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7111B1 - 레벨 조절 및 충격 흡수가 가능한 우드블럭 모듈 - Google Patents

레벨 조절 및 충격 흡수가 가능한 우드블럭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7111B1
KR101907111B1 KR1020180018734A KR20180018734A KR101907111B1 KR 101907111 B1 KR101907111 B1 KR 101907111B1 KR 1020180018734 A KR1020180018734 A KR 1020180018734A KR 20180018734 A KR20180018734 A KR 20180018734A KR 101907111 B1 KR101907111 B1 KR 101907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block
wall
deck
core
deck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8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희
Original Assignee
이경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준 filed Critical 이경준
Priority to KR1020180018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71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7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7111B1/ko
Priority to PCT/KR2018/016269 priority patent/WO2019160234A1/ko
Priority to CN201880089051.2A priority patent/CN111712608B/zh
Priority to US16/961,922 priority patent/US11124974B2/en
Priority to JP2020541541A priority patent/JP2021514434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4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94Flooring consisting of a number of elements carried by a non-rollable common support plate or gri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02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 E04B5/023Separate connecting devices for prefabricated floor-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1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 E04F2015/02127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under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9Puzzle-type connections for interlocking male and female panel edge-parts
    • E04F2201/095Puzzle-type connections for interlocking male and female panel edge-parts with both connection parts, i.e. male and female connection parts alternating on one ed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loor Finish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드블럭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레벨조절이 가능한 우드블럭 모듈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드블럭 모듈은 길이 방향으로 양쪽 측면에 데크홈(Groove)이 형성된 우드 블록(Deck Block) 및 상기 우드 블록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우드 블록이 안착되는 데크 베이스(Deck Base)를 포함하고, 상기 데크 베이스는 사각틀 형상의 테두리(Frame), 상기 테두리의 중앙에 위치하는 코어(Core), 상기 코어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되며, 상기 코어와 상기 테두리를 연결하는 연결다리(Connection Bridge), 상기 테두리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연결다리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Extended Part) 및 상기 연장부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연결다리와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우드 블록의 상기 데크홈에 대응되는 돌출부(Protruded Part)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종전대비 낮은 비용으로 시공이 가능하며 시공시간을 혁신적으로 단축시키며 보수가 매우 간편한 효과를 제공하고, 충격흡수를 통한 편안한 보행감과 패턴시공으로 투박한 테크 시공의 미를 보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레벨 조절 및 충격 흡수가 가능한 우드블럭 모듈{WOOD BLOCK MODULE WITH HEIGHT LEVEL ADJUSTABLE AND SHOCK ABSORBING TYPE}
본 발명은 우드블럭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레벨 조절 및 충격 흡수가 가능한 우드블럭 모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우드블럭은 복잡한 하부구조재를 고정하여 사용하여 소요비용이 높고높낮이 조절이 어려울 뿐만아니라, 하부구조재에 이물질이 끼어 배수가 원활하지 못해 우드블럭의 뒤틀림 현상이 발생하고, 이물질 제거가 어려워 장기간 방치시 악취가 발생하는 하자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 10-0858843호 "마루바닥재의 하부지지대 조립구조" 발명특허에서는 하부지지대가 체육관과 같은 시멘트바닥과 같은 바닥에 고정되어 마루를 형성하게 되고 바닥에 고정된 하부지지대의 결합턱이 마루바닥재의 측면에 형성된 측면결합홈에 삽입되어 마루바닥재를 지지하여 하부지지대가 바닥에 먼저 고정된 상태에서 마루바닥재를 압입하여 조립하게 되고, 조립된 마루바닥재는 바닥에 고정된 하부지 지대에 의해 네 측면이 모두 지지되므로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견고하게 지지되며, 마루조립체의 국부적인 분해와 교체가 가능하며 철거의 경우에도 하부지지대는 그대로 두고 마루바닥재만 교체할 수 있어 비용과 폐기물 발생 및 소음을 크게 줄일 수 있는 마루바닥재의 하부지지대 조립구조가 제안되었지만, 실외에 목재 데크를 설치할 경우 바닥과의 공간 조절하는 시공이 어렵고 바닥에 이물질이 걸리는 문제점을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452380호 "친환경 우드블럭 및 그 제조방법"에서는 우드프레임의 바닥면에 빗물 및 눈녹은 물 등이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도록 하는 기술구성이 제안되었지만, 이 또한 바닥과의 공간 조절이 어렵고 바닥에 이물질이 걸리는 문제점을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우드블럭 모듈을 간편하게 제작하고, 복잡한 하부구조재를 미설치 또는 간소화하여 시공비용과 시공시간을 대폭 절감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1452380호 "친환경 우드블럭 및 그 제조방법(ECO WOODBLOCK AND METHOD OF MAKING IT)"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0858843호 "마루바닥재의 하부지지대 조립구조(Prefabricated floor)"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1699345호 "우드블럭 제조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FOR WOOD-BLOCK)"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1678159호 "우드블럭용 접착제 조성물(COMPOSITION OF ADHESIVE FOR WOOD-BLOCK)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단독적인 시공과 간편한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우드블럭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간편한 보수의 목적과 설치비용의 공사비 절감과 이질감의 보행감과 잡음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우드블럭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레벨 조절이 가능한 레벨 조절 기둥 및/또는 완충부를 설치함으로써 충격 및/또는 잡음을 흡수할 수 있는 우드블럭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레벨 조절 기둥 및/또는 완충부를 설치함으로써, 보행자의 보행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우드블럭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드블럭 모듈은 길이 방향으로 양쪽 측면에 데크홈(Groove)이 형성된 우드 블록(Deck Block) 및 상기 우드 블록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우드 블록이 안착되는 데크 베이스(Deck Base)를 포함하고, 상기 데크 베이스는 사각틀 형상의 테두리(Frame), 상기 테두리의 중앙에 위치하는 코어(Core), 상기 코어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되며, 상기 코어와 상기 테두리를 연결하는 연결다리(Connection Bridge), 상기 테두리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연결다리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Extended Part) 및 상기 연장부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연결다리와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우드 블록의 상기 데크홈에 대응되는 돌출부(Protruded Par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의 단면은 원, 타원, 다이아몬드, 마름모 또는 사각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어의 내측에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내부 다리(Inner Bridge)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부 다리의 높이는 상기 연결 다리 및 상기 코어 중 적어도 하나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데크 베이스의 하부에 배치되는 레벨 조절 기둥(Pillar)을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벨 조절 기둥의 일측 끝단은 상기 코어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크 베이스는 상기 테두리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연결다리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연결부(Positive Connection Part)와 암연결부(Negative Connection Par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크 베이스는 상기 테두리의 마주보는 두 개의 변을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연결다리를 가로질러 연결하는 안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며, 고무재질을 포함하는 완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드블럭 모듈은 종전대비 낮은 비용으로 시공이 가능하며 시공시간을 혁신적으로 단축시키며 보수가 매우 간편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드블럭 모듈은 충격흡수를 통한 편안한 보행감과 패턴시공으로 투박한 테크 시공의 미를 보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드블럭 모듈은 레벨 조절이 가능한 레벨 조절 기둥 및/또는 완충부를 설치함으로써 쉽고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방진고무 부착으로 보행 시 발생할 수 있는 잡음을 흡수하고 보행감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우드블럭 모듈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우드블럭 모듈의 데크 베이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우드블럭 모듈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우드블럭 모듈의 구성에 또 다른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레벨 조절 및 충격 흡수가 가능한 우드블럭 모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우드블럭 모듈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4는 우드블럭 모듈의 데크 베이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우드블럭 모듈(Deck Module, 1)은 우드 블록(Deck Block, 10) 및 데크 베이스(Deck Base, 20)를 포함할 수 있다.
우드 블록(10)은 직사각 플레이트(Plate) 형상으로, 우드 블록(10)의 양쪽 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데크홈(Groove, 11)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우드 블록(10)의 상부에는 보행 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돌기(엠보싱 형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우드 블록(10)을 '데크재'라고도 칭할 수 있다.
우드 블록(10)은 나무 재질, 수지 재질 및/또는 금속 재질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드 블록(10)이 나무 재질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우드 블록(10)을 '우드 블록'이라고 칭할 수 있다.
데크 베이스(20)에는 우드 블록(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우드 블록(10)이 안착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우드 블록(10)의 데크홈(11)이 데크 베이스(20)의 일부와 결합될 수 있다.
데크 베이스(20)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우드블럭 모듈(1)은 데크 베이스(20)의 하부에 배치되는 레벨 조절 기둥(Pillar, 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레벨 조절 기둥(30)은 높이 조절이 용이하도록 제 1 기둥(31), 제 2 기둥(32) 및 우드블럭 다리용 방진고무(3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기둥(31)의 높이와 제 2 기둥(32)의 높이는 다를 수 있다.
제 1 기둥(31), 제 2 기둥(32) 및 방진고무(33)는 차례로 연결될 수 있다.
