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7080B1 - 멀티 기능 실행능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 기능 실행능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7080B1
KR101397080B1 KR1020070100565A KR20070100565A KR101397080B1 KR 101397080 B1 KR101397080 B1 KR 101397080B1 KR 1020070100565 A KR1020070100565 A KR 1020070100565A KR 20070100565 A KR20070100565 A KR 20070100565A KR 101397080 B1 KR101397080 B1 KR 101397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list
area
function
dragged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0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5332A (ko
Inventor
조혜연
이은영
신혜은
정계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0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7080B1/ko
Priority to US12/245,883 priority patent/US8812058B2/en
Publication of KR20090035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5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7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7080B1/ko
Priority to US14/329,300 priority patent/US9535592B2/en
Priority to US15/362,716 priority patent/US2017007553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67Methods of retrieving data
    • H04M1/2747Scrolling on a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최소의 터치 입력으로 멀티 기능의 표시 및 실행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멀티기능 실행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컨텐츠 리스트 화면의 소정 영역을 제1,제2영역으로 분할하여, 상기 컨텐츠 리스트 화면에 있는 컨텐츠 리스트가 상기 제1영역 또는 제2영역으로 드래그되는지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한다. 일 예로상기 컨텐츠 리스트가 제1영역으로 드래그될 때 제1기능을 실행하고(선택창 표시), 상기 컨텐츠 리스트가 상기 제1영역을 통해 제2영역으로 드래그될 때 제2기능을 실행한다(휴지통 아이콘 표시).
컨텐츠 리스트, 드래그, 리스트 선택창, 휴지통 아이콘

Description

멀티 기능 실행능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방법{PORTABLE TERMINAL HAVING MULTI-FUNCTION EXECUTING CAPABILITY AND EXECU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터치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최소의 터치 입력으로 멀티 기능의 표시 및 실행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 입·출력 기능 및 데이터 저장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어,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상기 멀티 미디어 기기 형태로 구현된 휴대 단말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면서, 다양한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이 휴대 단말기의 기능이 다양해지고 휴대 단말기가 종합적인 멀티미 디어 기기 형태로 구현됨에 따라 사용자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보다 다양한 정보를 접할 수 있으며, 특히 옵션 메뉴내의 메뉴를 선택하거나 상세보기내의 명령을 선택하여 해당 정보에 대한 검색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옵션 메뉴에 포함된 명령어를 이용하여 리스트 형태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선택하거나 또는 리스트 형태를 갖는 메시지를 삭제할 경우에는 2~3회의 메뉴검색 단계를 거쳐야 한다. 특히 상기 선택과 삭제를 동시에 수행할 경우에는 메뉴 검색 단계가 더늘어나게 되어, 터치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경우 사용자는 정보 검색 및 이용면에서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서 최소 터치에 의해 멀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컨텐츠 리스트 화면에 컨텐츠 리스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컨텐츠 리스트 화면의 소정 영역을 제1,제2영역으로 분할하여, 상기 컨텐츠 리스트 화면에 있는 컨텐츠 리스트가 상기 제1영역 또는 제2영역으로 드래그되는지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리스트가 제1영역으로 드래그될 때 제1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컨텐츠 리스트가 상기 제1영역을 통해 제2영역으로 드래그될 때 제2기능을 실행한다.
상기 제1기능은 상기 컨텐츠 리스트 화면에서 각 컨텐츠 리스트를 위한 선택창을 표시하는 기능이고, 상기 제2기능은 휴지통 아이콘을 표시하는 기능이다.
상기 컨텐츠 리스트가 드래그될 때 다른 컨테츠 리스트는 동시에 이동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리스트가 제1영역 및 제2영역을 통하여 드래그될 때 해당 컨텐츠 리스트를 삭제한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멀티기능 실행방법은, 컨텐츠 리스트 화면에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리스트에서 소정 컨텐츠 리스트가 제1영역과 제2영역으로 순차 드래그될 때 서로 다른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컨텐츠 리스트가 리스트가 제1영역으로 드래그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리스트에 있는 각 컨텐츠 리스트를 위한 선택창이 표시되고, 상기 컨텐츠 리스트가 제1영역을 통해 제2영역으로 드래그되면 휴지통 아이콘이 표시된다.
