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2912A - 조립성능이 향상된 모듈 형태의 조립식 타일 - Google Patents

조립성능이 향상된 모듈 형태의 조립식 타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2912A
KR20150142912A KR1020140071516A KR20140071516A KR20150142912A KR 20150142912 A KR20150142912 A KR 20150142912A KR 1020140071516 A KR1020140071516 A KR 1020140071516A KR 20140071516 A KR20140071516 A KR 20140071516A KR 20150142912 A KR20150142912 A KR 20150142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rame
tile
pattern
prefabricated
support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1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7582B1 (ko
Inventor
김종철
Original Assignee
코스코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코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코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1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7582B1/ko
Publication of KR20150142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2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7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7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4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2Paving elements having fixed spacing fe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포츠 경기장에서 사용될 수 있는 모듈 형태의 조립식 타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은 다수의 격자무늬 패턴들을 포함하는 사각형상의 베이스 프레임; 상기 격자무늬 패턴의 4개 꼭지점과 교차하는 X자형의 물결무늬 패턴이 형성되되, 상기 물결무늬 패턴은 상기 격자무늬 패턴의 상층부에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베이스 프레임 표면층; 상기 격자무늬 패턴의 꼭지점 및 상기 물결무늬 패턴 내부 교차점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부면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레그;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인접한 두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측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인접한 타일과 연결시 대향되는 베이스 프레임의 측면 내부로 삽입되는 연결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인접한 두 측면에 대응되는 측면 내부에는 상기 연결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연결부가 삽입되는 결합부; 상기 연결부가 상기 결합부에 삽입된 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돌기; 및 상기 연결부의 내부에는 일측면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 측면에 연결되고 타측면으로 갈수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 측면으로부터 점차 벌어지는 형태로 외부를 향하여 돌출 형성된 플립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립성능이 향상된 모듈 형태의 조립식 타일 {MODULAR ASSEMBLY TILE INCLUDING ENHANCED CONNECTION STRUCTURE FOR ASSEMBLING}
본 발명은 스포츠 경기장에 사용될 수 있는 모듈 형태의 조립식 타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타일간의 결합 성능이 향상된 연결구조를 구비한 모듈 형태의 조립식 타일에 관한 것이다.
삶의 질이 점차 향상되어 가면서 각종 레저 및 여가시설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고 있으며 특히 유지보수 및 관리가 용이한 공공체육시설 및 운동장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체육시설 및 운동장에는 충격흡수 및 도로 확보 등의 목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스포츠 코트용 바닥재가 개발되었으며, 특히 플라스틱 사출에 의한 조립식 운동장 바닥재는 하드 코트(Hard Court)의 대용품으로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75984호는 "조립식 운동장 바닥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설계 특성, 충격흡수 기능 및 표면마찰 특성이 향상된 조립식 운동장 바닥재 및 그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01434호는 "조립식 스포츠코트"에 관한 것으로서, 플라스틱 성분의 타일 또는 바닥덮개 내부에 연속되는 정사각형 격자구조를 유지하도록 하며, 조립식 스포츠 코트가 받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꼭지점 및 모서리 지지레그와 격자구조 내부에 형성된 X자형 보강리브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정사각형 형상의 조립식 스포츠 코트블럭과, 직사각형 외곽틀부를 구성요소로 하면서 연속되는 격자구조를 1줄로 유지한 직사각형 형상의 조립식 스포츠 코트블록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바닥재 또는 코트 블록을 실내외 운동장 위에 포설하여 체육활동을 위한 경기장 바닥면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르면, 바닥재 또는 코트 블록은 플라스틱 재질의 단순한 직선 및 사선의 구조로서 표면이 사각형 또는 마름모 무늬를 형성하고 있어서 상대적으로 사용자들의 기동에 의한 격렬한 마찰이 심하게 발생하는 스포츠 코트의 특성상 바닥이 미끄러워 사용자가 넘어지거나 부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외 운동장에 상기와 같은 바닥재 또는 코트블록을 적용할 경우, 이슬 또는 우수(雨水)가 바닥재/블록 표면에 맺힘으로써 미끄럼이 발생하여 사용자들이 낙상사고 및 심각한 부상을 당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모듈 형태의 바닥재/블록을 광활한 운동장에 포설할 경우 수많은 타일/블록들을 결합하는 시공과정에서 바닥재들 간의 결합 자유도가 떨어지고, 결합부위의 파손 및 뒤틀림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아울러, 바닥재/블록의 특성상 스포츠 활동에 수반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수단이 미비하여 사용자들의 활동성 