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8152B1 - 휴대단말기 및 그 메뉴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 및 그 메뉴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88152B1 KR101388152B1 KR1020070075147A KR20070075147A KR101388152B1 KR 101388152 B1 KR101388152 B1 KR 101388152B1 KR 1020070075147 A KR1020070075147 A KR 1020070075147A KR 20070075147 A KR20070075147 A KR 20070075147A KR 101388152 B1 KR101388152 B1 KR 1013881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con
- touchable
- terminal
- displayed
- touchable ic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1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60 hair shin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각종 명령이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단말기 및 그 메뉴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단말기의 소정 메뉴기능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각종 명령이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단말기 및 그 메뉴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휴대 단말기가 상기 복잡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기기로 동작할 때, 상기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상기 복잡한 기능만큼이나 다양한 메뉴 아이콘들이 디스플레이된다. 그러나, 상기 다양한 메뉴 아이콘들은 오히려 사용자 입장에서는 단말기 조작에 대한 혼선을 초래하는 경우가 왕왕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되는 것으로서,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다양한 메뉴 아이콘들이 디스플레이되더라도, 단말기 사용자가 용이하게 원하는 메뉴 아이콘을 식별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단말기 및 그 메뉴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단말기의 소정 메뉴기능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아이콘은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는 아이콘(이하 "터치가능 아이콘(touchable icon)")과 터치하여 선택할 수 없는 아이콘(이하 "터치불능 아이콘(non-touchable icon")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에서는 상기 터치가능 아이콘과 상기 터치불능 아이콘이 동시에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는 상기 터치가능 아이콘과 상기 터치불능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아이콘들이 상호 시각적으로 구별되도록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에서 상기 터치가능 아이콘은 단말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되기를 원하는 경우에 선택적으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에서의 메뉴 아 이콘 디스플레이 방법은 터치스크린 상에 터치불능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는 터치불능 아이콘 디스플레이 단계, 및 상기 터치불능 아이콘과 함께 터치가능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는 터치가능 아이콘 디스플레이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및 그 메뉴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사용빈도가 높은 메뉴 기능의 아이콘이 단말기 사용자가 원할 때 터치가능 아이콘으로 별도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단말기 사용자는 원하는 메뉴 기능을 손쉽게 실행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단말기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기능의 아이콘을 터치가능 아이콘으로 설정하거나, 터치가능 아이콘의 설정을 해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 상에 터치가능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될 때만 상기 터치스크린에 터치 감지를 위한 전류 공급이 이루어지면 되므로, 터치스크린 이용에 따른 전력 소비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휴대폰, 스마트폰, 방송 수신 전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게임기, 노트북, UMPC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 본 발명이 모바일폰용 휴대단말기를 예로 들 어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하의 설명 및 구현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명심해야 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겠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도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조작부(130), 센싱부(140), A/V(Audio/Video) 출력부(150), 저장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개별적으로 생략되거나,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GPS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 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상기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5)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한편, 상기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 모듈(121)과 마이크 모듈(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상기 저장부(160)에 저장되거나 상기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21)은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마이크 모듈(122)은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 모듈(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상기 조작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으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상기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각종 신호(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 포함)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종 신호(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상기 A/V(Audio/Video)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음향 출력 모듈(15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과 내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이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음향 출력 모듈(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음향 출력 모듈(152)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상기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진동 출력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부(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상기 제어부(180) 내에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제어부(180)과는 별도의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190)는 상기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더욱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 단말기들 중에서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제 1 바디(100A)와, 제 1 바디(100A)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 2 바디(100B)를 포함한다.
제 1 바디(100A)가 제 2 바디(100B)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 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바디(100A)가 제 2 바디(100B)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제 1 바디(100A)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제 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 1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다. 제 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 1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제 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 1 리어 케이스(100A-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 바디(100A), 구체적으로 제 1 프론트 케이스(100A-1)에는 디스플레이모듈(151), 제 1 음향출력모듈(152-1), 제 1 카메라모듈(121-1) 또는 제 1 조작부(130-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은 이미 도 1과 관련되어 설명되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의 간명함을 위해 생략하도록 하겠다.
