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0386B1 - 높이조절과 충격흡수기능이 구비된 조립식 바닥재 - Google Patents

높이조절과 충격흡수기능이 구비된 조립식 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0386B1
KR101870386B1 KR1020180005139A KR20180005139A KR101870386B1 KR 101870386 B1 KR101870386 B1 KR 101870386B1 KR 1020180005139 A KR1020180005139 A KR 1020180005139A KR 20180005139 A KR20180005139 A KR 20180005139A KR 101870386 B1 KR101870386 B1 KR 101870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elastic
elastic block
auxiliary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5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해득
윤안식
Original Assignee
(주)하이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탑 filed Critical (주)하이탑
Priority to KR1020180005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03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64Height adjustable elements for supporting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22Resiliently-mounted floors, e.g. sprung floors
    • E04F15/225Shock absorber member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조절과 충격흡수기능이 구비된 조립식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재의 하부에 충격흡수를 위한 탄성블록을 구비하여 충격흡수기능이 우수하고 시공이 용이한 높이조절과 충격흡수기능이 구비된 조립식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격자들 사이에 복수의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판상의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하부에 격자를 기준으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지지돌기; 탄성재질로 구성되며,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상기 중공부에 상기 지지돌기 중 특정 격자에 구비되는 복수의 지지돌기가 삽입되면서 결합되는 탄성블록; 및 상기 지지돌기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돌기에 장착된 상기 탄성블록의 둘레방향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보조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높이조절과 충격흡수기능이 구비된 조립식 바닥재{PREFABRICATED FLOORING WITH HEIGHT ADJUSTMENT AND SHOCK ABSORPTION}
본 발명은 높이조절과 충격흡수기능이 구비된 조립식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재의 하부에 충격흡수를 위한 탄성블록을 구비하여 충격흡수기능이 우수하고, 시공이 용이하며, 높이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과 충격흡수기능이 구비된 조립식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는 운동장이나 기타 체육시설이나 강당 등의 바닥이 흙이나 콘크리트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콘크리트나 흙은 충격과 마찰이 그대로 전달되기 때문에 넘어지는 경우에 심하게 다칠 수 있다. 또한, 흙이나 콘크리트는 배수기능이 약하기 때문에 비가 오고 난 후에 미끄러져서 다칠 수 있으며, 상당기간이 지나서 빗물의 배수가 완료되고 땅이 건조되어야 사용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폐타이어 등을 파쇄하여 압축한 형태의 바닥재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바닥재는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파쇄한 조각들을 압축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서 입자 간의 결합력이 떨어지면서 비산하여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다. 더구나 압축 바닥재는 흙이나 콘크리트에 비해서는 배수기능이 우수하지만 여전히 배수가 원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오늘날에는 다공성 블록을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플라스틱 바닥재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플라스틱 사출에 의한 조립식 바닥재는 1990년대 후반에 미국에서 사용되기 시작하였는데, 배수기능이 우수하고, 다양한 색상과 형태로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운동장이나 실내체육관 등의 바닥재로 매우 유용하다. 이러한 이유로 오늘날에는 운동장뿐만 아니라 건물의 옥상, 보행로나 산책로, 주차장, 창고, 자전거 도로 등으로 활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바닥재에 관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88896호(종래기술 1)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75984호(종래기술 2)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종래기술 1은 두 개의 패널을 상하로 배치하고 그 사이에 스프링을 구비한 형태로 구성되는데, 충격흡수력이 우수하고 상부면이 평면으로 구성되어 별도의 마감이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패널들의 배수기능이 떨어지고, 스프링의 수축으로 인한 바닥면의 울렁임도 심하며, 특히 스프링이 충격을 상당부분 흡수하기 때문에 농구 등과 같은 공놀이를 할 때는 공이 튀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종래기술 2는 바닥재의 하부에 사출성형한 충격흡수부를 장착하는 것으로, 상기 충격흡수부가 바닥면의 하부 전체에 균일하게 대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 2는 2개의 사출성형물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들고, 충격흡수부가 전체 면에 모두 들어가기 때문에 소재 자체의 탄성력에 따라 충격흡수능력이 제한되는 한계가 있다. 