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1788B1 - 관이음매 - Google Patents

관이음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1788B1
KR101681788B1 KR1020110028256A KR20110028256A KR101681788B1 KR 101681788 B1 KR101681788 B1 KR 101681788B1 KR 1020110028256 A KR1020110028256 A KR 1020110028256A KR 20110028256 A KR20110028256 A KR 20110028256A KR 101681788 B1 KR101681788 B1 KR 101681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ircumferential surface
lock ring
tube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8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0416A (ko
Inventor
히로시 오타
히로토시 미즈노
노리카즈 기타지마
요시타카 나카이
히로카즈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아론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론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론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110028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1788B1/ko
Publication of KR20120110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0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1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1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only by friction of the parts being joined
    • F16L37/02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only by friction of the parts being joined with an inner elastic part pressed against an outer part by reason of its elasti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2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a deformable member
    • F16K11/02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a deformable member with an 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2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used with sleeves or nipples for pipes of the same diameter, or with reduction pie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2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substantial longitudinal adjustment or movement
    • F16L27/125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substantial longitudinal adjustment or movement having longitudinal and rotary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only by friction of the parts being joined
    • F16L37/0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only by friction of the parts being joined with an elastic outer part pressing against an inner part by reason of its elasticity
    • F16L37/0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only by friction of the parts being joined with an elastic outer part pressing against an inner part by reason of its elasticity tightened by the pressure of a mechanical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37/3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only one of the two pipe-end fittings
    • F16L37/4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only one of the two pipe-end fittings with a lift valve being opened automatically when the coupling is applied
    • F16L37/4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only one of the two pipe-end fittings with a lift valve being opened automatically when the coupling is applied the valve having an axial bore communicating with lateral aper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4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a swivel nut or collar engaging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7Arrangement or mounting of 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or dra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과제] 접속관의 삽입 및 접속 조작이 간단하고, 또한 접속시, 삽입된 접속관이, 관이음매 안의 임의로 결정한 위치까지 도달해 있는지 아닌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전용의 접속관 삽입확인수단을 구비한 원터치식의 관이음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수단] 방사상으로 뻗은 가요성의 봉형상 부재를 갖는 C형 링형상 또는 O형 링형상의 부품을 관이음매의 수용부 안에 배치하고, 상기 봉형상 부재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접속관 삽입시, 상기 링형상의 부품이 접속관에 의해 안쪽 방향으로 밀어넣어지며, 그리고 관통구멍에 미리 세팅된 봉형상 부재가 외통체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끌려들어감으로써, 관이음매의 수용부 길이에 대한 접속관의 삽입확인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원터치식의 관이음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관이음매{PIPE JOINT}
본 발명은, 접속관 삽입확인수단을 구비한, 원터치로 접속관을 접속하기 위한 관이음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접속관을 받아들이기 위한 수용부를 형성하는 외통체(外筒體)와 내통체(內筒體)를 구비한 관이음매에 있어서, 접속관의 삽입 및 접속 조작이 간단하고, 또한 접속시, 삽입된 접속관이, 관이음매 안의 임의로 결정한 위치까지 도달하여, 연결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전용의 접속관 삽입확인수단을 구비한 원터치식의 관이음매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원터치로 접속관을 접속하기 위한 관이음매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일본 공개실용 평4-18793호 공보(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 2001-193883호 공보(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 2003-227592호 공보(특허문헌 3)에는, 동심(同心)으로 배치된 내측 통체와, 삽입구로 향하여 축경(縮徑)하는 테이퍼면을 구비한 외측 통체와의 사이에, 접속관을 걸어멈춤하기 위한 톱니 또는 돌기 등의 돌기물을 갖는 통 형상의 잠금 링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의 관이음매가 개시되어 있다. 이 타입의 관이음매에서는, 접속관을 최심부까지 삽입한 후, 되돌림으로써, 잠금 링을 삽입구(揷入口) 부근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잠금 링의 돌기부를, 외측 통체의 삽입구 부근에 형성된 테이퍼면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접속관의 외주면으로 들어가게 하도록 축경시킴으로써 접속관의 빠짐을 방지한다.
일본 공개특허 2005-172218호 공보(특허문헌 4)에는, 상기 특허문헌 1 내지 3에 기재된 관이음매와 대략 같은 구성을 갖는 것이지만, 관이음매의 내부에 삽입된 접속관을 내측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내측 통체를 구비하지 않은 타입의 원터치식의 관이음매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WO2006/135227호 공보(특허문헌 5)에는, 상기 특허문헌 1 내지 3에 기재된 관이음매외의 변형예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5에 기재된 원터치식의 관이음매에서는, 외측 슬리브 및 내측 슬리브가 모두 삽입구의 간극을 좁히는 방향의 테이퍼면을 가지고 있고, 그리고 그들 사이에는 접속관을 수용할 수 있도록, 톱니를 갖고 동심(同心)으로 배치된 외측 그립링 및 내측 그립링과, 그리고 양 그립링을 최심부에서 연결하는 바닥부로 이루어지는 통 형상의 잠금 링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관이음매의 내부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잠금 링을 갖는 타입 이외의 원터치식의 관이음매로서는, 일본 공개특허 평9-236190호 공보(특허문헌 6), 일본 공개특허 2006-118704호 공보(특허문헌 7), 일본 공개특허 2008-164074호 공보(특허문헌 8)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원터치식의 관이음매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6 내지 8에 기재된 원터치식의 관이음매는, 접속관을 받아들이기 위한 수용부를 형성하기 위해, 동심으로 배치된 외측 통체와, 이음매 본체로부터 뻗은 내측 통체로 이루어지고, 내측 통체의 외주면에는, 접속관의 내주면으로 들어가게 함으로써 접속관의 빠짐을 방지하는, 복수의 방사상으로 뻗은 톱니 또는 돌기를 갖는 환상(環狀)의 잠금 링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상기 특허문헌 6 및 특허문헌 7에 기재된 관이음매와 같은 구조를 갖는 것이지만, 일본 공개특허 2002-106772호 공보(특허문헌 9), 일본 공개특허 2003-307290호 공보(특허문헌 10)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톱니 또는 돌기를 갖는 환상의 잠금 링이, 내측 통체의 외주면으로부터가 아니라, 외측 통체의 내주면으로부터 접속관의 외주면으로 들어가게 하도록 고정되어 있는 타입의 원터치식의 관이음매도 알려져 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특허문헌 1 내지 10에 기재된 관이음매의 개량형으로서, 일본 공개특허 2010-230094호 공보(특허문헌 1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관이음매의 접속관 수용부의 안에, 직경방향으로 향해 압압되면 축방향으로 신장하도록 변형하는 만곡(灣曲)된 잠금 링을 설치하고, 그리고 접속관 삽입시, 주위의 테이퍼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돌기부를 갖는 잠금 링의 자유단이 접속관의 내주면 및/또는 외주면을 압접하도록 변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의 관이음매에 대해서 특허 출원을 하고 있다.
이러한 관이음매는, 관이음매에 대해,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는 원형 관, 혹은 알루미늄의 표리면을 플라스틱 재료로 끼운 구조를 갖는 알루미늄 3층 관 등의 접속관을 원터치로 접속하기 위해, 상기 접속관을 관이음매 안의 소정의 위치까지 삽입하거나, 혹은 소정의 위치까지 삽입된 관이음매를, 잠금 링의 돌기가 들어가는 위치까지 되돌릴 필요가 있다. 만약, 삽입된 접속관이 관이음매 안의 소정의 위치까지 도달해 있지 않으면, 접속관이, 관이음매로부터 용이하게 이탈하거나, 혹은 관이음매와의 사이에 씨일 불량을 일으키는 등의 문제를 발생시킬 것이다.
그렇지만, 일반적으로 접속관이 관이음매 안으로 삽입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하는 것은 비교적 간단하지만, 삽입된 접속관이 소정의 위치까지 도달해 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그 때문에, 삽입된 접속관이 관이음매 안의 소정의 위치로 도달하기 전에 접속 조작이 종료되거나, 그와는 반대로, 접속관이 관이음매 안의 최심부까지 혹은 접속관에 과대한 하중이 걸려, 그들이 파괴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삽입된 접속관이 관이음매 안의 소정의 위치까지 도달해 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수단으로서, 일본 공개특허 평11-132374호 공보(특허문헌 12)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육안에 의해, 외부로부터, 접속 완료 상태에 있는 접속관의 선단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구멍이나 투명 부분이 관이음매의 외통체에 설치되어 있는 타입의 관이음매가 알려져 있다.
또한, 별개, 전용의 접속관 삽입확인수단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서는, 일본 공개실용 평6-62292호 공보(특허문헌 13), 일본 공개특허 2001-324071호 공보(특허문헌 14), 일본 공개특허 2002-89759호 공보(특허문헌 15)에 기재되어 있는, 관이음매 외통체의 관통구멍에 헐겁게 끼워져 있는(느슨하게 끼워 맞춰져 있다) 봉형상의 삽입확인부재가, 삽입된 접속관의 단부(端部)에 의해서 밀어 올려지고, 그리고 외통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타입의 관이음매가 알려져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 2009-19645호 공보(특허문헌 16)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외부로 돌출되는 봉형상의 삽입확인부재를 관이음매의 내부로부터 지지하고 있는 씨일 링이, 삽입된 접속관에 의해 제거된 결과, 지지 링을 잃은 삽입확인부재가 외통체의 외주면으로부터 관통구멍의 안으로 몰입(沒入)하는 타입의 관이음매 등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타입의 관이음매 혹은 접속관 삽입확인수단은, 확인구멍이나 접속관 삽입확인수단이 배치되어 있는 위치에 있어서, 삽입된 접속관이 도달해 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 있을 뿐이며, 예를 들면 수용부의 중간부나 최심부 등, 관이음매 안의 임의로 정한 위치에 있어서, 접속관이 도달해 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 없었다.
