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3756B1 - 배수성을 가지는 인조잔디용 충격흡수패드 - Google Patents

배수성을 가지는 인조잔디용 충격흡수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3756B1
KR102673756B1 KR1020230179571A KR20230179571A KR102673756B1 KR 102673756 B1 KR102673756 B1 KR 102673756B1 KR 1020230179571 A KR1020230179571 A KR 1020230179571A KR 20230179571 A KR20230179571 A KR 20230179571A KR 102673756 B1 KR102673756 B1 KR 102673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ption
base
absorption pad
shock
artificial tur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79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에셀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에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에셀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3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37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foa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성을 가지는 인조잔디용 충격흡수패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조 잔디 하부에 설치되어 배수를 유도하고, 인조 잔디의 충격흡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수성을 가지는 인조잔디용 충격흡수패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지면에 설치되는 판 또는 롤 형태의 베이스(10); 베이스(10) 상에 일정 간격으로 타공되어 형성되는 다수 개의 배수공(20); 상기 배수공(20) 측으로 물이 흐를 수 있도록 상기 배수공(20)에 수렴하는 경사가 형성된 유도싱크(21); 및 하나의 배수공(20)과 하나의 배수공(20)의 대각선 방향의 다른 배수공(20)들을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 물이 흐르도록 하는 유로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수성을 가지는 인조잔디용 충격흡수패드{Shock absorbing pad with drainage for artificial turf}
본 발명은 배수성을 가지는 인조잔디용 충격흡수패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조 잔디 하부에 설치되어 배수를 유도하고, 인조 잔디의 충격흡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수성을 가지는 인조잔디용 충격흡수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조 잔디는 자연 채광이 폐쇄된 곳이나 기후적으로 천연잔디의 생육이 곤란한 곳 또는 잔디의 관리가 어려운 곳 등 다양한 장소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인조 잔디는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해 사계절 이용이 가능하고 유지관리가 천연잔디에 비해 수월하여 돔구장, 빌딩, 학교, 놀이터 등에 널리 시공되고 있으며, 운동장과 같이 넓은 지역에 설치하는 경우 롤 형태로 마련되어 이를 지면에 펼쳐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운동장의 원활한 배수를 위하여 맹암거를 일정한 간격으로 매립한 상태에서, 그 상부에 자갈보조기층 및 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투수 아스콘 물질의 투수기층과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층을 일정한 두께로 형성한 후 인조 잔디를 설치한 다음,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충진재(탄성칩)를 포설한다.
하지만, 비가 내린 경우, 빗물이 스며들어 배수로까지 도달하여야 배수가 되므로, 운동장에 빗물이 고이는 현상이 발생하여 비가 그친 후에도 곧바로 경기장을 이용할 수 없고, 빗물이 완전히 스며들어 배수가 이루어져야 이용이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인조 잔디에 수막이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수중에서 경기를 진행하는 것과 다름없어, 경기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인조 잔디나 충격흡수패드는 오랫동안 실외 환경에 노출되는데, 빗물 또는 자외선 등에 의해 손상되면 충격흡수성이 저하되고,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파손이 일어나기도 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2403746호(이하, 선행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지면에 설치되는 판 형태의 베이스(100); 상기 베이스(100)에 일정 간격으로 관통 형성되는 다수의 배수공(200); 상기 베이스(100)의 상면에 대해 소정 높이 돌출되어 형성되되,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흐름가이드(310)와 상기 흐름가이드(310)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320)를 포함하는 물흐름유도부(300); 및 상기 베이스(100)의 하부에 종방향으로 배열되고 하향 돌출 형성되되, 상기 흐름가이드(310)와 서로 엇갈리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완충돌기를 포함하는 충격 흡수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흐름가이드(31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흐름가이드(310)를 부분적으로 단절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 형태의 통로(311)가 형성되고, 상기 통로(311)는 복수의 흐름가이드(310)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준 흐름가이드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제1통로와, 상기 기준 흐름가이드의 양쪽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흐름가이드에 