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4097B1 - 캐니스터용 필터유닛 - Google Patents

캐니스터용 필터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4097B1
KR101684097B1 KR1020150051933A KR20150051933A KR101684097B1 KR 101684097 B1 KR101684097 B1 KR 101684097B1 KR 1020150051933 A KR1020150051933 A KR 1020150051933A KR 20150051933 A KR20150051933 A KR 20150051933A KR 101684097 B1 KR101684097 B1 KR 101684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ir
air port
main filter
diff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1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1984A (ko
Inventor
김창한
이재민
김명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1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4097B1/ko
Priority to US14/951,986 priority patent/US9764271B2/en
Priority to CN201510906672.3A priority patent/CN106050482B/zh
Priority to CN202010376689.3A priority patent/CN111535946B/zh
Publication of KR20160121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1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4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4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07Constructional details of adsorbing systems
    • B01D53/0423Beds in colum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5/0854Details of the absorption canis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2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70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2257/00 - B01D2257/602
    • B01D2257/702Hydrocar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5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B01D2259/4516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fuel vapour recovery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5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B01D2259/4566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use in transporta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Supplying Secondary Fuel Or The Like To Fuel, Air Or Fuel-Air Mixture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니스터의 내부에 구비되어 에어포트 측으로 유입 또는 배출되는 공기의 이물질 또는 미분을 제거하는 필터유닛에 관한 것이다.
첫 번째, 에어포트와 활성탄 사이에 고리 형상으로 이어진 판으로 측 방향으로 공기를 투과할 수 있게 구비되어 공기중의 이물질 또는 미분을 걸러내는 메인필터와; 상기 메인필터의 상부에 융착 구비되어 에어포트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가로방향으로 분산시키는 탑커버와; 상기 메인필터의 하부에 융착 구비되며, 메인필터를 통과한 공기가 활성탄 측으로 통기되는 복수의 제1확산공을 갖는 로어커버와; 상기 로어커버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활성탄이 제1확산공으로 유입을 차단하는 보조필터를 포함하는 캐니스터용 필터유닛을 제공한다.
두 번째, 캐니스터의 내부에 구비되어 에어포트 측으로 유입 또는 배출되는 공기의 이물질 또는 미분을 제거하는 필터유닛에 있어서, 에어포트와 활성탄 사이에 구비되어 공기중의 이물질 또는 미분을 걸러내는 메인필터와; 상기 메인필터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에어포트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확산시키는 복수의 제2확산공이 관통 형성된 확산판과; 상기 확산판의 하부에 형성된 연장플랜지에 결합되며, 상기 메인필터를 평행하게 지지하는 필터지지판를 포함하는 캐니스터용 필터유닛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이물질 또는 미분에 의한 필터 막힘 현상을 방지하여 연료탱크의 크랙 및 엔진 시동 정지 현상을 미리 예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증발가스 규제에 따른 블리드 에미션을 줄여 환경오염에 따른 피해 및 차량의 연료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캐니스터용 필터유닛{Filter unit for Canister}
본 발명은 캐니스터용 필터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물질 또는 미분(캐니스터 활성탄 가루)으로 인해 발생하는 필터의 막힘 현상을 방지하고, 증발가스 법규에 따른 블리드 에미션을 줄일 수 있는 캐니스터용 필터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중 가솔린을 연료로 사용하는 자동차의 연료장치는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 연료탱크에 저장된 연료를 펌핑하여 엔진으로 공급하는 연료펌프, 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연료필터, 연료의 이송을 엔진으로 안내하는 연료라인 등이 포함되어 있다.
한편, 가솔린연료는 기화에 의해 연료증발가스(HC GAS, 탄화수소가스 이하, HC가스로 칭함.)가 다량 발생하는데, 이로 인해 연료의 손실뿐만 아니라 대기를 오염시키는 주원인이 된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코자 연료탱크로부터 발생하는 HC가스를 포집 및 저장하는 캐니스터(canister)가 필수적으로 구비된다.