높이 조절을 위해, 제 1 기둥(31), 제 2 기둥(32) 및 방진고무(33) 중 적어도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기둥(31), 제 2 기둥(32) 및 방진고무(33)를 차례로 연결하여 기둥(30)으로 사용하거나, 제 1 기둥(31)과 방진고무(33)를 연결하여 기둥(30)으로 사용하거나, 제 2 기둥(32)과 방진고무(33)를 연결하여 기둥(30)으로 사용하거나, 방진고무(33)만을 이용하여 기둥(30)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기둥(30)을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처럼, 데크 베이스(20)의 하부에 기둥(30)을 배치하면, 높이 레벨 조절이 가능하여 장소와 상관없이 쉽고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최종 하단부에 방진고무에 해당하는 우드블럭 다리용 방진고무(33)의 부착 마감으로 보행 시 발생할 수 있는 잡음을 흡수하고 보행감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데크 베이스(20)의 높이 레벨 값을 5mm 내지 10mm 단위로 조절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최대 100mm까지 조절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데크 베이스(20)에 대해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2를 살펴보면, 데크 베이스(20)는 사각틀 형상의 테두리(Frame, 26), 코어(Core, 22), 연결다리(Connection Bridge, 25, 25a, 25b), 연장부(Extended Part, 21, 21a, 21b) 및 돌출부(Protruded Part, 28, 28a, 28b, 28c)를 포함할 수 있다.
테두리(26), 코어(22), 연결다리(25, 25a, 25b), 연장부(21, 21a, 21b) 및 돌출부(28, 28a, 28b, 28c)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데크 베이스(20)의 재질은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데크 베이스(20)는 나무 재질, 금속 재질, 수질 재질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데크 베이스(20)는 수지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데크 베이스(20)의 재료비를 줄일 수 있으며,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어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면서도 제작 단가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코어(22)는 테두리(26)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고, 그 형태가 다양할 수 있다. 코어(22)의 단면은, 이하에서 설명할 레벨 조절 기둥(30)과의 연결성 및 구조적 안정성 등을 고려할 때, 원, 타원, 다이아몬드, 마름모 또는 사각 등의 다각형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코어(22)의 단면은 원 또는 타원 형태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코어(22)의 단면이 원 또는 타원 형태인 경우, 코어(22)는 원통형일 수 있다.
연결다리(25, 25a, 25b)는 코어(220)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되며, 코어(22)와 테두리(26)를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다리(25, 25a, 25b)는 데크 베이스(20)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연결다리(25, 25a, 25b)는 그 형태를 기준으로 제 1 연결다리(25a)와 제 2 연결다리(25b)로 구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연결다리(25a)와 제 2 연결다리(25b)를 구분하지 않고, 연결다리(25)로 통칭하기로 한다.
연장부(21, 21a, 21b)는 테두리(26)의 외측면으로부터 연결다리(25)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다리(25)가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으로 연장되는 경우, 연장부(21, 21a, 21b)는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연장부(21, 21a, 21b)는 우드블럭 모듈(1)의 전면 방향 또는 우드 블록(10)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돌출부(28, 28a, 28b, 28c)는 연장부(21, 21a, 21b)의 끝단으로부터 연결다리(25)와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돌출부(28) 및 연결다리(25)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28)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돌출부(28)의 단면은 원, 타원, 다이아몬드, 마름모, 사다리꼴 또는 사각 등의 다각형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만약, 돌출부(28)의 단면이 원 또는 타원인 경우에는 돌출부(28)의 전체적인 형상은 구 또는 반구 형태일 수 있다.
아울러, (28, 28a, 28b, 28c)는 우드 블록(10)의 데크홈(11)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우드 블록(10)의 양쪽 데크홈(11)이 각각 제 1 연장부(21a)의 제 1 돌출부(28a)와 제 2 연장부(21b)의 제 2 돌출부(28b)에 끼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우드 블록(10)이 데크 베이스(20)에 안착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하나의 데크 베이스(20)를 단독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우드블럭 모듈(1)에서는 복수개의 데크 베이스(20)가 n×m의 패턴(n, m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으로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은 총 9개의 데크 베이스(20)가 3×3의 패턴으로 일체로 제작된 경우에 해당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복수개의 데크 베이스(20)가 일체로 제작된 것을 마더 데크 베이스(Mother Deck Base)라고 칭할 수 있다. 아울러, 마더 데크 베이스에 포함된 각각의 데크 베이스는 유닛 데크 베이스(Unit Deck Base)라고 칭할 수 있다.
마더 데크 베이스의 최외곽 유닛 데크 베이스에는 제 1 연장부(21a) 및 제 1 돌출부(28a)가 배치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 1 연장부(21a) 및 제 1 돌출부(28a)는 마더 데크 베이스의 외곽 테두리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연장부(21a) 및 제 1 돌출부(28a)는 하나의 우드 블록(10)에 대응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제 1 연장부(21a)에는 코어(22)를 향하는 단방향 돌기, 즉 제 1 돌출부(28a)가 형성되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마더 데크 베이스에 포함된 유닛 데크 베이스의 사이에는 제 2 연장부(21b), 제 2 돌출부(28b) 및 제 3 돌출부(28c)가 배치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 2 연장부(21b), 제 2 돌출부(28b) 및 제 3 돌출부(28c)는 마더 데크 베이스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제 2 연장부(21b)에는 코어(22)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코어(2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도 돌출되는 양방향 돌기, 즉 제 2 돌출부(28b)와 제 3 돌출부(28c)가 형성되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2 연장부(21b)는 양쪽 두개의 우드 블록(10)에 대응될 수 있다. 이는 이하의 도면 5 내지 도 6으로부터 명확히될 수 있다.