형성되되, 상기 제1통로를 기준으로 우상향, 좌상향, 우하향, 좌하향 방향으로 일정 간격 순차적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2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흐름가이드(310)에는 상기 흐름가이드(3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10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방향전환돌기(312)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에 유입된 물은 유로(320)를 따라 일직선으로 이동하면서 배수공(200)으로 배출되면서 배수로로 배출되거나, 상기 제1통로, 상기 제2통로 및 상기 방향전환돌기에 의해 물이 인근의 유로(320)로 분산 이동하면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을 통해 인조잔디에 대한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인조잔디의 물고임 현상을 방지하고, 인조잔디 및 인조잔디용 충격흡수패드가 물에 떠오르거나 들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었으나, 물이 중간에 고이면 자연스러운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아 충격흡수패드의 충격흡수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인조 잔디 하부에 설치되어 물이 중간에 고이더라도 배수를 유도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하고, 인조 잔디의 충격흡수성이 향상되도록 올리핀계 합성수지를 사용하거나 EPP를 압출 성형한 것을 사용하여, 재활용 또는 재사용이 가능하여 친환경적이고 충격흡수성이 뛰어난, 배수성을 가지는 인조잔디용 충격흡수패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2403746호 (2022. 05. 3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인조 잔디 하부에 설치되어 물이 중간에 고이더라도 배수를 유도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하고, 인조 잔디의 충격흡수성이 향상되도록 올리핀계 합성수지를 사용하거나 EPP를 압출 성형한 것을 사용하여, 재활용 또는 재사용이 가능하여 친환경적이고 충격흡수성이 뛰어난, 배수성을 가지는 인조잔디용 충격흡수패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베이스의 일측면 제1 결합부; 및 상기 베이스의 타측면 제2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는 서로 맞물려 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충격흡수패드의 제1 결합부와 다른 충격흡수패드의 제2 결합부를 서로 결합하여 상기 충격흡수패드의 폭을 연장할 수 있는 배수성을 가지는 인조잔디용 충격흡수패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베이스 어느 일측에 요철(凹凸) 형상이 반복되는 요철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충격흡수패드 및 다른 충격흡수패드에 형성된 각각의 요철 결합부를 서로 맞물려 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충격흡수패드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배수성을 가지는 인조잔디용 충격흡수패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10배율 내지 40배율로 발포된 EPP를 압출하여 제조되는 충격흡수패드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패드(1)는, 지면에 설치되는 판 또는 롤 형태의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 어느 일측에 요철(凹凸) 형상이 반복되는 요철 결합부(17); 상기 베이스(10) 상에 일정 간격으로 타공되어 형성되는 다수 개의 배수공(20); 상기 배수공(20) 측으로 물이 흐를 수 있도록 상기 배수공(20)에 수렴하는 경사가 형성된 호형 접시머리 형상의 유도싱크(21); 하나의 배수공(20)과 하나의 배수공(20)의 대각선 방향의 다른 배수공(20)들을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 물이 흐르도록 하는 유로부(30); 상기 베이스(10)의 저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돌출된 복수 개의 충격흡수부(60); 및 상기 충격흡수부(60)의 표면상에 소정 패턴으로 함입되어 설치된 지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미끄럼 방지부(62);를 포함하되, 상기 충격흡수패드(1) 및 다른 충격흡수패드(1)에 형성된 각각의 요철 결합부(17)를 서로 맞물려 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충격흡수패드(1)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10)는, 상기 베이스(10)의 일측면 제1 결합부(15); 및 상기 베이스(10)의 타측면 제2 결합부(16);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결합부(15) 및 상기 제2 결합부(16)는 서로 맞물려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충격흡수패드(1)의 제1 결합부(15)와 다른 충격흡수패드(1)의 제2 결합부(16)를 서로 결합하여 상기 충격흡수패드(1)의 폭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베이스(10)는, 상기 베이스(10)의 저면에 격자 형상의 요홈(5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충격흡수패드(1)는 EPP(Expanded Polypropylene) 또는 올레핀계 합성수지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배수공(20)은, 상기 베이스(10) 상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타공되되, 짝수 번째 열에 타공된 배수공(20)은 홀수 번째 열에 타공된 배수공(20) 사이에 엇갈리도록 배치된 형상의 패턴으로 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조 잔디 하부에 설치되어 인조 잔디 하부에 설치되어 물이 중간에 고이더라도 배수를 유도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하고, 인조 잔디의 충격흡수성이 향상되도록 올리핀계 합성수지를 사용하거나 EPP를 압출 성형한 것을 사용하여, 재활용 또는 재사용이 가능하여 친환경적이고, 충격흡수성이 뛰어나다.