또한, 육안에 의해 접속관의 삽입 상태를 확인하는 타입의 관이음매의 경우, 어두운 곳이나 닫힌 곳 등에서는 유효하게 기능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전용의 접속관 삽입확인수단을 필요로 하는 타입의 관이음매의 경우, 그 구조상의 제약으로부터, 삽입확인부재의 외부로의 돌출치(돌출 높이) 또는 관통구멍 내부로의 몰입치(몰입 깊이)를 크게 취할 수 없기 때문에, 오퍼레이터가 상기 삽입확인부재의 요철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일본 공개실용 평4-18793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2001-193883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2003-227592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2005-172218호 공보 WO2006/135227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평9-236190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2006-118704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2008-164074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2002-106772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2003-307290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2010-230094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평11-132374호 공보 일본 공개실용 평6-62292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2001-324071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2002-89759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2009-19645호 공보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려고 하는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접속관의 삽입 및 접속 조작이 간단하고, 접속시, 삽입된 접속관이, 관이음매 안의 임의로 정한 위치까지 도달해 있는지 아닌지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전용의 접속관 삽입확인수단을 구비한 원터치식의 관이음매를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전용의 접속관 삽입확인수단을 구비한 원터치식의 관이음매에 대해서 첨의 검토를 거듭하였다. 그 결과, 방사상으로 뻗은 가요성(可撓性)의 봉형상 부재를 갖는 C형 링형상 또는 O형 링형상의 부품을 관이음매의 수용부의 안에 배치하고, 상기 봉형상 부재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접속관 삽입시, 상기 링형상의 부품이 접속관에 의해 안쪽 방향으로 밀어넣어지고, 그리고 관통구멍에 미리 세팅된 봉형상 부재가 외통체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끌려들어감으로써, 관이음매의 수용부 길이에 대한 접속관의 삽입확인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본 발명의 관이음매를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이음매 본체와, 접속관을 받아들이기 위한 수용부를 형성하는 외통체 및 내통체와, 그리고 상기 접속관의 삽입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접속관 삽입확인수단을 구비한 관이음매에 있어서, 상기 삽입확인수단은, 상기 외통체의 내주면과 외주면을 관통하는 관통구멍과, 상기 관통구멍으로부터 축방향 내부측으로 뻗어, 상기 외통체의 내주면상에 형성되어 있는 홈부와, 그리고 방사상으로 뻗은 가요성의 봉형상 부재를 갖고, 상기 수용부의 안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C형 링형상 또는 O형 링형상의 삽입확인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접속관 삽입전, 상기 봉형상 부재는, 상기 관통구멍 안으로부터 상기 외통체의 외부로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접속관 삽입시, 상기 봉형상 부재는, 상기 삽입확인부재가 상기 접속관의 선단부에 의해 축방향 내부측으로 밀어넣어짐으로써, 상기 외통체의 외부로부터 그 내주면상에 형성된 상기 홈부의 안으로 수용되도록 끌려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의 관이음매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전용의 접속관 삽입확인수단을 구비한 원터치식의 관이음매에서는, C형 링형상 또는 O형 링형상의 삽입확인부재로부터 방사상으로 뻗은 가요성의 봉형상 부재는, 접속관이 삽입되기 전의 초기 상태에서는, 외통체의 관통구멍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도록 관이음매의 수용부 안에 배치된다. 따라서, 통상, 봉형상 부재와 연결된 삽입확인부재는 외통체의 관통구멍의 대략 바로 아래에 배치되고, 그리고 봉형상 부재는, 그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오퍼레이터가 접속관 삽입전의 초기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외통체 외주면으로부터의 돌출 길이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접속관이 관이음매의 수용부 안에 삽입되면, 삽입확인부재는, 수용부 단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점유하고 있기 때문에 접속관의 선단부에 의해서 맞닿아지고, 그리고 관이음매 수용부의 최심부까지 밀어넣어진다. 이때, 봉형상 부재는, 삽입확인부재 본체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확인부재의 이동에 동반하여, 상기 외통체의 외부로부터 관통구멍을 지나 그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홈부의 안으로 끌려들어가고, 그리고 수용된다.
이 때문에, 오퍼레이터는, 시각(視覺) 또는 손끝 등을 이용하여 빈 공간으로 된 외통체의 관통구멍을 확인할 수 있고, 그리고 삽입된 접속관이 관이음매에 대해 소정의 위치까지 도달하여, 접속이 완료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접속관 삽입확인수단은, 봉형상 부재의 길이를, 접속관의 접속이 완료되었을 때의 접속관의 선단 위치와, 외통체의 관통구멍과의 사이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같아지도록 조절해 두면 좋다. 그에 의해, 삽입된 접속관이, 그 접속을 완전하게 종료하는 위치까지 도달했을 때, 봉형상 부재는, 모두 외통체의 외부로부터 관통구멍의 안으로, 혹은 관통구멍을 통과하여 외통체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홈부의 안으로 끌려들어가고, 그리고 수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관이음매는, 접속관 삽입확인수단의 봉형상 부재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관이음매의 수용부 길이에 대한 접속관의 삽입 심도(深度), 즉 접속관의 삽입확인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봉형상 부재는, 삽입확인부재 본체에 대해 복수개 배치해도 좋고, 이 경우는 외통체에, 봉형상 부재의 수 및 위치에 대응한 관통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봉형상 부재의 길이가, 관통구멍으로부터 접속관의 선단 위치까지의 거리와 엄밀하게 같을 필요는 없고, "실질상" 같아도 충분하다고 하는 이유는, 실제로는 관통구멍의 깊이(외통체의 두께)나, 봉형상 부재가 구부러져 끌려들어갈 때의 신장, 굴곡부의 곡률 등 오차를 발생시키는 요인이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외통체의 내주면상에, 적어도 관통구멍으로부터 축방향 내부측으로 향하여 홈부가 형성된다. 만약, 외통체의 내주면상에 홈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면, 접속관의 삽입에 동반하여 수용부의 안으로 끌려들어가는 봉형상 부재가, 접속관의 추가 삽입을 저해하도록 외통체의 내주면과, 접속관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끼워 넣어지고, 혹은 당겨 찢겨진다고 하는 불량을 초래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봉형상 부재를 끌어넣기 위해서 외통체의 내주면과, 접속관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형성하는 공간으로서는, 외통체의 내경과, 접속관의 외경의 직경차이에 의해 생기는 간극부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그와는 다른 홈부의 형성을 필요로 한다. 그 이유는, 간극부를 이용하면, 삽입 후의 접속관과 외통체와의 사이의 간극부에 의해 덜컥거림(rickety)이 생겨, 접속관을 강고하게 고정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한편, 이에 대해 외통체의 내주면의 일부에 홈부를 형성한 경우는, 외통체의 내경을 접속관의 외경과 대략 같은 크기로 설계할 수 있으므로, 덜컥거림이 없는 접속관의 삽입 및 고정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외통체의 내경을 접속관의 외경보다 비교적으로 크게 설정하고, 외통체의 내주면(內周面)상에는, 접속관의 외주면(外周面)상에서 대략 끝나는 단부를 갖는, 외통체의 내주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뻗은 복수의 리브를 설치함으로써, 덜컥거림을 방지하고, 그리고 봉형상 부재를 끌어넣기 위한 홈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외통체의 홈부는, 외통체의 내경을 접속관의 외경보다 크게 설정하고, 그 속에, 축방향으로 뻗은 슬릿을 갖고, 접속관의 외경과 대략 같은 크기의 내경을 갖는 슬리브를 장착함에 의해서도 형성시킬 수 있다. 즉, 슬리브 장착 후의 슬릿 부분이, 외통체의 내주면상에 홈부를 형성한다.
슬리브의 단면(斷面)은, 통상, 외통체의 내주면상에 밀착되도록 O형 형상이다. 그렇지만, 본 발명의 경우, 장착 용이성을 고려하여, 슬리브를 외통체의 내주면상에 장착할 때, 그 외경을 작게 변형시킬 수 있도록 단면의 일부를 잘라 떼어낸 C형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상술과 같은 슬리브의 사용은, 외통체의 성형성이나, 삽입확인부재, 잠금 링, 씨일 링 등 내부 부품의 장착성을 향상시킨다. 특히 후술하는 잠금 링을 사용하는 타입의 관이음매의 경우, 잠금 링의 축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하기 위한 직경방향으로 평행한 고정벽도, 외통체의 내주면상에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본 발명에서는, 봉형상 부재는, 삽입확인부재의 축방향 내부측으로의 이동에 동반하여, 절곡(折曲)해서 변형하면서 외통체 내주면상의 홈부 안에 수용된다. 이 때문에, 봉형상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삽입확인부재는, 유연성이 있고 또한 인장 응력에 강한 재료로 만들어져 있음이 바람직하고, 그러한 재료로서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또는 합성고무 혹은 천연고무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합성고무 혹은 천연고무에 비해 일정 하중에 대한 신장이 작기 때문에, 접속관의 삽입확인위치에 대응한 길이를 유지하면서, 절곡해서 변형됨이 요구되는 봉형상 부재의 재료로서 적합하다.