더구나 충격흡수부재가 바닥재의 돌기 사이에 균일하게 장착되어야 하는데, 통상적으로 충격흡수부재는 바닥재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바닥재와 충격흡수부재의 조립에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소요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331983 B1 KR 10-1657999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바닥재의 하부에 골무형태의 충격흡수부재를 장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비용이 저렴하고, 가공과 조립이 간단하며, 충격흡수부재의 개수를 조절하여 충격흡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과 충격흡수기능이 구비된 조립식 바닥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격자들 사이에 복수의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판상의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하부에 격자를 기준으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지지돌기; 탄성재질로 구성되며,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상기 중공부에 상기 지지돌기 중 특정 격자에 구비되는 복수의 지지돌기가 삽입되면서 결합되는 탄성블록; 및 상기 지지돌기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돌기에 장착된 상기 탄성블록의 둘레방향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보조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탄성블록은 최소한 상기 지지돌기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돌기가 상기 탄성블록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바닥에 설치되는 경우에 상기 지지돌기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탄성블록의 외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돌기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돌기의 외측에는 상기 보조돌기와 동일한 길이의 보조돌기가 구비되되, 상기 보조돌기는 상기 지지돌기에 장착되는 상기 탄성블록의 사방에 구비되어 각각의 보조돌기의 일측면이 상기 돌기홈에 안착되면서 대면하여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탄성블록의 중공부 내측에는 십(十)자형의 기둥으로 구성되는 보조블록이 더 구비되되, 상기 보조블록은 상기 지지돌기보다는 길고 상기 탄성블록보다는 짧게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하부면에 대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보조블록은 상기 탄성블록보다는 연질의 탄성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탄성블록의 중공부 내측으로 상기 탄성블록의 하단과 상기 보조블록의 사이에는 쿠션블록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쿠션블록은 탄성재질의 중공구체로 구성되며, 표면에는 공기구멍이 구비되어 상기 쿠션블록에 외력이 가해지면 내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구멍을 통하여 배출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고 상기 쿠션블록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 다시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탄성블록의 중공부 내측에는 십(十)자형의 기둥으로 구성되는 보조블록이 더 구비되고, 상기 탄성블록의 중공부 일측은 지지판에 의하여 폐쇄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보조블록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탄성블록이 베이스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면서 바닥재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과 충격흡수기능이 구비된 조립식 바닥재는 바닥재의 하부에 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돌기에 골무형태의 충격흡수부재를 장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비용이 저렴하고 가공 및 조립이 간단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충격흡수부재의 개수를 조절하여 충격흡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과 충격흡수기능이 구비된 조립식 바닥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단위격자의 하부에서 지지돌기에 탄성블록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높이조절과 충격흡수기능이 구비된 조립식 바닥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과 충격흡수기능이 구비된 조립식 바닥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조절기능이 구비된 탄성 바닥재의 분해 사시도 이고, 도 2는 도 1에서 단위격자의 하부에서 지지돌기에 탄성블록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평조절기능이 구비된 탄성 바닥재는 베이스프레임(10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돌기(110)와 상기 지지돌기(110)에 장착되는 탄성블록(130) 및 상기 지지돌기(110)에 장착된 탄성블록(130)의 둘레방향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탄성블록(130)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보조돌기(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프레임(100)은 바닥재의 기본구성으로, 일반적으로 사각형의 판상으로 구성되며, 다양한 무늬의 격자로 구성되어 상기 격자들 사이에 배수공(10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베이스프레임(100)은 여러 개를 수평으로 연결하여 운동장이나 체육관 바닥 등에 깔아서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베이스프레임(100)의 둘레방향에는 인접한 베이스프레임(100)과 연결되는 연결부(105)가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평조절기능이 구비된 탄성 바닥재는 후술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탄성블록(130)과 상기 탄성블록(130)의 충격흡수구조가 발명의 핵심구성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해석함에 있어 베이스프레임(100)의 구체적인 형상이나 격자무늬의 구조 등은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공지의 다양한 구성이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지지돌기(110)는 베이스프레임(100)의 하부(도 1을 기준으로 한 방향표시임, 이하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는 동일한 기준으로 결정됨)에 수직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지지돌기(110)는 베이스프레임(100)과 함께 일체로 사출 성형 되어 제조된다. 지지돌기(110)는 베이스프레임(100)의 하부에 격자무늬에 대응하여 촘촘하게 배치되는데, 상기 지지돌기(110)의 구체적인 개수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지지돌기(110)는 후술하여 설명할 탄성블록(130)의 중공부(135)에 최소한 3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4개가 삽입되어 상기 탄성블록(130)의 내측면에 대면하는 구조를 가지면 족하다. 지지돌기(110)의 기능과 상기 지지돌기(110)가 탄성블록(130)과 결합 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설명한다.
