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0113B1 - 휴대 단말기의 gui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gui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0113B1
KR101680113B1 KR1020100037511A KR20100037511A KR101680113B1 KR 101680113 B1 KR101680113 B1 KR 101680113B1 KR 1020100037511 A KR1020100037511 A KR 1020100037511A KR 20100037511 A KR20100037511 A KR 20100037511A KR 101680113 B1 KR101680113 B1 KR 101680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ed
item
display
items
men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7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7979A (ko
Inventor
신현경
신승우
이봉원
종인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7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0113B1/ko
Priority to US13/084,651 priority patent/US20110265040A1/en
Priority to RU2012144627/08A priority patent/RU2597525C2/ru
Priority to JP2013506070A priority patent/JP5976632B2/ja
Priority to CN2011800201128A priority patent/CN102859479A/zh
Priority to MYPI2012700776A priority patent/MY162632A/en
Priority to BR112012028357A priority patent/BR112012028357A2/pt
Priority to CA2797086A priority patent/CA2797086A1/en
Priority to PCT/KR2011/002732 priority patent/WO2011132892A2/en
Priority to EP11772180.3A priority patent/EP2561429A4/en
Priority to AU2011243470A priority patent/AU2011243470B2/en
Publication of KR20110117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7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0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0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기반의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유도하는 GUI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GUI 제공 방법은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이외에 표시 가능 아이템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판단 단계; 및 상기 표시 가능 아이템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표시 가능 아이템이 생성되는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의 경계 부분에 일정 형태의 이미지 객체를 표시하는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GUI 제공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IN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GUI(Graphic User Interface)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터치스크린 기반의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유도하는 GUI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터치스크린 기반의 휴대 단말기에 대한 선호도는 점차 증가하고 있다. 사용자는 터치스크린 상에 터치 동작을 입력하여 원하는 정보를 탐색하거나 원하는 기능을 실행하게 되며, 휴대 단말기에 표시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는 이러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 안내한다. 이 때, 상기 표시되는 GUI에 따라 휴대 단말기 사용 편의성이 달라질 수 있으며, 현재 휴대 단말기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GUI가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GUI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GUI 제공 방법은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이외에 표시 가능 아이템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판단 단계; 및 상기 표시 가능 아이템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표시 가능 아이템이 생성되는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의 경계 부분에 일정 형태의 이미지 객체를 표시하는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GUI 제공 방법은 제1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 사용자로부터 제2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 제2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의 특정 영역에 일정 형태의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그래픽 객체 상에 입력되는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터치 동작에 따라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의 관련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UI 제공을 위한 휴대 단말기는 화면을 출력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에 배열하여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이외에 표시 가능 아이템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표시 가능 아이템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기 표시 가능 아이템이 생성되는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의 경계 부분에 일정 형태의 이미지 객체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GUI 제공을 위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인식하는 터치센서부; 화면을 출력하는 표시부; 및 제1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하고, 상기 터치센서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2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을 입력 받으면,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제2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의 일 영역에 일정 형태의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고, 상기 터치센서부를 제어하여 상기 그래픽 객체 상에 입력되는 터치 동작을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기 감지된 터치 동작에 따라 제1어플리케이션 제어창을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오버레이(overlay)하여 표시하거나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제1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해 휴대 단말기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화면상에 표시되는 라이트 이미지를 통해, 현재 표시된 정보 이외에 추가적으로 표시 가능한 정보의 존재 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화면상에 표시된 라이트 이미지를 통해, 상기 표시 가능한 정보를 휴대 단말기에 표시시키기 위해 입력해야 할 터치 이동 동작을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상에 표시되는 라이트 이미지를 통해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알 수 있게 되며, 상기 라이트 이미지로부터 생성되는 제어창을 통해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상에 표시되는 라이트 이미지를 통해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를 알 수 있게 되며, 상기 라이트 이미지에 소정의 터치 동작을 입력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전환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GUI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GUI 제공 방법에 따라 표시되는 휴대 단말기의 예시 화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GUI 제공 방법에 따라 표시되는 휴대 단말기의 다른 예시 화면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GUI 제공 방법에 따라 표시되는 휴대 단말기의 또 다른 예시 화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표시되는 라이트 이미지의 불빛 방향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GUI 제공 방법에 따라 표시되는 휴대 단말기의 예시 화면으로서, 사용자가 터치 이동 동작을 입력했을 때, 변경되는 형태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GUI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GUI 제공 방법에 따라 표시되는 휴대 단말기의 예시 화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GUI 제공 방법에 따라 표시되는 휴대 단말기의 다른 예시 화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item)'은 GUI(Graphic User Interface)의 일종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 가능한 모든 그래픽 개체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모든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단말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Portable Multimedia Player-PMP),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PDA), 스마트 폰(Smart Phone),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정보 통신 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통신부(110), 오디오처리부(120), 터치스크린부(130), 키 입력부(140), 저장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무선통신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1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60)로 출력하고, 제어부(16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오디오처리부(120)는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20)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재생하고,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터치스크린부(130)는 터치센서부(131) 및 표시부(132)를 포함한다. 터치센서부(131)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터치센서부(131)는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overlay), 압력식 저항막 방식(resistive overlay), 적외선 감지 방식(infrared beam) 등의 터치 감지 센서로 구성되거나, 압력 감지 센서(pressure sensor)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센서들 이외에도 물체의 접촉 또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센서 기기가 본 발명의 터치센서부(131)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부(131)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60)로 전송한다. 상기 감지 신호에는 사용자가 터치를 입력한 좌표 데이터가 포함된다. 사용자가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한 경우에 터치센서부(131)는 터치 위치 이동 경로의 좌표 데이터를 포함한 감지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60)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 터치 위치 이동 동작에는 터치 위치의 이동 속도가 기 설정된 임계 속도보다 큰 동작에 해당하는 플릭(flick), 터치 위치의 이동 속도가 기 설정된 임계 속도보다 작은 동작에 해당하는 드래그(drag)가 포함될 수 있다.
표시부(132)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100)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표시부(132)는 휴대 단말기(100)의 부팅 화면, 대기 화면, 메뉴 화면, 통화 화면, 기타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키 입력부(140)는 휴대 단말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을 입력받고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키 입력부(140)는 숫자 키, 방향키를 포함하는 키패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100)의 일면에 소정의 기능키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스크린부(130)만으로 모든 조작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의 경우에는 키 입력부(140)가 생략될 수도 있다.
저장부(15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휴대 단말기(10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휴대 단말기(100)의 기타 옵션 기능, 예컨대, 카메라 기능,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이미지, 동영상, 폰 북, 오디오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휴대 단말기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60)는 터치센서부(131) 또는 키 입력부(140)를 제어하여 사용자로부터 아이템 표시 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아이템 표시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6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에 일정 방향으로 배열하여 표시한다. 이 후, 제어부(160)는 아이템 배열 방향 또는 아이템 배열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아이템 이동이 가능한지 판단한다. 이 때, 제어부(160)는 현재 표시된 아이템들 중 가장 앞에 표시된 아이템 이전에 표시 대기 상태의 아이템이 존재하는지, 가장 마지막에 표시된 아이템 이후에 표시 대기 상태의 아이템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아이템 배열 방향으로 아이템 이동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6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아이템 배열이 시작되는 측의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의 경계 부분에 라이트 이미지를 표시하고, 아이템 배열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아이템 이동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6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아이템 배열이 끝나는 측의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의 경계 부분에 라이트 이미지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제1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하며, 터치스크린부(130) 또는 키 입력부(140)를 제어하여 사용자로부터 제2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사용자로부터의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6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제1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서 제2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으로 전환하여 표시한다. 이후, 제어부(160)는 604단계에서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제2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의 일 영역에 라이트(light) 이미지를 표시한다. 제2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상에 라이트 이미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제어부(160)는 터치스크린부(130)를 제어하여 라이트 이미지에 일정 방향의 터치 동작이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사용자로부터 라이트 이미지에 일정 방향의 터치 동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6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제1어플리케이션 제어창을 제2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오버레이(overlay)하여 표시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GUI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표시부(132)에 표시되지 않는 아이템들에 대해 사용자의 탐색을 유도하기 위한 GUI를 제공하는 실시예에 해당한다.