상기 캐니스터(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솔린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로부터 증발된 HC가스를 흡수할 수 있는 흡착성 물질을 소정용적의 케이스(11) 내부에 충전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통상 흡착성 물질로는 활성탄(16, actvated carbon)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캐니스터(10)는 엔진이 정지된 상태에서는 HC가스를 활성탄(16)에 흡착시키고, 엔진이 구동할 때 활성탄(16)에 흡착된 HC가스를 에어포트(12)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확산시켜 퍼지포트(13)를 통해 연료계통을 따라 엔진으로 공급시킨다.
그러나, 종래 캐니스터(10)는 도 2에 도시된 작동상태도에 의하면, 차량의 주행 시 에어포트(12)로 유입되는 공기가 에어필터(15)를 통과하면서 캐니스터(10)에 수용된 활성탄(16)에 흡착된 HC가스를 퍼지포트(13)를 통해 배출하는 동안 외부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에어필터(15)에 걸려 막힘 현상이 발생한다.
그리고, 종래 캐니스터(10)는 도 3에 도시된 작동상태도에 의하면, 주유 시 로딩포트(14)를 통해 연료탱크의 공기를 에어포트(12)로 배출하는 과정에서 캐니스터(10)를 통과한 활성탄(16)의 미분이 에어필터(15)에 걸리는 등의 막힘 현상이 발생한다.
상기한 두 경우에 의해 에어필터(15)가 막히게 되면, 엔진의 폭발진동이 연료탱크에 그대로 전달되어 연료탱크의 크랙이 발생하게 되며, 공기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잦은 시동 꺼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캐니스터(10)의 에어필터(15)가 막히게 되면 차량의 안전을 위해 캐니스터(10)를 교환해야 하므로 이에 따른 보수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환경오염의 심화로 인하여 최근 세계각국에서는 자동차의 배기가스(Tailpipe Emission) 규제뿐만 아니라 증발가스(Evaporative Emission) 규제까지 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증발가스 규제는 차량의 연료탱크에서 자연증발에 의해서 발생하는 HC가스를 대기 중으로 방출하지 않도록 규제하는 것으로 차량 주행은 물론, 주/정차 시 대기 중으로 자연 방출되는 연료의 손실을 최소한으로 제한하여 환경오염을 줄이고자 함이다.
이에 대하여, 증발가스를 가장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도록 하는 부품으로 캐니스터(10)가 대표적이다.
그러나, 종래 캐니스터(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활성탄(16)이 HC가스를 흡수해서 그 농도가 높아질 경우 캐니스터(10) 내부의 농도 차이에 의한 증발가스의 확산 현상을 피할 수 없으며, 이때 캐니스터(10)의 용량이 작을 경우 증발가스 방출(Bleed Emission, 블리드 에미션 이하, BLEEED EM으로 칭함.)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대하여, 캐니스터(10)의 BLEEED EM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활성탄(16)의 용량을 증가시켜 포집할 수 있는 HC가스의 양을 늘리는 방법이 효과적이나, 이에 따른 비용 증가 및 캐니스터(10) 크기가 증가하여 장착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사용되지 않고 있다.