탄성블록(130)은 고무나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력이 높은 재질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중공부(135)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 형상으로 구성된다. 탄성블록(13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의 외주면을 복수의 요철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길이방향(상하방향)으로 충격을 받으면 일부 수축하는 구조가 된다. 탄성블록(13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사각형 모양의 격자무늬(이하 '단위격자(A)'라 함)에 대응하는 크기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평조절기능이 구비된 탄성 바닥재는 탄성블록(130)에 4개의 지지돌기(110)가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예시로 하였다.
탄성블록(130)은 최소한 지지돌기(110) 보다는 길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돌기(110)가 상기 탄성블록(130)의 중공부(135) 내측에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지지돌기(110)가 상기 탄성블록(130)의 반대쪽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하여 탄성블록(130)이 바닥면을 향하도록 하여 설치하는 경우에 상기 탄성블록(130)이 바닥면에 닿고, 지지돌기(110)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베이스프레임(100)의 상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 탄성블록(130)이 길이방향으로 일부 수축하면서 외측면으로 부풀어 올라 충격을 흡수하여 베이스프레임(100)을 지지한다. 지지돌기(110)는 베이스프레임(100)이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고, 탄성블록(130)을 지지 및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평조절기능이 구비된 탄성 바닥재는 4개의 지지돌기(110)가 탄성블록(130)의 중공부(135) 내측에 삽입되는데, 이때 지지돌기(110)들의 외측을 연결하는 가상의 원(또는 서로 마주보는 지지돌기들 사이의 거리)은 탄성블록(130)의 중공부(135) 지름보다 다소 크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돌기(110)가 탄성블록(130)의 중공부(135)에 삽입되는 경우에 다소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도록 하여 바닥재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탄성블록(13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지지돌기(100)의 외측면은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구성되며, 하단의 일부는 탄성블록(130)의 중공부(135)보다 좁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블록(130)에 삽입되기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바닥재를 운동장의 바닥면 등에 설치하면 탄성블록(130)이 베이스프레임(100)을 지지하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상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탄성블록(130)이 충격을 흡수하는 정도는 상기 탄성블록(130)의 재질이나 바닥에서 장착되는 탄성블록(130)의 개수로 조절할 수 있다. 즉, 바닥재의 하부에는 균일한 패턴과 균일한 모양으로 지지돌기(110)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단위격자(A)에는 모두 탄성블록(130)을 결합시킬 수 있는 구조다. 따라서 탄성블록(130)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늘릴 수 있으며, 상기 탄성블록(130)의 개수를 늘려서 조밀하게 하면 단단한 바닥면을 만들 수 있고, 탄성블록(130)의 개수를 줄이면 비교적 무른 바닥을 만들 수 있게 된다.
탄성블록(130)의 길이방향 외측면에는 후술하여 설명할 보조돌기(120)가 대면하는 돌기홈(133)이 구비될 수 있다. 돌기홈(133)에 관해서는 후술하여 설명한다.