데크 베이스(20)는 수연결부(Positive Connection Part, 24a)와 암연결부(Negative Connection Part, 24b)를 포함하는 연결부(Connection Part, 24) 및 측부 마감단(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연결부(24a)와 암연결부(24b)는 각각 테두리(26)의 외측면으로부터 연결다리(25)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수연결부(24a)는 인접하는 다른 데크 베이스(20)의 암연결부(24b)에 대응되고, 암연결부(24b)는 인접하는 다른 데크 베이스(20)의 수연결부(24a)에 대응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수연결부(24a)는 인접하는 다른 데크 베이스(20)의 암연결부(24b)와 결합하고, 암연결부(24b)는 인접하는 다른 데크 베이스(20)의 수연결부(24a)와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데크 베이스(20)들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마더 데크 베이스의 경우에는, 마더 데크 베이스에 포함된 복수의 유닛 데크 베이스 중에서 최외곽 유닛 데크 베이스의 외곽 테두리에 수연결부(24a) 및/또는 암연결부(24b)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측부 마감단(23)은 테두리(26)의 외측면으로부터 연결다리(25)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측부 마감단(23)은 데크 베이스(20)에 안착되는 우드 블록(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마더 데크 베이스의 경우, 마더 데크 베이스에 포함된 복수의 유닛 데크 베이스 중에서 최외곽 유닛 데크 베이스의 외곽 테두리에 측부 마감단(23)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코어(22)의 내측에는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내부 다리(Inner Bridge, 27)가 형성될 수 있다. 내부 다리(27)는 데크 베이스(20)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를 살펴보면, 데크 베이스(20)의 하부에서, 내부 다리(27)는 코어(22)의 끝단으로부터 소정 깊이(W1)만큼 인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레벨 조절 기둥(30)의 일측 끝단은 코어(22)에 삽입되고, 이에 따라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코어(22)에 레벨 조절 기둥(30)의 일부가 삽입됨에 따라, 내부 다리(27)의 높이(T2)는 연결 다리(25)의 높이(T1) 및/또는 코어(22)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레벨 조절 기둥(30)의 일부가 코어(22)에 삽입되기 위해, 레벨 조절 기둥(30)의 끝단의 폭(W2)은 인접하는 다른 부분의 폭(W3)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레벨 조절 기둥(30)의 끝단의 주변부가 코어(22)의 벽에 걸릴 수 있어서, 레벨 조절 기둥(30)이 과도하게 코어(22)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우드블럭 모듈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a)와 같이 n개(n은 3 이상의 홀수) 이상의 데크 베이스(20)를 포함하는 마더 데크 베이스에서 중앙에 위치하는 유닛 데크 베이스의 2개의 연장부(21, 21a, 21b) 중 하나로, 우드 블록(10)의 길이 방향의 양측면에 형성된 데크홈(11) 중 하나와 대응하게 비스듬하게 미리 설정된 각도로 기울여서 삽입한다.
다음으로, (b)와 같이, 마더 데크 베이스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유닛 데크 베이스에 (a)와 유사한 방식으로 우드 블록(10)을 삽입할 수 있다.
이후, (c)와 같이, 마더 데크 베이스의 나머지 유닛 데크 베이스에 (a) 및 (b)와 유사한 방식으로 우드 블록(10)을 삽입할 수 있다. 다만, (b)와는 반대의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힘을 가하는 방향은 도 5에 표시된 화살표로서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힘을 가하는 순서도 도 5의 (a), (b), (c)를 통해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의 (a) 및 (b)를 참조하면, 모든 데크 베이스(20)와 우드블록(10) 간의 결합이 완료되면 데크 베이스(20) 하부에 현장 여건에 맞게 제 1 기둥(31), 제 2 기둥(32) 및/또는 방진고무(33)를 조합한 레벨 조절 기둥(30)를 데크 베이스(20)의 코어(22)로 체결할 수 있다.
레벨 조절 기둥(30)의 최종 끝단에 배치되는 우드블럭 우드블럭 다리용 방진고무(33)는 보행 시 충격을 흡수해 주고 보행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충격 흡수 성능을 더욱 개선하기 위해 데크 베이스(20)의 상부에 완충부를 배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우드블럭 모듈의 구성에 또 다른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이하의 도면에서 앞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식별부호는 생략될 수 있다.
도 7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우드블럭 모듈은 데크 베이스(20)의 상부에 배치되는 완충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완충부(40)는 충격 및/소음을 효과적으로 흡수/차단하기 위해 소프트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완충부(40)는 고무재질, 수지재질, 실리콘 재질,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제작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조단가, 충격 및/또는 소음의 흡수/차단 성능, 성형성 등을 고려할 때, 완충부(40)는 고무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완충부(40)를 안착시키기 위해 데크 베이스(20)에는 안착부(29)가 형성될 수 있다.