또한, 베이스의 일측면 제1 결합부; 및 상기 베이스의 타측면 제2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는 서로 맞물려 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충격흡수패드의 제1 결합부와 다른 충격흡수패드의 제2 결합부를 서로 결합하여 상기 충격흡수패드의 폭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베이스 어느 일측에 요철(凹凸) 형상이 반복되는 요철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충격흡수패드 및 다른 충격흡수패드에 형성된 각각의 요철 결합부를 서로 맞물려 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충격흡수패드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인조 잔디용 충격 흡수 배수판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인조 잔디용 충격 흡수 배수판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인조 잔디용 충격 흡수 배수판 저면도.
도 4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인조 잔디용 충격 흡수 배수판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인조 잔디용 충격 흡수 배수판의 1 결합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인조 잔디용 충격 흡수 배수판의 2 결합부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인조 잔디용 충격 흡수 배수판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인조 잔디용 충격 흡수 배수판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인조 잔디용 충격 흡수 배수판 결합 예시도 1.
도 10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인조 잔디용 충격 흡수 배수판 결합 예시도 2.
도 11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인조 잔디용 충격 흡수 배수판 결합 예시도 3.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배수성을 가지는 인조잔디용 충격흡수패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 도면은 발명의 특징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시된 표현 일부가 과장되거나 생략된 부분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것이 발명의 특정한 실시 형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 특정한 방향(상, 하, 좌, 우, 종, 횡, 내, 외 등) 또는 차례(제1, 제2…, 또는 n번째 등)를 지정하는 경우, 이러한 기재는 어디까지나 설명을 용이하게 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한 예시를 설명하는 것일 뿐, 이것이 특정한 구성 또는 특정한 실시 형태를 한정하거나 구속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설치되는 판 또는 롤 형태의 베이스(10); 베이스(10) 상에 일정 간격으로 타공되어 형성되는 다수 개의 배수공(20); 상기 배수공(20) 측으로 물이 흐를 수 있도록 상기 배수공(20)에 수렴하는 경사가 형성된 유도싱크(21); 및 하나의 배수공(20)과 하나의 배수공(20)의 대각선 방향의 다른 배수공(20)들을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 물이 흐르도록 하는 유로부(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충격흡수패드(1)는 상기 유도싱크(21)와 유로부(30)의 구조에 의해 배수 용이성이 증대되며, 물을 빠르게 배수하여 충격흡수패드(1) 상부에 설치되는 인조 잔디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패드(1)는 폴리프로필렌(Poly Propylene, PP), 폴리에틸렌(Poly Ethylene, PE), 폴리아미드(Polyamide, PA) 등을 포함하는 올레핀계 합성수지를 소량의 첨가제를 포함하여 성형한 것일 수 있으며, 첨가제 및 혼합물질의 함량이 적어 재사용 또는 재활용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하나의 예로 PE 재질의 충격흡수패드(1)는 5 내지 10mm 두께의 폼패드를 복수 개 성형한 후 이를 합포하여 10mm 내지 20mm 두께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PE계 원료에 발포제, 가교제, 안료, UV제 등의 첨가제를 혼합한 후 혼합물을 펠렛화 하여 얇은 모판 형태로 인장하면서 성형하고, 소정의 무늬 또는 패턴이 새겨진 금형을 통해 5 내지 10mm 두께의 폼패드를 성형한 후 이러한 폼패드를 합포하여 10mm 내지 20mm 두께로 PE 재질의 충격흡수패드(1)를 형성하는 것이다.
다르게는 상기 충격흡수패드(1)는 10배율 내지 40배율로 발포된 EPP(Expanded Polypropylene)를 압출하여 10mm 내지 30mm 두께로 제조된 것일 수도 있으며, 상기 충격흡수패드(1)에 사용되는 EPP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을 CO2를 이용하여 발포시킨 것으로, 외부 충격에 강하고, 내열성, 내수성, 충격흡수력 및 복원력이 우수하여 충격흡수패드(1)의 내구성을 개선하고, 충격흡수패드(1) 상부에 설치되는 인조 잔디에 충격흡수력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충격흡수패드(1)의 두께가 10mm 미만인 경우, 공과 같은 탄성체가 충격흡수패드(1) 위에서 충분한 탄성력을 보일 수는 있으나 충격흡수패드(1) 자체의 충격흡수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충격흡수패드(1)의 두께가 30mm를 초과하는 경우, 충격흡수패드(1) 자체의 충격흡수성은 뛰어날 수 있으나 공과 같은 탄성체가 충격흡수패드(1)에서 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여 경기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충격흡수패드(1)는 10mm 내지 30mm 두께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EPP 재질은 자체적인 복원력에 의해 탄성을 지닌 것으로, 압력에 의해 변형되더라도 본래 형상으로 복구되어 실내 경기장 또는 운동장 등에 설치되는 충격흡수패드(1)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이다.