보조돌기(120)는 지지돌기(110)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탄성블록(130)의 외측면을 지지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단위격자(A)에서 지지돌기(110)는 단위격자(A)의 내측면에 구비된 격자부(107)로부터 하부로 연장되고, 보조돌기(120)는 단위격자(A)의 테두레에서 하부로 연장된다. 그리하여 지지돌기(110)에 탄성블록(130)이 장착되는 경우에 보조돌기(120)가 상기 탄성블록(130)의 외측면에 닿으면서 상기 탄성블록(130)을 지지하게 된다. 보조돌기(120)와 탄성블록(130)의 접촉면은 가급적 넓어야만 조립은 용이하면서 탄성블록(130)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런데 탄성블록(130)은 원통형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보조돌기(120)의 외측면 중 상기 탄성블록(130)과 맞닿는 부위는 원형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으로 구성하고, 상기 탄성블록(130)의 길이방향 외측면에는 상기 보조돌기(120)의 형상에 대응하는 돌기홈(133)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보조돌기(120)가 상기 돌기홈(133)에 대면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보조돌기(120)가 돌기홈(133)의 외측면에 구비된 돌기홈(133)에 안착하면서 대면하기 때문에 상기 탄성블록(130)이 둘레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탄성블록(130)이 수축하면서 외측면으로 부풀어 오르는 것을 지지하여 상기 탄성블록(130)이 지나치게 수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조돌기(120)는 지지돌기(110)와 동일하게 베이스프레임(100)과 일체로 사출성형 되며, 지지돌기(110)와 동일한 길이로 구성되어 탄성블록(130)의 수축이 일정범위를 넘으면 상기 보조돌기(120)와 함께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보조돌기(120)는 탄성블록(130)의 둘레방향을 따라 4개가 구비되어 상기 탄성블록(130)의 사방에서 상기 돌기홈(133)에 안착되면서 대면하여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탄성블록(130)이 장착된 바닥재가 운동장 바닥 등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바닥재의 베이스프레임(100) 상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탄성블록(130)이 수축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이때 원통형상의 탄성블록(130)은 내부에서 지지돌기(110)에 의하여 지지되고, 외측면은 요철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길이방향으로 수축을 하면 외측면으로 부풀어 오르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는 탄성블록(130)의 외측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의 보조돌기(120)가 상기 탄성블록(130)과 대면하면서 지지하기 때문에 상기 탄성블록(130)이 외측면으로 지나치게 부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탄성블록(130)이 과도하게 수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블록(130)이 과도하게 수축되면 바닥이 물렁해지고 지지돌기(110)가 쉽게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베이스프레임(100)의 상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이 일정 범위를 넘어서서 탄성블록(130)이 심하게 수축되면 2차적으로 지지돌기(110)와 보조돌기(120)가 바닥면에 닿으면서 지지하게 된다. 즉,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탄성블록(130)은 지지돌기(110)보다 길게 형성되어 바닥재를 설치하는 경우에 상기 탄성블록(130)의 끝단이 바닥면에 닿고 상기 지지돌기(110)는 바닥면으로부터 일부 이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탄성블록(130)이 심하게 수축되면 바닥면이 지지돌기(130)와 보조돌기(120)에 닿으면서 더 이상 수축되지 않게 된다.
바닥재는 주로 체육관 등의 바닥에 설치되어 그 위에서 다양한 운동을 하게 된다. 그런데 바닥재가 충격흡수를 하면서 심하게 수축되는 경우에 오히려 공의 반발력이 떨어져서 정상적인 공놀이를 하기 어렵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과 충격흡수기능이 구비된 조립식 바닥재는 유연하고 탄력성이 있는 탄성블록(130)을 이용하여 1차적으로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하게 한다. 이때 탄성블록(130)의 내측면은 지지돌기(110)가 대면하면서 지지하고 상기 탄성블록(130)의 외측면은 보조돌기(120)가 대면하면서 지지하여 상기 탄성블록(130)이 지나치게 쉽게 찌그러지거나 수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하여 특히 강한 충격이 짧게 가해지는 공놀이 등의 경우에는 상기 탄성블록(130)이 충격을 흡수하면서 바닥재의 반발력은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무거운 충격이 다소 길게 가해져서 탄성블록(130) 심하게 수축하면 2차적으로 지지돌기(110)와 보조돌기(120)가 바닥에 닿으면서 더이상 수축되지 않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높이조절과 충격흡수기능이 구비된 조립식 바닥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높이조절과 충격흡수기능이 구비된 조립식 바닥재는 탄성블록(130)의 중공부(135) 내측에 보조블록(150)이 더 구비되어 있다. 보조블록(150)은 단부의 형상이 십(十)자형의 기둥으로 구성되어 탄성블록(130)의 중공부(135) 내측에 장착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보조블록(150)은 지지돌기(110)보다는 길고 탄성블록(130)보다는 짧게 구성하여 상기 보조블록(150)이 베이스프레임(100)의 하부면에 대면하도록 장착되는 경우에 상기 보조블록(150)의 하단이 지지돌기(110)의 하단과 탄성블록(130)의 하단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보조블록(150)은 탄성블록(130)보다 경질의 탄성부재로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보조블록(150)도 탄성블록(130)과 마찬가지고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탄성블록(130)과 마찬가지로 고무나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력을 가진 재질로 구성되어야 하지만 상기 탄성블록(130)이 보조블록(150)보다는 연질로 구성되어 상대적으로 쉽게 수축하거나 휘어지게 구성된다.