상기 휴대 단말기의 멀티기능 실행방법은 상기 컨텐츠 리스트가 제2영역을 통해 드래그될 때 해당 컨텐츠 리스트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컨텐츠 리스트가 제1영역으로 드래그될 때 다른 컨텐츠 리스트는 동시에 이동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컨텐츠 리스트가 제1영역을 통과하면 상기 다른 컨텐츠 리스트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휴지통 아이콘은 컨텐츠 리스트가 컨텐츠 리스트 화면의 측면으로 접근되면 상기 컨텐츠 리스트 화면의 측면에 표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컨텐츠 리스크가 소정 시간주기가 경과하기 전에 상기 휴지통 아이콘을 통과한 후 삭제되지 않았으면, 해당 컨텐츠 리스트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소정의 컨테츠가 제1영역까지 드래그되면 다중선택 리스트를 표시하여 원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컨텐츠가 제1영역을 지나 제2영역까지 드래그되면, 휴지통 아이콘을 표시하여 컨텐츠 삭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터치 스크린상에서 보다 편리하게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조작부(130), 감지부(140), 출력부(150), 저장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 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GPS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5)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한편, 상기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 모듈(121)과 마이크 모듈(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저장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1)은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마이크 모듈(122)은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모듈(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조작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상기 감지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감지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감지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상기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 출력 모듈(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3)과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과 내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이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알람 출력 모듈(153)은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 출력 모듈(153)은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 출력 모듈(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 출력 모듈(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이나 음향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부(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더욱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 단말기들 중에서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제1바디(100A)와, 상기 제1바디(100A)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바디(100B)를 포함한다. 또한, 폴더 폰의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제1 바디 와, 제1바디에 적어도 일측이 폴딩(polding) 또는 언폴딩(unpolding)되게 구성된 제2바디를 포함한다.
이때, 제1바디(100A)가 제2바디(100B)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100A)가 제2바디(100B)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상기 제1바디(100A)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제 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 1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 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 1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제 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 1 리어 케이스(100A-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바디(100A), 구체적으로 제 1 프론트 케이스(100A-1)에는 디스플레이모듈(151), 제 1 음향출력모듈(152-1), 제1 카메라모듈(121-1) 또는 제1 조작 부(130-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은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에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이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제 1 음향출력모듈(152-1)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카메라모듈(121-1)은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조작부(130-1)는 본 발명에서 다중 선택 및 삭제를 위한 터치 명령을 입력 받는다.
제1바디(100A)와 마찬가지로, 제 2 바디(100B)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 2 프론트 케이스(100B-1)와 제 2 리어 케이스(100B-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2 바디(100B), 구체적으로 제 2 프론트 케이스(100B-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 조작부(130-2)가 배치될 수 있다.
제 2 프론트 케이스(100B-1) 또는 제 2 리어 케이스(100B-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 조작부(130-3), 마이크모듈(122),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조작부(130-1, 130-2, 130-3))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130)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조작부(130-1)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조작부(130-2)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 조작부(130-3)는 상기 휴대단말기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모듈(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 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상기 제 2 리어 케이스(100B-2) 측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상기 전원 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는 도 2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제2바디(100B)의 제 2 리어 케이스(100B-2)의 후면에는 제2 카메라모듈(121-2)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카메라모듈(121-2)은 제1 카메라모듈(121-1, 도 1 참조)과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카메라모듈과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모듈(121-1)은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제2 카메라모듈(121-2)은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카메라모듈(121-2)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1-3)와 거울(121-4)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래쉬 (121-3)는 제2 카메라모듈(121-2)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상기 거울(121-4)은 사용자가 제2 카메라모듈(121-2)을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 (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상기 제 2 리어 케이스(100B-2)에는 제2 음향출력모듈 (152-2)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음향출력모듈(152-2)은 제1 음향출력모듈(152-1, 도2 참 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2 리어 케이스(100B-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1-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111-1)는 제2바디(100B)(2)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100A)의 제 1 리어 케이스(100A-2) 측에는 제1바디(100A)와 제2바디(100B)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100C)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상기 슬라이드 모듈(100C)의 다른 부분은 제2 바디(100B)의 제 2 프론트 케이스(100B-1)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모듈(121-2)) 등이 제2바디(100B)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카메라모듈(121-2) 등과 같이 제 2 리어 케이스(100B-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111-1, 121-2 내지 121-3, 152-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바디(100A), 주로는 제 1 리어 케이스(100A-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제 1 리어 케이스(100A-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바디(100B)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 제2 카메라모듈(121-2)이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카메라모듈(121-1)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카메라모듈(121-2)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조작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키고, 컨텐츠 지정 및 이동을 위한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상기 조작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 (정압/정전), 조그 휠 및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상기 조작부(13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된다.