또한, EPP 재질은 소각 시 환경 오염물질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EPP 원자재를 압출하거나 열융착하여 성형하는 것으로, 바인더나 별도의 혼합물질이 첨가되지 않아, 재활용이 가능하여 세계 각국의 환경 규제에 대응할 수 있는 친환경 소재로 충격흡수패드(1)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이다.
상기 베이스(10)는, 상기 베이스(10)의 일측면 제1 결합부(15); 및 상기 베이스(10)의 타측면 제2 결합부(16);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결합부(15)는 베이스(10)의 일측면 하부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1 결합부(15)의 상부면에 요철을 형성한 것이고, 상기 제2 결합부(16)은 베이스(10)의 타측면 상부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2 결합부(16)의 하부면에 요철을 형성한 것이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결합부(15) 및 상기 제2 결합부(16)는 서로 맞물려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충격흡수패드(1)의 제1 결합부(15)와 다른 충격흡수패드(1)의 제2 결합부(16)를 서로 결합하여 상기 충격흡수패드(1)의 길이 또는 폭을 연장할 수 있는 것이다.
다르게는, 상기 베이스(10)는 상기 베이스(10) 어느 일측에 요철(凹凸) 형상이 반복되는 요철 결합부(17)를 포함하되, 상기 충격흡수패드(1) 및 다른 충격흡수패드(1)에 형성된 각각의 요철 결합부(17)를 서로 맞물려 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격흡수패드(1)의 길이 또는 폭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결합부(15) 및 제2 결합부(16)와, 상기 요철 결합부(17)는 상기 충격흡수패드(1) 상에 함께 구비된 것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부(15) 및 제2 결합부(16)는 충격흡수패드(1)의 폭 방향을 연장할 수 있도록 충격흡수패드(1)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요철 결합부(17)는 충격흡수패드(1)의 길이 방향을 연장할 수 있도록 충격흡수패드(1)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충격흡수패드(1)과 다른 충격흡수패드(1)가 서로 맞물려 결합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내용에 기재된 제1 결합부(15)와 제2 결합부(16)의 결합 구조, 요철 결합부(17) 간의 결합 구조에 의해 각각의 충격흡수패드(1)는 서로 분리가 가능한 것으로, 하나의 충격흡수패드(1)에 손상이 생기거나 기능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문제가 발생한 충격흡수패드(1)만 분리하고 새로운 충격흡수패드(1)를 대신 결합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한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공(20)은 베이스(10) 상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타공된 것으로 물이 지면으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베이스(10)을 관통하는 형태의 구멍이다.
이때,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공(20)은 베이스(10) 상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타공되되, 짝수 번째 열에 타공된 배수공(20)은 홀수 번째 열에 타공된 배수공(20) 사이에 엇갈리도록 배치된 형상의 패턴으로 타공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수공(20)은 지면 측으로 수렴하는 형태의 테이퍼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형상의 배수공(20)은 지면 측으로 배수된 물 또는 빗물이 충격흡수패드(1) 상부 상부에 설치된 인조 잔디에 가해지는 압력 등에 의해 충격흡수패드(1) 상부로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구조의 배수공(20)은 후술할 유도싱크(21)와는 별도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테이퍼가 형성된 배수공(20)과 유도싱크(21)가 함께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도싱크(21)는 호형 접시머리 형상으로 상기 베이스(10) 상부면에서 배수공(20) 측으로 수렴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10) 상부에 떨어지는 물은 상기 유도싱크(21)의 경사면을 따라 상기 배수공(20) 측으로 유도되어 지면으로 배수된다.