보조블록(150)은 탄성블록(130)의 중공부(135) 내측에 억지끼움으로 장착되거나 상기 보조블록(150)의 상단에 상기 탄성블록(130)의 중공부(135)보다 큰 확장부를 구비하여 상기 보조블록(150)이 상기 탄성블록(130)의 내측 상부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4개의 지지돌기(110)들 사이에 삽입되면서 결합되는 보조블록(150)의 리브를 상기 지지돌기(110)들 사이의 틈보다 다소 크게하여 억지끼움이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은 구성은 보조블록(150)이 탄성블록(130)의 내측에서 유동하지 않도록 고정하여 바닥재를 설치하는 과정에 상기 보조블록(150)이 탄성블록(130)으로부터 분리하거나 이탈하여 작업성을 저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일 뿐 상기 보조블록(150)이 탄성블록(130)의 내측에서 유동하더라도 후술하여 설명할 보조충격흡수 기능이 저해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보조블록(150)이 베이스프레임(100)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고 탄성블록(130)의 내측에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탄성블록(130)에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탄성블록(130)의 내측에 십(十)자형의 보조블록(150)을 장착하면 상기 보조블록(150)이 탄성블록(130)에 보조적으로 충격흡수 기능을 하게 된다. 즉, 베이스프레임(100)의 상부에 강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 1차적으로 탄성블록(130)이 수축하면서 충격을 흡수한다. 이때 탄성블록(130)은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돌기(110)와 보조돌기(120)에 의하여 내외측이 지지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한편, 베이스프레임(100)에 가해지는 충격이 강하여 탄성블록(130)이 일정범위 이상 수축하면 2차적으로 보조블록(150)이 충격을 흡수하고, 상기 보조블록(150)의 충격흡수력을 넘는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마지막으로 지지돌기(110)와 보조돌기(120)가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보조블록(150)은 탄성블록(130)보다는 짧고 지지돌기(110)보다는 길며, 상기 탄성블록(130)보다는 경질의 탄성재질로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탄성블록(130)과 지지돌기(110) 사이의 충격을 흡수하기에 용이하다.
탄성블록(130)의 내측에 상기 탄성블록(130)보다 경질의 보조블록(150)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블록(150)이 탄성블록(130)의 내측을 지지하는 경우에 상기 탄성블록(130)은 내외측이 모두 지지되기 때문에 충격을 흡수하면서 반발력은 유지할 수 있는 구조가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과 충격흡수기능이 구비된 조립식 바닥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높이조절과 충격흡수기능이 구비된 조립식 바닥재는 탄성블록(130)의 중공부(135) 내측으로 상기 탄성블록(130)의 하단과 보조블록(150)의 사이에 쿠션블록(17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쿠션블록(170)은 고무나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재질로 구성되고, 내부에는 공기가 충전될 수 있는 중공구체로 구성되며, 표면에는 작은 공기구멍이 최소한 하나 이상 형성되어 충격이 가해지면 일부 공기가 배출되면서 수축하여 충격을 흡수하고 외력이 제거되면 다시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면서 원상복귀하는 에어쿠션(air cushion)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중공구체는 반드시 정원(正圓)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내부에 공기가 채워질 수 있는 구조라면 보조블록(150)의 하부에 형성되는 공간에 대응하는 형태 또는 상기 공간에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는 형태를 모두 포함한다.
