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3371A -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43371A KR20100043371A KR1020080102381A KR20080102381A KR20100043371A KR 20100043371 A KR20100043371 A KR 20100043371A KR 1020080102381 A KR1020080102381 A KR 1020080102381A KR 20080102381 A KR20080102381 A KR 20080102381A KR 20100043371 A KR20100043371 A KR 2010004337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dget
- virtual area
- scrolling
- screen
- scro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대기화면을 설정된 가상영역까지 확장하고, 상기 확장하는 가상영역을 이용하여 보다 다양한 컨텐츠들을 대기화면에 구성할 수 있는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방법에 있어서, 대기화면 요청을 감지할 시 가상영역의 설정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가상영역이 설정된 경우, 상기 가상영역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젯에 대한 배치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배치정보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위젯으로 구성된 가상영역에 의하여 확장된 형태의 상기 대기화면을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휴대단말, 터치스크린, 대기화면, 위젯, 배치영역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휴대단말에서 위젯을 정렬시킬 대기화면의 공간적인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단말은 전자수첩 기능, 게임 기능, 스케줄 관리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기기로 발전하는 추세에 있다. 상기와 같이 휴대단말이 다양한 부가 기능을 제공함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부가 기능을 보다 편리하게 관리하고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는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부가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여러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는데, 그 중 특히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방법이 각광받고 있다. 터치스크린이란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볼펜모양의 터치펜(touch pen)을 이용하여 휴대단말의 스크린에 접촉하면, 휴대단말이 접촉이 일어난 부분을 인지하여 명령이 실행되거나 커서의 위치를 이동하도록 설계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말한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작동하는 원리는 스크린 표면에 가해지는 압력에 반응하는 감압식, 상실된 전하를 감지해 접촉이 이루어지는 곳을 파악하는 정전식, 적외선이 가로막히는 것을 감지해 접촉 위치를 알아내는 적외선식 등 다양하다.
이에 제조업체마다 터치스크린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으며 보다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부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그러나 휴대단말은 그 크기의 제약으로 인해 상기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역시 매우 협소하다. 따라서 보다 다양한 컨텐츠를 이용하여 대기화면을 구성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보다 많고 다양한 컨텐츠를 이용하여 대기화면을 구성하는 새로운 방안과, 이상의 방안에 의해 구성된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상의 컨텐츠에 대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편집, 배치를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는 사용자인터페이스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에서 다양한 컨텐츠를 정렬시킬 대기화면의 공간적인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젯을 정렬시킬 휴대단말 대기화면의 공간적인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가상영역을 이용한 대기화면의 확장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기화면의 공간적인 제약을 극복할 수 있도록 대기화면을 가상영역까지 확장하고, 확장하는 대기화면을 통해 보다 많은 위젯들을 대기화면 상에 구성할 수 있는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확장된 대기화면을 용이하게 스크롤링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확장된 대기화면에서 다양한 컨텐츠들을 배치하고, 확장된 대기화면에 배치된 컨텐츠들을 검색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의 가상영역에 의해 확장된 대기화면을 다양한 위젯들에 의하여 구성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방법에 있어서, 대기화면 요청을 감지할 시 가상영역의 설정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가상영역이 설정된 경우, 상기 가상영역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젯에 대한 배치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배치정보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위젯으로 구성된 가상영역에 의하여 확장된 형태의 상기 대기화면을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휴대단말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위젯으로 구성된 대기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대기화면이 확장된 형태의 가상영역을 제공하는 표시부와, 상기 가상영역의 기능과 관련한 설정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가상영역을 구성하는 위젯들의 배치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대기화면을 제공하는 대기화면 계층과, 상기 가상영역을 제공하는 가상영역 계층을 통해 상기 대기화면보다 확장되는 가상영역을 제공하고, 상기 가상영역의 스크롤 제어에 따라 상기 대기화면의 구성을 확장하여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휴대단말에서 위젯(widget)을 정렬시킬 대기화면의 공간적인 제약을 극복할 수 있다. 즉, 기존 휴대단말에 위젯은 PC의 위젯과 달리 위젯이 배치되는 대기화면의 공간적인 제약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의해 대기화면의 공간적인 제약을 해결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위젯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단말의 대기화면을 설정된 가상영역까지 확장하고, 상기 가상영역에 배치되는 위젯들에 대한 검색 시, 다양한 검색 방식을 제공함으로써, 가상영역의 위젯들에 대한 검색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제안하는 본 발명은 휴대단말에서 다양한 컨텐츠들을 정렬하여 표시하는 대기화면(idle screen)의 구성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단말의 대기화면을 설정된 가상영역까지 확장하고, 상기 확장하는 가상영역을 이용하여 보다 다양한 컨텐츠들을 대기화면에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기존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에 따른 공간적인 제약을 극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대기화면을 이용한 컨텐츠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대기화면보다 확장된 가상영역에 존재하는 다양한 컨텐츠들에 대한 검색을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컨텐츠는 대기화면에 배치되는 다양한 종류의 아이템을 나타낸다. 상기 컨텐츠는 휴대단말의 특정 기능을 메뉴 진입 절차 없이 바로 수행할 수 있는 바로가기 아이콘 및 위젯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및 이하 에서는, 상기 컨텐츠가 상기 위젯인 경우를 대표적인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상기 위젯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위젯은 컴퓨터 운영체제 위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를 스크린에 표시하는 작은 그래픽 사용자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 도구로 대기화면 등에 다양한 모습으로 띄워져 여러 가지 기능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위젯은 모바일 위젯(Mobile widget)을 나타내며, 상기 모바일 위젯은 휴대단말 상에서 구동되는 작은 크기의 어플리케이션으로, 하나의 위젯 엔진 위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낸다.
이러한 모바일 위젯은 휴대단말의 대기화면에서 상시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위젯을 통해, 휴대단말이 안고 있는 정보접근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의 어려움(작은 화면, 키패드를 통한 문자 입력의 어려움, 복잡한 정보서비스 이용 경로, 긴 화면이동 시간 등)을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이하,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여 위젯을 이용한 일반적인 대기화면 구성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휴대단말에서 제공하는 위젯 기능 및 대기화면 구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휴대단말은 설정된 특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위젯을 호출하기 위한 복수의 위젯 아이콘들(115)과, 상기 복수의 위젯 아이콘들(115)이 나열되어 사용자가 휴대단말에 포함된 위젯의 기능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트레이(tray)(110)와, 휴대단말의 주 표시영역으로 다수개의 위 젯들이 배치된 화면데이터를 표시하는 대기화면(130)과, 상기 트레이(110)를 표시 또는 제거할 수 있는 표시자(150)와,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휴대단말 기능 또는 옵션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메뉴(145)와, 상기 서브메뉴(145)를 표시하는 서브메뉴 표시영역(140) 및 상기 휴대단말의 수신전계 상태정보, 배터리잔량정보, 시간정보 및 휴대단말의 기능 실행 상태정보 등을 표시하는 인디케이터(indicator)영역(130)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대기화면(120)을 제공하는 대기화면 계층(121)과, 상기 대기화면(120) 상에서 상기 복수의 위젯 아이콘들(115)이 포함된 상기 트레이(110)를 제공하는 트레이 계층(111)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대기화면(120)은 상기 대기화면 계층(121)에 형성되며, 휴대단말의 주 화면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특정 위젯의 기능 실행을 지시하거나 또는 실행 결과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영역이다. 상기 대기화면(120)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특정 이미지 또는 특정 색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도 1a 내지 도 1c에 따르면, 사용자가 상기 트레이(110)의 특정 위젯 아이콘을 상기 대기화면(120)으로 이동하면, 휴대단말은 해당 위젯 아이콘에 대응하는 위젯(125)을 실행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트레이(110) 내의 위젯 아이콘들(115) 각각은 상기 대기화면(120)에 위치하면, 해당 위젯 아이콘에 대응하는 위젯의 특정 기능이 활성화 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110)는 상기 트레이 계층(111)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위젯 아이콘들(115)이 나열되어 사용자가 휴대단말의 특정 위젯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이다. 상기 트레이(110)는 위젯 아이콘들(115)의 수평 또는 수직 나열 방향에 따라 수평 형태 또는 수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도 1a 내지 도 1c에서는 상기 위젯 아이콘들(115)이 수직 방향으로 나열된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트레이(110)는 상기 대기화면(120)의 일 측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대기화면(120)을 표시하는 대기화면 계층(121) 위에 별도의 트레이 계층(11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위젯 아이콘들(115)은 휴대단말에 포함된 특정 기능을 그림 또는 기호의 아이콘 형태로 표시한 것이다. 사용자는 실행하고자 하는 위젯 기능을 해당 위젯 아이콘을 통해 실행 또는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표시자(150)는 상기 트레이(110)를 표시 또는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표시 또는 제거에 대응되는 방향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트레이(110)는 터치스크린에 바로 표시하지 않고 상기 표시자(150)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표시자(150)는 방향성을 갖는 기호로 표시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자(150)가 지시하는 방향은 상기 트레이(110)가 출현(오픈(open)) 또는 제거(클로즈(close))를 위한 방향을 지시할 수 있으며, 상기 트레이(110)의 출현(표시) 또는 제거에 대응하여 그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180도 회전)으로 전환되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표시자(150)에 입력을 발생함으로써, 상기 트레이(110)를 표시 또는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서브메뉴(145)는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휴대단말의 메뉴를 원 터치로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직접 발신할 수 있는 다이얼, 휴대단말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검색할 수 있는 전화번호부,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또는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는 메시지, 일반 메뉴 모드로 진입할 수 있는 메뉴, 특정 기능에 대한 옵션을 수행할 수 있는 옵션 등의 서브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서브메뉴(145)는 상기 열거된 메뉴 이외에 다른 메뉴를 사용자 설정에 따라 추가하거나 또는 삭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도 1c는 상기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휴대단말의 대기화면(120)을 구성할 수 있는 트레이(110), 위젯 아이콘(115) 및 위젯(125) 등이 실제로 상기 대기화면(120)에 표시되는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상기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110)에는 복수의 위젯 아이콘들(115)이 수직 방향으로 나열되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110)에 포함된 복수의 위젯 아이콘들(115)에 해당하는 휴대단말의 기능은 상기 도 1c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요일 및 날짜, D-day, 사진 앨범, 무선 인터넷 접속 게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1c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대기화면(120)에는 현재 시간 표시 위젯, 지하철 노선도 표시 위젯 및 게임 위젯 등의 기능이 실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트레이(110)에 포함된 복수의 위젯 아이콘들(115) 중 특정 위젯 아이콘들을 드래그 등의 입력을 통해 대기화면(120)에 위치시켜, 해당 위젯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위젯을 이용한 대기화면 구성을 통해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휴대단말의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위젯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단말의 대기화면에 항상 열어놓고 가까이 하는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휴대단말 사용 환경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컨텐츠여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휴대단말을 사용하는 장소, 사용자가 휴대단말을 이용하는 생활패턴, 사용자의 관심분야(건강, 미용, 주식, 스포츠, 교육 등) 등과 같은 사용모드에 따라 직관적으로 제공해야 한다.
