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5216B1 -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 - Google Patents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5216B1
KR101695216B1 KR1020160052190A KR20160052190A KR101695216B1 KR 101695216 B1 KR101695216 B1 KR 101695216B1 KR 1020160052190 A KR1020160052190 A KR 1020160052190A KR 20160052190 A KR20160052190 A KR 20160052190A KR 101695216 B1 KR101695216 B1 KR 101695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indoor
outdoor sports
elastic material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2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미정
최치성
김경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드원종합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드원종합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드원종합건설
Priority to KR1020160052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52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5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5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4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4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13/045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the prefabricated single units consisting of or including bitumen, rubber or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격자를 포함하는 평면형으로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패턴형 탄성부, 상기 패턴형 탄성부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를 관통하는 관통부, 그리고 상기 관통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충격 흡수부를 포함하며, 탄성 재료로 형성되는 탄성 재료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INDOOR AND OUTDOOR SPORTS STADIUM FLOORING}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체육활동을 위한 경기장 바닥으로 사용하기 위한 광범위한 바닥덮개가 개발되어 왔으며, 예를 들어 견목바닥의 경우 되튐특성 등에 있어서 안락하지만 고가이기에 보수 및 유지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대부분의 경기용 바닥의 경우 시멘트 바닥에 접착된 타일로 만들어져 왔으나 이와 같은 바닥은 바닥에 넘어진 경기자에게 찰과상 등부상의 위험성을 항상 가지고 있으며, 목재 및 고정된 타일 또는 시멘트 바닥은 체육활동을 하는 운동인들이 점핑, 달리기 및 운동방향의 갑작스러운 변경을 포함하는 스포츠 활동에 공통되는 가로방향의 충격력을 흡수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갖는다.
종래의 공지된 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0075841-0000(1994.07.28)호 '가로방향 충격력 흡수 모듈러 타일'이 있다.
상기 등록특허 제10-0075841-0000 (1994.07.28)호 '가로방향 충격력 흡수 모듈러 타일'은 구조적으로 모듈러 타일로서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었으며 대개는 그리드 구조를 채용하여 타일 표면이 그리드 교차로부터 아래로 뻗어있는 가까이 떨어져 있는 지지레그를 갖는 십자패턴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팽창조인트 및 교차 보강부재 또는 스티프너의 사용을 포함하고, 그리드 구조는 연속된 편평한 표면을 갖는 모듈러 타일이기에 오히려 더 구부러지고 곡해되기 쉽고, 표면은 중합체가 온도변화를 받게되는 때 훨씬 더 비틀리고 구부려지는 경향을 갖는다. 결과적으로 종래기술은 연속되고 편평한 표면을 갖는 그리고 모듈러이고 순환하는 방식으로 연동되는 플라스틱 타일이 사용될 수 없도록 하였다.
또한, 종래 기술은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지 못하므로 운동을 하는 사용자에게 충격이 그대로 전달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에 탄성 재료부를 추가하여 충격 흡수 및 미끄럼 방지 기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 재료부의 구조적 특징으로 인하여 경기장 바닥재에 가해지는 충격을 보다 용이하게 흡수하고, 본체부의 격자 구조를 개선하여 보다 향상된 미끄럼 방지 기능을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는 다수의 격자를 포함하는 평면형으로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패턴형 탄성부, 상기 패턴형 탄성부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를 관통하는 관통부, 그리고 상기 관통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충격 흡수부를 포함하며, 탄성 재료로 형성되는 탄성 재료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는 상기 각 격자의 내부의 십자형 보강리브; 상기 각 격자의 내부의 팔각형 보강리브; 및 상기 팔각형 보강리브를 상기 각 격자에 고정하는 고정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패턴형 탄성부는 팔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는 팔각형인 상기 패턴형 탄성부의 상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각각의 격자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본체 원통 지지부; 및 상기 본체부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본체 원통 지지부 보다 더 돌출되어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는 원통 기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 원통 지지부는 상기 본체부의 격자점에 대응되는 위치 상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가 상기 본체 원통 지지부를 관통하고, 상기 충격 흡수부가 상기 본체 원통 지지부의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에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하면 상에서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는 바닥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닥 결합부는 상기 탄성 재료부의 충격 흡수부와 접하여 지지하는 탄성부위 지지부; 상기 본체부의 본체 원통 지지부를 지지하는 바닥 원통 지지부; 및 상기 바닥 결합부를 상기 본체부에 결합하는 조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패턴형 탄성부는 다수의 도형부와 상기 다수의 도형부를 잊는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부는 상기 다수의 도형부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 및 상기 바닥 결합부는 PP(Polypropylene)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탄성 재료부는 재활용이 가능한 TP(Thermo Plastic)계열의 수지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에 탄성 재료부를 추가하여 충격 흡수 및 미끄럼 방지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 재료부의 구조적 특징으로 인하여 경기장 바닥재에 가해지는 충격을 보다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의 격자 구조를 개선하여 보다 향상된 미끄럼 방지 기능 및 제품에 대한 안정적 효과와 심미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의 상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의 단부(A)의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의 하면도이다.
