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7693A -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 - Google Patents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7693A
KR20200067693A KR1020180154811A KR20180154811A KR20200067693A KR 20200067693 A KR20200067693 A KR 20200067693A KR 1020180154811 A KR1020180154811 A KR 1020180154811A KR 20180154811 A KR20180154811 A KR 20180154811A KR 20200067693 A KR20200067693 A KR 20200067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rame
information
image
pressure value
sports cou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4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9672B1 (ko
Inventor
정혜경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54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9672B1/ko
Publication of KR20200067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7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9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9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7/00Pavement lights, i.e. translucent constructions forming part of the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에 관한 것으로, 사각 형상의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 및 수직하게 교차 배열되어 복수의 격자무늬 패턴을 형성하는 복수의 수평 프레임 및 수직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외부에 돌출 형성되어 타 베이스 프레임과 결합되는 복수의 고리 결합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고리 결합부와 체결되어 상기 고리 결합부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에 수용하는 복수의 결합홈,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인가되는 압력값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 및 상기 복수의 격자무늬 패턴의 내부 공간 각각에 구비되고, 상기 측정된 압력값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복수의 LED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ASSEMBLY SPORTS COAT MODULE}
본원은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에 관한 것이다.
여러 가지 스포츠, 레저 활동이 활성화되면서, 농구장, 족구장, 풋살 경기장, 테니스 코트, 다목적 경기장 등 다양한 종류의 체육시설 및 운동장(이하 '스포츠 코트'로 지칭함)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현재 대부분의 실외 스포츠 코트는 흙, 콘크리트 바닥 또는 인조 잔디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러한 스포츠 코트의 재료 중 흙은 강우시 유실되어 수시로 보수를 해야 하고, 배수 문제로 인해 며칠 동안 사용이 제한되기도 하며, 콘크리트는 시공이 어렵고 재질의 특성상 이용자들의 부상을 유발할 위험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조잔디는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싸고 혹서기에는 화상을 당할 위험이 있다.
이에 따라 스포츠 코트에 충격 흡수성, 유지 보수의 편리성, 시공성 등의 향상을 목적을 다양한 형태의 스포츠 코트용 조립식 바닥재가 보급되고 있다. 특히, 플라스틱 사출에 의한 조립식 바닥재는 콘크리트 바닥과 같은 하드 코트의 대용품으로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일반인들의 휴가 및 여가 시간 등이 확대되고, 다양한 스포츠 영역으로의 확산이 진행 중이며, 최근 야구, 농구, 축구 등 인기 스포츠 종목의 본격적인 시즌에는 경기장에 직접 방문하여 관람하는 관중의 수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 구단들은 스포츠 마케팅을 위한 방법들로 과거와는 전혀 다른 내용들을 팬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일 예로, 5명씩으로 이루어진 2개 팀이 볼을 패스하거나 드리블하여 상대방의 바스켓에 던져 넣어 득점을 겨루는 구기 종목인 농구는, 농구장 내 대형 전광판 또는 화면을 통해 경기 내 기록 등을 제공하고 있다. 일부 구단에서는 스포츠와 오락이 결합된 스포테인먼트(Sportainment)를 중요한 팬 서비스로 제공하고 있다. 스포테인먼트란 스포츠(Sport)와 엔터테인먼트(Enetertainment)의 합성어를 말하며, 엔터테인먼트의 강한 오락성을 접목하여 스포츠를 더욱 즐겁게 하자는 취지 및 스포츠를 엔터테인먼트처럼 즐겁게 즐기자는 의미에서 나온 용어이다. 스포테인먼트의 일환으로 문자 응원 문구용 가로 전광판과 UCC(User Created Contents)가 상영 가능한 동영상 전광판 등의 시설이 설치되고 있다.
