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1907B1 - 인조 잔디 구조체의 배수보드 - Google Patents

인조 잔디 구조체의 배수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1907B1
KR101011907B1 KR1020100053486A KR20100053486A KR101011907B1 KR 101011907 B1 KR101011907 B1 KR 101011907B1 KR 1020100053486 A KR1020100053486 A KR 1020100053486A KR 20100053486 A KR20100053486 A KR 20100053486A KR 101011907 B1 KR101011907 B1 KR 101011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height
side upper
lamination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3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웅
Priority to KR1020100053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19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1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1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9/00Design or layout of playing courts, rinks, bowling greens or areas for water-skiing; Covers therefor
    • A63C19/04Mats or carpets for cour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2Foundations, e.g. with drainage or heat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인조잔디 구조체의 배수보드(100)는, 사각판(110)과; 상기 사각판(110)으로부터 상부로 돌설되고, 격자형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는 다수의 원형 돌기(120)와; 상기 사각판(110)의 모퉁이에 인접하는 배수보드(100)를 연결 적층하도록 돌설된 제1 내지 제4 연결 적층 돌기(131, 132, 133, 1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인조잔디 구조체와 지반과의 사이에 배수를 위한 배수보드를 적층 설치함으로써 배수를 위한 토목공사비 및 공사기간을 현저히 줄이고, 원활하게 배수시킴과 동시에 다수의 배수보드가 평평하게 적층 연결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인조 잔디 구조체의 배수보드{DRAIN BOARD OF ARTIFICIAL TURF STRUCTURE}
본 발명은 인조잔디 구조체의 배수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조잔디 구조체와 지반과의 사이에 배수를 위한 배수보드를 적층 설치함으로써 배수를 위한 토목공사비 및 공사기간을 현저히 줄이고, 원활하게 배수시킴과 동시에 다수의 배수보드가 평평하게 적층 연결시키도록 한 인조잔디 구조체의 배수보드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3세대 또는 4세대 축구경기용 잔디구장의 경우에 롤 잔디를 사용하고 있으며, 일부 3세대 잔디구장의 경우 조립식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되고 있다. 한편, 3세대 또는 4세대 축구경기용 잔디구장에서, 우천시 빗물의 배수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배수 구조를 조성하기 위해서 배수관련 토목공사에 역점을 두게 되는 데, 이에 따라 잔디 구장 공사기간이 상당히 길어지게 되고, 토목공사용 자재비, 장비비 및 잔디 구장 조성비가 현저히 증가하게 된다. 또한, 배수 구조를 위한 토목공사용 자재비, 장비비 및 잔디 구장 조성비가 잔디구장 조성을 위한 전체 공사 비용 중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배수구조가 형성된 인조잔디 배수블록을 이용한 시공 사례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하지만, 실제 인조잔디 배수블록을 활용한 잔디구장 조성공사에 적용시, 조립식 배수블록의 각 연결부에 의해서 소음이 발생하게 되고, 충격흡수능력이 거의 없어 충진용 탄성체의 소요량이 증가하였다. 또한, 충진용 탄성체 포설을 위한 특수장비 및 조립식 배수 블록을 연결하기 위한 부수장치가 추가적으로 동원되어야 하고, 충진용 탄성체의 균일한 포설을 위한 시간이 증가하기도 한다.