및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975984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90143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마찰계수를 높임으로써 미끄럼을 최소화할 수 있는 모듈 형태의 조립식 타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실외 운동장에 상기와 같은 바닥재 또는 코트블록을 적용할 경우, 이슬 또는 우수(雨水)가 바닥재/블록 표면에 맺히지 않도록 하는 모듈 형태의 조립식 타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모듈 형태의 타일을 운동장에 설치할 경우, 결합 자유도가 높으며, 결합부위의 파손 및 뒤틀림을 방지하는 모듈 형태의 조립식 타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충격을 흡수하는 수단이 구비된 조립식 타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 은 다수의 격자무늬 패턴들을 포함하는 사각형상의 베이스 프레임; 상기 격자무늬 패턴의 4개 꼭지점과 교차하는 X자형의 물결무늬 패턴이 형성되되, 상기 물결무늬 패턴은 상기 격자무늬 패턴의 상층부에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베이스 프레임 표면층; 상기 격자무늬 패턴의 꼭지점 및 상기 물결무늬 패턴 내부 교차점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부면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레그;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인접한 두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측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인접한 타일과 연결시 대향되는 베이스 프레임의 측면 내부로 삽입되는 연결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인접한 두 측면에 대응되는 측면 내부에는 상기 연결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연결부가 삽입되는 결합부; 상기 연결부가 상기 결합부에 삽입된 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돌기; 및 상기 연결부의 내부에는 일측면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 측면에 연결되고 타측면으로 갈수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 측면으로부터 점차 벌어지는 형태로 외부를 향하여 돌출 형성된 플립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 표면층, 상기 지지레그, 상기 연결부, 상기 결합부, 상기 걸림돌기 및 상기 플립은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수지의 재질로 사출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 표면층의 상기 물결무늬 패턴은 "X"자형 패턴보다 표면 마찰계수가 더 커지도록 물결무늬를 형성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곡선이 교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곡선의 곡률은 5도 이상 30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 표면층의 상기 물결무늬 패턴 내부 교차점 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기 격자무늬 패턴의 꼭지점에는 양각의 돌기 또는 음각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상기 조립식 타일이 동일한 면적으로 N등분 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면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대응되는 두 측면을 가로지르면서 형성되며, 상기 절개면에 인접한 베이스 프레임 내부에는 상기 연결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연결부가 결합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돌기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개면은 상기 조립식 타일 표면의 수평방향으로 발생하는 응력(應力) 또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소정의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개면의 상기 소정의 폭 내부에는 상기 조립식 타일 표면의 수평방향으로 발생하는 응력(應力) 또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충격 흡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지지레그에는 상기 조립식 타일 표면의 수직방향으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탄성재질의 완충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지지레그에 탈부착 가능하며, 상기 지지레그에 부착시 지지레그의 길이와 같거나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는 상기 플립을 감싸면서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레그는 상기 격자무늬 패턴의 꼭지점에서 형성되는 제1 지지레그와 상기 격자무늬 패턴 내부의 곡선들의 교차점에서 형성되는 제2 지지레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레그와 상기 제2 지지레그는 굵기와 높이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타일의 표면 마찰계수를 높임으로써 바닥의 미끄럼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넘어지거나 부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외 운동장에 상기와 같은 바닥재 또는 코트블록을 적용할 경우, 이슬 또는 우수(雨水)가 바닥재/블록 표면에 맺히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미끄럼이 발생하지 아니하여 사용자들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듈 형태의 바닥재/블록을 광활한 운동장에 포설할 경우 수많은 타일/블록들을 결합하는 공정에서 결합 자유도가 높아지고, 결합부위의 파손 및 뒤틀림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들의 활동성 및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의 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의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의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의 저면 부분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절개면이 형성된 조립식 타일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의 충격 흡수 매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며,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함에 유의한다.