농구의 경우에서, 경기에 출전하는 각 팀의 전적, 해당 구장에서의 과거 기록, 선수별 경기 기록 등을 방송만을 통해 텔레비전 화면으로 시청자에게 일방적이고 제한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반면, 관람자는 경기장에서 현장에서의 감동과 응원들을 그대로 느낄 수 있으나, 미디어를 통해서 제공되는 각종 데이터 또는 경기 기록 등을 제공받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11228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설치할 수 있는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로, 조립식 바닥재의 내부 프레임을 격자무늬를 가지도록 구성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복수의 돌기부를 포함하여 안정적으로 조립 사용 가능한 조립형 스포츠 코트 모듈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립형 스포츠 코트 모듈에 출력되는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로 촬영하고, 해당 이미지를 활용하여 각 경기장에서의 경기장 정보 및 경기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은, 사각 형상의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 및 수직하게 교차 배열되어 복수의 격자무늬 패턴을 형성하는 복수의 수평 프레임 및 수직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외부에 돌출 형성되어 타 베이스 프레임과 결합되는 복수의 고리 결합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고리 결합부와 체결되어 상기 고리 결합부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에 수용하는 복수의 결합홈,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인가되는 압력값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 및 상기 복수의 격자무늬 패턴의 내부 공간 각각에 구비되고, 상기 측정된 압력값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복수의 LE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위치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위치 정보를 제어장치로 전달하는 위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LED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은, 미리 설정된 압력값을 초과하는 압력값이 인식된 베이스 프레임에 구비되는 LED가 점등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이 복수 개가 구비될 경우, 미리 설정된 압력값을 초과하는 압력값이 인식되는 베이스 프레임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구비되는 복수의 LED가 점등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는, 베이스 프레임에 인가되는 압력값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압력값에 기초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구비되는 복수의 LED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구동 신호 생성부 및 상기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LED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신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구동 신호 생성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LED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 제어 장치는, 미리 설정된 압력값을 초과하는 압력값이 수신된 경우, 상기 구동 신호 생성부는 상기 압력값이 인식된 베이스 프레임에 구비되는 복수의 LED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 제어 장치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이 복수 개가 구비될 경우, 상기 구동 신호 생성부는 미리 설정된 압력값을 초과하는 압력값이 인식되는 베이스 프레임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구비되는 복수의 LED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 제어 장치는, 복수의 경기장 정보 및 경기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경기장 정보 및 경기 정보를 선택하는 정보 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신호 생성부는, 상기 경기장 정보 및 경기 정보와 연계된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상기 복수의 LED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 제어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촬영된 상기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경기장 정보 및 경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 제어 장치는, 상기 복수의 경기장 정보에 해당하는 파노라마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 상기 파노라마 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경기장 정보 및 경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3차원 가상 이미지를 합성한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생성부 및 상기 합성 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 제어 장치는, 상기 경기장 정보는, 경기장 날씨 정보, 경기장 이벤트 정보 및 경기장 주변 날씨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경기 정보는, 경기 기록 정보 및 팀별 경기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팀별 경기 정보는 상기 단일 이미지에 따라 제공되는 상기 팀별 경기 정보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 제어 장치는, 상기 합성 영상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증강현실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을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사각 형상의 베이스 프레임 내부에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인가되는 압력값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 및 상기 압력값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복수의 LED를 구비하는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인가되는 압력값을 수신하여, 상기 압력값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LED를 제어하는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경기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조립식 스포츠 코트에 구비된 복수의 LED로부터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부 및 상기 이미지를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 제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 제어 장치로부터 생성된 합성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조립식 바닥재의 내부 프레임을 격자 무늬를 가지도록 구성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복수의 돌기부를 포함하여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사용이 가능하며, 사용자 단말로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각 경기장에서 경기장 정보 및 경기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함으써, 실시간 또는 자신이 현재 관람하고 있는 경기 영상을 재구성하여 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1의 'A'의 확대도이다.
도 3(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에 미리 설정된 압력값을 초과하는 압력값이 인식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에 구비된 복수의 LED가 점등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을 제어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촬영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1의 'A'의 확대도이다.
