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5569B1 - 스포츠 매트 조립체 - Google Patents

스포츠 매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5569B1
KR102515569B1 KR1020220087664A KR20220087664A KR102515569B1 KR 102515569 B1 KR102515569 B1 KR 102515569B1 KR 1020220087664 A KR1020220087664 A KR 1020220087664A KR 20220087664 A KR20220087664 A KR 20220087664A KR 102515569 B1 KR102515569 B1 KR 102515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unit
mat assembly
le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7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록
Original Assignee
오세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록 filed Critical 오세록
Priority to KR1020220087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55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5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2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of plastics, e.g. concrete with plastics, linoleu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Mats or the like for absorbing shocks for jumping, gymnastic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6Pavings made in situ, e.g. for sand grounds, clay courts E01C13/003
    • E01C13/065Pavings made in situ, e.g. for sand grounds, clay courts E01C13/003 at least one in situ layer consisting of or including bitumen, rubber or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p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매트 조립체는, 지면에 커버되어 쿠션감을 제공하는 스포츠 매트 조립체에 있어서, 관통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매트형성부 및 상기 매트형성부의 테두리를 에워싸는 사각의 틀을 제공하는 프레임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바닥유닛 및 이웃한 바닥유닛의 하부면을 매개하되, 지면과 바닥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며, 하나의 연결유닛은, 복수개의 바닥유닛을 매개하며, 복수의 연결유닛의 배열방향에 따라 스포츠 매트 조립체의 크기 및 형상이 결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포츠 매트 조립체{Sports mat assembly}
본 발명은 스포츠 매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지면에 커버되어 쿠션감을 제공하는 스포츠 매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여가 활동 시간의 증가와 함께 야외 스포츠 활동을 위한 바닥재로 여러 가지 다양한 바닥재들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 개발되어 오던 바닥재들로는 천연 목재나 합성 목재 등의 나무 소재의 바닥재로부터 플라스틱 계열의 재질로 형성된 바닥재 등 여러 가지 재질의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재료들 중 천연 목재 또는 합성 목재의 경우 시각적으로 안락함을 제공하고, 어느 정도의 탄성력을 가지고 있어 스포츠용 경기장의 바닥재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부분이 있기는 하나, 재료 자체의 가격이 높다는 점과, 유지 보수에 많은 비용과 노력이 소요된다는 점에서 대중적으로 활용되기에는 어려운 점이 많았다.
특히, 야외에 노출되어 있는 상태로 사용될 경우, 우천 등으로 인한 습기 유입에 따른 변형 등의 문제가 있으며, 사용자들의 부주의한 사용에 의한 손상 발생이 쉽다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0143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지면에 커버된 채, 쿠션감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활동 중에 바닥으로 받을 수 있는 충격력을 완화시키도록 하여 충격 부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충격 피로감이 인체 내에 누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포츠 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매트 조립체는, 지면에 커버되어 쿠션감을 제공하는 스포츠 매트 조립체에 있어서, 관통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매트형성부 및 상기 매트형성부의 테두리를 에워싸는 사각의 틀을 제공하는 프레임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바닥유닛 및 이웃한 바닥유닛의 하부면을 매개하되, 지면과 바닥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며, 하나의 연결유닛은, 복수개의 바닥유닛을 매개하며, 복수의 연결유닛의 배열방향에 따라 스포츠 매트 조립체의 크기 및 형상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매트 조립체의 상기 매트형성부는, 복수의 지지유닛이 상호 연결되어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지지유닛을 구성하는 각각의 지지유닛은, 복수의 통공을 형성하는 지지본체부 및 상기 지지본체부에 연결된 채,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본체부와 지면이 일정공간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하는 지지부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복수의 지지유닛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사각틀부 및 상기 사각틀부의 모서리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유닛과 연결되는 연결대응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매트 조립체의 상기 지지본체부는, 사각틀을 형성하는 사각테두리부 및 상기 사각테두리부의 내측 모서리에 연결되는 십자형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는, 아치형 레그를 형성한 채, 상기 사각테두리부의 하부측에 연결되는 제1 아치부 및 아치형 레그를 형성한 채, 상기 사각테두리부의 하부측에 연결되되, 상기 제1 아치부와 교차되어 연결되는 제2 아치부를 구비하며, 상기 