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4443B1 - 인조잔디용 배수블록 - Google Patents

인조잔디용 배수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4443B1
KR101334443B1 KR1020130090910A KR20130090910A KR101334443B1 KR 101334443 B1 KR101334443 B1 KR 101334443B1 KR 1020130090910 A KR1020130090910 A KR 1020130090910A KR 20130090910 A KR20130090910 A KR 20130090910A KR 101334443 B1 KR101334443 B1 KR 101334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block
wing
projection
drain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0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철
Original Assignee
코스코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코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코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0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44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4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4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E01C13/083Construction of grass-grown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arrange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4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팽창을 방지하며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배수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용 배수블록은,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사각형상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인접한 2개면에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는 날개부; 상기 날개부의 상부면에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며 인접한 배수블록의 몸체부에 형성된 돌기 하부로 삽입 체결되는 돌기 형상의 연결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 날개부 및 연결돌기는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수지를 이용하여 사출성형 방식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사출성형시 수분을 첨가하여 발포시킴으로써 상기 몸체부, 날개부 및 연결돌기의 내부에 다수의 초미세 기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조잔디용 배수블록 {Drain Board}
본 발명은 인조잔디에 사용되는 배수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팽창을 방지하며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배수블록에 관한 것이다.
삶의 질이 점차 향상되어 가면서 각종 레저 및 여가시설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고 있으며 특히 유지보수 및 관리가 용이한 공공체육시설 및 운동장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천연잔디 운동장은 쾌적하고 친근감이 있으며, 사용자의 부상의 위험이 적은 장점이 있으나, 기상여건(우천)에 따라 사용이 제한되며, 매해 보식과 보파 관리가 필요하며, 농약으로 인한 수질오염의 우려가 있다. 또한, 지속적인 유지 관리비를 필요로 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대안으로 인조잔디가 널리 활용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인조잔디는 특성상 충진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납 성분 등 유해물질이 검출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배수기능이 원활하지 못할 경우 지반침하 등의 심각한 문제가 발생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621678호는 "인조잔디 운동장용 배수블록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운동장에 사각돌기가 형성된 배수블록을 포설하고 그 상부에 인조잔디 매트가 설치된다. 또한, 배수블록은 전후좌우로 동일한 모양의 배수블록들이 연결되며 우수(雨水)가 운동장으로 누수되지 않고 돌기 사이로 배수가 되어 운동장 외곽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등록특허 제0621678호의 배수블록은 외부 온도 변화에 따라서 배수블록의 수축 및 팽창이 발생하여 배수블록들 간의 연결부위의 뒤틀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배수블록 간의 연결부위 뒤틀림이 발생할 경우 우수(雨水)가 운동장으로 누수되어 결국 지반침하 등의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배수블록 연결부위의 뒤틀림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배수 블록간의 견고한 체결구조를 고안하였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구조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41694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르면 배수블록의 소재가 폴리프로필렌(PP)과 같은 견고한 재질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 온도에 따른 수축 팽창의 문제점은 근본적으로 해결이 될 수 없으며, 외부 충격에 따른 흡수성이 우수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621678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04169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폴리프로필렌(PP)과 같은 견고한 재질의 배수블록을 사용하더라도 외부 기온 변화에 따른 수축 팽창과 같은 변형이 방지될 수 있는 배수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인조잔디를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안전성이 강화된 배수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압축 하중력이 강화되며 단열, 경량화 및 흡음성을 극대화한 배수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용 배수블록은,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사각형상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인접한 2개면에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는 날개부; 상기 날개부의 상부면에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며 인접한 배수블록의 몸체부에 형성된 돌기 하부로 삽입 체결되는 돌기 형상의 