이후부터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는 본체부(100) 및 탄성 재료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100)는 평면형 구조로서 다수의 격자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는 십자형 보강리브(121), 팔각형 보강리브(122) 및 고정리브(1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팔각형 보강리브(122)는 상기 각 격자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십자형 보강리브(121)는 상기 팔각형 보강리브(122)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리브(123)는 상기 팔각형 보강리브(122)를 상기 격자 내에 고정한다.
상기 본체부(100)는 이와 같이 형성된 다수의 격자를 포함하는 평면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체부(100)상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재료부(20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의 상면에는 돌기(10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의 상면에 형성되는 패턴형 탄성부가 다수의 도형부(210)와 접속부(22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다수의 도형부(210)는 상기 본체부(100)의 십자형 보강리브, 팔각형 보강리브 또는 고정리브 상에서 다양한 형태의 도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접속부(220)는 상기 도형부(210)들을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형부(210)는 팔각형, 격자형, 오각형, 육각형 등의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탄성 재료부(200)는 탄성 재료를 이용하여, 패턴형 탄성부(201), 관통부(202) 및 충격 흡수부(203)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턴형 탄성부(201)는 상기 본체부(100)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202)는 상기 패턴형 탄성부(201)와 연결되어 본체부(100)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충격 흡수부(203)는 상기 관통부(202)의 단부인 본체부(100)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 재료부(200)를 본체부(100)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턴형 탄성부(200)는 팔각형으로 형성되거나, 그 외의 다양한 도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패턴형 탄성부(2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십자형 보강리브(121), 팔각형 보강리브(122) 또는 고정리브(123) 상에 다양한 도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4에서와 같이 관통부(202)는 격자형인 상기 패턴형 탄성부(200) 상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각각의 격자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0)는 본체 원통 지지부(102)와 원통 기둥(1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체 원통 지지부(102)는 상기 본체부(10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원통 기둥(110)은 상기 본체부(100)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본체 원통 지지부(102) 보다 더 돌출되어 상기 본체부(100)를 지지할 수 있다.
본체부(100)와 탄성 재료부(200)의 결합 관계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 원통 지지부(102)는 상기 본체부(100)의 격자점에 대응되는 위치 상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202)가 상기 본체 원통 지지부(102)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충격 흡수부(203)가 상기 본체 원통 지지부(102)의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체부(100)의 모서리(A)에는 지지 기둥(111)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6을 참조하면 본체부(100)의 하면에는 충격 흡수부(123)가 형성되며, 본체부(100)의 하면에 정중앙의 격자에는 게이트부(103)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후부터는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PP(Polypropylene)를 사용한 사출 공정을 통해 본체부(100)를 형성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활용이 가능한 TP(Thermo Plastic)계열의 수지를 사용한 사출 공정을 통해 탄성 재료부(200)를 형성한다.
