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8435A -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8435A
KR20090018435A KR1020070082879A KR20070082879A KR20090018435A KR 20090018435 A KR20090018435 A KR 20090018435A KR 1020070082879 A KR1020070082879 A KR 1020070082879A KR 20070082879 A KR20070082879 A KR 20070082879A KR 20090018435 A KR20090018435 A KR 20090018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er
cursor
key
screen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2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7528B1 (ko
Inventor
안현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70082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7528B1/ko
Priority to US12/140,873 priority patent/US20090049398A1/en
Priority to EP08011357A priority patent/EP2026181A3/en
Priority to CN2008101316400A priority patent/CN101369211B/zh
Publication of KR20090018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8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7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7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8Touchless 2D- 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without distance measurement in the Z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은, 화면에 포인터를 표시하고, 포인터를 이동시키도록 설정된 입력 키의 조작 방향에 대응하여, 포인터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포인터가 이동하여 화면의 소정 영역에 진입하는 경우, 포인터를 텍스트 입력 위치를 나타내는 커서로 자동 전환하여 표시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별도의 키 조작 없이 포인터를 텍스트 입력 위치를 나타내는 커서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 포인터, 커서, 텍스트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포인터(pointer)가 화면의 특정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를 텍스트 입력 위치를 나타내는 커서(cursor)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형태로 구현된 휴대 단말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 새로운 시도들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 등이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면서,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 변화도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휴대 단말기에 표시되는 다양한 종류의 화면을 제어하기 위하여 화면에 포인터를 표시하고, 마우스에 대응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입력 키를 조작하여 화면에 표시된 포인터를 이동시키거나 특정 대상을 선택하도록 구현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 포인터를 텍스트 입력 위치를 나타내는 커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키 조작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포인터와 커서가 한 화면에 동시에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사용상의 혼란을 발생시키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조작 없이 화면상의 특정 영역에서 포인터를 커서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은,화면에 포인터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제1 입력 키의 조작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포인터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포인터가 상기 화면의 소정 영역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포인터를 텍스트 입력 위치를 나타내는 커서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포인터를 이동시키도록 설정된 제1 입 력 키,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제1 입력 키의 조작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화면에 표시된 포인터를 이동시키고, 상기 포인터가 상기 화면의 소정 영역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포인터를 텍스트 입력 위치를 나타내는 커서로 전환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인터가 이동하여 화면의 특정 영역에 진입하는 경우, 포인터를 커서로 전환하여 표시하고, 특정 영역을 제외한 화면상의 다른 영역에서는 커서를 포인터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키 조작 없이 포인터를 커서로 전환하여 표시하거나, 커서를 다시 포인터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포인터와 커서가 동시에 한 화면에 표시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상의 혼란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겠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조작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저장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GPS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나,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3)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111)은,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휴대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 모듈(121)과 마이크 모듈(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저장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1)은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 모듈(123)은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3)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모듈(123)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조작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조작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 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음향출력 모듈(153), 알람 출력 모듈(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과 내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이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153)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153)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1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 출력 모듈(155)은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 출력 모듈(155)은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 출력 모듈(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 출력 모듈(155)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진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이나 음향출력 모듈(153)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저장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저장부(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상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 단말기들 중에서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는 제1 바디(100A), 및 제1 바디(100A)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 바디(100B)를 포함한다.
제1 바디(100A)가 제2 바디(100B)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100A)가 제2 바디(100B)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가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Standby Mode)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제1 바디(100A)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1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다.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1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1 리어 케이스(100A-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바디(100A), 구체적으로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에는 디스플레이모듈(151), 제 1 음향출력모듈(153a), 제1 카메라모듈(121a), 및 제1 조작부(130a)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151)은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모듈(151)에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디스플레이모듈(151)이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 1 음향출력 모듈(153a)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카메라모듈(121a)은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1 조작부(130a)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다. 제1 조작부(130a)의 중앙에는 조이스틱 키, 터치 패트, 트랙볼, 포인팅 스틱, 핑거 마우스 등과 같이 마우스 기능에 대응하는 기능을 갖는 입력 키(130d)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이러한 입력 키(130d)의 일 예로서, 사용자 손가락 움직임을 광학 센서로 읽어 마우스에 대응하는 동작을 할 수 있는 핑거 마우스가 도시되어 있다.