연결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 날개부 및 연결돌기는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수지를 이용하여 사출성형 방식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사출성형시 수분을 첨가하여 발포시킴으로써 상기 몸체부, 날개부 및 연결돌기의 내부에 다수의 초미세 기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블록은 상기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수지와 함께 유리섬유(glass fiber)를 첨가하여 발포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초미세 기포는 직경이 1μm 미만이며, 상기 배수블록 전체 부피의 2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상기 돌기의 외부면은 하부면에서 인조잔디에 접하는 상부면으로 갈수록 표면적이 점차적으로 좁은 테이퍼 형상을 하며, 상기 돌기의 내부면은 하부면이 개구부이며 상기 인조잔디와 접하는 상부면으로부터 발생되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아치(arch)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날개부가 형성되지 않은 대응되는 2개면의 마지막 돌기열은 인접한 배수블록의 날개부가 하부로 삽입되며, 상기 날개부의 상기 연결돌기가 상기 돌기열의 대응되는 돌기 하부면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돌기의 외부면이 아치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용 배수블록은,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사각형상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인접한 2개면에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는 날개부; 상기 날개부의 상부면에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며 인접한 배수블록의 몸체부에 형성된 돌기 하부로 삽입 체결되는 돌기 형상의 연결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 날개부 및 연결돌기는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수지를 이용하여 사출성형 방식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사출성형시 수분 또는 유리섬유를 첨가하여 발포시킴으로써 상기 몸체부, 날개부 및 연결돌기의 내부에 다수의 초미세 기포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상기 돌기의 외부면은 하부면에서 인조잔디에 접하는 상부면으로 갈수록 표면적이 점차적으로 좁은 테이퍼 형상을 하며, 상기 돌기의 내부면은 하부면이 개구부이며 상기 인조잔디와 접하는 상부면으로부터 발생되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아치(arch)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프로필렌(PP)과 같은 견고한 재질의 배수블록을 사용하더라도 내부에 형성된 다수의 기포를 통해서 외부의 기온변화를 흡수함으로써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 팽창이 극소화되어 배수블록의 뒤틀림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무수히 많은 기포층으로 인하여 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배수블록 자체가 경량화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배수블록의 돌기 구조를 통해서 압축 하중력이 보다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블록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블록의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블록 내부 재질의 특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블록의 돌기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블록 간의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며,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함에 유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블록의 평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블록의 저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용 배수블록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태로 구성된 몸체부(100)와, 몸체부(100) 상부면에 돌출 형성되어 규칙적으로 배열된 다수의 돌기(10)와, 몸체부(100)의 인접한 2개 면에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된 날개부(200)와, 날개부(200)의 상부면에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연결돌기(20)를 포함한다.
돌기(10), 몸체부(100), 날개부(200) 및 연결돌기(20)는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등 비교적 견고한 재질의 소재를 이용하여 사출성형 방식으로 일체로 형성된다.
이중 PPS(polyphenylene sulphide) 수지는 치수 안정성이 가장 뛰어난 열가소성 플라스틱(결정성 폴리머) 중 하나로, 높은 온도와 침식적인 환경에서도 그 강도를 유지하고 탁월한 내화학성 및 내열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어서 고온의 내화학성이 요구되는 분야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특히 PPS는 기계적 강도는 강하고 온도 의존성은 낮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PPS 수지는 자체 난연성을 가지고 있어서 난연제 없이도 난연화가 가능한 친환경 난연수지이며,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유리섬유 또는 무기물을 첨가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수블록의 몸체부(100)에는 볼록한 "凸" 형상의 돌기(10)가 돌출 형성된다. 돌기(10)의 상부면에는 인조잔디가 포설되어 상부로부터 발생되는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돌기(10)의 크기와 개수가 결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돌기(10)는 가로방향으로 15개, 세로 방향으로 15개씩 총 225개로 형성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단위면적당 돌기(10)의 개수가 증가하도록 배수블록을 구성할 경우 지지력이 증가할 수 있지만 배수블록 제조시 복잡도 및 제조원가가 늘어나는 점을 고려하여 적절히 형성할 수 있다.
돌기(10)의 상부에는 인조잔디(도시하지 않음)가 포설되며, 우수(雨水)가 발생되면 인조잔디를 통과하여 배수블록의 상단으로 우수(雨水)가 유입되게 된다.
배수블록 상단으로 유입된 우수(雨水)는 돌기(10)를 통해서 배수블록 상부 표면으로 자연스럽게 흘러내리도록 유도되며, 돌기(10)의 사이로 우수(雨水)를 유도하여 운동장 가장자리까지 자연스럽게 배수가 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돌기(10)의 상부면에는 인조잔디와 돌기(10) 상부면이 완전히 밀착되지 않도록 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배수블록과 배수블록간의 연결부위에서도 우수(雨水)가 누수되지 않도록 날개부(200)를 형성하여 연결한다.