쿠션블록(170)은 상부에 결합돌기(175)가 구비되어 상기 결합돌기(175)가 십(十)자형의 보조블록(150)의 리브 사이에 삽입되면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쿠션블록(170)은 탄성블록(130)과는 완전히 분리되고, 보조블록(150)의 하부와는 접착하여 결합되거나 억지끼움으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쿠션블록(170)은 탄성블록(130)과 함께 1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고, 보조블록(150)이 2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며, 지지돌기(110)와 보조돌기(120)가 마지막으로 충격을 흡수하면서 지지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과 충격흡수기능이 구비된 조립식 바닥재의 분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과 충격흡수기능이 구비된 조립식 바닥재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과 충격흡수기능이 구비된 조립식 바닥재는 보조블록(150)을 이용하여 탄성블록(1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과 충격흡수기능이 구비된 조립식 바닥재는 탄성블록(130)의 중공부(130) 일단(도면에서 하단)에 지지판(131)이 더 구비된다. 지지판(131)은 탄성블록(130)을 제작할 때 일체로 성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후작업을 통하여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탄성블록(130)의 하단이 폐쇄되는 경우에 빗물이 고일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탄성블록(130)에는 빗물배출공(미도시)이 구비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블록(150)은 전술하여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다. 다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조블록(150)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길게 형성된 보조블록(150)을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바닥재를 설치하는 과정에 바닥면이 균일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보조블록(150)을 조금 더 길게 하여 탄성블록(130)이 베이스프레임(100)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연장되어 바닥재의 높이를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다. 즉, 보조블록(150)의 길이를 베이스프레임(100)과 탄성블록(130)의 지지판(131) 사이의 거리보다 길게 하면 상기 탄성블록(130)의 중공부 일측이 막혀 있기 때문에 그 차이만큼 탄성블록(130)이 베이스프레임(100)으로부터 이격되어 높이나 수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베이스프레임
103: 배수공
105: 연결부
107: 격자부
110: 지지돌기
120: 보조돌기
130: 탄성블록
131: 지지판
133: 돌기홈
135: 중공부
150: 보조블록
170: 쿠션블록
175: 결합돌기

Claims (8)

  1. 격자들 사이에 복수의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판상의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하부에 격자를 기준으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지지돌기; 탄성재질로 구성되며,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상기 중공부에 상기 지지돌기 중 특정 격자에 구비되는 복수의 지지돌기가 삽입되면서 결합되는 탄성블록; 및 상기 지지돌기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돌기에 장착된 상기 탄성블록의 둘레방향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보조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탄성블록은 최소한 상기 지지돌기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돌기가 상기 탄성블록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바닥에 설치되는 경우에 상기 지지돌기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탄성블록의 외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돌기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돌기는 상기 지지돌기에 장착되는 상기 탄성블록의 사방에 구비되어 각각의 보조돌기의 일측면이 상기 돌기홈에 안착되면서 대면하여 지지하고,
    상기 탄성블록의 중공부 내측에는 십(十)자형의 기둥으로 구성되는 보조블록이 더 구비되되,
    상기 보조블록은 상기 지지돌기보다는 길고 상기 탄성블록보다는 짧게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하부면에 대면하도록 장착되는 높이조절과 충격흡수기능이 구비된 조립식 바닥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블록은 상기 탄성블록보다는 연질의 탄성부재로 구성되는 높이조절과 충격흡수기능이 구비된 조립식 바닥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탄성블록의 중공부 내측으로 상기 탄성블록의 하단과 상기 보조블록의 사이에는 쿠션블록이 더 구비되는 높이조절과 충격흡수기능이 구비된 조립식 바닥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쿠션블록은 탄성재질의 중공구체로 구성되며, 표면에는 공기구멍이 구비되어 상기 쿠션블록에 외력이 가해지면 내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구멍을 통하여 배출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고 상기 쿠션블록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 다시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도록 구성되는 높이조절과 충격흡수기능이 구비된 조립식 바닥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블록의 중공부 내측에는 십(十)자형의 기둥으로 구성되는 보조블록이 더 구비되고, 상기 탄성블록의 중공부 일측은 지지판에 의하여 폐쇄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보조블록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탄성블록이 베이스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면서 바닥재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높이조절과 충격흡수기능이 구비된 조립식 바닥재.