그러나 휴대단말은 표시부에 대응하는 대기화면 크기가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휴대단말의 대기화면에 다양한 위젯을 구성함에 있어서 휴대단말 대기화면의 공간적인 제약 사항으로 인해, 사용자가 희망하는 모든 위젯들을 배치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대기화면의 협소함으로 인해 대기화면 구성을 위한 위젯 배치의 한계점 즉, 대기화면의 공간적인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휴대단말의 대기화면보다 확장된 가상영역을 정의하고, 상기 가상영역을 이용한 대기화면 구성 방법과 이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및 제어수단을 제안한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그에 대응하는 화면 실시 예 및 상기 휴대단말에서 수행하는 상세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인터페이스 및 위젯 셋을 이용한 대기화면 구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2a 내지 도 2c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도 1a 내지 도 1c에 대응하는 구성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 도 1a 내지 도 1c에 대응하는 모든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트레이(210)가 오픈된 상태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고, 상기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트레이(210)가 클로즈된 상태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휴대단말은 복수의 위젯 아이콘들(215)과, 상기 복수의 위젯 아이콘들(215)이 나열되어 표시되는 트레이(210)와, 대기화면(220)과, 대기화면(220)에 표시되는 위젯들(225)과, 인디케이터 영역(230)과, 서브메뉴(245)와, 상기 서브메뉴(245)를 표시하는 서브메뉴 표시영역(240), 표시자(250), 상기 대기화면(220)을 확장하는 가상영역(260) 및 가상영역(260)에 표시되는 위젯들(235)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가상영역(260)은 상기 대기화면(220)과 더불어, 위젯이 배치되는 영역으로서, 상기 대기화면(220)보다 확장된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 가상영역(260)의 위젯들(235)은 상기 가상영역(260)이 상기 대기화면(220)에 차지하는 위치에 따라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화면 예시도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표시자(250)는 확장된 대기화면 즉, 상기 가상영역(260)의 스크롤링(scrolling)을 제어하는 스크롤 제어기(scroll controller)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표시자(250)가 상기 스크롤 제어기로 이용될 시, 상기 표시자(250)의 위치는 상기 가상영역(260)의 전체 크기에 비례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가상영역(260) 중 상기 대기화면(220)에 표시되는 영역의 상대적인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자(250)를 이용하여 상기 대기화면(220) 상에 보이지 않는 가상영역(260)을 스크롤링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가상영역(260)에 배치된 위젯들(235)을 상기 대기화면(220) 상에 위치시켜 표시할 수 있다.
이상 및 이하에서는 상기 표시자(250)를 상기 가상영역(260)의 스크롤링을 위한 스크롤 제어기로 사용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스크롤 제어기가 반드시 상기 표시자(25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자(250)와 별도로, 상기 가상영역(260)의 스크롤링을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스크롤 제어기를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단말의 대기화면(220) 및 가상영역(260)은 상기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대기화면(220)을 제공하는 대기화면 계층(221)과, 상기 대기화면(220) 상에서 상기 위젯 아이콘들(215)이 포함된 상기 트레이(210)를 제공하는 트레이 계층(211) 및 대기화면(220)을 확장하는 가상영역(260)을 제공하는 가상영역 계층(280)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가상영역 계층(280)은 상기 대기화면(220)이 확장되는 상기 가상영역(260)을 나타내기 위한 계층으로, 사용자 설정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위젯들(235)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대기화면(220)보다 넓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 2a 내지 도 2c에서는 상기 가상영역(260)을 대기화면(220)의 상하에 대응하여 확장하는 예시를 나타내었으나, 상기 가상영역(260)은 상기 대기화면(220)의 좌우에 대응하여 확장하거나, 또는 상기 대기화면(220)의 상하좌우에 대응하여 확장할 수도 있다. 즉, 상기 가상영역 계층(280)의 제공 형태에 대응하여 상기 가상영역(260)의 확장 형태가 정의될 수 있다.
상기 가상영역 계층(280)의 상기 가상영역(26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표시자(260)의 스크롤링 제어에 대응하여 상하 스크롤링되며, 상기 스크롤링 제어에 따른 상기 가상영역(260)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대기화면(220)에 표시되는 위젯이 변경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크롤링 제어에 대응하여, 상기 대기화면(220)의 위젯들(225)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되어 사라지고, 상기 가상영역(260)의 위젯들(235) 중 상측 또는 하측의 위젯들이 상기 대기화면(220) 상에 위치하여 표시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도 2a 내지 도 2c에 나타낸 본 발명의 대기화면 구성 방법 및 동작 실시 예에 대하여 이하에서 첨부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대기화면을 구성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휴대단말은 대기화면 요청(301단계)을 감지할 시, 가상영역이 설정되어 있는지 설정여부를 판단한다(303단계). 여기서, 상기 가상영역은 휴대단말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대기화면의 크기보다 확장된 영역을 나타낸다. 상기 가상영역을 통해 상기 대기화면에 보이지 않는 복수의 위젯들을 추 가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상영역이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가상영역에 의한 대기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305단계). 반면, 상기 가상영역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휴대단말은 일반적인 대기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307단계). 아울러,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일반적인 대기화면 표시 중에, 사용자의 가상영역 표시 요청(309단계)에 응답하여, 전술한 305단계로 진행하여 가상영역에 의한 대기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가상영역에 의한 대기화면을 표시할 시(305단계), 상기 가상영역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젯에 대한 배치정보를 확인한다(311단계).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배치정보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의 해당 위젯을 배치하여 상기 가상영역에 의한 대기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313단계). 이때, 상기 대기화면에는 상기 배치정보에 따른 소정의 위젯이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소정의 위젯을 제외한 나머지 위젯들은 상기 대기화면에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화면 예시들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사용자의 스크롤 요청을 감지하면(315단계), 상기 요청되는 스크롤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가상영역을 스크롤링한다(317단계). 여기서, 상기 스크롤 요청은 상기 대기화면에 제공되는 표시자의 이동에 대응하는 스크롤 요청, 상기 대기화면의 특정 위젯이 선택된 상태에서 대기화면의 에지(edge)에 위치한 후에 계속 발생하는 이동 명령에 의한 스크롤 요청, 설정된 터치입력에 따른 제스처에 의한 스크롤 요청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동작 예시들에 대해서는 후 술하는 화면 예시도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스크롤 요청에 따른 가상영역의 스크롤링 후, 상기 스크롤링되는 가상영역 위치의 해당 위젯을 상기 대기화면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319단계).
이상에서는 대기화면을 본 발명의 가상영역까지 확장하고, 확장된 영역을 통해 위젯을 배치하여 표시하는 동작과, 상기 확장된 영역을 스크롤링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동작을 화면 예시도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이때, 이하에서는 전술한 트레이(210)가 클로즈(close)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가상영역을 스크롤링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지만, 상기 트레이(210)가 오픈(open)된 상태에서도 가상영역의 스크롤링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영역을 스크롤링 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4에서는 표시자를 이용하여 스크롤링을 제어하는 경우를 예시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휴대단말은 기본으로 설정된 대기화면(220)과 상기 대기화면(220)의 확장을 위한 가상영역(260)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위젯들을 배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기화면(22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표시자(250)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표시자(250)는 트레이(210)의 오픈/클로즈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트레이(210)의 오픈/클로즈에 대응하는 방향성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상기 표시자(25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확장된 대기화면 즉, 상기 가상영역(260)의 스크롤링을 제어하는 스크롤 제어기로서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자(250)의 위치는 상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상영역(260)의 전체 크기 대비, 상기 대기화면(220)에 출력되고 있는 영역의 상대적인 위치에 나타낼 수 있다.