본 명세서에서 지칭하는 조립식 타일은 실내 또는 실외 운동 경기장, 마룻바닥, 베란다 등에 설치할 수 있는 다목적 조립식 바닥재로서, 스포츠 코트, 블록, 타일 등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타일로 정의하여 사용하기로 하지만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타일은 운동 경기장뿐만 아니라 다양한 실내외 공간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100)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태로 구성된 베이스 프레임(10)과, 상기 조립식 타일(100)의 하부면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다수의 지지레그(20)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인접한 두 측면(A, B)에 적어도 하나 이상 측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인접한 타일(100)과 연결시 대향되는 베이스 프레임(10)의 측면(C, D) 내부로 삽입 체결되는 연결부(30)를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10)은 적어도 두 개의 곡선이 교차하는 물결무늬(11)가 내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격자무늬(12) 패턴들이 내부에 규칙적으로 형성된다.
지지레그(20)는 격자무늬 패턴(12)의 꼭지점 및 격자무늬 패턴 내부의 곡선들의 교차점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하부면을 향하여 바닥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길이 돌출 형성된다.
베이스 프레임(10)의 인접한 두 측면(A, B)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 측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인접한 타일(100)과 연결시 대향되는 베이스 프레임(10)의 측면(C, D) 내부로 삽입 체결되는 연결부(3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30)는 베이스 프레임(10)의 인접한 두 측면(A, B)에 각각 6개씩 총 12개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10)의 인접한 두 측면(A, B)에 대응되는 측면(C, D) 내부에는 상기 연결부(30)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연결부(30)가 체결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결합부(40)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40)는 연결부(30)가 삽입된 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타일들 간의 견고한 결합을 유지하기 위한 걸림돌기 형태의 후크(41)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조립식 타일(100)을 구성하는 베이스 프레임(10), 지지레그(20), 연결부(30) 및 후크 결합부(40)는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등 비교적 견고한 재질의 소재를 이용하여 사출성형 방식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중 PPS(polyphenylene sulphide) 수지는 치수 안정성이 가장 뛰어난 열가소성 플라스틱(결정성 폴리머) 중 하나로, 높은 온도와 침식적인 환경에서도 그 강도를 유지하고 탁월한 내화학성 및 내열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어서 고온의 내화학성이 요구되는 분야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특히 PPS는 기계적 강도는 강하고 온도 의존성은 낮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PPS 수지는 자체 난연성을 가지고 있어서 난연제 없이도 난연화가 가능한 친환경 난연수지이며,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유리섬유 또는 무기물을 첨가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조립식 타일에 사용되는 PP 또는 PPS 재질은 외부 온도에 따른 수축과 팽창이 발생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출성형 과정에서 수분 또는 유리섬유(glass fiber)를 첨가하여 발포 성형을 수행함으로써 무수히 많은 초미세 기포를 조립식 타일의 재질 내부에 형성시킬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의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타일은 실내 또는 실외 운동장, 경기장 및 다양한 공간에 포설되어 사용자들이 자유롭게 스포츠 활동을 할 수 있는 일종의 바닥재로서 기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특성상 조립식 타일의 표면에서는 사용자들의 스포츠 활동 과정의 접점이 발생함으로써 신발 바닥면과 조립식 타일 표면 사이의 심한 마찰이 발생한다. 더욱이, 급격한 턴, 정지, 점프 동작이 발생하는 격렬한 스포츠 활동을 제공하는 공간으로 조립식 타일이 사용될 경우에는 사용자의 기동 능력이 충분히 발휘될 수 있도록 가급적이면 마찰계수가 높은 표면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배경기술에서 살펴본 종래기술들은 제품의 표면이 직선, 사선, 마름모 또는 사각형의 무늬이기 때문에 마찰계수가 높지 못하여 상대적으로 바닥면이 미끄러워서 사용자의 기동 능력이 충분히 발휘되지 못하여 제품 만족도가 높지 못하였다. 또한, 사용자들이 종래 제품들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미끄럼 발생으로 인한 넘어짐으로 인해 심각한 부상을 입는 경우도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조립식 타일의 표면 마찰계수가 최대화될 수 있는 조립식 타일의 형상 및 패턴을 제안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0) 내부에는 다수의 격자무늬 패턴(12)들이 형성된다. 격자무늬 패턴(12) 내부에는 적어도 두 개의 곡선이 교차하는 물결무늬(11)가 형성된다.