십자형성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면은, 별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매트 조립체의 상기 연결대응부는, 상기 사각틀부의 2개의 가로 모서리와, 2개의 세로 모서리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매트 조립체의 상기 연결유닛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 채, 지면에 안착되는 연결바닥부, 상기 연결바닥부의 폭방향 중앙으로부터 기립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결바닥부의 상면을 구획하는 기립완충부, 상기 기립완충부에 의해 구획된 상기 연결바닥부의 제1 상면에 형성되며, 이웃하여 배치된 바닥유닛의 연결대응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기립완충부에 의해 구획된 상기 연결바닥부의 제2 상면에 형성되며, 이웃하여 배치된 바닥유닛의 연결대응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매트 조립체의 상기 지지본체부는,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미끄럼 방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는, 아치형 레그의 밑단 하부에 형성되되, 아치형 레그의 밑단 하부의 횡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지면과의 접촉 면적을 넓히는 접촉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매트 조립체의 상기 제1 아치부는, 상기 십자형성부를 가로지른 채, 상기 사각테두리부에 연결되는 제1 상단연결부, 상기 제1 상단연결부의 일측으로부터 하부측으로 연장된 제1-1 레그부 및 상기 제1 상단연결부의 타측으로부터 하부측으로 연장된 제1-2 레그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1 레그부와 상기 제1-2 레그부는, 상호 연결되되, 하부측이 상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아치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아치부는, 상기 십자형성부를 가로지른 채, 상기 사각테두리부에 연결되는 제2 상단연결부, 상기 제2 상단연결부의 일측으로부터 하부측으로 연장된 제2-1 레그부 및 상기 제2 상단연결부의 타측으로부터 하부측으로 연장된 제2-2 레그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1 레그부와 상기 제2-2 레그부는, 상호 연결되되, 하부측이 상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아치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매트 조립체의 상기 제1 아치부와 상기 제2 아치부는, 중앙 부위가 상호 중첩되도록 연결되어 십자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부는, 이웃하게 배치된 상기 제1 아치부와 상기 제2 아치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호 연결구조를 보강하는 지지보강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매트 조립체의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1 레그부, 상기 제1-2 레그부, 상기 제2-1 레그부 및 상기 제2-2 레그부의 하측단에 각각 연결되어, 상부측으로 인가된 하중을 지면에 전달하는 접촉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접촉부는, 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인가된 하중을 완충하며, 각 레그부의 하측단을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매트 조립체의 상기 연결대응부는, 상기 십자형성부와 상기 지지부에 의해 형성된 삼각 형태의 수직 관통공과 대응되는 형상의 대응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매트 조립체의 상기 연결대응부는, 상기 매트형성부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하부측이 상기 매트형성부와 단차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연결부 또는 상기 제2 연결부에 안착된 경우, 상기 제1 연결부 또는 상기 제2 연결부에 의해 상기 단차가 메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매트 조립체의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복수의 바닥유닛과의 연결형태에 따라, 2개, 3개 또는 4개의 바닥유닛을 매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매트 조립체는, 상기 제1 상면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되, 상기 연결유닛의 상기 제1 연결부 또는 상기 제2 연결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마감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마감유닛은, 상기 연결유닛 중, 바닥유닛과 연결되지 않아 외부로 노출된 제1 연결부 또는 제2 연결부에 안착되어 상기 제1 상면 또는 제2 상면을 커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매트 조립체의 상기 마감유닛은,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높이가 낮아지는 상면을 형성하며, 상기 마감유닛의 일측은, 이웃한 바닥유닛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마감유닛의 타측은, 하부측의 연결유닛의 끝단과 맞닿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매트 조립체의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기립완충부를 매개한 채, 상기 연결바닥부에 연결되는 연결보강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연결보강부는, 상기 제1 연결부의 기립 상태가 유지되도록 보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매트 조립체의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제1 연결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된 채, 상기 연결바닥부에 연결되는 기립보강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기립보강부는, 상기 제1 연결부의 기립 상태가 유지되도록 보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연결유닛에 복수의 바닥유닛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체 바닥 조립체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바닥유닛은, 연결유닛을 통해 상호 연결되므로, 어느 한 바닥유닛의 조립체로부터의 이탈은 연결유닛으로부터의 이탈에 따라 구현될 수 있으며, 이는 특정 바닥유닛의 보수 또는 교체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연결유닛은 바닥유닛을 매개하는 동시에 인접한 바닥유닛간의 예상치 못한 수평 