즉, 참조부호 410 내지 참조부호 4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표시자(410)는 상기 가상영역(260)이 스크롤링되는 거리에 비례하는 상대적인 위치에 나타낼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표시자(260)에 의한 상기 가상영역(260)의 스크롤링 제어가 가능하며, 상기 표시자(260)의 스크롤 제어에 따라 상기 대기화면(220)에 표시되는 상기 가상영역(260)의 부분이 변경된다. 아울러, 상기 가상영역(260)의 스크롤링에 따라 상기 대기화면(220)에 표시되는 상기 가상영역(260)의 부분이 변경됨에 따라, 상기 가상영역(260)에 배치된 위젯들도 이동되어 상기 대기화면(220)에 나타난다. 이때, 이전에 상기 대기화면(220)에 표시되던 위젯은 상기 스크롤링에 대응하여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대기화면(220)에서는 사라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참조부호 410에서 상기 표시자(250)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스크롤 제어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은 사용자의 상기 표시자(250) 제어에 응답하여, 참조부호 420 및 참조부호 4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상영역(260)을 스크롤링하여 나타낼 수 있다. 참조부호 440은 상기 참조부호 410 내지 참조부호 430에 따른 스크롤 제어 동작의 반대 제어 동작에 의해 상기 표시자(250)가 상기 대기화면(220)의 최하단에 위치하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상기 표시자(250)를 이용한 상기 가상영역(260)의 스크롤 제어에 의해, 상기 참조부호 410의 초기 대기화면(220)의 위젯들의 구성(W8, W9, W10)은 이동되고, 참조부호 420 내지 참조부호 440과 같이 상기 가상영역(260)의 스크롤링에 대응하여 다른 위젯들의 구성으로 변경됨을 알 수 있다. 즉, 참조부호 420의 (W4, W2, W8, W10) 구성, 참조부호 430의 (W1, W4, W2, W8) 구성 및 참조부호 440의 (W9, W10, W6, W5, W7) 구성이 상기 가상영역(260)의 스크롤 제어에 대응하여 상기 대기화면(220)에 표시됨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참조부호 410 내지 참조부호 440에서 상기 표시자(250)의 제어는 상기 대기화면(250) 상의 상기 표시자(250)에 직접 터치입력을 발생하여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터치입력은 상기 표시자(250)에 사용자의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터치(touch)한 후 상하 드래그(drag) 제스처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터치 후 플릭(flick) 제스처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단말의 표시부가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질 시,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 가능한 다양한 입력 동작에 의하여 상기 표시자(2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자(250)의 제어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해 상기 표시자(250)를 선택하고, 방향키 등의 조작에 의해 상기 표시자(250)의 상하 이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영역을 스크롤링 하는 다른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5에서는 현재 대기화면에 표시 중인 특정 위젯을 이용하여 스크롤링을 제어하는 경우를 예시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휴대단말은 기본으로 설정된 대기화면(220)과 상기 대기화면(220)의 확장을 위한 가상영역(260)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위젯들을 배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기화면(22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표시자(250)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도 5에서는 참조부호 510 내지 참조부호 55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특정 위젯(W9)을 이용하여 가상영역(260)을 스크롤링하고, 아울러, 상기 특정 위젯(W9)을 상기 가상영역(260)의 스크롤링에 따라 상기 특정 위젯(W9)의 배치를 변경하는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상기 참조부호 510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참조부호 5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는 특정 위젯(W9)의 배치를 변경하기 위해 상기 특정 위젯(W9)을 선택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상기 특정 위젯(W9)을 선택한 후 참조부호 5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대기화면(220)의 하단의 에지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참조부호 530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특정 위젯(W9)에 대한 선택을 취소하면, 상기 특정 위젯(W9)은 상기 참조부호 530과 같은 위치에 이동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러면 휴대단말은 상기의 정보를 기억하여 이전에 설정된 배치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참조부호 530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특정 위젯(W9)을 홀딩(holding)한 상태를 지속하면, 상기 휴대단말은 이를 스크롤 요청으로 인지하고, 상기 특정 위젯(W9)의 홀딩 상태가 발생하는 동안 상기 가상영역(260)의 스크롤링을 제어한다. 이러한 예시가 상기 참조부호 540 및 참조부호 550에 나타나 있다. 또한, 상기 참조부호 550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특정 위젯(W9)에 대한 선택을 취소하면, 상기 특정 위젯(W9)은 상기 참조부호 55과 같은 위치에 이동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가상영역(260)에 존재하는 특정 위젯을 이용하여 가상영역(260)의 스크롤링을 제어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특정 위젯의 배치를 사용자 임의로 자유롭게 변경 가능하다.
한편, 상기 도 5에서 상기 특정 위젯(W9)에 대한 제어는, 사용자의 키 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방향키 및 선택키 조작에 의해 상기 특정 위젯(W9)을 선택한 후, 상기 방향키 조작에 의해 상기 특정 위젯(W9)을 상기 대기화면(220)의 하단 에지로 이동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상기 에지에서 상기 방향키의 계속적인 입력에 의하여 상기 가상영역(260)을 스크롤링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특정 위젯(W9)의 선택을 취소하면, 상기 특정 위젯(W9)은 상기 선택이 취소되는 시점의 해당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특정 위젯(W9)을 방향키 조작에 의하여 상하좌우로 이동하여 배치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도 5에서 상기 특정 위젯(W9)에 대한 제어는, 상기 대기화면(250) 상의 상기 특정 위젯(W9)에 직접 터치입력을 발생하여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 위젯(W9)을 직접 터치하여 선택하고, 상기 터치에 의해 선택한 상태에서 드래그 제스처에 의하여 상기 특정 위젯(W9)을 상기 대기화면(220)의 하단 에지로 이동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상기 에지에서 상기 드래그 제스처를 상기 특정 위젯(W9)에 계속하여 홀딩함으로써, 상기 가상영역(260)을 스크롤링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특정 위젯(W9)에 대한 터치 를 취소하면, 상기 특정 위젯(W9)은 상기 터치가 취소되는 시점의 해당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특정 위젯(W9)을 상하좌우 드래그 제스처 등에 의하여 상하좌우로 이동하여 배치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도 5에서는 특정 위젯을 대기화면(220)의 최하단으로 이동하고, 이에 의거하여 가상영역(260)을 스크롤링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응용으로 특정 위젯을 대기화면(220)의 최상단으로 이동하고, 이에 의거하여 가상영역(260)의 스크롤링을 제어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영역을 스크롤링 하는 다른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6에서는 대기화면 상에 터치입력을 통해 스크롤링을 제어하는 경우를 예시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휴대단말은 기본적으로 설정된 대기화면(220)과 상기 대기화면(220)의 확장을 위한 가상영역(260)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위젯들을 배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기화면(22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표시자(250)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도 6에서는 참조부호 610 내지 참조부호 6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터치입력을 이용하여 가상영역(260)을 스크롤링하는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상기 터치입력은 상기 대기화면(220) 중 특정 위젯이 배치되지 않은 빈 영역에 입력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터치입력은 드래그(drag) 제스처에 의한 터치입력, 플릭(flick) 제스처에 의한 터치입력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입력은 상기 대기화면(220)의 빈 영역에 직접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 6에서 상기 휴대 단말은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입력은 별도의 터치패드와 같은 입력부를 이용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
상기 참조부호 610 내지 참조부호 6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대기화면(220)의 빈 영역에서 특정 방향으로 터치입력을 발생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터치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가상영역(260)을 상기 대기화면(220)의 상측으로 스크롤링 제어한다. 이때, 상기 가상영역(260)이 상기 대기화면(220)의 상측으로 스크롤링됨에 따라 상기 표시자(250)는 상기 가상영역(260)의 스크롤링 정도에 대응하게 상기 대기화면(220)의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참조부호 6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상영역(260)이 상기 대기화면(220)의 하측으로 전체 이동된 상태임에 따라 상기 도 6에서는 상기 터치 입력이 상기 대기화면(220)의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발생하는 입력일 수 있다. 이러한 가상영역(260)의 위치 판단은 상기 표시자(250)의 위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참조부호 610과 같은 상태에서 터치입력이 상기 대기화면(220)의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발생할 시 상기 터치입력은 무시될 수 있다. 또는 터치입력이 잘못되었음을 안내하는 팝업창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가상영역 스크롤링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7에서는 홀드 설정된 위젯 또는 스크롤 제어와 함께 선택되는 위젯이 존재하는 경우의 스크롤링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휴대단말은 스크롤이 요청되면(701단계), 홀드 설정된 위젯(홀드 위젯)이 존재하는지, 및/또는 상기 스크롤 요청과 함께 선택되는 특정 위젯(선택 위젯)이 선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703단계, 705단계). 상기 스크롤 요청은 전술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입력될 수 있으며,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다양한 방식의 입력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할 시, 상기 스크롤 요청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홀드 위젯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는 위젯으로, 가상영역의 스크롤에 관계없이 항상 대기화면 상에 존재하여 표시하도록 설정된 위젯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시계 기능을 제공하는 시계 위젯에 대하여 옵션 선택 등을 통해 홀드 지정할 경우, 상기 시계 위젯은 가상영역이 스크롤링되더라도, 상시적으로 상기 대기화면을 통해 계속하여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선택 위젯은 가상영역의 스크롤 요청 시, 터치입력 또는 옵션 등의 의해 선택 지정되는 위젯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가상영역의 스크롤 시 특정 위젯에 대하여 대기화면에 계속하여 나타내고자 하는 경우, 해당 위젯을 선택한 상태에서 스크롤을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입력은 사용자가 해당 위젯에 손가락 등을 터치한 상태를 홀딩하는 제스처에 대응하는 입력을 나타낸다. 여기서, 사용자는 멀티핑거 기반의 멀티터치를 이용하여, 상기 해당 위젯을 터치한 상태에서 다른 터치입력으로 상기 스크롤을 요청할 수도 있다. 상기 다른 터치입력은 전술한 바와 같이 표시자에 대한 터치입력 또는 대기화면 상의 빈 영역에서 발생하는 플릭 제스처 등의 입력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703단계에서 홀드 위젯이 존재함을 인지하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홀 드 위젯을 대기화면에 고정하고(705단계), 상기 가상영역을 스크롤링 제어한다(707단계). 이때, 상기 고정하는 홀드 위젯을 제외한 나머지 위젯들은 상기 가상영역의 스크롤링에 대응하여 스크롤링 된다. 이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홀드 위젯과 상기 스크롤링되는 가상영역의 위치에 존재하는 위젯들을 대기화면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709단계).
