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6473B1 - 휴대 단말기 및 그 메뉴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및 그 메뉴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6473B1
KR101386473B1 KR1020070100025A KR20070100025A KR101386473B1 KR 101386473 B1 KR101386473 B1 KR 101386473B1 KR 1020070100025 A KR1020070100025 A KR 1020070100025A KR 20070100025 A KR20070100025 A KR 20070100025A KR 101386473 B1 KR101386473 B1 KR 101386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tag
screen
mobile terminal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0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4661A (ko
Inventor
김태훈
노병남
정계숙
임민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0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6473B1/ko
Priority to EP08016984A priority patent/EP2045700A1/en
Priority to DE202008018283U priority patent/DE202008018283U1/de
Priority to CNA2008101714959A priority patent/CN101404687A/zh
Priority to US12/245,692 priority patent/US20090094562A1/en
Publication of KR20090034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4661A/ko
Priority to US12/904,081 priority patent/US908381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6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6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Abstract

본 발명은 메뉴 화면을 터치 방식으로 드래그하여 메인 화면 또는 바탕 화면에 노출시키거나 감출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정 메뉴와 그 메뉴에 관련된 태그를 표시하고, 상기 태그가 드래그 됨에 따라 그에 관련된 메뉴를 표시하는 출력부와, 상기 태그의 터치와 드래그를 검출하고, 그 터치와 드래그 방향에 따라 상기 메뉴가 노출되거나 감추어지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드래그, 메뉴 노출, 메뉴 감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그 메뉴 표시 방법{MOBILE TERMINAL AND ITS MENU DISPLAY METHOD}
본 발명은 메뉴 화면을 터치 방식으로 드래그하여 메인 화면 또는 바탕 화면에 노출시키거나 감출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면서, 다양한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디자인 형태로서는 폴더 형태, 슬라이드 형태, 바 형태 또는 로테이션 형태의 디자인이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휴대 단말기의 전체적인 크기는 작으면서 넓은 화면을 선호하는 사용자들의 요구에 따라, 하드웨어적인 기능 버튼을 최소화하는 대신 터치스크린을 구비하여 화면 사이즈를 증가시키고 있다. 그러나, 터치스크린의 바탕 화면에 각종 소프트웨어적인 기능 버튼을 항상 출력함으로써 화면 사이즈가 작고 복잡해 보이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평소에는 메뉴 화면을 감추었다가 필요시에만 터치 방식으로 드래그하여 노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각 특성별 메뉴 화면을 구비하고 화면 내의 특정 위치에 감추었다가 필요 시 노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특정 메뉴와 그 메뉴에 관련된 태그를 표시하고, 상기 태그가 드래그 됨에 따라 그에 관련된 메뉴를 표시하는 출력부, 상기 태그의 터치와 드래그를 검출하고, 그 터치와 드래그 방향에 따라 상기 메뉴가 노출되거나 감추어지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면의 일 측에 특정 메뉴 표시에 관련된 태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태그를 터치하여 소정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단계, 상기 태그가 드래그 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메뉴를 노출시키거나 감추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바탕 화면에서 메뉴 화면을 감추거나 노출 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바탕 화면이 복잡하지 않고 넓어 보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주 사용하거나 필요한 일부 메뉴 항목만 선택적으로 바탕 화면에 노출시키고 다른 메뉴 항목들은 바탕 화면에서 감출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바탕 화면을 넓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기술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네비게이션,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조작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저장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GPS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 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5)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한편,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 모듈(121)과 마이크 모듈(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저장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1)은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 모듈(122)은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모듈(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조작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조작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 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UICC card),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 출력 모듈(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 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3)과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과 내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이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 출력 모듈(153)은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 출력 모듈(153)은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 출력 모듈(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 출력 모듈(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이나 음향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저장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부(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더욱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 단말기들 중에서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 타입 휴대 단말기는 제1바디(100A)와, 상기 제1바디(100A)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바디(100B)를 포함한다.