201단계에서 제어부(160)는 아이템 표시 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201단계에서 터치센서부(131) 또는 키 입력부(14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배경 화면(background)의 표시 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201단계에서 터치센서부(131) 또는 키 입력부(140)를 제어하여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실행 화면 또는 메뉴(menu) 화면의 표시 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아이템'은 다수의 하위 메뉴 아이템들을 포괄하는 상위 메뉴 아이템에 해당할 수 있다.
아이템 표시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60)는 202단계에서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에 일정 방향으로 배열하여 표시한다. 본 발명에서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이템이 표시되도록 정의된 영역에 해당한다. 제어부(160)는 표시부(132)에서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을 확인하고, 상기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에 표시 가능한 아이템의 최대 개수(A)를 확인한다. 이후 제어부(160)는 표시할 아이템의 개수(a)를 확인하고, 상기 'A'와 'a'를 비교할 수 있다. 만약, 'A'가 'a'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제어부(16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표시할 아이템 전부를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에 일정 방향으로 배열하여 표시한다. 그러나 'A'가 'a'보다 작은 경우, 표시할 아이템 전부가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에 표시될 수 없으며, 제어부(16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표시할 아이템들 중 'A'개의 아이템만을 선택하여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에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표시할 아이템들에 배열순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6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최선순위의 아이템부터 'A'개의 아이템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최후순위의 아이템부터 역순으로 'A'개의 아이템들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최종 아이템 표시 상태로 복귀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배경 화면이 배열순서가 설정된 복수개의 아이템들을 포함하고, 이 중 2순위의 아이템이 가장 앞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다른 화면으로 전환된 후, 다시 배경 화면의 표시 명령이 입력될 때, 제어부(16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2순위의 아이템이 가장 앞에 표시되어 있는 형태로 아이템들을 배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202단계에서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아이템들을 배열하여 표시할 때, 일 방향으로 배열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어, 아이템들은 좌측에서 우측을 향하는 방향 또는 우측에서 좌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열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아이템들은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는 방향 또는 하측에서 상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열되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방향 이외에도 본 발명에서 일 방향은 좌상측에서 우하측을 향하는 방향, 우상측에서 좌하측을 항하는 방향 등 아이템들이 배열 되어 표시 가능한 모든 방향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복수의 방향으로 아이템들을 배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템들은 좌측에서 우측을 향하는 방향과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십자 형태(十)를 이루면서 표시될 수도 있다.
상기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에 표시 가능한 아이템의 최대 개수(A)가 표시할 아이템의 개수(a)보다 적은 경우, 표시할 아이템들 중 일부의 A개의 아이템들만 표시부(132)에 표시되며, 다른 아이템들은 표시부(132)에 표시되지 않는다. 이 때, 표시부(132)에 표시되지 않는 아이템들은 표시 대기 상태의 아이템이 된다. 본 발명에서 '표시 대기 상태의 아이템'이란 현재 표시부(132)에 표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에 표시될 수 있는 아이템을 의미한다.
203단계에서 제어부(160)는 아이템 배열 방향과 아이템 배열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아이템 이동이 가능한지 판단한다. 이는 표시부(150)에 표시된 아이템 이외에 추가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아이템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과정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203단계에서 현재 표시된 아이템들 중 가장 앞에 표시된 아이템 이전에 표시 대기 상태의 아이템이 존재하는지, 가장 마지막에 표시된 아이템 이후에 표시 대기 상태의 아이템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203단계에서 현재 표시된 아이템들 중 가장 앞에 표시된 아이템이 기 설정된 배열순서 중 최선순위에 해당하는 아이템이 아닌지, 가장 마지막에 표시된 아이템이 기 설정된 배열순서 중 최후순위에 해당하는 아이템이 아닌지 판단할 수도 있다.
203단계의 판단 결과, 아이템 배열 방향과 아이템 배열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아이템 이동이 가능한 경우, 제어부(160)는 204단계에서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아이템 배열이 시작되는 측의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의 경계 부분과 아이템 배열이 끝나는 측의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의 경계 부분에 라이트(light) 이미지를 표시한다. 아이템 배열이 시작되는 측의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의 경계 부분은 감춰져 있던 아이템이 표시부(150)에 표시될 때, 표시가 시작되는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의 경계 부분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서 라이트 이미지는 일정 방향을 비추는 불빛 형상의 이미지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서는 불빛 형상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의 경계 부분에 표시되는 이미지는 방향성을 나타내는 다른 소정의 이미지로 구성될 수 있다. 아이템이 좌측에서 우측을 항하는 방향으로 배열된 경우, 아이템 배열이 시작되는 측은 좌측이 되며, 아이템 배열이 끝나는 측은 우측이 된다.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이 직사각형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아이템 배열이 시작되는 측의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의 경계 부분은 상기 직사각형의 좌측 변에 해당하며, 아이템 배열이 끝나는 측의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의 경계 부분은 상기 직사각형의 우측 변에 해당할 수 있다. 이 때, 라이트 이미지는 상기 좌측 변과 우측 변에 표시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GUI 제공 방법에 따라 표시되는 휴대 단말기(100)의 예시 화면이다. 도 3a의 [a]의 화면은 각각 'Artists', 'Moods' 및 'Songs'에 해당하는 3개의 아이템(31),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32),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의 제1경계(33),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의 제2경계(34) 및 2개의 라이트 이미지(35)를 표시하고 있다. 도 3a의 [a]는 아이템들이 좌측에서 우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열된 형태를 도시하며,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의 제1경계(33)는 아이템 배열이 시작되는 측의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의 경계 부분에 해당하며,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의 제2경계(34)는 아이템 배열이 끝나는 측의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의 경계부분에 해당한다.
도 3a를 설명함에 있어서,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에 표시할 아이템은 'Album', 'Artists', 'Moods', 'Songs', 'Years' 및 'Genre'에 해당하며, 아이템 배열순서는 상기 배열순서와 같고,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에 표시 가능한 아이템의 최대 개수는 3개에 해당하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202단계에서 상기 6개의 아이템 전부가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에 표시될 수 없으며, 상기 6개의 아이템들 중 3개의 아이템만이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에 표시된다. 'Artists', 'Moods' 및 'Songs'가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에 표시되는 경우, 'Album', 'Years' 및 'Genre'는 표시 대기 상태의 아이템이 된다. 도 3a의 [b]는 'Artists', 'Moods' 및 'Songs'가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에 표시되고, 'Album', 'Years' 및 'Genre'가 표시 대기 상태로 존재하는 형태를 도시한다. 'Album'은 'Artists' 이전 위치에 표시 대기 상태로 존재하며, 'Years' 및 'Genre'는 'Songs' 이후 위치에 표시 대기 상태로 존재한다.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에서 가장 앞에 표시되는 아이템인 'Artists' 이전에 표시 대기 상태의 아이템이 존재하기 때문에, 제어부(16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도 3a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의 제1경계(33)에 라이트 이미지(35)를 표시하게 된다. 또한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에서 가장 마지막에 표시되는 아이템인 'Songs' 이후에 표시 대기 상태의 아이템이 존재하기 때문에, 제어부(16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도 3a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의 제2경계(34)에 라이트 이미지(35)를 표시하게 된다.
