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1504B1 -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에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생성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에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생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1504B1
KR101341504B1 KR1020070070021A KR20070070021A KR101341504B1 KR 101341504 B1 KR101341504 B1 KR 101341504B1 KR 1020070070021 A KR1020070070021 A KR 1020070070021A KR 20070070021 A KR20070070021 A KR 20070070021A KR 101341504 B1 KR101341504 B1 KR 101341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usic
video
stored
reproduc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0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6563A (ko
Inventor
백두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0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1504B1/ko
Priority to EP08159092.9A priority patent/EP2015574B1/en
Priority to US12/165,237 priority patent/US8259154B2/en
Priority to CN2008101358102A priority patent/CN101350905B/zh
Publication of KR20090006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1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1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e.g. interacting with MPEG-4 objects, editing loc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0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audio data, e.g. different tracks for different languages
    • H04N21/8113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audio data, e.g. different tracks for different languages comprising music, e.g. song in MP3 forma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2007/145Handheld terminal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휴대 단말기으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영상을 포함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재생되는 음악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 수신되는 제 1 영상 및 송신되는 제 2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뮤직 비디오 생성에 관한 키 신호 입력을 위한 조작부;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 및 화상 통화 중 뮤직 비디오 생성에 관한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재생되고 있는 음악과 함께 상기 제 1 영상 및 상기 제 2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여 특정의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에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생성 방법{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CREATING MULTI-MEDIA CONTENTS IN TH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면서, 다양한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다.
최근 들어,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들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방법의 일환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 통신 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카메라부, 음성 출력부, 표시부, 입력부, 저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카메라부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고, 상기 무선 통신부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수신되는 영상과 송신되는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저장부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출력부는 재생되는 음악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화상 통화 중 멀티미디어 컨텐츠 생성에 관한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재생되고 있는 음악과 함께 표시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특정의 데이터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화상 통화 중 멀티미디어 컨텐츠 생성 메뉴를 활성화하는 단계; 수신되는 제 1 영상 및 송신되는 제 2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음악을 재생하는 단계; 및 제 1 영상 및 상기 제 2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재생되는 음악과 함께 저장하는 단계;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정의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이통통신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에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생성 방법는 화상 통화 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과 재생 음악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 생성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조작부(130), 센싱부(140), A/V(Audio/Video) 출력부(150), 저장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GPS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 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5)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한편,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 모듈(121)과 마이크 모듈(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저장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1)은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 모듈(122)은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모듈(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조작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조작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 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A/V(Audio/Video)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음향 출력 모듈(15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 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3)과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과 내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이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진동 출력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저장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부(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더욱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 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 단말기들 중에서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제1바디(100A)와, 상기 제1바디(100A)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바디(100B)를 포함한다.
제1바디(100A)가 제2바디(100B)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100A)가 제2바디(100B)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제1바디(100A)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제 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 1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다. 제 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 1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 품들이 내장된다. 제 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 1 리어 케이스(100A-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바디(100A), 구체적으로 제 1 프론트 케이스(100A-1)에는 디스플레이모듈(151), 제 1 음향출력모듈(152-1), 제1 카메라모듈(121-1) 또는 제1 조작부(130-1)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151)은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에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이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제 1 음향출력모듈(152-1)은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카메라모듈(121-1)은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조작부(130-1)는 본 발명에 관련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생성에 관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는다.
제1바디(100A)와 마찬가지로, 제 2 바디(100B)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 2 프론트 케이스(100B-1)와 제 2 리어 케이스(100B-2)에 의해 형성된다.
제2 바디(100B), 구체적으로 제 2 프론트 케이스(100B-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 조작부(130-2)가 배치될 수 있다.
제 2 프론트 케이스(100B-1) 또는 제 2 리어 케이스(100B-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 조작부(130-3), 마이크모듈(122),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조작부(130-1, 130-2, 130-3))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130)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조작부(130-1)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조작부(130-2)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 조작부(130-3)는 상기 휴대단말기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모듈(122)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 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70)에 대해서는 이미 전술되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 2 리어 케이스(100B-2) 측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상기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는 도 2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제2바디(100B)의 제 2 리어 케이스(100B-2)의 후면에는 제2 카메라모듈(121-2)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카메라모듈(121-2)은 제1 카메라모듈(121-1, 도 1 참조)과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카메라모듈과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모듈(121-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카메라모 듈(121-2)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게 구성할 수 있다.