상기 711단계에서 선택 위젯이 존재함을 인지하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선택 위젯을 대기화면에 고정하고(713단계), 상기 가상영역을 스크롤링 제어한다(715단계). 이때, 상기 고정하는 선택 위젯을 제외한 나머지 위젯들은 상기 가상영역의 스크롤링에 대응하여 스크롤링 된다. 이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홀드 위젯과 상기 스크롤링되는 가상영역의 위치에 존재하는 위젯들을 대기화면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717단계).
한편, 상기 도 7에서는 생략하였으나, 상기 홀드 위젯과 상기 선택 위젯이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에도, 상기 홀드 위젯 및 선택 위젯은 상기 대기화면에 고정하고, 가상영역에 대한 스크롤링을 제어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상기 703단계 및 707단계와 같이 상기 홀드 위젯이나 선택 위젯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휴대단말은 전술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가상영역에 대한 스크롤링을 제어할 수 있다(719단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영역을 스크롤링 하는 다른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8에서는 홀드 설정된 위젯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가상영역의 스크롤링을 제어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휴대단말은 기본적으로 설정된 대기화면(220)과 상기 대기화면(220)의 확장을 위한 가상영역(260)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위젯들을 배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기화면(22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표시자(250)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도 8에서는 참조부호 810 내지 참조부호 8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드 위젯(850)은 상기 대기화면(220)에 고정하고, 상기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스크롤링 제어에 의해 가상영역(260)을 스크롤링하는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상기 표시자(260)는 상기 가상영역(260)의 스크롤링 정도에 대응하게 상기 대기화면(220)의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표시되며, 상기 홀드 위젯(850)은 상기 가상영역(260)의 스크롤링에 관계없이 상기 대기화면(220)의 해당 위치에 계속하여 표시된다.
상기 도 8에서 상기 홀드 위젯(850)은 사용자 설정에 의해 지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희망하는 특정 위젯을 선택하고, 상기 특정 위젯에 대하여 메뉴를 이용한 홀드 옵션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특정 위젯을 홀드 위젯으로 지정할 수 있다. 이러한 홀드 위젯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복수개가 설정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도 8에서는 특정 위젯에 대한 홀드 옵션 설정이 취소될 때까지 계속하여 유지되며, 상기 홀드 옵션 설정의 취소 이전까지는 가상영역(260)의 스크롤링에 관계없이 상기 대기화면(220)에 고정되어 상시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영역을 스크롤링 하는 다른 동작 예시 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9에서는 특정 위젯이 선택된 상태에서 가상영역의 스크롤링을 제어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휴대단말은 기본적으로 설정된 대기화면(220)과 상기 대기화면(220)의 확장을 위한 가상영역(260)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위젯들을 배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기화면(22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표시자(250)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도 9에서는 참조부호 910 내지 참조부호 9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택 위젯(950)은 상기 대기화면(220)에 고정하고, 상기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스크롤링 제어에 의해 가상영역(260)을 스크롤링하는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상기 표시자(260)는 상기 가상영역(260)의 스크롤링 정도에 대응하게 상기 대기화면(220)의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표시되며, 상기 선택 위젯(950)은 상기 가상영역(260)의 스크롤링에 관계없이 상기 대기화면(220)의 해당 위치에 계속하여 표시된다.
상기 도 9에서 상기 선택 위젯(950)은 사용자 설정에 의해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터치입력을 이용하여 특정 위젯을 선택하여 선택 위젯(850)으로 지정하고, 상기 터치입력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가상영역(260)의 스크롤링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 9에서 상기 스크롤링은 상기 특정 위젯을 선택하는 터치입력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플릭 제스처에 따른 별도의 터치입력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멀티핑거 기반의 멀티터치 입력을 통해 하나의 핑거로는 특정 위젯을 선택하여 선택 위젯으로 지정하고, 다른 하나의 핑거로 스크롤링을 제어하는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가상영역(260)의 스크롤링 시, 특정 위젯이 터치입력에 의해 선택된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특정 위젯을 선택 위젯으로 인지하고, 상기 특정 위젯을 대기화면(220)에 고정하는 상태에서 상기 가상영역(260)을 스크롤링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희망하는 특정 위젯을 선택하고, 상기 특정 위젯에 대하여 메뉴를 이용한 선택 옵션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특정 위젯을 선택 위젯으로 지정할 수 있다. 이러한 선택 위젯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복수개가 설정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도 9에서는 특정 위젯에 대한 선택이 취소될 시, 예를 들면 상기 특정 위젯에 유지되는 터치입력이 종료될 시, 상기 특정 위젯은 상기 가상영역(260)의 스크롤링에 대응하여 다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 9와 같은 스크롤링 제어를 통해 특정 위젯에 대한 배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가상영역을 스크롤링 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가상영역에 특정 위젯을 추가하거나, 제거하는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영역에 특정 위젯을 배치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10a는 가상영역의 스크롤링 후 특정 위치에 새로운 특정 위젯을 추가하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고, 상기 도 10b는 가상영역의 스크롤링 후 특정 위치에 표시되는 특정 위젯을 제거하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10a를 참조하면, 먼저 휴대단말은 참조부호 10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트레이(210)를 오픈하여 대기화면(220) 상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요청은 상기 표시자(250)에 발생하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표시자(250)에 터치입력을 발생함으로써, 상기 트레이(210)의 오픈을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휴대단말은 상기 표시자(250)의 터치입력에 감지할 시, 상기 트레이(210)를 오픈하여 대기화면(220) 상에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표시자(250)는 상기 트레이(210)의 오픈에 대응하여 그 지시하는 방향이 변경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입력은 상기 표시자(250)에 발생하는 탭(tap) 제스처에 따른 입력일 수 있다. 상기 탭 제스처는 상기 표시자(250)를 이용한 가상영역(260)의 스크롤링 제어를 위한 드래그 제스처 또는 터치&드래그 제스처 등과 구분하기 위한 설정된 입력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210)의 오픈/클로즈를 위한 터치입력이 반드시 탭 제스처에 의한 입력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표시자(250)를 이용한 스크롤링 제어 터치입력과 구분되는 다른 어떠한 입력도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참조부호 1010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전술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절차에 의하여 가상영역(260)의 스크롤링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가 참조부호 1020 및 참조부호 1030에 나타 나 있다.
상기 참조부호 1020 및 참조부호 10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는 희망하는 특정 위젯을 대기화면(220)으로 이동하여 추가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트레이(210)에 존재하는 특정 위젯 아이콘에 입력이벤트를 발생하여 대기화면(220)에 새로운 위젯 추가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도 10a에서 상기 입력이벤트는 드래그&드롭(drag&drop) 제스처에 따른 터치입력, 플릭 제스처에 따른 터치입력 등의 이벤트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입력이벤트는 위젯 추가를 위해 설정된 키 조작 등의 이벤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트레이(210)의 위젯 아이콘들 중 입력이벤트가 발생하는 특정 위젯 아이콘을 상기 입력이벤트에 대응하는 대기화면(220)의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위젯 아이콘에 대응하는 위젯을 실행하여 제공한다. 아울러, 휴대단말은 상기 대기화면(220)에 새로운 위젯이 추가됨을 인지하면, 상기 위젯에 대한 위젯정보 및 위치정보에 의거하여 전술한 배치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특정 위젯이 추가된 상태에서, 참조부호 10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상영역(260)에 대한 스크롤링이 발생할 시, 상기 추가된 위젯은 상기 가상영역(260)의 스크롤링에 대응하여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도 10b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참조부호 1050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전술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절차에 의거하여 가상영역(260)의 스크롤링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가 참조부호 1060 및 참조부호 1070에 나타나 있다.
상기 참조부호 1060 및 참조부호 107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는 현재 표시 중인 대기화면(220) 상에서 희망하는 특정 위젯을 상기 트레이(210)로 이동하여 제거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대기화면(220)에 존재하는 특정 위젯에 입력이벤트를 발생하여 상기 대기화면(220)의 특정 위젯을 트레이(210)로의 이동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도 10b에서 상기 입력이벤트는 드래그&드롭(drag&drop) 제스처에 따른 터치입력, 플릭 제스처에 따른 터치입력 등의 이벤트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입력이벤트는 위젯 추가를 위해 설정된 키 조작 등의 이벤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대기화면(220)의 특정 위젯들 중 입력이벤트가 발생하는 특정 위젯을 상기 입력이벤트에 대응하는 트레이(210) 내의 해당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대기화면(220)에서 제거하고, 상기 위젯에 대응하는 위젯 아이콘을 상기 트레이(210)에 나타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대기화면(220)에 특정 위젯이 제거됨을 인지하면, 상기 특정 위젯에 대한 정보를 전술한 배치정보에서 삭제하여 업데이트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10a 및 도 10b에서, 휴대단말은 사용자의 상기 트레이(210) 클로즈 요청 즉, 상기 표시자(250)에 발생하는 입력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트레이(210)를 상기 대기화면(220) 상에서 제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 10a 및 도 10b에서는 특정 위젯을 추가하거나 제거하는 경우의 예시를 설명하였지만, 특정 위젯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대기화면(220)에서 위젯의 구성이 변경될 시, 휴대단말은 해당 변경정보를 기억하고, 상 기 변경정보를 배치정보에 실시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10a 및 도 10b에서는, 특정 위젯의 추가 또는 제거에 대응하여 상기 트레이(210)의 위젯 아이콘이 제거되거나 추가되는 경우의 예시를 설명하였지만, 상기 트레이(210)의 위젯 아이콘 배열은 유지하는 상태에서 전술한 동작을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도 10a 및 도 10b에서는 상기 트레이(210) 내의 위젯 아이콘을 이동하는 개념의 예시를 나타내나, 상기 트레이(210) 내의 위젯 아이콘을 복사하는 개념의 실시 예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a 내지 도 10b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동작을 터치스크린 상에서 발생하는 입력이벤트에 의해 동작하는 경우를 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이 터치스크린의 입력이벤트에 의해서만 동작하는 것은 아니다. 즉, 휴대단말에 구비되는 일반적인 키 배열의 키패드나 마우스포인터 등의 조작을 통해 동작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키패드의 선택키/방향키/숫자키 등을 이용하여 위젯, 위젯 아이콘 등의 선택, 실행, 추가 및 제거 등의 동작과, 가상영역의 스크롤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의 예시로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및 이동통신단말(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과 같은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응하는 다양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본 발명의 휴대단말의 개략적인 구조를 하기 도 11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은 입력부(1110)와, 표시부(1130)와, 저장부(1150) 및 제어부(1170) 등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저장부(1150)는 설정정보 저장영역(1151) 및 배치정보 저장영역(1153) 등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170)는 가상영역 관리부(1171)와, 스크롤 처리부(1173) 및 홀드기능 관리부(1175) 등을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1110)는 다양한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의 설정 및 상기 휴대단말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1170)로 전달한다. 특히, 상기 입력부(1110)는 상기 휴대단말의 제공 형태에 따라 터치패드를 별도로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터치패드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입력부(1110)는 상기 휴대단말의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일반적인 키 배열의 키패드, 쿼티 방식의 키패드 및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기능키 등과 같은 입력수단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110)를 이용한 본 발명의 동작 제어는 전술한 도 2a 내지 도 10b를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에 대응할 수 있다. 즉, 상기 입력부(1110)는 위젯 선택, 이동, 제거 등을 위한 입력신호와, 가상영역의 스크롤링 제어를 위한 입력신호 등을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1170)로 전달할 수 있다.