사용자는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의 제1경계(33)와 제2경계(34)에 표시된 라이트 이미지(35)를 확인함으로써, 'Artists' 이전과 'Songs' 이후에 추가적으로 표시 가능한 아이템이 존재함을 알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불빛이 표시 대기 상태의 아이템에서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아이템을 향하는 형태의 라이트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라 표시되는 라이트 이미지(35)의 불빛 방향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에서 라이트 이미지(35)는 'Album'과 'Artists' 사이의 경계 라인 상에 위치하며, 불빛이 표시 대기 상태의 아이템인 'Album'에서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템인 'Artists'로 향하는 방향으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도 4에서 라이트 이미지(35)는 'Years'와 'Songs' 사이의 경계 라인에 위치하며, 불빛이 표시 대기 상태의 아이템인 'Years'에서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템인 'Songs'를 향하는 방향으로 표시되어 있다.
203단계에서 아이템 배열 방향과 아이템 배열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아이템 이동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60)는 205단계에서 아이템 배열 방향으로만 아이템 이동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205단계는 제어부(160)가 현재 표시된 아이템들 중 가장 앞에 표시된 아이템 이전에 표시 대기 상태의 아이템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205단계는 현재 표시된 아이템들 중 가장 앞에 표시된 아이템이 기 설정된 배열순서 중 최선순위에 해당하는 아이템이 아닌지 판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205단계의 판단 결과, 아이템 배열 방향으로 아이템 이동이 가능한 경우, 제어부(160)는 206단계에서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아이템 배열이 시작되는 측의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의 경계 부분에 라이트 이미지를 표시한다. 도 3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GUI 제공 방법에 따라 표시되는 휴대 단말기(100)의 다른 예시 화면에 해당한다. 도 3b의 경우에도 도 3a와 마찬가지로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에 표시할 아이템은 'Album', 'Artists', 'Moods', 'Songs', 'Years' 및 'Genre'에 해당하며, 아이템 배열순서는 상기 배열순서와 같고, 아이템들은 좌측에서 우측을 항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며,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에 표시 가능한 아이템의 최대 개수는 3개에 해당하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Album', 'Artists' 및 'Moods'가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에 표시되는 경우, 'Songs', 'Years' 및 'Genre'는 표시 대기 상태의 아이템이 되며, 'Moods' 이후 위치에 존재한다. 'Album' 이전 위치에는 표시 대기 상태의 아이템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좌측에서 우측을 향하는 방향으로는 아이템이 이동될 수 없으며, 도 3b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의 제1경계(33)에는 라이트 이미지(35)가 표시되지 않는다. 반면, 'Moods' 이후 위치에는 표시 대기 상태의 아이템('Songs', 'Years' 및 'Genre')이 존재하기 때문에 우측에서 좌측을 향하는 방향으로는 아이템이 이동될 수 있으며, 제어부(16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도 3b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의 제2경계(34)에 라이트 이미지(35)를 표시한다.
205단계에서 아이템 배열 방향으로 아이템 이동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60)는 207단계에서 아이템 배열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만 아이템 이동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207단계는 제어부(160)가 현재 표시된 아이템들 중 가장 마지막에 표시된 아이템 이후에 표시 대기 상태의 아이템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207단계는 현재 표시된 아이템들 중 가장 마지막에 표시된 아이템이 기 설정된 배열순서 중 최후순위에 해당하는 아이템이 아닌지 판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207단계의 판단 결과, 아이템 배열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아이템 이동이 가능한 경우, 제어부(160)는 208단계에서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아이템 배열이 끝나는 측의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의 경계에 라이트 이미지를 표시한다. 도 3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GUI 제공 방법에 따라 표시되는 휴대 단말기(100)의 또 다른 예시 화면이다. 도 3c의 경우에도 도 3a와 마찬가지로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에 표시할 아이템은 'Album', 'Artists', 'Moods', 'Songs', 'Years' 및 'Genre'에 해당하며, 아이템 배열순서는 상기 배열순서와 같고, 아이템들은 좌측에서 우측을 항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며,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에 표시 가능한 아이템의 최대 개수는 3개에 해당하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Songs', 'Years' 및 'Genre'가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에 표시되는 경우, 'Album', 'Artists' 및 'Moods'는 표시 대기 상태의 아이템이 되며, 'Songs' 이전 위치에 존재한다. 'Genre' 이후 위치에는 표시 대기 상태의 아이템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우측에서 좌측을 향하는 방향으로는 아이템이 이동될 수 없으며, 도 3c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의 제2경계(34)에는 라이트 이미지(35)가 표시되지 않는다. 반면, 'Songs' 이전 위치에는 표시 대기 상태의 아이템('Album', 'Artists' 및 'Moods')이 존재하기 때문에 좌측에서 우측을 향하는 방향으로는 아이템이 이동될 수 있으며, 제어부(16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도 3b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의 제1경계(33)에 라이트 이미지(35)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라이트 이미지를 일정한 밝기로 표시될 수 있으며, 표시 대기 상태의 아이템 개수에 따라 밝기를 변경하여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표시 대기 상태의 아이템의 특성에 따라 라이트 이미지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신속한 확인을 요구하는 부재중 이벤트를 실행시키기 위한 아이템이 표시 대기 상태로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불빛이 깜빡거리는 형태의 라이트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표시 대기 상태의 아이템의 특성에 따라 라이트의 색상(color)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최초 아이템 표시 시, 표시 대기 상태의 아이템이 존재하는 경우 라이트 이미지를 표시한 후, 시간 경과를 측정하고, 기 설정된 임계 시간을 경과하는지 판단하여 라이트 이미지를 삭제하여 표시할 수 있다. 라이트 이미지가 삭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스크린부(130)에 터치를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라이트 이미지를 다시 표시할 수 있다.