KR1020180005139A 2018-01-15 2018-01-15 높이조절과 충격흡수기능이 구비된 조립식 바닥재 KR101870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139A KR101870386B1 (ko) 2018-01-15 2018-01-15 높이조절과 충격흡수기능이 구비된 조립식 바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139A KR101870386B1 (ko) 2018-01-15 2018-01-15 높이조절과 충격흡수기능이 구비된 조립식 바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0386B1 true KR101870386B1 (ko) 2018-06-22

Family

ID=62768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5139A KR101870386B1 (ko) 2018-01-15 2018-01-15 높이조절과 충격흡수기능이 구비된 조립식 바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038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4299A3 (pt) * 2018-08-31 2020-05-14 Marta Machado Maria Emilia Sistema modular para pavimento com sistema amortecedor resiliente
KR20210017532A (ko) * 2019-08-08 2021-02-17 이인우 복층건물의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시공구조
KR102497423B1 (ko) 2022-08-08 2023-02-08 주식회사 필드원종합건설 교체형 상부판을 이용한 다목적 바닥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3579B1 (ko) * 1990-03-20 1998-12-15 야기 쿠마키치 이중바닥구조물과 이중바닥구조물용 판넬
KR100756280B1 (ko) * 2006-04-07 2007-09-06 김석규 건축의 차음설비구조
KR101331983B1 (ko) 2011-12-07 2013-11-25 (주) 우성정공 조립식 탄성바닥재
KR101548985B1 (ko) * 2015-06-10 2015-09-11 (주)한림이앤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층간 차음 바닥 구조물
KR101657999B1 (ko) 2015-08-03 2016-09-30 주식회사 신한엔터프라이즈 스포츠 코트용 조립식 성형 바닥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3579B1 (ko) * 1990-03-20 1998-12-15 야기 쿠마키치 이중바닥구조물과 이중바닥구조물용 판넬
KR100756280B1 (ko) * 2006-04-07 2007-09-06 김석규 건축의 차음설비구조
KR101331983B1 (ko) 2011-12-07 2013-11-25 (주) 우성정공 조립식 탄성바닥재
KR101548985B1 (ko) * 2015-06-10 2015-09-11 (주)한림이앤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층간 차음 바닥 구조물
KR101657999B1 (ko) 2015-08-03 2016-09-30 주식회사 신한엔터프라이즈 스포츠 코트용 조립식 성형 바닥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4299A3 (pt) * 2018-08-31 2020-05-14 Marta Machado Maria Emilia Sistema modular para pavimento com sistema amortecedor resiliente
WO2020044300A3 (pt) * 2018-08-31 2020-05-14 Marta Machado Maria Emilia Sistema modular para pavimento com sistema protetor contra desgaste
KR20210017532A (ko) * 2019-08-08 2021-02-17 이인우 복층건물의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시공구조
KR102295294B1 (ko) * 2019-08-08 2021-08-31 이인우 복층건물의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시공구조
KR102497423B1 (ko) 2022-08-08 2023-02-08 주식회사 필드원종합건설 교체형 상부판을 이용한 다목적 바닥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0386B1 (ko) 높이조절과 충격흡수기능이 구비된 조립식 바닥재
RU2549645C2 (ru) Синтетическая напольная плитка, имеющая частично податливую опорную конструкцию
US10975532B2 (en) Underlayment panel having drainage channels
US9458636B2 (en) Multi-stage shock absorbing modular floor tile apparatus
KR101907111B1 (ko) 레벨 조절 및 충격 흡수가 가능한 우드블럭 모듈
CN100451239C (zh) 用于运动场的表面结构
KR200472466Y1 (ko) 스포츠용 바닥재
CA3028381A1 (en) Shock absorbing interlocking floor system
KR101879373B1 (ko) 수평조절기능이 구비된 조립식 플라스틱 바닥재
KR101879377B1 (ko) 수평조절기능이 구비된 조립식 바닥재
KR100901434B1 (ko) 조립식 스포츠코트
CA2788637C (en) Load supporting panel having impact absorbing structure
KR101404124B1 (ko) 완충 및 잔디 식생이 가능한 식생블록
CN207469033U (zh) 生态步道
KR101109576B1 (ko) 경기장 바닥 시공구조
KR20190023497A (ko) 배수기능과 충격흡수기능이 구비된 인조잔디 구조체
CN209179415U (zh) 一种用于运动地板系统的底层地板组件
CN207194392U (zh) 一种运动木地板专用橡胶减震垫
KR101979646B1 (ko) 실내외 조립식 바닥재
KR102673756B1 (ko) 배수성을 가지는 인조잔디용 충격흡수패드
KR102637007B1 (ko) 투수형 친환경 놀이시설 탄성매트
CN219931424U (zh) 一种减震隔音型建筑物顶部运动场
CN219528256U (zh) 一种双层高缓冲十字拼装地板
CN216237973U (zh) 一种可排水的人工草皮足球场
CN220301104U (zh) 一种拼接式篮球场地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