제1바디(100A)가 제2바디(100B)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100A)가 제2바디(100B)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 라 칭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상기 제1바디(100A)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제 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 1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 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 1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제 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 1 리어 케이스(100A-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바디(100A), 구체적으로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에는 디스플레이모듈(151), 제1 음향출력모듈(152-1), 제1 카메라모듈(121-1) 또는 제1 조작부(130-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은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에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이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음향출력모듈(152-1)은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카메라모듈(121-1)은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조작부(130-1)는 본 발명의 통화 영상을 녹화 또는 캡처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다.
제1 바디(100A)와 마찬가지로, 제2 바디(100B)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2 프론트 케이스(100B-1)와 제2 리어 케이스(100B-2)에 의해 형성된다.
제2 바디(100B), 구체적으로 제2 프론트 케이스(100B-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 조작부(130-2)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프론트 케이스(100B-1) 또는 제2 리어 케이스(100B-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 조작부(130-3), 마이크모듈(122),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조작부(130-1, 130-2, 130-3))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130)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조작부(130-1)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조작부(130-2)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 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 조작부(130-3)는 상기 휴대단말기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모듈(122)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상기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에 대해서는 이미 전술되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2 리어 케이스(100B-2) 측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상기 전원 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다.
도3은 도2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제2 바디(100B)의 제2 리어 케이스(100B-2)의 후면에는 제2 카메라 모듈(121-2)이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카메라모듈(121-2)은 제1 카메라모듈(121-1, 도 1 참조)과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카 메라모듈과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 모듈(121-1)은 영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을 정도의 저 화소를 가지며, 제2 카메라 모듈(121-2)은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카메라 모듈(121-2)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1-3)와 거울(121-4)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래쉬(121-3)는 제2 카메라모듈(121-2)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상기 거울(121-4)은 사용자가 제2 카메라모듈(121-2)을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제2 리어 케이스(100B-2)에는 제2 음향출력 모듈(152-2)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음향출력 모듈(152-2)은 제1 음향출력 모듈(152-1, 도2 참조)과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 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리어 케이스(100B-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1-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111-1)는 제2 바디(100B)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바디(100A)의 제1 리어 케이스(100A-2) 측에는 제1 바디(100A)와 제2 바디(100B)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100C)의 일 부분이 배치된 다.
슬라이드 모듈(100C)의 다른 부분은 제2 바디(100B)의 제2 프론트 케이스(100B-1)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모듈(121-2) 등이 제2바디(100B)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카메라모듈(121-2)과 같이 제2 리어 케이스(100B-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111-1, 121-2 내지 121-3, 152-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 바디(100A), 주로는 제1 리어 케이스(100A-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제1 리어 케이스(100A-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 바디(100B)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 카메라 모듈(121-2)이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카메라 모듈(121-1)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카메라 모듈(121-2)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4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바탕 화면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대기 모드에서 바탕 화면(310)에 메뉴 항목을 전혀 표시하지 않거나 소수의 메뉴 항목(321 ~ 323)만 간단히 표시하고 있다. 대신, 메뉴 표시에 관련된 태그(330)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그 태그를 터치하여 소정 방향으로 드래그함으로써, 감추어져 있던 나머지 메뉴 항목들을 노출되게 표시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바탕 화면(310)에 노출되거나 감추어지는 메뉴 항목들을 표시한 화면을 메뉴 화면(320)이라고 기재한다.