라이트 이미지는 사용자의 올바른 터치 동작의 입력을 유도할 수 있다. 사용자는 라이트 이미지의 표시 위치와 불빛 방향을 통해 어느 방향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해야 하는지 판단할 수 있으며, 무의미한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이 입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a의 [a]를 참조할 때, 라이트 이미지(35)가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의 제1경계(33)와 제2경계(34)에 모두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아이템 탐색을 위해 좌측에서 우측으로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과 우측에서 좌측으로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이 모두 가능함을 알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32) 내의 임의의 지점 또는 라이트 이미지(35)가 표시된 영역에 터치를 입력한 후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하여 숨겨져 있는 아이템들을 탐색할 수 있다. 도 3b의 [a]에서는 라이트 이미지(35)가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의 제2경계(34)에만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아이템 탐색을 위해 우측에서 좌측으로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만이 가능함을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3c의 [a]에서는 라이트 이미지(35)가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의 제1경계(33)에만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아이템 탐색을 위해 좌측에서 우측으로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만이 가능함을 알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터치스크린부(130) 상에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하면, 제어부(16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아이템들을 이동시켜 표시하며, 현재 표시되어 있던 아이템들을 삭제하고, 표시 대기 상태의 아이템들을 생성하여 표시한다. 이후, 제어부(160)는 아이템들이 이동된 위치에서 아이템 배열 방향 또는 아이템 배열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아이템 이동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며, 아이템 배열 방향으로 아이템 이동이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아이템 배열이 시작되는 측의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의 경계 부분에 라이트 이미지를 표시하고, 아이템 배열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아이템 이동이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아이템 배열이 끝나는 측의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의 경계 부분에 라이트 이미지를 표시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GUI 제공 방법에 따라 표시되는 휴대 단말기(100)의 예시 화면으로서, 사용자가 터치 이동 동작을 입력했을 때, 변경되는 형태를 도시한다. 도 5a 및 도 5b를 설명함에 있어서, 표시할 아이템은 '1' 내지 '15'의 15개의 아이템에 해당하며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에 표시 가능한 아이템의 최대 개수는 8개에 해당하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도 5a의 [a]는 도 3a의 [a] 내지 도 3c의 [a]와는 다른 형태의 휴대 단말기(100)의 표시 화면을 나타낸다. 도 5a의 [a]의 화면은 '1' 내지 '8'의 아이템(51),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52),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의 제1경계(53),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의 제2경계(54) 및 1개의 라이트 이미지(55)를 표시하고 있다. 도 5a의 [a]에서 '1' 내지 '8'의 아이템(31)은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52)에 두 줄로 배열되어 표시되어 있으며, '9' 내지 '15'의 아이템은 표시 대기 상태로 존재한다. 이 때, '9' 내지 '15'의 아이템은 '7' 및 '8'의 아이템의 우측 방향으로 표시 대기 상태로 존재한다. 도 5a의 [a]에서 '1' 내지 '8' 아이템이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의 제1경계(53)는 아이템 배열이 시작되는 측의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의 경계에 해당하며,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의 제2경계(54)는 아이템 배열이 끝나는 측의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의 경계에 해당한다. '1' 및 '2' 의 아이템 좌측 방향으로는 표시 대기 상태의 아이템이 존재하지 않으며, '7' 및 '8'의 아이템 우측 방향으로만 표시 대기 상태의 아이템이 존재하기 때문에, 제어부(16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의 제2경계(54)에만 라이트 이미지(55)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도 5a의 [a]와 같이 아이템(51)들이 배열되고, 라이트 이미지(55)가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의 제2경계(54)에만 표시된 형태를 보고, '1' 및 '2'의 아이템(31) 좌측에 표시 대기 상태인 아이템이 존재하지 않으며, '7' 및 '8'의 아이템(31) 우측에 표시 대기 상태인 아이템이 존재함을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의 터치 이동 동작 입력 시, 아이템이 이동되어 표시될 수 있으나 좌측에서 우측으로의 터치 이동 동작 입력 시, 아이템이 이동되어 표시되지 않음을 예측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우측에서 좌측으로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하면, 제어부(160)는 터치 위치 이동 거리 또는 터치 위치 이동 속도에 따라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아이콘들을 이동시켜 표시한다. 도 5a의 [b]는 도 5a의 [a]와 비교할 때, 아이템들이 이동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a의 [b]에서는 '1', '2', '3' 및 '4' 아이템이 삭제되고, '9', '10', '11' 및 '12' 아이템이 새로 생성되어 표시된다. 이 때, '13', '14' 및 '15' 아이템은 '11' 및 '12' 아이템의 우측 방향으로 표시 대기 상태로 존재하며, '1', '2', '3' 및 '4' 아이템은 '5' 및 '6' 아이템의 좌측 방향으로 표시 대기 상태로 존재한다. 따라서 제어부(16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의 제1경계(53) 및 제2경계(54) 모두에 라이트 이미지(55)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도 5a의 [b]와 같이 아이템(31)들이 배열되고, 라이트 이미지(55)가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의 제1경계(53) 및 제2경계(54)에 표시된 형태를 보고, '5' 및 '6' 아이템(31) 좌측 방향 및 '11' 및 '12' 아이템(31) 우측 방향으로 표시 대기 상태인 아이템이 존재함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5b의 [a]는 도 5a의 [a]와는 다른 형태의 휴대 단말기(100)의 표시 화면을 나타낸다. 도 5b의 [a]의 화면은 '1' 내지 '8'의 아이템(51),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52),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의 제1경계(53),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의 제2경계(54) 및 1개의 라이트 이미지(55)를 표시하고 있다. 도 5b의 [a]에서는 도 5a의 [a]와는 달리 아이템(51)들이 좌측에서 우측 방향이 아닌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도 5b의 [a]에서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의 제1경계(53)는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52)의 상측 경계에 해당하며,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의 제2경계(54)는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52)의 하측 경계에 해당한다. 도 5b의 [a]의 화면에는 '1' 내지 '8' 아이템이 표시되어 있으며, '9' 내지 '15'의 아이템은 '5', '6', '7' 및 '8' 아이템의 하측 방향으로 표시 대기 상태로 존재한다. '1', '2', '3' 및 '4' 아이템 상측 방향으로 표시 대기 상태의 아이템이 존재하지 않으며, '5', '6', '7' 및 '8'의 아이템 하측 방향으로만 표시 대기 상태의 아이템이 존재하기 때문에, 제어부(16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의 제2경계(54)에만 라이트 이미지(55)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도 5b의 [a]와 같이 아이템들이 배열되고, 라이트 이미지(55)가 표시된 형태를 보고, '5', '6', '7' 및 '8' 아이템(51)의 하측 방향으로 표시 대기 상태인 아이템이 존재함을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도 5b의 [a]의 화면을 보고, 하측에서 상측으로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 입력 시 아이템이 이동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상측에서 하측으로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 입력 시 아이템이 이동되어 표시될 수 없음을 예측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하측에서 상측으로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하면, 제어부(160)는 터치 위치 이동 거리 또는 터치 위치 이동 속도에 따라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아이콘들을 이동시켜 표시한다. 도 5b의 [b]는 도 5b의 [a]와 비교할 때, 아이템들이 이동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b의 [b]에서는 도 5b의 [a]와 비교할 때, '1', '2', '3' 및 '4'의 아이템이 삭제되고, '9', '10', '11' 및 '12' 아이템이 새로 생성되어 표시된다. 이 때, '13', '14' 및 '15' 아이템은 '9', '10', '11' 및 '12' 아이템의 하측 방향으로 표시 대기 상태의 아이템으로 존재하며, '1', '2', '3' 및 '4' 아이템은 '5', '6', '7' 및 '8' 아이템의 상측 방향으로 표시 대기 상태의 아이템으로 존재한다. 따라서 제어부(16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의 제1경계(53) 및 제2경계(54) 모두에 라이트 이미지(55)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도 5b의 [b]와 같이 아이템(51)들이 배열되고, 라이트 이미지(55)가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의 제1경계(53) 및 제2경계(54)에 표시된 형태를 보고, '5', '6', '7' 및 '8' 아이템(51) 상측 방향 및 '9', '10', '11' 및 '12' 아이템(51) 하측 방향으로 표시 대기 상태인 아이템이 존재함을 알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표시할 아이콘이 하나의 화면에 전부 표시하지 못하고 일부의 아이콘을 생략하여 표시해야할 경우가 발생할 때, 휴대 단말기는 아이템을 표시하도록 할당된 영역의 경계 부분에 라이트 이미지를 표시하며, 사용자는 상기 라이트 이미지의 유무를 통해 추가적으로 표시될 아이템의 존재 여부를 알 수 있으며, 라이트 이미지가 표시된 위치 및 불빛 방향을 통해 추가적으로 표시될 아이템이 어디에 숨겨져 있는지 알 수 있고, 숨겨진 아이템이 표시되기 위해 입력해야할 터치 동작을 예측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GUI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복수개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현재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서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창을 표시하거나 다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으로 화면 자체를 전환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GUI를 제공하는 실시예에 해당한다.
601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제1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한다. 사용자는 터치스크린부(130) 또는 키 입력부(140)에 제1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16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제1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한다. 본 발명에서 어플리케이션은 저장부(150)의 프로그램 영역에 저장되는 응용 프로그램으로서, 통화 기능, 문자 메시지 기능, 동영상 재생 기능, 음악 재생 기능, 방송 기능 등 휴대 단말기(100)에서 실행 가능한 모든 기능을 포괄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601단계에서 실행하는 제1어플리케이션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실행 가능한 모든 기능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한다. 또한 601단계에서 표시되는 제1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은 표시부(132)에 풀 스크린(full screen)으로 표시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601단계에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멀티태스킹(multitasking)으로 실행할 수 있다.