이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와 탄성 재료부(200)를 조립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결합부(300)를 결합하여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를 조립하여 완성한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의 상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다른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의 조립부(B)의 확대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는 다수의 조립부(B)를 포함하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 탄성 재료부(200) 및 바닥 결합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체부(100) 상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재료부(200)가 형성되고, 본체부(100)의 하면 상에는 바닥 결합부(300)가 형성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 재료부(200)는 탄성 재료로 형성되며 패턴형 탄성부(201), 관통부(202) 및 충격 흡수부(20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패턴형 탄성부(201)는 본체부(100)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202)는 상기 패턴형 탄성부(201)와 연결되어 본체부(100)를 관통한다. 또한, 상기 충격 흡수부(203)는 상기 관통부(202)의 단부인 본체부(100)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 재료부(200)를 본체부(100)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패턴형 탄성부(200)는 팔각형으로 형성되고, 관통부(202)는 격자형인 상기 패턴형 탄성부(200)의 격자점(250)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 원통 지지부(102)는 상기 본체부(10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 원통 지지부(102)는 상기 본체부(100)의 격자점에 대응되는 위치 상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202)는 상기 본체 원통 지지부(102)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충격 흡수부(203)는 상기 본체 원통 지지부(102)의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바닥 결합부(300)는 상기 본체부(100)에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하면 상에서 상기 본체부(10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닥 결합부(300)는 탄성부위 지지부(303) 및 바닥 원통 지지부(302)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위 지지부(303)는 상기 탄성 재료부(200)의 충격 흡수부(203)와 접하여 지지하고, 바닥 원통 지지부(302)는 상기 본체부(100)의 본체 원통 지지부(102)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경기장 바닥재의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패턴형 탄성부(201)가 1차로 흡수하고, 본체 원통 지지부(102)의 끝단에 형성되는 충격 흡수부(203)가 본체 원통 지지부(102)와 탄성부위 지지부(303)의 사이에서 상기 충격을 2차로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결합부(300)에는 조립부(301)가 형성되어 상기 바닥 결합부(300)를 본체부(100)에 결합할 수 있으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홀(hole: 104)과 보스(boss: 105) 형성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후부터는 도 14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는 본체부(100) 및 탄성 재료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100)는 평면형 구조로서 다수의 격자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는 십자형 보강리브(121), 팔각형 보강리브(122) 및 고정리브(1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팔각형 보강리브(122)는 상기 각 격자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십자형 보강리브(121)는 상기 팔각형 보강리브(122)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리브(123)는 상기 팔각형 보강리브(122)를 상기 격자 내에 고정한다.
상기 본체부(100)는 이와 같이 형성된 다수의 격자를 포함하는 평면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체부(100)상에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재료부(20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의 상면에는 돌기(10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7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탄성 재료부(200)는 탄성 재료를 이용하여,패턴형 탄성부(201), 관통부(202) 및 충격 흡수부(203)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턴형 탄성부(201)는 상기 본체부(100)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202)는 상기 패턴형 탄성부(201)와 연결되어 본체부(100)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충격 흡수부(203)는 상기 관통부(202)의 단부인 본체부(100)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 재료부(200)를 본체부(100)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턴형 탄성부(200)는 팔각형으로 형성된다. 그에 따라, 도 17에서와 같이 관통부(202)는 격자형인 상기 패턴형 탄성부(200)의 격자점(250) 상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각각의 격자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0)는 본체 원통 지지부(102)와 원통 기둥(1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체 원통 지지부(102)는 상기 본체부(10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원통 기둥(110)은 상기 본체부(100)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본체 원통 지지부(102) 보다 더 돌출되어 상기 본체부(100)를 지지할 수 있다.
본체부(100)와 탄성 재료부(200)의 결합 관계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 원통 지지부(102)는 상기 탄성 재료부(200)의 격자점(250)에 대응되는 위치 상에 형성되고,상기 관통부(202)가 상기 본체 원통 지지부(102)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충격 흡수부(203)가 상기 본체 원통 지지부(102)의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5 및 도 18를 참조하면 본체부(100)의 모서리(A)에는 지지 기둥(111)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19를 참조하면 본체부(100)의 하면에는 충격 흡수부(123)가 형성되며, 본체부(100)의 하면에 정중앙의 격자에는 게이트부(103)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후부터는 도 20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PP(Polypropylene)를 사용한 사출 공정을 통해 본체부(100)를 형성하고,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활용이 가능한 TP(Thermo Plastic)계열의 수지를 사용한 사출 공정을 통해 탄성 재료부(200)를 형성한다.
이후,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와 탄성 재료부(200)를 조립하여,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를 완성한다.
도 24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는 다수의 조립부(B)를 포함하고,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 탄성 재료부(200) 및 바닥 결합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체부(100) 상에는 탄성 재료부(200)가 형성되고, 본체부(100)의 하면 상에는 바닥 결합부(300)가 형성된다.