제1 바디(100A)와 마찬가지로, 제2 바디(100B)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 2 프론트 케이스(100B-1)와 제2 리어 케이스(100B-2)에 의해 형성된다. 제2 바디(100B), 구체적으로 제2 프론트 케이스(100B-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 조작부(130b)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프론트 케이스(100B-1) 또는 제2 리어 케이스(100B-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 조작부(130c), 마이크모듈(123),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조작부(130a, 130b, 130c)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130)라 통칭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 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조작부(130a)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조작부(130b)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 조작부(130c)는 상기 휴대단말기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마이크 모듈(123)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 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제2 리어 케이스(100B-2) 측에는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충전 등을 위하여 제2 바디(100B)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는 도 2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제2 바디(100B)의 제2 리어 케이스(100B-2)의 후면에는 제2 카메라 모듈(121b)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2 카메라 모듈(121b)은 제1 카메라 모듈(121a)과 실질 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카메라 모듈(121a)과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 모듈(121a)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카메라 모듈(121b)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카메라 모듈(121b)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5)와 거울(126)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125)는 제2 카메라 모듈(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6)은 사용자가 제2 카메라 모듈(121b)을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제2 리어 케이스(100B-2)에는 제2 음향출력 모듈(153b)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음향출력 모듈(153b)는 제1 음향출력 모듈(153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리어 케이스(100B-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05)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105)는 제2 바디(100B)(2)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바디(100A)의 제1 리어 케이스(100A-2) 측에는 제1 바디(100A)와 제2 바디(100B)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100C)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슬라이드 모듈(100C)의 다른 부분은 제2 바디(100B)의 제2 프론트 케이스(100B-1) 측에 배치되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모듈(121b) 등이 제2 바디(100B)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카메라모듈(121b) 등과 같이 제2 리어 케이스(100B-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105, 121b, 125, 126, 152b)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 바디(100A), 주로는 제1 리어 케이스(100A-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닫힌 상태에서 제1 리어케이스(100A-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 바디(100B)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2 카메라 모듈(121b)이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카메라 모듈(121a)을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카메라 모듈(121b)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대기 모드에서 제1 바디(100A)가 슬라이드 업되거나, 조작부(130)를 통해 소정 키가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대기 화면 등을 표시하고, 그 화면 위에 포인터(pointer)가 표시되도록 한다(S200). 화면에 표시되는 포인터는 핑거 마우스나 기타 터치 패드 등의 움직임에 따라 시각적으로 함께 움직이며, 일반적 형태는 화살 모양이지만,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핑거 마우스 등과 같이 포인터를 이동시키도록 설정된 포인터 이동키가 입력되는 경우, 포인터 이동키의 조작방향에 대응하여 따라 포인터가 이동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S205). 이때, 포인터는 동작 상태에 따라 그 형태 가 변화되어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포인터가 어떤 오브젝트를 가리킬 때에는 손바닥 모양으로 바뀌어 표시하고, 요청된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중에는 모래시계 모양으로 바뀌어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만일, S205 단계에서 포인터 이동키 외에 다른 키가 입력된 경우에는(S225), 제어부(180)는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S230). 포인터 이동키 외에 다른 키의 입력으로는, 화면 이동이나 스크롤 등과 같은 화면 제어를 위한 키나, 메뉴 전환이나 통화 등을 위한 키 등의 입력이 있다. 또한, 포인터 이동키를 눌림 입력하여 포인터가 가리키는 대상을 선택하는 경우 등도 있다. 즉, 사용자가 포인터가 지시하는 대상을 선택하거나, 혹은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포인터의 이동과 함께 마우스 선택 단추에 대응하는 키의 입력이 존재해야 한다.
제어부(180)는 포인터 이동키의 조작 방향에 대응하여 포인터를 이동하다, 메모장이나 단문 메시지 작성 등을 위한 텍스트 입력창 등과 같은 텍스트 입력 영역에 포인터가 진입하게 되면, 포인터를 텍스트 입력 위치를 나타내는 커서(cursor)로 전환하여 표시되도록 한다(S220).
이때, 커서는 사용자가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곳의 위치를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화면상에 나타내는 표시이다. 텍스트 입력위치를 나타내는 커서는, 깜빡이는 밑줄, 또는 세로로 선 직사각형 모양의 막대 등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기타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제어부(180)는 핑거 마우스나 혹은 방향키 등과 같이 커서를 이동시키도록 설정된 커서 이동키가 입력되는 경우, 커서 이동키의 조작방향에 대응하여 커서가 이동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S235). 커서 이동키와 전술한 포인트 이동키로 동일한 입력 키가 사용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입력 키가 사용될 수도 있다. 만일, 핑거 마우스 등을 포인트 이동키와 커서 이동키로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동일한 범위로 핑거 마우스를 조작하더라도, 이에 대응하여 움직이는 포인터의 이동거리와 커서의 이동거리는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만일, S225 단계에서 커서 이동키 외에 다른 키가 입력된 경우에는(S255), 제어부(180)는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S260). 커서 이동키 외에 다른 키의 입력으로는, 텍스트 입력을 위한 키나, 기타 메뉴 전환이나 통화 등을 위한 키 등의 입력이 있다.