즉, 종래 제품은 직선, 사선, 마름모 또는 사각형의 표면 무늬를 형성하였으나, 본 실시예와 같이 격자무늬 패턴(12)과 그 내부에 두 개의 곡선이 교차하는 물결무늬(11)를 더 형성함으로써 종래 제품과 비교하여 표면 마찰계수가 더욱 커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격자무늬 패턴(12) 내부의 물결무늬(11)는 단순한 직선들의 조합이 아닌 마찰 면적이 극대화될 수 있는 곡선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단위 면적당 표면 마찰계수가 극대화되도록 한다.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두 개의 곡선이 교차하는 물결무늬(12) 패턴은 격자무늬 패턴(12)의 4개 꼭지점과 교차하되 곡률 θ를 갖는 두 개의 곡선이 X자형으로 교차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물결무늬를 형성하는 곡선의 곡률 θ은 5도 이상 30도 이하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표면의 격자무늬 패턴(12) 또는 물결무늬 패턴(11)에는 음각의 홈(13)이 더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타일은 운동장과 같은 노출된 공간에 설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비나 눈, 이슬과 같은 외부 습기로 인하여 표면에 물방울이 맺힐 수도 있다. 조립식 타일의 표면에 물방울이 맺힐 경우에는, 사용자가 조립식 타일 표면에서 기동을 하다가 미끄러짐이 발생하여 심각한 부상을 입을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음각의 홈(13)을 표면에 형성한다. 상기 음각의 홈(13)은 조립식 타일의 표면에 맺히는 물방울 배수를 용이하게 하는 수로 역할을 한다.
상기 음각의 홈(13)은 원형, 일자형 또는 십자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립식 타일의 표면에 음각의 홈(13)을 형성함으로써, 우천 또는 이슬 맺힘 현상으로 인해 표면에 물방울이 맺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표면의 격자무늬 패턴(12) 또는 물결무늬 패턴(11)에는 양각의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200)은 다수의 격자무늬 패턴(52)들을 포함하는 사각형상의 베이스 프레임과, 베이스 프레임의 격자무늬 패턴(52)의 4개 꼭지점과 교차하는 곡률진 X자형의 물결무늬 패턴(51)이 베이스 프레임 상부면에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표면층(51)과, 격자무늬 패턴(52)의 꼭지점 및 물결무늬 패턴(51)의 교차점으로부터 베이스 프레임의 하부면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레그(20)와, 베이스 프레임의 인접한 두 측면(A, B)에 적어도 하나 이상 측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인접한 타일과 연결시 대향되는 베이스 프레임 측면(C, D) 내부로 삽입되는 연결부(30)를 포함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200)은 상부에 노출되는 표면층(51; 물결무늬 층), 격자무늬 패턴으로 형성되는 베이스 프레임(52; 격자무늬 층) 및 지지레그(20)를 포함하는 다중 레이어 구조로 형성된다.
즉,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에서는 물결무늬 패턴(11)과 격자무늬 패턴(12)이 하나의 베이스 프레임(10)으로 구성되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물결무늬 패턴(51)과 격자무늬 패턴(52)이 상하로 분리되어 베이스 프레임(50)을 구성한다.
이외에 지지레그(20), 연결부(30)의 구조 및 조립식 타일의 사출성형 방법 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물결무늬 패턴을 형성하는 곡선의 곡률 θ와, 표면의 물결무늬 패턴(11)에 형성되는 음각의 홈(14)도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의 평면도, 저면도 및 측면도를 참조하여 조립식 타일의 구조와 기능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의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의 저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의 측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 타일의 인접한 두 측면(A, B)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 측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인접한 타일과 연결시 대향되는 베이스 프레임의 측면(C, D) 내부로 삽입 체결되는 연결부(3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30)는 베이스 프레임의 인접한 두 측면(A, B)에 각각 6개씩 총 12개가 돌출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연결부(30)의 개수는 설계 자유도에 따라서 자유롭게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의 인접한 두 측면(A, B)에 대응되는 측면(C, D) 내부에는 상기 연결부(30)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연결부(30)가 체결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결합부(40)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40)는 연결부(30)가 삽입된 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타일들 간의 견고한 결합을 유지하기 위한 걸림돌기 형태의 후크(41)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30)는 반원 고리 형상으로 돌출되며 연결부(30)에 대응되는 결합부(40)를 안쪽으로 감싸면서 결합부(40)가 내경에 삽입되도록 체결된다. 이때, 연결부(30)의 최외각 외주면의 높이는 베이스 프레임 측면에 인접한 높이와 비교하여 h 만큼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부(30)가 결합부(40)와 체결된 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된 걸림돌기 형태의 후크(41)가 연결부의 최외각 외주면의 걸림쇠 역할을 할 수 있게 됨으로써 결합구조의 이탈을 방지하고 타일들 간의 견고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연결부(30)의 내부에는 일측면이 베이스 프레임 측면에 연결되고 타측면으로 갈수록 베이스 프레임 측면으로부터 점차 벌어지는 형태로 외부를 향하여 돌출 형성된 플립(31)이 형성된다.