따라서, 인조잔디의 배수 구조를 위한 토목공사비 및 공사기간을 현저히 줄이고, 충진용 탄성체, 예컨대 모래 또는 고무칩을 사용하지 않는 4세대 잔디를 이용하여 토목공사비 및 공기를 대폭 줄일 수 있는 인조잔디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3세대 잔디가 갖고 있는 고무칩의 경화 및 고무칩 유실에 따른 유지관리의 문제점을 근원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인조잔디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인조잔디 구조체와 지반과의 사이에 배수를 위한 배수보드를 적층 설치함으로써 배수를 위한 토목공사비 및 공사기간을 현저히 줄이고, 원활하게 배수시킴과 동시에 다수의 배수보드가 평평하게 적층 연결시키도록 한 인조잔디 구조체의 배수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인조잔디 구조체의 배수보드는, 사각판(110)과; 상기 사각판(110)으로부터 상부로 돌설되고, 격자형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는 다수의 원형 돌기(120)와; 상기 사각판(110)의 모퉁이에 인접하는 배수보드(100)를 연결 적층하도록 돌설된 제1 내지 제4 연결 적층 돌기(131, 132, 133, 1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각판(110)은 기역자를 형성하는 종방향측 상부면(111) 및 횡방향측 상부면(112)이 일정 높이(h) 만큼 상측으로 돌설되고; 상기 종방향측 상부면(111) 및 횡방향측 상부면(112)에는 각각 두 열의 원형돌기(120)를 포함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형 돌기(120)는, 하부로 갈수록 외경이 넓어지는 사다리꼴 기둥형의 돌기로서, 사방 두 줄의 열들에 형성된 원형 돌기를 제외한 나머지 사각판(110)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베이스 돌기(121)와; 상기 종방향측 상부면(111) 및 횡방향측 상부면(112)에 각각 두 열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돌기(121)와 상면의 높이가 동일한 돌설면 돌기(122)와; 상기 종방향측 상부면(111) 및 횡방향측 상부면(112)에 각각 대향되는 다른 상면에 각각 두 열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돌기(121)의 상면 높이보다 소정 높이(h) 만큼 낮게 형성되고, 상기 돌설면 돌기(122)의 하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하부 삽입돌기(12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연결 적층 돌기(131)는, 상기 사각판(110)의 종방향측 상부면(111) 및 횡방향측 상부면(112)이 기역자형으로 만나는 부분의 모퉁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 적층 돌기(132)는, 상기 횡방향측 상부면(112)의 다른 모퉁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3 연결 적층 돌기(133)는, 상기 종방향측 상부면(111)의 다른 모퉁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4 연결 적층 돌기(134)는, 상기 제1 연결 적층 돌기(131)의 대각선 방향 모퉁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연결 적층 돌기(131)의 하부에는 최하부로부터 제4 연결 적층 돌기(134), 제3 연결 적층 돌기(133), 제2 연결 적층 돌기(132)가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전체 적층 높이가 상기 원형 돌기(120)의 상면까지의 높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연결 적층 돌기(131)는, 상기 베이스 돌기(121) 및 돌설면 돌기(122)들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로 상면이 형성되도록 상기 종방향측 상부면(111) 및 횡방향측 상부면(112)으로부터 소정 높이(h)의 두 배인 2h의 높이만큼 돌설된 2h면(113)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 적층 돌기(132)는 그 상면 높이가 돌설면 돌기(122)의 상면 높이보다는 소정 높이(h) 만큼 낮게 형성되도록 상기 횡방향측 상부면(112)으로부터 소정 높이(h)만큼 돌설된 h면(114)에 형성되며; 상기 제3 연결 적층 돌기(133)는 그 상면 높이가 돌설면 돌기(122)의 상면 높이보다는 소정 높이(h)의 두 배인 2h의 높이만큼 낮게 형성되고, 두 열의 하부 삽입돌기(123)의 상면 높이와는 동일하도록 상기 종방향측 상부면(111)에 형성되며; 상기 제4 연결 적층 돌기(134)는 그 상면 높이가 하부 삽입돌기(123)의 상면 높이보다는 소정 높이(h)만큼 낮게 형성되도록 사각판(11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인조잔디 구조체의 배수보드에 의하면, 인조잔디 구조체와 지반과의 사이에 배수를 위한 배수보드를 적층 설치함으로써 배수를 위한 토목공사비 및 공사기간을 현저히 줄이고, 원활하게 배수시킴과 동시에 다수의 배수보드가 평평하게 적층 연결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조 잔디 구조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배수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배수보드가 적층 설치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D-D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인조 잔디 구조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배수보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인조 잔디 구조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배수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배수보드가 적층 설치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D-D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인조 잔디 구조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배수보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수보드(100)는, 사각판(110)과, 상기 사각판(110)으로부터 상부로 돌설된 다수의 원형 돌기(120)가 격자형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고, 사각판(110)의 모퉁이에는 인접하는 배수보드(100)를 연결 적층하도록 돌설된 제1 내지 제4 연결 적층 돌기(131, 132, 133, 13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사각판(110)은 기역자를 형성하는 종방향측 상부면(111) 및 횡방향측 상부면(112)이 일정 높이(h) 만큼 상측으로 돌설되고, 각각 두 줄 열의 원형돌기(120)를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원형 돌기(120)는, 하부로 갈수록 외경이 넓어지는 사다리꼴 기둥형의 돌기로서, 사방 두 줄의 열들에 형성된 원형 돌기를 제외한 나머지 사각판(110)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베이스 돌기(121)와, 상기 종방향측 상부면(111) 및 횡방향측 상부면(112)에 각각 두 열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돌기(121)와 상면의 높이가 동일한 돌설면 돌기(122)와, 상기 종방향측 상부면(111) 및 횡방향측 상부면(112)에 각각 대향되는 다른 상면에 각각 두 열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돌기(121)의 상면 높이보다 소정 높이(h) 만큼 낮게 형성되고, 상기 돌설면 돌기(122)의 하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하부 삽입돌기(123)로 이루어진다.