제 1 음향출력모듈(152-1)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 1 카메라모듈(121-1)은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 1 조작부(130-1)는 본 발명의 각종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다.
제 1 바디(100A)와 마찬가지로, 제 2 바디(100B)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 2 프론트 케이스(100B-1)와 제 2 리어 케이스(100B-2)에 의해 형성된다.
제 2 바디(100B), 구체적으로 제 2 프론트 케이스(100B-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 2 조작부(130-2)가 배치될 수 있다.
제 2 프론트 케이스(100B-1) 또는 제 2 리어 케이스(100B-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 3 조작부(130-3), 마이크모듈(122),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조작부(130-1, 130-2, 130-3)는 도 1의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130)라고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 1 조작부(130-1)는 시작, 종료, 스크롤, 방향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고, 제 2 조작부(130-2)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해 주로 사용된다. 또한, 제 3 조작부(130-3)는 사이드키의 형태로 상기 휴대단말기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모듈(122)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에 대해서는 이미 도 1과 관련되어 전술되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 2 리어 케이스(100B-2) 측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상기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는 도 2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제 2 바디(100B)의 제 2 리어 케이스(100B-2)의 후면에는 제 2 카메라모듈(121-2)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 2 카메라모듈(121-2)은 제 1 카메라모듈(121-1, 도 2 참조)과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 1 카메라모듈과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카메라모듈(121-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 2 카메라모듈(121-2)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카메라모듈(121-2)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1-3)와 거울(121-4)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래쉬(121-3)는 제 2 카메라모듈(121-2)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상기 거울(121-4)는 사용자 가 제 2 카메라모듈(121-2)을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제 2 리어 케이스(100B-2)에는 제 2 음향출력모듈 (152-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 2 음향출력모듈(152-2)는 제 1 음향출력부(152-1, 도 2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 2 리어 케이스(100B-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1-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111-1)는 제 2 바디(100B)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 1 바디(100A)의 제 1 리어 케이스(100A-2) 측에는 제 1 바디(100A)와 제 2 바디(100B)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100C)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상기 슬라이드 모듈(100C)의 다른 부분은 제 2 바디(100B)의 제 2 프론트 케이스(100B-1)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 2 카메라모듈(121-2) 등이 제 2 바디(100B)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 2 카메라모듈(121-2) 등과 같이 제 2 리어 케이스(100B-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111-1, 121-2 내지 121-3, 152-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 1 바디(100A), 주로는 제 1 리어 케이스(100A-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제 1 리어 케이스(100A-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 2 바디(100B)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 2 카메라모듈(121-2)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 1 카메라모듈(121-1)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 2 카메라모듈(121-2)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기능 및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휴대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메뉴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과 관련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이하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된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을 계속한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메뉴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의 일 실시예가 구현되는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도 5의 (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은 대기 화면(200)을 디스플레이하고 있다. 