완충부(40)는 안착부(29)에 안착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완충다리(41, 42)를 포함할 수 있다.
완충다리(41, 42)는 데크 베이스(20)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완충부(40)는 우드블럭(1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예를 들면, 직교하는 방향) 안착부(29)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안착부(29)도 우드블럭(1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데크 베이스(20)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착부(29)는 우드블럭(1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테두리(26)의 마주보는 두 개의 변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테두리(26)가 제 1 변(First Side, S1), 제 1 변(S1)에 인접하는 제 2 변(Second SIde, S2), 제 2 변(S2)에 인접하고 제 1 변(S1)과 마주보는 제 3 변(Third Side, S3), 제 1 변(S1) 및 제 3 변(S3)과 인접하고 제 2 변(S2)과 마주보는 제 4 변(Fourth Side, S4)를 포함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 안착부(29)는 테두리(26)의 제 1 변(S1)으로부터 제 3 변(S3)까지 연장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는 하나의 데크 베이스(20)에 2개의 안착부(29)가 형성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지만, 하나의 데크 베이스(20)에 형성되는 안착부(29)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데크 베이스(29)에 하나의 안착부(29)가 형성되는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안착부(29)는 서로 나란한 제 1 벽(First Wall, 51), 제 2 벽(Second Wall, 52) 및 제 3 벽(Third Wall, 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벽(51)과 제 2 벽(52)은 우드블럭(1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고, 제 2 벽(52)과 제 3 벽(53)도 우드블럭(1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벽(51), 제 2 벽(52) 및 제 3 벽(53)이 소정의 레일(Rail)을 형성할 수 있다.
완충부(40)는 제 1, 2, 3 벽(51, 52, 53)이 형성하는 레일에 안착/고정될 수 있다.
안착부(29)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다리(25)를 가로지를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착부(29)가 가로지른 연결다리(25)는 두 개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연결다리(25)는 안착부(29)에 의해 내부 연결다리(25a-1, 25b-1)와 외부 연결다리(25a-2, 25b-2)로 분할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외부 연결다리(25a-2, 25b-2)의 길이는 내부 연결다리(25a-1, 25b-1)의 길이보다 더 짧을 수 있다.
본 문서에서는 안착부(29)가 3개의 벽(51, 52, 53)을 포함하고, 이에 대응하여 완충부(40)가 2개의 완충다리(41, 42)를 포함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안착부(29)가 2개의 벽을 포함하고, 이에 대응하여 완충부(40)는 1개의 완충다리를 포함하는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완충부(40)는, 도 8의 경우와 같이, 안착부(29)에 안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완충부(40)의 제 1 완충다리(41)가 안착부(29)의 제 1 벽(51)과 제 2 벽(52)의 사이 공간에 삽입되고, 제 2 완충다리(42)가 안착부(29)의 제 1 벽(51)과 제 3 벽(53)의 사이 공간에 삽입됨으로써, 완충부(40)는 안착부(29)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완충부(40)가 안착부(29)에 안착된 상태에서 완충부(40)는 안착부(29)보다 우드블럭(10)을 향해 소정 높이(D1) 만큼 더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우드블럭(10)이 완충부(40)에 더욱 밀착될 수 있다.
도 9를 살펴보면, 안착부(29)의 제 1 벽(51)의 높이가 제 2 벽(52) 및/또는 제 3 벽(53)의 높이보다 D3만큼 더 낮은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완충부(40)와 안착부(29)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도 완충부(40)가 안착부(29)에 안착된 상태에서 완충부(40)는 안착부(29)보다 우드블럭(10)을 향해 소정 높이(D2) 만큼 더 돌출될 수 있다.
또는, 도 10의 경우와 같이, 안착부(29)의 제 1 벽(51)의 높이가 제 2 벽(52) 및/또는 제 3 벽(53)의 높이보다 더 낮으며, 완충부(40)가 안착부(29)에 안착된 상태에서 완충부(40)와 안착부(29)의 높이는 대략 동일한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1을 살펴보면, 완충부(29)의 제 1 벽(51), 제 2 벽(52) 및 제 3 벽(53)은 하부에서 서로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제 1 벽(51)과 제 2 벽(52) 사이의 공간 및 제 1 벽(51)과 제 3 벽(53) 사이의 공간의 하부는 닫힐(Closed) 수 있다.
도 11에서 설명하지 않은 식별부호 BP는 완충부(29)의 하부면을 지칭할 수 있다.