설명하기에 앞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은 실내 또는 실외 운동장, 경기장, 마룻바닥, 베란다 등에 설치할 수 있는 조립식 스포츠 코트에 관한 것으로, 스포츠 코트, 블록, 타일 등으로 지칭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편의상 스포츠 코트로 정의하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스포츠 코트는 운동장, 경기장뿐만 아니라 다양한 실내외 공간에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은 농구, 축구, 족구, 풋살 및 테니스 등 다양한 스포츠 종목에서 활용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농구 경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100)은 실내외 스포츠 코트에 충격 흡수성, 유지 보수의 편리성 및 시공성 등의 향상을 목적으로 제작된 스포츠 코트용 조립식 바닥재로, 기본적으로 사각 형상의 베이스 프레임(110)과 베이스 프레임(110)의 내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 및 수직하게 교차 배열되어 복수의 격자무늬 패턴을 형성하는 복수의 수평 프레임(120a) 및 수직 프레임(120b)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100)을 이루는 베이스 프레임(110), 복수의 수평 프레임(120a) 및 수직 프레임(120b)은 충격 흡수성, 유지 보수의 편리성 및 시공성이 편리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플라스틱 사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10)의 내부에 복수의 격자무늬 패턴을 형성하는 복수의 수평 프레임(120a) 및 수직 프레임(120b)는 정사각형의 격자무늬를 형성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닌, 직사각형, 마름모 등의 격자무늬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수평 프레임(120a) 및 수직 프레임(120b)이 교차하는 꼭지점에서 표면에 돌출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용 돌기(1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미끄럼 방지용 돌기(121)는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100)의 표면 마찰 계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100)이 농구, 축구, 족구, 풋살 및 테니스 등과 같이 마찰력이 요구되는 스포츠의 코트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100)은 베이스 프레임(110)의 외부에 돌출 형성되어, 타 베이스 프레임과 결합되는 복수의 고리 결합부(130) 및 베이스 프레임(110)의 일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고리 결합부(130)와 체결되어 고리 결합부(130)를 베이스 프레임(110)의 내측에 수용하는 복수의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100)은 하나의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100)의 고리 결합부(130)가 다른 인접한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100)의 결합홈에 삽입되어 체결됨으로써 연장될 수 있다. 즉,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100)은 사각의 베이스 프레임(110)의 측면에 복수의 고리 결합부(130)가 형성되어, 인접하게 이웃하는 타 베이스 프레임의 복수의 결합홈과 결합될 수 있다. 고리 결합부(130)와 결합홈을 반복적으로 결합시키면, 인접한 2개의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100)을 수평 방향으로 확장시킬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만큼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100)을 설치할 수 있다.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100)은 베이스 프레임(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베이스 프레임(110)에 인가되는 압력값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150) 및 복수의 격자무늬 패턴의 내부 공간 각각에 구비되고, 측정된 압력값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복수의 LED(1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 센서(1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10)의 격자무늬 패턴의 내부 공간에 LED(160)와 인접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압력 센서(150) 수 및 배치는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닌, 지면과 인접한 베이스 프레임(110)의 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압력 센서(150)는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100)에 인가되는 압력을 감지하는 것으로, 일 예로,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100)에서 경기를 진행하는 스포츠 선수들이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100)을 밟을 때 발생하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 센서(150)는 피에조 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인가되는 압력을 전력으로 변환하여 LED(160)를 구동하는 전력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100)은 베이스 프레임(110)의 위치 정보를 인식하고 위치 정보를 제어장치(200)로 전달하는 위치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LED(160)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센서는 gps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위치 센서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위치 정보를 인식하여 위치 정보를 제어장치(200)로 송신하면, 제어장치(200)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위치 정보를 특정 집합으로 구분할 수 있고, 복수의 LED(160)는 특정 집합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제어장치(200)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복수의 위치 식별자와 연계하여 LED를 통해 출력되는 이미지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집합은, 학교, 지역, 국가 및 환경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프레임(110)이 학교 안에 속한 농구장에 설치된 경우, 해당 학교의 마크가 출력되도록 복수의 LED(160)가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110)이 서울 내에 있는 농구장에 설치된 경우, 서울을 상징하는 로고 또는 마크가 출력되도록 복수의 LED(160)가 제어되거나, 서울에 속한 농구팀의 로고가 출력되도록 복수의 LED(160)가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110)이 특정 국가에서 설치된 경우, 해당 국가에 대한 국기 또는 국가를 상징하는 로고가 출력되도록 복수의 LED(160)가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110)이 나무, 풀 및 꽃이 많은 공원이 설치된 경우, 나무, 풀 및 꽃 등 환경과 어울리는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복수의 LED(160)가 제어될 수 있다. 상기 특정 집합에 속하는 학교, 지역, 국가 및 환경은 예시일 뿐, 이해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 위치 센서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위치 정보를 인식하여 제어장치(200)로 송신하면, 복수의 LED(160)는 미리 입력된 복수의 이미지 중 수신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200)에는 베이스 프레임(110)이 위치할 수 있는 복수의 위치 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어, 베이스 프레임(110)의 위치 정보를 인식하면, 복수의 위치 정보 중 해당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선택함으로써, 복수의 LED(160)는 해당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200)에는 전국에 있는 농구장의 위치 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농구장 홈 팀의 마크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어, 베이스 프레임(110)이 위치하는 농구장의 위치 정보를 인식하면, 복수의 LED(160)는 해당 농구장 홈 팀의 마크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제어장치(200)에 대해서는 아래에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100)에 구비된 복수의 LED(160)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복수의 격자무늬 패턴의 내부 공간에 각각 구비될 수 있고, 압력 센서(150)로부터 측정된 압력값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다.
일 예로,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100)은 미리 설정된 압력값을 초과하는 압력값이 인식된 베이스 프레임(110)에 구비되는 LED가 점등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압력값이란, 베이스 프레임(110)에 구비된 압력 센서(150)가 인식한 압력값을 실시간으로 제어장치(200)로 전송하고, 제어장치(200)에서 소등된 LED를 점등되도록 구동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압력값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압력값이 30kg일 경우,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100)에 30kg 이상의 무게가 인가되면 해당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100)에 구비된 복수의 LED(160)는 점등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압력값에 따른 LED(160)의 제어는 제어장치(200)에서 할 수 있으며, 제어장치(200)는 아래에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다른 예로, 압력 센서(150)가 베이스 프레임(110)의 격자무늬 패턴의 내부 공간 각각에 LED(160)와 인접하도록 구비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압력값을 초과하는 압력값이 인식된 압력센서(150)와 인접하게 구비된 LED(160)가 점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압력값이 30kg일 경우,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100)에 30kg 이상의 무게가 인가되면 해당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100)에 구비된 복수의 LED(160) 중 30kg 이상의 압력값이 인식된 압력센서(150)와 인접하는 특정 LED(160)만 점등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100)에 있어서, 베이스 프레임(110)이 복수 개가 구비될 경우, 미리 설정된 압력값을 초과하는 압력값이 인식되는 베이스 프레임(110)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베이스 프레임(110)에 구비되는 복수의 LED(160)가 점등될 수 있다.