출력부(150)는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 출력 모듈(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터치 스크린상에 멀티 선택을 위한 각종 컨텐츠, 예를들면 SMS 및 음악정보등을 리스트 형태로 표시한다.
상기 저장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한,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 (internet)상에서 저장부(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통상적인 기능 제어 이외에 추가적으로 본 발명과 관련된 다중 선택 및/또는 삭제와 관련된 제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컨텐츠( 또는 컨텐츠 리스트)가 소정 영역에서 제1영역까지 드래그하면 제1기능인 다중선택 기능을 수행하고, 그 이상 넘어 제2영역까지 드래그되면 제2기능인 해당 컨텐츠를 삭제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어부는 컨텐츠가 드래그되는 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표시하고 실행되도록 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컨텐츠의 드래그에 따른 기능 복수 기능 실행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멀티기능 실행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다.
이 방법은 터치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소정의 영역에 제1기능을 설정해두고, 상기 제1기능을 덮고 있는 컨텐츠 리스트화면을 드래그에 의해 이동시켜 상기 제1기능이 드러나도록 하는 방법이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가 소정 컨텐츠(또는 컨텐츠 리스트)를 제1영역으로 드래그하면 제1기능이 실행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컨텐츠 리스트화면에서 소정 컨텐츠(또는 컨텐츠 리스트)가 좌에서 우로 제1영역까지 드래그(이동)되면, 제1기능 즉, 다중 선택을 위한 컨텐츠 리스트의 선택창(10)을 표시한다.
상기 컨텐츠는 SMS 또는 음악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각 리스트 선택창(10)을 터치하여 상기 표시된 다수의 컨텐츠중에서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컨텐츠들에 대한 삭제, 전송 및 음악재생은 소프트키를 이용하여 일괄적으로 수행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컨텐츠 리스트들은 하나의 컨테츠 리스트가 제1영역까지 드래그될 경우에는 동시에 이동되고, 상기 제1영역을 초과하여 더 이동하면 터치된 해당 컨텐츠 리스트만 이동된다. 이때 상기 특정 컨텐츠 리스트가 제1영역을 초과하여 이동될 경우 다른 컨텐츠 리스트들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멀티기능 실행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는 각 리스트를 블록개념으로 생각하고 드래그에 의해 이동 및 삭제를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기본 개념은 도 4와 동일하다. 단지 차이점은 사용자가 소정 컨텐츠를 제2영역으로 드래그하면 제2기능이 실행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컨텐츠 리스트화면에서 특정 컨텐츠가 터치되면(press & hold), 터치된 지점에 테두리(11)가 표시된다. 상기 테두리(11)는 그 모양과 형태가 가변 가능하며, 단지 테두리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터치에 의해 해당 컨텐츠가 선택되었음을 나타내는 것이면 어떠한 형상 및 색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컨텐츠를 드래그하여 이동시키면 컨텐츠 리스트 자체가 이 동되며, 이동방향은 좌우 모두 가능하다. 즉, 컨텐츠 리스트를 좌에서 우로 또는 우에서 좌로 이동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컨텐츠 리스트가 제2영역까지 이동되면 본 발명은 제2기능 즉, 휴지통 아이콘(12)을 표시한다 (slide-out). 상기 휴지통 아이콘(12) 역시 사용자가 식별 가능한 것으로서 그 형상 및 색에 제약을 두지 않는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이동된 컨텐츠 리스트가 상기 휴지통 아이콘(12) 밖으로 드래그되면, 해당 컨텐츠 리스트는 삭제되며, 이러한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경우에는 별도로 검색 메뉴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불필요한 컨텐츠를 삭제할 수 있다. 이때, 휴지통 밖으로 버려지지 않는 컨텐츠는 일정 시간 후 제자리로 복귀하도록 설정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멀티기능 실행방법의 다른 예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 방법은 터치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소정의 영역을 제1영역과 제2영역으로 분할하여, 소정 컨텐츠를 제1영역으로 드래그하면 제1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제1영역을 초과하여 제2영역까지 드래그시에는 제2기능이 실행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즉, 본 발명은 하나의 컨테츠 리스트가 제1영역까지 드래그되면 다중선택 리스트를 표시하여 원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해당 컨텐츠 리스트가 제1영역을 