방향으로의 외력에 의한 충격 또는 바닥유닛 재질 특성에 기인한 열팽창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여, 여러 방향의 충격 하중 및 비틀림 하중을 지지 보강할 수 있도록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바닥유닛을 구성하는 복수의 지지유닛은, 아치형 다리를 형성하여 인가된 하중을 완충하여, 사용자가 활동 중에 바닥으로 받을 수 있는 충격력을 완화시키도록 하여 사용자가 점프 동작 등에 의해 충격 부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충격 피로감이 인체 내에 누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매트 조립체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매트 조립체의 바닥유닛 및 연결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매트 조립체의 바닥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매트 조립체의 지지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매트 조립체의 연결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매트 조립체의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매트 조립체의 지지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매트 조립체의 바닥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매트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서, 도 1의 A 영역을 도시한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매트 조립체의 연결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매트 조립체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매트 조립체의 바닥유닛 및 연결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또한,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매트 조립체의 바닥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매트 조립체(1)는 지면에 커버되어 쿠션감을 제공하는 스포츠 매트 조립체(1)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포츠 매트 조립체(1)는, 복수의 바닥유닛(10)이 연결유닛(20)에 의해 상호 연결된 채, 일정 공간의 바닥을 커버할 수 있다.
바닥에 커버된 스포츠 매트 조립체(1)는, 사용자가 활동 중에 바닥으로 받을 수 있는 충격력을 완화시키도록 하여 사용자가 점프 동작 등에 의해 충격 부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충격 피로감이 인체 내에 누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포츠 매트 조립체(1)는 복수의 바닥유닛(10) 및 복수의 연결유닛(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바닥유닛(10)은, 사용자가 디딘 채, 활동하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연결유닛(20)은, 복수의 바닥유닛(10)을 상호 매개하여 일정 형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복수의 바닥유닛(10)을 구성하는 각각의 바닥유닛(10)은, 관통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매트형성부(11) 및 상기 매트형성부(11)의 테두리를 에워싸는 사각의 틀을 제공하는 프레임부(1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매트형성부(11)는, 복수의 지지유닛(11a)이 상호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매트형성부(11)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은, 배수공을 형성하여 상부측에 물이 스포츠 매트 조립체(1)의 하부측으로 배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면에 물이 체류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활동 중에 물기에 의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지지유닛(11a)을 구성하는 각각의 지지유닛(11a)은, 복수의 통공을 형성하는 지지본체부(111) 및 상기 지지본체부(111)에 연결된 채,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본체부(111)와 지면이 일정공간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하는 지지부(11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13)는, 사각틀부(131) 및 연결대응부(13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사각틀부(131)는, 상기 복수의 지지유닛(11a)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연결대응부(133)는, 상기 사각틀부(131)의 모서리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유닛(2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대응부(133)는, 상기 사각틀부(131)의 양측단에 연결되거나, 상기 사각틀부(131)의 4개의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각틀부(131)의 2개의 가로 모서리와, 2개의 세로 모서리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대응부(133)는, 상기 십자형성부(111b)와 상기 지지부(113)에 의해 형성된 삼각 형태의 수직 관통공(H1)과 대응되는 형상의 대응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대응부(133)는, 저면으로부터 함입되어 이하 연결유닛(20)의 연결부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연결 관통공(H2)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유닛(20)은, 연결부의 연결 관통공(H2)으로의 삽입과 삽입 해제 여부에 따라 바닥유닛(10)과의 착탈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닛(20)은, 이웃한 바닥유닛(10)의 하부면을 매개하되, 지면과 바닥유닛(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유닛(20)의 상면과 연결대응부(133)의 저면이 상호 밀착된 채, 연결되어 연결유닛(20)과 바닥유닛(10)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하나의 연결유닛(20)은, 복수개의 바닥유닛(10)을 매개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연결유닛(20)의 배열방향에 따라 스포츠 매트 조립체(1)의 크기 및 형상이 결정될 수 있다. 연결유닛(20)과 바닥유닛(10)의 연결구조에 관한 내용은 이하 도 8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기 로 한다.