또한, 봉형상 부재의 고도한 변형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그 단면을 편평한 형상으로 하는 등 형상을 연구함으로써 절곡되기 쉽게 할 수도 있다. 특히 봉형상 부재는, 링형상의 삽입확인부재 본체와의 밑동 근방의 단면적을 폭을 좁게 하거나, 혹은 두께를 얇게 하는 등, 다른 부분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는 유사 힌지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인입(引入) 초기의 높은 절곡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봉형상 부재의 선단부의 형상 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오퍼레이터의 손끝 등에 의한 확인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선단부의 형상을 뽀족한 형상이나 요철을 갖는 표면 등 손끝에 자극을 줄 수 있는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육안에 의한 시인성(視認性)을 향상시키기 위해, 봉형상 부재 또는 봉형상 부재의 선단부를, 형광색 등 눈에 띄는 색으로 착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용의 접속관 삽입확인수단을 갖는 원터치식의 관이음매는, 직경방향으로 평행한 고정벽과, 축방향 외부측으로 향하여 연속적으로 확경(擴徑)하는 테이퍼벽을 외주면에 더 갖는 상기 내통체와, 그리고 외팔보(cantilever)의 자유단을 형성하기 위해서 복수의 슬릿을 갖는 통형상체로서, 상기 접속관 삽입시, 상기 통형상체의 탄성변형에 의해 상기 접속관의 내주면을 압압하는 제1 외향(外向) 돌기부와, 상기 자유단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접속관 빼냄시, 상기 접속관을 걸어멈춤하는 제2 외향 돌기부를 가지며, 그리고 상기 내통체의 고정벽과 테이퍼벽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내측 잠금 링을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접속관을 상기 수용부의 소정의 위치까지 삽입 후, 빼냄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내측 잠금 링은, 상기 제1 외향 돌기부가 상기 접속관의 내주면에 걸어멈춤됨에 의해 상기 접속관과 함께 빼냄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내측 잠금 링의 자유단은 상기 내통체의 테이퍼벽 영역으로 진입하고, 그리고 상기 테이퍼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내측 잠금 링은 상기 제2 외향 돌기부를 상기 접속관의 내주면으로 압접하도록 확경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다른 하나의 형태로서, 본 발명에 의한 전용의 접속관 삽입확인수단을 갖는 원터치식의 관이음매는, 직경방향으로 평행한 고정벽과, 축방향 외부측으로 향하여 연속적으로 축경하는 테이퍼벽을 내주면에 더 갖는 상기 외통체와, 그리고 외팔보의 자유단을 형성하기 위해서 복수의 슬릿을 갖는 통형상체로서, 상기 접속관 삽입시, 상기 통형상체의 탄성변형에 의해 상기 접속관의 외주면을 압압하는 제1 내향 돌기부와, 상기 자유단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접속관 빼냄시, 상기 접속관을 걸어멈춤하는 제2 내향 돌기부를 가지며, 그리고 상기 외통체의 고정벽과 테이퍼벽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외측 잠금 링을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접속관을 상기 수용부의 소정의 위치까지 삽입 후, 빼냄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외측 잠금 링은, 상기 제1 내향 돌기부가 상기 접속관의 외주면에 걸어멈춤됨으로써 상기 접속관과 함께 빼냄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외측 잠금 링의 자유단은 상기 외통체의 테이퍼벽 영역으로 진입하며, 그리고 상기 테이퍼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외측 잠금 링은 상기 제2 내향 돌기부를 상기 접속관의 외주면으로 압접하도록 축경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하나의 형태로서, 본 발명에 의한 전용의 접속관 삽입확인수단을 갖는 원터치식의 관이음매는, 직경방향으로 평행한 고정벽과, 축방향 외부측으로 향하여 연속적으로 확경하는 테이퍼벽을 외주면에 더 갖는 상기 내통체와, 직경방향으로 평행한 고정벽과, 축방향 외부측으로 향하여 연속적으로 축경하는 테이퍼벽을 내주면에 더 갖는 상기 외통체와, 외팔보의 자유단을 형성하기 위해서 복수의 슬릿을 갖는 통형상체로서, 상기 접속관 삽입시, 상기 통형상체의 탄성변형에 의해 상기 접속관의 내주면을 압압하는 제1 외향 돌기부와, 상기 자유단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접속관 빼냄시, 상기 접속관을 걸어멈춤하는 제2 외향 돌기부를 갖고, 그리고 상기 내통체의 고정벽과 테이퍼벽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내측 잠금 링과, 그리고 외팔보의 자유단을 형성하기 위해서 복수의 슬릿을 갖는 통형상체로서, 상기 접속관 삽입시, 상기 통형상체의 탄성변형에 의해 상기 접속관의 외주면을 압압하는 제1 내향 돌기부와, 상기 자유단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접속관 빼냄시, 상기 접속관을 걸어멈춤하는 제2 내향 돌기부를 가지며, 그리고 상기 외통체의 고정벽과 테이퍼벽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외측 잠금 링을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접속관을 상기 수용부의 소정의 위치까지 삽입 후, 빼냄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내측 잠금 링은, 상기 제1 외향 돌기부가 상기 접속관의 내주면에 걸어멈춤됨에 의해 상기 접속관과 함께 빼냄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내측 잠금 링의 자유단은 상기 내통체의 테이퍼벽 영역으로 진입하고, 그리고 상기 테이퍼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내측 잠금 링은 상기 제2 외향 돌기부를 상기 접속관의 내주면으로 압접하도록 확경되고, 상기 외측 잠금 링은, 상기 제1 내향 돌기부가 상기 접속관의 외주면에 걸어멈춤됨에 의해 상기 접속관과 함께 빼냄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외측 잠금 링의 자유단은 상기 외통체의 테이퍼벽 영역으로 진입하고, 그리고 상기 테이퍼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외측 잠금 링은 상기 제2 내향 돌기부를 상기 접속관의 외주면으로 압접하도록 축경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에 내측 잠금 링 및/또는 외측 잠금 링 등을 더 포함하고 있는 구조를 갖는 관이음매를 사용하는 경우, 이음매 본체, 내통체 및 외통체는 모두 통형의 형상을 갖고 있고, 그들 중 이음매 본체는, 내통체를 포함하고, 내통체와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이음매 본체 및 내통체는 그 내부에 유체를 흐르게 하기 위한 통로 개구부를 갖고 있고, 그 선단(先端)부는 유체의 저항을 줄이기 위해서 깔때기(funnel) 형상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관이음매의 생산성이나 비용면 등을 중시하는 경우, 이음매 본체, 내통체 및 외통체는, 그 모든 부품을 일체적으로 성형할 수도 있다.
관이음매의 외통체가 이음매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타입인 경우, 외통체는 이음매 본체로 회전 불능하게 억지끼움(단단히 끼워맞춤)할 수도 있고, 또는 둘레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헐겁게 끼움(느슨하게 끼워맞춤)할 수도 있다. 외통체를 이음매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부착한 경우, 이 타입의 관이음매는, 접속시 혹은 접속 후에 접속관이 받는 굽힘 응력이나 회전 모멘트를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기 때문에, 파괴 응력에 대해 비교적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이음매 본체, 내통체 및/또는 외통체의 재료는, 비교적 경질인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것은 아니지만, 플라스틱 재료 또는 금속재료로 성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플라스틱 재료로 성형하는 경우, 재료로서 폴리페닐설폰(PPSU) 수지 또는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수지를 사용함이 더 바람직하다.
내통체를 포함하는 이음매 본체 및 외통체는 동심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그리고 내통체와 외통체 사이에는 접속관을 받아들이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관이음매의 수용부 안에는, 접속관 삽입시, 그 주면(周面)을 압압하기 위해 기능하는 제1 돌기부와, 접속관 빼냄시, 접속관을 걸어멈춤하기 위해서 기능하는 제2 돌기부를 갖는 잠금 링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이 잠금 링은, 내통체의 외주면 또는 외통체의 내주면 중 어느 한쪽에 장착되어 있으면 좋지만, 관이음매의 낙하, 용제의 부착, 밟아 누름 등에 의해 한쪽의 잠금 링이 파손되었을 때, 접속관을 확실히 파지할 수 있도록, 그 양쪽에 잠금 링을 배치함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내통체의 외주면에는, 내측 잠금 링을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하기 위해, 직경방향으로 평행한 고정벽과, 축방향 외부측으로 향하여 연속적으로 확경되어 있는 테이퍼벽이 형성된다. 또한, 외통체의 내주면에는, 외측 잠금 링을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하기 위해, 직경방향으로 평행한 고정벽과 축방향 외부측으로 향하여 연속적으로 축경되어 있는 테이퍼벽이 형성된다. 그리고, 내측 잠금 링 및/또는 외측 잠금 링이 고정벽과 테이퍼벽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내측 잠금 링 및/또는 외측 잠금 링의 하나의 단(端)(고정단)은, 내통체의 외주면 및 /또는 외통체의 내주면의 고정벽과의 관계에 의해 축방향으로의 이동이 실질적으로 제한되고, 그리고 그외의 단(자유단)은, 테이퍼벽과의 관계에 의해 축방향으로의 이동이 허용된다. 이 때문에, 내측 잠금 링 및/또는 외측 잠금 링의 고정단은 자유단보다 축방향부 내측으로 배치되어 있고, 자유단에는 빼냄시, 접속관을 걸어멈춤하기 위한 제2 돌기부가 배치된다.
내통체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내측 잠금 링은, 통형상체로 이루어지고, 그 몸통부에는, 외팔보의 자유단을 형성하도록, 복수의 슬릿이 통형상체의 단부로부터 컷팅되어 있다. 또한, 내측 잠금 링은, 접속관 삽입시, 탄성변형에 의해 접속관의 내주면을 압압하기 위해서 기능하는 제1 외향 돌기부와, 접속관 빼냄시, 접속관을 걸어멈춤하기 위해서 기능하는, 상기 자유단에 배치되어 있는 제2 외향 돌기부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외향 돌기부의 압압 기능은, 내측 잠금 링의 불룩부가 그 축방향의 단면 형상이 자벌레(measuring worm, looper)와 같은 형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 직경방향 내측으로 향하여 압압되면 휘어지고, 그리고 그 반력(反力)으로 삽입된 접속관의 내주면을 적당히 압압한다. 또한, 슬릿은, 내측 잠금 링의 몸통부를 관통하도록 축방향으로 뻗어 있기 때문에, 슬릿에 의해 분할된 불룩부의 각각이 서로 간섭됨 없이 탄성변형함을 용이하게 한다.
그 결과, 접속관을 관이음매의 수용부의 소정의 위치까지 삽입한 후, 빼냄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 외향 돌기부가 접속관의 내주면에 걸어멈춤하므로, 내측 잠금 링도 접속관과 함께 빼냄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내측 잠금 링의 자유단은 내통체의 테이퍼벽 영역으로 진입하여, 테이퍼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내측 잠금 링은 제2 외향 돌기부를 접속관의 내주면으로 압접하도록 확경된다.