날개부(200)의 길이는 돌기(10)의 하부면 폭보다 넓으며, 날개부(200)는 인접한 배수블록의 날개부(200)가 형성되지 않은 대응되는 2개 면의 마지막 돌기열 하부로 삽입된다. 이때, 날개부(200)의 연결돌기(20)가 상기 마지막 돌기열의 대응되는 돌기 하부면으로 삽입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돌기(20)는 후크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연결돌기에 대응되는 날개부(200)가 형성되지 않은 돌기열의 돌기는 후크 형상의 연결돌기(20)가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후크 결합홈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견고한 연결 구조를 통해서 배수 블록이 수축/팽창되더라도 배수 블록간의 연결부위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배수블록은 인접한 배수블록이 전후좌우로 모두 연결되더라도 전체적으로 같은 높이와 돌기 모양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결부위, 즉 날개부의 연결돌기(20)들도 돌기의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배수블록에 사용되는 PP 또는 PPS 재질은 외부 온도에 따른 수축과 팽창이 발생하기 때문에 본 발명은 이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배수블록 성형방법을 제안한다.
돌기(10), 몸체부(100), 날개부(200) 및 연결돌기(20)는 PP 또는 PPS 등의 수지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수분 또는 유리섬유(glass fiber)를 첨가하여 발포 성형을 수행함으로써 무수히 많은 초미세 기포를 재질 내부에 형성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블록의 성형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고체상태의 PP 또는 PPS 수지 알갱이(pellet) 들을 열 또는 기계적 마찰을 가하여 녹이고 이와 같은 원료에 수분 또는/및 유리섬유를 첨가한다.
상기 수분을 원료에 첨가할 경우 금형 사출시 수분이 금형 내에서 기화 발포되어 원료 내부에 기포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유리섬유를 원료에 첨가할 경우에 유리섬유와 수지가 1:200의 냉각 차이를 갖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기포층이 형성될 수 있으며, 나아가 유리섬유의 특성에 의해 재질이 보다 단단한 강도를 보유하게 된다.
수분 또는/및 유리섬유를 용융 상태의 원료와 혼합한 후, 균일하게 섞일 수 있도록 실린더 내에서 잘 배합시키고, 열을 가하여 액체와 기체를 구분할 수 없는 초임계상태로 변화시킨다.
이후, 혼합원료를 사출기에 주입하여 배수블록을 형성하기 위한 금형의 내부로 주입한다. 이때, 수지 원료와 수분/유리섬유 등은 초임계 유체 상태로서 압력차가 발생하여 PP 또는 PPS 내부에서 수분이 발포되고 수분이 있던 공간은 다수의 초미세 기포가 균일하게 형성된다.
이후, 소정 시간 동안 금형 내부에서 응고되며 이 과정에서 유리섬유와 수지의 냉각차에 의해서 다수의 초미세 기포가 생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블록 내부 재질의 특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단면도이다.
도 3은 앞서 설명한 초미세 기포 생성 과정을 통해서 생성된 배수블록의 내부 재질을 확대한 도면으로서, PP 또는 PPS 내부에는 수분이 발포되면서 생성된 다수의 초미세 기포(30)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유리섬유만을 첨가하여 수지와 유리섬유의 냉각 차이를 이용하여, 도 3과 같은 초미세 기포(30)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초미세 기포(30)를 형성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알칸이나 염불화알칸 등의 발포제를 수지 원료에 첨가함으로써, 발포제가 열분해 반응시 발생하는 탄산가스 또는 질소 가스를 이용하여 기포층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탄산 또는 질소 가스 등은 오존층 파괴 등의 환경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은 수분/유리섬유를 활용할 경우 친환경적인 생산/제조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한편, 수분 및 유리섬유를 원료에 혼합할 때, 실린더에 스크류 등을 활용하여 첨가물이 원료 내부에 조밀하고 균일하게 섞일 수 있도록 배합함으로써, 초미세 기포(30)가 재질 전체적으로 조밀하고 균일하게 발생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초미세 기포(30)가 배수블록 소재 내부에 조밀하고 균일하게 다수 형성될 경우, 초미세 기포(30)로 인한 탄성력이 배수블록 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 온도의 변화를 초미세 기포(30)들이 흡수함으로써, 온도 변화에 따른 배수블록의 수축/팽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수블록의 압축 하중력이 초미세 기포(30) 및 유리섬유로 인하여 강화될 수 있으며, 배수블록 자체가 경량화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상기 초미세 기포(30)가 배수블록 내부에 다수 형성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수블록 내부에 형성된 초미세 기포(30)의 직경은 100μm ~ 1μm 이며, 전체 배수블록의 부피 중 초미세 기포(30)가 대략 15% 내지 30%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초미세 기포(30)가 전체 배수블록 부피의 5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배수블록의 강도가 저하될 수도 있으며 이로 인해 배수블록의 균열/깨짐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가장 바람직하게는 초미세 기포(30)가 전체 배수블록 부피의 20% 정도가 되도록 구성한다.