상기 사각판(110)의 꼭지점 부분, 즉 네 모퉁이에는 인접하는 배수보드(100)를 연결 적층하도록 제1 내지 제4 연결 적층 돌기(131, 132, 133, 134)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사각판(110)의 종방향측 상부면(111) 및 횡방향측 상부면(112)이 기역자형으로 만나는 부분의 모퉁이에 제1 연결 적층 돌기(131)가, 상기 횡방향측 상부면(112)의 다른 모퉁이에 제2 연결 적층 돌기(132)가, 상기 종방향측 상부면(111)의 다른 모퉁이에 제3 연결 적층 돌기(133)가, 상기 제1 연결 적층 돌기(131)의 대각선 방향 모퉁이에 제4 연결 적층 돌기(13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연결 적층 돌기(131)의 하부에는 최하부로부터 제4 연결 적층 돌기(134), 제3 연결 적층 돌기(133), 제2 연결 적층 돌기(132)가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전체 적층 높이가 상기 원형 돌기(120)의 베이스 돌기(121)의 상면까지의 높이와 동일하고, 상기 제1 연결 적층 돌기(131)는, 상기 베이스 돌기(121) 및 돌설면 돌기(122)들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로 상면이 형성되도록 상기 종방향측 상부면(111) 및 횡방향측 상부면(112)으로부터 소정 높이(h)의 두 배인 2h의 높이만큼 돌설된 2h면(113)에 형성된다.
상기 제2 연결 적층 돌기(132)는 그 상면 높이가 돌설면 돌기(122)의 상면 높이보다는 소정 높이(h) 만큼 낮게 형성되도록 상기 횡방향측 상부면(112)으로부터 소정 높이(h)만큼 돌설된 h면(114)에 형성된다.
상기 제3 연결 적층 돌기(133)는 그 상면 높이가 돌설면 돌기(122)의 상면 높이보다는 소정 높이(h)의 두 배인 2h의 높이만큼 낮게 형성되고, 두 열의 하부 삽입돌기(123)의 상면 높이와는 동일하도록 상기 종방향측 상부면(111)에 형성된다.
상기 제4 연결 적층 돌기(134)는 그 상면 높이가 하부 삽입돌기(123)의 상면 높이보다는 소정 높이(h)만큼 낮게 형성되도록 사각판(110)의 바닥면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배수보드(100)는 도 7과 같이, 적층하여 인조잔디 구조체(10)의 하부에 적층하여 물을 배수하게 된다.
상기 인조잔디 구조체(10)는, 천연잔디와 유사한 필라멘트(3)들이 돌출되어 있는 합성매트(1)와 상기 필라멘트(3)들 사이에 충진된 충진재로 이루어진 충진층(2)으로 구성된다.