상기 플립(31)은 타일들이 결합된 후, 제품간 유격을 조절하고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타일들 간의 결합시 대략 1mm 내지 10mm의 유격이 발생할 수 있으며, 결합된 타일의 수평 방향 충격이 발생할 경우 측면부에 형성된 플립(31)을 통해서 이와 같은 수평방향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립(31)은 비교적 연성을 띠기 때문에 타일의 운송 또는 타일의 조립 과정에서 쉽게 파손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30)의 내부에 플립(31)이 형성됨으로써 상기와 같은 파손으로부터 플립(31)을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플립(31)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타일들 간의 밀착 및 견고한 결합을 유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립(31)은 고무와 같은 탄성부재 또는 베이스 프레임보다 연성의 재질을 이용하여 이충사출 방식으로 베이스 프레임의 측면에 돌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조립식 타일의 지지레그(20) 중 일부에는 조립식 타일 표면의 수직방향으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탄성재질의 완충부재가 결합 구성된다. 상기 완충부재는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 흡수링(60)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타일이 포설되는 바닥면의 특성이나 타일의 재질 또는 사용되는 용도를 고려하여 쿠션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재질의 강도, 소재 또는 길이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조립식 타일과 별물로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착탈 가능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조립식 타일의 중앙 부근에는 십자(+) 형상으로 절개면(70)이 형성된다.
모듈 형태의 바닥재 또는 타일을 광활한 운동장에 포설할 경우 수많은 타일들을 결합하는 시공과정에서 타일들 간의 결합 자유도가 떨어지고 현장 여건에 따라서는 타일을 일부 절단해야 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 종래 타일의 경우, 타일을 일부 절단할 필요성이 있을 경우 별도의 절단기 및 마감 공정이 필요하여 조립 자유도 및 시공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은 중앙부에 절개면(70)을 구성함으로써, 현장 여건 및 시공 과정에서 조립식 타일을 파티션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는 동일한 면적으로 4등분 절개될 수 있도록 하여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절개면(70) 내부에는 결합부(42)가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절개면(70)을 통해서 조립식 타일을 파티션 하더라도 절단면 내부에 결합부(42)가 구성됨으로써 다른 타일과 파티션된 타일 간의 결합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의 저면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절개면(70) 안쪽에는 조립식 타일 표면의 수평방향으로 발생하는 응력(應力)을 흡수할 수 있도록 소정의 폭을 갖는 유격(W)이 형성되며, 상기 유격(W)이 형성된 공간 내부에는 완충부재(71)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격(W)의 폭은 1mm 내지 5mm 이다.
상기 유격(W) 및 완충부재(71)를 통해서는 조립식 타일 표면 방향의 수평방향 충격흡수뿐만 아니라 조립식 타일의 절개시 절개 부위가 깔끔하게 마감 처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유격(W) 및 완충부재(71)가 조립식 타일의 중앙부에 형성됨으로써, 조립식 타일의 수축/팽창이 발생하더라도 타일의 변형이나 휘어짐을 완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타일에는 플립(31), 충격 흡수링(60), 절개면(70)의 유격(W) 및 완충부재(71) 등과 같이 다수의 완충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들이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기동중 급격한 정지, 턴 등의 동작을 할 경우 관절에 전달되는 충격을 조립식 타일에서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관절을 보호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조립식 타일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통상 기초 바닥층을 콘크리트 또는 아스콘으로 조성하게 된다. 이때, 조성된 기초 바닥면의 표면에 발생하는 미세한 요철로 인하여 타일이 바닥면에 완벽하게 밀착되지 않고 들뜸 현상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들뜸 현상이 발생할 경우 농구 또는 테니스와 같은 공의 바운딩이 발생하는 운동을 할 때, 볼 바운딩이 불규칙하게 되어 사용감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바닥면 공극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무수히 많은 지지레그(2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지지레그(20)는 격자무늬 패턴의 꼭지점에서 형성되는 십자형상의 다소 굵은 제1 지지레그(21)와, 물결무늬 패턴의 교차점에서 형성되는 원형 형상의 다소 가는 굵기의 제2 지지레그(2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지지레그(21)와 제2 지지레그(22)는 높이가 동일하지 않고 1mm 내지 2mm 정도 차이를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바닥면 표면의 미세한 돌기들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고른 볼 바운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절개면이 형성된 조립식 타일의 평면도이다.