그리고, 이 타입의 관이음매에서는, 제1 외향 돌기부는, 삽입된 접속관의 내주면을 적당히 압압하도록 내측 잠금 링의 본체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제2 외향 돌기부는, 접속관을 삽입 후, 빼냄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을 때, 그 내주면과 거의 접촉하지 않도록 후퇴하여 내측 잠금 링의 자유단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접속관을 삽입할 때, 접속관이 제1 외향 돌기부로부터 받는 삽입 저항은 작지만, 접속관이 빼냄 방향으로 이동하면, 접속관은, 제2 외향 돌기부와 테이퍼벽의 상호작용에 의해 확실하고 강고하게 걸어멈춤된다.
한편, 외통체의 내주면에 배치되는 외측 잠금 링은, 통형상체로 이루어지고, 그 몸통부에는, 외팔보의 자유단을 형성하도록, 복수의 슬릿이 통형상체의 단부로부터 컷팅되어 있다. 또한, 외측 잠금 링은, 접속관 삽입시, 탄성변형에 의해 접속관의 외주면을 압압하기 위해서 기능하는 제1 내향 돌기부와, 접속관 빼냄시, 접속관을 걸어멈춤하기 위해서 기능하는, 상기 자유단에 배치되어 있는 제2 내향 돌기부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내향 돌기부의 압압 기능은, 외측 잠금 링의 잘록형상부(오목부)가 그 축방향의 단면 형상이 자벌레와 같은 형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 직경방향 외측으로 향하여 압압되면 휘어지고, 그리고 그 반력으로 삽입된 접속관의 외주면을 적당히 압압한다. 또한, 슬릿은, 외측 잠금 링의 몸통부를 관통하도록 축방향으로 뻗어 있기 때문에, 슬릿에 의해 분할된 잘록형상부의 각각이 서로 간섭함 없이 탄성변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그 결과, 접속관을 관이음매의 수용부의 소정의 위치까지 삽입한 후, 빼냄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 내향 돌기부가 접속관의 외주면에 걸어멈춤되므로, 외측 잠금 링도 접속관과 함께 빼냄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외측 잠금 링의 자유단은 외통체의 테이퍼벽 영역으로 진입하여, 테이퍼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외측 잠금 링은 제2 내향 돌기부를 접속관의 외주면으로 압접하도록 축경된다.
그리고, 이 타입의 관이음매에서는, 제1 내향 돌기부는, 삽입된 접속관의 외주면을 적당히 압압하도록 외측 잠금 링의 본체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제2 내향 돌기부는, 접속관을 삽입 후, 빼냄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을 때, 그 외주면과 거의 접촉하지 않도록 후퇴하여 외측 잠금 링의 자유단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접속관을 삽입할 때, 접속관이 제1 내향 돌기부로부터 받는 삽입 저항은 작지만, 접속관이 빼냄 방향으로 이동하면, 접속관은, 제2 내향 돌기부와 테이퍼벽의 상호작용에 의해 확실하고 강고하게 걸어멈춤된다.
내측 잠금 링과 외측 잠금 링의 양쪽을 병용하는 경우, 내측 잠금 링의 제1 외향 돌기부와 외측 잠금 링의 제1 내향 돌기부는, 축방향에 있어서 서로 다른 위치에서 접속관을 압압하도록 배치해도 좋고, 또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접속관을 압압하도록 배치해도 좋다. 또한, 제1 외향 및 내향 돌기부와 마찬가지로, 내측 잠금 링의 제2 외향 돌기부와 외측 잠금 링의 제2 내향 돌기부도, 축방향에 있어서 서로 다른 위치에서 접속관을 걸어멈춤하도록 배치해도 좋고, 또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접속관을 걸어멈춤하도록 배치해도 좋다.
다만,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접속관 삽입확인수단의 적용 범위는, 상술한 바와 같은 내측 잠금 링 및/또는 외측 잠금 링을 갖는 타입의 관이음매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접속관을 받아들이기 위한 수용부를 형성하기 위해서 동심으로 배치된 외측 통체와, 이음매 본체로부터 뻗은 내측 통체로 이루어지고, 내측 통체의 외주면 또는 외측 통체의 내주면에는, 접속관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으로 들어가게 하기 위해서 방사상으로 뻗은 복수의 톱니 또는 돌기를 갖는 환상(環狀)의 잠금 링이 고정되어 있는 타입의 관이음매나, 동심으로 배치된 내측 통체와, 삽입구로 향하여 축경하는 테이퍼면을 구비한 외측 통체와의 사이에, 접속관을 걸어멈춤하기 위한 톱니 또는 돌기 등의 돌기물을 갖는 통 형상의 잠금 링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내장되어 있는 타입의 관이음매 등, 본 발명의 접속관 삽입확인수단은, 잠금 링의 형식과는 관계없이, 어떤 타입의 관이음매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외통체와 내통체에 의해 접속관의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면, 내부에 잠금 링을 구비하지 않는 타입의 관이음매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관이음매는, 내통체의 외주면 및/또는 외통체의 내주면상에 접속관과의 간극을 씨일하기 위한 적어도 1개의 씨일 링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씨일 링은, 일반적으로 내통체의 외주면 및/또는 외통체의 내주면상에 홈부를 형성하고, 그 안에 수용함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그 단면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O형, 각형, 오목형, 립형상 등 여러가지 단면 형상을 갖는 씨일 링을 채용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은 내측 잠금 링 및/또는 외측 잠금 링을 갖는 타입의 관이음매인 경우, 종래의 이동식의 잠금 링을 갖는 타입의 관이음매나 환상의 잠금 링이 내부에 고정되어 있는 타입의 관이음매와 같이, 접속관 삽입시, 접속관의 내주면 혹은 외주면이, 잠금 링의 돌기부에 의해 깊게 손상되는 일이 거의 없기 때문에, 높은 씨일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의하면, 이음매 본체와, 상기 이음매 본체로부터 축방향 외부측으로 향하여 뻗은 내통체와, 내외주면을 관통하는 관통구멍과, 상기 관통구멍으로부터 축방향 내부측으로 뻗은 홈부를 내주면상에 갖고, 그리고 상기 내통체의 외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내통체와의 사이에 접속관을 받아들이기 위한 수용부를 형성하는 외통체와, 상기 수용부로 삽입된 접속관의 내주면 및/또는 외주면에 대해, 끝이 뽀족한 돌기물을 압접함으로써 상기 접속관의 빠짐을 방지하는 잠금 링과, 그리고 방사상으로 뻗은 가요성의 봉형상 부재를 갖고, 상기 수용부의 속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C형 링형상 또는 O형 링형상의 삽입확인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접속관 삽입전, 상기 봉형상 부재는, 상기 관통구멍 안으로부터 상기 외통체의 외부로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접속관 삽입시, 상기 봉형상 부재는, 상기 삽입확인부재가 상기 접속관의 선단부에 의해 축방향 내부측으로 밀어넣어짐으로써, 상기 외통체의 외부로부터 그 내주면상에 형성된 상기 홈부의 안으로 수용되도록 끌려들어가고, 그리고 상기 삽입확인부재의 봉형상 부재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관이음매의 수용부 길이에 대한 상기 접속관의 삽입확인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의 관이음매가 제공된다.
이 타입의 원터치 관이음매에 있어서도, C형 링형상 또는 O형 링형상의 삽입확인부재로부터 방사상으로 뻗은 가요성의 봉형상 부재는, 접속관이 삽입되기 전의 초기 상태에서는, 외통체의 관통구멍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도록 관이음매의 수용부 안에 배치된다. 따라서, 통상, 봉형상 부재와 연결되어 삽입확인부재는 외통체의 관통구멍의 대략 바로 아래에 배치되고, 그리고 봉형상 부재는, 그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오퍼레이터가 접속관 삽입전의 초기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외통체 외주면으로부터의 돌출 길이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접속관이 관이음매의 수용부 안에 삽입되면, 삽입확인부재는, 수용부 단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점유하고 있기 때문에 접속관의 선단부에 의해서 접촉되고, 그리고 관이음매 수용부의 최심부까지 밀어넣어진다. 이때, 봉형상 부재는 삽입확인부재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확인부재의 이동에 동반하여, 상기 외통체의 외부로부터 관통구멍을 지나 그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홈부의 안으로 끌려들어가고, 그리고 수용된다.
이 때문에, 오퍼레이터는 육안 또는 손끝 등을 이용하여 빈 공간으로 된 외통체의 관통구멍을 확인할 수 있고, 그리고 삽입된 접속관이 관이음매에 대해 소정의 위치까지 도달하여, 접속이 완료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이 타입의 관이음매에서는, 삽입확인부재 부분의 봉형상 부재의 길이를, 접속관의 접속이 완료되었을 때의 접속관의 선단 위치와, 외통체의 관통구멍과의 사이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같아지도록 조절해 두면 좋다. 그에 의해, 삽입된 접속관이, 그 접속을 완전하게 종료하는 위치까지 도달했을 때, 봉형상 부재는, 모두 외통체의 외부로부터 관통구멍의 안으로, 혹은 관통구멍을 지나 외통체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홈부의 안으로 끌려들어가고, 그리고 수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관이음매는, 접속관 삽입확인수단의 봉형상 부재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관이음매의 수용부 길이에 대한 접속관의 삽입 심도, 즉 접속관의 삽입확인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봉형상 부재는, 삽입확인부재 본체에 대해 복수개 배치해도 좋고, 이 경우는 외통체에 봉형상 부재의 수 및 위치에 대응한 관통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봉형상 부재의 길이가, 관통구멍으로부터 접속관의 선단 위치까지의 거리와 엄밀하게 같은 필요는 없고, "실질상" 같아도 충분하다고 하는 이유는, 실제로는 관통구멍의 깊이(외통체의 두께)나, 봉형상 부재가 구부러져 끌어넣어질 때의 신장, 굴곡부의 곡률 등 오차를 발생시키는 요인이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외통체의 내주면상에, 적어도 관통구멍으로부터 축방향 내부측으로 향하여 홈부가 형성된다. 만약, 외통체의 내주면상에 홈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면, 접속관의 삽입에 동반하여 수용부의 안으로 끌려들어가는 봉형상 부재가, 접속관의 추가 삽입을 저해하도록 외통체의 내주면과, 접속관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끼워 넣어지고, 혹은 당겨 찢어진다고 하는 불량을 초래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봉형상 부재를 끌어넣기 위해서 외통체의 내주면과, 접속관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서는, 외통체의 내경과, 접속관의 외경의 직경차이에 의해 생기는 간극부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그와는 다른 홈부의 형성을 필요로 한다. 그 이유는, 간극부를 이용하면, 삽입 후의 접속관과 외통체와의 사이의 간극부에 의해 덜컥거림이 생겨, 접속관을 강고하게 고정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한편, 이에 대해 외통체의 내주면의 일부에 홈부를 형성한 경우는, 외통체의 내경을 접속관의 외경과 대략 같은 크기로 설계할 수 있으므로, 덜컥거림이 없는 접속관의 삽입 및, 고정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외통체의 내경을 접속관의 외경보다 비교적으로 크게 설정하고, 외통체의 내주면상에는, 접속관의 외주면상에서 대략 끝나는 단부(端部)를 갖는, 외통체의 내주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뻗은 복수의 리브를 설치함에 의해서도, 덜컥거림을 방지하고, 그리고 봉형상 부재를 끌어넣기 위한 홈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외통체의 홈부는, 외통체의 내경을 접속관의 외경보다 크게 설정하고, 그 속에, 축방향으로 뻗은 슬릿을 갖고, 접속관의 외경과 대략 같은 크기의 내경을 갖는 슬리브를 장착함에 의해서도 형성시킬 수 있다. 즉, 슬리브 장착 후의 슬릿 부분이, 외통체의 내주면상에 홈부를 형성한다.