도 3(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에 미리 설정된 압력값을 초과하는 압력값이 인식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에 구비된 복수의 LED가 점등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100)은 전술한 복수의 고리 결합부(130) 및 복수의 결합홈을 반복 결합 시킴으로써 수평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고, 하나의 경기장 내에는 복수의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100)이 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100)에는 식별코드가 부여되어 있고, 각각의 식별 코드 및 각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제어장치(200)에 저장되어 있어, 미리 설정된 압력값을 초과하는 압력값이 인식되는 베이스 프레임(110)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복수의 베이스 프레임(110)에 구비되는 복수의 LED(160)가 점등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 프레임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출력되는 것이라 함은 각 베이스 프레임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결정되어 있으며 해당 이미지를 농구코트 전체를 활용하여 LED를 통해 출력하는 것 또는 해당 베이스 프레임에 포함된 LED만 점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10)에 구비된 압력 센서(150)가 미리 설정된 압력값을 초과하는 압력값을 인식한 경우, 제1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10)에 대응하는 이미지인 A 팀의 전력분석에 대한 이미지를 복수의 베이스 프레임(110)에 구비된 복수의 LED(160)가 점등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20)에 구비된 압력 센서(150)가 미리 설정된 압력값을 초과하는 압력값을 인식한 경우 제2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20)에 대응하는 이미지인 B 광고 이미지를 복수의 베이스 프레임(110)에 구비된 복수의 LED(160)가 점등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100)의 식별코드에 따라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100) 각각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저장하고, 미리 설정된 압력값을 초과하는 압력값이 인식되는 베이스 프레임(110)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복수의 LED(160)를 제어하는 제어장치(200) 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100)은 그 하면 또는 상면을 커버하는 기타 소재(우레탄 등)에 의하여 코팅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100)의 각 격자무늬 패턴은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100)의 표면으로 유입되는 수분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홀(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을 제어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 제어장치(200)는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100)에 구비된 압력 센서(150) 및 위치 센서로부터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복수의 LED(160)를 제어할 수 있는 서버 형태의 장치일 수 있다.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100)에 구비된 압력 센서(150), 복수의 LED(160) 및 위치 센서는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100)을 제어하는 제어장치(200)와 네트워크(1)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또는,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100)은 압력 센서(150), 복수의 LED(160) 및 위치 센서의 구동 신호 또는 측정 신호를 제어장치(200)와 네트워크(1)를 통해 송수신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는 단말 및 서버와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무선의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 제어장치(200)는 베이스 프레임(110)에 인가되는 압력값을 수신하는 수신부(210), 압력값에 기초하여 베이스 프레임에 구비되는 복수의 LED(160)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구동 신호 생성부(220) 및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LED(160)를 제어하는 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고, 더불어 베이스 프레임(110)이 위치할 수 있는 복수의 위치 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저장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는 이미지 선택부(미도시), 미리 설정된 압력값과 수신부(210)에서 수신한 압력값을 비교하는 비교부(미도시), 복수의 베이스 프레임(110)이 설치된 경우, 복수의 베이스 프레임(110) 각각에 식별코드를 부여하는 코드 생성부(미도시) 및 베이스 프레임(110)의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저장된 저장부(미도시) 등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100)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210)는 베이스 프레임(110)에 인가되는 압력값을 압력 센서(150)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위치 센서로부터 베이스 프레임(11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부(210)가 베이스 프레임(110)에 구비된 위치 센서로부터 베이스 프레임(11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 경우, 구동 신호 생성부(220)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LED(160)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 제어장치(200)의 수신부(210)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베이스 프레임(110)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이미지 선택부(미도시)에서 선택함으로써, 구동 신호 생성부(220)는 해당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복수의 LED(160)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미지 선택부(미도시)는 베이스 프레임(110)이 위치할 수 있는 복수의 위치 정보 각각에 대응하도록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고, 복수의 위치 정보를 특정 집합으로 구분하여, 특정 집합 각각에 대응하도록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는, 마크, 로고, 글자, 캐릭터를 포함한 객체 이미지일 수 있고, 자연 이미지(나무, 꽃 및 구름 등) 및 사람 이미지 등 그림에 해당하는 모든 형상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 제어 장치(200)의 수신부(210)는 베이스 프레임(110)에 인가되는 압력값을 압력 센서(150)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미리 설정된 압력값을 초과하는 압력값이 수신된 경우, 구동 신호 생성부(220)는 압력값이 인식된 베이스 프레임에 구비되는 복수의 LED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10)이 복수 개가 구비된 경우, 코드 생성부(미도시)는 복수의 베이스 프레임(110) 각각에 식별코드를 부여할 수 있고, 각각의 식별 코드는 미리 설정된 압력값을 포함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압력값이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소등되어있는 LED를 점등되도록 구동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압력값을 의미할 수 있다. 수신부(210)는 복수의 베이스 프레임(110) 각각에 인가되는 압력값을 수신할 수 있으며, 베이스 프레임(110)에 구비된 압력 센서(150)로부터 미리 설정된 압력값을 초과하는 압력값이 수신된 경우, 해당 베이스 프레임(110)에 구비되는 복수의 LED가 점등되도록 구동 신호 생성부(220)는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어장치(200)에 구비되는 비교부(미도시)를 통해, 복수의 베이스 프레임(110) 각각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압력값과, 수신부(210)에서 수신한 복수의 베이스 프레임(110) 각각에 인가된 압력값을 비교할 수 있으며, 비교부(미도시)는 복수의 베이스 프레임(110) 각각에 부여되는 식별코드를 통해 미리 설정된 압력값과 수신된 압력값을 비교할 수 있다.