제2 카메라모듈(121-2)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1-3)와 거울(121-4)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래쉬(121-3)는 제2 카메라모듈(121-2)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상기 거울(121-4)는 사용자가 제2 카메라모듈(121-2)을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제 2 리어 케이스(100B-2)에는 제2 음향출력모듈 (152-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음향출력모듈(152-2)는 제1 음향출력모듈(152-1, 도2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 2 리어 케이스(100B-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1-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111-1)는 제2바디(100B)(2)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바디(100A)의 제 1 리어 케이스(100A-2) 측에는 제1바디(100A)와 제2바디(100B)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100C)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슬라이드 모듈(100C)의 다른 부분은 제2 바디(100B)의 제 2 프론트 케이스(100B-1)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모듈(121-2)) 등이 제2바디(100B)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카메라모듈(121-2) 등과 같이 제 2 리어 케이스(100B-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111-1, 121-2 내지 121-3, 152-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바디(100A), 주로는 제 1 리어 케이스(100A-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제 1 리어케이스(100A-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바디(100B)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 카메라모듈(121-2)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카메라모듈(121-1)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카메라모듈(121-2)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100)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특히, 도 4는 화상 통화 시 뮤직 비디오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먼저, 화상 통화 수행 중, 뮤직 비디오 생성을 위해서 뮤직 비디오 생성에 관련된 키 신호를 입력한다. 상기 뮤직 비디오 생성에 관한 키 신호는 조작부(130)의 키 조작을 통해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뮤직 비디오 생성에 관한 키는 별도의 단축 키(또는 전용 키)를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뮤직 비디오 생성에 관 한 키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뮤직 비디오 메뉴를 활성화 시킨다.
뮤직 비디오 메뉴가 활성화되면, 사용자는 배경음악을 선택하여, 재생한다(S20). 배경음악은 저장부(160)에 저장된 음악 파일이거나 상대방으로부터 수신한 음악 파일일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망을 통해 다운받은 음악 파일을 배경음악으로 선택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화상 통화 시 표시되는 영상을 재생되는 음악과 함께 저장한다(S30). 이 때, 음악과 같이 저장되는 영상은 사용자 자신의 영상이 될 수도 있고, 상대방 영상이 될 수도 있다. 물론 두 영상 모두를 재생 음악과 함께 저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음악과 영상의 저장이 완료되면,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하나의 동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S40). 이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로 하여금 동영상 파일 생성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즉, 디스플레이되는 자신의 영상 또는/및 상대방 영상과 재생 음악을 결합하여 하나의 동영상 파일로 생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5는 화상 통화 중 뮤직 비디오 생성 과정을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5a는 화상 통화 수행 중, 뮤직 비디오 메뉴가 활성화된 화면을 나타낸 것 이다. 도시된 화면에는 내 영상 및 상대방 영상이 모두 디스플레이된다. 뮤직 비디오 메뉴가 활성화된 후 저장된 음악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재생한다. 음악 재생되면,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된 뮤직 비디오 촬영 키(501)를 터치한다.
뮤직 비디오 촬영 키(501)가 터치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방 영상이 재생되는 음악과 함께 저장된다. 즉, 상대방 영상이 뮤직 비디오의 영상으로 먼저 촬영된다. 물론 촬영되는 영상의 순서는 바뀔 수 있다. 이 경우, 촬영되고 있는 영상은 식별되게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촬영되고 있는 영상이라 함은 재생되는 음악과 함께 뮤직 비디오의 데이터로 저장되고 있는 영상을 말한다.
도시된 화면에는 촬영되고 있는 영상의 테두리를 필름 형상으로 표시하여 식별되게 표시하고 있다. 물론, 촬영되고 있는 영상을 표시하고 있는 방법은 상술한 방법 말고도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되고 영상의 테두리를 깜박거리게 표시할 수도 있고, 촬영되고 있는 영상에 대해 색깔을 통해 식별되게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자신의 영상과 상대방 영상을 번갈아 가며 재생되는 음악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즉, 뮤직 비디오 촬영 시, 상대방 영상과 자신의 영상을 번갈아 가며 촬영하여 하나의 뮤직 비디오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촬영되는 영상은 터치를 통해 바꿀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b에서와 같이, 상대방 영상 촬영 중에 자신의 영상을 촬영하기를 원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영상을 터치하여 촬영되는 영상을 자신의 영상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영상 하단에 표시된 카메라를 터치함으로써, 촬영되는 영상을 바꿀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자신의 영상 아래에 위치한 카메라를 터치함으로써, 촬영되는 영상을 자신의 영상으로 전환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자신의 영상으로 전환한 화면이 도 5c에 도시되어 있다. 도 5c에 의하면, 자신의 영상 테두리를 필름 형상으로 표시하여 자신의 영상이 재생되는 음악과 함께 저장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2개의 영상(상대방 영상과 사용자 자신의 영상)이 모두 동시에 재생 음악과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는 자신의 영상과 상대방 영상 테두리 모두에 필름 형상이 표시될 것이다.