또, 한가지 방법으로는 증발가스가 통과하는 통로의 단면적과 길이를 증대시켜서 BLEEED EM을 저감하는 방법으로 격벽을 설치하거나 원통형 관로를 삽입하여 구성할 수 있으나 통기 저항이 증가하여 연료 주유 시 연료가 역류하는 스피트백(Spit Back) 현상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활성탄(16)에 흡착되지 못한 HC가스가 쉽게 에어포트(12)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게 되므로 결국 BLEED EM으로 인해 증발가스 규제 법규를 만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JP 1994-053748 U JP 1998-090656 A KR 1040965 B1 KR 0124898 Y1 KR 0179584 Y1 JP 1982-008345 A JP 1982-048324 A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에어포트에 인접하는 캐니스터의 내부에 유입 공기를 확산시켜 필터링 면적을 극대화 하는 필터유닛을 적용함으로써, 이물질 또는 미분에 의한 필터 막힘 현상을 최소화하고, 증발가스 규제에 따른 블리드 에미션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캐니스터용 필터유닛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캐니스터의 내부에 구비되어 에어포트 측으로 유입 또는 배출되는 공기의 이물질 또는 미분을 제거하는 필터유닛에 있어서, 에어포트와 활성탄 사이에 고리 형상으로 이어진 판으로 측 방향으로 공기를 투과할 수 있게 구비되어 공기중의 이물질 또는 미분을 걸러내는 메인필터와; 상기 메인필터의 상부에 융착 구비되어 에어포트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가로방향으로 분산시키는 탑커버와; 상기 메인필터의 하부에 융착 구비되며, 메인필터를 통과한 공기가 활성탄 측으로 통기되는 복수의 제1확산공을 갖는 로어커버와; 상기 로어커버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활성탄이 제1확산공으로 유입을 차단하는 보조필터를 포함하는 캐니스터용 필터유닛을 제공한다.
또한, 캐니스터의 내부에 구비되어 에어포트 측으로 유입 또는 배출되는 공기의 이물질 또는 미분을 제거하는 필터유닛에 있어서, 에어포트와 활성탄 사이에 구비되어 공기중의 이물질 또는 미분을 걸러내는 메인필터와; 상기 메인필터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에어포트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확산시키는 복수의 제2확산공이 관통 형성된 확산판과; 상기 확산판의 하부에 형성된 연장플랜지에 결합되며, 상기 메인필터를 평행하게 지지하는 필터지지판를 포함하는 캐니스터용 필터유닛을 제공한다.
상기 메인필터는 길이 방향을 따라 자바라 형상으로 절곡되어 필터링 면적이 더욱 증가 형성되며, 상기 로어커버 또는 확산판에 형성되는 제1,2확산공은 상기 메인필터 또는 보조필터의 가장자리로 공기를 유도할 수 있게 중심으로부터 가장자리로 갈수록 지름이 점점 커지는 형상으로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이물질 또는 미분에 의한 필터 막힘 현상을 방지하여 연료탱크의 크랙 및 엔진 시동 정지 현상을 미리 예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증발가스 규제에 따른 블리드 에미션을 줄여 환경오염에 따른 피해 및 차량의 연료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캐니스터의 단면 구성도.
도 2는 차량 주행 시 종래 캐니스터의 작동상태도.
도 3은 차량 주유 시 종래 캐니스터의 작동상태도.
도 4는 종래 캐니스터에서 에어필터의 막힘으로 인해 퍼지 효율 저하 상태를 도시한 과정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캐니스터용 필터유닛의 제1실시예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캐니스터용 필터유닛의 제1실시예 분해상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캐니스터용 필터유닛의 제1실시예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캐니스터용 필터유닛의 제2실시예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캐니스터용 필터유닛의 제2실시예 분해상태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캐니스터용 필터유닛의 제2실시예 작동상태도.
도 11은 종래 캐니스터의 에어필터와 본 발명의 캐니스터용 필터유닛의 적용에 따른 공기 유동 해석 비교표.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동일한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캐니스터(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에어포트(12) 측으로 유입 또는 배출되는 공기의 이물질 또는 미분을 제거하는 것으로 캐니스터(10)에 적용되는 필터유닛(100)에 과한 것으로 두 가지 실시예의 구조로 기술을 제안한다.
<제1실시예>
본 발명의 캐니스터용 필터유닛(100)은 도 5의 제1실시예 구성도와, 도 6의 제1실시예 분해상태 구성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적으로 에어포트(12)와 활성탄(16) 사이에 고리 형상으로 이어진 판으로 측 방향으로 공기를 투과할 수 있게 구비되어 공기중의 이물질 또는 미분을 걸러내는 메인필터(1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필터(110)의 상부에는 에어포트(1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가로방향으로 분산시키는 탑커버(120)가 융착 구비된다.