상기 연결대응부(133)는, 상기 매트형성부(11)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하부측이 상기 매트형성부(11)와 단차(D)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차(D)는 상기 연결유닛(20)과의 연결에 따라 메워지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단차(D)는 상기 연결유닛(20)과의 연결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여, 바닥유닛(10) 하부면에 위치한 연결유닛(20)에 의해 바닥유닛(10)이 굴곡되거나 상부측으로 돌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매트 조립체의 지지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매트 조립체(1)의 지지본체부(111)는, 사각틀을 형성하는 사각테두리부(111a) 및 상기 사각테두리부(111a)의 내측 모서리에 연결되는 십자형성부(111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십자형성부(111b)는, 상기 사각테두리부(111a)에 의해 형성된 하나의 사각홀을 4개로 분할된 4개의 사각홀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부(113)는, 제1 아치부(113a) 및 제2 아치부(113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아치부(113a)와 상기 제2 아치부(113b)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사각테두리부(111a)와의 연결 위치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1 아치부(113a)는, 아치형 레그를 형성한 채, 상기 사각테두리부(111a)의 하부측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아치부(113a)는 제1 상단연결부(1131), 제1-1 레그부(1133) 및 제1-2 레그부(113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단연결부(1131)는, 상기 십자형성부(111b)를 가로지른 채, 상기 사각테두리부(111a)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단연결부(1131)는, 상기 사각테두리부(111a)의 대각방향으로 배치된 두 꼭지점을 연결하며, 상기 십자형성부(111b)의 교차점을 가로질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1 레그부(1133)는, 상기 제1 상단연결부(1131)의 일측으로부터 하부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2 레그부(1135)는, 상기 제1 상단연결부(1131)의 타측으로부터 하부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1 레그부(1133)와 상기 제1-2 레그부(1135)는, 상호 연결되되, 하부측이 상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아치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아치부(113b)는, 아치형 레그를 형성한 채, 상기 사각테두리부(111a)의 하부측에 연결되되, 상기 제1 아치부(113a)와 교차되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아치부(113b)는 제2 상단연결부(1136), 제2-1 레그부(1137) 및 제2-2 레그부(1138)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상단연결부(1136)는, 상기 십자형성부(111b)를 가로지른 채, 상기 사각테두리부(111a)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상단연결부(1136)는, 상기 사각테두리부(111a)의 대각방향으로 배치된 두 꼭지점을 연결하며, 상기 십자형성부(111b)의 교차점을 가로질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십자형성부(111b), 상기 제1 상단연결부(1131), 상기 제2 상단연결부(1136)는 중앙의 교차점을 매개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1 레그부(1137)는, 상기 제2 상단연결부(1136)의 일측으로부터 하부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2 레그부(1138)는, 상기 제2 상단연결부(1136)의 타측으로부터 하부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1 레그부(1137)와 상기 제2-2 레그부(1138)는, 상호 연결되되, 하부측이 상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아치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십자형성부(111b)와 상기 지지부(113)의 상면은, 별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아치부(113a)와 상기 제2 아치부(113b)는, 중앙 부위가 상호 중첩되도록 연결되어 십자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13)는, 이웃하게 배치된 상기 제1 아치부(113a)와 상기 제2 아치부(113b) 사이에 형성되어, 상호 연결구조를 보강하는 지지보강부(11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보강부(114)는, 교차하여 배치된 상기 제1 아치부(113a)와 상기 제2 아치부(113b)의 이웃한 벽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13)는, 상기 제1-1 레그부(1133), 상기 제1-2 레그부(1135), 상기 제2-1 레그부(1137) 및 상기 제2-2 레그부(1138)의 하측단에 각각 연결되어, 상부측으로 인가된 하중을 지면에 전달하는 접촉부(11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115)는, 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인가된 하중을 완충하며, 각 레그부의 하측단을 보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매트 조립체의 연결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매트 조립체의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매트 조립체(1)의 연결유닛(20)은, 연결바닥부(21), 기립완충부(23), 제1 연결부(25) 및 제2 연결부(27)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바닥부(21)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 채, 지면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기립완충부(23)는, 상기 연결바닥부(21)의 폭방향 중앙으로부터 기립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결바닥부(21)의 상면을 구획할 수 있다.