슬리브의 단면은, 통상, 외통체의 내주면상에 밀착되도록 O형 형상이다. 그렇지만, 본 발명의 경우, 장착 용이성을 고려하여, 슬리브를 외통체의 내주면상에 장착할 때, 그 외경을 작게 변형시킬 수 있도록 단면의 일부를 잘라 떼어낸 C형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상술과 같은 슬리브의 사용은, 외통체의 성형성이나, 삽입확인부재, 잠금 링, 씨일 링 등 내부 부품의 장착성을 향상시킨다. 특히 후술하는 잠금 링을 사용하는 타입의 관이음매의 경우, 잠금 링의 축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하기 위한 직경방향으로 평행한 고정벽도, 외통체의 내주면상에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본 발명에서는, 봉형상 부재는, 삽입확인부재의 축방향 내부측으로의 이동에 동반하여, 절곡해서 변형하면서 외통체의 내주면상의 홈부 안에 수용된다. 이 때문에, 봉형상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삽입확인부재는, 유연성이 있고 또한 인장 응력에 강한 재료로 만들어짐이 바람직하고, 그러한 재료로서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또는 합성고무 혹은 천연고무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합성고무 혹은 천연고무에 비해 일정 하중에 대한 신장이 작기 때문에, 접속관의 삽입확인위치에 대응한 길이를 유지하면서, 절곡해서 변형됨이 요구되는 봉형상 부재의 재료로서 적합하다.
또한, 봉형상 부재의 고도의 변형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그 단면을 편평한 형상으로 하는 등 형상을 연구함으로써 절곡되기 쉽게 할 수도 있다. 특히 봉형상 부재는, 링형상의 삽입확인부재 본체와의 밑동 근방의 단면적을 폭을 좁게 하거나, 혹은 두께를 얇게 하는 등, 다른 부분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는 유사 힌지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인입 초기의 높은 굴곡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봉형상 부재의 선단부의 형상 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오퍼레이터의 손끝 등에 의한 확인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선단부의 형상을 뽀족한 형상이나 요철을 갖는 표면 등 손끝에 자극을 줄 수 있는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육안에 의한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봉형상 부재 또는 봉형상 부재의 선단부를, 형광색 등 눈에 띄는 색으로 착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방사상으로 뻗은 가요성의 봉형상 부재를 갖는 C형 링형상 또는 O형 링형상의 부품을 관이음매의 수용부 안에 배치하고, 상기 봉형상 부재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접속관 삽입시, 상기 링형상의 부품이 접속관에 의해 안쪽 방향으로 밀어넣어지고, 그리고 관통구멍에 사전에 세팅된 봉형상 부재가 외통체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끌려들어감으로써, 관이음매의 수용부 길이에 대한 접속관의 삽입확인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전용의 접속관 삽입확인수단을 구비한 원터치식의 관이음매를 제공할 수 있다.
그 결과, 오퍼레이터는 시각 또는 손끝 등을 이용하여 빈 공간으로 된 외통체의 관통구멍을 확인할 수 있고, 그리고 삽입된 접속관이 관이음매에 대해 소정의 위치까지 도달하여, 접속이 완료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 형태에 의한 관이음매로서, 상반분(上半分)에 접속관 삽입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하반분(下半分)에 접속관 삽입 후의 상태를 도시한, 그 중심축을 지나는 단면으로 절취한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수용부 안에 배치되는 삽입확인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실시예의 외통체의 내주면상에 장착되는 슬리브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의 삽입확인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의 슬리브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실시예의 내측 잠금 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내측 잠금 링을, 중심축을 지나는 단면으로 절취한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실시예의 외측 잠금 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외측 잠금 링을, 중심축을 지나는 단면으로 절취한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일 실시 형태에 의한 관이음매로서, 상반분에 접속관 삽입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하반분에 접속관 삽입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그 중심축을 지나는 단면으로 절취한 경우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원터치식 관이음매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각종의 변경이 가능하다.
[실시예]
[실시예 1]
도 1에는, 접속관 삽입확인수단(6)을 구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원터치식 관이음매(1)로서, 상반분에 접속관 삽입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하반분에 접속관 삽입 후의 상태를 나타내며, 또한 그 중심축을 지나는 단면으로 절취한 경우의 단면도가 나타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관이음매(1)는 적어도 1개의 접속관 삽입 소켓(2)을 구비하고 있으면 좋고, 따라서 그 전체로서의 형상은 I자형으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T자형, 십자형이더라도 좋다.
관이음매(1)는, 이음매 본체(3), 내통체(4), 외통체(5), 내측 잠금 링(11) 및 외측 잠금 링(12), 접속관 삽입확인수단(6)을 포함하고 있고, 어느 부품도 대략 통 형상 또는 링형상의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 1에서는, 이음매 본체(3)는 내통체(4)를 포함하고,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다. 이음매 본체(3) 및 내통체(4)는 그 내부에 유체를 흐르게 하기 위한 통로 개구부(30)를 갖고 있고, 그 선단부(31)는 유체의 저항을 줄이기 위해서 깔때기 형상을 갖고 있다. 더욱이, 관이음매(1)의 생산성이나 비용면 등을 중시하는 경우, 이음매 본체 (3), 내통체(4) 및 외통체(5)는, 그 모든 부품을 사출성형 등에 의해 일체적으로 성형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 1에서 사용되는 접속관 삽입확인수단(6)은, 외통체(5)에 형성된 관통구멍(50)과, 외통체(5)의 내주면에 장착된 슬리브(7)와, 그리고 외통체(5)와 내통체(4)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부(13)에 배치된 삽입확인부재(8)로 구성된다. 이 접속관 삽입확인수단(6)에 의해, 삽입된 접속관(10)이 관이음매(1) 안의 소정의 위치까지 도달하여, 접속관(10)의 접속이 완료되어 있는지 아닌지가 용이하고 정확하게 파악된다.
도 2에는, 수용부(13)에 배치되는 삽입확인부재(8)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삽입확인부재(8)는, O형 링형상의 삽입확인부재 본체(80)와 상기 본체로부터 방사상으로 뻗은 가요성의 봉형상 부재(81)로 이루어진다. 그 봉형상 부재(81)는, 접속관(10)이 삽입되기 전의 초기 상태에서는, 외통체(5)의 관통구멍(50)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도록 관이음매(1)의 수용부(13) 안에 배치된다(도 1 상측 참조). 따라서, 봉형상 부재(81)와 연결된 삽입확인부재 본체(80)는 외통체(5)의 관통구멍 (50)의 대략 바로 아래에 배치되고, 그리고 봉형상 부재(81)는, 그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오퍼레이터가 접속관 삽입전의 초기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외통체 외주면으로부터의 돌출 길이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외통체(5)에 형성된 관통구멍(50)은, 외통체(5)의 내외주면을 관통하는 개구 (開口)이면 좋고, 그 구멍의 위치나 크기, 형상에 특별히 한정은 없다. 다만, 관통구멍(50)의 위치는, 관이음매 수용부(13)내의 접속관(10)의 삽입확인위치 또는 최심부(最深部, 14)로부터의 거리나, 접속관 삽입전에 관통구멍(50)으로부터 미리 돌출시켜 두어야 할 봉형상 부재(81)의 길이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한편, 접속관(10)이 관이음매(1)의 수용부(13) 안에 삽입되면, 삽입확인부재 (8)는 수용부 단면(斷面)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점유하고 있기 때문에 접속관(10)의 선단부에 의해서 접촉되고, 그리고 관이음매 수용부(13)의 최심부(14)까지 밀어넣어진다. 이때, 봉형상 부재(81)는 삽입확인부재 본체(80)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확인부재(8)의 이동에 동반하여, 상기 외통체(5)의 외부로부터 관통구멍(50)을 지나, 슬리브(7)에 의해 외통체(5)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홈부(슬릿)(71)의 안으로 끌려들어가고, 그리고 수용된다(도 1 하측 참조).