상기 충진층(2)의 충진재는 (ⅰ) 천연 식물성 분말과, (ⅱ) 토사, 규사 및 토사와 규사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1종의 입자와 (ⅲ) 천연 동결방지제의 혼합물이며, 상기 합성매트(1) 이면에 탄성층(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층(5)은 상부시트(5a)와 하부시트(5c) 사이에 산과 골이 반복되는 구조의 고무탄성체(5b)가 위치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상부시트(5a) 및 하부시트(5b)는 부직포, 직물, 편물 또는 필름시트 등이다.
상기 천연 식물성 분말은 과립형태가 아니 분말형태이기 때문에 충진재의 플로팅(Floating)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천연 식물성 분말은 코코피트(cocopeat) 분말, 코코섬유 분말, 코코넛 분말, 코코껍질 분말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다.
상기 인조잔디 구조체(10)는 충진재 내에 천연 식물성 분말이 포함되어 있어서, 배수성과 습도 유지성이 뛰어나 천연잔디와 유사한 촉감을 나타낸다.
또한, 인조잔디 구조체(10)는 충진재가 100% 천연물질로만 이루어져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냄새 등)을 전혀 배출하지 않아서 위생적이다.
상기 천연 동결방지제는 소금 등이며, 겨울철에 인조잔디 구조체의 충진재가 동결되는 것을 방지하고, 천연 식물성 분말이 부폐 및 분해되는 것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충진층(2)은, 토사로 이루어진 제1 충진층(2b)과; 상기 제1 충진층(2b) 위에 적층되며 (ⅰ) 천연 식물성 분말과, (ⅱ) 토사, 규사 또는 이의 혼합물과, (ⅲ) 천연 동결방지제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제2 충진층(2a)으로 구성된다.
토사로 이루어진 제1 충진층(2b)을 합성매트(1) 상에 먼저 형성하는 것이 인조잔디 구조체에 하중을 주어 필라멘트(3)들을 직립시켜 충진재가 잘 충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인조잔디 구조체(10)와 지반(4) 사이에 본 발명의 배수보드(100)가 다수 개 연결 적층되어 인조잔디 구조체(10)를 통과한 물을 배수시키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할 것이다.
100 : 배수보드 110 : 사각판
111: 종방향측 상부면 112 : 횡방향측 상부면
113 : 2h면 114 : h면
120 : 다수의 원형 돌기 121 : 베이스 돌기
122 : 돌설면 돌기 123 : 하부 삽입돌기
131 : 제1 연결 적층 돌기 132 : 제2 연결 적층 돌기
133 : 제3 연결 적층 돌기 134 : 제4 연결 적층 돌기

Claims (5)

  1. 기역자를 형성하는 종방향측 상부면(111) 및 횡방향측 상부면(112)이 일정 높이(h) 만큼 상측으로 돌설된 사각판(110)과;
    상기 사각판(110)으로부터 상부로 돌설되고, 격자형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고, 하부로 갈수록 외경이 넓어지는 사다리꼴 기둥형의 돌기로서, 사방 두 줄의 열들에 형성된 원형 돌기를 제외한 나머지 사각판(110)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베이스 돌기(121)와, 상기 종방향측 상부면(111) 및 횡방향측 상부면(112)에 각각 두 열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돌기(121)와 상면의 높이가 동일한 돌설면 돌기(122)와, 상기 종방향측 상부면(111) 및 횡방향측 상부면(112)에 각각 대향되는 다른 상면에 각각 두 열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돌기(121)의 상면 높이보다 소정 높이(h) 만큼 낮게 형성되고, 상기 돌설면 돌기(122)의 하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하부 삽입돌기(123)로 이루어진 다수의 원형 돌기(120)와;
    상기 사각판(110)의 종방향측 상부면(111) 및 횡방향측 상부면(112)이 기역자형으로 만나는 부분의 모퉁이에 형성된 제1 연결 적층 돌기(131)와;
    상기 횡방향측 상부면(112)의 다른 모퉁이에 형성된 제2 연결 적층 돌기(132)와;
    상기 종방향측 상부면(111)의 다른 모퉁이에 형성된 제3 연결 적층 돌기(133) 및;
    상기 제1 연결 적층 돌기(131)의 대각선 방향 모퉁이에 형성된 제4 연결 적층 돌기(134)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적층 돌기(131)의 하부에는 최하부로부터 제4 연결 적층 돌기(134), 제3 연결 적층 돌기(133), 제2 연결 적층 돌기(132)가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전체 적층 높이가 상기 원형 돌기(120)의 상면까지의 높이와 동일하며;