상기 탑커버(120)로 인해 상기 에어포트(1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메인필터(110)에 직접적으로 투과되는 것이 아니라, 탑커버(120)에 부딪쳐 탑커버(120)의 면적을 따라 넓게 퍼지면서 우회하여 상기 메인필터(110)를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탑커버(120)로 인해 공기를 우회시켜 메인필터(110)의 필터링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에어포트(12)와 탑커버(120)의 사이에는 공기의 원활한 유동을 위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메인필터(110)의 하부에는 메인필터(110)를 통과한 공기가 활성탄(16)측으로 통기할 수 있게 복수의 제1확산공(131)을 갖는 로어커버(130)가 융착 구비된다.
즉, 상기 메인필터(11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로어커버(130)의 제1확산공(131)을 통해 하측에 구비된 활성탄(16) 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로어커버(130)의 하부에는 상기 활성탄(16)이 제1확산공(131)으로 유입을 차단하는 보조필터(140)가 구비되어 각 구성요소를 조합하여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보조필터(140)에 의해 상기 에어포트(12)를 통해 활성탄(16)이 유실되는 것을 미리 차단할 수 있으며, 메인필터(110)를 통해 1차적으로 필터링 된 공기를 2차 필터링하므로 엔진에 공급되는 공기를 더욱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어커버(130)의 하측에는 상기 보조필터(140)가 안정적을 위치할 수 있게 수용공간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케이스(11)의 에어 측 삽입공(17)에 끼움 결합되도록 둘레를 따를 바깥쪽으로 하향 경사진 스커트(133)가 더 형성된다.
즉, 상기 스커트(133)에 의해 전체적으로 융착 결합되어 일체로 이루어진 필터유닛(100)을 상기 삽입공(17)에 억지 끼움으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11)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활성탄(16)을 상기 필터유닛(100)측으로 밀착 지지하는 탄성패널(18)에 의해 유동되지 않게 고정 설치된다.
<제2실시예>
본 발명의 캐니스터용 필터유닛(100)은 도 8의 제2실시예 구성도와, 도 9의 제2실시예 분해상태 구성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적으로 에어포트(12)와 활성탄(16) 사이에 구비되어 공기중의 이물질 또는 미분을 걸러내는 메인필터(11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필터(110)의 상부에는 상기 에어포트(12)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확산시키는 복수의 제2확산공(151)이 관통 형성된 확산판(150)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포트(1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확산판(150)에 충돌하면서 제2확산공(151)을 통해 상기 메인필터(110)의 전체 면적에 고르게 퍼져 필터링 되므로 필터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확산판(150)의 하부에 형성된 연장플랜지(153)에 결합되며, 상기 메인필터(110)를 평행하게 지지하는 필터지지판(160)을 포함하여 각 구성요소를 조합하여 구성한다.
이때, 상기 필터지지판(160)은 중앙이 관통된 띠 형상으로 상기 메인필터(110)의 테두리만을 지지하거나, 상기 메인필터(110)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망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확산판(150)의 각 모서리에는 상기 에어포트(12)로부터 이격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케이스(11)의 내측에 지지되는 이격돌기(155)가 더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이격돌기(155)를 통해 상기 케이스(11)의 상부에 체결되는 피스에 의해 상기 이격돌기(155)를 고정하여 전체적으로 한 몸으로 이루어진 필터유닛(100)을 상기 에어포트(12)에 인접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필터(110)는 공기의 이물질 제거를 위한 필터링 면적을 최대한 증가하기 위해 길이 방향을 따라 자바라 형상으로 연속 절곡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로어커버(130) 또는 확산판(150)에 형성되는 제1,2확산공(131,151)은 상기 메인필터(110) 또는 보조필터(140)의 가장자리로 공기를 유도할 수 있게 중심으로부터 가장자리로 갈수록 지름이 점점 커지는 형상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중앙에 작은 지름으로 형성된 제1,2확산공(131,151)을 중심확산부(A)로하고, 주변에 큰 지름으로 형성된 제1,2확산공(131,151)을 주변확산부(B)로 분류하여 설명하면, 상기 에어포트(12)를 통해 빠른 유속의 공기가 중심확산부(A)를 통과할 때 작은 지름에 의해 높은 유량으로 통과하지 못하고 주변확산부(B)를 통해 통과한다.