또한, 유도싱크(21)는 폭우 등에 의해 많은 양의 물이 충격흡수패드(1) 측으로 유입될 시 배수공(20)을 통과하여 지면에 배수되기 전에 물이 저장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될 수도 있는 것으로, 충격흡수패드(1) 상부에 물이 넘쳐 충격흡수패드(1)의 외부로 물이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유로부(30)는 상기 베이스(10) 상에 타공된 배수공(20)과 다른 배수공(20)을 서로 연결하여 배수공(20) 1개에서 처리할 수 있는 배수량을 초과하는 빗물 또는 물이 유입되면 이를 다른 배수공(20) 측에 전달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유로부(30)는 상기 배수공(20)과 다른 배수공(20)을 연결할 때 대각선 방향에 있는 배수공(20)들을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구체적인 이유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공(20)은 베이스(10) 상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타공되되, 짝수 번째 열에 타공된 배수공(20)은 홀수 번째 열에 타공된 배수공(20) 사이에 엇갈리도록 배치된 형상의 패턴으로 타공된 경우, 수직 또는 수평 방향에 위치한 배수공(20) 간의 거리보다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 배수공(20) 간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아 빗물 또는 물이 갑작스레 유입되더라도 더 빠르게 다른 배수공(20) 측으로 빗물 또는 물을 전달할 수 있어 배수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10)의 저면에는 격자 형상의 요홈(50);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요홈(50)은 상기 베이스(10)가 온도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할 때, 상기 베이스(10)가 뒤틀리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지면 측으로 배수되는 물이 지면에 흡수되기 전에 물이 흐를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 배수공(20)을 통해 배수된 물이 지면에 고르게 흡수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10)는 상기 베이스(10)의 저면에 복수 개의 충격흡수부(60);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돌출된 것일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충격 흡수부(60)는 충격흡수패드(1)에 가해지는 압력 또는 충격을 흡수하는 목적의 구성으로 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10)의 저면에 돌출되어 인조 잔디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사용자의 피로감을 경감시킨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부(60)는, 충격흡수부(60)의 표면상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돌출되는 복수 개의 완충돌기(61);를 더 포함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완충돌기(61)는 상기 충격흡수부(60)에 가해지는 압력을 충격흡수부(60) 상에 돌출된 작은 돌기들은 통해 분산하는 것으로 완충돌기(61)이 눌리면서 접촉면이 넓어져 충격 또는 압력을 분산하여 충격흡수패드(1)에 가해지는 충격 또는 압력을 경감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부(60)는, 충격흡수부(60)의 표면상에 소정 패턴으로 함입되어 설치된 지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미끄럼 방지부(62)가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미끄럼 방지부(62)는 물결무늬, 격자무늬 또는 동심원 무늬 등의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충격흡수부(60)의 지면에 대한 접지력을 개선하여 상기 충격흡수패드(1)가 설치된 지면에서 이탈하거나 미끄러져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내용에서 본 발명의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며, 상기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 부분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 부분을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다.
1 : 배수판
10 : 베이스
15 : 제1 결합부
16 : 제2 결합부
17 : 요철 결합부
20 : 배수공
21 : 유도싱크
30 : 유로부
50 : 요홈
60 : 충격흡수부

Claims (10)

10배율 내지 40배율로 발포된 EPP를 압출하여 제조되는 충격흡수패드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패드(1)는,
지면에 설치되는 판 또는 롤 형태의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 어느 일측에 요철(凹凸) 형상이 반복되는 요철 결합부(17);
상기 베이스(10) 상에 일정 간격으로 타공되어 형성되는 다수 개의 배수공(20);
상기 배수공(20) 측으로 물이 흐를 수 있도록 상기 배수공(20)에 수렴하는 경사가 형성된 호형 접시머리 형상의 유도싱크(21);
하나의 배수공(20)과 하나의 배수공(20)의 대각선 방향의 다른 배수공(20)들을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 물이 흐르도록 하는 유로부(30);
상기 베이스(10)의 저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돌출된 복수 개의 충격흡수부(60); 및
상기 충격흡수부(60)의 표면상에 소정 패턴으로 함입되어 설치된 지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미끄럼 방지부(62);를 포함하되,
상기 충격흡수패드(1) 및 다른 충격흡수패드(1)에 형성된 각각의 요철 결합부(17)를 서로 맞물려 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충격흡수패드(1)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성을 가지는 인조잔디용 충격흡수패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는,
상기 베이스(10)의 일측면 제1 결합부(15); 및
상기 베이스(10)의 타측면 제2 결합부(16);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결합부(15) 및 상기 제2 결합부(16)는 서로 맞물려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충격흡수패드(1)의 제1 결합부(15)와 다른 충격흡수패드(1)의 제2 결합부(16)를 서로 결합하여 상기 충격흡수패드(1)의 폭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성을 가지는 인조잔디용 충격흡수패드.