    상기 사각판(110)의 상기 종방향측 상부면(111) 및 횡방향측 상부면(112)에는 각각 두 열의 원형돌기(120)를 포함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구조체의 배수보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적층 돌기(131)는, 상기 베이스 돌기(121) 및 돌설면 돌기(122)들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로 상면이 형성되도록 상기 종방향측 상부면(111) 및 횡방향측 상부면(112)으로부터 소정 높이(h)의 두 배인 2h의 높이만큼 돌설된 2h면(113)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 적층 돌기(132)는 그 상면 높이가 돌설면 돌기(122)의 상면 높이보다는 소정 높이(h) 만큼 낮게 형성되도록 상기 횡방향측 상부면(112)으로부터 소정 높이(h)만큼 돌설된 h면(114)에 형성되며;
    상기 제3 연결 적층 돌기(133)는 그 상면 높이가 돌설면 돌기(122)의 상면 높이보다는 소정 높이(h)의 두 배인 2h의 높이만큼 낮게 형성되고, 두 열의 하부 삽입돌기(123)의 상면 높이와는 동일하도록 상기 종방향측 상부면(111)에 형성되며;
    상기 제4 연결 적층 돌기(134)는 그 상면 높이가 하부 삽입돌기(123)의 상면 높이보다는 소정 높이(h)만큼 낮게 형성되도록 사각판(11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구조체의 배수보드.
KR1020100053486A 2010-06-07 2010-06-07 인조 잔디 구조체의 배수보드 KR101011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486A KR101011907B1 (ko) 2010-06-07 2010-06-07 인조 잔디 구조체의 배수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486A KR101011907B1 (ko) 2010-06-07 2010-06-07 인조 잔디 구조체의 배수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1907B1 true KR101011907B1 (ko) 2011-02-01

Family

ID=43777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3486A KR101011907B1 (ko) 2010-06-07 2010-06-07 인조 잔디 구조체의 배수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1907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447B1 (ko) 2012-09-03 2012-12-11 주식회사 미강그린 인조잔디 운동장 시공용 배수판
KR101263149B1 (ko) 2013-01-22 2013-05-15 최성우 배수 및 결합이 용이한 인조잔디용 배수블럭
KR101271269B1 (ko) * 2012-05-18 2013-06-13 이선아 인조잔디용 배수판
WO2016073021A1 (en) 2014-11-05 2016-05-12 Viconic Sporting Llc Surface underlayment system with interlocking resilient anti-slip shock tiles
US10369739B2 (en) 2013-04-18 2019-08-06 Viconic Sporting Llc Surface underlayment system with interlocking resilient assemblies of shock tiles
KR102065889B1 (ko) * 2019-07-15 2020-01-13 이성림 인조잔디용 또는 놀이터용 충격흡수패드
KR102065877B1 (ko) * 2019-05-21 2020-01-13 이성림 친환경 및 온도상승 방지형 복합 잔디 구조체
KR102065894B1 (ko) * 2019-09-02 2020-01-13 이성림 인조잔디용 또는 놀이터용 충격흡수패드
KR102065876B1 (ko) * 2019-05-21 2020-01-13 이성림 식생 토낭을 이용한 친환경 및 천연 잔디형 복합 잔디 구조체
US10982451B2 (en) 2018-11-07 2021-04-20 Viconic Sporting Llc Progressive stage load distribution and absorption underlayment system
US11585102B2 (en) 2018-11-07 2023-02-21 Viconic Sporting Llc Load distribution and absorption underpayment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3897A (ko) * 2001-10-25 2003-05-01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건조기의 제어방법
KR200333897Y1 (ko) * 2003-08-14 2003-11-20 이우태 잔디 대용 인조잔디 매트