즉, 뮤직 비디오 촬영 시, 자신의 영상과 상대방 영상을 번갈아 가며 재생 음악과 함께 저장할 수도 있고, 2 영상(상대방 영상 및 사용자 자신의 영상)을 동시에 재생 음악과 함께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내 영상 및 상대방 영상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영상이 재생되는 음악과 함께 저장되는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영상이 저장되고 있는 상황에 대한 정보를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이 저장되고 있는 상황에 대한 정보라 함은 어느 영상이 저장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는 정보를 말한다.
영상이 저장되고 있는 상황에 대한 정보는 인디케이터(indicator) 및 저장된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인디케이터는 상대방 영상이 촬영 중인 상황을 나타내고, 제2인디케이터는 내 영상이 촬영 중인 상황을 나타내고, 제3인디케이터는 내 영상과 상대방 영상이 동시에 촬영되고 있는 상황을 나 타낼 수 있다. 또한 저장된 영상 그 자제를 전송하면 상대방은 상기 전송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어느 영상이 촬영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뮤직 비디오 생성에 이용되는 영상은 화상 통화 수행자의 실제 영상일 수도 있고, 대체 영상일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재생되는 음악과 함께 표시되는 영상의 저장이 완료된 경우, 뮤직 비디오 파일 생성을 위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그와 같은 예가 나타낸 도면이 도 5d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화면에서 "Yes"가 터치된 경우, 뮤직 비디오 파일이 생성된다. 그리고 생성된 뮤직 비디오 파일은 자동으로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재생되는 음악과 함께 표시되는 영상의 저장이 완료된 경우라 함은 사용자 선택에 의해 완료된 경우도 포함할 수 있고, 음악 재생이 완료되어 자동으로 저장이 완료된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뮤직 비디오 생성에 이용되는 영상에는 텍스트 및 이모티콘 중 적어도 하나가 더 표시될 수 있다. 즉, 텍스트 및 이모티콘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된 영상이 재생 음악과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텍스트나 이모티콘은 상기 뮤직 비디오를 꾸미기 위한 것이다. 그와 같은 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대방 영상이 촬영되고 있는 경우 표시되는 상대방 영상 위에 재생되는 노래의 가수 및 제목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텍스트는 특정 소프트웨어에 의해 재생되는 음악과 관련된 정보가 자동으로 표시되기도 하고, 사용 자에 의해 직접 입력에 의해 표시되기도 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뮤직 비디오의 영상을 꾸미기 위해 이모티콘이 표시된 영상을 재생되는 음악과 함께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술한 방법에 의해 제작된 뮤직 비디오 파일은 화상 통화 시 대체 영상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방법에 의해 생성된 뮤직 비디오 파일을 상대방에게 전송하거나 상대방과 공유할 수 있다. 상기 뮤직 비디오 파일은 MMS나 이메일(E-mail) 등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서 생성된 멀티 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 전송에 관련된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목록이 표시된 창이 표시된다. 그렇게 표시된 창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특정의 멀티미디어 파일을 터치하여 상대방 영상으로 드래그한 경우, 터치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이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생성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휴대 단말기 110: 무선 통신부
120: A/V 입력부 130: 조작부
140: 센싱부 150: A/V 출력부
160: 저장부 170: 인터페이스부
180: 제어부 190: 전원 공급부

Claims (15)

  1. 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 모듈;
    영상을 포함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재생되는 음악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
    수신되는 제 1 영상 및 송신되는 제 2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뮤직 비디오 생성에 관한 키 신호 입력을 위한 조작부;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 및
    화상 통화 중 뮤직 비디오 생성에 관한 키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 1 영상과 제 2 영상을 상기 재생되고 있는 음악과 함께 번갈아가며 저장하여 특정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영상과 제 2 영상을 상기 재생되는 음악과 함께 랜덤하게 저장하여 상기 특정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되는 제 1 영상 및 제 2 영상 중 터치된 영상을 상기 재생되는 음 악과 함께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생되고 있는 음악과 함께 저장되고 있는 제 1 영상 및 제 2 영상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식별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에 대해 식별 가능하게 하는 표시 방법은
    상기 음악과 함께 저장되고 있는 제 1 영상 및 제 2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를 식별되게 표시하거나, 상기 음악과 함께 저장되고 있는 제 1 영상 및 제 2 영상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색깔을 통해 구별되게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영상 및 제 2 영상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재생되는 음악과 함께 저장되는 경우, 영상이 저장되고 있는 상황에 대한 정보를 상대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이 저장되고 있는 상황에 대한 정보는
    상기 영상이 저장되고 있는지를 알려주는 인디케이터(indicator) 및 상기 저장된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상 및 제 2 영상은
    화상 통화 수행자의 실제 영상 및 상기 실제 영상의 대체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상 및 상기 제 2 영상 중 적어도 하나는
    텍스트 및 이모티콘 중 적어도 하나가 더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데이터 파일의 생성을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특정 파일을 상대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상대방 휴대 단말기와 공유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파일의 전송 또는 공유는