앞선 실시예에서는 조립식 타일이 동일한 4개면으로 절개될 수 있도록 십자(+) 형상으로 절개면이 형성되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조립식 타일이 동일한 8개면으로 절개될 수 있도록 절개면이 형성된다.
즉, 베이스 프레임의 대응되는 두 측면을 가로지르면서 중앙부에서 교차하는 4개의 "\", "/", "―", 및 "|" 형상으로 소정의 폭을 유지하며 절개면이 형성된다.
또한, 절개면 각각에 인접한 베이스 프레임 내부에는 연결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연결부가 결합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형태로 조립식 타일의 절개면을 구성함으로써 현장 여건 및 시공 과정에서 조립식 타일을 파티션할 필요성이 빈번히 발생하더라도 절개면을 통해서 매우 손쉽게 조립식 타일을 파티션함으로써 시공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의 충격 흡수 매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타일은 수직 및 수평을 포함한 다방향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조립식 타일의 하부에 충격흡수가 가능한 충격 흡수링(60)과 같은 완충부재가 포함된다. 또한, 조립식 타일의 중앙부에 절개면(70)을 형성하고, 상기 절개면(70)에 형성된 유격(W) 및 완충부재(71)를 통해서 수평방향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타일은, 도 9(a)와 같이 수직으로 발생되는 충격을 충격 흡수링(60)을 통해서 1차적으로 흡수하고, 도 9(b)와 같이 4등분으로 나눠진 연결부분에 설계된 완충 구조를 통해서 수평방향의 충격을 2차적으로 흡수하도록 설계된다. 이때, 수평방향으로 발생되어 오는 충격을 흡수하는 구조는 X자 형태로 형성하여 힘이 고르게 분산되도록 충격흡수 기능을 극대화하였으며, 절개가 시작되는 지점에 원형의 홈을 형성하여 추가적인 충격흡수도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한편, 조립식 타일에 사용되는 PP 또는 PPS 재질은 외부 온도에 따른 수축과 팽창이 발생하기 때문에 본 발명은 이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타일 성형방법을 제안한다.
조립식 타일을 구성하는 베이스 프레임, 연결부, 결합부 및 지지레그는 PP 또는 PPS 등의 수지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수분 또는 유리섬유(glass fiber)를 첨가하여 발포 성형을 수행함으로써 무수히 많은 초미세 기포를 재질 내부에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의 1차 성형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고체상태의 PP 또는 PPS 수지 알갱이(pellet) 들을 열 또는 기계적 마찰을 가하여 녹이고 이와 같은 원료에 수분 또는/및 유리섬유를 첨가한다.
상기 수분을 원료에 첨가할 경우 금형 사출시 수분이 금형 내에서 기화 발포되어 원료 내부에 기포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유리섬유를 원료에 첨가할 경우에 유리섬유와 수지가 1:200의 냉각 차이를 갖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기포층이 형성될 수 있으며, 나아가 유리섬유의 특성에 의해 재질이 보다 단단한 강도를 보유하게 된다.
수분 또는/및 유리섬유를 용융 상태의 원료와 혼합한 후, 균일하게 섞일 수 있도록 실린더 내에서 잘 배합시키고, 열을 가하여 액체와 기체를 구분할 수 없는 초임계상태로 변화시킨다.
이후, 혼합원료를 사출기에 주입하여 조립식 타일을 형성하기 위한 금형의 내부로 주입한다. 이때, 수지 원료와 수분/유리섬유 등은 초임계 유체 상태로서 압력차가 발생하여 PP 또는 PPS 내부에서 수분이 발포되고 수분이 있던 공간은 다수의 초미세 기포가 균일하게 형성된다.