도 25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 재료부(200)는 탄성 재료로 형성되며 패턴형 탄성부(201), 관통부(202) 및 충격 흡수부(20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패턴형 탄성부(201)는 본체부(100)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202)는 상기 패턴형 탄성부(201)와 연결되어 본체부(100)를 관통한다. 또한, 상기 충격 흡수부(203)는 상기 관통부(202)의 단부인 본체부(100)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 재료부(200)를 본체부(100)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패턴형 탄성부(200)는 격자형으로 형성되고, 관통부(202)는 격자형인 상기 패턴형 탄성부(200)의 격자점(250)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 원통 지지부(102)는 상기 본체부(10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 원통 지지부(102)는 상기 패턴형 탄성부(201)의 격자점(250)에 대응되는 위치 상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202)는 상기 본체 원통 지지부(102)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충격 흡수부(203)는 상기 본체 원통 지지부(102)의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바닥 결합부(300)는 상기 본체부(100)에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하면 상에서 상기 본체부(10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닥 결합부(300)는 탄성부위 지지부(303) 및 바닥 원통 지지부(302)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위 지지부(303)는 상기 탄성 재료부(200)의 충격 흡수부(203)와 접하여 지지하고, 바닥 원통 지지부(302)는 상기 본체부(100)의 본체 원통 지지부(102)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경기장 바닥재의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패턴형 탄성부(201)가 1차로 흡수하고, 본체 원통 지지부(102)의 끝단에 형성되는 충격 흡수부(203)가 본체 원통 지지부(102)와 탄성부위 지지부(303)의 사이에서 상기 충격을 2차로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결합부(300)에는 조립부(301)가 형성되어 상기 바닥 결합부(300)를 본체부(100)에 결합할 수 있으며,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홀(hole: 104)과 보스(boss: 105)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본체부
101: 돌기
102: 본체 원통 지지부
110: 원통 기둥
121: 십자형 보강리브
122: 팔각형 보강리브
123: 고정리브
200: 탄성 재료부
201: 패턴형 탄성부
202: 관통부
203: 충격 흡수부
205: 격자점

Claims (9)

  1. 다수의 격자를 포함하는 평면형으로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패턴형 탄성부, 상기 패턴형 탄성부와 연결
    되어 상기 본체부를 관통하는 관통부, 그리고 상기 관통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충격흡수부를 포함하며, 탄성 재료로 형성되는 탄성 재료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본체 원통 지지부; 및 상기 본체부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본체 원통 지지부 보다 더 돌출되어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는 원통 기둥;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에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하면 상에서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는 바닥 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닥 결합부는,
    상기 탄성 재료부의 충격 흡수부와 접하여 지지하는 탄성부위 지지부;
    상기 본체부의 본체 원통 지지부를 지지하는 바닥 원통 지지부; 및
    상기 바닥 결합부를 상기 본체부에 결합하는 조립부;
    를 더 포함하는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각 격자의 내부의 십자형 보강리브;
    상기 각 격자의 내부의 팔각형 보강리브; 및
    상기 팔각형 보강리브를 상기 각 격자에 고정하는 고정리브;
    를 포함하는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턴형 탄성부는,
    다수의 도형부와 상기 다수의 도형부를 잊는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부는,
    상기 다수의 도형부 상에 형성되는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및 상기 바닥 결합부는,
    PP(Polypropylene)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탄성 재료부는,
    재활용이 가능한 TP(Thermo Plastic)계열의 수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
KR1020160052190A 2016-04-28 2016-04-28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 KR101695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190A KR101695216B1 (ko) 2016-04-28 2016-04-28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190A KR101695216B1 (ko) 2016-04-28 2016-04-28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5216B1 true KR101695216B1 (ko) 2017-01-12