지나 제2영역까지 드래그되면, 휴지통 아이콘(12)을 표시하여 컨텐츠 삭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는 도 4와 달리 선택창(10)에서 선택한 후 소프트 키를 이용하여 삭제하는 대신에 휴지통 아이콘(12)을 이용하여 컨텐 츠 리스트를 삭제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상기 두 실시예를 수행할 경우에는 별도의 소프트 키를 사용하지 않고도 터치 스크린상에서 원하는 컨테츠에 대한 다중 선택 및 특정 선택을 동시에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다른 휴대 단말기의 멀티기능 실행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상기 두 가지 방법을 동시에 사용할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용자가 컨텐츠 리스트화면에서 소정 컨텐츠가 좌에서 우로 제1영역까지 드래그 (이동)시키면(S10),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을 제어하여 컨텐츠 리스트 화면의 소정 영역에 제1기능 즉, 다중 선택을 위한 복수의 컨텐츠 리스트의 선택창(10)을 표시한다(S11). 바람직하게, 상기 선택창(10)은 상기 컨텐츠가 이동되어 생긴 영역에 위치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각 리스트 선택창(10)을 터치하여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를 제1영역을 초과하여 제2영역까지 이동시키면(S12), 제어부(180)는 상기 컨텐츠의 접근을 감지하고 제2기능 즉, 상기 컨텐츠가 드래그되는 방향으로 일정 거리 앞쪽에 휴지통 아이콘(12)을 표시한다(slide-out)(S13).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컨텐츠를 휴지통 아이콘(12) 밖으로 드래그하여, 상기 컨텐츠 리스트 화면에서 해당 컨텐츠를 삭제시킨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설명된 명칭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 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본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저장매체(e.g., 이동단말기 내부 메모리, 플래쉬 메모리, 하드 디스크, 기타등등)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e.g., 이동 단말기 내부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내에 코드들 또는 명령어들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멀티기능 실행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멀티기능 실행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다른 휴대 단말기의 멀티기능 실행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Claims (17)

  1. 컨텐츠 리스트 화면에 컨텐츠 리스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컨텐츠 리스트 화면의 소정 영역을 제1영역과 그 제1영역의 외곽에 붙어있는 제2영역으로 분할하여, 특정 컨텐츠 리스트가 제1영역으로 이동한 후 제1영역을 초과하여 제2영역까지 드래그될 때 드래그 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컨텐츠 리스트가 동일 방향으로 드래그되더라도 해당 컨텐츠 리스트가 제1영역으로 드래그되면 선택 기능을 제공하고, 해당 컨텐츠 리스트가 제1영역을 초과하여 제2영역까지 드래그되면 삭제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기능은
    컨텐츠 리스트 화면에서 각 컨텐츠 리스트 선택을 위한 선택창을 표시하는 기능이고, 상기 삭제기능은 휴지통 아이콘을 표시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리스트가 제1영역으로 드래그될 때 다른 컨텐츠 리스트도 동시에 이동되고, 상기 컨텐츠 리스트가 제1영역을 통과하면 상기 동시에 이동되던 다른 컨텐츠 리스트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2영역을 지나 드래그될 때 해당 컨텐츠 리스트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휴지통 아이콘은
    컨텐츠 리스트가 제2영역으로 접근되면 컨텐츠 리스트 화면의 측면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컨텐츠 리스트가 제2영역을 통과하였지만 삭제되지 않는 컨텐츠 리스트는 소정 시간 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컨텐츠 리스트 화면에 컨텐츠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및
    제1영역과 그 제1영역의 외곽에 붙어있는 제2영역으로 분할된 컨텐츠 리스트 화면에서, 특정 컨텐츠 리스트가 제1영역으로 이동한 후 제1영역을 초과하여 제2영역까지 드래그될 때 드래그 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리스트가 동일 방향으로 드래그되더라도 컨텐츠 리스트가 제1영역으로 드래그되면 선택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리스트가 제1영역을 초과하여 제2영역까지 드래그되면 삭제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멀티기능 실행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기능은
    컨텐츠 리스트 화면에서 각 컨텐츠 리스트 선택을 위한 선택창을 표시하는 기능이고, 상기 삭제기능은 휴지통 아이콘을 표시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멀티기능 실행방법.