또한, 본 실시예 1에서 사용되는 접속관 삽입확인수단(6)에서는, 봉형상 부재(81)의 길이를, 접속관(10)의 접속이 완료되었을 때의 접속관(10)의 선단 위치와, 외통체(5)의 관통구멍(50)과의 사이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같아지도록 조절하면 좋다. 그에 의해, 삽입된 접속관(10)이, 그 접속을 완전하게 종료하는 위치까지 도달했을 때, 봉형상 부재(81)는, 모두 외통체(5)의 외부로부터 관통구멍(50)의 안으로, 혹은 관통구멍(50)을 지나, 슬리브(7)에 의해 외통체(5)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홈부(71)의 안으로 끌려들어가고, 그리고 수용된다(다만, 도 1 및 도 10 중에서는, 봉형상 부재(81)의 수용 상태를 과장하기 위해, 봉형상 부재(81)의 길이를 필요로 하는 길이보다 짧게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 1의 관이음매(1)에서는, 접속관 삽입확인수단(6)의 봉형상 부재(81)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관이음매(1)의 수용부 길이에 대한 접속관(10)의 삽입 심도, 즉 접속관(10)의 삽입확인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이 결과, 오퍼레이터는 시각 또는 손끝 등을 이용하여 빈 공간으로 된 외통체(5)의 관통구멍(50)을 확인할 수 있고, 그리고 삽입된 접속관(10)이 관이음매(1)에 대해 소정의 위치까지 도달하여, 접속이 완료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1에서는, 접속관(10)의 삽입 상태를 더 확실하게 확인하기 쉽게 하는 목적으로, 2개의 봉형상 부재(81)가 삽입확인부재 본체(80)의 중심에 대해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 때문에 관이음매(1)의 외통체(5)에는, 상기 봉형상 부재(81)의 수 및 위치에 대응하여 2개의 관통구멍(50)이 외통체(5)의 중심축(51)에 대해서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봉형상 부재(81)는, 삽입확인부재(8)의 축방향 내부측으로의 이동에 동반하여, 절곡해서 변형되면서 외통체의 내주면상의 홈부(71)안으로 수용된다. 이 때문에, 봉형상 부재(81) 및 이를 포함하는 삽입확인부재(8)는, 유연성이 있고 또한 인장 응력에 강한 재료로 만들어져 있음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예 1에서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만들어져 있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일반적으로 합성고무 혹은 천연고무에 비해 일정 하중에 대한 신장이 작기 때문에, 접속관(10)의 삽입확인위치에 대응한 길이를 유지하면서, 절곡해서 변형됨이 요구되는 봉형상 부재(81)의 재료로서 적합하다.
또한, 봉형상 부재(81)의 고도한 변형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그 단면을 편평한 형상으로 하는 등 형상을 연구함으로써 절곡되기 쉽게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 1의 봉형상 부재(8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확인부재 본체(80)와의 밑동 근방의 단면적을 좁은 폭으로 하거나, 혹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국부적으로 두께를 얇게 하는 등, 다른 부분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는 유사 힌지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인입 초기의 높은 절곡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더욱이, 봉형상 부재(81)의 선단부의 형상 등은, 오퍼레이터의 손끝 등에 의한 확인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선단부의 형상을 뽀족한 형상이나 요철을 갖는 표면 등 손끝에 자극을 줄 수 있는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도 4 참조). 또한, 육안에 의한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봉형상 부재(81)또는 봉형상 부재의 선단부를 형광색 등 눈에 띄는 색으로 착색할 수도 있다.
도 3에는, 외통체 등의 내주면상에 장착되는 슬리브(7)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슬리브(7)는, 그 단부(70)에 있어서 O형의 단면을 갖는 원통형을 이루고 있고, 그 주면(周面)에는, 외통체(5)의 관통구멍(50)의 위치에 대응하여 축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또한 서로 대향하고 있는 2개의 슬릿(7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 1에서는, 외통체(5)의 내주면에 슬리브(7)를 장착함으로써, 관통구멍(50)으로부터 축방향 내부측으로 향하여 슬릿으로 이루어지는 홈부(71)가 형성된다.
만약, 외통체(5)의 내주면상에 홈부(71)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면, 접속관(10)의 삽입에 동반하여 수용부(13) 안으로 끌려들어가는 봉형상 부재(81)가, 접속관(10)의 추가 삽입을 저해하도록 외통체(5)의 내주면과, 접속관(10)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끼워 넣어지고, 혹은 당겨 찢어진다고 하는 불량을 초래할 것이다.
또한, 봉형상 부재(81)를 끌어넣기 위해서 외통체(5)의 내주면과, 접속관 (10)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형성하는 공간으로서는, 외통체(5)의 내경과 접속관(10)의 외경의 직경차이에 의해 생기는 간극부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그와는 다른 홈부(71)를 형성시키고 있다. 그 이유는, 간극부를 이용하면, 삽입 후의 접속관 (10)과 외통체(5) 사이의 간극부에 의해 덜컥거림이 생겨, 접속관(10)을 강고하게 고정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 1에서는, 외통체(5)의 내경은 접속관(10)의 외경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고, 그리고 그 속에 슬리브(7)를 장착함으로써, 접속관(10)의 외경과 대략 같은 크기의 내경을 갖는 내주면을 형성시키고 있다. 또한, 슬리브(7)는, 그 장착 용이성을 고려하여, 외경을 작게 변형시킬 수 있도록,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단면의 일부를 잘라 떼어낸 C형 형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슬리브(7)의 사용은, 외통체(5)의 성형성이나, 삽입확인부재(8), 외측 잠금 링(12) 등 내부 부품의 장착성을 향상시킨다. 특히 후술하는 외측 잠금 링 (12)을 사용하는 타입의 관이음매(1)의 경우, 외측 잠금 링(12)의 축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하기 위한 직경방향으로 평행한 고정벽(72)도, 외통체(5)의 내주면상에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 1의 관이음매(1)의 수용부(13) 안에는, 접속관 삽입시, 그 내외주면을 압압하기 위해서 기능하는 제1 돌기부와, 접속관 빼냄시, 접속관을 걸어멈춤하기 위해서 기능하는 제2 돌기부를 갖는 내측 잠금 링(11) 및 외측 잠금 링(12)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다만, 본 실시예 1에 있어서, 잠금 링이 내통체(4)의 외주면 및 외통체(5)의 내주면의 양쪽에 장착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그 어느 한쪽에 장착되어 있으면 좋다. 그렇지만, 관이음매(1)의 낙하, 용제의 부착, 밟아 누름 등에 의해 한쪽의 잠금 링이 파손될 수 있음을 고려하면, 잠금 링은, 본 실시예 1과 같이 내통체(4) 및 외통체(5)의 양쪽에 장착되어 있음이 바람직하다.
또한, 관이음매(1)의 내통체(4)의 외주면 및 외통체(5)의 내주면에는, 내측 잠금 링(11) 및 외측 잠금 링(12)을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하기 위해, 직경방향으로 평행한 고정벽과 축방향 외부측으로 향하여 연속적으로 확경 또는 축경되어 있는 테이퍼벽이 형성된다. 이 때문에, 내측 잠금 링(11) 및 외측 잠금 링 (12)은, 그 하나의 단(고정단)이 내통체(4) 또는 외통체(5)의 고정벽과의 관계에 의해 축방향으로의 이동이 실질적으로 제한되고, 그리고 그외의 단(자유단)이 테이퍼벽과의 관계에 의해 축방향으로의 이동이 허용되도록, 고정벽과 테이퍼벽과의 사이에 장착된다(도 1참조).
도 6과 도 7에는, 본 실시예의 관이음매(1)에서 사용되는 내측 잠금 링(11)의 사시도 및 중심축을 지나는 단면으로 절취한 경우의 단면도가 나타나 있다.
내통체(4)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내측 잠금 링(11)은, 통형상체로 이루어지고, 그 몸통부에는, 외팔보(cantilever)의 자유단을 형성하도록, 복수의 슬릿(111)이 통형상체의 단부로부터 컷팅되어 있다. 또한, 내측 잠금 링(11)은, 접속관 삽입시, 탄성변형에 의해 접속관의 내주면을 압압하기 위해서 기능하는 제1 외향 돌기부(112)와, 접속관 빼냄시, 접속관을 걸어멈춤하기 위해서 기능하는, 상기 자유단에 배치되어 있는 제2 외향 돌기부(113)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외향 돌기부(112)의 압압 기능은, 내측 잠금 링(11)의 돌기부를 지지하는 내측 잠금 링 자체의 구조를 탄성변형 가능한 구조로 함으로써 달성된다. 즉, 내측 잠금 링(11)의 불룩부(110)는, 그 축방향의 단면 형상이 자벌레(measuring worm, looper)와 같은 형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도 1참조), 직경방향 내측으로 향하여 압압되면 휘어지고, 그리고 그 반력으로 삽입된 접속관(10)의 내주면을 적당히 압압한다. 또한, 슬릿(111)은, 내측 잠금 링(11)의 몸통부를 관통하도록 축방향으로 뻗어 있기 때문에, 슬릿(111)에 의해 분할된 불룩부(110)의 각각이 서로 간섭하는 일 없이 탄성변형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그 결과, 본 실시예의 관이음매(1)에서는, 접속관(10)을 관이음매(1)의 수용부(13)의 소정의 위치까지 삽입한 후, 빼냄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 외향 돌기부 (112)가 접속관(10)의 내주면에 걸어멈춤되므로, 내측 잠금 링(11)도 접속관(10)과 함께 빼냄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내측 잠금 링(11)의 자유단은 내통체(4)의 테이퍼벽 영역으로 진입하고, 테이퍼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내측 잠금 링(11)은 제2 외향 돌기부(113)를 접속관(10)의 내주면으로 압접하도록 확경되고, 그리고 접속관(10)은, 제2 외향 돌기부(113)에 의해 확실하고 강고하게 걸어멈춤된다.
한편, 도 8과 도 9에는, 본 실시예의 관이음매(1)에서 사용되는 외측 잠금 링(12)의 사시도 및 중심축을 지나는 단면으로 절취한 경우의 단면도가 나타나 있다.