이후, 소정 시간 동안 금형 내부에서 응고되며 이 과정에서 유리섬유와 수지의 냉각차에 의해서 다수의 초미세 기포가 생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유리섬유만을 첨가하여 수지와 유리섬유의 냉각 차이를 이용하여 초미세 기포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초미세 기포를 형성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알칸이나 염불화알칸 등의 발포제를 수지 원료에 첨가함으로써, 발포제가 열분해 반응시 발생하는 탄산가스 또는 질소 가스를 이용하여 기포층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탄산 또는 질소 가스 등은 오존층 파괴 등의 환경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은 수분/유리섬유를 활용할 경우 친환경적인 생산/제조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한편, 수분 및 유리섬유를 원료에 혼합할 때, 실린더에 스크류 등을 활용하여 첨가물이 원료 내부에 조밀하고 균일하게 섞일 수 있도록 배합함으로써, 초미세 기포가 재질 전체적으로 조밀하고 균일하게 발생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초미세 기포가 조립식 타일 소재 내부에 조밀하고 균일하게 다수 형성될 경우, 초미세 기포로 인한 탄성력이 조립식 타일 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 온도의 변화를 초미세 기포들이 흡수함으로써, 온도 변화에 따른 조립식 타일의 수축/팽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립식 타일의 압축 하중력이 초미세 기포 및 유리섬유로 인하여 강화될 수 있으며, 조립식 타일 자체가 경량화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상기 초미세 기포가 조립식 타일 내부에 다수 형성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조립식 타일 내부에 형성된 초미세 기포의 직경은 100μm ~ 1μm 이며, 전체 타일의 부피 중 초미세 기포가 대략 15% 내지 30%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초미세 기포가 전체 타일 부피의 5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타일의 강도가 저하될 수도 있으며 이로 인해 타일의 균열/깨짐이 발생할 수도 있다.
타일 내에 함유되는 초미세 기포의 부피는 수분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200 : 조립식 타일 10 : 베이스 프레임
11, 51 : 물결무늬 패턴 12, 52 : 격자무늬 패턴
13, 14 : 홈 20, 21, 22 : 지지레그
30 : 연결부 31 : 플립
40, 42 : 결합부 41 : 후크
50 : 절개면 60 : 충격 흡수링
W : 유격 71 : 완충부재

Claims (12)

  1. 다수의 격자무늬 패턴들을 포함하는 사각형상의 베이스 프레임;
    상기 격자무늬 패턴의 4개 꼭지점과 교차하는 X자형의 물결무늬 패턴이 형성되되, 상기 물결무늬 패턴은 상기 격자무늬 패턴의 상층부에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베이스 프레임 표면층;
    상기 격자무늬 패턴의 꼭지점 및 상기 물결무늬 패턴 내부 교차점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부면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레그;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인접한 두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측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인접한 타일과 연결시 대향되는 베이스 프레임의 측면 내부로 삽입되는 연결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인접한 두 측면에 대응되는 측면 내부에는 상기 연결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연결부가 삽입되는 결합부; 및
    상기 연결부의 내부에는 일측면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 측면에 연결되고 타측면으로 갈수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 측면으로부터 점차 벌어지는 형태로 외부를 향하여 돌출 형성된 플립;
    을 포함하는 조립식 타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연결부가 상기 결합부에 삽입된 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타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 표면층, 상기 지지레그, 상기 연결부, 상기 결합부, 상기 걸림돌기 및 상기 플립은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수지의 재질로 사출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타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 표면층의 상기 물결무늬 패턴은 "X"자형 패턴보다 표면 마찰계수가 더 커지도록 물결무늬를 형성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곡선이 교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곡선의 곡률은 5도 이상 30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타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 표면층의 상기 물결무늬 패턴 내부 교차점 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기 격자무늬 패턴의 꼭지점에는 음각의 홈 또는 양각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타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상기 조립식 타일이 동일한 면적으로 N등분 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면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면에 인접한 베이스 프레임 내부에는 상기 연결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연결부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조립식 타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면은 소정의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타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면의 상기 소정의 폭 내부에는 상기 조립식 타일 표면의 수평방향으로 발생하는 응력(應力) 또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충격 흡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타일.
  9. 제 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지지레그에는 상기 조립식 타일 표면의 수직방향으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탄성재질의 완충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타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지지레그에 탈부착 가능하며, 상기 지지레그에 부착시 지지레그의 길이와 같거나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타일.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플립을 감싸면서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타일.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레그는 상기 격자무늬 패턴의 꼭지점에서 형성되는 제1 지지레그와 상기 격자무늬 패턴 내부의 곡선들의 교차점에서 형성되는 제2 지지레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레그와 상기 제2 지지레그는 굵기와 높이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타일.