상기 대기 화면에는 "메뉴" 아이콘(210)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S41]. 그런데, 상기 "메뉴" 아이콘(210)은 예컨대 키패드와 같은 상기 조작부(130)를 통해서 선택될 수 있고, 상기 터치스크린을 터치해서는 선택될 수 없다. 이와 같은 아이콘을 이하 "터치불능 아이콘"이라고도 하겠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는 터치가능한 아이콘(이하 "터치가능 아이콘"이라고 함)이 디스플레이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상기 터치스크린에는 단말기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전류 공급이 되지 않더라도 무방하다. 상기 대기 화면 상의 "메뉴" 아이콘(210)을 상기 조작부(130)(예를 들면 "소프트키")를 통해 선택하는 것에 대해서는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별도의 설명이 없더라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의 간명함을 위해 생략하도록 하겠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130)에 구비된 터치가능 아이콘 활성화키(미도시)를 누른다[S42]. 상기 터치가능 아이콘 활성화키는 제 3 조작부(131-3)의 사이드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도 5의 (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면(200)에는 터치가능 아이콘들(221, 223, 225)이 디스플레이된다[S43]. 상기 터치가능 아이콘들은 상기 휴대단말기(100)에서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자주 사용되는 메인메뉴 기능과 관련된 아이콘들로서, 단말기 제조사에 의해 및/또는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사전 등록될 수 있다. 상기 터치가능 아이콘들(221, 223, 225)이 디스플레이될 때, 상기 터치스크린에는 비로소 단말기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전류 공급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터치가능 아이콘들(221, 223, 225)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함으로써 해당 기능을 상기 휴대단말기(100)에서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터치가능 아이콘들은 상기 터치불능 아이콘(210)과 시각적으로 구별되도록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S43]. 도 5의 (5-2)에서는 상기 터치가능 아이콘들(221, 223, 225)이 불투명 또는 반투명 배경 레이어(227) 상에 디스플레이됨으로써 상기 터치불능 아이콘(210)과는 시각적으로 구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터치가능 아이콘들(221, 223, 225)은 상기 터치불능 아이콘(210)과 시각적으로 구별되기만 하면 될 뿐이고, 그 구체적 방안에 대해서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면, 도 5의 (5-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가능 아이콘들에는 터치가능함을 알리는 표식(228)이 표시됨으로써 이들이 시각적으로 구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터치가능 아이콘들이 불투명 또는 반투명 배경 레이어(227) 상에 디스플레이됨으로써 상기 터치불능 아이콘(210)과 시각적으로 구별되는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을 계속한다.
상기 터치가능 아이콘들(221, 223, 225)이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를 통해서만 선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5의 (5-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터치가능 아이콘들(221, 223, 225)에는 번호가 부여되고, 상기 조작부(130)을 통해 해당 번호를 누름으로써 원하는 터치가능 아이콘이 선택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도 5의 (5-5) 내지 (5-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가능 아이콘들(221, 223, 225)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커서(229)가 제공되고, 상기 커서(229)를 상기 조작부(130)를 통해 이동시키면서 원하는 아이콘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터치가능 아이콘들을 이용한 후에 다시 상기 터치가능 아이콘 활성화키를 한번 더 누르면 상기 터치가능 아이콘들(221, 223, 225)은 상기 화면(200) 상에서 사라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가능 아이콘들(221, 223, 225)이 사라지면, 상기 터치스크린에는 단말기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 하기 위한 전류 공급이 중단된다.
상기 터치가능 아이콘들에 할당되어 있는 기능들이 반드시 터치가능 아이콘들을 통해서만 선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대해 도 6을 더욱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의 일 실시예가 구현되는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다른 상태도이다.
도 6의 (6-1) 또는 (6-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가능 아이콘들이 디스플레이되어 있지 않거나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상황에서 상기 조작부((130)를 통해 상기 "메뉴" 아이콘(210)을 선택하면, 도 6의 (6-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100) 내의 각종 기능들에 관한 아이콘들(230)이 디스플레이된다.