KR20100036016A (ko) * 2008-09-29 2010-04-07 (주) 스포캐믹 담수패드 및 이를 이용한 인조잔디와 탄성바닥재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3897A (ko) * 2001-10-25 2003-05-01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건조기의 제어방법
KR200333897Y1 (ko) * 2003-08-14 2003-11-20 이우태 잔디 대용 인조잔디 매트
KR20100036016A (ko) * 2008-09-29 2010-04-07 (주) 스포캐믹 담수패드 및 이를 이용한 인조잔디와 탄성바닥재 시공방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269B1 (ko) * 2012-05-18 2013-06-13 이선아 인조잔디용 배수판
KR101210447B1 (ko) 2012-09-03 2012-12-11 주식회사 미강그린 인조잔디 운동장 시공용 배수판
KR101263149B1 (ko) 2013-01-22 2013-05-15 최성우 배수 및 결합이 용이한 인조잔디용 배수블럭
US10369739B2 (en) 2013-04-18 2019-08-06 Viconic Sporting Llc Surface underlayment system with interlocking resilient assemblies of shock tiles
WO2016073021A1 (en) 2014-11-05 2016-05-12 Viconic Sporting Llc Surface underlayment system with interlocking resilient anti-slip shock tiles
EP3215755A4 (en) * 2014-11-05 2018-08-01 Viconic Sporting LLC Surface underlayment system with interlocking resilient anti-slip shock tiles
US10982451B2 (en) 2018-11-07 2021-04-20 Viconic Sporting Llc Progressive stage load distribution and absorption underlayment system
US11585102B2 (en) 2018-11-07 2023-02-21 Viconic Sporting Llc Load distribution and absorption underpayment system
KR102065877B1 (ko) * 2019-05-21 2020-01-13 이성림 친환경 및 온도상승 방지형 복합 잔디 구조체
KR102065876B1 (ko) * 2019-05-21 2020-01-13 이성림 식생 토낭을 이용한 친환경 및 천연 잔디형 복합 잔디 구조체
KR102065889B1 (ko) * 2019-07-15 2020-01-13 이성림 인조잔디용 또는 놀이터용 충격흡수패드
KR102065894B1 (ko) * 2019-09-02 2020-01-13 이성림 인조잔디용 또는 놀이터용 충격흡수패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1907B1 (ko) 인조 잔디 구조체의 배수보드
ES2092896T5 (es) Elemento para terreno de tenis sintetico y procedimiento para su realizacion.
KR100983707B1 (ko) 잔디블록 조립체
KR101938795B1 (ko) 인조잔디의 탄성패드를 이용한 배수판
KR100925886B1 (ko) 생태블록 사방댐.
KR101583664B1 (ko) 식생유닛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 및 식생유닛
JP4818870B2 (ja) 土砂又は植物の敷設ユニット
KR101619285B1 (ko) 멀티기능을 가진 보도블록
KR20120049106A (ko) 조립식 호안블록
JP4967105B2 (ja) 建築物における免震方法
KR100644413B1 (ko) 식생 녹화블록
KR20120044788A (ko) 인조잔디 구장 또는 천연잔디 구장을 조성하기 위한 잔디구조체
CN206916790U (zh) 一种无裂缝、无渗漏超大面积地下室地坪的结构
KR101263149B1 (ko) 배수 및 결합이 용이한 인조잔디용 배수블럭
KR100349863B1 (ko) 호안용 블록 및 그를 이용한 자연형 호안시공법
US20230295894A1 (en) Retaining wall structure
KR100523965B1 (ko) 건축용 조경블럭
KR101582865B1 (ko) 지반 토사 유실방지를 위한 다기능 식생프레임 구조체
KR100925887B1 (ko) 블록크린 사방댐.
JP2007043978A (ja) 植物保護構造
US20180223485A1 (en) Playing Surface
CN208056098U (zh) 一种柔性挡土墙
KR200267606Y1 (ko) 하천 제방용 호안블록
CN205893862U (zh) 一种海绵化运动场基础
KR101318884B1 (ko) 호안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호안 보호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