602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터치스크린부(130) 또는 키 입력부(14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2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사용자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있는 도중,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추가적으로 실행시키고자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터치스크린부(130) 및 키 입력부(140)를 통해 제2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을 입력한다. 제1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는 메뉴 키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메뉴 키에 터치를 입력하여, 제2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시킬 수 있다. 또한 키 입력부(140)에 홈 키(home key)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홈 키를 눌러 표시부(132)의 화면을 홈 스크린(home screen)으로 복귀시키며, 홈 스크린에 표시된 아이콘에 터치를 입력하여, 제2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의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60)는 603단계에서 표시부(132)를제어하여 제1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서 제2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으로 전환하여 표시한다. 이 때, 제2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은 표시부(132)에 풀 스크린으로 표시됨이 바람직하다.
이후, 제어부(160)는 604단계에서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제2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의 일 영역에 라이트(light) 이미지를 표시한다. 본 발명에서 라이트 이미지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일정 방향을 비추는 불빛 형상의 이미지에 해당한다. 제2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복수의 아이템들을 포함하고 상기 아이템들이 라인(line)으로 구분되어 있는 경우, 604단계에서 표시되는 라이트 이미지는 아이템들 간의 라인을 중심으로 불빛이 어느 하나의 아이템을 향하는 형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직사각형 형태의 아이템들이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배열된 형태의 문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인 경우, 라이트 이미지는 아이템들을 구분하는 라인을 중심으로 불빛이 어느 하나의 아이템을 향하는 형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라이트 이미지는 안테나 수신 감도, 배터리 충전 상태, 시각 정보 등 휴대 단말기(100)의 상태(status) 정보를 표시하는 휴대 단말기 상태 표시 영역을 구분하는 라인을 중심으로 불빛이 휴대 단말기 상태 표시 영역을 향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형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 상태 표시 영역은 표시부(132)의 가장 상단에 위치하며 직사각형 형태를 갖는다. 상기 직사각형을 구성하는 네 변 중 밑변을 제외한 세 개의 변은 표시부(132)의 경계 라인에 해당하며, 밑변은 라인 이미지로 표시된다. 이 때, 라이트 이미지는 불빛이 상기 밑변을 중심으로 아래 방향을 향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라이트 이미지는 아래 방향으로 빛을 비추는 광원(光源)이 상기 휴대 단말기 상태 표시 영역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가정할 때의 불빛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라이트 이미지는 불빛이 표시부(132)의 경계 라인 중 어느 하나의 라인을 중심으로 표시부(132)의 중심을 향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132)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의 형태를 갖는다. 이 때, 라이트 이미지는 불빛이 직사각형을 구성하는 네 변 중 어느 하나의 변을 중심으로 표시부(132)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라이트 이미지는 표시부(132)의 외부에서 표시부(132)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빛을 비추는 광원이 표시부(132)의 외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가정할 때의 불빛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라이트 이미지는 표시부(132)의 모서리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직사각형 형태의 표시부(132)는 네 개의 모서리를 가지며, 라이트 이미지는 네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를 중심으로 표시부(132)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라이트 이미지는 표시부(132)의 외부에서 표시부(132)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빛을 비추는 광원이 위치하는 것으로 가정할 때의 불빛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라이트 이미지는 제2어플리케이션 이외에 멀티태스킹으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개수에 따라 표시 개수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어플리케이션 이외에 멀티태스킹으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4개인 경우, 라이트 이미지는 표시부(132)의 네 개의 모서리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2어플리케이션 이외에 멀티태스킹으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5개 이상인 경우, 라이트 이미지는 표시부(132)의 네 개의 모서리 영역 이외에 표시부(132)의 경계 라인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라이트 이미지가 표시부(132)에 표시된 상태에서 제어부(160)는 605단계에서 터치스크린부(130)를 통해 라이트 이미지에 일정 방향의 터치 동작이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사용자는 표시부(132)에 표시된 라이트 이미지에 터치를 입력한 후, 일정 방향의 터치 동작을 입력하게 된다. 여기서 일정 방향은 빛을 비추는 방향에 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라이트 이미지가 아래 방향으로 빛을 비추는 형태인 경우, 사용자는 라이트 이미지에 터치를 입력한 후 아래 방향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하며, 라이트 이미지가 우측 방향으로 빛을 비추는 형태인 경우, 사용자는 라이트 이미지에 터치를 입력한 후 우측 방향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의 이동 거리가 기 설정된 임계 터치 위치 이동 거리 이상에 해당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사용자가 터치를 입력하면 터치 입력 유지 시간을 측정하고, 측정된 터치 입력 유지 시간이 기 설정된 임계 터치 입력 유지 시간을 경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605단계에서 터치스크린부(130)를 통해 라이트 이미지에 터치 후 터치 위치 이동 없이 터치 해제로 연결되는 탭(tap) 동작이 입력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라이트 이미지에 일정 방향의 터치 동작이 입력되면, 제어부(16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606단계에서 제1어플리케이션 제어창을 제2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오버레이(overlay)하여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1어플리케이션 제어창은 제1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키들만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어플리케이션 이외에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기 전,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이 실행 중인 경우, 제어부(160)는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최우선 순위로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창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우선순위가 통화 어플리케이션,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 순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현재 상기 3개의 어플리케이션이 모두 실행 중인 경우, 제어부(16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통화 어플리케이션 제어창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제2어플리케이션 실행 전 가장 마지막으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판단하고,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상기 판단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창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2어플리케이션 실행 전, 통화 어플리케이션,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순차적으로 멀티태스킹으로 실행한 경우, 제어부(16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가장 마지막으로 실행된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 제어창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1어플리케이션 제어창은 제2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보다 작은 사이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제1어플리케이션 제어창은 라이트 이미지를 중심으로 사용자의 터치 위치 이동 거리 및 이동 방향에 따라 점차 오픈되는 형태로 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면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라이트 이미지를 삭제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터치 입력 후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감지하면,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라이트 이미지를 삭제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의 이동 거리를 연산하여, 제1어플리케이션 제어창이 모두 오픈되기 위한 터치 위치 이동 거리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면,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라이트 이미지를 삭제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터치센서부(131)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이 제1어플리케이션 제어창이 전부 오픈되기까지 필요한 기 설정된 임계 터치 위치 이동 거리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도달하기 전에 터치 해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일부 오픈된 제1어플리케이션 제어창을 삭제하고 라이트 이미지로 복귀시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상기 임계 터치 위치 이동 거리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면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전체 오픈된 제1어플리케이션 제어창을 표시하며, 이후 터치 해제를 감지하더라도 상기 표시된 제1어플리케이션 제어창을 계속적으로 유지시킨다.
또한 제어부(160)는 터치 입력 유지 시간이 기 설정된 임계 터치 입력 유지 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제1어플리케이션 제어창이 전부 오픈되기까지 필요한 기 설정된 임계 터치 위치 이동 거리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기 설정된 임계 터치 위치 이동 거리에 도달하기 전에 기 설정된 임계 터치 입력 유지 시간이 경과된 것으로 판단하면,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일부 오픈된 제1어플리케이션 제어창을 삭제하고 라이트 이미지로 복귀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606단계에서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제2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제1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으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라이트 이미지에 터치를 입력한 후, 일정 방향으로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하면, 현재 표시되어 있던 제2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은 제거되고 601단계에서 표시되었던 제1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다시 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기 설정된 임계 터치 위치 이동 거리 이상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이 입력된 것을 감지할 때,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제2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제1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으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라이트 이미지에 터치를 입력한 후 불빛 방향으로 표시부(132)의 경계 라인까지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한 경우, 제어부(16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제2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제1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으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GUI 제공 방법에 따라 표시되는 휴대 단말기(100)의 예시 화면이다. 도 7a는 라이트 이미지가 표시부(132)의 가로 방향으로 표시되는 실시예에 해당하며, 도 7b는 라이트가 표시부(132)의 세로 방향으로 표시되는 실시예에 해당한다.