그 다음,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아이콘들(230) 중에서 "multimedia" 아이콘(231)을 상기 조작부(130)을 통해 선택하면, 도 6의 (6-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의 화면(200)에는 "MP3 Player" 아이콘(233), "TV" 아이콘(235), "Camera" 아이콘(237)이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아이콘들은 도 6의 (6-2)의 터치가능 아이콘들과 대응된다. 따라서, 단말기 사용자는 도 6의 (6-4)의 아이콘들(233, 235, 237)을 상기 조작부를 통해 선택함으로써 도 6의 (6-2)의 상기 터치가능 아이콘들(221, 223, 225)에 할당되어 있는 기능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100)에서 단말기 사용자가 터치가능 아이콘 활성화키를 누를 때 언제나 동일한 종류의 상기 터치가능 아이콘들이 디스플레이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대해 도 7을 더욱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의 일 실시예가 구현되는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또 다른 상태도이다.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도 7의 (7-1)에 도시된 바와 같이 TV 수신 기능이 수행되고 있다고 가정하자. 이 때,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터치가능 아이콘 활성화키를 짧게 누르면, 상기 화면(200)에는 도 7의 (7-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TV 수신 기능과 관련된 터치가능 아이콘들, 즉 채널 변경 아이콘(241) 및 볼륨 조절 아이콘(243)이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단말기 사용자는 TV 시청 중에 채널 변경 또는 볼륨 조절은 해당 아이콘을 선택함으로써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휴대단말기(100)가 도 7의 (7-1)에 도시된 바와 같이 TV 수신 기능이 수행되고 있는 도중에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터치가능 아이콘 활성화키를 길게 누르면, 상기 화면(200)에는, 도 7의 (7-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메인메뉴 기능들과 관련된 터치가능 아이콘들이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단말기 사용자는 TV 시청 중에 다른 원하는 기능을 용이하게 실행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도 7의 (7-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MP3와 같은 오디오파일 재생기능이 수행되고 있다고 가정하자. 이 때,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터치가능 아이콘 활성화키를 짧게 누르면, 상기 화면(200)에는 도 7의 (7-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디오파일 재생과 관련된 터치가능 아이콘들, 예를 들면 이전곡, 재생, 정지, 다음곡 아이콘(251) 및 볼륨 조절 아이콘(253)이 디스플레이된다. 즉, 도 7의 (7-2)와 비교해보면, 상기 휴대단말기(100)에서 TV 수신기능이 수행되고 있을 때와는 다른 종류의 터치가능 아이콘들이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기(100)가 도 7의 (7-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파 일 재생 기능이 수행되고 있는 도중에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터치가능 아이콘 활성화키를 길게 누르면, 상기 화면(200)에는, 도 7의 (7-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메인메뉴 기능들과 관련된 터치가능 아이콘들이 디스플레이됨은 도 7의 (7-3)의 경우와 같다.
이상의 설명에서 상기 터치가능 아이콘 활성화키를 짧게 누르거나 길게 누르는 것은 서로 반대로 행해져도 무방하다. 즉, 도 7의 (7-1) 및 (7-4)의 상태에서 상기 활성화키를 길게 누르면 도 7의 (7-2) 및 (7-5)와 같이 각각 터치가능 아이콘들이 디스플레이되고, 도 7의 (7-1) 및 (7-4)의 상태에서 상기 활성화키를 짧게 누르면 도 7의 (7-3) 및 (7-6)와 같이 각각 터치가능 아이콘들이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에서는 상기 터치가능 아이콘의 설정/해제가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행해질 수도 있다. 이에 대해 도 8을 더욱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의 일 실시예가 구현되는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더욱 또다른 상태도이다.
도 8의 (8-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의 화면(200)에는 3개의 터치가능 아이콘들, 즉 "MP3" 아이콘(221), "TV" 아이콘(223), "CAM" 아이콘(225)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CAM" 아이콘(225)를 짧게 터치하면 상기 휴대단말기(100)에서는 카메라 기능이 동작하게 된다. 그러나,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CAM" 아이콘(225)를 길게 누르면, 도 8의 (8-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CAM" 아이콘 이 터치가능 아이콘으로 설정된 것을 해제할 것인지를 묻는 창(260)이 뜬다.
이 때,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창(260)에서 "1. 예"를 선택하면, 도 8의 (8-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면에서 상기 "CAM" 아이콘은 사라진다.
다시 상기 "CAM" 아이콘을 터치가능 아이콘으로 설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화면(200)의 "메뉴" 아이콘(210)을 이용하여 도 8의 (8-4)의 화면으로 진입한다. 도 8의 (8-4)의 화면으로 진입하는 것에 대해서는 이미 도 6과 관련되어 설명되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의 간명함을 위해 생략하도록 하겠다.