만약, 본 발명의 휴대단말이 터치스크린에 의해서만 동작하는 단말인 경우, 상기 입력부(1110)는 본 발명의 구성에서 생략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130)는 상기 휴대단말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화면 데이터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이벤트, 조작 및 키 조작 등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고, 또한 상기 휴대단말의 기능 설정정보 등을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1130)는 적어도 하나의 위젯으로 구성된 대기화면, 트레이, 표시자 및 스크롤링에 대응하는 가상영역의 화면 데이터 등을 출력하며, 상기 제어부(1170)로부터 출력되는 여러 신호와 색 정보들을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특히, 상기 표시부(1130)는 상기 제어부(1170)의 제어에 대응하는 본 발명의 동작 화면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부(1130)는 상기 대기화면의 크기보다 확장된 가상영역을 스크롤링에 대응하여 상기 대기화면에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170)는 상기 트레이의 오픈/클로즈를 제어하고, 상기 가상영역의 스크롤링을 제어를 위한 표시자를 대기화면에 나타낸다. 상기 표시자는 상기 가상영역의 상대적 위치를 나타내며, 상기 표시부(1170)는 상기 가상영역의 스크롤링 정도에 비례하여 상기 표시자의 위치를 이동하여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113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표시부(1130)는 LCD 제어부, 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 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130)는 상기 휴대단말의 제공 형태에 따라 터치스크린(touchscreen)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은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펜 등의 물체로 입력이벤트(터치, 드래그, 탭, 플릭 등의 이벤트)를 발생하면, 그 위치를 입력받도록 하는 특수한 입력장치를 장착한 화면을 나타낸다. 즉, 휴대단말에 서 키패드를 사용하지 않고 스크린(screen)에 나타난 위젯이나 사용자인터페이스의 특정 위치 등에 사용자의 입력이벤트가 발생하면, 그 위치를 파악하여 저장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특정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터치스크린은 스크린에서 직접 입력 정보를 받을 수 있게 하는 표시장치를 나타낸다.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휴대단말의 표시부(1130)에 터치패널(touch panel)이라는 장치를 덧붙여서 기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상기 터치패널은 사용자의 손끝이나 기타 물체에 의해 상기한 입력이벤트를 발생하면 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패널을 장착한 스크린에 미리 나타난 데이터(위젯, 위젯 아이콘, 표시자, 영상, 사용자인터페이스 등)에 입력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1170)는 상기 입력이벤트가 발생하는 스크린 상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사항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이에 대응하는 명령을 처리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아주 쉽게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펜 등을 이용해 미리 설정된 특정 영역에 상기 입력이벤트를 발생하면, 이에 따른 위치정보를 상기 제어부(1170)가 인식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70)는 상기 입력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표시부(1130) 상에 표시되는 데이터의 입력이벤트에 따른 이펙트를 부과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입력이벤트에 대응하게 스크롤링되는 가상영역을 상기 표시부(1130) 상의 대기화면에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표시부(1130)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본 발명의 기능 실행에 따 른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1170)로 전달한다. 이러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상기 표시부(1130)의 구성 및 동작은 전술한 도 2a 내지 도 10b에 대응된다.
상기 저장부(1150)는 ROM(Read Only Memory)과 RAM(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150)는 상기 휴대단말에서 생성 및 활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는, 상기 휴대단말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 및 상기 휴대단말을 이용하여 생성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여 저장 가능한 모든 형태의 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데이터는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위젯, 위젯 아이콘, 가상영역, 가상영역의 스크롤링 제어에 관련된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는, 상기 휴대단말에서 제공되는 사용자인터페이스 및 상기 휴대단말 이용에 따른 여러 설정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15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영역 기능과 관련한 설정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설정정보는 가상영역의 활성화/비활성화 정보, 홀드 기능 정보, 가상영역의 확장 크기를 설정하는 가상영역 크기 정보 등일 수 있으며, 이러한 설정정보는 상기 설정정보 저장영역(1151)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150)는 가상영역을 구성하는 위젯들의 배치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배치정보는 상기 가상영역을 구성하는 위젯들의 위젯정보 및 위치정보를 가지며, 상기 배치정보 저장영역(1153)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150)는 상기 휴대단말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및 본 발명의 가상영역 및 가상영역의 스크롤링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어 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전술한 도 2a 내지 도 10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동작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저장부(1150)의 어플리케이션 저장영역(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150)는 전술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버퍼(buff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150)는 상기 휴대단말의 내부에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스마트카드(Smart card) 등과 같이 외부에 구성될 수 있으며, 내부/외부의 모든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어부(1170)는 상기 휴대단말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휴대단말 내의 상기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170)는 상기 입력부(1110)와, 상기 표시부(1130) 및 상기 저장부(1150) 등과 같은 각 구성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170)는 상기 휴대단말의 이동통신서비스를 위한 코덱(CODEC) 및 적어도 하나의 모뎀(MODEM)으로 이루어진 데이터처리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이 이동통신서비스를 지원할 시, 상기 휴대단말은 무선주파수(RF, Radio Frequency) 신호 처리를 위한 무선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부(1170)는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가상영역을 이용한 대기화면의 구성을 확장하는 기능과 관련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 부(1170)는 대기화면 계층과 가상영역 계층을 구분하고, 상기 가상영역 계층을 통해 상기 대기화면보다 확장되는 가상영역을 제공하고, 상기 가상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위젯을 배치하여 표시하는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170)는 설정된 방식에 대응하여 상기 가상영역의 스크롤링을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1170)는 상기 대기화면을 통해 보이지 않는 가상영역을 스크롤링 제어에 의해 상기 대기화면에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70)는 상기 가상영역의 스크롤링을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170)는 전술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다양한 사용자 입력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 방식에 따른 스크롤링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70)는 홀드 기능 또는 선택 기능에 의해 지정된 특정 위젯을 대기화면에 고정하여 표시하는 상태에서 가상영역의 스크롤링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170)는 전술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스크롤링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70)는 가상영역의 스크롤링에 대응하여 변화되는 대기화면의 위치에 특정 위젯을 추가하거나, 대기화면 상의 특정 위젯을 제거하는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170)는 가상영역의 스크롤링과 함께 위젯의 배치를 적응적으로 변경 제어하며, 위젯의 배치가 변경될 시 그에 대한 정보(위젯정보, 위치정보 등)에 의거하여 설정된 배치정보를 실시간 업데이트하는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1170)에 대한 상기 설명에서는 생략되었지만, 상기 제어부(1170)는 전술한 도 1a 내지 도 10b를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일련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70)의 전술한 기능 제어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어 본 발명의 동작을 처리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제어부(1170)의 제어 동작을 구분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즉, 상기 제어부(1170)는 가상영역 관리부(1171)와, 스크롤 처리부(1173) 및 홀드기능 관리부(117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상영역 관리부(1171)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가상영역을 이용한 대기화면 구성을 확장하는 것과 관련된 전반적인 처리를 담당한다. 상기 가상영역 관리부(1171)는 가상영역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처리하고, 상기 가상영역의 활성화/비활성화에 따른 대기화면을 확장된 형태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상영역 관리부(1171)는 상기 가상영역의 활성화 시의 배치정보를 이용하여 가상영역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젯을 호출하여 배치하고, 상기 가상영역의 비활성화 시의 배치정보를 이용하여 대기화면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젯을 호출하여 배치할 수도 있다.