배수블록 내에 함유되는 초미세 기포(30)의 부피는 수분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블록의 돌기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블록은 압축 하중력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돌기(10)의 모양을 아치형으로 형성한다.
아치(arch)는 개구부를 확보하며 상당한 하중을 압축 응력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만든 곡선 형태의 구조물이며, 인장 응력이 작용하지 않는 구조적 특징이 있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 내부가 개방된 구조라고 하더라도 아치 형상을 갖도록 내부 단면을 설계함으로써 상부로부터 받는 압축 하중력이 충분히 분산되는 효과가 있다.
하기 표 1은 돌기의 내부를 아치형으로 형성한 배수블록의 압축 강도를 실험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13069607725-pat00001
상기 압축강도 시뮬레이션은 속도 10mm/min의 정속압축 조건으로 배수블록의 압축강도를 테스트한 것이며, 시험결과를 참조하면 배수블록의 크기/두께 및 돌기의 개수를 동일하게 유지하고 돌기 내부 형상만을 아치형으로 변경하더라도, 기존 압축 하중이 약 18톤이었으나 25.2톤으로 현저하게 강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블록 간의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블록 A 및 B의 몸체부(100a 및 100b)에 형성된 돌기(10)의 외부면은 하부면에서 인조잔디에 접하는 상부면으로 갈수록 표면적이 점차적으로 좁은 테이퍼 형상을 하며, 돌기(10)의 내부면은 하부면이 개구부이며 상기 인조잔디와 접하는 상부면으로부터 발생되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아치(arch)형으로 형성된다.
인접한 두 개의 배수블록(A 및 B)은 전후좌우로 모두 동일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배수블록 B의 날개부가 형성되지 않은 대응되는 2개면의 마지막 돌기열(21) 하부는 인접한 배수블록 A의 날개부(200)가 삽입된다. 또한, 배수블록 A의 날개부(200)의 연결돌기(20)가 상기 돌기열의 대응되는 돌기(21) 하부면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연결돌기(20)의 외부면이 아치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돌기(20)는 경우에 따라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 형상의 아치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연결돌기(20)에 대응되는 배수블록 B의 날개부(200)가 형성되지 않은 돌기열의 돌기(21)는 후크 형상의 연결돌기(20)가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후크 결합홈이 구성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100a, 100b : 몸체부 200 : 날개부
10 : 돌기 20 : 연결돌기
30 : 초미세 기포

Claims (6)

  1. 인조잔디용 배수블록에 있어서,
    다수의 돌기(10)가 형성된 사각형상의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의 인접한 2개면에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는 날개부(200);
    상기 날개부(200)의 상부면에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며 인접한 배수블록의 몸체부에 형성된 돌기(10) 하부로 삽입 체결되는 돌기 형상의 연결돌기(20)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100), 날개부(200) 및 연결돌기(20)는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수지를 이용하여 사출성형 방식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사출성형시 수분을 첨가하여 발포시킴으로써 상기 몸체부(100), 날개부(200) 및 연결돌기(20)의 내부에 다수의 초미세 기포(30)가 형성되되,
    상기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수지 원료에 상기 수분을 첨가하여 스크류를 이용하여 배합함으로써 상기 초미세 기포(30)가 조밀하고 균일하게 발생되도록 하며,
    상기 몸체부(100)에 형성된 상기 돌기(10)의 외부면은 하부면에서 인조잔디에 접하는 상부면으로 갈수록 표면적이 점차적으로 좁은 테이퍼 형상을 하며, 상기 돌기(10)의 내부면은 하부면이 개구부이며 상기 인조잔디와 접하는 상부면으로부터 발생되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아치(arch)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블록은 상기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수지와 함께 유리섬유(glass fiber)를 첨가하여 발포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블록.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초미세 기포(30)는,
    직경이 1μm 미만이며, 상기 배수블록 전체 부피의 2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블록.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가 형성되지 않은 대응되는 2개면의 마지막 돌기열은 인접한 배수블록의 날개부가 하부로 삽입되며, 상기 날개부의 상기 연결돌기(20)가 상기 돌기열의 대응되는 돌기 하부면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돌기(20)의 외부면이 아치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블록.