단말기 사용자가 도 8의 (8-4)의 "Camera" 아이콘을 선택하기 위해 상기 조작부(130)의 해당 키버튼을 짧게 누르면, 상기 휴대단말기(100)에서는 카메라 기능이 동작하게 된다. 그러나,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해당 키버튼을 길게 누르면, 도 8의 (8-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CAM" 아이콘을 터치가능 아이콘으로 설정할 것인지를 묻는 창(270)이 뜬다.
이 때,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창(270)에서 "1. 예"를 선택하면, 도 8의 (8-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면(200)에서 상기 "CAM" 아이콘(225)이 다시 터치가능 아이콘으로서 디스플레이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상기 터치가능 아이콘 활성화키 또는 해당 키버튼을 짧게 누르거나 길게 누르는 것은 서로 반대로 행해져도 무방함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저장부(160)에 각 메뉴 기능 별 실행 횟수가 누적되어 기록되고, 그 중 실행 빈도가 가장 높은 일정 갯수의 메뉴 기능에 대한 아이콘들이 터치가능 아이콘으로서 상기 화면(200) 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는 도 2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메뉴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의 일 실시예가 구현되는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의 일 실시예가 구현되는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다른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의 일 실시예가 구현되는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또다른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의 일 실시예가 구현되는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더욱 또다른 상태도이다.
Claims (14)
- 화면 상에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가능 아이콘 및 터치하여 선택할 수 없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불능 아이콘을 동시에 표시하는 터치스크린;터치가능 아이콘 활성화키를 구비한 조작부; 및상기 활성화키가 선택되면, 현재 동작 중인 메뉴 기능 또는 메인 메뉴 기능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상기 터치가능 아이콘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터치가능 아이콘과 상기 터치불능 아이콘은 시각적으로 구별되도록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터치가능 아이콘은 불투명 또는 반투명 배경 레이어 상에 디스플레이됨 으로써 시각적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터치가능 아이콘은 상기 조작부를 통해 선택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터치가능 아이콘에 해당하는 메뉴 기능은 상기 조작부를 통해 선택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단말기의 특정 메뉴 기능은 상기 조작부를 통한 사용자 설정에 의해 상기 터치가능 아이콘으로 표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터치가능 아이콘은 상기 조작부를 통한 사용자 설정에 의해 상기 터치불능 아이콘으로 표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 삭제
- 삭제
- 화면 상에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가능 아이콘 및 터치하여 선택할 수 없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불능 아이콘을 동시에 표시하는 터치스크린;터치가능 아이콘 활성화키를 구비한 조작부; 및상기 터치가능 아이콘 및 터치불능 아이콘을 시각적으로 구별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활성화키가 선택되면, 현재 동작 중인 메뉴 기능 또는 메인 메뉴 기능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상기 터치가능 아이콘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
- 터치스크린 상에 적어도 하나의 터치불능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및터치가능 아이콘의 활성화키가 선택되면, 상기 터치불능 아이콘과 함께 적어도 하나의 터치가능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상기 터치가능 아이콘은, 현재 동작 중인 메뉴 기능 또는 메인 메뉴 기능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서의 메뉴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가능 아이콘 표시 단계는,상기 터치가능 아이콘과 상기 터치불능 아이콘이 서로 시각적으로 구별되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서의 메뉴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75147A KR101388152B1 (ko) | 2007-07-26 | 2007-07-26 | 휴대단말기 및 그 메뉴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 |
DE102008033513A DE102008033513A1 (de) | 2007-07-26 | 2008-07-17 | Mobiles Endgerät und Verfahren zum Anzeigen eines Menüsymbols darauf |
US12/176,314 US8607165B2 (en) | 2007-07-26 | 2008-07-18 |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displaying menu icon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75147A KR101388152B1 (ko) | 2007-07-26 | 2007-07-26 | 휴대단말기 및 그 메뉴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11503A KR20090011503A (ko) | 2009-02-02 |
KR101388152B1 true KR101388152B1 (ko) | 2014-04-22 |
Family
ID=40157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75147A KR101388152B1 (ko) | 2007-07-26 | 2007-07-26 | 휴대단말기 및 그 메뉴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8607165B2 (ko) |