상기 스크롤 처리부(1173)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가상영역에 대한 스크롤 기능과 관련된 전반적인 처리를 담당한다. 상기 스크롤 처리부(1173)는 표시자를 이용한 가상영역의 스크롤, 터치입력을 이용한 가상영역의 스크롤 및 특정 위젯의 이동을 이용한 가상영역의 스크롤 등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스크롤 처리부(1173)는 상기 가상영역의 스크롤 제어 시 홀드 위젯 및/또는 선택 위젯에 대해서는 대기화면의 해당 위치에 고정하여 표시하는 상태에서, 상기 가상영역의 스크롤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홀드기능 관리부(1175)는 가상영역에 배치되는 위젯들 중 특정 위젯을 대기화면 상의 특정 위치에 고정함으로써, 가상영역의 스크롤링에 관계없이 계속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홀드 기능과 관련된 전반적인 처리를 담당한다. 특히, 상기 홀드기능 관리부(1175)는 사용자의 특정 위젯에 대한 홀드 기능이 설정될 시 이를 관리하고, 상기 스크롤 처리부(1173)의 상기 가상영역 스크롤 제어 시, 상기 홀드 기능이 설정된 홀드 위젯을 상기 대기화면에 고정하여 표시하도록 처리한다. 또한, 상기 홀드기능 관리부(1175)는 대기화면에 표시되는 특정 위젯이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스크롤 처리부(1173)의 상기 가상영역 스크롤 제어가 발생할 경우, 상기 선택된 특정 위젯(선택 위젯)을 상기 대기화면에 고정하여 표시하도록 처리한다. 상기 홀드기능 관리부(1175)는 상기 스크롤 처리부(1173)의 스크롤 제어 동작을 인지할 시, 홀드위젯 또는 선택위젯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그에 따른 제어 값을 상기 스크롤 처리부(1173)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가상영역 관리부(1171), 스크롤 처리부(1173) 및 홀드기능 관리부(1175)의 동작은 전술한 도 1a 내지 도 10b에 대응하며, 아울러 상기 제어부(1170)의 제어 동작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1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휴대단말의 개략적인 구성 예를 도시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이 반드시 상기한 구성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은 그 제공 형태에 따라 디지털방송수신모듈, 근거리통신모듈, 인터넷통신모듈 및 카메라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이 이동통신 서비스를 지원할 시, 상기 휴대단말의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통신모듈과 RF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은 코덱(CODEC) 및 모뎀(MODEM)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은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블록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블록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휴대단말이 블루투스 또는 지그비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지원할 시 이를 위한 근거리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근거리통신모듈은 상기 제어부(1170)의 제어에 따라 다른 휴대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이 인터넷 망을 이용한 통신을 지원할 시 이를 위한 인터넷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인터넷모듈은 상기 제어부(1170)의 제어에 따라 인터넷 망을 통해 다른 휴대단말 및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이 디지털 방송과 관련된 기능을 제공할 시 이를 위한 방송수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 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는 휴대단말에서 제공하는 위젯 기능 및 대기화면 구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인터페이스 및 위젯 셋을 이용한 대기화면 구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대기화면을 구성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영역을 스크롤링 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가상영역 스크롤링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영역을 스크롤링 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영역에 특정 위젯을 배치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Claims (22)
-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방법에 있어서,대기화면 요청을 감지할 시 가상영역의 설정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과,상기 가상영역이 설정된 경우, 상기 가상영역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젯에 대한 배치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상기 배치정보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위젯으로 구성된 가상영역에 의하여 확장된 형태의 상기 대기화면을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가상영역에 의한 대기화면 제공 후 스크롤 요청을 감지하는 과정과,상기 요청되는 스크롤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가상영역을 스크롤링 하는 과정과,상기 스크롤링되는 가상영역 위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위젯을 상기 대기화면을 통해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요청은,상기 대기화면 상에 제공되어 설정된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표시자의 제어에 의한 스크롤 요청, 현재 대기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특정 위젯의 제어에 의한 스크롤 요청, 상기 대기화면 상에 발생하는 터치입력에 의한 스크롤 요청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링 하는 과정은,상기 가상영역의 스크롤 요청을 감지하면, 홀드 설정된 홀드 위젯의 존재 여부 및 상기 스크롤 요청과 함께 선택된 선택 위젯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방법.
- 제4항에 있어서,상기 홀드 위젯이 존재하면, 상기 스크롤 요청에 따른 상기 가상영역의 스크롤링 시 상기 홀드 위젯을 상기 대기화면의 해당 위치에 고정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방법.
- 제4항에 있어서,상기 선택 위젯이 존재하면, 상기 스크롤 요청에 따른 상기 가상영역의 스크롤링 시 상기 선택 위젯에 대한 선택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선택 위젯을 상기 대기화면의 해당 위치에 고정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방법.
- 제4항에 있어서,상기 홀드 위젯 및 선택 위젯 중 적어도 하나가 존재할 시, 상기 홀드 위젯 및 선택 위젯 중 적어도 하나의 위젯을 상기 가상영역의 스크롤링에 관계없이 대기화면에 고정하는 과정과,상기 가상영역의 스크롤링 후 스크롤링되는 가상영역의 위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위젯과 상기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젯을 함께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방법.
- 휴대단말에 있어서,적어도 하나의 위젯으로 구성된 대기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대기화면이 확장된 형태의 가상영역을 제공하는 표시부와,상기 가상영역의 기능과 관련한 설정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가상영역을 구성하는 위젯들의 배치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상기 대기화면을 제공하는 대기화면 계층과, 상기 가상영역을 제공하는 가상영역 계층을 통해 상기 대기화면보다 확장되는 가상영역을 제공하고, 상기 가상영역의 스크롤 제어에 따라 상기 대기화면의 구성을 확장하여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 제8항에 있어서,상기 설정정보는 상기 가상영역의 활성화/비활성화 정보, 홀드 기능 정보, 가상영역의 확장 크기를 설정하는 가상영역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상기 가상영역에 의한 대기화면 제공 후 감지되는 스크롤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가상영역의 스크롤링하고, 상기 스크롤링되는 가상영역 위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위젯을 상기 대기화면을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상기 대기화면 상에 제공되어 설정된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표시자에 의한 스크롤 제어, 현재 대기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특정 위젯에 의한 스크롤 제어, 상기 대기화면 상에 발생하는 터치입력에 의한 스크롤 제어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가상영역의 스크롤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상기 가상영역의 스크롤 제어 시, 홀드 설정된 홀드 위젯의 존재 여부 및 상기 스크롤 요청과 함께 선택된 선택 위젯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상기 홀드 위젯이 존재하면, 상기 가상영역의 스크롤링 시 상기 홀드 위젯을 상기 대기화면의 해당 위치에 고정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상기 선택 위젯이 존재하면, 상기 가상영역의 스크롤링 시 상기 선택 위젯에 대한 선택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선택 위젯을 상기 대기화면의 해당 위치에 고정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상기 홀드 위젯 및 선택 위젯 중 적어도 하나가 존재할 시, 상기 홀드 위젯 및 선택 위젯 중 적어도 하나의 위젯을 상기 가상영역의 스크롤링에 관계없이 대기화면에 고정하고,상기 가상영역의 스크롤링 후 스크롤링되는 가상영역의 위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위젯과 상기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젯을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상기 가상영역을 이용한 대기화면 구성을 확장하는 것과 관련된 기능을 처리하는 가상영역 관리부와,상기 가상영역에 대한 스크롤 기능과 관련된 기능을 처리하는 스크롤 처리부와,상기 가상영역에 배치되는 위젯들 중 특정 위젯을 대기화면 상의 특정 위치에 고정하여, 상기 가상영역의 스크롤링에 관계없이 계속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홀 드 기능과 관련된 기능을 처리하는 홀드기능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영역 관리부는,상기 가상영역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처리하고, 상기 가상영역의 활성화 시의 배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영역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젯을 호출하여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처리부는,표시자를 이용한 가상영역의 스크롤, 터치입력을 이용한 가상영역의 스크롤 및 특정 위젯의 이동을 이용한 가상영역의 스크롤을 제어하고, 상기 스크롤 제어 시 홀드 위젯 및 선택 위젯은 상기 대기화면의 해당 위치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홀드기능 관리부는,상기 스크롤 처리부의 스크롤 제어 동작을 인지할 시, 홀드위젯 또는 선택위젯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그에 따른 제어 값을 상기 스크롤 처리부로 전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 제19항에 있어서,사용자의 특정 위젯에 대한 홀드 기능이 설정될 시 이를 관리하고, 상기 스크롤 처리부의 가상영역 스크롤 제어 시, 상기 홀드 기능이 설정된 홀드 위젯 및 선택 위젯을 상기 대기화면에 고정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가상영역의 스크롤링에 대응하여 변화되는 대기화면의 위치에 특정 위젯을 추가하거나, 대기화면 상의 특정 위젯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상기 가상영역의 스크롤링과 함께 위젯의 배치를 적응적으로 변경 제어하며, 위젯의 배치가 변경될 시 그에 대한 정보(위젯정보, 위치정보)에 의거하여 배치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80102381A KR101510738B1 (ko) | 2008-10-20 | 2008-10-20 |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방법 및 장치 |
US12/581,515 US8788964B2 (en) | 2008-10-20 | 2009-10-19 | Method and system for configuring an idle screen in a portable terminal |
EP18190101.8A EP3483712B1 (en) | 2008-10-20 | 2009-10-20 | Method and system for configuring an idle screen in a portable terminal |
EP22193966.3A EP4117264A1 (en) | 2008-10-20 | 2009-10-20 | Method and system for configuring an idle screen in a portable terminal |
HUE20174252A HUE060735T2 (hu) | 2008-10-20 | 2009-10-20 | Eljárás és rendszer nyugalmi képernyõ konfigurálására hordozható végberendezésben |
ES20174252T ES2927993T3 (es) | 2008-10-20 | 2009-10-20 | Procedimiento y sistema para configurar una pantalla inactiva en un terminal portátil |
EP20174252.5A EP3751828B1 (en) | 2008-10-20 | 2009-10-20 | Method and system for configuring an idle screen in a portable terminal |
PL20174252.5T PL3751828T3 (pl) | 2008-10-20 | 2009-10-20 | Sposób i system do konfiguracji ekranu bezczynności w terminalu przenośnym |
ES18190101T ES2796599T3 (es) | 2008-10-20 | 2009-10-20 | Procedimiento y sistema para configurar una pantalla inactiva en un terminal portátil |
EP09173506.8A EP2178283B1 (en) | 2008-10-20 | 2009-10-20 | Method for configuring an idle screen in a portab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80102381A KR101510738B1 (ko) | 2008-10-20 | 2008-10-20 |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43371A true KR20100043371A (ko) | 2010-04-29 |
KR101510738B1 KR101510738B1 (ko) | 2015-04-10 |
Family
ID=41606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080102381A KR101510738B1 (ko) | 2008-10-20 | 2008-10-20 |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8788964B2 (ko) |
EP (4) | EP4117264A1 (ko) |
KR (1) | KR101510738B1 (ko) |
ES (2) | ES2927993T3 (ko) |
HU (1) | HUE060735T2 (ko) |