상기 기립완충부(23)는, 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면은 이웃한 바닥유닛(10)의 측면과 밀착되며, 타측면은 또 다른 이웃한 바닥유닛(10)의 측면과 밀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기립완충부(23)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물결 무늬의 벽면을 형성하여 일측과 타측에 배치된 바닥유닛(10) 간의 수평 방향으로의 외력에 의한 위치 이동 또는 변형(바닥유닛 재질 특성에 기인한 열팽창)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양자를 완충할 수 있다. 상기 기립완충부(23)의 탄성 변형은 형상적 특징과 재질적 특징에 기인한 탄성력일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25)는, 상기 기립완충부(23)에 의해 구획된 상기 연결바닥부(21)의 제1 상면에 형성되며, 이웃하여 배치된 바닥유닛(10)의 연결대응부(133)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25)는, 상기 연결바닥부(21)의 제1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연결대응부(133)의 연결 관통공(H2)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25)는, 상기 연결바닥부(21)의 제1 상면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27)는, 상기 기립완충부(23)에 의해 구획된 상기 연결바닥부(21)의 제2 상면에 형성되며, 이웃하여 배치된 바닥유닛(10)의 연결대응부(133)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 연결부(27)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27)는, 상기 연결바닥부(21)의 제2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연결대응부(133)의 연결 관통공(H2)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27)는, 상기 연결바닥부(21)의 제2 상면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대응부(133)는, 상기 제1 연결부(25) 또는 상기 제2 연결부(27)에 안착된 경우, 상기 제1 연결부(25) 또는 상기 제2 연결부(27)에 의해 상기 단차(D)가 메워질 수 있다.
상기 연결유닛(20)은, 상기 복수의 바닥유닛(10)과의 연결형태에 따라, 2개, 3개 또는 4개의 바닥유닛(10)을 매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을 참조하면, 중앙의 연결유닛(201)을 매개로, 4개의 바닥유닛(10a, 10b, 10c, 10d)이 상호 연결된다. 또한, 연결유닛(201)과 이웃하게 배치된 연결유닛(202)도 마찬가지로, 4개의 바닥유닛이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연결유닛(201, 202)과 마찬가지로 다른 연결유닛들 또한 4개의 바닥유닛이 연결될 수 있다.
연결유닛(20)의 길이는 바닥유닛(10)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길이가 일치되도록 상호 연결되는 경우에는, 하나의 연결유닛(20)에 2개의 바닥유닛(10)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연결유닛(20)의 제1 연결부(25)에는 하나의 바닥유닛(10)이 연결되고, 제2 연결부(27)에는 두개의 바닥유닛(10)이 연결되면, 하나의 연결유닛(20)에 3개의 바닥유닛(10)이 연결될 수 도 있다.
사용자는, 연결유닛(20)과 바닥유닛(10) 간의 연결구조를 변경하여, 다양한 형태의 바닥 모양에 따라 본 발명의 스포츠 매트 조립체(1)를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도 8의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2개의 바닥유닛(10a, 10b)을 연결하는 연결유닛(203)은, 상술한 연결유닛(201, 202) 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유닛(203)과 이웃하게 배치된 연결유닛(204)도 마찬가지로, 연결유닛(201, 202) 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유닛(203, 204)은, 별도로 제작될 수도 있으나, 상기 연결유닛(201, 202)을 커팅하여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매트 조립체의 지지유닛(11a)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매트 조립체의 지지유닛(11a')은, 미끄럼 방지돌기(P)와 접촉부(115)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로 설명한 스포츠 매트 조립체(1)와 동일하므로 이하 미끄럼 방지돌기(P)와 접촉부(115')에 관한 설명만을 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유닛(11a')의 지지본체부(111)는,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미끄럼 방지돌기(P)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 방지돌기(P)는, 반구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도면 상에는 별표 형상의 중앙과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지지부(113)는, 아치형 레그의 밑단 하부에 형성되되, 아치형 레그의 밑단 하부의 횡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지면과의 접촉 면적을 넓히는 접촉부(11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115')는, 상술한 접촉부(115)의 변형례로서, 상측으로부터 인가된 하중을 지면으로 전달하는데 효율적이며, 또한 상기 지지부(113)의 