상기 태그(330)는 메뉴 화면이 노출되는 방향, 또는 상기 태그를 드래그할 수 있는 방향을 나타내는 형상으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삼각형이나 화살표 모양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태그(330)는 메뉴 화면이 노출되었는지 감추어졌는지 여부에 따라 태그의 방향을 변경시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바탕 화면(310)에 표시되는 메뉴 항목은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한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뉴 항목은 다른 그룹의 메뉴 항목을 불러와 바탕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그룹 메뉴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도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룹 메뉴 항목'은 상기 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메뉴 항목과 구분될 수 있는 형상으로 표시한다. 그러나, 반드시 상기 도7C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메뉴 화면(320)은 상기 다수의 메뉴 항목으로 이루어진 화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바탕 화면과 구분될 뿐만 아니라, 메뉴 화면이 노출되더라도 바탕화면이 투시되어 보일 수 있도록 투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뉴 화면의 투명한 정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환경 설정 메뉴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뉴 화면(320)은 상기 태그(330)가 드래그 되는 거리에 대응하여 메뉴 항목의 일부만 노출시키고 다른 항목들은 계속 감추어둘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태그(330)의 터치 회수와 터치가 해제(release)되는 시간 및 속도, 방향, 압력, 면적 중 어느 한 가지 정보, 또는 두 가지 이상의 정보를 조합하여, 사용자가 상기 태그를 터치할 때의 터치 형식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형식은 태그를 튕기듯이(flick) 밀어올리거나 내리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형식에 따라 메뉴 화면을 드래그하지 않더라도, 메뉴 화면 전체를 펼치듯이 자동으로 노출시키거나 감출 수 있다.
이때, 상기 메뉴 화면(320)으로 표시되는 각 메뉴 항목들은 특정 모양의 아이콘이나 이미지로 이루어지며, 행과 열을 조합하여 임의의 형식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행과 열을 무시하고 무작위로 배열될 수도 있다.
상기 메뉴 화면(320)이 노출되거나 감추어지는 기점은, 터치스크린의 변, 모서리, 또는 내부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태그(330)를 이용해 그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터치스크린에 메뉴 화면을 노출시키거나 감추는 과정에 대해서 첨부된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5는 본 발명에 관련 휴대 단말기의 메뉴 표시 과정을 보인 흐름도로서, 첨부된 도6A 내지 도8의 예시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휴대 단말기의 바탕 화면에는 메뉴 항목이 전혀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가정한다.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탕 화면(310)에 메뉴 항목과 관련된 아무것도 표시되어 있지 않을 경우, 메뉴 화면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자는 바탕 화면을 터치하여 메뉴 화면에 관련된 태그(410)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바탕 화면에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은 상태에서 터치가 입력되면 메뉴 화면에 관련된 태그 를 표시한다(S101 ~ S103).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태그(411 ~ 416)는 적어도 하나 이상 표시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태그는 터치스크린의 일측 변, 모서리, 또는 내부 영역 중 어느 한 부분에 표시될 수 있다. 만약, 바탕 화면에 메뉴 표시와 관련된 태그가 이미 표시되어 있다면, 상기와 같은 태그 호출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태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그 태그를 터치하여 드래그하면(S104), 제어부(180)는 도7A 내지 도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태그가 드래그 되는 방향으로 상기 감추어져 있는 메뉴 화면을 노출시킨다. 마찬가지로, 상기 태그를 다른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노출되어 있는 메뉴 화면을 감출 수 있다(S105).
상기 메뉴 화면에 표시되는 메뉴 항목에는 다른 메뉴 그룹에 포함되는 메뉴 항목을 표시하기 위한 그룹 메뉴 항목(430)이 포함될 수 있으며, 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메뉴 항목(420)과 구분되게 표시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메뉴 화면 전체가 노출되기 전에 태그의 드래그를 중지하면, 즉, 드래그하던 태그의 터치를 해제하면, 메뉴 화면은 현재 노출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메뉴 화면 전체를 빠르게 노출시키거나 감추고자 할 경우, 적어도 두 번 연속해서 태그를 터치하거나,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튕기듯이 태그를 밀어 올리거나 반대로 끌어내릴 수 있다(S106, S107).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와 같은 터치 입력 형식을 판단하기 위하여, 터치가 해제(release)되는 시간 및 속도, 방향, 압력, 면적 중, 어느 한 가지 정보, 또는 두 가지 이상의 정보를 조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2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바탕 화면을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관련 휴대 단말기의 메뉴 표시 과정을 보인 흐름도.