결국, 고 유량의 공기를 주변확산부(B)를 통해 분산 통과할 수 있으므로 메인필터(110) 및 보조필터(140)의 전체면적을 모두 고르게 활용할 수 있어 필터링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각 실시예에 대한 구체적인 작용 및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제1실시예의 경우, 도 7의 제1실시예 작동상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a)상기 에어포트(12)를 따라 캐니스터(10)의 케이스(11)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탑커버(120)에 부딪히면서 그 면을 따라 방사방향으로 퍼져 케이스(11)와 탑커버(120)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부분으로 통과 한다.
이때, (b)상기 탑커버(120)의 둘레로 퍼져 있던 공기가 탑커버(120)와 로어커버(130)의 사이에 융착 구비된 메인필터(110)를 통과하여 1차 필터링과 함께 중앙으로 모인다.
이후 (c)상기 로어커버(130)의 제1확산공(131)을 통해 하부에 위치되는 보조필터(140)에 의해 2차 필터링된다.
따라서, (a),(b),(c)를 따라 순차적으로 공기가 진행하면서 두 차례 필터링되어 최대한 청결한 공기를 얻을 수 있으며, 상기 제1확산공(131)을 통해 기존에 중앙으로 집중되었던 공기를 활성탄(16)의 전 영역에 고르게 퍼져 HC가스를 용이하게 확산 배출 시키므로 BLEED EM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제2실시예의 경우, 도 10의 제2실시예 작동상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a)에어포트(12)를 따라 캐니스터(10)의 케이스(11)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확산판(150)에 부딪히면서 관통 형성된 복수의 제2확산공(151)을 통해 테두리 쪽으로 확산 하여 통과한다.
이때, 확산판(150)에 형성된 제2확산공(151) 중 중앙에 형성된 중심확산부(A)의 지름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름이 더 큰 주변확산부(B)를 통해 테두리 쪽으로 유도하여 (b)메인필터(110)의 전체 면적을 모두 활용하므로 최적의 필터링 효율을 갖는다.
더욱이, 주변확산부(B)에 의해 기존에 중앙으로 집중되었던 공기를 활성탄(16)의 전 영역에 고르게 퍼져 HC가스를 용이하게 확산배출 시키므로 BLEED EM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1,2실시예를 적용하여 공기를 필터링한 메인필터(110) 또는 보조필터(140)를 도 11에 도시된 종래 캐니스터의 에어필터와 본 발명의 캐니스터용 필터유닛(100)의 필터의 필터링 면적을 비교하면 알 수 있듯이 필터 면적을 고르게 활용할 수 있어 필터 수명을 종래에 보다 더욱 연장하여 비용절감에 효과적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이물질 또는 미분에 의한 필터 막힘 현상을 방지하여 연료탱크의 크랙 및 엔진 시동 정지 현상을 미리 예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증발가스 규제에 따른 BLEED EM을 줄여 환경오염에 따른 피해 및 차량의 연료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캐니스터 11: 케이스
12: 에어포트 13: 퍼지포트
14: 로딩포트 15: 에어필터
15: 활성탄 17: 삽입공
18: 탄성패널 100: 필터유닛
110: 메인필터 120: 탑커버
130: 로어커버 131: 제1확산공
133: 스커트 140: 보조필터
150: 확산판 151: 제2확산공
153: 연장플랜지 155: 이격돌기
160: 필터지지판 A : 중심확산부
B : 주변확산부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캐니스터(1)의 내부에 구비되어 에어포트(12) 측으로 유입 또는 배출되는 공기의 이물질 또는 미분을 제거하는 필터유닛(100)에 있어서,
    에어포트(12)와 활성탄(16)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에어포트(12)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확산시키도록 상기 에어포트(12)와 마주하게 위치되는 중심에서 가장자리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복수의 제2확산공(151)이 관통 형성되는 확산판(150)을 포함하고,
    상기 확산판(150)에 형성된 제2확산공(151)은 메인필터(110)의 가장자리로 공기를 유도할 수 있게 중심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점차 큰 지름으로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니스터용 필터유닛.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확산판(150)의 하부에 형성된 연장플랜지(153)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필터(110)를 평행하게 지지하는 필터지지판(1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니스터용 필터유닛.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메인필터(11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자바라 형상으로 절곡되어 필터링 면적이 더욱 증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니스터용 필터유닛.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확산판(150)의 각 모서리에는 상기 에어포트(12)로부터 이격 공간이 형성되도록 케이스(11)의 내측에 지지되는 이격돌기(155)가 더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니스터용 필터유닛.