삭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는,
상기 베이스(10)의 저면에 격자 형상의 요홈(5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성을 가지는 인조잔디용 충격흡수패드.
삭제
삭제
삭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패드(1)는 EPP(Expanded Polypropylene) 또는 올레핀계 합성수지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성을 가지는 인조잔디용 충격흡수패드.
삭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공(20)은,
상기 베이스(10) 상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타공되되, 짝수 번째 열에 타공된 배수공(20)은 홀수 번째 열에 타공된 배수공(20) 사이에 엇갈리도록 배치된 형상의 패턴으로 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성을 가지는 인조잔디용 충격흡수패드.
KR1020230179571A 2023-12-12 배수성을 가지는 인조잔디용 충격흡수패드 KR102673756B1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73756B1 true KR102673756B1 (ko) 2024-06-10

Family

I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264398A1 (en) * 2017-03-23 2019-08-29 Synprodo B.V. Support Layer For Supporting An Artificial Turf Assembly, And Artificial Turf System
KR102225819B1 (ko) * 2020-06-25 2021-03-09 이은수 시공성이 향상된 인조잔디 시공용 탄성 배수시트
KR102403746B1 (ko) * 2022-03-22 2022-05-30 주식회사 민우티앤씨 인조잔디용 충격흡수 배수판 및 이를 이용한 인조잔디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264398A1 (en) * 2017-03-23 2019-08-29 Synprodo B.V. Support Layer For Supporting An Artificial Turf Assembly, And Artificial Turf System
KR102225819B1 (ko) * 2020-06-25 2021-03-09 이은수 시공성이 향상된 인조잔디 시공용 탄성 배수시트
KR102403746B1 (ko) * 2022-03-22 2022-05-30 주식회사 민우티앤씨 인조잔디용 충격흡수 배수판 및 이를 이용한 인조잔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8280B2 (en) Surface underlayment system with interlocking resilient anti-slip shock tiles
US20170101789A1 (en) Surface underlayment system with interlocking resilient assemblies of shock tiles
US8397466B2 (en) Tile with multiple-level surface
US9279258B2 (en) Recoiling energy absorbing system with lateral stabilizer
US6796096B1 (en) Impact absorbing surface covering and method for installing the same
US9194136B2 (en) Recoiling energy absorbing system
KR101791257B1 (ko) 수평배수형 인조잔디용 충격흡수패드
KR102225819B1 (ko) 시공성이 향상된 인조잔디 시공용 탄성 배수시트
US11805742B2 (en) Frictional drainage layer in a green roof, paver, and/or solar assembly
KR20120004054U (ko) 인조잔디용 패드
KR102065896B1 (ko) 친환경 인조잔디용 또는 놀이터용 천연 충격흡수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49169B1 (ko) 인조잔디용 충격흡수 배수판
ES2563786T3 (es) Suelo ecuestre o de cancha deportiva y procedimiento para su fabricación
KR102673756B1 (ko) 배수성을 가지는 인조잔디용 충격흡수패드
KR101816745B1 (ko) 잔디 식재용 완충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218216B1 (ko) 인조잔디용 충격흡수 배수판
KR101178830B1 (ko) 어린이 놀이터용 충격 흡수 매트
NZ214569A (en) Rapid-draining artificial turf playing field
KR101639561B1 (ko) 배수 성능이 우수한 인조잔디 배수용 구조체
JP6411273B2 (ja) 敷設用ユニットおよび踏面構造体
KR200451272Y1 (ko) 이동 설치가 가능한 인조잔디를 포함하는 구조체
CN102493310B (zh) 运动场地垫
EP3656919B1 (en) Sports field and methods for forming and operating the same
KR102403746B1 (ko) 인조잔디용 충격흡수 배수판 및 이를 이용한 인조잔디 시스템
KR20150057854A (ko) 인조잔디 기층용 다기능 패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