KR (1) | KR101388152B1 (ko) |
DE (1) | DE10200803351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80163119A1 (en) * | 2006-12-28 | 2008-07-0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for providing menu and multimedia device using the same |
US20080163053A1 (en) * | 2006-12-28 | 2008-07-0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to provide menu, using menu set and multimedia device using the same |
US8549407B2 (en) * | 2007-12-05 | 2013-10-01 | Ebay Inc. | Multi-dimensional dynamic visual browsing |
US8810603B2 (en) * | 2008-01-28 | 2014-08-19 | Vistaprint Schweiz Gmbh | Creating images for displaying or printing on low-contrast background |
KR101559772B1 (ko) * | 2008-10-16 | 2015-10-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US20100281430A1 (en) * | 2009-05-02 | 2010-11-04 | Samir Hanna Safar | Mobile applications spin menu |
KR101576292B1 (ko) * | 2009-05-21 | 2015-12-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메뉴 실행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
US10895955B2 (en) | 2009-10-13 | 2021-01-1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grouping and displaying icons on a screen |
KR101701492B1 (ko) * | 2009-10-16 | 2017-02-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데이터 표시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단말기 |
KR101641236B1 (ko) * | 2009-11-19 | 2016-07-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단말기의 메뉴 아이콘 표시방법 |
WO2011123577A2 (en) * | 2010-03-31 | 2011-10-06 | Phunware Inc. | Methods and systems for interactive user interface objects |
KR101651134B1 (ko) * | 2010-06-24 | 2016-08-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그룹 동작 제어 방법 |
JP5977922B2 (ja) * | 2011-02-24 | 2016-08-24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透過型頭部装着型表示装置 |
US9026944B2 (en) * | 2011-07-14 | 2015-05-05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Managing content through actions on context based menus |
JP2013026868A (ja) * | 2011-07-22 | 2013-02-04 | Kyocera Corp | 通信端末、事前通知プログラムおよび事前通知方法 |
KR101872858B1 (ko) * | 2011-12-02 | 2018-08-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JP6260101B2 (ja) | 2012-05-01 | 2018-01-17 | 株式会社リコー | 通信端末、起動方法及びプログラム |
US20140143726A1 (en) * | 2012-11-21 | 2014-05-22 | Kuo-Ping Yang | Method of choosing software button |
US11726631B2 (en) * | 2013-08-24 | 2023-08-15 | Tara Chand Singhal | Apparatus and method for a simplified menu screen in handheld mobile wireless devices |
EP3086537A4 (en) * | 2013-12-18 | 2017-08-09 | Yulong Computer Telecommunication Scientific (Shenzhen) Co., Ltd. | Application icon display control method and terminal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48704A (ko) * | 1997-12-10 | 1999-07-05 | 윤종용 | 휴대형 전화기 및 휴대형 정보 단말기가 복합된 휴대형 복합무선 단말기와 그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
KR20060044063A (ko) * | 2004-11-11 | 2006-05-16 | 주식회사 팬택 | 터치 스크린 방식에 의해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진동 출력 모드를 설정/해제하는 방법 및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553277A (en) * | 1992-12-29 | 1996-09-03 | Fujitsu Limited | Image search method for searching and retrieving desired image from memory device |
CA2149162A1 (en) * | 1994-06-20 | 1995-12-21 | Donald Marion Keen |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reating new pages in a touch screen based telephony product having a hierarhical repertory |
US6587700B1 (en) | 1994-06-23 | 2003-07-01 | At&T Wireless Services, Inc. | Personal communicator with flip element display |
US6020916A (en) * | 1997-12-31 | 2000-02-01 | At&T Corp | Videophone multimedia interactive on-hold information menus |
US6154210A (en) * | 1998-11-25 | 2000-11-28 | Flashpoint Technology, Inc. |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button interface compatibility in touch-screen equipped digital imaging device |