만약, 전술한 바와 같이, 압력 센서(150)가 베이스 프레임(110)의 격자무늬 패턴의 내부 공간 각각에 LED(160)와 인접하도록 구비된 경우, 코드 생성부(미도시)는 압력 센서(150) 각각에 식별 코드를 부여할 수 있고, 각각의 식별 코드는 미리 설정된 압력값과 연계하여 설정 및 저장될 수 있다. 구동 신호 생성부(220)는 미리 설정된 압력값을 초과하는 압력값이 인식된 압력센서(150)와 인접하게 구비된 LED(160)가 점등되도록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비교부(미도시)는 복수의 압력 센서(150) 각각에 부여된 식별 코드를 통해 복수의 압력 센서(150) 각각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압력값과, 수신부(210)에서 수신한 복수의 압력 센서(150) 각각에 인가된 압력값을 비교할 수 있으며, 구동 신호 생성부(220)는 미리 설정된 압력값을 초과하는 압력값이 인식된 압력 센서(150)와 인접하게 구비된 LED(160)가 점등되도록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제어부(230)는 상기 구동 신호에 따라 해당 LED(160)가 점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베이스 프레임(110)이 복수 개가 구비된 경우, 구동 신호 생성부(220)는 미리 설정된 압력값을 초과하는 압력값이 인식되는 베이스 프레임(110)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에 구비되는 복수의 LED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복수의 베이스 프레임(110)이 설치된 경우, 코드 생성부(미도시)는 복수의 베이스 프레임(110) 각각에 미리 설정된 압력값과 연계된 식별 코드를 부여할 수 있고, 저장부(미도시)는 복수의 베이스 프레임(110)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미도시)는 복수의 베이스 프레임(110) 각각에 부여된 식별코드를 통해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수신부(210)는 복수의 베이스 프레임(110) 각각에 인가되는 압력값을 수신할 수 있고, 베이스 프레임(110)에 구비된 압력 센서(150)로부터 미리 설정된 압력값을 초과하는 압력값이 수신된 경우, 구동 신호 생성부(220)는 초과하는 압력값이 수신된 베이스 프레임(110)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복수의 베이스 프레임(110)에 구비된 복수의 LED(160)로부터 출력되도록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베이스 프레임(110)이 설치된 경우, 복수의 베이스 프레임(110) 중 제1베이스 프레임(10)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나무 형상의 이미지이고, 제1베이스 프레임(10)의 미리 설정된 압력값이 30kg일 경우, 제1베이스 프레임(1)에 30kg 이상의 압력이 인가되었을 때 제1베이스 프레임(10)에 대응하는 이미지인 나무 형상의 이미지가 복수의 베이스 프레임(110)에 구비된 복수의 LED(160)로부터 출력되도록 구동 신호 생성부(220)가 구동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베이스 프레임(110)이 설치된 경우, 코드 생성부(미도시)는 제1베이스 프레임(10)에 미리 설정된 압력값(30kg)을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부여할 수 있고, 저장부(미도시)는 제1베이스 프레임(10)의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나무 형상의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어, 수신부(210)로부터 수신된 제1베이스 프레임(10)에 인가된 압력이 30kg 이상일 경우, 구동 신호 생성부(220)는 제1베이스 프레임(10)에 대응하는 이미지인 나무 형상의 이미지가 제1베이스 프레임(10)이 포함된 복수의 베이스 프레임(110)에 구비된 복수의 LED(160)로부터 출력되도록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제어부(230)는 상기 구동 신호에 따라 복수의 LED(160)를 제어할 수 있다.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 제어장치(200)는 복수의 경기장 정보 및 경기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240), 베이스 프레임(110)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경기장 정보 및 경기 정보를 선택하는 정보 선택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구동 신호 생성부(220)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경기장 정보 및 경기 정보와 연계된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복수의 LED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수집부(240)는 복수의 경기장 정보 및 경기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집부(240)는 경기장 정보 및 경기 정보를 각 경기장에 대한 경기장 위치 정보, 경기장 이벤트 정보, 경기장 주변 날씨 정보 및 경기 규칙 정보를 포함하는 경기장 정보를 미리 수집하여 DB로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고, 각 경기장을 홈구장으로 하는 구단의 경기 정보를 수집하여 DB로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수집부(110)는 경기장 정보 및 경기 정보 각각과 연계하여 각 경기장 정보 및 경기 정보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는, 복수의 LED(160)의 조합에 의해 출력 가능하며, 후술하는 사용자 단말(300)이 인식할 수 있는 큐알코드, 도형, 글자, 이미지 및 캐릭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경기장 정보 및 경기 정보에 해당하는 이미지는 복수 개 일 수 있으며, 일 예로 경기장 정보에 해당하는 이미지 및 경기 정보에 해당하는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경기장 정보는, 경기장 위치 정보, 경기장 이벤트 정보, 경기장 주변 날씨 정보 및 경기 규칙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경기장 주차장 정보, 경기장 좌석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경기 정보는 경기 기록 정보, 실시간 경기 기록 정보 및 팀 별 경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팀 별 경기 정보는, 경기를 진행하고 있는 팀 별 정보일 수 있으며, 농구 경기를 예로 들면, 농구 경기는 일반적으로 2개의 팀이 겨루는 경기이므로, 팀 별 경기 정보는 2개의 팀 각각에 해당되는 팀 별 경기 정보일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이미지의 경우, 경기장 정보에 해당하는 이미지 및 경기 정보에 해당하는 이미지가 각각 수집부(240)에 저장될 경우, 경기 정보에 해당하는 이미지는 팀 각각에 대한 이미지가 저장될 수 있다. 