제어부(180)는 커서 이동키의 조작 방향에 대응하여 커서를 이동하다, 커서가 텍스트 입력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에는(S245), 커서가 다시 포인터로 전환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S250).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은 반복적으로 수행되어, 포인터가 텍스트 입력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포인터를 커서로 표시하고, 텍스트 입력 영역을 제외한 화면상의 다른 영역에서는 커서를 포인터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을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되는 화면과 함께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5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표시되는 화면(300)을 나타낸 것으로, 화면(300)의 중앙에는 텍스트 입력을 위한 입력창과 같은 텍스트 입력 영역(310)이 표시되어 있다. 화면(300)의 상단에는 인디케이트 아이콘이 표시되고, 화면(300) 의 좌측에는 화면(300)에 표시된 내용을 위아래 방향으로 스크롤하기 위한 수직 스크롤 바(305)와 스크롤 화살표(301, 303)가 표시되어 있다. 화면(300)의 하단에는 메뉴 선택 등을 위한 창(350)과, 메뉴 옵션 선택을 위한 'option'(341), 메뉴 선택이나 선택된 메뉴의 실행을 위한 'OK'(343), 및 이전 메뉴로 이동하기 위한 'Back'(345) 등의 메뉴 항목이 표시된다.
화면(300)에는 포인터 이동키의 조작 방향에 대응하여 이동하는 포인터(320)가 표시되어 있다, 화면(300)에 표시된 포인터(320)는 화살표 모양으로, 화면(300) 내에서 특정 대상이나 메뉴 항목을 선택하는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포인터(320)가, 도면 부호 321로 표시된 바와 같이 궤적으로 이동하여 텍스트 입력 영역(310)으로 이동하는 경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텍스트 입력 위치를 나타내는 커서(330)로 전환되어 표시된다. 커서(330)는 문자 입력이나 커서 이동키의 조작에 따라 이동하게 된다.
도 7은 텍스트 입력에 따라 커서(335)의 위치가 이동된 것을 나타내고, 도 8은 커서를 이동하도록 설정된 커서 이동키의 조작에 따라 커서(340)의 위치가 이동된 경우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커서(335, 340)는 문자의 입력이나, 커서 이동키의 조작에 따라 이동하며, 커서(335, 340)가 표시된 상태에서 화면(300)에 포인터는 표시되지 않는다. 그러나, 특정 키의 조작에 따라 화면(300)에 포인터가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9는 커서를 텍스트 영역의 하단으로 이동시켜, 커서가 텍스트 입력 영역(310)을 벗어나는 경우, 커서가 다시 포인터(350)로 전환되어 표시된 것을 나타 낸다. 이와 같이, 화면상에 포인터가 어느 곳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포인터와 커서를 자동으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포인터를 커서를 전환하기 위한 조작을 하거나, 혹은 포인터와 커서가 화면에 함께 표시되어 사용상 혼동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MSM(Mobile Station Modem)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그리고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을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되는 화면과 함께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무선 통신부 120 : A/V 입력부
130 : 조작부 140 : 센싱부
150 : 출력부 160 : 저장부
170 : 인터페이스부 180 : 제어부

Claims (15)

  1. 화면에 포인터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포인트를 이동시키는 제1 입력 키의 조작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포인터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포인터가 상기 화면의 소정 영역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포인터를 텍스트 입력 위치를 나타내는 커서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영역은, 텍스트 입력을 위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는 제2 입력 키의 조작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커서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가 상기 소정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커서를 상기 포인터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키와 상기 제2 입력 키는, 동일한 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키는, 조이스틱 키, 터치패드, 트랙볼, 포인팅 스틱, 및 핑거 마우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 키는, 조이스틱 키, 터치패드, 트랙볼, 포인팅 스틱, 핑거 마우스, 및 방향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키의 눌림 입력시, 상기 포인터가 지시하는 대상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포인터의 형태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0. 포인터를 이동시키도록 설정된 제1 입력 키;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제1 입력 키의 조작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화면에 표시된 포인터를 이동시키고, 상기 포인터가 상기 화면의 소정 영역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포인터를 텍스트 입력 위치를 나타내는 커서로 전환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영역은, 텍스트 입력을 위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도록 설정된 제2 입력 키의 조작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커서의 표시 위치가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서가 상기 소정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커서를 상기 포인터로 전환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키는, 조이스틱 키, 터치패드, 트랙볼, 포인팅 스틱, 및 핑거 마우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 키, 조이스틱 키, 터치패드, 트랙볼, 포인팅 스틱, 핑거 마우스, 및 방향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20070082879A 2007-08-17 2007-08-17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487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82879A KR101487528B1 (ko) 2007-08-17 2007-08-17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US12/140,873 US20090049398A1 (en) 2007-08-17 2008-06-17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same
EP08011357A EP2026181A3 (en) 2007-08-17 2008-06-23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same
CN2008101316400A CN101369211B (zh) 2007-08-17 2008-07-16 移动终端以及控制其操作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82879A KR101487528B1 (ko) 2007-08-17 2007-08-17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8435A true KR20090018435A (ko) 2009-02-20