  6. 삭제
KR1020130090910A 2013-07-31 2013-07-31 인조잔디용 배수블록 KR101334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910A KR101334443B1 (ko) 2013-07-31 2013-07-31 인조잔디용 배수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910A KR101334443B1 (ko) 2013-07-31 2013-07-31 인조잔디용 배수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4443B1 true KR101334443B1 (ko) 2013-11-29

Family

ID=49858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0910A KR101334443B1 (ko) 2013-07-31 2013-07-31 인조잔디용 배수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44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8216B1 (ko) * 2019-11-12 2021-02-22 주식회사 조이필드 인조잔디용 충격흡수 배수판
KR102386911B1 (ko) * 2021-05-13 2022-04-14 메버텍주식회사 복원력이 우수한 미세플라스틱 저감용 인조잔디용 배수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694B1 (ko) * 2011-01-28 2011-06-14 코스코디에스 주식회사 배수 블럭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20130074805A (ko) * 2011-12-15 2013-07-05 삼성토탈 주식회사 미세 사출 발포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694B1 (ko) * 2011-01-28 2011-06-14 코스코디에스 주식회사 배수 블럭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20130074805A (ko) * 2011-12-15 2013-07-05 삼성토탈 주식회사 미세 사출 발포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8216B1 (ko) * 2019-11-12 2021-02-22 주식회사 조이필드 인조잔디용 충격흡수 배수판
KR102386911B1 (ko) * 2021-05-13 2022-04-14 메버텍주식회사 복원력이 우수한 미세플라스틱 저감용 인조잔디용 배수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3159B1 (ko) 배수블록
EP3354794B1 (en) A support layer for supporting an artificial turf assembly, and artificial turf system
KR102424160B1 (ko) 배수성이 우수한 충격흡수패드
KR101334443B1 (ko) 인조잔디용 배수블록
CN203475238U (zh) 一种纤维增强合成轨枕
KR102267726B1 (ko) 인조잔디용 섬유보강 탄성 배수판
KR101572964B1 (ko) 모듈 형태의 조립식 타일
KR100922137B1 (ko) 초속경형 도로 보수제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ES2810981T3 (es) Material de relleno para superficies de césped artificial y estructura de superficie de césped artificial y método de producción de dicho material de relleno
JP2007197944A (ja) 可変パッド
KR20090099507A (ko) 복합재료 맨홀뚜껑과 이를 포함하는 복합재료 맨홀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065896B1 (ko) 친환경 인조잔디용 또는 놀이터용 천연 충격흡수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ES2587011T3 (es) Uso de un material de revestimiento para la unión directa a un elemento de hormigón
KR20130106490A (ko) 인조잔디매트
KR102095971B1 (ko) 고탄성고무 첨가 구스아스팔트 혼합물
KR101627582B1 (ko) 조립성능이 향상된 모듈 형태의 조립식 타일
KR101572962B1 (ko) 모듈 형태의 조립식 타일
KR200274507Y1 (ko) 이중보도블록
KR20150142500A (ko) 파티션이 가능한 절개면을 구비한 모듈 형태의 조립식 타일
JP2006063149A (ja) 長繊維強化ポリウレタン発泡樹脂、並びに、まくら木
ES2244839T3 (es) Dispositivo para el soporte elastico de un riel de garganta.
EP2388375A1 (en) Drainage system providing damping properties
KR102015830B1 (ko) 인터록킹이 유지되면서 바인더 함량을 증가시켜 방수성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혼합물
KR102037208B1 (ko) 에어백이 구비된 친환경 부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34304B1 (ko) 재활용 페트칩을 이용한 경량 블록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0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3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9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11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9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11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9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3110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11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09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1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1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