  13. 삭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리스트가 제1영역으로 드래그될 때 다른 컨텐츠 리스트도 동시에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멀티기능 실행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리스트가 제1영역을 초과하면 상기 동시에 이동되던 다른 컨텐츠 리스트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멀티기능 실행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휴지통 아이콘은
    컨텐츠 리스트가 제2영역으로 접근되면 컨텐츠 리스트 화면의 측면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멀티기능 실행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휴지통 아이콘을 통과하였지만 삭제되지 않는 컨텐츠리스트는 일정 시간 후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멀티기능 실행방법.
KR1020070100565A 2007-10-05 2007-10-05 멀티 기능 실행능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1397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565A KR101397080B1 (ko) 2007-10-05 2007-10-05 멀티 기능 실행능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방법
US12/245,883 US8812058B2 (en) 2007-10-05 2008-10-06 Mobile terminal having multi-function executing capability and executing method thereof
US14/329,300 US9535592B2 (en) 2007-10-05 2014-07-11 Mobile terminal having multi-function executing capability and executing method thereof
US15/362,716 US20170075537A1 (en) 2007-10-05 2016-11-28 Mobile terminal having multi-function executing capability and execu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565A KR101397080B1 (ko) 2007-10-05 2007-10-05 멀티 기능 실행능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5332A KR20090035332A (ko) 2009-04-09
KR101397080B1 true KR101397080B1 (ko) 2014-05-21

Family

ID=40523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0565A KR101397080B1 (ko) 2007-10-05 2007-10-05 멀티 기능 실행능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3) US8812058B2 (ko)
KR (1) KR1013970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49643B2 (en) 2021-05-31 2024-04-02 Samsung Sd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nnouncements from instant messaging servic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96684B2 (en) 2008-05-23 2012-10-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Navigating among activities in a computing device
US8683362B2 (en) * 2008-05-23 2014-03-25 Qualcomm Incorporated Card metaphor for activities in a computing device
US8564544B2 (en) 2006-09-06 2013-10-22 Apple Inc. Touch scre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ustomizing display of content category icons
KR101461954B1 (ko) 2008-05-08 2014-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1655765A (zh) * 2008-08-22 2010-02-24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利用虚拟方向键进行操作的电子装置及相应的操作方法
KR101001824B1 (ko) * 2008-10-16 2010-12-15 주식회사 팬택 터치 입력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제어 방법 및 휴대용 단말기
US20100162169A1 (en) * 2008-12-23 2010-06-24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a Dynamic Slider Interface
KR101640463B1 (ko) * 2009-05-19 2016-07-18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101646922B1 (ko) 2009-05-19 2016-08-23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통신 관련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US8457596B2 (en) * 2009-07-02 2013-06-04 Sur-Tec, Inc.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intelligence gathering and position tracking
US7873349B1 (en) 2009-10-06 2011-01-18 Sur-Tec, Inc.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intelligence gathering and position tracking
CN101764885A (zh) * 2009-12-22 2010-06-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上的数据删除方法及装置
KR101722616B1 (ko) * 2009-12-24 2017-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기반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터치 디바이스의 어플리케이션 운용 방법 및 장치
KR101645491B1 (ko) * 2010-01-18 2016-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통화 제어 방법
KR101637939B1 (ko) * 2010-01-22 2016-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인식 장치 및 방법
US9353990B2 (en) 2010-02-23 2016-05-31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including a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JP5659586B2 (ja) * 2010-07-09 2015-01-28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表示制御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20120023405A (ko) * 2010-09-03 2012-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5628625B2 (ja) * 2010-10-14 2014-11-19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画面制御方法および画面制御プログラム
US9400600B2 (en) * 2011-12-16 2016-07-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pparatu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visual effects on a touchscreen display
US20130167059A1 (en) * 2011-12-21 2013-06-27 New Commerce Solutions Inc.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and refining search results
KR101412419B1 (ko) * 2012-08-20 2014-06-25 주식회사 팬택 개선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CN103631504A (zh) * 2012-08-22 2014-03-12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管理应用程序的方法及用户设备
US9755995B2 (en) * 2012-11-20 2017-09-05 Dropbox, Inc. System and method for applying gesture input to digital content
US9729695B2 (en) 2012-11-20 2017-08-08 Dropbox Inc. Messaging client application interface
US9935907B2 (en) 2012-11-20 2018-04-03 Dropbox, Inc. System and method for serving a message client
US20140267079A1 (en) * 2013-03-15 2014-09-18 Clinkle Corporation Transaction user interface
JP6154654B2 (ja) * 2013-04-22 2017-06-28 株式会社アナグラム 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US20140365968A1 (en) * 2013-06-07 2014-12-11 Apple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Elements
US20140380198A1 (en) * 2013-06-24 2014-12-25 Xiaomi Inc. Method, device, and terminal apparatus for processing session based on gesture