PL (1) | PL3751828T3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06403A (ko) * | 2010-07-12 | 2012-01-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단말기 및 그의 멀티터치를 이용한 객체 표시 제어 방법 |
KR20130097488A (ko) * | 2012-02-24 | 2013-09-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
JP2020035454A (ja) * | 2012-10-08 | 2020-03-05 | フィッシャー−ローズマウント 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プロセス制御システムにおける構成可能なユーザ表示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509588B2 (en) | 2005-12-30 | 2009-03-24 | Apple Inc. |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interface reconfiguration mode |
US10313505B2 (en) | 2006-09-06 | 2019-06-04 | Apple Inc. |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nfiguring and displaying widgets |
US8519964B2 (en) | 2007-01-07 | 2013-08-27 | Apple Inc. |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supporting user navigations of graphical objects on a touch screen display |
US8619038B2 (en) | 2007-09-04 | 2013-12-31 | Apple Inc. | Editing interface |
US20110252376A1 (en) * | 2010-04-07 | 2011-10-13 | Imran Chaudhri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Concurrently Open Software Applications |
US10788976B2 (en) | 2010-04-07 | 2020-09-29 | Apple In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folders with multiple pages |
US9823831B2 (en) | 2010-04-07 | 2017-11-21 | Apple In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concurrently open software applications |
US8458615B2 (en) | 2010-04-07 | 2013-06-04 | Apple In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folders |
CN101859229A (zh) * | 2010-06-22 | 2010-10-13 |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 一种图标隐藏方法、装置及触摸屏终端 |
KR101660746B1 (ko) * | 2010-08-24 | 2016-10-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애플리케이션 지시자 설정 방법 |
KR101719989B1 (ko) * | 2010-10-14 | 2017-03-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메뉴를 구성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방법 |
JP6258035B2 (ja) | 2010-11-18 | 2018-01-10 | グーグル エルエルシー | スクロールバー上での直交ドラッギング |
KR101832463B1 (ko) | 2010-12-01 | 2018-02-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화면 표시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 |
KR101781852B1 (ko) * | 2011-01-04 | 2017-09-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KR101231513B1 (ko) * | 2011-03-03 | 2013-02-07 | 한국과학기술원 | 터치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방법, 장치, 이를 위한 기록매체 및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
KR101728728B1 (ko) * | 2011-03-18 | 2017-04-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KR101873734B1 (ko) * | 2011-07-19 | 2018-07-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
US9417754B2 (en) | 2011-08-05 | 2016-08-16 | P4tents1, LLC | User interface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
US20130067392A1 (en) * | 2011-09-12 | 2013-03-14 | Microsoft Corporation | Multi-Input Rearrange |
KR20130046482A (ko) * | 2011-10-28 | 2013-05-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기본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
US8935629B2 (en) | 2011-10-28 | 2015-01-13 | Flipboard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flipping through content |
JP5598678B2 (ja) * | 2011-11-25 | 2014-10-01 |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US20140344735A1 (en) | 2011-12-14 | 2014-11-20 | Nokia Corporation |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managing different visual variants of objects via user interfaces |
WO2013086705A1 (en) * | 2011-12-14 | 2013-06-20 | Nokia Corporation |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merging areas in views of user interfaces |
KR101710418B1 (ko) * | 2011-12-19 | 2017-02-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의 멀티 터치 인터렉션 제공 방법 및 장치 |
KR101819513B1 (ko) | 2012-01-20 | 2018-01-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EP2812784A4 (en) * | 2012-02-07 | 2015-11-11 | Blackberry Ltd | METHODS AND DEVICES FOR MERGING CONTACT RECORDINGS |
US20130227468A1 (en) | 2012-02-23 | 2013-08-29 | Kun-Da Wu | Portable device and webpage browsing method thereof |
US11847300B2 (en) * | 2012-03-12 | 2023-12-19 |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 Electronic information hierarchy |
CN105260049B (zh) | 2012-05-09 | 2018-10-23 | 苹果公司 | 用于响应于用户接触来显示附加信息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
WO2013169842A2 (en) | 2012-05-09 | 2013-11-14 | Yknots Industries Ll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object within a group of objects |
WO2013169865A2 (en) | 2012-05-09 | 2013-11-14 | Yknots Industries Ll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 user interface object based on an intensity of a press input |
WO2013169854A2 (en) | 2012-05-09 | 2013-11-14 | Yknots Industries Ll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feedback for changing activation states of a user interface object |
KR101683868B1 (ko) | 2012-05-09 | 2016-12-07 | 애플 인크. | 제스처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상태들 사이를 전이하기 위한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
EP3410287B1 (en) | 2012-05-09 | 2022-08-17 | Apple In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user interface objects |
EP2847661A2 (en) | 2012-05-09 | 2015-03-18 | Apple In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nd dropping a user interface object |
WO2013169843A1 (en) | 2012-05-09 | 2013-11-14 | Yknots Industries Ll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framed graphical objects |
JP6082458B2 (ja) | 2012-05-09 | 2017-02-15 |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内で実行される動作の触知フィードバックを提供するデバイス、方法、及び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
WO2013169845A1 (en) | 2012-05-09 | 2013-11-14 | Yknots Industries Ll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crolling nested regions |
WO2013169875A2 (en) | 2012-05-09 | 2013-11-14 | Yknots Industries Ll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content associated with a corresponding affordance |
WO2013169849A2 (en) | 2012-05-09 | 2013-11-14 | Industries Llc Yknots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objects corresponding to an application |
WO2013169851A2 (en) | 2012-05-09 | 2013-11-14 | Yknots Industries Ll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facilitating user interaction with controls in a user interface |
CN103699319B (zh) * | 2012-09-27 | 2018-04-27 |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 桌面图标排列方法及装置 |
CN103902201B (zh) * | 2012-12-24 | 2017-06-27 | 联想(北京)有限公司 | 电子设备及其显示处理方法 |
JP6093877B2 (ja) | 2012-12-29 | 2017-03-08 |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複数接触ジェスチャのために触知出力の生成を見合わせるためのデバイス、方法、及び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
CN105144057B (zh) | 2012-12-29 | 2019-05-17 | 苹果公司 | 用于根据具有模拟三维特征的控制图标的外观变化来移动光标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
JP6097843B2 (ja) | 2012-12-29 | 2017-03-15 |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コンテンツをスクロールするか選択するかを判定するためのデバイス、方法、及び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
WO2014105279A1 (en) * | 2012-12-29 | 2014-07-03 | Yknots Industries Ll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witching between user interfaces |
KR101905174B1 (ko) | 2012-12-29 | 2018-10-08 | 애플 인크. | 사용자 인터페이스 계층을 내비게이션하기 위한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
EP2939098B1 (en) | 2012-12-29 | 2018-10-10 | Apple In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ransitioning between touch input to display output relationships |
CN103116452A (zh) * | 2013-01-31 | 2013-05-22 | 华为终端有限公司 | 桌面组件创建方法、装置和终端设备 |
JP5805685B2 (ja) * | 2013-02-27 | 2015-11-04 | 京セラ株式会社 |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
US9477404B2 (en) | 2013-03-15 | 2016-10-25 | Apple In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concurrently open software applications |
JP2014182652A (ja) * | 2013-03-19 | 2014-09-29 | Canon Inc |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
KR102137240B1 (ko) * | 2013-04-16 | 2020-07-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영역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
KR102183448B1 (ko) * | 2013-04-26 | 2020-11-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
US10437452B2 (en) * | 2013-05-20 | 2019-10-08 | Rakuten, Inc.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displaying content on a screen of a display device |
CN103294344A (zh) * | 2013-05-27 | 2013-09-11 |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 一种锁屏和解锁的方法及终端 |
JP2015011681A (ja) * | 2013-07-02 | 2015-01-19 | 船井電機株式会社 | 携帯情報端末 |
JP6393325B2 (ja) | 2013-10-30 | 2018-09-19 |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pple Inc. | 関連する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オブジェクトの表示 |
US20150186011A1 (en) * | 2013-12-30 | 2015-07-0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acting with items on a portable terminal |
DE102014208502A1 (de) * | 2014-05-07 | 2015-11-12 |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 Anwenderschnittstelle und Verfahren zum Wechseln zwischen Bildschirmansichten einer Anwenderschnittstelle |
US10156967B2 (en) | 2014-05-31 | 2018-12-18 | Apple In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abbed and private browsing |
WO2016004116A1 (en) * | 2014-06-30 | 2016-01-07 | Reliance Jio Infocomm Usa, Inc.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user-controlled overlay for user interface |
EP3195096B1 (en) | 2014-08-02 | 2020-08-12 | Apple Inc. |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
US10452253B2 (en) | 2014-08-15 | 2019-10-22 | Apple Inc. | Weather user interface |
US9632664B2 (en) | 2015-03-08 | 2017-04-25 | Apple Inc. |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