KR101487528B1 KR101487528B1 (ko) 2015-01-29

Family

ID=39877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82879A KR101487528B1 (ko) 2007-08-17 2007-08-17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90049398A1 (ko)
EP (1) EP2026181A3 (ko)
KR (1) KR101487528B1 (ko)
CN (1) CN101369211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219B1 (ko) * 2010-02-11 2011-02-14 라오넥스(주)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110082238A (ko) * 2010-01-11 2011-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035829A (en) * 2009-03-31 2010-10-01 Compal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screen
US9292161B2 (en) * 2010-03-24 2016-03-2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ointer tool with touch-enabled precise placement
CN102279772B (zh) * 2010-06-11 2014-10-15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软件对象的动态互动方法与电子装置
US20120046071A1 (en) * 2010-08-20 2012-02-23 Robert Craig Brandis Smartphone-based user interfaces, such as for browsing print media
KR101842457B1 (ko) * 2011-03-09 2018-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텍스트 커서 운용방법
US9317196B2 (en) 2011-08-10 2016-04-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tomatic zooming for text selection/cursor placement
CN102955657B (zh) * 2011-08-25 2016-08-17 幻音科技(深圳)有限公司 菜单展示方法及装置
WO2013094371A1 (ja) * 2011-12-22 2013-06-27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40030379A (ko) * 2012-08-27 2014-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의 표시 제어 방법 및 그 단말
US9182904B2 (en) * 2013-11-11 2015-11-10 Lenovo (Singapore) Pte. Ltd. Cues based on location and context for touch interfac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8603A (en) * 1997-02-06 1998-09-15 Chen; Mei Yun Computer input device
US6097390A (en) * 1997-04-04 2000-08-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gress-indicating mouse pointer
US20040017355A1 (en) * 2002-07-24 2004-01-29 Youngtack Shim Cursor control systems and methods
US7554521B1 (en) 2004-04-15 2009-06-30 Apple Inc. User interface control for changing a parameter
US8056008B2 (en) * 2004-09-14 2011-11-08 Adobe Systems Incorporated Interactive object property region for graphical user interface
DE102005011356B3 (de) * 2005-03-04 2006-11-02 Hannes Perkunder Eingabevorrichtung mit Drehregler und Eingabeverfahren sowie ein entsprechendes computerlesbares Speichermedium
US20060274045A1 (en) * 2005-05-17 2006-12-07 Scott Stenbroten Ergonomic keyboard systems and methods
JP2007086018A (ja) 2005-09-26 2007-04-05 Hitachi Cable Ltd 磁歪式トルクセンサ
US7574672B2 (en) * 2006-01-05 2009-08-11 Apple Inc. Text entry interface for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N101336406B (zh) * 2006-02-02 2010-12-08 诺基亚公司 用于控制光标的系统和方法
KR20070050949A (ko) * 2007-03-07 2007-05-16 노키아 코포레이션 포인팅 장치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2238A (ko) * 2010-01-11 2011-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013219B1 (ko) * 2010-02-11 2011-02-14 라오넥스(주)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69211B (zh) 2010-12-15
EP2026181A2 (en) 2009-02-18
US20090049398A1 (en) 2009-02-19
KR101487528B1 (ko) 2015-01-29
CN101369211A (zh) 2009-02-18
EP2026181A3 (en) 201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647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메뉴 표시 방법
KR101470543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41476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57036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메뉴 표시 방법
KR101487528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51796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05191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090107793A (ko) 가변 메뉴 아이콘을 사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78550B1 (ko) 한글 입력을 위한 휴대 단말기
KR20090032559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133246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090034215A (ko)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1504682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8750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서브 메뉴 구현방법
KR20090112440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090076648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1851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50195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415764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메뉴 위치 이동 방법
KR20090113622A (ko) 휴대 단말기 동작 제어방법 및 휴대 단말기
KR101414607B1 (ko) 휴대 단말기, 그 조작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101476292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34308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412148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50648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