KR102138515B1 (ko) * 2013-10-01 2020-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3823611B (zh) * 2014-02-12 2017-11-0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US10025461B2 (en) * 2014-04-08 2018-07-17 Oath Inc. Gesture input for item selection
JP2016122354A (ja) * 2014-12-25 2016-07-07 セイコー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数値入力装置、数値入力方法、および数値入力プログラム
CN106033307A (zh) * 2015-03-11 2016-10-19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邮件删除方法及终端设备
KR101739388B1 (ko) * 2015-10-07 2017-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408942B1 (ko) * 2015-10-19 2022-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입력 처리 방법 및 전자 장치
CN108664177B (zh) * 2017-03-29 2021-11-12 上海耕岩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指纹识别开启应用的方法和装置
CN107203325B (zh) * 2017-05-31 2020-09-08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一种搜索方法以及装置、计算机装置、可读存储介质
CN111443824B (zh) * 2020-03-24 2023-06-3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触控屏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15705119A (zh) * 2021-08-09 2023-02-1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小窗退出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5503A (ko) * 2001-08-16 2003-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 입력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56393B2 (en) * 2005-03-04 2010-02-02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and surrounding touch sensitive bezel for user interface and control
US20040204129A1 (en) * 2002-08-14 2004-10-14 Payne David M. Touch-sensitive user interface
US7554530B2 (en) * 2002-12-23 2009-06-30 Nokia Corporation Touch screen user interface featuring stroke-based object selection and functional object activation
US7411590B1 (en) * 2004-08-09 2008-08-12 Apple Inc. Multimedia file format
US20060214871A1 (en) * 2005-03-23 2006-09-28 Ryuichi Iwamura Additional thin display device for supplementing a primary display
US8106856B2 (en) * 2006-09-06 2012-01-31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photo management
US7941760B2 (en) * 2006-09-06 2011-05-10 Apple Inc. Soft keyboard display for a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US7934156B2 (en) * 2006-09-06 2011-04-26 Apple Inc. Deletion gestures on a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US8253695B2 (en) * 2006-09-06 2012-08-28 Apple Inc. Email client for a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US8564544B2 (en) * 2006-09-06 2013-10-22 Apple Inc. Touch scre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ustomizing display of content category icons
US7956847B2 (en) * 2007-01-05 2011-06-07 Apple Inc. Gestures for controlling, manipulating, and editing of media files using touch sensitive devices
US8519963B2 (en) * 2007-01-07 2013-08-27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interpreting a finger gesture on a touch screen display
US7752555B2 (en) * 2007-01-31 2010-07-06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ing multiple map application operations with a single gesture
US20080320403A1 (en) * 2007-06-25 2008-12-25 Nechemia Glaberson Accessing data using its chart symbols
US20090006955A1 (en) * 2007-06-27 2009-01-01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electively and interactively downloading a media i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5503A (ko) * 2001-08-16 2003-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 입력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49643B2 (en) 2021-05-31 2024-04-02 Samsung Sd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nnouncements from instant messaging ser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35592B2 (en) 2017-01-03
US20090093277A1 (en) 2009-04-09
US8812058B2 (en) 2014-08-19
US20170075537A1 (en) 2017-03-16
KR20090035332A (ko) 2009-04-09
US20140325416A1 (en) 2014-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7080B1 (ko) 멀티 기능 실행능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138647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메뉴 표시 방법
KR10157036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메뉴 표시 방법
KR101427259B1 (ko) 컨텐츠 보관함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1398134B1 (ko) 휴대 단말기의 동영상 재생장치 및 방법
KR10093056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의 방송채널 또는 방송채널 리스트 전환 방법
KR101348721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의 터치 인식 방법
KR10141576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이미지 표시 방법
KR101470543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51796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929236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388152B1 (ko) 휴대단말기 및 그 메뉴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
KR101396974B1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에서의 호 신호 처리방법
KR101505191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487528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45759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포인터 제어방법
KR101504682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34215A (ko)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160796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423683B1 (ko) 근거리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34664A (ko) 휴대단말기의 음악 재생장치 및 방법
KR10138750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서브 메뉴 구현방법
KR20090011709A (ko) 휴대 단말기의 일정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KR101415764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메뉴 위치 이동 방법
KR20100057358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