KR1020140071516A 2014-06-12 2014-06-12 조립성능이 향상된 모듈 형태의 조립식 타일 KR101627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516A KR101627582B1 (ko) 2014-06-12 2014-06-12 조립성능이 향상된 모듈 형태의 조립식 타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516A KR101627582B1 (ko) 2014-06-12 2014-06-12 조립성능이 향상된 모듈 형태의 조립식 타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912A true KR20150142912A (ko) 2015-12-23
KR101627582B1 KR101627582B1 (ko) 2016-06-13

Family

ID=55082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1516A KR101627582B1 (ko) 2014-06-12 2014-06-12 조립성능이 향상된 모듈 형태의 조립식 타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75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9809B1 (ko) * 2016-04-27 2016-12-27 주식회사 에이컴퍼니 스포츠 코트용 조립식 바닥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3727B1 (ko) * 1989-02-06 1994-04-28 카틀러 다니엘 가로방향 충격력 흡수 모듈러 타일
KR200381496Y1 (ko) * 2005-01-04 2005-04-14 강병수 조립식 바닥판
KR100757453B1 (ko) * 2006-11-28 2007-09-11 성 무 김 연결.설치가 용이한 분리형 배수판 및 이를 이용한아파트단지 내의 도로 시공방법
KR100901434B1 (ko) 2009-02-23 2009-06-05 (주)필드테크 조립식 스포츠코트
KR100975984B1 (ko) 2010-02-17 2010-08-13 (주)필드테크 조립식 운동장 바닥재 및 그 제조 방법
KR200472466Y1 (ko) * 2013-10-30 2014-04-29 (주) 에스지아이스 스포츠용 바닥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3727B1 (ko) * 1989-02-06 1994-04-28 카틀러 다니엘 가로방향 충격력 흡수 모듈러 타일
KR200381496Y1 (ko) * 2005-01-04 2005-04-14 강병수 조립식 바닥판
KR100757453B1 (ko) * 2006-11-28 2007-09-11 성 무 김 연결.설치가 용이한 분리형 배수판 및 이를 이용한아파트단지 내의 도로 시공방법
KR100901434B1 (ko) 2009-02-23 2009-06-05 (주)필드테크 조립식 스포츠코트
KR100975984B1 (ko) 2010-02-17 2010-08-13 (주)필드테크 조립식 운동장 바닥재 및 그 제조 방법
KR200472466Y1 (ko) * 2013-10-30 2014-04-29 (주) 에스지아이스 스포츠용 바닥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9809B1 (ko) * 2016-04-27 2016-12-27 주식회사 에이컴퍼니 스포츠 코트용 조립식 바닥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7582B1 (ko) 2016-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2964B1 (ko) 모듈 형태의 조립식 타일
US10975532B2 (en) Underlayment panel having drainage channels
US8881482B2 (en) Modular flooring system
US8683769B2 (en) Modular sub-flooring system
KR101363159B1 (ko) 배수블록
RU2015274C1 (ru) Покрытие пола спортивного сооружения
KR101689809B1 (ko) 스포츠 코트용 조립식 바닥재
WO2015030255A1 (ja) フリーアクセスフロア
KR101627582B1 (ko) 조립성능이 향상된 모듈 형태의 조립식 타일
KR101640482B1 (ko) 파티션이 가능한 절개면을 구비한 모듈 형태의 조립식 타일
KR101572962B1 (ko) 모듈 형태의 조립식 타일
KR100901434B1 (ko) 조립식 스포츠코트
US20030104157A1 (en) Safety tiles for paving a playground area
CA3159713C (en) Load supporting panel having impact absorbing structure
KR101969973B1 (ko) 조립식 스포츠 코트 블럭
KR101334443B1 (ko) 인조잔디용 배수블록
JP5623851B2 (ja) まくら木
KR101727805B1 (ko) 완충형 압축제한부재를 결합한 층간 차음재
CN215164333U (zh) 一种凝胶冰板
CA3047563C (en) Load supporting panel having impact absorbing structure
WO2020074876A1 (en) Artificial surface
JP3124419U (ja) 舗装用ブロック
TWM588160U (zh) 安全地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