지면으로의 안정적인 정착 효과를 야기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매트 조립체의 바닥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매트 조립체(2)의 바닥유닛은, 프레임부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로 설명한 스포츠 매트 조립체(1)와 동일하므로 이하 프레임부에 관한 설명만을 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유닛의 프레임부는, 사각틀부(131')와 연결대응부(133')로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연결대응부(133')는, 매트형성부(11')의 지지유닛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지지유닛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대응부(133')의 저면에는 연결유닛의 연결부가 삽입될 수 있는 홀을 형성하는 홀형성부(133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형성부(133a)는 저면으로부터 함입된 홀이 형성되며, 함입된 홀에는 연결유닛의 연결부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연결대응부(133')는 연결유닛의 연결바닥부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매트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서, 도 1의 A 영역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매트 조립체는, 마감유닛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로 설명한 스포츠 매트 조립체와 동일한 구성 및 효과를 가지므로, 이하 마감유닛에 관한 설명만 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매트 조립체는 마감유닛(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감유닛(30)은, 상기 제1 상면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되, 상기 연결유닛(20)의 상기 제1 연결부(25) 또는 상기 제2 연결부(27)에 착탈 가능하도록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감유닛(30)은, 상기 연결유닛 중, 바닥유닛과 연결되지 않아 외부로 노출된 제1 연결부(25) 또는 제2 연결부(27)에 안착되어 상기 제1 상면 또는 제2 상면을 커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포츠 매트 조립체의 테두리 영역은 바닥유닛과 연결되지 않은 채, 연결유닛의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마감유닛(30)은 바닥유닛과 연결되지 않아 외부로 노출된 연결부(25, 27)에 연결되어 바닥유닛의 부재(不在)에 따른 단차를 없애는 동시에 외관이 정돈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마감유닛(30)은,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높이가 낮아지는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마감유닛(30)의 일측은, 이웃한 바닥유닛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마감유닛(30)의 타측은, 하부측의 연결유닛의 끝단과 맞닿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감유닛은, 상술한 연결유닛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는 제1 마감유닛(30a, 30b)과, 스포트 매트 조립체의 모서리 부분을 메우기 위한 제2 마감유닛(30c)과, 꼭지점 부분을 메우기 위한 제3 마감유닛(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마감유닛(40)은 별도로 제작하되, 제2 마감유닛(30c)은, 제1 마감유닛(30a, 30b)을 커팅하여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로 설명한 바 있는, 연결유닛은, 바닥유닛(10)의 폭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는 제1 연결유닛(20a)과, 상기 제1 연결유닛(20a) 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되는 제2 연결유닛(20b), 그리고, 상기 제2 연결유닛(20b) 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되는 제3 연결유닛(20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연결유닛(20b)과, 제3 연결유닛(20c)은, 별도로 제작될 수도 있으나, 길이가 가장 긴 상기 제1 연결유닛(20a)을 커팅하여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매트 조립체의 연결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매트 조립체는, 연결유닛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로 설명한 스포츠 매트 조립체 또는 도 11을 참조로 설명한 스포츠 매트 조립체와 동일한 구성 및 효과를 가지므로, 이하 연결유닛에 관한 설명만 하기로 한다.
도 12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유닛(20)은, 상기 제1 연결부(25) 또는 상기 제2 연결부(27)와 상기 기립완충부(23)를 매개한 채, 상기 연결바닥부에 연결되는 연결보강부(28)를 더 구비할 수 있다.(도면에서는 사시도 방향에 따라 제2 연결부에 연결되는 것으로만 도시되었으나, 제1 연결부에도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보강부(28)는, 상기 제1 연결부(25) 또는 상기 제1 연결부(27)의 기립 상태가 유지되도록 보강할 수 있다.