일 예로, 'A'팀 및 'B'팀이 존재할 경우, 'A' 팀 경기 정보와 연계되는 이미지 및 'B'팀 경기 정보와 연계되는 이미지의 정보가 수집부(240)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각 이미지의 정보는 LED(160)를 통해 출력되기 위해 필요한 픽셀 정보, LED 위치 정보, 각 LED 색상 배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선택부(250)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경기장 정보 및 경기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정보 선택부(250)는 수신부(210)에서 수신한 베이스 프레임(110)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경기장 정보 및 경기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경기장 정보에는 경기장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베이스 프레임(110)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경기장 정보 및 경기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구동 신호 생성부(220)는 경기장 정보 및 경기 정보와 연계된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복수의 LED(160)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프레임(110)이 'A' 경기장에 설치되어있는 경우, 정보 선택부(250)는 'A' 경기장에 대응하는 'A'경기장 정보 및 경기 정보를 선택할 수 있고, 구동 신호 생성부(220)는 'A' 경기장 정보 및 경기 정보와 연계된 큐알 코드 또는 도형 등이 출력되도록 복수의 LED(160)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 제어장치(200)는 복수의 LED(160)에 의해 형성되어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촬영된 이미지를 수신하고, 이미지에 대응하는 경기장 정보 및 경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촬영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구동 신호 생성부(220)에 의해 복수의 LED(160)에는 경기장 정보 및 경기 정보와 연계된 특정 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고, 정보 제공부(26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촬영된 이미지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경기장 정보 및 경기 정보 중 하나를 상기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300)은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 제어장치(200)로부터 제공받은 경기장 정보 및 경기 정보와, 경기장을 실시간 촬영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미도시)에 의해 획득된 실시간 촬영 영상을 제공 받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바이스로서, 휴대용 단말,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스마트 TV, 태블릿 PC등과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같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화면상에 결과값을 디스플레이 하는 모든 종류의 무선 통신 장치 및 유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300)은 AR/VR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구동 신호 생성부(220)에 의해 복수의 LED(160)에 출력된 이미지가 경기장 정보와 연계된 이미지인 경우, 정보 제공부(26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촬영된 상기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경기장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경기장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경기장 위치 정보, 경기장 이벤트 정도, 경기장 주변 날씨 정보, 경기 규칙 정보, 경기장 주차장 정보 및 경기장 좌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구동 신호 생성부(220)에 의해 복수의 LED(160)에 출력된 이미지가 경기 정보와 연계된 이미지인 경우, 정보 제공부(26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촬영된 상기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경기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경기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경기 기록 정보, 실시간 경기 기록 정보 및 팀 별 경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팀별 경기 정보는 이미지에 따라 제공되는 팀별 경기 정보가 상이할 수 있다. 일 예로, 'A'팀 경기 정보와 연계되는 이미지가 구동 신호 생성부(220)에 의해 복수의 LED(160)에 출력된 경우, 정보 제공부(26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촬영된 상기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A'팀 경기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다.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 제어장치(200)는 복수의 경기장 정보에 해당하는 파노라마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270), 파노라마 영상을 기반으로 이미지에 대응하는 경기장 정보 및 경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3차원 가상 이미지를 합성한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생성부(280) 및 합성 영상을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하는 전송부(2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수신부(270)는 복수의 경기장 정보에 해당되는 파노라마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영상 수신부(270)는 수집부(240)가 수집한 복수의 경기장 정보의 각각에 해당하여 연계될 수 있는 파노라마 영상을 수신할 수 있으며, 해당 파노라마 영상은 경기장에서 진행되고 있는 경기를 실시간으로 촬영하기 위해 구비된 카메라(미도시)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여기서, 파노라마 영상은, 360도 전경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영상을 의미하며, 경기장에 구비된 파노라마 카메라를 이용하여 현실 공간에서의 한 지점에서 360도 각 방향의 영상을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을 압축시켜 파노라마 영상이 제작될 수 있다. 