외통체(5)의 내주면에 배치되는 외측 잠금 링(12)은, 상술된 내측 잠금 링 (11)과 마찬가지로 통형상체로 이루어지고, 그 몸통부에는, 외팔보의 자유단을 형성하도록, 복수의 슬릿(121)이 통형상체의 단부로부터 컷팅되어 있다. 또한, 외측 잠금 링(12)은, 접속관 삽입시, 탄성변형에 의해 접속관의 외주면을 압압하기 위해서 기능하는 제1 내향 돌기부(122)와, 접속관 빼냄시, 접속관을 걸어멈춤하기 위해서 기능하는, 상기 자유단에 배치되어 있는 제2 내향 돌기부(123)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내향 돌기부(122)의 압압 기능은, 외측 잠금 링(12)의 돌기부를 지지하는 외측 잠금 링 자체의 구조를 탄성변형 가능한 구조로 함으로써 달성된다. 즉, 외측 잠금 링(12)의 잘록형상부(오목부)(120)는, 그 축방향의 단면 형상이 자벌레 (measuring worm, looper)와 같은 형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도 1참조), 직경방향 외측으로 향하여 압압되면 휘어지고, 그 반력으로 삽입된 접속관(10)의 외주면을 적당히 압압한다. 또한, 슬릿(121)은, 외측 잠금 링(12)의 몸통부를 관통하도록 축방향으로 뻗어 있기 때문에, 슬릿(121)에 의해 분할된 잘록형상부(120)의 각각이 서로 간섭하는 일 없이 탄성변형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그 결과, 본 실시예의 관이음매(1)에서는, 접속관(10)을 관이음매(1)의 수용부(13)의 소정의 위치까지 삽입한 후, 빼냄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 내향 돌기부 (122)가 접속관(10)의 외주면에 걸어멈춤되므로, 외측 잠금 링(12)도 접속관(10)과 함께 빼냄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외측 잠금 링(12)의 자유단은 외통체(5)의 테이퍼벽 영역으로 진입하고, 테이퍼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외측 잠금 링(12)은 제2 내향 돌기부(123)를 접속관(10)의 외주면으로 압접하도록 축경되며, 그리고 접속관(10)은, 제2 내향 돌기부(123)에 의해 접속관(10)을 확실하고 강고하게 걸어멈춤된다.
상술과 같은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잠금 링(11,12)의 재료로서는, 경질이고 또한 적절한 탄성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것은 아니지만, 플라스틱 재료 또는 금속재료로 성형할 수 있다. 특히 플라스틱 재료로 성형하는 경우, 재료로서 폴리페닐설폰(PPSU) 수지 또는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수지 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관이음매(1)는, 내통체(4)의 외주면상에 접속관(10)과의 간극을 씨일하기 위해서 2개의 씨일 링(15,15')을 구비하고 있다(도 1참조). 씨일 링 (15,15')은, 내통체(4)의 외주면상에 홈부(16,16')를 형성하여, 그 안에 수용함으로써 고정된다. 또한, 씨일 링의 단면 형상에 특별히 제한이 없지만, 본 실시예 1에서는 O형의 단면을 갖는 씨일 링(15,15')이 사용되고 있다.
씨일 링은, 내통체(4)의 외주면상 또는 외통체(5)의 내주면상, 혹은 그들 양쪽의 주면(周面)상에 배치할 수 있다. 그렇지만, 본 실시예 1의 관이음매(1)의 경우,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티끌이나 먼지의 영향을 극력 배제하고, 또한 외통체(5)가 어떠한 원인으로 파손되었을 때에도 씨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으로, 내통체(4)의 외주면상에 씨일 링(15,15')을 배치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씨일 링(15,15')의 배치는, 관이음매(1)로 알루미늄 3층관과 같은 원형 관을 관이음매에 접속할 때, 그 단면에 있어서 노출되어 있는 금속 부분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도 도움이 된다.
또한, 씨일 링(15)은, 본 실시예 1과 같이 외측 잠금 링(12)의 제2 내향 돌기부(123)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접속관 장착 후의 제2 내향 돌기부 (123)의 압접력을 이용하여 더 강고한 씨일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장착 후의 접속관(10)의 덜컥거림(rickety)의 감소를 도모하는 목적으로, 본 실시예의 씨일 링(15,15')은, 그들 사이에 같은 측의 내측 잠금 링(11)이 부착되도록, 그 전방과 후방으로 나누어서 배치되어 있다.
[실시예 2]
도 10에는, 접속관 삽입확인수단(6)을 구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원터치식 관이음매(1')로서, 상반분에 접속관 삽입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하반분에 접속관 삽입 후의 상태를 나타내며, 또한 그 중심축을 지나는 단면으로 절취한 경우의 단면도가 나타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 2의 관이음매(1')는, 접속관(10)을 걸어멈춤하기 위한 잠금 링 (17)이, 방사상으로 뻗은 복수의 톱니 또는 돌기를 갖고, 또한 외통체(5)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환상 타입의 잠금 링인 것 이외, 실시예 1의 관이음매(1)와 같은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 2의 관이음매(1')는, 이음매 본체(3), 내통체(4), 외통체 (5), 고정식의 외측 잠금 링(17) 및 접속관 삽입확인수단(6)을 포함하고 있고, 어느 부품도 대략 통 형상 또는 링 형상의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 2에서는, 이음매 본체(3)는 내통체(4)를 포함하고,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다. 이음매 본체(3) 및 내통체(4)는 그 내부에 유체를 흐르게 하기 위한 통로 개구부(30)를 갖고 있고, 그 선단부(31)는 유체의 저항을 줄이기 위해서 깔때기 형상을 갖고 있다. 더욱이, 관이음매(1')의 생산성이나 비용면 등을 중시하는 경우는, 실시예 1의 관이음매(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음매 본체(3), 내통체(4) 및 외통체(5)는, 그 모든 부품을 사출성형 등에 의해 일체적으로 성형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 2의 관이음매(1')에 있어서, 접속관(10)의 접속관 삽입확인수단(6)은, 외통체에 형성된 관통구멍(50)과, 외통체(5)의 내주면에 장착된 슬리브 (7)와, 그리고 외통체(5)와 내통체(4)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부(13)에 배치된 삽입확인부재(8)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은 실시예 1의 관이음매(1)의 경우와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 2의 관이음매(1')에서는, 고정식의 외측 잠금 링(17) 이외의 각 부품의 기능 및 구성은 실시예 1의 관이음매(1)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각 부품의 기능이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 2의 관이음매(1')에서는, 도 10의 상반부의 중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관(10)이 관이음매(1')의 수용부(13)속에 삽입되기 전, O형 링형상의 삽입확인부재(8)의 봉형상 부재(81)는, 관통구멍(50)의 안으로부터 외통체(5)의 외부로 돌출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오퍼레이터는 그 봉형상 부재(81)의 존재를 외부로부터 육안 또는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확인함으로써, 접속관(10)과 관이음매(1')가, 아직 완전한 상태로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것을 용이하고 확실히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접속관(10)이 관이음매(1')의 수용부(13)의 최심부(14)의 안까지 삽입되어, 접속관(10)의 접속 및 고정이 완료되면, 삽입확인부재(8)는 수용부(13)의 단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점유하고 있기 때문에 접속관(10)의 선단부에 의해서 접촉되고, 그리고 관이음매 수용부(13)의 최심부(14)까지 밀어넣어진다. 이 때, 봉형상 부재(81)는 삽입확인부재 본체(80)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확인부재 (8)의 이동에 동반하여, 상기 외통체(5)의 외부로부터 관통구멍(50)을 지나, 슬리브(7)에 의해 외통체(5)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홈부(슬릿)(71)의 안으로 끌려들어가고, 그리고 수용된다.
이 결과, 오퍼레이터는 육안 또는 손끝 등을 이용하여 빈 공간으로 된 외통체(5)의 관통구멍(50)을 확인할 수 있고, 그리고 삽입된 접속관(10)이 관이음매 (1')에 대해 소정의 위치까지 도달하여, 접속이 완료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1, 1' …… 원터치식 관이음매
2 …… 소켓
3 …… 이음매 본체
30 …… 통로 개구부
31 …… 선단부
4 …… 내통체
5 …… 외통체
50 …… 관통구멍
51 …… 중심축
6 …… 접속관 삽입확인수단
7 …… 슬리브
70 …… 단부
71 …… 슬릿, 홈부
8 …… 삽입확인부재
80 …… 삽입확인부재 본체
81 …… 봉형상 부재
10 …… 접속관
11 …… 내측 잠금 링
110 …… 불룩부
111 …… 슬릿
112 …… 제1 외향 돌기부
113 …… 제2 외향 돌기부
12 …… 외측 잠금 링
120 …… 잘록형상부
121 …… 슬릿
122 …… 제1 내향 돌기부
123 …… 제2 내향 돌기부
13 …… 수용부
14 …… 최심부
15, 15' …… 씨일 링
16,16' …… 홈부
17 …… 고정식 외측 잠금 링

Claims (10)

  1. 이음매 본체와, 접속관을 받아들이기 위한 수용부를 형성하는 외통체(外筒體) 및 내통체(內筒體)와, 상기 접속관의 삽입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접속관 삽입확인수단을 구비한 관이음매에 있어서,
    상기 삽입확인수단은,
    상기 외통체의 내주면(內周面)과 외주면(外周面)을 관통하는 관통구멍과,
    상기 관통구멍으로부터 축방향 내부측으로 뻗어, 상기 외통체의 내주면상에 형성되어 있는 홈부와,
    방사상으로 뻗은 가요성(可撓性)의 봉형상 부재를 갖고, 또한 상기 수용부의 안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C형 링형상 또는 O형 링형상의 삽입확인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접속관 삽입전, 상기 봉형상 부재는, 상기 관통구멍 안으로부터 상기 외통체의 외부로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접속관 삽입시, 상기 봉형상 부재는, 상기 삽입확인부재가 상기 접속관의 선단부에 의해 축방향 내부측으로 밀어넣어짐으로써, 상기 외통체의 외부로부터 그 내주면상에 형성된 상기 홈부의 안으로 수용되도록 끌려들어가며,
    상기 삽입확인부재의 봉형상 부재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관이음매의 수용부 길이에 대한 상기 접속관의 삽입확인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축방향으로 뻗은 슬릿을 갖는 슬리브를 상기 외통체의 내주면으로 장착함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형상 부재는, 그 단면이 편평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확인부재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또는 합성고무 혹은 천연고무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체의 외주면 또는 상기 외통체의 내주면은, 상기 접속관과의 간극을 씨일하기 위한 씨일 링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이음매는,
    직경방향으로 평행한 고정벽과, 축방향 외부측으로 향하여 연속적으로 확경(擴徑)하는 테이퍼벽을 외주면에 더 갖는 상기 내통체와,