도 6a는 도5에서 메뉴에 관련된 태그를 호출하는 방법을 보인 예시도.
도 6b는 도6a에서 호출되는 태그의 다양한 위치를 보인 예시도.
도 7a는 도6b에서 태그를 드래그하여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제1 예시도.
도 7b는 도6b에서 태그를 드래그하여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제2 예시도.
도 7c는 도6b에서 태그를 드래그하여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제3 예시도.
도 8은 도6b에서 태그의 터치 형식에 따라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 명하기 위한 예시도.

Claims (10)

  1. 화면의 일 측에 특정 메뉴 표시에 관련된 태그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태그를 터치하여 소정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단계와;
    상기 태그가 드래그 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메뉴를 노출시키거나 감추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뉴 표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는,
    메뉴가 노출되는 방향, 또는 상기 태그가 드래그 되는 방향을 나타내는 형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뉴 표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는,
    상기 태그가 드래그 되는 거리에 대응하여 메뉴가 노출되거나 감추어지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뉴 표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는,
    상기 태그의 터치 회수와 터치가 해제되는 시간 및 속도, 방향, 압력, 면적 중, 어느 한 가지 정보, 또는 두 가지 이상의 정보를 조합하여 터치 형식(flick)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된 터치 형식에 따라 메뉴 전체를 자동으로 노출시키거나 감추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뉴 표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는,
    노출 시 배경 화면이 보이도록 투명하게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뉴 표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는,
    특정 모양의 아이콘이나 이미지로 이루어진 다수의 메뉴를 임의의 형식으로 배열한 메뉴 리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뉴 표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일 측은,
    터치스크린의 변, 모서리, 또는 내부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한 부분을 포함하고, 그 부분을 기점으로 메뉴가 노출되거나 감추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뉴 표시 방법.
  8. 특정 메뉴와 그 메뉴에 관련된 태그를 표시하고, 상기 태그가 드래그 됨에 따라 그에 관련된 메뉴를 표시하는 출력부와;
    상기 태그의 터치 형식과 드래그를 검출하고, 그 터치 형식과 드래그 방향에 따라 상기 메뉴가 노출되거나 감추어지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 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드래그의 속도 및 거리에 대응하여 메뉴를 노출시키거나 감추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70100025A 2007-10-04 2007-10-04 휴대 단말기 및 그 메뉴 표시 방법 KR101386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025A KR101386473B1 (ko) 2007-10-04 2007-10-04 휴대 단말기 및 그 메뉴 표시 방법
EP08016984A EP2045700A1 (en) 2007-10-04 2008-09-26 Menu display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202008018283U DE202008018283U1 (de) 2007-10-04 2008-09-26 Menüanzeige für ein mobiles Kommunikationsendgerät
CNA2008101714959A CN101404687A (zh) 2007-10-04 2008-09-28 移动通信终端的菜单显示方法
US12/245,692 US20090094562A1 (en) 2007-10-04 2008-10-03 Menu display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12/904,081 US9083814B2 (en) 2007-10-04 2010-10-13 Bouncing animation of a lock mode scree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025A KR101386473B1 (ko) 2007-10-04 2007-10-04 휴대 단말기 및 그 메뉴 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4661A KR20090034661A (ko) 2009-04-08
KR101386473B1 true KR101386473B1 (ko) 2014-04-18

Family

ID=40538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0025A KR101386473B1 (ko) 2007-10-04 2007-10-04 휴대 단말기 및 그 메뉴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86473B1 (ko)
CN (1) CN10140468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18440B2 (en) 2005-12-30 2011-09-13 Microsoft Corporation Unintentional touch rejection
JP5533859B2 (ja) * 2009-04-13 2014-06-25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
CN101866257B (zh) * 2009-04-20 2012-11-2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触控式手持设备及其选项显示方法
US8279185B2 (en) * 2009-05-08 2012-10-0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ositioning icons on a touch sensitive screen
KR101648747B1 (ko) * 2009-10-07 2016-08-17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터치 센서를 이용한 ui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KR20110063297A (ko) * 2009-12-02 2011-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156979B2 (en) 2009-12-02 2018-1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of portable device