또는, 도 12의 경우와 같이, 제 1 벽(51)과 제 2 벽(52) 사이의 공간 및 제 1 벽(51)과 제 3 벽(53) 사이의 공간의 하부는 개방(Open)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완충부(40)의 완충다리(41, 42)의 길이를 자유로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3을 살펴보면, 안착부(29)에 완충부(40)가 안착된 상태에서 데크 베이스(20)의 상부에 우드블럭(10)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행자가 보행 시 우드블럭(10)을 밟으면, 그 충격이 완충부(40)에 의해 흡수/차단/상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음 발생이 저감될 수 있다.
아울러, 완충부(40)에 의해 우드블럭(10)이 더욱 밀착될 수 있다.
우드블럭 모듈(1)의 상부에서는 우드블럭(10)에 가려져서 완충부(40)가 관찰되지 않을 수 있다.
우드블럭(10)의 배치 방법에 대해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의 (A)에는 3×3의 패턴으로 총 9개의 유닛 데크 베이스를 포함하는 마더 데크 베이스의 경우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각의 유닛 데크 베이스에는 2개의 완충부(40)가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는 마더 데크 베이스를 전방에서 관찰한 모습이다.
이러한 마더 데크 베이스를 후방에서 관찰한 모습이 도 14의 (B)에 개시되어 있다.
(B)를 완충부(40)의 하부면(BP)에는 소정의 설명, 코멘트(Comments), 로고 등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코어(22)의 내측에 내부다리(27)가 배치되는 경우만을 설명하였지만, 이와는 다르게 본 발명에서 내부다리(27)는 생략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대해, 구성의 일례가 도 15에 개시되어 있다.
도 15의 내용은 앞서 설명한 부분을 통해 충분히 유추될 수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우드블럭 모듈(1)은 데크 베이스(20)를 이용함으로써 못, 나사 등의 별도의 체결 수단 없이도 단독 시공이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우드블럭 모듈(1)은 데크 베이스(20)와 레벨 조절 기둥(30)의 조합으로 실내 및 실외 어디든 원활한 배수가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우드블럭 모듈(1)은 복잡한 하부 구조재가 필요 없기에 시공과 보수가 매우 간편하고 일반 우드 시공과 달리 패턴 시공이 가능하여 미적요소까지 제공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우드블럭 모듈(1)은 보행중에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억제할 수 있고, 보행감 증진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우드블럭 모듈(1)은 완충부(40)로 인해 우드블럭(20)을 더욱 밀착시킬 수 있어서, 목재의 수축시 발생할 수 있는 밀림 현상을 보상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우드블록
11 : 데크홈
20 : 데크 베이스
21, 21a, 21b : 연장부
22 : 코어
23 : 측부 마감단
24, 24a, 24b : 연결부
25, 25a, 25b : 연결다리
25a-1, 25b-1 : 내부 연결다리
25a-2, 25b-2 : 외부 연결다리
26 : 테두리
27 : 내부 다리
28, 28a, 28b, 28c : 돌출부
29 : 안착부
30 : 레벨 조절 기둥
31 : 제 1 기둥
32 : 제 2 기둥
33 : 우드블럭 다리용 방진고무
40 : 완충부
41, 42 : 완충다리
51 : 제 1 벽
52 : 제 2 벽
53 : 제 3 벽

Claims (5)

  1. 양쪽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데크홈(Groove)이 형성된 우드 블록(Wood Block); 및
    상기 우드 블록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우드 블록이 안착되는 데크 베이스(Deck Base);
    를 포함하고,
    상기 데크 베이스는
    사각틀 형상의 테두리(Frame);
    상기 테두리의 중앙에 위치하는 코어(Core);
    상기 코어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되며, 상기 코어와 상기 테두리를 연결하는 연결다리(Connection Bridge);
    상기 테두리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연결다리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Extended Part); 및
    상기 연장부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연결다리와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우드 블록의 상기 데크홈에 대응되는 돌출부(Protruded Part);
    를 포함하고,
    상기 데크 베이스의 하부에 배치되는 기둥부(Pillar Part); 및
    상기 기둥부의 일측 끝단에 배치되는 방진고무;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둥부의 타측 끝단의 적어도 일부는 코어에 삽입되고,
    상기 데크 베이스는
    제 1 변(First Side);
    상기 제 1 변에 인접하는 제 2 변(Second Side);
    상기 제 2 변에 인접하고 상기 제 1 변에 마주보는 제 3 변(Third Side);
    상기 제 2 변에 마주보고 상기 제 1 변 및 상기 제 3 변에 인접하는 제 4 변(Fourth Side); 및
    상기 제 2 변 및 상기 제 4 변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제 1 변으로부터 상기 제 3 변까지 연장되는 제 1 벽(First Wall), 제 2 벽(Second Wall) 및 제 3 벽(Third Wall);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벽은 상기 제 1 벽과 상기 제 3 벽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데크 베이스와 상기 우드블록의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제 1 벽과 상기 제 2 벽 사이 공간에 삽입되는 제 1 완충다리; 및
    상기 제 2 벽과 상기 제 3 벽 사이 공간에 삽입되는 제 2 완충다리;
    를 포함하는 레벨 조절 및 충격 흡수가 가능한 우드블럭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3 벽은
    상기 코어와 상기 제 2 변 사이의 영역 및 상기 코어와 상기 제 4 변 사이의 영역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완충부는 고무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2, 3 벽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연결다리를 가로질러 분할하는 우드블럭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는 제 1 기둥 및 제 2 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기둥의 일측은 상기 제 2 기둥의 타측과 연결되고,
    상기 제 1 기둥의 타측 끝단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코어에 삽입되고,
    상기 방진고무는 상기 제 2 기둥의 일측 끝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기둥의 높이는 상기 제 2 기둥의 높이와 다른 우드블럭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 베이스의 하부에서 상기 제 1 벽, 상기 제 2 벽 및 상기 제 3 벽은 서로 연결되는 우드블럭 모듈.