    외팔보(cantilever)의 자유단(自由端)을 형성하기 위해서 복수의 슬릿을 갖는 통형상체로서, 상기 접속관 삽입시, 상기 통형상체의 탄성변형에 의해 상기 접속관의 내주면을 압압(押壓)하는 제1 외향 돌기부와, 상기 자유단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접속관 빼냄시, 상기 접속관을 걸어멈춤하는 제2 외향 돌기부를 가지며, 상기 내통체의 고정벽과 테이퍼벽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내측 잠금 링을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접속관을 상기 수용부의 소정의 위치까지 삽입 후, 빼냄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내측 잠금 링은, 상기 제1 외향 돌기부가 상기 접속관의 내주면에 걸어멈춤됨으로써 상기 접속관과 함께 빼냄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내측 잠금 링의 자유단은 상기 내통체의 테이퍼벽 영역으로 진입하며, 상기 테이퍼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내측 잠금 링은 상기 제2 외향 돌기부를 상기 접속관의 내주면에 압접하도록 확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이음매는,
    직경방향으로 평행한 고정벽과, 축방향 외부측으로 향하여 연속적으로 축경하는 테이퍼벽을 내주면에 더 갖는 상기 외통체와,
    외팔보의 자유단을 형성하기 위해 복수의 슬릿을 갖는 통형상체로서, 상기 접속관 삽입시, 상기 통형상체의 탄성변형에 의해 상기 접속관의 외주면을 압압하는 제1 내향 돌기부와, 상기 자유단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접속관 빼냄시, 상기 접속관을 걸어멈춤하는 제2 내향 돌기부를 가지며, 상기 외통체의 고정벽과 테이퍼벽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외측 잠금 링을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접속관을 상기 수용부의 소정의 위치까지 삽입 후, 빼냄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외측 잠금 링은, 상기 제1 내향 돌기부가 상기 접속관의 외주면에 걸어멈춤됨으로써 상기 접속관과 함께 빼냄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외측 잠금 링의 자유단은 상기 외통체의 테이퍼벽 영역으로 진입하며, 상기 테이퍼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외측 잠금 링은 상기 제2 내향 돌기부를 상기 접속관의 외주면으로 압접하도록 축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이음매는,
    직경방향으로 평행한 고정벽과, 축방향 외부측으로 향하여 연속적으로 확경하는 테이퍼벽을 외주면에 더 갖는 상기 내통체와,
    직경방향으로 평행한 고정벽과, 축방향 외부측으로 향하여 연속적으로 축경하는 테이퍼벽을 내주면에 더 갖는 상기 외통체와,
    외팔보의 자유단을 형성하기 위해서 복수의 슬릿을 갖는 통형상체로서, 상기 접속관 삽입시, 상기 통형상체의 탄성변형에 의해 상기 접속관의 내주면을 압압하는 제1 외향 돌기부와, 상기 자유단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접속관 빼냄시, 상기 접속관을 걸어멈춤하는 제2 외향 돌기부를 가지며, 상기 내통체의 고정벽과 테이퍼벽과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내측 잠금 링과,
    외팔보의 자유단을 형성하기 위해 복수의 슬릿을 갖는 통형상체로서, 상기 접속관 삽입시, 상기 통형상체의 탄성변형에 의해 상기 접속관의 외주면을 압압하는 제1 내향 돌기부와, 상기 자유단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접속관 빼냄시, 상기 접속관을 걸어멈춤하는 제2 내향 돌기부를 가지며, 상기 외통체의 고정벽과 테이퍼벽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외측 잠금 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속관을 상기 수용부의 소정의 위치까지 삽입 후, 빼냄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내측 잠금 링은, 상기 제1 외향 돌기부가 상기 접속관의 내주면에 걸어멈춤됨으로써 상기 접속관과 함께 빼냄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내측 잠금 링의 자유단은 상기 내통체의 테이퍼벽 영역으로 진입하며, 상기 테이퍼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내측 잠금 링은 상기 제2 외향 돌기부를 상기 접속관의 내주면으로 압접하도록 확경되고, 또한 상기 외측 잠금 링은, 상기 제1 내향 돌기부가 상기 접속관의 외주면에 걸어멈춤됨으로써 상기 접속관과 함께 빼냄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외측 잠금 링의 자유단은 상기 외통체의 테이퍼벽 영역으로 진입하고, 상기 테이퍼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외측 잠금 링은 상기 제2 내향 돌기부를 상기 접속관의 외주면으로 압접하도록 축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매.
  10. 이음매 본체와,
    상기 이음매 본체로부터 축방향 외부측으로 향하여 뻗은 내통체와,
    내외주면(內外周面)을 관통하는 관통구멍과, 상기 관통구멍으로부터 축방향 내부측으로 뻗은 홈부를 내주면상에 갖고, 상기 내통체의 외측으로 배치되어, 상기 내통체와의 사이에 접속관을 받아들이기 위한 수용부를 형성하는 외통체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된 접속관의 내주면 및/또는 외주면에 대해, 끝이 뽀족한 돌기물을 압접함으로써 상기 접속관의 빠짐을 방지하는 잠금 링과, 방사상으로 뻗은 가요성의 봉형상 부재를 갖고, 상기 수용부의 안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C형 링형상 또는 O형 링형상의 삽입확인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접속관 삽입전, 상기 봉형상 부재는, 상기 관통구멍 안으로부터 상기 외통체의 외부로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접속관 삽입시, 상기 봉형상 부재는, 상기 삽입확인부재가 상기 접속관의 선단부에 의해 축방향 내부측으로 밀어넣어짐으로써, 상기 외통체의 외부로부터 그 내주면상에 형성된 상기 홈부의 안으로 수용되도록 끌려들어가고, 상기 삽입확인부재의 봉형상 부재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관이음매의 수용부 길이에 대한 상기 접속관의 삽입확인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매.


KR1020110028256A 2011-03-29 2011-03-29 관이음매 KR101681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256A KR101681788B1 (ko) 2011-03-29 2011-03-29 관이음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256A KR101681788B1 (ko) 2011-03-29 2011-03-29 관이음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416A KR20120110416A (ko) 2012-10-10
KR101681788B1 true KR101681788B1 (ko) 2016-12-01

Family

ID=47281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8256A KR101681788B1 (ko) 2011-03-29 2011-03-29 관이음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178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38694A (ja) * 2006-11-30 2008-06-19 Hitachi Metals Ltd 管継手
JP2008286259A (ja) 2007-05-16 2008-11-27 Higashio Mech Co Ltd 管継手
JP2010230094A (ja) * 2009-03-27 2010-10-14 Aron Kasei Co Ltd 管継手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8793A (ja) 1990-05-09 1992-01-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フローはんだ付方法
JP3276174B2 (ja) 1992-08-13 2002-04-22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ビデオカメラ
FR2710717B1 (fr) * 1993-10-01 1995-12-22 Caillau Ets Connexion rapide pour emmanchement d'un tube rigide dans un embout.
JP3672657B2 (ja) 1996-02-29 2005-07-20 株式会社リケン 差し込み式管継手
JPH11132374A (ja) 1997-10-30 1999-05-21 Bridgestone Corp パイプ継手
JP2001193883A (ja) 2000-01-07 2001-07-17 Sekisui Chem Co Ltd 差し込み継手
JP2001324071A (ja) 2000-05-17 2001-11-22 Katsuyoshi Sato 管体の接続具
JP2002089759A (ja) 2000-09-12 2002-03-27 Onda Seisakusho:Kk 継 手
JP4394816B2 (ja) 2000-09-28 2010-01-06 株式会社日本ピスコ 管継手
JP2003227592A (ja) 2002-02-05 2003-08-15 Maezawa Kyuso Industries Co Ltd 管継手
JP4040490B2 (ja) 2002-02-14 2008-01-30 株式会社キッツ 管継手
JP2005172218A (ja) 2003-11-21 2005-06-30 Hama International:Kk 管継手
JP2006118704A (ja) 2004-09-21 2006-05-11 Hitachi Metals Ltd 差込み型継手
NL1029408C2 (nl) 2005-07-01 2007-01-04 Wavin Bv Buiskoppeling.
JP3968397B1 (ja) 2006-12-28 2007-08-29 未来工業株式会社 合成樹脂製通水管用の継手
JP5039461B2 (ja) 2007-07-10 2012-10-03 Jfe継手株式会社 差込式管継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38694A (ja) * 2006-11-30 2008-06-19 Hitachi Metals Ltd 管継手
JP2008286259A (ja) 2007-05-16 2008-11-27 Higashio Mech Co Ltd 管継手
JP2010230094A (ja) * 2009-03-27 2010-10-14 Aron Kasei Co Ltd 管継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416A (ko)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36163A1 (en) Quick Connector
JP2006010010A (ja) 管継手
EP2417997A1 (en) Needle safety device
RU96118475A (ru) Одноразовый шприц и комплект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однократности использования обычного шприца
RU2003123096A (ru) Медицинский инструмент и блокирующий механизм для него
US9829135B2 (en) Pipe joint
KR950000172A (ko) 주사기용 허브, 허브의 접속구조, 실린지, 피스톤, 주사바늘유닛, 이 주사 바늘 유닛과 실린지의 접속구조, 주사기 및 주사기의 조립방법
US11065394B2 (en) Syringe with retractable needle
CN110201271B (zh) 一次性注射针头
JP5334792B2 (ja) 管継手
EP2871398A1 (en) Connector
KR960023979A (ko) 관 죠인트
EP2508783B1 (en) Pipe coupling
KR101681788B1 (ko) 관이음매
JP5486895B2 (ja) 管継手
USRE49516E1 (en) Syringe and method for assembling it
US9845906B2 (en) Release clip
US5527286A (en) Single-use syringe
KR101681787B1 (ko) 관이음매
JP2018115739A (ja) 管継手
US9011389B2 (en) Supporting sleeve for a container with a flange
JP2018109422A (ja) 管継手
KR200414093Y1 (ko) 관로 연결용 카트리지
JPH11190483A (ja) 流体用のプラグ継手
CN103090905A (zh) 一种阀门测试用的测试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