영상 수신부(270)는 복수의 경기장 정보에 해당되는 파노라마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영상 생성부(280)는 파노라마 영상을 기반으로 경기장 정보 및 경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3차원 가상 이미지를 합성할 수 있다. 영상 생성부(28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촬영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경기장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경기장 정보에 해당하는 파노라마 영상을 선택하고, 선택된 파노라마 영상을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촬영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경기장 정보 및 경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3차원 가상 이미지를 합성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촬영된 이미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립형 스포츠 코트 모듈(100)에 구비된 복수의 LED(160)로부터 출력된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경기장 설치된 조립형 스포츠 코트 모듈(100)에 구비된 복수의 LED(160)로부터 'B' 팀 경기 정보와 연계된 이미지가 출력된 경우,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촬영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영상 수신부(270)는 'A' 경기장의 파노라마 영상을 수신할 수 있고, 영상 생성부(280)는 'A' 경기장의 파노라마 영상에 'B' 팀 경기 정보에 대한 3차원 가상 이미지가 합성된 합성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합성 영상은 사용자 단말(300)에 증강현실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도 6의 경우, 경기장에 설치된 복수의 LED(160)로부터 출력된 이미지를 촬영한 사용자 단말(300)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 제어장치(200)에서는 평면적인 이미지가 아닌, 파노라마 영상을 포함하는 3차원의 가상 이미지를 제공하여 사용자 단말(300)에 증강현실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을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 제어 시스템은, 사각 형상의 베이스 프레임(110) 내부에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에 인가되는 압력값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 및 상기 압력값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복수의 LED(160)를 구비하는 조립식 스포츠 모듈(100)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에 인가되는 압력값을 수신하여, 상기 압력값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LED(160)를 제어하는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 제어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경기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100)에 구비된 복수의 LED(160)로부터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부 및 상기 이미지를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 제어 장치(200)로 전송하고, 상기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 제어 장치(200)로부터 생성된 합성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는,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100)에 구비된 복수의 LED(160)로부터 출력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촬영부는 상기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300)의 일부에 구비된 카메라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 제어장치(200)로부터 생성된 파노라마 영상 및 경기 정보에 대한 3차원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 제어장치(200)를 제어하는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전술한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 제어장치(200)를 구현하는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
110: 베이스 프레임
120a: 수평 프레임
120b: 수직 프레임
130: 고리 결합부
150: 압력 센서
160: LED
200: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 제어장치
300: 사용자 단말

Claims (15)

  1.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에 있어서,
    사각 형상의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 및 수직하게 교차 배열되어 복수의 격자무늬 패턴을 형성하는 복수의 수평 프레임 및 수직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외부에 돌출 형성되어 타 베이스 프레임과 결합되는 복수의 고리 결합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고리 결합부와 체결되어 상기 고리 결합부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에 수용하는 복수의 결합홈;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인가되는 압력값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 및
    상기 복수의 격자무늬 패턴의 내부 공간 각각에 구비되고, 상기 측정된 압력값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복수의 LED,
    를 포함하는,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위치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위치 정보를 제어장치로 전달하는 위치 센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LED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것인,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압력값을 초과하는 압력값이 인식된 베이스 프레임에 구비되는 LED가 점등되는 것인,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이 복수 개가 구비될 경우,
    미리 설정된 압력값을 초과하는 압력값이 인식되는 베이스 프레임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구비되는 복수의 LED가 점등되는 것인, 조립식 스포츠 코드 모듈.