    생성된 특정 파일이 터치를 통해 상기 표시된 제 1 영상 드래그된 경우,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화상 통화 중 뮤직 비디오 생성 메뉴를 활성화하는 단계;
    음악을 재생하는 단계; 및
    화상 통화 중 표시되는 수신 영상 및 송신 영상을 상기 재생되는 음악과 함께 번갈아가며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정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영상과 송신 영상을 상기 재생되는 음악과 함께 랜덤하게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는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단계는
    상기 재생되고 있는 음악과 함께 저장되고 있는 제 1 영상 및 제 2 영상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식별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통통신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는 방법.
KR1020070070021A 2007-07-12 2007-07-12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에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생성방법 KR101341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0021A KR101341504B1 (ko) 2007-07-12 2007-07-12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에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생성방법
EP08159092.9A EP2015574B1 (en) 2007-07-12 2008-06-26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reating multimedia contents therein
US12/165,237 US8259154B2 (en) 2007-07-12 2008-06-30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reating multimedia contents therein
CN2008101358102A CN101350905B (zh) 2007-07-12 2008-07-14 移动终端和在其中创建多媒体内容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0021A KR101341504B1 (ko) 2007-07-12 2007-07-12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에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생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563A KR20090006563A (ko) 2009-01-15
KR101341504B1 true KR101341504B1 (ko) 2013-12-16

Family

ID=39767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0021A KR101341504B1 (ko) 2007-07-12 2007-07-12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에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생성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259154B2 (ko)
EP (1) EP2015574B1 (ko)
KR (1) KR101341504B1 (ko)
CN (1) CN10135090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73077A (zh) * 2020-06-30 2021-12-31 华为技术有限公司 通话提示方法、通话设备、可读存储介质及芯片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31159A (ja) 2007-06-14 2010-09-24 ハーモニックス・ミュージック・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ロックバンド疑似体験システム及び方法。
US8678896B2 (en) * 2007-06-14 2014-03-25 Harmonix Music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synchronous band interaction in a rhythm action game
WO2010006054A1 (en) * 2008-07-08 2010-01-14 Harmonix Music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imulating a rock and band experience
US8347216B2 (en) * 2008-10-01 2013-01-0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video sharing method thereof
JP2012513693A (ja) * 2008-12-22 2012-06-14 フランス・テレコム テキストデータを処理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0100198582A1 (en) * 2009-02-02 2010-08-05 Gregory Walker Johnson Verbal command laptop computer and software
US8465366B2 (en) * 2009-05-29 2013-06-18 Harmonix Music Systems, Inc. Biasing a musical performance input to a part
US8449360B2 (en) 2009-05-29 2013-05-28 Harmonix Music Systems, Inc. Displaying song lyrics and vocal cues
US8751329B2 (en) * 2009-08-20 2014-06-10 T-Mobile Usa, Inc. Licensed content purchasing and delivering
US8654952B2 (en) 2009-08-20 2014-02-18 T-Mobile Usa, Inc. Shareable applications on telecommunications devices
US8825036B2 (en) * 2009-08-20 2014-09-02 T-Mobile Usa, Inc. Parent telecommunication device configuration of activity-based child telecommunication device
US8929887B2 (en) * 2009-08-20 2015-01-06 T-Mobile Usa, Inc. Shared book reading
US9981193B2 (en) 2009-10-27 2018-05-29 Harmonix Music Systems, Inc. Movement based recognition and evaluation
EP2494432B1 (en) 2009-10-27 2019-05-29 Harmonix Music Systems, Inc. Gesture-based user interface
US20110143728A1 (en) * 2009-12-16 2011-06-16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acquired media for matching against a target expression
US8568234B2 (en) 2010-03-16 2013-10-29 Harmonix Music Systems, Inc. Simulating musical instruments
US8750854B2 (en) * 2010-03-25 2014-06-10 T-Mobile Usa, Inc. Parent-controlled episodic content on a child telecommunication device
US8483738B2 (en) * 2010-03-25 2013-07-09 T-Mobile Usa, Inc. Chore and rewards tracker
KR101687550B1 (ko) * 2010-06-04 2016-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US9358456B1 (en) 2010-06-11 2016-06-07 Harmonix Music Systems, Inc. Dance competition game
