09 | 2017-06-19 | 주식회사 필드원종합건설 | 넥스트코트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 |
KR101870386B1 (ko) | 2018-01-15 | 2018-06-22 | (주)하이탑 | 높이조절과 충격흡수기능이 구비된 조립식 바닥재 |
KR20180002184U (ko) * | 2017-01-06 | 2018-07-16 | 김권수 | 경기장용 바닥재 |
KR20190011442A (ko) * | 2017-07-25 | 2019-02-07 | 녹성스포텍 주식회사 | 조립식 스포츠 코트 블럭 |
KR102202247B1 (ko) * | 2020-06-02 | 2021-01-13 | 김용봉 | 3중 구조를 갖는 친환경 잔디 보호매트 |
-
2022
- 2022-08-08 KR KR1020220098615A patent/KR10249742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68108A (ko) * | 2015-12-09 | 2017-06-19 | 주식회사 필드원종합건설 | 넥스트코트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 |
KR101695216B1 (ko) * | 2016-04-28 | 2017-01-12 | 주식회사 필드원종합건설 |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 |
KR20180002184U (ko) * | 2017-01-06 | 2018-07-16 | 김권수 | 경기장용 바닥재 |
KR20190011442A (ko) * | 2017-07-25 | 2019-02-07 | 녹성스포텍 주식회사 | 조립식 스포츠 코트 블럭 |
KR101870386B1 (ko) | 2018-01-15 | 2018-06-22 | (주)하이탑 | 높이조절과 충격흡수기능이 구비된 조립식 바닥재 |
KR102202247B1 (ko) * | 2020-06-02 | 2021-01-13 | 김용봉 | 3중 구조를 갖는 친환경 잔디 보호매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16407192B2 (en) | Modular pallet and multilayer support structure | |
US9528280B2 (en) | Surface underlayment system with interlocking resilient anti-slip shock tiles | |
US8397466B2 (en) | Tile with multiple-level surface | |
US3438312A (en) | Ground covering capable for use in playing tennis in the open air or under cover | |
US5950378A (en) | Composite modular floor tile | |
US8596023B2 (en) | Modular tile with controlled deflection | |
US10711469B2 (en) | Interlocking and shock attenuating tiling systems | |
KR101083294B1 (ko) | 잔디 보호매트 | |
CN107407061A (zh) | 用于铺面的透水式地格 | |
KR101011907B1 (ko) | 인조 잔디 구조체의 배수보드 | |
KR102497423B1 (ko) | 교체형 상부판을 이용한 다목적 바닥재 | |
US20050108968A1 (en) | Arch-ribbed tile system | |
KR102249169B1 (ko) | 인조잔디용 충격흡수 배수판 | |
KR102141831B1 (ko) | 이동 설치식 천연잔디 임대 모듈 및 이의 시공 방법 | |
KR200469908Y1 (ko) | 잔디 보호용 매트 | |
KR101109576B1 (ko) | 경기장 바닥 시공구조 | |
KR100581756B1 (ko) | 조경용 화단 | |
KR102476453B1 (ko) | 실내외 스포츠 바닥재 | |
KR101991986B1 (ko) | 데크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2721201B1 (ko) | 잔디 보호용 이중매트 | |
KR102627011B1 (ko) | 조립식 고무블록 시스템 | |
KR102152380B1 (ko) | 인조잔디식재 및 조립이 용이한 잔디보호매트 | |
KR102728717B1 (ko) | 잔디 보호용 매트 | |
KR102446819B1 (ko) | 틈새 완충 및 안전성을 갖춘 데크 시공용 마감구 | |
KR102431091B1 (ko) | 푹신한 잔디보호매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