KR101649142B1 (ko) * 2009-12-15 2016-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US9411504B2 (en) 2010-01-28 2016-08-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py and staple gestures
US8261213B2 (en) 2010-01-28 2012-09-04 Microsoft Corporation Brush, carbon-copy, and fill gestures
US9519356B2 (en) 2010-02-04 2016-12-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Link gestures
US9965165B2 (en) 2010-02-19 2018-05-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finger gestures
US9310994B2 (en) 2010-02-19 2016-04-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e of bezel as an input mechanism
US9367205B2 (en) 2010-02-19 2016-06-14 Microsoft Technolgoy Licensing, Llc Radial menus with bezel gestures
US9274682B2 (en) 2010-02-19 2016-03-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Off-screen gestures to create on-screen input
US9454304B2 (en) 2010-02-25 2016-09-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screen dual tap gesture
CN102193706A (zh) * 2010-03-03 2011-09-21 上海三旗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采用flash实现的自主交互待机方式
KR101642725B1 (ko) 2010-04-14 2016-08-11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잠금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KR101680113B1 (ko) * 2010-04-22 2016-11-29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gui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20038668A1 (en) * 2010-08-16 2012-02-1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display information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CN101968708A (zh) * 2010-09-19 2011-02-09 优视科技有限公司 触摸式移动终端浏览器自动翻页的方法及系统
US20120131519A1 (en) * 2010-11-18 2012-05-24 Google Inc. Surfacing Off-Screen Visible Objects
EP2492789A1 (en) * 2011-02-28 2012-08-29 Research In Motion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in response to input
US9519418B2 (en) 2011-01-18 2016-12-13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multi-stage device transition mechanism initiated based on a touch gesture
JP5799628B2 (ja) 2011-07-15 2015-10-2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864618B1 (ko) 2011-09-06 2018-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WO2013040824A1 (zh) * 2011-09-23 2013-03-28 Xu Minglu 采用虚拟边框的平板电脑
CN102508613A (zh) * 2011-11-21 2012-06-20 北京播思软件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浏览器复用屏幕空间的方法及装置
CN103218143B (zh) * 2012-01-18 2016-12-07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分类页面切换方法及移动设备
KR101329472B1 (ko) * 2012-03-13 2013-11-13 한국과학기술원 테이블 뷰 컨트롤러 환경에서 사용자의 콘텐츠 소비 특성에 따른 추가 콘텐츠 로딩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2750122B (zh) * 2012-06-05 2015-10-21 华为技术有限公司 多画面显示控制方法、装置及系统
CN102880413B (zh) * 2012-08-28 2016-06-08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用于具有触控屏的移动终端控制显示的方法和移动终端
CN103729113B (zh) * 2012-10-16 2017-03-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虚拟导航条的切换控制方法及装置
CN102929509A (zh) * 2012-10-19 2013-02-1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控制应用界面移动的方法及系统
US9582122B2 (en) 2012-11-12 2017-02-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ouch-sensitive bezel techniques
KR102056189B1 (ko) * 2012-12-05 2019-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3902201B (zh) * 2012-12-24 2017-06-27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显示处理方法
CN103150095B (zh) * 2013-03-07 2015-12-23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终端和终端操控方法
CN104346044A (zh) * 2013-08-06 2015-02-11 北京怡孚和融科技有限公司 拉幕式菜单控制方法
CN103455279B (zh) * 2013-10-08 2016-09-21 李杰波 一种移动互联网终端展示广告信息的方法
CN103605456B (zh) * 2013-11-19 2017-08-25 Tcl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系统栏的隐藏和显示方法及智能终端
CN104679395B (zh) * 2013-11-26 2017-11-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文档呈现方法及用户终端
CN105849687B (zh) * 2013-12-26 2019-06-11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终端操控方法和终端
TWI616803B (zh) * 2013-12-27 2018-03-01 宏碁股份有限公司 螢幕畫面的縮放及操作方法、裝置與電腦程式產品
CN103838508A (zh) * 2014-01-03 2014-06-04 浙江宇天科技股份有限公司 控制智能终端界面显示的方法及其装置