  5.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프레임에 인가되는 압력값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압력값에 기초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구비되는 복수의 LED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구동 신호 생성부; 및
    상기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LED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 제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구동 신호 생성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LED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것인,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 제어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압력값을 초과하는 압력값이 수신된 경우,
    상기 구동 신호 생성부는 상기 압력값이 인식된 베이스 프레임에 구비되는 복수의 LED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것인,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 제어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이 복수 개가 구비될 경우,
    상기 구동 신호 생성부는 미리 설정된 압력값을 초과하는 압력값이 인식되는 베이스 프레임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구비되는 복수의 LED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것인,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 제어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복수의 경기장 정보 및 경기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경기장 정보 및 경기 정보를 선택하는 정보 선택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신호 생성부는, 상기 경기장 정보 및 경기 정보와 연계된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상기 복수의 LED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것인,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 제어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촬영된 상기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경기장 정보 및 경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 제어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경기장 정보에 해당하는 파노라마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
    상기 파노라마 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경기장 정보 및 경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3차원 가상 이미지를 합성한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생성부; 및
    상기 합성 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 제어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경기장 정보는,
    경기장 날씨 정보, 경기장 이벤트 정보 및 경기장 주변 날씨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경기 정보는,
    경기 기록 정보 및 팀별 경기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팀별 경기 정보는 상기 이미지에 따라 제공되는 상기 팀별 경기 정보가 상이한 것인,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 제어장치.
  13.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영상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증강현실로 디스플레이 되는 것인,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 제어장치.
  14.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을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사각 형상의 베이스 프레임 내부에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인가되는 압력값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 및 상기 압력값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복수의 LED를 구비하는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인가되는 압력값을 수신하여, 상기 압력값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LED를 제어하는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 제어 장치,
    를 포함하는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 제어 시스템.
  15. 스포츠 경기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에 구비된 복수의 LED로부터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부; 및
    상기 이미지를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 제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 제어 장치로부터 생성된 합성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KR1020180154811A 2018-12-04 2018-12-04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의 제어 장치와 시스템 및 스포츠 경기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KR102229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811A KR102229672B1 (ko) 2018-12-04 2018-12-04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의 제어 장치와 시스템 및 스포츠 경기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811A KR102229672B1 (ko) 2018-12-04 2018-12-04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의 제어 장치와 시스템 및 스포츠 경기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7693A true KR20200067693A (ko) 2020-06-12
KR102229672B1 KR102229672B1 (ko) 2021-03-17

Family

ID=71088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4811A KR102229672B1 (ko) 2018-12-04 2018-12-04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의 제어 장치와 시스템 및 스포츠 경기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967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6418A (ko) * 2010-11-02 2012-05-1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증강현실을 이용한 경기 데이터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89809B1 (ko) * 2016-04-27 2016-12-27 주식회사 에이컴퍼니 스포츠 코트용 조립식 바닥재
KR20170078322A (ko) * 2015-12-29 2017-07-07 이현승 실시간 교통정보 안내 시스템
KR101919346B1 (ko) * 2017-11-04 2018-11-19 주식회사 스포츠패나틱 트레이닝 블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6418A (ko) * 2010-11-02 2012-05-1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증강현실을 이용한 경기 데이터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78322A (ko) * 2015-12-29 2017-07-07 이현승 실시간 교통정보 안내 시스템
KR101689809B1 (ko) * 2016-04-27 2016-12-27 주식회사 에이컴퍼니 스포츠 코트용 조립식 바닥재
KR101919346B1 (ko) * 2017-11-04 2018-11-19 주식회사 스포츠패나틱 트레이닝 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9672B1 (ko) 2021-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ohn et al. Stadia: The populous design and development guide
Higham Sport tourism as an attraction for managing seasonality
US20050207617A1 (en) Digital representation of a live event
US20150189243A1 (en) Automated video production system
TWI302667B (ko)
US20090128577A1 (en) Updating backround texture for virtual viewpoint animations
CN110352084B (zh) 多媒体体育场足球球门柱和球门网显示器
JP2018518081A (ja) スポーツバーチャルリアリティシステム
US20070053201A1 (en) Field display system
US20130016099A1 (en) Digital Rendering Method for Environmental Simulation
WO2015155725A1 (en) Method of sharing action highlights and a sports complex for providing shareable action
CN112581670A (zh) 文体活动多用途智能场廊产品、方法及系统
Sturm From idyllic past-time to spectacle of accelerated intensity: Televisual technologies in contemporary cricket
KR102229672B1 (ko)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 조립식 스포츠 코트 모듈의 제어 장치와 시스템 및 스포츠 경기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KR101686859B1 (ko) 스포츠 중계 시스템 및 그 중계 방법
KR20070010895A (ko) 스포츠 경기 데이터를 그래픽 영상으로 구현하는 방법 및이동 통신 단말기
KR20210158362A (ko) 운동 경기장의 가상 공간에 실시간으로 들어가 경기를 관람할 수 있는 가상 운동 경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Atkinson Sport and sustainability
KR102194397B1 (ko) 농구 경기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240177407A1 (en) Massively pre-rendered virtual billboard system for high speed, high quality digital advertising insertion in live media broadcasts
Valle et al. Sport in the City
Singh et al. High altitude sports and entertainment: Select case studies
US20230047129A1 (en) Freestanding Structural Display Apparatus for Sport Goalpost
ZHANG et al. Temporary design and the Olympics: a research by design proposal for Paris 2024 Summer Olympic Games
Kellett Major case study: Tennis Australia—what to do with a heritage collection of great signific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