  5. 삭제
KR1020180018734A 2018-02-14 2018-02-14 레벨 조절 및 충격 흡수가 가능한 우드블럭 모듈 KR101907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734A KR101907111B1 (ko) 2018-02-14 2018-02-14 레벨 조절 및 충격 흡수가 가능한 우드블럭 모듈
PCT/KR2018/016269 WO2019160234A1 (ko) 2018-02-14 2018-12-19 레벨 조절 및 충격 흡수가 가능한 우드블럭 모듈
CN201880089051.2A CN111712608B (zh) 2018-02-14 2018-12-19 可水平调节和吸收冲击的木块模块
US16/961,922 US11124974B2 (en) 2018-02-14 2018-12-19 Wood block module capable of level adjustment and shock absorption
JP2020541541A JP2021514434A (ja) 2018-02-14 2018-12-19 レベル調節及び衝撃吸収ができるウッドブロックモジュー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734A KR101907111B1 (ko) 2018-02-14 2018-02-14 레벨 조절 및 충격 흡수가 가능한 우드블럭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7111B1 true KR101907111B1 (ko) 2018-10-11

Family

ID=63865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8734A KR101907111B1 (ko) 2018-02-14 2018-02-14 레벨 조절 및 충격 흡수가 가능한 우드블럭 모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124974B2 (ko)
JP (1) JP2021514434A (ko)
KR (1) KR101907111B1 (ko)
CN (1) CN111712608B (ko)
WO (1) WO2019160234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22186S1 (en) 2019-06-24 2021-06-15 Barrette Outdoor Living, Inc. Step clip fastening system
US11105100B2 (en) 2019-06-24 2021-08-31 Barrette Outdoor Living, Inc. Step clip fastening system and method
AU2020203907B2 (en) * 2019-06-25 2021-09-02 Barrette Outdoor Living, Inc. System and method for decking tiles
KR102472015B1 (ko) * 2022-06-23 2022-12-02 주식회사 민철내 고정 받침틀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 바닥구조
US11746533B2 (en) 2019-06-24 2023-09-05 Barrette Outdoor Living, Inc. Step clip fastening system and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73498B (en) * 2018-03-16 2021-03-17 John Jarmey Michael Improved tiling system for decking
US11193284B2 (en) * 2019-05-21 2021-12-07 Silca System, Llc Tile-securing system and related methods
US11819122B2 (en) * 2019-12-13 2023-11-21 James Tarpey Load distributing deck insert
KR102317642B1 (ko) * 2020-12-22 2021-10-26 삼원액트 주식회사 단위 브라켓, 브라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058Y1 (ko) * 2003-02-17 2003-05-09 민태의 조립식 깔판
KR200318291Y1 (ko) * 2003-04-10 2003-06-28 김영일 조립식마루패널
KR101279604B1 (ko) * 2011-03-31 2013-06-27 (주)상봉정밀 조립식 마루 바닥재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40491A1 (de) * 2001-11-28 2003-05-15 Meyer, Hans Verlegesystem für bodenplatten
KR100467910B1 (ko) 2002-02-19 2005-01-27 윤규형 마루 조립체
CN2622303Y (zh) * 2003-04-30 2004-06-30 赖潮泰 一种组合木地板
KR20050102995A (ko) 2004-04-23 2005-10-27 최종영 연결지지구를 이용한 마루판 조립체
KR100858843B1 (ko) 2008-04-04 2008-09-17 간석목재산업 주식회사 마루바닥재의 하부지지대 조립구조
US20110023389A1 (en) * 2009-07-01 2011-02-03 Universal Exports, LLC Modular deck tile
KR20140025698A (ko) * 2012-08-22 2014-03-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 구조물의 이중 바닥 시스템
PL3055130T3 (pl) * 2013-10-11 2017-12-29 Wpt Gmbh Elastyczna płyta podłogowa
US9834158B2 (en) * 2013-11-29 2017-12-05 Cary Paik Acoustic flooring assembly
KR101452380B1 (ko) 2014-03-28 2014-10-22 (주)신화금속 친환경 우드블럭 및 그 제조방법
WO2015181295A1 (en) * 2014-05-28 2015-12-03 Beaulieu International Group Nv Surface covering system