CN103793144A (zh) * 2014-02-20 2014-05-14 广州市久邦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图标拖放排列的实现方法及系统
US9477337B2 (en) 2014-03-14 2016-10-2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ductive trace routing for display and bezel sensors
CN104049846A (zh) * 2014-06-24 2014-09-1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5320421B (zh) * 2014-08-04 2020-04-24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消息显示方法、装置及终端
CN106201237A (zh) * 2015-05-05 2016-12-07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信息收藏方法及装置
KR20170006557A (ko) * 2015-07-08 2017-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5022583B (zh) * 2015-07-22 2018-10-12 北京元心科技有限公司 一种触摸屏的锁定方法及装置
CN106406680A (zh) * 2015-07-27 2017-02-15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菜单托盘界面显示方法及装置、终端
CN106951152B (zh) * 2016-01-07 2020-12-08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标签栏的控制方法和装置
CN107885445A (zh) * 2016-09-29 2018-04-06 北京嘀嘀无限科技发展有限公司 隐藏区域的显示方法及装置
CN107277411B (zh) * 2017-07-17 2019-12-1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视频录制方法及移动终端
EP3757744B1 (en) * 2018-03-26 2022-05-25 Huawei Technologies Co., Ltd. Display control method and terminal
CN109240567B (zh) * 2018-08-06 2021-01-26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一种信息显示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CN109614591B (zh) * 2018-11-19 2023-11-14 创新先进技术有限公司 一种表格的交互展示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1355993B (zh) * 2018-12-20 2021-12-21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图片显示方法、装置、机顶盒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2112A (ko) * 2005-04-26 2006-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와 메뉴 동작 제어 방법
KR20070062911A (ko) * 2005-12-13 2007-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및 드래그를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모바일 장치 및 그조작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2112A (ko) * 2005-04-26 2006-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와 메뉴 동작 제어 방법
KR20070062911A (ko) * 2005-12-13 2007-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및 드래그를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모바일 장치 및 그조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04687A (zh) 2009-04-08
KR20090034661A (ko) 2009-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647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메뉴 표시 방법
KR10157036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메뉴 표시 방법
KR10093056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의 방송채널 또는 방송채널 리스트 전환 방법
KR10141576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이미지 표시 방법
KR101397080B1 (ko) 멀티 기능 실행능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1348721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의 터치 인식 방법
KR101427259B1 (ko) 컨텐츠 보관함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1470543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341504B1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에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생성방법
KR101388152B1 (ko) 휴대단말기 및 그 메뉴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
EP2045700A1 (en) Menu display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90032559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5759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포인터 제어방법
KR20090018435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090076650A (ko) 한글 입력을 위한 휴대 단말기
KR20090034215A (ko)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1432587B1 (ko) 휴대단말기 및 메뉴검색 피드백 방법
KR101504682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8750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서브 메뉴 구현방법
KR20090011709A (ko) 휴대 단말기의 일정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KR101415764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메뉴 위치 이동 방법
KR10150195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414607B1 (ko) 휴대 단말기, 그 조작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101451653B1 (ko) 휴대단말기 및 그 키패드 제어방법
KR101480447B1 (ko) 가상 마우스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