도 7a의 [a]는 통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해당한다. 도 7a의 [a]의 화면은 'End call', 'Mute', 'Speaker'의 통화 기능키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통화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 문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 터치스크린부(130) 및 키 입력부(140)를 통해 문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을 입력하며, 제어부(16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통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문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으로 전환하여 표시한다. 이 때, 제어부(16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문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상에 라이트 이미지를 표시한다. 도 7a의 [b]는 문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해당한다. 도 7a의 [b]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열거된 4개의 아이템은 수신 메시지 목록에 해당하며, 최상단에 위치한 휴대 단말기 상태 표시 영역과 'Anna Bay'로부터 수신한 메시지 아이템 사이의 경계 라인에 라이트 이미지(71)가 표시되어 있다. 라이트 이미지(71)는 상기 경계 라인 전체에 걸쳐서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경계 라인의 일부에 표시될 수 있다.
문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라이트 이미지에 터치를 입력한 후, 아래 방향으로 터치 이동 동작을 입력하면, 제어부(16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창을 문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상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한다. 도 7a의 [c]는 문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상에 통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창(72)이 오버레이 된 형태를 도시한다. 통화 어플리케이션 제어창(72)에는 'Mute', 'Speaker', 'End'와 같이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키와 'Wi-Fi', 'Bluetooth', 'GPS', 'Sound' 등 제1어플리케이션 이외에 휴대 단말기(100)에서 실행 가능한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기능키가 포함되어 있다. 사용자는 문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도 라이트 이미지의 유무를 통해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임을 알 수 있으며, 라이트 이미지의 불빛 방향으로 소정의 터치 동작을 입력함으로써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창을 열 수 있으며, 제어창을 통해 편리하게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7b는 라이트가 표시부(132)의 세로 방향으로 표시되는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통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문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을 입력한 것으로 가정한다. 도 7b의 [a]는 문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으로서, 도 7b의 [a]의 화면에는 수신 메시지 목록에 해당하는 4개의 아이템이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열거되어 표시되어 있으며, 라이트 이미지는 표시부(132)의 좌측 경계 라인에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라이트 이미지에 터치를 입력한 후, 우측 방향으로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하면, 제어부(16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창을 문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상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한다. 도 7b의 [b]는 문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상에 통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창(72)이 오버레이 된 형태를 도시하며, 통화 어플리케이션 제어창(72)에는 'Mute', 'Speaker', 'End'와 같이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키와 'Wi-Fi', 'Bluetooth', 'GPS', 'Sound' 등 제1어플리케이션 이외에 휴대 단말기(100)에서 실행 가능한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기능키가 포함된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GUI 제공 방법에 따라 표시되는 휴대 단말기(100)의 다른 예시 화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라이트 이미지가 표시부(132)의 모서리 영역에 표시되는 실시예에 해당하며, 도 8a는 현재 표시 중인 어플리케이션 이외에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1개인 경우의 실시예에 해당하며, 도 8b는 현재 표시 중인 어플리케이션 이외에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2개인 경우의 실시예에 해당한다.
도 8a의 [a]는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해당한다. 사용자는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 문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 터치스크린부(130) 및 키 입력부(140)를 통해 문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을 입력하며, 제어부(16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문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으로 전환하여 표시한다. 이 때, 제어부(16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문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상에 라이트 이미지를 표시한다. 도 8a의 [b]는 문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해당한다. 도 8a의 [b]의 화면에서 상측에서 하측으로 열거된 4개의 아이템은 수신 메시지 목록에 해당하며, 표시부(132)의 우측 상단의 모서리 부분에 라이트 이미지(71)가 표시되어 있다. 상기 라이트 이미지(71)에는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하는 '음표' 이미지가 부가되어 있다. 문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라이트 이미지에 터치를 입력한 후, 좌측 하단 방향으로 대각선으로 터치 이동 동작을 입력하면, 제어부(16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문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다시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으로 전환하여 표시한다. 도 8a의 [c]는 문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다시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으로 전환된 형태를 도시한다. 사용자는 문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도 라이트 이미지를 통해 현재 어떤 어플리케이션이 멀티태스킹으로 실행 중인지 알 수 있으며, 라이트 이미지의 불빛 방향으로 소정의 터치 동작을 입력함으로써 멀티태스킹으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으로 전환하여 표시될 수 있다.
도 8b는 문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이외에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과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이 멀티태스킹으로 실행 중인 경우의 문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나타낸다. 도 8b에는 표시부(132)의 우측 상단의 모서리 부분과 좌측 상단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라이트 이미지(81, 82)가 표시되어 있다. 우측 상단의 모서리 부분의 라이트 이미지(81)에는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하는 '음표' 이미지가 부가되어 있으며, 좌측 상단의 모서리 부분의 라이트 이미지(82)에는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하는 '촬영기구' 이미지가 부가되어 있다. 사용자가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라이트 이미지(81)에 터치를 입력하고 라이트 이미지(81)의 불빛 방향과 같이 좌측 하단 방향으로 대각선으로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라이트 이미지(82)에 터치를 입력하고 라이트 이미지(82)의 불빛 방향과 같이 우측 하단 방향으로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에서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1개인 경우, 상기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상에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라이트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라이트 이미지는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의 일 영역에 표시되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포함된 아이템들 사이에 표시될 수 있으며, 표시부(132)의 경계 라인에 표시될 수도 있고, 표시부(132)의 모서리 영역에 표시될 수도 있다. 라이트 이미지로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빈번히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선택한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이트 이미지로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으로 설정되며 휴대 단말기가 현재 통화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인 경우, 제어부(16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라이트 이미지와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라이트 이미지를 포함하는 통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라이트 이미지는 표시화면의 특성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에 따라 다른 색상(color)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실시예와 같이 아이템 탐색을 위한 GUI 제공 방법의 경우에는 라이트 이미지가 파란색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제2실시예와 같이 멀티태스킹으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창을 열기 위한 GUI 제공 방법의 경우에는 라이트 이미지가 녹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라이트 이미지의 색상은 어플리케이션의 중요도, 긴급성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화 어플리케이션, 문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알람 어플리케이션 등과 같이 긴급성을 요구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창을 열기 위한 라이트 이미지는 적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휴대 단말기 31, 51 : 아이템
110 : 무선통신부 32, 52 :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
120 : 오디오처리부 33, 53 :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의 제1경계
130 : 터치스크린부 34, 54 : 아이템 표시 할당 영역의 제2경계
131 : 터치센서부 35, 55, 71, 81, 82 : 라이트(light) 이미지
132 : 표시부 72 : 어플리케이션 제어창
140 : 키 입력부
150 : 저장부
160 : 제어부

Claims (20)

  1. 휴대 단말기의 GUI 제공 방법에 있어서,
    화면의 상단에 현재 시간 정보를 나타내는 상태 표시 영역을 표시하는 동작;
    상기 상태 표시 영역 하단에 표시된 메뉴에 복수의 아이템들 중 일부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메뉴에 수신한 터치 제스처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된 복수의 아이템들 중 적어도 하나를 숨기고 상기 복수의 아이템들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표시함으로써, 상기 메뉴를 수평으로 스크롤하는 동작;
    상기 스크롤 이후에 상기 메뉴가 제1 방향으로 스크롤 가능한 경우, 상기 메뉴에 인디케이션을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스크롤 이후에 상기 메뉴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스크롤 불가능한 경우, 상기 표시된 인디케이션을 숨기는 동작을 포함하는 GUI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션이 표시된 이후, 기 설정된 시간 경과 후에 상기 인디케이션을 숨기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GUI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로 표시하는 아이템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스크롤 이전에 숨겨진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스크롤 가능한 경우, 두 개의 인디케이션을 동시에 상기 메뉴의 양 끝 단에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GUI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션을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복수 개의 아이템들 중 마지막 아이템의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상기 인디케이션의 특성을 변경시키는 동작을 포함하는 GUI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은 상기 인디케이션의 밝기, 색상 및 모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션을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복수 개의 아이템들 중 상기 메뉴에 표시되지 않고 숨겨진 아이템의 개수에 따라 상기 인디케이션의 특성을 변경시키는 동작을 포함하는 GUI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가 상기 메뉴의 제1 끝단을 향해 스크롤되는 경우, 상기 인디케이션을 상기 제1 끝단과 반대 방향의 상기 메뉴의 제2 끝단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 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을 측정하기 위하여 타이머를 작동시키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GUI 제공 방법.