US6501464B1 (en) | 2000-10-31 | 2002-12-31 | Intel Corporation | On-screen transparent keyboard interface |
US6741232B1 (en) * | 2002-01-23 | 2004-05-25 | Good Technology, Inc. | User interface for a data processing apparatus |
JP4321067B2 (ja) * | 2003-01-08 | 2009-08-26 | ソニー株式会社 | 携帯型表示装置 |
EP1758345B1 (en) * | 2005-08-26 | 2016-12-28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Mobile telecommunication handset having touch pad |
KR101169808B1 (ko) | 2006-01-12 | 2012-08-03 | 엘지엔시스(주) | 매체지급기용 도어 힌지 |
US20080055263A1 (en) * | 2006-09-06 | 2008-03-06 | Lemay Stephen O | Incoming Telephone Call Management for a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
US8037423B2 (en) * | 2006-09-27 | 2011-10-11 | Digital Delivery Networks, Inc. |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organizing the display of visual icons associated with information technology processes |
US20090140992A1 (en) * | 2007-06-16 | 2009-06-04 | Sunrise Telecom Incorporated | Display system |
TW200928942A (en) * | 2007-12-26 | 2009-07-01 | Htc Corp |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input interface auto-lock thereof |
TWI400930B (zh) * | 2007-12-28 | 2013-07-01 | Htc Corp | 手持電子裝置及其螢幕鎖定方法 |
-
2007
- 2007-07-26 KR KR1020070075147A patent/KR10138815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8
- 2008-07-17 DE DE102008033513A patent/DE102008033513A1/de not_active Withdrawn
- 2008-07-18 US US12/176,314 patent/US8607165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48704A (ko) * | 1997-12-10 | 1999-07-05 | 윤종용 | 휴대형 전화기 및 휴대형 정보 단말기가 복합된 휴대형 복합무선 단말기와 그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
KR20060044063A (ko) * | 2004-11-11 | 2006-05-16 | 주식회사 팬택 | 터치 스크린 방식에 의해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진동 출력 모드를 설정/해제하는 방법 및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8607165B2 (en) | 2013-12-10 |
KR20090011503A (ko) | 2009-02-02 |
DE102008033513A1 (de) | 2009-01-29 |
US20090031253A1 (en) | 2009-01-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88152B1 (ko) | 휴대단말기 및 그 메뉴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 | |
US9710139B2 (en) |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0930563B1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의 방송채널 또는 방송채널 리스트 전환 방법 | |
KR101386473B1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메뉴 표시 방법 | |
KR101398134B1 (ko) | 휴대 단말기의 동영상 재생장치 및 방법 | |
KR101397080B1 (ko) | 멀티 기능 실행능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방법 | |
KR101348721B1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의 터치 인식 방법 | |
KR101470543B1 (ko) |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 |
US8373666B2 (en) | Mobile terminal using proximity sens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414609B1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US20090049398A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same | |
KR101457590B1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포인터 제어방법 | |
US8914063B2 (en) |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mode setting ke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 |
KR20090034215A (ko) |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 |
KR101504682B1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513609B1 (ko) | 휴대단말기의 음악 재생장치 및 방법 | |
KR101377957B1 (ko) | 휴대 단말기의 일정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 |
KR101387507B1 (ko) |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서브 메뉴 구현방법 | |
KR20100027615A (ko) | 휴대 단말기 | |
KR101415764B1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메뉴 위치 이동 방법 | |
KR101414607B1 (ko) | 휴대 단말기, 그 조작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 |
KR101381934B1 (ko) | 모드 설정키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 |
KR101396977B1 (ko) | 휴대단말기 및 그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 |
KR20100028923A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090011502A (ko) | 휴대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