또한, 도 12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제1 연결부(25) 또는 상기 제2 연결부(27)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된 채, 상기 연결바닥부에 연결되는 기립보강부(29)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사시도 방향에 따라 제2 연결부에 형성되는 것으로만 도시되었으나, 제1 연결부에도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립보강부(29)는, 상기 제1 연결부(25) 또는 상기 제2 연결부(27)의 기립 상태가 유지되도록 보강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스포츠 매트 조립체 10: 바닥유닛
11: 매트형성부 11a: 지지유닛
111: 지지본체부 111a: 사각테두리부
111b: 십자형성부 113: 지지부
113a: 제1 아치부 1131: 제1 상단연결부
1133: 제1-1 레그부 1135: 제1-2 레그부
113b: 제2 아치부 1136: 제2 상단연결부
1137: 제2-1 레그부 1138: 제2-2 레그부
114: 지지보강부 115: 접촉부
H1: 수직 관통공 H2: 연결 관통공
13: 프레임부 131: 사각틀부
133: 연결대응부 133a: 홀형성부
D: 단차 P: 방지돌기
20: 연결유닛 21: 연결바닥부
23: 기립완충부 25: 제1 연결부
27: 제2 연결부 30: 마감유닛

Claims (16)

  1. 지면에 커버되어 쿠션감을 제공하는 스포츠 매트 조립체에 있어서,
    관통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매트형성부 및 상기 매트형성부의 테두리를 에워싸는 사각의 틀을 제공하는 프레임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바닥유닛; 및
    이웃한 바닥유닛의 하부면을 매개하되, 지면과 바닥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며,
    하나의 연결유닛은, 복수개의 바닥유닛을 매개하며,
    복수의 연결유닛의 배열방향에 따라 스포츠 매트 조립체의 크기 및 형상이 결정되고,
    상기 매트형성부는, 복수의 지지유닛이 상호 연결되어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지지유닛을 구성하는 각각의 지지유닛은,
    복수의 통공을 형성하는 지지본체부 및 상기 지지본체부에 연결된 채,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본체부와 지면이 일정공간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하는 지지부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복수의 지지유닛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사각틀부 및
    상기 사각틀부의 모서리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유닛과 연결되는 연결대응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유닛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 채, 지면에 안착되는 연결바닥부,
    상기 연결바닥부의 폭방향 중앙으로부터 기립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결바닥부의 상면을 구획하는 기립완충부,
    상기 기립완충부에 의해 구획된 상기 연결바닥부의 제1 상면에 형성되며, 이웃하여 배치된 바닥유닛의 연결대응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기립완충부에 의해 구획된 상기 연결바닥부의 제2 상면에 형성되며, 이웃하여 배치된 바닥유닛의 연결대응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대응부는,
    상기 매트형성부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하부측이 상기 매트형성부와 단차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연결부 또는 상기 제2 연결부에 안착된 경우, 상기 제1 연결부 또는 상기 제2 연결부에 의해 상기 단차가 메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매트 조립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본체부는,
    사각틀을 형성하는 사각테두리부 및 상기 사각테두리부의 내측 모서리에 연결되는 십자형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는,
    아치형 레그를 형성한 채, 상기 사각테두리부의 하부측에 연결되는 제1 아치부 및
    아치형 레그를 형성한 채, 상기 사각테두리부의 하부측에 연결되되, 상기 제1 아치부와 교차되어 연결되는 제2 아치부를 구비하며,
    상기 십자형성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면은, 별표 형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매트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응부는,
    상기 사각틀부의 2개의 가로 모서리와, 2개의 세로 모서리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매트 조립체.
  5. 삭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본체부는,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미끄럼 방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는,
    아치형 레그의 밑단 하부에 형성되되, 아치형 레그의 밑단 하부의 횡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지면과의 접촉 면적을 넓히는 접촉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매트 조립체.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치부는,
    상기 십자형성부를 가로지른 채, 상기 사각테두리부에 연결되는 제1 상단연결부,
    상기 제1 상단연결부의 일측으로부터 하부측으로 연장된 제1-1 레그부 및
    상기 제1 상단연결부의 타측으로부터 하부측으로 연장된 제1-2 레그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1 레그부와 상기 제1-2 레그부는,
    상호 연결되되, 하부측이 상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아치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아치부는,
    상기 십자형성부를 가로지른 채, 상기 사각테두리부에 연결되는 제2 상단연결부,
    상기 제2 상단연결부의 일측으로부터 하부측으로 연장된 제2-1 레그부 및
    상기 제2 상단연결부의 타측으로부터 하부측으로 연장된 제2-2 레그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1 레그부와 상기 제2-2 레그부는,
    상호 연결되되, 하부측이 상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아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매트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치부와 상기 제2 아치부는,
    중앙 부위가 상호 중첩되도록 연결되어 십자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부는,
    이웃하게 배치된 상기 제1 아치부와 상기 제2 아치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호 연결구조를 보강하는 지지보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매트 조립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1 레그부, 상기 제1-2 레그부, 상기 제2-1 레그부 및 상기 제2-2 레그부의 하측단에 각각 연결되어, 상부측으로 인가된 하중을 지면에 전달하는 접촉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접촉부는,
    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인가된 하중을 완충하며, 각 레그부의 하측단을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매트 조립체.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응부는,
    상기 십자형성부와 상기 지지부에 의해 형성된 삼각 형태의 수직 관통공과 대응되는 형상의 대응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매트 조립체.