CN106661892B (zh) * 2015-05-04 2020-04-07 康纳尔运动地板有限责任公司 振动阻尼式地板系统
WO2017044739A1 (en) * 2015-09-10 2017-03-16 Comc, Llc Modular flooring assemblies
CN105587097B (zh) * 2015-12-17 2019-05-03 浙江亚厦装饰股份有限公司 一种可调平地面架空结构
CN105507553A (zh) * 2015-12-30 2016-04-20 天津市巨展机房装备有限公司 一种可拆卸式防静电机房地板
US20170321431A1 (en) * 2016-05-09 2017-11-09 Zhejiang Tianzhen Bamboo & Wood Development Co., Ltd. Hard flooring plank and wall panel plank
CA3065940A1 (en) * 2017-06-01 2018-12-06 Mission V Sports, LLC Flooring system including a material displaying dilatant properties, and methods for installation of an athletic flooring system
US10563412B1 (en) * 2018-11-30 2020-02-18 Cary Paik Acoustic flooring assembl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058Y1 (ko) * 2003-02-17 2003-05-09 민태의 조립식 깔판
KR200318291Y1 (ko) * 2003-04-10 2003-06-28 김영일 조립식마루패널
KR101279604B1 (ko) * 2011-03-31 2013-06-27 (주)상봉정밀 조립식 마루 바닥재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22186S1 (en) 2019-06-24 2021-06-15 Barrette Outdoor Living, Inc. Step clip fastening system
US11105100B2 (en) 2019-06-24 2021-08-31 Barrette Outdoor Living, Inc. Step clip fastening system and method
US11454032B2 (en) 2019-06-24 2022-09-27 Barrette Outdoor Living, Inc. Step clip fastening system and method
US11746533B2 (en) 2019-06-24 2023-09-05 Barrette Outdoor Living, Inc. Step clip fastening system and method
US11965341B2 (en) 2019-06-24 2024-04-23 Barrette Outdoor Living, Inc. Step clip fastening system and method
AU2020203907B2 (en) * 2019-06-25 2021-09-02 Barrette Outdoor Living, Inc. System and method for decking tiles
US11156005B2 (en) 2019-06-25 2021-10-26 Barrette Outdoor Living, Inc. System and method for decking tiles
US11719004B2 (en) 2019-06-25 2023-08-08 Barrette Outdoor Living, Inc. System and method for decking tiles
KR102472015B1 (ko) * 2022-06-23 2022-12-02 주식회사 민철내 고정 받침틀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 바닥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712608A (zh) 2020-09-25
US20200340256A1 (en) 2020-10-29
CN111712608B (zh) 2022-03-04
WO2019160234A1 (ko) 2019-08-22
US11124974B2 (en) 2021-09-21
JP2021514434A (ja) 202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7111B1 (ko) 레벨 조절 및 충격 흡수가 가능한 우드블럭 모듈
US10487460B2 (en) Deck module including quick clip module
KR200436072Y1 (ko) 조립 시설물용 기둥
KR200472466Y1 (ko) 스포츠용 바닥재
KR200482159Y1 (ko) 조립식 가구
KR101884655B1 (ko) 완충기능이 개선된 방음벽 지주
KR101870386B1 (ko) 높이조절과 충격흡수기능이 구비된 조립식 바닥재
WO2015030255A1 (ja) フリーアクセスフロア
KR100670842B1 (ko) 건축용 조립식 바닥패널
KR20170078506A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방지 바닥구조
KR200436079Y1 (ko) 마루 바닥시공 시스템
KR200475940Y1 (ko) 다목적 프레임
KR102120382B1 (ko) 시공이 간편한 합성목재 데크 시스템
KR20090056625A (ko) 데크어셈블리 및 그 시공방법
KR102072915B1 (ko) 퀵 클립 모듈
KR101699282B1 (ko) 진동흡수장치
KR101827640B1 (ko) 마루바닥 시공시스템
KR100993209B1 (ko) 외관이 개선된 보강 일체형 커튼월 구조
KR200374089Y1 (ko) 조립식 마루 구조물의 결합구조
KR101695220B1 (ko)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의 제조 방법
KR102354670B1 (ko) 마루구조용 멀티 방진시스템
KR200363680Y1 (ko) 조립식 마루 조립체
CN217079528U (zh) 易装易拆地板安装系统
KR102219817B1 (ko) 체결구를 이용한 바닥패널 설치구조
JP2510653Y2 (ja) 置床の支持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