US10095396B2 (en) | 2015-03-08 | 2018-10-09 | Apple Inc. |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ng with a control object while dragging another object |
US10048757B2 (en) | 2015-03-08 | 2018-08-14 | Apple Inc. |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media presentation |
US9645732B2 (en) | 2015-03-08 | 2017-05-09 | Apple Inc. |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displaying and using menus |
US9990107B2 (en) | 2015-03-08 | 2018-06-05 | Apple Inc. |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displaying and using menus |
WO2016144385A1 (en) | 2015-03-08 | 2016-09-15 | Apple Inc. | Sharing user-configurable graphical constructs |
US9639184B2 (en) | 2015-03-19 | 2017-05-02 | Apple Inc. | Touch input cursor manipulation |
US20170045981A1 (en) | 2015-08-10 | 2017-02-16 | Apple Inc. |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ouch Inputs Based on Their Intensities |
US10152208B2 (en) | 2015-04-01 | 2018-12-11 | Apple Inc. |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ouch inputs based on their intensities |
US10200598B2 (en) | 2015-06-07 | 2019-02-05 | Apple Inc. |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
US9830048B2 (en) | 2015-06-07 | 2017-11-28 | Apple Inc. |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ouch inputs with instructions in a web page |
US9860451B2 (en) | 2015-06-07 | 2018-01-02 | Apple Inc. |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
US10346030B2 (en) | 2015-06-07 | 2019-07-09 | Apple Inc. | Devices and methods for navigating between user interfaces |
US9891811B2 (en) | 2015-06-07 | 2018-02-13 | Apple Inc. | Devices and methods for navigating between user interfaces |
US9880735B2 (en) | 2015-08-10 | 2018-01-30 | Apple Inc. |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
US10248308B2 (en) | 2015-08-10 | 2019-04-02 | Apple Inc. |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s with physical gestures |
US10235035B2 (en) | 2015-08-10 | 2019-03-19 | Apple Inc. |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content navigation and manipulation |
EP4327731A3 (en) | 2015-08-20 | 2024-05-15 | Apple Inc. | Exercise-based watch face |
US10353564B2 (en) * | 2015-12-21 | 2019-07-16 | Sap Se |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virtual extension areas |
US10331314B2 (en) * | 2016-03-11 | 2019-06-25 |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 User interface including recyclable menu |
DK201670595A1 (en) | 2016-06-11 | 2018-01-22 | Apple Inc | Configuring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
US11816325B2 (en) | 2016-06-12 | 2023-11-14 | Apple Inc. | Application shortcuts for carplay |
CN114740963B (zh) | 2016-09-23 | 2024-06-28 | 苹果公司 | 观影模式 |
DK179412B1 (en) | 2017-05-12 | 2018-06-06 | Apple Inc |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
DK179555B1 (en) | 2017-05-16 | 2019-02-13 | Apple Inc. | USER INTERFACE FOR A FLASHLIGHT MODE ON AN ELECTRONIC DEVICE |
GB2572614B (en) * | 2018-04-05 | 2021-12-08 | Steris Solutions Ltd | Handset for controlling a support device or a movable surface |
US11327650B2 (en) | 2018-05-07 | 2022-05-10 | Apple Inc. | User interfaces having a collection of complications |
JP7077182B2 (ja) * | 2018-08-27 | 2022-05-30 | シャープ株式会社 | 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
US11023098B2 (en) * | 2018-10-03 | 2021-06-01 | Sap Se | Rendering on a mobile device |
US11675476B2 (en) * | 2019-05-05 | 2023-06-13 | Apple Inc. | User interfaces for widgets |
DK180684B1 (en) * | 2019-09-09 | 2021-11-25 | Apple Inc | Techniques for managing display usage |
CN111291220B (zh) * | 2020-01-20 | 2021-07-13 |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 标签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
CN115904596B (zh) | 2020-05-11 | 2024-02-02 | 苹果公司 | 用于管理用户界面共享的用户界面 |
DK181103B1 (en) | 2020-05-11 | 2022-12-15 | Apple Inc | User interfaces related to time |
CN111638823B (zh) * | 2020-05-27 | 2022-06-10 |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 应用图标显示方法、装置及电子设备 |
CN114527900A (zh) * | 2020-10-30 | 2022-05-24 | 华为技术有限公司 | 界面信息的展示方法和电子设备 |
US11921992B2 (en) | 2021-05-14 | 2024-03-05 | Apple Inc. | User interfaces related to time |
US20230236547A1 (en) | 2022-01-24 | 2023-07-27 | Apple Inc. | User interfaces for indicating time |
US20230367470A1 (en) | 2022-05-10 | 2023-11-16 | Apple Inc. |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Providing Notifications and Application Information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196838A (en) * | 1990-12-28 | 1993-03-23 | Apple Computer, Inc. | Intelligent scrolling |
SE511516C2 (sv) * | 1997-12-23 | 1999-10-11 | Ericsson Telefon Ab L M | Handburen displayenhet och metod att visa skärmbilder |
US7600192B1 (en) * | 1998-11-30 | 2009-10-06 | Sony Corporation | Method of zoom and fade transitioning between layers of information screens |
US7369102B2 (en) * | 2003-03-04 | 2008-05-06 | Microsoft Corporation | System and method for naviga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on a smaller display |
BR0318645A (pt) | 2003-12-11 | 2006-11-28 | Nokia Corp | terminal de internet, navegador da web, e, método para ajustar um modo de exibição de um terminal de internet |
US10152190B2 (en) | 2003-12-15 | 2018-12-11 | Open Invention Network, Llc |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application sharing in a multimedia collaboration session |
US7401300B2 (en) * | 2004-01-09 | 2008-07-15 | Nokia Corporation | Adaptive user interface input device |
US7509588B2 (en) | 2005-12-30 | 2009-03-24 | Apple Inc. |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interface reconfiguration mode |
KR101144423B1 (ko) | 2006-11-16 | 2012-05-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
KR100869950B1 (ko) * | 2006-12-01 | 2008-11-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의 확장형 대기화면 배치 구조 및 표시 방법 |
US8519964B2 (en) | 2007-01-07 | 2013-08-27 | Apple Inc. |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supporting user navigations of graphical objects on a touch screen display |
-
2008
- 2008-10-20 KR KR20080102381A patent/KR10151073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9
- 2009-10-19 US US12/581,515 patent/US8788964B2/en active Active
- 2009-10-20 ES ES20174252T patent/ES2927993T3/es active Active
- 2009-10-20 EP EP22193966.3A patent/EP4117264A1/en active Pending
- 2009-10-20 EP EP18190101.8A patent/EP3483712B1/en active Active
- 2009-10-20 EP EP20174252.5A patent/EP3751828B1/en active Active
- 2009-10-20 ES ES18190101T patent/ES2796599T3/es active Active
- 2009-10-20 PL PL20174252.5T patent/PL3751828T3/pl unknown
- 2009-10-20 EP EP09173506.8A patent/EP2178283B1/en active Active
- 2009-10-20 HU HUE20174252A patent/HUE060735T2/hu unknow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06403A (ko) * | 2010-07-12 | 2012-01-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단말기 및 그의 멀티터치를 이용한 객체 표시 제어 방법 |
KR20130097488A (ko) * | 2012-02-24 | 2013-09-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
JP2020035454A (ja) * | 2012-10-08 | 2020-03-05 | フィッシャー−ローズマウント 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プロセス制御システムにおける構成可能なユーザ表示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8788964B2 (en) | 2014-07-22 |
US20100100841A1 (en) | 2010-04-22 |
ES2927993T3 (es) | 2022-11-14 |
EP2178283A1 (en) | 2010-04-21 |
ES2796599T3 (es) | 2020-11-27 |
KR101510738B1 (ko) | 2015-04-10 |
EP3751828B1 (en) | 2022-09-07 |
EP4117264A1 (en) | 2023-01-11 |
EP2178283B1 (en) | 2018-08-22 |
PL3751828T3 (pl) | 2022-12-05 |
HUE060735T2 (hu) | 2023-04-28 |
EP3751828A1 (en) | 2020-12-16 |
EP3483712B1 (en) | 2020-05-13 |
EP3483712A1 (en) | 2019-05-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10738B1 (ko) |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방법 및 장치 | |
KR101546782B1 (ko) |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방법 및 장치 | |
US10102010B2 (en) | Layer-based user interface | |
KR102020345B1 (ko) |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홈 화면의 구성 방법 및 장치 | |
US8245155B2 (en) | Computer implemented display, graphical user interface, design and method including scrolling features | |
KR100831721B1 (ko) |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 |
US20200371685A1 (en) | Graphical User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 |
JP4904375B2 (ja) |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 | |
KR101012300B1 (ko) |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장치 및 그 방법 | |
KR101361214B1 (ko) | 터치스크린의 제어영역을 설정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 |
EP3336672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graphic user interface in a mobile terminal | |
EP3022848B1 (en) | Method of providing message and user device supporting the same | |
US20050223341A1 (en) | Method of indicating loading status of application views,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 |
KR20120132663A (ko) | 캐러셀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
JP2012242846A (ja) | 表示装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EP2869167A1 (en) | Processing device,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program | |
US10895979B1 (en) |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positioning a selection, selecting, and editing, on a computing device running under a touch-based operating system, using gestures on a touchpad device | |
KR102323440B1 (ko) | 페이지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
KR101463804B1 (ko) |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 |
KR20110011845A (ko) |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WO2013128512A1 (ja) | 入力装置、入力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CN103218145A (zh) | 电子装置及控制电子装置的方法 | |
KR20160069588A (ko) | 입력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5 |