KR1020150051933A 2015-04-13 2015-04-13 캐니스터용 필터유닛 KR101684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933A KR101684097B1 (ko) 2015-04-13 2015-04-13 캐니스터용 필터유닛
US14/951,986 US9764271B2 (en) 2015-04-13 2015-11-25 Filter unit for canister
CN201510906672.3A CN106050482B (zh) 2015-04-13 2015-12-09 用于滤罐的过滤器单元
CN202010376689.3A CN111535946B (zh) 2015-04-13 2015-12-09 用于滤罐的过滤器单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933A KR101684097B1 (ko) 2015-04-13 2015-04-13 캐니스터용 필터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1984A KR20160121984A (ko) 2016-10-21
KR101684097B1 true KR101684097B1 (ko) 2016-12-20

Family

ID=57111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1933A KR101684097B1 (ko) 2015-04-13 2015-04-13 캐니스터용 필터유닛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764271B2 (ko)
KR (1) KR101684097B1 (ko)
CN (2) CN1115359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11704A1 (ja) * 2014-01-23 2015-07-30 フタバ産業株式会社 グリッド、及び、このグリッドを用いたキャニスタ
KR20170123056A (ko) * 2016-04-28 2017-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 충전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48324A (en) 1980-09-05 1982-03-19 Hitachi Ltd Canister
JPS578345A (en) 1980-06-18 1982-01-16 Hitachi Ltd Canister
US4750923A (en) * 1985-11-08 1988-06-14 Aisan Kogyo Kabushiki Kaisha Canister for reducing fuel vapor loss
JPS6380057A (ja) * 1986-09-22 1988-04-11 Aisan Ind Co Ltd 蒸発燃料吸着用キヤニスタ
JPS6390656A (ja) 1986-10-03 1988-04-21 Hitachi Ltd 燃料蒸散防止用キヤニスタ
JP2943513B2 (ja) 1992-08-03 1999-08-30 日本電気株式会社 可変利得増幅器
JPH0653748U (ja) * 1992-12-25 1994-07-22 株式会社土屋製作所 燃料蒸気処理用カーボンキャニスタ
JP3266991B2 (ja) * 1993-06-21 2002-03-18 株式会社デンソー 自動車用キャニスタ
KR0124898Y1 (ko) 1994-06-16 1998-10-01 전성원 자동차의 증발가스 제어장치용 캐니스터
KR0179584B1 (ko) 1995-10-25 1999-05-15 유기범 전송로 운용 관리 시스템의 원격국 장치
JPH1090656A (ja) 1996-09-18 1998-04-10 Canon Inc 液晶装置
KR200179584Y1 (ko) 1997-11-14 2000-05-01 정몽규 자동차의 증발가스 제어장치용 캐니스터
JP3610757B2 (ja) * 1998-01-06 2005-01-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キャニスタ
DE19952092C1 (de) * 1999-10-29 2000-10-26 Daimler Chrysler Ag Aktivkohlefilter
US7008470B2 (en) * 2000-12-25 2006-03-07 Aisan Kogyo Kabushiki Kaisha Canister
CN100453959C (zh) * 2003-01-17 2009-01-21 西安交通大学 板翅式换热器流体分配封头
DE102004054114A1 (de) * 2003-12-30 2005-08-04 Hyundai Motor Co. Speicher eines Fahrzeuges
KR100956030B1 (ko) * 2008-03-03 2010-05-06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캐니스터 일체형 에어필터