  10.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터치스크린부; 및
    상기 터치스크린부가 화면의 상단에 현재 시간 정보를 나타내는 상태 표시 영역을 표시하고, 상기 상태 표시 영역 하단에 표시된 메뉴에 복수의 아이템들 중 일부를 표시하고, 상기 메뉴에 수신한 터치 제스처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된 복수의 아이템들 중 적어도 하나를 숨기고 상기 복수의 아이템들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표시함으로써 상기 메뉴를 수평으로 스크롤하고, 상기 스크롤 이후에 상기 메뉴가 제1 방향으로 스크롤 가능한 경우 상기 메뉴에 인디케이션을 표시하고, 상기 스크롤 이후에 상기 메뉴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스크롤 불가능한 경우, 상기 표시된 인디케이션을 숨기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디케이션이 표시된 이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터치스크린부가 상기 인디케이션을 숨기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로 표시하는 아이템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스크롤 이전에 숨겨진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뉴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스크롤 가능한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부가 두 개의 인디케이션을 동시에 상기 메뉴의 양 끝 단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아이템들 중 마지막 아이템의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상기 인디케이션의 특성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은 상기 인디케이션의 밝기, 색상 및 모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아이템들 중 상기 메뉴에 표시되지 않고 숨겨진 아이템의 개수에 따라 상기 인디케이션의 특성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뉴가 상기 메뉴의 제1 끝단을 향해 스크롤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부가 상기 인디케이션을 상기 제1 끝단과 반대 방향의 상기 메뉴의 제2 끝단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00037511A 2010-04-22 2010-04-22 휴대 단말기의 gui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680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511A KR101680113B1 (ko) 2010-04-22 2010-04-22 휴대 단말기의 gui 제공 방법 및 장치
US13/084,651 US20110265040A1 (en) 2010-04-22 2011-04-12 Method for providing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mobile device adapted thereto
JP2013506070A JP5976632B2 (ja) 2010-04-22 2011-04-18 携帯端末機のgui提供方法及び装置
CN2011800201128A CN102859479A (zh) 2010-04-22 2011-04-18 提供图形用户接口的方法和适应于该方法的移动装置
RU2012144627/08A RU2597525C2 (ru) 2010-04-22 2011-04-18 Способ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графического интерфейса и моб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риспособленное для этого
MYPI2012700776A MY162632A (en) 2010-04-22 2011-04-18 Method for providing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mobile device adapted thereto
BR112012028357A BR112012028357A2 (pt) 2010-04-22 2011-04-18 método para fornecer interface gráfica de usuário e dispositivo móvel adaptado à mesma
CA2797086A CA2797086A1 (en) 2010-04-22 2011-04-18 Method for providing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mobile device adapted thereto
PCT/KR2011/002732 WO2011132892A2 (en) 2010-04-22 2011-04-18 Method for providing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mobile device adapted thereto
EP11772180.3A EP2561429A4 (en) 2010-04-22 2011-04-18 METHOD FOR PROVIDING A GRAPHIC USER INTERFACE AND A MOBILE DEVICE CONFIGURED THEREFOR
AU2011243470A AU2011243470B2 (en) 2010-04-22 2011-04-18 Method for providing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mobile device adapted theret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511A KR101680113B1 (ko) 2010-04-22 2010-04-22 휴대 단말기의 gui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7979A KR20110117979A (ko) 2011-10-28
KR101680113B1 true KR101680113B1 (ko) 2016-11-29

Family

ID=44816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7511A KR101680113B1 (ko) 2010-04-22 2010-04-22 휴대 단말기의 gui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110265040A1 (ko)
EP (1) EP2561429A4 (ko)
JP (1) JP5976632B2 (ko)
KR (1) KR101680113B1 (ko)
CN (1) CN102859479A (ko)
AU (1) AU2011243470B2 (ko)
BR (1) BR112012028357A2 (ko)
CA (1) CA2797086A1 (ko)
MY (1) MY162632A (ko)
RU (1) RU2597525C2 (ko)
WO (1) WO201113289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76472A1 (en) * 2012-05-21 2013-1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of controlling user interface using touch screen
CN106528015B (zh) 2012-08-13 2019-11-19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实现组件内容显示的方法和装置
US9032335B2 (en) * 2012-08-14 2015-05-12 Christopher V. Beckman User interface techniques reducing the impact of movements
JP6004868B2 (ja) * 2012-09-27 2016-10-12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299601B2 (ja) * 2012-10-22 2018-03-28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情報提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055277B2 (ja) * 2012-11-06 2016-12-27 川崎重工業株式会社 乗物用メータ表示装置
CN103135890B (zh) * 2012-12-27 2016-03-30 深圳天珑无线科技有限公司 触摸屏上图像的显示方法和终端
KR102087395B1 (ko) * 2013-01-16 2020-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60071491A1 (en) * 2013-04-10 2016-03-10 Jeremy Berryman Multitasking and screen sharing on portable computing devices
WO2014209487A1 (en) * 2013-06-24 2014-12-31 Evernote Corporation Expandable 2d container hierarchy flow
KR102220085B1 (ko) 2013-10-18 2021-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윈도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20160328144A1 (en) * 2014-01-20 2016-1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interface for touch devices
US20150278353A1 (en) * 2014-03-31 2015-10-01 Linkedln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surfacing content items based on impression discounting
DE102014207699B4 (de) * 2014-04-24 2023-10-19 Siemens Healthcare Gmbh Verfahren zur Bildüberwachung eines Eingriffs mit einer Magnetresonanzeinrichtung, Magnetresonanzeinrichtung und Computerprogramm
USD872119S1 (en) 2014-06-01 2020-01-07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71646S1 (en) 2014-09-30 2016-11-15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2295844B1 (ko) * 2014-11-18 2021-08-3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장치에서 화면의 표시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325340B1 (ko) * 2015-07-02 2021-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신호 수신장치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 및 그 방송신호 수신장치
CN105260100B (zh) * 2015-09-29 2017-05-17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和终端
USD808410S1 (en) * 2016-06-03 2018-0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29223S1 (en) 2017-06-04 2018-09-25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57448S1 (en) 2017-09-10 2022-07-12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2031104B1 (ko) * 2017-12-08 2019-10-14 네이버 주식회사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 및 웹 브라우저 표시 방법
JP7430034B2 (ja) * 2019-04-26 2024-02-09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10386385A1 (en) * 2020-06-10 2021-12-16 Mette Dyhrberg Managing dynamic health data and in-body experiments for digital therapeutics
CN111857505B (zh) * 2020-07-16 2022-07-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装置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1042A (ja) 1999-04-28 2000-11-07 Kenwood Corp 指示メニュー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8803A (en) * 1994-11-29 1999-12-28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for displaying programming information
FI20001506A (fi) * 1999-10-12 2001-04-13 J P Metsaevainio Design Oy Kädessäpidettävän laitteen toimintamenetelmä
KR100354780B1 (ko) * 2000-10-06 2002-10-05 엘지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구현 방법
US6753892B2 (en) * 2000-11-29 2004-06-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data processing system for presenting items in a menu