Family

ID=57811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2190A KR101695216B1 (ko) 2016-04-28 2016-04-28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521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5740B1 (ko) 2018-08-06 2019-03-08 제해득 스포츠시설용 조립식 바닥재 제조방법
KR101959828B1 (ko) 2018-08-06 2019-03-19 제해득 스포츠시설용 조립식 바닥재
KR101959823B1 (ko) * 2018-10-08 2019-03-20 (주)하이탑 웨이브 구조를 형성하여 충격흡수 및 완충기능을 제공하는 잔디보호매트
KR101967608B1 (ko) * 2018-10-08 2019-04-11 (주)하이탑 탄성선재를 적용한 잔디보호용 매트
KR101980084B1 (ko) * 2018-10-08 2019-05-20 (주)하이탑 내부와 외부로 구분되어 서로 다른 탄성을 갖도록 제조된 조립식 잔디보호매트
KR102147621B1 (ko) * 2020-02-12 2020-08-24 김재성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
KR102476453B1 (ko) 2022-08-08 2022-12-12 (주)필드테크 실내외 스포츠 바닥재
KR102497423B1 (ko) * 2022-08-08 2023-02-08 주식회사 필드원종합건설 교체형 상부판을 이용한 다목적 바닥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538U (ja) * 1992-08-17 1994-03-11 三菱樹脂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床パネル
KR20060127635A (ko) * 2005-06-08 2006-12-13 김형민 스포츠 전용 실내외 바닥재
KR200467911Y1 (ko) * 2012-08-01 2013-07-10 이랜드체육산업 (주) 조립식 매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538U (ja) * 1992-08-17 1994-03-11 三菱樹脂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床パネル
KR20060127635A (ko) * 2005-06-08 2006-12-13 김형민 스포츠 전용 실내외 바닥재
KR200467911Y1 (ko) * 2012-08-01 2013-07-10 이랜드체육산업 (주) 조립식 매트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165008 UR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5740B1 (ko) 2018-08-06 2019-03-08 제해득 스포츠시설용 조립식 바닥재 제조방법
KR101959828B1 (ko) 2018-08-06 2019-03-19 제해득 스포츠시설용 조립식 바닥재
KR101959823B1 (ko) * 2018-10-08 2019-03-20 (주)하이탑 웨이브 구조를 형성하여 충격흡수 및 완충기능을 제공하는 잔디보호매트
KR101967608B1 (ko) * 2018-10-08 2019-04-11 (주)하이탑 탄성선재를 적용한 잔디보호용 매트
KR101980084B1 (ko) * 2018-10-08 2019-05-20 (주)하이탑 내부와 외부로 구분되어 서로 다른 탄성을 갖도록 제조된 조립식 잔디보호매트
KR102147621B1 (ko) * 2020-02-12 2020-08-24 김재성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
KR102476453B1 (ko) 2022-08-08 2022-12-12 (주)필드테크 실내외 스포츠 바닥재
KR102497423B1 (ko) * 2022-08-08 2023-02-08 주식회사 필드원종합건설 교체형 상부판을 이용한 다목적 바닥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5216B1 (ko)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
KR940003727B1 (ko) 가로방향 충격력 흡수 모듈러 타일
US9631375B1 (en) Shock absorbing interlocking floor system
US9290889B2 (en) Deck fastening device
US9528280B2 (en) Surface underlayment system with interlocking resilient anti-slip shock tiles
KR100878141B1 (ko) 변형방지 목재데크
KR101663806B1 (ko) 목재클립유닛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목재데크 구조.
KR100901434B1 (ko) 조립식 스포츠코트
KR101078495B1 (ko) 시공이 간편한 조립식 펜스
KR101588325B1 (ko) 바닥데크용 결합구조
KR200449138Y1 (ko) 목재 결속용 고정구
KR101772069B1 (ko) 데크 프레임 조립구조
KR101695220B1 (ko)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의 제조 방법
KR20170068108A (ko) 넥스트코트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
KR20170050374A (ko) 데크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데크 시공방법
KR20130063956A (ko) 조립식 탄성바닥재
KR100623960B1 (ko) 조립식 마루 구조물의 결합구조
KR101109576B1 (ko) 경기장 바닥 시공구조
US20170044725A1 (en) Athletic Field Safety Border
KR20170068110A (ko) 넥스트코트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의 제조방법
KR102476453B1 (ko) 실내외 스포츠 바닥재
KR102627011B1 (ko) 조립식 고무블록 시스템
KR20210106391A (ko) 미끄럼 방지 기능이 향상된 조립식 운동장 바닥재
CN105944373B (zh) 一种多层篮球专用拼装地板
JP6931554B2 (ja) 建築用面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