JP5148352B2 (ja) * 2008-04-25 2013-02-20 愛三工業株式会社 キャニスタ
CN201334969Y (zh) * 2008-09-03 2009-10-28 中顺汽车控股有限公司 一种汽车滤油罐
KR101040965B1 (ko) 2008-11-05 2011-06-16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미분 유출 방지 구조를 갖는 캐니스터
JP5587217B2 (ja) * 2010-03-02 2014-09-10 愛三工業株式会社 キャニスタ
CN102266210B (zh) * 2010-06-02 2015-08-05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高效空气过滤器
KR101251052B1 (ko) * 2010-12-06 2013-04-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중 공기 유동경로를 가진 캐니스터
JP2012132402A (ja) * 2010-12-24 2012-07-12 Mahle Filter Systems Japan Corp キャニスタ
JP5600621B2 (ja) * 2011-03-16 2014-10-01 愛三工業株式会社 蒸発燃料処理装置
CN102444505A (zh) * 2011-12-12 2012-05-09 可附特汽车零部件制造(北京)有限公司 一种具有防止粉尘排出结构的汽车碳罐
EP2689952B1 (en) * 2012-07-26 2017-05-17 Kautex Textron GmbH & Co. Kg Fuel vapor storage and recover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050482B (zh) 2020-06-30
CN111535946A (zh) 2020-08-14
CN106050482A (zh) 2016-10-26
US9764271B2 (en) 2017-09-19
US20160296876A1 (en) 2016-10-13
KR20160121984A (ko) 2016-10-21
CN111535946B (zh) 2022-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2946B2 (en) Closure device for controlling evaporative emissions from a fuel tank
US9440184B2 (en) Apparatus for removing air contaminants
DE102011104630B4 (de) Adsorptionseinheit und Absorptionsschalldämpfer eines Ansaugtrakts einer Brennkraftmaschine
US8801840B2 (en) Evaporated fuel treating device
US20050081712A1 (en) Tangential in-line air filter
JP2007023786A (ja) キャニスタ
US20140165542A1 (en) Emission control devices for air intake systems
KR101684097B1 (ko) 캐니스터용 필터유닛
JP2014034909A (ja) キャニスタ
KR20190004800A (ko) 개선된 충전 특성을 갖는 자동차의 탱크 환기장치용 연료 증기 필터
JP7027271B2 (ja) 蒸発燃料処理装置
US20130183207A1 (en) Treatment Apparatus for Evaporated Fuel
KR101395923B1 (ko) 차량의 캐니스터 구조
US10480458B2 (en) Device having an activated carbon canister and motor vehicle having such a device
KR20180079427A (ko) 차량의 탄화수소 배출물 감소 장치
JP2021017869A (ja) 蒸発燃料処理装置
KR100882644B1 (ko) 차량용 캐니스터
US10214099B2 (en) Chamber for removing substances from a fluid
KR101685498B1 (ko) 차량용 캐니스터
KR100683368B1 (ko) 공간부가 형성된 차량용 캐니스터 장치
EP4265319A1 (en) Air dryer cartridge
EP1507081A1 (en) Evaporated fuel processing device
KR200374066Y1 (ko) 공간부가 형성된 차량용 캐니스터 장치
CN111790222A (zh) 吸附装置
KR20190108915A (ko) 차량용 캐니스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