GB2370739A (en) * 2000-12-27 2002-07-03 Nokia Corp Flashlight cursor for set-top boxes
US7017119B1 (en) * 2001-03-15 2006-03-21 Vaultus Mobile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 notification in a tabbed window setting
US6850255B2 (en) * 2002-02-28 2005-02-01 James Edward Muschetto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information, computer programs and electronic communications across multiple computing devices us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7281215B1 (en) * 2002-04-30 2007-10-09 Aol Llc IM conversation counter and indicator
JP3761165B2 (ja) * 2002-05-13 2006-03-29 株式会社モバイルコンピューティングテクノロジーズ 表示制御装置、携帯型情報端末装置、プログラム、及び表示制御方法
US7051284B2 (en) * 2002-05-16 2006-05-23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ing information to indicate both the importance and the urgency of the information
US7036092B2 (en) * 2002-05-23 2006-04-25 Microsoft Corporation Categor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on within a grid
US7656393B2 (en) * 2005-03-04 2010-02-02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and surrounding touch sensitive bezel for user interface and control
US6990637B2 (en) * 2003-10-23 2006-01-24 Microsoft Corporatio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3-dimensional view of a data collection based on an attribute of the data
US20050114791A1 (en) * 2003-11-20 2005-05-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ueing mechanism that indicates a display is able to be scrolled
JP2006085210A (ja) * 2004-09-14 2006-03-30 Sharp Corp コンテンツ表示制御装置、コンテンツ表示装置、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WO2006098021A1 (ja) * 2005-03-16 2006-09-21 Fujitsu Limited 情報処理システム
US20060227129A1 (en) * 2005-03-30 2006-10-12 Cheng Pe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US20070050732A1 (en) * 2005-08-31 2007-03-01 Ranco Incorporated Of Delaware Proportional scroll bar for menu driven thermostat
US7958456B2 (en) * 2005-12-23 2011-06-07 Apple Inc. Scrolling list with floating adjacent index symbols
KR20070113022A (ko) * 2006-05-24 2007-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US8296684B2 (en) * 2008-05-23 2012-10-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Navigating among activities in a computing device
US8570278B2 (en) * 2006-10-26 2013-10-29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djusting an insertion point marker
US20080163065A1 (en) * 2006-12-29 2008-07-03 Nokia Corporation Using a light source to indicate navigation spots on a web page
US20080165148A1 (en) * 2007-01-07 2008-07-10 Richard Williams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Inline Multimedia Content
KR100894146B1 (ko) * 2007-02-03 2009-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US8065603B2 (en) * 2007-04-30 2011-11-22 Google Inc. Hiding portions of display content
US7810044B2 (en) * 2007-04-30 2010-10-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lectronic device display adjustment interface
US8601371B2 (en) * 2007-06-18 2013-12-03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event-based rendering of visual effects
US20090013275A1 (en) * 2007-07-05 2009-01-08 Darrell May System and method for quick view of application data on a home screen interface triggered by a scroll/focus action
US7823076B2 (en) * 2007-07-13 2010-10-26 Adobe Systems Incorporated Simplified user interface navigation
KR100873679B1 (ko) * 2007-09-04 2008-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스크롤링 방법
EP2034399B1 (en) * 2007-09-04 2019-06-05 LG Electronics Inc. Scrolling method of mobile terminal
DE202008018283U1 (de) * 2007-10-04 2012-07-17 Lg Electronics Inc. Menüanzeige für ein mobiles Kommunikationsendgerät
KR101386473B1 (ko) * 2007-10-04 2014-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메뉴 표시 방법
WO2009072504A1 (ja) * 2007-12-07 2009-06-11 Sony Corporation 制御装置、入力装置、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ハンドヘルド装置
US9154606B2 (en) * 2008-01-30 2015-10-06 Google Inc. Notification of mobile device events
KR20090111764A (ko) * 2008-04-22 2009-10-27 에이치티씨 코퍼레이션 그래픽 메뉴바 작동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를 사용하는 기록 장치
KR101461954B1 (ko) 2008-05-08 2014-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8150804B2 (en) * 2008-07-18 2012-04-03 Yang Pan Hierarchical categorization of media assets and user interface for media player
US8201100B2 (en) * 2008-09-04 2012-06-12 VIZIO Inc. Metadata driven control of navigational speed through a user interface
KR101504210B1 (ko) * 2008-10-17 2015-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100138765A1 (en) * 2008-11-30 2010-06-03 Nokia Corporation Indicator Pop-Up
KR20110011002A (ko) * 2009-07-27 2011-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웹 브라우징 방법 및 장치
US20110209098A1 (en) * 2010-02-19 2011-08-25 Hinckley Kenneth P On and Off-Screen Gesture Combinatio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1042A (ja) 1999-04-28 2000-11-07 Kenwood Corp 指示メニュー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2144627A (ru) 2014-04-27
US20110265040A1 (en) 2011-10-27
MY162632A (en) 2017-06-30
RU2597525C2 (ru) 2016-09-10
AU2011243470A1 (en) 2012-11-01
WO2011132892A3 (en) 2012-01-26
BR112012028357A2 (pt) 2019-04-02
KR20110117979A (ko) 2011-10-28
EP2561429A2 (en) 2013-02-27
WO2011132892A2 (en) 2011-10-27
EP2561429A4 (en) 2016-09-28
CA2797086A1 (en) 2011-10-27
JP5976632B2 (ja) 2016-08-24
JP2013525900A (ja) 2013-06-20
AU2011243470B2 (en) 2015-08-13
CN102859479A (zh) 2013-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0113B1 (ko) 휴대 단말기의 gui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640464B1 (ko) 터치스크린 기반의 ui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KR101726607B1 (ko) 휴대 단말기의 화면 제어 방법 및 장치
US11054988B2 (en) Graphical user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101866272B1 (ko) 그립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기반의 휴대용 단말기의 장치 및 방법
EP3825828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 at interface of multimedia information application, ue, computer program, and medium
CN108121457B (zh) 提供字符输入界面的方法和设备
KR101662726B1 (ko) 전자 기기의 스크롤 방법 및 장치
KR101841590B1 (ko) 멀티태스킹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10092826A (ko) 복수의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화면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00069842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전자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81012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60349946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40142546A (ko) 전자 기기 및 그의 애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KR20100043371A (ko)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방법 및 장치
JP6002688B2 (ja) 携帯端末機のgui提供方法及び装置
KR20120064756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EP3764211B1 (en) Display method and mobile terminal
KR20140075047A (ko) 상황 정보 기반의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그 기록 매체
KR20220100988A (ko) 아이콘 이동 방법 및 전자 장치
KR101530546B1 (ko) 휴대 단말기의 입력 장치 및 방법
US20120218274A1 (en) Electronic device,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operation control program
KR20130063190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작업 관리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2323440B1 (ko) 페이지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957558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touch input in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