  11. 삭제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복수의 바닥유닛과의 연결형태에 따라, 2개, 3개 또는 4개의 바닥유닛을 매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매트 조립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면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되, 상기 연결유닛의 상기 제1 연결부 또는 상기 제2 연결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마감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마감유닛은,
    상기 연결유닛 중, 바닥유닛과 연결되지 않아 외부로 노출된 제1 연결부 또는 제2 연결부에 안착되어 상기 제1 상면 또는 제2 상면을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매트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유닛은,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높이가 낮아지는 상면을 형성하며,
    상기 마감유닛의 일측은, 이웃한 바닥유닛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마감유닛의 타측은, 하부측의 연결유닛의 끝단과 맞닿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매트 조립체.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기립완충부를 매개한 채, 상기 연결바닥부에 연결되는 연결보강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연결보강부는,
    상기 제1 연결부의 기립 상태가 유지되도록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매트 조립체.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제1 연결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된 채, 상기 연결바닥부에 연결되는 기립보강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기립보강부는,
    상기 제1 연결부의 기립 상태가 유지되도록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매트 조립체.
KR1020220087664A 2022-07-15 2022-07-15 스포츠 매트 조립체 KR102515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664A KR102515569B1 (ko) 2022-07-15 2022-07-15 스포츠 매트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664A KR102515569B1 (ko) 2022-07-15 2022-07-15 스포츠 매트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5569B1 true KR102515569B1 (ko) 2023-03-29

Family

ID=85799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7664A KR102515569B1 (ko) 2022-07-15 2022-07-15 스포츠 매트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556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434B1 (ko) 2009-02-23 2009-06-05 (주)필드테크 조립식 스포츠코트
KR20140032055A (ko) * 2012-09-05 2014-03-14 태성정밀부품(주) 바닥재용 패널 조립체 및 이에 이용되는 클립
KR101689809B1 (ko) * 2016-04-27 2016-12-27 주식회사 에이컴퍼니 스포츠 코트용 조립식 바닥재
KR101793875B1 (ko) * 2017-05-26 2017-11-06 문희강 완충구조를 갖는 잔디보호용 매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434B1 (ko) 2009-02-23 2009-06-05 (주)필드테크 조립식 스포츠코트
KR20140032055A (ko) * 2012-09-05 2014-03-14 태성정밀부품(주) 바닥재용 패널 조립체 및 이에 이용되는 클립
KR101689809B1 (ko) * 2016-04-27 2016-12-27 주식회사 에이컴퍼니 스포츠 코트용 조립식 바닥재
KR101793875B1 (ko) * 2017-05-26 2017-11-06 문희강 완충구조를 갖는 잔디보호용 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3727B1 (ko) 가로방향 충격력 흡수 모듈러 타일
US8657696B1 (en) Trampoline arena
EP2384671B1 (en) Bed frame structure
KR101689809B1 (ko) 스포츠 코트용 조립식 바닥재
KR101695216B1 (ko) 실내외 스포츠 경기장 바닥재
KR102515569B1 (ko) 스포츠 매트 조립체
WO1990012518A1 (en) Energy return systems for footwear
KR102610698B1 (ko) 개보수가 용이한 면진 데크로드
WO2006025675A1 (en) Multiple structure-shock absorbing members
PT926970E (pt) Ponte de mola para uma base de colchao
JP2023164936A (ja) 床材システム
US3098244A (en) Support frame for furniture
KR101979646B1 (ko) 실내외 조립식 바닥재
KR102476453B1 (ko) 실내외 스포츠 바닥재
JP2022114615A (ja) 多機能床材
KR102134909B1 (ko) 자석모듈을 이용한 완충매트
KR101109576B1 (ko) 경기장 바닥 시공구조
WO2022131326A1 (ja) 手すり
WO2005025381A1 (en) Cushioning and load bearing apparatus
JP7271070B2 (ja) スノコ
KR200487927Y1 (ko) 조립식 다기능 매트
KR102219817B1 (ko) 체결구를 이용한 바닥패널 설치구조
KR101991986B1 (ko) 데크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03726B1 (ko) 수축 및 팽창에 대한 보상 기능을 갖는 바닥재 시공방법 및 그에 따른 바닥재
KR102431091B1 (ko) 푹신한 잔디보호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