US20110306397A1 (en) 2010-06-11 2011-12-15 Harmonix Music Systems, Inc. Audio and animation blending
US8562403B2 (en) 2010-06-11 2013-10-22 Harmonix Music Systems, Inc. Prompting a player of a dance game
KR101669521B1 (ko) * 2010-08-23 2016-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024166B2 (en) 2010-09-09 2015-05-05 Harmonix Music Systems, Inc. Preventing subtractive track separation
US20150220141A1 (en) * 2012-09-18 2015-08-06 Thomas Alexander Shows Computing systems, peripheral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peripheral device
KR101328199B1 (ko) * 2012-11-05 2013-11-13 넥스트리밍(주) 동영상 편집 방법 및 그 단말기 그리고 기록매체
CN103024710B (zh) * 2012-11-26 2016-05-04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在线播放音乐的方法
US20140372921A1 (en) * 2013-06-17 2014-12-18 Vonage Network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 of a video call in picture in picture mode
CN103336677B (zh) * 2013-06-25 2016-03-30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向显示设备输出图像的方法、装置和系统
EP3167604B1 (en) * 2014-12-14 2021-06-30 SZ DJI Technology Co., Ltd. Methods and systems of video processing
KR20160131720A (ko) * 2015-05-08 2016-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12954481B (zh) * 2021-02-07 2023-12-12 脸萌有限公司 特效处理方法和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511B1 (ko) * 2005-10-07 2007-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상 통화 서비스 수행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0754A (en) 1994-05-13 1996-08-27 Videoptic Research Teleconferencing camcorder
US7321783B2 (en) 1997-04-25 2008-01-22 Minerva Industries, Inc. Mobile entertainment and communication device
WO1999057900A1 (en) * 1998-05-03 1999-11-11 John Karl Myers Videophone with enhanced user defined imaging system
US20050018050A1 (en) * 2003-07-23 2005-01-27 Casio Computer Co., Lt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dynamic image preparation method and dynamic image preparation program
JP2006067436A (ja) * 2004-08-30 2006-03-09 Nec Corp 通信端末装置、テレビ電話制御方法及びテレビ電話制御プログラム
US8022989B2 (en) 2005-08-17 2011-09-20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ata delivery with user-maintained modes
US8063929B2 (en) * 2007-05-31 2011-11-22 Eastman Kodak Company Managing scene transitions for video communic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511B1 (ko) * 2005-10-07 2007-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상 통화 서비스 수행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73077A (zh) * 2020-06-30 2021-12-31 华为技术有限公司 通话提示方法、通话设备、可读存储介质及芯片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563A (ko) 2009-01-15
EP2015574A1 (en) 2009-01-14
CN101350905B (zh) 2011-09-28
CN101350905A (zh) 2009-01-21
US8259154B2 (en) 2012-09-04
US20090015653A1 (en) 2009-01-15
EP2015574B1 (en) 2016-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1504B1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에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생성방법
KR101405933B1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 표시 방법
KR101398134B1 (ko) 휴대 단말기의 동영상 재생장치 및 방법
KR10138647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메뉴 표시 방법
KR10157036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메뉴 표시 방법
KR10141576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이미지 표시 방법
KR101397080B1 (ko) 멀티 기능 실행능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1396974B1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에서의 호 신호 처리방법
KR101427259B1 (ko) 컨텐츠 보관함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145759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포인터 제어방법
KR101513609B1 (ko) 휴대단말기의 음악 재생장치 및 방법
KR20090024594A (ko) 휴대단말기 및 메뉴검색 피드백 방법
KR20100056209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38750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서브 메뉴 구현방법
KR20090011709A (ko) 휴대 단말기의 일정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KR10140474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의 통화 영상 녹화 방법
KR20090076096A (ko) 휴대 단말기의 바람 인터랙션 제어방법
KR10149023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공유방법
KR10141576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공지 방법
KR101504684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381934B1 (ko) 모드 설정키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451653B1 (ko) 휴대단말기 및 그 키패드 제어방법
KR101626308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30446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재생 방법
KR101412148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